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7767B1 - 생굴과 검은콩을 함유하는 소팔메토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굴과 검은콩을 함유하는 소팔메토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57767B1 KR100957767B1 KR1020080135090A KR20080135090A KR100957767B1 KR 100957767 B1 KR100957767 B1 KR 100957767B1 KR 1020080135090 A KR1020080135090 A KR 1020080135090A KR 20080135090 A KR20080135090 A KR 20080135090A KR 100957767 B1 KR100957767 B1 KR 1009577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duct
- crushed
- horsepower
- phase
- forming
- Prior art date
Links
- 240000006661 Serenoa repens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3
- 235000005318 Serenoa repens Nutrition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10018 saw palmetto extract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41000237502 Ostreida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5000020636 oyste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0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41001107116 Castanospermum austral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5000021279 black bean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5000019202 stevioside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UEDUENGHJMELGK-HYDKPPNVSA-N Steviosid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12C(=C)C[C@@]3(C1)CC[C@@H]1[C@@](C)(CCC[C@]1([C@@H]3CC2)C)C(=O)O[C@H]1[C@@H]([C@@H](O)[C@H](O)[C@@H](CO)O1)O)[C@@H]1O[C@H](CO)[C@@H](O)[C@H](O)[C@H]1O UEDUENGHJMELGK-HYDKPPNV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29940013618 stevioside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OHHNJQXIOPOJSC-UHFFFAOYSA-N stevioside Natural products CC1(CCCC2(C)C3(C)CCC4(CC3(CCC12C)CC4=C)OC5OC(CO)C(O)C(O)C5OC6OC(CO)C(O)C(O)C6O)C(=O)OC7OC(CO)C(O)C(O)C7O OHHNJQXIOPOJSC-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41000208340 Araliacea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6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5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3329 compou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748 compression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266 salt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0000006394 Sorghum bicolor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1684 Sorghum saccharat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2
- 235000005135 Micromeria juliana Nutrition 0.000 claims 1
- 240000002114 Satureja hortensis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07315 Satureja hortensis Nutrition 0.000 claims 1
- 235000002020 sage Nutrition 0.000 claims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08000028938 Urination disease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1850 reproduc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4064 dysfun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1802 infus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7
- 235000002789 Panax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20
- 240000004371 Panax ginseng Species 0.000 description 18
- 241001122767 The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5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1
- NOESYZHRGYRDHS-UHFFFAOYSA-N insulin Chemical compound N1C(=O)C(NC(=O)C(CCC(N)=O)NC(=O)C(CCC(O)=O)NC(=O)C(C(C)C)NC(=O)C(NC(=O)CN)C(C)CC)CSSCC(C(NC(CO)C(=O)NC(CC(C)C)C(=O)NC(CC=2C=CC(O)=CC=2)C(=O)NC(CCC(N)=O)C(=O)NC(CC(C)C)C(=O)NC(CCC(O)=O)C(=O)NC(CC(N)=O)C(=O)NC(CC=2C=CC(O)=CC=2)C(=O)NC(CSSCC(NC(=O)C(C(C)C)NC(=O)C(CC(C)C)NC(=O)C(CC=2C=CC(O)=CC=2)NC(=O)C(CC(C)C)NC(=O)C(C)NC(=O)C(CCC(O)=O)NC(=O)C(C(C)C)NC(=O)C(CC(C)C)NC(=O)C(CC=2NC=NC=2)NC(=O)C(CO)NC(=O)CNC2=O)C(=O)NCC(=O)NC(CCC(O)=O)C(=O)NC(CCCNC(N)=N)C(=O)NCC(=O)NC(CC=3C=CC=CC=3)C(=O)NC(CC=3C=CC=CC=3)C(=O)NC(CC=3C=CC(O)=CC=3)C(=O)NC(C(C)O)C(=O)N3C(CCC3)C(=O)NC(CCCCN)C(=O)NC(C)C(O)=O)C(=O)NC(CC(N)=O)C(O)=O)=O)NC(=O)C(C(C)CC)NC(=O)C(CO)NC(=O)C(C(C)O)NC(=O)C1CSSCC2NC(=O)C(CC(C)C)NC(=O)C(NC(=O)C(CCC(N)=O)NC(=O)C(CC(N)=O)NC(=O)C(NC(=O)C(N)CC=1C=CC=CC=1)C(C)C)CC1=CN=CN1 NOESYZHRGYRDH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44000046052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HELXLJCILKEWJH-NCGAPWICSA-N rebaudioside A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H]([C@@H]1O[C@H]1[C@@H]([C@@H](O)[C@H](O)[C@@H](CO)O1)O)O[C@]12C(=C)C[C@@]3(C1)CC[C@@H]1[C@@](C)(CCC[C@]1([C@@H]3CC2)C)C(=O)O[C@H]1[C@@H]([C@@H](O)[C@H](O)[C@@H](CO)O1)O)[C@@H]1O[C@H](CO)[C@@H](O)[C@H](O)[C@H]1O HELXLJCILKEWJH-NCGAPWICSA-N 0.000 description 9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8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8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2307 prostate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7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6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6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44000228451 Stevia rebaud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CJWQYWQDLBZGPD-UHFFFAOYSA-N isoflavone Natural products C1=C(OC)C(OC)=CC(OC)=C1C1=COC2=C(C=CC(C)(C)O3)C3=C(OC)C=C2C1=O CJWQYWQDLBZGP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5000008696 isoflavon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5
- 102000004877 Insul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5
- 108090001061 Insulin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206010051482 Prostatomegaly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29940088597 hormone Drug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5556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40125396 insulin Drugs 0.000 description 5
- 150000002515 isoflavone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3734 kidney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5000021096 natural sweeten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06010006187 Breast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08000026310 Breast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108010073771 Soybean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MUMGGOZAMZWBJJ-DYKIIFRCSA-N Testostosterone Chemical compound O=C1CC[C@]2(C)[C@H]3CC[C@](C)([C@H](CC4)O)[C@@H]4[C@@H]3CCC2=C1 MUMGGOZAMZWBJJ-DYKIIFRC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HVYWMOMLDIMFJA-DPAQBDIFSA-N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4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5686 eat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86 lea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30182490 sapon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7949 sapon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7709 sapon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08000001072 type 2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06010004446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08000004403 Prostatic Hyperpla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41000544066 Stevi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5718 Stomach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712 anti-ag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22 artificial sweet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311 artificial sweeten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62 est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40011871 estrogen Drugs 0.000 description 3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7758 gastric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27939 mictu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935 nutritio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40001941 soy protein Drug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1000011549 stomach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53 tox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1100000765 toxin Toxicity 0.000 description 3
- 108700012359 tox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3722 vitamin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GVJHHUAWPYXKBD-UHFFFAOYSA-N (±)-α-Tocopherol Chemical compound OC1=C(C)C(C)=C2OC(CCCC(C)CCCC(C)CCCC(C)C)(C)CCC2=C1C GVJHHUAWPYXKB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1133760 Acoelorraph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83690 Bos taur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766 Cannabis sativa ssp. sativa var.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765 Cannabis sativa ssp. sativa var. spontan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132059 Carica parviflor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653 Carica parviflo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154 Coffea arabic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2
- DHMQDGOQFOQNFH-UHFFFAOYSA-N Glycine Chemical compound NCC(O)=O DHMQDGOQFOQN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PVNIIMVLHYAWGP-UHFFFAOYSA-N Niacin Chemical compound OC(=O)C1=CC=CN=C1 PVNIIMVLHYAW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0113 Oed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1132 Osteopo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700159 Ratt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1775 arteriosclerosi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527 bean cur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028 ber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206 bottled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120 camo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994 ca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607 chanvre indie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639 cla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6213 coffe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53 coffee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25 denatu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425 denatu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VBPIULPVIDEAO-LBPRGKRZSA-N folic acid Chemical compound C=1N=C2NC(N)=NC(=O)C2=NC=1CNC1=CC=C(C(=O)N[C@@H](CCC(O)=O)C(O)=O)C=C1 OVBPIULPVIDEAO-LBPRGKRZ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9622 hear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87 hem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243 ice crea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1000001881 impot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374 legum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2 mangane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5000001968 nicot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664 nicot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3512 nicot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74 pois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97 quillaja saponaria molina bar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7443 reproductive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568 sex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687 soy isoflavon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103 stamina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05 sweet taste sensatio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3604 testosteron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56 t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3 trace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619 trace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708 urethr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932 urinary bladder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85 urin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4384 Alopec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901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210 Arteri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8838 Aste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035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692 Benign muscle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519 Bivalv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421 Can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172 Cardi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1224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48230 Crassostrea angul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50 Crude prote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1
- ZZZCUOFIHGPKAK-UHFFFAOYSA-N D-erythro-ascorbic acid Natural products OCC1OC(=O)C(O)=C1O ZZZCUOFIHGPKA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228 Erectile Dysfun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0485 Fab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6952 Food poison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331 Foodborn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WHUUTDBJXJRKMK-UHFFFAOYSA-N Glutamic acid Natural products OC(=O)C(N)CCC(O)=O WHUUTDBJXJRKM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1 Glyc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27 Glycoge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569 Gou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850 Hyperthyroidi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880 Hypertroph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953 Hypo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description 1
- WHUUTDBJXJRKMK-VKHMYHEASA-N L-glutam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N)CCC(O)=O WHUUTDBJXJRKMK-VKHMYHEA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1671 Lacrim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PWHULOQIROXLJO-UHFFFAOYSA-N Manganese Chemical compound [Mn] PWHULOQIROXLJ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27304 Menopausal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458 My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OVBPIULPVIDEAO-UHFFFAOYSA-N N-Pteroyl-L-glutaminsaeure Natural products C=1N=C2NC(N)=NC(=O)C2=NC=1CNC1=CC=C(C(=O)NC(CCC(O)=O)C(O)=O)C=C1 OVBPIULPVIDEA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66501 Ormosia ormond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0862 Prostate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0662 Prostate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0236 Prostatic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897 Sed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910 Seren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0295 Serpent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0231 Sesamum ind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434 Sesamum ind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64 Soybean Me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558 Ster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16 Vigna mung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417 Vigna umbell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453 Vigna umbell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27 Vitamin 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43 active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014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502 an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6836 anti-estroge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33 anti-estr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29 anti-fatigu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0 anti-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59 anti-tumo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246 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673 asth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57 carcinoge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83 carcinogen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823 cell divi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69 central nervous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12 chemo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1883 cholelithia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26 chronic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132 chronic toxicity testing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1 cob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052 cob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UTLYIVDDKVIGB-UHFFFAOYSA-N cobalt atom Chemical compound [Co] GUTLYIVDDKVIG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437 continuous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84 crude f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417 cyste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XUJNEKJLAYXESH-UHFFFAOYSA-N cysteine Natural products SCC(N)C(O)=O XUJNEKJLAYXES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925 dental cari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9 diges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86 dish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475 disord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69 ear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94 eating hab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50 endocrin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28 estrogen antagon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DBEPLOCGEIEOCV-WSBQPABSSA-N finasteride Chemical compound N([C@@H]1CC2)C(=O)C=C[C@]1(C)[C@@H]1[C@@H]2[C@@H]2CC[C@H](C(=O)NC(C)(C)C)[C@@]2(C)CC1 DBEPLOCGEIEOCV-WSBQPABS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08 flo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304 fol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2 fol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24 fol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600 folk medic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130 gallston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WIGCFUFOHFEKBI-UHFFFAOYSA-N gamma-tocopherol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1CCC2C(C)C(O)C(C)C(C)C2O1 WIGCFUFOHFEK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22 glutam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20 glutam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6919 glycoge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94 haemopoi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79 hair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76 hair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402 health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3 hypoten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532 hypothyroidi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89 hypothyroid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19 immonomod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37 immune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0603 inherited susceptibility to asth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14 insulin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36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PNDPGZBMCMUPRI-UHFFFAOYSA-N iodine Chemical compound II PNDPGZBMCMUPR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CVXZQOKBHXGRU-UHFFFAOYSA-N iodine(1+) Chemical compound [I+] OCVXZQOKBHXGR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OMNOOKGLZYEJT-UHFFFAOYSA-N isoflavone Chemical compound C=1OC2=CC=CC=C2C(=O)C=1C1=CC=CC=C1 GOMNOOKGLZYEJ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169 kidne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40 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0159 metabol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1 m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957 no side effec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65 odorles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36 packaging technolog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49 pear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31 pharmacolog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95 porrid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58 preventing hair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2254 proscar Drug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6455 prostate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7094 prost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70 ref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CVHZOJJKTDOEJC-UHFFFAOYSA-N saccharin Chemical compound C1=CC=C2C(=O)NS(=O)(=O)C2=C1 CVHZOJJKTDOE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1974 saccha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04 saccha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01 saccharin and its Na,K and Ca s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03 saturated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80 sausag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280 se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329 sexual behaviou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520 ski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214 soft drin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872 soft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997 soju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22 soy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55 soybean me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10 soybean prote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432 ster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702 ster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82 swimm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JBQYATWDVHIOAR-UHFFFAOYSA-N tellanylidenegermanium Chemical compound [Te]=[Ge] JBQYATWDVHIOA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88 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206 urina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LEONUFNNVUYDNQ-UHFFFAOYSA-N vanadium atom Chemical compound [V] LEONUFNNVUYDN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260 vegetative to reproductive phase transition of meriste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19 vine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2 vine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5 vitamin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9 vitamin 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74 vitamin B1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91 vitamin B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4 vitamin B2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6 vitamin B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5 vitamin 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9 vitamin 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6009 vitamin 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or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뇨장애와 생식기관의 기능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무담 없이 즐기는 생활 속의 차로 사용할 수 있는 조성물을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생굴과 검은콩을 함유하는 소팔메토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으로 조성물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소팔메토(Saw Palmetto), 굴, 미 삼(尾蔘), 검은콩, 스테비오사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또한, 생굴과 검은콩을 함유하는 소팔메토 액상 차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 (1) 목적에 합당한 원료를 선정하는 단계, (2) 목적에 합당한 원료를 배합 비율로 산정하는 단계, (3) 세척 소팔메토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4) 파쇄 소팔메토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5) 파쇄 굴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6) 파쇄 미 삼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7) 파쇄 검은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8)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9) 숙성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10) 성형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11) 건조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12) 발포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13) 추출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14) 여과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15) 농축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16) 살균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17) 조성물을 주입 포장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생굴과 검은콩을 함유하는 소팔메토 액상 차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소팔메토(Saw Palmetto), 굴, 검은콩, 스테비오사이드, 미 삼(尾蔘 홍삼, 인삼의 짠 뿌리).
Description
사람에게 배설을 참으로 중요하다. 배설을 통하여 삶을 지속하게 되는데 시원한 배설은 모두가 바라고 원하는 일이다. 그러나 남자의 배뇨장애는 빠른 사람은 40대부터 시작 50대에서 40%, 60대는 70%까지 배뇨장애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나, 증가하는 노령화에 새로운 문제로 대두하고 있다.
그 원인은 전립선에 남성호르몬이 과도하게 쌓여서 생기는 전립선 비대가 대부분의 원인이다. 전립선 비대가 되면 소변이 나오는 요도 끝이 좁아져 소변이 나오는 힘이 약해지고 자주 소변을 봐야 하는 불편과 방광에 소변이 장시간 머무는 고통을 수반하고 다른 병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배뇨장애와 생식기관의 기능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무담 없이 즐기는 생활 속의 차(茶)로 사용할 수 있는 조성물을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분야로, 목적에 합당한 원료를 선정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목적에 합당한 원료를 배합 비율로 산정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세척 소팔메토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파쇄 소팔메토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파쇄 굴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파쇄 미 삼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파쇄 검은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숙성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성형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건조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발포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추출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여과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농축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살균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분야, 조성물을 주입 포장하는 단계의 기술분야를 특징으로 하는 생굴과 검은콩을 함유하는 소팔메토 액상 차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출원인과 동일인이 출원한 10-2007-0071418호가 있고, 세척, 가압, 전이, 농축, 성형의 기술, 파쇄기술, 분쇄기술, 혼합기술, 살균기술, 주입 기술, 포장 기술 등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제시한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목적에 합당한 원료를 선정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목적에 합당한 원료를 배합 비율로 산정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세척 소팔메토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파쇄 소팔메토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파쇄 굴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파쇄 미 삼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파쇄 검은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숙성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성형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건조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발포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추출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여과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농축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살균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 조성물을 주입 포장하는 단계의 기술적 과제를 특징으로 하는 생굴과 검은콩을 함유하는 소팔메토 액상 차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명확하고 간결하게 기술적 단계를 구성하여 하기와 같이 과제별 목적과 독립된 기술을 공정별로 과제 해결 수단을 제시한다.
제1공정은 목적에 합당한 원료를 선정하는 단계,
소팔메토는 생식기 장애와 배뇨장애인에게 즐거움을 주는 목적으로 선정하고, 소팔메토의 기능을 상승시키는 미 삼(홍삼과 인삼의 짠 뿌리)과 아연의 성분을 많이 함유하는 굴과 단백질 많이 함유하여 향미를 개선하는 검은콩과 기호의 상승을 위한 천연 감미료로 스테비오사이드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원료를 선정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2공정은 목적에 합당한 원료를 배합 비율로 산정하는 단계,
조성물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파쇄 소팔메토 생성물 60 ~ 30중량%, 파쇄 굴 생성물 10 ~ 30중량%, 파쇄 미 삼 생성물 10 ~ 20중량%, 파쇄 검은콩 생성물 15 ~ 10중량%, 스테비오사이드 5 ~ 10중량%로 총중량 100중량%를 배합비율로 산정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3공정은 세척 소팔메토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소팔메토를 선별하여 3 ~ 6%의 소금수용액 탱크 속에 소팔메토를 넣고, 하단에 공기를 주입하여 10 ~ 15분간 상하 교류를 통하여 소팔메토의 과 피(果皮)의 이물질을 세척하고 다시 소팔메토를 흐르는 정수 탱크로 이동시키어 같은 방법으로 10 ~ 15분간 소팔메토의 과 피(果皮)에 잔류 소금과 이물질을 제거하여 세척 소팔메토 생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4공정은 파쇄 소팔메토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세척 소팔메토 생성물을 1차 절구에서 수동으로 파쇄하고, 파쇄된 소팔메토를 동력 3상 5마력 250rpm의 자동 파쇄 및 분쇄하는 롤 파쇄기의 롤과 롤 사이의 폭을 1 ~ 3㎜로 조절하고 수동으로 파쇄한 소팔메토를 넣어 1 ~ 3㎜의 두께로 파쇄하여, 파쇄 소팔메토 생성물을 조성하여 과육의 표면을 확대시키어 신속한 숙성과 혼합 단계의 혼합물의 침투 전이를 용이하게 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5공정은 파쇄 굴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생굴의 비린 향미를 제거하고, 아연의 성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5 ~ 8%의 함초 수용액을 1차 조성하고 함초 수용액을 용기에 넣고 생굴을 함초 수용액에 넣어 수동으로 깨끗하게 세척하면서 이물질과 껍질을 제거하여 세척 굴 생성물을 조성하고, 다시 2차로 함초와 생수를 혼합하여 10 ~ 20%의 함초 수용액을 조성하고, 삶고, 졸리어, 볶는 기능이 있는 동력 단상 0.5마력의 5 ~ 60rpm의 자동 솥에 세척 굴 생성물을 넣고, 세척 굴 생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함초 수용액을 20 ~ 30%를 넣고 130 ~ 180℃로 가열하여 30 ~ 45분간 삶고, 졸리어, 볶아, 볶은 함초 굴을 조성하고, 볶은 함초 굴을 파쇄 및 분쇄하는 동력 3상 5마력 250rpm의 초퍼기 넣고, 출구의 경을 1 ~ 2㎜로 조절하고 스크루의 회전으로 파쇄하고 분쇄하여 1 ~ 2㎜의 크기로 파쇄하여 파쇄 굴 생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6공정은 파쇄 미 삼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선별한 미 삼을 정수에 넣고, 침지 세척하여 이물질과 부유물을 제거하여 세척 미 삼을 조성하고, 세척 미 삼이 건조하기 전에 동력 3상 5마력 250rpm의 롤 파쇄기의 롤과 록 사이의 폭을 1 ~ 2㎜로 조절하고 세척 미 삼을 넣어 파쇄하여 1 ~ 2㎜로 파쇄하여 분진(粉塵)에 의한 손실을 방지한 파쇄 미 삼 생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7공정은 파쇄 검은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선별한 검은 콩을 흐르는 물로 세척하고 20 ~ 30℃의 정수에 2 ~ 4시간 침지를 통하여 검은 콩의 조직을 팽창시킨 침지 검은콩을 조성한 다음 침지, 검은콩을 동력 단상 0.5마력의 5 ~ 60rpm의 이중 볶음 솥에 넣고, 130 ~ 180℃에서 20 ~ 40분 볶아 볶은 검은 콩을 조성하고, 동력 3상 5마력 250rpm의 롤 파쇄기의 롤과 록 사이의 폭을 1 ~ 2㎜로 조절하고 볶은 검은 콩을 넣고 2 ~ 4㎜로 파쇄하여 파쇄 검은콩 생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8공정은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제2공정의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스테비오사이드, 제2공정의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파쇄 소팔메토 생성물, 제2공정의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파쇄 굴 생성물, 제2공정의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파쇄 미 삼 생성물, 제2공정의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파쇄 검은콩 생성물을 3상 5마력 250rpm의 분말혼합기에 넣고, 20 ~ 40분 혼합하여 파쇄 소팔메토, 파쇄 굴, 파쇄 미 삼, 파쇄 검은콩, 스테비오사이드가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으로 혼합된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9공정은 숙성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수동식 분무기에 정수를 넣고 혼합 생성물에 분무하여 85 ~ 95%의 정수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고, 플라스틱 용기에 20 ~ 40㎏씩 정수 혼합 생성물을 넣고, 4 ~ 10시간 상온에서 숙성하여 혼합물의 조직을 부드럽게 하여, 향미를 개선하고 균일한 침투와 전이를 이루는 것을 목적으로 숙성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0공정은 성형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동력 3상 5마력 250rpm의 파쇄 및 분쇄되는 초퍼기의 출구 공의 지름을 2 ~ 4㎜로 교체하고 숙성 혼합 생성물을 넣고, 스크루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8㎏/㎠ 내압에 의하여 전이 압축 성형으로 2 ~ 4㎜로 부피가 압축된 성형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여, 침출시 추출이 용이하게 하고, 복합된 새로운 향미의 성형 혼합 생성물을 단일공정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1공정은 건조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성형 혼합 생성물을 농산물 가공하는 온풍 건조기에 넣고, 30 ~ 45℃에서 1시간마다 성형혼합생성물을 뒤집어 환기를 시키는 일을 반복하면서 20 ~ 30시간 건조하여 수분 함량 10 ~ 12%의 건조혼합생성물을 조성하고 함수율은 발포의 다 공 행성에 직접적인 관계를 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적정 함수율을 유지하고, 온도는 45℃의 고온에 건조하면 향이 없는 생성물을 조성하므로 온도를 주의하여 건조하고, 혼합생성물의 조직이 결속하여 길이가 1 ~ 2㎝로 고정화된 건조혼합생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2공정은 발포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건조 혼합 생성물을 동력 단상 0.5마력 5 ~ 60rpm으로 회전하는 가온 발포기 넣고, 회전하면서 1 ~ 14㎏/㎠의 압력을 유도하여 순간발포로 조직을 팽창시키어 다 공을 형성하여 냉, 온수 구별 없이 신속한 추출이 이루어지는 팽창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고, 즉시 0 ~ 10℃의 냉방으로 팽창 혼합 생성물을 추락시키어 열에 의한 조직과 향미의 손실을 방지하여, 냉각된 발포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3공정은 추출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발포 혼합 생성물을 동력 3상 2마력 5 ~ 90rpm의 자동추출기의 탱크에 넣고, 넣은 발포 혼합 생성물을 중량을 기준으로 정수에 알코올을 혼합한 70%의 알코올수용액을 용매로 80 ~ 100배를 넣고, 110 ~ 130℃에서 60 ~ 120분간 동력 3상 2마력 5 ~ 90rpm으로 자동 휘젓는 추출(抽出)로 추출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4공정은 여과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추출혼합생성물을 진공으로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자동 흡입 여과기에 넣고, 150 ~ 350 메쉬의 여과 망을 통하여 여과하고, 회수에 따라 망의 밀도를 증가하는 방법으로 1 ~ 3회 여과하여 여과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5공정은 농축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여과혼합생성물을 동력 3상 2마력 10 ~ 90rpm으로 회전하는 1 ~ 10-3Torr의 자동농축기에 넣고, 기포에 의한 성분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휘젓는 속도를 10 ~ 90rpm으로 자동으로 조정하는 시스템으로, 2 ~ 6시간 농축하여 1 ~ 65Brix로 농축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다.
제16공정은 살균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농축 혼합 생성물을 동력 3상 2마력 10 ~ 90rpm으로 회전하는 고온순간살균기에 넣고, 스크루 회전과 이송 물의 속도와 파이프로 된 살균 통의 온도와 시간을 조절하여 85 ~ 95℃에서 60 ~ 120초 살균하여 살균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고, 85℃ 이하에서 60초 이하로 살균하면 굴속에 단백질의 변성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고온에서 최대한 적정시간 살균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17공정은 조성물을 주입 포장하는 단계,
동력 3상 2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자동 주입기를 통하여 용도에 따라 용기를 구분하여 폴리에틸렌필름 또는 은박지로 된 파우치와 내열성으로 된 유리 또는 Pet로 된 병으로 구분하여 살균 혼합 생성물을 주입하는 방법으로 파우치에는 50 ~ 250㎖로 자동으로 포장하는 방법과 유리 또는 Pet의 병에는 50 ~ 2000㎖를 분당 60 ~ 250개씩 주입하고 상온의 흐르는 냉각수로 냉각하여 진공을 유도하는 포장방법으로 조성물을 조성하면 짠 풍미가 감도는 고소하고 달콤하면서 담백한 맑은 갈색의 조성물을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굴과 검은콩을 함유하는 소팔메토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과를 관능적 평가에 의하여 제시하고 원료의 혼합으로 상승하는 기능적 효과를 조성물 원료의 기능적 특성으로 제시한다.
1. 효과
시원하고 즐거운 배설의 기쁨은 제공하고 정신적 불안에서 안정을 주는 것은 본 발명의 효과로 또 새로운 향미를 조성하는 액상의 효과와 설탕이나 포도당 없이 단맛의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의 효과다.
배뇨 촉진 및 전립선 비대증의 사용되는 약과 건강식품들은 고가(高價)로, 항상 이용해야 하는 사람들에게는 경제적 가치와 만족을 줄 수 있는 것은 본 발명 의 효과로 항상 수시로 커피, 차, 음료를 대신 할 수 있는 것은 배뇨 촉진 및 전립선 비대증 환자들에게 만족을 주는 효과다.
소팔메토 함유하는 조성물을 최초로 침출 차로 제품화한 것은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하여 이루어진 효과다.
소팔메토의 특유의 향미를 개선하여 달콤한 대중적 향미로 기호를 높이는 것은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효과다.
소팔메토에 부족한 단백질을 검은콩에 의하여 보충되고 고소함을 가미한 것은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효과다.
소팔메토의 조직으로 미 삼과 첨가물을 전이 압축 성형시키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로 이루어진 효과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냉, 온수에 침출 5초부터 추출하는 되는 것은 소팔메토와 미 삼 속에 있는 열에 의한 팽창력을 이용한 본 발명의 발포에 의한 가공기술로 소팔메토에 새로운 기술적 효과다.
혼합생성물의 숙성에 의한 향미의 개선과 성형을 위한 부드러운 조직을 형 성한 것은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효과다.
소팔메토 차(茶) 조성물의 관능적 효과는 표1과 같다.
50대 남자로 전립선 비대증 또는 소변에 불편을 받고 있는 20명을 4개 군으로 나누어 검사 시료 품을 각각 300 티백과 10,000㎖을 제공하고 30일 지난 다음날에 설문을 종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알코올로 추출한 액상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과, 하루에 마시는 회수를 배로 증가해서라도 첨가물을 함유한 것을 마신다는 의견과 침출보다는 바로 마시는 액상을 선호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원료가 가지는 특성 및 기능적 효과.
1>. 소팔메토(Saw Palmetto)
학명 Serenoa serrulata, Serenoa repe)
미국 원주민들을 관례로 이 약초를 음식물로 소비했기 때문에 그들은 노년에 병으로서 해방될 수 있어, 소팔메토는 남성의 고민을 덜어 주는 허브로 사랑받고 있다.
미국 텍사스에서 사우스 캐롤라이나에 이르는 지역에서 야생화처럼 자라는 작은 팜(palm) 나무인 소팔메토는 잎사귀의 밑바닥에 있는 톱니바퀴처럼 생긴 줄기로부터 그 이름을 얻습니다.
700년 동안의 수명을 가지는 이 식물은 가뭄에도 저항하고 해충을 이겨내며 불에도 거의 파괴 되지 않는 약리활성 물질은 있고, 8월과 9월에 주로 수확이 되는 검푸른 베리로부터 추출이 됩니다.
이 과정은 때때로 위험한데 추수하는 일꾼들은 면도날처럼 날카로운 잎줄기로 쉽게 상처가 날 수 있으며 그 나무의 그늘 사이로 둥지를 틀고 있는 뱀에 의해 물리기 쉬운 위험성도 있습니다.
소팔메토는 민간 요법으로 긴 역사가 있습니다. 초기 미국인들은 비뇨기에 생기는 장애를 치료하는 것으로 이것을 애용했습니다. 베리를 먹고사는 동물들의 강장효과를 주목한 초기 식민지 귀족계급들은 이 과일을 토닉(tonic)으로서 연약한 개인들에게 주었습니다.
다년간에 걸쳐서 나타난 효능은 기침을 완화하고 소화를 증진시키는 데도 사용되어 왔습니다. 오늘날 소팔메토의 명성은 수많은 과학적 연구에 의해 입증되어 사용되어 사용하는 것은 주로 전립선 비대증의 증상을 경감시키는 활성이 있는 것으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태리, 독일, 프랑스와 다른 국가에서 의사들은 의학적으로 B P H(Benign prostatic hyperplasia 혹은 hypertrophy)로 알려진 전립선 비대증(암이 아님)에 대한 처방으로 자주 소팔메토를 처방하고 있다.
소팔메토는 염증을 제어하는 데도 효능을 발휘하며 부종을 저하하는 효과도 주목을 받고 있다.
더 나아가 과학자들이 연구에서 소팔메토는 전립선 치료제와 발기 부전 치료에도 효과가 같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소팔메토는 치료제가 약 30일 지나면 효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하고 있다고 했고, 소팔메토에 대한 강력한 증거가 있지만 다른 부차적 효능에 관하여는 과학자들의 추론으로 소팔메토는 분명히 전립선에서 불거지는 염증들을 치료해 왔지만 실험실에서 그것은 또한 박테리아를 사멸시키는 면역의 능력을 증강하는 물질로도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하고 있다.
그것이 시사하고 있는 것은 요도감염 이나 전립선 감염에 대한 잠재적인 치료제 일수도 있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소팔메토는 암을 증식시키는 호르몬의 수치에도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전립선암을 예방할 수도 있는 소팔메토의 잠재적인 역할을 연구하고 있기도 하다.
복용지침으로 적정용량: 통상용량은 1일2회 160㎎입니다. 그보다 더 높은 용량을 복용할 때에는 의사와 상의하라는 경고와, 이제까지 과학적 연구는 320㎎를 초과하는 매일 용량의 결과를 조사하지 않았다고 한다.
치유 적인 효과(therapeutic effects)에 책임을 지는 성분은 베리에 있는 약리활성 성분인 85% 내지 95%의 지방산(fatty acids)과 스테롤(sterols)을 포함하는 성분으로 확인하고 있고, 소팔메토는 쓴맛을 보유하고 있다.
일부 민간주술적 치료사들은 소팔메토로부터 우려낸 차(茶)를 장기간 마시라고 추천하고 있다.
실제로 다수의 임상시험에서 양성전립선비대증(Benign Prostate Hyperplasi
-a, B P H) 증상을 개선시켜 배뇨속도가 증가하고 전립선 비대증 증상점수 (Intern -ational Prostate Symptom Score, I P S S)가 감소했다는 결과가 보고되어 있다.
전립선 비대증에 쓰이는 허브의 종류 중에서 소팔메토(톱 야자) 가장 인기를 껄고 있고, 전립선 치료의 베스트셀러인 프로스카 라는 이름으로 팔리는 피나스테라드 성분의 약과 그 효능에서 어깨를 나란히 한다는 사실이 증명되고 있다.
그리고 소팔메토는 부작용이 보다 적다. 그리고 몇 가지의 추가로 얻는 이득도 있다. 남성형 대머리에 도움이 되고 전립선염, 항노화 및 남성갱년기 및 기타 질환에도 도움이 된다.
2>. 굴(Oyster)
굴과(─科 Ostreidae) 나 진주굴과(Aviculidae)에 속하는 해산 이 매 조개류 또는 학명이 크라소스트레아 기가스(Crassostrea gigas)인 굴과의 한 종이다.
(종류 및 생태)
굴과 에는 많은 종류가 있으나, 우리나라에서 나는 주요 종류는 참 굴, 바위굴, 벗 굴 등이다. 참 굴은 둥근 형에서부터 가늘고 긴 형에 이르기까지 형태가 일정하지 않으며, 전 연안에 분포한다. 난생 형(卵生 形)으로 늦봄이나 여름에 산란한 알은 바다 속에서 수정된 뒤 2 내지 3주일간 부유생활을 하고 곧 부착생활로 들어간다. 만 1년이 되면 성숙하여 어미가 된다.
바위굴도 형태가 일정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는 장타원형이다. 난생 형으로 남해안과 동해 남부 연안에 분포하는데, 산란한 알은 바닷속에서 수정된 뒤 3 내지 4주일간 부유생활을 하고 곧 부착생활로 들어간다. 벗 굴은 원형에 가까운 사각형으로 남해안과 서해안에 분포한다.
유생 형(幼生 形)으로서 유생이 해수 중에 나와 2 내지 3주일간 부유생활을 한 뒤 곧 부착생활로 들어간다. 참 굴은 양식 종으로 많이 쓰이고, 바위굴과 벗 굴은 자연산을 채취하여 이용한다. 그러나 벗 굴은 생산량이 적어서 그 이용도가 낮다.
(양식)
우리나라에서 굴 양식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를 알 수 있는 정확한 자료는 없다. 1908년경의 조사에 의하면, 광양만 내의 섬진강 하구에서 일부 양식하고 있섰다고 한다. 이때의 양식방법이 어떠했는지 밝혀지지 않았으나, 돌이나 패각 같은 것을 바다에 던져 넣는 방법인 바닥 식을 사용했을 것이다.
광복 이후 김 수출의 격감으로 곤경에 빠진 김 양식 영세어민을 구제하기 위해, 정부에서 굴 생산의 증대를 위한 조장 책을 강구하기 시작한 것이다. 양식방법도 1950년대 말부터는 뗏목수하식 방법을 사용하여 생산성을 크게 높였으며 1960년대에는 연승수하식 방법도 개발하였다. 1970년대는 수하식굴 양식업의 성숙기로, 충무를 중심으로 한 남해안에서 급속도로 발달하였다. 1980년대에 들어와서도 생산량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효능)
생굴에는 수분이 79.6%, 단백질 10.0%, 지방 3.6%, 탄수화물 5.1%, 회분 1.7%가 함유되어 있으며, 비타민 A·B1·B2·C와 나이아신 등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글리신 및 글루타민산이 함유되어 있어서 맛이 좋다. 굴은 생굴로 그냥 먹거나 밥, 죽, 국, 전 젓갈 등 다양하게 조리되어 이용된다.
(유래)
형태에 관하여 ≪전어지≫에서는 조석이 드나드는 곳에서 돌에 붙어살며 울 퉁 불퉁하게 서로 맞붙어서 방과 같다고 하였고, ≪자산어보≫에서는 “길이가 한 자 남짓하고 두 쪽을 합하면 조개와 같다.
생김새는 일정하지 않고 껍데기는 두꺼워 종이를 겹겹이 발라놓은 것 같다. 바깥쪽은 거칠고 안쪽은 미끄럽다.”라고 하였다.
바다의 우유로 불리는 굴은 다른 패 류와는 달리 부드럽고 소화가 잘 되어 유아부터 병약한 노인에 이르기까지 각종 요리에 응용이 가능한 고단백 완전식품이다. 한반도에서도 선사시대의 조개 더미 화석에서 많이 출토된 것으로 보아 굴이 식용으로 이용된 역사 또한 매우 긴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의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굴이 강원도를 제외한 7도의 토산물로 기록되어 있다. 흔히 스펠링에 알파벳 R이 들어가지 않은 달은 굴이 유독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생굴을 먹어서는 안 된다고 한다.
과학적으로도 이 시기는 5월에서 8월까지로 이때의 굴은 산란기로 알을 보호하기 위해 독성을 분비하고 크기가 작아져서 먹기가 좋지 않은 점, 또 더운 날씨 때문에 식중독의 염려가 있는 점 등을 포함한 의미다.
가장 굴이 맛있는 달은 초겨울로 접어드는 11월에서 2월까지이다. 이때는 수온이 굴 성장에 아주 이상적이며 굴이 통통하고 크기도 커져서 맛과 향이 절정을 이루는 시기이다. 굴은 결핍되기 쉬운 온갖 영양소가 총집합된 최고의 영양 덩어리임은 부언할 필요가 없을 정도다.
굴에는 각종 비타민과 철분, 요오드, 인, 칼슘 등의 무기질이 풍부하다. 섭취했을 때는 인체 내에서 빠르게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을 활성화하는 아연의 함량이 높아 스태미나 음식으로도 불린다.
서양에서는 황제의 음식이라 지칭되는데 나폴레옹이 굴로 하루 새끼를 먹었을 정도로 좋아했고, 독일 제국의 초대 총리였던 비스마르크 재상은 굴 175개를 한 꺼 번에 먹을 수 있을 정도였다.
또 시저는 템스강 하구에서 나는 굴의 깊은맛 때문에 도버 해협을 건너 영국 원정을 꾀했다고 하는 재미있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지금처럼 날 생선을 먹는 것이 보편화하지 않았을 때부터도 원래 날 음식을 잘 먹지 않는 서양 사람들이지만 생굴만큼은 오래전부터 즐겨 먹었던 이유도 여기에 있다. 또 남자들에게만 좋은 음식은 결코, 아니다.
옛말에‘배타는 어부의 딸은 얼굴이 검고, 굴 따는 어부의 딸은 얼굴이 희다.’라는 말이 전해오는데 이는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게 들어있어 여성들의 미용식으로 예전부터 인정받아왔다는 것을 증명해 주는 말이다.
소화흡수가 워낙 빠르고 글리코겐도 다량 함유되어 있어 중년 이후의 허약체질, 성장기의 어린이, 임산부들에게도 이상적인 음식이라 할 수 있겠다. 굴을 씻을 때는 찬물에 바다 소금을 엷게 푼 소금물에 씻는 것이 영양분 손실을 막고 굴이 물을 먹어 불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볍게 살살 헹구듯이 작은 껍질과 돌 같은 이물질을 골라내고 체 반에 받혀 남은 물기를 빼준다.
3>. 함초(鹹草, 鹽草)
학명 Saliconia herbacea L(퉁퉁 마디), 과명 명아주 과, 생약 함초(鹹草), 속명 퉁퉁마디, 심지(三枝), 염초(鹽草), 복초(福草), 신초(神草), 염니초(鹽泥草)
분포지: 우리나라 서해안의 염전 주변, 개화기: 8 내지 9월, 꽃의 색: 황록색, 결실기: 9 내지 10월, 열매: 길이 2밀리미터, 지름 15밀리미터의 까맣고 둥근 열매, 높이: 10 내지 30센티미터의 한해살이풀, 채취: 봄, 여름, 가을, 가공법: 날로 즙을 짜거나 그늘에서 말려 가루 낸다.
함초(鹹草)의 성분(단위:mg/100g)
칼슘(Ca)417.84, 요오드(I)8.12, 염소(CI)8.23, 마그네슘(Mg) 304, 구리(Cu) 0.55, 비타민(B1) 0.11, 칼륨(K) 940, 니켈(Ni) 0.78, 비타민(B2) 0.14, 철(Fe) 50.63, 크롬(Cr) 0.14, 비타민C 3.90, 인(Fe) 64.4, 코발트(Co) 0.12, 비타민 E 0.15, 망간(Mn) 2.7, 바나듐(V)0.10, Niacin 0.52, 아연(Zn) 1.9, 나트륨(Na) 5.23, Folic acid 0.08. 등이다.
함초(鹹草)는 우리나라 서해안 개펄에 자라는 한해살이 풀로 우리말로는 퉁퉁 마디라고 부르며, 전체 모양이 산호를 닮았다 하여 산호초라고도 한다.
바닷물과 가까운 개펄이나 염전 주변에 무리 지어 자란다. 줄기에 마디가 많고 가지가 1 내지 2번 갈라지며 잎과 가지의 구별이 없다. 잎은 다육질로 살이 찌고 진한 녹색인데 가을철이면 빨갛게 변한다. 꽃은 8 내지 9월에 연한 녹색으로 피고 납작하고 둥근 열매가 10월에 익는다.
함초(鹹草)는 그 이름대로 맛이 몹시 짜다. 함초는 거의 지구상에서 유일하게 소금을 흡수하면서 자라는 식물이다.
중국 최고의 의학책인 <신농본초경>에는 함초로 일본의 <대화본초>에는 신초(神草) 또는 복초(福草) 염초(鹽草)로 기록되어 있는 이 풀은 몸 안에 쌓인 독소와 숙변을 없애고, 암, 궁근 종, 축농 고혈압, 저혈압, 요통, 당뇨병, 기관지천식, 갑상선기능저하, 갑상선 기능항진, 피부병·관절염 등 갖가지 난치병에 탁월한 치료 효과를 지니고 있는 놀라운 약초이다.
함초(鹹草)는 육지에 자라면서도 바닷물 속에 들어 있는 갖가지 미네랄과 효소 성분이 농축되어 들어 있다. 바닷물에는 칼슘, 칼륨, 마그네슘, 철, 요도, 인 등 수십 가지의 미량 원소와 갖가지 독소와 효소가 녹아 있는데 함초는 인체에 유익한 미량 원소와 효소를 흡수하면서 자란다.
바닷물 1톤 속에 1그램이 들어 있는 효소는 바닷물 속의 갖가지 유기질을 분해하여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함초에는 이 바닷물의 효소가 다량 농축되어 있는데 이 효소가 사람의 몸 안에 쌓인 갖가지 독소를 없애고 숙변을 분해하여 몸 밖으로 배출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4>. 홍삼(인삼)(紅蔘 Red ginseng)
홍삼(인삼)의 효능은 사포닌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사포닌을 8가지 부위로 분류하면 대형(원삼) 통 삼을 10이라 할 때, 소형 인삼은 12, 피부 백삼은 16, 뇌두 28, 삼잎 30, 삼피 35, 삼꽃 50, 미삼(세근) 55로 비교되고, 인삼차의 원료로는 홍미삼, 홍세미가 사포닌 함량을 높이는 결과가 된다.
우리의 홍삼(인삼) 속에는 사포닌 32종으로 확인되고 다른 나라의 반정도 확인되었다. 홍삼(인삼)은 중추신경에 대해서 진정작용과 흥분작용이 있으며, 순환계에 작용하여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의 예방효과가 있다.
그러면서도 조혈작용(造血作用)과 혈당치(血糖値)를 저하시켜 주고, 간을 보호하며, 내분비계에 작용하여 성 행동(性 行動)이나 생식효과에 간접적으로 유효하게 작용하며, 항염(抗炎) 및 항종양작용(抗腫瘍作用)이 있고, 방사선(放射線)에 대한 방어효과, 피부를 보호하며 부드럽게 하는 작용도 있다.
홍삼(인삼)의 효과 중 중요한 것은 아댑토겐(adaptogen: 適應素) 효과로서 주위 환경으로부터 오는 각종 유해작용인 누병(淚病), 각종 스트레스 등에 대해 방어능력을 증가시켜 생체(生體)가 쉽게 적응(適應)하도록 하는 능력이 있음이 과학적으로 입증되고 있다.
한편, 건강혁명의 저자 이 부경 박사는 홍삼(인삼)은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므로 혈당조절에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당뇨병 보조 치료제(補助 治療劑)로 홍삼을 이용해볼 만하다고 강조했다.
국산 홍삼(인삼)이 비만(肥滿)에 의한 성인 당뇨병(제2형 당뇨병)과 위암환자의 생존율 향상에 효과가 크다는 임상 연구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토론토대 블라드미르 벅 산(Vladmir Vuksan) 교수팀은 농림부의 연구비 지원으로 고려 홍삼(인삼)이 제2형 당뇨병환자의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성인 형 당뇨병 개선에 홍삼(인삼)의 효능이 탁월한 것으로 입증됐다고 최근에 밝혔다.
벅 산 교수의 연구진은 제2형 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루 6g씩의 홍삼(인삼) 분말을 3개월간 섭취시킨 결과, 공복시 및 포도당 섭취 후 혈중 인슐린 농도를 크게 낮추었으나 혈당 수준은 높이지 않은 효과를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는 제2형 당뇨병 환자가 문제가 되는 혈당의 인슐린에 대한 내성을 개선시켜, 인슐린의 과 분비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대사 장애를 억제할 수 있는 홍삼/인삼의 효능이 입증된 것이라고 연구진은 덧붙였다.
이와 함께 고려대 의대 서 성옥, 조민영 교수팀은 위암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홍삼(인삼)을 먹게 한 결과 홍삼(인삼)이 면역조절 특성을 보여, 홍삼(인삼)을 먹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생존율(生存率)이 높아졌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서 성옥 교수는 항암제를 투여 중인 위암수술환자 42명을 대상으로 6개월에 걸쳐 홍삼(인삼)분말 4.5g을 매일 복용시킨 그룹(22명)과 비 투여그룹(20명)을 나눠 조사한 결과 연간 생존율이 홍삼 비 투여 군은 38.5%인데 비해 홍삼 투여 군은 76.4%로 급증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김진복 교수는 홍삼(인삼)이 수술 후 환자의 조기 체력회복 및 면역 기능을 향진 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대한의 과학회지에 발표하였다.
서울대학교 생약연구소의 한병훈 박사는 고려 홍삼(인삼)이 항 피로 효과에 작용하는 성분을 규명하기 위하여 20마리의 쥐를 대상으로 수영시간을 비교 시험한 결과 홍삼(인삼) 중의 페놀성 성분이 뚜렷한 항 피로 효과를 낸다는 사실을 발표하였다.
인도 중앙약물연구소의 싱(Singh) 박사는 한국인삼연초연구소에서 개최된 제4회 국제 인삼 심포지엄에서 고려 홍삼이 바이러스감염 예방 및 치료에 매우 효과적이며 바이러스 감염 및 암 치료에 매우 유효한 인터페론생성을 촉진한다고 발표하였다.
즉 홍삼(인삼)을 투여하지 않은 경우에는 실험동물이 100%가 죽는 반면에 인삼을 투여한 경우의 20일째 생존율은 34 내지 40% 증가 되었으며 홍삼(인삼)을 인터페론 생성유도물질과 함께 투여했을 때는 인터페론생성 유도물질만을 투여한 그룹 62 내지 78%보다 훨씬 높은 82 내지 100%의 감염방지효과를 나타냈다고 함으로써, 그동안 홍삼연구에 별로 관심이 없었던 인도에서도 홍삼(인삼)의 효과를 다시 인식하게 되었다.
만성스트레스로 야기되는 성주기(性週期) 이상을 홍삼(인삼)투여로 방지할 수 있었고, 성행위 감소현상도 현저히 방지되었다고 중국의학 과학원 약물연구소 티안통바오 박사와 동경대 사이 또 교수가 공동연구를 통해 발표하였다.
임포텐즈나 정력감퇴에 뛰어난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빈혈을 개선하고 인슐린의 투여 량을 감소시킨 것을 발표했다. 이때 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빠른 사람은 2주일, 늦은 사람은 약 3개월에 나타나는 결과로 부작용이 전혀 없는 불가사이 한 현상이라고 발포했다.
5>. 콩(豆 bean)
콩과(─科 Fabaceae)에 속하는 식물의 씨로 한국 중국 원산으로 1년 초의 열매로 키는 60 내지 100㎝ 자라는 것으로 여름에 희거나 불그레한 나비 모양의 꽃이 피고, 가는 털이 있는 꼬투리를 맺음, 씨는 단백질과 지방이 많아 장, 두부, 기름 따위의 재료로 쓰인다.
검정콩(Black soybean)
검은 콩 또는 흑 대두(黑大豆)라고도 한다. 특정한 한 종류의 콩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검은빛을 띠는 콩을 통칭한다. 흑태, 서리 태, 서목 태(여두), 등이 검은 콩에 속한다. 흑 태는 검은콩 가운데서도 크기가 가장 크며, 콩밥이나 콩자반 등에 사용하고, 검은 콩은 조 단백질 함량은 41%, 조 지방함량은 20%, 탄수화물은 33.3%로 되어있다.
서리 태는 겉은 검은빛을 띠지만 속이 파랗다고 하여 속 청이라고도 부르며, 콩떡이나 콩자반, 콩밥 등에 사용된다.
서목 태는 다른 검은콩보다 크기가 작아 마치 쥐 눈처럼 보인다고 하여 쥐 눈이 콩, 한방에서 약재로 쓰인다고 하여 약 콩이라고도 부른다.
콩은 흔히 밭에서 나는 쇠고기라고 부를 정도로 영양가가 뛰어나다. 검은콩은 일반 콩과 비교하여 영양소의 함량은 비슷하지만 노화방지 성분이 4배나 많고, 성인병 예방과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지면서 건강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본 초 강목에는 검은콩의 효능에 대하여 신장을 다스리고 부종을 없애며, 혈액 순환을 활발하게 하며 모든 약의 독을 풀어준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모발 성장에 필수 성분인 시스테인(Cysteine)이 함유되어 있어 탈모를 방지하는 데도 효과가 있다. 꾸준히 복용하면 신장과 방광의 기능을 원활하게 해준다.
그냥 먹는 것보다는 볶아서 먹으면 건강에 더 효과가 있다. 검은콩 껍질의 항산화작용을 하는 물질이나 여성호르몬을 돕는 이소플라본 성분은 볶으면 그 효능이 더 높아진다고 한다.
볶은 검은콩은 하루에 10알씩 수시로 먹되, 한 번 볶은 것은 1주일 안에 모두 먹는 것이 좋다. 검은콩 1컵을 10분 정도 볶은 뒤에 식초 2컵에 담가 하룻밤 두었다가 마시면 통풍을 개선하는 데 효과가 있다. 또 검은콩 30g를 볶아서 청주나 소주 1컵에 담가 하룻밤 두었다가 하루에 2 내지 3차례 1 큰술씩 마시면 관절통에 효과가 있다.?
검정콩의 좋은 점. (검정콩 20g/81kcal)
콩은 밭에서 나는 쇠고기라 불릴 정도로 그 영양가가 뛰어난다. 그 중에서도 검정콩은 약효 작용이 뛰어나 한방에서는 약재로 사용하고 있다. 검정콩은 여러 가지 독을 없애주고, 신장계통의 대사 촉진에 좋은 효과를 보인다고 한다. 신장계통이 약한 사람은 몸이 냉하고 신진대사가 원활하지 않아 몸에 여분의 수분이나 지방이 쌓이게 되는 것이다.
검은콩을 먹으면 신장의 작용이 활발해져 수분과 지방이 축적되지 않는 몸으로 체질이 개선된다. 또한, 검은콩은 당뇨병이나 귀 울림, 백발 등의 증상을 개선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콩·검은콩(Soybean & Black soybean)의 효능.
콩 속에는 발암물질의 세포분열을 억제하는 제니스틴이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식물성 화합물인 이소플라본이 들어있어 골다공증, 신장질환, 담석,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폐경기증상의 완화 등에 효능이 확인되고 있다.
다음 천년을 위한 건강식품은 바로 콩이라고 발표한 미국 뉴저지 세턴 홀 대학의 의학교수인 스테펜 홀트 박사는 필수아미노산 융합이 가능한 형질이 있고, 비타민과 미네랄 성분이 고루 안정되게 갖추어진 식품이라고 발표하고, 이소플라본은 체내 흡수율이 높아 생물학적 효능이 큰 생리활성물질인데 대두 식품이 바로 인간이 이소플라본을 섭취할 수 있는 얼마 안 되는 자연적 공급원이 콩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또 조기폐경기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여성호르몬인 식물 에스트로겐효과 연구에서 대두 식이요법이 생리주기와 체내 성호르몬 레벨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한 결과 대두 섭취가 생리주기를 2일 이상 늦췄으며 체내 성호르몬 분비도 감소시켰는데 이러한 항 에스트로겐 효과는 항암작용의 중요한 원인으로 보고됐다고 발표하였다.
이러한 이화학적 성분을 지니고 있는 콩 중에서 황색 콩과 검은콩(일명: 약 콩)을 비교했을 때 항암, 노화억제물질은 황색 콩에 많이 들어있으나 실재적인 효과 측정치에서는 검은콩이 훨씬 높은 것으로 농촌진흥청의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특히 검은콩의 표피인 껍질에서는 황색 콩의 껍질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글리시테인 이라는 항암물질이 500ug/g이상 검출됨으로써 검은콩은 껍질째 섭취하는 것이 건강증진을 위한 효과적 방법이다.
동양인 많이 먹는 콩 유방암 위험 줄인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 사람들이 서양 사람들에 비해 유방암, 심장병 발생이 상대적으로 적은 이유는 무엇일까?
생활양식이나 유전적인 차이도 있겠지만 육류나 포화지방산 섭취가 적은 식습관이 가장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여기에 덧붙여 콩을 주원료로 한 된장, 간장, 두부, 두유 등 다양한 콩 관련 식품을 섭취하고 있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요인이다.
콩에는 체내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작용을 하는 이소플라본이란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이소플라본은 실제 체내에서 에스트로겐의 작용을 차단하는 효과를 지닐 수도 있고, 에스트로겐이 부족한 상황에서는 이를 활성화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양인들은 단백질의 대부분을 고기를 통해서 얻기 때문에 식사를 통한 이소플라본의 섭취량은 그다지 높지 않다. 미국에서 시행된 한 연구에 의하면 동양에서 이주해온 여성들의 유방암발생률은 미국인에 비해 크게 낮았으나 미국 생활이 길어질수록 발생률이 증가하였다.
역학조사 결과 동양 여성들은 콩을 미국 여성에 비해 훨씬 많이 섭취하고 있었으며 콩의 이소플라본이 유방암의 위험을 낮추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동양 사람이 서양 사람에 비해 우유를 훨씬 적게 마시고 있음에도 골다공증 빈도가 낮고, 골밀도가 더 높은 이유 역시 콩의 이소플라본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콩 단백질과 이소플라본은 항산화 효과와 핏속의 나쁜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작용이 있어 동맥경화와 심장병을 예방한다. 미 식품 의약청에서도 최근 콩 단백질을 하루 25g 이상 섭취하면 심혈관질환 예방효과가 있다는 내용을 공식적으로 승인했다.
현재 우리나라 사람들의 콩 단백질 섭취량은 1일 60 내지 80g 정도이므로 문제가 없지만, 점차 서구화되어가는 우리의 식 습관을 볼 때 언젠가는 서양 사람들처럼 콩 단백질을 건강보조식품으로 섭취하게 될 날이 오게 되지는 않을지 걱정이다.
6>.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는 국화과(菊花科)의 다년생(多年生) 초본인 스테비아의 잎에 들어 있는 천연의 감미료로 설탕보다 200 내지 300배 단맛이 더 강하다. 원산지는 파라과이로 파라과이에서는 스테비아를 단 풀(kaah)이라 부르고 있으며 차, 커피, 홍차 등의 감미료로 이용하고 있다.
스테비아는 파라과이, 브라질 등 남미뿐 아니라 현재 중국, 태국, 대만 등에서도 재배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한 때는 재배한 적이 있었지만 가뭄과 장마에 취약하여 지금은 스테비오사이드 생산에 필요한 원료인 스테비아잎을 중국에서 주로 수입하고 있다.
마른 스테비아 잎에는 스테비아가 3 내지 8% 함유되어 있으며 단맛이 설탕과 유사하다. 스테비아 건 잎이나 정제하지 않은 추출액은 이미, 이취가 강하여 상품적 가치가 낮으므로 스테비아 잎을 뜨거운 물, 에탄올, 메탄올 등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정제하여 순도 높은 제품을 만든다. 그런데 순품은 정제과정으로 인해 비용이 높아진다.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는 비만 예방 및 치료, 충치예방, 당뇨환자의 감미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식품가공에 사용할 때는 칼로리가 없으므로 부패를 방지할 수 있고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다.
아이스크림이나 빙과류를 만들 때에는 설탕을 12 내지 13% 첨가하는 데 이때 일부를 스테비오사이드로 대체해 주면 칼로리를 줄일 뿐만 아니라 청량감도 높일 수 있다. 어묵, 생선살 소시지, 조미건어물에 값비싼 솔비톨이나 인공감미료 사카린 대신 사용할 수 있으며 청량음료나 커피 또는 홍차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 밖에 간장 등에 첨가하면 구수한 맛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스테비오사이드는 당이 아미노산과 일으키는 갈변 반응이 없어서 간장과 같은 장류의 가공에 적당하다.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는 지금까지의 연구 조사결과 단맛은 있으나 부작용이 있었던 인공감미료와는 달리 아직까지 부작용이 드러나지 않은 안정성이 높은 천연감미료인 것 같다.
남미 원주민들의 경우에도 수백 년간 스테비아 잎을 말려 가루로 만들어 사용하였으나 안정성을 의심할 만한 일이 없었고, 또 일본에서도 만성 독성시험을 한 결과 안정성에 문제가 없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앞으로 천연감미료인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가 인공감미료와 설탕을 대신하여 사용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1g의 열량이 4칼로리로 매우 낮다.
참고문헌
식품가공학 (신광출판사) 장학길 이영택
건강보조식품과 기능성 식품 (효일) 노완섭 허 석현
아래 제시하는 바와 같은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생굴과 검은콩을 함유하는 소팔메토 액상 차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아래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생굴과 검은콩을 함유하는 소팔메토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제1공정은 목적에 합당한 원료를 선정하는 단계,
소팔메토는 생식기 장애와 배뇨장애인에게 즐거움을 주는 목적으로 선정하고, 소팔메토의 기능을 상승시키는 미 삼(홍삼과 인삼의 짠 뿌리)과 아연의 성분을 많이 함유하는 굴과 단백질 많이 함유하여 향미를 개선하는 검은콩과 기호의 상승을 위한 천연 감미료로 스테비오사이드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원료를 선정했다.
제2공정은 목적에 합당한 원료를 배합 비율로 산정하는 단계,
조성물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파쇄 소팔메토 생성물 55중량%, 파쇄 굴 생성물 20중량%, 파쇄 미 삼 생성물 10중량%, 파쇄 검은콩 생성물 10중량%, 스테비오사이드 5중량%로 총중량 100중량%를 배합비율로 산정했다.
제3공정은 세척 소팔메토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소팔메토를 선별하여 6%의 소금수용액 탱크 속에 소팔메토를 넣고, 하단에 공기를 주입하여 10분간 상하 교류를 통하여 소팔메토의 과 피(果皮)의 이물질을 세척하고 다시 소팔메토를 흐르는 정수 탱크로 이동시키어 같은 방법으로 15분간 소팔메토의 과 피(果皮)에 잔류 소금과 이물질을 제거하여 세척 소팔메토 생성물을 조성했다.
제4공정은 파쇄 소팔메토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세척 소팔메토 생성물을 1차 절구에서 수동으로 파쇄하고, 파쇄된 소팔메토를 동력 3상 5마력 250rpm의 자동 파쇄 및 분쇄하는 롤 파쇄기의 롤과 롤 사이의 폭을 2㎜로 조절하고 수동으로 파쇄한 소팔메토를 넣어 2㎜의 두께로 파쇄하여, 파쇄 소팔메토 생성물을 조성하여 과육의 표면을 확대시키어 신속한 숙성과 혼합 단계의 혼합물의 침투 전이를 용이하게 하는 기술적 단계다.
제5공정은 파쇄 굴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생굴의 비린 향미를 제거하고, 아연의 성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8%의 함초 수용액을 1차 조성하고 함초 수용액을 용기에 넣고 생굴을 함초 수용액에 넣어 수동으로 깨끗하게 세척하면서 이물질과 껍질을 제거하여 세척 굴 생성물을 조성하고, 다시 2차로 함초와 생수를 혼합하여 20%의 함초 수용액을 조성하고, 삶고, 졸리어, 볶는 기능이 있는 동력 단상 0.5마력의 15rpm의 자동 솥에 세척 굴 생성물을 넣고, 세척 굴 생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함초 수용액을 30%를 넣고 180℃로 가열하여 45분간 삶고, 졸리어, 볶아, 볶은 함초 굴을 조성하고, 볶은 함초 굴을 파쇄 및 분쇄하는 동력 3상 5마력 250rpm의 초퍼기 넣고, 출구의 경을 1.5㎜로 조절하고 스크루의 회전으로 파쇄하고 분쇄하여 1.5㎜의 크기로 파쇄하여 파쇄 굴 생성물을 조성했다.
제6공정은 파쇄 미 삼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선별한 미 삼을 정수에 넣고, 침지 세척하여 이물질과 부유물을 제거하여 세척 미 삼을 조성하고, 세척 미 삼이 건조하기 전에 동력 3상 5마력 250rpm의 롤 파쇄기의 롤과 록 사이의 폭을 2㎜로 조절하고 세척 미 삼을 넣어 파쇄하여 2㎜로 파쇄하여 분진(粉塵)에 의한 손실을 방지한 파쇄 미 삼 생성물을 조성했다.
제7공정은 파쇄 검은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선별한 검은 콩을 흐르는 물로 세척하고 30℃의 정수에 2시간 침지를 통하여 검은 콩의 조직을 팽창시킨 침지 검은콩을 조성한 다음 침지, 검은콩을 동력 단상 0.5마력의 30rpm의 이중 볶음 솥에 넣고, 130℃에서 40분 볶아 볶은 검은 콩을 조성하고, 동력 3상 5마력 250rpm의 롤 파쇄기의 롤과 록 사이의 폭을 2㎜로 조절하고 볶은 검은 콩을 넣고 2㎜로 파쇄하여 파쇄 검은콩 생성물을 조성했다.
제8공정은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제2공정의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스테비오사이드, 제2공정의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파쇄 소팔메토 생성물, 제2공정의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파쇄 굴 생성물, 제2공정의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파쇄 미 삼 생성물, 제2공정의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파쇄 검은콩 생성물을 3상 5마력 250rpm의 분말혼합기에 넣고, 30분 혼합하여 파쇄 소팔메토, 파쇄 굴, 파쇄 미 삼, 파쇄 검은콩, 스테비오사이드가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으로 혼합된 혼합 생성물을 조성했다.
제9공정은 숙성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수동식 분무기에 정수를 넣고 혼합 생성물에 분무하여 85%의 정수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고, 플라스틱 용기에 20㎏씩 정수 혼합 생성물을 넣고, 8시간 상온에서 숙성하여 혼합물의 조직을 부드럽게 하여, 향미를 개선하고 균일한 침투와 전이를 이루는 것을 목적으로 숙성 혼합 생성물을 조성했다.
제10공정은 성형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동력 3상 5마력 250rpm의 파쇄 및 분쇄되는 초퍼기의 출구 공의 지름을 2㎜로 교체하고 숙성 혼합 생성물을 넣고, 스크루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8㎏/㎠ 내압에 의하여 전이 압축 성형으로 2㎜로 부피가 압축된 성형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여, 침출시 추출이 용이하게 하고, 복합된 새로운 향미의 성형 혼합 생성물을 단일 공정으로 이루어지게 했다.
제11공정은 건조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성형 혼합 생성물을 농산물 가공하는 온풍 건조기에 넣고, 45℃에서 1시간마다 성형혼합생성물을 뒤집어 환기를 시키는 일을 반복하면서 20시간 건조하여 수분 함량 12%의 건조혼합생성물을 조성하고 함수율은 발포의 다 공 행성에 직접적인 관계를 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적정 함수율을 유지하고, 온도는 45℃의 고온에 건조하면 향이 없는 생성물을 조성하므로 온도를 주의하여 건조하고, 혼합생성물의 조직이 결속하여 길이가 2㎝로 고정화된 건조혼합생성물을 조성했다.
제12공정은 발포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건조 혼합 생성물을 동력 단상 0.5마력 15rpm으로 회전하는 가온 발포기 넣고, 회전하면서 8㎏/㎠의 압력을 유도하여 순간발포로 조직을 팽창시키어 다 공을 형성하여 냉, 온수 구별 없이 신속한 추출이 이루어지는 팽창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고, 즉시 10℃의 냉방으로 팽창 혼합 생성물을 추락시키어 열에 의한 조직과 향미의 손실을 방지하여, 냉각된 발포 혼합 생성물을 조성했다.
제13공정은 추출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발포 혼합 생성물을 동력 3상 2마력 30rpm의 자동추출기의 탱크에 넣고, 넣은 발포 혼합 생성물을 중량을 기준으로 정수에 알코올을 혼합한 70%의 알코올수용액을 용매로 100배를 넣고, 130℃에서 120분간 동력 3상 2마력 30rpm으로 자동 휘젓는 추출(抽出)로 추출 혼합 생성물을 조성했다.
제14공정은 여과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추출혼합생성물을 진공으로 동력 3상 5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자동 흡입 여과기에 넣고, 200 메쉬의 여과 망을 통하여 여과하여 여과 혼합 생성물을 조성했다.
제15공정은 농축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여과혼합생성물을 동력 3상 2마력 30rpm으로 회전하는 1-3Torr의 자동농축기에 넣고, 기포에 의한 성분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휘젓는 속도를 30rpm으로 자동조정하는 시스템으로, 6시간 농축하여 20Brix로 농축 혼합 생성물을 조성했다.
제16공정은 살균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
농축 혼합 생성물을 동력 3상 2마력 30rpm으로 회전하는 고온순간살균기에 넣고, 스크루 회전과 이송 물의 속도와 파이프로 된 살균 통의 온도와 시간을 조절하여 85℃에서 60초 살균하여 살균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고, 85℃ 이하에서 60초 이하로 살균하면 굴속에 단백질의 변성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고온에서 최대한 적정시간 살균했다.
제17공정은 조성물을 주입 포장하는 단계,
동력 3상 2마력 250rpm으로 회전하는 자동 주입기를 통하여 용도와 용기에 따라 폴리에틸렌필름의 파우치에 살균 혼합 생성물을 100㎖를 분당 60개씩 자동으로 주입하고 상온의 흐르는 냉각수 탱크에 넣어 냉각하여 진공을 유도하는 포장방법으로 조성물을 조성하면 짠 풍미가 감도는 고소하고 달콤하면서 담백한 맑은 갈색의 조성물을 특징으로 하는 생굴과 검은콩을 함유하는 소팔메토 액상 차 조성물을 제조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도면은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하는 해석이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생굴과 검은콩을 함유하는 소팔메토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이다.
Claims (7)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하기 단계 (1) 내지 (17)은 생굴과 검은콩을 함유하는 소팔메토 액상 차 조성물의 제조방법:(1) 본 조성물의 원료는 소팔메토, 굴, 미 삼, 검은콩, 스테비오사이드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원료를 선정하는 기술적 단계;(2) 상기 단계 (1)의 원료를 이용한 조성물의 배합비율은 총중량을 기준으로 파쇄 소팔메토 생성물 60 ~ 30중량%, 파쇄 굴 생성물 10 ~ 30중량%, 파쇄 미 삼 생성물 10 ~ 20중량%, 파쇄 검은콩 생성물 15 ~ 10중량%, 스테비오사이드 5 ~ 10중량%로 조성물 배합비율을 산정하는 단계;(3) 상기 단계 (1)의 소팔메토를 선별하여 3 ~ 6%의 소금수용액 탱크 속에 소팔메토를 넣고, 10 ~ 15분간 과 피의 이물질을 세척하고 다시 소팔메토를 흐르는 정수 탱크로 이동시키어 같은 방법으로 10 ~ 15분간 소팔메토의 과 피에 잔류 소금과 이물질을 제거하여 세척 소팔메토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4) 상기 단계 (3)의 세척 소팔메토 생성물을 절구에 파쇄하고, 파쇄된 소팔메토를 동력 3상 5마력 250rpm의 자동 파쇄 및 분쇄하는 롤 파쇄기에 넣어 1 ~ 3㎜의 두께로 파쇄하여, 파쇄 소팔메토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5) 상기 단계 (1)의 생굴을 5 ~ 8%의 함초 수용액에 넣어 세척하고, 삶고, 졸리어, 볶는 기능이 있는 동력 단상 0.5마력의 5 ~ 60rpm의 자동 솥에 10 ~ 20%의 함초 수용액을 조성하여, 조성한 함초 수용액을 20 ~ 30%를 넣고, 130 ~ 180℃로 가열하여 30 ~ 45분간 삶고, 졸리어, 볶아, 볶은 함초 굴을 조성하고, 볶은 함초 굴을 파쇄 및 분쇄하는 동력 3상 5마력 250rpm의 초퍼기 넣고, 1 ~ 2㎜의 크기로 파쇄하여 파쇄 굴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6) 상기 단계 (1)의 선별한 미 삼을 세척하여 세척 미 삼을 조성하고, 세척 미 삼이 건조하기 전에 동력 3상 5마력 250rpm의 롤 파쇄기로 1 ~ 2㎜로 파쇄하여 파쇄 미 삼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7) 상기 단계 (1)의 선별한 검을 세척하고 20 ~ 30℃의 정수에 2 ~ 4시간 침지하여 침지 검은콩을 조성하고, 침지, 검은콩을 동력 단상 0.5마력의 5 ~ 60rpm의 이중 볶음 솥에 넣고, 130 ~ 180℃에서 20 ~ 40분 볶아 볶은 검은 콩을 조성하고, 동력 3상 5마력 250rpm의 롤 파쇄기로 2 ~ 4㎜로 파쇄하여 파쇄 검은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8) 상기 단계 (2)의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스테비오사이드, (2)의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파쇄 소팔메토 생성물, (2)의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파쇄 굴 생성물, (2)의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파쇄 미 삼 생성물, (2)의 배합비율과 동일한 량의 파쇄 검은콩 생성물을 3상 5마력 250rpm의 분말혼합기에 넣고, 20 ~ 40분 혼합하여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9) 상기 단계 (8)의 혼합 생성물에 정수를 분무하여 85 ~ 95%의 정수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고, 플라스틱 용기에 20 ~ 40㎏씩 정수 혼합 생성물을 넣고, 4 ~ 10시간 상온에서 숙성하여 숙성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10) 상기 단계 (9)의 숙성 혼합 생성물을 동력 3상 5마력 250rpm의 파쇄 및 분쇄되는 초퍼기에 넣고 스크루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8㎏/㎠ 내압에 의하여 전이 압축 성형으로 2 ~ 4㎜로 부피가 압축된 성형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11) 상기 단계 (10)의 성형 혼합 생성물을 온풍 건조기에 넣고, 30 ~ 45℃에서 20 ~ 30시간 건조하여 수분 함량 10 ~ 12%의 건조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12) 상기 단계 (11)의 건조 혼합 생성물을 동력 단상 0.5마력 5 ~ 60rpm으로 회전하는 가온 발포기 넣고, 1 ~ 14㎏/㎠의 압력을 유도하여 순간발포로 조직을 팽창시키어 다 공을 형성하고, 즉시 0 ~ 10℃의 냉방으로 팽창 혼합 생성물을 추락시키어 냉각된 발포 혼합 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13) 공정 단계 (12)의 발포혼합생성물을 동력 3상 2마력 5 ~ 90rpm의 자동추출기의 탱크에 넣고, 발포 혼합 생성물을 중량을 기준으로 70%의 알코올수용액을 용매로 80 ~ 100배를 넣고, 110 ~ 130℃에서 60 ~ 120분간 추출로 추출혼합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14) 상기 단계 (13)의 추출혼합생성물을 동력 3상 5마력 250rpm의 자동 흡입 여과기에 넣고, 150 ~ 350 메쉬의 여과 망을 통하여 1 ~ 3회 여과하여 여과혼합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15) 상기 단계 (14)의 여과혼합생성물을 동력 3상 2마력 10 ~ 90rpm으로 회전하는 1 ~ 10-3Torr의 자동농축기에 넣고, 2 ~ 6시간 농축하여 1 ~ 65Brix로 농축혼합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16) 상기 단계 (15)의 농축혼합생성물을 동력 3상 2마력 10 ~ 90rpm으로 회전하는 고온순간살균기에 넣고, 85 ~ 95℃에서 60 ~ 120초 살균하여 살균혼합생성물을 조성하는 단계;(17) 상기 단계 (16)의 살균혼합생성물을 동력 3상 2마력 250rpm의 자동 주입기로 폴리에틸렌필름 또는 은박지로 된 파우치와 내열성으로 된 유리 또는 Pet에 50 ~ 2000㎖를 주입하고, 냉각수로 냉각하여 진공을 유도하여 포장하는 방법으로 짠 풍미가 감도는 고소하고 달콤하면서 담백한 조성물을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굴과 검은콩을 함유하는 소팔메토 액상 차 조성물의 제조방법.
- 상기 항에 의해 조성된 생굴과 검은콩을 함유하는 소팔메토 액상 차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35090A KR100957767B1 (ko) | 2008-12-28 | 2008-12-28 | 생굴과 검은콩을 함유하는 소팔메토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35090A KR100957767B1 (ko) | 2008-12-28 | 2008-12-28 | 생굴과 검은콩을 함유하는 소팔메토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73183A Division KR100915786B1 (ko) | 2007-07-21 | 2007-07-21 | 생굴과 검은콩을 함유하는 소팔메토 티백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3151A KR20090013151A (ko) | 2009-02-04 |
KR100957767B1 true KR100957767B1 (ko) | 2010-05-18 |
Family
ID=40683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35090A KR100957767B1 (ko) | 2008-12-28 | 2008-12-28 | 생굴과 검은콩을 함유하는 소팔메토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5776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524225A (zh) * | 2015-01-22 | 2015-04-22 | 李宇花 | 一种治疗肾虚型腹部手术后尿潴留的中药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10007A (ko) * | 2007-07-21 | 2009-01-28 | 전현철 | 소팔메토 침출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2008
- 2008-12-28 KR KR1020080135090A patent/KR10095776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10007A (ko) * | 2007-07-21 | 2009-01-28 | 전현철 | 소팔메토 침출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3151A (ko) | 2009-0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96902B1 (ko) | 한방 개량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한방 개량 고추장 조성물 | |
KR20150040392A (ko) | 스테비아 음료원액제조방법 | |
KR20100084594A (ko) | 콜라겐 월드 김(海苔)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KR100879016B1 (ko) | 한방 개량간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방 개량간장 조성물 | |
KR20100082689A (ko) | 월드 인삼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KR20090014322A (ko) | 피곤할 때 마시는 새콤달콤한 솔잎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CN104323217B (zh) | 一种调味白骨壤果实酱及其生产方法 | |
KR20090031707A (ko) | 무궁화꽃 침출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KR100896905B1 (ko) | 한방 개량된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한방 개량된장 조성물 | |
KR20090011984A (ko) | 민들레 침출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액상추출차의 제조방법 | |
KR100915786B1 (ko) | 생굴과 검은콩을 함유하는 소팔메토 티백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KR100957767B1 (ko) | 생굴과 검은콩을 함유하는 소팔메토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KR20110080686A (ko) | 달콤한 향미의 미세(微細)한 후코이단을 함유하는 마른김(海苔)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KR100884844B1 (ko) | 새콤달콤한 콜라겐 비타 사과 녹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20090018876A (ko) | 새콤달콤한 쿠르쿠민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KR100947666B1 (ko) | 모시풀잎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KR20100072143A (ko) | 월드 인삼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KR20090006899A (ko) | 새콤달콤한 검은 콩 옥수수수염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KR20090011346A (ko) | 고소하고 달콤한 침출 칡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KR20090014254A (ko) | 달콤한 미나리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KR20100082688A (ko) | 월드 홍삼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KR20090021410A (ko) | 피로할 때 마시는 대추 침출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KR100894284B1 (ko) | 머위, 매실 및 함초를 함유하는 침출차와 액상추출차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한 침출차와 액상추출차 | |
KR20090018874A (ko) | 고혈압 환자가 마시는 새콤달콤한 진 코 침출 및 액상 티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KR20090122319A (ko) | 고소한 메생이 티백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상 차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