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962B1 - 유료 도로의 요금 징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료 도로의 요금 징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962B1
KR100959962B1 KR20070138326A KR20070138326A KR100959962B1 KR 100959962 B1 KR100959962 B1 KR 100959962B1 KR 20070138326 A KR20070138326 A KR 20070138326A KR 20070138326 A KR20070138326 A KR 20070138326A KR 100959962 B1 KR100959962 B1 KR 100959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toll
user
uni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138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9989A (ko
Inventor
와까사 우사
도모야 가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9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9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요금 징수 시스템은 유료 도로의 이용자가 요금을 지불하기 위한 조작을 행하는 이용자 조작부를 갖는 요금 징수기와, 이용자 조작부를 촬영하는 조작면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부와,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감시부를 포함하는 감시반과, 이용자가 이용자 조작부에서 행한 제1 소정의 조작에 응답하여, 감시부에 표시시키는 영상을, 조작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으로 자동적으로 절환하는 카메라 절환부를 갖는다. 이러한 요금 징수 시스템에 의해, 요금소의 감시원이 복수의 차선에 있어서의 이용자의 조작 상황을 용이하게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Figure R1020070138326
요금 징수 시스템, 카메라 절환부, 조작면 카메라, 요금 징수기, 촬영부

Description

유료 도로의 요금 징수 시스템 {TOLL COLLECTING SYSTEM OF TOLL ROAD}
본 발명은, 유료 도로의 요금소에 설치되는 요금 징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유료 도로의 요금소에 설치되는 요금 징수기가 알려져 있다. 이용자가 요금 징수기에 통행권 등의 매체를 삽입하면, 그 매체에 기억된 이용자의 입장 위치 정보, 차종 정보 및, 요금 징수기에 저장되어 있는 출장 위치 정보로부터, 각 이용자가 지불할 요금이 자동적으로 계산된다.
통상의 요금 체계에 해당하는 차량에 대한 요금 지불은 전술한 바와 같지만, 일반적이지 않은 통행 요금의 규정도 많이 있다. 예를 들어, 신체 장애인 할인이나, 관광 버스 등의 사업자 대상 할인, 경찰차나 소방 차량 등의 긴급 차량에 대한 무료 통행 허가 등이다.
이러한 일반적이지 않은 요금 체계에 해당하는 차량의 주행 요금 징수에 있어서는, 요금소 감시원이 대응할 차선까지 직접 상황을 확인하러 가서 요금 징수를 행하거나 또는, 원격 감시에 의해 차종을 판별하여 이용자가 지불할 요금을 산출하여, 각 차량에 대응한 조작을 요금소 감시원이 원격 조작으로 행할 필요가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187279호 공보에는, 유료 도로의 요금 징수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에 따르면, 요금소 출구에 도착한 차량의 차종을 판별하는 차종 판별 장치와, 통행권에 기록된 요금 징수 정보를 판독하여, 판별된 차종과 기록된 차종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요금 징수 정보를 기초로 하여 통행 요금을 산출하고, 통행 요금을 징수하는 요금 징수기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차량을 촬영하는 텔레비전 카메라와, 판별된 차종과 기록된 차종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텔레비전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요금 징수 정보를 표시하여 징수 감시원에 대해 차종의 판정을 재촉하는 감시반과, 감시반에 표시된 영상과 요금 징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징수 감시원에 의해 판정된 차종을 기초로 하여 통행 요금을 산출하고, 통행 요금을 징수 처리하는 요금 징수기를 구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유료 도로의 요금소에 있어서는, 이용자의 다양한 이용 상태에 맞추어 유연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1개의 차선에 대해 1명의 감시원이 배치된다. 감시원은, 요금 징수기만으로는 전부 대응할 수 없는 조작을 행하거나, 이용자가 요금 징수기의 사용을 모르는 경우 등에 신속하게 어드바이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최근의 사회적인 요청으로서 유료 도로 운영 비용의 삭감이 요구되고 있다. 그를 위해, 복수의 차선에 대해 소인수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요금소의 감시원이 복수의 차선에 있어서의 이용자의 조작 상황을 아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요금 징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요금소의 감시원이 이용자에게 적절하게 어드바이스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요금 징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정한 증명서가 제시되어 있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요금 징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요금 징수기의 요금 취출구 부근에 불심자(不審者)가 접근한 경우에, 다른 처리에 우선하여, 그 불심자 정보를 요금소의 감시원에게 통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요금 징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료 도로의 요금 징수 시스템은, 유료 도로의 이용자가 요금을 지불하기 위한 조작을 행하는 이용자 조작부를 갖는 요금 징수기와, 이용자 조작부를 촬영하는 조작면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부와,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감시부를 포함하는 감시반과, 이용자가 이용자 조작부에서 행한 제1 소정의 조작에 응답하여, 감시부에 표시시키는 영상을, 조작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으로 자동적으로 절환하는 절환 동작을 행하는 카메라 절환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료 도로의 요금 징수 시스템은, 유료 도로의 이용자가 요금을 지불하기 위한 조작을 행하는 이용자 조작부를 갖는 요금 징수기와, 요금 징수기의 앞에 정차하고 있는 차량의 탑승객의 얼굴의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는 이용자/증명서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부와,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감시반과, 감시반에 이용자/증명서 카메라 이외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어 있었을 때, 이용자가 이용자 조작부에서 행한 제2 소정의 조작에 응답하여, 감시반에 표시시키는 영상을, 이용자/증명서 카메라로 촬영되는 영상으로 자동적으로 절환하는 카메라 절환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료 도로의 요금 징수 시스템은, 유료 도로의 이용자가 요금을 지불하기 위한 조작을 행하는 이용자 조작부를 갖는 요금 징수기와, 차선을 촬영하는 차선 전경 카메라 및 이용자 조작부를 촬영하는 조작면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부와,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감시반과, 요금소를 통과하는 차량에 탑재된 논스톱 자동 요금 징수 시스템 차량 탑재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와, 감시반에 차선 전경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어 있고, 또 한 수신 안테나가 무선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감시반에 표시시키는 영상을 조작면 카메라 영상으로 자동적으로 절환하는 카메라 절환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요금소의 감시원이 복수의 차선에 있어서의 이용자가 있는 상황을 아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요금 징수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요금소의 감시원이 이용자에게 적절하게 어드바이스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요금 징수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정한 증명서가 제시되어 있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요금 징수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요금 징수기의 요금 취출구 부근에 불심자가 접근한 경우에, 다른 처리에 우선하여 그 불심자 정보를 요금소의 감시원에게 통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요금 징수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 설명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예이며, 특허청구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태양을 취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1에 본 발명에 관한 요금 징수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이 요금 징수 시스템은, 주로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부(50)와, 이용자가 요금 지불 조작을 행하는 요금 징수기(30)와, 요금소 감시원이 이용자의 지불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감시반(1)과, 이용자가 승차한 차량의 상태나 이용자가 행하는 요금 지불 조작에 따라서,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복수의 영상 중 상기 감시반에 표시될 최적 의 영상으로 절환하기 위한 카메라 절환부(11)를 포함한다.
촬영부는 차선 전경을 촬영하는 차선 전경 카메라(51), 이용자가 요금 징수 조작을 행하는 이용자 조작부의 영역을 촬영하는 조작면 카메라(53), 요금 징수기의 앞에 정차하고 있는 차량의 탑승객의 얼굴의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는 이용자/증명서 카메라(54), 요금 징수기의 요금 취출구 부근의 영역을 촬영하는 불심자 검출용 카메라(52)를 포함한다. 촬영부(50)는 변환기(42), 전송 단자대부(33)를 통해 감시반(1)에 정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2에 본 발명에 관한 요금 징수 시스템의 외관도를 도시한다. 이들 카메라 중, 차선 전경 카메라(51)는 요금 징수기(30)와 독립적으로, 차선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차선 전경 카메라(51)는 차선에 진입한 차량의 모습을 촬영한다. 차선 전경 카메라(51)는 요금 징수기(30)보다도 하류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대의 차량이 1개의 차선에 차례로 진입하고 있는 경우, 요금 징수 대기 차량의 수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차선 전경 카메라(51)는 차선의 상부, 예를 들어 게이트의 천장에 장착하여 부감적인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설치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조작면 카메라(53), 이용자/증명서 카메라(54), 불심자 검출용 카메라(52)는 전송 단자대부(33)를 통해 감시반(1)에 정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들 카메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요금 징수기 부분에서 상세하게 서술한다.
요금 징수기(30)는 요금소의 각 차선의 노측(路側)에 설치된다. 요금 징수기(30)는 이용자 조작부(31), 제어부(32), 전송 단자대부(33), 조작면 카메라(53), 이용자/증명서 카메라(54), 불심자 검출용 카메라(52), 카메라용 광원(41), 인터폰(40), 각종 지불 매체 처리부를 구비한다.
제어부(32)는 후술하는 각종 지불 매체 처리부에서 판독된 통행권, 및 지불 매체의 정보를 수집하고, 그 판독 정보에 응답하여 이용자가 지불할 요금과의 과부족을 계산한다. 또한, 감시반(1)측으로부터의 요금소 감시원의 조작에 응답하여, 요금 징수기(30)가 행하는 조작의 제어를 행한다.
이용자 조작부(31)는 요금 징수기의 하우징의 차선에 면한 측에 설치된다. 도3에 차선의 측으로부터 본 요금 징수기(30)의 이용자 조작부(31)를 도시한다. 요금 징수기(30)의 연직 방향 하측(도면의 z축 마이너스 방향)을 도면의 하측으로 하여 보았을 때, 도면을 향해 우측이 차선의 상류측(진입측)이고, 좌측이 하류측(발진측)이다. 즉, 차량은 도면을 향해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주행한다.
이용자 조작부(31)는 차량 높이가 높은 차량의 탑승객이 조작하기 위한 상측 조작면(31b)과, 차량 높이가 낮은 차량의 탑승객이 조작하기 위한 하측 조작면(31a)을 구비한다. 상측 조작면(31b)과 하측 조작면(31a)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하측 조작면(31a)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한다.
하측 조작면(31a)은 경화(硬貨) 처리부(34), 지폐 처리부(35), 카드 처리부(36), 영수증 발행부(37), 증명서 박스(38), 요금 표시부(39)를 구비한다.
경화 처리부(34)는 경화 투입구(34a)와 거스름돈 수용 접시(34b)를 구비한다. 거스름돈 수용 접시(34b)에는 일정 시간 이용자가 거스름돈을 가져가지 않아 남아 있는 거스름돈을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해도 좋다. 센서가 거스름돈을 감지한 경우,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해, 후술하는 요금 표시부(39)에 이용자에게 거스름돈을 가져가는 것을 잊어버림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표시를 행하는 동시에, 요금소 감시원에게 그 상황을 통지하기 위해 감시반(1)에 거스름돈을 가져가는 것의 잊어버림의 발생을 알리는 표시가 이루어진다.
지폐 처리부(35)는 지폐 투입구(35a)와 지폐 반환구(35b)를 구비한다. 지폐 반환구(35b)에는, 일정 시간 이용자가 거스름돈을 가져가지 않은 경우에 남아 있는 거스름돈을 검출하는 차광 센서 등을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센서가 거스름돈을 감지한 경우,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해, 후술하는 요금 표시부(39)에 이용자에게 거스름돈을 가져가는 것을 잊어버림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표시를 행하는 동시에, 요금소 감시원에게 그 상황을 통지하기 위해 감시반(1)에 거스름돈을 가져가는 것의 잊어버림의 발생을 알리는 표시가 이루어진다. 경화 처리부(34) 및 지폐 처리부(35)는 현금 처리를 위해 이용자와 현금 수수(授受)를 행한다.
카드 처리부(36)는 카드 삽입구(36a), 카드 통행권 삽입구(36b) 및 ETC 신호 수신 안테나(60)를 구비한다. 유료 도로의 이용자는 요금의 정산을 행하기 위해, 통행권 삽입구(36b)에 통행권을 삽입한 후, 카드 삽입구(36a)에 크레디트 카드 등의 카드를 삽입하여 정산한다. 또는, ETC 차량 탑재기를 탑재한 차량이면, 요금 정산용의 매체인 비접촉 IC 카드를 차량 탑재기에 삽입한 상태에서 ETC 신호 수신 안테나(60)를 통과시키면, 자동적으로 비접촉 IC 카드의 정보가 차량 탑재기로부터 ETC 수신 안테나로 송신되어, 통행 요금은 후일 결제된다.
영수증 발행부(37)는, 영수증 발행 버튼(37a)과 영수증 발행구(37b)를 구비 한다. 이용자가 영수증 발행 버튼(37a)을 누르면, 영수증 발행구(37b)로부터 영수증이 발행된다.
증명서 처리부(38)는 증명서 투입구(38a), 증명서 도어, 증명서 도어 버튼(38b)을 구비한다. 이용자가 어떠한 할인의 적용을 받고자 할 때에는, 이용자가 증명서 도어 버튼(38b)을 누르면 증명서 투입구(38a)를 덮고 있는 증명서 도어가 개방되므로, 이용자는 투입구에 각종 증명서를 투입하면 된다.
요금 표시부는 전술한 제어부(32)에 의해 처리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계산된 유료 도로의 이용 요금을 이용자에 대해 표시한다.
하측 조작면(31a)은 또한, 조작면 카메라(53)를 구비한다. 조작면 카메라(53)는 하측 조작면(31a)의 부근을 촬영한다. 조작면 카메라(53)에는 입사광의 방향을 도중에 크게 바꾸는 광학계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측 조작면(31a)의 표면에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입사하는 입사광을, 그 표면에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바꾸어, 그 수직인 방향을 광축으로 하는 광학계를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하측 조작면(31a)에 설치되면서도 조작면 카메라(53)의 주요 부분을 요금 징수기(30)의 하우징 내부에 수납할 수 있어, 돌출을 적게 할 수 있다. 조작면 카메라(53)의 돌출이 작으면, 차량이 차선을 주행할 때의 장해가 되기 어렵고, 차량을 이용자 조작부(31)의 가까이에 정차할 수 있어, 조작을 행하기 쉽다.
이러한 광학계로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167193호에 기재되어 있는 파노라마 촬상 시스템이 적합하게 채용된다. 도4를 참조하여 이러한 광 학계에 대해 설명한다. 파노라마 촬상 시스템의 파노라마 촬상 렌즈(101)는 광 입사면(102), 제1 반사면(103) 및 제2 반사면(104)을 갖는다.
제1 반사면(103)은 광 반사면(102)에 대해 y축 방향에 인접하고, 또한 대향하고 y축에 대해 회전 대칭인 환형의 면이다. 제1 반사면(103)은 파노라마 촬상 렌즈(101)의 내측으로부터 오는 광을 전반사한다. 제1 반사면(103)은 측방으로 팽창된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파노라마 촬상 렌즈(101)의 내측으로부터 오는 광에 대해 오목면경으로서 작용한다. 제2 반사면(104)은 외부로부터 보았을 때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고, 파노라마 촬상 렌즈(101)의 내측으로부터 오는 광에 대해 볼록면경으로서 작용한다.
제2 반사면(104)의 반경 방향에 소정의 위치보다도 내측에 인접하는 영역은, 광을 투과하는 광 출사면(105)이다. 제2 반사면(104)은 제1 반사면(103)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을 광 출사면(105)의 방향으로 반사한다.
파노라마 촬상 시스템은 파노라마 촬상 렌즈의 광축(y축 방향) 상에 설치된 결상용의 릴레이 렌즈(106)를 구비한 파노라마 촬상 어댑터(110)와, 이 파노라마 촬상 어댑터(110)가 장착되는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108)를 포함한다. 촬상 장치(108)는 상을 포착하는 렌즈계(109)와, 렌즈계(109)의 결상 위치에 설치된 CCD 등의 촬상 소자(107)를 포함한다.
이 파노라마 촬상 렌즈(101)는 광 입사면(102)을 y축 플러스 방향을 향해 파노라마 촬상 어댑터(110)를 배치한 경우, 360°의 파노라마 풍경(111)은 그 입사광 중 가장 하방의 광(L1)이 파노라마 촬상 렌즈(101)의 광 입사면(102)에 입사하면, 광 입사면(102)에서 굴절하고, 대면측의 제1 반사면(103)에서 제2 반사면(104)을 향해 반사되고, 또한 제2 반사면(104)에서 반사되어 광 출사면(105)으로부터 출사하고, 릴레이 렌즈(106)를 통해 촬상 소자(108)의 주변 부근에 결상한다. 또한, 파노라마 풍경(111)으로부터의 입사광 중 가장 상방의 광이 광 입사면(102)에 입사한 경우, 파노라마 촬상 렌즈(101)의 광 입사면(102)에서 굴절하고, 대면측의 제1 반사면(103)에서 제2 반사면(104)을 향해 반사되고, 또한 제2 반사면(104)에서 반사되어 광 출사면(105)으로부터 출사한다.
이와 같이, 입사광의 경로는, 광축 방향(y축 방향)으로 1왕복 이상 절첩되어 있다. 즉, 입사하는 입사광은, 광 입사면(102)에서 y축 마이너스 방향으로 굴절한 후, 파노라마 촬상 렌즈(101)의 내부에서 y축 마이너스 방향으로 진행하고, 제1 반사면(103)에서 반사되어 y축 플러스 방향으로 진행하고, 제2 반사면(104)에서 반사되어 다시 y축 마이너스 방향으로 진행한다. 동시에 입사광의 광로는, 광축에 수직인 방향(xy 평면 방향)으로 절첩되어 있다. 즉, 입사한 입사광은, 제1 반사면(103)에 입사하기 전에 일단, 외측(회전 대칭인 파노라마 촬상 렌즈의 회전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진행하고, 제1 반사면(103)에서 반사되어 제2 반사면(104)에 도달할 때까지 내측을 향해 진행한다. 이러한 광학계는, y축 방향으로 사이즈가 작은 구성에 의해, xy 평면 방향으로 360°의 시야를 갖는 원통형의 시야를 실현한다.
광 출사면(105)으로부터 출사한 광은, 릴레이 렌즈(106)를 통해 촬상 소자(107)의 중앙부 부근 부분에 결상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파노라마 풍경(111) 은 촬상 소자(107) 상에서 환형으로 결상하고, 환형의 2차원 화상(112)으로서 기억 장치(114)에 기억된다. 2차원 화상은, 도시하지 않은 보정부(조작면 카메라에 접속됨)에 의해 보정되어, 왜곡이 적은 가로로 긴 장방형의 파노라마 화상으로 변환된다. 이러한 광학계는, 형상에 의해, 바람에 의한 영향이 적어, 화상이 안정된다.
이러한 타입의 광학계를 이용한 제품으로서, 가부시끼가이샤 다떼야마 시스템 연구소가 판매하고 있는 PALNON(등록 상표 : 다떼야마 머신 가부시끼가이샤) 렌즈가 가장 적합하게 이용된다.
이러한 조작면 카메라(53)는 하측 조작면(31a)과 상측 조작면(31b)의 중간 부근에 설치하면 상측 조작면(31b)과 하측 조작면(31a)의 양방을 촬영할 수 있어, 장치를 간략화할 수 있다.
조작면 카메라(53)는 카드 삽입구(36a), 통행권 삽입구(36b)보다도 상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카드나 통행권은 사람에 대해 알기 쉽게 디자인된 측을 위를 향하게 한 상태로 요금 징수기(30)에 삽입된다. 그로 인해, 조작면 카메라(53)에 의한 촬영은 위로부터 행해진 쪽이, 사용되고 있는 카드나 통행권을 감시원이 인식하기 쉽다. 이 경우, 조작면 카메라(53)는 상측 조작면(31b) 근방의 상측 근방과, 하측 조작면(31a)의 상측 근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측 조작면(31a)은 또한, 이용자/증명서 카메라(54) 및 카메라용 광원(41)을 구비한다. 이용자/증명서 카메라(54)는 요금 징수기(30)의 앞에 정차하고 있는 차량의 탑승객의 얼굴의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주로 이용자가 신체 장애인 할인의 적용 등을 받을 때 등, 차량 탑승객의 얼굴을 확인할 필요성이 있을 때에 이용된다. 이용자는 본인의 위치가 요금 징수기(30)의 중앙 부근이 되는 위치에 정차하는 경향이 있다. 그로 인해, 이용자/증명서 카메라(54)를 요금 징수기의 중앙보다 하류측에 설치하면, 탑승객의 얼굴을 전방으로부터 찍을 수 있어, 시인성(視認性)이 좋은 영상이 얻어진다. 요금소 감시원은, 이용자/증명서 카메라(54)로 촬영된 탑승객의 얼굴과, 증명서에 붙어 있는 얼굴 사진을 비교해 보고, 일치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요금의 할인을 실행하기 위한 입력 조작을 감시반(1)에 대해 행한다. 증명서는 증명서 투입구(38a)에 투입되어도 좋다. 증명서 투입구(38a)의 내부에는, 증명서를 촬영하여 감시반(1)에 송신하기 위한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다.
카메라용 광원은 이용자/증명서 카메라(54)의 시야에, 백색광으로 예시되는 연속 파장의 가시광선, 혹은 RGB 등의 복수의 파장의 가시광선으로 이루어지는 광을 쪼인다. 이러한 광이 조사되어 있는 조건에서 촬영된 가시광의 영상은, 사람이 시인하는 영상에 가깝다. 그로 인해, 촬영된 얼굴을 시인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용자/증명서 카메라(54)는 가시광을 결상하여 촬영하고, 가시광의 영상을 생성한다. 특히 어두운 조건에서의 촬영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카메라용 광원(41)으로서 적외선을 조사하는 광원을 채용하여, 이용자/증명서 카메라(54)로서 적외선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한 카메라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요금 징수기는(30) 또한, 불심자 검출용 카메라(52)를 구비한다. 이 불심자 검출용 카메라(52)는, 일정 시간마다 요금소 감시원이 요금 징수기(30)로부터 통행 요금을 회수하기 위한 요금 징수기(30)의 요금 취출구 부근의 영역을 촬영한다. 예를 들어, 요금 취출구가 요금 징수기(30)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불심자 검출용 카메라(52)는 도3의 부호 52a, 52b와 같이, 하우징의 상부에 장착하면 좋다. 이 불심자 검출용 카메라(52)는 변환기(42), 전송 단자대부(33)를 통해 감시반(1)에 정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감시반(1)에 축차 그 영상이 녹화되고 있다. 불심자 검출은, 다음과 같이 행하면 좋다. 감시반(1)은 불심자 검출 카메라(52)의 영상 신호와, 영상 관리부(13)에 녹화되어 있는 불심자 검출 카메라(52)의 일정 시간만큼 과거의 영상 신호와의 차분을 취한다. 그 결과, 소정의 신호 변화가 확인되는 경우, 감시반(1)은 불심자가 요금 징수기(30)의 요금 취출구 부근에 있다고 간주하여, 감시부(20)를 통해 요금소 감시원에게 주의 환기의 표시나 음성에 의한 통지를 행한다.
하측 조작면(31a)은 또한, 담당자 호출 버튼(45), 마이크(44), 신체 장애인 레버(43)를 구비한다. 신체 장애인 레버(43)에는 신체 장애인에 대해 적용되는 요금의 할인을 요청하는 차량의 탑승객에 대해 신체 장애인용 입력 장치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가 이루어진다. 담당자 호출 버튼(45)은 신체 장애인 레버(43)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마이크(44)는 차량의 탑승객이 요금소의 감시원에 대해 이야기를 하기 위해 이용된다.
상측 조작면(31b)은 하측 조작면(31a)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한다. 상측 조작면(31b)은 또한, 스피커(46)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이용자가 요금 지불 조작에 대해 모를 때에 요금소 감시원에게 원격적으로 문의할 수 있다. 요금 소 감시원은 조작면 카메라(53)의 영상을 감시부(1)에 의해 감시할 수 있다. 요금소 감시원이 어떠한 조작을 행하고 있는지를 보면서 탑승객과 대화할 수 있으므로, 탑승객에 대해 적절한 어드바이스를 부여할 수 있다.
감시반(1)은 제어부(10) 및 감시부(20)를 구비한다. 제어부(10)는 카메라 절환부(11), 트랜잭션 관리부(12), 영상 관리부(13)를 구비한다. 감시반(1)은 요금 징수기(30)로부터의 지불 이력 데이터 및 촬영부(50)로부터의 영상을 기록하는 동시에, 요금소 감시원측으로부터 요금 징수기(30)나 촬영부(50)에 대한 제어를 행한다.
영상 관리부(13)는 촬영부(50)에 의해 촬영된 각종 영상을 취득하여 기억한다. 또한, 트랜잭션(transaction) 관리부(12)는 요금 징수기(30)에서 행해진 지불 처리의 이력인 트랜잭션 정보를 취득하여 기억한다.
카메라 절환부(11)는 요금소에 있어서의 대표적인 발생 사상에 대해, 촬영부(50) 중 어떠한 카메라에 의한 영상을 감시부(20)에 자동 표시할지를 미리 정한 이벤트 테이블을 저장한다. 카메라 절환부(11)는 이벤트 테이블을 기초로 하여 감시부(20)에 표시하는 영상을 선택한다.
이하, 도5를 바탕으로 각종 발생 사상에 대응한 카메라 절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5의 종방향에는, 촬영부(50) 중, 현재 감시부(20)에 표시되어 있는 영상을 촬영하고 있는 카메라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횡방향에는 요금소에 있어서 상정되어 있는 발생 사상이 기재되어 있다. 도5 중의 알파벳 A 내지 D는 절환처의 카메라를 나타내고 있고,「―」는 카메라 절환을 행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5의 판독법의 요령을, 발생 사상 중에서 가장 좌측에 기재된「이상 ETC 차량 진입·비(非)ETC 차량 진입」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감시부(20)에 차선 전경 카메라(51)의 영상이 찍히고 있을 때에, 비ETC 차량이 진입해 온 경우, 즉 도5의 카메라(A)(차선 전경 카메라)와「이상 ETC 차량 진입·비ETC 차량 진입」이 교차하는 란에는 B로 기재되어 있으므로, 조작면 카메라(53)로 절환한다. 또한, 감시부(20)에 카메라(A) 이외의 카메라의 영상이 찍히고 있는 경우는, 도5의 카메라 B 내지 D와「이상 ETC 차량 진입·비ETC 차량 진입」이 교차하는 부분에는「―」로 기재되어 있으므로, 카메라 절환을 행하지 않는다.
[ETC 차량 진입]
ETC 신호 수신 안테나(60)가 차량 탑재기로부터의 지불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발생하는 사상이다. 요금소의 차선에 진입하는 차량은, ETC 탑재 차량과, ETC 비탑재 차량으로 크게 구별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ETC 탑재 차량의 경우에는, 요금 징수기(30)의 앞에 정차하여 이용자가 요금 징수 조작을 행할 일은 없으므로, 차량 영상을 파악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카메라 절환부(11)는 감시부(20)에 표시하는 영상의 자동 절환은 행하지 않는다.
[이상 ETC 차량 진입·비ETC 차량 진입]
ETC 차량 탑재기를 탑재하고 있지만 어떠한 원인으로 ETC에 의한 요금 징수가 불가능하게 되어 있는 차량 및 ETC 차량 탑재기를 탑재하고 있지 않은 차량이 요금소에 진입해 온 경우에 발생하는 사상이다. 이들 차량이 요금소에 진입해 온 경우는, 이용자가 요금 징수기(30)의 앞에 정차하여 요금 징수 조작을 행하므로, 카메라 절환부(11)는 감시부(20)에 표시하는 영상을 조작면 카메라(53)에 의한 영상으로 절환한다. 이 경우, 차량 검출 장치(70)로부터의 차량 진입 검출 신호가 검출되고, 또한 ETC 신호 수신 안테나(60)가 일정 시간 ETC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 카메라 절환부(11)가 감시부(20)에 표시하는 영상을 조작면 카메라(53)에 의한 영상으로 절환한다. 단, 차선 전경 카메라(51)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는, 조작면 카메라(53)로 절환하지만, 그 밖의 카메라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는, 먼저 진입한 차량에 대한 표시를 행하고 있는 중이라고 고려되므로, 표시 카메라의 절환은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현재 요금 징수 중인 차량이 존재하여, 그 감시를 행하고 있을 때에, 2대째, 3대째의 후속 차량이 진입해도 카메라 절환부(11)는 감시부(20)에 표시하는 영상을 자동적으로 절환하지 않는다.
[차종 설정]
차종 설정이라 함은, 차량 검출 장치(70)가 어떠한 원인으로 차량의 검출을 행하지 않은 경우(이 경우에는 주로 이용자로부터의 의사 표시에 의해 요금소 감시원이 알아차려 대응함)나, 후술하는 클리어 버튼의 사용에 의해 요금 징수기(30)가 인식하는 차량 징수 상태를 초기 상태로 복귀시킨 후, 진입 중인 차량을 처리하는 경우 등에, 감시원이 메뉴얼로 감시반으로부터 차량 신호를 추가하여 징수를 개시할 때에 발생하는 사상이다. 차종 설정시에는 요금소 감시원이 어떠한 방법으로 차선 상태를 인식하고 있다고 고려되므로, 카메라 표시를 절환할 필요성이 특별히 없어, 카메라의 자동 절환은 행하지 않는다.
[차종 변경]
차종 변경이라 함은, 차선 상에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에 요금소 감시원이 메뉴얼로 차종 구분을 변경할 때에 발생하는 사상이다. 대부분의 경우는 요금소 감시원이 어떠한 방법으로 차량 형상을 확인하고 있다고 고려되므로, 카메라 표시를 절환할 필요성이 특별히 없어, 카메라의 자동 절환은 행하지 않는다.
[인터폰 호출]
이용자가, 요금 징수기의 인터폰(40)을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사상이다. 이 경우, 감시반에도 설치되어 있는 인터폰(21)에 호출이 가해지는 동시에, 요금소 감시원이 이용자의 표정을 보면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카메라 절환부(11)는 감시부(20)에 표시하는 영상을 자동적으로 이용자/증명서 카메라(54)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으로 절환한다.
[수령 개시]
수령 개시는, 요금 징수기(30)가 통행권이나 경화, 지폐, 카드, 회수권의 삽입을 검출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사상이다. 이 경우, 각종 지불 매체 투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지불 매체 검출용 센서가, 각종 지불 매체의 삽입을 감지한 경우에, 검출 신호가 생성되어 카메라 절환부(11)로 송신된다. 카메라 절환부(11)가 그 검출 신호를 수신하면, 요금소 감시원이 이용자의 조작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카메라 영상을 조작면 카메라(53)로 절환한다.
[수령 완료]
수령 완료는, 요금 징수기(30)에 있어서 통행 요금의 징수가 완료되었을 때에 발생하는 사상이다. 차량의 퇴출을 확인할 수 있으면 되므로, 차선 상의 상황 을 파악하기 쉬운 차선 전경 카메라(51)로 절환한다.
[증명서 도어 버튼]
이용자가 증명서 도어 버튼(38b)을 눌렀을 때에 발생하는 사상이다. 증명서 도어 버튼(38b)은 이용자 조작부(31)에 있는 증명서 투입구 셔터의 로크를 해제하기 위한 버튼이다. 통상, 증명 서류에 의한 할인을 이용하는 경우, 이용자는 인터폰(40)을 이용하여 그 취지를 요금소 감시원에게 신고하고, 증명서 도어 버튼(38b) 누름에 의해 로크 해제된 증명서 투입구(38a)에 투입함으로써 감시원에 의한 할인 조작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증명서 도어 버튼(38b)이 눌러진 것을 감지하면, 감시부(20)에 표시하는 영상을 자동적으로 이용자/증명서 카메라(54)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으로 자동적으로 절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요금소 감시원의 카메라 절환 동작을 생략하여 수고를 저감할 수 있다.
[신체 장애인 레버]
이용자가 신체 장애인 레버(43)를 조작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사상이다. 신체 장애인 레버(43)는, 원칙적으로 이용자가 조작 보조가 필요한 신체 장애인인 경우에 이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이다. 신체 장애인 레버(43)가 조작되면 감시반(1)은 요금소 감시원에게 주의를 환기시키는 통지를 발한다. 이때, 신체 장애인 레버(43)의 조작 신호가 카메라 절환부(11)로 송신되고, 조작 신호를 수신한 카메라 절환부(11)는 감시부(20)에 표시하는 영상을 자동적으로 이용자/증명서 카메라(54)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으로 절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요금소 감시원은 이용자의 상황을 확인하면서 조작 보조를 행할 수 있다.
[영수증 버튼]
이용자가 영수증 발행 버튼(37a)을 눌렀을 때에 발생하는 사상이다. 영수증 발행 버튼(37a)은 이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영수증을 발행하기 위한 버튼이다. 이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는 통상, 요금의 징수 조작은 완료되어 있는 단계이며, 요금소 감시원의 확인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표시 카메라는 절환하지 않는다.
[첫 번째 차축 통과]
첫 번째 차축 통과라 함은, 차량이 발진 검출 장치(80)를 전진한 경우에, 요금 징수기(30)에 있어서 수령 완료 후, 차선 내에 진입하고 있는 다음 차량의 처리가 가능해지는 타이밍에 발생하는 사상이다. 통상, 수령 완료 후에 차선 전경 카메라(51)로 절환되어 있겠지만, 수동으로 별도의 카메라로 절환되어 있는 경우를 고려하여, 카메라 절환부(11)는 감시부(20)에 표시하는 영상을 자동적으로 차선 전경 카메라(51)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으로 절환한다. 단, 첫 번째 차축 통과시, 다음 차량이 수령 대기 상태이면, 다음 차량에 대한 처리가 개시되므로, 조작면 카메라(53)에 의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로 인해, 요금 징수기(30)가 다음 차량의 탑승객에 의한 지불 매체 삽입을 검출할 때에는, 차선 전경 카메라(51)에 우선하여 조작면 카메라(53)로 자동적으로 절환하도록 한다.
[발진]
발진 검출 장치(80)가, 요금 징수가 완료된 차량이 발진한 것을 검출한 경우에 발생하는 사상이다. 통상은, 수령 완료 부분에서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차선 전경 카메라(51)로 절환되어 있어, 특별히 카메라 절환을 행할 필요는 없다. 또 한, 다음 차량이 요금 징수를 개시하고 있는 경우, 통상 조작면 카메라(53)에 의한 영상이 표시되어 있어, 요금소 감시원이 이용자의 조작 상황을 확인할 필요가 있으므로, 역시 카메라 절환은 행하지 않는다.
[차량 후진, 발진 후진]
차량 후진은 차량이 차량 검출 장치(70)를 후진 통과하여, 차선 밖으로 퇴출할 때에 발생하는 사상이다. 발진 후진은, 차량이 차선 출구측으로부터 발진 검출 장치(80)를 후진 통과하여, 차선 내에 진입해 왔을 때에 발생하는 사상이다. 모두 예외적인 사상이지만, 요금소 감시원은 차선 상황을 확인하여 안전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강구할 필요가 있으므로, 차선 전경의 모습을 파악하기 쉬운 차선 전체 카메라의 표시로 절환한다.
[카드 빼냄 잊어버림 검출, 지폐 빼냄 잊어버림 검출]
요금 징수기(30)에서 카드·불출 지폐를 반환구로 반송 후, 반환구에 설치된 차광 센서가 일정 시간 그 차광 상태를 검출한 경우에 발생하는 사상이다. 이 경우, 차광 센서의 검출 신호가 카메라 절환부(11)에도 송신되어, 이 검출 신호를 수신한 카메라 절환부(11)는 감시부(20)에 표시하는 영상을 자동적으로 조작면 카메라(53)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으로 절환한다. 요금 징수기(30)로부터 감시부(20)를 통해 요금소 감시원에게 빼냄을 잊어버린 것을 통지한다.
[불심자 검지]
요금 징수기(30)의 상부에 장착된 불심자 검출용 카메라(52)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감시반(1)에서 화상 처리를 행하여, 사람의 움직임이라 추측되는 화상의 변 화를 검출한 경우에 발생하는 사상이다. 불심자 검출용 카메라(52)의 영상 신호와, 감시반(1)에 녹화되어 있는 불심자 검출용 카메라(52)의 일정 시간만큼 과거의 영상 신호의 차분을 취하여 소정의 신호 변화가 확인되는 경우, 불심자가 요금 징수기(30)의 요금 취출구 부근에 있다고 간주하고, 감시반(1)을 통해 요금소 감시원에게 주의 환기의 표시나 음성에 의한 통지를 행한다. 또한, 불심자 검출 중에는 요금소 감시원에 의한 상황 확인이 최우선되므로, 카메라 절환부(11)에 의한 다른 카메라 자동 절환은 행하지 않는다. 단, 필요에 따라서 표시를 절환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요금소 감시원의 수동에 의한 카메라 절환 조작은 가능하게 되어 있다.
[클리어]
요금소 감시원이, 요금 징수기(30)의 징수 상태를 초기로 복귀시키는(차량이 차선 상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인식하고 있는 상태) 조작을 행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사상이다. 이 경우, 카메라 절환부(11)는 감시부(20)에 표시하는 영상을 자동적으로 차선 전경 카메라(51)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으로 절환한다.
[차단기 개방, 차단기 폐쇄]
요금소 감시원에 의해 수동으로 발진 제어기(82)의 저지 막대의 개폐 버튼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에 발생하는 사상이다. 이 경우, 요금소 감시원에 의한 버튼 조작 전에 차선 상황의 육안 확인이 되어 있다고 고려되므로, 표시 카메라의 절환은 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도5와 같은 이벤트 테이블을 기초로 하여, 감시부(20)에 표시하는 영상을 자동 절환함으로써, 요금소 감시원의 조작을 간략화할 수 있다.
도2에 있어서는, 요금소 사무소에 설치되는 1개의 감시반(1)으로 1개의 차선을 감시하기 위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1개의 감시반(1)으로 복수의 차선을 감시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좋다. 그 경우, 각 차선의 차선측 설치물[요금 징수기(30), 차량 검출 장치(70), 발진 검출 장치(80), ETC 수신 안테나(60), 차선 전경 카메라(51)]을 1개의 감시반(1)에 대해 병렬로 접속하면 좋다.
또한, 감시반(1)은 반드시 차선에 인접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차선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요금소 사무소 내에서, 복수의 차선의 요금 징수 상황을 일괄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요금 징수 시스템에 따르면, 소수의 요금소 감시원으로도 복수의 차선을 감시하는 것이 용이해져, 유료 도로 운영 비용의 삭감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요금소 감시원이 개별로 대응해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차선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는 요금소 사무소 내에서 모든 조작을 행할 수 있으므로, 요금소 감시원이 차선을 가로질러 이동하여 이용자에의 대응을 위해 나가지 않아도 되게 되어, 요금소 감시원에 대한 안전도 확보할 수 있다.
도1은 요금 징수 시스템의 개념도.
도2는 요금 징수 시스템의 외관도.
도3은 요금 징수기의 이용자 조작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4는 조작면 카메라의 광학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5는 카메라를 제어하는 로직에 사용되는 이벤트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감시반
11 : 카메라 절환부
30 : 요금 징수기
31 : 이용자 조작부
34 : 경화 처리부
35 : 지폐 처리부
37 : 영수증 발행부
42 : 변환기
50 : 촬영부
51 내지 54 :카메라
60 : ETC 수신 안테나
102 : 광 반사면

Claims (12)

  1. 유료 도로의 이용자가 요금의 지불 매체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구에는 통행권ㆍ지불 매체 검출부가 설치된 이용자 조작부를 갖는 요금 징수기와,
    상기 이용자 조작부를 촬영하는 조작면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감시부를 포함하는 감시반과,
    카메라 절환부를 가지며,
    상기 통행권ㆍ지불 매체 검출부는 지불 매체가 투입된 것을 감지하면 통행권ㆍ지불 매체 검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카메라 절환부로 송신하고, 상기 카메라 절환부는 통행권ㆍ지불 매체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감시반에 표시시키는 영상을 상기 조작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으로 자동적으로 절환하는, 유료 도로의 요금 징수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차선을 촬영하는 차선 전경(全景)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요금 징수기는, 투입된 상기 지불 매체에 기입된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정보에 응답하여 이용자가 지불할 요금으로부터의 과부족을 계산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카메라 절환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한 요금 계산의 결과, 통행 요금 수령이 확인된 경우에, 상기 감시반에 표시시키는 영상을, 상기 차선 전경 카메라로 촬영되는 영상으로 자동적으로 절환하는 유료 도로의 요금 징수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조작부는, 이용자에 대해 상기 지불 매체를 반환하는 반환구를 포함하고,
    상기 반환구에는 상기 지불 매체의 존재를 검출하는 지불 매체 검출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카메라 절환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한 요금 수령 확인 후,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반환구의 상기 지불 매체 검출부에 의해 지불 매체의 존재가 검출되어 있는 경우, 상기 감시반에 표시시키는 영상을, 상기 조작면 카메라로 촬영되는 영상으로 자동적으로 절환하는 유료 도로의 요금 징수 시스템.
  5.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면 카메라는 상기 요금 징수기의 전방면에 설치되고, 상기 전방면에 수평인 방향으로부터 입사하는 입사광을, 상기 전방면에 수직인 방향을 광축으로 하는 상(像)에 결상하는 광학계와, 상기 상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구비하는 유료 도로의 요금 징수 시스템.
  6. 삭제
  7. 유료 도로의 이용자가 요금을 지불하기 위한 조작을 행하는 이용자 조작부를 갖는 요금 징수기와,
    요금 징수기의 앞에 정차하고 있는 차량의 탑승객의 얼굴의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는 이용자/증명서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감시반과,
    카메라 절환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용자 조작부는, 이용자가 요금소 감시원을 호출하여 원격적으로 대화하기 위한 인터폰 호출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감시반에 상기 이용자/증명서 카메라 이외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어 있었을 때, 상기 인터폰 호출 스위치의 조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절환부는 상기 감시반에 표시시키는 영상을, 상기 이용자/증명서 카메라로 촬영되는 영상으로 자동적으로 절환하는, 유료 도로의 요금 징수 시스템.
  8. 유료 도로의 이용자가 요금을 지불하기 위한 조작을 행하는 이용자 조작부를 갖는 요금 징수기와,
    요금 징수기의 앞에 정차하고 있는 차량의 탑승객의 얼굴의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는 이용자/증명서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감시반과,
    카메라 절환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용자 조작부는, 이용자가 신체 장애인인 경우에 상기 이용자가 요금소 감시원에게 지원을 요청하기 위한 신체 장애인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감시반에 상기 이용자/증명서 카메라 이외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어 있었을 때, 상기 신체 장애인 스위치의 조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절환부는 상기 감시반에 표시시키는 영상을, 상기 이용자/증명서 카메라로 촬영되는 영상으로 자동적으로 절환하는, 유료 도로의 요금 징수 시스템.
  9. 유료 도로의 이용자가 요금을 지불하기 위한 조작을 행하는 이용자 조작부를 갖는 요금 징수기와,
    차선을 촬영하는 차선 전경 카메라 및 상기 이용자 조작부를 촬영하는 조작면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감시반과,
    요금소를 통과하는 차량에 탑재된 논스톱 자동 요금 징수 시스템 차량 탑재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와,
    상기 감시반에 상기 차선 전경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어 있고, 또한 상기 수신 안테나가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감시반에 표시시키는 영상을 상기 조작면 카메라 영상으로 자동적으로 절환하는 카메라 절환부를 구비하는 유료 도로의 요금 징수 시스템.
  10.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요금 징수기의 요금 취출구의 영역을 촬영하는 불심자(不審者) 검출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절환부는, 상기 불심자 검출 카메라의 시계(視界)에 불심자가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 생성되는 불심자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감시반에 표시시키는 영상을, 다른 모든 카메라에 의한 영상에 우선하여 상기 불심자 검출 카메라로 촬영되는 영상으로 자동적으로 절환하는, 유료 도로의 요금 징수 시스템.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요금 징수기의 요금 취출구의 영역을 촬영하는 불심자 검출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절환부는, 상기 불심자 검출 카메라의 시계에 불심자가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 생성되는 불심자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감시반에 표시시키는 영상을, 다른 모든 카메라에 의한 영상에 우선하여 상기 불심자 검출 카메라로 촬영되는 영상으로 자동적으로 절환하는, 유료 도로의 요금 징수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요금 징수기의 요금 취출구의 영역을 촬영하는 불심자 검출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절환부는, 상기 불심자 검출 카메라의 시계에 불심자가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 생성되는 불심자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감시반에 표시시키는 영상을, 다른 모든 카메라에 의한 영상에 우선하여 상기 불심자 검출 카메라로 촬영되는 영상으로 자동적으로 절환하는, 유료 도로의 요금 징수 시스템.
KR20070138326A 2007-02-28 2007-12-27 유료 도로의 요금 징수 시스템 KR1009599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50507A JP4875516B2 (ja) 2007-02-28 2007-02-28 有料道路の料金収受システム
JPJP-P-2007-00050507 2007-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989A KR20080079989A (ko) 2008-09-02
KR100959962B1 true KR100959962B1 (ko) 2010-05-27

Family

ID=39837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138326A KR100959962B1 (ko) 2007-02-28 2007-12-27 유료 도로의 요금 징수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875516B2 (ko)
KR (1) KR1009599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543Y1 (ko) 2020-06-30 2021-11-03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통행료 수납 시스템의 양방향 차로 통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34292B2 (ja) * 2011-02-10 2014-12-03 株式会社東芝 通行料金徴収システム
JP5632983B1 (ja) * 2014-07-22 2014-11-26 西日本高速道路サービス関西株式会社 料金収受装置用ガジェット
CN107195001A (zh) * 2017-07-12 2017-09-22 青岛松立软件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路内路外停车业务平台
JP6978935B2 (ja) * 2017-12-28 2021-12-08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表示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6498A (ja) * 1998-08-28 2000-03-14 Toshiba Corp 監視装置
JP2003203254A (ja) * 2002-01-07 2003-07-18 Mitsubishi Heavy Ind Ltd 有料道路の料金収受システム用監視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7531B2 (ja) * 1990-10-23 2000-01-11 株式会社東芝 自動取引方式
JPH07146962A (ja) * 1993-11-25 1995-06-06 Toshiba Corp 料金収受機の障害監視システム
JP2000099874A (ja) * 1998-09-18 2000-04-07 Toshiba Corp 車線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方法
JP2003228741A (ja) * 2002-02-04 2003-08-15 Toshiba Corp 自動改札装置、改札処理システム、及び乗車券媒体処理方法
JP2006331010A (ja) * 2005-05-25 2006-12-07 Toshiba Corp 料金収受装置、料金収受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6498A (ja) * 1998-08-28 2000-03-14 Toshiba Corp 監視装置
JP2003203254A (ja) * 2002-01-07 2003-07-18 Mitsubishi Heavy Ind Ltd 有料道路の料金収受システム用監視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543Y1 (ko) 2020-06-30 2021-11-03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통행료 수납 시스템의 양방향 차로 통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75516B2 (ja) 2012-02-15
JP2008217152A (ja) 2008-09-18
KR20080079989A (ko) 2008-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97409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KR100959962B1 (ko) 유료 도로의 요금 징수 시스템
JPH10275257A (ja) 駐車管理システム
JP2009140381A (ja) 料金収受システム、料金収受方法
JP2020052712A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駐車場管理装置、駐車場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865477B2 (ja) 料金自動収受機
JP2003203254A (ja) 有料道路の料金収受システム用監視盤
JP2011154725A (ja) 料金自動収受機
JP6709662B2 (ja) 料金自動収受機、料金収受設備、料金収受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174996A (ja) 無人駐車場管理システム
JP2003187279A (ja) 有料道路の料金収受システム
JP5320096B2 (ja) 不正通過車両管理システム及び不正通過車両管理方法
JP5448435B2 (ja) 証明書カメラ付き料金自動収受機
KR100638524B1 (ko) 무인 방문증 발급 장치
JP2009217322A (ja) 車内改札支援方法及び車内改札支援システム
JPH09319994A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JPH09144353A (ja) 駐輪場入場管理システム
JP6300011B2 (ja) 料金機械及びこれを備える料金所設備
JP5232463B2 (ja) 自動料金収受カード処理システム
JP3214324B2 (ja) 駐輪場出場管理システム
KR200239253Y1 (ko) 차량 번호판 화상을 저장하는 주차관리 시스템
JP7425714B2 (ja) 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料金収受方法
JP3180551B2 (ja) 不正購入防止システム
JP2017197904A (ja) フラップ装置、精算機及び駐車場管理システム
KR200340889Y1 (ko) 주차 요금 징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