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546B1 - 스위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546B1
KR100987546B1 KR1020080024840A KR20080024840A KR100987546B1 KR 100987546 B1 KR100987546 B1 KR 100987546B1 KR 1020080024840 A KR1020080024840 A KR 1020080024840A KR 20080024840 A KR20080024840 A KR 20080024840A KR 100987546 B1 KR100987546 B1 KR 100987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ase portion
switch
operation button
pivo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4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5735A (ko
Inventor
마사히토 나카우에
이치로 토요다
슈지 마츠우라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85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5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버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위치를 제공한다. 스위치(A)는 건축 자재에 부착되기 위한 하우징(10)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그 전면에 오목한 부분(55)을 구비한다. 오목한 부분(55) 안에는, 예를 들어, 타이머 설정을 위한 사용자조작가능 제어부(19a, 19b); 설정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설정정보디스플레이(59) 등이 설치되어 있다. 오목한 부분(55) 안에는, 조작버튼(B)이 배치되어 있다. 조작버튼(B)은 베이스부(30)와 커버(4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30)는 사용자조작가능 제어부(19a, 19b)와 설정정보디스플레이(8, 59)에 대향하는 부분들에 형성된 개구(33a ~ 33e)를 가지며, 하우징(10)에 설치된 제 1 피벗 지지대(61)에 의해 피벗가능하게 지지된다. 커버(40)는 개구를 노출하는 위치와 개구를 덮는 위치 사이에서, 베이스부(30) 전면에, 제 2 피벗 지지대를 사용하여 베이스부(30)에 피벗가능하게 부착된다. 스위치(A)는, 베이스부(30)가 제 1 피벗 지지대(61)에서 분리될 경우 베이스부(30)가 하우징(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73, 75)을 포함한다.
스위치, 타이머, 이탈방지, 조작버튼

Description

스위치{Switch}
본 발명은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스위치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스위치가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스위치는 조명 램프와 같이 매일 예정된 시간에 온/오프하기 위한 타이머 스위치(timer switch)이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공보 제 2002-323907호
타이머 스위치에 있어서, 타이머 설정을 위한 사용자조작가능 제어부(user- operable control)는 타이머 스위치 전면(前面)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타이머 스위치는, 사용자조작가능 제어부가 뜻하지 않게 접촉되거나 그와 비슷한 경우 타이머 설정이 쉽게 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는 설정된 시간을 제외하고 덮여지는 사용자조작가능 제어부를 갖는 타이머 스위치를 제안한다.
타이머 스위치는 하우징(housing)을 갖고 사용자조작가능 제어부는 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은 스위치부(switch element), 스위칭부(switching element) 및 제어회로(control circuit)를 수용한다. 스위치부는 조작자가 스위치부를 누를 때 스위치 입력을 발생시킨다. 스위칭부는 일련의 부하회로(circuit of load) 단자와 상용전원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그 부하회로에의 전원공급을 온/오프 한다. 제어회로는 스위칭부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에 따라 스위칭부의 온/오프를 역전(reverse)시키고 타이머의 시간설정이 있을 경우 스위칭부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또한, 조작버튼은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된다. 이 조작버튼은 눌러졌을 때 스위치부를 그 이면측(backside)으로 밀 수 있다. 조작버튼은 베이스부(base)와 커버(cover)를 포함함으로써 구성된다. 베이스부는 사용자조작가능 제어부에 대향하는 부분들에 형성된 개구(開口)를 갖고 하우징의 전면에 피벗(pivot)가능하게 지지 된다. 커버는 개구를 노출하는 위치와 개구를 덮는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베이스부 전면에 피벗가능하게 부착된다. 타이머 설정시 커버는 사용자조작가능 제어부가 의도되지 않게 조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닫혀진다.
그러나, 조작버튼은 강한 충격에 의해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고, 그렇게 되면 파손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버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형태는 건축 자재(construction material)의 벽면에 부착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스위치를 제공한다. 하우징의 전면에는, 오목한 부분이 있다. 오목한 부분에는, 조작버튼이 배치되어 있다. 조작버튼은 베이스부와 커버를 포함한 다. 베이스부는 하우징의 제 1 피벗 지지대(pivot support)로 지지된다. 커버는 개구가 노출하는 위치와 개구를 덮는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베이스부의 앞쪽에서 베이스부에 부착된다. 또한, 베이스부와 하우징 사이에는 베이스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fall-off preventing means)이 있다.
이탈방지수단은 하우징 안에 형성된 잠금구멍(locking hole)과, 잠금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고 선단(先端)에 돌기(claw)를 갖는 아암(arm)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버튼이 강한 충격을 받아 하우징으로부터 거의 이탈 되는 경우라도, 이탈방지수단은 조작버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방지수단이 잠금구멍과, 돌기를 갖는 아암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면, 이탈방지수단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스위치 안에 조작버튼의 커버가 완전히 열린 경우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선을 따라 잘라낸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Ⅴ-Ⅴ선을 따라 잘라낸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Ⅵ-Ⅵ선을 따라 잘라낸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커버가 스위치 본체에 부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b)는 커버가 본체에 부착된 후의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은 송신부커버(transmitting section cover)를 스위치 하우징에 부착하는 부착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스위치 하우징에 조작버튼이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스위치 하우징에 조작버튼이 장착되는 중간 상태의 사시도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본체의 잠금구멍에 조작버튼 상의 잠금돌기를 끼워 맞추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ⅩⅠ-ⅩⅠ선을 따라 잘라낸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ⅩⅡ-ⅩⅡ선을 따라 잘라낸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ⅩⅢ구역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ⅩⅥ-ⅩⅥ선을 따라 잘라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조작버튼을 누름으로써 하우징 상에 조작버튼을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 다. 도 16은 이면측에서 본 스위치 하우징의 본체 사시도이다. 도 17은 액정디스플레이부와 커넥터를 스위치 하우징의 본체에 더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고무스위치부재를 스위치 하우징의 본체에 더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위치(A)는 하우징(10), 브래킷(bracket)(71), 회로기판(17), 스위치부(SW1), 액정디스플레이(8), 고무스위치부재(19), 송신부커버(83) 및 조작버튼(B)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본체(11)와 이면측 커버(backside cover)(12)를 함께 끼워 맞춤으로써 형성된다. 브래킷(71)은 건축 자재의 벽면에 하우징(10)을 부착하기 위해 설치된다. 회로기판(17)은, 회로소자가 장착된 인쇄기판이다. 회로기판(17) 상에는 스위치부(SW1)와, 송신부(transmitting elements)로서 작용하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LD)가 장착되어 있다. 액정디스플레이(8)는 하우징(10)에 수용되며 하우징 (10)의 개구(21a)를 통해 보이도록 배치된다. 고무스위치부재(19)는 하우징(10) 안에 수용되며 사용자조작가능 제어부로서 키(19a ~ 19d)와 일체로 형성된다. 키(19a ~ 19d)는 하우징(10)의 개구(21c ~ 21f)(도 16 내지 도 18에서 참조)를 통해 각각 노출되고 회로기판(17) 위에 도시되지 않은 전도성 패턴(conductive pattern)과 함께 접점을 형성한다. 송신부커버(83)는 하우징(10)의 개구(81)을 통해 노출된 송신부(LD)를 덮기 위해 하우징(10)에 부착된다. 조작버튼(B)은 하우징(10)의 오목한 부분(55)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워 맞춰지고 하우징(10) 안쪽으로 스위치부(SW1)를 밀 수 있도록 눌러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A)의 하우징(1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본체(11)와 이면측 커버(12)를 서로 부착함으로써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본체(11)는 후면측에 개구를 갖는 상자 모양으로 형성된 합성수지 성형체이다. 또한, 이면측 커버(12)는 합성수지 성형체이며 본체(11)의 후면측에 있는 개구를 덮는다.
하우징(10)은 건축자재의 벽면에 핀, 나사 등(도 1 내지 도 3 참조)으로 고정된 브래킷(71)을 사용하여 건축 자재의 벽면에 부착된다.
본체(11)의 이면측에는, 배터리(BT)를 수용하기 위한 배터리수용부(11a)가 윗부분의 남는 공간의 좌/우측 모두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로기판(17)을 수용하기 위한 회로수용부(11b)는 배터리수용부(11a, 11a) 이외의 부분에 형성된다. 이 수용부(11a, 11b)는 구획벽(11c)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도 4 내지 도 7 참조).
이면측 커버(12)는 배터리수용부(11a, 11a) 이외의 다른 회로수용부(11b)만을 덮기 위해 평면방향으로 대략 T자 모양을 이룬다(도면 3 참조). 배터리 수용부(11a, 11a)은 브래킷에 의해 덮여진다.
이하, 상기 본체(11)에 이면측 커버(12)를 부착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 다. 도 7(a)와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구멍(54)은 둘레벽(11e)에 형성되며, 본체(11)의 구획벽(11c)과 돌기(53)는 이면측 커버의 주변에 형성되어 있다. 본체 (11)에 이면측 커버(12)를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장착구멍(54)과 장착돌기(53)가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본체(11)와 이면측 커버(12)는, 이면측 커버를 본체에 고정 한 상태에서 조립될 수 있다(본체(11)의 둘레벽(11e)에 있는 장착구멍은 도 7(a)와 도 7(b)에 도시되어있지 않다).
본체(11)와 이면측 커버(12)로 이루어진 하우징(1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된 배선 기판인 회로기판(17)을 수용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기판(17) 상에는 순간 누름 스위치로 이루어진 스위치부(SW1), 송신기로서의 송신부(예를 들어,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LD))와 같은 회로부품이 장착되어 있다. 전도성 패턴(도시하지 않음)은 회로기판(17)의 표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고무스위치부재(19)와 함께, 전도성 패턴은 사용자조작가능 제어부로서 작용하도록 접점을 형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와 이면측 커버(12)는 설정정보디스플레이로서의 액정디스플레이(8), 고무커넥터(14)와 고무스위치부재(19)가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부착된다. 고무커넥터(14)는 회로기판(17)에서 액정디스플레이(8)로 전원 공급이 되도록 회로기판(17)의 전도성 부분에 액정디스플레이(8)를 연결한다.
본체(11) 앞벽(11f)의 윗부분에는 송신부로서 발광 다이오드(LD)가 노출되는 개구(8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앞벽(11f)의 아랫부분에는, 오목한 부분(55)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버튼(B)은 오목한 부분(55)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송신부 커버(83)는 본체(11) 윗부분의 개구(81)를 통해 노출되는 다이오드 (LD)를 보호하기 위해 본체(11)의 앞벽(11f)에 부착되어 있다. 송신부 커버(83)는 원호(arc) 모양의 메인(main) 본체(83a)와 이 메인본체(83a)의 양단부으로부터 뒤쪽으로 돌출하는 아암들(83b, 83b)을 포함한다. 상기 아암들(83b, 83b)의 각각의 선단으로부터, 대응되는 아암과 대략 직각 방향으로 날개부(wing)(83c)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스토퍼(stopper)(83d)가 날개부(83c)의 하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본체(11)에는, 대향편(11m, 11n)의 쌍들이 구비되어 있다. 각각의 쌍은 그 사이에 날개부(83c)를 개재함으로써 날개부(83c)를 수용한다. 각 대향편(11n)의 연장 선상에는, 부착안내판(85)이 본체(11)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부착안내판(85)의 단부(端部)에는, 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스토퍼(85d)가 구비되어 있다.
송신부 커버(83)는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에 부착되어 있다. 먼저, 송신부 커버(83)의 각 아암(83b)은 본체 안의 대응되는 삽입구멍(87)에 삽입된다(도 8(a), 도 8(b)). 이어서, 송신부 커버(83)가 부착안내판 (85)과 날개부(83c)에 의해 안내되면서 미끄러진다(도 8(b), 도 8(c), 도 8(d)). 따라서, 스토퍼(83d)는 부착안내판(85)을 변형시키면서 스토퍼(85d)와 교차한다.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83d)가 스토퍼(85d)와 완전히 교차할 때, 부착안내판은 탄성적으로 복귀되고, 따라서, 각 스토퍼(83d)는 대응하는 스토퍼(85d)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이하여, 송신부 커버(83)는 그곳에 고정된 상태로 본체에 부착된다.
도 3과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스위치부재(19)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주요부(main part)(19e); 만곡된 U자 형상을 갖고 주요부(19e)의 위쪽 측면 방향으로부터 뻗은 연결부(19f); 연결부(19f)에 의해 주요부(19e)에 연결되고 정사각형 브래킷과 같은 모양의 지지부(19g)를 구비한다. 주요부(19e)의 전면 에는, 원주 모양의 키(column key)(19a 내지 19d)가 두 줄로 배열되어 있는데, 그 사이에 개재된 유연하고 얇은 부분들과 함께 주요부(19e)에 연결되어 있다.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의 오목한 부분(55)의 이면에는, 고무스위치부재(19)의 연결부(19f)를 유지하기 위한 U자 형상의 유지홈 (retention groove)(11g)과 고무스위치부재(19)의 지지대(19g) 선단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홈(11h)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액정디스플레이(8), 고무커넥터(14)와 고무스위치부재(19)는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 상에 유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액정디스플레이(8)는 본체(11) 앞 벽의 이면에 장착되어 있고(도 16 참조), 고무커넥터(14)는 액정디스플레이(8)의 이면(裏面)에 더 장착되어 있다(도 17 참조). 이러한 상태가 설치된 후 고무스위치부재(19)는 본체(11)의 이면에 액정디스플레이(8)와 고무커넥터(14)를 고정하기 위해 본체(11)의 이면과 액정디스플레이(8)의 이면에 장착된다. 따라서, 고무스위치부재(19)의 키(19a 내지 19d)는 각각 본체(11) 안의 개구(21c 내지 21f)에 삽입되어 고무스위치부재(19)의 연결부(19f)는 유지홈(11g)에 끼워 맞추어지며, 동시에 지지부(19g)의 선단은 본체(11) 상의 유지홈(11h)에 끼워 맞추어진다.
여기서, 고무스위치부재의 지지부(19g)가 액정디스플레이(8)의 이면과 접촉되므로, 액정디스플레이(8)는 본체(11)의 앞벽과 지지부(19g) 사이에 장착된다. 따라서, 액정디스플레이(8)는 진동 등에 의해 그 부착위치로부터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고무커넥터(14)는 고무스위치부재의 지지부(19g)와 본체의 리 브(rib)(11j) 사이에 지지됨으로써 확실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액정디스플레이(8)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스위치부(SW1) 및 고무스위치부재의 키(19a ~ 19d)는 각각 오목한 부분(55) 하단의 개구(21a ~ 21f)를 통해 본체의 전면(前面)(즉, 하우징(10)의 전면)에 노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액정디스플레이(8)의 스크린은 오목한 부분(55) 바닥면의 위쪽에 형성된 사각개구(21b)를 덮는 광학부재(optic member)(59)를 통해 볼 수 있다. 또한, 스위치부(SW1)는 개구(21a) 아래 중앙에 형성된 개구(21b)을 통해 노출되어 있다. 고무스위치부재(19)의 키(19a ~ 19d)는 개구(21a) 아래 각 줄당 두 개씩 좌/우측에 두 줄로 형성된 개구(21c ~ 21f)를 통해 각각 노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부(SW1)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버튼(B)은 오목한 부분(55)을 덮기 위해 하우징(10)의 오목한 부분(55)에 회전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또한, 본체(11)의 오목한 부분(55)의 상단부에는, 앞을 향해 돌출하는 볼록한 부분(57)이 형성되어 있다. 볼록한 부분(57)은 그 중심에 개구(21a)를 가져, 광학부재(59)는 그 개구(21a)에 끼워 맞추어진다. 광학부재(59)는 반투명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따라서, 하우징(10) 안에 수용된 액정디스플레이(8)는 광학부재(59)를 통해 보여질 수 있다.
조작버튼(B)은 베이스부(30)와 커버(4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조작버튼(B)의 베이스부(30)에는, 조작버튼(B)의 베이스부(30)를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피벗부착(樞着)하기 위해, 이면측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아암(31, 31)의 선단에 대략 원주 모양의 샤프트(31a, 31a)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한편, 본체(11)의 이면에는, 베이스부(30)의 아암(31, 31)의 샤프트(31a, 31a)를 축지지하는 제 1 피벗 지지대로서의 베어링 부분(61, 61)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11)에는, 베이스부(30)의 아암(31, 31)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아암(31, 31)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멍(11k, 11k)(도 14, 도 15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도 14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31, 31)이 삽입구멍(11k, 11k)에 삽입될 때, 샤프트(31a)는 삽입구멍(11k, 11k)의 주연부(周緣部)와 접촉하게 되므로, 양 아암(31, 31)은 삽입구멍(11k, 11k)에 삽입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마지막으로, 아암(31, 31)은 베어링 부분(61, 61)에 샤프트(31a)를 피벗가능하게 부착하도록 탄성적으로 복귀된다. 따라서, 아암은 하우징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조작버튼(B)의 베이스부(30) 이면에는, 하우징(10)의 전면에 노출된 스위치부(SW1)에 대향하는 부분에 도시하지 않은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버튼(B)의 베이스부(30)의 오른쪽 부분이 도 1에 화살표로 표시된 것처럼 눌러지면, 베이스부(30)는 회전 중심으로서 샤프트(31a) 주위로 회전하고, 그 결과 돌출부는 스위치부(SW1)를 누르게 된다. 따라서, 스위치부(SW1)는 켜지게 된다. 반면에, 조작버튼(B)의 베이스부(30)에 가해진 압력이 없어지면, 조작버튼의 베이스부(30)는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버튼의 베이스부(30)는 커버 (40)와 겹쳐지도록 형성된 얇은 부분(32)을 갖는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얇은 부분에는, 액정디스플레이(8)를 노출하기 위한 사각구멍(33a)이 이면측 커버(12)에 있는 개구(21a)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키 (19a ~ 19d)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33b ~ 33e)가 개구(21c ~ 21f)에 대응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도 9 참조).
상기 커버(40)는 조작버튼의 베이스부(30)에 피벗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버(40)는 액정디스플레이(8)와 고무스위치부재(19)의 키(19a ~ 19d)가 노출된 단면(즉, 얇은 부분(32))을 개폐가능하게 덮는다. 커버(40)는 얇은 부분(32)과 동일한 폭과 높이를 갖는다. 또한, 커버(40) 왼쪽 부분의 상단과 하단에는 아암(41)이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아암(41)의 각 선단에는 회전식 샤프트(41a)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부(30)와 커버(40)는 회전식의 샤프트(41a)가 베이스부(30)의 이면에 형성되어 있는 유지홈(37)에 삽입되는 상태로 조립된다(도 3, 도 6 및 도 10 참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30)의 유지홈(37)의 기단부(基端部)에는 대략 반원형의 오목한 면(37a)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 안의 오목한 부분 (55)으로부터 돌출하는 아암(39)의 선단에는, 대략 반원형의 오목한 면(39a)이 형성되어 있다(도 10 참조). 유지홈(37)의 반원형의 오목한 면(37a)(도 10 참조)과 반원형의 오목한 면(39a)(도 10 참조)은 커버(40)의 회전식 샤프트(41a)를 피벗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 2 피벗 지지대로서 베어링 구멍(37a, 39a)을 형성한다. 따라서, 커버(40)는, 개구(33a)와 개구(33b ~ 33e)를 노출하는 상태와 개구(33a)와 개구(33b ~ 33e)를 덮는 상태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게 베이스부(30)의 전면에 회 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도 3 참조).
상기 커버(40)의 이면에는, 아암(41)이 설치된 측과 다른 측에 영구자석이 부착되어 있다. 한편, 조작버튼의 베이스부(30)에는, 철 조각과 같은 자성체가 영구자석에 대향하는 부분 뒤에 매립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40)가 조작버튼의 베이스부(30)의 얇은 부분(32)과 포개지도록 닫혀질 때, 커버(40)는 영구자석과 자성체 사이의 인력에 의해 유지되는 상태로 된다.
여기서, 일례를 가정하면, 액정디스플레이(8)와 사용자 조작가능 제어부(20c ~ 20f)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되는 위치까지 커버(40)가 개방되는 상태에서, 커버(40)를 그 개방방향으로 더 누르는 과도한 힘이 가해진다. 이 조작은 받침점으로서 본체(11) 상에 오목한 부분(55)의 주연부에 인접하는 부분들을 이용함으로써 아암(41)이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베이스부(30)를 누르게 하도록 커버(40)의 아암(41)에 압력을 가한다. 본체(11) 안의 베어링 부분(61)으로 조작버튼(B)의 샤프트(31a, 31a)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력은 전술한 압력보다 약하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힘이 가해질 때, 베이스부(30)의 샤프트(31a, 31a)는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된다. 이것은, 과도한 힘이 조작버튼의 베이스부(30) 위의 커버(40)를 지지하기 위한 부분(즉, 아암(41a))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조작버튼의 베이스부(30)는 하우징(10)에 다시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조작버튼의 베이스부(30)를 유지하는 하우징(10)의 지지력은 조작버튼의 베이스부(30)가 통상적인 조작에 의해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수준 으로 설정됨을 주목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수단은, 조작버튼의 베이스부(30)의 샤프트(31a, 31a)가 하우징(10)의 베어링 부분(61)으로부터 분리될 경우 조작버튼의 베이스부(30)가 본체(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된 것이다. 이탈방지수단은 본체(11) 안에 형성된 잠금구멍 (73)과, 잠금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조작버튼의 베이스부(30)로부터 돌출하는 아암(74)의 선단에 장치된 돌기(75)를 포함함으로써 형성된다.
베이스부(30)의 샤프트(31a, 31a)가 하우징(10)의 베어링 부분(61)으로부터 분리된 경우에, 베이스부(30)의 프레임 부분(30a)이 오목한 부분(55)의 내부측면 (55c)과 볼록한 부분(57)의 외부측면(57c) 사이 공간에서 최대로 경사지더라도 (도 6(a) 및 도 6(b) 참조), 잠금구멍(73)에 돌기(75)는 반드시 걸린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로, 조작버튼(B)은 하우징(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주요 효과를 이하에 열거한다.
(1)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위치(A)는 하우징(10)과 조작버튼(B)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건축자재의 벽면에 부착된다. 조작버튼(B)은 하우징(10)의 전면에 형성된 오목한 부분(55)에 배치된다. 조작버튼은 하우징(10)에 설치된 스위치부(SW1)를 밀도록 눌러진다. 조작버튼(B)은 베이스부(30)와 커버(40)를 포함함으로써 구성된다. 베이스부(30)는 하우징(10)에 설치된 제 1 피벗 지지대(베어링 부분(61))에 의해 피벗가능하게 지지된다. 커버(40)는 베이스부(30) 전면을 노출하는 부분과 베이스부(30) 전면을 덮는 위치 사이에서 베이스부(30)의 앞쪽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제 2 피벗 지지대(37a 및 39a)를 사용함으로써 베이스부(30)에 피벗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스위치(A)는, 베이스부(30)가 하우징(10)의 제 1 피벗 지지대(베어링 부분(61))에서 떨어질 경우 하우징(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73, 75)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조작버튼(B)이 강한 충격을 받아 하우징(10)으로부터 거의 이탈되더라도 이탈방지수단(73, 75)은 조작버튼(B)의 이탈을 방지한다.
(2)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위치(A)에 있어서, 이탈방지수단은 잠금구멍(73)과 돌기(75)를 갖는 아암(74)을 포함함으로써 구성된다. 잠금구멍은 하우징 (10) 안에 형성된다. 각 돌기(75)는 잠금구멍과 대응하여 베이스부(30)로부터 돌출하는 아암(74)의 선단의 위치에 형성된다. 각 돌기(75)는 대응되는 잠금구멍(73)의 주연부(73c)와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탈방지수단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3)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위치(A)에 있어서 개구(33a)는 베이스부 (30)에 형성되고 하우징(10)은 개구(33a)의 형상과 대략 같은 형상을 갖는 볼록한 부분(57)을 구비한다. 볼록한 부분은 하우징(10)의 오목한 부분(55)으로부터 개구 (33a)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오목한 부분(55)의 내부 측면과 볼록한 부분(57)의 외부 측면 사이 공간에서 베이스부(30)의 개구(33a) 주위에 프레임 부분(30a)이 경사질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각 돌기(75)는 대응하는 잠금구멍(73)에 걸리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간단한 구조로, 조작버튼(B)은 하우징(10)으로부터 이탈 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4)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스위치(A)에 있어서, 베이스부(30)는 한 쌍의 아암(31)을 포함함으로써 구성된다. 한 쌍의 아암(31)은 베이스부(30)의 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샤프트(31a)는 하우징(10)의 제 1 피벗 지지대(베어링 부분(61))에 피벗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아암(31)의 선단에 원주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 내에는, 베이스부(30)의 한 쌍의 아암(31)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멍(11k)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피벗 지지대로서의 원호 형상의 오목한 베어링 부분(61)은 삽입구멍(11k) 주위의 이면에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30)의 한 쌍의 아암(31)이 삽입구멍(11k) 밖으로부터 삽입구멍(11k) 안으로 삽입될 때, 아암(31) 선단의 샤프트(31a)는 삽입구멍(11k)의 주연부와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접촉이 아암(31)을 변형시킬 때, 아암(31) 선단의 샤프트(31a)는 삽입구멍(11k)의 주연부를 가로질러 제 1 피벗 지지대로서의 오목한 베어링 부분(61)과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양쪽 아암(31)이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아암(31)이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를 쉽게 조립할 수 있다.
(5)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위치(A)에 있어서, 각 제 2 피벗 지지대는 베이스부(30)에 형성된 원호 형상의 오목한 면(37a)과 하우징(10) 안에 형성된 원호 형상의 오목한 면(39a)을 결합함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40)의 샤프트(41a)는 제 2 피벗 지지대로서 역할하는 베어링 구멍(39a, 37a)에 의해 피벗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구조는, 베어링 구멍이 커버(40)의 샤프트(41a)를 피벗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이스부(30)에 형성된 구조와 비교해 베이스부(30)의 성형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된 제 1 변경예에서처럼, 본 발명은 송신부(LD)를 포함하지 않은 스위치(A1)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9에서, 참조숫자 91은 건축 자재의 벽면에 스위치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프레임(attachment frame)을 가리키고, 참조숫자 93은 틈(gap)을 메꾸기 위한 블랭크 칩(blank chip)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도 20과 도 21에 도시된 제 2 변경예에서처럼, 본 발명은 조작버튼(B)이외 조작버튼(C)을 더 포함하는 스위치(A2)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2 내지 도 24에서 도시된 제 3 변경예에서처럼, 하우징(10) 상에 조작버튼(B)을 피벗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구조는, 조작버튼(B)이 피벗(95) 상에 피벗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이다. 피벗(95)은 하우징(10) 안에 형성되며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또한, 도 25 내지 도 27에 도시된 제 4 변경예에서처럼, 사용자조작가능 제어부와 표시부가 노출되는 본 실시형태의 구조와 달리, 조작버튼(B)의 커버(40)가 열린 경우 플러그 소켓과 같은 배선 부속품은 조작버튼(B)의 베이스부(30)로부터 노출되는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여러가지의 다른 실시형태로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스위치에서의 조작버튼의 커버가 완전히 열린 경우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선을 따라 잘라낸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면 1의 Ⅴ-Ⅴ선을 따라 잘라낸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Ⅵ-Ⅵ선을 따라 잘라낸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커버가 스위치 본체에 부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b)는 커버가 본체에 부착된 후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송신부커버를 스위치 하우징에 부착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스위치 하우징에 조작버튼이 장착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스위치 하우징에 조작버튼이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스위치 하우징에 조작버튼이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스위치 하우징에 조작버튼이 장착되는 중간 상태의 도면이며, 구체적으로는 본체의 잠금구멍에 조작버튼 상의 잠금 돌기를 끼워 맞추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ⅩⅠ-ⅩⅠ선을 따라 잘라낸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ⅩⅡ-ⅩⅡ선을 따라 잘라낸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ⅩⅢ구역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ⅩⅥ-ⅩⅥ선을 따라 잘라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0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조작버튼을 누름으로써 하우징 상에 조작버튼을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스위치 하우징의 본체의 후면도이다.
도 17은 액정 디스플레이과 커넥터를 도 16에서 도시된 본체 상에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고무스위치부재를 도 17에서 도시된 본체 상에 더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스위치의 제 1 변경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스위치의 제 2 변경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1은 제 2 변경예의 스위치 커버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스위치의 제 3 변경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는 제 3 변경예의 스위치 커버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제 3 변경예의 스위치 조작버튼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스위치의 제 4 변경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다.
도 26은 제 4 변경예의 스위치 커버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7은 제 4 변경예의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스위치
8 : 액정디스플레이
10 : 하우징
11 : 본체
12 : 이면측 커버
19a ~ 19d : 키(사용자 조작가능 제어부)
30 : 베이스부
30a : 프레임 부분
33a ~ 33e : 개구
37a : 오목한 면(제 2 피벗 지지대)
39a : 오목한 면(제 2 피벗 지지대)
40 : 커버
55 : 볼록한 부분
55c : 오목한 부분의 내부 면
57 : 볼록한 부분의 내부 면
59 : 광학부재(설정 정보 표시)
61 : 베어링 부분(제 1 피벗 지지대)
73 : 잠금구멍
74 : 아암(이탈방지수단)
75 : 돌기
B : 조작버튼
SW1 : 스위치부

Claims (5)

  1. 건축 자재의 벽면에 부착하기 위한 하우징(housing)으로서, 오목한 부분을 갖는 전면(前面)과 제 1 피벗 지지대(pivot support)로 형성되고 내부에 스위치부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스위치부를 눌러 밀어지도록, 상기 하우징 전면의 오목한 부분 안에 배치되어 그 오목한 부분 안에서 피벗가능하게 제 1 피벗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며, 제 2 피벗 지지대에 의해 서로 피벗가능하게 부착된 베이스부(base)와 커버(cover)를 포함하는 조작버튼으로서, 상기 베이스부가 제 1 피벗 지지대에 의해 하우징에 피벗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커버가 베이스부 전면을 노출하는 위치와 베이스부 전면을 덮는 위치 사이에서, 베이스부의 앞쪽에서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조작버튼;과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하우징의 제 1 피벗 지지대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fall-off preventing mean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하우징 안에 형성된 잠금구멍(locking hole);과 잠금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베이스부로부터 돌출하고 선단(先端)에 돌기(claw)가 형성된 아암(arm);을 포함하며, 상기 돌기는 잠금구멍의 주연부(周緣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오목한 부분의 바닥면으로부터 베이스부의 개구 안쪽으로 돌출하고 상기 개구의 형상과 같은 형상을 갖는 볼록한 부분이 형성되어 있 고,
    상기 돌기는, 베이스부의 개구 주변의 프레임부(frame portion)가 상기 하우징의 오목한 부분의 내부 측면과 볼록한 부분의 외부 측면 사이 공간에서 경사질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기 잠금구멍에 걸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는, 베이스부의 이면(裏面)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아암과, 상기 하우징의 제 1 피벗 지지대에 의해 피벗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아암 선단에 원주 모양으로 형성된 샤프트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이 베이스부의 한 쌍의 아암에 넣기 위해 한 쌍의 삽입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피벗 지지대는 상기 삽입구멍의 주위의 이면측에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한 쌍의 아암이 삽입구멍의 바깥쪽으로부터 삽입구멍 안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아암 선단의 샤프트는 아암이 변형되면서 삽입구멍의 주연부를 가로질러 제 1 피벗 지지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피벗 지지대는 상기 하우징 안에 형성된 반원형의 오목한 면과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된 반원형의 오목한 면을 결합함으로써 형성된 베어링 구멍의 역할을 하며,
    상기 베어링 구멍이 상기 커버 상에 형성된 샤프트를 피벗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KR1020080024840A 2007-03-20 2008-03-18 스위치 KR1009875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73720 2007-03-20
JPJP-P-2007-00073720 2007-03-20
JP2007141074A JP4888230B2 (ja) 2007-03-20 2007-05-28 スイッチ
JPJP-P-2007-00141074 2007-05-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735A KR20080085735A (ko) 2008-09-24
KR100987546B1 true KR100987546B1 (ko) 2010-10-12

Family

ID=39985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4840A KR100987546B1 (ko) 2007-03-20 2008-03-18 스위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888230B2 (ko)
KR (1) KR100987546B1 (ko)
CN (1) CN101271790B (ko)
TW (1) TWI3668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40127B2 (ja) * 2015-03-18 2019-07-10 三菱電機株式会社 壁スイッチ装置
CN106373804B (zh) * 2016-10-17 2018-07-06 西安科技大学 一种隐藏式矿用单体开关
JPWO2022181217A1 (ko) * 2021-02-25 2022-09-01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5884A (ja) 2001-02-19 2002-08-30 Murata Mach Ltd スイッチカバー
JP2004348985A (ja) 2003-05-20 2004-12-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カバー付きスイッチ構造
JP2006019096A (ja) * 2004-06-30 2006-01-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スイッチ
JP2006304235A (ja) 2005-04-25 2006-11-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操作スイッチ配線器具及びそれに用いるハンドル部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7120U (ko) * 1987-04-01 1988-10-14
JP3098852B2 (ja) * 1992-05-26 2000-10-16 松下電工株式会社 接点切換表示機能付ピアノスイッチ
JPH1064357A (ja) * 1996-08-19 1998-03-06 Zexel Corp スイッチパネルのノブ構造
CN2381007Y (zh) * 1999-04-26 2000-05-31 金峄机电股份有限公司 具定时功能的电灯开关
CN2708321Y (zh) * 2004-07-17 2005-07-06 重庆创文电子有限责任公司 防强电磁干扰的多用户电表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5884A (ja) 2001-02-19 2002-08-30 Murata Mach Ltd スイッチカバー
JP2004348985A (ja) 2003-05-20 2004-12-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カバー付きスイッチ構造
JP2006019096A (ja) * 2004-06-30 2006-01-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スイッチ
JP2006304235A (ja) 2005-04-25 2006-11-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操作スイッチ配線器具及びそれに用いるハンドル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735A (ko) 2008-09-24
JP2008262888A (ja) 2008-10-30
TW200903551A (en) 2009-01-16
TWI366853B (en) 2012-06-21
CN101271790B (zh) 2011-05-04
CN101271790A (zh) 2008-09-24
JP4888230B2 (ja) 2012-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65564T3 (es) Aparato de manejo de ropa con botón para conjunto de panel de control.
US20060025084A1 (en) Setting apparatus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JP6634295B2 (ja) スイッチ装置
KR100987546B1 (ko) 스위치
JP5723552B2 (ja) 遊技操作装置
JP5127410B2 (ja) 遊技機
JP2004187491A (ja) 配線器具
JP2007050038A (ja) リールユニット及び遊技機
JP2002177598A (ja) 遊技機
JP4348478B2 (ja) 遊技機
JP5284941B2 (ja) 電子部品の防滴構造
KR20050122506A (ko) 버튼 가이드 어셈블리
JP2004221078A (ja) Ledインジケータ付き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2002066002A (ja) 弾球遊技機
JP6057851B2 (ja) 扇風機
JPH10272237A (ja) 弾球遊技機における基板取付構造
KR100992425B1 (ko) 오동작 방지구조를 갖는 휠리모컨 스위치
JP4114680B2 (ja) リモコンシステム
US20230393604A1 (en) Butt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4383925B2 (ja) 遊技機用表示ユニット
KR20030092190A (ko) 드럼세탁기용 발광다이오드 가이드의 마운팅 구조
KR100458445B1 (ko) 영상표시기기의 겸용 버튼구조
KR20020042237A (ko) 드럼세탁기용 루버타입 콘트롤러부 구조
JP4393248B2 (ja) 携帯機器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トラックボール
JP4668880B2 (ja) 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