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2758B1 -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2758B1
KR100942758B1 KR1020020045150A KR20020045150A KR100942758B1 KR 100942758 B1 KR100942758 B1 KR 100942758B1 KR 1020020045150 A KR1020020045150 A KR 1020020045150A KR 20020045150 A KR20020045150 A KR 20020045150A KR 100942758 B1 KR100942758 B1 KR 100942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period
bit
display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1712A (ko
Inventor
키무라하지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ublication of KR20030011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5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61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with additional control of the display period without amending the charge stored in a pixel memory, e.g. by means of additional select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24Details of interlac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09G2310/0251Precharge or discharge of pixel before applying new pixel volt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1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in the context of movement of objects on the screen or movement of the observer relative to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6Reduction of sub-frame artefa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Abstract

본 발명은, 홀수의 게이트 신호선으로 구동되는 화소와 짝수의 게이트 신호선으로 구동되는 화소 사이에서 서브프레임기간이 출현하는 순서와, 서브프레임기간이 시작되는 시간이 변한다. 예를 들면, 표시는, 서브프레임기간 SF1의 표시기간 Tr1, 서브프레임기간 SF2의 표시기간 Tr2 및 서브프레임기간 SF3의 표시기간 Tr3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상정한다. 이때, 홀수의 게이트 신호선으로 구동되는 화소(b1)와 짝수의 게이트 신호선으로 구동되는 화소(b2) 사이에서 표시기간이 출현하는 순서를 바꾼다. 계조가 변하면, 홀수 라인의 화소에서는 거의 1프레임기간에 걸쳐서 비발광 표시기간(표시기간 Tr3, Tr2 및 Tr1)이 연속하지만, 같은 때에 짝수 라인의 화소에서는 비발광 및 발광이 교대로 반복된다. 이 때문에, 인간의 눈에는 이것들의 발광휘도가 평균화되어, 부자연스러운 어두운 선의 발생(의사윤곽)이 억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시분할 계조로 표시를 할 때에 의사윤곽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Figure R1020020045150
표시장치, 화소, 시분할 계조, 의사윤곽, 구동회로, 게이트 신호선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REOF}
도 1은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의 표시와, 해당 표시를 하기 위한 발광소자의 발광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실시형태 1),
도 2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의 표시와, 해당 표시를 하기 위한 발광소자의 발광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실시형태 1),
도 3은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의 화소의 회로도의 일 예시도(실시형태 1),
도 4는 시분할 계조 표시를 하는 구동 타이밍도(실시형태 1),
도 5는 시분할 계조 표시를 하는 구동 타이밍도(실시형태 1),
도 6은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의 표시와, 해당 표시를 하기 위한 발광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실시형태 1),
도 7은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의 표시와, 해당 표시를 하기 위한 발광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실시형태 1),
도 8은 시분할 계조 표시를 하는 구동 타이밍도(실시형태 2),
도 9는 시분할 계조 표시를 하는 구동 타이밍도(실시형태 2),
도 10은 시분할 계조 표시를 하는 구동 타이밍도(실시형태 3),
도 11은 시분할 계조 표시를 하는 구동 타이밍도(실시형태 4),
도 12는 본 발명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의 구동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실시형태 5),
도 13은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의 화소부 및 구동회로부의 단면도(실시예 1),
도 14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의 화소부 및 구동회로부의 단면도(실시예 2),
도 15는 반도체층의 결정화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 및 평면도(실시예 3),
도 16은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실시예 4),
도 17은 전자기기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실시예 5),
도 18은 전자기기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실시예 5),
도 19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의 표시와, 해당 표시를 하기 위한 종래의 발광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의 표시와, 해당 표시를 하기 위한 종래의 발광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화소부 101 : 스위칭용 TFT
102 : 구동용 TFT 103 : 커패시터
104 : 소거용 TFT 105 : 발광소자
106 : 대향전극 110 : 화소
121 :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
122 :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
본 발명은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계조를 제어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복수의 서브프레임기간으로 프레임기간을 구성하며, 각각의 서브프레임기간으로 발광 휘도를 제어하는 방법을 갖는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화된 정보화 산업사회의 도래와 동시에, 평면 박형 디스플레이의 수요가 높아져, 유기발광소자(이후, 유기발광 디스플레이라 함)를 사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유기발광 디스플레이는, 자발광형이고, 백 라이트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와 비교하여 박형화가 용이하다. 휴대전화나 개인용 휴대형 정보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등에 사용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유기발광소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라고도 불리는 발광소자이다. 유기발광소자는, 음극층과 양극층 사이에 유기 화합물층이 삽입된 구성으로, 유기 화합물층에 흐르는 전류량에 대응한 휘도로 발광된다.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발광 디스플레이로서는, 계조를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아날로그 계조라고 불리는 방법이 있다. 그렇지만, 아날로그 계조 구동으로 계조를 제어하는 경우는, 유기발광소자에 접속하여 설치된 구동용 TFT의 전계 효과 이동도 등의 격차에 의해서, 드레인 전류량이 크게 변해버려, 균일한 휘도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그래서, 디지털 계조에 의한 구동이 균일한 휘도의 표시를 실현하는 수단으로서 제안되고 있다. "디지털 계조"란,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기간과 비발광 기간을 조합하여 계조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디지털 계조에 의한 구동방법의 하나로서는, 시분할 계조라고 불리는 구동방법이 있다. "시분할 계조"란, 하나의 프레임기간을 복수의 서브프레임기간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서브프레임기간에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또는 비발광을 제어하여 계조 표시를 하는 방법이다.
그렇지만, 시분할 계조에서의 표시를 하는 경우는, 의사윤곽이 발생하여, 화질이 열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의사윤곽은, 중간조(half tone)를 표시하고 있을 때에, 부자연스러운 밝은 선과 어두운 선이 혼합된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다.(Nikkei Electronics, No.753, pp.152-62, Oct.1999; 및 "Pseudo Contouring Noise Seen in Pulse Width Fluctuation Dynamic Display", TV Society Technical Bulletin, Vol.19, No. 2, IDY9521,pp.61-66)
의사윤곽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시간폭이 긴 상위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을 분리 및 분할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특개평 9-34399호 공보, 특개평 9-172589호 공보).
상술한 것처럼, 종래의 시분할 계조 구동으로서는 의사윤곽으로 인한 표시방해가 발생하여, 표시 성능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생겼다.
이 의사윤곽으로 인한 표시방해를 제어하기 위해서, 종래의 구동방법에서는, 예를 들면 특개평 9-34399호 공보 및 특개평 9-172589호 공보에 기재된 것처럼, 서브프레임기간을 분리 및 분할하여 대응하였다. 그렇지만, 이 서브프레임기간을 분리 및 분할하는 방법으로 의사윤곽의 방지를 꾀하면, 소비전력이 증대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서브프레임기간의 분할수가 증가하면, 1프레임기간에 신호를 입력하는 회수가 증가하여 버린다. 신호를 입력하는 회수가 증가하면, 신호를 원하는 전위로 하기 위해서, 전하를 충방전하는 회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증대한다. 아울러, 서브프레임기간의 분할수가 증가하면, 이것들의 분할된 서브프레임기간을 1프레임기간 내에 맞추기 위해서, 구동회로를 고주파수로 구동하는 것을 요한다. 고주파수의 구동은, 구동전압이 높아지기 때문에, 구동주파수의 곱과 구동전압의 제곱에 비례하여 결정된 소비전력이 증대한다.
또한, 구동성능이 낮은 구동회로에서는, 상술한 상위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을 분할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 이는, 구동성능이 낮은 구동회로에서는, 의사윤곽을 감소하기 위해서 서브프레임기간의 분할수를 증가시키려고 하여도, 분할된 서브프레임기간이 1프레임기간 내에 맞출 수 없어, 서브프레임기간의 분할수에 한계가 생기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소비전력을 증가시키 지 않고, 의사윤곽형 노이즈를 대폭 감소하여, 양호한 표시성능을 실현하는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회로의 구동성능에 상관없이, 의사윤곽으로 인한 표시방해를 감소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래서, 의사윤곽으로 인한 표시방해라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원인을 이하에 검토하였다. 그리고, 의사윤곽은 발광 또는 비발광이 연속하는 부분이, 사람 눈의 분해능으로 인식할 수 있는 넓은 범위로 존재하는 것이 원인이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특히, 동적 화상을 표시할 때에 의사윤곽으로 인한 표시방해가 현저히 나타나기 때문에, 우선 동적 화상의 표시를 하는 경우에 의사윤곽으로 인한 표시방해가 발생하는 원인에 관해서 도 19a-19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9a에 m열×n행으로 화소가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된 화소부의 표시화상을 나타낸다. 각 화소에 1∼8 계조의 표시가 가능한 3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를 입력하여 화상을 표시하고 있다. 화소부의 상반부의 화소는, 3번째 계조의 표시를 수행하고, 하반부의 화소는 4번째 계조의 표시를 수행한다.
동적 화상을 표시할 때에, 도 19a에서, 3번째 계조의 표시를 수행하는 부분과 4번째 계조의 표시를 수행하는 부분의 경계가 실선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4번째 계조로 표시하는 부분의 면적이 증가하였다고 한다. 요컨대, 경계부근에서, 화소는 3번째 계조의 표시로부터 4번째 계조의 표시로 바뀐다.
도 19b를 참조하면서 계조가 변하는 부분의 화소의 표시를 설명한다. 도 19b는, 동적 화상을 표시할 때에, 3번째 계조로부터 4번째 계조로 계조가 변하는 화소의 발광 및 비발광을 타이밍도로 나타낸 것이다. 횡축은 시간의 경과를 나타낸다. 프레임기간 F1에서 프레임기간 F2로 시간이 경과할 때의 변하는 화소의 표시(발광, 비발광)가 도시되어 있다. 표시기간 Tr1∼Tr3 중, 화소가 발광하는 표시기간은 희게 나타내고, 화소가 비발광인 표시기간은 오른쪽 하방향으로 경사지는 사선으로 나타낸다.
이때, 1프레임기간은,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서브프레임기간이 갖는 표시기간은 시간폭이 다르다.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은,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을 갖고,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은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를 갖고,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은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을 갖는다. 표시기간의 시간폭의 비는, Tr1:Tr2 :Tr3= 20:21:22이고, 화소의 계조는, 프레임기간(F1∼F2)에 화소가 발광하는 표시기간의 시간폭을 계산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면, 3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경우는,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 및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에서 화소는 발광 상태이고,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에서는 비발광 상태이다.
4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경우는, 1 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과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에서 화소는 비발광 상태이고,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에서 발광 상태이다.
여기서, 프레임기간 F1에 3번째 계조를 표시하고 있는 화소가, 프레임기간 F2 동안 4번째 계조를 표시한다. 그렇게 하여 계조가 바뀔 때에, 경계부근의 화소에서는 프레임기간 F1의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 프레임기간 F2의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 및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가 비발광 상태가 연속한다. 다시 말하면, 3번째 계조를 표시하기 위한 비발광 상태 직후에 4번째 계조를 표시하기 위한 비발광 상태가 시작되어, 1프레임기간의 시간폭에 걸쳐서 비발광 상태가 연속한다.
즉, 경계부근의 화소로서는 3번째 계조를 표시하기 위한 비발광 상태 직후에 4번째 계조를 표시하기 위한 비발광 상태가 시작된다. 그 때문에, 인간의 눈에는, 해당 화소가 1프레임기간 동안 비발광인 것처럼 보인다. 이것은, 화면상에 부자연스러운 어두운 선으로서 지각된다.
또한, 도 19a에서, 3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과 4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의 경계가 점선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3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의 면적이 증가하였다고 한다. 즉, 경계부근에서, 화소는 4번째 계조의 표시로부터 3번째 계조의 표시로 바뀐다.
도 19c를 참조하면서 계조가 변하는 부분의 화소의 표시를 설명한다. 도 19c 는, 동적 화상을 표시할 때에 4번째 계조로부터 3번째 계조로 계조가 변하는 화소의 발광 및 비발광을 타이밍도로 나타낸 것이다. 표시기간 Tr1∼Tr3중 화소가 발광하는 표시기간은 희게 나타내고, 화소가 비발광인 표시기간은 우측 하측방향으로 경사지는 사선이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기간 F1에 4번째 계조를 표시하고 있는 화소는, 프레임기간 F2 동안 3번째 계조를 표시한다. 계조가 바뀔 때에, 경계부근의 화소에서는, 프레임기간 F1의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 프레임기간 F2의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과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에서 발광 상태가 연속된다. 바꿔 말하면, 4번째 계조를 표시하기 위한 발광하고 있는 상태의 직후에 3번째 계조를 표시하기 위한 발광하고 있는 상태가 시작되어, 1프레임기간의 시간폭에 걸쳐 발광의 상태가 연속한다.
즉, 경계부근의 화소로서는 4번째 계조를 표시하기 위한 발광의 상태의 직후에 3번째 계조를 표시하기 위한 발광의 상태가 시작된다. 그 때문에, 인간의 눈에는, 해당 화소가 1프레임기간 동안 발광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것은, 화면상에 부자연스러운 밝은 선으로서 지각된다.
의사윤곽이란, 계조가 변하는 경계의 부분에 이들의 부자연스러운 밝은 선이나 어두운 선이 생겨 보이는 현상이다.
그런데, 정지 화상에서도, 의사윤곽으로 인한 표시방해가 보여질 수도 있다. 정지 화상에서 생기는 의사윤곽은, 계조가 변하는 경계 부분을 시선이 이동하면, 부자연스러운 밝은 선이나 어두운 선이 지각되는 현상이다. 정지 화상에 있어서 이 러한 표시방해가 보여지는 원리를 도 2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인간의 눈은 한 점을 응시하고 있어도, 시선은 조금씩 움직이고 있고, 정해진 한 점을 정확히 응시하는 것은 어렵다. 그 때문에, 화소부의 3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과 4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의 경계를 눈으로 응시하였을 때에, 경계를 응시하고 있어도 실제로는 시선이 좌우상하로 조금씩 움직인다.
예를 들면, 도 20a에 도시된 m열×n행의 화소가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된 화소부의 표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화소부의 상반부의 화소가, 3번째 계조를 표시하고, 하반부의 화소가 4번째 계조를 표시하고 있다. 이 화소부에서, 실선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시선이 3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으로부터 4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으로 이동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시선이 3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에 위치하였을 때에 화소가 발광의 상태이고, 시선이 4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에 위치하였을 때에 화소가 발광의 상태인 경우, 인간 눈에는 1프레임기간을 통해서 화소가 계속 발광의 상태인 것처럼 보여진다.
도 20b는 3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에서의 화소의 발광을 나타내고, 도 20c는 4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에서의 화소의 발광을 나타낸다. 이 상태를 설명한다. 도 20b∼도 20c는 정지 화상을 표시할 때에 4번째 계조로부터 3번째 계조로 계조가 변하는 화소의 발광 및 비발광을 타이밍도로 보이고 있다. 횡축은 시간의 경과를 나타낸다. 프레임기간 F1로부터 프레임기간 F2로 시간이 경과할 때 변하는 화소 표시(발광, 비발광)가 도시된다. 표시기간 Tr1∼Tr3중에서, 화소가 발광인 표시기간은 희게 나타내고, 화소가 비발광인 표시기간은 우측 하측방향으로 경사지는 사선으로 나타낸다. 실제로, 3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화소에서 프레임기간 F가 시작되는 시간과, 4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화소에서 프레임기간 F가 시작되는 시간과는 약간의 어긋남이 있지만, 근접한 위치에 이 화소들이 있기 때문에 그 약간의 어긋남은 무시하여 설명한다.
사람 눈은 도 20b 및 도 20c의 실선의 화살표와 같이 이동하므로, 3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에서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과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의 발광을 인식하고(도 20b), 이 다음에, 4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에서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의 발광을 인식한다(도 20c). 따라서, 인간의 눈에는 1프레임기간을 통해서, 화소가 계속 발광 상태인 것처럼 지각될 것이다.
반대로, 도 20a에 도시된 화소부의 표시에 있어서, 점선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시선이 4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으로부터 3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으로 이동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시선이 4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에 위치하였을 때에 화소가 비발광 상태이고, 시선이 3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에 위치하였을 때에 화소가 비발광 상태인 경우, 인간의 눈에는 1프레임기간을 통해서, 화소가 계속 비발광 상태인 것처럼 지각된다.
인간의 눈은 도 20b 및 도 20c의 점선의 화살표와 같이 이동하므로, 4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에서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의 비발광을 인식하고(도 20c), 이 다음에, 4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에서 3번째 비 트의 표시기간 Tr3의 비발광을 인식한다(도 20b). 따라서, 인간의 눈에는 1프레임기간을 통해서, 화소가 계속 비발광 상태인 것처럼 지각된다.
이와 같이, 시선이 좌우상하로 조금씩 움직이기 때문에, 인간의 눈에는 1프레임기간을 통해서 화소가 계속 발광 상태 또는 비발광 상태로 보여질 수 있다. 그리고, 계조가 변화하는 경계 부분에, 어두운 선 또는 밝은 선이 생기도록 지각된다.
상술한 것처럼, 시분할 계조 구동으로서는, 동적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나, 정지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상관없이, 계조가 변하는 경계 부분에서 의사윤곽으로 인한 표시방해가 발생하여, 표시품질이 손상되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이 의사윤곽으로 인한 표시방해를 방지하는 표시장치 및 그 표시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발광 또는 비발광이 연속하는 부분의 면적을 좁게 하여 인간의 눈에 의사윤곽이 지각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발광 및 비발광이 각 화소에서 랜덤하게 발생하도록 서브프레임기간이 출현하는 순서나, 서브프레임기간이 시작하는 시간, 또는 그 양쪽을 화소의 라인마다 바꾸도록 하였다.
이때, 화소 라인 어드레스는, 그 화소가 갖는 게이트 신호선의 어드레스와 같다. 예를 들면, 첫 번째의 게이트 신호선을 갖는 화소는 1번째 라인의 화소이다.
서브프레임기간이 출현하는 순서나, 서브프레임기간이 시작하는 시간을 바꾸 더라도, 1프레임기간을 분할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기간의 수는 종래와 동일하다. 따라서, 의사윤곽 잡음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고, 소비전력을 증가시키지 않고 양호한 표시 성능을 이룰 수 있다. 또한, 구동회로의 구동성능에 상관없이 의사윤곽으로 인한 표시 방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 나타낸 본 발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기간이 2이상의 서브프레임기간으로 분할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기간이 출현하는 순서는, K 번째 라인의 게이트 신호선을 갖는 화소(K는 자연수)와 L 번째 라인의 게이트 신호선을 갖는 화소(L은 자연수, L≠K) 간에 차이가 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기간이 2이상의 서브프레임기간으로 분할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기간이 출현하는 순서는 n차(n은 2이상의 정수)이고, 상기 서브프레임기간이 출현하는 순서는 게이트 신호선의 n 행마다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기간이 2이상의 서브프레임기간으로 분할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1라인의 게이트 신호선을 선택하는 기간을 △G로 하고, K 번째 라인의 게이트 신호선을 갖는 화소(K는 자연수)에서 상기 프레임기간이 시작되는 시간을 tk로 하고, K+1번째 라인의 게이트 신호선을 갖는 화소로 상기 프레임기간이 시작되는 시간을 tk+1로 하고, tk+1>t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이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기간이 출현하는 순서는, 상기 K 번째 라인의 게이트 신호선을 갖는 화소와 K+1 번째 라인의 게이트 신호선을 갖는 화소간에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기간이 2이상의 서브프레임기간으로 분할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1라인의 게이트 신호선을 선택하는 기간을 △G로 하고, K 번째 라인의 게이트 신호선을 갖는 화소(K는 자연수)에서 상기 프레임기간이 시작되는 시간을 tk로 하고, K+n 번째 라인의 게이트 신호선을 갖는 화소(n은 2이상의 정수)에서 상기 프레임기간이 시작되는 시간을 tk+n으로 하고, tk+n=t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기간이 출현하는 순서는, 상기 K 번째 라인의 게이트 신호선을 갖는 화소와 K+n 번째 라인의 게이트 신호선을 갖는 화소간에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게이트 신호선이 게이트 신호선측 구동회로의 어드레스 디코더로 게이트 신호선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발광소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기간을 n 서브프레임기간(n은 2이상의 자연수)으로 분할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화소와, 행방향으로 배치된 게이트 신호선과, 상기 서브프레임기간의 각 화소의 발광 휘도를 기억하는 m개의 기억회로(m은 자연수, m≥n)와, 상기 m개의 기억회로 중의 하나를 지정하는 기억회로 지정수단과, 라인번호를 지정하는 라인번호 지정수단과, 상기 지정된 라인번호를 갖는 게이트 신호선을 선택하는 게이트 신호측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이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라인번호 지정수단이 제 1 라인번호를 지정하고, 상기 기억회로 지정수단이 제 1 기억회로를 지정하고, 상기 기억회로 지정수단이 제 2 기억회로를 지정하고, 제 1 서브프레임기간이 상기 제 1 라인번호를 갖는 게이트 신호선으로 시작되고, 제 2 서브프레임기간이 상기 제 2 라인번호를 갖는 게이트 신호선으로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이다. 여기서, 제 1 라인번호와 제 2 라인번호는 연속적이어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라인번호 지정수단이 제 1 라인번호를 지정하고, 상기 기억회로 지정수단이 제 1 기억회로를 지정하고, 상기 라인번호 지정수단이 2이상만큼 상기 제 1 라인번호로부터 떨어진 제 2 라인번호를 지정하고, 상기 기억회로 지정수단이 제 1 기억회로를 지정하고, 제 1 라인번호를 갖는 게이트 신호선에 이어서, 상기 제 1 라인번호로부터 2이상 떨어진 상기 제 2 라인번호를 갖는 게이트 신호선으로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게이트 신호측 구동회로가, 어드레스 디코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이다.
또한, 상기 각 구성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화소가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이다.
[발명의 실시예]
실시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을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은 이하에 나타낸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 1에서는, 홀수 라인의 게이트 신호선에 접속되어 있는 홀수 라인의 화소와, 짝수 라인의 게이트 신호선에 접속되어 있는 짝수 라인의 화소간에 서브프레임기간이 출현하는 순서가 다른 경우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 1을 도 1a 내지 1c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a에 m열×n행에 화소가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된 화소부의 표시화상을 나타낸다. 각 화소에 1∼8계조의 표시가 가능한 3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를 입력하여 화상을 표시하고 있다. 화소부의 상반부의 화소는, 3번째 계조를 표시하고 있고, 하반부의 화소는 4번째 계조를 표시하고 있다.
도 1a에 있어서, 3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과 4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의 경계가 실선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4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이 증가한다. 요컨대, 경계부근에서 화소는 3번째 계조의 표시로부터 4번째 계조의 표시로 바뀐다.
도 1b1∼도 1b2를 참조하면서 계조가 변하는 부분의 화소의 표시를 설명한 다. 도 1b1 및 도 1b2는, 동적 화상을 표시할 경우 3번째 계조로부터 4번째 계조로 계조가 변하는 화소의 발광 및 비발광의 타이밍도이다. 도 1b1은, 홀수 라인의 화소의 타이밍도를 나타내고, 도 1b2는 짝수 라인의 화소의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횡축은 시간의 경과를 나타낸다. 프레임기간 F1 및 프레임기간 F2에 있어서 시간의 경과와 동시에 변하는 화소의 표시(발광, 비발광)가 도시되어 있다. 표시기간 Tr1∼Tr3중, 화소가 발광하는 표시기간은 희게 나타내고, 화소가 비발광인 표시기간은 우측 하측방향으로 경사진 사선으로 나타낸다.
이때, 1프레임기간은,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서브프레임기간이 갖는 표시기간은 시간폭이 다르다.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은,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을 갖고,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은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를 갖고,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은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을 갖는다. 표시기간의 시간폭의 비는, Tr1:Tr2:Tr3=20:21:22이고, 화소의 계조는, 프레임기간(F1 및 F2)에 화소가 발광하는 표시기간의 시간폭을 계산하여 결정된다.
홀수 라인의 화소에서 서브프레임기간의 출현 순서는,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의 순차로 된다. 짝수 라인의 화소에서 서브프레임기간의 출현 순서는,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의 순차로 된다. 이때, 프레임기간의 계조는, 표시기간에 발광소자가 발광한 시간량을 계산하여 결정된다. 이 때문에, 도 1a 내지 1c2에는 표시기간만을 나타내고, 서브프레임기간에 관해서는 도시를 생략한다.
계조가 바뀔 때에, 경계부근의 홀수 라인의 화소에서는, 프레임기간 F1의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 프레임기간 F2의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 및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 동안 비발광 상태가 연속한다(도 1b1). 즉, 3번째 계조를 표시하기 위한 비발광 상태의 직후에 4번째 계조를 표시하기 위한 비발광 상태가 시작되고, 1프레임기간의 시간폭에 걸쳐서 비발광 상태가 연속한다.
그러나, 이 경계부근의 홀수 라인의 화소에서 표시기간 Tr3, Tr1 및 Tr2 동안 비발광 상태가 연속하지만, 도 1b2에 발광상태를 표시한 경계부근의 짝수 라인의 화소에서는, 비발광 표시기간 Tr3, 발광 표시기간 Tr2, 비발광 표시기간 Tr1 및 비발광 표시기간 Tr3의 순차로 표시기간이 나타난다. 즉, 발광 상태 및 비발광 상태가 교대로 출현한다.
인간의 눈에는 근접한 화소의 휘도가 평균화되어 보인다. 이 때문에, 홀수 라인의 화소에서 비발광 표시기간이 연속하더라도, 짝수 라인의 화소에서 비발광 표시기간과 발광 표시기간이 나타나면, 홀수 라인의 화소의 휘도와 짝수 라인의 화소의 휘도가 평균화되어 보인다. 그래서, 표시방해로서 지각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의사윤곽으로 인한 표시방해가 감소된다.
또한, 도 1a에 m열×n행에 화소가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된 화소부의 표시화상을 나타낸다. 각 화소에 1∼8계조의 표시가 가능한 3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를 입력하여 화상을 표시하고 있다. 화소부의 상반부의 화소는, 3번째 계조를 표시하고 있고, 하반부의 화소는 4번째 계조를 표시하고 있다.
도 1a에서, 3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과 4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의 경계가 점선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3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이 증가하였다고 한다. 요컨대, 경계부근에서, 화소는 4번째 계조의 표시로부터 3번째 계조의 표시로 바뀐다.
도 1c1∼도1c2를 참조하면서 계조가 변하는 부분의 화소의 표시를 설명한다. 도 1c1 및 도 1c2는 동적 화상을 표시할 때에 4번째 계조로부터 3번째 계조로 계조가 변하는 화소의 발광 및 비발광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도 1c1은 홀수 라인의 화소의 타이밍도를 나타내고, 도 1c2는 짝수 라인의 화소의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횡축은 시간 경과를 나타낸다. 프레임기간 F1과, 프레임기간 F2에 있어서, 시간의 경과와 동시에 변하는 화소의 표시(발광, 비발광)가 도시되어 있다. 표시기간 Tr1∼Tr3중, 화소가 발광하는 표시기간은 희게 나타내고, 화소가 비발광인 표시기간은 우측 하측방향으로 경사진 사선으로 나타낸다.
프레임기간 F1에 4번째 계조를 표시하고 있는 화소는, 프레임기간 F2동안 3번째 계조를 표시한다. 계조가 바뀔 때에, 경계부근의 홀수 라인의 화소에서는, 프레임기간 F1의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 프레임기간 F2의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 및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 동안 발광 상태가 연속한다(도 1c1). 다시 말하면, 4번째 계조를 표시하기 위한 발광 상태의 직후에 3번째 계조를 표시하기 위한 발광 상태가 시작되어, 1프레임기간의 시간폭에 걸쳐서 발광 상태가 연속한다.
그러나, 이 경계부근의 홀수 라인의 화소에서 표시기간 Tr3, Tr1 및 Tr2 동안 발광 상태가 연속하고 있을 때에, 도 1c2에 발광상태를 나타낸 경계부근의 짝수 라인의 화소에서는, 발광 표시기간 Tr3, 비발광 표시기간 Tr2, 비발광 표시기간 Tr1, 발광 표시기간 Tr3의 순차로 표시기간이 나타난다. 즉, 발광 및 비발광 상태가 교대로 출현한다.
인간의 눈에는 근접한 화소의 휘도가 평균화되어 보인다. 이 때문에, 홀수 라인의 화소에서 발광의 상태가 연속하더라도, 짝수 라인의 화소에서 비발광 상태가 나타나면, 홀수 라인의 화소의 휘도와 짝수 라인의 화소의 휘도가 평균화되어 보여, 표시방해로서 더욱 지각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의사윤곽으로 인한 표시방해가 감소된다.
즉, 인간의 시선이 이동하였을 때에, 발광 또는 비발광이 연속하여 보이는 영역이 잘게 분산되기 때문에, 의사윤곽으로 인한 표시방해가 감소된다.
본 실시형태 1의 구동방법은, 동적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의사윤곽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지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도 의사윤곽으로 인한 표시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a 내지 2c2를 참조하면서, 정지 화상에서 의사윤곽으로 인한 표시방해가 억제되는 이유를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2a에 도시된 m열×n행의 화소가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된 화소부의 표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화소부의 상반부의 화소가 3번째 계조를 표시하고, 하반부의 화소가 4번째 계조를 표시한다.
도 2b1, 도 2b2, 도 2c1, 도 2c2는, 정지 화상을 표시할 때의 화소의 발광 및 비발광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화소가 발광하는 표시기간은 희게 나타내고, 화소가 비발광인 표시기간은 우측 하측방향으로 경사진 사선으로 나타낸다.
도 2b1은 3번째 계조를 표시할 때의 홀수 라인의 화소에서의 타이밍도를 나타내고, 도 2b2는 3번째 계조를 표시할 때의 짝수 라인의 화소에서의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2c1은 4번째 계조를 표시할 때의 홀수 라인의 화소에서의 타이밍도를 나타내고, 도 2c2는 4번째 계조를 표시할 때의 짝수 라인의 화소에서의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실제로는, 이 화소들에 있어서 프레임기간 F가 시작되는 시간은 약간의 어긋남이 있다. 그러나, 이 화소들은, 근접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이 약간의 어긋남은 무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2a의 정지 화상에서, 실선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시선이 3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으로부터 4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으로 이동한 경우를 생각한다. 즉, 시선은 3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과 4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 사이의 경계를 이동한다.
실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것처럼 시선이 이동하기 때문에, 도 2b1에 나타낸 3 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홀수 라인의 화소에서의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과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의 발광, 도 2b2에 나타낸 3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짝수 라인의 화소에서의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의 비발광, 도 2c1에 나타낸 4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홀수 라인의 화소에서의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의 발광 및 도 2c2에 나타낸 4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짝수 라인의 화소에서의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의 비발광이 인식된다. 즉, 화소의 발광 및 비발광이 교대로 인간의 눈에 인식된다.
이와 같이, 시선이 이동하더라도, 화소의 비발광 상태와 발광 상태가 연속하여 지각되지 않기 때문에, 부자연스러운 밝은 선이나 부자연스러운 어두운 선의 발생이 억제된다. 그래서, 의사윤곽으로 인한 표시방해가 감소된다.
반대로, 도 2a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시선이 4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으로부터 3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으로 이동한 경우를 생각한다.
점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것처럼 시선이 이동하므로, 도 2c2에 나타낸 4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짝수 라인의 화소에서의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의 비발광과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의 발광, 도 2c1에 나타낸 4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홀수 라인의 화소에서의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의 비발광과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의 발광, 도 2b2에 나타낸 3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짝수 라인의 화소에서의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의 비발광과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의 발광, 도 2b1에 나타낸 3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홀수 라인의 화소에서의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의 비발광이 인식된다. 즉, 화소의 발광 및 비발광이 교대로 인간의 눈에 인식된다.
이와 같이, 시선이 이동하더라도, 화소의 비발광 상태와 발광 상태가 연속하여 지각되지 않기 때문에, 부자연스러운 밝은 선이나 부자연스러운 어두운 선의 발생이 억제된다. 그래서, 의사윤곽으로 인한 표시방해가 감소된다.
즉, 발광 또는 비발광이 연속하는 영역이 사람의 눈에 지각되기 어려울 정도로 잘게 분산되기 때문에, 의사윤곽으로 인한 표시방해가 지각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 1에 의하면 정지 화상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도, 의사윤곽으로 인한 표시방해가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서 사용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의 화소부(유기발광 디스플레이)를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a는 화소부의 회로이다. 소스신호측 구동회로에 접속된 소스 신호선 S1∼Sm, FPC(Flexible Print Circuit: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를 통해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의 외부 전원에 접속된 전원공급선 V1∼Vm,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에 접속된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1∼Gan 및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에 접속된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 Ge1∼Gen이 화소부(100)에 설치된다.
화소부(100)에는 매트릭스형으로 복수의 화소(110)가 배열된다. 화소(110)의 확대도면을 도 3b에 나타낸다. 각각의 화소는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 소거용 게 이트 신호선 Ge, 소스 신호선 S, 전원공급선 V, 스위칭용 TFT(101), 구동용 TFT(102), 커패시터(103), 소거용 TFT(104) 및 발광소자(105)를 갖는다.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에 스위칭용 TFT(101)의 게이트전극이 접속되어 있다. 스위칭용 TFT(101)의 소스영역과 드레인영역은, 한쪽이 소스 신호선 S에, 다른쪽이 구동용 TFT(102)의 게이트전극, 각 화소가 갖는 커패시터(103) 및 소거용 TFT(104)의 소스영역 또는 드레인영역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커패시터(103)는, 스위칭용 TFT(101)가 오프상태(비선택상태)에 있을 때, 구동용 TFT(102)의 게이트 전압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구동용 TFT(102)의 소스영역과 드레인영역은, 한쪽이 전원공급선 V에 접속되고, 다른 한쪽이 발광소자(105)의 화소전극에 접속된다. 전원공급선 V는, 커패시터(10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소거용 TFT(104)의 소스영역과 드레인영역 중, 스위칭용 TFT(101)의 소스영역 또는 드레인영역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쪽은, 전원공급선 V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소거용 TFT(104)의 게이트전극은,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 Ge에 접속되어 있다.
발광소자(105)는, 전장을 가하여 발생된 전계발광(Electroluminescence)을 얻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층(이하, 유기 화합물층이라고 기재함)과, 양극층과, 음극층을 갖는다. 루미네센스에는, 단일항 여기상태로부터 기저상태로 되돌아갈 때의 발광(형광)과 3중항 여기상태로부터 기저상태로 되돌아갈 때의 발광(인광)을 포 함하고, 본 발명은, 어느 쪽의 발광을 사용한 발광소자에도 적용 가능하다.
발광소자(105)의 양극층이, 구동용 TFT(102)의 소스영역 또는 드레인영역에 접속하는 경우, 양극층이 화소전극, 음극층이 대향전극이 된다. 반대로, 발광소자(105)의 음극층이, 구동용 TFT(102)의 소스영역 또는 드레인영역에 접속하는 경우, 음극층이 화소전극, 양극층이 대향전극이 된다.
발광소자(105)의 대향전극에는 대향전위가 공급된다. 또한, 전원공급선 V는, 전원전위가 공급된다. 그리고, 대향전위와 전원전위의 전위차는, 전원전위가 화소전극에 공급되었을 때에 발광소자가 발광하는 정도의 전위차로 항상 유지된다. 전원전위와 대향전위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의 외부 전원으로부터 FPC를 통해 공급된다. 이때, 대향전위를 공급하는 전원을, 본 명세서에서는 특히 대향전원(106)이라고 부른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회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소에 임의의 타이밍으로 디지털 비디오신호를 기록하고, 이 디지털 비디오신호를 임의의 타이밍으로 소거하면, 본 발명의 구동방법을 할 수 있다. 그와 같은 기능을 표현하도록 화소의 회로를 자유롭게 사용하여도 된다.
도 3a 및 도 3b의 회로에서 화소를 구동할 때의 타이밍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 1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챠트 도면이다.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프레임기간 및 서브프레임기간은, 1번째 라인의 화소 및 2번째 라인의 화소에 관해서만 나타낸다.
1프레임기간을 분할하여 서브프레임기간이 구성된다. 프레임기간의 분할수는 임의이고, 1프레임기간을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1∼n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n으로 분할할 수도 있다. 그러나, 간단함을 위해서, 여기서는, 1프레임기간 F1 및 F2에 각각 3개의 서브프레임기간을 설치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즉, 1프레임기간은,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으로 분할된다.
홀수 라인의 화소(예를 들면, 1번째 라인의 화소)에서는,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1,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2 및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3의 순차로 서브프레임기간이 출현한다.
짝수 라인의 화소(예를 들면, 2번째 라인의 화소)에서는,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1,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3 및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2의 순차로 서브프레임기간이 출현한다.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1은,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과 1번째 비트의 비표시기간 Td1의 조합이다.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2는,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와 2번째 비트의 비표시기간 Td2의 조합이다.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3은,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표시기간 Tr1∼Tr3의 시간폭의 비는 Tr1:Tr2:Tr3=20:21:22가 된다. 각각의 표시기간에서 화소의 발광 및 비발광이 제어되어, 3비트와 8계조의 표시가 행하여진다.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및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이 각각 갖는 비표시기간 Td1 및 Td2는 화소 표시를 하지 않은 기간이다.
기록기간 Ta1∼Ta3은,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1∼Gan에 기록용 선택신호를 입력하는데 필요한 기간이다. 기록기간 Ta1, 기록기간 Ta2 및 기록기간 Ta3으로부터 연속적으로 기록기간이 계속된다.
표시기간이 기록기간보다 짧은 경우는,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에 소거용 선택신호를 입력하여, 화소에 유지된 디지털 비디오신호를 소거한다. 원하는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의 전부에 소거용 선택신호를 입력하는 데 요하는 기간이 소거기간 Te1∼Te3이다.
이때, 소거기간에 소거용 선택신호가 입력된 화소는, 표시기간이 끝나고, 비표시기간이 시작된다.
도 5는 도 4의 챠트로 도시된 구동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으로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과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은 그 개수를 임의로 결정할 수 있지만, 간단함을 위해 그 개수를 감소시켜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기록용 게이트 신호측 구동회로는, 어드레스 디코더를 갖는 구성으로 하여, 임의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에 임의의 타이밍에서 기록용 선택신호를 입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는, 어드레스 디코더를 갖는 구성으로 하여, 임의의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에 임의의 타이밍에서 소거용 선택신호를 입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간단함을 위해서, 프레임기간 F1에서는 모든 화소의 발광소자가 발광하고, 프레임기간 F2에서는 모든 화소의 발광소자가 비발광하는 것으로 도시한다. 이 때문에, 프레임기간 F1 및 프레임기간 F2에 소스 신호선 S1∼Sm 로부터 입력된 신호는 모든 화소에 대해 동일하다.
발광소자가 발광 상태인지 비발광 상태인지는 발광소자의 화소전극과 대향전극의 전위차로 결정된다. 화소전극과 대향전극의 전위차를 OLED1∼OLED8로 나타낸다. OLED1은 1번째 라인의 화소가 갖는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이다. OLED2∼OLED8도 마찬가지로, 2번째 라인의 화소∼8번째 라인의 화소가 갖는 발광소자에 인가된 전압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정극성의 순바이어스전압이 걸리면 발광소자는 발광하고, 정극성의 순바이어스전압이 걸리지 않으면 발광소자는 비발광이 된다.
이들 발광소자의 구동에 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게이트 신호측 구동회로로부터 1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1에 기록용 선택신호가 입력된다. 그 결과, 1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1에 접속된 모든 화소(1번째 라인의 화소)의 스위칭용 TFT가 온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동시에, 소스신호측 구동회로로부 터 소스 신호선 S1∼Sm에 일제히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된다.
본 실시형태 1에서는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L"의 전압인 경우, 구동용 TFT은 온 상태가 된다. 그 결과, "L"의 전압을 갖는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된 화소의 유기발광소자에 순바이어스가 걸려 발광한다.
반대로,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H"의 전압인 경우, 구동용 TFT은 오프 상태가 된다. 그 결과, "H"의 전압을 갖는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된 화소의 유기발광소자에 순바이어스는 걸리지 않아 비발광이 된다.
이와 같이, 1번째 라인의 화소에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되면서 동시에, 1번째 라인의 화소가 발광 또는 비발광 제어되어, 1번째 라인의 화소는 표시를 되고, 1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이 시작된다.
다음에, 1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1에의 기록용 선택신호의 입력이 끝나면서 동시에, 2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2에 기록용 선택신호가 입력된다.
1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1(첫번째 게이트 신호선 선택기간)에 기록용 선택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기간이 라인기간(△G)이다. 이때, 라인기간은, 2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2∼n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n에 선택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2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2에 접속된 모든 화소의 스위 칭용 TFT가 온 상태가 되어, 2번째 라인의 화소에 소스 신호선 S1∼Sm로부터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된다. 그래서, 2번째 라인의 화소는, 표시를 행하여, 2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이 시작된다.
이후, 3번째 라인의 화소와 4번째 라인의 화소 순서로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된다.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1∼Gan에 기록용 선택신호가 순차로 입력되어, 모든 라인의 화소에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되기까지의 기간이 기록기간 Ta1이다.
기록기간 Ta1과 비교하여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이 짧고, 기록기간 Ta1이 끝나기 전에 1번째 라인의 화소에 유지된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소거되어야 한다. 그래서, 소거용 게이트 신호측 구동회로로부터 1번째 라인의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에 소거용 선택신호를 입력한다.
1번째 라인의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 Ge1에 소거용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1번째 라인의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 Ge1에 접속된 모든 화소(1번째 라인의 화소)의 소거용 TFT가 온 상태가 된다. 그리고, 구동용 TFT의 게이트전극이 유지하고 있는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는, 소거용 선택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소거된다.
1번째 라인의 화소의 유지하고 있는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소거되면, 1번째 라인의 화소의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이 끝나고 1번째 비트의 비표시기간 Td1이 시작된다.
그리고, 1번째 라인의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 Ge1에의 소거용 선택신호의 입력이 끝나면서 동시에, 2번째 라인의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 Ge2에 소거용 선택신호가 입력된다. 그 결과, 2번째 라인의 화소가 갖는 유기발광소자는 모두 비발광 상태가 되고 표시를 행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2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이 끝나고 1번째 비트의 비표시기간 Td1이 시작된다.
이후, 3번째 라인의 화소와 4번째 라인의 화소의 순서로 화소가 유지하고 있는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소거된다.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 Ge1∼Gen에 소거용 선택신호가 순차로 입력되어, 모든 라인의 화소로부터 소거된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소거되기까지의 기간이 소거기간 Te1이다.
소거기간 Te1 동안 화소가 유지하는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의 소거를 하는 사이에, 기록기간 Ta1이 끝나고, 기록기간 Ta2가 시작된다. 그리고, 1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1에 기록용 선택신호가 입력되어, 1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1에 접속된 모든 스위칭용 TFT가 온의 상태가 된다. 동시에, 소스 신호선 S1∼Sm으로부터 2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된다. 그 결과, 1번째 라인의 화소는 다시 표시를 하고, 1번째 비트의 비표시기간 Td1이 끝나고,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가 시작된다.
다음에, 2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2에 기록용 선택신호가 입력되 고, 3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2번째 라인의 화소에 입력된다. 그 결과, 2번째 라인의 화소는 다시 표시를 하여, 1번째 비트의 비표시기간 Td1이 끝나고,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이 시작된다.
이와 같이, 1번째 비트의 비표시기간 Td1이 끝나면, 1번째 라인의 화소에서는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가 시작되고, 2번째 라인의 화소에서는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이 시작된다.
다음에, 3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3을 갖는 화소에 2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되고, 3번째 라인의 화소는 다시 표시를 하여,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가 시작된다.
또한, 4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4를 갖는 화소에 3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되고, 4번째 라인의 화소는 다시 표시를 행하여,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이 시작된다.
이후, 5번째 라인의 화소와 6번째 라인의 화소의 순차로, 홀수 라인의 화소에는 2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되고, 짝수 라인의 화소에는 3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된다.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1∼Gan에 기록용 선택신호가 순차로 입력되고, 모든 라인의 화소에 2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 또는 3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를 입력하는 기간이 기록기간 Ta2이다.
이 홀수 라인의 화소가 표시를 하는 동안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는, 기록기간 Ta2와 비교하여 짧기 때문에, 기록기간 Ta2가 끝나기 전에 소거기간 Te2를 형성하여, 홀수 라인의 화소가 유지하는 2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를 소거해야 한다. 소거기간 Te2에는 홀수 라인의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에만, 소거용 선택신호를 입력한다.
우선,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로부터 1번째 라인의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 Ge1에 소거용 선택신호가 입력된다. 따라서, 1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가 종료하고 2번째 비트의 비표시기간 Td2가 시작된다.
1번째 라인의 화소와 3번째 라인의 화소에 대해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가 같기 때문에, 1번째 라인의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 Ge1에의 소거용 선택신호의 입력이 끝나고 나서, 소정기간 뒤에 3번째 라인의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 Ge3에 소거용 선택신호를 입력한다. 3번째 라인의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 Ge3에 소거용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3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가 끝나고, 2번째 비트의 비표시기간 Td2가 시작된다.
이후, 5번째 라인의 화소와 7번째 라인의 화소가 순차로 홀수 라인의 화소로부터 이 홀수 라인의 화소가 유지하는 2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소거된다. 홀수 라인의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에 소거용 선택신호가 순차로 입력되고, 모 든 홀수 라인의 화소가 유지하고 있는 2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소거되기까지의 기간이 소거기간 Te2이다.
모든 짝수 라인의 화소는,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의 표시를 하므로, 소거기간 Te2에서는 소거용 선택신호가 입력되지 않는다.
소거기간 Te2 동안 화소가 유지하는 2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를 소거하는 사이에, 기록기간 Ta2가 끝나고, 기록기간 Ta3이 시작된다. 1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1에 기록용 선택신호가 입력되고, 1번째 라인의 화소에 3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된다. 그 결과, 1번째 라인의 화소는 다시 표시를 행하여, 2번째 비트의 비표시기간 Tr2가 끝나고,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이 시작된다.
이어서, 게이트 신호측 구동회로로부터 2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2로 기록용 선택신호가 입력되고, 소스 신호선 S1∼Sm으로부터 2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된다.
이와 같이, 1번째 라인의 화소에서는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이 시작되고, 2번째 라인의 화소에서는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가 시작된다.
이어서, 3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3을 갖는 화소에 3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되고,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가 끝나고, 3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이 시작된다.
이어서, 4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4를 갖는 화소에 2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되고,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이 끝나고, 4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가 시작된다.
이후, 홀수 라인의 화소, 5번째 라인의 화소 및 7번째 라인의 화소에는 3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되어,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이 시작된다. 짝수 라인의 화소에는 2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되어,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가 시작된다.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1∼Gan에 기록용 선택신호가 순차 입력되어, 모든 라인의 화소에 2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 또는 3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를 입력하는 기간이 기록기간 Ta3이다.
이 짝수 라인의 화소가 표시를 행하는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는, 기록기간 Ta3과 비교하여 짧고, 기록기간 Ta3이 끝나기 전에 소거기간 Te3을 설치하여, 짝수 라인의 화소가 유지하는 2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를 소거해야 한다. 따라서, 소거기간 Te3에서는 짝수 라인의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에만, 소거용 선택신호를 입력한다.
우선, 소거용 게이트 신호측 구동회로로부터 2번째 라인의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 Ge2에 소거용 선택신호가 입력된다. 따라서, 2번째 라인의 화소에 있어서 2번 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가 종료하여 2번째 비트의 비표시기간 Td2가 시작된다. 따라서, 2번째 라인의 화소는 표시를 하지 않게 된다.
2번째 라인의 화소와 4번째 라인의 화소에 대해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가 같으므로, 2번째 라인의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 Ge2에의 소거용 선택신호의 입력이 끝나면, 소정기간 뒤에 4번째 라인의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 Ge4에 소거용 선택신호를 입력한다. 4번째 라인의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 Ge4에 소거용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4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가 끝나고, 2번째 비트의 비표시기간 Td2가 시작된다.
그리고, 순차로 모든 짝수 라인의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에 소거용 선택신호가 입력된다. 짝수 라인의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이 순차로 선택되고, 모든 짝수 라인의 화소가 유지하고 있는 2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소거되기까지의 기간이 소거기간 Te3이다.
모든 홀수 라인의 화소는,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의 표시를 하기 때문에, 소거기간 Te3에서는 소거용 선택신호가 입력되지 않는다.
기록기간 Ta3이 끝나면 1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프레임기간 F2가 시작된다. 프레임기간 F2에서 기록기간 Ta1이 시작되면, 1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1에 기록용 선택신호가 입력되어, 1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 이 끝나고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이 시작된다.
이어서, 2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2에 기록용 선택신호가 입력되어, 2번째 라인의 화소에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된다. 그 결과, 2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2번째 비트의 비표시기간 Td2가 종료하고,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이 시작된다.
이와 같이 하여서, 프레임기간 F2라도 홀수 라인의 화소에서는,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 및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의 순차로 표시기간이 출현한다. 즉,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1,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2,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3의 순차로 서브프레임기간이 출현한다.
또한, 짝수 라인의 화소에서는,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의 순차로 표시기간이 출현한다. 즉,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1,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3,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2의 순차로 서브프레임기간이 출현한다.
상술한 동작을 프레임기간마다 반복하여, 화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한다. 이렇게 해서, 짝수 라인의 화소와 홀수 라인의 화소 사이에서 출현하는 서브프레임기간의 순서를 바꿀 수 있다.
1프레임기간 동안에 발광소자가 발광한 표시기간의 길이의 총합을 구함으로써, 그 1프레임기간에서의 화소를 표시하는 계조가 정해진다.
본 실시형태 1에서는, 3비트 8계조를 표시하여,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1∼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3을 설치할 때에, 각각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1∼Ga8에 기록용 선택신호를 입력하는 회수는 3회이다. 1프레임기간에 신호를 입력하는 회수는 공지의 방법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전하를 충방전하는 회수가 증가되는 것과 구동회로의 주파수가 증가하는 것이 억제되어, 소비전력은 공지의 방법의 것과 다르지 않다. 그 결과, 의사윤곽으로 인한 표시방해를, 소비전력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서, 홀수 라인의 화소는 프레임기간 F1에서는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및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의 순차로 서브프레임기간을 출현시키고, 프레임기간 F2에서는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및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의 순차로 서브프레임기간을 출현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술한 실시형태 1에서 서브프레임기간의 출현순서는, 프레임기간 F1과 프레임기간 F2기간과 같게 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프레임기간마다 서브프레임기간이 출현하는 순서를 바꾸어도 된다.
이 경우, 짝수 라인의 화소는 프레임기간 F1에서는,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및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의 순차로 서브프레임기간을 출현시키고, 프레임기간 F2에서는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및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의 순차로 서브프레임기간을 출현시킬 수 있다.
이때, 본 실시형태 1은 실시형태 5 및 6과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 발광 디스플레이(유기발광 디스플레이)에 본 발명을 사용한 예를 게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을 시분할 계조로써 표시를 하는 FED(Field Emission Display), PDP(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강유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방법을 시분할 계조 방법에만 적용하면, 모든 형태의 구성을 갖는 표시장치를 사용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가 TFT 또는 TFD(박막 다이오드) 등의 소자를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고, 액티브 매트릭스 디스플레이가 수행되어야할 필요가 없다. 즉, 본 발명은, 전형적으로 강유전 LCD와 같은 패시브 매트릭스 디스플레이를 수행시키는 표시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 영역 계조방법과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 1에 의하면, 발광 또는 비발광이 연속하는 부분의 면적이 인간의 눈의 분해능으로 지각되지 않은 정도로 감소하는 것이 가능하여, 의사윤곽으로 인한 표시방해가 억제된다. 아울러, 서브프레임기간의 분할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의사윤곽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구동회로의 구동성능에 상관없이 표시품질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소비전력을 증가시키지 않고 양호한 표시품질을 실현한다.
실시형태 2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이하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은 아래 도시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 2에서는, 홀수 라인의 화소와 짝수 라인의 화소 사이에서 프레임기간이 시작되는 시간이 크게 다른 구성을 나타낸다. 바꿔 말하면, 본 실시형태 2에서는, 홀수 라인의 화소와 짝수 라인의 화소 사이에서 서브프레임기간이 출현하는 순서는 동일하지만, 이것들의 서브프레임기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기간이 시작되는 시간이 크게 변동한다.
본 실시형태 2를 도 6a 내지 도 6c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실시형태 1과 동일한 요소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도 6a에 화소부의 표시를 나타낸다. 도 6a에서는, 도 1a의 표시와 마찬가지로, 1∼8번째 계조의 표시가 가능한 3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를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하고 있다. 화소부의 상반부가 3번째 계조를 표시하고, 하반부가 4번째 계조를 표시한다.
동적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예를 들면 도 6a에서, 3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과 4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의 경계가 실선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하였다고 한다. 요컨대, 경계부근에서, 화소는 3번째 계조의 표시로부터 4번째 계조의 표시로 바뀐다.
도 6b1 및 도 6b2를 참조하면서 화소 표시를 설명한다. 도 6b1 및 도 6b2는 동적 화상을 표시할 때에 3번째 계조로부터 4번째 계조로 계조가 변하는 화소의 발 광 및 비발광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6b1은 홀수 라인의 화소의 타이밍도이고, 도 6b2는 짝수 라인의 화소의 타이밍도이다. 화소가 발광하는 표시기간은 희게 나타내고, 화소가 비발광인 표시기간은 우측 하측방향으로 경사진 사선으로 나타낸다.
프레임기간 F0∼F2가 시작되는 시간은, 홀수 라인의 화소와 짝수 라인의 화소간에서 크게 다르다. 그러므로, 프레임기간을 분할하여 구성되는 서브프레임기간과 각각의 서브프레임기간에 포함되는 표시기간 Tr1∼Tr3이 시작되는 시간도, 홀수 라인의 화소와 짝수 라인의 화소 사이에 크게 다르다. 이 때문에, 동일한 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경우도 1번째 라인의 화소와 2번째 라인의 화소 사이에 발광 및 비발광 수행기간이 변동된다.
계조가 바뀔 때에, 프레임기간 F1에 3번째 계조를 표시하고 있는 화소는, 프레임기간 F2에 4번째 계조를 표시한다. 그래서, 경계부근의 홀수 라인의 화소에서는, 표시기간 Tr3, Tr1 및 Tr2 동안 비발광 상태가 연속한다(도 6b1). 바꿔 말하면, 3번째 계조를 표시하기 위한 비발광 상태의 직후에 4번째 계조를 표시하기 위한 비발광 상태가 시작되어, 1프레임기간의 시간폭에 걸쳐 비발광 상태가 연속한다.
그러나, 이 경계부근의 홀수 라인의 화소에서 표시기간 Tr3, Tr1 및 Tr2 동안 비발광 상태가 연속할 때에, 도 6b2에 발광상태를 나타낸 경계부근의 짝수 라인의 화소에서는, 프레임기간 F1의 표시가 행하여져, 화소가 발광 상태인 표시기간 Tr1 및 Tr2 다음에 화소가 비발광 상태인 표시기간 Tr3이 연속한다. 요컨대, 발광 및 비발광이 순차로 행해진다.
사람의 눈에는 근접한 화소의 휘도가 평균화되어 보인다. 이 때문에, 홀수 라인의 화소에서 비발광의 표시기간이 연속하더라도, 짝수 라인의 화소에서 발광 및 비발광의 표시기간이 나타나면, 홀수 라인의 화소의 휘도와 짝수 라인의 화소의 휘도가 평균화되어 보인다. 그래서 표시방해로서 지각되기 어렵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의사윤곽으로 인한 표시방해가 감소된다.
또한, 도 6a에서, 3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과 4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의 경계가 점선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하였다고 한다. 요컨대, 경계부근에서, 화소는 4번째 계조의 표시로부터 3번째 계조의 표시로 바뀐다.
도 6c1∼도 6c2를 참조하면서, 화소 표시를 설명한다. 도 6c1 및 도 6c2는 동적 화상을 표시할 때에 4번째 계조로부터 3번째 계조로 계조가 변하는 화소의 발광을 나타낸다. 도 6c1은 홀수 라인의 화소에 대한 타이밍도이고, 도 6c2는 짝수 라인의 화소에 대한 타이밍도이다. 화소가 발광하는 표시기간은 희게 나타내고, 화소가 비발광하는 표시기간은 우측 하측방향으로 경사진 사선으로 나타낸다.
계조가 바뀔 때에, 프레임기간 F1에 4번째 계조를 표시하고 있는 화소는, 프레임기간 F2에 3번째 계조를 표시한다. 경계부근의 홀수 라인의 화소에서는, 표시기간 Tr3, Tr1 및 Tr2 동안 발광 상태가 연속한다(도 6c1). 다시 말하면, 4번째 계조를 표시하기 위한 발광 상태의 직후에 3번째 계조를 표시하기 위한 발광 상태가 시작 되어, 1프레임기간의 시간폭에 걸쳐서 발광 상태가 연속한다.
그러나, 이 경계부근의 홀수 라인의 화소에서 표시기간 Tr3, Tr1 및 Tr2 동안 발광 상태가 연속할 때에, 도 6c2에 발광상태를 나타낸 경계부근의 짝수 라인의 화소에서는, 프레임기간 F1의 표시가 행하여져, 화소가 비발광 상태의 표시기간 Tr1 및 Tr2에 이어서, 화소가 발광 상태인 표시기간 Tr3이 연속한다. 요컨대, 발광 및 비발광이 순차로 행해진다.
인간의 눈에는 근접한 화소의 휘도가 평균화되어 보인다. 이 때문에, 홀수 라인의 화소에서 발광 표시기간이 연속하더라도, 짝수 라인의 화소에서 발광 및 비발광의 표시기간이 나타나면, 홀수 라인의 화소의 휘도와 짝수 라인의 화소의 휘도가 평균화되어 보인다. 그래서, 표시방해로서 지각되기 어렵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의사윤곽으로 인한 표시방해가 감소된다.
본 실시형태 2의 구동방법은, 동적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의사윤곽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지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도 의사윤곽으로 인한 표시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2를 참조하면서, 정지 화상에서 의사윤곽으로 인한 표시방해가 억제되는 이유를 설명한다. 도 7a에 화소부의 표시를 나타내고, 도 7b1, 7b2, 7c1 및 7c2에 화소부에서 프레임기간에 출현하는 표시기간 Tr1∼Tr3을 나타낸다. 화소가 발광하는 표시기간은 희게 나타내고, 화소가 비발광인 표시기간은 우측 하측방향으로 경사진 사선으로 나타낸다.
도 7b1은 3번째 계조를 표시할 때의 홀수 라인의 화소에서의 발광 및 비발광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프레임기간 F1에 표시기간 Tr1, 표시기간 Tr2 및 표시기간 Tr3의 순차로 표시가 된다. 도 7b2는 3번째 계조를 표시할 때의 짝수 라인의 화소에서의 발광 및 비발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짝수 라인의 화소에서는, 홀수 라인의 화소가 상술한 표시를 하고 있을 때에, 프레임기간 F0의 표시기간 Tr3의 표시가 된다. 이어서, 프레임기간 F1의 표시기간 Tr2 및 표시기간 Tr3의 순차로 표시가 된다.
또한, 도 7c1은 4번째 계조를 표시할 때의 홀수 라인의 화소에서의 발광 및 비발광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7c2는 4번째 계조를 표시할 때의 짝수 라인의 화소에서의 발광 및 비발광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프레임기간 F0∼F1이 시작되는 때가, 홀수 라인의 화소와 짝수 라인의 화소 사이에 크게 다르다. 그에 따라 프레임기간을 분할하여 구성되는 서브프레임기간과 각각의 서브프레임기간에 포함되는 표시기간 Tr1∼Tr3이 시작되는 때도, 홀수 라인의 화소와 짝수 라인의 화소 사이에서 크게 다르다. 따라서, 1번째 라인의 화소와 2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같은 번째 계조를 표시할 때도, 발광 및 비발광을 행하는 기간이 변동한다.
예를 들면, 도 7a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시선이 3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으로부터, 4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으로 이동한 경우를 생각한다. 요 컨대, 시선은 3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과 4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의 경계부근을 이동한다.
인간의 눈은 실선과 같이 이동하여, 3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홀수 라인의 화소에서의 표시기간 Tr1 및 Tr2의 발광(도 7b1), 3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짝수 라인의 화소에서의 표시기간 Tr3의 비발광(도 7b2), 4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홀수 라인의 화소에서의 표시기간 Tr3의 발광(도 7c1) 및 4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짝수 라인의 화소에서의 표시기간 Tr2의 비발광(도 7c2)이 인간의 눈에 인식된다. 바꿔 말하면, 발광 상태와 비발광 상태가 교대로 인식된다.
따라서, 시선이 이동하더라도, 화소의 비발광 상태와 발광 상태가 연속하여 지각되지 않는다. 따라서, 부자연스러운 밝은 선이나 부자연스러운 어두운 선의 발생이 억제되어, 의사윤곽으로 인한 표시방해가 감소된다.
반대로, 도 7a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시선이 4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으로부터 3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으로 이동하였다고 한다. 요컨대, 시선은 4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과 3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부분의 경계부근을 이동한다.
인간의 눈은 점선과 같이 이동하여, 4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짝수 라인의 화소에서의 표시기간 Tr3의 비발광(도 7c2), 4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홀수 라인의 화소에서의 표시기간 Tr2의 비발광(도 7c1), 3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짝수 라인의 화소에 서의 표시기간 Tr3의 비발광, 표시기간 Tr1의 발광(도 7b2) 및 3번째 계조를 표시하는 홀수 라인의 화소에서의 표시기간 Tr3의 비발광(도 7b1)이 인간의 눈에 인식된다. 바꿔 말하면, 화소의 발광과 비발광이 교대로 인식된다.
따라서, 시선이 이동하더라도, 화소의 비발광 상태와 발광 상태가 연속하여 지각되는 것은 없다. 그러므로, 부자연스러운 밝은 선이나 부자연스러운 어두운 선의 발생이 억제되어, 의사윤곽으로 인한 표시방해가 감소된다.
본 실시형태 2에 의하면 정지 화상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도, 의사윤곽으로 인한 표시방해가 억제될 수 있다.
화소 구동 타이밍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형태 2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챠트 도면이다. 간단함을 위해, 프레임기간과 서브프레임기간은 1번째 라인의 화소와 2번째 라인의 화소에 관해서만 나타낸다.
1프레임기간을 분할하여 서브프레임기간이 구성된다. 프레임기간의 분할수는 임의이고, 1프레임기간을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1∼n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n으로 분할할 수도 있다. 그러나, 간단함을 위해 1프레임기간에 3개의 서브프레임기간을 설치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즉, 1프레임기간은,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으로 분할된다.
모든 화소에서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1,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 기간 SF2 및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3의 순차로 서브프레임기간이 출현한다. 그러나, 홀수 라인의 화소(예를 들면, 1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이 시작되는 때와 비교하여, 짝수 라인의 화소(예를 들면, 2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이 시작되는 때가 크게 어긋나 있다.
서브프레임기간은, 표시기간 Tr1 및 Tr2와 비표시기간 Td1 또는 표시기간 Tr3만으로 구성된다. 그 표시기간 동안, 화소는 발광 상태 또는 비발광 상태가 되어 표시를 한다. 비표시기간 동안은, 화소가 비발광 상태가 되어 표시를 하지 않는다.
기록기간 Ta1∼Ta4는,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1∼Gan에 기록용 선택신호를 입력하기 위해서 요하는 기간이다.
표시기간보다 기록기간이 긴 경우는, 표시기간이 끝나고 나서 화소에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으로부터 소거용 선택신호를 입력한다. 소거기간 Te1 및 Te2는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 Ge1∼Gen에 소거용 선택신호를 입력하는데 필요한 기간이다. 실시형태 2에서는,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만이 기록기간에 비교하여 짧고, 1번째 라인의 화소 또는 2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표시기간 Tr1이 끝난 후에 소거기간 Te1 또는 소거기간 Te2가 설정된다.
도 9는 도 8의 챠트 도면에 도시되는 구동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으로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과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은 그 개수를 임의로 결정할 수 있지만, 간단함을 위해 그 개수를 감소시켜서 설명한다.
또한, 간단함을 위해, 프레임기간 F0 및 F1에서는 모든 화소가 발광하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프레임기간 F0 및 F1에 소스 신호선 S1∼S m으로부터 입력하는 신호는 모든 화소에서 동일하다.
프레임기간 F0 및 F1은, 각각 서브프레임기간 SF1∼SF3으로 분할된다.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1은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과 1번째 비트의 비표시기간 Td1로 구성된다.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2는,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 로 구성된다.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3은,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 2에서는, 짝수 라인의 화소 및 홀수 라인의 화소도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 및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의 순차로 표시기간이 출현한다. 그러나, 짝수 라인의 화소와 홀수 라인의 화소에서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이 출현하는 때가 크게 어긋나 있다. 따라서, 홀수 라인의 화소에서 프레임기간 F1의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과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를 표시하고, 짝수 라인의 화소에서는 프레임기간 F0의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의 표시가 행하여진다.
먼저, 게이트 신호측 구동회로로부터 1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1에 기록용 선택신호가 입력된다. 그 결과, 1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1에 접속된 모든 화소의 스위칭용 TFT는 온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동시에, 소스신호측 구동회로로부터 소스 신호선 S1∼Sm에 일제히 프레임기간 F1의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된다.
이와 같이, 1번째 라인의 화소에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되면서 동시에, 1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발광 또는 비발광이 제어된다. 1번째 라인의 화소는 표시를 행하여,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이 시작된다. 이때, 이 1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행해지는 표시는, 프레임기간 F1의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의 표시이다.
1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1에의 기록용 선택신호의 입력이 끝남과 동시에, 2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2에 마찬가지로 기록용 선택신호가 입력된다. 그리고, 2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2에 접속된 모든 화소의 스위칭용 TFT가 온의 상태가 되어, 2번째 라인의 화소에 소스 신호선 S1∼Sm으로부터 3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된다. 2번째 라인의 화소는 표시를 행하여,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이 시작된다. 이때, 이 2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행해지는 표시는, 프레임기간 F0의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의 표시이다.
1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프레임기간 F1의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의 표시가 행하여지고, 2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의 표시가 행하여진 다.
2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2에의 기록용 선택신호의 입력이 종료됨과 동시에, 3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3에 마찬가지로 기록용 선택신호가 입력되어, 3번째 라인의 화소에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된다. 이렇게 하여, 3번째 라인의 화소는 표시를 하고,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이 시작된다. 이때, 이 3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행해지는 표시는, 프레임기간 F1의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의 표시이다.
3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3에의 기록용 선택신호의 입력이 끝남과 동시에, 4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4에 마찬가지로 기록용 선택신호가 입력되어, 4번째 라인의 화소에 3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된다. 그리고, 4번째 라인의 화소는 표시를 하고, 프레임기간 F0의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이 시작된다. 이때, 이 3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행해지는 표시는, 프레임기간 F0의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의 표시이다.
이후, 5번째 라인의 화소와 6번째 라인의 화소 순차로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 또는 3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된다.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1∼Gan에 기록용 선택신호가 순차 입력되어, 모든 라인의 화소에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 또는 3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될 때까지의 기간 이 기록기간 Ta1이다.
기록기간 Ta1과 비교하여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이 짧고, 기록기간 Ta1이 끝나기 전에 소거기간 Te1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의 입력과 병행하여, 소거용 게이트 신호측 구동회로로부터 홀수 라인의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에만 소거용 선택신호를 입력한다.
1번째 라인의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 Ge1에 소거용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1번째 라인의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 Ge1에 접속된 모든 화소(1번째 라인의 화소)의 소거용 TFT이 온의 상태가 된다. 그리고, 구동용 TFT의 게이트전극이 유지하고 있는 1 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는, 소거용 선택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소거된다.
1번째 라인의 화소가 유지하고 있는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소거되면, 1번째 라인의 화소의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이 끝나고, 프레임기간 F1의 1번째 비트의 비표시기간 Td1이 시작된다.
1번째 라인의 화소와 3번째 라인의 화소에 대해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이 같기 때문에, 1번째 라인의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 Ge1에의 소거용 선택신호의 입력이 끝나고 나서, 소정기간 다음에 3번째 라인의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 Ge3에 소거용 선택신호를 입력한다. 3번째 라인의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 Ge3에 소거용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3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이 끝나고, 프레임기간 F1의 1번째 비트의 비표시기간 Td1이 시작된다.
이후, 5번째 라인의 화소와 7번째 라인의 화소 순차로 홀수 라인의 화소가 유지하는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소거된다. 모든 홀수 라인의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에 소거용 선택신호가 순차 입력되어, 모든 홀수 라인의 화소가 유지하고 있는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소거되기까지의 기간이 소거기간 Te1이다.
모든 짝수 라인의 화소는, 소거기간 Te1 동안 프레임기간 F0의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의 표시를 하므로, 소거기간 Te1에서는 소거신호가 입력되지 않는다.
소거기간 Te1 동안 홀수 라인의 화소가 유지하는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의 소거를 하는 동안에, 기록기간 Ta1이 끝나고, 기록기간 Ta2가 시작된다. 그리고, 1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1에 기록용 선택신호가 입력되어, 1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1에 접속된 모든 스위칭용 TFT이 온의 상태가 된다. 동시에, 소스 신호선 S1∼Sm으로부터 2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된다. 그 결과, 1번째 라인의 화소는 다시 표시를 하고, 1번째 비트의 비표시기간 Td1이 끝나고,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가 시작된다. 이때, 이 1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행해지는 표시는, 프레임기간 F1의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의 표시이다.
다음에, 1번째 라인의 화소의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와 3번째 라인의 화소의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가 같기 때문에, 1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1에의 기록용 선택신호의 입력이 끝난 후의 소정기간 뒤에 3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2에 기록용 선택신호를 입력한다. 이때, 이 3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행해지는 표시는, 프레임기간 F1의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의 표시이다.
이후, 5번째 라인의 화소와 7번째 라인의 화소 순차로 2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된다.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1∼Gan에 기록용 선택신호가 순차 입력되어, 모든 홀수 라인의 화소에 2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되기까지의 기간이 기록기간 Ta2이다.
홀수 라인의 화소의 기록기간 Ta2 동안, 프레임기간 F0의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의 표시가 행하여진다.
그리고, 맨 마지막 줄의 홀수 라인의 화소에 2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되면, 기록기간 Ta2가 끝나고, 소정기간 후, 기록기간 Ta3이 시작된다. 이때, 이 맨 마지막 줄의 홀수 라인의 화소에서 행해지는 표시는, 프레임기간 F1의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의 표시이다. 그리고, 1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1에 기록용 선택신호가 입력되고, 1번째 라인의 화소에 3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된다. 그 결과, 1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가 끝나고,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이 시작된다.
이어서, 게이트 신호측 구동회로로부터 2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2에 기록용 선택신호가 입력되고, 소스 신호선으로부터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된다. 그 결과, 2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프레임기간 F0의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가 끝나고, 프레임기간 F1의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이 시작된다.
1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프레임기간 F1의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이 시작되고, 2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프레임기간 F1의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이 시작된다.
다음에, 3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3을 갖는 화소에 3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된다. 3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가 끝나고,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이 시작된다. 이때, 이 3번째 라인의 화소로 수행되는 표시는, 프레임기간 F1의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의 표시이다.
또한, 4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4를 갖는 화소에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된다. 4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프레임기간 F0의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이 끝나고, 프레임기간 F1의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이 시작된다.
이후, 5번째 라인의 화소와 6번째 라인의 화소에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 된다. 홀수 라인의 화소에는 3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되고, 프레임기간 F0의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이 시작된다. 짝수 라인의 화소에는, 프레임기간 F1의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되고,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이 시작된다. 모든 라인의 화소에 3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 또는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를 입력하는 기간이 기록기간 Ta3이다.
기록기간 Ta3과 비교하여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이 짧으므로, 기록기간 Ta3이 끝나기 전에 소거기간 Te2를 설치하고, 짝수 라인의 화소가 유지하는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를 소거해야 한다. 따라서, 소거기간 Te2에는 짝수 라인의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에만, 소거용 선택신호를 입력한다.
우선,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로부터 2번째 라인의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 Ge2에 소거용 선택신호가 입력된다. 따라서, 2번째 라인의 화소에 있어서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이 종료하고, 1번째 비트의 비표시기간 Td1이 시작된다.
2번째 라인의 화소의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과 4번째 라인의 화소의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이 같으므로, 2번째 라인의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 Ge2에의 소거 선택신호의 입력 후 소정 기간 뒤에 오는 4번째 라인의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 Ge4에 소거용 선택신호가 입력된다.
이후, 6번째 라인의 화소와 8번째 라인의 화소 순차로 짝수 라인의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에 소거용 선택신호가 입력된다. 짝수 라인의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이 순차 선택되어, 모든 짝수 라인의 화소가 유지하고 있는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소거되기까지의 기간이 소거기간 Te2이다.
소거기간 Te2에서 짝수 라인의 화소가 유지하는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의 소거를 행하는 동안에, 기록기간 Ta3이 끝나고, 기록기간 Ta4가 시작된다. 그리고, 2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2에 기록용 선택신호가 입력되고, 2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2에 접속된 모든 스위칭용 TFT가 온 상태가 된다. 동시에, 소스 신호선(S1∼Sm)으로부터 2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된다. 그 결과, 2번째 라인의 화소는 다시 표시를 하여, 1번째 비트의 비표시기간 Td1이 끝나고,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가 시작된다. 이때, 이 짝수 라인의 화소로 행해지는 표시는, 프레임기간 F1의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의 표시이다.
이후, 4번째 라인의 화소와 6번째 라인의 화소에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된다. 짝수 라인의 화소에 2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되고,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가 시작된다. 모든 짝수 라인의 화소에 2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신호를 입력하는 기간이 기록기간 Ta4이다.
이상으로, 홀수 라인의 화소일 경우, 프레임기간 F1의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 및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이 출현하고, 짝수 라인의 화소일 경우, 프레임기간 F0의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이 출현하고, 프레임기간 F1의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과 2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2가 출현하는 곳까지 설명하였다. 이후, 마찬가지의 순서로 표시기간 Tr1∼Tr3을 출현시키고, 화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한다. 짝수 라인의 화소와 홀수 라인의 화소에서 프레임기간이 시작되는 때, 즉 임의의 서브프레임기간이 시작되는 때는 크게 변동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 2에 의하면, 발광 또는 비발광이 연속하는 부분의 면적이 인간의 눈의 분해능으로 지각되지 않은 정도로 감소하는 것이 가능하여, 의사윤곽으로 인한 표시방해가 억제될 수 있다. 아울러, 서브프레임기간의 분할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의사윤곽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구동회로의 구동성능에 상관없이 표시품질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소비전력을 증가시키지 않고 양호한 표시품질을 실현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형태 2와 실시형태 5, 6을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3에서는, 홀수 라인의 화소와, 짝수 라인의 화소 사이에서, 서브프레임기간이 출현하는 순서 및 서브프레임기간이 시작되는 시간을 바꾼 것이다.
본 실시형태 3의 구성을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9와 같은 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이 도면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1번째 라인의 화소의 프레임기간, 서브프레임기간, 표시기간, 및 비표시기간과, 2번째 라인의 화소 의 프레임기간, 서브프레임기간, 표시기간, 및 비표시기간이 도시되어 있다.
홀수 라인의 화소(예를 들면, 1번째 라인의 화소)에서는, 프레임기간 F1에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1,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2,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3의 순서로 서브프레임기간이 출현한다.
짝수 라인의 화소(예를 들면, 2번째 라인의 화소)에서는, 프레임기간에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1,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3,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2의 순서로 서브프레임기간이 출현한다.
홀수 라인의 화소(예를 들면, 1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프레임기간이 시작되는 시간과 짝수 라인의 화소(예를 들면 2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프레임기간이 시작되는 시간은 크게 다르다. 여기서는, 프레임기간의 처음에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이 형성되므로, 홀수 라인의 화소와 짝수 라인의 화소에서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이 시작되는 시간은 크게 다르다. 따라서, 같은 계조를 표시할 때에 화소가 발광, 비발광을 행하는 시간이 크게 다르다.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은 1번째 비트 표시기간 Tr1과 1번째 비트의 비표시기간 Td1로 구성된다.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은 2번째 비트 표시기간 Tr2만으로 구성된다.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은 3번째 비트 표시기간 Tr3만으로 구성된다.
실시형태 3은 각종의 신호를 나타낸 도 10의 타이밍도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실시형태 1 및 2와 동등의 요소는 같은 부호를 붙인다. 또한, 간략을 기하기 위해, 프레임기간 F1 중에는 모든 화소의 발광소자가 발광하는 것을 도시한다. 따라서, 프레임기간 F1에 소스 신호선 S1∼Sm에서 입력하는 신호는 모든 화소에 대해 동일하다.
이하에서,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1∼Ga8, 소스 신호선 S1∼Sm,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 Ge1∼Ge8, 발광소자 OLED1∼OLED8에 입력되는 신호를 사용하여, 홀수 라인의 화소와 짝수 라인의 화소에서 서브프레임기간의 출현 순서, 서브프레임이 출현하는 시간을 설명한다. 간략을 기하기 위해, 1번째 라인의 화소와 2번째 라인의 화소에 관해서만 설명을 한다.
우선, 1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출현하는 서브프레임기간에 관해서만, 이하에서 설명한다. 1번째 라인의 화소에 대해서는,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1,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2,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3이 도시되어 있다.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1은, 1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1에 기록용 선택신호의 입력이 시작되어, 화소에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입력된 후에 시작한다. 그리고,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1이 시작되면서 동시에, 1번째 비트 표시기간 Tr1이 시작된다. 1번째 비트 표시기간 Tr1은, 1번째 라인의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 Ge1에 소거용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종료하고, 1번째 비트의 비표시기간 Td1이 시작된다.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1의 1번째 비트의 비표시기간 Td1은, 1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1에 기록용 선택신호가 입력되고, 화소에 2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끝난다. 화소에 2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2가 시작되고, 이와 동시에 2번째 비트 표시기간 Tr2가 시작된다.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2의 2번째 비트 표시기간 Tr2는, 1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1에 기록용 선택신호가 입력되고, 화소에 3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끝난다. 화소에 3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3이 시작되고, 이와 동시에 3번째 비트 표시기간 Tr3이 시작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3의 3번째 비트 표시기간 Tr3는, 1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1에 기록용 선택신호의 입력이 시작되고, 화소에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끝난다. 화소에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새로운 프레임기간의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1이 시작된다.
홀수 라인의 화소(예를 들면, 1번째 라인의 화소)에서는, 각각의 프레임기간에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1,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2,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3이 순서대로 출현한다.
다음에, 2번째 라인의 화소에서는, 각각의 프레임기간에 대해,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1,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3,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2가 순서대로 출현한다.
도시의 형편상, 2번째 라인의 화소에서는, 프레임기간 F0의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3,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2, 프레임기간 F1의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1,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3이 표시되고 있다. 1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프레임기간 F0이 시작되고 있을 때에, 2번째 라인의 화소에서는 프레임기간 F1의 표시가 수행된다.
프레임기간 F0의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3의 3번째 비트 표시기간 Tr3은,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2에 기록용 선택신호의 입력이 시작되고, 화소에 2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끝난다. 화소에 2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 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2가 시작되고, 이와 동시에 2번째 비트 표시기간 Tr2가 시작된다.
프레임기간 F0의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2의 2번째 비트 표시기간 Tr2는, 2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a2에 기록용 선택신호의 입력이 시작되고, 화소에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끝난다. 화소에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새로운 프레임기간 F1의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1이 시작되고, 이와 동시에 1번째 비트 표시기간 Tr1이 시작된다. 이와 같이, 2번째 라인의 화소에서는 1번째 라인의 화소에 비해,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이 시작되는 시간이 크게 변동하다.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1의 1번째 비트 표시기간 Tr1은, 2번째 라인의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 Ge2에 소거용 선택신호의 입력이 시작되면 끝난다. 화소에 소거용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1의 1번째 비트의 비표시기간 Td1이 시작된다.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1의 1번째 비트의 비표시기간 Td1은, 2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e2에 기록용 선택신호가 입력되고, 화소에 3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끝난다. 화소에 3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3의 3번째 비트 표시기간 Tr3이 시 작된다.
도시하고는 있지 않지만,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3의 3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3는, 2번째 라인의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 Ge2에 기록용 선택신호가 입력되고, 화소에 2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끝난다. 화소에 2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2의 2번째 비트 표시기간 Tr2가 시작된다.
짝수 라인의 화소에서는, 각각의 프레임기간 중에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1,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3,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SF2가 순서대로 출현한다. 이와 같이, 짝수 라인의 화소에서 서브프레임기간이 출현하는 순서가 홀수 라인의 화소와 다르다. 또한, 짝수 라인의 화소와 홀수 라인의 화소에서는 프레임기간이 시작되는 시간이 크게 어긋나고 있다.
실시형태 3의 구동에 따르면,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계조의 변환기의 부분에서 시선이 이동할 때와, 동적 화상표시 중에 계조가 변할 때, 화소가 발광하는 시간이 근접하는 화소에 대해 다르기 때문에, 화소의 비발광 상태 또는 화소의 발광 상태가 연속하여 지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부자연스러운 밝은 선이나 부자연스러운 어두운 선의 발생이 억제되어, 의사윤곽으로 인한 표시 방해가 감소된다.
덧붙여, 서브프레임기간의 분할수를 늘리는 일 없이 의사윤곽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구동회로의 구동성능에 상관없이 표시품질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며, 소비전력의 양을 증가시키는 일없이 양호한 표시품질을 실현할 수 있다.
이때, 실시형태 3은 실시형태 5 및 6과 결합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 4
본 실시형태 4에서는, 서브프레임기간이 출현하는 순서 및 서브프레임기간이 시작되는 시간을 4라인마다 바꾼 것이다. 본 실시형태 4를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각 라인의 화소의 프레임기간 및 표시기간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프레임기간은 복수의 서브프레임기간으로 분할된다. 서브프레임기간은 표시기간, 또는 표시기간과 비표시기간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표시기간은 시간폭이 다르고, 발광이 행해지는 표시기간의 시간폭을 계산하여 계조가 제어된다.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은 1번째 비트 표시기간 Tr1을 포함하고,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은 2번째 비트 표시기간 Tr2를 포함하며,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은 3번째 비트 표시기간 Tr3을 포함한다.
또한, 표시기간이 서브프레임기간에 비해 짧은 경우에, 서브프레임기간은 표시기간 뿐만 아니라 비표시기간을 갖는다. 간략을 기하기 위해, 도면 11a 내지 11d에 도시된 프레임기간과 표시기간만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 4에 있어서는 m열xn행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화소와, 이들 화소에 출현하는 서브프레임기간에 관해 설명한다.
도 11a는 4x+1번째 라인(x는 0 이상의 정수, 1≤4x+1≤n)의 화소에서 서브프레임기간이 출현하는 순서와, 서브프레임기간이 시작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4x+1번째 라인의 화소, 즉 4x+1번째 라인의 게이트 신호선을 갖는 화소에서는,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의 순서로 서브프레임기간이 출현한다. 따라서, 각각의 서브프레임기간에 대응하는 표시기간이, 1번째 비트 표시기간 Tr1, 2번째 비트 표시기간 Tr2, 3번째 비트 표시기간 Tr3의 순서로 나타난다.
도 11b는 4x+2번째 라인(x는 0 이상의 정수, 2≤4x+2≤n)의 화소에서 서브프레임기간이 출현하는 순서와 서브프레임기간이 시작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4x+2번째 라인의 화소, 즉 4x+2번째 라인의 게이트 신호선을 갖는 화소에서는,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의 순서로 서브프레임기간이 출현한다. 따라서, 각각의 서브프레임기간에 대응하는 표시기간이, 3번째 비트 표시기간 Tr3, 1번째 비트 표시기간 Tr1, 2번째 비트 표시기간 Tr2의 순서로 나타난다.
도 11c는 4x+3번째 라인(x는 0 이상의 정수, 3≤4x+3≤n)의 화소에서 서브프레임기간이 출현하는 순서와 서브프레임기간이 시작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4x+3번째 라인의 화소, 즉 4x+3번째 라인의 게이트 신호선을 갖는 화소에서는,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의 순서로 서브프레임기간이 출현한다. 따라서, 각각의 서브프레임기간에 대응하는 표시기간이, 1번째 비트 표시기간 Tr1, 2번째 비트 표시기간 Tr2, 3번째 비트 표시기간 Tr3의 순서로 나타난다. 1번째 비트 표시기간 Tr1∼3번째 비트 표시기간 Tr3 이 나타나는 순서는 4x+1번째 라인의 화소와 4x+3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동일하지만, 프레임기간이 시작되는 시간, 즉 1번째 비트 표시기간 Tr1이 시작되는 시간은 4x+1 번째 라인의 화소와 4x+3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크게 어긋나고 있다.
도 11d는 4x+4번째 라인(x는 0 이상의 정수, 4≤4x+4≤n)의 화소에서 서브프레임기간이 출현하는 순서 및 서브프레임기간이 시작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4x+4번째 라인의 화소, 즉 4x+4번째 라인의 게이트 신호선을 갖는 화소에서는,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의 순서로 서브프레임기간이 출현한다. 따라서, 각각의 서브프레임기간에 대응하는 표시기간이, 2번째 비트 표시기간 Tr2, 3번째 비트 표시기간 Tr3,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의 순서로 나타난다.
도 11a∼도 11d에서는, 프레임기간 F0 및 F1에서 3번째 계조의 표시가 행해지고, 프레임기간 F2에서 4번째 계조의 표시가 행해지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a에 나타낸 4x+1번째 라인의 화소에서 프레임기간 F1에 비발광의 3번째 비트 표시기간 Tr3이 출현하고, 프레임기간 F2에 비발광의 1번째 비트의 표시기간 Tr1과 비발광의 2번째 비트 표시기간 Tr2가 출현하는 것과 같은 비발광 표시시간이 연속적으로 출현할 때, 다음이 발생한다. 도 11b에 나타낸 4x+2번째 라인의 화소에서는 발광 표시기간 Tr1, Tr2, Tr3이 연속적이고, 도 11c에 나타낸 4x+3번째 라인의 화소에서는 발광 표시기간 Tr1 및 Tr2와 비발광 표시기간 Tr3이 나타나고, 도 11d에 나타낸 4x+4번째 라인의 화소에서는 비발광 표시기간 Tr3, 발광 표시기간 Tr1 및 비발광 표시기간 Tr2가 나타난다.
인접한 화소에서 발광 표시기간과 비발광 표시기간이 나타나기 때문에, 사람의 눈에는 이들 화소의 휘도가 평균화되어 보인다. 동적 화상표시를 하는 동안 계조가 변할 때, 부자연스러운 밝은 선이나, 부자연스러운 어두운 선의 발생이 억제된다.
동적 화상의 표시를 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정지 화상의 표시를 행하는 경우에도, 근접한 화소에서 발광 표시기간과 비발광 표시기간이 나타나므로, 시선의 이동에 동반하여 발광하는 화소의 휘도, 또는 비발광의 화소의 휘도만이 인간의 눈에 의해 적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의사윤곽으로 인한 표시방해가 억제된다.
서브프레임기간이 출현하는 순서와 서브프레임기간이 시작되는 시간은, 화소의 라인이 4라인 이상인 주기로 바꾸더라도 상관없고, 주기성이 없이 랜덤하게 바꾸더라도 상관없는 것을 물론이다. 이것은 시인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 4에 따르면, 발광 또는 비발광이 연속하는 부분의 표면적을 인간의 눈의 분해능으로 지각되지 않는 정도까지 줄일 수 있으므로, 의사윤곽으로 인한 표시방해를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 서브프레임기간의 분할수를 늘리는 일없이 의사윤곽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회로의 구동성능에 상관없이 표시품질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며, 소비전력을 늘리는 일없이 양호한 표시품질을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 4는 실시형태 5 및 6과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5
도 12를 참조하면서 화소에 신호를 입력하는 구동회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 5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 5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120)는 동일한 절연 표면(유리) 상에 화소부(100)와 구동회로부가 형성되어 있다. 화소부에는 화소(110)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구동회로부는 기록용 게이트 신호측 구동회로(121), 소거용 게이트 신호측 구동회로(122), 소스신호측 구동회로(123)로 구성된다. 이때, IC 칩에 탑재된 시분할 계조신호 발생회로(128)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실시형태 5의 구동이 수행된다.
유기발광 디스플레이(120)에 입력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는 AD 변환회로(107)에 입력되어, 디지털 비디오 신호로 변환된다.
예를 들면, 3비트 1∼8 계조로 표시를 행하는 경우에,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는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3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로 변환된 다.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3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는 "0" 또는 "1"의 정보를 갖는다.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3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0"의 정보를 갖는 경우에,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3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입력된 화소는 발광한다. 반대로,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3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1"의 정보를 갖는 경우에,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3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입력된 화소는 비발광이 된다.
예를 들면, 3번째 계조의 표시를 행하는 경우에, 최하위 비트인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는 "1"의 정보를 갖고, 2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는 "1"의 정보를 가지며, 3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는 "0"의 정보를 갖는다.
1화상분의 이들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3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에 대해, 기억회로 지정수단(108)의 지정에 따라서, 입력 스위치(109)가 제 1 기억회로(112) 또는 제 2 기억회로(113)에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도록 바꾼다. 여기서는,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3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제 1 기억회로(112)에 저장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제 1 기억회로(112)는 1화상분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저장한다. 제 1 기억회로(112)는 1번째 비트의 기억회로, 2번째 비트의 기억회로, …, n번째 비트의 기억회로를 갖는다. 간략을 기하기 위해, 실시형태 5에서는 제 1 기억회로에 1번째 비트의 기억회로∼3번째 비트의 기억회로가 설치된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1번째 비트의 기억회로(114)에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기억된다. 또한, 2번째 비트의 기억회로(115)에 2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기억되고, 3번째 비트의 기억회로(116)에 3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기억된다.
1화상분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제 1 기억회로에 유지된 뒤에, 기억회로 지정수단(108)의 지정에 따라 입력 스위치(109)는 제 2 기억회로(113)를 지정하고, 새롭게 입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제 2 기억회로(113)에 입력된다.
이와 동시에, 출력 스위치(111)가 기억회로 지정수단의 지정에 따라서 제 1 기억회로(112)를 지정하고, 제 1 기억회로에서 소스신호측 구동회로(123)로 제 1 기억회로(112)에 기억된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3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순차 판독된다.
이와 동시에, 기록용 라인번호 지정수단(제 1 라인번호 지정수단)(118)이 라인번호를 지정하고, 제 1 라인번호 지정수단(118)에 의해 지정된 라인번호가 기록용 게이트 신호측 구동회로(121) 및 판독 지정수단(119)에 입력된다.
이와 동시에, 비트 지정수단(기억회로 지정수단으로도 칭한다)(117)이 제 1 기억회로의 1번째 비트의 기억회로∼3번째 비트의 기억회로 중에서 한 개의 기억회로를 지정한다. 비트 지정수단이 1번째 비트의 기억회로를 지정하였다고 가정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1번째 비트의 기억회로에는 각 화소에 대한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0" 또는 "1"의 정보를 갖고 기억되어 있다. 각 화소에 대한 어드레스는 라인번호 및 열번호로 정해지고, 제 1 라인번호 지정수단(118)에 의해 지 정된 라인번호를 갖는 모든 화소에 대한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출력 스위치(111)를 통해 소스신호측 구동회로(123)에 입력된다.
기록용 게이트 신호측 구동회로(121) 및 소스신호측 구동회로(123)가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는 화소를 선택하고, 이들 화소에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입력되며,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의 표시가 행하여진다.
이때, 비트 지정수단이 1번째 비트의 기억회로 대신에 2번째 비트의 기억회로를 지정한 경우에는, 제 1 라인번호 지정수단(118)에서 지정한 라인번호를 갖는 모든 화소의 2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소스신호측 구동회로(123)에 입력된다. 2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는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에 있어서의 화소가 발광하는지 비발광하는지를 결정하여,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의 표시가 행하여진다.
또한, 비트 지정수단이 1번째 비트의 기억회로 대신에 3번째 비트의 기억회로를 지정한 경우에는, 제 1 라인번호 지정수단(118)에 의해 지정된 라인번호를 갖는 모든 화소의 3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전부 소스신호측 구동회로(123)에 입력된다. 3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는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에 있어서 화소의 발광, 비발광을 결정하여,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의 표시가 행하여진다.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에 있어서 화소가 발광할 때의 시간폭을 Tr1, 2 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에 있어서 화소가 발광할 때의 시간폭을 Tr2,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에 있어서 화소가 발광할 때의 시간폭을 Tr3로 하면, Tr1:Tr2 :Tr3 = 20:21:22 된다. 1프레임기간 중의 이들 발광의 시간폭을 계산하여 계조가 정해진다. 이때,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을 한번에 하나씩 설치하여 시분할 계조로 표시를 하는 것도 가능하고,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 중에서 2개 이상 설치하여 시분할 계조 표시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 1 라인번호 지정수단 및 비트 지정수단으로 라인번호 및 비트번호를 지정함으로써 화소의 라인을 임의의 순서로 지정하여, 지정된 화소에 임의의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을 출현시킬 수 있다.
한편, 1화상분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제 1 기억회로로부터 화소에 출력되어 있는 동안, 프레임 지정수단이 제 2 기억회로(113)를 지정하고, 새롭게 1화상분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제 2 기억회로에 입력되고 있다. 1번째 비트의 기억회로(125)에는 1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입력된다. 2번째 비트의 기억회로(126)에는 2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입력되고, 3번째 비트의 기억회로(127)에는 3번째 비트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입력된다.
제 1 기억회로가 갖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판독이 완료되면, 1번째 화상의 표시가 끝난다. 이어서, 제 2 기억회로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신호 데이터의 판독이 시작되어 2번째 화상의 표시가 시작된다. 2번째 화상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제 2 기억회로에서 화소에 출력되어 있는 동안에, 프레임 지정수단이 제 1 기억회로(112)를 지정하고, 입력 스위치(109)를 통해 새롭게 1화상분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제 1 기억회로에 입력되고 있다.
전술한 동작을 반복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라인번호를 1번째 라인으로부터 n번째 라인까지 올림차순으로 지정하여, 홀수의 라인번호(제 1 라인번호)가 지정되어 있을 때는 비트 지정수단이 2번째 비트의 기억수단을 지정하고, 짝수의 라인번호(제 2 라인번호)가 지정되어 있을 때에는 비트 지정수단이 3번째 비트의 기억수단을 지정하도록 설계한다. 그렇게 하면, 홀수 라인의 화소에서 2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을 출현시키고, 이어서, 짝수 라인의 화소에서는 3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을 출현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비트 지정수단이 1번째 비트의 기억수단을 지정하고 있을 때, 홀수의 라인번호를 1번째 라인으로부터 n 번째 라인까지 올림차순으로 지정한다. 이어서, 소정기간 후에, 비트 지정수단이 1번째 비트의 기억수단을 지정할 때에 짝수의 라인번호를 1번째 라인으로부터 n번째 라인까지 올림차순으로 지정한다. 그렇게 하면, 홀수 라인의 화소에서만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이 시작되고, 모든 홀수 라인의 화소에서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이 끝난 후에, 짝수 라인의 화소에서 1번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을 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라인번호의 지정은 올림차순 대신에 내림차순으로 수행하여도 된다. 또한, 랜덤한 순서로 라인번호를 지정하여도 된다.
서브프레임기간을 끝내는 방법은 대별하면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우선, 서브프레임기간보다 표시기간이 짧은 경우에는, 소거용 라인번호 지정수단(제 2 라인번호 지정수단: 124)에 의해 라인번호가 지정되고, 제 2 라인번호 지정수단으로 지정된 라인번호를 소거용 게이트 신호측 구동회로(122)에 입력하면, 지정된 라인번호를 갖는 소거용 신호선에 접속된 화소의 서브프레임기간이 끝난다. 서브프레임기간과 표시기간이 거의 같은 길이를 갖는 경우에는, 기록용 라인번호 지정수단(118)을 사용하여 라인번호를 지정하는 동시에, 비트 지정수단(117)을 사용하여 이와 다른 비트 기억회로를 지정함으로써, 서브프레임기간이 끝나게 된다. 이에 따라, 다른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을 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임의의 순서로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기록 및 소거를 행하는 경우에는, 기록용 게이트 신호측 구동회로(121) 및 소거용 게이트 신호측 구동회로(122)가 어드레스 디코더를 갖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전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플립플롭회로, 시프트 레지스터회로 및 멀티플렉서 회로 등의 공지된 회로를 갖는 구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더구나, 실시형태 5에서는 제 1 기억회로와 제 2 기억회로로 구성된 기억회로가 2개 존재하지만, 기억회로의 수에는 제약이 없으며, 추가적인 기억회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실시형태 6
본 발명은 다양한 기술과 조합하여 표시품질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시분할 계조에 있어서, 임의의 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을 분리 및 분할하여, 의사윤곽으로 인한 표시방해를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상위비트의 서브프레임기간을 분리 분할하는 구동과 조합할 때에는, 구동주파수가 증가하므로, 구동회로의 구동성능이나 소비전력의 허용값과의 관계에 의해 서브프레임기간의 분할수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다계조화를 달성하는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시분할 계조와 별도의 방법, 예를 들면 화소를 복수의 서브픽셀로 분할하여 각각의 서브픽셀의 발광 및 비발광을 제어하는 면적계조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1
본 발명은 유기발광소자를 사용하는 모든 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3은 그것의 일례로서, TFT를 사용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표시장치를 나타낸다.
기판(401)은, 석영이나 코닝사의 #7059 유리나 #1737 유리 등으로 대표되는 바륨 붕소 규산 유리 및 알루미늄 붕소 규산 유리 등의 유리로 이루어진 기판이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유리로 이루어지는 기판을 사용하지만,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기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산화실리콘막, 질화실리콘막 또는 산화질화실리콘막 등의 절연막으로 이루어지는 하지막(402)이 설치된다. 예를 들면, 플라즈마 CVD법으로 SiH4, NH3, N2O로부터 제작되는 산화질화실리콘막(402a)을 10∼200 nm(바람직하게는 50∼100 nm)로 형성하고, 플라즈마 CVD법으로 SiH4 및 N2O로부터 제작되는 산화질화실리콘막(402b)을 50∼200 nm(바람직하게는 100∼150 nm)의 두께로 적층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지막(402)을 2층 구조로서 나타내었지만, 전술한 절연막의 단층막 또는 3층 이상 적층시킨 구조로서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어서, 반도체층을 형성하여, 패터닝한다. 이 반도체층의 두께는 10∼80 nm(바람직하게는 15∼60 nm)의 두께로 형성한다. 그리고, 제 1 반도체층(403), 제 2 반도체층(404), 제 3 반도체층(405), 제 4 반도체층(406), 제 5 반도체층(407)이 형성된다.
이들 반도체층을 덮어 게이트 절연막(408)을 형성한다. 게이트 절연막은, SiH4, N2O로 이루어진 질화산화실리콘막으로 10∼200 nm, 바람직하게는 50∼150 nm의 두께로 형성한다.
레이저 결정화법으로 결정질 반도체막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펄스발진형 또는 연속발광형의 엑시머 레이저나 YAG 레이저, YVO4 레이저를 사용한다. 이들 레이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레이저발진기로부터 방사된 레이저광을 광학계에 의해 선형으로 집광하여 반도체막에 조사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결정화의 조건은 실시자가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지만, 엑시머레이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펄스 발진주파수 30Hz로 설정하고, 레이저 에너지 밀도를 100∼400 mJ/cm2(대표적으로는 200∼300 mJ/cm2)로 한다. 또한, YAG 레이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 2 고조파를 사용하여 펄스 발진주파수 1∼10 kHz로 하고, 레이저 에너지 밀도를 300∼600 mJ/cm2(대표적으로는 350∼500 mJ/cm2)로 하면 된다. 그 후, 폭 100∼1000 ㎛, 예를 들면 400 ㎛으로 선형으로 집광한 레이저광을 기판 전체면에 걸쳐 조사한다. 이것은 선형 레이저광의 중첩율을 80∼98%로 하여 행한다.
다음에, 스퍼터링법에 의해 질화탄탈륨(TaN)을 형성하고, 계속해서, 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알루미늄 합금막을 형성한다. 이 2층으로 적층된 도전막을 패터닝하여, 기록용 게이트 신호선(409), 소거용 게이트 신호선(410), 용량전극(411), 섬 형상의 게이트전극(412) 및 구동회로부의 게이트전극 413 및 414를 형성한다. 이들 도전막을 마스크로 하여 자기 정합적으로 불순물 원소를 도핑한다.
이어서, 플라즈마 CVD법으로 SiH4, NH3, N2O로부터 제작되는 산화질화실리콘막을 제 1 층간절연막(415)으로서 10∼200 nm(바람직하게는 50∼100 nm)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한다. 제 1 층간절연막으로서 산화질화막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기수지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층간절연막(416)을 0.5∼10 ㎛(바람직하게는 1∼3 ㎛)의 두께로 형성한다. 제 2 층간절연막은 아크릴 수지막, 폴리이미드 수지막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 2 층간절연막은 반도체층, 게이트전극 등에 기인하는 요철을 평탄화하기에 충분한 두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층간절연막(415)으로서 비유전율이 2.5∼3.0인 작은 로우(low)-k 재료로 이루어지는 절연막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층간절연막의 유전율을 낮게 함으로써, 기생용량의 저감을 꾀하여, 신호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low-k 재료로 이루어진 절연막은 무기계와 유기계가 있다. 무기계의 재료로서는 SiO2막에 C 및 H를 첨가하여 유전율을 하강시킨 재료를 사용한다. 유기물질로서, 그것의 내부에 작은 구멍을 갖는 폴리아릴에테르, 비정질 테플론(테플론은 등록상표), 불화 폴리이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불소계의 수지막은 저유전율을 실현하는 재료로서 기대되고 있다. 유기계의 low-k 절연막은 분자설계에 의해 더욱 더 저유전율화도 가능하며, 스핀코팅에 의해 용이하게 적층된다. 따라서, 유기계의 low-k 절연막은 low-k 재료로서 유망하다.
제 1 층간절연막, 제 2 층간절연막, 게이트 절연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한다. 콘택홀을 덮도록 도전막을 형성하여, 패터닝한다. 이 도전막은, 막두께 50 nm의 Ti막과, 막두께 500 nm의 합금막(Al과 Ti의 합금막)과의 적층 구조로 한다. 그리고, 구동회로부(503)에 있어서는, 소스측의 배선(417, 418)과, 드레인측의 배선(419, 420)을 형성한다. 화소부에서는, 소스 신호선(421), 접속전극(422), 전원공급선(423), 드레인측의 전극(424)을 형성한다. 스위칭용 TFT(504)의 소스에 소스 신호선(421)이 접속하고 있고, 스위칭용 TFT(504)의 드레인에 접속전극(422)이 접속하고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접속전극(422)은 전류제어용 TFT(507)의 게이트전극(412)과 접속한다. 전류제어용 TFT(507)의 소스에 전원공급선(423)이 접속하고 있고, 전류제어용 TFT(507)의 드레인에 드레인측의 전극(424)이 접속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n 채널형 TFT(501), p 채널형 TFT(502)를 갖는 구동회로부(503)와, 스위칭용 TFT(504), 소거용 TFT(505), 저장용량(506), 전류제어용 TFT(507)을 갖는 화소부(508)를 동일기판 상에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ITO(Indium Tin Oxide)막을 진공 스퍼터링법으로 형성한다. 이 ITO 막을 드레인측의 전극(424)에 접하도록 화소마다 패터닝하여, 유기발광소자의 양극(화소전극)(425)을 형성한다. ITO는 일함수가 4.5∼5.0eV로 높고, 정공을 효율적으로 유기발광층에 주입할 수 있다.
이어서, 감광성수지막을 형성한다. 화소전극(425)의 주연부의 내측에 있는 이 감광성수지막의 일부를 패터닝에 의해 제거하여, 뱅크(426)를 형성한다. 유기 화합물층은 뱅크의 매끄러운 경사면을 따라 형성함으로써, 화소전극의 주연부에서 유기 화합물층이 단선하여, 이 단선 지점에서 화소전극과 대향전극의 단락을 방지하고 있다.
다음에, 유기발광소자의 유기 화합물층(427)을 증착법으로 형성한다. 유기 화합물층은, 단층 또는 적층 구조일 수 있다. 적층구조를 사용하여 유기 화합물은 더 양호한 발광효율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는, 유기 화합물층은 양극 상에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및 전자수송층의 순서로 형성된다, 다른 예로는, 정공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으로 구성된 구조, 및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으로 구성된 구조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기화합물층으로 공지된 어떤 구조를 사용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3종류의 발광층, 즉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청색 발광층을 증착에 의해 형성하여 칼라화상이 표시된다. 특히, 적색으로 발광하는 발광층에는 시아노폴리페닐렌이 사용되고, 녹색 발광층에는 폴리페닐렌비닐렌, 청색 발 광층에는 폴리페닐렌비닐렌 또는 폴리알킬 페닐렌을 사용한다. 각각의 발광층은 30∼150 nm의 두께를 갖는다. 상기한 물질은 발광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유기 화합물의 일례로서, 다른 물질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유기발광소자의 음극(대향전극)(428)을 증착법으로 형성한다. 음극은, MgAg이나 LiF 등의 알칼리 성분을 소량 함유하는 광반사성의 재료를 사용한다. 음극의 두께는 100 nm∼200 nm로 한다. 대향전극은, 모든 화소에 공통된 전극으로 역할하기 위해 화소부의 전체면을 덮는다. 대향전극은, 배선을 경유하여 FPC(Flexible Printed Circuit)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양극 및 음극 사이에 유기 화합물층이 끼워진 구성의 유기발광소자(429)가 완성된다. 유기발광소자(429)의 화소전극은 투명전극이고, 화소전극에 겹쳐서 광반사성의 그것의 대향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13의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부터 유기발광소자에서 발광하는 빛을 방사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보호막(430)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DLC 막을 사용하여 유기발광소자를 수분으로부터 보호한다.
전술한 구성으로 형성되는 기판을 본 명세서에서는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으로 칭한다.
더구나,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으로 이루어진 밀봉기판(431)의 오목부에 건조제(432)를 충전하고, 투습도 높은 막(433)으로 건조제(432)를 덮어, 건조제(432)를 오목부에 가둔다. 그리고, 건조제(432)에 의해 막(433)을 통해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을 덮도록, 접착성을 갖는 밀봉재(434)를 사용하여 밀봉기판(431)과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을 부착한다. 다음에, 유기발광소자를 봉입한다.
그 후,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유기발광 패널에 공지의 방법으로 FPC(Flexible Printed Circuit)을 접착한다. FPC는 화소 및 구동회로에 신호를 전달하는 접속배선에 접착된다.
실시형태 5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절연 표면 상에 형성된 화소부와 구동회로가 시분할 계조 데이터 신호 발생회로 등이 탑재된 IC 칩에 FPC를 통해 접속된다. 이때, TAB(Tape Automated Bonding) 등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예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가 완성된다.
본 실시예는 실시예 3, 4, 5 및 6과 적절히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개구율이 높고 휘도가 높은 표시를 행할 수 있는 구성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의 예가 설명된다.
실시예 2를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2에서는 발광소자로부터 발광을 밀봉기판의 측으로부터 추출한다. 제 2 층간절연막을 형성한 후, 제 2 층간절연막(416), 제 1 층간절연막(415), 게이트 절연막(408)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하고, 더구나, 콘택홀을 덮도록 도전막을 형성하여, 패터닝을 하는 점까지는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이에 따라, n 채널형 TFT(501), p 채널형 TFT(502)을 갖는 구동회로부(503)와, 스위칭용 TFT(504), 소거용 TFT(505), 저장용량(506), 전류제어용 TFT(507)를 갖는 화소부(508)가 동일기판 상에 형성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 2에서는 도전막을 패터닝할 때에, 실시예 1의 드레인전극(424) 대신에 반사전극(445)을 각 화소에 설치한다. 반사전극은 반사율이 높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으로부터 형성하고, 전류제어용 TFT(507)의 게이트전극(412), 섬 형상의 반도체막(407) 등을 덮어 형성한다. 이때, 반사전극으로서 알루미늄을 단층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 2에서는 반사전극으로서 기능하는 알루미늄과 겹치는 반사율이 높은 은을 갖는 2층 구조로 한다.
이어서, 일함수가 높은 ITO 막을 반사전극과 겹쳐서 형성하여, 양극(435)으로 사용한다. ITO 막은 일함수가 4.5∼5.0 eV로 높고, 정공을 우수한 효율로 유기발광층에 주입할 수 있다. 또한, ITO 막과 알루미늄막 사이에는 은이 형성되므로, ITO 막과 알루미늄막과의 전해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양극으로서는 ITO 막 대신에 일함수가 높은 Cr, W, Au, Pt 등의 막, 또는 이들을 적층한 막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감광성수지막을 형성하여, 양극(435)의 주연부의 내측에 있는 감광성수지막을 패터닝에 의해 제거하여, 뱅크(436)를 형성한다. 감광성수지막의 재료로서는 폴리이미드 수지막 또는 아크릴 수지막을 사용할 수 있다. 더구나, 감광성수지막 대신에, 비감광성의 폴리이미드 수지막 또는 아크릴 수지막을 형성하고, 반응성 가스에 의해 식각하여, 뱅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유기 화합물층(437)을 증착법으로 형성한다. 유기 화합물층은, 단층 또는 적 층 구조로 사용되지만, 적층구조로 사용한 쪽이 발광효율은 좋다. 일반적으로는 양극상에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및 전자수송층의 순서로 형성된다. 그러나, 정공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이 형성된 구조, 및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이 형성된 구조도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 2에서는 공지의 어떤 구조를 사용해도 된다.
이때, 본 실시예 2에서는 RGB 색에 대응한 3종류의 발광층을 증착하는 방식으로 칼라표시를 행한다. 특히, 적색 발광층에는 시아노폴리페닐렌, 녹색 발광층에는 폴리페닐렌비닐렌, 청색 발광층에는 폴리페닐렌 비닐렌 또는 폴리알킬페닐렌을 사용하면 된다. 발광층의 두께는 30∼150 nm로 하면 된다. 상기한 물질은 발광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유기 화합물의 일례로서, 이들 유기 화합물의 사용에는 제약이 없다.
이어서, 음극(438)을 증착법으로 형성한다. 음극으로는 MgAg, AlMg, AlLi 등의 일함수가 낮고 알칼리 성분을 소량 함유하는 재료를 사용한다. 특히, 가동성이 낮은 알칼리 성분을 갖는 MgAg, AlMg을 음극에 사용하면 TFT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들 물질이 바람직하다. 음극은 빛이 투과하도록 10 nm∼30 nm의 얇은 막두께로 형성한다. 이때, 음극으로서, 2∼5 nm의 막두께의 Cs(세슘)를 10∼20 nm의 막두께를 갖는 Ag(은)과 함께 적층한 적층 구조를 사용하여 투광성을 갖게 하여도 된다. 음극은, 화소부의 전체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모든 화소에 대해 공통 전극으로 사용한다.
이렇게 해서, 양극(435)과 음극(438) 사이에 유기 화합물층(437)이 끼워진 구성의 발광소자(439)가 형성된다. 발광소자(439)의 음극(438)은 투광성을 갖고, 이 음극 아래쪽의 반사전극(445)은 광반사성을 가지므로,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이 도 14의 화살표로 나타낸 측으로부터 방사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2에서는 음극의 아래쪽의 반사전극에 반사율이 높은 은이 사용되므로, 발광소자로부터 발광하는 빛을 우수한 효율로 화살표 방향으로 방사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보호막(440)으로서 산화질화실리콘막을 형성한다. 산화질화실리콘막의 밴드갭은 5∼8 eV이고, 빛의 흡수단은 248 nm이다. 따라서, 가시광 영역에서 빛의 흡수가 거의 없이 양호한 광투과율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질화실리콘막은 수분의 투과를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발광소자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형성되는 기판을 본 명세서에서는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으로 칭한다.
이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과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밀봉기판(441)은 바륨 붕소 규산 유리, 알루미늄 붕소 규산 유리 또는 석영유리 등의 유리로 이루어지는 기판을 사용한다. 밀봉기판(441)은 그것이 투광성을 갖는 재료이면 제한되지 않지만,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401)과 열팽창계수가 같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급격한 온도변화에 의한 기판의 파손을 방지하므로, 이것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밀봉기판의 표면은 샌드 블라스트법으로 가공되고,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의 구동회로부(503)의 위쪽에 대응하는 부분이 선택적으로 절삭되고 있다. 이 선택적으로 절삭된 부분에 건조제(442)와 건조제를 덮는 막(443)이 배치된다. 건조제로는 산화칼슘, 산화바륨 등의 공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과 밀봉기판은 밀봉재(444)를 사용하여 질소분위기 하에서 부착된다. 밀봉재는 10∼50 ㎛의 두께로 하면 된다.
더구나, 전술한 구성으로 형성되는 유기발광 패널에 공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FPC(Flexible Printed Circuit)가 접착된다. FPC는 화소와 구동회로에 신호를 전달하는 접속배선에 접착된다.
본 실시예 2는 실시예 3∼6과 조합할 수 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는 양호한 전계 효과 이동도를 실현하는 레이저 결정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레이저 결정화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기판(600)은, 석영이나, 코닝사의 #7059 유리나 #1737 유리로 대표되는 바륨 붕소 규산 유리, 또는 알루미늄 붕소 규산 유리 등의 유리로 이루어진 기판을 사용한다.
이어서, 산화실리콘막, 질화실리콘막 또는 산화질화실리콘막 등의 절연막으로 이루어진 하지막(601)이 설치된다. 하지막은 유리 기판에 포함된 불순물이 용출하지 않도록 50∼500 nm의 두께로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라즈마 CVD법으로 SiH4, NH3, N2O로부터 제작되는 산화질화실리콘막(601a)을 10∼200 nm(바람직하게는 50∼100 nm)의 두께로 형성하고, 마찬가지로 SiH4, N2O로부터 제작되는 산화질화실리콘막(601b)을 50∼200 nm(바람직하게는 100∼150nm)의 두께로 형성하여 막(601a) 위에 적층한다. 본 실시예 3에서는 하지막(601)을 2층 구조로 나타내었지만, 단층막 또는 3층 이상 적층시킨 구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어서, 반도체층을 형성하여, 섬 형상으로 패터닝한다. 이 반도체층은 10∼80 nm(바람직하게는 15∼60 nm)의 두께로 형성한다. 여기서는 30 nm의 두께로 반도체층을 형성한다.
이때, 기판의 표면에서 본 경우에, 반도체층(602)은, 소스 및 드레인으로서 사용하는 영역의 폭에 비해 채널로서 사용하는 영역의 폭이 좁아지도록 패터닝한다. 더구나, 채널로서 사용하는 영역의 폭은 소스 및 드레인으로서 사용하는 영역에 가까이 가면 급격히 감소한다.
반도체층은 형성된 단계에서는 비정질이므로, 전계 효과 이동도를 높이기 위해 레이저 결정화를 행한다. 채널로서 사용되는 반도체층의 영역의 결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 실시예 3에서는 이하의 방법을 사용한다.
우선, 반도체층을 덮어 분리 SiO2막(603)을 50∼150 nm의 두께로 형성하고, 이 분리 SiO2막을 덮어 실리콘막(604)을 200 nm의 두께로 형성한다. 즉, 분리 SiO2막을 통해, 실리콘막이 반도체층의 측벽 및 상면을 덮게 된다. 열용량이 큰 재료로서 실리콘막을 사용하였지만, 열용량이 유리로 이루어지는 기판이나 하지막과 크게 다른 재료이면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어서, 유리 기판의 이면으로부터 반도체층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레이저 결정화를 행한다. 여기서는, 조사에너지의 안정성이 높은 CW 레이저(Nd::YVO4)를 사용한다. 흡수계수가 높은 비정질 반도체층을 갖는 유리 기판 상에 투과율이 높은 파장으로서, YVO4의 2차 고조파인 532 nm의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레이저광의 주사속도는 10∼200 cm/sec의 범위에서 자유롭게 조절하면 된다. 레이저광의 주사속도를 작게 하면, 양호한 전계 효과 이동도를 얻을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레이저광이 조사되면 반도체층은 용해상태가 된다. 이어서, 냉각하고 응고하여 결정화한다. 여기서는, 반도체층에 겹치도록 열용량이 큰 실리콘막이 형성되므로, 실리콘에 의해 둘러싸인 반도체층(602)의 계면의 냉각속도가 반도체층의 냉각속도에 비해 늦다. 이 온도 경사로부터 반도체층의 벌크로부터 축열막으로 둘러싸인 반도체층의 계면으로 결정화가 진행된다.
또한, 레이저광이 조사된 부분은 용해상태가 된 후 응고하므로, 레이저의 주사방향으로 결정화가 진행한다. 여기서, 채널로서 사용하는 영역과, 소스 및 드레인으로서 사용하는 영역의 경계는 결정립의 크기에 비해 폭을 좁게 하고 있기 때문에, 채널이 되는 영역을 레이저로 주사하여 결정화가 될 때에, 단일의 결정립으로부터 결정화가 진행한다. 이에 따라, 단결정에 가까운 상태가 얻어진다. 즉, 복수의 결정 핵에 의해 결정화가 진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채널영역에서 단결정에 가까운 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도체층과 하지막의 계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레이저광이 조사되 는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결정화를 진행시켜, 결정을 석출시킨다.
이에 따라, 복수의 결정핵의 발생을 억제하여, 거의 단결정의 상태로 결정화가 행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한 반도체층은 300∼500 cm2/Vs의 양호한 전계 효과 이동도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참조: 도 15a).
이어서, 실리콘막(604)을 식각에 의해 제거하고, 더구나 분리 SiO2막(603)을 제거한다.
반도체층(607)을 덮어 게이트 절연막(605)을 형성한다. 게이트 절연막은, SiH4, N2O에서 제작되는 질화산화실리콘막으로, 10∼200 nm, 바람직하게는 50∼150 nm의 두께로 형성한다.
이어서, 게이트 절연막 상에 게이트전극(606)을 형성한다(참조: 도 15b). 이후의 공정에 의해 얻어진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의 구성은 실시예 1∼2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 게이트 절연막, 게이트전극의 형상은 모식적으로 나타내었지만, 이들 게이트 절연막 구조 및 게이트 전극 구조는 TFT의 특성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구성요소이므로, TFT 특성을 고려하여 공정이 추가되거나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 3에 의해 얻어지는 반도체층은 전계 효과 이동도가 높고, TFT를 구동할 때의 드레인 전류를 높게 할 수 있으므로, 발광소자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고, 발광휘도가 높은 양호한 표시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 3은 실시예 1, 2, 4, 5 및 6과 적절하게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4
본 발명에 있어서, 유기발광소자의 유기 화합물층으로서 사용하는 유기물질은 저분자계 유기물질 또는 고분자계 유기물질일 수 있다. 저분자계 유기물질은 Alq3(tris-8-quionolilite-aluminum), TPD(triphenylamine derivative) 등을 중심으로 한 재료가 알려지고 있다. 고분자계 유기물질로는 π 공역 폴리머계의 물질을 들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PPV(polyphenylene vinylene), PVK(polyvinyl carbazole),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계 유기물질은, 스핀코팅법, 디핑법, 디스펜스법, 인쇄법 또는 잉크젯법 등 간이의 방법에 의해 박막으로 형성할 수 있고, 저분자계 유기물질보다 큰 내열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의 유기발광소자에 있어서, 유기발광소자의 유기 화합물층이 전자수송층과 정공수송층을 갖고 있는 경우, 전자수송층과 정공수송층에 대해 무기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무기 재료의 예로는, 비정질 Si 또는 비정질의 Si1-xCx 등의 비정질 반도체층을 들 수 있다.
비정질 반도체에는 다수의 트랩 준위가 존재하고, 비정질 반도체가 다른 층과 접하는 계면에서 다량의 계면 준위를 형성한다. 따라서, 유기발광소자를 낮은 전압에서 발광시킬 수 있으며, 고휘도를 도모할 수 있다.
유기 화합물층에 도우펀트로 도핑하여, 유기발광소자의 발광되는 빛의 색을 변화시켜도 된다. 도우펀트의 예로는, DCM1, 나일 레드(Nile red), 루브렌(rubrene), 쿠마린(Coumarin) 6, TPB, 퀴나크리돈(quinacridon)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실시예 1, 2, 3, 5, 6과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실시예 5
본 실시예 5에서는, 본 발명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의 외관도의 일례를 도 1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된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 상에 유기발광소자의 봉입까지 행하고, 더구나 FPC(Flexible Printed Circuit)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실시예 1과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FPC(542)로부터 입력된 신호는 접속배선(434a∼434d)을 통해 구동회로부 및 화소부(508)에 입력된다. 구동회로부는 n 채널형 TFT과 p 채널형 TFT를 상보적으로 조합한 CMOS 회로 등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이 구동회로부는, 기록용 게이트 신호측 구동회로(503a), 소거용 게이트 신호측 구동회로(503b), 소스신호측 구동회로(503c)를 갖는다.
이때, 화소부(508)에 신호를 입력하는 접속배선(434d)은 발광소자에 전위를 부여하는 전원공급선에 접속하는 것으로, 발광소자의 대향전극에 접속된다.
이 화소부 및 구동회로부가 설치된 기판(401)은 도시하지 않은 밀봉재를 사용하고 밀봉기판(530)과 2개의 기판 사이에 갭을 유지하면서 부착된다.
더구나, 본 발명의 시분할 계조를 행하는 경우에는, 실시예 5에 있어서 전술 한 것과 같이, 필요하면 도시하지 않은 시분할 계조 데이터 신호 발생회로 등이 탑재된 IC 칩이 TAB(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등을 사용하여 FPC를 부착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이때, 본 실시예 5에서는 화소부의 TFT의 능동층을 폴리실리콘으로서, 화소부와 구동회로부가 동일기판 상에 일체 형성된 구성을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발광소자가 고휘도로 발광을 할 수 있도록 충분한 양의 전류를 흘릴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되면, 화소부의 TFT의 능동층에 비정질 실리콘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는, 이 경우 소스신호측 구동회로, 기록용 게이트 신호측 구동회로, 소거용 게이트 신호측 구동회로를 갖는 구동회로부를 IC 칩에 탑재하여 구성된다.
더구나, 실리콘 기판 상에 형성된 FET(field effect transistor)에 의해 유기발광소자를 구동하는 경우에는, 실리콘 기판 상에 시분할 계조 데이터 신호 발생회로를 조립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는 시분할 계조 데이터 신호 발생회로를 내장한 구성이 된다.
본 실시예 5는 실시예 1, 2, 3 및 4와 조합할 수 있다.
실시예 6
본 발명을 실시하여 형성된 표시장치는 여러 가지 전기기구에 내장되고, 화소부는 영상표시부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전자장치로서는, 휴대전화, PDA, 전자서적, 비디오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기록매체를 구비한 화상재생장치, 예를 들면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전자장치의 구체예를 도 17a 내지 도 18c에 나타낸다.
도 17a는 휴대전화로서, 표시용 패널(9001), 조작용 패널(9002) 및 접속부(9003)로 구성된다. 표시용 패널(9001)에는 표시장치(9004), 음성출력부(9005), 안테나(9009) 등이 설치된다. 조작패널(9002)에는 조작키(9006), 전원 스위치(9007), 음성입력부(9008) 등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표시장치(9004)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7b는 모바일 컴퓨터 또는 휴대형 정보단말로서, 본체(9201), 카메라부(9202), 화상 수신부(9203), 조작스위치(9204), 표시장치(9205)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표시장치(9205)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장치에는, 3인치 내지 5인치의 표시장치가 사용되지만, 본 발명의 표시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휴대형 정보단말의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도 17c는 휴대서적으로, 본체(9301), 표시장치(9202, 9303), 기억매체(9304), 조작스위치(9305), 안테나(9306)로부터 구성되어 있고, 미니디스크(MD)나 DVD에 기억된 데이터나, 안테나로 수신한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표시장치(9302, 9303)에 사용할 수 있다. 휴대서적은, 4인치 내지 12인치의 표시장치가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표시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휴대서적의 경량화와 박형화를 꾀할 수 있다.
도 17d는 비디오 카메라로서, 본체(9401), 표시장치(9402), 음성입력부(9403), 조작스위치(9404), 밧데리(9405), 화상 수신부(9406) 등으로 구 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표시장치(9402)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8a는, 퍼스널 컴퓨터로서, 본체(9601), 화상입력부(9602), 표시장치(9603), 키보드(9604)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표시장치(9603)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8b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이하, 기록매체로 칭한다)를 사용하는 플레이어로서, 본체(9701), 표시장치(9702), 스피커부(9703), 기록매체(9704), 조작스위치(9705)로 구성된다. 또, 이 장치는 기록매체로서 DVD(Digital Versatile Disc), CD 등을 사용하여, 음악감상, 영화감상과 게임 및 인터넷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표시장치(9702)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8c는 디지털 카메라로서, 본체(9801), 표시장치(9802), 접안부(9803), 조작스위치(9804), 화상 수신부(미도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표시장치(9802)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도 17a의 휴대전화, 도 17b의 모바일 컴퓨터 또는 휴대형 정보단말, 도 17c의 휴대서적, 도 18a의 퍼스널 컴퓨터에 사용된다. 이 표시장치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흑색의 배경을 표시함으로써 기기의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17a에 나타낸 휴대전화 조작에 있어서, 조작키를 사용하고 있을 때 휘도를 하강시키고, 조작스위치의 사용이 끝나면 휘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저소비전력화할 수 있다. 또한, 착신시에 표시장치의 휘도를 상승시키고, 통화중에는 휘도를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 저소비전력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휴대전화를 계속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 리세트하지 않는 한 시간제어에 의해 휴대전화의 표시를 오프시키는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저소비전력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조작은 매뉴얼 제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시스템, 냉장고, 세탁기, 전자레인지, 고정 전화기, 팩시밀리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매우 넓어, 여러 가지의 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분할 계조에 의해 표시를 행할 때, 연속적으로 발광 또는 비발광하는 화소가 넓은 면적에 존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의사윤곽을 우수한 효율로 방지할 수 있다. 즉, 근접하는 라인의 화소에서, 발광하는 화소가 연속적으로 시인되는 것과 비발광하는 화소가 연속적으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의사윤곽을 우수한 효율로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서브프레임기간을 분리 및 분할하지 않더라도, 전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종래의 구동 주파수와 동등한 구동 주파수에서도 의사윤곽으로 인한 표시방해를 대폭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전력을 늘리는 일 없이 표시품질이 높은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2)

  1. 프레임기간을 2 이상의 서브 프레임기간으로 분할하는 단계와,
    소거 신호를 화소에 입력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라임기간의 표시기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기간이 출현하는 순서는, K번째(K는 자연수) 라인에 배치된 화소와 L번째(L은 자연수, L≠K) 라인에 배치된 화소에서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2. 프레임기간을 2 이상의 서브 프레임기간으로 분할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기간이 출현하는 순서가 n개 존재하고(n은 2 이상의 정수),
    상기 서브프레임기간이 출현하는 순서는 n개의 게이트 신호선마다 동일하고,
    소거 신호를 화소에 입력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라임기간의 표시기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신호선은 게이트 신호측 구동회로의 어드레스 디코더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발광소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발광소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프레임기간이 n개의 서브프레임기간(n은 2 이상의 자연수)으로 분할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스위칭 트랜지스터, 구동 트랜지스터 및 소거 트랜지스터를 각각 포함하는 화소와,
    행방향으로 배치된 게이트 신호선과,
    상기 n개의 서브프레임기간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화소에서 방출된 빛의 휘도를 기억하는 m개의 기억회로(m은 자연수, m>n)와,
    상기 m개의 기억회로 중에서 한 개를 지정하는 기억회로 지정수단과,
    라인 번호를 지정하는 라인번호 지정수단과,
    상기 지정된 라인 번호의 게이트 신호선을 선택하는 게이트 신호측 구동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번호 지정수단이 제 1 라인 번호를 지정하고, 상기 기억회로 지정수단이 제 1 기억회로를 지정하며,
    상기 라인번호 지정수단이 제 2 라인 번호를 지정하고, 상기 기억회로 지정수단이 제 2 기억회로를 지정하며,
    상기 제 1 라인 번호의 게이트 신호선에 의해 제 1 서브프레임기간이 시작되고, 상기 제 2 라인 번호의 게이트 신호선에 의해 제 2 서브프레임기간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라인 번호와 상기 제 2 라인 번호는 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번호 지정수단이 제 1 라인 번호를 지정하고, 상기 기억회로 지정수단이 제 1 기억회로를 지정하며,
    상기 라인번호 지정수단이 제 1 라인 번호로부터 2 이상 떨어진 제 2 라인 번호를 지정하고, 상기 기억회로 지정수단이 제 1 기억회로를 지정하며,
    상기 제 1 라인 번호의 게이트 신호선에 이어서, 상기 제 1 라인 번호로부터 2 이상 떨어진 상기 제 2 라인 번호의 게이트 신호선에 의해 서브프레임기간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신호측 구동회로는 어드레스 디코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신호측 구동회로는 어드레스 디코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1.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발광소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발광소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3.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소거 신호를 화소에 입력함으로써, 복수의 서브프레임 기간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기간이 제어되고,
    상기 서브프레임이 출현하는 순서는, K번째(K는 자연수) 라인에 배치된 화소와 L번째(L은 자연수, L≠K) 라인에 배치된 화소에서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24.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소거 신호를 화소에 입력함으로써, 복수의 서브프레임 기간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기간이 제어되고,
    상기 서브프레임이 출현하는 순서가 n개 존재하고(n은 2 이상의 정수),
    상기 서브프레임이 출현하는 순서는 n개의 게이트 신호선마다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신호선은 게이트 신호측 구동회로의 어드레스 디코더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31. 삭제
  32. 삭제
  33.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발광소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프레임이 n개의 서브프레임(n은 2 이상의 자연수)을 갖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스위칭 트랜지스터, 구동 트랜지스터 및 소거 트랜지스터를 각각 포함하는 화소와,
    행방향으로 배치된 게이트 신호선과,
    상기 n개의 서브프레임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화소에서 방출된 빛의 휘도를 기억하는 m개의 기억회로(m은 자연수, m>n)와,
    상기 m개의 기억회로 중에서 한 개를 지정하는 기억회로 지정수단과,
    라인 번호를 지정하는 라인번호 지정수단과,
    상기 지정된 라인 번호의 게이트 신호선을 선택하는 게이트 신호측 구동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번호 지정수단이 제 1 라인 번호를 지정하고, 상기 기억회로 지정수단이 제 1 기억회로를 지정하며,
    상기 라인번호 지정수단이 제 2 라인 번호를 지정하고, 상기 기억회로 지정수단이 제 2 기억회로를 지정하며,
    상기 제 1 라인 번호의 게이트 신호선에 의해 제 1 서브프레임기간이 시작되고, 상기 제 2 라인 번호의 게이트 신호선에 의해 제 2 서브프레임기간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9.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라인 번호와 제 2 라인 번호는 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0.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번호 지정수단이 제 1 라인 번호를 지정하고, 상기 기억회로 지정수단이 제 1 기억회로를 지정하며,
    상기 라인번호 지정수단이 제 1 라인 번호로부터 2 이상 떨어진 제 2 라인 번호를 지정하고, 상기 기억회로 지정수단이 제 1 기억회로를 지정하며,
    상기 제 1 라인 번호의 게이트 신호선에 이어서, 상기 제 1 라인 번호로부터 2 이상 떨어진 상기 제 2 라인 번호의 게이트 신호선에 의해 서브프레임기간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1.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신호측 구동회로는 어드레스 디코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2.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발광소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20045150A 2001-08-03 2002-07-31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9427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36592 2001-08-03
JPJP-P-2001-00236592 2001-08-03
JP2002200854A JP2003114646A (ja) 2001-08-03 2002-07-10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JP-P-2002-00200854 2002-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712A KR20030011712A (ko) 2003-02-11
KR100942758B1 true KR100942758B1 (ko) 2010-02-18

Family

ID=26619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150A KR100942758B1 (ko) 2001-08-03 2002-07-31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283111B2 (ko)
JP (1) JP2003114646A (ko)
KR (1) KR100942758B1 (ko)
CN (1) CN100444223C (ko)
TW (1) TW5587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0420A (ja) * 2002-05-16 2003-11-19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装置の駆動方法
JP2004118132A (ja) * 2002-09-30 2004-04-15 Hitachi Ltd 直流電流駆動表示装置
US6972881B1 (en) 2002-11-21 2005-12-06 Nuelight Corp. Micro-electro-mechanical switch (MEMS) display panel with on-glass column multiplexers using MEMS as mux elements
TWI254898B (en) * 2003-10-02 2006-05-11 Pioneer Corp Display apparatus with active matrix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driving same
JP5051565B2 (ja) * 2003-12-10 2012-10-17 奇美電子股▲ふん▼有限公司 画像表示装置
JP2005215584A (ja) * 2004-02-02 2005-08-11 Ricoh Co Ltd 画像表示装置、交流化駆動方法
JP4687943B2 (ja) * 2004-03-18 2011-05-25 奇美電子股▲ふん▼有限公司 画像表示装置
JP2005275315A (ja) * 2004-03-26 2005-10-06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その駆動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5285395A (ja) * 2004-03-29 2005-10-13 Fujitsu Display Technologies Corp 配線構造並びに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用基板及び表示装置
CN100466045C (zh) * 2004-05-18 2009-03-04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半导体显示器件及驱动方法
US8194009B2 (en) * 2004-05-21 2012-06-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649246B1 (ko) * 2004-06-30 2006-1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역다중화 장치와,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패널
US7589700B2 (en) 2004-08-03 2009-09-1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riving method of display device
JP2006065093A (ja) * 2004-08-27 2006-03-09 Tohoku Pioneer Corp 自発光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駆動方法及びその駆動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US20060076567A1 (en) * 2004-09-24 2006-04-13 Keisuke Miyagawa Driving method of light emitting device
KR100659761B1 (ko) * 2004-10-12 2006-1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20070035488A1 (en) * 2004-12-03 2007-02-1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riving method of display device
JP4842537B2 (ja) * 2004-12-03 2011-12-2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
US7502040B2 (en) * 2004-12-06 2009-03-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driv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appliance
US8614722B2 (en) * 2004-12-06 2013-12-2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US20060158399A1 (en) * 2005-01-14 2006-07-2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riving method of display device
JP2006251315A (ja) * 2005-03-10 2006-09-21 Seiko Epson Corp 有機el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電子機器
US8619007B2 (en) 2005-03-31 2013-12-31 Lg Display Co., Ltd.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for implementing compact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DE102006014873B4 (de) * 2005-03-31 2019-01-03 Lg Display Co., Ltd. Ansteuerungsverfahren für eine Elektrolumineszenz-Anzeigevorrichtung
US20070200803A1 (en) * 2005-07-27 2007-08-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EP1788548A1 (en) * 2005-11-16 2007-05-23 Deutsche Thomson-Brandt Gmbh Display method in an active matrix display device
JP2007149794A (ja) * 2005-11-25 2007-06-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JP2007220359A (ja) * 2006-02-14 2007-08-30 Tokyo Electron Ltd 発光素子、発光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基板処理装置
KR101315376B1 (ko) * 2006-08-02 2013-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및 그 영상 신호 보정 방법
JP4968857B2 (ja) * 2006-08-07 2012-07-0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画素駆動装置及び画素駆動方法
JP2008076433A (ja) * 2006-09-19 2008-04-03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KR100844769B1 (ko) * 2006-11-09 2008-07-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US8710375B2 (en) * 2008-03-04 2014-04-29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substrat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isplay device, method for forming multi-layer wiring, and multi-layer wiring substrate
CN102414735B (zh) 2009-06-25 2015-02-25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显示设备和电子设备
JP2011145344A (ja) * 2010-01-12 2011-07-28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とそ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JP5839896B2 (ja) 2010-09-09 2016-01-0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
JP2012145783A (ja) * 2011-01-12 2012-08-02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US9208714B2 (en) * 2011-08-04 2015-12-08 Innolux Corporation Display panel for refreshing image data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2413271B (zh) * 2011-11-21 2013-11-13 晶门科技(深圳)有限公司 消除假轮廓的图像处理方法及装置
KR20130131668A (ko) * 2012-05-24 2013-1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디지털 구동 방법
KR20140024571A (ko) * 2012-08-20 2014-03-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40124998A (ko) * 2013-04-17 2014-10-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의사 윤곽 감소용 표시 장치
US20150161934A1 (en) * 2013-12-06 2015-06-11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of display
KR20150092412A (ko) * 2014-02-04 2015-08-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20170098405A1 (en) * 2014-05-30 2017-04-06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KR102289437B1 (ko) * 2014-11-14 2021-08-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49175B1 (ko) 2015-06-11 2022-01-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디지털 구동 방법
US20180061300A1 (en) * 2016-08-31 2018-03-01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Oled-pwm driving method
KR101933929B1 (ko) * 2017-05-23 2019-03-25 주식회사 라온텍 공간-시간 변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동하는 디지털 화소 구동 방법
CN107293257B (zh) * 2017-07-20 2019-06-04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其显示方法及显示装置
CN109427287B (zh) 2017-08-29 2020-12-22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适用于高像素密度的像素驱动电路、像素结构和制作方法
KR20220060090A (ko) * 2020-11-03 2022-05-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91392A (ja) * 1991-03-20 1992-10-15 Fujitsu Ltd ガス放電パネルの駆動装置
JPH11282398A (ja) * 1998-03-26 1999-10-15 Fujitsu Ltd 表示装置および該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2000231359A (ja) * 1999-02-09 2000-08-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2001142427A (ja) * 1999-11-16 2001-05-25 Pioneer Electronic Corp 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0663A (en) * 1975-07-07 1978-01-24 Sharp Kabushiki Kaisha Control system for driving a capacitive display unit such as an EL display panel
US4773738A (en) * 1986-08-27 1988-09-27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modulation device using ferroelectric liquid crystal and AC and DC driving voltages
JP2852042B2 (ja) * 1987-10-05 1999-01-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
JP3143497B2 (ja) * 1990-08-22 2001-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液晶装置
US5225823A (en) * 1990-12-04 1993-07-06 Harris Corporation Field sequential liquid crystal display with memory integrated within the liquid crystal panel
US5424752A (en) * 1990-12-10 1995-06-1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of driving an electro-optical device
EP0499979A3 (en) * 1991-02-16 1993-06-0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optical device
US5414442A (en) * 1991-06-14 1995-05-0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optical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2639764B2 (ja) * 1991-10-08 1997-08-1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電気光学装置の表示方法
JP2775040B2 (ja) * 1991-10-29 1998-07-09 株式会社 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電気光学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5302966A (en) * 1992-06-02 1994-04-12 David Sarnoff Research Center, Inc. Active matrix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on
EP0664917B1 (en) * 1992-10-15 2004-03-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isplay device
US5583534A (en) * 1993-02-18 1996-12-10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memory effect
JPH06282242A (ja) * 1993-03-25 1994-10-07 Pioneer Electron Corp ガス放電パネルの駆動方法
US5471225A (en) * 1993-04-28 1995-11-28 Dell Usa, L.P. Liquid crystal display with integrated frame buffer
US5416043A (en) * 1993-07-12 1995-05-16 Peregrine Semiconductor Corporation Minimum charge FET fabricated on an ultrathin silicon on sapphire wafer
JP3430593B2 (ja) 1993-11-15 2003-07-2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ディスプレイ装置の駆動方法
JP2903984B2 (ja) 1993-12-17 1999-06-1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ディスプレイ装置の駆動方法
US5798746A (en) * 1993-12-27 1998-08-2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6222512B1 (en) * 1994-02-08 2001-04-24 Fujitsu Limited Intraframe time-division multiplexing type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displaying gray-scales in an intraframe time-division multiplexing type display device
US5642129A (en) * 1994-03-23 1997-06-24 Kopin Corporation Color sequential display panels
JPH07261700A (ja) 1994-03-25 1995-10-13 Matsushita Electron Corp 画像表示放電管駆動方法
JPH0854852A (ja) 1994-08-10 1996-02-27 Fujitsu General Ltd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中間調画像表示方法
JPH0863121A (ja) 1994-08-19 1996-03-08 Fujitsu General Ltd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中間調画像表示方法
US5652600A (en) * 1994-11-17 1997-07-29 Planar Systems, Inc. Time multiplexed gray scale approach
JP3630489B2 (ja) * 1995-02-16 2005-03-16 株式会社東芝 液晶表示装置
JP3384203B2 (ja) * 1995-07-14 2003-03-10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ディスプレイ装置の駆動方法
JP3075335B2 (ja) 1995-07-14 2000-08-14 日本放送協会 中間調表示方法
US5767828A (en) * 1995-07-20 1998-06-1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grey-scale or color images from binary images
US5748160A (en) * 1995-08-21 1998-05-05 Mororola, Inc. Active driven LED matrices
CA2184129A1 (en) * 1995-08-31 1997-03-01 Donald B. Doherty Bit-splitting for pulse width modulated spatial light modulator
JPH0997035A (ja) 1995-09-29 1997-04-08 Fujitsu General Ltd ディスプレイ装置の駆動方法
US5940142A (en) * 1995-11-17 1999-08-17 Matsushita Electronics Corporation Display device driving for a gray scale expression, and a driving circuit therefor
JP3113568B2 (ja) 1995-12-21 2000-12-04 日本放送協会 中間調表示方法と装置
US6157356A (en) * 1996-04-12 2000-12-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mpany Digitally driven gray scale operation of active matrix OLED displays
JP3518949B2 (ja) * 1996-06-11 2004-04-12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
JPH09330054A (ja) 1996-06-12 1997-12-22 Nagoya Denki Kogyo Kk 点灯制御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US6040812A (en) * 1996-06-19 2000-03-21 Xerox Corporation Active matrix display with integrated drive circuitry
JPH1097217A (ja) 1996-09-20 1998-04-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
JPH1098662A (ja) 1996-09-20 1998-04-14 Pioneer Electron Corp 自発光表示器の駆動装置
JP2962245B2 (ja) 1996-10-23 1999-10-12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装置の階調表示方法
JPH10161586A (ja) * 1996-11-29 1998-06-19 Fujitsu General Ltd 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駆動回路
JPH10171401A (ja) 1996-12-11 1998-06-26 Fujitsu Ltd 階調表示方法
JP4114216B2 (ja) 1997-05-29 2008-07-0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5990629A (en) * 1997-01-28 1999-11-23 Casio Computer Co., Ltd.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JP2000509846A (ja) * 1997-03-07 2000-08-0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をサブフィールドモードにおいて駆動する回路および方法と、このような回路を有する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US6229506B1 (en) * 1997-04-23 2001-05-08 Sarnoff Corporation Active matrix light emitting diode pixel structure and concomitant method
JPH1124625A (ja) 1997-06-30 1999-01-29 Hitachi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H1145070A (ja) 1997-07-25 1999-02-16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駆動方法
DE69839542D1 (de) * 1997-08-07 2008-07-10 Hitachi Ltd Farbbildanzeigeeinrichtung und -verfahren
US6229508B1 (en) * 1997-09-29 2001-05-08 Sarnoff Corporation Active matrix light emitting diode pixel structure and concomitant method
JP3533074B2 (ja) * 1997-10-20 2004-05-31 日本電気株式会社 Vram機能内蔵のledパネル
US6034659A (en) * 1998-02-02 2000-03-07 Wald; Steven F. Active matrix electroluminescent grey scale display
TW426840B (en) * 1998-09-02 2001-03-21 Acer Display Tech Inc Driving device and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which can remove the dynamic false contour
JP4085459B2 (ja) * 1998-03-02 2008-05-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3次元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3252897B2 (ja) * 1998-03-31 2002-02-04 日本電気株式会社 素子駆動装置および方法、画像表示装置
JPH11296131A (ja) 1998-04-13 1999-10-29 Fuji Electric Co Ltd マトリクス表示ディスプレイの階調表示方法及びこの方法を用いた表示装置
GB2336931A (en) 1998-04-29 1999-11-03 Sharp Kk Temporal dither addressing scheme for light modulating devices
GB9809200D0 (en) 1998-04-29 1998-07-01 Sharp Kk Light modulating devices
US6339417B1 (en) 1998-05-15 2002-01-15 Inviso, Inc. Display system having multiple memory elements per pixel
GB9812742D0 (en) * 1998-06-12 1998-08-12 Philips Electronics Nv Active matrix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s
GB9812739D0 (en) 1998-06-12 1998-08-1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ctive matrix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s
JP3524778B2 (ja) 1998-10-06 2004-05-10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の動作方法
US6278423B1 (en) * 1998-11-24 2001-08-21 Planar Systems, Inc Active matrix electroluminescent grey scale display
JP2000258750A (ja) 1999-03-11 2000-09-22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3515699B2 (ja) 1999-03-19 2004-04-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ジタル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6753854B1 (en) 1999-04-28 2004-06-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JP4092857B2 (ja) * 1999-06-17 2008-05-2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5210473B2 (ja) * 1999-06-21 2013-06-1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
JP2001005422A (ja) * 1999-06-25 2001-01-12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駆動方法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EP1129446A1 (en) * 1999-09-11 2001-09-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ctive matrix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JP4906017B2 (ja) 1999-09-24 2012-03-2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
TW540251B (en) 1999-09-24 2003-07-01 Semiconductor Energy Lab E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6876145B1 (en) * 1999-09-30 2005-04-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JP2001110575A (ja) * 1999-10-04 2001-04-20 Sanyo Electric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JP3823645B2 (ja) 1999-12-09 2006-09-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その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6924824B2 (en) * 2000-01-14 2005-08-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ctive matrix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4593740B2 (ja) * 2000-07-28 2010-12-08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表示装置
JP4014831B2 (ja) 2000-09-04 2007-11-2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El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6774578B2 (en) * 2000-09-19 2004-08-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lf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reof
JP4291392B2 (ja) 2005-07-25 2009-07-08 帝人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91392A (ja) * 1991-03-20 1992-10-15 Fujitsu Ltd ガス放電パネルの駆動装置
JPH11282398A (ja) * 1998-03-26 1999-10-15 Fujitsu Ltd 表示装置および該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2000231359A (ja) * 1999-02-09 2000-08-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2001142427A (ja) * 1999-11-16 2001-05-25 Pioneer Electronic Corp 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25656A1 (en) 2003-02-06
TW558702B (en) 2003-10-21
US20080117132A1 (en) 2008-05-22
US7283111B2 (en) 2007-10-16
JP2003114646A (ja) 2003-04-18
US8373625B2 (en) 2013-02-12
KR20030011712A (ko) 2003-02-11
CN100444223C (zh) 2008-12-17
CN1405748A (zh) 2003-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758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794150B1 (ko) 발광 장치
KR101317253B1 (ko) 능동 매트릭스 표시 장치,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US7623098B2 (en) Display device
KR100795320B1 (ko) 능동 매트릭스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7053890B2 (en) Display device
US7502005B2 (en) Electronic device and driving method
KR100693767B1 (ko) El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1159785B1 (ko) 표시장치 및 전자기기
JP4999390B2 (ja) 表示装置
JP2004302485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