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1871B1 - 강정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강정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1871B1
KR100971871B1 KR1020100013243A KR20100013243A KR100971871B1 KR 100971871 B1 KR100971871 B1 KR 100971871B1 KR 1020100013243 A KR1020100013243 A KR 1020100013243A KR 20100013243 A KR20100013243 A KR 20100013243A KR 100971871 B1 KR100971871 B1 KR 100971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plate
support
shaft
cu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식
Original Assignee
장동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동식 filed Critical 장동식
Priority to KR1020100013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18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143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stationary axis
    • B26D1/1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stationary axis with vertical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006Means for guiding th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Abstract

본 발명은 반죽된 강정 재료를 이송판 위에서 직접 평탄화시킨 후 구동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이송판을 자동으로 이송시켜 강정을 일정크기로 절단하는 자동화 공정에 의해 작업시간 단축 및 인력절감 등의 작업효율이 향상되며, 또 회전칼날 및 이송롤러에 묻는 강정 재료나 이에 달라붙는 이물질을 각각 칼날가이드와 이물질 제거판을 통해 제거하므로 강정의 절단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또 회전칼날부에 결합된 베어링부재의 상하부에 스프링을 결합시키고 상기 베어링부재에 레버를 결합시킴으로써 외부충격에 따른 완충효과와 함께 회전칼날부의 높이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강정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강정 절단장치{Cutting device for gangjeong}
본 발명은 강정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죽이 완료된 강정 재료의 평탄화 공정과 함께 강정의 절단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강정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정은 찹쌀가루, 꿀, 엿기름, 참기름을 재료로 하여 만든 우리나라의 전통 과자로, 일반 소비자들이 즐겨 찾는 기호식품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강정은 대부분 모든 공정이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제조방법은 먼저 작업자가 재료를 혼합드럼 내에 주재료와 보조재료인 각종곡물(땅콩, 호박씨, 깨, 좁쌀 등)과 식용유 그리고 엿물 등을 일정 배합량 투입한 다음, 이를 젓는 방식으로 상호 혼합시킴과 동시에 혼합드럼 저부에서 열을 가해 혼합된 재료를 볶게 되면, 엿물에 의해 재료가 서로 뭉쳐지면서 덩어리화되고, 이를 과자 성형틀에 일일히 채워 성형틀 위에서 평판으로 눌러 평탄작업을 시키는 작업을 연속 반복시켜 과자성형틀을 차례로 적층시켜 놓은 다음, 마지막으로 재료가 완전히 굳지 않은 상태에서 절단칼을 이용하여 길이방향과 가로방향으로 절단하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식은 모든 공정이 수작업에 의한 방식이므로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될 뿐더러 절단칼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고, 또 절단작업은 작업자의 눈대중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강정의 형태 및 크기가 규격화되지 못하여 품질을 저하킬 뿐더러 수작업에 의한 인건비 상승과 비능률적인 작업, 재료의 불필요한 낭비 등으로 인해 강정의 원가를 상승시키는 경제적인 부담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지지판(1d)(1e)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면(1a)이 평판으로 된 지지틀(1)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안내돌기(1b)(1c)가 형성되어 그 사이로 강정이송판(8)이 진행하고 중간부에 직교방향으로 통공부(1f)를 형성하여 통공부(1f)양측에 고정축잡이(2)(2a)를 장치한 지지틀(1)과 지지틀의 고정축잡이 하측축공(20)사이로 표면에 마찰면이 형성된 이송로울러(4)를 장치하여 회전축 일단에 회전기어(24)와 체인푸울리(25)를 부착하여 외측의 체인푸울리(25)를 구동모터(5)구동축(5a)에 장치한 체인푸울리(5b)와 체인벨트(5c)로 연결시킨 이송로울러회전장치와; 고정축잡이(2)(2a)의 하측축공(20)상부에 수직으로 결합홈(21)을 형성하여 회전칼(3) 회전축(3a)양측에 설치된 축잡이(3b)(3c)를 삽입하여 결합홈(21)입구를 지지판(22)으로 막아 지지판(22)의 중앙부나사공으로 나사결합된 가압볼트(23)의 하단이 회전칼 손잡이(3b)(3c)를 가압하게 하고 회전칼 회전축의 일단에 연결기어(3d)를 부착하여 이송로울러(4) 회전기어(24)와 접속되게 한 회전칼(3)회전장치와; 회전칼 저부에 회전칼안내공(6a)이 있는 회전칼가이드(6)를 부착하여 그 양측 지지판(6b)을 양측 축잡이(2)(2a)사이에 가설된 지지대(60)(61)에 고정시켜서 회전칼(3)이 회전칼가이드(6)의 회전칼안내공(6a)으로 돌출되어 이송로울러(4)표면에 근접하게 한 회전칼가이드와; 지지틀(1)상면에 강정(8a)을 적재한 강정이송판(8)이 이송로울러(4)와 회전칼가이드(6)사이로 통과되게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강정절단기"가 공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강정 절단기는 반죽된 강정 재료를 평탄화하기 위한 작업을 별도로 진행해야 할 뿐더러 이를 진행하기 어렵고, 또 회전칼날에 강정 재료가 묻어 마찰이 심하므로 모터에 부하를 주게 되어 고장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회전칼날은 양측 축잡이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회전칼날의 수평을 맞추는 작업을 위해서는 지지판을 분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또 반죽된 강정 재료를 일정크기로 절단하기 위해서는 이송판을 상기 회전칼날과 이송롤러가 위치한 자리까지 작업자가 손수 진행시켜야 하는 작업의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돌출형성된 지지틀과, 상기 지지틀의 내측에 형성되어 이송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과, 상기 본체의 중간부에 지지틀을 가로질러 형성된 통공에 고정되는 한 쌍의 축고정부재와, 상기 축고정부재의 내측 하부에 고정되는 제1 종동기어에 이송롤러의 회전축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1 종동기어는 본체 내부에 구비된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된 제1 구동기어에 체인으로 연결되어 구동하는 이송롤러와, 상기 축고정부재의 내측 상부에 결합되는 베어링부재에 축설되고 상기 이송롤러에 기어로 연결되어 구동하는 칼날회전부와, 상기 칼날회전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서 이송롤러와 회전칼날부의 사이를 통과하는 이송판으로 구성된 강정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안내공이 일정길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저부에는 상기 안내공의 양끝단부를 가로질러 제1,2 회전축이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안내공에는 상기 제1,2 회전축에 구비된 체인기어에 결합된 이송체인이 위치하고, 상기 제1 회전축의 일단에 결합된 제2 종동기어는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된 제2 구동기어에 체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이송판을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이송체인의 일측에는 이송판 브라켓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강정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이송롤러의 회전축 타단에는 제1 평기어가 결합되고, 상기 제1 평기어는 회전칼날부의 베어링부재에 결합된 제2 평기어에 치합되도록 구성되는 강정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칼날부에 근접한 지지틀의 일측에는 지지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 삽입홈에는 일정길이를 갖는 지지바가 삽입되며, 상기 지지틀의 끝단에는 반죽된 강정 재료를 평탄화하기 위한 반죽틀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강정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축고정부재의 일측에는 회전칼날이 일부 삽입되는 칼날안내홈을 구비한 칼날가이드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강정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축고정부재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회전칼날부의 양측에 결합된 베어링부재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부재의 상하부에는 스프링이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구에는 각각 레버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강정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의 저부에는 이송롤러의 표면에 끝단부가 맞닿아 상기 이송롤러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판이 본체의 내측에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강정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반죽된 강정 재료를 이송판 위에서 직접 평탄화시킨 후 구동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이송판을 자동으로 이송시켜 강정을 일정크기로 절단하는 자동화 공정에 의해 작업시간 단축 및 인력절감 등의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칼날 및 이송롤러에 묻는 강정 재료나 이에 달라붙는 이물질을 각각 칼날가이드와 이물질 제거판을 통해 제거하므로 강정의 절단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칼날부에 결합된 베어링부재의 상하부에 스프링을 결합시키고 상기 베어링부재에 레버를 결합시킴으로써 외부충격에 따른 완충효과와 함께 회전칼날부의 높이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 종래의 강정 절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 종래의 강정 절단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 - 도 1의 단면도.
도 4 - 본 발명에 따른 강정 절단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 - 도 4에서 이송판 브라켓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6 - 도 4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 도 5의 단면도.
도 8 -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강정 절단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돌출형성된 지지틀(111,112)과, 상기 지지틀(111,112)의 내측에 형성되어 이송판(118)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113,114)과, 상기 본체(110)의 중간부에 지지틀을 가로질러 형성된 통공(115)에 고정되는 한 쌍의 축고정부재(117)와, 상기 축고정부재(117)의 내측 하부에 고정되는 제1 종동기어(121)에 이송롤러(120)의 회전축(120a)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1 종동기어(121)는 본체(110) 내부에 구비된 구동모터(116)의 구동축(116a)에 결합된 제1 구동기어(122)에 체인(123)으로 연결되어 구동하는 이송롤러(120)와, 상기 축고정부재(117)의 내측 상부에 결합되는 베어링부재(131)에 축설되고 상기 이송롤러(120)에 기어로 연결되어 구동하는 칼날회전부(130)와, 상기 칼날회전부(130)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140)와, 상기 지지판(113,114)의 상면에서 이송롤러(120)와 회전칼날부(130)의 사이를 통과하는 이송판(118)으로 구성된 강정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13)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안내공(150)이 일정길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113)의 저부에는 상기 안내공(150)의 양끝단부를 가로질러 제1,2 회전축(151,152)이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안내공(150)에는 상기 제1,2 회전축(151,152)에 구비된 체인기어에 결합된 이송체인(153,154)이 위치하고, 상기 제1 회전축(151)의 일단에 결합된 제2 종동기어(155)는 구동모터(116)의 구동축(116a)에 결합된 제2 구동기어(156)에 체인(157)으로 연결되며, 상기 이송판(118)을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이송체인(153,154)의 일측에는 이송판 브라켓(153a,154a)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2 구동기어(122,156) 및 제1,2 종동기어(121,155)와 상기 제1,2 회전축(151,152)에 결합된 기어는 모두 체인기어로, 구동모터(116)에 의한 동일한 회전을 얻기 위해 동일한 규격의 체인기어가 사용된다.
상기 안내공(150)은 이송체인(153,154)의 이송판 브라켓(153a,154a)이 상기 지지판(113)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안내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이송판 브라켓(153a,154a)은 이송판(118)의 저부에 결합되거나 또는 끝단에 밀착되어 상기 이송판(118)을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판(118)의 진행속도, 즉 제1,2 회전축(151,152)의 회전속도는 구동모터(116)의 회전속도 및 이송롤러(120), 회전칼날부(130)의 회전속도와 동일한 값을 갖게 된다. 즉 상기 이송판(118)이 진행됨에 있어, 상기 이송판(118)이 이송롤러(120)와 회전칼날부(130)의 사이를 통과할 시 회전속도가 달라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이송판(118)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 회전속도는 모두 동일한 값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롤러(120)의 회전축(120a) 타단에는 제1 평기어(124)가 결합되고, 상기 제1 평기어(124)는 회전칼날부(130)의 베어링부재(131)에 결합된 제2 평기어(133)에 치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칼날부(130)에 근접한 지지틀(111)의 일측에는 지지바 삽입홈(16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 삽입홈(161)에는 일정길이를 갖는 지지바(160)가 삽입되며, 상기 지지틀(111)의 끝단에는 반죽된 강정 재료를 평탄화하기 위한 반죽틀(162)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바 삽입홈(161)의 위치는 이송판(118)을 지지판(113) 위에 얹어 놓았을 시 딱 들어맞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바 삽입홈(161)에 삽입되는 지지바(160)는 상기 이송판(118)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 상기 지지판(113)의 끝단에 형성된 반죽틀(162)은 상기 이송판(118)을 상기 지지판(113) 위에 얹어 놓은 후 반죽된 강정 재료를 평탄화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으로, 상기 반죽틀(162)과 지지바(160)에 의해 평탄화작업시 강정 재료는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일정두께를 갖는 강정의 평탄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반죽틀(162)과 지지틀(113)의 높이는, 상기 지지판(113) 위에 이송판(118)을 얹어 놓았을 시에 상기 이송판(118)의 상면으로부터 20㎜ 내외의 높이를 갖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강정이 20㎜의 높이를 가지도록 제조되었을 때 보기 좋을 뿐더러 소비자가 먹기 편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축고정부재(117)의 일측에는 회전칼날(132)이 일부 삽입되는 칼날안내홈(171)을 구비한 칼날가이드(170)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칼날부(130)의 회전칼날(132)들은 상기 칼날안내홈(171)에 일부 삽입되어 안내되므로, 상기 회전칼날(132)에 묻어나는 강정 재료나 이물질은 상기 칼날안내홈(171)에 의해 제거되어 진다.
또한, 상기 축고정부재(117)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걸림돌기(117a)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117a)에 대응하도록 상기 회전칼날부(130)의 양측에 결합된 베어링부재(131)에는 삽입홈(131a)이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부재(131)의 상하부에는 스프링(134)이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부재(131)의 상부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구(135)에는 각각 레버(190)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134)에 의해 외부충격에 따른 완충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 상기 레버(19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칼날회전부(130)의 높이를 소폭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지지판(113)의 저부에는 이송롤러(120)의 표면에 끝단부가 맞닿아 상기 이송롤러(120)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판(180)이 본체(110)의 내측에 경사지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이물질 제거판(180)은 이송롤러(120)의 표면에 묻어나는 강정 재료나 달라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 강정 절단기(100)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지지판(113) 위에 이송판(118)을 얹어 놓은 다음, 지지바 삽입홈(161)에 지지바(160)를 삽입시켜 이송판(118)을 고정하게 한다.
다음 상기 이송판(118) 위에 반죽된 강정 재료가 공급되면 작업자는 밀대로 상기 강정 재료를 평탄화시키는 작업을 하게 된다.
다음 상기 평탄화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지지바(160)를 제거한 후 구동모터(116)를 작동시킨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116)에 의해 제2 구동기어(156), 제2 종동기어(155), 제1,2 회전축(151,152)은 순차적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2 회전축(151,152)에 연결된 이송체인(153,154)의 이송판 브라켓(153a,154a)에 의해 상기 이송판(118)은 이송되며, 상기 이송판(118) 위에 평탄화된 강정은 회전칼날부(130)의 회전칼날(132)들에 의해 일정한 크기를 갖도록 절단되어 진다.
이처럼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발명 강정 절단기
110: 본체 111,112: 지지틀
113,114: 지지판 115: 통공
116: 구동모터 117: 축고정부재
118: 이송판 120: 이송롤러
121: 제1 종동기어 122: 제1 구동기어
123: 체인 124: 제1 평기어
130: 회전칼날부 131: 베어링부재
132: 회전칼날 133: 제2 평기어
134: 스프링 135: 스프링 고정구
140: 커버 150: 안내공
151: 제1 회전축 152: 제2 회전축
153,154: 이송체인 153a,154a: 이송판 브라켓
155: 제2 종동기어 156: 제2 구동기어
157: 체인 160: 지지바
161: 지지바 삽입홈 162: 반죽틀
170: 칼날가이드 171: 칼날안내홈
180: 이물질 제거판 190: 레버

Claims (6)

  1.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돌출형성된 지지틀(111,112)과, 상기 지지틀(111,112)의 내측에 형성되어 이송판(118)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113,114)과, 상기 본체(110)의 중간부에 지지틀을 가로질러 형성된 통공(115)에 고정되는 한 쌍의 축고정부재(117)와, 상기 축고정부재(117)의 내측 하부에 고정되는 제1 종동기어(121)에 이송롤러(120)의 회전축(120a)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1 종동기어(121)는 본체(110) 내부에 구비된 구동모터(116)의 구동축(116a)에 결합된 제1 구동기어(122)에 체인(123)으로 연결되어 구동하는 이송롤러(120)와, 상기 축고정부재(117)의 내측 상부에 결합되는 베어링부재(131)에 축설되고 상기 이송롤러(120)에 기어로 연결되어 구동하는 칼날회전부(130)와, 상기 칼날회전부(130)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140)와, 상기 지지판(113,114)의 상면에서 이송롤러(120)와 회전칼날부(130)의 사이를 통과하는 이송판(118)으로 구성된 강정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13)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안내공(150)이 일정길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113)의 저부에는 상기 안내공(150)의 양끝단부를 가로질러 제1,2 회전축(151,152)이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안내공(150)에는 상기 제1,2 회전축(151,152)에 구비된 체인기어에 결합된 이송체인(153,154)이 위치하고, 상기 제1 회전축(151)의 일단에 결합된 제2 종동기어(155)는 구동모터(116)의 구동축(116a)에 결합된 제2 구동기어(156)에 체인(157)으로 연결되며, 상기 이송판(118)을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이송체인(153,154)의 일측에는 이송판 브라켓(153a,154a)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정 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120)의 회전축(120a) 타단에는 제1 평기어(124)가 결합되고, 상기 제1 평기어(124)는 회전칼날부(130)의 베어링부재(131)에 결합된 제2 평기어(133)에 치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정 절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칼날부(130)에 근접한 지지틀(111)의 일측에는 지지바 삽입홈(16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 삽입홈(161)에는 일정길이를 갖는 지지바(160)가 삽입되며, 상기 지지틀(111)의 끝단에는 반죽된 강정 재료를 평탄화하기 위한 반죽틀(162)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정 절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고정부재(117)의 일측에는 회전칼날(132)이 일부 삽입되는 칼날안내홈(171)을 구비한 칼날가이드(170)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정 절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고정부재(117)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걸림돌기(117a)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117a)에 대응하도록 상기 회전칼날부(130)의 양측에 결합된 베어링부재(131)에는 삽입홈(131a)이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부재(131)의 상하부에는 스프링(134)이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부재(131)의 상부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구(135)에는 각각 레버(190)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정 절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13)의 저부에는 이송롤러(120)의 표면에 끝단부가 맞닿아 상기 이송롤러(120)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판(180)이 본체(110)의 내측에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정 절단장치.
KR1020100013243A 2010-02-12 2010-02-12 강정 절단장치 KR100971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243A KR100971871B1 (ko) 2010-02-12 2010-02-12 강정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243A KR100971871B1 (ko) 2010-02-12 2010-02-12 강정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1871B1 true KR100971871B1 (ko) 2010-07-22

Family

ID=42645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243A KR100971871B1 (ko) 2010-02-12 2010-02-12 강정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187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57913A (zh) * 2011-10-08 2012-02-22 山东福胶集团东阿镇阿胶有限公司 阿胶切丁机
KR101997191B1 (ko) * 2019-04-15 2019-07-05 박종필 커터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육류 칼집기
CN110788903A (zh) * 2018-08-01 2020-02-14 肇庆高新区格兰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可调节角度功能的新型地漏切边机
WO2020059942A1 (ko) * 2018-09-18 2020-03-26 이동수 봉형상 튀밥과자 절단유닛 및 상기 봉형상 튀밥과자 절단유닛을 포함하는 봉형상 튀밥과자 제조장치
KR20200074293A (ko) 2018-12-14 2020-06-25 최원옥 강정 제조장치
KR20200074292A (ko) 2018-12-14 2020-06-25 최원옥 강정 제조장치
KR20220122184A (ko) * 2021-02-26 2022-09-02 유부현 강정 제조기
KR20220129232A (ko) 2021-03-16 2022-09-23 최원옥 강정 제조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8896U (ja) * 1992-05-21 1993-12-03 ワタナベフーマック株式会社 食品スライサの刃物受け装置
JPH05336877A (ja) * 1992-06-10 1993-12-21 Nkk Corp 板状体送り切断装置のカス除去装置
KR20040037873A (ko) * 2002-10-30 2004-05-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KR200437873Y1 (ko) 2007-01-04 2008-01-03 유부현 강정 절단기
KR20080034866A (ko) * 2008-04-02 2008-04-22 임동배 시루떡 절단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8896U (ja) * 1992-05-21 1993-12-03 ワタナベフーマック株式会社 食品スライサの刃物受け装置
JPH05336877A (ja) * 1992-06-10 1993-12-21 Nkk Corp 板状体送り切断装置のカス除去装置
KR20040037873A (ko) * 2002-10-30 2004-05-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KR200437873Y1 (ko) 2007-01-04 2008-01-03 유부현 강정 절단기
KR20080034866A (ko) * 2008-04-02 2008-04-22 임동배 시루떡 절단기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57913A (zh) * 2011-10-08 2012-02-22 山东福胶集团东阿镇阿胶有限公司 阿胶切丁机
CN110788903A (zh) * 2018-08-01 2020-02-14 肇庆高新区格兰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可调节角度功能的新型地漏切边机
WO2020059942A1 (ko) * 2018-09-18 2020-03-26 이동수 봉형상 튀밥과자 절단유닛 및 상기 봉형상 튀밥과자 절단유닛을 포함하는 봉형상 튀밥과자 제조장치
KR20200032520A (ko) * 2018-09-18 2020-03-26 이동수 봉형상 튀밥과자 절단유닛 및 상기 봉형상 튀밥과자 절단유닛을 포함하는 봉형상 튀밥과자 제조장치
KR102128000B1 (ko) 2018-09-18 2020-06-29 이동수 봉형상 튀밥과자 절단유닛 및 상기 봉형상 튀밥과자 절단유닛을 포함하는 봉형상 튀밥과자 제조장치
KR20200074293A (ko) 2018-12-14 2020-06-25 최원옥 강정 제조장치
KR20200074292A (ko) 2018-12-14 2020-06-25 최원옥 강정 제조장치
KR101997191B1 (ko) * 2019-04-15 2019-07-05 박종필 커터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육류 칼집기
WO2020213838A1 (ko) * 2019-04-15 2020-10-22 박종필 커터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육류 칼집기
KR20220122184A (ko) * 2021-02-26 2022-09-02 유부현 강정 제조기
KR102555726B1 (ko) * 2021-02-26 2023-07-14 유부현 강정 제조기
KR20220129232A (ko) 2021-03-16 2022-09-23 최원옥 강정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871B1 (ko) 강정 절단장치
EP2987589B1 (en) Compression line spring grinding device and grinding method
CN204482915U (zh) 糖果成型切块机
KR101082596B1 (ko) 떡 절단장치
CN111572098A (zh) 一种纸板自动开槽机
CN109967783A (zh) 一种钎焊箔片连续裁切机
KR20040084642A (ko) 만두 성형기
KR20150120069A (ko) 생육 세절 또는 연육 가공기
KR200358545Y1 (ko) 야채 수직 절단기
JPH063092U (ja) カニ足自動殻割機
CN114311159B (zh) 一种工业用木板切割设备
CN208005849U (zh) 一种木板切割机
KR20100066257A (ko) 떡 절단장치
CN210352900U (zh) 一种面条切割设备
CN208434612U (zh) 一种蛋糕生产线上的高平整纵切装置
CN111844480A (zh) 粉尘收集装置
CN205555244U (zh) 一种纸制品加工边角料传输装置
KR200426613Y1 (ko) 냉장육 절단기의 공급기 구조
KR102555726B1 (ko) 강정 제조기
KR200262299Y1 (ko) 풋고추를 슬라이스형으로 절단하는 장치
CN210445476U (zh) 饼坯制作装置
KR200491493Y1 (ko) 양면 칼집성형기
JP4145772B2 (ja) 食品成形装置
KR20040023481A (ko) 갈비용 육류절단기
CN214163093U (zh) 一种卫生纸加工用裁剪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