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161B1 - 옥수수 분말을 이용한 고추장 및 초고추장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옥수수 분말을 이용한 고추장 및 초고추장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161B1
KR100990161B1 KR1020080133387A KR20080133387A KR100990161B1 KR 100990161 B1 KR100990161 B1 KR 100990161B1 KR 1020080133387 A KR1020080133387 A KR 1020080133387A KR 20080133387 A KR20080133387 A KR 20080133387A KR 100990161 B1 KR100990161 B1 KR 100990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
powder
red pepper
flour
wheat flou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3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4846A (ko
Inventor
김영성
이충희
Original Assignee
강원도 홍천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도 홍천군 filed Critical 강원도 홍천군
Priority to KR1020080133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161B1/ko
Publication of KR20100074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4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16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4Fermentation of farinaceous cereal or cereal material; Addition of enzymes or micro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J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12J1/00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 C12R2001/66Aspergillus
    • C12R2001/69Aspergillus oryza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y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수수 분말에 물을 첨가한 후, 증자하고 식혀 옥수수분말 덧밥을 제조하는 단계; 아스퍼질러스 오라이제(Aspergillus oryzae) 곰팡이를 소맥분에 피운 소맥분 곡자에 상기 단계의 옥수수분말 덧밥을 첨가하여 28~32℃의 온도로 20~25일 숙성시켜 옥수수분 덧밥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에서 제조된 옥수수분 덧밥 숙성물에 고추 분말 및 물엿을 첨가한 후, 숙성시키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고추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추장의 환원당 및 아미노산의 함량을 높일 수 있고 점도가 높은 고추장을 제조할 수 있다.
고추장, 당, 분말, 아미노산, 옥수수, 점도, 제조방법

Description

옥수수 분말을 이용한 고추장 및 초고추장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Korean hot pepper paste using corn powder}
본 발명은 고추장 및 초고추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옥수수 분말을 이용한 고추장 및 초고추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추장은 조선시대 중엽, 고추가 우리나라에 전해진 이후 만들어지기 시작했고, 녹당질, 아미노산(酸), 캅사이신, 비타민 A, C 등의 함량이 풍부한 대표적인 우리나라의 전통 발효 식품이다.
고추장은 고춧가루의 매운맛, 녹말의 가수분해로 형성되는 당의 단맛, 메주콩의 가수분해로 형성되는 아미노산의 구수한 맛 등이 어울러 독특한 맛을 내는데, 이는 바로 먹거나, 각종 음식에 양념으로 사용되어 진다.
한편, 고추장을 공업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는 발효숙성법과 당화식 숙성법 등이 있는데, 통상적으로 전분질 원료에 아스퍼질러스 오라이제(Asp. oryzae)를 원곡에 대해 0.1 내지 0.2% 비율로 접종시킨 후, 온도 30 내지 35℃, 상대습도 90% 이상으로 하여 40시간 동안 제국시키고, 여기에 고춧가루, 소금, 메주, 물엿 등의 부재료를 혼합, 숙성시켜 고추장을 제조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고추장 제조시 사용되는 전분질 원료는 소맥분으로, 소맥분에 아스퍼질러스 오라이제(Asp . oryzae)를 접종 및 제국을 시킨 후, 아스퍼질러스 오라이제(Asp . oryzae)로부터 생성된 효소가 일정량 첨가되는 소맥분 덧밥을 분해하여 다당류 및 단백질과 같은 고분자를 단당류 및 아미노산 등의 저분자로 분해하는데, 아직 고추장 제조시 덧밥으로 옥수수 분말을 이용 것은 개시되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은 옥수수 분말을 이용한 고추장 및 초고추장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옥수수 분말에 물을 첨가한 후, 증자하고 식혀 옥수수분말 덧밥을 제조하는 단계; 아스퍼질러스 오라이제(Aspergillus oryzae) 곰팡이를 소맥분에 피운 소맥분 곡자에 상기 단계의 옥수수분말 덧밥을 첨가하여 28~32℃의 온도로 20~25일 숙성시켜 옥수수분 덧밥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에서 제조된 옥수수분 덧밥 숙성물에 고추 분말 및 물엿을 첨가한 후, 숙성시키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고추장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을 단계별로 세분화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계 1: 옥수수 분말에 물을 첨가한 후, 증자하고 식혀 옥수수분말 덧밥을 제조하는 단계
단계 1은 옥수수 분말에 물을 첨가한 후, 증자하고 식혀 옥수수분말 덧밥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하기 단계 2에서 사용되는 아스퍼질러스 오라이제(Aspergillus oryzae) 곰팡 이는 아밀라제 또는 프로티아제와 같은 효소를 생산하는데, 이처럼 생산된 효소는 호화되지 않은 곡물에 쉽게 작용하지 못한다. 따라서 곡물의 증자하여 겔(gel) 상태로 만들어 주는데, 겔 상태의 곡물은 효소의 작용이 용이하기 때문에 다당류 또는 단백질과 같은 고분자가 고추장의 맛을 좋게 하는 단당류 또는 아미노산과 같은 저분자로 분해된다.
본 단계 1에서 제조되는 옥수수분말 덧밥은 아스퍼질러스 오라이제(Aspergillus oryzae) 곰팡이의 탄소원으로 사용하였는데, 고추장 제조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소맥분 덧밥보다 생성되는 환원당 및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숙성물의 점도 생성 기간이 단축되어 고추장의 제조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환원당 및 아미노산은 고추장 제조시 고추장의 맛을 결정하는 중요한 성분으로서 고추장의 단맛과 감칠맛 및 구수한 맛을 내는 성분들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옥수수분말 덧밥 제조시 사용한 옥수수는 특정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미백찰옥수수인 것이 좋다.
단계 2: 아스퍼질러스 오라이제( Aspergillus oryzae ) 곰팡이를 소맥분에 피운 소맥분 곡자에 상기 단계의 옥수수분말 덧밥을 첨가한 후, 28~32℃의 온도로 20~25일 숙성시켜 옥수수분 덧밥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본 단계2는 아스퍼질러스 오라이제(Aspergillus oryzae) 곰팡이를 소맥분에 피운 소맥분 곡자에 상기 단계에서 제조한 옥수수분말 덧밥을 첨가하여 28~32℃의 온도로 20~25일 숙성시켜 옥수수분 덧밥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sp)속은 된장, 간장과 같은 장류, 청주, 소주와 같은 주류 등의 전통발효 식품을 생산하는데 사용되어지는 미생물로, 특히 아스퍼질러스 오라이제(Aspergillus oryzae)는 다양한 생합성 활성과 분해활성을 가지고 있고, 여러가지 종류의 아밀라제(amylase; 당화효소)와 프로티아제(protease; 단백질 분해효소)를 가지고 있으며, 이미 또는 이취가 나지 않는 고추장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장류제조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아스퍼질러스 오라이제(Aspergillus oryzae) 곰팡이를 소맥분에 피운 소맥분 곡자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옥수수분말 덧밥을 첨가하는데, 옥수수분말 덧밥은 아스퍼질러스 오라이제(Aspergillus oryzae) 곰팡이의 탄소원으로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소맥분 덧밥보다 덧밥 숙성물의 환원당 및 아미노산 함량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점도의 생성기간을 단축할 수 있어 맛 및 품질이 우수한 고추장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덧밥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의해 소금을 첨가할 수도 있고, 수분 함량을 재조정할 수도 있는데, 일 예로서 소금은 10%(w/w) 첨가할 수 있고, 수분 함량은 45% 정도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소맥분 곡자에 옥수수분말 덧밥을 첨가한 후, 28~32℃의 온도로 20~25일 숙성시키는데, 28~32℃에서 아스퍼질러스 오라이제(Aspergillus oryzae)로부터 생성된 아밀라제(amylase; 당화효소)와 프로티아제(protease;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이 우수하고 20~25일 동안 충분히 발효과정이 진행되어 맛이 좋은 고추장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계 3: 상기에서 제조된 옥수수분 덧밥 숙성물에 고추 분말 및 물엿을 첨가한 후, 숙성시키는 단계
단계 3은 상기에서 제조된 옥수수분 덧밥 숙성물에 고추 분말 및 물엿을 첨가한 후, 숙성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옥수수분 덧밥 숙성물을 이용하여 고추장을 제조하기 위해 고추분말 및 물엿을 첨가한 후, 숙성시키는데, 이때, 바람직하게 식초를 추가 첨가하여 초고추장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기호성의 증진 등의 필요에 의해 양파, 소금, 마늘, 물을 첨가하여 고추장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옥수수 분말을 사용함으로써 환원당 및 아미노산의 함량이 증가된 덧밥 숙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데, 환원당 및 아미노산은 고추장의 맛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성분들이기 때문에 맛이 우수한 고추장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덧밥 숙성물의 제조시 덧밥 숙성물의 점도가 단시간 내에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고추장의 제조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도 발휘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하기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1: 옥수수분 덧밥 숙성물 제조
증자된 소맥분(수분 함량 35%)에 아스퍼질러스 오라이제(Aspergillus oryzae) 곰팡이를 접종한 후, 30℃, 80% 습도에서 48시간 동안 발효시켜 소맥분 곡자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소맥분 곡자 92 중량%에 증자된 미흑찰곡자, 흑점찰곡자, 미백찰곡자 옥수수분말 덧밥(수분 함량 35%) 8 중량%를 각각 첨가하였다.
첨가시, 염분과 수분함량을 각각 10%, 45%가 되도록 재조정한 후, 30℃에서 30일 숙성시켜 옥수수 종류별로 옥수수분 덧밥 숙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소맥분 덧밥 숙성물 제조
증자된 소맥분(수분 함량 35%)에 아스퍼질러스 오라이제(Aspergillus oryzae) 곰팡이를 접종한 후, 30℃, 80% 습도에서 48시간 동안 발효시켜 소맥분 곡자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소맥분 곡자 92 중량%에 증자된 소맥분 덧밥(수분 함량 35%) 8 중량%를 첨가하였다.
첨가시, 염분과 수분함량이 각각 10%, 45%가 되도록 재조정한 후, 30℃에서 30일 숙성시켜 소맥분 덧밥 숙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옥수수분 숙성물 제조
미흑찰곡자, 흑점찰곡자, 미백찰곡자의 증자된 옥수수 분말(수분 함량 35%)에 아스퍼질러스 오라이제(Aspergillus oryzae) 곰팡이를 각각 접종한 후, 30℃, 80% 습도에서 48시간 동안 발효시켜 옥수수분말 곡자를 제조하였다.
제조 후, 염분과 수분함량이 각각 10%, 45%가 되도록 재조정한 후, 30℃에서 30일 숙성시켜 종류별 옥수수분 숙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옥수수 종류별 효소 역가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옥수수 종류별 효소 역가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효소는 고추장의 맛에 영향을 미치는 당 및 아미노산을 생성하는데 기여하는 아밀라제(Amylase;당화효소) 및 프로티아제(Protease; 단백질 분해효소)이다.
출국물 아밀라제 활성
(Amylase activity ; unit/g)
프로티아제 활성
(Protease activity ; unit/g)
실시예 1 미흑찰곡자 890 36
흑점찰곡자 1344 62
미백찰곡자 1249 92
옥수수 종류별 효소 역가를 측정한 결과(표 1), 아밀라제의 활성은 대체로 높았고, 프로티아제의 활성은 미백찰곡자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숙성기간별 이화학학적 품질변화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소맥분 곡자에 옥수수분말 덧밥을 첨가한 후 숙성시키는 과정과 비교예 2에서 옥수수분말 곡자를 숙성시키는 과정 동안 각각의 수분, 염분, 환원당 및 아미노태질소 함량과 pH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아미노태 질소는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분해되는 과정의 중간 물질로, 아미노태 질소의 함량으로 아미노산의 함량을 알 수 있다.

숙성기간
(week)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미흑찰 덧밥숙성물 및 미흑찰 숙성물
수분(%) 염분(%) pH 환원당(%) 아미노태질소(mg%)
실시예 1 0 45.2 10.0 5.5 8 110
1 46.4 9.9 5.4 13.7 189
2 44.9 10.3 5.2 21.68 259
3 46.7 10.0 5.1 20.29 273
비교예 2 0 43.0 10.4 5.8 6 60
1 43.7 10 5.7 14.13 98
2 44.2 10.2 5.4 16.13 126
3 45.8 10.4 5.4 15.05 126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흑점찰 덧밥숙성물 및 흑점찰 숙성물
실시예 1 0 42.5 10.2 5.4 10 115
1 44.0 10.2 5.2 18.51 259
2 46.8 10.3 5.2 20.29 287
3 46.2 10.3 5.1 19.68 322
비교예 2 0 42.2 9.9 5.6 5.43 63
1 45.3 9.9 5.3 8.89 101
2 44.7 10.2 5.2 8.46 84
3 46.0 10.5 5.2 10.1 115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미백찰 덧밥숙성물 및 미백찰 숙성물
실시예 1 0 44.5 10.2 5.8 9.8 112
1 44.7 10.2 5.6 19.22 273
2 46.6 10.2 5.4 20.29 308
3 48.2 10.2 5.3 19.45 336
비교예 2 0 41.8 10.7 5.3 6 60
1 41.8 10.1 5.2 12.88 91
2 43.2 10.4 5.2 17.21 98
3 45.7 10.9 5.1 15.74 112
숙성기간별 옥수수 덧밥 숙성물 및 옥수수 숙성물의 이화학적 품질 변화를 비교 측정한 결과(표 2), 실시예 1과 비교예 2의 종류별 옥수수 덧밥 숙성물 및 숙성물은 수분, 염분, pH에서는 크게 차이점이 나타나지 않으나, 환원당과 아미노태질소에서 확연한 차이를 나타냈다.
실시예 1의 옥수수 덧밥 숙성물 및 비교예 2의 옥수수 숙성물의 각각 옥수수 종류별로 환원당 및 아미노태 질소를 비교하여 보면, 실시예 1의 옥수수 덧밥 숙성물들은 비교예 2의 옥수수 숙성물들보다 숙성기간이 지날수록 환원당 및 아미노태 질소의 함량이 증가하여 함량의 차이가 점점 커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종균이 배양된 소맥분 곡자에 옥수수 덧밥을 첨가하는 것이 옥수수 분말에 종균을 직접 접종하는 것보다 고추장의 맛에 영향을 미치는 환원당 및 아미노산 함량이 높은 옥수수분 덧밥 숙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그로부터 본 발명은 맛이 좋은 고추장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숙성기간별 점도 변화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소맥분 곡자에 옥수수분말 덧밥을 첨가한 후 숙성시키는 과정, 비교예 1에서 소맥분 곡자에 소맥분 덧밥을 첨가한 후 숙성시키는 과정 및 비교예 2에서 옥수수분말 곡자를 숙성시키는 과정 동안 점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단위: x103 cps, nd: not detected
점도
숙성기간(week) 0 1 2 3
실시예 1 미흑찰 덧밥 숙성물 nd 140 110 60
흑점찰 덧밥 숙성물 nd 140 80 55
미백찰 덧밥 숙성물 nd 170 100 90
비교예 1 소맥분 덧밥 숙성물 nd nd nd 80
비교예 2 미흑찰 숙성물 - nd nd 130
흑점찰 숙성물 - nd nd 130
미백찰 숙성물 - nd nd 110
숙성기간별 점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표 3), 실시예 1은 숙성기간 1주 후에 점도가 나타난 반면, 비교예1 및 비교예 2는 3주 후에 점도가 나타났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은 일반적인 고추장 제조시 사용되는 소맥분 덧밥 숙성물보다 점도가 나타나는 시간이 빠르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데, 그로부터 고추장의 제조기간을 단축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고추장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옥수수분 덧밥 숙성물 4825g, 고추가루 500g, 고추가루 40 중량%, 양파 2 중량%, 소금 13 중량%, 마늘 13 중량%, 물 32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양념 1575g, 물엿 3100g을 혼합하고 숙성시켜 고추장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초고추장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옥수수분 덧밥 숙성물 4825g, 고추가루 500g, 고추가루 40 중량%, 양파 2 중량%, 소금 13 중량%, 마늘 13 중량%, 식초 32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양념 1575g, 물엿 3100g을 혼합하여 초고추장을 제조하였다.

Claims (3)

  1. 옥수수 분말에 물을 첨가한 후, 증자하고 식혀 옥수수분말 덧밥을 제조하는 단계;
    아스퍼질러스 오라이제(Aspergillus oryzae) 곰팡이를 소맥분에 피운 소맥분 곡자에 상기 단계의 옥수수분말 덧밥을 첨가하여 28~32℃의 온도로 20~25일 숙성시켜 옥수수분 덧밥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에서 제조된 옥수수분 덧밥 숙성물에 고추 분말 및 물엿을 첨가한 후, 숙성시키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고추장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된 옥수수분 덧밥 숙성물에 식초를 추가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장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옥수수는, 미백찰옥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장의 제조방법.
KR1020080133387A 2008-12-24 2008-12-24 옥수수 분말을 이용한 고추장 및 초고추장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990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387A KR100990161B1 (ko) 2008-12-24 2008-12-24 옥수수 분말을 이용한 고추장 및 초고추장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387A KR100990161B1 (ko) 2008-12-24 2008-12-24 옥수수 분말을 이용한 고추장 및 초고추장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846A KR20100074846A (ko) 2010-07-02
KR100990161B1 true KR100990161B1 (ko) 2010-10-29

Family

ID=42637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387A Expired - Fee Related KR100990161B1 (ko) 2008-12-24 2008-12-24 옥수수 분말을 이용한 고추장 및 초고추장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1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0442B1 (ko) 2009-11-05 2012-09-06 박명희 구절초와 옥수수를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KR101180444B1 (ko) 2009-11-05 2012-09-06 이기화 옥수수를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KR20220138156A (ko) 2021-04-05 2022-10-12 농업회사법인향유미가(주) 옥수수 고추장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0798B1 (ko) 2000-12-19 2003-12-18 손상수 분말 고추장의 제조방법
KR100437573B1 (ko) 2001-10-23 2004-06-30 김상수 옥수수 메주 및 된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0798B1 (ko) 2000-12-19 2003-12-18 손상수 분말 고추장의 제조방법
KR100437573B1 (ko) 2001-10-23 2004-06-30 김상수 옥수수 메주 및 된장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0442B1 (ko) 2009-11-05 2012-09-06 박명희 구절초와 옥수수를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KR101180444B1 (ko) 2009-11-05 2012-09-06 이기화 옥수수를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KR20220138156A (ko) 2021-04-05 2022-10-12 농업회사법인향유미가(주) 옥수수 고추장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846A (ko) 201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0161B1 (ko) 옥수수 분말을 이용한 고추장 및 초고추장의 제조방법
KR20120021352A (ko) 된장 및 간장의 제조 방법
KR20120001875A (ko) 참깨간장의 제조방법
KR102075754B1 (ko) 대두와 쌀의 혼합 제국에 의한 고추장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추장
KR101522607B1 (ko) 풍미가 향상된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101500809B1 (ko) 메주를 이용한 즙장의 제조방법
KR102115214B1 (ko) 통밀 발아 숙성물을 이용한 빵 또는 과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빵 또는 과자
KR20150109314A (ko) 저염 된장의 제조방법
KR100362250B1 (ko) 등겨장의 제조방법
KR101041019B1 (ko) 된장 발효물의 제조 방법
KR101843846B1 (ko) 저장성이 개선된 도라지 고추장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35097B1 (ko) 청고추를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고추장
KR101247637B1 (ko) 메줏가루와 옥수수 길금가루를 이용한 고추장 제조방법
KR102345420B1 (ko) 쌀누룩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39292B1 (ko) 쌀과 콩을 이용한 자연발효 곡물당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곡물당
KR102626295B1 (ko) 고추장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122588A (ko) 대두와 쌀의 혼합 제국에 의한 고추장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추장
KR101429824B1 (ko) 메밀된장의 제조방법
KR20180046089A (ko) 밀기울이 포함된 된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8725B1 (ko) 간편 조청 고추장의 제조방법
KR20210032943A (ko) 송고버섯을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KR101918090B1 (ko) 대두와 쌀의 혼합 제국에 의한 고추장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추장
JPH0614740A (ja) 発酵調味料用発酵処理物の製造法、及び発酵調味料の製造法
KR19990085273A (ko) 쌈장의 제법
KR100524516B1 (ko) 동충하초를 사용한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27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010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0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0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