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1541B1 - The system for capturing tongue images - Google Patents
The system for capturing tongue imag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71541B1 KR100971541B1 KR1020080086151A KR20080086151A KR100971541B1 KR 100971541 B1 KR100971541 B1 KR 100971541B1 KR 1020080086151 A KR1020080086151 A KR 1020080086151A KR 20080086151 A KR20080086151 A KR 20080086151A KR 100971541 B1 KR100971541 B1 KR 1009715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ngue
- vertical
- face
- illumination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10000001847 Jaw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815 facial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8331 Pinus X rigitaeda Nutrition 0.000 claims 1
- 235000011613 Pinus brutia Nutrition 0.000 claims 1
- 241000018646 Pinus brutia Species 0.000 claims 1
- 230000000994 depressed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10000001331 Nos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481 Brea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467 acupunc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61B1/00045—Display arrangement
- A61B1/0004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displa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4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with illumination filt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G06T7/0014—Biomedic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G06T7/0016—Biomedic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involving temporal comparis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76/00—Medical imaging apparatus involving image processing or analysis
- A61B2576/02—Medical imaging apparatus involving image processing or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organ or body part
Abstract
본 발명은 설 영상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역(ㄱ)자형의 몸체부를 사용하되 상기 몸체부 내부에 전반사 거울을 이용하여 촬영거리를 확보하고, 조명의 직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판을 구비하여 혀의 전체 영역 및 혀의 안쪽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설 영상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ngue-and-tongue imag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ngue-and-tongue imaging system using a body-shaped body part to secure a photographing distance by using a total reflection mirror in the body part, So that the entire area of the tongue and the inside of the tongue can be photographed.
설진기, 설태, 전반사, 확산판. Diffuser, sieve, total reflection, diffusion pl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설 영상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ㄱ’ 자형의 몸체부를 사용하되 상기 몸체부 내부에 전반사 거울을 이용하여 촬영거리를 확보하고, 조명의 직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판을 포함하여 혀의 전체 영역 및 혀의 안쪽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설 영상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now image captur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now image capturing system using a '-shaped body part, wherein a shooting distance is secured by using a total reflection mirror in the body part, To the entire area of the tongue and to the inside of the tongue.
일반적으로, 설진은 인체의 건강 상태와 질병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혀를 살피는 한의학의 독특한 진단 방법으로 혀의 형태, 설질, 설태, 움직임 등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혀의 형태는 혀의 두께, 갈라짐, 이빨 자국 등 혀 몸체의 형태 변화이며 설질은 혀 몸체의 색(色)과 질(質)을 말한다. 설태는 혓바닥에 이끼처럼 덮인 물질인데 그것의 두께와 색깔, 분포 부위 등이 신체의 여러 상태를 반영하게 된다.In general, seulgi is a unique diagnosis method of oriental medicine which examines the tongue in order to grasp the health condition and diseas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body. It is based on the shape of the tongue, the skin, the sex, and the movement. The shape of the tongue is the change in the shape of the tongue body such as the thickness of the tongue, the cracks, and the marks on the teeth, and the skin refers to the color and quality of the tongue body. Sedae is a substance covered with moss on the tongue, and its thickness, color, and distribution area reflect various states of the body.
한의사는 이러한 설진을 바탕으로 얻어지는 신체 상태에 대한 정보를 변증 진단에 활용하게 되는데 변증이라는 것은 질병의 특성, 정도, 부위, 시기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한의학적인 진단 체계이다. 예를 들어 혀에 비정상적 두께의 백 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허증(虛證), 한증(寒證), 습증(濕證), 표증(表證) 등과 관계가 있어 이러한 변증 상태를 의심할 수 있으며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The oriental medicine doctor uses the information about the physical condition obtained based on the seashore to diagnose the dialectic. The dialectic is a oriental diagnostic system that comprehensively grasps the characteristics, degree, area, and timing of the disease. For example, when there is an abnormal thickness of tongue on the tongue, there may be a relationship between the severity of the abnormality and the severity of the abnormality. And can be utilized actively for diagnosis and treatment.
설진을 구성하는 혀의 형태, 설질, 설태, 움직임 등은 대체로 시각적인 정보에 의존하여 파악하게 되는데 이러한 정보는 조명이나 날씨 등의 진찰 환경과 한의사의 주관적인 감각에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일정한 설진 환경과 객관적인 결과값이 설진의 발전과 과학화에 필요하다.The shape of the tongue, the shape of the tongue, the shape of the tongue, and the movements that constitute the tongue are generally determined by visual information. This information may be influenced by the lighting environment, the weather conditions, and the subjective sensation of the oriental doctor. And objective results are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and scientific development of seashore.
이렇게 재현성 있는 혀의 시각 정보와 정량적인 결과값을 제공하고 진단에 활용하기 위해 설진기가 개발되었다.In order to provide visual information and quantitative results of the reproducible tongue, a tongue was developed for diagnosis.
이하, 도 1은 종래의 설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도 1과 같은 종래의 설진기는 몸체부(1), 카메라부(2), 안면 접안부(3), 및 플래시부(4)로 구성한다. The conventional artificial ladle as shown in Fig. 1 is composed of a body part 1, a camera part 2, a face eyepiece part 3, and a flash part 4.
여기서, 상기 몸체부(1)는 원통형과 같이 일직선으로 형성한다. Here, the body part 1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like a cylindrical shape.
여기서, 상기 카메라부(2)는 상기 몸체부(1)의 끝단에 위치하여 혀의 모습을 촬영한다. Here, the camera unit 2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body part 1 to take a picture of the tongue.
여기서, 상기 플래시부(4)는 상기 카메라부(2)의 주위에 구비하되, 혀의 모습을 촬영 시 빛을 밝혀 주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카메라의 플래시와 같이 촬영 시에만 작동한다. The flash unit 4 is provided around the camera unit 2. The flash unit 4 illuminates the image of the tongue when taking a picture of the tongue, and operates only at the time of taking a picture like a flash of a general camera.
여기서, 상기 안면 접안부(3)는 상기 몸체부(1) 전면에 위치하되 얼굴 전체를 접안 하도록 한다. Here, the front face eyepiece portion 3 is located on the front face of the body portion 1, and allows the entire face to be dug.
그러나, 종래의 설진기는 피촬영자의 입과 카메라의 거리가 짧아 사진의 주변부가 중앙부보다 영상의 선명도가 떨어져 혀 영역 전체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수행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mouth of the photographer and the camera is shor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analyze the entire tongue area because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photographer is less sharp than the center portion.
또한, 종래의 설진기는 몸체부를 길게 형성하여 카메라부를 끝단에 위치시켜 적절한 촬영거리를 확보한다 하여도 피촬영자의 혀 전체 영역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artiller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focus on the whole region of the tongue of the subject even if the body part is formed long and the camera part is positioned at the end to secure a proper shooting distanc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부를 기역(ㄱ)자형으로 형성하고 중앙에 전반사경을 구비함으로써, 일편에 구비된 카메라가 타편의 피촬영자의 혀를 촬영하되 카메라와 피촬영자의 충분한 촬영거리를 확보하여 피촬영자 혀 전체의 영역을 선명하게 촬영 할 수 있는 설 영상 촬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 tongue of a person to be photographed, And a sufficient photographing distance of the person to be photographed is ensured so that the entire area of the subject's tongue can be clearly photographed.
또한, 본 발명은 테이블에 장착 시 테이블의 수직측에서 10도 내지 45도를 기울여 장착함으로써 피촬영자가 대각선으로 안면 접안부에 편안하게 입을 댈 수 있으면서 혀 안쪽까지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설 영상 촬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ongue-and-lens image taking system capable of easily taking a tongue inside while allowing a person to be photographed to wear comfortably in a face-to-face portion diagonally by tilting 10 to 45 degrees from the vertical side of the table when mounted on a table .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설 영상 촬영 시스템은 내부가 중공인 기역(ㄱ)자 형으로 수평부와 수직부로 구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수직부 하단에 혀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카메라부와; 상기 수직부의 수직 방향 상측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경로에 대각선 방향으로 기울어져 설치되는 전반사경과; 상기 수평부 내부에 구비되어 빛을 발광하는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 전면 양쪽 가장자리에 조명의 영향에 따른 색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구비된 칼라 차트(Color Chart); 및 피촬영자가 촬영 안면 부 위를 댈 수 있도록 상기 수평부 일측 끝단에 수평부 외주면의 크기로 상기 수평부와 일체 형성 또는 분리 결합되도록 형성하여 상부에는 피촬영자의 코를 수용할 수 있도록 코의 크기로 파인 코인입부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피촬영자가 입을 벌릴 때 턱을 수용하지 않고 빠져나갈 수 있도록 파인 형상이되 안면을 수용하는 안면 접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now image capturing system, comprising: a body portion having a hollow shape having a hollow interior and formed of a horizontal portion and a vertical portion; A camera unit disposed to face upward to photograph an image of the tongue at a lower end of the vertical part; A total reflection lag which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a vertical direction of the vertical portion and is inclined diagonally to a photographing path of the camera portion; An illumination unit provided in the horizontal portion to emit light; A color chart for correcting a color difference due to the influence of illumination on both edg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illumination unit; And the horizontal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horizontal portion in a siz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at one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so that the subject to be photographed can be placed on the photographing face portion, And a bottom surface eyepiece part having a fine shape and receiving the face so as to be able to escape without accepting the jaw when the subject is open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확산판을 이용하여 LED의 직광을 확산시키고, 상기 카메라부의 렌즈에 선형편광필터(Linear polarization filter)를 부착하여 혀 표면 빛의 반사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llumination unit diffuses the direct light of the LED using a diffusion plate, and attaches a linear polarization filter to the lens of the camera unit to suppress reflection of light on the tongue surfac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하좌우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며 조명 방향에 따라 빛 조사의 방향을 다르게하여 혀 균열의 정도 및 혀 구조적 특성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llumination unit independently controls up, down, left, and right, and differs light irradiation directions according to illumination directions to extract the degree of tongue cracking and tongue structural characteristic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설진기는 혀를 촬영한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ng machine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n image of the tongu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테이블(Table)에 결합하되 몸체부의 수직부가 테이블의 수직 축으로부터 10도 내지 45도 각도로 기울어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art is coupled to a table, and a vertical part of the body part is installed at an angle of 10 to 45 degrees from the vertical axis of the table.
또한, 상기 몸체부의 수직부에 테이블과 고정할 수 있도록 걸림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a locking part is provided on the vertical part of the body part so as to be fixed to the table.
또한, 상기 테이블은 사각형으로 형성된 일측과 가로방향 타원을 대각선 방향으로 절단한 반타원형의 타측이 일체형인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In addition, the table has a rectangular shap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mi-elliptic shape, &Quot; and " shaped "
본 발명에 따른 설 영상 촬영 시스템은 충분한 촬영거리확보로 인해 혀 영역 전체를 선명한 화질로 촬영할 수 있으며 혀 안쪽 깊숙한 부분까지 촬영이 가능하다. In the snow image shoo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tongue area can be photographed with a clear image quality due to a sufficient shooting distance, and the deep tongue can be photographed.
또한, 본 발명은 조명부에 확산판을 이용하여 LED 직광을 확산 시키고, 카메라부의 렌즈에 편광필터(Polarization Filter)를 사용으로 혀 표면의 침 등에 의한 빛 반사를 효과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diffusing LED direct light using a diffuser plate in a lighting unit, and effectively suppressing reflection of light due to acupuncture on the tongue surface by using a polarizing filter on the lens of the camera unit.
또한, 본 발명은 콧등을 포함한 입 주의를 안면 접안부에 위치 시켜 시야를 가리지 않아 피촬영자가 모니터를 통하여 화면을 확인 할 수 있어 쉽게 혀의 위치를 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laces the mouth including the nose in the eyepiece so that the viewer can check the screen through the monitor because the view is not obstruct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tongue can be easily selected.
또한, 본 발명은 안면 접안부에 피촬영자의 얼굴을 안정적으로 수용함으로써 피촬영자가 입을 벌릴 때 턱이 안면 접안부의 걸림 없이 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stably accommodates the face of the person to be photographed in the eyepiece eyepiece portion,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ake the jaws easier to hold without the engagement of the eyepiece eyepiece portion when the subject is open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설 영상 촬영 시스템를 나타낸 분리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설 영상 촬영 시스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설 영상 촬영 시스템를 나타낸 전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설 영상 촬영 시스템에 설치하는 조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now image-cap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snow image-cap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snow image- 1 is a view illustrating an illumination unit installed in a snow image captu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설진기(100)는 몸체부(110), 카메라부(120), 전반사경(130), 조명부(140), 칼라차트(150), 안면 접안부(160), 및 걸림부(170)로 구성한다.2 to 5, a
여기서, 상기 몸체부(110)는 내부가 중공인 기역(ㄱ)자 모양으로 형성하되 수직부(111)와 수평부(112)로 구분한다. 이때, 상기 몸체부(110)는 피촬영자와 카메라부(120)와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되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역(ㄱ)자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몸체부(110)의 수직부(111) 및 수평부(112)의 전체 길이는 100cm정도이되 이를 한정하지 아니 하며,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는 피촬영자의 변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여기서, 상기 카메라부(120)는 상기 몸체부(110)의 수직부(111)내 하단에 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부방향으로 향하도록 구비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120)의 렌즈(121)에 혀 표면 빛의 반사를 억제하기 위해 선형편광필터(Linear polarization filter)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여기서, 상기 전반사경(130)은 상기 몸체부(110)인 수직부(111)의 수직방향으로 상측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카메라부(120)의 촬영경로에 대각선방향으로 기울어져 설치하되, 상기 카메라부(120)의 촬영경로가 반사되어 수평부(112)로 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반사경(130)은 피촬영자와 카메라부(120)와의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형성된 기역(ㄱ)자 모양의 몸체부(110)에서 카메라부(120)와 피촬영자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 자명하다.The
여기서, 상기 조명부(140)는 상기 몸체부(110) 수평부(112) 내부에 구비되어 빛을 발광하는 것으로 확산판을 이용하여 LED조명의 직광을 확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조명부(140)는 설진기(100)를 작동하는 동안에는 온(ON)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좌우에 확산판을 이용한 LED 조명을 독립적으로 각각 구비하여 제어하며 조명 방향에 따라 빛 조사의 방향을 다르게하여 혀 균열의 정도 및 혀 구조적 특성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여기서, 상기 칼라차트(150)는 상기 조명부(140) 전면 양쪽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상기 칼라차트(150)는 조명조건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미세하게 변화하는 조명 조건에서 혀의 설질 및 설태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얻기 위하여 상기 칼라차트에 있는 각 색의 기준 값을 이용하여 혀의 색을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또한, 상기 칼라차트(150)는 상기 수평부에 탈부착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안면 접안부(160)는 상기 몸체부(110)의 수평부(112) 일측 끝단에 수평부(112) 외주면의 크기로 형성하여 피촬영자가 입 주위를 댈 수 있도록 하되 상부에는 피촬영자의 코를 수용할 수 있도록 코의 크기로 파인 코인입부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피촬영자가 입을 벌릴 때 턱을 수용하지 않고 빠져나갈 수 있도록 파이며 안면을 수용한다.The
이때, 상기 안면 접안부는 얼굴의 양쪽 옆면 즉, 볼을 잡아주어 피촬영자가 상기 안면 접안부에 얼굴을 댈 때 안정감 있도록 얼굴을 수용할 수 있으며, 피 촬영자가 혀를 촬영하기 위해 입을 벌릴 때 혀의 안쪽까지 쉽게 촬영 할 수 있도록 피촬영자의 턱을 수용하지 않고 바깥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설계하여 형성한다.At this time, the face-eyed portion can hold the face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face, that is, the ball can be held by the person to be photographed so that the person to be photographed faces the face-eyepiece portion in a stable mann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take a picture of the to-be-photographed person.
또한, 상기 안면 접안부는 피촬영자의 눈을 수용하지 않아 피촬영자의 시야를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피촬영자가 직접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현재 출력되는 혀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조금 더 확실한 혀의 사진을 얻을 수 있다.Further, since the face-eyed portion does not accommodate the eyes of the person to be photographed, it is possible to secure a wide field of view of the person to be photographed, and the person to be photographed can directly grasp the state of the tongue currently output through the display portion, You can get a picture.
여기서, 상기 걸림부(170)는 상기 몸체부의 수직부에 형성하여 테이블에 설치 시에 수직부가 테이블 내로 더 이상 인입될 수 없도록 막아준다.In this case, the
상기와 같이 형성한 설진기(100)에서 촬영한 혀의 이미지 영상을 출력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not shown) for outputting an image of the tongue taken by th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설 영상 촬영 시스템을 테이블에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now image cap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a table.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설진기(100)를 테이블(200)에 결합한 모습으로 일반적으로 사각형, 원형, 및 다각형 테이블에 설진기(10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공간 활용 및 피촬영자의 편의를 위해 사각형으로 형성된 일측과 가로방향 타원을 대각선 방향으로 절단한 반타원형의 타측이 일체형인 ‘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6, the
또한, 상기 설진기(100)는 걸림부(170)에 의해 테이블(200)과 고정하되, 각 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테이블(200)에 형성된 홀에 일정 깊이 인입 되고 더 이상 인입 될 수 없도록 하여 안정적인 자세를 확보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또한, 상기 설진기(100)는 상기 테이블(200)에 결합 될 때 몸체부의 수직부가 테이블(200)의 수직축으로부터 10도 내지 45도 각도로 기울어져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사용자의 안면을 쉽게 안면 접안부와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When the table 100 is coupled to the table 200, the vertical portion of the body is preferably inclined at an angle of 10 to 45 degrees from the vertical axis of the table 200, So as to allow access to the face-eyepiec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설 영상 촬영 시스템을 이용하여 혀를 촬영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7 is a view showing a tongue photographing using a snow image cap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설 영상 촬영 시스템을 이용하여 혀가 촬영된 모습을 나타내며, 본 발명에 의한 혀의 촬영 모습은 혀의 전체 모습이 선명하게 촬영되며 안쪽의 칼라차트(Color Chart)는 혀의 양쪽으로 혀와 함께 촬영되어 상기 칼라차트에 있는 각 색의 기준값을 이용하여 혀의 색을 보정하는데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7, the tongue is photographed using the snow image photograp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graph of the tong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s clearly the entire image of the tongue, Color Chart) is preferably taken along with the tongue on both sides of the tongue and used to correct the color of the tongue using the reference value of each color in the color char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course, this is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equivalents as well as the claims that follow.
도 1은 종래의 설진기를 나타낸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설 영상 촬영 시스템을 나타낸 분리도.2 is a fragmentary view of a snow image imag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설 영상 촬영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now image-cap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설 영상 촬영 시스템을 나타낸 전면 사시도.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snow image cap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설 영상 촬영 시스템을 설치하는 조명부를 나타낸 도면.5 is a view illustrating a lighting unit for installing a snow image cap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설 영상 촬영 시스템을 테이블에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now image cap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a table; FIG.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설 영상 촬영 시스템을 이용하여 혀를 촬영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ongue is photographed using a snow image cap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0 : 설진기 110 : 몸체부100: probe 110: body part
111 : 수직부 112 : 수평부111: vertical part 112: horizontal part
120 : 카메라부 121 : 렌즈120: camera unit 121: lens
130 : 전반사경 140 : 조명부130: front reflector 140:
150 : 칼라차트(Color chart) 160 : 안면 접안부150: Color chart 160: Facial eyepiece
170 : 걸림부 200 : 테이블170: engaging portion 200: table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6151A KR100971541B1 (en) | 2008-09-02 | 2008-09-02 | The system for capturing tongue imag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6151A KR100971541B1 (en) | 2008-09-02 | 2008-09-02 | The system for capturing tongue imag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27296A KR20100027296A (en) | 2010-03-11 |
KR100971541B1 true KR100971541B1 (en) | 2010-07-21 |
Family
ID=42178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86151A KR100971541B1 (en) | 2008-09-02 | 2008-09-02 | The system for capturing tongue imag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7154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51509A1 (en) * | 2012-04-04 | 2013-10-10 | Yi Hui Tan |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acquisition and processing |
CN111407448A (en) * | 2020-04-13 | 2020-07-14 | 陈国辉 | Special device convenient for clinical restoration of oral cavit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1066B1 (en) * | 2012-01-13 | 2013-12-11 |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shielding photographing image of tongue |
KR200481621Y1 (en) * | 2015-02-26 | 2016-10-21 | 편수범 | Tongue diagnosis apparatu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70251A (en) | 1999-09-03 | 2001-03-21 | Kao Corp | Colorimetric probe |
JP2004344583A (en) | 2003-05-26 | 2004-12-09 | Minolta Co Ltd | Diagnostic supporting system and terminal device |
KR20060053033A (en) * | 2004-11-13 | 2006-05-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Tongue fur thickness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
JP2006149679A (en) | 2004-11-29 | 2006-06-15 | Konica Minolta Holdings Inc | Method, device and program for determining degree of health |
-
2008
- 2008-09-02 KR KR1020080086151A patent/KR100971541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70251A (en) | 1999-09-03 | 2001-03-21 | Kao Corp | Colorimetric probe |
JP2004344583A (en) | 2003-05-26 | 2004-12-09 | Minolta Co Ltd | Diagnostic supporting system and terminal device |
KR20060053033A (en) * | 2004-11-13 | 2006-05-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Tongue fur thickness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
JP2006149679A (en) | 2004-11-29 | 2006-06-15 | Konica Minolta Holdings Inc | Method, device and program for determining degree of health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51509A1 (en) * | 2012-04-04 | 2013-10-10 | Yi Hui Tan |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acquisition and processing |
CN111407448A (en) * | 2020-04-13 | 2020-07-14 | 陈国辉 | Special device convenient for clinical restoration of oral cavit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27296A (en) | 2010-03-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80394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ing an eye | |
JP5651119B2 (en) | Eye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 |
US7726814B2 (en) | Reflection microscope and method | |
US20210353144A1 (en) | Wide Field Fundus Camera with Auto-Montage at A Single Alignment | |
KR100971541B1 (en) | The system for capturing tongue images | |
KR101021917B1 (en) | An apparatus for photographing tongue diagnosis image having led light source | |
KR101810959B1 (en) | The 3D diagnosis equuipment for a face skin | |
KR101785529B1 (en) | Medical apparatus for tongue diagnosi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A3153546A1 (en) | Multipurpose ophthalmological measuring device | |
KR101231283B1 (en) | Apparatus for self-photographing a face image | |
JP2004201982A (en) | Ophthalmological instrument | |
KR102224529B1 (en) | Medical smart glass | |
KR20210103276A (en) | Portable meibomian photographing device | |
KR20190065718A (en) | Apparatus for photographing iris and system for analyzing iris using the same | |
RU40000U1 (en) | DEVICE FOR MEDICAL DIAGNOSTICS AND GYNECOLOGICAL MIRROR | |
JP4125156B2 (en) | Ophthalmic equipment | |
KR20060020996A (en) | Illuminator with high brightness led for macro mode images of digital camera | |
WO2015068495A1 (en) | Organ image capturing device | |
AU2003203548A1 (en) | Improved Fundus Camera | |
JP2002238851A (en) | Light irradiation method and device for inducing pupil reaction to light | |
ES2288333A1 (en) | Ergonomic device for control for presentation of visual stimulus, comprises dark camera of ergonomic design with rear opening, where rear opening has adjustment system for perfect connection with computer scre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