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5383B1 - 멀티 위상제어 방식을 이용한 지중선로 상/회선 탐지기 및 탐지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위상제어 방식을 이용한 지중선로 상/회선 탐지기 및 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5383B1
KR100965383B1 KR1020090080884A KR20090080884A KR100965383B1 KR 100965383 B1 KR100965383 B1 KR 100965383B1 KR 1020090080884 A KR1020090080884 A KR 1020090080884A KR 20090080884 A KR20090080884 A KR 20090080884A KR 100965383 B1 KR100965383 B1 KR 100965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phase
current
phase contro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순
Original Assignee
이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순 filed Critical 이종순
Priority to KR1020090080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53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9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current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16Spectrum analysis; Fourier analysis
    • G01R23/165Spectrum analysis; Fourier analysis using fil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5/00Arrangements for measuring phase angle between a voltage and a current or between voltages or curr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회선 탐지기 및 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지상변압기 및 변압기와 전력을 공급 받고자 하는 다수의 수용가 측에 대응하여, 전력이 공급되는 통로인 지중저압회선 및 변압기와 각상을 확인하고자, 수용가 측의 단자대에 멀티 위상제어 방식이 적용된 주장치를 설치하고, 탐지장치를 이용하여 해당변압기를 찾아낸 다음, 주장치와 탐지장치를 이용하여 변압기의 각 상 및 분기회선, 회선의 각상을 찾고, 탐지장치를 이용하여 지중저압회선의 종단에 해당하는 주장치가 존재하는 곳에서 지상변압기 또는 변압기의 위치 및 해당번호, 각상을 재확인한다. 멀티 위상제어 방식을 이용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도, 반사파, 신호감쇄에 의한 오류가 최소화되고, 작업자가 쉽고 편리하게 탐지를 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높은 정확도와 빠른 탐색까지도 가능하게 된다.
지중 저압회선, 회선 탐지기, 상 탐지기, 멀티 위상제어 방식, 지상변압기

Description

멀티 위상제어 방식을 이용한 지중선로 상/회선 탐지기 및 탐지방법{Phase/power line detector using multi phase control and method therefore}
본 발명은 지상변압기 및 변압기를 통하여 고객들이 전력을 공급받는 지중선로를 보다 효율적으로 파악하고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다중 분기되어 고객 측으로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는 지중저압회선에 대한 정보들을 파악할 수 있는 선로 상/회선 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력이 일반가정으로 공급되는 과정은 발전소에서 초고전압(154kV, 345kV, 765kV)으로 전국의 해당 각 변전소까지 송전되고, 변전소에서는 배전전압,즉 22.9kV로 강압하여 고객에 해당하는 시민들의 가정으로 공급되기 전단계인 변압기 또는 지상변압기에 공급되게 되며, 변압기 또는 지상변압기는 고객이 최종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상용전압(110V, 220V, 380V)로 변환하여 가공선로 또는 지중선로를 통해서 수용가(빌딩, 공장, 가정 등을 통칭하는 이름)로 공급되는 방식 을 취한다.
지상변압기는 시 외곽을 제외한 복잡한 도심지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22.9kV의 배전선로를 지중에 포설하여 이를 지상에 설치되어 있는 지상변압기를 통해서 공급받는 방식이다.
현재 지상변압기는 도심지의 확대와 배전선로가 노출되었을 경우, 건물 및 가로수 등과 같은 설치물들을 통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및 감전사고의 위험성, 그리고 도심지 자체의 미관을 이유로 매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상변압기에서 상용전압으로 변경되어 고객 측으로 전달되는 지중선로의 길이는 지상변압기의 증가보다 수배나 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지상변압기 1기가 전력을 공급해야하는 건물 및 가옥, 공장 등의 수가 많게는 십여 개 이상이 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맨홀을 통한 분기나 가까운 건물 및 가옥을 통한 분기가 지중에서 매우 복잡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복잡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전력계통도는 전력회사인 한국전력공사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신배전정보 시스템인 NDIS(New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로 관리되고 있으나, 지상변압기와 최종 고객들 사이에 해당하는 지중선로 및 분기회로는 도심지의 발달에 따라 매년 증가하는 실정이고, 또 지중이라는 특성 때문에 일상적인 관리에 어려움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지중선로 및 분기회로의 관리가 어려운 가장 큰 원인은 전력회사가 도심지역을 중심으로 지상변압기의 위치를 선정할 때, 원활한 전력공급을 위해서 최종 고객 측에 해당하는 지중선로 및 분기회로의 거리를 최단거리로 설계하기 때문이다.
상기의 경우는 도심지 구성 초기에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수용가의 신축, 추가, 철거 등과 같은 불가피한 변화가 발생할 경우, 지중선로 및 분기회로도 변할 수밖에 없고, 용량을 감당할 수 없어 지상변압기가 추가 되는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 이 모든 일들을 그때마다 모두 파악하는 것은 현실적으로도 매우 어렵고, 기술적으로 오류를 일으킬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로 인해서 지중에 존재하는 상/회선을 모두 파악하기에는 과정상에 애로사항이 많을 수밖에 없었다.
기술적으로 가장 크게 문제가 되는 점을 열거해보면, 유도전압에 의한 오류, 진행파와 반사파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정재파에 의한 오류, 분기회로 및 선로 부하, 역률 개선용 콘덴서의 작용에 의한 신호감쇄 현상을 들 수 있다. 상기의 방식에 따른 기술적인 문제점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la는 근접한 전력선에서의 유도 전압에 의한 오류를 도식화 한 것으로, 지상변압기A(101)에 연결되어 있는 선로(104), 또는 수용가 A(108)를 파악할 목적으로 송신장치(103)를 통하여 신호를 송출하게 되면, 근접한 선로(105)를 통하여 유도전압이 발생하여 선로(105)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구조물(지상변압기B(102), 수용가B(109))이 수신B(107)에서는 지상변압기A(101)에 해당하는 구조물로 인식하는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도심지와 같이 지중에 구성되어 있는 구조물이 복잡한 경우에는 오류가 더욱 심하게 발생한다.
도 1b는 도 la의 유도 전압의 발생 이유를 전기적인 회로 해석으로 풀어낸 것으로, 선로(104)와 선로(105)사이에 발생하는 작용정전용량 및 상호 인덕턴스에 의해서 실제로 연결되어 있지 않는 선로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평행으로 진행하는 선로의 이격거리가 가까울수록 작용정전용량 및 상호 인덕턴스는 커지며, 그에 따른 유도 전압이 매우 심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를 수식으로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다.
Em = -jωMl * I
여기서, l은 양선의 병행 길이, M은 상호 인덕턴스이며, ω= 2πfL이다.
위의 수식으로 전자유도전압 Em은 전류(I)와 주파수(f)가 크면 클수록 더욱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유도 전압에 의한 오류를 줄이기 위해서는 전류와 주파수를 최대한 낮춰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유도전압에 대한 오류 다음으로 데이터 전송을 어렵게 만드는 것은 정재파에 의한 오류라고 볼 수 있다. 정재파는 진행파와 반사파의 합성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선로에 걸려있는 부하, 인가된 특정한 주파수의 크기, 선로의 길이, 선로의 굵기, 선로의 이격거리, 커패시터 성분 등으로 인해서 선로와의 임피던스 매칭의 깨어지면서 나타나는 것이라 정의할 수 있다.
도 2a는 진행파와 반사파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정재파에 의한 오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한 것이다.
전파의 특성상 임피던스 매칭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주파수 적인 해석상으로는 오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오류의 가장 큰 원인이 반사파에 의한 정 재파라고 설명할 수 있다.
도 2a에서 Ro : 선로 특성임피던스(203)과 전원 측과 부하 측의 임피던스가 상호 같지 않을 경우에,
Ro ≠ RL : 부하단에서 반사파 발생
Ro ≠ Rg : 전원단에서 반사파 발생
상기와 같이 반사파가 만들어지게 되며, 진행파와 반사파가 합쳐지는 현상이 일어나면서 정재파가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2a를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실제로 해당하는 임피던스에 수치를 대입하여 풀어보는 것이 가장 좋은데, 그런 수치의 대입이 도2b이다.
도 2b에서 도 2a의 RL : 부하임피던스(205)에 수치를 적용하지 않은 이유는 부하임피던스까지 적용하게 되면 입력 측에서 보이는 정재파(206)와 선로 중간에서 나타나는 정재파(207)가 더욱 복잡한 형태로 만들어지기 되기 때문에 도식화에 어려움이 있어 제외한 것이다.
도 2c는 도 2b의 입력 측에서 보이는 정재파(206)와 선로 중간에서 나타나는 정재파(207)를 오실로스코프 상에서 확인한 파형으로서, Peak32v/1μs의 펄스(201-b)가 반사파에 의해서 합성된 정재파가 어떻게 측정되는 지를 나타내고 있다.
도 2c의 정재파(206)는 선로의 입력 측에서 측정된 파형으로서 반사파가 혼재되어있는 파형임을 알 수 있고, 선로의 중간에서 측정된 정재파(2O7)는 입력 측에서 보다 더 복잡한 파형임을 확인 할 수 있다.
도 2d는 Peak32V/1μf의 펄스(201-b)의 주기를 6μs로 변화시켜 측정한 것으로서, 주기가 길어질 경우에는 주파수적으로 더욱 복잡한 파형의 정재파가 만들어짐을 알 수 있다.
상기의 정재파가 가장 크게 문제를 일으키는 것은 펄스성 신호를 이용하여 선로에 특정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이며, 이를 일반적으로 용어로서 데이터 오류라고 말한다.
도 3a는 지상변압기 1기를 기준으로 도심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계통도를 도식화한 것이다.
선로 및 수용가를 파악할 목적으로 특정한 데이터를 전송(301)을 통하여 송출할 경우, 수신(303)은 부하, 분기회로, 선로길이 등과 같은 임피던스 매칭을 저해하는 요소들에 의해서 송출된 신호는 진행파와 반사파가 마구 뒤섞인 정재파의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도 3b는 도3a의 송신(301)과 수신(303)의 데이터 오류를 일으키는 간단하게 표현한 것으로, 4bit의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를 예로 표현한 것이다.
도 3b에서 알 수 있듯이 송신(301)에서 정확한 데이터를 송출해도, 수신(303)에서는 진행파와 반사파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정재파로 수신되게 됨으로, 데이터 오류를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현장에서는 상기에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부하의 종류와 개수, 분기회로, 선로길이, 선로의 굵기 등과 같은 변수로 인해서 더욱 심한 오류가 발생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마지막으로 다루고자 하는 것은 도심지에 다수 존재하는 부하 및 역률 콘덴서에 의한 신호감쇄 현상이다.
도 4a는 도심지의 경우 접속함을 통한 다수의 분기회로와 다수의 수용가가 혼재해 있는 모습을 도식화한 것이며, 이를 전기적인 해석이 편하도록 회로로 표현한 것이 도 4b이다.
도 4b에서 보듯이 1기의 지상변압기에서는 실제로 전력을 사용하고 있는 부하와 다수의 건물에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목적으로 설치된 역률개선용 콘덴서가 병렬로 걸려 있음을 알 수 있다.
역률개선용 콘덴서는 최소 수백μF의 용량을 가지는데, 부하를 제외한 역률개선용 콘덴서만으로도 송신(402)측에서 전압신호를 송출하여도, 매우 심한 신호감쇄를 일으킬 수밖에 없다. 신호감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도4c에 하나의 수용가를 예로 하여 수치를 대입 하였다.
도 4c는 전기적인 해석이 편하도록 현장에서 전력선 통신을 위해서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인 100kHz를 인가하고, 선로길이에 따른 L값에 대해서는 1mH로 적용하였으며, 역률개선용 콘덴서의 값으로는 100μF을 적용하였다.
도 4c에 적용되어 있는 보편적인 값에 의거하여 수식으로 풀어 보면,
XL = ωc = 2πfL , XC= ωc = 1/2πfC
주파수 해석에 가장 기본이 되는 상기의 등식에 따라서 도 4c의 등가회로를 해석해보면 아래와 같다.
XL = ωc = 2 * 3.14 * (100 * 103) * (1 * 10-3) = 628 Ω
XC = ωc = 1 / 2 * 3.14 * (100 * 103) * (1 * 10-6) = 0.016 Ω
계산된 값으로 XL : XC 의 비율을 살펴보면,
628 Ω :0.016 Ω = 39,250 : 1
이라는 배수의 값을 가진다.
따라서, 100kHz의 주파수는 단락에 가까운 낮은 저항의 값을 가지는 역률개선용 콘덴서를 통해서 모두 사라지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도 4c와 도 4b를 비교하여 보면, 신호감쇄에 대한 해석은 보다 명확해질 수 있다.
도 4c의 등가회로는 결국 각각의 A 수용가, B 수용가, C 수용가에 해당함을 알 수 있고, 각각의 신호감쇄에 대한 전기적인 해석은 이미 도 4c의 예시된 값에 의해서 39,250 : 1 이라는 비율로 해석되어 있다.
따라서 도 4a와 같이 지상변압기에 설치되어 있는 주장치(송신)가 송출하게 되는 펄스 데이터 신호는 가장 근접한 A 수용가에서는 올바른 데이터를 가질 가능성이 있지만, B 수용가부터는 올바른 데이터가 전달되지 못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게 된다.
최종적으로는 도심지에 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역률개선용 콘덴서와 부하의 영향에 따른 신호감쇄현상으로, 통신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는 통신 불능 현상이 생 기게 될 소지가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심지의 경우에는 모두 빌딩과 같은 건물, 즉 다수의 역률개선용 콘덴서가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지상변압기 측에서 송출하게 되는 펄스 데이터 신호의 감쇄현상은 상기의 예처럼 수만 배의 감쇄비율이 아닌, 최소 수십만 배 이상으로 감쇄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수십만 배 이상의 감쇄현상이 일어나게 되는 원인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을 사용하는 건물 자체의 부하와 역률개선용 콘덴서가 동시에 영향을 주어 강한 신호감쇄가 일어날 수 있음을 충분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 제시되어 있는 전기적인 해석과 도해들은 전력선통신이 현재까지도 실용화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가장 큰 이유 중에 하나이기도 하다.
본 분야의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10-2006-0027009호(상정보 검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정보 검출 방법과 시스템)에는 미지의 고, 저압선 상 위상 시간정보를 전원측(변전소)에서 측정된 상 정보와 통신을 통해 비교 판정을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별도의 통신요금 뿐만 아니라,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 많은 비용을 투자해야 한다는 고비용의 문제점을 안고 있고, 국내의 전력계통에서 사용하고 있는 다중접지방식에서는 상 위상의 정보만으로는 무효분과 유효분의 구분 자체가 기술적으로 매우 어렵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10-2006-0110850호(활선 상태에서의 누전 탐사장치 및 이의 누전탐사방법)는 활선 상태에서 누전이 발생한 선로에 해당하여 Pinpoint(누전점)을 찾아내는 기술이므로, 상/회선 탐지 전반에 걸친 방법 및 시스 템에는 해당되지 못한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10-2003-0070833호(지중케이블 선로 탐지장치), 10-1990-0003637호(특고압 지중 배전선로용 상 판별기), 10-2002-0036390호(지중 배전선로의 사활 및 상 검출 방법), 등록특허 10-0676225호(활선 저압배전선로의 누전여부탐지 방법 및 보수방법)의 경우에는 크게 해당선로에 특정한 주파수 신호를 송출하여, 경로 또는 분기회로 및 지상변압기에 해당하는 각 상을 찾아내는 방법은 크게는 전력선 통신방식으로 볼 수 있어, 상기에 제시했던 각종 문제들은 그대로 안고 있다.
등록특허 10-0778089호(도심지 다중 변압기 설치 장소에서의 지중 저압 회선 탐지 시스템 및 방법)는 개량된 형태의 브로드케스팅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 또한 브로드케스팅 방식 자체가 데이터 송출을 의미하기 때문에 상기에 제시한 기술적인 한계를 피하기 어렵다. 상기 등록특허 10-0778089호에서는 저압단자(A, B, C, N상)와 접지선(E)에 연결되어 변압기 고유번호(TR ID)및 상 번호(PH ID)를 탐지 주장치에서 지중저압회선을 통해서 공급되는 상용전압(220V/60Hz)의 제로 크로싱 점과 일정 시간간격을 두고 펄스성 전압의 형태로 브로드케스팅 방식에 의거하여 송출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그러나 복잡한 도심지의 경우에는 지상변압기가 단독으로 존재하기 보다는 같은 장소 또는 인접한 장소에 다수의 지상변압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다수의 변압기가 같은 장소 또는 인접한 장소에 존재할 경우에는 지중선로가 병렬회로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아 전압유도에 의해 빈번하게 일어나는 오류와 지장 물의상태(부하, 선로길이, 선로굵기, 다수의 역률 개선용 콘덴서, 다수의 분기 등)에 따라서 일어날 수 있는 데이터 오류, 그리고 신호감쇄현상으로 인한 오류 등은 여전한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현상에 의한 오류를 통칭하여 통신 불능 현상이라고 말하는데, 전력선 통신, 브로드케스팅 방식 등과 같이 전력선에 특정한 데이터를 송출하는 방식이 가질 수밖에 없는 오류라고 할 수 있다.
상기한 등록특허 10-0778089호에서는 이를 보완하고자 단말장치에서 역으로 전류를 송출하여, 송출된 전류의 크기 및 방향으로 선로탐지를 시행한다고 하였지만, 이 또한 이미 상기에 제시되어 있는 지장물의 상태(부하, 선로길이, 선로굵기, 다수의 역률 개선용 콘덴서, 다수의 분기 등)과 같이 임피던스 매칭을 저해하는 요소에 의한 신호감쇄현상이 단말장치에서 역으로 송출된 전류의 크기에도 적용됨으로 전류의 급격한 감쇄현상을 피할 수 없고, 전류의 방향성 또한 부하의 상태에 따라서도 방향성의 오류가 일어날 가능성은 매우 많다.
부하의 상태에 따른 전류 방향의 오류는 도 5a와 도 5b를 참조 시 더욱 명확해질 수 있다.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것은 부하에 따른 전류의 방향성이 변하는 것을 표시한 것으로, 도 5a는 부하가 있는 경우에 해당한 전류의 방향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부하가 없는 경우에 해당한 전류의 방향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에서 도시된 것처럼 부하가 있는 경우에는 전류의 방향성이 역방향이 되지만, 도 5b와 같이 부하가 아예 없거나 부하가 없는 것과 마찬가지의 상태일 경우에는 전류의 방향성이 정방향으로 바뀌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전류의 방 향성을 이용해서 지상변압기에 연결되어 있는 전체선로에 대한 회선 탐지에 있어, 선로중간 또는 분기점에 해당해서는 정방향과 역방향이 혼재한 전류가 검출되어, 방향에 오류를 일으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들이 갖는 오류 및 단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개선된 기술이 요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기술이 갖던 지중선로의 상/회선 탐지기 및 탐지 방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한 신호 또는 전류를 송출하는 브로드케스팅 방식이 가질 수밖에 없는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 이를 통해서 변압기 또는 지상변압기가 밀집된 곳에서도 지중선로의 각종 정보들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멀티 위상제어 방식을 이용한 선로 상/회선 탐지기 및 탐지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력 지장물{공급변압기 및 각 상(A, B, C, N), 맨홀, 수용가(빌딩, 주택, 공장 등)} 및 지중선로의 회선명 및 분기회로 등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하여, 전력공급자는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도모하고, 전력사용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대민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고 있는 멀티 위상제어 방식은, 특정한 신호 또는 전류를 연결된 모든 선로로 송출하는 브로드케스팅 방식과는 전혀 상반된 개념으로서, 예를 들어 도 11e(또는 도 7c)와 같은 전류가 주장치가 연결된 선로에 흐르도록 하여, 도 11e에서와 같이 한 사이클 동안 상대적으로 작은 펄스폭을 가진 듀티 신호와 또 다른 한 사이클 동안 상대적으로 큰 펄스폭을 가진 듀티 신호로 이루어진 특정한 이중 듀티 방식의 전류성 신호를, 주장치에서 생성함과 동시에 도 11a의 저항 부하를 통해 도 11d와 같은 전류를 자체적으로 소비함으로써, 주장치 자체가 하나의 부하로서 작용하도록 만드는 방식을 의미한다. 1/2 사이클(180도 위상)동안에 도 10b와 같은 위상 제어의 경우에는 한번 만 온/오프 제어가 가능하지만, 도 11a와 같은 위상 제어의 경우에는 여러 번 온/오프 제어가 가능하므로, 이를 멀티 위상제어 방식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후술될 것이지만 멀티 위상제어 방식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11e와 같은 전류를 도 11a의 라인(608)을 통해 제공하며, 도 11d와 같은 멀티 위상제어 전류가 도 11a 내의 저항 부하로 흐르도록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7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기본파 전류 이외의 특정 주파수 전류가 저항 부하를 통해 흐를 수 있게 된다.
주장치가 특정한 전류성 신호를 소비하는 부하가 될 경우에, 변압기 또는 지상변압기에서 공급되는 전력은 주장치가 존재하는 지점과 해당 지중선로에만 국한하여 흐르게 되고, 이는 다중접지, 다중회로, 다중분기에서 브로드케스팅 방식이 가질 수밖에 없었던 기술적인 한계를 완전히 극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특정한 이중 듀티 방식으로 전류성 신호를 흡수하게 되면, 수신장치를 통해서 상(A, B, C, N상), 맨홀, 및 선로를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찾을 수 있게 된다.
멀티 위상제어 방식의 또 다른 장점으로는 변압기 또는 지상변압기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주장치가 존재하는 지점까지만 특정한 전류성 신호를 만들고, 주장치 이후 및 해당 지상변압기에 존재하는 모든 수용가의 전력공급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안전한 방식이라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한 것처럼 멀티 위상제어 방식을 이용한 상/회선 탐지기 및 탐지방법을 개발함으로서, 안전하면서도 보다 빠르고 신뢰도가 높은 지중설비의 각종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위상제어 방식을 이용한 지중선로 상/회선 탐지기는, 임의의 수용가에 전력을 공급할 목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지중선로에 각 상(3상 4선식, 또는 단상 2선식) 중에, 임의의 한 선과 대지에 연결되어 멀티 위상제어 방식으로 만들어진 전류를 자체적으로 소모하도록 제작된 상/회선 탐지기의 주장치와; 상/회선 정보 및 회선정보(해당 지상변압기, 지중분기회로, 지중선로 등) 모두 파악할 수 있도록, 선로에서 전류를 추출할 수 있는 센서를 통해서 수신된 합산 전류에서 60Hz의 전류를 제거하고, 멀티 위상제어 전류만을 추출하도록 제작된 탐지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멀티 위상제어 방식을 이용한 지중선로 상회선 탐지방법은, 전력회사에서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목적으로 설치한 다수의 지상변압기 및 변압기와 전력을 공급 받고자 하는 다수의 수용가 측에 해당하여, 전력이 공급되는 통로인 지중저압회선 및 변압기, 각상을 확인하고자, 수용가 측의 단자대에 멀티 위상제어 방식이 적용된 주장치를 설치하고, 탐지장치를 이용하여 해당변압기를 찾아내는 단계와; 주장치와 탐지장치를 이용하여 변압기의 각 상 및 분기회선, 회선의 각상을 찾아가는 단계와; 탐지장치를 이용하여 지중저압회선의 종단에 해당하는 주장치가 존재하는 곳에서 지상변압기 또는 변압기의 위치 및 해당번호, 각상을 재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해당변압기를 찾아내는 단계는,
수용가 측의 단자대에 존재하는 3상4선식의 저압단자(A, B, C, N) 4선 또는 단상2선식의 저압단자(N상을 포함한 A, B, C 중에 1상)2선 중에서, 단상(A, B, C중에 1상)과 N상에 상기 주장치를 연결하고, 탐지장치를 사용하여 임의의 지상변압기 들 중에서 상기 해당 변압기를 우선적으로 찾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탐지장치를 통한 분기회선을 찾는 단계는,
상기 수용가의 지중저압회선에 국한하여 신호가 강하게 유도될 수 있도록 주장치의 멀티위상제어전류를 탐지하고자, 상기 탐지장치로 감지되는 신호로서 상기 주장치의 접지선을 통하여 흐르고 있는 신호전류를 얻음에 의해, 분리되는 선로들 중 해당 선로만을 추적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구성된 분기회선의 방향 및 상태, 그리고 3상 4선식(A, B, C, N)으로 구성된 상기 해당 변압기의 상(A, B, C, N)까지도 탐지하는 것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해당 변압기의 각 상을 확인하는 탐지방법은,
상기 수용가가 3상4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타입인 경우에 상기 수용가의 A, B, C 상의 선로들에 주장치를 모두 연결하고, 해당 주기와 시간을 모두 달리하여 멀티 위상제어 방식을 각기 차등화한 다음, 탐지장치를 통하여 동기 전류를 찾아내는 것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위상제어 방식을 이용한 지중선로 상/회선 탐지기 및 탐지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상,회선을 탐지하기 위해서 지금껏 사용되던 송출방식의 문제점, 즉 유도전압에 의한 오류, 진행파와 반사파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정재파에 의한 오류, 분기회로 및 선로 부하, 역률 개선용 콘덴서의 작용에 의한 신호감쇄 현상 등을 해 결하기위해서 멀티 위상제어 방식을 채용하고, 이를 적용한 상/회선 탐지기를 제공함으로써, 상/회선 탐지가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둘째, 다수의 변압기가 존재하는 복잡한 장소인 경우, 지중에 대한 상/회선에 대한 모든 정보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상회선 탐지기를 제공함으로, 이를 통하여 지중선로의 상/회선 및 지장물의 모든 정보를 보다 빠르고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전력공급자는 이를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전력관리가 가능하다.
셋째, 전력공급자가 효율적인 전력관리를 하게 되어, 수용가는 원활한 전력공급을 받을 수 있게 되고, 또 일어날 수 있는 전력공급 중단에 따른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멀티 위상제어 방식을 이용한 지중선로 상/회선 탐지기 및 탐지방법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될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많은 특정 상세들이 도면을 따라 예를 들어 설명되고 있지만, 이는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보다 철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 이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설명되었음을 주목(note)하여야 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이 이들 특정한 상세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을 것임은 본 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위상제어 방식을 이용한 지중선로 상/회선 탐지기의 회로 및 결선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4개의 선 로(A, B, C, 및 N상에 대응되는 선로들)을 통해 3곳의 수용가(602, 603, 604)와 연결되는 지상변압기(601)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수용가(603)의 임의의 선로(A 선로)가 탐지 대상 선로라고 하면 멀티 위상제어 방식으로 생성한 전류 신호를 자체부하를 통해서 소모하는 기능을 갖는 송신기로서의 주장치(605)의 제1 단자는 상기 A 선로의 연결 지점(606)에 연결되고, 제2 단자는 대지접지(608)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주장치(605)의 제2 단자를 통해 흐르는 멀티 위상제어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수신기로서 동작하는 탐지장치(610)는 필터링부를 내부에 가지며, 상기 지상 변압기(601)의 A 선로에 접속되는 전류센서(609)를 통해 연결된다.
도 6에서 지상변압기(601)에서 수용가(602, 603, 604)에 대응하여 지중 선로 분기는 맨홀(611, 612)에서 이루어지며, 주장치(605)는 탐지하고자 하는 선로의 연결 지점(606)과 대지접지(608)에 사이에 먼저 연결되어진다. 이 경우에, 주장치(605)에서 해당선로를 연결하는 지점(606)은 예컨대 수용가(603)의 인입 노출 단자대가 되어 절연피복을 손상하지 않는 연결방법을 사용하게 되며, 주장치(605)는 멀티 위상제어 방식이 적용된 전류 신호를 자체부하를 통해서 소모하게 된다.
주장치(605)에서 멀티 위상제어 방식이 적용된 전류가 소모되기 시작하면, 지상변압기(601)로부터 대지접지(608)까지에 해당하는 전류흐름(607)이 만들어지게 되고, 탐지장치(610)는 상기 전류흐름(607)을 따라가면서 전류센서(609)를 통해서 합산 전류를 입력받고, 이 전류에서 60Hz에 해당하는 전류를 제거하여 원하는 멀티 위상제어 전류만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상/회선을 탐지하게 된다.
도 7a은 합산전류가 전류의 크기(I)와 시간(sec)을 기준으로 어떻게 나타나 는 지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7b는 멀티 위상제어 방식이 적용된 전류를 확대한 모습이다.
도 7b에서 중첩된 부분으로 표시된 것이 60Hz 전류와 합성된 멀티 위상제어 전류이다.
도 7c는 멀티 위상제어 방식의 전류를 확대한 모습이다.
도 8은 부하가 연결된 회선을 따른 전류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합산 전류의 크기는 회선에 연결되어 있는 각각의 부하에 따라 결정되며, 각각의 부하로 흐르는 전류를 수식적으로 풀어보면,
I = V/R , I = Ia + Ib + Ic 라고 볼 수 있다.
도 8을 전기적인 해석으로 살피면 수용가A, 수용가B, 수용가C는 지상변압기에서 공급하고 있는 상용전압(220V/60Hz) 및 각각의 부하에 의해 전류가 변함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동시에, 도 6의 주장치(605)에서 멀티 위상제어 전류를 부하전류로 소모하게 되면, 멀티 위상제어 전류는 회선상에서 해당하는 상과 주장치의 연결점(606), 그리고 대지접지(608)로 소모되게 됨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멀티 위상제어 전류를 주장치를 통해서 소모하는 방식의 장점은 지상변압기와 선로, 분기선로, 수용가에 이르는 지중회선 전반에 걸쳐 전기적인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인 탐지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주장치에서 생성한 멀티 위상제어 전류를 부하로서 소모하게 되면, 지장물의 상태(부하, 선로길이, 선로굵기, 다수의 역률 개선용 콘덴서, 다수의 분기 등)와 같은 임피던스 매칭을 저해하는 요소에 의한 통신 불능 현상은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도 10a는 저항 부하에 220V 60Hz를 인가한 회로도(701) 및 부하에 흐르는 전류 파형(702)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한편, 도 10b는 저항 부하에 220V 60Hz를 인가하고 트라이액으로 위상제어를 하기 위한 회로도(703) 및 부하에 흐르는 전류 파형(704)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10b의 회로는 일반적으로 조명등의 조도제어를 위한 조광기(디머)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도 11a는 주장치(605)내에서 멀티 위상제어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회로 블록으로서, 상기 회로에 의해 저항부하에서 전류가 소비되는 형태로서 멀티 위상제어 전류 파형이 만들어지게 된다.
수용가 측의 단자대에 존재하는 3상4선식의 저압단자(A, B, C, N) 4선 또는 단상2선식의 저압단자(N상을 포함한 A, B, C 중에 1상)2선 중에서, 단상(A, B, C중에 1상)을 주장치(605)의 제1 단자에 연결하고 N상 또는 접지선을 주장치(608)의 제2 단자에 연결시키면 상기 도 11a의 회로에 의해 멀티 위상제어 전류가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지상변압기에서 N상을 접지시키므로 수용가 단자대측에서 주장치의 입력 2단자 중 1단자(608)를 접지선에 연결하면 멀티 위상제어 전류가 도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대지를 통하여 귀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도 11b는 주장치(605)의 입력전원인 교류를 브리지 정류하여 직류로 변환(605-a)한 전압파형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도 11c는 멀티 위상제어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파워트랜지스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보여준다.
도 11d는 주장치(605)의 저항부하에 흐르는 멀티 위상제어 전류 파형을 나타낸다. 도 11e는 주장치(605)의 교류측 입력전류 파형으로 도7c 파형을 확대한 것이다.
도 12는 탐지장치(610)의 구현 예를 보여주는 구체적 블록도로서, 전류센서(609), 필터(800), 대역통과 필터(810), A/D 변환기(820), CPU(830), 및 디스플레이(8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 전류센서(609)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류에서 상기 필터(800) 및 대역통과 필터(810)를 통해 60Hz 및 노이즈 성분을 제거한 다음, A/D 변환기(820)로써 변환하고 CPU(830)를 이용하여, 주장치(605)에서 발생시킨 멀티 위상제어 전류만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840)로 표시함으로써 해당 지상변압기, 맨홀, 및 수용가의 상/회선 구분이 가능해진다.
결국, 도 10b와 같이 일반적인 조광기(디머)는 1/2 Cycle 파형의 범위(각도 0~180도)에서 1회만 ON/OFF(704)가 가능하고, 다양한 주파수를 발생시키기 어려우므로 단순한 위상제어 방식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용하는 멀티 위상제어 방식은 도 11e와 같이 1/2 Cycle 파형의 범위(각도 0~180도) 중 임의의 위치에서 ON/OFF가 가능하기 때문에 원하는 주파수의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점은 이미 제시했던 오류들과 비교해보면 더욱 명확해진다.
첫째, 병렬선로에 대한 전자유도현상에 의한 전압의 발생을 뜻하는 것으로, 이를 전기적으로 해석하면 아래와 같다.
Em = -jωMl * I
로서 정의되므로, 상기 공식에 따라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고자 하는 것은 주파수와 전류의 관계임을 알 수 있다. 상기 Em은 전자유도전압을 뜻하는 것으로 상기의 공식에서 알 수 있듯이, 주파수와 전류의 값이 클수록 전자유도전압은 강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멀티 위상제어 전류를 주장치를 통해서 소모하는 방식은 기존의 부하와는 상관이 없이 주장치가 새로운 부하로 전류를 소모하게 되는 것이므로, 높은 주파수대역과 대전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때문에 주파수 대역은 최대 1kHz를 넘지 않고, 전류 또한 1A 이상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존의 송출방식에 비해 최소 수십분의1에서 최대 수백분의1배까지 낮아진 전자유도전압이 발생함으로 탐지에 오류가 일어나기는 극히 희박하다.
둘째, 전류를 송출하면 반사파에 의한 정재파가 만들어질 수 있다고 제시하였는데, 이는 데이터 통신 오류의 가장 큰 원인이었다 하지만 멀티 위상제어 전류를 주장치를 통해서 소모하는 방식을 사용하게 되면, 이론적으로 이미 반사파 자체가 만들어질 수 없기 때문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
셋째, 도심지 수용가 측에 설치된 역률개선용 콘덴서 및 부하에 의한 급격한 신호감쇄는 신호를 송출하는 브로드케스팅 방식에만 해당하는 것이다. 멀티 위상제어 전류를 주장치를 통해서 소모하는 방식을 사용하게 되면 해당 선로 상으로만 전 류가 흐르기 때문에 신호감쇄와 같은 부하 및 역률개선용 콘덴서에 의한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에서 제시한 것에서도 확인되었지만 멀티 위상제어 방식을 이용하여 상/회선을 탐지하게 되면, 종래의 기술에서보다 더 효율적이고 정확한 상/회선 탐지가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위상제어 방식을 이용한 지중선로 상/회선 탐지기법은 상회선 탐지기를 이용하여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탐지가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서,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선로 상/회선 탐지기법의 순서는 크게 주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탐지장치로 정상적인 동작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지상변압기, 지중선로, 분기회로의 상회선 및 맨홀과 수용가를 모두 추적하는 단계; 정보(지중선로 상회선, 지상변압기 상회선, 맨홀, 분기회로, 수용가의 상회선)를 재확인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다.
지상변압기(601)와 대지접지(608)까지에 해당하는 멀티 위상제어 전류의 흐름(607)이 만들어지게 되고, 탐지장치(610)는 전류흐름(607)을 따라 가면서 전류센서(609)를 통해서 합산 전류를 입력받고, 이 전류에서 60Hz에 해당하는 전류를 제거하여 원하는 멀티 위상제어 전류만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맨홀 내부에서 분기가 이루어지는 상/회선을 탐지하며, 탐지장치(610)를 이용한 상/회선 탐지는 주장치(605)가 연결되어 있는 수용가(603)직전에 해당하는 연결점(606)에서 끝나게 된다. 이 과정을 상/회선 탐지 흐름을 단계들로 나타낸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 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서와 같이 주장치(605)에 존재하는 두 개의 선중에 한 선은 탐지하고자 하는 선로에 연결(606)하고, 다른 한 선은 대지접지(608)에 연결한다. 이는 도 9의 단계(901a)에 대응된다.
이때, 선로에 연결하는 방법은 절연을 파괴하지 않는 모든 방법이 가능하다.
주장치(605)의 연결 상태를 다시 확인한 후에는 전원을 공급하고(901b), 주장치의 스위치를 온(On)하여 멀티 위상제어 방식이 적용된 전류가 소모되게 한다. 이는 도 9의 단계(901c)에 대응된다.
주장치(605)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을 확인을 한 후에는 탐지장치의 정상적인 동작여부도 확인해야 한다. 이는 도 9의 단계(902)에 대응된다.
탐지장치(610)의 정상적인 동작여부(902a)는 연결되어 합산전류를 받아들일 수 있는 센서(609)를 해당 선로에 연결하여 반응을 알아보는 것에 의해 확인할 수 있는데, 이때 탐지장치는 탐지자가 탐지여부를 인지하기 편하도록 구성된 부저음 또는 LED의 점등 등으로 쉽게 확인케 할 수 있다. 이때, 탐지장치(610)에서 탐지자가 쉽게 인지하도록 구성된 것들은 메터(Meter)등과 같은 아날로그적인 방식과 음량, LED 및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지털적인 방법이 모두가능하다.
주장치(605)와 탐지장치(610)의 정상동작여부를 확인했으면 본격적인 상회선 탐지를 실시하게 된다. 이는 도 9의 단계(903)에 대응된다.
상회선 탐지의 시작은 탐지장치(610)를 이용하여 다수의 지상변압기들 중에서 해당 지상변압기를 찾는 것으로부터 시작되며(903a), 지상변압기를 찾는 방법은 멀티위상제어 전류 반응 확인(902a)을 통하여 가능해진다.
지상변압기의 상회선 탐지(903b)는 수용가 측에 연결되어 있는 주장치(605)의 연결점(606)을 번갈아 연결하는 것에 의해 상호간의 상을 찾아낼 수 있다. 이 과정을 보다 빠르게 진행하기 위해서는 주장치(605)에서 A, B, C상에 해당하는 각기 다른 멀티 위상제어 전류를 동시에 소모할 수도 있는데, 이렇게 하면 탐지장치(610)는 추출된 멀티 위상제어 전류 각각의 값을 인식하는 것으로 보다 쉽게 상호 연결되어 있는 상들을 찾을 수 있다.
상기에 제시한 응용은 기 설명된 도 9를 참조 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해당하는 지상변압기(601)와 수용가 측의 상회선(603)을 모두 표시하고 나면, 지중선로, 분기회로의 상회선 탐지 및 맨홀 확인(903c)하는 과정이 이어지게 된다.
탐지장치(610)로 추적하는 과정은 전력공급자가 사용하는 신배전정보시스템(NDIS:New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를 참고로 하며, 전력공급자가 보유하고 있는 지중설비의 확인이 가장 우선시 된다. 그러나 복잡한 도심지에서는 맨홀과 분기점이 수시로 바뀌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도면과의 대조를 통해서 실제 지중선로와의 매칭을 먼저 살피고, 맨홀과 분기회로를 추적한 결과 이 매칭이 상이할 경우에는 신배전정보 시스템(NDIS:New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 도면에 추적한 결과를 표시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탐지장치(610)를 이용하여 지중선로, 분기회로의 상회선 탐지, 맨홀로 이어지는 반복 추적으로 주장치(605)가 연결되어 있는 수용가(603)까지 추적하고 나면, 추적한 수용가의 상회선이 맞는지를 재확인(903d)해야 한다. 여기서, 재확인하는 방법은 탐지장치 확인(902)에서 제시한 방법을 따르면 된다.
지상변압기(601)와 주장치(605)가 연결되어 있는 수용가(603)까지 모두 탐지하고 난 후에는 지상 변압기, 상, 회선, 분기회로, 등과 같이 관련된 모든 회선의 정보를 취합하고 정리(904)하는 것으로 지중선로 상/회선 탐지방법의 모든 순서가 끝난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주로 도면을 따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안이 다른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주장치와 탐지장치의 내부 회로나 구성 소자들을 타의 회로나 소자들로서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la 및 도 1b는 근접한 전력선에서의 유도 전압에 의한 오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2a, 도 2b, 도 2c, 및 도 2d는 진행파와 반사파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정재파에 의한 오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3a 및 도 3b는 도심지의 지상변압기 1기를 기준으로 나타낸 계통도 및 데이터 오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도심지의 접속함을 통한 다수의 분기회로와 다수의 수용가가 혼재한 경우에 전기적인 해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5a 및 도 5b는 부하의 존재 유무에 따른 전류의 방향성이 변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위상제어 방식을 이용한 지중선로 상/회선 탐지기의 블록 및 탐지 선로와의 결선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7a는 도 6의 탐지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합산전류의 크기를 시간 축상에 서 나타낸 도면
도 7b는 60Hz 전류와 합산된 멀티 위상제어 방식이 적용된 전류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7c는 본 발명의 멀티 위상제어 방식이 적용된 전류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8은 도 6에 따라 부하가 연결된 회선에 나타나는 전류의 흐름을 도시한 회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회선 탐지 흐름 예를 장치 및 동작 스텝별로 나타낸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통상적 위상제어 회로의 구비 유무 및 그에 따른 전류 파형을 보여주는 도면들
도 11a, 도 11b, 도 11c, 도 11d, 및 도 11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장치의 멀티 위상제어 전류 발생 및 제어에 관련된 도면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탐지장치의 구현 예를 보여주는 구체적 블록도

Claims (7)

  1. 전력 수용처로 인입되는 복수의 선로들 중에서 임의의 한 선로와 연결되는 제1 단자와, 대지와 접지되는 제2 단자를 가지며,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 저항부하에 연결된 파워 트랜지스터에 멀티위상 제어신호를 인가함에 의해 상기 연결된 선로에 멀티 위상제어 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저항부하를 통해 상기 멀티 위상제어 전류를 자체적으로 소모하는 상/회선 탐지용 주장치와;
    상기 주장치에서 상기 멀티 위상제어 전류가 소모될 시에 상기 전력 수용처에 대응 연결된 전력 공급용 변압기에서 상기 제2 단자로 전류 흐름이 만들어 지면 이를 상기 주장치와 연결된 선로를 따라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센서를 통해 합산 전류로서 수신하고 필터로써 필터링하여 멀티 위상제어 전류 성분을 추출함에 의해, 상기 전력 수용처에 대응 연결된 상기 전력 공급용 변압기 및 상/회선 정보가 상기 복수의 선로들 중에서 탐지되도록 하는 탐지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위상제어 방식을 이용한 선로 상/회선 탐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는 3상4선식 4회로 또는 단상2선식 2회로의 경우에 4선로 중 임의의 한 상을 갖는 선로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위상제어 방식을 이용한 선로 상/회선 탐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지 장치는, 상기 멀티 위상제어 방식을 적용한 상기 주장치에서 해당 상만을 통해서 반응하는 전류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필터를 통해서 60Hz 전류를 제거하고 원하는 전류신호만을 증폭하여 상기 멀티 위상제어 전류 성분을 추출함에 의해, 주장치가 연결된 고객 측으로부터 상기 전력 공급용 변압기까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지중저압회선이 탐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위상제어 방식을 이용한 선로 상/회선 탐지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90080884A 2009-08-31 2009-08-31 멀티 위상제어 방식을 이용한 지중선로 상/회선 탐지기 및 탐지방법 KR100965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884A KR100965383B1 (ko) 2009-08-31 2009-08-31 멀티 위상제어 방식을 이용한 지중선로 상/회선 탐지기 및 탐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884A KR100965383B1 (ko) 2009-08-31 2009-08-31 멀티 위상제어 방식을 이용한 지중선로 상/회선 탐지기 및 탐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5383B1 true KR100965383B1 (ko) 2010-07-07

Family

ID=42645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884A KR100965383B1 (ko) 2009-08-31 2009-08-31 멀티 위상제어 방식을 이용한 지중선로 상/회선 탐지기 및 탐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53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293B1 (ko) 2011-04-14 2012-03-20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lc통신을 이용한 지중선로 탐사 시스템 및 방법
KR101183586B1 (ko) 2011-02-11 2012-09-21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지중선로 탐색 장치 및 방법
KR20230077372A (ko) 2021-11-25 2023-06-01 한국전력공사 선로 탐지장치 및 선로 탐지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268A (ko) * 1997-06-27 1999-01-15 이해규 지중 배전선로용 변압기 상태 정보 검출, 표시, 경보, 및 전송 장치
KR20020036390A (ko) * 2000-11-09 2002-05-16 권영한 지중 배전선로의 사활 및 상 검사방법
KR20060027009A (ko) * 2004-09-22 2006-03-27 (주)에디테크 상 정보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 정보 검출 방법과시스템
KR100778089B1 (ko) 2007-03-27 2007-11-20 이현창 도심지 다중 변압기 설치 장소에서의 지중 저압 회선 탐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268A (ko) * 1997-06-27 1999-01-15 이해규 지중 배전선로용 변압기 상태 정보 검출, 표시, 경보, 및 전송 장치
KR20020036390A (ko) * 2000-11-09 2002-05-16 권영한 지중 배전선로의 사활 및 상 검사방법
KR20060027009A (ko) * 2004-09-22 2006-03-27 (주)에디테크 상 정보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 정보 검출 방법과시스템
KR100778089B1 (ko) 2007-03-27 2007-11-20 이현창 도심지 다중 변압기 설치 장소에서의 지중 저압 회선 탐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586B1 (ko) 2011-02-11 2012-09-21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지중선로 탐색 장치 및 방법
KR101126293B1 (ko) 2011-04-14 2012-03-20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lc통신을 이용한 지중선로 탐사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77372A (ko) 2021-11-25 2023-06-01 한국전력공사 선로 탐지장치 및 선로 탐지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8089B1 (ko) 도심지 다중 변압기 설치 장소에서의 지중 저압 회선 탐사 시스템 및 방법
KR101559533B1 (ko) 이동식 누전 탐사 장치 및 방법
CN102735994B (zh) 一种基于电容传感非接触信号的输入或检出的方法和装置
MX2007001421A (es) Metodo y sistema de conexion de senal de radiofrecuencia en lineas de alimentacion de tension media con dispositivo de auto-sintonizacion.
AU2019243131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high-voltage power distribution line path having improved stability
CN104808121A (zh) 一种基于振荡波测试的配电电缆局部放电测试方法
US6867596B1 (en) Fault detection system
KR100965383B1 (ko) 멀티 위상제어 방식을 이용한 지중선로 상/회선 탐지기 및 탐지방법
CN103424627A (zh) 双端测量平行电网线路零序阻抗的方法
CN202649374U (zh) 一种基于电容传感非接触信号的输入或检出的装置
CN110174593A (zh) 采用电磁感应判断接地网断点位置的装置与方法
CN110940873A (zh) 用户电表与变压器拓扑关系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04849676A (zh) 信号注入法的直流绝缘监测装置
RU2305293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А ПОВРЕЖДЕ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ОЙ СЕТИ НАПРЯЖЕНИЯ 6( 10 ) - 35 кВ С ИЗОЛИРОВАННОЙ ИЛИ КОМПЕНСИРОВАННОЙ НЕЙТРАЛЬЮ
CN215264870U (zh) 一种户变关系识别仪
CN100401079C (zh) 一种小接地电流系统单相接地选线方法
CN116106675A (zh) 一种基于分布式智能终端的配电线路故障定位监测平台
KR101366761B1 (ko) 고조파를 이용한 지중 인입선 판별 시스템 및 방법
JP4004300B2 (ja) 物体探査方法
CN205246808U (zh) 电力电缆故障选线装置
CN106872860B (zh) 一种电缆线路局部放电信号识别判相方法
KR200367021Y1 (ko) 지중배전선로 수용가 상접속 탐색기
KR101680063B1 (ko) 전력선 통신기술을 응용한 케이블 식별 시스템 및 그 방법
JP3546396B2 (ja) 高圧配電系統における地絡判別装置
JP3408992B2 (ja) 低圧側電路地絡方向継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