KR100990233B1 - End portion concrete block - Google Patents

End portion concrete b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233B1
KR100990233B1 KR1020090096406A KR20090096406A KR100990233B1 KR 100990233 B1 KR100990233 B1 KR 100990233B1 KR 1020090096406 A KR1020090096406 A KR 1020090096406A KR 20090096406 A KR20090096406 A KR 20090096406A KR 100990233 B1 KR100990233 B1 KR 100990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concrete block
protrusion
block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4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09346A (en
Inventor
야스오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환경
주식회사 경관공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환경, 주식회사 경관공학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환경
Publication of KR20100109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3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2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02D2200/146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형 블록을 연결설치하여 구획 또는 경계를 형성한 복수의 블록의 최종단에 설치되어, 최종단 내측에 설치되는 지주, 가드레일 등을 보호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은, 연결형 블록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단부와, 지주를 세워설치하기 위한 지주설치부와, 방어부를 구비한다. 연결단부와 방어부는 길이방향 양측에 설치되며, 지주설치부는 연결단부와 방어부 사이에 설치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plurality of blocks forming a partition or boundary by connecting the connecting block is installed, the end of the concrete block to protect the struts, guard rails, etc. installed inside the final end, to prevent damage It is to provide. An end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ng end for connecting with the connecting block, a support for installing the support post, and a defensive section. The connecting end and the defense part are install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trut installation part is installed between the connecting end and the defense part.

Description

단부 콘크리트 블록{End portion concrete block}End portion concrete block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구획 또는 경계를 형성하는 연결형 블록의 최단부(最端部)에 설치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d-concrete block provided at the shortest end of a connecting block that connect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partition or a boundary.

본 발명자는, 블록 본체의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짐과 아울러, 그 양단의 일측 단부에 상측이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상측돌출부와, 반대측의 타측 단부의 하측이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하측돌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인접하는 콘크리트 블록과 결합하였을 때, 그 결합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측돌출부의 상면에는 원형의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돌출부와, 상기 상측돌출부의 하면에는 원형의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홈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기초구축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에 대하여 제안하였다(일본 특허공보 제3814682호 참조).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both an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ock main body having an arc shape, and an upper protrusion formed at one end of the both ends so as to protrude laterally, and a lower side of the other end on the opposite side protrudes laterally. And a lower protrusion formed in a shape such that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are formed in a circular convex sha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rotrusion so as to be rotatable with the coupling part as a supporting point. A precast concrete block for foundation construction comprising a coupling groove formed in a circular concave shape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has been proposed (see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3814682).

이러한 기초구축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은, 도로의 곡률에 관계없이 직선구간, 곡선구간을 불문하고 설치할 수 있으며, 구획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Such a precast concrete block for foundation construction is useful in that it can be installed regardless of curvature of the road regardless of the curvature of the road, and can form a section.

그러나, 기초구축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에 가드레일을 설치한 경우, 상방에 설치된 가드레일의 끝단이 연결된 콘크리트 블록의 끝단으로 노출된다. 이러한 가드레일의 단부는, 자동차 등에 의한 충돌에 의해 파손될 기회가 비교적 많으며, 가드레일의 단부가 파손되면, 앞쪽 단부가 말리게 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돌출되어 버리거나 하여, 오히려 위험한 상태가 될 가능성이 있다.However, when the guardrail is installed in the precast concrete block for foundation construction, the end of the guardrail installed above is exposed to the end of the connected concrete block. The ends of such guardrails have a relatively high chance of being damaged by a collision by an automobile or the like, and if the ends of the guardrails are broken, the front ends may be curled or, in some cases, protrude, and may become a dangerous state. hav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연결형 블록을 연결설치하여 구획 또는 경계를 형성한 복수의 블록의 최종단에 설치되어, 최종단 내측에 설치되는 지주(支柱), 가드레일 등을 보호하고,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s provided at the last ends of a plurality of blocks in which a connection type block is connected to form a partition or a boundary, and a post, guard rail, etc., which are installed inside the final end, and the lik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nd concrete block that can protect and prevent breakag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은, 길이방향으로 늘어서도록 배치되어 구획 또는 경계를 구성하는 연결형 블록의 최단부에 설치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에 있어서, 지주를 세워 설치하기 위한 지주설치부와, 인접하는 상기 연결형 블록에 연결 가능한 연결단부와, 상기 연결단부에 대하여 상기 지주설치부와 반대측에 마련되며, 상기 지주설치부의 상면보다 높은 상면을 가지는 방어부를 구비하고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nd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nd concrete block is arranged so as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stalled on the shortest end of the connected block forming a partition or boundary, for standing upright It is provided with a support | pillar installation part, the connection end part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said adjacent connection type block, and the defense part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aid support | carrier installation part with respect to the said connection end, and having a top surface higher than the top surface of the said support installation part.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은, 길이방향으로 늘어서서 구획 또는 경계를 형성하는 연결형 블록의 종단에 배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방어부가 연결형 블록을 연결한 구획 또는 경계의 최종단부에 배치되게 된다. 그 방어부는 연결단부 상면보다 높은 상면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방어부에 의해, 연결단부 및 지주설치부를 보호하고, 지주설치부에 설치되는 지주, 이 지주에 부착되는 표지, 가드레일 등의 지주에 부착되는 부재의 손상, 파괴를 적극 방지할 수 있다.The end concrete block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re arranged at the ends of the connected blocks which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m partitions or boundaries. Then, the defense portion of the end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the last end of the partition or boundary connecting the connected block. The defense part has a top surface higher than the top surface of the connecting end. Therefore, the protective portion protects the connecting end and the support post and prevents damage and destruction of the support attached to the support post, the sign attached to the support post, and the members attached to the support posts, such as guard rails.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의 지주설치부는, 지주를 삽입하는 구멍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구멍에 지주를 삽입하면, 상기 지주를 세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간편해진다.In addition, the support | pillar installation part of the concrete block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may be a hole which inserts a support | pillar. By adopting such a configuration, if the support post is inserted into the hole, the support post can be installed upright, thereby simplifying the work.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의 상기 방어부는, 차량의 충돌로부터의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재를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부를 마련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방어부에 완충부재를 부착시켜서,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방어부로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단부 콘크리트 블록 전체에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defense portion of the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n attachment portion for attaching a shock absorbing member for cushioning the impact from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By adopting such a configuration, by attaching a shock absorbing member to the defense portion, it is possible to mitigate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defense portion when the vehicle collides, and as a result, the impact on the entire end concrete block can be allevia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의 연결단부는, 하측 또는 상측이 측방으로 돌출된 돌출부에 의해 형성하면 좋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본 발명자가 이미 개발한 블록 즉, 블록 본체의 양단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양단부의 일측 단부에 상측이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1상측돌출부와, 반대쪽의 타측 단부에 하측이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1하측돌출부를 구비하는 연결형 블록과 용이하게 연결 가능해진다. 즉, 본 발명의 하측돌출부와 연결형 블록의 제1상측돌출부를 겹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상측돌출부와 연결형 블록의 제1하측돌출부를 겹침으로써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end of the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by a protrusion having a lower side or an upper side protruding laterally. By adopting such a configuration, the first upper projection formed by the inventors, that is, both ends of the block body, that is, formed in an arc shape and the upper side protrudes laterally at one end of both ends, It becomes easy to connect with the connection type block which has the 1st lower protrusion part formed so that the lower side protrudes to the side at the other end part. That is, it is possible to connect by overlapping the lower protru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rst upper protrusion of the connected block, or by overlapping the upper protru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rst lower protrusion of the connected block.

또한, 연결단부는, 돌출부의 결합측 표면에, 원형의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돌출부를 마련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블록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양단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양단부의 일측 단부에 상측이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1상측돌출부와, 반대쪽의 타측 단부에 하측이 측 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1하측돌출부를 구비하는 연결형 블록에 있어서, 제1상측돌출부 또는 제1하측돌출부의 결합측 표면에 원형의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홈부를 가지는 연결형 블록과 조합하여 바람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연결형 블록의 제1결합홈부를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결합돌출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연결된 후에도, 결합돌출부(제1결합홈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end may provide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in a circular convex shape on the coupling side surface of the protrusion. By adopting such a configuration, both ends are formed in an arc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ock main body, and the first upper projection is formed so that the upper side protrudes laterally at one end of both ends, and the lower side is opposite to the other end of the block. In the connecting block having a first lower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the connecting block having a coupling recess formed in a circular concave shape on the coupling side surface of the first upper protrusion or the first lower protrusion may be preferably connected. have. That is, by coupling the first coupling groove of the connection type block to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end concrete block, it is possible to rotate around the coupling protrusion (first coupling groove) even after being connected.

또한, 연결단부는, 측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의 결합측 표면에, 상기 결합돌출부 대신에 원형의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홈부를 마련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블록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양단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양단부의 일측 단부에 상측이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1상측돌출부와, 반대쪽의 타측 단부에 하측이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1하측돌출부를 구비하며, 돌출부의 결합표면에 원형의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 제1결합돌출부를 가지는 연결형 블록과 조합하여 바람직하게 연결할 수 있다. 즉, 연결형 블록의 제1결합홈부를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결합돌출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연결된 후에도, 결합돌출부(제1결합홈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end may provide a coupling groove formed in a circular concave shape in pl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on the coupling side surface of the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laterally. By adopting such a configuration, both ends are formed in an arcuate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ock body, and a first upper projection is formed at one end of both ends so as to protrude laterally, and a lower side protrudes laterally at the other end of the block. It has a first lower projection formed so as to be, and can be preferably connected in combination with a connecting block having a first engaging projection formed in a circular convex shape on the engaging surface of the projection. That is, by coupling the first coupling groove of the connection type block to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end concrete block, it is possible to rotate around the coupling protrusion (first coupling groove) even after being connec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의 돌출부는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그 양단의 일측 단부는, 상측이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상측돌출부를, 반대쪽의 타측 단부는, 하측이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하측돌출부를 구비한 연결형 블록과 연결한 경 우에, 회동 범위를 90°이상 확보할 수 있다.Moreover, the protrusion part of the concrete block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may be formed in circular arc shape. By adopting such a configuration, one end of the both ends is connected to a connecting block having a lower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side to protrude laterally, and the other end of the opposite end to protrude on the lower side. In one case, a range of rotation of 90 ° or more can be ensure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의 결합돌출부 또는 결합홈부는, 연결단부에 2개 이상 마련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단부 콘크리트 블록에 대하여, 2개 이상의 연결형 블록을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wo or more coupling protrusions or coupling grooves of the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at the connection end. By employing such a configuration, two or more connected blocks can be connected to the end concret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방어부가 받으므로, 지주설치부 및 연결단부에 직접 차량이 충돌하여, 지주설치부에 세워져설치되는 지주, 그 지주에 부착되는 부재, 예컨대 도로표지, 가드레일 등이 손상, 파괴되는 것을 적극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mpact caused by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receives the deflector of the end concrete block, the vehicle directly collides with the strut mounting portion and the connecting end, and the strut which is mounted on the strut mounting portion, the member attached to the strut,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actively prevent damage or destruction of road signs, guardrails, and the lik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단부 콘크리트 블록은, 길이방향으로 늘어서도록 배치되어 도로나 부지를 구획 또는 경계하는 연결형 블록의 최단부에 설치되는 블록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은, 연결형 블록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단부와, 지주를 세워설치하기 위한 지주설치부와, 방어부를 구비하고 있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The end concrete block of this invention is a block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line u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provided in the shortest part of the connection type block which partitions or delimits a road or a site. The end concrete block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equipped with the connection end part for connecting with a connection type block, the support | pillar installation part for setting up a support | pillar, and a defense part.

연결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구획 또는 경계를 형성하는 연결형 블록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단부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인접되는 연결형 블록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The connecting end is for connecting with a connected block which is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partition or a boundary. The shape of the connection end par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not specifically limited, Various forms can be employ | adopted so that it may be suitable for the shape of the adjacent connection type block.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자가 이미 개발한 연결형 블록(이하, "제1연결형 블록"이라 함)과 조합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래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과 조합하여 사용되기에 적합한 제1연결형 블록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More preferably, by combining with the connected block already developed by the present inven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connected block"), a superior effect is obtained. Thus, the form of the first connected block suitab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the end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제1연결형 블록은,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본체의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양단부의 일측 단부의 상측이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1상측돌출부와, 반대측의 타측 단부의 하측이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1하측돌출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에 인접하는 콘크리트 블록과 결합하였을 때, 결합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될 수 있도록 하측돌출부의 상면에 원형의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 제1결합돌출부와, 상기 제1상측돌출부의 하면에 원형의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제1결합홈부를 구비한 것이다. 이 제1연결형 블록을 양단에 연속하여 배치함으로써, 직선구간, 곡선구간을 불문하고 구획 또는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1연결형 블록은, 제1결합돌출부와 제1결합홈부가 서로 교환하여 설치되어도 상관없다.In the first connection type block,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0,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ock body are formed in an arc shape, and a first side in which an upper side of one end of the both ends is formed to protrude laterally. It has an upper projection and a first lower projection which is formed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other end of the opposite side protrudes laterally, and when combined with the adjacent concrete block, the lower projection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can be rotated as a support point A first coupling protrusion formed in a circular convex shape on the upper surface, and a first coupling groove formed in a circular concave shap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upper protrusion. By arranging the first connected block continuously at both ends, partitions or boundaries can be formed regardless of straight sections or curved sections. On the other hand, the first connection type block may be provided so that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and the first coupling groove are interchanged with each other.

제1연결형 블록에 바람직하게 연결되는 연결단부로서,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길이방향 단부의 하방 또는 상측을 돌출시켜 형성한 돌출부를 마련하여도 좋다. 제1연결형 블록의 제1상측돌출부와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하측돌출부, 또는 제1연결형 블록의 제1하측돌출부와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상측돌출부를 겹침으로써 연결시킬 수 있다. 제1연결형 블록의 돌출부 또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돌출부 중 어느 하나의 선단이 원호형이면, 서로 수평방향으로 각도를 마련하여 설치할 수 있다. 그래서,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돌출부 선단은, 원호형으로 마련하여도 좋다. 원호형으로 마련하면, 제1연결블록에 대해 90°이상의 회동을 확보할 수 있다. 물 론, 반드시 원호형으로 형성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연결부재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고 설치하는 않는 경우는, 직사각형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연결부재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고 설치하는 경우에도, 돌출부의 선단이 접촉되는 연결블록측이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직사각형상이어도 각도를 확보하면서 연결설치할 수 있다.As a connection end part which is preferably connected to a 1st connection type block, you may provide the protrusion part which protruded below or the upper side of the longitudinal end part of the end concrete block. The first upper protrusion of the first connected block and the lower protrusion of the end concrete block, or the first lower protrusion of the first connected block and the upper protrusion of the end concrete block can be connected by overlapping. If the tip of any one of the protrusions of the first connected block or the protrusion of the end concrete block is arcuate, the angles may be provi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each other. Thus, the tip of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end concrete block may be provided in an arc shape. When provided in an arc shape, it is possible to secure a rotation of 90 ° or more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ion block. Of course, it does not have to be arcuate. If it is not provid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member, it may be rectangular. In addition, even when provid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member, if the connecting block side in which the tip of the protruding portion contacts is formed in an arc shape, the connecting block can be installed while securing the angle even if it is rectangular.

또한, 돌출부의 결합 표면에는, 원형의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돌출부를 마련하여도 좋다. 예컨대, 제1상측돌출부에 원형의 오목한 형상의 제1결합홈부가 마련되어 있는 제1연결형 블록에 대하여,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결합돌출부를 제1결합홈부에 결합시켜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결합돌출부 및 제1결합홈부 모두 원형이므로, 원의 중심을 지지점으로 하여, 연결된 상태로 수평방향으로 벗어남을 방지하면서 제1상측돌출부와 하측돌출부가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 회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결합돌출부의 돌출량, 원형의 직경은 한정되지 않으며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Moreover, you may provide the engagement protrusion part formed in the circular convex shape in the engagement surface of the protrusion part.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end concrete block by joining the first coupling groove to the first connection type block provided with the first coupling groove having a circular concave shape in the first upper protrusion. Further, since both the engaging projection and the first engaging groove are circular, it is also possible to rotate in a range where the first upper projection and the lower projection do not interfere with the center of the circle as a support point, while preventing the deviation from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 connected state. On the other hand,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engaging projection, the diameter of the circle is not limited and can be set freely.

한편, 돌출부의 결합 표면에는, 원형의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홈부를 마련하여도 좋다. 예컨대, 제1상측돌출부에 원형의 복록한 형상의 제1결합돌출부가 마련되어 있는 제1연결형 블록에 대하여, 결합홈부와 제1결합돌출부를 결합시켜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결합홈부 및 제1결합돌출부 모두 원형이므로, 원의 중심을 지지점으로 하여, 제1상측돌출부와 하측돌출부가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 회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측돌출부를 원형으로 설계하면, 90°이상의 회동이 가능해진다. 한편, 결합돌출부의 돌출량, 원형의 직경은 한정되지 않으며 자유 롭게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you may provide the engagement groove part formed in circular concave shape in the engagement surface of a protrusion part. For example, the coupling groove portion and the first coupling projection portion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y connecting the first coupling type block in which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portion having a circular double shape is provided in the first upper projection portion. Further, since both the coupling groove portion and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portion are circular, it is also possible to rotate in a range where the first upper protrusion portion and the lower protrusion portion do not interfere with the center of the circle as a supporting point. If the lower projection is designed in a circular shape, it is possible to rotate more than 90 degrees. On the other hand, the protrusion amount of the coupling protrusion, the diameter of the circle is not limited and can be set freely.

또한, 하측돌출부에 결합돌출부 또는 결합홈부를 2개 이상 마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1개의 단부 콘크리트 블록에 대하여 2방향 이상으로 연결형 블록을 배치할 수 있으며, 도로의 분기점에서 사용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사용에 바람직하게 된다.In addition, two or more engaging projections or engaging grooves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projections. By adopting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connection type block in two directions or more with respect to one end concrete block, which is preferable to the use of the end concrete block used at the branching point of the road.

지주설치부는, 도로표지나 가드레일을 부착시키는 지주를 세워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주와 동등 또는 지주보다 큰 구멍으로 이루어진다. 지주설치부는, 연결단부와 이하에 설명하는 방어부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구멍은,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하면까지 관통되어도 좋고 중간까지만 형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The strut mounting portion is for standing and installing a strut to which a road sign or guard rail is attached, and is made of a hol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trut. The strut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ng end portion and the defense portion described below. The hole may penetrat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nd concrete block or may be formed only to the middle.

방어부는, 연결단부와 반대쪽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지주설치부의 상면보다 높은 상면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지주설치부에 대하여 단부측의 방어벽으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방어벽의 두께나 크기는 한정되지 않으나, 너무 얇으면 차량의 충돌에 의해 방어부 자체가 파괴되어, 지주를 보호할 수 없으므로, 어느 정도의 차량의 충돌에 의해 파괴되지 않는 정도의 두께는 필요하다. 또한, 지주에 가드레일을 부착한 경우에는, 방어부는, 가드레일의 상단과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높이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그와 같이 하면, 보다 확실하게 가드레일을 충돌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The defense part is formed in the edge part opposite to a connection end part, and has a top surface higher than the top surface of a strut installation part. Therefore, it has a function as a defensive wall at the end sid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mounting portion. The thickness and the size of the defense wall are not limited, but if the thickness is too thin, the defense part itself is destroyed by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and thus the prop cannot be protected. Therefore, a thickness that is not destroyed by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to some extent is necessary. In addition, when a guardrail is affixed to a support | pillar, it is good to set a defensive part to the height equivalent or more than the upper end of a guardrail. By doing so, the guard rail can be more reliably protected from collision.

방어부의 단부에는, 차량의 충돌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완충부재를 설치하여도 좋다. 완충부재로서는, 예컨대, 모래나 물이 수용된 통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완충부재를 설치하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완충부재를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부를 방 어부에 마련하여도 좋다. 예컨대, 구체적으로는, 방어부의 단부를 통 형상의 완충부재의 형상에 맞추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등 방어부의 단부를 완충부재의 형상에 적합화시키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설치된 완충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완충부재 고정수단을 마련하여도 좋다.A shock absorbing member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defense portion in order to alleviate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As the buffer member, for example, a barrel containing sand or water can be considered. In order to easily install the shock absorbing member, an attachment part for attaching the shock absorbing member may be provided in the defense part. For example, specifically, it is conceivable to fit the end portion of the defense portion to the shape of the buffer member, such as forming the end portion of the defense portion in a concave shape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cylindrical buffer member. Moreover, you may provide the buffer member fixing means for fixing the installed buffer member.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및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형태를 예시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으로 한정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drawing. In addition, since the Example and drawing which are demonstrated below illustrate one form of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it is not used for the purpose of limiting to these structures.

<실시예1>Example 1

도 1에는, 실시예1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은, 후술하는 연결형 블록(1; 도 10 참조)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단부(10)와, 지주를 세워설치하기 위한 지주설치부(20)와, 방어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연결단부(10)와, 지주설치부(20)와, 방어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몸체에 형성되어 있다.
연결단부(10)에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의 하측 절반부분이 길이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측돌출부(11)가 형성되어 있다. 하측돌출부(11)는, 돌출선단이 원호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상면에는 원형의 볼록한 형상의 결합돌출부(12)를 구비하고 있다. 결합돌출부(12)의 중심에는, 볼트를 삽입하는 볼트구멍(13)이 마련되어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nd concrete block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end concrete block 100 includes a connection end 10 for connecting with a connection type block 1 (see FIG. 10) to be described later, a support installation part 20 for installing the support post, and a defense part 30. Equipped. The connecting end 10, the support installation portion 20, and the defense portion 30 is formed in one body as shown in FIG.
The lower end part 11 in which the lower half part of the edge part concrete block 100 protrudes out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connection end part 10. As shown in FIG. The lower protrusion 11 has a protruding tip in an arc shape, and has an engaging protrusion 12 having a circular convex shape on its upper surface. In the center of the engagement protrusion 12, a bolt hole 13 into which a bolt is inserted is provided.

지주설치부(20)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의 중앙부근에 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21)은 삽입 예정의 지주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진다.The strut installation part 20 is provided with the hole 21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edge concrete block 100. As shown in FIG. The hole 21 has a diameter slightly larger than the post to be inserted.

방어부(30)는, 연결단부(10)의 반대쪽 단부에 마련되며, 지주설치부(20)의 상표면보다 높은 표면을 가진다. 따라서, 방어부(30)는, 방어측으로부터 충돌되는 차량 등으로부터 지주설치부(20)에 세워설치되는 지주, 지주에 부착되는 도로표지, 가드레일 등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차량측에서 보면, 일반적으로 차량은, 충돌시에 앞쪽부분이 눌려파괴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여, 탑승자에 전달되는 영향을 약화시키는데, 가드레일의 단부측으로부터 차량이 충돌하면 철판상의 가드레일에 찔려 베이는 형태로 충돌되게 되어 이 효과를 얻을 수 없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방어부(30)에 충돌함으로써, 직접 차량이 가드레일에 격돌하지 않고, 방어부(30)에 의해 적정하게 차량의 눌림파괴가 촉진되어 탑승자의 안전이 도모된다. 단부 블록에 충돌할 때는, 정면충돌측이 되는 경우도 많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방어부(30)의 선단은, 예각으로 마련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형으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The defense part 30 is provided in the opposite end part of the connection end part 10, and has a surface higher than the brand surface of the support | pillar installation part 20.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defense part 30 can protect the support | pillar installed in the support | pillar installation part 20, the road mark attached to the support | support, a guard rail, etc. from the vehicle collided from the defense side. On the other hand, when viewed from the vehicle side, the vehicle generally absorbs an impact by being pressed and destroyed in the front part during a collision, thereby weakening the effect transmitted to the occupant. The stab bay will collide in shape and you will not get this effect. However, by colliding with the defense uni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vehicle does not directly collide with the guardrail, and the deflection unit of the vehicle is appropriately promoted by the defense unit 30, and the occupant's safety is promoted. When it collides with an end block,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a front collision side in many cases. Therefore, the tip of the defense part 30 is not preferably provided at an acute angle, and is preferably provided in an arc shape as shown in FIG. 1.

방어부(30)와 지주설치부(20) 사이에는, 지주설치부(20)보다 약간 낮게 형성된 가드레일의 단부의 하방으로의 돌출을 피하기 위하여, 가드레일 회피부(42)를 마련하여도 좋다.A guardrail avoidance part 42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efense part 30 and the support | pillar installation part 20, in order to avoid protrusion below the edge part of the guardrail formed slightly lower than the support | carrier installation part 20. FIG. .

<실시예2>Example 2

도 2에는 실시예2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a)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a)이 연결형 블록(1)과 연결되기 위한 연결단부(10a)와, 지주를 세워설치하기 위한 지주설치부(20a)와, 방어부(30a)를 구비하는 점을 실시예1과 마찬가지이다. 실시예1과 다른 점은, 실시예1에 형성된 하방돌츨부(11)에 형성된 결합돌출부(12) 대신에, 하방돌출부(11a)에 원형의 오목한 형상의 결합홈부(12a)로 한 점이 다르다. 그밖의 점에 대해서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nd concrete block 100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Embodiment 1 that the end concrete block (100a)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end portion (10a) for connecting with the connection type block (1), a strut installation portion (20a) for installing the strut upright, and a defense portion (30a) Same as The difference from the first embodiment differs from that of the engaging projection 12 formed in the lower projection 11 formed in the first embodiment as the engaging recess 12a having a circular concave shape in the downward projection 11a. Other points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n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실시예3>Example 3

도 3에는, 실시예3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b)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단부 콘크리트 블록(200b)은, 연결형 블록(1)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단부(10b)와, 지주를 세워설치하기 위한 지주설치부(20b)와, 방어부(30b)를 구비하는 점은 실시예1과 마찬가지이다. 실시예1과 다른 점은, 실시예1에 형성된 지주설치부(20)의 연결단부측의 단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대하여, 실시예3에 형성된 지주설치부(20b)의 연결단부측의 단부(22b)가 직사각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그밖의 구성은, 실시예1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nd concrete block 100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end concrete block 200b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end 10b for connecting with the connection type block 1, a support installation portion 20b for setting up a support post, and a defense portion 30b. Same as 1 The difference from the first embodiment is that the ends of the connecting end portions of the support mounting portions 20 formed in the first embodiment are formed in an arc shape, whereas the ends of the connecting end portions of the support mounting portions 20b formed in the third embodiment are formed. The point that the edge part 22b is provided in rectangular shape differs. Since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description is omitted.

<실시예4>Example 4

도 4에는 실시예4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c)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4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c)이 연결형 블록(1)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단부(10c)와, 지주를 세워설치하기 위한 지주설치부(20c)와, 방어부(30c)를 구비하는 점은 실시예1과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4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c)은 방어부(30c)의 단부에, 물이 수납된 통형상의 완충부재(40; 도 5 참조)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31c)를 가지는 점이 실시예1과는 다르다. 부착부(31c)는, 통형상의 완충부재(40)에 적합화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nd concrete block 100c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End concrete block (100c)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end (10c) for connecting with the connection type block (1), a strut installation portion (20c) for installing the strut upright, and a defense portion (30c) The point is the same as in Example 1. The end concrete block 100c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has an attachment portion 31c for attaching a cylindrical shock absorbing member 40 (see FIG. 5) in which water is stored to an end portion of the defense portion 30c. It differs from Example 1. The attachment part 31c is formed in concave shape so that it may be adapted to the cylindrical buffer member 40. As shown in FIG.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가 링형상으로 된 볼트(50)를 나사결합할 수 있는 너트(51)가 방어부(30c) 양측면에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방어부(30c)의 부착부(31c)에 설치된 완충부재(40)를 와이어(52)로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nuts 51 capable of screwing bolts 50 having a head portion in a ring shape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efense portion 30c. Thereby, the shock absorbing member 40 provided in the attachment part 31c of the defense part 30c can be fixed with the wire 52. As shown in FIG.

<실시예5>&Lt; Example 5 >

도 6에 실시예5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d)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d)은, 후술하는 연결형 블록(1)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단부(10d)와, 지주를 세워설치하기 위한 지주설치부(20d)와, 방어부(30d)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단부(10d)와 방어부(30d)는 길이방향의 양측에 설치되며, 지주설치부(20d)는 연결단부(10d)와 방어부(30d) 사이에 설치된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nd concrete block 100d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The end concrete block 100d is provided with the connection end part 10d for connecting with the connection type block 1 mentioned later, the support | pillar installation part 20d for standing up, and the defense part 30d. The connection end portion 10d and the defense portion 30d are install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upport mounting portion 20d is installed between the connection end portion 10d and the defense portion 30d.

연결단부(10d)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d)의 상측 절반부분이 길이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측돌출부(11d)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측돌출부(11d)는, 돌출선단이 원호형을 이루고 있으며, 그 하면에는 원형의 오목한 형상의 결합홈부(14d)가 구비되어 있다. 결합홈부(14d)의 중심에는, 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볼트구멍(15d)이 마련되어 있다.The connecting end portion 10d is formed by an upper projection portion 11d in which an upper half portion of the end concrete block 100d protrudes out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upper projection 11d has a protruding tip having an arc shape, and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projection 11d is provided with a circular concave engaging groove 14d. In the center of the engaging groove 14d, a bolt hole 15d for inserting the bolt is provided.

지주설치부(20d)는, 연결단부(10d)의 반대쪽 단부에 마련되며, 지주설치부(20d)의 상표면보다 높은 표면을 가진다. 따라서, 방어부(30d)는, 방어측으로부터 충돌되는 차량 등으로부터 지주설치부(20d)에 세워설치되는 지주, 지주에 부착되는 도로표지, 가드레일 등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차량측에서 보면, 일반적으로 차량은, 충돌시에 앞쪽부분이 눌려파괴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여, 탑승자에 전달되는 영향을 약화시키는데, 가드레일의 단부측으로부터 차량이 충돌하면 철판상의 가드레일에 찔려 베이는 형태로 충돌되게 되어 이 효과를 얻을 수 없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방어부(30d)에 충돌함으로써, 직접 차량이 가드레일에 격돌하지 않고, 방어부(30d)에 의해 적정하게 차량의 눌림파괴가 촉진되어 탑승자의 안 전이 도모된다. 따라서, 방어부(30d)의 선단은, 예각으로 마련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형으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The support post 20d is provided at the opposite end of the connection end 10d, and has a surface higher than the trademark surface of the support post 20d. Therefore, the defense part 30d can protect the support | pillar installed in the support | pillar installation part 20d, the road sign attached to the support | support, a guardrail, etc. from the vehicle collided from the defense side. On the other hand, when viewed from the vehicle side, the vehicle generally absorbs an impact by being pressed and destroyed in the front part during a collision, thereby weakening the effect transmitted to the occupant. The stab bay will collide in shape and you will not get this effect. However, by colliding with the defense part 30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vehicle does not directly collide with the guardrail, and the demolition part of the vehicle is appropriately promoted by the defense part 30d, thereby ensuring the safety of the occupant. Therefore, the tip of the defense portion 30d is not preferably provided at an acute angle, and may be provided in an arc shape as shown in FIG. 1.

방어부(30d)와 지주설치부(20d)의 사이에는, 지주설치부(20d)보다 약간 낮게 형성된 가드레일의 단부의 하방으로의 돌출을 피하기 위하여, 가드레일 회피부(42d)를 마련하여도 좋다.The guardrail avoiding part 42d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efense part 30d and the support mounting part 20d so as to avoid the projection below the end of the guardrail formed slightly lower than the support mounting part 20d. good.

한편, 실시예5의 변형예로서, 결합홈부(14d)를 원형의 볼록한 형상의 결합돌출부로 변형하여도 좋다. 또한, 방어부(30d)에 완충부재(40)의 부착부를 마련하여도 무방하다.On the other hand, as a modification of the fifth embodiment, the coupling groove 14d may be modified into a coupling protrusion of a circular convex shape. In addition, the attachment portion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 40 may be provided in the defense portion 30d.

<실시예6>Example 6

도 7에 실시예6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e)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e)은, 후술하는 연결형 블록(1)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단부(10e)와, 지주를 세워설치하기 위한 2개의 지주설치부(20e)와, 방어부(30e)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단부(10e)와 방어부(30e)는 길이방향의 양측에 설치되며, 지주설치부(20e)는 연결단부(10e)와 방어부(30e) 사이에 설치된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nd concrete block 100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The end concrete block 100e is provided with the connection end part 10e for connecting with the connection-type block 1 mentioned later, two support | pillar installation parts 20e for setting up a support | pillar, and a defense part 30e. have. The connecting end 10e and the defense part 30e are install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upport mounting part 20e is installed between the connecting end part 10e and the defense part 30e.

연결단부(10e)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e)의 하측 절반부분이 길이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측돌출부(11e)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하측돌출부(11e)는, 모서리부(16e)가 호형상을 이루고 있다. 하측돌출부(11e)의 상면에는 원형의 볼록한 형상의 2개의 결합돌출부(14e)가 마련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어부(30e)의 단부(32e)로부터 대략 동일한 거리가 되도록 마련되어도 좋다. 각각의 결합돌출부(14e)의 중심에는, 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볼트구멍(15e) 이 마련되어 있다.The connection end part 10e is formed by the lower protrusion part 11e in which the lower half part of the end concrete block 100e protrudes out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ower protrusion part 11e, the corner part 16e has formed arc sha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rojection 11e, two engaging projections 14e having a circular convex shape are provided. Preferably, as shown in FIG. 8, it may be provided so that it may become substantially equal distance from the edge part 32e of the defense part 30e. At the center of each engaging projection 14e, a bolt hole 15e for inserting the bolt is provided.

지주설치부(20e)에는, 지주를 세워설치할 수 있는 구멍(21e)이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e)의 연결단부(10e)와 방어부(30e)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구멍(21e)은, 삽입 예정의 지주보다도 약간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In the strut installation portion 20e, a hole 21e for standing the strut is formed between the connecting end 10e of the end concrete block 100e and the defense portion 30e. The hole 21e is formed with a diameter slightly larger than the posts to be inserted.

방어부(30e)는 연결단부(10e)와 반대쪽의 단부에 마련되며, 지주설치부(20e)의 상표면보다 높은 표면을 가진다. 따라서,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세워설치되는 지주, 지주에 부착되는 도로표지, 가드레일 등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직접 차량이 가드레일에 격돌하지 않고, 방어부(30e)에 의해 적정하게 차량의 눌림파괴가 촉진되어 탑승자의 안전이 도모된다. The defense part 30e is provided at the end opposite to the connection end part 10e, and has a surface higher than the brand surface of the support installation part 20e. Therefore, as in the firs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props to be installed upright, road signs attached to the props, guard rails,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does not directly collide with the guard rail, and the demolition portion of the vehicle is appropriately promoted by the defensive portion 30e, thereby ensuring the safety of the occupant.

방어부(30e)와 지주설치부(20e)의 사이에는, 지주설치부(20e)보다 약간 낮게 형성된 가드레일의 단부의 하방으로의 돌출을 피하기 위하여, 가드레일 회피부(42e)를 마련하여도 좋다.Even if the guardrail avoiding part 42e is provided between the defense | restoration part 30e and the support | pillar installation part 20e, in order to avoid protrusion below the edge part of the guardrail formed slightly lower than the support | pillar installation part 20e. good.

한편, 실시예6의 변형예로서, 결합돌출부(14e)를 원형의 오목한 형상의 결합홈부로 변형하여도 좋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어부(30e)에 완충부재(40)의 부착부(31e)를 마련하여도 좋다.On the other hand, as a modification of the sixth embodiment, the coupling protrusion 14e may be modified into a circular recessed coupling groove. 9, the attachment part 31e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 40 may be provided in the defense part 30e.

<실시예A>Example A

이어서, 이상과 같이 하여 제작된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의 설치방법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end concrete block 100 produced as mentioned above is demonstrated.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은, 연결형 블록(1)과 함께 사용되므로, 우선, 본 실시예와 함께 사용되는 연결형 블록(1)에 대하여 설명한다.Since the end concrete block 100 is used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type block 1, first, the connection type block 1 used with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도 10에 본 실시예1과 함께 사용되는 연결형 블록(1)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연결형 블록(1)은, 복수개 연결되어 구획 또는 경계를 형성하는 블록으로서, 주로 연결의 중앙부분에 이용되는 것이다. 연결형 블록(1)은, 상면의 임의의 장소에 가드레일의 지주를 부착하기 위한 지주부착구멍(5)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형 블록(1)의 양단(2, 3)은 반원형의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 일측 단부(2)는 상측 절반부분이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된 제1상측돌출부(2a)를 구비하고 있다. 타측 단부(3)는, 하측 절반부분이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된 제1하측돌출부(3a)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제1돌출부(2a, 3a)는, 인접배치된 연결형 블록(1)들이 겹쳐지게 되는 부분이다. 제1하측돌출부(3a)는 그 상면에 호형의 중심에 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제1볼트구멍(3b)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1볼트구멍(3b)을 중심으로 하여 원형의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 제1결합돌출부(3c)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제1결합돌출부(3c)는, 실시예1의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결합돌출부(12)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가진다. 한편, 반대쪽의 제1상측돌출부(2a)에는, 원호형의 중심에 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된 볼트구멍(2b)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1상측돌출부(2a)의 하면에는, 상기 제1결합돌출부(3c)와 대략 반전된 형상의 원형의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제1결합홈부(2c)가 마련되어 있다.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nked block 1 used with the first embodiment. The connected block 1 is a block which is connected to a plurality and forms a partition or a boundary, and is mainly used for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nnection. The linkage block 1 is provided with the support | pillar attachment hole 5 for attaching the support | guard of a guard rail to the arbitrary place of an upper surface. And, both ends (2, 3) of the connecting block (1) is formed in a semi-circular arc-shaped, one end portion (2) of the first upper projection (2a) is provided with the upper half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quipped. The other end part 3 is equipped with the 1st lower protrusion part 3a by which the lower half part protru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se first protrusions 2a and 3a are portions in which adjacently arranged connecting blocks 1 overlap. The first lower projection 3a is provided on its upper surface with a first bolt hole 3b for inserting a bolt in the center of the arc. Then, a first engagement protrusion 3c formed in a circular convex shape around the first bolt hole 3b is provided. This first engaging projection 3c has the same shape as the engaging projection 12 of the end concrete block of the first embodiment. On the other hand, the penetrating bolt hole 2b for inserting a bolt in the center of an arc shape is provided in the opposite 1st upper side projection part 2a. In addition, a first coupling groove 2c formed in a circular concave shape having a shape substantially inverted from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3c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upper protrusion 2a.

이와 같이 제작된 연결형 블록(1)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돌출부(3c)와 제1결합홈부(2c)를 결합하여 서로 겹쳐지도록 복수개 연결되어, 구획 또는 경계를 형성한다. 이 때, 인접하는 연결형 블록은 도로의 곡률에 따라 각도를 가지고 설치된다(도 12 참조)As illustrated in FIG. 11, the connection type block 1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rotrusions 3c and the first coupling groove 2c so as to overlap each other, thereby forming a partition or a boundary. . At this time, adjacent connecting blocks are installed at an angle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road (see FIG. 12).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 내지 실시예4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 100a, 100b, 100c)은, 연결된 연결형 블록(1)의 가장 끝단에 설치된다. 실시예1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과 실시예5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d)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형 블록(1)의 제1상측돌출부(2a)에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의 하측돌출부(10)를 겹치고, 각각 제1결합홈부(2c)와 결합돌출부(12)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은 연결형 블록(1)에 연결된다. 이처럼 연결함으로써, 연결된 후에도 제1결합홈부(2c)와 결합돌출부(12)가 회동하도록 이동됨으로써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을 도로의 곡률에 맞추어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의 위치를 결정한 후에, 볼트에 의해, 연결형 블록의 볼트구멍(2b)과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볼트구멍(13)을 결합하여 고정한다.The end concrete blocks 100, 100a, 100b and 100c according to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at the extreme ends of the connected block 1 connected. The concrete block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concrete block 100d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an example. 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first upper side of the connected block 1 is illustrated. The lower protrusion 10 of the end concrete block 100 overlaps the protrusion 2a, and the first coupling groove 2c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2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this way, the end concrete block 100 is connected to the linked block (1). By connecting in this way, even after being connected, the first coupling groove part 2c and the coupling protrusion part 12 are moved to rotate so that the end concrete block 100 can be changed to match the curvature of the road. Then, after the position of the end concrete block 100 is determined, the bolt hole 2b of the connection type block and the bolt hole 13 of the end concrete block are fixed by the bolt.

한편, 연결된 연결형 블록의 반대쪽은, 연결형 블록(1)의 하측이 돌출되어 있는 제1하측돌출부(3a)와 연결되므로, 실시예5의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d)이 사용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형 블록(1)의 제1하측돌출부(3a)에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의 상측돌출부(10d)를 겹치고, 각각 제1결합돌출부(2c)와 결합홈부(12d)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은 연결형 블록(1)에 연결된다. 이처럼 연결함으로써, 연결된 후에도 제1결합홈부(2c)와 결합돌출부(12)가 회동하도록 이동됨으로써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을 도로의 곡률에 맞추어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의 위치를 결정한 후에, 볼트에 의해, 연결형 블록의 볼트구멍(2b)과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볼트구멍(15d) 을 결합하여 고정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opposite side of the connected connecting block is connected to the first lower projection 3a on which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ng block 1 protrudes, the end concrete block 100d of the fifth embodiment is used. As shown in FIG. 11, the upper protrusion 10d of the end concrete block 100 overlaps the first lower protrusion 3a of the connection type block 1, and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2c and the coupling groove 12d are respectively. ). In this way, the end concrete block 100 is connected to the linked block 1. By connecting in this way, even after being connected, the first coupling groove part 2c and the coupling protrusion part 12 are moved to rotate so that the end concrete block 100 can be changed to match the curvature of the road. Then, after the position of the end concrete block 100 is determined, the bolt hole 2b of the connection type block and the bolt hole 15d of the end concrete block are fixed by the bolt.

그리고,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 100d)의 지주설치부에 지주(60)를 세워설치하고, 연결형 블록(1)의 지주부착구멍(5)에 지주를 세워설치한 후, 지주에 가드레일을 부착하여 경계로서 부설한다.Then, the support post 60 is erected and installed in the support installation section of the end concrete blocks 100 and 100d, and the support post is mounted in the support attachment hole 5 of the connection type block 1, and then the guard rail is attached to the support post. Lay out as a boundary.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 100d) 및 연결형 블록(1)을 지중에 매설하여, 가드레일과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의 방어부(30)의 일부만이 노둘되도록 설치하여도 좋다.As shown in FIG. 13, the end concrete blocks 100 and 100d and the connection type block 1 are embedded in the ground, so that only a part of the guard rail and the defense part 30 of the end concrete block 100 are installed so as to be outcroped. Also good.

<실시예B>Example B

이어서, 실시예6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e)의 설치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e)과 함께 사용되는 연결형 블록(1)은, 실시예A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Next,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end concrete block 100e which concerns on Example 6 is demonstrated. The connection type block 1 used with the end concrete block 100e i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A.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된 연결형 블록(1)은, 실시예6의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연결부에 2개 연결된다. 상세하게는, 연결형 블록(1)의 제1상측돌출부(2a)에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e)의 하측돌출부(10e)를 겹치고, 각각 제1결합홈부(2c)와 하나의 결합돌출부(14e)를 결합시킨다. 마찬가지로, 다른 하나의 결합돌출부(14e)에 다른 연결형 블록(1)의 제1결합홈부(2c)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단부 콘크리트 블록에 연결되는 연결형 블록(1)은, 2방향으로 연장되어 구획 또는 경계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6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e)을 사용하면, 예컨대, 도로의 분기부분 등에 설치하는 경우 등에 효과적이다. As shown in FIG. 14, two connected connection blocks 1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s of the end concrete blocks of the sixth embodiment. Specifically, the lower protrusion 10e of the end concrete block 100e overlaps the first upper protrusion 2a of the connection type block 1, and the first coupling groove 2c and one coupling protrusion 14e are respective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Combine. Similarly, the first coupling groove 2c of the other connection type block 1 is coupled to the other coupling protrusion 14e. In this way, the connected block 1 connected to the end concret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in two directions to form a partition or boundary. When the end concrete block 100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is used, for example, the end concrete block 100e is effective, for example, to be installed in a branch of a roa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nd concrete block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nd concrete block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nd concrete block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nd concrete block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5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에 완충부재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hock absorbing member is attached to an end concrete block according to Embodiment 5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6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nd concrete block according to Embodiment 6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7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nd concrete block according to Embodiment 7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7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평면도이다.8 is a plan view of an end concrete block according to Embodiment 7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7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end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과 함께 사용되는 연결형 블록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inked block for use with the end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부설형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Figure 11 is a side view showing the laying form of the end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부설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a laying form of the end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부설형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3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laying form of the end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7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부설형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4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laying form of the end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부호의 설명><Code description>

100...단부 콘크리트 블록100 ... one end concrete block

10...연결단부10 ... Connection end

11...하측돌출부11 Lower protrusion

12...결합돌출부12.Combination protrusion

13...볼트구멍13 ... bolt hole

20...지주설치부20.Holding installation part

21...구멍21 ... hole

30...방어부 30 ... Defense

Claims (24)

상측에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상측돌출부 또는 하측에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하측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늘어서도록 배치되어 구획 또는 경계를 구성하는 연결형 블록의 최단부에 설치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에 있어서,In the end concrete block is formed in the upper projection formed to protrude laterally on the upper side or the lower projection formed to protrude laterally on the lower side and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installed at the shortest end of the connected block forming a partition or boundary, 지주를 세워 설치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지주설치부와,A support mounting portion having a hole for mounting the support upright, 인접하는 상기 연결형 블록의 상기 상측돌출부 또는 상기 하측돌출부에 연결 가능하도록, 하측 또는 상측이 측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로 이루어진 연결단부와,A connecting end portion formed of a protrusion protruding laterally or lower side so as to be connectable to the upper protrusion or the lower protrusion of the adjacent connection type block; 상기 지주설치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연결단부와 반대측에 마련되며, 상기 지주설치부의 상면보다 높은 상면을 가지는 방어부와,A defense portion provided on an opposite side to the connection end with the support mounting portion therebetween, and having a top surface higher than the top surface of the support mounting portion; 상기 방어부와 지주설치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지주설치부보다 낮게 형성된 가드레일 회피부를 구비하며,It is provided between the defense portion and the support installation portion, and provided with a guard rail avoidance formed lower than the support installation portion, 상기 연결단부는, 상기 돌출부의 결합측 표면에, 원형의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돌출부 또는 원형의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홈부를 구비하고 있으며,The connecting end has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in a circular convex shape or a coupling groove formed in a circular concave shape on a coupling side surface of the protrusion. 상기 지주설치부와 연결단부 및 방어부는 하나의 몸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End support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ding installation portion and the connecting end and the defense portion is formed in one bod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어부는, 차량의 충돌을 완충하는 완충부재를 부착시킨 부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The end concrete bloc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fense part includes an attachment part to which a shock absorbing member that cushions a collision of the vehicle is attach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원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4. The end concrete block of claim 1 or 3, wherein the protrusion is arcu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 또는 상기 결합홈부는 상기 돌출부에 2개 이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11. The end concrete block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at least two of the coupling protrusions or the coupling grooves are provided at the protrusio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096406A 2009-03-31 2009-10-09 End portion concrete block KR10099023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85756 2009-03-31
JP2009085756A JP2010236278A (en) 2009-03-31 2009-03-31 End concrete b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346A KR20100109346A (en) 2010-10-08
KR100990233B1 true KR100990233B1 (en) 2010-10-29

Family

ID=43090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406A KR100990233B1 (en) 2009-03-31 2009-10-09 End portion concrete block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0236278A (en)
KR (1) KR10099023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940B1 (en) * 2019-11-22 2021-05-03 (주)다나엠 Safety apparatus for boundary stone
KR102601824B1 (en) * 2022-04-05 2023-11-14 대동이브이 주식회사 Block unit for road boundar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4645A (en) 2001-04-02 2002-10-09 Japan Highway Public Corp Collision shock absor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hock absorb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8324B2 (en) * 1992-10-27 1995-08-23 株式会社新弘 Protective block
JPH0671515U (en) * 1993-03-17 1994-10-07 丸高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Barricade block
JP2004084184A (en) * 2002-08-23 2004-03-18 Natl Inst For Land & Infrastructure Management Mlit Precast continuous footing for guardfence
JP3814682B2 (en) * 2003-12-17 2006-08-30 揖斐川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Precast concrete block for foundation construction
JP3951250B2 (en) * 2004-04-01 2007-08-01 博 青木 Lane separation unit, its components and mobile lane separation device
JP4370472B2 (en) * 2005-02-17 2009-11-25 揖斐川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Concrete block for wall surface form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4645A (en) 2001-04-02 2002-10-09 Japan Highway Public Corp Collision shock absor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hock absor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346A (en) 2010-10-08
JP2010236278A (en) 201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6232B2 (en) Protective bodies such as avalanches and rockfalls
KR101451555B1 (en) Anti-rotation guard rail post
JP5962991B2 (en) Guard fence and installation method of guard fence
KR101626257B1 (en) Dyke reinforcement for mounting a holding structure
ES1060699U (en) Metallic barrier with a continuous metallic protection system for motocyclists
KR20100106899A (en) Wall surface block
KR101356566B1 (en) Flexible barrier improved impact energy absorbing capacity
KR100990233B1 (en) End portion concrete block
JP6777250B1 (en) Opposition facility
KR20050021421A (en) Guard rail using road
KR101334279B1 (en) Guard rail having reinforcement bracket
KR20190122110A (en) Shock Absorber Of Road
KR101040824B1 (en) Fence for road
JP3143816U (en) Rock fall protection net structure
KR100969810B1 (en) Add the suspension truss structure formed guardrail
KR101626255B1 (en) Dyke reinforcement for mounting a holding structure
KR101854818B1 (en) Guard rail reinforcement structure for high tensile square net and absorbing bump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4714282B2 (en) End concrete block for branching
ES2337627T3 (en) PROVISION OF SECURITY BARRIERS.
KR101192586B1 (en) Guardrails for Absorption of Impact
KR200347937Y1 (en) Post for guard rail with delineator
JP2007113266A (en) Base fitting of support column for protective fence
KR102673763B1 (en) guardrail assembly
KR200229392Y1 (en) A barrier with vehicle shock absorber
JP2019070242A (en) Concrete heavy structure, concrete heavy structure with guard fence, and guard fenc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