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440B1 - 선단부 타설후 보강재 관입식 현장타설말뚝공법 - Google Patents

선단부 타설후 보강재 관입식 현장타설말뚝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440B1
KR100970440B1 KR1020090119021A KR20090119021A KR100970440B1 KR 100970440 B1 KR100970440 B1 KR 100970440B1 KR 1020090119021 A KR1020090119021 A KR 1020090119021A KR 20090119021 A KR20090119021 A KR 20090119021A KR 100970440 B1 KR100970440 B1 KR 100970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concrete
excavation hole
excava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덕
Original Assignee
대한기초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한동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64563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7044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대한기초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한동덕 filed Critical 대한기초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9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4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440B1/ko
Priority to PCT/KR2010/008377 priority patent/WO2011068329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38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4Piles with prefabricated supports or anchoring parts; Anchoring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2Compacting the soil at the footing or in or along a casing by forcing cement or like material through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2Placing by screwing down

Abstract

본 발명은 철골 보강재가 매입(埋入)된 현장타설말뚝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케이싱을 지반에 관입(貫入)시키며 굴착장치를 굴진하여 계획 심도에 이르는 굴착공을 형성한 후 케이싱 상단을 지면에 고정한 상태에서 추가 굴착 및 추가 굴착공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을 실시하고, 선단에 관입부재가 접합된 철골 보강재를 굴착공에 투입하여 관입부재가 추가 굴착공에 타설된 콘크리트에 관입된 상태로 양생하며, 추가 굴착공의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되면 케이싱을 인발함과 동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말뚝을 완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철골 보강재가 말뚝 선단부 선타설 콘크리트에 안정적으로 관입되어 현장타설말뚝의 시공 정도(精度)를 제고할 수 있으며, 말뚝 계획심도 구간내 콘크리트의 일체성을 유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선타설 콘크리트에 보강재를 관입시킴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수반되었던 케이싱 상단부 절단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공정 간소화 및 자재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현장타설, 철골, 콘크리트

Description

선단부 타설후 보강재 관입식 현장타설말뚝공법{BEAM PENETRATING AFTER LOWER PART CASTING TYPE CAST-IN-PLACE PILE METHOD}
본 발명은 철골 보강재가 매입(埋入)된 현장타설말뚝을 시공함에 있어서, 일단 말뚝의 선단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보강재 및 케이싱을 지면에 고정한 상태로 양생하고, 선단부의 양생이 완료되면 케이싱을 인발하면서 말뚝의 나머지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선단부 선타설식 말뚝공법에 관한 것으로, 케이싱을 지반에 관입(貫入)시키며 굴착장치를 굴진하여 계획 심도에 이르는 굴착공을 형성한 후 케이싱 상단을 지면에 고정한 상태에서 추가 굴착 및 추가 굴착공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을 실시하고, 선단에 관입부재가 접합된 철골 보강재를 굴착공에 투입하여 관입부재가 추가 굴착공에 타설된 콘크리트에 관입된 상태로 양생하며, 추가 굴착공의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되면 케이싱을 인발함과 동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말뚝을 완성하는 것이다.
현장타설말뚝은 기성(旣成)말뚝과 대비되는 말뚝기초의 일종으로서, 미리 천 공된 굴착공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하여 구성하게 되며, 기성말뚝과는 달리 지반에 완성된 말뚝 구조체를 타입(打入)하는 공정이 불필요하므로, 항타(杭打)과정에서 유발되는 소음이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말뚝기초는 선단지지력과 주면(柱面)마찰력에 의하여 말뚝 상부 구조물의 하중이나 지하수로 인한 지중구조물의 부압(浮壓)에 저항하게 되므로, 암반층 이상의 굴착심도를 확보하거나, 암반층이 지나치게 깊은 경우 소정길이 이상의 근입장(根入長)을 확보하여야 한다.
또한 말뚝은 단순히 상부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는 구조체로서 거동하는 것 뿐 아니라 그 자체가 일종의 장주(長柱)형 구조물로서 축방향 압축, 횡방향 휨 및 좌굴응력에 저항하여야 하는 바, 통상 콘크리트 본체 내부에 보강재로서 철근 또는 철골이 매입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철근 또는 철골 및 콘크리트 복합구조는 현장타설말뚝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현장타설말뚝은 일단 굴착공을 형성한 후 철골 보강재를 굴착공에 투입한 상태에서 트레미(tremie)를 통하여 말뚝 하부에서 상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시공된다.
즉, 현장타설말뚝의 시공을 위한 굴착공은 토사층에서의 공벽유지를 위하여 케이싱의 관입과 동시에 굴착공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천공되는데, 일단 계획심도에 굴착공이 도달하면 케이싱은 존치한 상태에서 굴착장치를 철수한 후 철골 보강재 및 트레미를 투입하고, 이후 케이싱과 트레미를 서서히 인발 및 인양-해체함과 동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말뚝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형강(形鋼) 등의 철골 보강재는 하단은 굴착공 말단부에 접하고 상단은 크레인과 강선으로 연결되어 거치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데, 트레미의 투입, 인양 및 해체과정은 물론 콘크리트 타설 완료 후 양생과정에서 보강재의 위치나 각도가 변경될 가능성이 매우 크며, 따라서 시공의 정도(精度)확보가 극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도 1에서와 같이, 일단 말뚝의 선단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보강재(13) 및 케이싱(10)을 지면에 고정한 상태로 양생하고, 선단부의 양생이 완료되면 케이싱(10)을 인발하면서 말뚝의 나머지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선단부 선타설식 말뚝공법이 개발되어 현장타설말뚝 시공의 고질적인 문제점이었던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간 보강재(13)의 정위치 이탈을 어느정도 해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선단부 선타설식 말뚝공법의 시공과정을 도 1을 통하여 약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케이싱(10)을 관입시킴과 동시에 계획심도(L)에 이르는 굴착공을 형성하고, 굴착공 형성이 완료되면 케이싱(10)을 소폭 인발하면서 트레미(22)를 통하여 말뚝 선단부에 콘크리트를 일부 타설한다.
선단부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된 직후,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진행되기 전 케이싱지지대(11)를 신속하게 체결하여 소폭 인발된 상태의 케이싱(10)을 지면에 고정하고, 인발된 케이싱(10)의 상단 일부를 절단하여 제거한 후 보강재지지대(12)를 신속하게 설치한다.
케이싱지지대(11)와 보강재지지대(12)는 도 2에서와 같이 케이싱(10)과 보강 재(13)를 각각 지면과 케이싱(10) 상단에 고정하는 장치로서, 케이싱지지대(11)는 지표면에 노출된 케이싱(1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케이싱(10)의 자중을 지면에 분산함으로써 케이싱(10)의 침하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보강재지지대(12)는 케이싱(10) 상단에 결합되는 외곽부와 보강재(13) 상단부에 체결되는 내부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보강재(13)가 케이싱(10) 내에서 정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케이싱지지대(11)의 설치, 케이싱(10) 상단부의 절단 해체 및 보강재지지대(12)의 설치가 완료되면 보강재지지대(12)를 통과하여 보강재(13)를 굴착공내부에 투입하되 보강재(13)의 선단부가 기 타설된 선단부 콘크리트에 관입되도록 하는데, 이때 콘크리트의 양생이 진행된 상태라면 보강재(13)의 선단부 콘크리트내 관입이 어려우므로, 전술한 케이싱지지대(11) 설치 내지 보강재지지대(12)설치공정이 신속하게 완료되어야 한다.
보강재(13)가 관입된 상태로 선타설 선단부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케이싱지지대(11) 및 보강재지지대(12)를 해체한 후, 케이싱(10)을 인발함과 동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말뚝을 완성하게 된다.
이렇듯, 말뚝의 선단부 일부에 콘크리트를 선타설하고 이를 통하여 보강재(13)를 부분 고정한 상태에서 후속공정을 진행함으로써 현장타설말뚝의 시공 정도 및 구조적 안정성이 일층 향상되었으나, 이러한 선단부 선타설식 말뚝공법은 다음과 같은 심각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우선, 케이싱(10) 굴착공을 계획심도(L)까지 형성한 후, 케이싱(10)을 소폭 인발하면서 선단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후 보강재(13)를 관입 설치하여 양생한 후 콘크리트를 재타설하여 전체 말뚝을 구성하게 되는 바, 계획심도(L) 구간 즉, 소요 근입장(根入長) 내부에 재료적 불연속면이 존재할 수 밖에 없다.
콘크리트의 선타설 및 후타설로 발생된 경계면은 일종의 콜드조인트(Cold Joint)로 작용하여 콘크리트의 일체성(Monolithic)을 저해하게 되며, 이러한 콜드조인트가 계획심도(L) 내부에 존재함으로써 설계시 고려한 지지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선단부 선타설식 말뚝공법은 말뚝 선단부를 경질지반에 도달시키기 어려운 경우에 주로 적용되는 바, 선단지지력에 비하여 주면마찰력이 주효할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말뚝을 횡단하는 콜드조인트는 주면마찰력 전달에도 장애물로 작용할 수 없어 그 심각성을 더하게 된다.
또한, 선단부에 콘크리트를 선타설하는 공정과 타설된 콘크리트에 보강재(13)를 관입시키는 공정 사이에, 케이싱지지대(11)를 설치하고 케이싱(10) 상단 부를 절단 및 제거하며, 보강재지지대(12)를 설치하는 공정이 진행될 뿐 아니라, 선단부 콘크리트의 선타설 작업 자체에 있어서도 케이싱(10)의 인발과 콘크리트의 타설을 병행하여야 하는 바, 타설된 콘크리트에 보강재(13)를 관입하기 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밖에 없으며, 그에 따라 콘크리트의 유동성이 저하되어 보강재(13)의 원활한 관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보강재(13)를 목표 심도까지 관입시키지 못하고 단순 거치와 다름없는 상태로 후속공정을 진행할 수 밖에 없으며, 이는 또 다른 시공품질 저하 및 구조적 안정성 저하를 야기하게된다.
뿐만 아니라 케이싱(10)은 최종 존치시키는 부재가 아니라 인발 후 재사용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선단부 선타설시 소폭 인발한 케이싱(10)의 상단을 보강재지지대(12)의 설치 및 보강재(13)의 투입을 위하여 절단할 수 밖에 없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보강재(13)가 매입되는 현장타설말뚝공법에 있어서, 케이싱(10)을 관입(貫入)시키며 굴착장치(21)를 굴진하여 굴착공을 형성하는 단계와, 계획심도에 이르는 굴착공 굴착이 완료되면 지표면에 노출된 케이싱(10)의 상단부에 케이싱지지대(11)를 설치하여 케이싱(10)의 침하를 억제하는 단계와, 굴착장치(21)를 굴진하여 계획심도 이하의 추가 굴착공을 형성하는 단계와, 추가 굴착공 형성이 완료되면 굴착장치(21)를 철수하는 단계와, 추가 굴착공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케이싱(10) 상단에 보강재지지대(12)를 설치하는 단계와, 하단에 관입부재(14)가 접합된 보강재(13)를 굴착공에 투입하여 관입부재(14)가 추가 굴착공에 타설된 콘크리트에 관입되는 단계와, 보강재(13) 상단부가 보강재지지대(12)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로 추가 굴착공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단계와, 추가 굴착공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케이싱지지대(11) 및 보강재지지대(12)를 해체한 후 케이싱(10)을 인발하면서 굴착공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부 타설후 보강재 관입식 현장타설말뚝공법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철골 보강재가 말뚝 선단부 선타설 콘크리트에 안정적으로 관입되어 현장타설말뚝의 시공 정도(精度)를 제고할 수 있으며, 말뚝 계획심도 구간내 콘크리트의 일체성을 유지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선타설 콘크리트에 보강재를 관입시킴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수반되었던 케이싱 상단부 절단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공정을 간소화하고 공기를 단축하며 자재를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수행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반적인 수행과정을 공정별로 도시한 설명도로서, 동 도 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우선 현장타설말뚝의 계획 지점에 굴작장치를 굴진함과 동시에 케이싱(10)을 관입함으로써 굴착공을 형성한다.
굴착공이 계획심도(L)에 도달하면 굴착장치(21) 굴진을 일시 중단한 상태에서, 지표면에 노출된 케이싱(10)의 상단부에 케이싱지지대(11)를 설치하여 케이싱(10)의 침하를 억제한다.
이후 굴착장치(21)의 굴진을 속행하여 계획심도(L) 이하 소정 깊이의 추가 굴착공을 형성한 후, 굴착장치(21)를 철수하고 트레미(tremie)(22)를 투입하여 추가 굴착공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추가 굴착공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직후 지표면에 노출된 케이싱(10)의 상단에 보강재지지대(12)를 신속하게 체결하고, 보강재지지대(12)를 통과하여 굴착공 하부로 보강재(13)를 투입함으로써 보강재(13)의 하단이 타설된 추가 굴착공 콘크리트에 관입되도록 한다.
이때 추가 굴착공 콘크리트에 보강재(13)가 원활하게 관입될 수 있도록, 도 4에서와 같이, 보강재(13)의 하단에는 보강재(13)의 단면보다 작은 단면을 가지는 관입부재(14)를 접합한다.
관입부재(14)는 도 4에서와 같이 보강재(13)의 하단에 고장력볼트 또는 용접을 통하여 접합되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관입부재(14)의 선단부를 예리하게 가공하여 일층 원활한 콘크리트내 관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굴착공 및 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관입부재(14)는 모두 현장타설말뚝의 계획심도(L) 이하에 구성되는 것으로, 이들 모두는 완성된 현장타설말 뚝의 지지력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도 시공중 보강재(13)의 설치 위치 및 각도를 효과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추가 굴착공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정과 케이싱(10) 상단에 보강재지지대(12)를 설치하는 공정에 있어서, 보강재지지대(12)는 일종의 프레임 구조체로서 추후 보강재지지대(12)를 통과하여 보강재(13)가 굴착공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므로, 트레미(tremie)(22) 또한 보강재지지대(12)를 통과하여 굴착공 내부로 투입될 수 있는 바, 보강재지지대(12)를 먼저 설치한 후 추가 굴착공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 직후 곧바로 보강재(13)를 관입시켜 보강재(13)의 원활한 콘크리트내 관입을 도모할 수도 있다.
보강재(13)의 관입부재(14)가 관입된 상태로 추가 굴착공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케이싱지지대(11)와 보강재지지대(12)를 해체한 후 케이싱(10)을 인발함과 동시에 굴착공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 내부에 보강재(13)가 매입된 현장타설말뚝을 완성한다.
이렇듯, 계획심도(L) 이하의 추가 굴착공 형성 및 관입부재(14)를 통한 보강재(13)의 콘크리트내 관입을 통하여, 현장타설말뚝의 시공 정도(精度)를 제고할 수 있으며, 말뚝 계획심도(L) 구간내 콘크리트의 일체성을 유지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선타설 콘크리트에 보강재(13)를 관입시킴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수반되었던 케이싱(10) 상단부 절단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공정을 간소화하고 공기를 단축하며 자재를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시공과정 설명도
도 2는 케이싱지지대 및 보강재지지대의 설치상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공과정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관입부재 접합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케이싱(casing)
11 : 케이싱지지대
12 : 보강재지지대
13 : 보강재
14 : 관입부재
21 : 굴착장치
22 : 트레미(tremie)

Claims (1)

  1. 보강재(13)가 매입되는 현장타설말뚝공법으로서, 굴착공 하측 일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하단에 관입부재(14)가 접합된 보강재(13) 선단 일부가 매입된 상태로 양생한 후, 양생이 완료되면 케이싱(10)을 인발하면서 굴착공의 나머지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말뚝을 완성하는 현장타설말뚝공법에 있어서,
    케이싱(10)을 관입(貫入)시키며 굴착장치(21)를 굴진하여 굴착공을 형성하는 단계와;
    계획심도에 이르는 굴착공 굴착이 완료되면 지표면에 노출된 케이싱(10)의 상단부에 케이싱지지대(11)를 설치하여 케이싱(10)의 침하를 억제하는 단계와;
    이후 굴착장치(21)를 굴진하여 계획심도 이하의 추가 굴착공을 형성하는 단계와;
    추가 굴착공 형성이 완료되면 굴착장치(21)를 철수하는 단계와;
    이후 추가 굴착공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이후 케이싱(10) 상단에 보강재지지대(12)를 설치하는 단계와;
    이후 하단에 관입부재(14)가 접합된 보강재(13)를 굴착공에 투입하여 관입부재(14)가 추가 굴착공에 타설된 콘크리트에 관입되는 단계와;
    보강재(13) 상단부가 보강재지지대(12)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로 추가 굴착공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단계와;
    추가 굴착공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케이싱지지대(11) 및 보강재지지대(12)를 해체한 후 케이싱(10)을 인발하면서 굴착공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부 타설후 보강재 관입식 현장타설말뚝공법.
KR1020090119021A 2009-12-03 2009-12-03 선단부 타설후 보강재 관입식 현장타설말뚝공법 KR100970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021A KR100970440B1 (ko) 2009-12-03 2009-12-03 선단부 타설후 보강재 관입식 현장타설말뚝공법
PCT/KR2010/008377 WO2011068329A2 (ko) 2009-12-03 2010-11-25 선단부 타설후 보강재 관입식 현장타설말뚝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021A KR100970440B1 (ko) 2009-12-03 2009-12-03 선단부 타설후 보강재 관입식 현장타설말뚝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0440B1 true KR100970440B1 (ko) 2010-07-15

Family

ID=42645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021A KR100970440B1 (ko) 2009-12-03 2009-12-03 선단부 타설후 보강재 관입식 현장타설말뚝공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70440B1 (ko)
WO (1) WO2011068329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155B1 (ko) * 2012-03-30 2014-03-17 주식회사 영신 보강재 관입식 현장 타설 말뚝 시공 공법
KR20190050342A (ko) 2017-11-03 2019-05-13 주식회사 세진이씨에스 콘크리트 말뚝의 현장 타설 공법
CN111395330A (zh) * 2020-03-07 2020-07-10 长江三峡通航管理局 穿越地下廊道的砼钻孔灌注桩成套钢护筒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31708A (zh) * 2015-03-20 2015-08-12 深圳市工勘岩土集团有限公司 基坑支护钻孔灌注桩施工方法及其设备
CN107386275A (zh) * 2017-09-05 2017-11-24 成都华川公路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桩基浇筑方法以及桩基浇筑系统
CN109371960A (zh) * 2018-12-12 2019-02-22 河北庄重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srp工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80998B1 (de) * 1998-08-14 2005-08-17 Carl Freudenberg KG Radialwellendichtring
KR100543727B1 (ko) * 2003-10-27 2006-01-20 한동덕 암반 이중굴착을 통한 지반천공 공법
KR100657176B1 (ko) * 2004-07-08 2006-12-13 석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선단부 양생후 케이싱 인발식 현장타설 말뚝공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8208A (en) * 1975-10-13 1977-04-16 Takenaka Komuten Co Posttcenter correcting apparatus
JPH0321705A (ja) * 1989-06-16 1991-01-30 Hiroshi Sano 街路灯基礎部の地中埋設工事用の支柱支持機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80998B1 (de) * 1998-08-14 2005-08-17 Carl Freudenberg KG Radialwellendichtring
KR100543727B1 (ko) * 2003-10-27 2006-01-20 한동덕 암반 이중굴착을 통한 지반천공 공법
KR100657176B1 (ko) * 2004-07-08 2006-12-13 석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선단부 양생후 케이싱 인발식 현장타설 말뚝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155B1 (ko) * 2012-03-30 2014-03-17 주식회사 영신 보강재 관입식 현장 타설 말뚝 시공 공법
KR20190050342A (ko) 2017-11-03 2019-05-13 주식회사 세진이씨에스 콘크리트 말뚝의 현장 타설 공법
CN111395330A (zh) * 2020-03-07 2020-07-10 长江三峡通航管理局 穿越地下廊道的砼钻孔灌注桩成套钢护筒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68329A3 (ko) 2011-09-15
WO2011068329A2 (ko) 201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2743B1 (ko) 벽체말뚝용 피에이치씨 파일과 이를 이용한 흙막이벽체의 시공방법
CN101122131B (zh) 一种用管件桩嵌岩的基坑支护桩
KR100970440B1 (ko) 선단부 타설후 보강재 관입식 현장타설말뚝공법
JP6762800B2 (ja) 既設杭基礎の補強工法及び補強構造
JP5199166B2 (ja) 現場造成による基礎杭構造及び基礎杭の構築方法
KR101394235B1 (ko) 대심도 연약지반용 복합 파일 시공 방법
KR102248187B1 (ko) 보강그라우팅을 이용한 현장타설 말뚝 및 그 시공방법
KR100657176B1 (ko) 선단부 양생후 케이싱 인발식 현장타설 말뚝공법
JP5274145B2 (ja) 場所打ち杭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20090007826A (ko) 무지보형의 차수벽 흙막이공법
KR20100124028A (ko) 선단부 확대형 현장타설말뚝 시공방법
KR20100035349A (ko) Cip 공법을 이용한 지하 연속 흙막이벽 구축공법
CN111810185B (zh) 一种隧道隧底预加固施工方法
KR102247848B1 (ko) 가압그라우팅을 이용한 현장타설 말뚝 및 그 시공방법
CN108086307A (zh) 钢管混凝土挖孔灌注复合微型桩
JPH08296243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構真柱による地下構造物構築工法
KR102082495B1 (ko) 선단부 현장타설 복합 말뚝 공법
KR101974826B1 (ko) 인터로킹 시컨트 프리캐스트파일 및 이를 이용한 주열식 흙지지 벽체의 시공방법
KR101375155B1 (ko) 보강재 관입식 현장 타설 말뚝 시공 공법
JP6326294B2 (ja) 土留め構造の構築方法
JP2012031678A (ja) 構造物用基礎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2277470B1 (ko) 흙막이 지하 합성벽 및 그 시공 방법
KR20220067892A (ko) 강관 파일을 이용한 지반 보강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JP5036775B2 (ja) 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又は円柱状地盤改良体の施工方法
KR100888166B1 (ko) 현장타설 쏘일콘크리트파일의 시공방법 및쏘일콘크리트파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726

Effective date: 2011021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318

Effective date: 20111014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1114

Effective date: 2012052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