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5841B1 - 알긴산 분해 효소를 생산하는 신규 미생물 슈도모나스에스피 n7151-6 - Google Patents

알긴산 분해 효소를 생산하는 신규 미생물 슈도모나스에스피 n7151-6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5841B1
KR100985841B1 KR1020080017951A KR20080017951A KR100985841B1 KR 100985841 B1 KR100985841 B1 KR 100985841B1 KR 1020080017951 A KR1020080017951 A KR 1020080017951A KR 20080017951 A KR20080017951 A KR 20080017951A KR 100985841 B1 KR100985841 B1 KR 100985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seudomonas
alginic acid
present
degrading enzyme
s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2613A (ko
Inventor
남수완
이재형
배민지
신은정
김양춘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동의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동의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동의학원
Priority to KR1020080017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5841B1/ko
Publication of KR20090092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2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88Lyases (4.)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38Pseudomona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402/00Carbon-oxygen lyases (4.2)
    • C12Y402/02Carbon-oxygen lyases (4.2) acting on polysaccharides (4.2.2)
    • C12Y402/02003Poly(beta-D-mannuronate) lyase (4.2.2.3)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긴산 분해 효소를 생산하는 신규 미생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긴산 분해 효소를 생산하는 신규 미생물 슈도모나스 에스피. N7151-6 (Pseudomonas sp . N7151-6)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신규 미생물 슈도모나스 에스피. N7151-6을 이용하면 해조류에 포함된 다당류인 알긴산을 효소적으로 가수분해함으로써 알긴산 저분자화물을 경제적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는 알긴산 분해효소를 제공한다.
슈도모나스, 알긴산, 분해효소

Description

알긴산 분해 효소를 생산하는 신규 미생물 슈도모나스 에스피 N7151-6 {Microorganism, Pseudomonas sp. N7151-6, producing alginate lyase}
본 발명은 알긴산 분해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알긴산 분해 효소를 생산하는 신규 미생물, 슈도모나스 에스피. N7151-6에 관한 것이다.
알긴산은 해초산(海草酸)이라고도 하며, 2종의 우론산의 중합체로 중합도 80, 분자량 1,500 정도로, 묽은 황산으로 씻은 갈조를 묽은 알칼리성의 더운 물에서 추출하여 추출액을 산성으로 만들면 생기는 침전이다. 알긴산은 분자 속에 우론산의 카르복시기(基)가 있으므로 산의 성질을 나타내는데, 보통은 나트륨염으로 다룬다. 알긴산의 칼슘염은 물에 녹지 않으므로 혈액 속의 칼슘 이온과 반응하여 불용성 염을 만들고, 그것이 혈관을 막기 때문에 경구투여(經口投與)로는 독성이 없으나 혈액 속에 주사하면 유독하다. 포유류는 알긴산을 분해하는 효소가 없으므로 알긴산을 영양으로 이용할 수 없다.
알긴산은 1957년까지는 만뉴론산만으로 되어 있다고 생각하였으나, 최근에 와서 글루론산도 알긴산의 구성성분인 것이 밝혀졌다. 구조는 만뉴론산과 글루론산 이 β-1, 4결합으로 수백 개가 연결된 것이다. 또, 분자 중에는 만뉴론산만, 또는 글루론산만이 길게 결합 된 곳이 있다. 만뉴론산과 글루론산의 존재량 비는 해조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알긴산은 불용성이지만 나트륨염은 물에 녹으며 점성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용도가 넓다. 나트륨염은 잘게 부순 갈조를 바람에 건조시킨 것을 묽은 산 또는 묽은 알칼리로 처리하여 침강법 ·공기부유법 ·원심분리법 등으로 단백질 ·섬유질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알코올을 사용하여 탈수 ·건조시킨 후 분말로 만들어, 직물풀 ·수성도료 ·에멀션화제[乳化劑] 외에 식품에서는 아이스크림 ·잼 ·마요네즈 등의 점성도(粘性度)를 증가시키는 데 이용한다.
또한, 알긴산(도 1 참조)은 혈청 및 간장 지질의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키고, 지방세포분화억제 효과와 세포 내 지방세포유전인자 단백질인 렙틴(leptin)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는 등, 알긴산의 약학적 효능 또한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만뉴론산과 글루론산의 중합으로 되어 있는 거대분자인 알긴산을 폴리만뉴론산(polymannuronate)과 폴리글루론산(polyguluronate)으로 저분자화하면, 그 기능성이 월등히 높게 나타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다당류인 알긴산의 분해의 어려움 및 기존의 분해 방법은 산 또는 염기 가수분해 방법을 쓰기 때문에 정제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알긴산 분해 효소를 이용한 방법으로 최근 신규 미생물과 효소를 이용한 방법 등이 국내외적으로 보고가 되고 있으나 알긴산 분해효소를 고효율로 생산하는 미생물을 분리하는 연구 보고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현재 알긴산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진 미생물로는 Pseudomonas aeruginosa (Franklin et al., J. Bacteriol., 186: 4759-4773; 2004), Streptomyces sp. (Cao et al., J. Agric. Food Chem., 55: 5113-5117; 2007), Bacillus sp. ATB-1015 (Nakagawa et al., J. Appl. Microbiol., 84: 328-335) Alteromonas sp. strain no. 272 (Iwamoto et al., Biosci Biotechnol Biochem., 65: 133-142. 2001)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자연계에는 다양한 미생물이 존재하기 때문에, 알긴산 분해 효소를 생산하는 신규 미생물을 분리·동정하고, 상기 미생물을 이용하여 알긴산을 저분자화 하려는 연구는 계속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알긴산 분해 효소를 생산하는 신규 미생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규미생물, 슈도모나스 에스피. N7151-6을 이용하여 알긴산 분해효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알긴산 분해 효소를 생산하는 슈도모나스 에스피. N7151-6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자들은 알긴산 분해 효소를 생산하는 슈도모나스 속의 신규 미생물을 분리·동정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해조류로부터 알긴산 분해효소 활성이 뛰어난 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한 결과 알긴산 분해효소 생산성이 뛰어난 신규 미생물을 분리하였으며, 이를 최적 조건에서 배양하여 알긴산 분해효소를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여기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나타낸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 로 한다.
본 발명은 알긴산 분해 효소를 생산하는 신규 미생물로 슈도모나스 에스피. N7151-6을 제공한다.
상기 미생물은 부산 해운대 해안에서 미역 고형분을 일주일 동안 정치 후, 채취한 샘플로부터 분리되었으며, 본 발명에 따른 균주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상기 균주는 막대형(rod)의 그람-음성균이었으며, 또한 비운동성(non-motility)이었고, 포자(spore)를 형성하지 않았다. 본 발명에 따른 균주의 최적 생장 온도는 30℃이었으며, 10℃ 이하 또는 42℃ 이상에서는 전혀 생장하지 않았다(도 2 참조). 또한, 생장을 위한 최적 염화나트륨(NaCl)의 농도는 0-1%(w/w)이었으며, 8%까지도 생장은 가능하나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생장하지 않았다(도 3 참조). 최적 생장 pH는 8인 것으로 조사되었다(도 4 참조).
본 발명에 따른 균주는 생장을 위한 탄소- 및 에너지원으로 D-아라비노스(D-arabinose)와 갈락토스(galactose)만을 이용하였으며, 이외 다른 펜토스(pentoses), 헥소스(hexoses), 당 알코올(sugar alcohols), 올리고당(ogligosaccharides) 및 아미노산은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아르기닌 가수분해(arginine hydrolase) 반응에 양성 반응을, 노바바이신(novobiocin), 페니실린에는 내성을 가지며, 탄소화물로 트레할로즈(trehalose), 만니톨(mannitol), 라피노즈(faffinose), 살리신(salicin), 솔비톨(sorbitol), 데스트로즈(dextrose), 설탕(sucrose), 플루란(pullulan), 이눌린(inulin), 멜리바이오즈(melibiose), 멜리지토즈(melezitose), 셀로바이오즈(cellobiose), 리보오 스(ribose), 자일로즈(xylose)를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레아제(urease) 반응에서는 음성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균주의 대사는 호기성(aerobic)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DNA G+C 조성은 63.5 ㏖%이었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균주를 보다 구체적으로 동정하기 위하여 16S rDNA의 서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균주의 16S rDNA의 염기서열은 슈도모나스(Pseudomonas) 속으로 조사되었다. 슈도모나스 퓨티다 (Pseudomonas putida), 슈도모나스 몬테이리이 (Pseudomonas monteilii)와 16S rDNA 염기서열과 매우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균주가 신규한 슈도모나스 속 미생물임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균주를 '슈도모나스 에스피. N7151-6(Pseudomonas sp. N7151-6)'라 명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슈도모나스 에스피. N7151-6의 알긴산 분해 효소 생성 유무를 조사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균주는 알긴산을 분해하는 효소를 생산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5a 참조).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슈도모나스 에스피. N7151-6를 2008년 2월 14일자로 농업진흥청 농업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보존센터에 기탁하였다(기탁번호: KACC91353P).
본 발명에 따른 슈도모나스 에스피. N7151-6은 알긴산 분해 효소를 생산하여 알긴산을 저분자화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하여 알긴산 분해 효소를 생산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슈도모나스 에스피. N7151-6을 생육가능한 배지에서 배양하고, 그 배양액으로부터 알긴산 분해 효소를 수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균주를 배양배지(Alginate-Na 0.5%, Yeast extract 0.5%, NaCl 0.5%, K2HPO4 0.2%, MgSO4 ·7H2O 0.1%, KCl 0.1%, CaCl2 0.05%)에서 30℃, 3일간 1차 배양하고 배양액으로부터 원심분리를 이용해 상등액을 회수한 후, 0.45 um로 여과 후, 암모늄 설페이트를 이용하여 농축 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균주를 배양하기 위한 배지로는 상기 이외에 LB1 배지(LB 배지에 NaCl 1%가 추가된 배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배양시 본 발명에 따른 균주의 원활한 생장과 알긴산 분해 효소의 대량 생산을 위하여 상기 배지에 알긴산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양액으로부터 알긴산 분해 효소의 수거는 FPLC(Fast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분리·동정된 신규 미생물 슈도모나스 에스피. N7151-6를 배양배지(Alginate-Na 0.5%, Yeast extract 0.5%, NaCl 0.5%, K2HPO4 0.2%, MgSO4 ·7H2O 0.1%, KCl 0.1%, CaCl2 0.05%)에서 30℃, 3일간 1차 배양한 배양액으로부터 원심분리하여 알긴산 분해효소를 효과적으로 생산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신규 미생물 슈도모나스 에스피. N7151-6을 이용하면 해조류에 포함된 다당류인 알긴산을 효소적으로 가수분해함으로써 알긴산 저분자화물을 경제적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는 알긴산 분해효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규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한 알긴산 분해효 소는, 식품학적, 약학적 및 미용학적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만뉴론산과 글루론산 제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전술한 개시에 대해서 일정 범위의 수정, 변화 및 치환이 가능하며, 어떤 경우에는 본 발명의 특징 중 일부만이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들이 넓게 또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에 부합되게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또는 수정할 수 있음은 이 분야에서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 실시예 1> 샘플 채취, 미생물 분리, 배양 및 유지
우리나라 부산 해운대 해안에서 미역 고형물을 바닷물 속에 정치 후 채취한 샘플을 1/1000으로 희석한 후, 배양배지(Alginate-Na 0.5%, Yeast extract 0.5%, NaCl 0.5%, K2HPO4 0.2%, MgSO4 ·7H2O 0.1%, KCl 0.1%, CaCl2 0.05%)에 도말하여, 30℃에서 3일간 배양하여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미생물을 'N7151-6 균주'라 명명하였다.
< 실시예 2> 표현형적 특성( phenotypic characteristics ) 조사
본 발명에 따른 N7151-6 균주의 형태학적 및 생리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 여, 다음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2-1. 형태학적 특성
우선, 본 발명에 따른 N7151-6 균주를 배양 배지에서 30℃, 3일 동안 배양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N7151-6 균주는 막대형(rod)이었으며, 그 크기는 직경이 0.3-0.7 ㎛이고, 길이는 0.8-2.5 ㎛이었다. 또한, 포자(spore)를 형성하지 않았다. 현적법(hanging-drop technique; Skerman, V. B. D., A Guide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Genera of Bacteria , 2 nd den . Batimore, 1967)으로 광학 현미경 하에서 균주의 운동성(motility)을 조사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N7151-6 균주는 비운동성(non-motile)이었다. 또한, N7151-6 균주는 그람 음성이었으며, 배지 상에 자라난 콜로니는 평평하고 밝은 노란색이었다.
2-2. 생리학적 특성
(1) 온도 범위
본 발명에 따른 N7151-6 균주를 영양 배지(Difco)에서 각 온도별(4, 15, 23, 25, 28, 30, 37, 42 및 48℃)로 3일간 배양하여 생장 온도 범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N7151-6 균주는 23-37℃에서 생장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적 생장 온도는 30℃로 나타났다(도 2 참조).
(2) 염( NaCl ) 내성
본 발명에 따른 N7151-6 균주를 1-10%(w/v)의 NaCl을 포함하는 트립티카제 소이 배지(trypticase soy broth)배지에서 30℃로 3일간 배양하였다. 그 결과, 생장을 위한 최적 NaCl의 농도는 0.5%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8%에서는 생장이 느려졌고, 그 이상에서는 전혀 생장하지 않았다(도 3 참조).
(3) pH 범위
본 발명에 따른 N7151-6 균주를 각 pH(4.0, 5.0, 6.0, 7.0, 8.0, 9.0, 10.0)의 배양 배지에서 3일간 배양하여 생장 pH 범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최적 생장 pH는 8인 것으로 나타났다. pH 4 이하와 pH 10 이상에서는 생장이 억제되었다(도 4 참조).
(4) 탄소원의 이용능력 테스트
탄소원의 이용능력 테스트는 하기 [표 1]에 기재된 총 17개의 기질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각 기질을 최종농도 1%(salicin 0.5%)가 되도록 하여 당 기초 배지인 퍼플 브로쓰 베이스(puple broth base, Difro)에 여과 또는 습열 멸균하여 가하였다. 이후, 상기 배지에 본 발명의 균주를 접종하여 30℃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이후, 양성반응은 노란색으로, 음성반응은 원래 배지색인 보라색으로 하여 결과를 확인하였다.
탄소원 이용능력 테스트에 사용된 기질 및 이용능력
기질 이용능력 기질 이용능력
1 D-글루코스(D-Glucose) + 10 아라비노스(Arabinose) -
2 피루베이트(Pyruvate) + 11 라피노스(Raffinose) +
3 풀루란(Pullulan) + 12 리보스(Ribose) +
4 수크로스(Sucrose) + 13 살리신(Salicin) +
5 만니톨(Mannitol) + 14 멜리바이오즈(Melibiose) +
6 셀로비오스(Cellobiose) + 15 멜레키토스(Melezitose) +
7 트레할로스(Trehalose) + 16 솔비톨(Sorbitol) +
8 자일로스(Xylose) + 17 락토스(Lactose) -
9 이눌린(Inulin) + 18
*-: 이용하지 않음(음성 반응), +: 이용함(양성 반응)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N7151-6균주는 본 실험에 사용된 17개 기질 중 아라비노스와 락토스를 제외한 탄소원은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5) 우레아제 ( urease )의 생성
우레아제 활성은 라니의 방법(Lanyi, B. Methods Microbiol., 19: 1-67, 1987)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우레아제 활성은 음성으로 확인되었다.
< 실시예 3> DNA 염기 조성
본 발명에 따른 N7151-6 균주의 게노믹 DNA의 염기 조성은 타마오카 등의 방법(Tamaoka, J. & Komagata, K. FEMS Microbiol . Lett., 25: 125-128, 1984)에 따라 결정하였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N7151-6 균주로부터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게노믹 DNA를 추출한 후, 이를 가수분해하였다. 이후, 얻어진 뉴클레오티드들을 역상 HPLC(reverse-phase HPLC)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N7151-6 균주의 DNA의 G+C 함량은 63.5 ㏖%로 확인되었다.
< 실시예 4> 16S rDNA 서열 결정
라이네이 등의 방법(Rainey et al ., Syst . Appl . Microbiol., 15: 197-202, 1992)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N7151-6 균주로부터 게노믹 DNA를 추출한 후, 서열번호 1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16S rDNA를 증폭하였다. PCR 반응조건은 게노믹 DNA 10 ng, Taq 중합효소 1 unit, 10×완충용액(with MgCl2) 및 각 프라이머 20 pmol을 총 반응용액으로 하여 94℃에서 5분 동안 주형 DNA를 전변성화시킨 후, 94℃에서 1분; 56℃에서 30초; 및 72℃에서 1분 30초를 한 싸이클(cycle)로 하여 총 25회 반복수행한 후, 마지막으로 72℃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PCR 산물을 pGEM-T 벡터(Promega)에 클로닝한 후, 분리된 DNA 클론을 ABI PRISMTM 염색 시약(Perkin Elmer, USA)과 반응시켰다. ABI 377 제네틱 분석기(ABI 377 genetic analyzer, Perkin Elmer, USA)를 이용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N7151-6 균주의 16S rDNA의 크기는 1530 bp이었으며, 서열번호 3으로 기재되는 염기서열을 가졌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N7151-6 균주의 16S rDNA의 염기서열을 NCBI GenBank 데이터베이스의 BLASTN과 BLASTX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N7151-6 균주의 16S rDNA의 염기서열은 다양한 슈도모나스 속 미생물 중에서도 슈도모나스 퓨티다 (Pseudomonas putida), 슈도모나스 몬테이리이 (Pseudomonas monteilii)와 각각 98.8%와 98.6%의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들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N7151-6 균주가 슈도모나스 속에 속하는 미생물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N7151-6 균주를 '슈도모나스 에스피. N7151-1(Pseudomonas sp. N7151-6)'라 명명하고 2008년 2월 14일자로 농업진흥청 농업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보존센터에 기탁하였다(기탁번호: KACC91353P).
< 실시예 5> 본 발명에 따른 균주로부터 알긴산 분해 효소의 생산 조건
N7151-6 균주의 알긴산 분해능을 확인하기 위한 고체배지(Alginate-Na 0.5%, Yeast extract 0.5%, K2HPO4 0.2%, MgSO7H2O 0.1%, KCl 0.1%, CaCl2 0.05%, Agar 1.5%)에서 대조군으로 E. coli로 CPC(cetylpyridinium chloride) 10%로 알긴산 분해능을 확인하였다(도 5a 및 도 5b 참조). 세포성장은 흡광도가 0.5 이하가 되도록 배양액을 희석한 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6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알긴산 분해효소 활성은 기질로써 0.25% Na-알긴산(sodium alginate) 0.9 ml에 배양 상등액 0.1 ml를 첨가하여, 37℃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DNS법에 의해 흡광도(550nm)를 측정하여 우론산으로 D-글루코론산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표 2]를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균주의 배양시 염화나트륨(NaCl)의 농도가 0.5%일 때 높은 알긴산 분해효소의 활성을 얻어 균주의 성장이 가장 좋으나, 염화나트륨의 농도가 2%일 때 가장 높은 알긴산 분해효소의 활성을 보이므로, 알긴산 분해효소의 최적 발현 염화나트륨의 농도는 2%로 조사되었다.
배양 배지의 NaCl 농도에 따른 균주의 성장과 알긴산 분해효소 활성도
염화나트륨의 농도 (%) 균주의 성장 (OD660) 분해효소 활성(unit/L)
0.0 6.9 76.1
0.5 9.2 87.3
1.0 5.8 59.3
2.0 4.9 110.2
3.0 4.8 71.7
4.0 4.8 86.1
6.0 3.9 48.3
8.0 3.6 27.6
10.0 0 0
또한 [표 3]을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균주의 배양시 pH 8일 때 높은 알긴산 분해효소의 활성을 얻어 균체의 성장은 pH 8 일 때 가장 좋으나, pH 7일 때 가장 높은 알긴산 분해효소의 활성을 보이므로, 알긴산 분해효소의 최적 발현 pH의 값은 7로 조사되었다.
배양 배지의 pH 에 따른 균주의 성장과 알긴산 분해효소 활성도
pH 균주의 성장 (OD660) 분해효소 활성(unit/L)
4 0.1 0
5 3.2 24.8
6 3.3 67.1
7 3.5 84.7
8 3.5 80.2
9 3.1 74.6
10 0.1 0
도 1은 알긴산의 구조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온도에 따른 본 발명의 균주의 생장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염화나트륨의 농도에 따른 본 발명의 균주의 생장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pH에 따른 본 발명의 균주의 생장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 균주의 알긴산 분해능을 확인하기 위한 고체배지(Alginate-Na 0.5%, Yeast extract 0.5%, K2HPO4 0.2%, MgSO4 ·7H2O 0.1%, KCl 0.1%, CaCl2 0.05%, Agar 1.5%)에서 대조군으로 E. coli와 비교로 CPC(cetylpyridinium chloride) 10%로 알긴산 분해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5a는 Pseudomonas sp. N7151-6를, 도 5b는 E. coli의 결과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110> Dongeui University GIJANG TRADING Co.,LTD. <120> Microorganism Pseudomonas sp. N7151-6, producing alginate lyase <160> 3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Pseudomonas sp. N7151-6 16S rDNA <400> 1 cataagtaat tatggttttg t 21 <210> 2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Pseudomonas sp. N7151-6 16S rDNA <400> 2 cgcttcctta gaaaggag 18 <210> 3 <211> 1530 <212> DNA <213> Pseudomonas sp. N7151-6 <400> 3 caacttgaga gtttgatcct ggctcagatt gaacgctggc ggcaggccta acacatgcaa 60 gtcgagcgga tgacgggagc ttgctccttg attcagcggc ggacgggtga gtaatgccta 120 ggaatctgcc tggtagtggg gggcaacgtt tcgaaaggaa cgctaatacc gcatacgtcc 180 tacgggagaa agcaggggac cttcgggcct tgcgctatca gatgagccta ggtcggatta 240 gctagttggt ggggtaatgg ctcaccaagg cgacgatccg taactggtct gagaggatga 300 tcagtcacac tggaactgag acacggtcca gactcctacg ggaggcagca gtggggaata 360 ttggacaatg ggcgaaagcc tgatccagcc atgccgcgtg tgtgaagaag gtcttcggat 420 tgtaaagcac tttaagttgg gaggaagggc agtaagttaa taccttgctg ttttgacgtt 480 accgacagaa taagcaccgg ctaactctgt gccagcagcc gcggtaatac agagggtgca 540 agcgttaatc ggaattactg ggcgtaaagc gcgcgtaggt ggtttgttaa gttggatgtg 600 aaagccccgg gctcaacctg ggaactgcat ccaaaactgg caagctagag tacggtagag 660 ggtggtggaa tttcctgtgt agcggtgaaa tgcgtagata taggaaggaa caccagtggc 720 gaaggcgacc acctggactg atactgacac tgaggtgcga aagcgtgggg agcaaacagg 780 attagatacc cttgtagccc acgccgtaaa cgatgtcaac tagccgttgg aatccttgag 840 attttagtgg cgcagctaac gcattaagtt gaccgcctgg ggagtacggc cgcaaggtta 900 aaactcaaat gaattgacgg gggcccgcac aagcggtgga gcatgtggtt taattcgaag 960 caacgcgaag aaccttacca ggccttgaca tgcagagaac tttccagaga tggattggtg 1020 ccttcgggaa ctctgacaca ggtgctgcat ggctgtcgtc agctcgtgtc gtgagatgtt 1080 gggttaagtc ccgtaacgag cgcaaccctt gtccttagtt accagcacgt aatggtgggc 1140 actctaagga gactgccggt gacaaaccgg aggaaggtgg ggatgacgtc aagtcatcat 1200 ggcccttacg gcctgggcta cacacgtgct acaatggtcg gtacagaggg ttgccaagcc 1260 gcgaggtgga gctaatctca caaaaccgat cgtagtccgg atcgcagtct gcaactcgac 1320 tgcgtgaagt cggaatcgct agtaatcgcg aatcagaatg tcgcggtgaa tacgttcccg 1380 ggccttgtac acaccgcccg tcacaccatg ggagtgggtt gcaccagaag tagctagtct 1440 aaccttcggg aggacggtta ccacggtgtg attcatgact ggggtgaagt cgtaacaagg 1500 tagccgtagg ggaacctgcg gctggatcac 1530

Claims (3)

  1. 기탁번호 KACC91353P로 기탁된 알긴산 분해 효소를 생산하는 슈도모나스속 미생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도모나스속 미생물은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16S rDN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도모나스속 미생물.
  3. 제1항 또는 제2항의 미생물을 Alginate-Na 0.5중량%, Yeast extract 0.5중량%, NaCl 0.5중량%, K2HPO4 0.2%중량%, MgSO4·7H2O 0.1중량%, KCl 0.1중량%, CaCl2 0.05중량%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하고, 배양액으로부터 암모늄 설페이트 농축 방법을 이용하여 알긴산 분해효소를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긴산 분해 효소의 제조 방법.
KR1020080017951A 2008-02-27 2008-02-27 알긴산 분해 효소를 생산하는 신규 미생물 슈도모나스에스피 n7151-6 KR100985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951A KR100985841B1 (ko) 2008-02-27 2008-02-27 알긴산 분해 효소를 생산하는 신규 미생물 슈도모나스에스피 n7151-6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951A KR100985841B1 (ko) 2008-02-27 2008-02-27 알긴산 분해 효소를 생산하는 신규 미생물 슈도모나스에스피 n71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613A KR20090092613A (ko) 2009-09-01
KR100985841B1 true KR100985841B1 (ko) 2010-10-08

Family

ID=41301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951A KR100985841B1 (ko) 2008-02-27 2008-02-27 알긴산 분해 효소를 생산하는 신규 미생물 슈도모나스에스피 n7151-6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58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71426B (zh) * 2011-05-17 2014-11-05 全南大学校产学协力团 具有海藻酸裂解酶活性的宏基因组文库及新颖酶AlyDW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Curr Microbiol
논문1:J Microbiol Biotechn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613A (ko) 200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3871B1 (ko) 알긴산 분해 효소를 생산하는 신규 미생물, 바실러스 에스피 n7151-b
Cardozo et al. Bioconversion of α-chitin into N-acetyl-glucosamine using chitinases produced by marine-derived Aeromonas caviae isolates
CA2085292C (en) Enzyme of use in chitosan hydrolysis
Kwon et al.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iofilm-forming marine bacteria on glass surfaces in Dae-Ho Dike, Korea
You et al. Use of waste fermenting liquor to produce bioflocculants with isolated strains
KR101239757B1 (ko) 알긴산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신규 미생물 페니바실러스 라우투스 gd-a2와 알긴산 분해용 생촉매 및 이를 이용한 알긴산 올리고당의 제조 방법
US20130337541A1 (en) Thermostable chitosanase
JP5392942B2 (ja) 新規なアルカリアルギン酸リアーゼとその利用
Moune et al. Orenia salinaria sp. nov., a fermentative bacterium isolated from anaerobic sediments of Mediterranean salterns.
Choi et al. Production of agarase from a novel Micrococcus sp. GNUM-08124 strain isolated from the East Sea of Korea
KR100876662B1 (ko) 알지네이트 가수분해 활성을 갖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속균주 및 알지네이트 분해효소
KR101316085B1 (ko) 라미나린 및 알긴산 분해능을 가지는 마이크로박테리움 옥시단스
KR100985841B1 (ko) 알긴산 분해 효소를 생산하는 신규 미생물 슈도모나스에스피 n7151-6
Du et al. Production of polyvinyl alcohol‐degrading enzyme with Janthinobacterium sp. and its application in cotton fabric desizing
KR20080059850A (ko) 신규한 슈도알트로모나스 속 미생물
JP6025018B2 (ja) 新規のアルギン酸資化菌、その細菌が産生するアルギン酸を分解する酵素を含む菌抽出液、それらを用いてオリゴ糖、不飽和単糖、ないしα−ケト酸を製造する方法
Chaudhari et al. Isolation, screening and characterization of marine bacteria for exopolysaccharide production
CN102851251A (zh) 一株降解石化废水中苯酚的基因工程菌
ElAhwany et al. Optimization of medium composition for extra cellular alginate lyases of a marine bacterium
Ma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thermostable alkaline chitinase-producing Aeromonas strain and its potential in biodegradation of shrimp shell wastes
KR20210127574A (ko) 해조류에 포함된 다당류인 알긴산을 효소적으로 가수분해함으로써 대량생산할 수 있는 알긴산 분해 효소 제공 방법
Wu et al.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ew agar-degrading strain with the novel properties of saccharides inhibition and nitrogen fixation
KR100462904B1 (ko) 신규한 해양 미생물 잔토모나스 에스피. 비에이치-1을이용한 알긴산 분해효소의 제조방법
Ravi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ydrolytic enzyme producing halophilic bacteria Salinicoccus roseus from Okha
CN114717153B (zh) 嗜温鞘氨醇杆菌在降解羽毛粉产生生物表面活性剂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