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825B1 -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first rain - Google Patents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first rai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47825B1 KR100947825B1 KR1020090076381A KR20090076381A KR100947825B1 KR 100947825 B1 KR100947825 B1 KR 100947825B1 KR 1020090076381 A KR1020090076381 A KR 1020090076381A KR 20090076381 A KR20090076381 A KR 20090076381A KR 100947825 B1 KR100947825 B1 KR 1009478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nwater
- unit
- initial
- point pollution
- initial excell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2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moving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30—Transl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강우시 비점오염물질이 다량 포함된 초기우수를 분리 및 정화처리하기 위한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itial excellent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purifying the initial excellent water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non-point pollutants during rainfall.
수질오염원은 크게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나누는데, 점오염원은 주로 일반가정이나 영업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 공장에서 배출하는 산업폐수, 대단위 축산시설에서 발생하는 축산폐수 등과 같이 발생지역과 발생량의 추적이 비교적 용이한 것들을 이르며 하수처리의 주요 대상이다.Water sources are largely divided into point sources and nonpoint sources. Point sources are mainly traceable to the origin and volume of livestock sewage from households or business areas, industrial wastewater from factories, and livestock wastewater from large livestock facilities. These relatively easy ones are the main targets for sewage treatment.
반면 비점오염원은 농업배수, 광산폐수, 소규모 축산시설의 축산폐수, 하수도가 없는 농촌지역의 생활하수나 임야 등에서 발생하는 배수를 말하며 이들 오염원은 비교적 오염 기여도가 적어 자연처리에 의존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nonpoint source refers to drainage from agricultural drainage, mine wastewater, livestock wastewater of small livestock facilities, and rural sewage or forestry in rural areas without sewerage. These pollutants are less contributing to pollution and rely on natural treatment.
강조하면, 비점오염원은 비특정(非特定)오염원, 면(面)오염원, 이동오염원 또는 기타수질오염원이라고도 하는데 점오염원이 특정한 배출경로를 가진 것과는 달리 비점오염원은 도시노면배수나 농경지배수와 같이 불특정한 배출경로를 통해 비점오염물질을 발생시키는 장소 또는 지역을 가리킨다.To emphasize, nonpoint sources are also referred to as non-specific sources, cotton sources, mobile sources, or other water sources. Unlike point sources that have specific discharge pathways, nonpoint sources are unspecified, such as urban road drainage or agricultural drainage. Point to a location or area that generates a nonpoint pollutant through an emission pathway.
수질환경보전법상의 '특정시설'에서 '기타수질오염원'으로 명칭이 변경된 수산물양식시설, 골프장시설, 운수장비·정비 또는 폐차장시설, 농축수산물 단순가공시설, 사진처리시설 등과 여기에 추가된 농지, 하역장, 제품야적장, 토지형질변경지역 등의 기타시설이 해당된다. Aquaculture aquaculture facilities, golf course facilities, transportation equipment, maintenance or junkyard facilities, concentrated aquatic products simple processing facilities, photograph processing facilities, etc., which have been renamed from `` specific facilities '' to `` other water pollution sources '' under the Water Quality Preservation Act; This includes other facilities such as product yards, product yards, and land quality change areas.
비점오염물질은 주로 비가 올 때 지표면 유출수와 함께 유출되는 오염물질로서 농지에 살포된 비료나 농약, 토양침식물, 축사유출물, 교통오염물질, 도시지역의 먼지와 쓰레기, 자연동·식물의 잔여물, 지표면에 떨어진 대기오염물질 등을 말한다.Nonpoint pollutants are mainly pollutants that are discharged along with surface runoff when it rains. Fertilizers, pesticides, soil erosions, barn spills, traffic pollutants, urban dust and garbage, residues of natural animals and plants It refers to water and air pollutants that fall on the ground.
따라서 모든 오염물질을 포함한 채 배출되는 빗물이 실제로 주된 비점오염원이 된다. 비점오염물질은 대개 많은 비가 와야 유출되기 때문에 일간·계절간 배출량의 차이가 크고 예측과 정량화가 어려우며, 인위적 조절이 어려운 기상조건·지질·지형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제도적으로 배출기준을 정하지 않고 있다.Therefore, the rainwater discharged, including all pollutants, is in fact the main nonpoint source. Non-point pollutants are usually discharged only when there is a lot of rain, so they have a large difference in daily and seasonal emissions, difficult to predict and quantify, and are affected by weather conditions, geology, and terrain, which are difficult to control artificially. Therefore, emission standards are not systematically set.
수도권 주민의 주 상수원인 한강수계의 팔당댐 상류지역에 대한 '비점오염원연구용역'(2000년 6월 실시) 결과, 1999년 말 기준으로 총 발생부하량(BOD기준) 16만 9702t/년 중 생활하수·산업폐수·축산폐수 등 점오염원에서 발생되는 오염부하량은 80.4%인 13만 6509t/년이고, 비점오염원에서 발생되는 오염부하량은 19.6%인 3만 3193t/년으로 조사되었다.As a result of the 'Non-point Pollution Research Service' (June 2000) on the upstream area of Paldang Dam, the main source of water for residents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s of the end of 1999, Pollutant loads generated from point sources such as industrial wastes and livestock wastes were 13,6509 tons per year, which is 80.4%, and 331 393t / year, which was 19.6%.
또 총 배출부하량(BOD기준)으로는 비점오염원이 44.5%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어, 비점오염원이 수질오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4대 수 계에 속하는 금강, 낙동강, 영산강 수계도 이와 비슷한 양상을 보일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규제기준이 설정되어 있는 점오염원들에 대한 규제가 계속 강화되고 환경기초시설들이 확충됨에 따라 비점오염원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력의 비중이 점차 증가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otal discharge load (BOD basis) is estimated to reach 44.5% of nonpoint sources, indicating that nonpoint sourc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water pollution. The watersheds of the four major watersheds are similar to the Geum, Nakdong, and Youngsan rivers. It is expected to show a pattern. Therefore, as the regulations on point sources with regulatory standards have been strengthened and environmental foundations are expanded, the influence of nonpoint sources on water quality will gradually increase.
한편, 이러한 문제점에 있어서, 종래에는 오염을 줄이기 위한 대책으로 도시지역의 노면배수는 저류조(貯留槽)를 설치하여 초기에 내린 비로 인해 발생한 오염물질을 침전시킨 후 방류하도록 하고, 농경지에서 배출되는 비료·농약성분이 다량 함유된 농업배수는 하천으로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저류조, 습지정화시설, 수초대(水草帶) 등을 설치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such a problem, conventionally, as a measure to reduce pollution, road drainage in urban areas is to install a storage tank to settle and discharge pollutants caused by the initial rain, and discharged from farmland. • Agricultural drainage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pesticides has been installed with reservoirs, wetland purification facilities, and water plants to prevent direct entry into rivers.
그러나 이러한 대처방안은 모든 오염물질을 포함한 채 배출되는 실제 비점오염원인 초기우수만을 처리하면 될 것을 오염물질의 농도가 줄어드는 일정시간 후의 우수도 계속해서 정화처리함으로 비점오염 처리시설의 효율성이 저감되고, 유지관리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is countermeasure reduces the efficiency of the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facility by continuously purifying the rainwater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is reduced. There was a problem that maintenance costs are ris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우수에 대부분의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되고, 시간이 경과하면 우수에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이 저감된다는 사실에 착안, 초기우수를 분리하고 정화처리하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장치를 제공하여 수질오염을 저감시키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cus on the fact that the non-point pollutants included in the rainwater is reduced in the initial excellent, most non-point pollutants, It is to provide an initial excellent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eparating and purifying the initial excellent water to reduce water pollu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가 유입되는 방향과 대응되는 우수받이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초기우수 분리부와; 상기 초기우수 분리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이물질을 분리하는 제1 스크린과; 상기 초기우수 분리부의 제1 스크린으로부터 이물질이 분리된 우수를 공급받아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을 여과하는 여과제가 구비된 비점오염정화부와; 상기 비점오염정화부에 의해 배출되는 우수 보다 유입되는 우수가 더 많아 비점오염정화부의 처리용량을 초과할 경우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우수를 유도하여 일시저장하고 상기 비점오염정화부의 우수 배출량에 따라 저장된 우수를 비점오염정화부에 공급하는 초기우수 집수 확장부와; 상기 초기우수 집수 확장부의 우수 저장용량을 초과할 경우 초기우수 분리부로부터의 우수 공급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the initial excellent separation unit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ainwater receiver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rainwater is introduced; A first screen provided above the initial excellent separation part and separating foreign matters; A non-point pollution purification unit equipped with a filter agent for filtering non-point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rainwater by receiving rainwater separated from the first screen of the initial excellent separation unit; More rainwater is introduced than rainwater discharged by the non-point decontamination unit, and when the excess capacity of the non-point decontamination unit is exceeded, the rainwater is continuously stored and induced. An initial excellent catchment expansion unit for supplying the non-point pollution purification unit; It is achieved by the initial excellent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lock to block the rainwater supply from the initial excellent separation unit when the excellent storage capacity of the initial excellent water collection expansion unit.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장치에 의하면, 각 우수받이에서 초기우수만을 분리/정화하기 때문에 하천, 바다 등에 우수를 흘려보내기 전에 구비되는 최종 정화시설의 규모를 줄이거나,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itial excellent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the initial excellent water is separated / purified from each storm receiver, it is possible to reduce or eliminate the size of the final purification facility provided before sending rainwater to rivers, seas,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장치는 초기우수만을 분리/정화하고 그 외의 우수는 그대로 우수받이로 흘려보내기 때문에 불필요한 정화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정화에 필요한 각종 소모품의 교체 주기를 늘릴 수 있어, 초기우수 정화효율이 향상되고 유지관리비용이 저감된다.In addition, since the initial excellent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and purifies only the initial excellent and other rains are sent to the excellent receiver as it is, unnecessary purification treatment is not performed, thereby increasing the replacement cycle of various consumables required for purification. This improves the initial good purification efficiency and reduces the maintenance costs.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들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장치는 개략적으로 초기우수 분리부(10)와, 비점오염정화부(20)로 구성되고, 많은 양의 초기우수를 분리 및 정화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비점오염정화부(20)의 근방에 초기우수 집수 확장부(3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나, 비점오염정화부(20)와 초기우수 집수 확장부(30)를 한 공간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itial excellent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n initial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은, 우수(300)가 유입되는 방향과 대응되는 우수받이(10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초기우수 분리부(10);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itial
상기 초기우수 분리부(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이물질을 분리하는 제1 스크린(11);A
상기 초기우수 분리부(10)의 제1 스크린(11)으로부터 이물질이 분리된 우수 를 공급받아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을 여과하는 여과제(22)(예컨대, 모래 등)가 구비된 비점오염정화부(20);Non-point pollution purification provided with filter agent 22 (eg, sand) for filtering rain-point contaminants contained in rainwater by receiving rainwater separated from the
상기 비점오염정화부(20)에 의해 배출되는 우수 보다 유입되는 우수가 더 많아 비점오염정화부(20)의 처리용량을 초과할 경우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우수를 유도하여 일시저장하고 상기 비점오염정화부(20)의 우수 배출량에 따라 저장된 우수를 비점오염정화부(20)에 공급하는 초기우수 집수 확장부(30);More rainwater is introduced than rainwater discharged by the non-point
상기 초기우수 집수 확장부(30)의 우수 저장용량을 초과할 경우 초기우수 분리부(10)로부터의 우수 공급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t may include; a blocker for blocking the rainwater supply from the initial
여기서, 비점오염정화부(20)는 초기우수 분리부(10)로부터 유입된 우수(300)가 여과제(22)에 공급되기 전에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재차 분리하는 제2 스크린(21)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Here, the non-point
차단부는 초기우수 분리부(10)로부터 유입되는 우수(300)의 유동로인 유입관(41)의 일단에 힌지결합되어 유입관(41)을 차단 또는 개방하는 차단판(51)과, 상기 차단판(51)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부유구(52)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초기우수 집수 확장부(30)와 비점오염정화부(20)의 상부는 착탈형으로서 개방 및 밀폐가 가능한 덮개(90)를 구비하고, 상기 초기우수 집수 확장부(30)의 내부 바닥은 침전물받이(63,64)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blocking unit is hinged to one end of the
이와 같은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함과 동시에 동작관계를 설명하면,When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in more detail and the operation relationship at the same time,
우수가 도 1과 같이 도로(400)의 좌측에서부터 유입됨으로 초기우수 분리 부(10)는 이와 대응되는 우수받이(100)의 내측면의 상부에 장착된다. 그러면 폭우가 아닌 이상 초기 우수는 초기우수 분리부(10)에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우수는 초기우수 분리부(10)와 초기우수 격리부(60)를 연결하는 유입관(41)을 통해 초기우수 격리부(60)에 유입된다.As rainwater flows from the left side of the
이때 유입관(41)에 비교적 덩어리가 큰 이물질이 유입되어 유입관(41)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초기우수 분리부(10)의 내측에 연결된 유입관(41)의 일측을 감싸는 제1 스크린(11)을 설치한다. At this time, the first screen surrounding one side of the
한편, 초기우수 격리부(60)는 비점오염정화부(20)와 초기우수 집수 확장부(30)로 이루어지는데 이를 구분하기 위하여 초기우수 격리부(60)의 내부 하측에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구분벽(61)을 형성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itial
따라서, 유입관(41)을 통해 유입된 초기 우수는 1차적으로 비점오염정화부(20)로 유입이되고, 비점오염정화부(20)의 수용량을 초과하면 우수는 구분벽(61)을 넘어 초기우수 집수 확장부(30)로 이동된다.Therefore, the initial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비점오염정화부(20)에 유입된 우수는 바닥에 구비된 여과제(22)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외부(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받이(100))로 배출된다. 이때 비점오염정화부(20)에 유입된 우수는 제1 스크린(11)이 이물질을 분리한다 하더라도 비교적 작은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어 이러한 이물질이 여과제(22)의 상부에 쌓일 수 있다. 그러면 여과제(22)의 효율성이 저감됨으로 우수가 여과제(22)에 유입되기 전에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2 스크린(21)을 구비한다.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non-point
그리고 비점오염정화부(20)의 여과제(22)는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정화하는 구성이고 이러한 구성은 투수계수가 조절됨으로 유입되는 우수보다 배출되는 우수가 적게 되어 일정 시간이 지나면, 포화상태가 된다. 그러면 우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우수 집수 확장부(30)로 이동되고, 초기우수 집수 확장부(30)에 일시저장된 우수는 구분벽(61)의 하부에 형성된 연통관(62)을 통해 초기우수 집수 확장부(30)와 비점오염정화부(20)가 연통되기 때문에 우수가 비점오염정화부(20)로 유입된다.And the
한편, 비점오염정화부(20)의 포화상태를 지나 초기우수 집수 확장부(30)까지 우수 저장용량을 초과하면, 도 1과 같이 유입관(41)의 타측에 구비된 차단부에 의해 더이상의 우수 유입을 차단한다. 차단부는 부력작용을 하는 부유구(52)를 일측면에 장착한 차단판(51)으로 구성되는데 차단판(51)은 유입관(41)과 힌지결합되되 평상시에는 유입관(41)을 개방하는 작용을 하도록 힌지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f it exceeds the excellent storage capacity to pass through the saturation state of the non-point
그러면 차단부는 평상시에 유입관(41)을 개방하고, 부유구(52)의 부력이 유입관(41)을 개방하려는 작용힘 보다 크면(초기우수 집수 확장부(30)까지 우수 저장용량이 초과된 경우) 유입관(41)은 차단된다.Then, the blocking part normally opens the
한편, 우수받이(100)와 비점오염정화부(20)의 상부는 도 2와 같이 개폐가 가능하다. 따라서 제1 스크린(11)과 제2 스크린(21)에 쌓인 이물질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본 발명은 도 4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대부분의 구성과 일치하고, 다른 구성은 비점오염정화부(20)와 초기우수 집수 확장부(30)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덮개(90)의 구성 및 초기우수 분리부(10)측의 유입관(41)의 일측에 구비된 초과우수 차단부의 구성과, 초기우수 집수 확장부(30)의 하부에 구비된 침전물받이(63,64)의 구성이 더 추가되었다는 점이 다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Figure 4 is consistent with most of the configuration of Figure 1, the other configuration of the
덮개(90)는 평상시 이물질 또는 우수 등이 비점오염정화부(20)와 초기우수 집수 확장부(30)에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덮개(90)의 둘레는 고무패킹 등으로 마감하여 수밀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비점오염정화부(20)의 제2 스크린(21)과 초기우수 집수 확장부(30)의 침전물받이(63,64)의 청소 요구시를 위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초과우수 차단부는 (52)와(53)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도 1의 차단부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다. 즉, 평상시 유입관(41)을 개방하려는 작용힘을 갖으며, 유입관(41)을 개방하려는 작용힘 보다 부력의 힘이 크면 유입관(41)을 차단한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초기우수 분리부(10)의 수위(S) 정도면 유입관(41)을 개방하려는 작용힘이 부력의 힘보다 크기 때문에 우수가 지속적으로 비점오염정화부(20)에 유입되지만, 도 4의 맨 아래 도면처럼 우수가 초기우수 분리부(10)의 수용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부력의 힘이 유입관(41)을 개방하려는 작용힘 보다 크기 때문에 초과우수 차단부는 유입관(41)을 차단하여 더이상 비점오염정화부(20)에 우수를 유입시키지 않는다. The excess excellent blocking part is the same structure as the structure of the blocking part of FIG. That is, it has an action force to open the
이와 같은 구조는, 초기우수 외에는 더이상 비점오염정화부(20)에 유입시키지 않는다. 즉, 강우가 지속되면 초기우수 분리부(10)는 우수의 포화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때문에 더이상의 우수는 비점오염정화부(20)에 유입되지 않는다. 그 러므로 비점오염정화부(20)에서 초기우수를 모두 비웠다 하더라도 더이상 우수는 비점오염정화부(20)에 유입되지 않고, 강우가 끝나면 초기우수 분리부(10)의 우수는 서서히 마르고 그때서야 유입관(41)을 개방하려는 (54)의 구성이 부력의 힘보다 증가하게 되어 유입관(41)을 개방하여 원위치 된다.Such a structure no longer flows into the non-point
미설명 부호 401은 경계석, 500은 인도.
한편, 본 발명은 도 5와 도 6과 같이 구분벽(61)에 연통관(62,62a,62b)을 다수개 형성하여 비점오염원이 포함된 우수의 비점오염정화부(20)로의 이동양을 증가시킬 수 있는데, 이는 초기우수의 정화 처리량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amount of movement to the non-point
이상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easily mak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and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ar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장치의 기본 개념도,1 is a basic conceptual view of the initial excellent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the initial excellent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일부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eparately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FI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itial excellent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itial excellent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Figure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itial excellent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0: 초기우수 분리부 11: 제1 스크린10: initial excellent separation section 11: the first screen
20: 비점오염정화부 21: 제2 스크린20: non-point pollution purification unit 21: the second screen
22: 여과제 30: 초기우수 집수 확장부22: filter medium 30: initial excellent water collecting extension
41: 유입관 42: 배출관41: inlet pipe 42: outlet pipe
51: 차단판 52: 부유구51: blocking plate 52: floating sphere
63,64: 침전물받이 90: 덮개63, 64: sediment receiver 90: cover
100: 우수받이 300: 우수100: Excellent 300: Excellent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6381A KR100947825B1 (en) | 2009-08-18 | 2009-08-18 |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first rai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6381A KR100947825B1 (en) | 2009-08-18 | 2009-08-18 |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first rai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47825B1 true KR100947825B1 (en) | 2010-03-18 |
Family
ID=42183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6381A KR100947825B1 (en) | 2009-08-18 | 2009-08-18 |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first rai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4782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92245B1 (en) | 2009-11-17 | 2011-12-12 | 백종선 |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Apparatu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65438A (en) * | 2002-07-10 | 2002-08-13 | 박석순 | Apparatus having perforated pipes for increasing water storage capacity in river basin |
KR20050003330A (en) * | 2003-07-22 | 2005-01-10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The collecting appratus for purified rainwater excluding the first flush |
KR20070098971A (en) * | 2007-09-06 | 2007-10-08 | 주식회사 신화 엠앤씨 | Sh purication appratus for road |
KR100784496B1 (en) | 2006-06-27 | 2007-12-11 | 보문기공(주) | Rainwater purify device |
-
2009
- 2009-08-18 KR KR1020090076381A patent/KR100947825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65438A (en) * | 2002-07-10 | 2002-08-13 | 박석순 | Apparatus having perforated pipes for increasing water storage capacity in river basin |
KR20050003330A (en) * | 2003-07-22 | 2005-01-10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The collecting appratus for purified rainwater excluding the first flush |
KR100784496B1 (en) | 2006-06-27 | 2007-12-11 | 보문기공(주) | Rainwater purify device |
KR20070098971A (en) * | 2007-09-06 | 2007-10-08 | 주식회사 신화 엠앤씨 | Sh purication appratus for road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92245B1 (en) | 2009-11-17 | 2011-12-12 | 백종선 |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Apparatu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46226B1 (en) |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first rain | |
KR101382006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and overflow water of confluent water drainage | |
KR101163520B1 (en) | Early rain separating apparatus | |
KR100810415B1 (en) | A waterspout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 |
KR100904177B1 (en) | Device and method for purifying the first rainwater containing non-point source | |
KR100959161B1 (en) | Treating System of Rainwater | |
KR101410194B1 (en) | First rainwater induction pipe construction with bridge and equipment for decrease non-point pollution sources including the construction | |
KR100984676B1 (en) | Apparatus for drain treatment of first flush rainfall | |
KR101345009B1 (en) | Equipment and method for decrease nonpoint pollution sources using infiltration trench | |
KR100897258B1 (en) | Draining unit for purifying the non-point pollution source in rainwater | |
KR101003477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 |
KR101181863B1 (en) | Apparatus for treatment of first flush rainfall | |
KR101089756B1 (en) |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first rain | |
KR100958295B1 (en) |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first rain | |
KR101239389B1 (en) | Natural type and ditch infiltration type non point pollution reducing system for water reclamation | |
KR100794491B1 (en) | The rain water drainage reuse system for non-point pollution load reduction | |
KR100791965B1 (en) | System for treatment of polluted water from non-point source | |
KR101484891B1 (en) | Initial non-point polluted rain water processing system | |
KR20130091902A (en) | Equipment and method for decrease non-point pollution sources using vegetation waterway | |
KR101103269B1 (en) | Facilities for decreasing non-point source | |
KR101493478B1 (en) | Non - point pollution decrease apparatus using screen array | |
KR100952117B1 (en) |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first rain | |
KR20160074979A (en) | Water sampling apparatus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 |
KR101684697B1 (en) | Nonpoint pollution decrease equipment and rain processing method | |
KR100947825B1 (en) |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first rai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