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4965B1 - 조관장치 - Google Patents

조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4965B1
KR100964965B1 KR1020070122741A KR20070122741A KR100964965B1 KR 100964965 B1 KR100964965 B1 KR 100964965B1 KR 1020070122741 A KR1020070122741 A KR 1020070122741A KR 20070122741 A KR20070122741 A KR 20070122741A KR 100964965 B1 KR100964965 B1 KR 100964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attern forming
forming roller
welding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2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5881A (ko
Inventor
반세용
Original Assignee
(주) 디엠에스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디엠에스티에스 filed Critical (주) 디엠에스티에스
Priority to KR1020070122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4965B1/ko
Publication of KR20090055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5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1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 B21D5/1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08Making tubes with welded or soldered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21D22/04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for dim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6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23K31/027Making tubes with soldering or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재료의 철판을 원형 파이프 형태로 성형하는 조관장치(造管機)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재료인 철판이 롤형태로 감기는 언코일러와, 상기 언코일러에서 공급된 철판을 파이프 형태로 성형하기 위한 성형롤러가 구비된 성형부와, 철판을 파이프 형태로 성형할 때, 접합되지 않은 면을 용접하는 용접부와, 상기 용접부를 통과한 파이프의 열을 냉각하기 위해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부를 포함하는 조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와 냉각부 사이에는 한 쌍의 무늬성형롤러가 대향 설치되고, 상기 무늬성형롤러는 상/하/중앙 부분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호 체결되어 형성되며, 그 중 중앙 부분에 철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무늬성형롤러의 외면은 반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철부는 초경팁 등의 절삭공구를 무늬성형롤러의 외면에 부착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초경팁은 파이프의 외주면에 성형하고자 하는 무늬 모양과 부합되게 가공되며, 상기 무늬성형롤러는 그 일측 축단에 형성된 기어가 서로 대응되게 맞물림 되면서 구동되고, 상기 용접부와 무늬성형롤러의 중간 공정 과정에는, 암모니아 가스를 주 연료로 사용하는 가열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관장치, 파이프, 성형롤러, 철부, 가열수단

Description

조관장치{Tube mill machine}
본 발명은 원재료의 철판을 원형 파이프 형태로 성형하는 조관장치(造管機) 에 관한 것으로, 용접부와 냉각부 사이에 철(凸)부가 형성된 좌우 한 쌍의 무늬성형롤러를 설치함으로써, 파이프 외주면에 다양한 모양의 무늬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한 조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관장치(造管機)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형태로 감긴 원재료의 철판(101)이 공급되는 언코일러(110)와, 상기 언코일러(110)에서 공급된 철판(101)을 파이프 형태로 성형하기 위해 2개가 1조를 이루는 다수의 성형롤러(121)가 구비된 성형부(120)와, 철판(101)을 파이프 형태로 성형하였을 때 접합되지 않은 면을 용접 접합하여 완전한 파이프로 제작하는 용접부(130)와, 상기 용접부(130)를 통과한 파이프에 열을 식혀주기 위해 냉각수를 분사는 냉각부(140)로 순차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관장치와 연속하여 설치되는 성형틀(110)은, 통상 조관장 치(120)와 연속하여 성형틀(110)을 설치하되 각 성형틀(110)에는 서로 반대 방향의 경사각을 가진 장공(111)을 형성하고, 각 장공(111)에는 핀(113)으로 구동압압휠(112)을 축설하여 파이프가 성형틀(11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나선형홈(151)과 곡면돌기(150)가 마름모형으로 형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성형틀은, 조관장치와 연속하여 설치되기는 하나 작업의 연속성이 떨어지며, 특히 성형틀의 구조상 파이프 외주면에 성형되는 무늬 모양이 천편일률적으로 동일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관장치에 의해 성형된 파이프는 냉각부를 거치면서 냉각된 경한 상태 또는 열처리 된 상태로 성형틀에 공급되기 때문에 파이프 외주면에 무늬를 성형하는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용접부와 냉각부 사이에 철부가 형성된 좌우 한 쌍의 무늬성형롤러를 대향 설치함으로써, 무늬성형롤러를 통과하는 파이프 외주면에 다양한 형상의 무늬 모양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한 조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원재료의 철판을 파이프 형태로 성형한 후 그 이음부를 용접하는 용접부와, 상기 용접부를 통과한 파이프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열을 식혀주는 냉각부로 구성되는 조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와 냉각부 사이에는, 중앙 외주면에 철부가 형성된 좌우 한 쌍의 무늬성형롤러를 대향 설치함으로써, 좌우 무늬성형롤러 사이로 파이프가 통과하면서 좌측에 설치된 무늬성형롤러의 철부에 의해서는 파이프 좌측 반원면에 무늬가 성형되게 하고, 우측에 설치된 무늬성형롤러의 철부에 의해서는 파이프 우측 반원면에 무늬가 성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늬성형롤러는 상/하/중앙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중앙부분에는 무늬성형을 위한 철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 한 쌍의 무늬성형롤러의 일측 축단에는, 기어를 서로 대응하여 맞물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접부와 무늬성형롤러 사이에는, 파이프에 고르게 열을 가할 수 있도록 가열수단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가열수단의 주 연료는 암모니아 가스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조관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조관장치 내의 용접부와 냉각부 사이에 무늬성형롤러가 설치되기 때문에 작업의 연속성에 따른 작업능률 향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특히 철부의 형태에 따라 엠보싱, 빗살무늬, 그물무늬, 문자 등 다양한 무늬를 파이프 외주면에 성형할 수 있다.
2. 용접부를 거치면서 열이 가해진 상태의 파이프 외주면에 무늬가 성형되기 때문에 성형작업이 용이하여 고 품질의 파이프를 생산할 수 있다.
3. 롤러가 상/하/중앙부분으로 나뉘어 있으므로(미도시) 쉽게 마모되는 철부가 형성된 롤러의 중앙부분만을 필요시 교체함으로써 기술적, 경제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원재료의 철판이 롤 형태로 감기는 언코일러와, 상기 언코일러에서 공급된 철판을 파이프 형태로 성형하기 위한 성형롤러가 구비된 성형부와, 철판을 파이프 형태로 성형할 때, 접합되지 않은 면을 용접하는 용접부와, 상기 용접부를 통과한 파이프의 열을 냉각하기 위해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부를 포함하는 조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와 냉각부 사이에 한 쌍의 무늬성형롤러가 대향 설치되고, 상기 무늬성형롤러는, 상/하/중앙 부분으로 분리된 상태(미도시)에서 상호 체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러의 상/하/중앙 부분 중 중앙 부분에 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늬성형롤러의 외면은 상기 파이프 단면 형상인 원형에 부합할 수 있도록, 반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철부는 초경팁 등의 절삭공구를 무늬성형롤러의 외면에 부착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초경팁은 파이프의 외주면에 성형하고자 하는 무늬 모양과 부합되게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늬성형롤러는 그 일측 축단에 형성된 기어가 서로 대응되게 맞물림 되면서 구동된다
또한, 상기 용접부와 무늬성형롤러의 중간 공정 과정에는, 암모니아 가스를 주 연료로 사용하는 가열수단이 더 형성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부 발췌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관장치의 구성을 도 2 내지 4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재료의 철판(70)이 롤 형태로 감기는 언코일러(10)와, 상기 언코일러(10)에서 공급된 철판(70)을 파이프 형태로 성형하기 위해 2개가 1조를 이루는 다수의 성형롤러(21)가 구비된 성형부(20)와, 철판(70)을 파이프 형태로 성형하였을 때 접합되지 않은 면을 용접하여 철판(70)을 완전한 파이프 형태로 제작하는 용접부(30)와, 상기 용접부(30)를 통과한 파이프(80)의 열을 냉각하기 위해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부(40)로 구성되는 조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30)와 냉각부(40) 사이에 좌우 한 쌍의 무늬성형롤러(50)를 설치하여 파이프(80) 외주면에 무늬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무늬성형롤러(50)는, 용접부(30)와 냉각부(4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좌우 양측으로 마주보도록 대향 설치하여 용접부(30)를 통과한 파이프(80) 가 좌우 양측으로 대향 설치된 무늬성형롤러(50) 사이를 통과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무늬성형롤러(50)의 중앙은, 파이프(80) 단면의 반원에 부합되는 반원 형태로 형성되며 이 중앙 외주면에는 다수의 철부(51)가 형성된다.
상기 철부(51)는, 초경팁 등과 같은 절삭공구를 무늬성형롤러(50) 중앙 외주면에 돌출되게 부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초경팁을 파이프(80) 외주면에 성형할 무늬 모양에 부합되게 가공하여 무늬성형롤러(50)에 부착한다.
예를 들어, 파이프(80) 외주면에 엠보싱을 성형하고 싶을 경우에는 초경팁을 엠보싱과 같이 가공한 다음 무늬성형롤러(50)의 중앙 외주면에 부착하여 철부(51)를 형성하고, 파이프(80) 외주면에 문자를 각인하고 싶을 경우에는 문자가 각인된 초경팁을 무늬성형롤러(50)의 중앙 외주면에 부착하여 철부(51)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파이프(80) 좌우 단면의 반원에 부합되는 좌우 무늬성형롤러(50) 중앙 외주면에 초경팁 등과 같은 절삭공구를 다양한 형태로 부착하여 철부(51)를 형성함으로써, 철부(51)의 부착 모양에 따라 파이프(80) 외주면에 엠보싱, 빗살무늬, 그물무늬, 문자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형태의 무늬를 성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양측으로 설치된 무늬성형롤러(50)는, 종래의 조관장치에 설치된 롤러들과 같이 무늬성형롤러(50) 중심 축을 회전장치와 연결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좌우 양측으로 형성된 무늬성형롤러(5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서 좌우 무늬성형롤러(50) 사이를 통과하는 파이프(80) 외주면에 압력을 가해 무늬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좌우 양측으로 형성된 무늬성형롤러(50) 중심 축 일단에는 기어(60)를 각각 설치하여 서로 맞물림 되게 함으로써, 좌우 양측으로 설치된 무늬성형롤러(50)의 회전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면서 더욱 강하고 균일한 압력이 파이프(80) 외주면에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무늬성형롤러(50)는, 무늬성형롤러(50)의 중앙만 교체할 수 있도록 분리형으로 제작한다.
즉, 무늬성형롤러(50)에 있어 가장 마모가 가장 심한 부분은 롤러의 중앙부분이며, 이 중앙부분의 철부(51)는 파이프(80)와 맞닿아 파이프 외주면에 무늬를 성형하므로, 무늬성형롤러(50)가 일체형일 경우에는 철부가 마모될 경우에, 무늬성형롤러(50) 전체를 교체해야 하지만, 무늬성형롤러(50)가 상/하/중앙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결합되어 하나의 무늬성형롤러를 형성할 경우, 무늬성형롤러(50)의 상하는 그대로 두고 철부(51)가 구비된 중앙부분만 교체할 수 있다.
결국, 상기 무늬성형롤러(50)는 파이프(80)의 외주면과 직접적으로 맞닿지 않는 상하 부분과 파이프(80) 외주면에 무늬를 성형하는 중앙 부분으로 분리되는 분리형으로 제작되는 구조이므로 기술적, 경제적 이익을 동시에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무늬성형롤러(50)의 분리결합은 여러 가지 방식이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무늬성형롤러(50)를 상하 중앙으로 분리제작한 다음 볼트, 너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결합 분리하거나, 무늬성형롤러(50)를 상하 중앙으로 분리 제작한 다음 상하 중앙 자체에 암수 나사 등의 체결수단 마련하여 결합 분리하는 방식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접부(30)와 무늬성형롤러(50) 사이에는 가열수단(90)을 설치하여 파이프(80) 전면에 고르게 열을 가하여 파이프(80) 외주면에 무늬 성형을 더욱 용이하게 한 것이다.
즉, 용접공정만을 거칠 경우, 용접 열은 파이프(80) 이음부에만 열이 가해지므로 파이프(80) 전체에 고르게 열이 가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파이프(80) 전체에 열이 가해지도록, 용접부(30)와 무늬성형롤러(50) 사이에 가열수단(90)을 마련한 것이다.
상기 가열수단(90)은, 일반적인 버너 또는 토치와 같이 불꽃이 분출되는 장치를 사용하면 되고, 연료는 암모니아 가스를 사용한다.
이상에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관장치는, 용접부(30)와 냉각부(40) 사이에 한 쌍의 무늬성형롤러(50)를 설치하여 용접부(30)를 거친 파이프(80) 외주면에 다양한 무늬 모양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삭제
통상의 조관과정과 같이 언코일러(10)에 롤 형태로 감긴 원재료의 철판(70)이 철판이송롤러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면 일단의 구체롤러에 의해 하향으로 휘어지면서 홈 롤러에 진입하고 이어서 2개가 1조로 구성된 성형롤러(21) 사이로 이송된다.
상기 성형롤러(21)는 도 2, 3과 같이 마주하는 폭이 점차 협소해 지는 구조로서 철판(70)은 이들을 통과하면서 점차 원형의 파이프 형태로 변형되며 용접부(30)를 통과하면서 맞닿는 이음부가 용접(아르곤 용접)된다.
상기 용접부(30)를 통과한 파이프(80)는 이 상태에서 도 4, 5와 같이, 파이프(80) 외주면에 무늬를 성형할 수 있는 상태로 무늬성형롤러(50)를 통과하게 되는데, 여기서 좌우 양측으로 설치된 무늬성형롤러(50)의 중앙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철부(51)가 형성되어 있어 파이프(80) 외주면에 무늬를 성형할 수 있다.
즉, 좌측에 설치된 무늬성형롤러(50)는 파이프(80) 외주면 중 좌측 반원면에 무늬를 성형하고 우측에 설치된 무늬성형롤러(50)는 파이프(80) 외주면 중 우측 반원면에 무늬를 성형하게 된다.
파이프(80)에 외주면에 성형되는 무늬는, 무늬성형롤러(50)에 형성된 철부(51)의 부착모양에 따라 엠보싱, 빗살무늬, 그물무늬, 문자 등 다양한 형태로 성형 된다.
만약 좌우의 무늬성형롤러(50)에 철부(51)를 서로 다르게 부착하면 파이프(80)의 좌우 반원면에 서로 다른 무늬를 성형할 수도 있다.
상기 무늬성형롤러(50)를 통과하면서 파이프(80) 외주면에 무늬가 성형된 파이프(80)는 노즐을 통해 파이프(80)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부(40)를 통과하면서 열이 식혀지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그 작용을 설명하면, 상기 용접부(30)와 무늬성형롤러(50) 사이에 가열수단(90)을 설치하여 용접부(30)를 거치면서 이음부에 부분적으로 열이 가해진 파이프(80)를 파이프(80) 전체에 열이 고르게 가해지게 함으로써, 파이프(80) 외주면에 무늬성형을 더욱 용이하게 한 것이다.
상기 가열수단(90)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암모니아가스를 주연료로 사용한다.
도 1은 종래의 조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부 발췌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언코일러 20:성형부 21:성형롤러
30:용접부 40:냉각부 50:무늬성형롤러
51:철부 60:기어 70:철판
80:파이프 90:가열수단

Claims (3)

  1. 원재료의 철판(70)이 롤 형태로 감기는 언코일러(10)와, 상기 언코일러(10)에서 공급된 철판(70)을 파이프 형태로 성형하기 위해 2개가 1조를 이루는 다수의 성형롤러(21)가 구비된 성형부(20)와, 철판(70)을 파이프 형태로 성형하였을 때 접합되지 않은 면을 용접하여 철판(70)을 완전한 파이프 형태로 제작하는 용접부(30)와, 상기 용접부(30)를 통과한 파이프(80)의 열을 냉각하기 위해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부(40)로 구성되는 조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30)와 냉각부(40)의 사이에 좌우 한 쌍의 무늬성형롤러(50)가 대향 설치되고, 상기 무늬성형롤러(50)는 상/하/중앙 부분으로 분리된 상태로부터 상호 체결되어 형성되며, 그 중 중앙 부분에 철부(5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무늬성형롤러(50)의 외면은 파이프(80) 단면의 반원에 부합되는 반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철부(51)는 초경팁과 같은 절삭공구를 무늬성형롤러(50)의 외면에 돌출되게 부착시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무늬성형롤러(50)는 그 일측 축단에 형성된 기어(60)가 서로 대응되게 맞물림 되면서 구동되고, 상기 용접부(30)와 무늬성형롤러(50)의 중간 공정 과정에는, 암모니아 가스를 주 연료로 사용하는 가열수단(9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관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070122741A 2007-11-29 2007-11-29 조관장치 KR100964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741A KR100964965B1 (ko) 2007-11-29 2007-11-29 조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741A KR100964965B1 (ko) 2007-11-29 2007-11-29 조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881A KR20090055881A (ko) 2009-06-03
KR100964965B1 true KR100964965B1 (ko) 2010-06-21

Family

ID=40987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2741A KR100964965B1 (ko) 2007-11-29 2007-11-29 조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49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0633B1 (ko) * 2017-08-10 2018-01-19 최도현 파이프 용접 장치
WO2020059969A1 (ko) * 2018-09-20 2020-03-26 이보현 엠보싱 스테인리스 파이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엠보싱 스테인리스 파이프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41255B (zh) * 2012-12-07 2014-09-17 上海宝钢型钢有限公司 一种超高强度管件在线辊弯成形工艺
KR102242956B1 (ko) * 2019-09-16 2021-04-21 주식회사 대천 튜브 뒤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조관기
CN116422727A (zh) * 2023-04-23 2023-07-14 江苏久日机床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固定工件的伺服制管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8533A (ja) * 1992-02-19 1993-09-07 Sumitomo Metal Ind Ltd 溶接管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KR0109436Y1 (ko) * 1994-10-18 1998-04-16 유기호 이중으로 된 배수관의 강관축관장치
JP2001191111A (ja) * 2000-01-05 2001-07-17 Nisshin Steel Co Ltd 異形管のインライン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8533A (ja) * 1992-02-19 1993-09-07 Sumitomo Metal Ind Ltd 溶接管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KR0109436Y1 (ko) * 1994-10-18 1998-04-16 유기호 이중으로 된 배수관의 강관축관장치
JP2001191111A (ja) * 2000-01-05 2001-07-17 Nisshin Steel Co Ltd 異形管のインライン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0633B1 (ko) * 2017-08-10 2018-01-19 최도현 파이프 용접 장치
WO2020059969A1 (ko) * 2018-09-20 2020-03-26 이보현 엠보싱 스테인리스 파이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엠보싱 스테인리스 파이프 제조방법
CN111448007A (zh) * 2018-09-20 2020-07-24 李甫铉 压纹不锈钢管制造装置及利用其的压纹不锈钢管制造方法
CN111448007B (zh) * 2018-09-20 2021-10-15 李甫铉 压纹不锈钢管制造装置及利用其的压纹不锈钢管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881A (ko)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4965B1 (ko) 조관장치
CN101508073B (zh) 一种齿圈或法兰的加工方法
KR100931399B1 (ko) 조관장치
CN106271303B (zh) 一种用于h系列燃气轮机排气装置外隔热层中间法兰的加工工装和方法
KR20130076484A (ko) 핫스탬핑용 금형
KR100876659B1 (ko) 머플러 파이프 소재 제작용 조관기의 용접예정부분 에지가공장치
CN106129317A (zh) 一种铜排软连接及其制备方法
US4566676A (en) Short tip for a torch and a torch type tool
KR101510865B1 (ko) 금속관 생산용 조관 롤러의 차동장치
US10442039B2 (en) Method for producing membrane wall, pipe bending device for manufacturing transfer du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fer duct using same
CN106112381B (zh) 多点定位法修复磨损轴的工艺及装置
KR101335651B1 (ko) 대형 웰딩 넥 플랜지의 제조방법
CN104588890A (zh) 一种用于薄壁环形工件外表面堆焊的夹具
CN107116961A (zh) 一种挡圈焊接式有内胎车轮及其制造方法
JPH0691590A (ja) シート材の切断装置、その切断方法、及び環状カッティング・ディスクの製造方法
CN202123288U (zh) 一种带喷淋装置的热锯机
CN212636497U (zh) 一种双色注塑机的旋转水路装置
CN210856214U (zh) 异形侧板高频处理设备
CN203577965U (zh) 带有无内壁衬板进料装置的高压辊磨机
CN209631841U (zh) 一种组合分模的垂直双动挤压组合模具
CN201478001U (zh) 漆包线涂漆活动模具
CN202490829U (zh) 穿水热轧钢表面水汽快速清除装置
US3241221A (en) Apparatus for intimately sheathing foundation bodies with sheet metal jackets
CN107127254B (zh) 热冲压模具冷却结构及其加工方法
JP2007216248A (ja) アルミ合金ホイールディスク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5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6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6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