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4741B1 - Intake structure for preventing underground water pollution - Google Patents
Intake structure for preventing underground water pollu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64741B1 KR100964741B1 KR1020100023137A KR20100023137A KR100964741B1 KR 100964741 B1 KR100964741 B1 KR 100964741B1 KR 1020100023137 A KR1020100023137 A KR 1020100023137A KR 20100023137 A KR20100023137 A KR 20100023137A KR 100964741 B1 KR100964741 B1 KR 1009647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ll
- collection
- sewage
- water
-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5—Keeping wells in good condition, e.g. by cleaning, repairing, regenerating; Maintaining or enlarging the capacity of wells or water-bearing lay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0—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by means of pit wells
- E03B3/11—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by means of pit wells in combination with tubes, e.g. perforated, extending horizontally, or upwardly inclined, exterior to the pi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방지용 지하수 취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수를 취수하기 위한 수직관정의 집수정을 두 개의 층으로 구성하여 하단층의 집수정을 오수집수정으로 이용하고, 상층의 집수정을 취수집수정으로 이용하여, 수직관정과 굴착된 지반 주변으로 여과과정없이 흘러드는 오수가 오수집수정으로 모이게 하고, 일정량의 오수가 유입되면 자동펌핑장치가 가동되어 오수를 외부로 유출시킴으로써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오염방지용 지하수 취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되는 수직관정과, 수직관정의 하부에 방사상으로 연결 설치되는 다수의 수평수집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하수 취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직관정은 수평수집관을 통해 유입되는 지하수를 취수하는 취수 집수정과, 상기 취수집수정의 하부에 형성되는 오수집수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water intake structure for preventing pollution, and more particularly, a water collecting well of a vertical well for collecting ground water is composed of two layers, and a water collecting well of a lower layer is used as a sewage collecting well. Is used as an intake collection well, so that the sewage flowing into the vertical well and the excavated ground without filtration process is collected into the sewage collection well, and when a certain amount of sewage flows, an automatic pumping device is activated to drain the sewage to the outside It relates to a pollution prevention groundwater intake structure that can prevent pollu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groundwater intake structure including a vertical well buried underground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collecting pipes radial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well, the vertical well is used for groundwater flowing through the horizontal collecting pipe. And a sewage collection well formed under the water collection well.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염방지용 지하수 취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수를 취수하기 위한 수직관정의 집수정을 두 개의 층으로 구성하여 하단층의 집수정을 오수집수정으로 이용하고, 상층의 집수정을 취수집수정으로 이용하여, 수직관정과 굴착된 지반 주변으로 여과과정 없이 흘러드는 오수가 오수집수정으로 모이게 하고, 일정량의 오수가 유입되면 자동펌핑장치가 가동되어 오수를 외부로 유출시킴으로써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오염방지용 지하수 취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water intake structure for preventing pollution, and more particularly, a water collecting well of a vertical well for collecting ground water is composed of two layers, and a water collecting well of a lower layer is used as a sewage collecting well. Is used as an intake collection well, so that the sewage flowing into the vertical well and the excavated ground without filtration process is collected into the sewage collection well, and when a certain amount of sewage flows, an automatic pumping device is activated to drain the sewage to the outside It relates to a pollution prevention groundwater intake structure that can prevent pollution.
최근 들어,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상이변과 각종 공해로 인하여 수질오염에 대한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지구 곳곳에서 물부족 현상이 심각하게 나타나면서 산업과 농업용수는 물론이고, 특히 섬지방에서는 음용수마저 고갈되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Recently, due to extreme weather and various pollution caused by global warming, the problem of water pollution is seriously raised, and water shortages are seriously occurring all over the world, so that not only drinking water but also industrial and agricultural water, especially in the island region I'm running out of trouble.
그 동안 수자원은 주로 댐을 막아 지표수를 가두어 사용했지만, 이제는 지표수도 수량부족과 오염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기 시작했으며, 원래 지표수가 부족하던 섬지방에서는 지하관정을 뚫어 지하수를 뽑아쓰는 방식으로 물부족 현상을 해결하려 했지만 오염으로 인해 곧 폐공되어 오히려 심각한 문제와 경제적 손실을 발생시키고 있는 실정이다.In the meantime, water resources were mainly used to block dams to confine surface water, but problems such as surface water shortage and pollution began to occur.In the island area where surface water was originally lacking, water was drained by drilling underground water through underground wells. It tried to solve the phenomenon, but due to pollution, it was soon abandoned, causing serious problems and economic losses.
일반적으로 지하수는 지하관정을 뚫어서 취수하는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주로 만주지역에서 널리 사용되어 이름 붙여진 "만주식 집수정"이 있는데, 상기 만주식 집수정은 토사층, 사력층 및 암반층까지 수직 굴착하여, 콘크리트 관을 설치하고, 콘크리트 관의 측벽에서 대수층으로 수평 방사상으로 다수 개의 수평수집공들을 굴착하여 집수의 영향권을 확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많은 양의 지하수를 집수정에 모을 수 있는 점에서는 효과적이나, 수직굴착된 지반과 수직관정 벽의 사이로 여과없이 흘러드는 지표수가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groundwater is collected through underground wells, and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is the "Manchurian catchment well", which is widely used in the Manchuria region, and is named vertically to the soil layer, the dead sand layer, and the rock layer. Excavation, installation of concrete pipes, and excavation of multiple horizontal collectors horizontally radially from the sidewall of concrete pipes to the aquifer to expand the area of influence of the catchment. Although effective in, surface water flowing without filtering between vertically excavated ground and vertical well walls contaminates groundwater.
또한, 국내등록특허 제10-284857호에는 지하 암반수의 채수공법이 게시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표로부터 소정깊이의 수직 정호(10)를 형성하고, 그 수직 정호(10)의 측벽 하부에서 방사상으로 수평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수평굴착공(30)들을 형성하여 수직 정호의 채수 영향권을 확대시키는 지하수의 채수공법에 있어서, 지중의 토사층, 사력층, 풍화·퇴적층(A)을 순차적으로 수직굴착하고, 계속하여 연암층(B)을 지나 경암층(D)의 일정부분까지 굴착하되, 연암층(B)이 나올 때까지는 수직 굴착공의 측벽에 콘크리트 흄관(40)을 설치해서 지표층의 붕괴를 차단하고, 연암층(B) 및 경암층(D)부분은 암반을 그대로 노출시켜 측벽으로 이용하며, 경암층에 도달하면 수직 정호의 하부 내경을 더 넓게 굴착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한 수직 정호(10)를 굴착한 다음, 상기 수직 정호(10)의 하부에 수평굴착기를 설치하고 그 수평굴착기로서 수평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수평굴착공(30)을 굴착하여 연암층(B)과 경암층(D)사이에 존재하는 암반 대수층(C)에 관통시켜 암반으로 둘러싸인 자연 그대로의 집수통로를 형성한 다음, 상기 관통작업을 통해 목표량의 지하수가 용출되는 것으로 판명되면, 상기 흄관(40)의 상단 외측에 그라우트를 주입하여 수직 굴착공의 측벽과 흄관(40)의 외부가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고, 흄관(40)의 하단에도 그라우트를 주입하여 흄관(40)의 하단을 통하여 오수나 복류수가 수직 정호(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시에 집수된 지하수가 흄관(40)의 외부로 누수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작업을 통하여, 연암층과 경암층사이의 고결암반 대수층에 부존하는 양질의 암반지하수를 다량으로 집수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No. 10-284857 discloses a method of collecting underground rock water, and its main technical configuration is to form a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은 오수나 복류수에 의한 지하수의 오염 방지를 위해 단순히 흄관(40)의 외측에 그라우팅 작업을 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으나, 그라우팅 작업은 오수나 복류수가 흄관(40)에 직접적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오수나 복류수가 여과 없이 쌓이게 되어 수평 굴착공(30)을 통해 수직 정호(1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없으므로 여전히 지하수가 오염될 우려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 configuration suggests that grouting work is simply performed on the outside of the
또한, 집수정을 천연 암반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 시간이 경과하면 암반이 지하수에 의해 침식되어 부스러지거나, 수직 정호(10)와의 불일치에 의해 엄청난 중량을 갖는 수직 정호와 수직 정호 주위의 지반이 하중으로 작용하여 함몰될 우려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the sump well as a natural rock state, the rock is eroded and grounded by groundwater as time passes, or the ground around the vertical well and the vertical well having a huge weight due to inconsistency with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관정에 오수만을 따로 수집하는 오수집수정을 형성시키고, 수직관정의 상부 외곽에 오염방지층을 형성함으로써 소중한 자원인 지하수의 오염을 막아 지하수 개발의 근본적인 목적인 깨끗한 물의 안정적인 공급 및 취수가 가능한 오염방지용 지하수 취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sewage collection wells to collect only sewage in the vertical well, and by forming an anti-fouling layer on the upper edge of the vertical well ground water is a valuable resource It is to provide a pollution prevention groundwater intake structure that can provide stable water supply and withdrawal, which is the fundamental purpose of groundwater development by preventing pollution.
또한, 본 발명은 펌프를 이용하여 수평수집공의 내부를 수압에 의해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오염방지용 지하수 취수구조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lution prevention ground water intake structure that allows the inside of the horizontal collecting hole to be automatically cleaned by water pressure using a pump.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지하에 매설되는 수직관정과, 수직관정의 하부에 방사상으로 연결 설치되는 다수의 수평수집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하수 취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직관정은 수평수집관을 통해 유입되는 지하수를 취수하는 취수 집수정과, 상기 취수집수정의 하부에 형성되는 오수집수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underground water intake structure comprising a vertical well buried underground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collection pipes radial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well, the vertical well is a water intake to take the ground water flowing through the horizontal collection pipe And a sewage collection well formed on the bottom of the water collection well.
이때, 상기 오수집수정에는 다수의 오수집수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ewage collection modific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ewage collection holes are formed.
또한, 상기 취수집수정에는 제1펌프가 구비된 제1배출관이 지상으로부터 연결 설치되고, 상기 오수집수정에는 제2펌프가 구비된 제2배출관이 지상으로부터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first discharge pipe having a first pump is connected to the intake collection well from the ground, and a second discharge pipe having a second pump is connected to the sewage collection well from the ground.
여기서, 상기 제1배출관은 취수집수정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수평수집관의 일측 단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배출관과 수평수집관 사이의 연결부에는 제1제어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first discharge pipe is installed so as to communicate with one end of the horizontal collection pipe is inserted into the intake collection w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ntrol valve is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discharge pipe and the horizontal collection pipe.
또한, 상기 제1배출관에는 청소용 펌프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discharge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leaning pump is connected.
또한, 상기 수평수집관과 오수집수정의 사이에는 청소용 배관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수평수집관과 청소용 배관 사이의 연결부에는 제2제어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leaning pipe is installed between the horizontal collection pipe and the sewage collection,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horizontal collection pipe and the cleaning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ntrol valve is installed.
그리고, 상기 수직관정의 상부 외곽에는 오염방지층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upper outer edge of the vertical w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i-fouling layer formed.
이때, 상기 오염방지층은 토사층 또는 콘크리트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anti-fouling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soil layer or concrete layer.
또한, 상기 취수집수정 및 오수집수정에는 각각 제1 및 제2자외선 살균램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ntake collection and sewage collection well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ultraviolet sterilization lamp is installed.
본 발명에 따른 오염방지용 지하수 취수구조에 의하면, 수직관정에 오수만을 따로 수집하는 오수집수정을 형성시킴으로써 소중한 자원인 지하수의 오염을 막아 지하수 개발의 근본적인 목적인 깨끗한 물의 안정적인 공급 및 취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청정한 지하수를 오랫동안 유지시킬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ollution prevention ground water intak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sewage collection well to collect only sewage in the vertical well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groundwater, which is a valuable resource, to enable stable supply and intake of clean water, which is the fundamental purpose of groundwater development, It has an excellent effect to keep the groundwater for a long tim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압에 의해 수평수집공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직관정의 상부에 정화필터 역할을 하는 토사층을 형성함으로써 지하수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easily clean the horizontal collection hole by the water pressure, but also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contamination of the ground water by forming a soil layer acting as a purification filter on the top of the vertical well.
도 1은 종래의 지하수를 채수하는 집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방지용 지하수 취수구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방지용 지하수 취수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water collecting structure for collecting groundwater.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ntamination prevention groundwater intak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ollution prevention groundwater intak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8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염방지용 지하수 취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ollution prevention ground water intak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방지용 지하수 취수구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방지용 지하수 취수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ollution prevention ground water intak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 pollution prevention ground water intak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8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본 발명은 지하수를 취수하기 위한 수직관정(110)의 집수정을 두 개의 층으로 구성하여 하단층의 집수정을 오수집수정(110b)으로 이용하고, 상층의 집수정을 취수집수정(110a)으로 이용하여, 수직관정(110)과 굴착된 지반 주변으로 여과과정 없이 흘러드는 오수가 오수집수정(110b)으로 모이게 하고, 일정량의 오수가 유입되면 자동펌핑장치, 즉 제2펌프(114b)가 가동되어 오수를 외부로 유출시킴으로써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오염방지용 지하수 취수구조(10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지하에 매설되는 수직관정(110)과, 상기 수직관정(110)의 하부에 내측으로 삽입되어 방사상으로 연결 설치되는 다수의 수평수집관(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collecting well of the
이때, 상기 수직관정(110)은 하부에 격벽(112)이 형성되어, 상기 격벽(112)을 기준으로 하여 취수집수정(110a)과 오수집수정(110b)의 두 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취수집수정(110a)은 격벽(112)의 상부에 형성되어 수평수집관(120)을 통해 유입되는 지하수를 수용하여 취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오수집수정(110b)은 격벽(112)의 아래쪽에 형성되어 수평수집관(120)에 의해 수집되지 않은 채로 흘러내려온 지하수를 별도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즉,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성분은 주로 수직관정(110)을 설치하기 위해 굴착된 지반과 수직관정(110)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통해 여과과정 없이 침투되는 지표수에 의한 것인데, 이와 같이 수직굴착된 지반과 수직관정(110)의 사이로 침투되는 지표수와 복류수를 포함한 그 밖의 수평수집관(120)에 의해 수집되지 않은 채로 지하로 흘러 내려오는 물을 모두 오수로 간주하여 오수집수정(110b)에 별도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취수집수정(110a)에 수용되는 지하수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components contaminating groundwater are mainly due to surface water that is penetrated without filtration through a gap formed between the ground excavated to install the
이때, 상기 오수집수정(110b)의 측벽 상부에는 다수의 오수집수홀(116b)들이 형성되는데, 상기 오수집수홀(116b)은 수평수집관(120)을 통해 취수집수정(110a)으로 유입되지 않은 오수들이 지하에 모여 수평수집관(120)을 통해 다시 취수집수정(110a)으로 유입되어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지하에 모이는 오수들은 다수의 오수집수홀(116b)을 통해 오수집수정(110b)에 저장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한편, 상기 취수집수정(110a) 및 오수집수정(110b)의 내측에는 각각 제1배출관(112a) 및 제2배출관(112b)이 지상으로부터 연결 설치되는데, 상기 제1배출관(112a)에는 제1펌프(114a)가 구비되어 취수집수정(110a)에 취수된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지하수를 지상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discharge pipe (112a)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112b) are respectively installed from the ground inside the intake collection pipe (110a) and sewage collection pipe (110b), the first discharge pipe (112a) The
또한, 상기 제2배출관(112b)에는 제2펌프(114b)가 구비되어 오수집수정(110b)에 저장된 오수들을 지상으로 끌어올려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오수집수정(110b)의 내측 벽면에 수위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오수집수정(110b)에 일정량 이상의 오수가 모이게 되면 자동으로 제2펌프(114b)가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오수집수정(110b) 내에 저장된 오수가 오수집수홀(116b)을 통해 역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second discharge pipe (112b) is provided with a second pump (114b) to be able to handle the sewage stored in the sewage collection well 110b to the ground to prevent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by installing a water level detection sensor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 취수집수정(110a)과 오수집수정(110b)의 사이에 형성되는 격벽(112)에는 개폐가능한 출입구(114)를 설치하여 오수집수정(110b)의 바닥면에 가라앉아 제2펌프(114b)에 의해 배출되지 않는 일부 이물질들을 정기적으로 청소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한편, 상기 수직관정(110)의 상부 외곽, 즉 수직관정(110) 중 지상으로 돌출된 부분의 외곽에는 오염방지층(130)을 형성할 수도 있는데, 상기 오염방지층(130)은 지하수의 오염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edge of the
즉, 상기 오염방지층(130)은 수직굴착된 지반과 수직관정(110) 사이의 틈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여과과정 없이 지하로 유입되는 오수의 발생을 줄여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이때, 상기 오염방지층(130)은 토사층 또는 콘크리트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토사층은 수직관정(110)의 상부 외곽에 충분히 두텁고 넓게 형성되어 집중강우시 주변이 침수되더라도 굴착된 지반과 수직관정(110) 사이로 유입되는 물이 토사층에 의해 1차적으로 정화될 수 있도록 하는 정화필터의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콘크리트층은 굴착된 지반과 수직관정(110) 사이로 유입되는 물을 미연에 방지하여 지하수의 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오염방지층(130)을 거쳐 지하로 유입되는 물도 굴착공과 수직관정(110)의 사이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오수로 간주하여 오수집수정(110b)에 저장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water flowing into the basement through the
그리고, 상기 취수집수정(110a) 및 오수집수정(110b)의 내측 하부에는 각각 제1 및 제2자외선 살균램프(118a)(118b)가 설치될 수도 있는데, 상기 제1 및 제2자외선 살균램프(118a)(118b)는 취수집수정(110a) 및 오수집수정(110b) 내에서의 세균의 번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In addition, first and secon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오염방지용 지하수 취수구조(100)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수평수집관(120)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는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청소용 펌프(116a)와 제1제어밸브(140), 청소용 배관(150) 및 제2제어밸브(160)를 통해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ollution prevention ground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배출관(112a)은 수직관정(110)의 취수집수정(110a) 내부로 삽입되는 수평수집관(120)의 일측 단부와 연통되도록 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배출관(112a)과 수평수집관(120) 사이의 연결부에는 물의 흐름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제1제어밸브(140)가 설치된다.In more detail, the first discharge pipe (112a) is installed so as to communicate with one end of the
또한, 상기 제1배출관(112a)의 지상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수평수집관(120)을 청소하기 위한 대형 물탱크(미도시)가 구비된 청소용 펌프(116a)가 연결 설치된다.In addition, a
따라서, 평상시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제어밸브(140)가 제1배출관(112a)과 수평수집관(120) 사이의 연결부가 연통되도록 하여 수평수집관(120)을 통해 집수되는 지하수가 취수집수정(110b)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제1펌프(114a)를 작동시켜 취수집수정(110a)에 저장된 지하수를 지상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제어밸브(140)가 제1배출관(112a)과 수평수집관(120) 사이의 연결부를 막게 되어 지하수가 제1배출관(112a)을 통해 지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5, the
또한, 상기 수평수집관(120)을 청소하기 위한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제어밸브(140)를 이용하여 제1배출관(112a)의 하부를 밀폐시킨 후, 청소용 펌프(116a)를 작동시켜 제1배출관(112a)을 통해 물을 공급하게 되면 취수집수정(110a)으로는 물이 유입되지 않고 제1배출관(112a)과 수평수집관(120) 사이의 연결부를 통해 물이 공급되어, 수평수집관(120)의 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cleaning the
이때, 수평수집관(120)을 통해 이물질과 함께 배출된 물은 하부로 흐르게 되어 오수집수홀(116b)을 통해 오수집수정(110b)의 내측으로 유입되므로 제2펌프(114b)를 이용하여 제2배출관(112b)을 통해 지상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water discharged along with the foreign matter through the
한편, 상기 수평수집관(120)과 오수집수정(110b)의 사이에는 청소용 배관(150)이 연결 설치되는데, 상기 청소용 배관(150)은 수평수집관(120)의 청소에 사용된 물을 직접 오수집수정(110b)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즉, 상기 수평수집관(120)은 지하로 내려오면서 자연적으로 여과처리된 지하수들을 용이하게 취수집수정(110a)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직관정(110)을 향해 아래방향으로 약간의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기울기에 의해 수평수집관(120)의 청소에 사용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수평수집관(120)을 따라 이물질과 함께 수직관정(110) 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취수집수정(110a)으로 유입될 수 있다.That is, the
그러므로, 이와 같이 수평수집관(120)의 청소에 사용된 물이 다시 수평수집관(120)을 따라 수직관정(110) 쪽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청소용 배관(150)을 통해 오수집수정(110b)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water used for cleaning the
따라서, 상기 수평수집관(120)과 청소용 배관(150) 사이의 연결부는 최대한 수직관정(110)에 인접한 곳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수평수집관(120)과 청소용 배관(150) 사이의 연결부에는 수평수집관(120)의 청소에 사용된 물의 흐름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제어밸브(160)가 설치된다.Therefore,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즉, 상기 제2제어밸브(160)는 제1배출관(112a)을 통해 수평수집관(120) 방향으로 청소용 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수집관(120)과 청소용 배관(150) 사이의 연결부를 막음으로써 청소에 사용되는 물이 청소용 배관(150)을 통해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청소 후에 미처 배출되지 못한 물이 수평수집관(120)으로부터 수직관정(110), 즉 제1배출관(112a)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수집관(120)과 청소용 배관(150) 사이의 연결부를 개방시키고, 제1배출관(112a) 방향의 흐름을 막음으로써 청소에 사용된 물이 청소용 배관(150)을 통해 오수집수정(110b)으로 직접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cleaning water flows in the direction of the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청소용 펌프(116a)로부터 제1배출관(112a)을 통해 수평수집관(120)으로 물을 보내는 경우, 제2제어밸브(160)를 조절하여 물이 수평수집관(120) 방향으로 흐르지 않고, 청소용 배관(150) 방향으로 흐르도록 함으로써 청소용 배관(150)을 청소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when water is sent from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오염방지용 지하수 취수구조(100)에 의하면 수직관정(110)에 오수만을 따로 수집하는 오수집수정(110b)을 형성시킴으로써 소중한 자원인 지하수의 오염을 막아 지하수 개발의 근본적인 목적인 깨끗한 물의 안정적인 공급 및 취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청정한 지하수를 오랫동안 유지시킬 수 있고, 수압에 의해 수평수집공(120)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직관정(110)의 상부에 정화필터 역할을 하는 토사층을 형성함으로써 지하수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tamination prevention groun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오염방지용 지하수 취수구조(100)의 수직관정(110)의 외측면에 그라우팅 작업을 하는 것과, 수평수집관(120)의 내측면에 스트레이너(strainer)를 삽입 설치하는 등의 수평수집관(120)의 구조는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grouting work on the outer surface of the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ost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오염방지용 지하수 취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수를 취수하기 위한 수직관정의 집수정을 두 개의 층으로 구성하여 하단층의 집수정을 오수집수정으로 이용하고, 상층의 집수정을 취수집수정으로 이용하여, 수직관정과 굴착된 지반 주변으로 여과과정 없이 흘러드는 오수가 오수집수정으로 모이게 하고, 일정량의 오수가 유입되면 자동펌핑장치가 가동되어 오수를 외부로 유출시킴으로써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오염방지용 지하수 취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water intake structure for preventing pollution, and more particularly, a water collecting well of a vertical well for collecting ground water is composed of two layers, and a water collecting well of a lower layer is used as a sewage collecting well. Is used as an intake collection well, so that the sewage flowing out of the vertical well and the excavated ground without filtration process is collected into the sewage collection well. It relates to a pollution prevention groundwater intake structure that can prevent pollution.
100 : 지하수 취수구조 110 : 수직관정
110a : 취수집수정 110b : 오수집수정
112 : 격벽 112a : 제1배출관
112b : 제2배출관 114 : 출입구
114a : 제1펌프 114b : 제2펌프
116a : 청소용 펌프 116b : 오수집수홀
118a : 제1자외선 살균램프 118b : 제2자외선 살균램프
120 : 수평수집관 130 : 오염방지층
140 : 제1제어밸브 150 : 청소용 배관
160 : 제2제어밸브 100: groundwater intake structure 110: vertical well
110a:
112: bulkhead 112a: first discharge pipe
112b: second discharge pipe 114: entrance
114a:
116a: cleaning
118a: first
120: horizontal collection pipe 130: pollution prevention layer
140: first control valve 150: cleaning pipe
160: second control valve
Claims (9)
상기 수직관정은 수평수집관을 통해 유입되는 지하수를 취수하는 취수집수정과, 상기 취수집수정의 하부에 형성되는 오수집수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직관정의 상부 외곽에는 오염방지층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방지용 지하수 취수구조.
In the underground water intake structure comprising a vertical well buried underground,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collection pipes radially inserted into the lower inside of the vertical well,
The vertical well includes a water collection well for collecting ground water flowing through the horizontal collection pipe, and a sewage collection well formed under the water collection well,
Pollution prevention ground water intak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well formed pollution prevention layer.
상기 수직관정은 수평수집관을 통해 유입되는 지하수를 취수하는 취수 집수정과, 상기 취수집수정의 하부에 형성되는 오수집수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취수집수정 및 오수집수정의 내측 하부에는 각각 제1 및 제2자외선 살균램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방지용 지하수 취수구조.
In the underground water intake structure comprising a vertical well buried underground,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collection pipes radially inserted into the lower inside of the vertical well,
The vertical well includes a water collecting well for collecting ground water flowing through the horizontal collection pipe, and a sewage collecting well formed under the water collecting well,
Groundwater intake structure for preventing pollu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ultraviolet sterilization lamps are installed on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intake collection and sewage collection.
상기 수직관정은 수평수집관을 통해 유입되는 지하수를 취수하는 취수 집수정과, 상기 취수집수정의 하부에 형성되는 오수집수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취수집수정의 내측에는 제1펌프가 구비된 제1배출관이 지상으로부터 연결 설치되고, 상기 오수집수정의 내측에는 제2펌프가 구비된 제2배출관이 지상으로부터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배출관의 지상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청소용 펌프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방지용 지하수 취수구조.
In the underground water intake structure comprising a vertical well buried underground,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collection pipes radially inserted into the lower inside of the vertical well,
The vertical well includes a water collecting well for collecting ground water flowing through the horizontal collection pipe, and a sewage collecting well formed under the water collecting well,
Inside the intake collection well is installed the first discharge pipe with a first pump connected from the ground, Inside the sewage collection well is installed the second discharge pipe with a second pump is connected from the ground,
Contamination prevention ground water intak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leaning pump is connected to the portion protruding to the ground of the first discharge pipe.
상기 제1배출관은 취수집수정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수평수집관의 일측 단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배출관과 수평수집관 사이의 연결부에는 제1제어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방지용 지하수 취수구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discharge pipe is install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one end of the horizontal collection pipe is inserted into the intake collection well,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discharge pipe and the horizontal collection pipe,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undwater for pollution prevention Intake structure.
상기 수평수집관과 오수집수정의 사이에는 청소용 배관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수평수집관과 청소용 배관 사이의 연결부에는 제2제어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방지용 지하수 취수구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cleaning pipe is installed between the horizontal collection pipe and the sewage collection well, and the second control valve is install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horizontal collection pipe and the cleaning pipe.
상기 오염방지층은 토사층 또는 콘크리트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방지용 지하수 취수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pollution prevention layer is a soil prevention ground water intak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oil layer or a concrete layer.
상기 오수집수정의 측벽 상부에는 다수의 오수집수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방지용 지하수 취수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groundwater intake structure for preventing pollution,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ewage collection holes are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sewage collection wel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3137A KR100964741B1 (en) | 2010-03-16 | 2010-03-16 | Intake structure for preventing underground water pollu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3137A KR100964741B1 (en) | 2010-03-16 | 2010-03-16 | Intake structure for preventing underground water pollu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64741B1 true KR100964741B1 (en) | 2010-06-24 |
Family
ID=42370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23137A Expired - Fee Related KR100964741B1 (en) | 2010-03-16 | 2010-03-16 | Intake structure for preventing underground water pollu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64741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42199A1 (en) * | 2019-09-04 | 2021-03-11 | 11814192 Canada Inc | Wastewater treatment sampling device |
CN113603292A (en) * | 2021-07-27 | 2021-11-05 | 中冶南方都市环保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 Groundwater prosthetic devices |
US11193861B2 (en) | 2019-09-04 | 2021-12-07 | 11814192 Canada Inc. | Wastewater treatment sampling device |
CN114526038A (en) * | 2022-03-01 | 2022-05-24 | 新疆冰山之父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 Method for taking water in glacier drilling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26143A (en) * | 1995-02-22 | 1996-09-03 | Toshiba Corp | Underground water sampling method and sampling device |
JP2003328400A (en) * | 2002-05-10 | 2003-11-19 | Yoshio Murahashi | Filtration type manchurian well device |
-
2010
- 2010-03-16 KR KR1020100023137A patent/KR10096474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26143A (en) * | 1995-02-22 | 1996-09-03 | Toshiba Corp | Underground water sampling method and sampling device |
JP2003328400A (en) * | 2002-05-10 | 2003-11-19 | Yoshio Murahashi | Filtration type manchurian well device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42199A1 (en) * | 2019-09-04 | 2021-03-11 | 11814192 Canada Inc | Wastewater treatment sampling device |
US11193861B2 (en) | 2019-09-04 | 2021-12-07 | 11814192 Canada Inc. | Wastewater treatment sampling device |
CN113603292A (en) * | 2021-07-27 | 2021-11-05 | 中冶南方都市环保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 Groundwater prosthetic devices |
CN114526038A (en) * | 2022-03-01 | 2022-05-24 | 新疆冰山之父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 Method for taking water in glacier drill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33580B1 (en) | Dust-removal managing pit | |
RU2567927C2 (en) | Underground water control system for mine tunnels | |
JP5014835B2 (en) | Rainwater infiltration dredging and rainwater infiltration hatching method for existing rainwater dredging | |
CN106087953B (en) | A kind of drainag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ountain area large size spoil ground mud-rock flow | |
CN211395714U (en) | Novel building foundation pit drainage structure | |
CN104975648B (en) | Combined system underground Rainwater Storage Tank | |
KR100964741B1 (en) | Intake structure for preventing underground water pollution | |
CN104499560A (en) | Combined rainwater seepage well and construction method | |
CN209384255U (en) | Drainage system for tunnel foundation pit | |
CN211057828U (en) | Interim drainage structures is dug to earthwork packing | |
CN206245444U (en) | Rainwater penetration system | |
JP6739887B1 (en) | Secondary drainage method in case of flood damage | |
CN209555956U (en) | Drop and drainage structure is secretly buried in a kind of drainage | |
CN104328836B (en) | A kind of environment-friendly type prefabricated pair of case deep hole type catch pi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CN214499161U (en) | Inclined shaft type tunnel drainage pump house | |
CN114319537A (en) | Can strengthen sponge system of rainwater purification infiltration function | |
CN212582591U (en) | A comprehensive slope protection structure for ditch head backfilling measures | |
CN211690672U (en) | Gardens drainage device | |
CN104878826B (en) | A kind of urban road rain-water accumulating heat-extraction system and storage discharge method | |
CN210331937U (en) | Waste water recycling system | |
CN210031499U (en) | Bridge drainage system | |
CN111648303A (en) | A comprehensive slope protection structure system and method for ditch head backfilling measures | |
JP2009097151A (en) | Permeable structure | |
JP6329464B2 (en) | Sand erosion prevention structure | |
CN206337482U (en) | Ecological side drain and its seepage wel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3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4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24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005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6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6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