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6564B1 - power train of an hybrid electric vehicle and manipul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ower train of an hybrid electric vehicle and manipul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86564B1 KR100986564B1 KR1020090007289A KR20090007289A KR100986564B1 KR 100986564 B1 KR100986564 B1 KR 100986564B1 KR 1020090007289 A KR1020090007289 A KR 1020090007289A KR 20090007289 A KR20090007289 A KR 20090007289A KR 100986564 B1 KR100986564 B1 KR 1009865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utch
- sun gear
- motor
- gear
- ring gea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38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96 two-hybrid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50—Architecture of the driveline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r kind of transmission un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38—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driveline clutch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용 듀얼모드 파워트레인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개의 클러치를 사용하여 차속에 따라 MG2를 출력축 또는 제2링기어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MG1의 회전속도가 정방향인 경우(MG1이 제너레이터역할을 수행함)에는 MG2를 출력축에 결합하여 모터로 엔진 동력을 보조하고, MG1의 회전속도가 역방향인 경우(MG1이 모터역할을 수행함)에는 MG2를 출력축에서 분리하여 제2링기어에 결합함으로써, 출력축에 전달되는 동력의 감소를 방지하여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듀얼모드 파워트레인 및 그 작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mode powertrain for hybrid vehicle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hybrid vehicle. More specifically, the MG2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output shaft or the second ring gear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by using two clutches,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MG1 is in the forward direction. (MG1 plays a generator role), MG2 is coupled to the output shaft to assist engine power with the motor, and if the rotation speed of MG1 is reverse (MG1 plays the motor role), the MG2 is separated from the output shaf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al mode power train for a hybrid vehicl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ich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system by preventing the reduction of power transmitted to the output shaft by coupling to the ring gear.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모터-제너레이터에 연결된 제1선기어와, 엔진에 연결된 제1링기어와, 구동륜에 연결된 캐리어와, 제2선기어 및 제2링기어를 구비한 유성기어셋트; 상기 제2선기어를 고정된 상태 및 회전가능한 상태로 전환하도록 설치된 브레이크; 상기 제1선기어와 제2선기어 사이를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제1클러치; 제2모터-제너레이터와 출력축 사이를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제2클러치; 및 상기 제2링기어와 제2모터-제너레이터 사이를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제3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듀얼모드 파워트레인에 의해 달성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netary gear set including a first sun gear connected to a first motor-generator, a first ring gear connected to an engine, a carrier connected to a driving wheel, a second sun gear and a second ring gear; A brake installed to convert the second sun gear into a fixed state and a rotatable state; A first clutch installed to engage and separate between the first sun gear and the second sun gear; A second clutch provided to be coupled and detachable between the second motor-generator and the output shaft; And a third clutch provided to engage and disengage between the second ring gear and the second motor-generator.
유성기어, 링기어, 캐리어, 선기어, 듀얼모드, 파워트레인, 모터-제너레이터, 클러치, 브레이크 Planetary Gear, Ring Gear, Carrier, Sun Gear, Dual Mode, Power Train, Motor-Generator, Clutch, Brake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용 듀얼모드 파워트레인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성기어와 모터 2개를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무단변속기역할을 수행하고, 클러치를 추가하여 모터에 과다한 속도나 토크 및 출력이 요구되는 상황에서는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자동변속기의 고정변속비로 주행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듀얼모드 파워트레인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mode powertrain for hybrid vehicle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hybrid vehicl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ly operated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ing a planetary gear and two motors, and adds a clutch to excessive motor spe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mode power train for a hybrid vehicl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ich can be driven at a fixed speed ratio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without using a motor when torque and output are required.
일반적으로 자동변속기의 파워트레인은 주행 조건에 따라 적절한 회전력을 얻기 위해 유압 등을 이용하여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다단으로 변속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the powertrain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is a device for shifting the power generated by the engine in multiple stages using hydraulic pressure, etc. in order to obtain a proper torque according to the driving conditions.
상기 자동변속기의 파워트레인은 엔진의 동력을 입력받아 적절한 회전력으로 가변시켜 출력하는 유성기어세트와, 상기 유성기어세트의 각 회전요소를 고정 또는 회전 저지하거나 엔진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게 하는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 등의 체결요소로 구성된다.The powertrain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includes a planetary gear set that receives the power of the engine and changes the output to an appropriate rotational force, and a clutch or brake that fixes or rotates the rotational elements of the planetary gear set or rotates by the power of the engine. It consists of fastening elements such as.
이러한 자동변속기의 파워 트레인은 4속이나 5속을 구현하는 장치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최근에는 6속은 물론 7속 구현이 가능한 장치가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The power train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is the mainstream of the device that implements the 4th or 5th speed, but recently, a device capable of implementing the 6th speed as well as the 7th speed has been actively developed.
한편, 기존의 하이브리드 차량용 변속기는 두 개의 모터-제너레이터(Motor-Generator)(이하, MG1,MG2라 함)와, 엔진을 유성기어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MG1과 MG2를 제어하여 무단 변속을 가능케 하는 시스템이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hybrid vehicle transmission is a system that controls the MG1 and MG2 by allowing two-speed motor-genera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MG1, MG2) and the engine to the planetary gear to control the MG1 and MG2. .
그 대표적인 예로는 도요타사의 프리우스를 들 수 있는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기의 유성기어에 선기어 축에는 MG1, 캐리어 축에는 엔진, 링기어 축에는 MG2를 연결한다. 또한, 링기어 축에서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차량의 구동축까지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구성한다.A typical example is Toyota Prius. As shown in FIG. 1, MG1 is connected to a sun gear shaft, an engine is connected to a carrier shaft, and MG2 is connected to a ring gear shaft. In addition, it is configured to transmit power from the ring gear shaft to the drive shaft of the vehicle via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상기 MG1은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여 연속적으로 변속비를 조절하고, MG2는 엔진의 동력을 보조하거나 회생제동시 운동에너지를 회수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별도의 클러치 없이 부드러운 엔진의 온/오프 제어가 가능하고 마찰 브레이크를 최소화하여 회생제동효율을 높일 수 있다. The MG1 continuously adjusts the speed ratio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motor, and the MG2 assists engine power or recovers kinetic energy during regenerative braking, thereby enabling smooth on / off control of the engine without a separate clutch. And the regenerative brak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minimizing the friction brake.
그러나, 상기 도요타사의 프리우스에서 사용되는 방식은 차속이 올라가면 도 4에 도시한 레버선도에 의해 MG1의 속도가 (+)에서 (-)로 역전되면서 에너지 재순환이 발생하고 에너지 순환량이 많아질 수록 시스템의 효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method used in the Toyota Prius, as the vehicle speed increases, the speed of the MG1 is reversed from (+) to (-) by the lever diagram shown in FIG. 4, and energy recycling occurs and the amount of energy circulation increas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is sharply lowered.
도 2 및 도 3은 도요타사의 프리우스에서 차속에 따른 동력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도 2는 저속시 MG1과 MG2의 일반적인 동력의 흐름을 보여주고, 도 3은 고속에서 MG1과 MG2의 동력의 흐름이 역전되는 모습을 보여준다.2 and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flow of power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in the Prius of Toyota, Figure 2 shows the general power flow of MG1 and MG2 at low speed, Figure 3 is the flow of power of MG1 and MG2 at high speed This shows the reverse.
상기와 같은 구조의 파워트레인에서 유성기어세트는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엔진의 동력을 분기시켜 엔진 동력의 일부를 캐리어와 링기어를 통해 출력축으로 전달하고, 엔진 동력의 다른 일부를 선기어를 통해 MG1으로 전달한다.In the above-described power train structure, the planetary gear set receives power from the engine and branches the power of the engine to transfer a part of the engine power to the output shaft through the carrier and the ring gear, and transfers the other part of the engine power through the sun gear. To pass.
여기서, MG1은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를 전기에너지로 발전시키고, 또한 전기적으로 연결된 MG2에 발전에너지를 공급한다. 그리고, MG2는 출력축에 연결되어 엔진의 동력을 보충 및 회생제동시 에너지를 충전한다. 이와같이 MG1이 제너레이터 역할을 수행하고 MG2가 모터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Here, the MG1 receives power from the engine and generates it as electric energy, and also supplies power generation energy to the electrically connected MG2. In addition, the MG2 is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to replenish power of the engine and charge energy during regenerative braking. As such, it is common for MG1 to act as a generator and MG2 to act as a motor.
그러나, 도 4의 레버선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엔진의 속도가 일정하다고 할 때 출력축의 속도(차속)가 올라갈수록 MG1의 속도는 (+)→0→(-)로 변한다. 즉, 차속이 증가하면서 어느 순간이 MG1의 속도가 (+)에서 0이 되는 순간이 발생하고, 차속이 더 증가하면 MG1의 속도가 (-)로 되어 MG1의 회전방향(속도방향)이 반대가 된다.However, as shown in the lever diagram of FIG. 4, when the speed of the engine is constant, the speed of the MG1 changes from (+) → 0 → (−) as the speed (vehicle speed) of the output shaft increases. That is,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ncreases, the moment occurs when the speed of MG1 becomes zero from (+). If the speed of the vehicle increases further, the speed of MG1 becomes (-) and the rotation direction (speed direction) of MG1 is reversed. do.
이와 같이 MG1의 회전속도가 역전되는 현상이 발생하면 제너레이터 역할을 하는 MG1이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역할을 수행하여 유성기어세트에 전달하고, MG2는 출력축에 연결된 MG2가 출력축으로부터 에너지를 일부 흡수하여 MG1로 전달함으로 에너지 재순환 현상이 발생한다. As such, when the rotation speed of MG1 is reversed, MG1 acting as a generator acts as a motor to generate power and transmits it to the planetary gear set, and MG2 absorbs some energy from the output shaft by MG2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Energy recirculation occurs.
이와 같이, 일정 차속 이상에서 MG1의 속도가 (-)로 되는 시간이 오래 지속 되면 MG1→선기어→캐리어→링기어→MG2→MG1의 에너지 재순환이 계속적으로 발생한다. 즉, 상기 MG1은 MG2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전달받아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하고, MG2가 출력축으로 전달되는 기계적인 에너지의 일부를 흡수하여 전기적에너지로 변환함으로써, MG2가 출력축으로 전달되는 기계적인 에너지를 일부 빼앗아 갈 뿐만 아니라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바꾸는 과정에서 변환효율이 저하되므로 전체 시스템 효율이 급격히 낮아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f the time at which the speed of MG1 becomes negative at a constant vehicle speed or longer continues, energy recycling of MG1 → sun gear → carrier → ring gear → MG2 → MG1 continuously occurs. That is, the MG1 receives electrical energy from MG2 and converts it into mechanical energy, and absorbs some of the mechanical energy delivered to the output shaft and converts it into electrical energy, thereby partially converting the mechanical energy delivered to the output shaft. Not only does it take away, but the conversion efficiency is lowered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mechan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nd the overall system efficiency is drastically lowe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두개의 클러치를 사용하여 차속에 따라 MG2를 출력축 또는 제2링기어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MG1의 회전속도가 정방향인 경우(MG1이 제너레이터역할을 수행함)에는 MG2를 출력축에 결합하여 모터로 엔진 동력을 보조하고, MG1의 회전속도가 역방향인 경우(MG1이 모터역할을 수행함)에는 MG2를 출력축에서 분리하여 제2링기어에 결합함으로써, 출력축을 통해 전달되는 동력의 감소를 방지하여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듀얼모드 파워트레인 및 그 작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when two clutches are used to selectively couple the MG2 to the output shaft or the second ring gear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MG1 is in the forward direction (MG1 acts as a generator). MG2 is coupled to the output shaft to assist the engine power with the motor, and when the rotational speed of MG1 is reverse (MG1 plays the role of the motor), the MG2 is separated from the output shaft and coupled to the second ring gea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al mode powertrain for hybrid vehicle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ich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system by preventing the reduction of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system.
상기한 목적은 하이브리드 차량용 듀얼모드 파워트레인에 있어서,The above object is to provide a dual-mode powertrain for a hybrid vehicle,
제1모터-제너레이터에 연결된 제1선기어와, 엔진에 연결된 제1링기어와, 구동륜에 연결된 캐리어와, 제2선기어 및 제2링기어를 구비한 유성기어셋트; 상기 제2선기어를 고정된 상태 및 회전가능한 상태로 전환하도록 설치된 브레이크; 상기 제1선기어와 제2선기어 사이를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제1클러치; 제2모터-제너레이터와 출력축 사이를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제2클러치; 및 상기 제2링기어와 제2모터-제너레이터 사이를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제3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듀얼모드 파워트레인에 의해 달성된다.A planetary gear set including a first sun gear connected to the first motor-generator, a first ring gear connected to the engine, a carrier connected to the drive wheel, a second sun gear and a second ring gear; A brake installed to convert the second sun gear into a fixed state and a rotatable state; A first clutch installed to engage and separate between the first sun gear and the second sun gear; A second clutch provided to be coupled and detachable between the second motor-generator and the output shaft; And a third clutch provided to engage and disengage between the second ring gear and the second motor-generator.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레이크는 변속기케이스와 상기 유성기어셋트의 제2선기어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brake is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between the transmission case and the second sun gear of the planetary gear set.
상기 유성기어셋트는 복수의 계단형 피니언을 포함하고, 상기 계단형 피니언은 각각 제1선기어 및 제1링기어에 치합된 대직경부 피니언과, 제2선기어 및 제2링기어에 치합된 소직경부 피니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anetary gear set includes a plurality of stepped pinions, the stepped pinions each having a large diameter pinion engaged with the first sun gear and the first ring gear, and a small diameter pinion engaged with the second sun gear and the second ring gea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하이브리드 차량용 듀얼모드 파워트레인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ntrolling a dual mode powertrain for a hybrid vehicle,
듀얼모드로서 제1모터-제너레이터의 속도가 0이 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변속비가 높은 영역에서는 상기 제2클러치를 결합시키고 제3클러치를 분리시키며(입력분기모드), 변속비가 낮은 영역에서는 제2클러치를 분리시키고 제3클러치를 결합시키는 것(통합분기모드)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듀얼모드 파워트레인의 작동방법에 의해 달성된다.In the dual mode, the second clutch is coupled and the third clutch is separated in the region where the speed ratio is high based on the time when the speed of the first motor-generator becomes zero (input branch mode), and the second clutch is in the region where the transmission ratio is low. Is achieved by a method of operating a dual mode powertrain for a hybrid vehicle, characterized by separating and coupling the third clutch (integrated branching mode).
바람직하게는, EV모드로서 상기 제2클러치를 결합시키고 나머지 브레이크, 제1 및 제3클러치를 분리시키며, 상기 엔진을 정지시키고 제1 및 제2모터-제너레이터를 사용하여 주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econd clutch is engaged as an EV mode, and the remaining brakes, first and third clutches are disconnected, the engine is stopped, and the first and second motor-generators are used for driving.
1단 모드로서, 상기 브레이크를 결합시키고 나머지 제1 내지 제3클러치를 분리시키며, 상기 제2선기어를 고정시켜 고정단 변속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irst stage mode, the brake is coupled, the remaining first to third clutches are separated, and the second sun gear is fixed to implement a fixed stage speed ratio.
2단 모드로서, 상기 제1클러치를 결합시키고 나머지 브레이크, 제2 및 제3클러치를 분리시키며, 상기 제1선기어와 제2선기어를 연결하여 고정단 변속비를 구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two-stage mode, the first clutch is coupled, the remaining brakes, the second and third clutches are separated, and the first sun gear and the second sun gear are connected to implement a fixed stage speed ratio.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듀얼모드 파워트레인 및 그 작동방법에 의하면, 계단형 피니언 유성기어 셋트와, 클러치 3개, 브레이크 1개만을 이용하여 듀얼모드 및 유단 변속비를 구현함으로써 타사의 구조에 의해 공간 확보 및 원가 절감이 가능하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dual-mode powertrain for hybrid veh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 dual-mode and stepped transmission ratio is realized by using a stepped pinion planetary gear set, three clutches, and one brake. Space can be saved and cost can be reduced.
또한, 연속적인 변속비 구현이 가능한 두개의 모드를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연비 및 동력 성능에서 우수한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excellent performance in fuel economy and power performance by selecting and using two modes that can realize continuous speed ratio.
또한, 모터의 속도나 토크가 과다하게 높아지거나 동력 순환이 일어나 시스템 효율이 나빠질 경우에는 유단변속비를 사용하여 주행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모터에 요구되는 성능을 낮출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peed or torque of the motor is excessively increased or the power cycle occurs and the system efficiency is deteriorated, it is possible to drive using the step speed ratio so that the system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nd the performance required by the motor can be lower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듀얼모드 파워트레인 구조도이다.5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dual mode power train for a hybrid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용 듀얼모드 파워트레인 및 그 작동방법에 있어서, 차량 주행시 제1모터-제너레이터(11)(이하,"MG1"이라고 함)가 (+)에서 (-)로 바뀌는 시점에 제2모터-제너레이터(12)(이하, "MG2"이라고 함)를 클러치로 출력 축(19)에서 분리하여 제2링기어(18)에 붙임으로써, 출력축(19)으로 전달되는 동력을 MG2(12)가 흡수하지 못하게 하여 출력축으로 전달되는 동력의 감소를 방지하고 시스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듀얼모드 파워트레인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mode powertrain for a hybrid vehicl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erein the second motor at the time when the first motor-generator 11 (hereinafter referred to as "MG1") is changed from (+) to (-) when the vehicle is running. -The generator 12 (hereinafter referred to as " MG2 ") is separated from the
또한, 본 발명은 MG1(11) 및 MG2(12)가 고장나서 사용할 수 없는 경우 클러치를 사용하여 자동변속기와 같이 유단 변속비를 구현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듀얼모드 파워트레인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mode power train for a hybrid vehicl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ich can realize a step speed ratio such as an automatic transmission by using a clutch when the MG1 (11) and the MG2 (12) are broken and cannot be used.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차량용 무단변속기는 유성기어셋트(13), 모터-제너레이터 2개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변속비 구현이 가능하고(대표적인 예, 도요타사 프리우스), 최근에는 고속시 상기 도요타사 프리우스의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저속과 고속에서 각각 효율이 높은 두가지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조합하여 주행 상황에 따라 두개의 모드 중 우수한 모드를 사용하는 듀얼 모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즉, 일반적인 주행상황에서는 모터를 사용하여 연속적인 변속비를 구현하는 듀얼 모드 시스템으로 작동하다가 모터에 과다한 속도나 토크, 출력이 요구되는 상황에서는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자동변속기의 고정변속비로 주행하는 구조이다.In general,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or a hybrid vehicle can be realized by using a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듀얼모드 파워트레인의 구성은 엔진(10), MG1(11), MG2(12), 계단형 피니언 유성기어 1셋트, 체결요소(클러치, 브레이크(B))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configuration of the dual mode powertrain for a hybri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엔진(10)은 후술할 제1링기어(14)와 연결되고, MG1(11)은 후술할 제1선기 어(16)와 연결되고, 속도를 조절하여 연속적인 변속비를 구현하며, 일반적인 주행상황에서는 제너레이터 역할을 수행하나, 일정한 속도(고속)이상 에서는 모터로 작용할 수 있다.The
MG2(12)는 후술할 제3클러치(C3)를 통해 제2링기어(18) 또는 제2클러치(C2)를 통해 출력축(19)에 연결가능하고, 일반적으로 모터로 작동하여 엔진(10)으로부터 주동력을 공급받는 하이브리드 모드에서 엔진(10)의 동력을 보조하고, MG1(11)의 회전속도가 역방향(-)으로 바뀌는 고속시에는 제너레이터로 작용한다.The
계단형 피니언 유성기어 1셋트는 일반적인 유성기어셋트(13)와 마찬가지로 링기어, 피니언, 선기어, 캐리어(15)로 구성되나, 링기어와 선기어를 하나씩 더 포함한다. 즉, 제1선기어(16) 및 제1링기어(14)와, 제2선기어(17) 및 제2링기어(18)는 피니언과 캐리어(15)를 공통으로 사용한다.One set of stepped pinion planetary gears is composed of a ring gear, a pinion, a sun gear, and a
여기서, 피니언은 상하부가 계단형태의 단면을 갖고, 각각의 피니언들은 제1링기어(14)와 제1선기어(16)에 치합되는 대직경부 피니언과 제2링기어(18)와 제2선기어(17)에 치합되는 소직경부 피니언으로 구성되고, 대직경부 피니언과 소직경부 피니언은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캐리어(15)는 각각의 피니언들을 연결하고, 구동륜(20)에 연결되어 엔진(10)의 동력을 구동륜(20)에 전달한다.Here, the pinion has a stepped cross section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each pinion is a large diameter pinion, the
체결요소로는 모터나 유성기어셋트(13), 출력축(19) 등의 회전요소를 연결 및 연결해제하거나 회전정지시키는 클러치 및 브레이크(B)를 포함하고, 보다 상세하게는 브레이크(B)로 변속기케이스(21)(이하, "케이스"라고 함)와 제2선기어(17) 사이에 설치된 브레이크(B)를 포함하고, 클러치로 제1선기어(16)와 제2선기어(17) 사이에 설치된 제1클러치(C1)와, MG2(12)와 출력축(19) 사이에 설치된 제2클러치(C2)와, 제2링기어(18)와 MG2(12) 사이에 설치된 제3클러치(C3)를 포함한다.The fastening element includes a clutch and a brake (B) for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or stopping rotation of a rotating element such as a motor, a planetary gear set (13), an output shaft (19), and more specifically, a transmission with a brake (B). A brake B installed between the case 2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ase") and the
이때, 상기 클러치는 두개의 마찰부재가 서로 결합 및 분리됨으로써 회전요소들을 연결 및 연결해제 하고, 상기 브레이크(B)는 두개의 마찰부재가 서로 결합 및 분리됨으로써 회전요소와 고정요소(예, 변속기 케이스(21))를 연결 및 연결해제하여 회전정지시킨다.In this case, the clutch connects and disconnects the rotating elements by coupling and separating the two friction members from each other, and the brake B is connected to and detaches the rotating elements from the two friction members. (21)) to stop the rotation by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상기 브레이크(B)를 결합하면 제2선기어(17)를 고정시키고, 제1클러치(C1)를 결합시키면 제1선기어(16)와 제2선기어(17)를 결합한다.When the brake B is coupled, the
상기 제2클러치(C2) 및 제3클러치(C3)는 듀얼모드(입력분기모드, 통합분기모드)를 구현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입력분기모드 시 제2클러치(C2)를 결합시키고 제3클러치(C3)를 분리시키면 MG2(12)를 출력축(19)에 연결하여 엔진(10) 동력을 보조하고, 통합분기모드 시 제2클러치(C2)를 분리시키고 제3클러치(C3)를 결합시키면 MG2(12)가 출력축(19)에서 분리되고 MG1(11)이 엔진(10) 동력을 보조한다.The second clutch C2 and the third clutch C3 are selectively coupled to implement a dual mode (input branch mode, integrated branch mode), and combine the second clutch C2 in the input branch mode, and When the clutch C3 is detached, th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작동모드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듀얼모드 파워트레인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method of the dual mode power train for a hybrid vehic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uch a configuration is as follows.
도 6은 도 5에서 EV 모드 및 입력분기모드의 파워트레인 구조도이고, 도 7은 도 5에서 통합분기모드의 파워트레인 구조도이고, 도 8은 도 5에서 1단모드의 파워트레인 구조도이고, 도 9는 도 5에서 2단모드의 파워트레인 구조도이고, 도 10은 도 5에서 클러치 분석표이다.FIG. 6 is a power train structure diagram of the EV mode and the input branch mode in FIG. 5, FIG. 7 is a power train structure diagram of the integrated branch mode in FIG. 5, FIG. 8 is a power train structure diagram of the first stage mode in FIG. 5, and FIG. 9. 5 is a power train structure diagram of the two-stage mode in Figure 5, Figure 10 is a clutch analysis table in FIG.
본 발명에 따른 작동모드는 모터를 사용하는 EV 모드, 입력분기모드, 통합분기모드와,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자동변속기와 같이 고정 변속비를 갖는 1단, 2단 및 3단모드를 포함한다. 이때, EV 모드는 모터만을 사용해서 주행하는 모드이고, 입력분기모드와 통합분기모드는 엔진(10)과 MG2(12)의 동력을 모두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모드이고, 특히 입력분기모드는 MG1(11)의 회전속도가 (+)방향인 저속의 고변속비에서 작동되는 모드이고, 통합분기모드는 MG1(11)의 회전속도가 (-)방향인 고속의 저변속비에서 작동되는 모드이다.The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V mode, an input branch mode, an integrated branch mode using a motor, and a first stage, two stage and a three stage mode having a fixed speed ratio like an automatic transmission without using a motor. At this time, the EV mode is a mode for driving using only the motor, the input branch mode and the integrated branch mode is a hybrid mode using all the power of the
1) EV 모드1) EV mode
EV 모드는 구조적으로 입력분기모드와 같다. 이 모드는 제2클러치(C2)를 결합시키고 나머지 체결요소, 즉 제1클러치(C1), 제3클러치(C3), 브레이크(B)를 분리시킴으로써 구현되고, 브레이크(B)를 결합시키면 제2선기어(17), 캐리어(15), 제2링기어(18)는 단순 감속기로 작용하며 MG2(12)의 토크를 증대시켜 출력축(19)에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모드에서 MG1(11)은 엔진(10)의 속도를 제어해주는 역할만을 하며 MG2(12)가 실제로 차량을 주행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EV mode is structurally the same as the input branch mode. This mode is realized by engaging the second clutch C2 and separating the remaining fastening elements, that is, the first clutch C1, the third clutch C3, and the brake B. The
이 모드는 모터만을 사용하여 주행하기 때문에 엔진(10)에 연료가 공급되지 않으며 이 상황에서 엔진(10)이 회전할 경우 부하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MG1(11)에 의해서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이 모드는 회생제동상황과 원리나 구조가 동일하며, EV 모드에서는 MG2(12)가 동력을 발생하여 차량에 전달하지만 회생제동 상황에서는 반대로 차량에서 MG2(12)로 운동에너지를 전달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In this mode, the fuel is not supplied to the
2) 입력분기모드(Input-split mode)2) Input-split mode
입력분기모드는 한개의 모터(예, MG2(12)) 가 동력분기장치(예, 유성기어)를 거치지 않고 직접 출력축(19)에 연결되는 모드를 뜻한다.The input branch mode refers to a mode in which one motor (eg, MG2 12)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입력분기모드는 본 발명에서 제2클러치(C2)를 결합시키고 나머지 체결요소, 즉 제1클러치(C1), 제3클러치(C3), 브레이크(B)를 분리시킴으로써 구현되고, 제2클러치(C2)를 결합시키면 제2선기어(17), 캐리어(15), 제2링기어(18)는 단순 감속기로 작용하며 MG2(12)가 동력분기장치를 거치지 않고 바로 출력축(19)에 연결된다.The input branch mode is implem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coupling the second clutch C2 and separating the remaining fastening elements, that is, the first clutch C1, the third clutch C3, and the brake B, and the second clutch C2. ), The
상기 입력분기모드에서 동력흐름을 살펴보면, 엔진(10)으로부터 제1링기어(14)에 동력이 입력되면 유성기어에 의해 동력이 분기되며, 엔진(10) 동력의 일부는 제1링기어(14)→캐리어(15)→출력축(19)→구동륜(20)으로 전달되고, 엔진(10) 동력의 다른 일부는 제1링기어(14)→캐리어(15)→MG1(11)으로 전달된다. Looking at the power flow in the input branch mode, when power is input from the
이때, MG1(11)은 제너레이터로 작용하여 엔진(10) 동력의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한 다음 전기적으로 연결된 MG1(11)으로 전달하고, MG2(12)는 모터로 작용하여 MG1(11)으로부터 전달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제2클러치(C2)를 통해 출력축(19)에 동력을 전달한다.At this time, the MG1 (11) acts as a generator to convert the mechanical energy of the
그러나, 차속이 증가하여 MG1(11)의 회전속도가 역방향으로 되면, MG1(11)이 모터로 작용하여 동력을 제1선기어(16)→캐리어(15)→출력축(19)으로 전달하고, MG2(12)는 제너레이터로 작용하여 출력축(19)에서 제2클러치(C2)를 통해 전달된 동력을 전기에너지로 발전시켜 MG1(11)으로 전달한다. 이와 같은 경우 동력의 일부가 계속 순환하면서 동력전달효율이 저하된다(전술한 종래의 문제점과 유사함).However, when the vehicle speed increases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속도가 저속(고변속비)에서 중속 또는 고속(저변속비), 즉 MG1(11)의 회전속도가 (+)(정방향)에서 (-)(역방향)으로 바뀌는 시점에 입력분기모드에서 통합분기모드로 변환시킨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with low speed (high speed ratio) to medium speed or high speed (low speed ratio), that is, rotation speed of MG1 (11) from (+) (forward direction) to (-) (reverse direction). Changes from input branch mode to integrated branch mode at the point of change.
3) 통합분기모드3) Integrated Branch Mode
복합분기모드는 본 발명에서 제3클러치(C3)를 결합시키고 나머지 체결요소, 즉 제1클러치(C1), 제2클러치(C2), 브레이크(B)를 분리시킴으로써 구현되고, 제2클러치(C2)를 분리시키면 MG2(12)가 출력축(19)에서 분리된다. The compound branch mode is implem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the third clutch C3 and separating the remaining fastening elements, that is, the first clutch C1, the second clutch C2, and the brake B, and the second clutch C2. ), The MG2 (12) is separated from the output shaft (19).
차속이 증가하여 MG1(11)의 회전속도가 역방향으로 될 때 복합분기모드에서 동력흐름을 살펴보면, 엔진(10)으로부터 제1링기어(14)에 동력이 입력되고, MG1(11)은 모터로 작용하여 동력을 제1선기어(16)에 전달함으로써, 엔진(10) 동력과 함께 MG1(11)의 동력이 캐리어(15)를 통해 통합된 다음 출력축(19)으로 전달된다.When the vehicle speed is increased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이때, MG2(12)는 제너레이터로 작용하여 캐리어(15)에서 제2링기어(18)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를 변환하여 MG1(11)으로 전달한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제2클러치(C2)가 분리 및 제3클러치(C3)가 결합됨으로써, MG2(12)가 출력축(19)에서 분리되어 MG1(11)과 MG2(12)의 회전방향이 바뀌더라도 엔진(10)동력이 MG2(12)에 의해 빼앗기지 않고 출력축(19)을 통해 구동륜(20)에 전달된다.Therefore, when the second clutch C2 is separated and the third clutch C3 is coupled, the
4) 1단 모드4) 1st mode
고정 변속비를 갖는 모드로서 본 발명에서 브레이크(B)를 결합시키고 나머지 체결요소, 즉 제1 내지 제3클러치(C1~C3)를 분리시킴으로써 구현되고, 브레이크(B)를 결합시키면 제2선기어(17)가 고정되므로 일정한 크기의 고정단 변속비(1단)를 구현한다. As a mode having a fixed speed rati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ke B is coupled and the remaining fastening elements, that is, the first to third clutches C1 to C3 are separated, and the brake B is coupled to the second sun gear 17. ) Is fixed so that a fixed speed ratio (1 step) of a fixed size is realized.
5) 2단 모드5) 2 speed mode
고정 변속비를 갖는 모드로서 본 발명에서 제1클러치(C1)를 결합시키고 나머지 체결요소, 즉 제2 및 제3클러치(C3)와 브레이크(B)를 분리시킴으로써 구현되고, 제2클러치(C2)를 결합시키면 제1선기어(16)와 제2선기어(17)가 결합됨으로써 제1선기어(16), 제2선기어(17), 캐리어(15), 제1링기어(14) 및 제2링기어(18)가 레버선도에 의해 하나의 수평선으로 되어 고정단 변속비가 1로 고정된다.A mode having a fixed speed ratio is implem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engaging the first clutch (C1) and separating the remaining fastening elements, that is, the second and third clutch (C3) and the brake (B), the second clutch (C2) When coupled,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has been claim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It includes all the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that can be carried ou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도 1은 종래의 도요타사 프리우스의 파워트레인 구조도,1 is a powertrain structure diagram of a conventional Toyota Prius,
도 2는 도 1에서 저속(MG1의 속도방향이 정방향인 경우)시 동력분기구조도,FIG. 2 is a diagram showing a power branch structure at a low speed (when the speed direction of MG1 is a forward direction) in FIG. 1;
도 3은 도 1에서 고속(MG1의 속도방향이 역방향인 경우)시 동력분기구조도,3 is a diagram of a power branch structure at high speed (when the speed direction of MG1 is reverse direction) in FIG. 1;
도 4는 차속에 따른 레버선도,4 is a lever diagram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듀얼모드 파워트레인 구조도,5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dual mode powertrain for a hybri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서 EV 모드 및 입력분기모드의 파워트레인 구조도, 6 is a power train structure diagram of the EV mode and the input branch mode in FIG.
도 7은 도 5에서 통합분기모드의 파워트레인 구조도,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wertrain structure of the integrated branch mode in FIG. 5;
도 8은 도 5에서 1단모드의 파워트레인 구조도, FIG. 8 is a power train structure diagram of the single stage mode in FIG. 5;
도 9는 도 5에서 2단모드의 파워트레인 구조도, 9 is a power train structure diagram of the two-stage mode in FIG.
도 10은 도 5에서 클러치 분석표이다.10 is a clutch analysis table i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엔진 11 : 제1모터-제너레이터10 engine 11: first motor-generator
12 : 제2모터-제너레이터 13 : 계단형 피니언 유성기어셋트12: 2nd motor-generator 13: stepped pinion planetary gear set
14 : 제1링기어 15 : 캐리어14: first ring gear 15: carrier
16 ; 제1선기어 17 ; 제2선기어16;
18 : 제2링기어 19 : 출력축18: second ring gear 19: output shaft
20 : 구동륜 21 : 변속기케이스20: drive wheel 21: transmission case
B : 브레이크 C1 : 제1클러치B: Brake C1: First Clutch
C2 : 제2클러치 C3 : 제3클러치C2: Second Clutch C3: Third Clutch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7289A KR100986564B1 (en) | 2009-01-30 | 2009-01-30 | power train of an hybrid electric vehicle and manipulat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7289A KR100986564B1 (en) | 2009-01-30 | 2009-01-30 | power train of an hybrid electric vehicle and manipulat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8226A KR20100088226A (en) | 2010-08-09 |
KR100986564B1 true KR100986564B1 (en) | 2010-10-07 |
Family
ID=42754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07289A KR100986564B1 (en) | 2009-01-30 | 2009-01-30 | power train of an hybrid electric vehicle and manipulat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86564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620509B2 (en) | 2011-07-25 | 2013-12-31 | Hyundai Motor Company | Control method for powertrain of hybrid vehicle in compound split mode |
US9221328B2 (en) | 2011-11-10 | 2015-12-29 | Hyundai Motor Company | System for hybrid vehicle to enhance driving performance during electric mode |
US9834080B2 (en) | 2014-10-13 | 2017-12-05 | Hyundai Motor Company | Transmission structure of HEV |
KR20200099395A (en) | 2019-02-14 | 2020-08-24 | 주식회사 만도 | Electric vehicle driving apparatus and electric vehicle driving metho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0901B1 (en) * | 2010-12-01 | 2013-02-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Sye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engine operating point of hybrid vehicle |
KR101284330B1 (en) | 2010-12-03 | 2013-07-17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Shifting control method of hybrid vehicle |
KR101251512B1 (en) | 2010-12-06 | 2013-04-05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Shifting control method of hybrid vehicle |
KR101491251B1 (en) | 2013-05-22 | 2015-02-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hybrid vehicl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62396A (en) | 2004-08-24 | 2006-03-09 | Nissan Motor Co Ltd | Drive of hybrid car |
JP2006194452A (en) | 2006-04-21 | 2006-07-27 | Toyota Motor Corp | Automatic transmission for double planetary gear device type vehicle |
KR100726222B1 (en) | 2006-01-04 | 2007-06-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for cvt and planetary gear type hybrid vehicles |
-
2009
- 2009-01-30 KR KR1020090007289A patent/KR10098656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62396A (en) | 2004-08-24 | 2006-03-09 | Nissan Motor Co Ltd | Drive of hybrid car |
KR100726222B1 (en) | 2006-01-04 | 2007-06-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for cvt and planetary gear type hybrid vehicles |
JP2006194452A (en) | 2006-04-21 | 2006-07-27 | Toyota Motor Corp | Automatic transmission for double planetary gear device type vehicle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620509B2 (en) | 2011-07-25 | 2013-12-31 | Hyundai Motor Company | Control method for powertrain of hybrid vehicle in compound split mode |
US9221328B2 (en) | 2011-11-10 | 2015-12-29 | Hyundai Motor Company | System for hybrid vehicle to enhance driving performance during electric mode |
US9834080B2 (en) | 2014-10-13 | 2017-12-05 | Hyundai Motor Company | Transmission structure of HEV |
KR20200099395A (en) | 2019-02-14 | 2020-08-24 | 주식회사 만도 | Electric vehicle driving apparatus and electric vehicle driving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8226A (en) | 2010-08-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106338B1 (en) | Drive unit for hybrid vehicle | |
KR100986564B1 (en) | power train of an hybrid electric vehicle and manipulating method thereof | |
US7931555B2 (en) | Hybrid drive device | |
US7942776B2 (en) | Two-mode electrically variable transmission | |
US20170282702A1 (en) | Hybrid transmission having fixed gear shift stage | |
KR101000132B1 (en) | Hybrid Power Train of Vehicle | |
CN104736889B (en) | Planetary transmission for the hybrid drive of motor vehicle | |
EP2351661B1 (en) | Hybrid power driving system and gear position operation method thereof | |
JP4228954B2 (en) | Hybrid vehicle drive system | |
JP5067642B2 (en) | Hybrid drive unit | |
US8721491B2 (en) | Powertrain with hybrid transmission | |
US8597146B2 (en) | Powertrain with two planetary gear sets, two motor/generators and multiple power-split operating modes | |
CN101804811B (en) | Hybrid power control system for vehicle | |
JP6013760B2 (en) | Hybrid transmission | |
KR101126803B1 (en) | Power Train for Hybrid Vehicle | |
US8021256B2 (en) | Electrically-variable transmission with compounded output gearing | |
KR100969084B1 (en) | Power Train of Hybrid Vehicle | |
CN104395123A (en) | Hybrid dual configuration transmission | |
JP2011105295A (en) | Transmission of hybrid vehicle | |
CN102310758B (en) | Single clutch, two planetary hybrid architecture | |
US8790201B2 (en) | Hybrid transmission with three planetary gear sets and three interconnecting members and with synchronous shift between series and compound-split operating modes | |
JP6743617B2 (en) | Power transmission device | |
KR100815307B1 (en) | Power Delivery Apparatus for Hybrid Vehicle | |
RU2652858C1 (en) | Drive system for a hybrid vehicle | |
CN106004407A (en) | Hybrid electric drive assembly and vehicle with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