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623B1 - Bridge having deck slab concrete structure on plural beams, constructing method thereof and precast partial-depth deck slab concrete structure used in constructing same - Google Patents

Bridge having deck slab concrete structure on plural beams, constructing method thereof and precast partial-depth deck slab concrete structure used in construct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623B1
KR100952623B1 KR1020070116991A KR20070116991A KR100952623B1 KR 100952623 B1 KR100952623 B1 KR 100952623B1 KR 1020070116991 A KR1020070116991 A KR 1020070116991A KR 20070116991 A KR20070116991 A KR 20070116991A KR 100952623 B1 KR100952623 B1 KR 100952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concrete
precast
bottom plate
sub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69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50508A (en
Inventor
장신찬
Original Assignee
장신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신찬 filed Critical 장신찬
Priority to KR1020070116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623B1/en
Publication of KR20090050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5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6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제작용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 및 이를 사용하여 제작된 교량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교각, 교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교축방향으로 배열되어 거치된 제1교량 지지빔과 제2교량 지지빔을 포함하는 다수의 교량 지지빔과, 상기 교량 지지빔의 상측에 형성되는 교량의 바닥판 제작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으로서, 상기 제1교량 지지빔과 상기 제2교량 지지빔의 상측에 양측단이 지지되어 거치되도록 상기 바닥판보다 작은 두께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 제1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과; 상기 제1교량 지지빔의 상측에 일단이 지지되어 거치되고 상기 제1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의 교축직각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보다 작은 두께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 제2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과; 상기 제1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과 상기 제2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을 보강하고, 상기 제1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과 상기 제2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 사이의 상기 제1교량 지지빔의 상측 사잇 공간을 가로질러 형성되어 상기 교량 지지빔과 일체화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 철근과; 상기 제1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과 상기 제2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을 연결하는 콘크리트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교량의 다수의 교량 지지빔 상에 거치되는 분절 부분바닥판의 형태와 위치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콘크리트 연결부로 견고하게 연결 형성됨에 따라, 교량의 측면 끝단 모서리 영역(캔틸레버 부)에 동바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분절 부분바닥판이 인접한 분절 부분바닥판에 의하여 그 위치가 견고하게 설치 고정됨으로써 바닥판의 시공을 위한 지지빔 사이의 동바리의 설치가 필요 없으며, 또한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 자체가 거푸집 역할을 하므로 거푸집의 제작 설치가 불필요하고, 또한 교량의 용도나 구성에 따라 교축방향뿐만 아니라 교축직각방향으로의 긴장재를 긴장하여 압축응력을 바닥판 콘크리트에 미리 도입하는 것이 용이하며, 하나의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을 이용하여 완성하고자 하는 바닥판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의 부분바닥판을 교량 지지빔 상에 보다 신속하게 거치시켜 바닥판 시공을 보다 간단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교량 제작용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 이를 사용하여 제작된 교량 및 그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cast subplate for bridge fabrication, a bridge fabricated using the sam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wherein the first bridge support beam and the second bridge are arranged in the axial direction on at least one of a bridge and a bridge. A plurality of bridge support beams including support beams and concrete precast subplates used for fabricating the bottom plate of a bridge formed above the bridge support beams, the first bridge support beams and the second bridge support beams. A first segmented concrete partial floor plat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bottom plate so that both ends are supported and mounted on an upper side of the first fragment concrete floor plate; A second segmented concrete subfloor which is supported and mounted on an upper side of the first bridge supporting beam and is spaced apart in the axially perpendicular direction of the first segmented concrete partial deck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bottom plate. and; Reinforcing the first segment concrete subplate and the second segment concrete subplate, and an upper interspace of the first bridge support beam between the first segment concrete subplate and the second segment concrete subplate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formed across the bridge to be integrated with the bridge supporting beam;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crete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segment concrete subplate and the second segment concrete subplate,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segmental subplate mounted on a plurality of bridge support beam of the bridge is maintained as it is As the concrete connection is formed as firmly as possible, the segmental bottom plate is firmly installed and fixed by the adjacent segmental bottom plate without using a swivel in the side edge corner area (cantilever section) of the bridge.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the copper bars between the supporting beams for the construction, and because the precast partial floor plate itself acts as the formwork when placing the concrete slabs, it is unnecessary to manufacture and install the formwork. However, the compressive stress is reduced by tensioning the tension member in the axial direction. It is easy to introduce into the track in advance, and by using a single precast subplate, a subplate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ole to be completed is mounted on the bridge support beam more quickly, thereby simplifying the construction of the soleplat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cast subplate for bridge fabrication, a bridge fabricated using the same, and a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부분바닥판, 분절 부분바닥판, 가로보, 콘크리트 돌출부, 긴장재 Partial deck, segmented floorboard, crossbeam, concrete protrusion, tension member

Description

다수의 교량 지지빔 상에 바닥판이 형성되는 교량, 그 시공 방법 및 그 제작에 사용되는 바닥판 제작용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 {BRIDGE HAVING DECK SLAB CONCRETE STRUCTURE ON PLURAL BEAMS, CONSTRUCTING METHOD THEREOF AND PRECAST PARTIAL-DEPTH DECK SLAB CONCRETE STRUCTURE USED IN CONSTRUCTING SAME} Bridges with bottom plates formed on a plurality of bridge supporting beams, construction methods and precast partial floor boards for manufacturing floor plates used in the fabrication DECK SLAB CONCRETE STRUCTURE USED IN CONSTRUCTING SAME}

본 발명은 교량 제작용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 및 이를 사용하여 제작된 교량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교량 지지빔 상에 바닥판이 시공되는 교량을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경제적으로 시공할 수 있으며, 특히 곡률이나 경사도가 불규칙적인 교량도 보다 쉽게 제작 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 제작용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 및 이를 사용하여 제작된 교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cast subplate for bridge fabrication and a bridge fabricated using the sam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which enables to construct a bridge in which a bottom plate is constructed on a plurality of bridge support beams more quickly and simply and economically.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cast subplate for bridge fabrication, and a bridge fabricated using the same, which makes it easier to produce a bridge with irregular curvature or slope.

종래의 교량은 교량의 주형 위에 바닥판을 설치하기 위하여, 현장에서 지지빔과 지지빔 사이의 공간에 동바리를 설치한 후 그 위에 거푸집을 제작 설치한다. 이 거푸집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장시간 동안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바닥판을 완성하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교량(1)은 교각이나 교대(11) 상에 베어링(12)을 설치하고, 베어링(12)의 상면에 다수의 교량 지지빔(13)이 제작되어 거치되고, 다수의 교량 지지빔(13)으로 이루어진 강형의 상측에 동바리(14)로 지지되도록 거푸집을 설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바닥판(15)을 시공하였다. In a conventional bridge, in order to install a bottom plate on a mold of a bridge, a copper bar is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a support beam and a support beam in the field, and then a mold is manufactured and installed thereon. After reinforcing the reinforcing bar to form the concrete and cast concrete for a long time to complete the bottom plat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bridge 1 is provided with a bearing 12 on a bridge or alternator 11, and a plurality of bridge support beams 13 on an upper surface of the bearing 12. ) Was manufactured and mounted, the concrete was cast in the state in which the formwork is installed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club 14 on the upper side of the steel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bridge support beams 13 to construct the bottom plate (15).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교량 시공 방법은 현장에서 바닥판의 전체를 타설하여 양생함에 따라 품질관리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동바리 및 거푸집을 제작,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공사기간이 장기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현장에서 철근을 배근함에 따라 많은 공사 인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도심지에서 교량을 건설하는 경우에는 현장 작업이 많으므로 넓은 작업 공간이 소요되고 교통 소통의 장애가 유발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bridge construction method has difficulty in quality control as the entire bottom plate is laid and cured at the site, and it takes a lot of time while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copper bars and formwork and curing concrete, thus prolonging the construction period. There was a problem. In addition, as the reinforcement at the site, not only a large number of construction personnel are required, but also when the bridge is constructed in the downtown area,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ot of field work takes a large work space and induces a problem of traffic communication.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주식회사 효성 엘비데크에서 창안하여 2006.10.10 자로 특허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635137호의 "교량 슬래브 시공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래티스바아데크형 피씨프레이트"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이나 교대(11) 상에 베어링(12)을 설치하고, 베어링(12)의 상면에 다수의 교량 지지빔(13)이 제작되어 거치된 상태에서, 다수의 교량 지지빔(13) 상측에 완성된 바닥판(26)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 철근콘크리트 부분바닥판(24)을 양측단부가 지지되도록 설치하고, 동시에 교량의 측면 끝단 모서리(캔틸레버 부) 영역에는 교량 지지빔(13)에 일측 단부가 지지되고 그 밖의 영역에는 동바리(25)에 의해 지지되도록 부분바닥판(24)을 설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바닥판(15)을 시공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bridge slab and a lattice bar deck type PC plate applied to th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635137, which was created by Hyosung Elvidek Co., Ltd. and patented by October 10, 2006, are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bridge support beams 13 are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bearings 12 are provided on the pier or the alternator 11 and a plurality of bridge support beams 13 are manufactured and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aring 12. Reinforced concrete partial plate 24 formed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nished bottom plate 26 on the upper side is installed so that both ends are supported, and at the same time, the bridge support beam 13 is provided at the side end edge (cantilever portion) of the bridge. Disclosed is a construction in which the bottom plate 15 is constructed by pouring and curing concrete in a state where the partial bottom plate 24 is installed so that one end portion is supported and the other area is supported by the copper club 25.

이와 같은 주식회사 효성 엘비데크에서 발명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4)을 교량 시공에 적용함에 따라 운반이 용이하며 현장에서의 시공성이 종래에 비하여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교량의 측면 끝단 모서리 영역에는 여전히 동바리(25)를 설치함에 따라 시공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이들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4)을 거치시킨 상태로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 하는 경우 교축방향으로 다수의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4)과 부분바닥판(24) 사이의 틈새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누설될 가능성이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지지빔(13)과 지지빔(13") 사이가 멀어지는 경우 콘크리트 바닥판(26) 자체의 강성이 부족하여 긴장재를 긴장하여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필요한 경우, 즉 지지빔(13)과 지지빔(13") 중간 부위의 바닥판에서의 정 모멘트 구간의 하단텐던 배치와 지지빔(13) 상측의 바닥판에서의 부 모멘트 구간의 상단텐던 배치가 바닥판(15) 도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의 위치에 있어야 함으로써 부분바닥판(24)의 콘크리트 두께가 바닥판(26) 두께의 절반 이상이어야 하므로 부분바닥판(24)으로써의 그 목적과 사용성이 떨어지고, 교축직각방향으로의 지지빔(13) 상측의 분절된 부분바닥판(24)과 부분바닥판(24) 사이를 연결하는 긴장재의 설치가 어려우며 완성 바닥판 콘크리트(26) 타설 이전에 긴장재를 긴장하여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기능 자체가 불가능 하다는 큰 문제점을 갖고 있다.By applying th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24 invented by Hyosung Lvideck Co., Ltd. to the bridge construction, it is easy to carry and the workability in the field can be improved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but the side edge corner area of the bridge There is still a deterioration in workability as the copper bar 25 is installed, and when precast concrete is placed with these precast subplates 24 mounted, a plurality of precast subplates 24 in the axial dire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crete poured into the gap between the and the bottom plate 24 may leak. In addit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beam 13 and the support beam 13 ″ lacks the rigidity of the concrete base plate 26 itself and the tension material is required to compress the prestress, that is, the support beam 13 and the support beam ( 13 ") position of the lower tendon of the positive moment section in the bottom plate of the middle part and the position of the upper tendon of the minor moment section in the bottom plate above the support beam 13 are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ttom plate 15. Since the concrete thickness of the bottom plate 24 should be at least half of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late 26, its purpose and usability as the bottom plate 24 are inferior, and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beam 13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axis.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tension member connecting the segmented bottom plate 24 and the partial bottom plate 24 of the main body, and the function of introducing the compression prestress by tensioning the tension member before placing the finished bottom concrete 26 is large.It has a problem.

특히, 최근 강재 지지빔 교량설계에 있어서, 강재의 강성이 크고 높이가 높은 소수주형 교량 지지빔(13")이 사용되어 동일한 하중을 지지하는 교량 지지빔(13")의 수가 적은 교량이 제작되는 추세에 따라, 지지빔(13)과 지지빔(13") 사이의 바닥판 하부에 발생할 수 있는 정 모멘트에 의한 인장응력과 지지빔(13") 상측의 바닥판 상부에 발생하는 부 모멘트에 의한 인장응력 등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바닥판을 시공하는 단계에서 교축직각방향으로의 긴장재를 설치하고 이를 긴장하여 압축응력을 미리 도입하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In particular, in the recent steel support beam bridge design, a small-sized bridge supporting beam 13 "having a high rigidity of steel is used so that a bridge having a small number of bridge support beams 13" supporting the same load is produced.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the tensile stress due to the positive moment that may occur under the bottom plate between the support beam 13 and the support beam 13 "and the minor moment occurring on the top of the bottom plate above the support beam 13". In order to offset the tensile stress, a method of installing a tension member in the perpendicular direction of the throttle at the stage of constructing the bottom plate and tensioning it has been sought to introduce a compressive stress in advanc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교량 지지빔 상에 바닥판을 시공하는 공정을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 바닥판 제작용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 및 이를 사용한 교량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cast subplate for fabricating a bridge deck, which enables a more efficient and rapid construction of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floor plate on a plurality of bridge support beams, and using the same. To provide a bridge for that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교량의 측면 끝단 모서리 영역(캔틸레버 부)의 바닥판 및 지지빔과 지지빔 사이의 바닥판 시공을 위한 동바리 및 거푸집의 제작 설치가 불필요하며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 자체가 거푸집 역할을 함으로써 시공의 편의를 도모하며 보다 신속히 바닥판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the need for fabrication and installation of scoops and formwork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ottom plate of the side end edge region (cantilever section) of the bridge and the bottom plate between the support beam and the support beam, and the precast subplate itself serves as a formwork.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and to be able to complete the bottom plate more quickly.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량이 좌우로 굴곡 형성됨에 따라 바닥판의 형상도 이에 부합되도록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에도, 간편하게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을 곡면형상에 부합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even when the bridge is formed to be bent to the left and right, even if the shape of the bottom plate should be installed to match this, so that th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can be easily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curved shape and easily installed It is.

또한, 본 발명은 최종 바닥판 상면의 설계 높이(Final Design Elevation)에 따른 교량 지지빔 상에 다수 거치되는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과 지지빔 상측과의 일정한 높이를 측정하여 유지시킨 후 지지빔 상측과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 사이의 누수방지 탄성재를 삽입 설치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누수 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and maintains a constant height between th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and the support beam upper side mounted on the bridge support beam according to the design height (Final Design Elevation) of the final bottom plate after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beam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leakage of concrete to be poured by inserting and installing a leakage preventing elastic material between the precast part plates.

그리고, 본 발명은 교량의 용도나 구성에 따라 교축방향뿐만 아니라 교축직각방향으로의 긴장재를 긴장하여 압축응력을 바닥판 콘크리트에 미리 도입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other object to make it easy to introduce the compressive stress to the bottom plate concrete in advance by tensioning the tension member in the axial direction as well as the axial direction, depending on the use or configuration of the bridg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각, 교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교축방향으로 배열되어 거치된 제1교량 지지빔과 제2교량 지지빔을 포함하는 다수의 교량 지지빔과, 상기 교량 지지빔의 상측에 형성되는 교량의 바닥판 제작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으로서, 상기 제1교량 지지빔과 상기 제2교량 지지빔의 상측에 양측단이 지지되어 거치되도록 상기 바닥판보다 작은 두께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 제1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과; 상기 제1교량 지지빔의 상측에 일단이 지지되어 거치되고 상기 제1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의 교축직각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보다 작은 두께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 제2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과; 상기 제1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과 상기 제2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을 보강하고, 상기 제1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과 상기 제2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 사이의 상기 제1교량 지지빔의 상측 사잇 공간을 가로질러 형성되어 상기 교량 지지빔과 일체화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 철근과; 상기 제1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과 상기 제2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을 연결하는 콘크리트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제작용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bridge support beams including a first bridge support beam and a second bridge support beam, which are arranged and mounted in an axial direction on at least one of a bridge and an alternator; A concret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used for fabricating a bottom plate of a bridge formed on an upper side of a bridge support beam, wherein the bottom plate is supported so that both ends are supported and mounted on an upper side of the first bridge support beam and the second bridge support beam. A first segmented concrete subfloor formed in a plate shape with a smaller thickness; A second segmented concrete subfloor which is supported and mounted on an upper side of the first bridge supporting beam and is spaced apart in the axially perpendicular direction of the first segmented concrete partial deck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bottom plate. and; Reinforcing the first segment concrete subplate and the second segment concrete subplate, and an upper interspace of the first bridge support beam between the first segment concrete subplate and the second segment concrete subplate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formed across the bridge to be integrated with the bridge supporting beam; A concrete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segmented concrete subplate and the second segmented concrete subplate; It provides a precast sub-plate for bridge produ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이는, 교량의 다수의 교량 지지빔 상에 거치되는 부분바닥판이 제1분절 부분바닥판 및 제2분절 부분바닥판(이하, 이들을 통칭하여 간단히 "분절 부분바닥판"이라 함)의 형태와 위치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콘크리트 연결부로 견고하게 연결 형성됨에 따라, 하나의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을 이용하여 완성하고자 하는 바닥판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의 부분바닥판을 교량 지지빔 상에 보다 신속하게 거치시켜 바닥판 시공을 보다 간단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량의 측면 끝단 모서리 영역(캔틸레버 부)에 동바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분절 부분바닥판이 인접한 분절 부분바닥판에 의하여 그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완성된 바닥판의 시공을 위한 동바리 및 거푸집의 제작 설치가 불필요하며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 자체가 거푸집 역할을 함으로써 시공의 편의를 도모하며 보다 신속히 바닥판을 완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This is because the partial bottom plate mounted on the plurality of bridge supporting beams of the bridge has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first segment partial bottom plate and the second segment partial bottom plate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simply as the "segment partial bottom plate"). As it is firmly connected to the concrete connection to be maintained as it is, by using a single precast floorboard, the floorboard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loorboard to be completed is mounted more quickly on the bridge support beam. Not only can the construction be done more easily and quickly, but also the segmented bottom plate is firmly fixed by the adjacent segmented bottom plate without the use of copper bars in the side edge corner area (cantilever section) of the bridge. It is not necessary to manufacture and install clubs and formwork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ottom plate. For the convenience of construction, by a,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ore quickly complete the bottom plate.

여기서, 상기 교량 지지빔은 강재빔이나 강재상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그 형태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되지 않는다. Here, the bridge support beam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teel beam or steel box, it may be formed of a prestressed concrete beam is not limited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form.

이 때, 상기 제1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 상기 제2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상기 바닥판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되고 교축방향 및 교축직각방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콘크리트 돌출부가 상기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콘크리트 돌출부가 상기 분절 부분바닥판의 상면으로 돌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 돌출부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밀착용 긴장재를 삽입 설치한 후 이 밀착용 긴장재를 긴장시키는 것에 의하여 인접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을 상호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며, 교축방향으로의 교각을 중심으로 바닥판 상부에 작용하는 부 모멘트에 의한 인장응력을 상쇄하기 위하여 일정한 거리에 위치한 돌출부와 돌출부 사이에 쉬스관을 배치하고 이 쉬스관 속에 프리스트레스용 긴장재를 삽입 설치한 후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고 나서 바닥판에 긴장재를 긴장함으로써 압축응력을 도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t this time,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any one or more of the first segmented concrete sub-floor, the second segmented concrete partial-floor, the thickness is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late and any one or more of The concrete protrusion formed with the through hole in the direction is integrally formed in th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As the concrete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gmented bottom plate, an adjacent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is formed by inserting a close tension member into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oncrete protrusion and then tensioning the close tension member. It is possibl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in order to offset the tensile stress due to the sub-moment acting on the upper part of the bottom plate around the pier in the axial direction, a sheath tube is disposed between the protrusions and the protrusion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prestress is placed in the sheath tube. It is possible to introduce a compressive stress by tensioning the tension member on the bottom plate after placing and curing the slab concrete after inserting the tension member.

한편, 본 발명은, 교각, 교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교축방향으로 배열되어 거치된 제1교량 지지빔과 제2교량 지지빔을 포함하는 다수의 교량 지지빔과; 상기 제1교량 지지빔과 상기 제2교량 지지빔의 상측에 양측단이 지지되어 거치되도록 상기 바닥판보다 작은 두께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 제1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과, 상기 제1교량 지지빔의 상측에 일단이 지지되어 거치되고 상기 제1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의 교축직각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보다 작은 두께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 제2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과, 상기 제1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과 상기 제2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을 보강하고 상기 제1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과 상기 제2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 사이의 상기 제1교량 지지빔의 상측 사잇 공간을 가로질러 형성되어 상기 교량 지지빔과 일체화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 철근과, 상기 제1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 상기 제2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상기 바닥판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되고 교축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콘크리트 돌출부를 구비하되, 상기 다수의 교량 지지빔 상에 다수 배열되는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과; 상기 다수의 분절 부분바닥판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부분바닥판과 함께 일체로 원하는 높이로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제1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과 상기 제2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을 일체로 연결하는 콘크리트 연결부와; 상기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과 상기 교량 지지빔과의 일정한 높이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 연결부에 매입된 높이조절용 볼트와; 상기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과 상기 교량 지지빔과 접촉하는 면에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누수를 방지하는 누수방지 탄성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ridge support beams including a first bridge support beam and a second bridge support beam arranged and mounted in the axial direction to any one or more of the bridge and the shift; A first segmented concrete subfloor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bottom plate such that both ends are supported and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ridge support beam and the second bridge support beam, and the first bridge support beam A second segmented concrete subfloor which is supported and mounted on an upper side of the first segmented concrete subfloor, spaced in the axially perpendicular direction of the first segmented concrete subfloor, and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bottom slab, and the first segmented concrete Reinforce the partial deck and the second segmented concrete partial deck and are formed across the upper site space of the first bridge support beam between the first segmented concrete partial deck and the second segmented concrete partial deck;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formed so as to be integrated with the bridge supporting beam, and the first segment concrete subplate and the second segment concrete subplate Are projecting formed from one or more of the upper surface is formed with a thickness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late, but having a concrete projecting portion through hole formed in a throttle direction, and the bottom portion of the precast multiple arrangement on a plurality of the bridge plate and the supporting beams; A bottom plate which is formed at a desired height integrally with the partial bottom plate by pouring concrete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segmental bottom plates; A concrete connection unit integrally connecting the first segmented concrete partial bottom plate and the second segmented concrete partial bottom plate; A height adjustment bolt embedded in the concrete connection portion to maintain a constant height between th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and the bridge support beam; Leak-proof elastic material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concrete to be placed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and the bridge support beam; It provides a bridge comprising a configured.

즉, 전술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을 활용하여 교량의 바닥판을 시공함으로써 교량의 제작공종이 보다 단순하고 신속해지며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교량이 상하나 좌우로 굴곡 형성되는 경우에도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을 교량의 곡률에 부합하게 설치하는 것이 매우 용이해진다. That is, by constructing the bottom plate of the bridge by using the above-mentioned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the fabrication work of the bridge becomes simpler and faster and maximizes the efficiency of the work, even when the bridge is bent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It is very easy to install the precast partial deck in accordance with the curvature of the bridge.

이 때, 상기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 상에 바닥판을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가 현장 타설되기 이전에, 교축방향으로 상호 인접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을 서로 밀착시키도록 상기 콘크리트 돌출부 사이에 개재되어 긴장 가능하게 배열된 밀착용 긴장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통해, 다수의 교량 지지빔 상에 거치된 다수의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과 부분바닥판 사이의 틈새에서 완성된 바닥판 시공을 위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누설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과 부분바닥판 사이에 탄성재질의 봉을 삽입 설치하고 밀착용 긴장재를 긴장하여 상기 탄성재질의 봉을 압축함으로써 타설하는 콘크리트의 누수 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before the concrete for forming the bottom plate on the precast subplate is placed on the precast sub-plate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It further comprises an arranged close tension member. As a result, in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precast subplates and the partial bottom plate mounted on the plurality of bridge supporting beams, the concrete pour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completed bottom plate may leak, thus precast partial floor plate An elastic rod is insert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partial bottom plate, and the elastic tension rod is tensioned to compress the elastic rod so that leakage of concrete to be poured can be prevented more effectively.

그리고, 서로 다른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의 상기 콘크리트 돌출부를 교각을 중심으로 교축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쉬스관을 설치하여 현장 타설되는 상기 바닥판 내에 매설하고, 상기 바닥판을 콘크리트 타설하여 양생한 이후에 교축방향으로의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도록 상기 쉬스관 내부에 삽입 설치된 프리스트레스 도입용 긴장재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최종 두께의 바닥판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된 이후에 쉬스관 내부의 프리스트레스 도입용 긴장재를 긴장시키는 것에 의하여 교축방향으로의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미리 도입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사용하여 시공하는 교량의 경우 제작장에서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제작 시 바닥판 내부에 쉬스관이 매설되므로 프리캐스트 바닥판 설치 시 쉬스관의 배열이 서로 일치 하여야 하며 바닥판 설치 이후에 긴장재를 삽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종래의 시공방법과 달리,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을 다수의 교량 지지빔 상에 거치시킨 후에 이미 형성된 관통공을 연결하여 쉬스관을 설치하고 프리스트레스 도입용 긴장재를 삽입 한 후에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와 효율성이 보다 증대 된다. 이 때, 쉬스관 내부에 설치되는 프리스트레스 도입용 긴장재를 긴장시키기 위하여 프리스트레스 도입용 긴장재의 정착구에는 유압잭이 삽입 설치될 수 있는 공간에 대해서는 1차적인 바닥판 콘크리트의 타설 공종에서는 타설되지 않으며, 콘크리트 양생 후 프리스트레스 긴장재의 긴장력 도입 이후에 2차적으로 유압잭 설치 공간을 추가 콘크리트 타설하여 매우게 된다. And, after installing the sheath pipe connecting the concrete protrusions of the different precast sub-plates in the axial direction around the piers in the floor plate to be cast in the field, and after the concrete to pour the bottom plate And further comprising a prestressing tension member inserted into the sheath tube to introduce the compressive prestress in the axial direction, by tensioning the prestressing tension member in the sheath tube after the bottom thickness concrete of the final thickness is poured. Compression prestress in the axial direction can be introduced beforehand. 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bridges constructed using existing precast decks, sheath pipes are embedded inside the floorboards when the precast decks are manufactured at the production site. Unlike the cumbersome conventional construction method in which a tension member must be inserted after the bottom plate is installed, th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is mounted on a plurality of bridge support beams, and then,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the sheath pipe is installed to install the tension member for prestress introduction. After inserting the slab concrete can be cured to proceed with the process, so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the work is further increased. At this time, in order to tension the prestressing tension member installed inside the sheath pipe, the space where the hydraulic jack can be inserted into the anchorage of the prestressing tension member is not poured in the casting type of the concrete of the bottom plate concrete.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tension of the prestressed tension material, the hydraulic jack installation space is additionally poured into the concrete.

한편, 상기 콘크리트 돌출부와 상기 콘크리트 연결부는 상기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의 일측 단면으로부터 타측 단면까지 연장되는 가로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을 제작장에서 제작시 철근을 배근한 상태에서 강연선을 긴장하여 콘크리트구조나 강구조 지지대에 일시 정착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 후에 강연선을 절단함으로써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의 교축직각방향으로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는, 즉 상기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을 교축직각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콘크리트 돌출부 내부에 미리 긴장된 상태로 매입된 프리텐션 도입용 긴장재가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의 교축직각방향으로 미리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crete protrusion and the concrete connecting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ross beam extending from one end surface of th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to the other end surface. At this time, the precast subfloor is cut by reinforcing the strand in the state of reinforcing the steel bar during fabrication at the production site to temporarily settle the concrete structure or steel structure support, and then after curing the concrete after casting the concrete The precast portion further includes a pre-tension introduction tension material which allows the compression prestress to be introduced in the axially perpendicular direction of the pre-tension part plate, ie, penetrates th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in the axially perpendicular direction and is embedded in a pretensioned state inside the concrete protrusion. Compression prestress can be introduced in advance in the orthogonal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최근 교량을 지지하는 교량 지지빔은 강재의 강성이 크고 높이가 높은 소수주형 교량 지지빔이 사용됨에 따라 교량에 사용되는 교량 지지빔의 수가 점차 줄어드는 추세에 있으므로, 이때에는 교량 지지빔 상측의 바닥판 상부에 교축직각방향으로의 부 모멘트에 의한 인장응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이를 상쇄시키기 위하여 교축직각방향으로의 압축응력이 미리 도입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교량의 폭(B)이 충분히 큰 경우에는 교축직각방향으로 2개 이상의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이 상기 다수의 교량 지지빔 상에 거치되어 배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의 교축직각방향으로의 사잇 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콘크리트 돌출부는 그 단면이 보다 커지는 확대단면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의 사잇 공간에 채워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럭을 관통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의 확대단면 영역에 포스트텐션 도입용 긴장재가 설치되어 이를 긴장 함으로써 교축직각방향으로의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Recently, the number of bridge support beams used for bridges is gradually decreasing as the bridge support beams supporting the bridges are used as the steel beams have a large rigidity and high height. Since the tensile stress due to the sub-moment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rottle acts on the upper portion, the compressive stres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axis needs to be introduced in advance. When the width B of the bridge is sufficiently large, two or more precast subplates may be mounted on the plurality of bridge supporting beams in the perpendicular direction of the bridge. In this case, the concrete protrusion facing the site space in the orthogonal direction of the precast subplate has an enlarged cross-sectional area in which its cross section becomes larger; Post tension is applied to the precast concrete block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precast subplates and post tension is installed in the enlarged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ecast subplates. Configured to do so.

또한, 모든 지지빔 상의 교축직각방향으로 콘크리트 바닥판 상부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하여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의 교축직각방향으로 확대단면영역이 형성되고, 이와 같이 형성된 확대단면 영역의 관통공에 포스트텐션 도입용 긴장재를 쉬스관 내에 설치하여 긴장시키는 것에 의하여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의 교축직각방향으로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an enlarged cross-sectional area is formed in an axially orthogonal direction of th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in order to introduce compression prestress on the concrete bottom plate in the axially perpendicular direction on all the support beams, and post-tensions the through holes in the enlarged cross-sectional area thus formed. By providing an introduction tension member in the sheath tube and tensioning it, it is possible to introduce compression prestres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precast part bottom plate.

상기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의 지지빔 상측 사잇 공간에는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할 수도 있지만, 지지빔 상측의 부 모멘트에 의한 인장응력을 상쇄하기 위한 긴장재의 긴장이 필요한 경우 이 긴장재의 설치를 위하여 그 사잇 공간에 삽입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삽입하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과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 사이의 틈새를 몰탈과 같은 충진재로 충진한 후 완성 바닥판의 도심보다 위에 설치된 포스트텐션 도입용 긴장재를 긴장시켜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다. 이를 통해, 포스트텐션 긴장재의 설치 위치는 완성 바닥판의 도심 위에 배치되어야 하므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의 확대단면 영역의 돌출부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의 높이는 완성 바닥판의 도심 보다는 크고 바닥판의 높이 보다는 작아야 하고, 교축직각방향으로의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공종은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이전에 모두 완료시킬 수 있다. In the space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beam of the precast bottom plate, the bottom plate concrete may be cured, but when the tension material is required to offset the tensile stress caused by the sub-moment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beam, Insert the precast concrete block inserted into the site, fill the gap between the precast concrete block and the precast subplate with mortar-filling material, and then tension the tension for post tension introduction installed above the center of the finished deck. Compression prestress is introduced. In this way, the post-tension tensioning position should be placed above the center of the finished deck, so that the height of the projection or precast concrete block in the enlarged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ecast deck should be greater than the center of the finished deck and less than the height of the deck. The work that introduces compression prestress in the crosswise direction can be completed before placing the deck concrete.

한편, 이와 같은 교축직각방향으로 도입되는 포스트텐션은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이 교축직각방향으로 2개 이상 거치되어 배열되지 않는 경우에도 도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교축직각방향으로 배열되는 교량 지지빔의 수가 적은 경우에 는, 사용하중 작용시 지지빔과 지지빔 사이의 바닥판 하단에 발생할 수 있는 과다한 정 모멘트에 의한 인장응력과 지지빔 상측의 바닥판 상단에 발생하는 과다한 부 모멘트에 의한 인장응력 등을 상쇄시킬 필요성이 높아진다. 이를 위하여, 과다한 부 모멘트에 의한 인장응력이 작용하는 상기 교량 지지빔의 상측 부위의 상기 프리캐스트 부분 바닥판의 상기 가로보 주변에는 포스트텐션 도입용 긴장재가 바닥판의 중심선(Yo)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현장 타설되는 콘크리트 내부의 쉬스관이나 미리 형성된 확대단면 영역내의 쉬스관에 포스트텐션 도입용 긴장재가 설치되어 교축직각방향으로 포스트텐션이 도입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ost-tension introduc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may be introduced even when th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is not arranged to be mounted more than two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In other words, in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bridge support beams arrang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bridge is small, the tensile stress caused by the excessive positive moment that may occur at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between the support beam and the support beam during the working load and the bottom of the support beam The necessity to counterbalance the tensile stress caused by excessive minor moment occurring at the top of the plate is increased. To this end, a post-tensioning tension member is positioned above the centerline Yo of the bottom plate around the cross beams of the precast portion bottom plat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ridge support beam where tensile stress due to excessive minor moments acts. For example, post tension may be introduced in a sheath tube inside the concrete to be cast in the field or in a sheath tube in a pre-formed enlarged cross-sectional area to introduce post tens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axis.

한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본 발명은, 교각, 교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교축방향으로 제1교량 지지빔과 제2교량 지지빔을 포함하는 다수의 교량 지지빔을 거치시키는 단계와; 제1항에 따라 구성되고 상기 제1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과 상기 제2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을 연결하는 콘크리트 연결부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을 상기 다수의 교량 지지빔 상에 다수 배열하여 거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교량 지지빔과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 사이에 일정한 높이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 연결부에 매입된 볼트를 사용하여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교량 지지빔 상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누수를 방지하는 누수방지 탄성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의 상기 콘크리트 돌출부의 관통공에 밀착용 긴장재를 연결 설치하여 인접한 상기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을 밀착시키는 단계와; 교각을 중심으로 교축방향으로 상기 2 개 이상의 콘크리트 돌출부의 상기 관통공을 연결하도록 쉬스관을 설치하고 프리스트레스 도입용 긴장재를 삽입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바닥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교축방향으로 쉬스관 내에 삽입된 프리스트레스 도입용 긴장재를 긴장시키는 것에 의하여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단계와; 긴장잭용 공간을 2차 콘크리트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mounting a plurality of bridge support beams including a first bridge support beam and a second bridge support beam in the axial direction to any one or more of the pier, alternating; A plurality of precast subplates according to claim 1 and having concrete connection portions connecting the first segmented concrete subplates and the second segmented concrete subplates are arranged on the plurality of bridge support beams. Making a step;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recast subplate using a bolt embedded in the concrete connection to maintain a constant height between the bridge support beam and the precast subplate; Installing a leakage preventing elastic material to prevent leakage of concrete poured on the bridge support beam; Attaching a close tension member to a through hole of the concrete protrusions of the plurality of precast partial bottom plates to closely contact the adjacent precast partial bottom plates; Installing a sheath tube and inserting a prestressing tension member to connect the through holes of the two or more concrete protrusions in the axial direction around the piers; Casting and curing concrete on th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to form a bottom plate; Introducing compression prestress by tensioning the prestressing tension member inserted into the sheath tube in the axial direction; It provides a bridge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placing a secondary concrete space for the tension jack.

본 발명은 교각, 교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교축방향으로 배열되어 거치된 제1교량 지지빔과 제2교량 지지빔을 포함하는 다수의 교량 지지빔과, 상기 교량 지지빔의 상측에 형성되는 교량의 바닥판 제작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으로서, 상기 제1교량 지지빔과 상기 제2교량 지지빔의 상측에 양측단이 지지되어 거치되도록 상기 바닥판보다 작은 두께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 제1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과; 상기 제1교량 지지빔의 상측에 일단이 지지되어 거치되고 상기 제1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의 교축직각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보다 작은 두께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 제2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과; 상기 제1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과 상기 제2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을 보강하고, 상기 제1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과 상기 제2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 사이의 상기 제1교량 지지빔의 상측 사잇 공간을 가로질러 형성되어 상기 교량 지지빔과 일체화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 철근과; 상기 제1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과 상기 제2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을 연결하는 콘크리트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교량의 다수의 교량 지지빔 상에 거치되는 분절 부분바닥판의 형태와 위치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콘크리트 연결부로 견고하게 연결 형성됨에 따라, 교량의 측면 끝단 모서리 영역(캔틸레버 부)에 동바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분절 부분바닥판이 인접한 분절 부분바닥판에 의하여 그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완성된 바닥판의 시공을 위한 동바리 및 거푸집의 제작 설치가 불필요하며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 자체가 거푸집 역할을 함으로써 시공이 보다 용이해지고, 하나의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을 이용하여 완성하고자 하는 바닥판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의 부분바닥판을 교량 지지빔 상에 보다 신속하게 거치시켜 바닥판 시공을 보다 간단하고 신속하게 경제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교량 제작용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bridge support beams including a first bridge support beam and a second bridge support beam arranged and mounted in at least one of a bridge and an alternate bridge, and a bridge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bridge support beam. A concret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used for manufacturing a bottom plate, the first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bottom plate so that both ends are supported and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ridge support beam and the second bridge support beam; Segmented concrete subfloors; A second segmented concrete subfloor which is supported and mounted on an upper side of the first bridge supporting beam and is spaced apart in the axially perpendicular direction of the first segmented concrete partial deck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bottom plate. and; Reinforcing the first segment concrete subplate and the second segment concrete subplate, and an upper interspace of the first bridge support beam between the first segment concrete subplate and the second segment concrete subplate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formed across the bridge to be integrated with the bridge supporting beam;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crete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segment concrete subplate and the second segment concrete subplate,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segmental subplate mounted on a plurality of bridge support beam of the bridge is maintained as it is As the concrete connection is formed as firmly as possible, the segmented bottom plate is firmly fixed by the adjacent segmented bottom plate without the use of a swivel in the side edge corner area (cantilever section) of the bridge. It is not necessary to manufacture and install the copper bar and formwork for construction, and the precast subfloor itself acts as a formwork, making construction easier, and the thicknes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late to be completed by using one precast subfloor. Part bottom plate more quickly on bridge support beam It provides a precast subfloor plate for bridge construction that can be performed more simply and quickly and economically.

또한, 본 발명은, 교량이 상하나 좌우로 굴곡 형성되는 경우에 부분바닥판을 교량 지지빔 상에 설치하는 경우에, 콘크리트 연결부에 의하여 수개의 분절 부분바닥판을 일체로 연결 형성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을 사용하여 교량의 바닥판을 시공함에 따라, 교량의 좌우의 곡률에 부합하는 부분바닥판의 설치가 매우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완성된 바닥판의 시공을 위한 동바리 및 거푸집의 제작 설치가 불필요하며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 자체가 거푸집 역할을 함으로써 시공이 보다 용이해지고 경제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cast portion in which several segmented bottom plates are integrally connected and formed by a concrete connection part when the bottom plate is installed on the bridge support beam when the bridge is bent upside down or right and left. As the bottom plate of the bridge is constructed by using the bottom plate, the installation of the partial bottom plat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left and right of the bridge is very simple and quick, and the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of copper bar and formwork for the construction of the finished bottom plate Unnecessary, the precast subplate itself acts as a formwork, making construction easier and more economical.

그리고, 본 발명은 교축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각각의 프리캐스트 분절 부분바닥판 상면에 돌출 형성된 콘크리트 돌출부에 설치된 관통공에 긴장재를 삽입하여 이를 긴장시켜 인접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 사이의 간극을 제거함으로써, 타설되 는 바닥판 콘크리트가 다수 배열되어 거치되는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 사이의 간극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우수한 시공성을 구현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ert the tension material in the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concrete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precast segmental bottom plat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to tension it to remove the gap between adjacent precast partial pl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gap between the precast sub-plates that are arranged in a number of concrete concrete floor plate to achieve a better construction.

그리고, 본 발명은 콘크리트 돌출부와 콘크리트 연결부를 일체로 형성하도록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의 교축직각방향으로의 가로보 형태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완성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제작장에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을 제작시 콘크리트 타설 전에 미리 긴장재를 긴장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 후 긴장재를 절단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써 사용하중 작용 시 지지보와 지지보 사이의 바닥판 하부에 발생하는 정 모멘트에 의한 인장응력을 상쇄시키는 프리텐션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다. 즉,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의 교축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돌출부(가로보)의 높이는 완성 바닥판의 도심보다는 크고 바닥판 상면보다는 작게 제작하여 프리텐션 긴장재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완성 바닥판에 작용하는 인장응력을 상쇄시키는 압축 프리스트레스 도입이 가능해 짐으로써 지지빔과 지지빔 사이의 거리가 멀어짐으로써 발생하는 바닥판에서의 과다한 인장응력을 상쇄시킴으로써 필요에 의해 지지빔의 수량을 조절할 수 있어 경제적인 교량 설계가 가능해 질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to facilitate the production of the finished precast subfloor plate by forming a cross beam in the cross-orthogonal direction of the precast subfloor plate to form the concrete protrusion and the concrete connection unit integrally, the production site At the time of fabricating the precast subfloor, the concrete is placed under tension before the concrete is poured. The pretension system can be applied to offset the tensile stress due to the positive moment generated in That is, the height of the projecting part (horizontal beam) install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precast partial floor plate is made larger than the center of the finished floor plate and smaller than the top surface of the finished floor plate, thereby securing a space for installing the pretension tension member, thereby acting on the finished floor plate. It is possible to introduce a compression prestress that cancels the tensile stress, so that the amount of support beam can be adjusted if necessary by offsetting the excessive tensile stress in the bottom plate caus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beam and the support beam. Design can be possible.

아울러,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의 사잇 공간과 마주하는 가로보에는 교축직각방향으로의 관통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단면이 보다 커지는 확대단면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의 사잇 공간에 채워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설치하고 확대단면 영역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동시에 관통하는 관통공 내에 포스트텐션 도입용 긴장재를 설치하고 이를 긴장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의 확대단면 영역에 교축직각방향으로의 포스트텐션이 도입되도록 함으로써 교량 지지빔의 바닥판 상면에 작용하는 부 모멘트에 의한 인장응력을 효과적으로 상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nlarged cross-sectional area of the cross beam facing the inter-space of the precast sub-plate and the cross section becomes larger at the same time as the through-hol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axis is formed and is filled in the inter-space of the pre-cast sub-plate Axially perpendicular to the enlarged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ecast subfloor by installing a precast concrete block, and installing a tension member for post-tension introduction into the through-hole penetrating the precast concrete block at the same time. By introducing post-tens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ancel the tensile stress due to the sub-moment ac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of the bridge support beam.

또한, 본 발명은 교축방향으로 교각을 중심으로 바닥판 상부에 작용하는 부 모멘트에 의한 인장응력을 상쇄하기 위하여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의 교축직각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의 직각방향으로 관통공을 설치하고 부 모멘트가 작용하는 일정 길이의 돌출부와 돌출부 사이의 관통공에 쉬스관을 연결하고 이 쉬스관 내에 프리스트레스용 긴장재를 삽입 설치한 후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고 나서 바닥판에 긴장재를 긴장함으로써 바닥판 콘크리트에 압축응력을 도입하여 바닥판 상면에 작용하는 인장응력을 상쇄 시키는 역할을 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rough-hole in the perpendicular direction of the protrusion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precast sub-plate in order to cancel the tensile stress due to the sub-moment acting on the top of the bottom plate around the pier in the axial direction. Connect the sheath tube to the through hole between the projecting part and the projecting part of the moment, and install the prestressing tension member in the sheath tube, and then cast the bottom plate concrete to cure the bottom plate concrete. The compressive stress may be introduced into the base plate to offset the tensile stress acting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late.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 내지 도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에 관한 것으로,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을 이용하여 바닥판을 시공한 교량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도2의 일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도4는 도2의 절단선 A-A에 따른 단면도, 도5는 도4의 'T'부위의 상세도, 도6은 도2의 절단선 B-B에 따른 단면도, 도7은 도2의 절단선 C-C에 따른 단면도, 도8은 도3의 절단선 D-D에 따른 단면도, 도9는 도2의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2 to 9 are related to the brid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bridge construction of the bottom plate using the precast partial floor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part of FIG. 2,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AA of FIG. 2, FIG. 5 is a detailed view of the 'T' portion of FIG. 4, and FIG. 6 is a cutting line of FIG. FIG.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CC of FIG. 2, FIG. 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DD of FIG. 3,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precast subplate of FIG.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100)은, 교대나 교각(11)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교축방향으로 다수 배열된 교량 지지빔(13,13')과, 교량 지지빔(13,13') 상에 배열되는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110)과, 교량 지지빔(13,13') 상측과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110)과의 일정한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키는 높이 조절용 볼트(124)와, 인접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110)이 상호 밀착하도록 연결 긴장하는 밀착용 긴장재(120)와, 교각을 중심으로 교축방향으로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도록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110)을 교축방향으로 연결하는 포스트텐션 방식으로 프리스트레스 도입하기 위한 긴장재(130)와,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110)의 상측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된 바닥판(150)과, 완성된 바닥판(15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난간(160)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bridg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dge support beams 13, 13 'arranged in the axial direction so that both ends are supported on the alternating or pier 11, A predetermined height between the prefabricated subplate 110 and the precast subplate 110, which is arranged on the bridge support beams 13 and 13 ', and the precast subplate 110, respectively. Height adjustment bolt 124 for adjusting and fixing, the close tension member 120 for connecting and tensioning adjacent adjoining precast subplate 110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precast to introduce compression prestress in the axial direction around the piers. A tension member 130 for introducing prestress in a post-tension manner connecting the partial bottom plate 110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bottom plate 150 in which concrete is pour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110 and cured;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mpleted bottom plate 150 Handrail 160.

상기 교량 지지빔(13,13')은 교대나 교각(11)의 상부에 위치한 베어링(12) 상에 교축방향으로 다수 거치되어 배열된다. 이 때, 교량 지지빔(13,13')은 강재 아이(I)거더로 형성된 것을 일례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강재빔, 강합성빔 및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등과 같은 어떠한 형태의 교량 지지빔 사용이 가능하다.The bridge supporting beams 13 and 13 ′ are arranged in a axial direction on a bearing 12 positioned on an alternating or pier 11. In this case, the bridge support beams 13 and 13 'are formed of steel eye girder as an exampl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Bridge support beams of any type, such as steel beams, steel composite beams, and prestressed concrete beams, may be used. Beam use is possible.

상기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110)은 도4, 도5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지지빔(13,13')의 상측에 위치하여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110)내의 콘크리트 연결부에 매입된 일정한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키는 높이 조절용 볼트(124)로 고정시킨 후 교량 지지빔(13,13')과 바닥판(150)을 합성시키기 위해 타설되는 콘크리 트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재질의 누수방지 탄성재(13a,13a") 를 교량 지지빔(13,13') 상측과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110)사이에 삽입 설치하며, 양측단이 교량 지지빔(13,13')에 지지되어 거치되고 완성된 바닥판(150)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의 판형상으로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제1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111a), 제2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111b), 제3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111c)으로 이루어진 분절 부분바닥판(111)과, 분절 부분바닥판(111)을 교축직각방향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분절 부분바닥판(111)보다 두껍고 완성된 바닥판(150)보다 얇은 두께의 가로보(112)와, 분절 부분바닥판(111) 내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 단부에까지 내장되어 분절 부분바닥판(111)을 보강함과 동시에 교량 지지빔(13,13')으로부터 돌출된 전단보강 스터드(13b)와 상호 결합되거나 간섭되어 전단키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분절 부분바닥판(111)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 철근(113)으로 구성된다.The precast subplate 110 is located above the bridge support beams 13 and 13 'as shown in Figs. 4, 5 and 9 and is embedded in the concrete connection in the precast subplate 110. After fixing with a fixed height adjustment bolt 124 to adjust the fixed height of the elastic material to prevent leakage of the concrete to be poured in order to synthesize the bridge support beams (13, 13 ') and the bottom plate 150 Leak-proof elastic material (13a, 13a ")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bridge support beams (13, 13 ') and the precast subplate 110, and both ends are supported by the bridge support beams (13, 13') To be mounted and formed into a plate shape having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nished bottom plate 150, including the first segment concrete partial bottom plate 111a, the second segment concrete partial bottom plate 111b, and the third segment Segmented partial bottom plate 111 consisting of concrete partial bottom plate 111c, and segmented partial bar A cross beam 112 having a thickness thicker than the segmented bottom plate 111 and thinner than the finished bottom plate 150 and connecting the plate 111 in the axially perpendicular direction, and one end portion inside the segmented bottom plate 111. Segment part so as to reinforce the segmental bottom plate 111 to the other end, and at the same time to interlock with or interfere with the shear reinforcing studs 13b protruding from the bridge supporting beams 13 and 13 ' It is composed of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113 to interconnect the bottom plate 111.

여기서, 상기 분절 부분바닥판(111a,111b,111c)은 설치되는 교량(100)의 위치에 따라 그 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가로보(112)는 분절 부분바닥판(111)의 상면에 돌출되고 교축직각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콘크리트 돌출부(112a)와, 분절 부분바닥판(111)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콘크리트 연결부(112b)로 나뉘어진다. 즉, 가로보(112)의 콘크리트 돌출부(112a)는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110)을 상호 밀착시키거나 바닥판(150)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교축방향이나 교축직각방향으로 도입하는 공종을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가로보(112)의 콘크리트 연결부(112b)는 교량 지지빔 상에 거치되는 분절 부분바닥판(111)의 형태와 이들 사이의 상대 위치를 그대로 유지시킴에 따라 교량의 측면 끝단 모서리 영역(캔틸레버 부)에 동바리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최외곽 측면 끝단 모서리 영역의 분절 부분바닥판(111b)의 설치가 가능하며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 자체가 거푸집 역할을 하므로 거푸집의 제작 설치가 불필요하다. 또한, 연결 철근(113)은 지지빔 상에서 분절 부분바닥판(111)과 분절 부분바닥판(111)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분절 부분바닥판(111)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과 연결 부위에서 교량 지지빔(13,13')상의 전단보강용 스터드와 고정 결합되어 합성빔에서 지지빔과 바닥판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단에 저항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Here, the segmental bottom plates 111a, 111b, 111c may be formed in a curved surfac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bridge 100 is installed. In addition, the cross beam 112 protrud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gmented bottom plate 111 and the concrete connecting portion 112a and the concrete connecting portion integrally connecting between the segmented bottom plate 111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axis. Divided by 112b. That is, the concrete protrusions 112a of the crossbeams 112 more easily and quickly adopt a model for bringing the precast subplates 110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or introducing compressive prestresses in the axial direction or the perpendicular direction of the axial plate 150. The concrete connection portion 112b of the crossbeam 112 is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segmental bottom plate 111 mounted on the bridge support beam and the relative position therebetween as it is,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segmental bottom plate 111b in the outermost side end corner area without installing a club in the side edge corner area (cantilever part). Forming and installation of formwork is unnecessary. In addition, the connecting reinforcing rod 113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segmental bottom plate 111 and the segmental bottom plate 111 to each other on the support beam, and to strengthen the strength of the segmental bottom plate 111 and at the connection site It is fixedly coupled with the shear reinforcing studs on the bridge support beams (13, 13 ') can also serve to resist the shear generated between the support beam and the bottom plate in the composite beam.

이와 같이 제작 공장에서 일체로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110)은 그 두께가 바닥판(150)의 두께보다 얇아 가벼우므로, 여러개의 분절 부분바닥판(111)이 상호 연결되어 있더라도 가로보(112) 상에 설치된 인상 고리(88a)에 인상 로프(88)를 연결한 후 인상하여 교량 지지빔(13,13')상에 거치시키는 것이 용이하다.Thus, the precast partial floor plate 110 integrally pre-fabricated in the manufacturing plant is ligh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late 150, so that even if a plurality of segmented partial floor plates 111 are interconnected ( It is easy to connect the pulling rope 88 to the pulling ring 88a provided on the 112 and then to lift and mount it on the bridge supporting beams 13 and 13 '.

상기 밀착용 긴장재(120)는 도2, 도3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110)의 인접측 콘크리트 돌출부(112a')에 형성된 관통공에 내설된 쉬스관(123)을 관통하여 강봉(121)이 설치되어 그 양단 정착구 중 도면부호 122로 표시된 정착구에서 유압잭으로 긴장시키는 것에 의하여, 인접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110)을 상호 밀착시킨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110) 사이의 간극을 통해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밀착용 긴장재(120)가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110) 사이에는 탄성봉(77)이 삽입 설치된다. 여기서, 도7에는 그 단면이 개략적으로 원형인 탄성봉(77)이 개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탄성봉(77)은 그 단면이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110) 사이의 형상인 Y자로 형성되어 보다 용이한 설치를 구현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S. 2, 3, and 8, the close contact tension member 120 includes a sheath tube 123 embedded in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adjacent concrete protrusion 112a ′ of the adjacent precast subplate 110. The steel bar 121 is installed to penetrate through), and the adjacent precast subplate 11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tensioning with a hydraulic jack at the fixing unit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22 among the fixing units at both ends thereof. As shown in FIG. 8, the precast subplate 110 is provided with a close tension member 120 to effectively prevent leakage of concrete poured through gaps between adjacent precast subplates 110. An elastic rod 77 is inserted therebetween. Here, although FIG. 7 illustrates that the elastic rod 77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is schematically disposed, the elastic rod 77 is formed in a Y shape having a cross section between th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s 110. You can also implement an easier installation.

상기 교각을 중심으로 교축방향으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긴장재(130)는 도2, 도3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110)의 콘크리트 돌출부(112a)에 형성된 관통공에 연결되어 설치된 쉬스관(132) 내부에 강봉이나 강연선 등의 긴장재(131)를 설치하여,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110)의 상측에 바닥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된 이후에 타설되지 아니한 도면부호 150'로 표시된 공간의 정착구 측의 단부(133)에 유압잭을 설치하여 긴장재(131)를 도면부호 130a 방향으로 긴장시키는 것에 의하여 타설 양생된 바닥판(150)에 교축방향의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다. The tension member 130 for introducing prestress in the axial direction around the piers is formed in the concrete protrusions 112a of the two or more precast subplates 110 as shown in FIGS. 2, 3, and 7. Tension member 131, such as steel rods or strands, installed inside the sheath pipe 132 connected to the ball, the bottom plate concrete on the upper side of the precast partial floor plate 110 is not poured after being cured Compression prestress in the axial direction is introduced into the pour cured bottom plate 150 by installing a hydraulic jack at the end 133 on the anchorage side of the space indicated by 150 'to tension the tension member 131 in the direction 130a. .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100)의 시공 방법을 상술한다.Hereinafter,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bridg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단계 1 : 교대나 교각(11)의 상부에 베어링(12)을 거치시킨 후, 교량 지지빔(13,13')을 교축방향으로 다수 배열하여 베어링(12) 상에 거치시킨다. Step 1 : After mounting the bearing 12 on top of the alternating or pier 11, a plurality of bridge support beams (13, 13 ') are arranged in the axial direction to be mounted on the bearing (12).

단계 2 : 교량 지지빔(13,13') 상에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110)을 거치하고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110)내의 콘크리트 연결부에 매입된 높이 조절용 볼트(124)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110)을 일정한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킨다. Step 2 : Mounting the precast subplate 110 on the bridge support beams 13 and 13 'and precast subfloor with a height adjustment bolt 124 embedded in the concrete connection in the precast subplate 110. The plate 110 is fixed by adjusting a constant height.

단계 3 : 교량 지지빔(13,13')의 상면에 타설되는 바닥판 콘크리트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교축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누수방지 탄성재(13a)를 설치한다. Step 3 : Install a leak-proof elastic material 13a formed long along the axial direction to prevent leakage of the bottom plate concrete to be pou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support beams (13, 13 ').

단계 4 : 누수방지 탄성재(13a) 위에 제1분절 부분바닥판(111a), 제2분절 부분바닥판(111b), 제3분절 부분바닥판(111c)의 양단이 접촉하도록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110)을 교량 지지빔(13,13')상에 다수 배열 거치시킨다. 그리고, 교축방향으로의 프리캐스트 부분 바닥판(110) 사이의 접촉부에는 탄성봉(77)을 삽입 설치한다. Step 4 : Th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such that both ends of the first segment partial bottom plate 111a, the second segment partial bottom plate 111b, and the third segment partial bottom plate 111c are in contact with the leakage preventing elastic material 13a. A plurality of arrays 110 are mounted on the bridge support beams 13 and 13 '. An elastic rod 77 is inserted into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s 110 in the axial direction.

단계 5 : 인접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110)의 가로보(112)에 관통하도록 밀착용 긴장재(120)를 설치하여, 밀착용 긴장재(120)를 긴장시키는 것에 의하여 인접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110) 사이의 간극을 제거한다. 이 때, 탄성봉(77)의 탄성 변형에 의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누수 가능성을 보다 낮출 수 있게 된다. Step 5 : Install the close tension member 120 to penetrate the cross beam 112 of the adjacent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110, thereby tensioning the close tension part 120 adjacent to th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110. Remove the gap between.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lower the possibility of leakage of concrete poured by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rod (77).

단계 6 :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110)은 다수의 분절 부분바닥판(111a,111b,111c)이 가로보(112)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교량의 최외곽 모서리 영역에까지 지지되므로, 별도의 동바리나 거푸집을 제작 설치 않고도 바닥판 시공이 가능하다. Step 6 : The precast subplate 110 includes a plurality of segmented subplates 111a, 111b, and 111c integrally formed by the cross beams 112 and supported by the outermost edge region of the bridg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floor plate without manufacturing the formwork.

단계 7 : 교각을 중심으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110) 가로보(112)의 콘크리트 돌출부(112a)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2개 이상의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110)이 연결되도록 쉬스관(132)을 배치하고 긴장재를 삽입 설치한다. Step 7 : the sheath tube 132 to connect two or more precast subplates 110 through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concrete protrusion 112a of the crossbeam 112 of the precast subplate 110 based on the piers. ) And install the tension material.

단계 8 : 그리고 나서, 거푸집역할을 하는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110)에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켜 바닥판(150)을 형성한다. 이 때, 도면부호 150'로 표시된 공간은 바닥판(150)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하여 유압잭이 설치되어야 하므로 타설되지 않도록 한다. Step 8 : Then, the bottom plate concrete is cast and cured to form the bottom plate 150 in th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110 serving as the formwork. At this time, the space denoted by 150 'is not placed because the hydraulic jack should be installed in order to introduce the compression prestress to the bottom plate 150.

단계 9 : 쉬스관(132) 내부에 삽입 설치된 강봉이나 강연선과 같은 긴장재(131)를 유압잭으로 그 일단(133)을 잡아당겨 바닥판(150)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후, 바닥판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않은 도면부호 150'로 표시된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다. 그리고 나서, 바닥판(150)의 외곽 측면을 따라 난간(160)을 설치한다. Step 9 : After pulling the one end 133 of the tension member 131, such as a steel rod or a strand wire, inserted into the sheath tube 132 by a hydraulic jack to introduce compression prestress to the bottom plate 150, the bottom plate concrete is poured. Pour concrete into the space marked 150 '. Then, the handrail 160 is installed along the outer side of the bottom plate 150.

이하, 도10 내지 도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상술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 부호로 표시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실시예의 요지를 흩뜨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10 to 17,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in describing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at overlap with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not distrac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will be omitted to avoid.

도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을 이용하여 바닥판을 시공한 교량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11은 도10의 일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도12는 도11의 절단선 E-E에 따른 단면도, 도13은 도12의 'X'부위의 상세도, 도14는 도10의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15는 도11의 절단선 F-F에 따른 단면도, 도16은 도11의 절단선 G-G에 따른 단면도, 도17은 도11의 절단선 H-H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bridge constructed of a bottom plate using a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a portion of FIG. 10, FIG. Fig. 13 is a detailed view of the 'X' portion of Fig. 12,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of Fig. 10, and Fig. 15 is a cut line FF of Fig. 11.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GG of FIG. 11, and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HH of FIG.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은, 최근 강재 교량 지지빔 제작의 경우 강재의 강성이 크고 높이가 높은 소수주형 교량 지지빔이 사용됨에 따라 동일한 하중을 지지하는 교량 지지빔의 수가 적은 교량이 제작됨으로써 사용하중 작용시 지지 빔과 지지빔 사이의 바닥판 하단에 발생할 수 있는 과다한 정 모멘트에 의한 인장응력과 지지빔 상측의 바닥판 상단에 발생하는 과다한 부 모멘트에 의한 인장응력 등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바닥판을 시공하는 단계에서 교축직각방향으로의 긴장재를 설치하고 이를 긴장하여 압축응력을 미리 도입하는 과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발명이라는 점에서 전술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In the bridg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cent years in the manufacture of steel bridge support beams, the bridges having a small number of bridge support beams that support the same loads have been used since the small rigid bridge support beams having high rigidity and high steel are used.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tensile stress due to excessive positive moment that may occur at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between the support beam and the support beam during the working load, and the tensile stress due to excessive minor moment occurring at the top of the bottom plate above the support beam.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it is an invention for effectively solving the problem of installing the tension member in the perpendicular direction of the throttle at the step of constructing the bottom plate and introducing the compressive stress in advance.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10 내지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200)은 교대나 교각(11)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교축방향으로 다수 배열된 교량 지지빔(13,13')과, 교량 지지빔(13,13') 상에 배열되는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10)과, 교량 지지빔(13,13') 상측과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10)과의 일정한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키는 높이 조절용 볼트(224)와, 인접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10)이 상호 밀착하도록 연결 긴장하는 밀착용 긴장재(220)와, 교각을 중심으로 교축방향으로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도록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10)을 교축방향으로 연결하는 프리스트레스 도입용 긴장재(230)와, 교축직각방향으로의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10)의 사잇 공간에 삽입되는 사잇 공간 충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40)을 포함하는 사잇 공간 매움부와,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10)의 상측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된 바닥판(250)과, 완성된 바닥판(25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난간(260)으로 구성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0 to 17, the bridg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ridge supporting beam arranged in the axial direction so that both ends of the bridge or the bridge 11 are supported. (13, 13 '), prefabricated precast subplate 210 arranged on bridge support beams (13, 13'), and precast subplates above bridge support beams (13,13 ') Height-adjusting bolt 224 for adjusting and fixing a fixed height with the 210, and a close tension member 220 for connecting and tensioning so that the adjacent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210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axial direction around the piers The space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prestressing tension member 230 for connecting the precast subplate 210 in the axial direction to introduce the compression prestress to the axial direction, and the precast subplate 210 in the perpendicular direction of the axial axis. Precast Concrete Block for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spaces including the filling portion 240, the bottom plate 250, which is cured by placing concrete on the upper side of th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210, and handrail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mpleted bottom plate 250 260.

상기 교량 지지빔(13,13")은 교대나 교각(11)의 상부에 위치한 베어링(12) 상에 교축방향으로 다수 거치되어 배열되지만, 전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100)과 달리 동일한 교량의 폭(B)에 대하여 3개의 빔(13,13")만 설치된다. The bridge support beams 13 and 13 ″ are arranged in a axial direction on a bearing 12 positioned on an alternating or pier 11. However, unlike the configuration 100 of the first embodiment, the same bridge is provided. Only three beams 13 and 13 "

상기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10)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지지빔(13,13")의 상측에 위치하여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110)내의 콘크리트 연결부에 매입된 일정한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키는 높이 조절용 볼트(224)로 고정시킨 후 교량 지지빔(13,13")과 바닥판(250)을 합성시키기 위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재질의 누수방지 탄성재(13a,13a") 를 교량 지지빔(13,13") 상측과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110)사이에 삽입 설치하며, 양측단이 교량 지지빔(13,13")에 지지되어 거치되고 완성된 바닥판(150)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의 판형상으로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제1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211a), 제2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211b)으로 이루어진 분절 부분바닥판(211)과, 분절 부분바닥판(211)을 교축직각방향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분절 부분바닥판(211)보다 두껍고 완성된 바닥판(250)보다 얇은 두께의 가로보(212)와, 분절 부분바닥판(211) 내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 단부에까지 내장되어 분절 부분바닥판(211)을 보강함과 동시에 교량 지지빔(13,13")으로부터 돌출된 전단보강용 스터드(13b")와 상호 결합되거나 간섭되어 전단키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분절 부분바닥판(211)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 철근(213)과, 제작장에서 가로보(212)의 제작시에 콘크리트 타설 전에 가로보(212)의 길이방향(교축직각방향)으로 긴장된 상태로 설치되고 콘크리트 타설 양생 후에 이 긴장재를 절단하여 가로보(212)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작용시키는 프리텐션 도입용 긴장재(214)와, 지지빔(13) 상측에 위치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10)의 가로보(212)에 필요에 따라 그 단면이 보다 크게 형성된 확대단면 영역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긴장되거나(미도시), 교축직각방향으로 인접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10)과의 사잇 공간에 끼워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40)을 관통하고 가로보(212)의 확대단면 영역(212c)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긴장됨으로써 지지빔(13,13")의 주변에 교축직각방향으로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작용시키는 포스트텐션 도입용 긴장재(215)로 구성된다.The precast subplate 210 is located above the bridge support beams 13 and 13 ″ as shown in FIG. 13 to adjust a predetermined height embedded in the concrete connection part in the precast subplate 110. Leak prevention elastic material (13a) of elastic material in order to prevent the leakage of concrete poured to synthesize the bridge support beams (13, 13 ") and the bottom plate 250 after fixing with a height adjustment bolt 224 to fix 13a ")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bridge support beams 13 and 13" and th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110, and both ends are supported by the bridge support beams 13 and 13 "and mounted and completed. A segmented partial bottom plate 211 comprising a first segmented concrete partial bottom plate 211a and a second segmented concrete partial bottom plate 211b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150, and At the same time as connecting the segmental bottom plate 211 in the orthogonal direction A crossbeam 212 having a thickness thicker than the segmented bottom plate 211 and thinner than the finished bottom plate 250 and a segmented bottom plate 211 are embedd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in the segmented bottom plate 211. Connecting reinforcing bars interconnecting the segmented subplates 211 so as to be combined with or interfere with the shear reinforcing studs 13b "protruding from the bridge supporting beams 13 and 13" and serve as shear keys. 213 and, in the manufacturing workshop, the concrete beam is installed in the tensioned st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thogo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beam 212 before the concrete is placed in the production place, and the concrete beam is cut after the concrete beam is laid and the horizontal beam 212 is cut. Pre-tension introduction tension member 214 for exerting compressive prestress on the cross section, and an enlarged cross-sectional area in which the cross section of the precast subplate 210 located above the support beam 13 has a larger cross section as necessary. Tube An enlarged cross-sectional area of the crossbeam 212 through the precast concrete block 240 inserted into the ball and tensioned (not shown) or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precast subplates 210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orthogonal direction. It is composed of a post-tension introducing tension member 215 which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212c and is tensioned to exert a compression prestress in the axially orthogonal direction around the support beams 13 and 13 ".

여기서, 분절 부분바닥판(211a,211b)은 전술한 제1실시예(100)와 마찬가지로 설치되는 교량(100)의 위치에 따라 그 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가로보(212)도 마찬가지로 분절 부분바닥판(211)의 상면에 돌출되고 교축직각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콘크리트 돌출부(212a)와, 분절 부분바닥판(211)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콘크리트 연결부(212b)로 나뉘어져, 가로보(212)의 콘크리트 돌출부(212a)는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10)을 상호 밀착시키거나 바닥판(250)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교축방향이나 교축직각방향으로 도입하는 공종을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가로보(212)의 콘크리트 연결부(212b)는 교량 지지빔 상에 거치되는 분절 부분바닥판(211)의 형태와 이들 사이의 상대 위치를 그대로 유지시킴에 따라 교량의 측면 끝단 모서리 영역(캔틸레버 부)의 분절 부분바닥판(211b)의 설치가 가능하며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 자체가 거푸집 역할을 하므로 거푸집의 제작 설치가 불필요하다. 다만, 측 방향으로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하여 측면을 한정하는 거푸집이 설치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부분바닥판의 끝단 모서리 면이‘ㄴ’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는 경우에는 측면을 한정하는 거푸집도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연결 철근(213)도 마찬가지로 분절 부분바닥판(211)의 내부와 이들(211)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므로, 분절 부분바닥판(211)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과 연결 부위에서 교량 지지빔(13,13")의 전단보강 스터드(13b")와 결합되거나 간섭되어 전단키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Here, the segmental bottom plates 211a and 211b may have a curved side surfac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bridge 100 to be install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100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cross beam 212 also protrud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gmented bottom plate 211 and concrete integrally connects between the segmented bottom plate 211 and the concrete protrusion 212a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orthogonal direction. The concrete protrusion 212a of the cross beam 212 is divided into the connection portion 212b to closely adhere the precast subplate 210 to each other or to introduce compression prestress to the sole plate 250 in the axial direction or the axial direction of the axial direction. To serve more easily and quickly, the concrete connection portion 212b of the cross beam 212 maintains the shape of the segmental bottom plate 211 mounted on the bridge support beam and the relative position therebetwee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segmental bottom plate 211b of the side edge corner area (cantilever part) of the bridge, and the precast partial plate itself is formed when the concrete slab is poured. It does not need to manufacture and install the formwork. However, formwork defining a side may be installed for concrete placement in the lateral direction. Optionally, when the end edge surface of the partial bottom plate is bent in a 'b' shape, a form defining a side is not necessary. In addition, the connecting rebar 213 is also configured to connect the inside of the segmented bottom plate 211 and these 211, so as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segmented bottom plate 211 and the bridge support beam at the connection site ( 13, 13 ") is coupled to or interfere with the shear reinforcing stud (13b") can also serve as a shear key.

상기 밀착용 긴장재(220)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10)의 인접측 콘크리트 돌출부(212a')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긴장됨으로써 인접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10)를 상호 밀착시킨다.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10) 사이의 간극을 통해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밀착용 긴장재(220)가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10) 사이에는 탄성봉(77)이 삽입 설치된다. The close contact tension member 220 is installed through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adjacent concrete protrusion 212a 'of the adjacent precast subplate 210 as shown in Figure 11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By tension, adjacent precast subplates 210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15, the precast subplate 210 is provided with a close tension member 220 to effectively prevent leakage of concrete poured through gaps between adjacent precast subplates 210. FIG. An elastic rod 77 is inserted therebetween.

상기 프리스트레스 도입용 긴장재(230)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며 동일한 작용 효과를 구현한다.The prestressing tension member 230 is configured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and implements the same effect.

상기 사잇 공간 매움부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40)은 지지빔(13")의 상측에 교축직각방향으로 설치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10)과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10)의 사잇 공간을 채워 두개의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10)을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제작장에서 미리 제작된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40)에는 포스트텐션 도입용 긴장재(215)가 관통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매설된 쉬스관(215b)과 교량 지지빔(13") 상부 플랜지 상면과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10) 측면에 연결 고정된 받침용 형강(216) 위에 설치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40) 하단과의 공간을 채우는 콘크리트 타설용 구멍(240a)이 형성된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40)이 사잇 공간의 재 위치에 안착되기 위하여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10)의 측면에는 단면이 'ㄴ'형 형강(216)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를 콘크리트에 고정시키는 형강 고정용 철근(216a)도 배근된다. 그리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40)과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10) 사이의 틈새는 충진재(241)로 충진하여 두 구조물을 연결 접합 시키고, 사용하중 작용시 지지빔(13,13") 상의 바닥판 상부에 발생하는 부 모멘트에 의한 인장응력을 포스트텐션 도입용 긴장재(215)를 긴장함으로써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이를 상쇄 시킨다. The precast concrete block 240 installed in the interspace portion of the precast subplate 210 and the precast subplate 210 ar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beam 13 ″ in an axially orthogonal direction. The precast concrete block 240 has a pre-tension introduction tension member 215 as shown in Fig. 12, and serves to interconnect the two precast subplates 210 with each other. Precast concrete installed on the supporting steel 216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lange of the sheath pipe 215b and the bridge support beam 13 " Concrete placing hole 240a filling the space with the bottom of the block 240 is formed. In order for the precast concrete block 240 to be seated at the reposition of the internal space, a section of the 'b' shaped steel 216 is integrally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precast subplate 210 and fixed to the concrete. Fixing rebar 216a is also reinforced. In addition, the gap between the precast concrete block 240 and the precast subplate 210 is filled with the filler 241 to connect the two structures to each other, and the bottom of the support beams 13 and 13 " The tensile stress caused by the minor moment gener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plate is tensioned by the tension member 215 for introducing the post-tension to introduce the compression prestress and cancel it out.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교량의 바닥판(250)이 적은 수의 교량 지지빔(13,13")에 의하여 지지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교량 지지빔(13)과 교량 지지빔(13") 사이가 멀어짐에 따라 사용하중 작용 시 두 지지빔(13,13") 중간에서의 바닥판 하부에 작용하는 정 모멘트에 인장응력과 지지빔(13,13") 상에서의 바닥판 상부에 작용하는 부 모멘트에 의한 인장응력을 효과적으로 상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축직각방향의 가로보(212)에 각각 프리텐션 도입용 긴장재(214)가 매설될 뿐만 아니라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축직각방향으로 인접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10)의 사잇 공간에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40)을 사이에 개재시키고 가로보(212)의 확대단면 영역(212c)의 관통공인 쉬스관(215b)에 강연선이나 강봉(215a)을 설치하여 긴장시키는 포스트텐션 도입용 긴장재(215)에 의하여 압축응력을 교축직각방향으로 도입될 수 있게 된다. That i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ottom plate 250 of the bridge is supported by a small number of bridge support beams 13 and 13 ", the bridge support beam 13 and the bridge support beam ( 13 "), the tension is applied to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on the support beams (13, 13") and the static moment acts on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in the middle of the two support beams (13, 13 "). As a configuration for effectively canceling the tensile stress due to the acting minor moment, as shown in Fig. 16, the tension members 214 for introducing the pretension are not only embedded in the cross beams 212 in the perpendicular direction of the axial axis, but also shown in Fig. 17. As described above, the sheath which is a through-hole of the enlarged cross-sectional area 212c of the crossbeam 212 is interposed between the precast concrete blocks 240 made in advance in the space between the precast subplates 210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axially perpendicular direction. A stranded wire or steel bar 215a is installed in the pipe 215b. The compressive stress can be introduc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axis by the post tension introduction tension member 215 to tension.

이 때, 교축직각방향으로의 교량 지지빔(13)과 지지빔(13") 사이의 바닥판 하단에 발생할 수 있는 과다한 정 모멘트에 의한 인장응력을 효과적으로 상쇄시키기 위하여 프리텐션 도입용 긴장재(214)가 바닥판(250)의 중심(Yo)의 하측에 설치되어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고, 지지빔(13,13") 상측의 바닥판 상단에 발생하는 과다한 부 모멘트에 의한 인장응력 등을 효과적으로 상쇄시키기 위하여, 포스트텐션 도입용 긴장재(215)가 바닥판(250)의 중심(Yo)의 상측에 설치되어 교축직각 방향으로의 포스트텐션이 도입된다.At this time, the tension member 214 for pretension introduction in order to effectively offset the tensile stress due to excessive static moment that may occur at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between the bridge support beam 13 and the support beam 13 "in the perpendicular direction of the bridge. Is installed under the center Yo of the bottom plate 250 to introduce compression prestress, and effectively cancels tensile stress due to excessive minor moments generated at the top of the bottom plate above the support beams 13 and 13 ″. For this purpose, the post tension introduction tension member 215 is provided above the center Yo of the bottom plate 250 so that the post tension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axis is introduced.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200)의 시공 방법을 상술한다.Hereinafter,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bridg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단계 1 : 교대나 교각(11)의 상부에 베어링(12)을 거치시킨 후, 교량 지지빔(13,13")을 교축방향으로 다수 배열하여 베어링(12) 상에 거치시킨다. Step 1 : After mounting the bearing 12 on top of the alternating or pier 11, a plurality of bridge support beams (13, 13 ") are arranged in the axial direction to be mounted on the bearing (12).

단계 2 : 교량 지지빔(13,13") 상에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10)을 거치하고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10)내의 콘크리트 연결부(가로보)에 매입된 높이 조절용 볼트(224)로 일정한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킨다. Step 2 : Mount the precast subplate 210 on the bridge support beams 13,13 "and fix it with a height adjustment bolt 224 embedded in a concrete connection (grobo) in the precast subplate 210. Adjust the height to fix it.

단계 3 : 교량 지지빔(13,13")의 상면에 타설되는 바닥판 콘크리트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교축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누수방지 탄성재(13a")를 설치한다. Step 3 : Install a leakage preventing elastic material 13a "formed long along the axial direction to prevent leakage of the bottom plate concrete which is pour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bridge supporting beams 13, 13".

단계 4 : 누수방지 탄성재(13a") 위에 제1분절 부분바닥판(211a), 제2분절 부분바닥판(211b)의 양단이 접촉하도록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10)을 교량 지지빔(13,13")상에 다수 배열 거치시킨다. 그리고, 교축방향으로 프리캐스트 부분 바닥판(210) 사이의 접촉부에는 탄성봉(77)을 삽입 설치한다. 이때,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10)은 제작장에서 가로보(212)를 따라 미리 압축응력이 프리텐션 도입용 긴장재(214)에 의해 도입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 부재는 큰 강성을 갖게 된다. Step 4 : Th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210 is placed on the bridge supporting beam 13 so that both ends of the first segment bottom plate 211a and the second segment bottom plate 211b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13 ") on multiple arrays. Then, the elastic rod 77 is inserted into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precast portion bottom plate 210 in the axial direction. At this time, since th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210 is introduced by the tension member 214 for pretension introduction in advance along the cross beam 212 in the manufacturing site, the concrete member has a great rigidity.

단계 5 : 인접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10)의 가로보(212)에 직각으로 관통하도록 밀착용 긴장재(220)를 설치하여, 밀착용 긴장재(220)를 긴장시키는 것에 의하여 교축방향으로 인접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10) 사이의 간극을 제거한다. 이 때, 탄성봉(77)의 탄성 변형에 의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누수 가능성을 보다 낮출 수 있게 된다. Step 5 : installing a close tension member 220 to penetrate at right angles to the cross beams 212 of the adjacent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210, thereby pretending the adjacent precast portion in the axial direction by tensioning the close tension member 220. The gap between the bottom plate 210 is removed.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lower the possibility of leakage of concrete poured by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rod (77).

단계 6 :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10)은 다수의 분절 부분바닥판(211a,211b)이 가로보(212)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교량의 최외곽 모서리 영역에까지 지지되므로, 별도의 동바리나 거푸집을 제작 설치 않고도 바닥판 시공이 가능하다. Step 6 : The precast subplate 210 is formed by a plurality of segmented subplates 211a and 211b integrally by the cross beams 212 and supported up to the outermost corner region of the bridge, so that a separate copper plate or formwork is formed.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bottom plate without fabrication and installation.

단계 7 : 교축직각방향으로 배열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10)의 사잇 공간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40)을 삽입시키고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10)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40) 사이의 틈새는 충진재(241)로 충진하여 두 구조물을 연결 접합 시키고, 가로보(212)의 확대단면 영역(212c)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40)의 교축직각방향의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쉬스관(215b)을 설치하고, 그 내부에 강연선이나 강봉(215a)을 설치한 후 긴장시키는 포스트텐션 도입용 긴장재(215)에 의하여 교축직각방향으로의 압축응력을 도입한다. Step 7 : Inserting the precast concrete block 240 into the space between the precast subplates 210 arranged in the axially perpendicular direction, and the gap between the precast subplates 210 and the precast concrete block 240. The sheath pipe 215b is filled with the filler 241 to connect and connect the two structures, and penetrate through the enlarged cross-sectional area 212c of the cross beam 212 and the through-hol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precast concrete block 240. The compression stress in the perpendicular direction of the axial axis is introduced by the tension member 215 for tensioning the post-tension, which is provided and the tension wire or the steel bar 215a is provided therein.

단계 8 : 교각을 중심으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10) 가로보(212)의 콘크리트 돌출부(212a)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2개 이상의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10)이 연결되도록 쉬스관(232)을 배치하고 긴장재를 삽입 설치한다. Step 8 : the sheath tube 232 to connect two or more precast subplates 210 through the through-holes formed in the concrete protrusion 212a of the crossbeam 212 of the precast subplates 210 and the pier. ) And install the tension material.

단계 9 : 그리고 나서, 거푸집 역할을 하는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210) 상측에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바닥판(250)을 형성한다. 이 때, 도면부호 250'으로 표시된 공간은 바닥판(250)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하여 유압잭이 설치되어야 하므로 타설되지 않도록 한다. Step 9 : Then, the bottom plate concrete is formed by pouring the bottom plate concrete on the upper side of th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210 serving as the formwork. At this time, the space denoted by 250 'is not placed because the hydraulic jack should be installed in order to introduce the compression prestress to the bottom plate 250.

단계 10 : 쉬스관(232) 내부에 삽입 설치된 강봉이나 강연선과 같은 긴장재(231)를 유압잭으로 그 일단(233)을 잡아당겨 바닥판(250)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후, 바닥판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않은 도면부호 250'로 표시된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다. 그리고 나서, 바닥판(250)의 외곽 측면을 따라 난간(260)을 설치한다. Step 10 : After pulling the end 233 of the tension member 231 such as a steel rod or a stranded wire inserted into the sheath tube 232 with a hydraulic jack to introduce compression prestress to the bottom plate 250, the bottom plate concrete is poured. Pour concrete into the space marked 250 '. Then, the handrail 260 is installed along the outer side of the bottom plate 25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도1은 종래의 교량의 바닥판 시공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ottom plate of a conventional bridge

도2 내지 도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에 관한 것으로,2 to 9 relate to a brid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을 이용하여 바닥판을 시공한 교량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ridge in which a bottom plate is constructed using a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3은 도2의 일부분을 도시한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a portion of FIG. 2;

도4는 도2의 절단선 A-A에 따른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cutting line A-A of FIG.

도5는 도4의 'T'부위의 상세도5 is a detailed view of the portion 'T' of FIG.

도6는 도2의 절단선 B-B에 따른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도7은 도2의 절단선 C-C에 따른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도8은 도3의 절단선 D-D에 따른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D-D of FIG.

도9은 도2의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of FIG.

도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을 이용하여 바닥판을 시공한 교량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ridge constructed of a bottom plate using a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1은 도10의 일부분을 도시한 평면도Figure 11 is a plan view of a portion of Figure 10;

도12은 도11의 절단선 E-E에 따른 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E-E of FIG.

도13는 도12의 'X'부위의 상세도FIG. 13 is a detailed view of an 'X' portion of FIG. 12

도14는 도11의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of FIG.

도15는 도11의 절단선 F-F에 따른 단면도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F of FIG.

도16은 도11의 절단선 G-G에 따른 단면도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G-G of FIG.

도17은 도11의 절단선 H-H에 따른 단면도1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H-H in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1: 교각, 교대 12: 베어링11: pier, shift 12: bearing

13,13'13": 교량 지지빔 13a,13a": 누수방지 탄성재13,13'13 ": Bridge support beam 13a, 13a": Leak-proof elastic material

13b,13b": 전단보강용 스터드 88: 인상 로프 13b, 13b ": Shear reinforcement stud 88: Raise rope

100: 교량 110,210: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100: bridge 110,210: precast subplate

110c: 사이공간 111,211: 분절 부분바닥판110c: interspace 111,211: segmental bottom plate

111a,211a: 제1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 111a, 211a: first segment concrete subfloor

111b,211b: 제2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 111b, 211b: Second segment concrete subfloor

111c: 제3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 111c: third segment concrete subfloor

112a: 콘크리트 돌출부 77: 탄성봉112a: concrete protrusion 77: elastic rod

112b: 콘크리트 연결부 112,212: 가로보 112b: concrete connection 112,212: crossbeam

113,213: 연결 철근 120,220: 밀착용 긴장재113,213: Reinforcing bar 120,220: Tension for close contact

121,221: 강봉 122,222: 정착구121,221: Steel rod 122,222: anchorage

123,223: 쉬스관 124,224: 높이조절용 볼트 123,223: sheath pipe 124,224: height adjustment bolt

125: 높이조절용 너트 130,230: 프리스트레스 도입용 긴장재 125: height adjustment nut 130,230: tension material for pre-stress introduction

131: 강봉 132: 쉬스관 131: steel rod 132: sheath tube

150,250: 바닥판 160, 260: 난간
212c: 확대 단면 영역
150,250: Sole 160, 260: Handrail
212c: enlarged cross-sectional area

삭제delete

214: 프리텐션 도입용 긴장재 215: 포스트텐션 도입용 긴장재 214: tension member for pretension introduction 215: tension member for posttension introduction

215a: 강봉 215b: 쉬스관 215a: steel rod 215b: sheath tube

215c: 정착구 216: 받침용 형강 215c: anchorage 216: support steel

216a: 형강 고정용 철근 240: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240a: 콘크리트 타설용 구멍 241: 충진재216a: reinforcing steel 240: precast concrete block 240a: hole for concrete placement 241: filler

Claims (10)

교각, 교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교축방향으로 배열되어 거치된 제1교량 지지빔과 제2교량 지지빔을 포함하는 다수의 교량 지지빔과, 상기 교량 지지빔의 상측에 형성되는 교량의 바닥판 제작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으로서, Fabrication of a plurality of bridge support beams including a first bridge support beam and a second bridge support beam, which are arranged and mounted in at least one of the bridge and the bridge, and a bottom plate of the bridge formed on the bridge support beam. Precast concrete floorboard used for 상기 제1교량 지지빔과 상기 제2교량 지지빔의 상측에 양측단이 지지되어 거치되도록 상기 바닥판보다 작은 두께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 제1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과;A first segmented concrete subfloor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bottom plate such that both side ends are supported and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ridge support beam and the second bridge support beam; 상기 제1교량 지지빔의 상측에 일단이 지지되어 거치되고 상기 제1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의 교축직각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보다 작은 두께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 제2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과;A second segmented concrete subfloor which is supported and mounted on an upper side of the first bridge supporting beam and is spaced apart in the axially perpendicular direction of the first segmented concrete partial deck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bottom plate. and; 상기 제1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과 상기 제2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을 보강하고, 상기 제1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과 상기 제2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 사이의 상기 제1교량 지지빔의 상측 사잇 공간을 가로질러 형성되어 상기 교량 지지빔과 일체화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 철근과;Reinforcing the first segment concrete subplate and the second segment concrete subplate, and an upper interspace of the first bridge support beam between the first segment concrete subplate and the second segment concrete subplate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formed across the bridge to be integrated with the bridge supporting beam; 상기 제1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과 상기 제2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을 연결하는 콘크리트 연결부를;A concrete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segmented concrete subplate and the second segmented concrete subplate;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제작용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Precast subplate for bridge produ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 상기 제2분절 콘크리트 부분바닥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상기 바닥판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되고, 교축방향 및 교축직각방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콘크리트 돌출부를;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egmented concrete subplate and the second segmented concrete partial plate, and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late, in any one or more of the axial direction and the perpendicular A concrete protrusion formed with a through hole;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제작용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A precast subplate for bridge fabrication, further comprising. 교각, 교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교축방향으로 배열되어 거치된 제1교량 지지빔과 제2교량 지지빔을 포함하는 다수의 교량 지지빔과; A plurality of bridge support beams including a first bridge support beam and a second bridge support beam arranged and mounted in one or more of the bridges and the bridges in an axial direction; 상기 다수의 교량 지지빔 상에 배열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다수의 상기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과;A plurality of said precast subplates according to claim 1 or 2 arranged on said plurality of bridge support beams; 상기 다수의 분절 부분바닥판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부분바닥판과 함께 일체로 원하는 높이로 형성되는 바닥판과;A bottom plate which is formed at a desired height integrally with the partial bottom plate by pouring concrete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segmental bottom plates; 상기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과 상기 교량 지지빔과 접촉하는 면에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누수를 방지하는 누수방지 탄성재를; Leak-proof elastic material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concrete to be placed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and the bridge support beam;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Bridg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과 상기 교량 지지빔과의 일정한 높이를 유지시키기도록 상기 콘크리트 연결부에 매입된 높이조절용 볼트를;A height adjustment bolt embedded in the concrete connection portion to maintain a constant height between th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and the bridge support beam;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The bridge further comprises.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 상에 바닥판을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가 현장 타설되기 이전에, 교축방향으로 상호 인접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을 서로 밀착시키도록 상기 콘크리트 돌출부 사이에 개재되어 긴장 가능하게 배열된 밀착용 긴장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Before the concrete for forming the floorboard on the precast floorboard is site-cast, the tightly interposed tension-tightly interposed between the concrete protrusions to closely contact the precast floorboard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The bridge further comprises a dragon tension material.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교각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의 상기 콘크리트 돌출부를 교축방향으로 연결하는 쉬스관이 현장 타설되는 상기 바닥판 내에 매설되고, 상기 바닥판을 타설하여 양생한 이후에 교축방향으로의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도록 상기 쉬스관 내부에 설치된 프리스트레스 도입용 긴장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A sheath tube connecting the concrete protrusions of the different precast subplates in the axial direction around the pier is embedded in the bottom plate which is cast in the field, and after the bottom plate is cured, the compression prestress in the axial direction is applied. The bridge further comprises a prestressing tension material installed inside the sheath tube to introduce.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콘크리트 돌출부는 상기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의 일측 단면으로부터 타측 단면까지 연장되는 가로보로 형성되고; The concrete protrusion is formed as a cross beam extending from one end surface to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상기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의 교축직각방향으로 프리텐션이 도입되도록 상기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을 교축직각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콘크리트 돌출부 내부에 미리 긴장된 상태로 매입된 프리텐션 도입용 긴장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Further comprising a pre-tension introduction tension material penetrated in the axi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ecast sub-plate in the axi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ecast sub-plate to be embedded in a pre-tensioned state inside the concrete protrusion. Featured bridge.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교량 지지빔의 상측에 위치한 프리캐스트 부분 바닥판의 상기 가로보 주변에는 교축직각방향으로의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상기 바닥판의 중심보다 상측에 포스트텐션 도입용 긴장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And around the cross beam of th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positioned above the bridge supporting beam, a tension member for post-tension introduction is installed above the center of the bottom plate such that prestres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ridge is introduced.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은 상기 교량의 교축직각방향으로 2개 이상 상기 다수의 교량 지지빔 상에 거치되어 배열되고; Th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s are arranged on the at least two bridge supporting beam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ridges of the bridges; 상기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의 교축직각방향으로의 사잇 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콘크리트 돌출부는 그 단면이 보다 커지고 교축직각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확대단면 영역을 구비하며; The concrete protrusion facing the site space in the axially orthogonal direction of the precast subplate has an enlarged cross-sectional area having a larger cross section and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orthogonal direction; 상기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의 사잇 공간에 채워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관통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의 확대단면 영역에 교축직각방향으로의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상기 바닥판의 중심보다 상측에 설치된 포스트텐션 도입용 긴장재를 추가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Post-tension installed above the center of the bottom plate such that prestres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is introduced into the enlarged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ecast part bottom plate through the precast concrete block filled in the space of the precast part bottom plate.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tension material for introduction. 교각, 교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교축 방향으로 제1교량 지지빔과 제2교량 지지빔을 포함하는 다수의 교량 지지빔을 거치시키는 단계와; Mounting a plurality of bridge support beams including a first bridge support beam and a second bridge support beam in at least one of the bridge and the bridge;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을 상기 다수의 교량 지지빔 상에 다수 배열하여 거치시키는 단계와;Placing a plurality of precast partial bottom plates according to claim 1 or 2 on the plurality of bridge supporting beams; 상기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의 콘크리트 연결부(가로보)에 매입된 높이조절용 볼트로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과 지지빔 사이의 일정한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키는 단계와; Adjusting and fixing a predetermined height between th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and the support beam with a height adjusting bolt embedded in the concrete connection portion (crossbeam) of th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상기 교량 지지빔 상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누수를 방지하는 누수방지 탄성재를 설치하는 단계와;Installing a leakage preventing elastic material to prevent leakage of concrete poured on the bridge support beam; 상기 다수의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의 상기 콘크리트 돌출부의 관통공에 밀착용 긴장재를 연결 설치하여 인접한 상기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을 밀착시키는 단 계와;Connecting a tension member for close contact with the through-holes of the concrete protrusions of the plurality of precast partial bottom plates to closely contact the adjacent precast partial bottom plates; 상기 교각을 중심으로 콘크리트 돌출부의 상기 교축방향으로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쉬스관을 설치하고 프리스트레스 도입용 긴장재를 삽입 설치하는 단계와;Installing a sheath tube and inserting a prestressing tension member to penetrate a through hol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oncrete protrusion around the pier; 상기 프리캐스트 부분바닥판 상측에 긴장용 잭 설치 공간을 제외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바닥판을 형성하는 단계와;Forming a bottom plate by curing the concrete except for a jack installation space for tension on the precast partial bottom plate; 상기 쉬스관 내에 삽입 설치된 프리스트레스 도입용 긴장재를 긴장시키는 것에 의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단계와;Introducing prestress by tensioning a prestressing tension member inserted into the sheath tube; 상기 긴장용 잭 공간을 콘크리트 타설하여 최종 바닥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바닥판 시공 방법.Concrete slab the jack space for tensioning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 final floor plate bridge construction method.
KR1020070116991A 2007-11-16 2007-11-16 Bridge having deck slab concrete structure on plural beams, constructing method thereof and precast partial-depth deck slab concrete structure used in constructing same KR1009526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991A KR100952623B1 (en) 2007-11-16 2007-11-16 Bridge having deck slab concrete structure on plural beams, constructing method thereof and precast partial-depth deck slab concrete structure used in construct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991A KR100952623B1 (en) 2007-11-16 2007-11-16 Bridge having deck slab concrete structure on plural beams, constructing method thereof and precast partial-depth deck slab concrete structure used in construct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508A KR20090050508A (en) 2009-05-20
KR100952623B1 true KR100952623B1 (en) 2010-04-15

Family

ID=40858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6991A KR100952623B1 (en) 2007-11-16 2007-11-16 Bridge having deck slab concrete structure on plural beams, constructing method thereof and precast partial-depth deck slab concrete structure used in constructing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62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077B1 (en) * 2016-10-20 2017-05-15 (주)삼우아이엠씨 Bridge deck using precast concrete panel
KR102452624B1 (en) 2021-07-26 2022-10-11 브릿지스탠다드 주식회사 Prestressed concrete girder with prestress introduced by h-beam and steel plat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557B1 (en) * 2009-05-29 2009-12-03 태우디엔씨 주식회사 Beam constructing structure for charge type steel box and i-beam girder of bridge
JP2018172893A (en) * 2017-03-31 2018-11-08 新日鉄住金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Precast floor slab system and bridge structure
JP6543652B2 (en) * 2017-03-31 2019-07-10 日鉄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Precast floor system and bridge structure
CN110184911A (en) * 2019-05-22 2019-08-30 中建路桥集团有限公司 Segmented precast spliced T girder construction
CN115427634A (en) * 2020-04-08 2022-12-02 科雷格有限责任公司 Method for producing a road deck for a brid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2530A (en) * 1993-10-07 1995-04-18 Mitsubishi Heavy Ind Ltd Connecting device for precast slab
KR20060028828A (en) * 2004-09-30 2006-04-04 주식회사 신흥콘크리트 Precast concrete girder having integrated slab
KR100693872B1 (en) 2005-10-17 2007-03-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teel and concrete composite deck with a blocked out
KR100735735B1 (en) 2006-06-27 2007-07-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Connection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composite frp deck units and precast concrete composite frp deck having such connection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2530A (en) * 1993-10-07 1995-04-18 Mitsubishi Heavy Ind Ltd Connecting device for precast slab
KR20060028828A (en) * 2004-09-30 2006-04-04 주식회사 신흥콘크리트 Precast concrete girder having integrated slab
KR100693872B1 (en) 2005-10-17 2007-03-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teel and concrete composite deck with a blocked out
KR100735735B1 (en) 2006-06-27 2007-07-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Connection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composite frp deck units and precast concrete composite frp deck having such connection stru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077B1 (en) * 2016-10-20 2017-05-15 (주)삼우아이엠씨 Bridge deck using precast concrete panel
KR102452624B1 (en) 2021-07-26 2022-10-11 브릿지스탠다드 주식회사 Prestressed concrete girder with prestress introduced by h-beam and steel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508A (en) 200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623B1 (en) Bridge having deck slab concrete structure on plural beams, constructing method thereof and precast partial-depth deck slab concrete structure used in constructing same
KR100665876B1 (en) The prestressed opening trapezoid waveform still girder construction method of having installed concrete caisson in the upper flange
KR100703134B1 (en) Prefabricated prestressed concrete beam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0991869B1 (en) Single and continuous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KR20010045640A (en) Precast Reinforced Concrete Slab, Composite Continuous Bridge Having Such Slab,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653803B1 (en) Small river prefabricated bridge
KR100720996B1 (en)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cast slab
KR100823448B1 (en) The improved seismic resistant continuation structure of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beam bridge and method thereof
KR100704055B1 (en) continuous steel bridge having precast concrete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165572B1 (en) Middle span plate girder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60115602A (en) Method of replacing bridge deck slab and prestressed concrete girder assembly used therein
KR100984249B1 (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strength connector detail and composite curing pannel
KR100785634B1 (en) Continuation structure of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beam bridge and method thereof
KR101067717B1 (en) Process for producing prestressed concrete girder and concrete girder structure
KR100583671B1 (en) Prestressed concrete beam manufactured by installing steel anchorage devices to various positions and reinforcing member to the upper and lower flanges, and construction method of bridge using the concrete beam
KR100989153B1 (en) Psc girder connection structure with strength connector detail for substitution of rebar placement in deck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892962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Pretensioned Girder, and Constructing Method of Bridge using such Pretensioned Girders
KR20130090709A (en) Construction method for corrugated steel plate web-psc composite beam
KR100984247B1 (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strength connector detail joined with rebar of upper flange concrete
KR101751724B1 (en) Concrete structure constructed integral abutment bridge having shallow height psc i girder due to moment redistribution through control of member stiffness
KR100393132B1 (en)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e steel-box bridge using prestress
KR100724739B1 (en) Construction method of PSC Girder bridge using Retensionable and Detensionable anchorage with unbonded tendon
KR102203149B1 (en) Precast Prestressed Concrete Slab Using Unbonded Strand Area And Cutting Pocket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899735B1 (en) Method and structure of constructing concrete girder bridge
KR100899713B1 (en) Bridge structure of steel composite girder using precast arch-deck,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