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1281B1 - 시래기 대체용 채소의 가공방법 및 가공된 채소 - Google Patents
시래기 대체용 채소의 가공방법 및 가공된 채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51281B1 KR100951281B1 KR1020090098974A KR20090098974A KR100951281B1 KR 100951281 B1 KR100951281 B1 KR 100951281B1 KR 1020090098974 A KR1020090098974 A KR 1020090098974A KR 20090098974 A KR20090098974 A KR 20090098974A KR 100951281 B1 KR100951281 B1 KR 1009512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getables
- parts
- weight
- minutes
- siraegi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40000007742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40000002840 Allium cep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02732 oignon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2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5000005042 Zier Koh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44000223760 Cinnamomum zeylanic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04310 Cinnamomum zeylanic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17803 cinnamo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QTBSBXVTEAMEQO-UHFFFAOYSA-N 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1000512259 Ascophyllum nodos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14860 sensory perception of tast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35917 tast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5000013547 stew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10149 Brassica rapa subsp chinensi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005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410004994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abstract 3
- 241000015177 Saccharina japonica Species 0.000 abstract 2
- 235000011293 Brassica napus Nutrition 0.000 abstract 1
- 240000008100 Brassica rapa Species 0.000 abstract 1
- 235000000540 Brassica rapa subsp rapa Nutrition 0.000 abstract 1
- 240000007736 Zanthoxylum simulans Species 0.000 abstract 1
- 235000009932 Zanthoxylum simulans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9000008989 cinnamomi cortex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331 s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9569 green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935 nutritio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CDOSHBSSFJOMGT-JTQLQIEISA-N (R)-linalool Natural products CC(C)=CCC[C@@](C)(O)C=C CDOSHBSSFJOMGT-JTQLQIEISA-N 0.000 description 2
- BVKZGUZCCUSVTD-UHFFFAOYSA-N Carbonic acid Chemical compound OC(O)=O BVKZGUZCCUSV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JPRLNWUNMBNBZ-QPJJXVBHSA-N Cinnamaldehyde Chemical compound O=C\C=C\C1=CC=CC=C1 KJPRLNWUNMBNBZ-QPJJXVBHSA-N 0.000 description 2
- RRAFCDWBNXTKKO-UHFFFAOYSA-N Eugenol Chemical compound COC1=CC(CC=C)=CC=C1O RRAFCDWBNXTKK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6116 Mirabilis expans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429 Mirabilis expan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0245 Raphanus raphanistrum subsp raphanist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380 Raphanus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1016 Solanum tuber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595 Solanum tubero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384 green leafy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190 leftov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536 miso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3 sensor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599 spi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CRPUJAZIXJMDBK-DTWKUNHWSA-N (+)-camphene Chemical compound C1C[C@@H]2C(=C)C(C)(C)[C@H]1C2 CRPUJAZIXJMDBK-DTWKUNHW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490 (3R)-3,7-dimethylocta-1,6-dien-3-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EEGYLXZBRQIMU-UHFFFAOYSA-N 1,8-cineole Chemical compound C1CC2CCC1(C)OC2(C)C WEEGYLXZBRQIM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454694 Clupe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037488 Coccoloba pubesc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70 Eugen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217 Eugen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3546 Pallo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9983 VITAMINS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1016 Vitamin IV solution additives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98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13 anchov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6739 camphe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233 cineol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7050 cineol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117916 cinnamic aldehy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49 insecticid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7744 linalo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442 polyphenol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24 polyphen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87 side d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505 terp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586 terpen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61 vacuum pack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31 vitamin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1 volati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42 wellbe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3—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sisting of whole pieces or fragments without mashing the original piec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7/0215—Post-treatment of dried fruits or vegetabl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88—Taste or flavour enhancing agents
Abstract
본 발명은 배추 및 열무, 무청 등을 포함하는 채소를 가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들 채소를 시래기를 대체하여 각종 찌개나 탕 종류에 사용할 수 있도록 가공하는 방법 및 이렇게 가공된 채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무청, 열무 또는 배추를 일찍 수확한 미성숙 채소를 데친 후 계피; 녹차잎; 산초가루를 포함하는 가미가향액에 충분히 침지시키고 탈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시래기 대체용 채소의 가공방법 및 이렇게 가공된 채소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가공된 채소는 탕류와 찌개류에 종래의 시래기를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종래의 시래기나 일반 배추, 열무 등에 비해 훨씬 부드럽고 맛과 영양 또한 우수하다.
채소 가공, 열무, 무청, 배추, 찌개, 시래기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추 및 열무, 무청 등을 포함하는 채소를 가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들 채소를 시래기를 대체하여 각종 찌개나 탕 종류에 사용할 수 있도록 가공하는 방법 및 이렇게 가공된 채소에 관한 것이다.
시래기는 푸른 무청을 새끼 등으로 엮어서 겨우내 말린 것을 말하는데, 주로 김치를 만들고 남은 무청을 말리며, 과거 식량이 부족하던 시절에는 구황식품으로 사용되었다. 무청 외에도 남은 배추잎이나 열무잎 등도 말려서 시래기와 함께 이용해 오고 있는데, 이러한 말린 채소는 오늘날에도 각종 반찬으로 만들어 먹거나 다양한 찌개, 탕 종류에 넣어 먹으며, 특히 시래기는 독특한 풍미로 된장국, 추어탕, 메기탕, 동자개탕, 감자탕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식량이 부족하던 과거와 달리 오늘날에는 식생활에서도 영양, 맛, 웰빙 등이 중요시 되고 있어,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따라 흔히 사용하는 식자재에도 변화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종래 찌개, 탕 종류에 많이 사용되던, 시래기, 열무잎, 배추 등의 채소를 대체할 수 있는 맛 좋고 영양 면에서 우수한 채소 가공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시래기 등의 종래 채소에 비해 보다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채소 가공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찌개나 탕류에 들어가는 채소는 연할수록 맛이 좋고 부드러워 식감이 좋다는 점에 착안하여 일반적인 수확시기 보다 일찍 채소를 수확하여 이용하되, 이로 인한 풋내 등의 문제점을 제거하여 맛 좋고 영양 면에서도 우수하며, 이용 또한 간편한 시래기 대체용 채소 가공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더 잘 알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a) 무청, 열무, 배추 중에서 선택된 채소를 60~80% 정도 자란 미성숙 상태에서 일찍 수확하는 단계;
(b) 상기 수확된 미성숙 채소를 세척후 데치는 단계;
(c) 계피 100 중량부를 20,000 중량부의 물에 넣고 10~40분간 끓인 후 여기에 녹차잎 50~80 중량부 및 산초가루 5~10 중량부를 넣고 30~80분간 우려낸 후 건더기를 걸러내어 가미가향액을 만드는 단계;
(d) (c)에서 만든 가미가향액을 60~100℃로 유지시키면서 (b)에서 데친 채소를 30~180분간 침지시키는 단계; 및
(e) (d)에서 얻은 가미가향된 채소를 수분함량 30% 이하가 되도록 탈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래기 대체용 채소의 가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시래기”는 말린 무청은 물론 종래에 찌개나 탕 종류에 넣던 무청, 열무잎 및 배추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말리거나 말리지 않은 것을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채소”는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무청, 열무잎 및 배추를 포함하는 의미이며, 가공되거나 가공되지 않은 것을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배추”는 특히 한정하지 않는 한 엇갈이 배추, 얼갈이 배추, 솎음배추, 포기배추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에서는 찌개나 탕류에 들어가는 채소는 연할수록 맛이 좋고 부드러워 식감이 좋다는 점에 착안하여 일반적인 수확시기 보다 일찍 채소를 수확하여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60~80% 정도 자란 상태에서 채소를 수확한다. 예를 들어, 노지재배 열무의 경우 봄, 가을에는 파종 후 35~40일 이내에 수확하여 일반적인 수확시기 보다 10일 정도 빠르게 한다. 노지재배 엇갈이 배추의 경우는 봄, 가을에는 파종 후 50~55일 이내에 수확한다. 하우스재배 시에는 노지재배에 비해 10~15일 정도 일찍 수확한다. 60% 보다 덜 자란 상태에서 수확할 경우에는 풋내가 강하고 맛 이 덜 들어 맛이 많이 떨어진다. 반면 80% 보다 더 자라게 되면, 일반적인 시기에 수확된 것과 부드러운 정도의 차이가 크지 않다. 60~80% 정도 자란 상태에서 수확된 채소는 다 자란 채소에 비해 부드럽고 맛이 좋으며, 영양도 더 우수하다.
세척 및 데치는 과정은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할 수 있다. 세척은 대량일 때는 대용량 엽채류 세척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채소의 색상을 선명한 녹색으로 유지시키고 부드럽게 하기 위해 데칠 때 소금 및/또는 소다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 20ℓ에 대해 천일염 100~120g 정도를 넣고 데치며, 소다를 사용할 경우 물 20ℓ에 대해 10g 정도를 사용한다.
일찍 수확한 채소는 맛과 영양 면에서는 좋으나 풋내 내지는 특유의 비릿한 냄새가 있어 이를 제거해야만 상품적인 가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풋내와 비릿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계피, 녹차잎, 및 산초가루를 이용한 가미가향액을 만들어, 여기에 데친 채소를 충분히 담가놓아 맛과 향이 스며들도록 한다.
가미가향액은 계피 100 중량부를 20,000 중량부의 물에 넣고 10~40분간 끓인 후 여기에 녹차잎 50~80 중량부 및 산초가루 5~10 중량부를 가하고 30~80분간 우려낸 후 건더기를 걸러내어 만든다. 계피의 주성분은 정유(essential oil)로 Cinnamic aldehyde, Camphene, Cineol, Linalool, Eugenol 등이며, 독특한 계피향을 가지고 있다. 산초는 초피나무 및 그 밖의 동속식물의 잘 익은 과피(果皮)로, cintronellol의 향을 풍기며, 맵고 강렬한 맛을 지니고 있고, 살충작용이 있다. 녹 차에는 각종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고 테르펜, 알코올, 에스테르 등의 향을 내는 성분과 폴리페놀 등의 기능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계피, 녹차, 산초가루는 모두 향이 강해 이들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게 되면 특유의 향으로 채소 고유의 풍미를 떨어뜨릴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들을 소량으로 함께 사용함으로써 각각이 지닌 특유의 향이 서로 완화되도록 하는 동시에 이들 향에 의해 일찍 수확된 어린 채소가 지닌 풋내 및 비릿한 냄새가 거의 완벽하게 제거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따로 육수를 만들어, 육수와 상기 가미가향액을 혼합한 육수혼합 가미가향액을 만든다. 육수는 끓는 물 20,000 중량부에 양파 800~1,200 중량부를 넣고 20~60분 동안 끓인 후 여기에 다시마 100 중량부를 넣고 20~60분간 우려낸 다음 양파와 다시마를 건져내어 만든다. 육수와 상기 가미가향액은 바람직하게는 1~3:1의 부피비로 혼합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1의 부피비로 혼합한다.
상기에서 만든 가미가향액 또는 육수혼합 가미가향액에 앞에서 데친 채소를 침지시키고 액의 온도를 60~100℃로 유지시키면서 30~180분간 두면 가미가향액의 맛과 향이 데친 채소에 잘 스며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액의 온도를 80~100℃로 유지시키면서 60~100분간 침지시킨다. 30분 이하에서는 충분히 스며들지 않는 문제가 있고, 180분을 초과할 경우에는 효과에 큰 차이가 없으면서 시간만 소요되어 비효율적이었다. 이렇게 가미가향액 또는 육수혼합 가미가향액의 맛과 향이 데친 채소에 충분히 스며들게 하는 것은, 일찍 수화된 채소의 풋내 등을 제거하는 효과 외에도 나중에 찌개나 탕 조리시 따로 향신료를 사용하지 않아도 맛을 좋게 하고 조 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까지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가미가향된 채소는 원심탈수기 등을 이용하여 수분함량 30% 이하가 되도록 탈수시킨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분함량 10% 이하가 되도록 탈수시킨다. 이렇게 탈수과정까지 거치면 시래기 대신 찌개나 탕류에 넣을 수 있는 부드럽고 영양이 우수한 상태의 가공된 채소가 된다. 본 발명에 따라 가공된 채소는 식품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진공포장방법에 따라 진공포장되거나 또는 0~3℃ 정도의 냉장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품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가공된 채소는 된장국, 추어탕, 메기탕, 동자개탕, 감자탕 등의 다양한 탕류와 찌개류에 종래의 시래기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시래기나 일반 배추, 열무 등에 비해 훨씬 부드럽고 맛과 영양 또한 우수하다. 또한, 찌개나 탕에서 생선 등의 비린 맛을 없애고 국물 맛을 좋게 할 수 있는 가미가향제가 이미 채소 자체에 스며들어 있으므로, 다른 향신료를 사용하지 않고 그대로 조리할 수 있으며, 조리가 간편하면서도 찌개나 탕류의 조리 시 좋은 맛을 낼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1) 봄에 파종한 노지재배 열무를 파종 후 33일에 수확하였다.
(2) 수확된 열무잎을 세척한 후 끓는 물에 데쳤다. 이때 물 20ℓ에 대해 천일염 약 120g 정도를 넣고 데쳤다.
(3) 약 20ℓ의 끓는 물에 양파 약 1㎏을 넣고 40분 정도 끓인 뒤 불을 끄고 바로 다시마 80g을 넣고 40분간 우려낸 다음, 양파와 다시마를 걸러내어 육수를 만들었다.
(4) 약 20ℓ의 끓는 물에 계피 약 120g을 넣고 30분 정도 끓인 후 불을 끄고 바로 녹차잎 60g과 산초가루 8g을 넣고 약 50분간 우려낸 후 계피, 녹차잎 및 산초가루를 걸러내어 가미가향액을 만들었다.
(5) 상기 (3)에서 만든 육수와 상기 (4)에서 만든 가미가향액을 2:1의 부피비로 혼합하였다.
(6) (5)의 혼합액을 90~100℃로 유지하면서 여기에 상기 (2)에서 준비한 데친 열무잎을 80분 정도 침지시켜 가미가향액의 맛과 향이 충분히 스며들도록 하였다. 도1은 제조된 시래기 대체용 열무잎의 사진으로, 열무잎의 선명한 녹색이 그대로 살아있어 외관상으로도 보기 좋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제조예
2
열무잎 대신 가을에 파종한 노지재배 엇갈이 배추를 파종 후 45일에 수확하여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시래기 대체용 엇갈이 배추를 만들었다. 도 2는 제조된 시래기 대체용 열무잎의 사진으로, 배추의 선명한 녹색이 그대로 살아있어 외관상으로도 보기 좋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기호도 평가
삶은 후 찬물에 우려냈다가 사용한 시래기를 비교예로 하여,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본 발명의 시래기 대체용 열무잎의 기호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평가는 관능검사로 하였으며, 풋내, 부드러운 정도, 향, 맛을 평가항목으로 하였고, 2차례에 걸쳐 평가하였다. 관능검사는 12명의 패널에 의해 실시되었으며, 비교예를 3점으로 하는 5단계 평가를 하였다. 점수는 12명의 패널들의 2차례 평가점을 평균하여 평가점으로 하였다 (5점:좋다, ~3점:보통, ~1점:나쁘다). 풋내는 채소의 풋내나 특유의 비릿한 냄새가 나는지 여부를 평가한 것으로 5점이 ‘전혀 나지 않는다’이며, 1점이 ‘많이 난다’이다. 향은 채소의 식욕을 돋는 좋은 냄새를 평가한 것이다. 결과는 다음 표 1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가공된 시래기 대체용 열무잎의 사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가공된 시래기 대체용 엇갈이 배추의 사진이다.
Claims (4)
- (a) 무청, 열무, 배추 중에서 선택된 채소를 60~80% 정도 자란 미성숙 상태에서 일찍 수확하는 단계;(b) 상기 수확된 미성숙 채소를 세척후 데치는 단계;(c) 계피 100 중량부를 20,000 중량부의 물에 넣고 10~40분간 끓인 후 여기에 녹차잎 50~80 중량부 및 산초가루 5~10 중량부를 넣고 30~80분간 우려낸 후 건더기를 걸러내어 가미가향액을 만드는 단계;(d) 끓는 물 20,000 중량부에 양파 800~1,200 중량부를 넣고 20~60분 동안 끓인 후 다시마 100 중량부를 넣고 20~60분간 우려낸 다음 상기 양파와 다시마를 건져내어 육수를 만드는 단계;(e) (d)에서 만든 육수와 (c)에서 만든 가미가향액을 1~3:1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육수혼합 가미가향액을 만드는 단계;(f) (e)에서 만든 육수혼합 가미가향액을 60~100℃로 유지시키면서 (b)에서 데친 채소를 30~180분간 침지시키는 단계; 및(g) (f)의 침지단계를 거친 채소를 수분함량 30% 이하가 되도록 탈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래기 대체용 채소의 가공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하는 단계는 원심탈수기를 이용하여 수분함량 10% 이하가 되도록 탈수하는 것인 시래기 대체용 채소의 가공방법.
- 제1항 또는 제3항의 방법으로 가공된 시래기 대체용 채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8974A KR100951281B1 (ko) | 2009-10-16 | 2009-10-16 | 시래기 대체용 채소의 가공방법 및 가공된 채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8974A KR100951281B1 (ko) | 2009-10-16 | 2009-10-16 | 시래기 대체용 채소의 가공방법 및 가공된 채소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51281B1 true KR100951281B1 (ko) | 2010-04-02 |
Family
ID=42219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98974A KR100951281B1 (ko) | 2009-10-16 | 2009-10-16 | 시래기 대체용 채소의 가공방법 및 가공된 채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5128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3473B1 (ko) * | 2017-05-31 | 2017-11-03 | 김찬수 | 시래기 제조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96031B1 (ko) * | 2002-10-30 | 2005-06-21 | 대한민국 | 시래기 제조방법 |
KR20050110558A (ko) * | 2004-05-19 | 2005-11-23 | 김영선 | 배추 또는 무청 시래기 제조방법 |
KR20090018335A (ko) * | 2007-08-17 | 2009-02-20 | 오재열 | 즉석식 시래기 제조방법 |
-
2009
- 2009-10-16 KR KR1020090098974A patent/KR10095128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96031B1 (ko) * | 2002-10-30 | 2005-06-21 | 대한민국 | 시래기 제조방법 |
KR20050110558A (ko) * | 2004-05-19 | 2005-11-23 | 김영선 | 배추 또는 무청 시래기 제조방법 |
KR20090018335A (ko) * | 2007-08-17 | 2009-02-20 | 오재열 | 즉석식 시래기 제조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3473B1 (ko) * | 2017-05-31 | 2017-11-03 | 김찬수 | 시래기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152001A (zh) | 一种风味野菜腌制品及其制备方法 | |
CN103393061A (zh) | 一种鸭肉调理品去腥味工艺 | |
KR101193443B1 (ko) | 곰보배추와 그 발효액을 이용한 보쌈용 수육의 제조방법 | |
Norman | Herb and Spices The Cook's Reference: Over 200 Herbs and Spices, with Recipes for Marinades, Spice Rubs, Oils and more | |
KR20170136710A (ko) | 간장초절임 깻잎장아찌의 제조방법 | |
CN104855904A (zh) | 一种方便型雪豆酸菜及其制备方法 | |
KR101049196B1 (ko) | 산나물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 |
CN107811258A (zh) | 一种香脆辣椒的配方及制造方法 | |
KR100616309B1 (ko) | 버섯 장아찌의 제조방법 및 그의 의해 얻어진 버섯 장아찌 | |
KR20160107707A (ko) | 부각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부각 | |
KR101861747B1 (ko) | 버섯 및 오징어를 포함하는 조림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0951281B1 (ko) | 시래기 대체용 채소의 가공방법 및 가공된 채소 | |
KR102310335B1 (ko) | 홍삼 돈수육의 제조 방법 | |
KR102037760B1 (ko) | 건나물 파스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나물 파스타 | |
KR101793473B1 (ko) | 시래기 제조방법 | |
KR101028280B1 (ko) | 냉동 비빔밥 제조방법 | |
KR102146955B1 (ko) | 산나물 김밥 및 그 제조방법 | |
CN106332956A (zh) | 一种香椿的防腐保鲜方法 | |
KR102032963B1 (ko) | 사태 뭇국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사태 뭇국 | |
KR101389279B1 (ko) | 송이버섯과 굴비가 함유된 고추장 장아찌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254196B1 (ko) | 무청과 무를 이용한 국수의 제조방법 | |
KR101974885B1 (ko) | 황칠나무를 이용한 소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소스 조성물 | |
KR102329328B1 (ko) | 인삼을 함유한 굴비 또는 보리굴비의 제조방법 | |
KR102402119B1 (ko) | 전복 김밥 및 그 제조방법 | |
Hazelton | Nika Hazelton's Way with Vegetables: The Unabridged Vegetable Cookboo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