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4241B1 -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구동 장치 및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구동 장치 및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4241B1
KR100984241B1 KR1020090073992A KR20090073992A KR100984241B1 KR 100984241 B1 KR100984241 B1 KR 100984241B1 KR 1020090073992 A KR1020090073992 A KR 1020090073992A KR 20090073992 A KR20090073992 A KR 20090073992A KR 100984241 B1 KR100984241 B1 KR 100984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age current
battery
voltage
floating capaci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9976A (ko
Inventor
강주현
이달훈
김지호
이상훈
권동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00019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9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69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the isolation, e.g. ground fault or leak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12Recording operating variables ; Monitoring of operating vari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9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10Emission reduction
    • B60L2270/14Emission reduction of noise
    • B60L2270/147Emission reduction of noise electro magnetic [EMI]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의 누설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과,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배터리 구동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장치는, 배터리의 양극 단자 또는 음극 단자로부터 검출되는 전압을 충전하는 부동 캐패시터; 상기 양극 또는 음극 단자 측의 전압 검출 경로를 선택하는 단자 선택 스위칭부; 상기 선택된 전압 검출 경로로부터 검출되는 양극 또는 음극 단자 측의 검출 전압을 상기 부동 캐패시터에 충전시키는 충전 스위칭부; 상기 부동 캐패시터에 충전된 음극 단자 측의 검출 전압 극성을 반전시키는 극성 반전 스위칭부; 및 상기 부동 캐패시터에 충전된 양극 단자 측 검출 전압과 극성 반전된 음극단자 측 검출 전압을 센싱하여 누설저항을 계산하고, 상기 누설저항을 기준 절연저항과 대비하여 누설전류의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누설전류 판별부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90073992
배터리, 누설전류, 부동 캐패시터

Description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구동 장치 및 배터리 팩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leakage current of battery, and Battery-driven apparatus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apparatus}
본 발명은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누설전류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화석 에너지의 고갈과 환경오염으로 인해 화석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를 이용하여 구동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이하, 전지 구동 자동차로 통칭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전기 구동 자동차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이차 전지가 주류를 이룬다. 이차 전지는 크게 리튬 계열 전지와 니켈 수소 계열의 전지로 분류된다. 리튬 계열 전지는 디지털 카메라, P-DVD, MP3P, 휴대폰, PDA, Portable Game Device, Power Tool 및 E-bike 등의 소형 제품에 주로 적용되며, 니켈 수소 계열 전지는 자동차와 같은 고출력이 요구되는 제품에 주로 적용된다.
배터리를 사용하는 장치에서는 배터리와 장치 간의 절연 상태가 잘 유지될 필요가 있다. 배터리의 절연상태가 유지되지 않으면 누설전류가 발생하여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이다.
참고로, 배터리 누설전류는 예상치 못한 배터리의 방전이나 장치에 구비된 전자 기기들의 오작동을 일으킨다. 또한 전지 구동 자동차와 같이 고전압 배터리를 사용하는 장치에서는 사람에게 치명적인 감전피해를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는 배터리의 누설전류를 철저하게 감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간단한 회로 구성을 통해 배터리의 누설전류 발생 유무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배터리의 누설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구동 장치 및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장치는, 배터리의 양극 단자 또는 음극 단자로부터 검출되는 전압을 충전하는 부동 캐패시터; 상기 양극 또는 음극 단자 측의 전압 검출 경로를 선택하는 단자 선택 스위칭부; 상기 선택된 전압 검출 경로로부터 검출되는 양극 또는 음극 단자 측의 검출 전압을 상기 부동 캐패시터에 충전시키는 충전 스위칭부; 상기 부동 캐패시터에 충전된 음극 단자 측의 검출 전압 극성을 반전시키는 극성 반전 스위칭부; 및 상기 부동 캐패시터에 충전된 양극 단자 측 검출 전압과 극성 반전된 음극단자 측 검출 전압을 센싱하여 누설저항을 계산하고, 상기 누설저항을 기준 절연저항과 대비하여 누설전류의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누설전류 판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장치는, 배터리의 양극 및 음극 단자 사이의 제1선로 상에 설치된 전압 배분 노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자 선택 스위칭부는, 상기 전압 배분 노드와 배터리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 사이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스위치; 및 상기 전압 배분 노드로부터 연장된 제2선로 상에 설치된 제3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동 캐패시터는 상기 제2선로와 병렬로 배치된 제3선로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충전 스위칭부는, 상기 부동 캐패시터의 제1단자와 상기 선택된 전압 검출 경로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제4스위치와, 상기 부동 캐패시터의 제2단자와 접지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제5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극성 반전 스위칭부는, 상기 부동 캐패시터의 제1단자와 접지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제6스위치와, 상기 부동 캐패시터의 제2단자와 상기 선택된 전압 검출 경로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제7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누설전류 판별부는, 상기 단자 선택 스위칭부, 상기 충전 스위칭부 및 상기 극성 반전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기; 상기 양극 단자 측의 검출 전압과 음극 단자 측의 극성 반전된 검출 전압을 상기 부동 캐패시터로부터 센싱한 후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센싱기; 상기 출력된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디지털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 및 상기 A/D 변환기로부터 디지털 전압 신호를 입력 받아 누설저항을 계산한 후 상기 누설저항을 기준 절연저항과 대비하여 누설전류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중앙연산처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압 센싱기는 상기 부동 캐패시터로부터 인가되는 양극 단자 검출 전압과 극성이 반전된 음극 단자 검출 전압을 센싱하는 차동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누설전류 판별부는, 하기 수학식에 의해 누설저항을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Figure 112009049052104-pat00001
(여기서, Ri는 누설 전류 감지 장치의 내부 저항, E는 배터리 양단 전압, VA는 부동 캐패시터에 충전된 양극 단자의 검출 전압, VB는 부동 캐패시터에 충전된 음극 단자의 극성 반전된 검출 전압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누설전류 판별부는, 누설전류 발생 사실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경보하는 누설전류 경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누설전류 판별부는, 누설전류가 발생된 경우 상기 누설전류 경보기를 통해 누설전류 발생 사실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경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누설전류 판별부는, 상기 계산된 누설저항이 기준 절연저항보다 작으면 누설전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구동 장치 또는 배터리 팩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방법은, 배터리 양극 단자 측의 전압 검출 경로를 선택하여 배터리 양극 단자의 검출 전압을 부동 캐패시터에 충전시킨 후 충전된 양극 단자의 검출 전압을 센싱하는 단계; 배터리 음 극 단자 측의 전압 검출 경로를 선택하여 배터리 음극 단자의 검출 전압을 상기 부동 캐패시터에 충전시킨 후 충전된 음극 단자의 검출 전압을 반전시켜 센싱하는 단계; 센싱된 상기 양극 단자의 검출 전압과 음극 단자의 극성 반전된 검출 전압을 이용하여 누설저항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누설저항을 기준 절연저항과 대비하여 누설전류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부동 캐패시터가 포함된 간단한 누설전류 감지 회로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누설전류를 감지함으로써, 배터리의 누설전류 발생 시 이를 조기에 감지하여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누설전류로 인한 차량 내부 기기의 오작동 및 고장을 예방하고, 배터리의 누설전류로 인한 인명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부동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을 센싱하기 전에 부동 캐패시터를 배터리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므로 배터리로부터 유입되는 노이즈를 저감시켜 좀 더 정확한 누설전류 감지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극성 반전 스위칭부를 이용하여 부동 캐패시터에 충전된 배터리의 음극 단자 측 검출 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키므로 전압 센싱기에 동일한 극성의 검출 전압이 인가된다. 그 결과, 전압 센싱기의 회로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 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장치에 대한 회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장치(300)는, 부하 시스템(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다수의 셀이 집합된 배터리(200)의 양 단자에 연결되어 배터리(200)의 누설전류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부하 시스템(100)은 배터리(200)에서 출력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는 수단으로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이 고전압을 요구하는 시스템이다. 상기 부하 시스템(100)에서 전기에너지를 소모하는 부하(L)는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나, 배터리(20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레벨을 변환하여 주는DC to DC 컨버터 등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부하 시스템(100)이나 여기에 포함된 부하(L)의 종류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캐패시터 성분 C1은 부하 시스템(100)에서 발생되는 노이 즈(Noise)를 필터링하는 필터이고, 캐패시터 성분 C2 및 C3는 배터리(200)가 부하(L)에 접속될 때 배터리(200)와 부하(L) 사이에 고유하게 존재하게 되는 캐패시터 성분이다.
상기 배터리(200)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수단으로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재충전 가능한 다수의 단위 셀을 포함한다. 상기 단위 셀은 울트라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또는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늄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과 같은 공지의 2차 전지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장치(300)는, 배터리의 양극 단자(A) 또는 음극 단자(B)로부터 검출되는 전압을 충전하는 부동 캐패시터(C5)와, 상기 양극 단자(A) 또는 음극 단자(B) 측의 전압 검출 경로를 선택하는 단자 선택 스위칭부(SW1, SW2, SW3)와, 상기 선택된 전압 검출 경로로부터 검출되는 양극 단자(A) 또는 음극 단자(B) 측의 검출 전압을 상기 부동 캐패시터(C5)에 충전하는 충전 스위칭부(SW4, SW5)와, 상기 부동 캐패시터(C5)에 충전된 음극 단자(B) 측의 검출 전압 극성을 반전시키는 극성 반전 스위칭부(SW6, SW7)와, 상기 부동 캐패시터(C5)에 충전된 양극 단자(A) 측 검출 전압과 극성 반전된 음극단자(B) 측 검출 전압을 센싱하여 누설저항을 계산하고, 상기 누설저항을 기준 절연저항과 대비하여 누설전류의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누설전류 판별부(3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의 양극 단자(A)와 음극 단자(B) 사이에는 제1선로(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선로(1) 상의 전압 배분 노드(n1)로부터 제2선로(2)가 분기된다. 또한, 상기 제2선로(2)와 병렬로 제3선로(3)가 설치된다.
상기 단자 선택 스위칭부는, 제1스위치(SW1), 제2스위치(SW2) 및 제3스위치(SW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스위치(SW1) 및 상기 제2스위치(SW2)는 제1선로(1) 상에 설치된다. 상기 제1스위치(SW1)는 상기 전압 배분 노드(n1)와 배터리(200)의 양극 단자(A)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스위치(SW2)는 상기 전압 배분 노드(n1)와 배터리(200)의 음극 단자(B)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스위치(SW1)와 양극 단자(A) 사이에는 제1저항(R1)이, 상기 제2스위치(SW2)와 음극 단자(B) 사이에는 제2저항(R2)이 설치된다.
상기 제3스위치(SW3)는 전압 배분 노드(n1)로부터 연장된 제2선로(2) 상에 설치된다. 상기 전압 배분 노드(n1)와 제3스위치(SW3) 사이에는 제3저항(R3) 및 제4저항(R4)이 설치된다. 상기 제3저항(R3)과 제4저항(R4) 사이에는 잡음 제거용 캐패시터(C4)가 병렬로 설치된다.
상기 부동 캐패시터(C5)는 상기 제3선로(3)에 설치된다. 상기 부동 캐패시터(C5)에는 배터리(200)의 양극 단자(A) 또는 음극 단자(B) 측으로부터 인가되는 검출 전압이 충전된다.
상기 단자 선택 스위칭부(SW1, SW2, SW3)는 전압 검출 경로를 선택한다. 상기 전압 검출 경로는 양극 단자(A) 측의 전압 검출 경로와 음극 단자(B) 측의 전압 검출 경로를 포함한다. 양극 단자(A) 측의 전압 검출 경로는 상기 단자 선택 스위칭부의 제1스위치(SW1) 및 제3스위치(SW3)가 턴온되었을 때 선택된다. 반대로, 음극 단자(A) 측의 전압 검출 경로는, 상기 단자 선택 스위칭부의 제2스위치(SW2) 및 제3스위치(SW3)가 턴온되었을 때 선택된다.
상기 충전 스위칭부는 제4스위치(SW4) 및 제5스위치(SW5)를 포함한다. 상기 제4스위치(SW4)는 부동 캐패시터(C5)의 제1단자(Cupper)와, 양극 단자(A) 측 또는 음극 단자(B) 측 전압 검출 경로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한다. 그리고 제5스위치(SW5)는 부동 캐패시터(C5)의 제2단자(Clower)와 접지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한다. 상기 제4스위치(SW4) 및 제5스위치(SW5)는 부동 캐패시터(C5)에 양극 단자(A) 측 또는 음극 단자(B) 측 검출 전압이 충전될 때 턴온된다. 즉 양극 단자(A) 측의 전압 검출 경로가 선택된 상태에서 제4스위치(SW4) 및 제5스위치(SW4)가 턴온되면, 양극 단자(A) 측의 검출 전압이 부동 캐패시터(C5)에 충전된다. 그리고 음극 단자(B) 측의 전압 검출 경로가 선택된 상태에서 제4스위치(SW4) 및 제5스위치(SW5)가 턴온되면, 음극 단자(B) 측의 검출 전압이 부동 캐패시터(C5)에 충전된다.
상기 극성 반전 스위칭부는 제6스위치(SW6) 및 제7스위치(SW7)를 포함한다. 상기 제6스위치(SW6)는 부동 캐패시터(C5)의 제1단자(Cupper)와 접지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한다. 그리고 상기 제7스위치(SW7)는 부동 캐패시터(C5)의 제2단자(Clower)와 양극 단자(A) 측 또는 음극 단자(B) 측 전압 검출 경로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한다. 상기 제6스위치(SW6) 및 제7스위치(SW7)는 부동 캐패시터(C5)에 충전된 음극 단자(B) 측의 검출 전압 극성을 반전시킬 때 사용된다. 즉 부동 캐패시터(C5)에 음극 단자(B) 측의 검출 전압이 충전된 후 충전 스위칭부(SW4, SW5)를 턴오프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6스위치(SW6) 및 제7스위치(SW7)가 턴온되면, 부동 캐패시터(C5)에 충전된 음극 단자(B) 측의검출 전압 극성이 반전된다.
한편, 도면에서 배터리(200)의 양극 단자(A) 및 음극 단자(B) 측에 각각 표시된 양의 누설저항(Rleakage+) 및 음의 누설저항(Rleakage-)은 누설전류가 발생했을 때의 상황을 묘사한 것으로 누설전류가 발생하게 되면 나타나는 가상의 저항값을 등가로 표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누설전류 판별부(32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누설전류 판별부(320)는 전압 센싱기(321), A/D 변환기(322), 중앙연산처리기(323) 및 스위치 제어기(324)를 포함한다.
상기 전압 센싱기(321)는 부동 캐패시터(C5)에 충전된 양극 단자(A) 측 검출 전압과 극성이 반전된 음극 단자(B) 측 검출 전압을 순차적으로 센싱하여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아날로그 전압 신호는 양극 단자(A) 측 검출 전압에 대응하는 제1아날로그 전압 신호와 음극 단자(B) 측의극성 반전된 검출 전압에 대응하는 제2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A/D 변환기(322)는, 상기 전압 센싱기(32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디지털 전압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디지털 전압 신호는 양극 단자(A) 측의 검출 전압에 대응하는 제1디지털 전압 신호와 음극 단자(B) 측의 극성 반전된 검출 전압에 대응하는 제2디지털 전압 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연산처리기(323)는, 상기A/D 변환기(322)로부터 디지털 전압 신호를 입력받아 누설저항을 계산한다. 즉, 상기 중앙연산처리기(323)는 A/D 변환기(322)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화된 전압 신호를 양극 및 음극 단자 별로 구분하 고, 양극 및 음극 단자 별로 구분된 디지털화된 전압 신호를 이용하여 배터리(200)의 누설저항을 하기 수학식 1을 통해서 계산한다.
Figure 112009049052104-pat00002
(여기서, Ri는 누설전류 감지 장치의 내부 저항, E는 배터리 양단 전압, VA는 부동 캐패시터에 충전된 양극 단자(A)의 검출 전압, VB는 부동 캐패시터에 충전된 음극 단자(B)의 극성 반전된 검출 전압이다. 도 1에 도시된 회로에서, R1=R2이면, Ri=R1+R3+R4=R2+R3+R4이다. 상기 수학식1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므로 누설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회로 구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연산처리기(323)는 상기 계산된 누설저항을 미리 설정된 기준 절연저항과 대비하여 누설전류 발생 여부를 판별한다. 즉 상기 중앙연산처리기(323)는 계산된 누설저항이 기준 절연저항보다 작으면 누설전류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판별한다.
상기 스위치 제어기(324)는 상기 중앙연산처리기(323)의 통제에 따라 상기 단자 선택 스위칭부(SW1, SW2, SW3), 상기 충전 스위칭부(SW4, SW5) 및 상기 극성 반전 스위칭부(SW6, SW7)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상기 스위치 제어기(324)는 배터리(200)의 양극 및 음극 단자(A, B)로부터 교번적으로 출력되는 검출 전압을 상기 부동 캐패시터(C5)에 일시적으로 저장하 고, 이렇게 저장된 검출 전압이 상기 전압 센싱기(321)로 인가될 수 있도록 상기 단자 선택 스위칭부(SW1, SW2, SW3), 상기 충전 스위칭부(SW4, SW5) 및 상기 극성 반전 스위칭부(SW6, SW7)의 턴온과 턴오프를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양극 단자(A) 측의검출 전압을 측정할 경우, 상기 스위치 제어기(324)는 극성 반전 스위칭부(SW6, SW7)를 턴오프시킨 상태에서 단자 선택 스위칭부의 제2스위치(SW3)는 턴오프시키고 제1스위치(SW1)와 제3스위치(SW3)는 턴온시킨다. 그러면 양극 단자(A) 측의전압 검출 경로가 선택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 제어기(324)는 충전 스위칭부(SW4, SW5)를 턴온시킨다. 그러면 양극 단자(A)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전압이 상기 부동 캐패시터(C5)에 충전된다. 여기서, 양극 단자(A)의 검출 전압이 충전될 때 충전전류의 방향은 Ⅰ 방향이다. 그런 다음, 상기 스위치 제어기(324)는 단자 선택 스위칭부의 제3스위치(SW3)를 턴오프시켜 부동 캐패시터(C5)를 배터리의 양극 단자(A)와 전기적으로 분리시킨다. 이 상태에서, 전압 센싱기(321)는 부동 캐패시터(C5)에 충전된 검출 전압을 센싱하여 배터리(200)의 양극 단자(A) 측 검출 전압에 해당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A/D 변환기(322)로 출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압 센싱기(321)는 부동 캐패시터(C5)의 양 단자 사이의 전압 차를 센싱하는 차동 증폭기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음극 단자(B) 측의극성 반전된 검출 전압을 측정할 경우, 상기 스위치 제어기(324)는 극성 반전 스위칭부(SW6, SW7)를 턴오프시킨 상태에서 단자 선택 스위칭부의 제1스위치(SW3)는 턴오프시키고 제2스위치(SW2)와 제3스위치(SW3)를 턴온시킨다. 그러면 음극 단자(B) 측의 전압 검출 경로가 선택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 제어기(324)는 충전 스위칭부(SW4, SW5)를 턴온시킨다. 그러면 음극 단자(B)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전압이 부동 캐패시터(C5)에 충전된다. 여기서, 음극 단자(B)의 검출 전압이 충전될 때 충전전류의 방향은 Ⅱ 방향이다. 따라서 부동 캐패시터(C5)에 충전된 음극 단자(B)의 검출 전압은 양극 단자(A)의 검출 전압과 극성이 반대가 된다. 한편, 전압 센싱기(321)는 차동 증폭기를 포함하는데, 양극 단자(A)의 검출 전압을 센싱할 때 사용한 차동 증폭기를 그대로 사용하기 위해 부동 캐패시터(C5)에 충전된 음극 단자(B)의 검출 전압에 대한 극성을 반전시킨다. 즉, 상기 부동 캐패시터(C5)에 음극 단자(B)의 검출 전압이 충전되면, 단자 선택 스위칭부의 제3스위치(SW3)를 턴오프시켜 부동 캐패시터(C5)를 배터리의 음극 단자(B)와 전기적으로 분리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 제어기(324)는 충전 스위칭부(SW4, SW5)를 턴오프시키고 극성 반전 스위칭부(SW6, SW7)를 턴온시킨다. 그러면 부동 캐패시터(C5)에 충전된 음극 단자(B)의 검출 전압 극성이 반전된다. 그 후, 상기 전압 센싱기(321)는 부동 캐패시터(C5)의 양쪽 단자에 충전된 극성 반전된 검출 전압을 센싱하여 배터리(200)의 음극 단자(B) 측 검출 전압에 해당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A/D 변환기(322)로 출력한다. 이 때, 상기 전압 센싱기(321)는 양극 단자(A) 측의 검출 전압 센싱 시와 동일한 극성의 검출 전압을 센싱한다. 따라서 상기 전압 센싱기(321)는 양극 단자(A) 및 음극 단자(B) 측으로부터 인가되는 검출 전압을 센싱하기 위해 하나의 차동 증폭기만을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누설전류 판별부(320)는 누설전류 발생 여부에 대한 판별 결과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누설전류 판별부(320)는 누설전류 경보기(32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경우, 상기 누설전류 판별부(320)는 누설전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면, 누설전류 발생 사실을 누설전류 경보기(325)를 통해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경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누설전류 경보기(325)는 LED, LCD, 알람 경보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므로 여러 가지 변형된 형태의 시각적 또는 청각적 알람 장치가 누설전류 경보기(325)로 채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누설전류 발생 사실에 대한 경보를 위해, 상기 중앙연산처리기(323)는 상기 계산된 누설저항과 기준 절연 저항을 비교하고 상기 계산된 누설저항이 기준 절연 저항보다 작으면 누설전류 발생 신호를 상기 누설전류 경보기(325)로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누설전류 경보기(325)는 미리 정해진 방식에 따라 누설전류 발생 사실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경보한다. 예를 들어, 상기 누설전류 경보기(325)는 LED를 점멸하거나 LCD에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알람 경보기로 경고음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누설전류 발생 사실을 경보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장치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배터리 구동 장치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본발명은 노트북, 휴대폰, 개인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와 같이 배터리로부터 구동 전압을 공급받는 각종 전자 제품에 포함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 발명은 화석연료 자동차,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전거와 같이 배터리가 탑재된 각종 동력 장치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장치는, PCB 회로 또는 주문형 반도체 회로(ASIC)로 모듈화하여 배터리 팩 내에 탑재할 수 있을 것임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하기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의 수행 주체는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중앙연산처리기(323)이고, 각 스위치의 동작 과정에서 중앙연산처리기(323)에 의한 스위치 제어기(324)의 제어가 수반된다는 점을 미리 밝혀둔다.
먼저, 단계(S100)에서, 배터리(200)의 양극 단자(A)에서 출력되는 검출 전압을 센싱하기 위해, 단자 선택 스위칭부의 제2스위치(SW2)와 극성 반전 스위칭부(SW6, SW7)를 턴오프시킨 상태에서 단자 선택 스위칭부의 제1스위치(SW1) 및 제3스위치(SW3)와 충전 스위칭부(SW4, SW5)를 턴온시킨다. 그러면, 양극 단자(A)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전압이 상기 부동 캐패시터(C5)에 충전된다. 이 상태에서, 단자 선택 스위칭부의 제3스위치(SW3)를 턴오프시켜 부동 캐패시터(C5)를 배터리(200)의 양극 단자(A)와 전기적으로 분리시킨다. 그리고, 부동 캐패시터(C5)에 충전된 양극 단자(A)의 검출 전압을 전압 센싱기(321)를 이용하여 센싱한다. 즉, 상기 전압 센싱기(321)는 양극 단자(A)의 검출 전압을 센싱하여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A/D 변환기(322)로 출력한다. 이에 응답하여, 상기 A/D 변환기(322)는 아날로그 전압신호를 디지털화된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중앙연산처리기(323)로 입력한다.
다음으로, 단계(S200)에서, 배터리(200)의 음극 단자(B)에서 출력되는 검출 전압을 센싱하기 위해, 단자 선택 스위칭부의 제1스위치(SW1)와 극성 반전 스위칭부(SW6, SW7)를 턴오프시킨 상태에서 단자 선택 스위칭부의 제2스위치(SW2) 및 제3스위치(SW3)와 충전 스위칭부(SW4, SW5)를 턴온시킨다. 그러면 음극 단자(B)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전압이 상기 부동 캐패시터(C5)에 충전된다. 이 상태에서, 단자 선택 스위칭부의 제3스위치(SW3)를 턴오프시켜 부동 캐패시터(C5)를 배터리(200)의 음극 단자(B)와 전기적으로 분리시킨다. 그런 다음, 충전 스위칭부(SW4, SW5)는 턴오프시키고, 극성 반전 스위칭부(SW6, SW7)는 턴온시켜 부동 캐패시터(C5)에 충전된 음극 단자(B)의 검출 전압에 대한 극성을 반전시킨다. 이 상태에서, 전압 센싱기(321)를 이용하여 음극 단자(B)의 극성 반전된 검출 전압을 센싱한다. 즉 상기 전압 센싱기(321)는 음극 단자(B)의 극성 반전된 검출 전압을 센싱하여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A/D 변환기(322)로 출력한다. 이에 응답하여 상기 A/D 변환기(322)는 아날로그 전압신호를 디지털화된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중앙연산처리기(323)로 입력한다.
단계(S300)에서는, 상기 S100 단계와 S200 단계에서 출력된 양극 및 음극 단자(A, B)의 전압 신호를 이용하여 누설저항을 계산한다. 누설저항의 계산 방식은 이미 상술한 바 있다.
단계(S400)에서는, 상기 S300 단계에서 계산된 누설저항과 기준 절연저항을 대비하여 계산된 누설저항이 기준 절연저항보다 작은지 판단한다.
단계(S500)은, 상기 S400 단계에서 계산된 누설저항이 기준 절연저항보다 크거나 같을 때 수행되는 단계로 배터리에서 누설전류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 한다.
단계(S600)은, 상기 S400 단계에서 계산된 누설저항이 기준 절연저항보다 작을 때 수행되는 단계로 배터리에서 누설전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별한다.
단계(S700)에서는, 상기 S600 단계에서 배터리에서 누설전류가 발생하였다고 판별되면 누설전류 발생 사실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경보한다.
상술한 S100 단계에서 S700 단계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시스템이 작동하고 있는 동안 누설전류 감지가 필요할 때에만 선택적으로 진행되거나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자동적으로 반복 진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누설전류 감지 장치에 대한 회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누설전류 판별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누설전류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16)

  1. 배터리의 양극 단자 또는 음극 단자로부터 검출되는 전압을 충전하는 부동 캐패시터;
    상기 양극 또는 음극 단자 측의 전압 검출 경로를 선택하는 단자 선택 스위칭부;
    상기 선택된 전압 검출 경로로부터 검출되는 양극 또는 음극 단자 측의 검출 전압을 상기 부동 캐패시터에 충전시키는 충전 스위칭부;
    상기 부동 캐패시터에 충전된 음극 단자 측의 검출 전압 극성을 반전시키는 극성 반전 스위칭부; 및
    상기 부동 캐패시터에 충전된 양극 단자 측 검출 전압과 극성 반전된 음극 단자 측 검출 전압을 센싱하여 누설저항을 계산하고, 상기 누설저항을 기준 절연저항과 대비하여 누설전류의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누설전류 판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배터리의 양극 및 음극 단자 사이의 제1선로 상에 설치된 전압 배분 노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자 선택 스위칭부는,
    상기 전압 배분 노드와 배터리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 사이에 각각 설치 된 제1 및 제2스위치; 및
    상기 전압 배분 노드로부터 연장된 제2선로 상에 설치된 제3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동 캐패시터는 상기 제2선로와 병렬로 배치된 제3선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위칭부는, 상기 부동 캐패시터의 제1단자와 상기 선택된 전압 검출 경로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제4스위치와, 상기 부동 캐패시터의 제2단자와 접지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제5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반전 스위칭부는, 상기 부동 캐패시터의 제1단자와 접지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제6스위치와, 상기 부동 캐패시터의 제2단자와 상기 선택된 전압 검출 경로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제7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전류 판별부는,
    상기 단자 선택 스위칭부, 상기 충전 스위칭부 및 상기 극성 반전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기;
    상기 양극 단자 측의 검출 전압과 음극 단자 측의 극성 반전된 검출 전압을 상기 부동 캐패시터로부터 센싱한 후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센싱기;
    상기 출력된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디지털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 및
    상기 A/D 변환기로부터 디지털 전압 신호를 입력받아 누설저항을 계산한 후 상기 누설저항을 기준 절연저항과 대비하여 누설전류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중앙연산처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센싱기는 상기 부동 캐패시터로부터 인가되는 양극 단자의 검출 전압과 극성이 반전된 음극 단자의 검출 전압을 센싱하는 차동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전류 판별부는, 하기 수학식에 의해 누설저항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장치.
    <수학식>
    Figure 112009049052104-pat00003
    (여기서, Ri는 누설전류 감지 장치의 내부 저항, E는 배터리 양단 전압, VA는 부동 캐패시터에 충전된 양극 단자의 검출 전압, VB는 부동 캐패시터에 충전된 음극 단자의 극성 반전된 검출 전압이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전류 판별부는,
    누설전류 발생 사실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경보하는 누설전류 경보기를 포함하고, 누설전류가 발생된 경우 상기 누설전류 경보기를 통해 누설전류 발생 사실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전류 판별부는, 상기 계산된 누설저항이 기준 절연저항보다 작으면 누설전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장치.
  11. 제1항 내지 제3항과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구동 장치.
  12. 제1항 내지 제3항과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13. (a) 배터리 양극 단자 측의 전압 검출 경로를 선택하여 배터리 양극 단자의 검출 전압을 부동 캐패시터에 충전시킨 후 충전된 양극 단자의 검출 전압을 센싱하는 단계;
    (b) 배터리 음극 단자 측의 전압 검출 경로를 선택하여 배터리 음극 단자의 검출 전압을 상기 부동 캐패시터에 충전시킨 후 충전된 음극 단자의 검출 전압을 반전시켜 센싱하는 단계;
    (c) 센싱된 상기 양극 단자의 검출 전압과 음극 단자의 극성 반전된 검출 전압을 이용하여 누설저항을 계산하는 단계; 및
    (d) 상기 누설저항을 기준 절연저항과 대비하여 누설전류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누설저항은 하기 수학식에 의해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방법.
    <수학식>
    Figure 112009049052104-pat00004
    (여기서, Ri는 누설전류 감지 장치의 내부 저항, E는 배터리 양단 전압, VA는 부동 캐패시터에 충전된 양극 단자의 검출 전압, VB는 부동 캐패시터에 충전된 음극 단자의 극성 반전된 검출 전압이다.)
  15. 제13항에 있어서,
    누설전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면, 누설전류 발생 사실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경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계산된 누설저항이 기준 절연 저항보다 작은 경우 누설전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방법.
KR1020090073992A 2008-08-11 2009-08-11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구동 장치 및 배터리 팩 KR1009842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499 2008-08-11
KR20080078499 2008-08-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976A KR20100019976A (ko) 2010-02-19
KR100984241B1 true KR100984241B1 (ko) 2010-09-28

Family

ID=41669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992A KR100984241B1 (ko) 2008-08-11 2009-08-11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구동 장치 및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07741B2 (ko)
EP (1) EP2322945B1 (ko)
JP (1) JP5705730B2 (ko)
KR (1) KR100984241B1 (ko)
CN (1) CN102119336B (ko)
WO (1) WO201001895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4532A (ko) * 2014-01-14 2015-07-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절연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350B1 (ko) * 2007-08-08 2010-07-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의 누설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354583B1 (ko) * 2010-09-17 2014-01-2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누설전류를 발생시키지 않고 셀프 테스트 기능을 가진 절연저항 측정회로
EP2693597B1 (en) * 2011-03-31 2023-10-25 Renesas Electronics Corporation Voltage monitoring module and voltage monitoring system using same
US9404956B2 (en) * 2011-12-19 2016-08-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with selectable battery pack isolation detection circuitry using precision resistors
DE102012204990A1 (de) * 2012-03-28 2013-10-02 Robert Bosch Gmbh Schalt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r Potentialtrennung
DE102012222920A1 (de) * 2012-12-12 2014-06-12 Robert Bosch Gmbh Batteriesystem mit einer Messeinrichtung zum Messen des Isolationswiderstands eines Hochvolt-Netzes gegenüber einem hiervon galvanisch getrennten Masseanschluss
JP5642146B2 (ja) * 2012-12-19 2014-12-17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漏電検知装置
US9194904B2 (en) * 2013-06-20 2015-11-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leakage paths in a battery sensing circuit
FR3010794B1 (fr) 2013-09-13 2015-10-09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de detection d'un defaut d'isolement destine a tester un defaut d'isolement en conditions critiques
KR101512395B1 (ko) * 2013-10-08 2015-04-16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절연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CN103675701B (zh) * 2013-11-29 2016-08-2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电池剩余电量的更正方法及装置
US9308826B2 (en) * 2013-12-19 2016-04-12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to detect leakage current between power sources
US9758044B2 (en) 2014-10-02 2017-09-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us leakage resistance estimation for electrical isolation testing and diagnostics
KR101771226B1 (ko) * 2014-10-02 2017-09-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속하게 절연 저항을 측정할 수 있는 절연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US9579977B2 (en) 2015-01-28 2017-02-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us leakage resistance estimation for electric vehicle
WO2017139289A1 (en) 2016-02-08 2017-08-17 VoltServer, Inc. Digital electricity transmission system using reversal sensing packet energy transfer
TWI811718B (zh) 2016-03-16 2023-08-11 澳門商創科(澳門離岸商業服務)有限公司 具有無線通訊的電動工具蓄電池組
JP6753715B2 (ja) * 2016-07-20 2020-09-09 株式会社東芝 漏電検出装置および漏電検出方法
CN108333515B (zh) * 2017-01-20 2021-03-12 硕天科技股份有限公司 可显示电池内阻信息的不断电系统
JP6809911B2 (ja) * 2017-01-20 2021-01-06 矢崎総業株式会社 差電圧測定装置
KR102069942B1 (ko) 2017-01-24 2020-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음극 릴레이를 이용한 배터리팩의 절연저항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US10895592B2 (en) 2017-03-24 2021-01-19 Rosemount Aerospace Inc. Probe heater remaining useful life determination
US10914777B2 (en) 2017-03-24 2021-02-09 Rosemount Aerospace Inc. Probe heater remaining useful life determination
US11060992B2 (en) 2017-03-24 2021-07-13 Rosemount Aerospace Inc. Probe heater remaining useful life determination
CN107229018A (zh) * 2017-05-31 2017-10-03 深圳市靖洲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车电池组漏电流检测方法
KR102474362B1 (ko) * 2017-11-17 2022-12-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누설 전류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KR102259382B1 (ko) * 2017-12-15 2021-06-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누전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8407868A (zh) * 2018-01-31 2018-08-17 乐志堡 一种电力施工用稳定型小推车
FI127776B (en) * 2018-02-08 2019-02-15 Akkurate Oy SYSTEM FOR DETERMINING THE INTERNAL BATTERY LEAKER FLOW INDICATOR
JP6725577B2 (ja) * 2018-04-09 2020-07-22 矢崎総業株式会社 地絡検出装置
JP6781212B2 (ja) * 2018-08-23 2020-11-04 矢崎総業株式会社 地絡検出装置
JP7100554B2 (ja) * 2018-10-03 2022-07-13 株式会社Soken 漏電判定装置
US10962580B2 (en) 2018-12-14 2021-03-30 Rosemount Aerospace Inc. Electric arc detection for probe heater PHM and prediction of remaining useful life
US11061080B2 (en) 2018-12-14 2021-07-13 Rosemount Aerospace Inc. Real time operational leakage current measurement for probe heater PHM and prediction of remaining useful life
JP6918428B2 (ja) * 2018-12-18 2021-08-11 矢崎総業株式会社 地絡検出装置
DE102018132775A1 (de) * 2018-12-19 2020-06-25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chalt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chaltungsvorrichtung
US11639954B2 (en) 2019-05-29 2023-05-02 Rosemount Aerospace Inc. Differential leakage current measurement for heater health monitoring
US11930563B2 (en) * 2019-09-16 2024-03-12 Rosemount Aerospace Inc. Monitoring and extending heater life through power supply polarity switching
CN110632524B (zh) * 2019-11-20 2020-02-18 新誉轨道交通科技有限公司 电池组绝缘检测系统、电池组系统及工作方法
US11175350B2 (en) * 2020-04-20 2021-11-16 Lear Corporation Leakage current monitoring system
US11630140B2 (en) 2020-04-22 2023-04-18 Rosemount Aerospace Inc. Prognostic health monitoring for heater
US11506696B2 (en) * 2020-10-15 2022-11-22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Hold-up capacitance health measurement with current leakage detection
CN113310647B (zh) * 2021-06-30 2022-11-15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电池包泄露检测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466720B (zh) * 2021-07-06 2022-11-22 上汽大众动力电池有限公司 一种实车锂电池漏电流检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1007A (en) 1996-08-19 1998-10-13 Motorola, Inc. Power source for an electrical device
JP2008131675A (ja) 2006-11-16 2008-06-05 Toyota Industries Corp 電源装置及び漏電検出方法
KR20090015330A (ko) * 2007-08-08 2009-0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의 누설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090024573A (ko) * 2007-09-04 2009-03-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의 누설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4475A (ja) * 1989-08-28 1991-04-10 Toyo Commun Equip Co Ltd 直流回路の絶縁抵抗測定方法
JPH04192615A (ja) * 1990-11-24 1992-07-10 Nec Corp 電荷転送回路
JP3480019B2 (ja) * 1993-12-29 2003-12-15 松下電工株式会社 漏洩判別方法及びその装置
JP3224977B2 (ja) * 1994-12-12 2001-11-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非接地電源の絶縁検出方法及び装置
JPH09274062A (ja) * 1996-04-08 1997-10-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漏電検出装置
JP4287096B2 (ja) * 2002-06-02 2009-07-01 富士重工業株式会社 組電池システムおよび組電池システムの漏洩電流計測方法
JP3890502B2 (ja) * 2002-11-18 2007-03-07 矢崎総業株式会社 非接地電源の絶縁検出装置
JP4326415B2 (ja) * 2004-07-06 2009-09-09 三洋電機株式会社 車両用の電源装置
US20060021677A1 (en) * 2004-07-28 2006-02-02 Robert Hart Apparatus and method for vertically adjusting a saw box
JP2006343267A (ja) * 2005-06-10 2006-12-2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直流回路の絶縁抵抗測定器、静電容量測定器、絶縁抵抗測定方法および静電容量測定方法
JP5295484B2 (ja) * 2006-01-26 2013-09-18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漏電チェッカ
JP4705495B2 (ja) * 2006-03-23 2011-06-22 株式会社ケーヒン 漏電検出回路およびバッテリ電子制御装置
JP4241787B2 (ja) * 2006-09-06 2009-03-18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組電池総電圧検出およびリーク検出装置
EP2122380A4 (en) * 2007-01-07 2014-01-08 Enerdel Inc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SERIES-MOUNTED CELL VOLTAGES USING A FLYING CAPACI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1007A (en) 1996-08-19 1998-10-13 Motorola, Inc. Power source for an electrical device
JP2008131675A (ja) 2006-11-16 2008-06-05 Toyota Industries Corp 電源装置及び漏電検出方法
KR20090015330A (ko) * 2007-08-08 2009-0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의 누설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090024573A (ko) * 2007-09-04 2009-03-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의 누설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4532A (ko) * 2014-01-14 2015-07-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절연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675191B1 (ko) * 2014-01-14 2016-1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절연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530710A (ja) 2011-12-22
JP5705730B2 (ja) 2015-04-22
CN102119336A (zh) 2011-07-06
KR20100019976A (ko) 2010-02-19
EP2322945A4 (en) 2013-10-30
EP2322945B1 (en) 2014-11-26
US20100156426A1 (en) 2010-06-24
WO2010018959A3 (ko) 2010-06-10
CN102119336B (zh) 2013-11-20
US8207741B2 (en) 2012-06-26
WO2010018959A2 (ko) 2010-02-18
EP2322945A2 (en)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4241B1 (ko)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구동 장치 및 배터리 팩
KR100958795B1 (ko)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구동 장치 및 배터리 팩
KR101291724B1 (ko) 배터리의 누설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JP5861954B2 (ja) バッテリーの絶縁抵抗測定装置及び方法
KR100968350B1 (ko) 배터리의 누설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US9024769B2 (en) Isolation resistance measuring apparatus having fault self-diagnosing function and fault self-diagnosing method using the same
US86435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abnormality in cell balancing circuit
EP2544013A1 (en) Abnormality diagnostic device and method of cell balancing circuits
EP2720056A1 (en) Insulation resistance measurement device having failure self-diagnosis function, and self-diagnosis method using same
KR20200041711A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572650B1 (ko) 배터리 뱅크의 불균형 진단 장치 및 방법
EP4099034A1 (en) Relay diagnosis device, relay diagnosis method, battery system, and electric vehicle
JP2021173551A (ja) 組電池の状態判定装置および状態判定方法
JP2024505902A (ja) バッテリー診断装置、バッテリーパック、電気車両、及びバッテリー診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