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331B1 - 조명용 등기구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용 등기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331B1
KR100973331B1 KR1020100014464A KR20100014464A KR100973331B1 KR 100973331 B1 KR100973331 B1 KR 100973331B1 KR 1020100014464 A KR1020100014464 A KR 1020100014464A KR 20100014464 A KR20100014464 A KR 20100014464A KR 100973331 B1 KR100973331 B1 KR 100973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eating plate
bracket
plate
moun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신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신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신전자
Priority to KR1020100014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33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502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 F21V29/507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of means for 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e.g.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용 등기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엘이디 소자가 배치된 회로기판과; 상기 엘이디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내부에 방열공간을 형성하며 양단이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는 하우징 - 상기 하우징은,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안착플레이트와 대향되게 마련되는 장착플레이트와, 상기 안착플레이트 및 장착플레이트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양 측벽을 포함하되, 상기 회로기판은 통 외부를 향하는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안착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장착됨-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회로기판으로부터 상기 안착플레이트를 통해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히트싱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전원공급부를 하우징 외부에 설치하고, 내부의 방열공간에 히트싱크를 설치함으로써 방열면적을 극대화하여 방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용 등기구 장치{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조명용 등기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등기구 장치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우수하고, 발광소자로부터 발생된 열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출하여 방열효율을 향상시키는 한편, 등기 장치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개선한 조명용 등기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명용 등기구 장치는 가로등, 일반 사무용 투광등 또는 가정용으로 그 활용범위가 매우 넓은 장치이며, 최근에는 엘이디가 친환경 광원으로 각광받으면서 이를 이용한 다양한 등기구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 엘이디소자를 이용한 일반적인 등기구 장치는 통형상을 갖는 하우징의 의 일측면에 엘이디소자가 배치된 회로기판을 장착하여 조광면을 형성하고, 하우징의 내부에는 엘이디소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설치하는 구조로 마련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등기구 장치는 전원공급부가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므로 전원공급부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전원공급부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등기구 장치 전체를 다시 분해한 후 조립해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하우징 내부에 전원공급부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해야 하므로 등기구장치 자체가 커져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한편, 등기구장치를 설치하는 작업도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엘이디소자는 발광시 많은 열을 발생하는 바, 발생된 열은 일반적으로 하우징을 따라 전달되어 외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하우징의 내외부에 다수의 방열핀을 형성하여 방열면적을 극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의 등기구장치는 하우징 내부에 전원공급장치가 설치되므로 방열면적을 늘리는데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전원공급부 자체에서 발생되는 열까지 더해져 등기구 장치 전체의 방열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등기구 장치는 일반적으로 설치대 등에 고정되어 사용되는데, 등기구 장치 자체가 갖는 중량 때문에 등기구 장치를 힘들게 설치대에 접근 시킨 후,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해야 하므로 설치가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등기구를 받치는 작업과 체결하는 작업을 동시에 해야 하므로 2인 이상의 작업자가 필요하므로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등기구 장치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우수하고, 발광소자로부터 발생된 열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출하여 방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명용 등기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등기구 장치의 설치작업이 용이할 뿐 아니라 1인의 작업자로도 설치가 가능한 조명용 등기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명용 등기구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엘이디 소자가 배치된 회로기판과; 상기 엘이디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내부에 방열공간을 형성하며 양단이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는 하우징 - 상기 하우징은,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안착플레이트와 대향되게 마련되는 장착플레이트와, 상기 안착플레이트 및 장착플레이트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양 측벽을 포함하되, 상기 회로기판은 통 외부를 향하는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안착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장착됨-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회로기판으로부터 상기 안착플레이트를 통해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히트싱크;를 포함하는 조명용 등기구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히트싱크는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내측면에 면접촉하는 판상의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에 장착된 다수의 방열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방열핀의 모양은 제한없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양단부와 상기 양 측벽사이에는 상기 접촉부가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되며 결합되어 상기 안착플레이트에 접촉되게하는 슬라이딩홈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는 히트싱크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히트싱크를 안착플레이트에 접촉시킨 후에는 필요에 따라 접촉을 고정하는 방법이 더 사용될 수 있다. 이는 히트싱크와 안착플레이트를 면접촉하게 함으로써 열전달율을 증가시켜 방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 상기 회로기판과 안착플레이트 사이 또는 상기 안착플레이트와 접촉부 사이 중 하나 이상에 열전도성 접착제를 통하여 접착할 수도 있고, 안착플레이트와 접촉부를 다수의 스크류를 통하여 체결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양 측벽의 내외측면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안착플레이트로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 증가된 방열면적을 갖는 다수의 방열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이 설치되는 설치대 사이에 마련되는 장착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착브라켓은 상기 설치대측에 결합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장착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제2브라켓의 단부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플레이트에는 상기 플랜지부가 슬라이딩되며 결합될 수 있는 가이드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는 상기 플랜지부가 장착위치에서 정지되도록 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위치에서 상기 플랜지부와 가이드부가 상호 스크류체결될 수 있다. 이는 종래 조명용 등기구 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 설치대에 설치할 때 등기구 장치를 직접들고 고정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추가로,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설치대에 대하여 좌우 또는 상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회동브라켓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은 열도성 재질로 마련되어 엘이디소자에서 발생된 열이 하우징 전체를 통해 히트싱크 또는 방열부를 거쳐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용 등기구 장치는 전원공급부를 하우징 외부에 설치하고, 내부의 방열공간에 히트싱크를 설치함으로써 방열면적을 극대화하여 방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안착플레이트의 양측면에 회로기판과 접촉부를 맞대어 설치함으로써 열전달율이 향상되어 방열효율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조명용 등기구가 장시간 사용되는 경우에도 엘이디소자의 열화를 방지하여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용 등기구 장치는 전원공급부가 하우징 외부에 마련되므로, 등기구 장치를 조립할 때 전원공급부를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는 것보다 조립이 간단하여 조립공정이 용이할 뿐 아니라, 전원공급부를 교체해야 할 경우 하우징 전체를 다시 분리하여 조립할 필요가 없이 외부에서 전원공급부를 탈부착하기만 하면 되므로 교체작업이 훨씬 용이하다. 더우기, 등기구 장치를 설치대에서 분리할 필요가 없는 장점도 있다.
또한, 무거운 등기구 장치를 직접 들고 설치대에 바로 설치해야 하는 불편이 없으며, 1인의 작업자로도 쉽게 등기구 장치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용 등기구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용 등기구 장치의 조립도로서, 저면의 장착플레이트에서 본 사시도,
도 3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용 등기구 장치의 장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용 등기구 장치(1)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횡단보도용 조명등기구로 사용될 수도 있고, 차도 또는 보도의 가로등이나, 일반 사무실 또는 가정의 조명등 등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용 등기구 장치(1)는, 다수의 엘이디소자(2)가 배치된 회로기판(10)과, 엘이디소자(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0)와, 내부에 방열공간을 형성하며 양단이 개구된 통형상의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 내부에 마련되는 히트싱크(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용 등기구 장치(1)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으로서 엘이디소자(2)가 사용된다. 적용되는 엘이디소자(2)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타입과 모양 및 색깔이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엘이디소자(2) 이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광원 즉, 냉음극형광(CCFL)이나, 백열등, OLED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엘이디소자(2)는 회로기판(10)에 다수개가 장착되며, 전원공급부(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한다. 회로기판(10)에 배치되는 엘이디소자(2)의 모양 및 개수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슴은 물론이다.
하우징(30)은 내부에 방열공간을 형성하며 양단이 개구된 통형상으로 마련된다. 하우징(30)은 안착플레이트(31)와 장착플레이트(33)와, 양 측벽을 포함한다.
안착플레이트(31)의 외측면에는 회로기판(10)이 안착된다.
안착플레이트(31)는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안착되는 회로기판(10)의 모양과 크기에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안착플레이트(31)에는 2이상의 회로기판(10)이 안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안착플레이트(31)는 안착된 회로기판(10)을 통하여 엘이디소자(2)에서 발생된 열을 전달받는다. 이 경우, 엘이디소자(2)에서 발생된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받기 위하여 안착플레이트(31)는 회로기판(10)과 면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밀한 접촉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체결공을 통하여 안착플레이트(31)와 회로기판(10)을 상호 밀착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10)과 안착플레이트(31) 사이에는 열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함으로써 열전달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회로기판(10)을 통하여 전달된 열은 안착플레이트(31)의 반대측에 접촉하고 있는 히트싱크(40)로 전달되어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회로기판(10)의 상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이디소자(2) 및 회로기판(10)을 보호하기 위한 투명커버(3)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안착플레이트(31)의 양측 단부에는 투명커버(3)를 지지하는 상부플랜지(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장착플레이트(3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플레이트(31)와 마주보며 마련되며, 외측면에는 전원공급부(20)가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용 등기구 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20)가 하우징(30) 외부에 마련된다. 따라서, 등기구 장치(1)를 조립할 때 전원공급부(20)를 하우징(30) 내부에 설치하는 것보다 조립이 간단하여 조립공정이 용이할 뿐 아니라, 전원공급부(20)를 교체해야 할 경우 하우징(30) 전체를 다시 분리하여 조립할 필요가 없이 외부에서 전원공급부(20)를 탈부착하기만 하면 되므로 교체작업이 훨씬 용이하다. 더우기, 등기구 장치(1)를 설치대에서 분리할 필요가 없는 장점도 있다.
양 측벽(36)은 안착플레이트(31)와 장착플레이트(33)의 양 단부를 상호 연결하여 하우징(30)이 전체적으로 통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양 측벽의 내외측면 중 하나 이상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플레이트(31)로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 증가된 방열면적을 갖는 다수의 방열부(38)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방열부(38)의 형상 및 개수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장착플레이트(33)의 외측면 중 전원공급부(20)가 설치되지 않은 영역에 추가로 방열부(38)를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30)은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알루미늄, 스틸과 같은 열전도성 재질로 마련되어 방열효율을 극대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트싱크(40)는 하우징(30) 내부에 마련되어 회로기판(10)으로부터 안착플레이트(31)를 통해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방출한다.
히트싱크(40)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플레이트(31)의 내측면에 면접촉하는 판상의 접촉부(41)와, 접촉부(41)에 장착된 다수의 방열핀(43)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접촉부(41)는 안착플레이트(31)의 모양 및 크기에 대응하는 판상으로 마련되어 안착플레이트(31)와 면접촉함으로써 회로기판(10)으로부터 안착플레이트(31)를 통해 전달되는 열을 흡수한다. 여기서, 안착플레이트(31)와 접촉부(41) 사이의 기밀한 밀착을 위하여 열전도성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안착플레이트(31)와 접촉부(41)의 고정은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10)과 안착플레이트(31) 및 접촉부(41)를 모두 관통하는 체결공(75)을 형성하여 한번에 스크류체결을 할 수도 있다. 또는, 도 3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플레이트(31)의 양 단부와 양 측벽(36) 사이에 히트싱크(40)의 접촉부(41)가 하우징(30)에 슬라이딩되며 결합되어 안착플레이트(31)에 접촉되게 하는 슬라이딩홈(37)을 형성하여 슬라이딩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딩 결합의 경우, 추가적으로 전술한 스크류 체결을 통하여 단단히 고정할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접촉부(41)와 안착플레이트(31) 사이에 열전도성 접착제를 개재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슬라이딩홈(37)을 마련할 경우에는 하우징(30) 내부에 히트싱크(40)를 장착하는 것이 용이할 뿐 아니라 추가적으로 스크류체결을 하거나 할 경우에도 작업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접촉부(41)의 반대측으로는 다수의 방열핀(43)이 형성된다. 각 방열핀(43)의 모양 및 개수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추가로, 방열핀(43)을 향해 냉각공기를 송풍시키는 냉각팬(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용 등기구 장치(1)는 전원공급부(20)를 하우징(30) 외부에 설치하고, 내부의 방열공간에 히트싱크(40)를 설치함으로써 방열면적을 극대화하여 방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안착플레이트(31)의 양측면에 회로기판(10)과 접촉부(41)를 맞대어 설치함으로써 열전달율이 향상되어 방열효율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조명용 등기구가 장시간 사용되는 경우에도 엘이디소자(2)의 열화를 방지하여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히트싱크(40)가 조립된 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양단 개구를 측면커버(4)를 이용하여 폐쇄할 수도 있다.
장착브라켓(50)은 장착플레이트(33)와 하우징(30)이 설치되는 설치대(60) 사이에 마련된다. 장착브라켓(50)은 후술한 플랜지부(55)에 결합됨으로써 조명용 등기구 장치(1)를 설치대(60)에 용이하게 장착하게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등기구 장치(1)의 조명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장착브라켓(50)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설치대(60) 측에 마련되는 제1브라켓(51)과, 장착플레이트(33)에 결합되는 제2브라켓(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브라켓(52)의 단부에는 플랜지부(5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55)에 대응하여 장착플레이트(33)에는 플랜지부(55)가 슬라이딩되며 결합될 수 있는 가이드부(3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35) 일측에는 플랜지부(55)가 장착위치에서 정지되도록 스토퍼(39)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등기구 장치(1)를 설치대(60)에 설치할 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브라켓(50)을 먼저 설치대(60)에 장착한 후에 조립된 등기구 장치(1)의 가이드부(35)에 플랜지부(55)를 슬라이딩 결합시키면 등기구 장치(1)가 장착브라켓(50)을 통해 설치대(60)에 임시고정된다. 이 때, 플랜지부(55)는 스토퍼(39)에 의해 가이드부(35)의 소정위치(즉, 플랜지부(55)와 가이드부(35)의 체결공(71)이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이후 체결스크류(73)를 통해 체결하면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따라서, 종래 처럼 무거운 등기구 장치를 직접 들고 설치대(60)에 바로 설치해야 하는 불편이 없으며, 1인의 작업자로도 쉽게 등기구 장치(1)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브라켓(51)과 제2브라켓(52) 사이에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 하우징(30)이 설치대(60)에 대하여 좌우 또는 상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브라켓(53)이 더 마련될수 있다.
회동브라켓(53)은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회동((b)참조)이 가능하게 하는 제1회동브라켓(53a) 및 제2회동브라켓(53b), 그리고, 상하 이동((a)참조)이 가능하게 하는 제2회동브라켓(53b) 및 제3회동브라켓(53c)로 마련될 수 있다.
1 : 조명용 등기구 장치
2 : 엘이디 소자 3 : 투명커버
4 : 측면커버 5 : 상부플랜지
10 : 회로기판 20 : 전원공급부
30 : 하우징 31 : 안착플레이트
33 : 장착플레이트 35 : 가이드부
36 : 측벽 37 : 슬라이딩홈
38 : 방열부 39 : 스토퍼
40 : 히트싱크 41 : 접촉부
43 : 방열핀 50 : 장착브라켓
51 : 제1브라켓 52 : 제2브라켓
53 : 회동브라켓 55 : 플랜지부
60 : 설치대 71 : 체결공
73 : 체결스크류 75 : 스크류체결공

Claims (10)

  1. 다수의 엘이디 소자가 배치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이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 상기 안착플레이트와 대향되게 마련되는 장착플레이트, 및 상기 안착플레이트와 장착플레이트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양 측벽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양단이 개구된 통형상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회로기판으로부터 상기 안착플레이트를 통해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히트싱크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향하는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를 감싸며 상기 장착플레이트에 결합되되 단부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장착플레이트에 마련된 가이드부에 슬라이딩 되며 결합되는 제2브라켓과, 상기 하우징이 설치되는 설치대 측에 결합되는 제1브라켓을 갖는 장착브라켓;을 포함하는 조명용 등기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는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내측면에 면접촉하는 판상의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에 장착된 다수의 방열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등기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양단부와 상기 양 측벽사이에는 상기 접촉부가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되며 결합되어 상기 안착플레이트에 접촉되게하는 슬라이딩홈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등기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과 안착플레이트 사이 또는 상기 안착플레이트와 접촉부 사이 중 하나 이상에는 열전도성 접착제를 통하여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등기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벽의 내외측면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안착플레이트로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 증가된 방열면적을 갖는 다수의 방열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등기구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는 상기 플랜지부가 장착위치에서 정지되도록 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위치에서 상기 플랜지부와 가이드부가 상호 스크류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등기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설치대에 대하여 좌우 또는 상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회동브라켓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등기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열전도성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등기구 장치.

KR1020100014464A 2010-02-18 2010-02-18 조명용 등기구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973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464A KR100973331B1 (ko) 2010-02-18 2010-02-18 조명용 등기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464A KR100973331B1 (ko) 2010-02-18 2010-02-18 조명용 등기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3331B1 true KR100973331B1 (ko) 2010-07-30

Family

ID=42646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464A Expired - Fee Related KR100973331B1 (ko) 2010-02-18 2010-02-18 조명용 등기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333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678B1 (ko) 2011-05-20 2011-08-23 한태규 조명장치
KR101149881B1 (ko) 2011-05-20 2012-05-24 주식회사 키닉스 뛰어난 설치성을 갖는 엘이디 투광등
KR200463465Y1 (ko) 2011-06-07 2012-11-06 월드탑텍(주) Led 조명등
KR101330698B1 (ko) 2012-08-16 2013-11-18 후지라이테크 주식회사 벌룬 조명기
KR101369096B1 (ko) * 2013-05-15 2014-03-03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광 반도체 조명장치
US8814398B2 (en) 2011-07-01 2014-08-26 Posco Led Company Ltd. Optical semiconductor based illuminating apparatus
WO2016084990A1 (ko) * 2014-11-25 2016-06-02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광 반도체 조명장치
CN106090770A (zh) * 2016-08-15 2016-11-09 厦门乾照照明有限公司 一种led高杆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6635A (ko) * 2008-05-15 2008-07-16 엄기인 옥외용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KR100919840B1 (ko) * 2009-03-23 2009-09-30 주식회사 포지티브 막대형 led 조명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6635A (ko) * 2008-05-15 2008-07-16 엄기인 옥외용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KR100919840B1 (ko) * 2009-03-23 2009-09-30 주식회사 포지티브 막대형 led 조명기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678B1 (ko) 2011-05-20 2011-08-23 한태규 조명장치
KR101149881B1 (ko) 2011-05-20 2012-05-24 주식회사 키닉스 뛰어난 설치성을 갖는 엘이디 투광등
KR200463465Y1 (ko) 2011-06-07 2012-11-06 월드탑텍(주) Led 조명등
US8814398B2 (en) 2011-07-01 2014-08-26 Posco Led Company Ltd. Optical semiconductor based illuminating apparatus
KR101330698B1 (ko) 2012-08-16 2013-11-18 후지라이테크 주식회사 벌룬 조명기
KR101369096B1 (ko) * 2013-05-15 2014-03-03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광 반도체 조명장치
WO2016084990A1 (ko) * 2014-11-25 2016-06-02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광 반도체 조명장치
CN106090770A (zh) * 2016-08-15 2016-11-09 厦门乾照照明有限公司 一种led高杆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331B1 (ko) 조명용 등기구 장치
JP5486001B2 (ja) 熱消散システムを備える照明器具
CA2676318C (en) Led based acorn style luminaire
US20150219329A1 (en) Led lighting
KR101086893B1 (ko) 엘이디를 이용한 가로등
KR101079860B1 (ko) 엘이디 조명기구
KR200463715Y1 (ko) 의료용 조명등의 조립구조
KR101652783B1 (ko) 조명 장치
KR101648412B1 (ko) 엘이디 등기구
KR101608972B1 (ko) 엘이디등용 헤드
KR200407799Y1 (ko) 조명등
KR200454678Y1 (ko) 엘이디 램프
KR102033103B1 (ko) 엘이디 조명등
KR100576682B1 (ko) 조명등
KR200410556Y1 (ko) 조명등
KR101582993B1 (ko) 히트파이프와 방열액을 구비한 고효율 엘이디 램프 및 이를 이용한 등기구
FI119704B (fi) LED-valaisin
CN201232872Y (zh) 一种led模组单体灯
KR101038098B1 (ko) 일체형 led 형광등 조명기구
KR101266417B1 (ko) 히트파이프 방열구조를 가진 가로등기구
KR100574840B1 (ko) 조명등
KR101565973B1 (ko) 엘이디조명장치
KR200463056Y1 (ko) 엘이디 조명등
KR101615924B1 (ko) 기존 조명기구 프레임을 이용한 led 조명기구 교체구조
KR101264756B1 (ko) 이중 방열 구조를 갖는 엘이디 등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7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7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