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1387B1 - 하·폐수 총인(t-p) 및 유기물을 제거할 수 있는 일체형 연속회분식 응집침전장치 - Google Patents
하·폐수 총인(t-p) 및 유기물을 제거할 수 있는 일체형 연속회분식 응집침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41387B1 KR100941387B1 KR1020090088233A KR20090088233A KR100941387B1 KR 100941387 B1 KR100941387 B1 KR 100941387B1 KR 1020090088233 A KR1020090088233 A KR 1020090088233A KR 20090088233 A KR20090088233 A KR 20090088233A KR 100941387 B1 KR100941387 B1 KR 1009413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nk
- reaction
- water
- main body
- sediment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8—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provided with flocculating compart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8—Mechanical auxiliary equipment for acceleration of sedimentation, e.g. by vibrators or the like
- B01D21/286—Means for gentle agitation for enhancing floccul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09—Regulation methods for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시간 | 반응조1 | 반응조2 | 반응조3 | 반응조4 |
15분 | 유입 | 방류 | 침전 | 침전 |
15분 | 침전 | 유입 | 방류 | 침전 |
15분 | 침전 | 침전 | 유입 | 방류 |
15분 | 방류 | 침전 | 침전 | 유입 |
Claims (14)
- 원수에 응집제를 혼합하여 플록을 형성한 후, 플록을 침전시켜 슬러지와 상등수로 분리 배출하는 응집침전장치에 있어서,다수 개의 반응침전조가 밀접하게 설치되어 있는 본체부와;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원수에 응집제를 혼합하는 급속혼화부와;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급속혼화부에서 공급되는 유입수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분배하여 상기 다수 개의 반응침전조로 공급하는 유입수분배부와;상기 유입수분배부에서 유입되는 유입수를 완속교반하여 플록을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반응침전조 하부로 유입수를 공급하기 위한 완속교반부를 더 설치하되, 상기 완속교반부는 상기 반응침전조의 일 측 외벽에 형성되고 상부로 유입되는 유입수가 하부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해 상기 반응침전조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완속교반조와 상기 완속교반조 내부에 상하로 이격되고 좌우에 교호적으로 설치되어 유입수의 유로를 연장하는 다수 개의 유로연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연속회분식 응집침전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다수 개의 반응침전조는 동일 평면상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이웃하는 반응침전조가 서로 밀접하게 설치되어 그 상면에 상기 급속혼화부와 유입수분배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연속회분식 응집침전장치.
- 제 3에 있어서,상기 다수 개의 반응침전조 내부에는 완속교반을 위한 교반날개가 설치되고, 일 측에는 상등수를 배출하기 위한 상등수 배출관이 연결되며, 하단에는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 배출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연속회분식 응집침전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유로연장부는 상기 완속교반조의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바닥판과 수직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로연장조와, 상기 유로연장조의 가운데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양측에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격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연속회분식 응집침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유입수분배부는 다수 개의 구역으로 구획된 유입수분배조와, 상기 유입수분배조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급속혼화부에서 유입되는 유입수를 각 구역으로 분배하는 회전분배통과, 상기 회전분배통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연속회분식 응집침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급속혼화부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수가 유입되어 흐르는 원통관과 상기 원통관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응집제를 주입하는 주입관과, 상기 원통관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원수의 흐름을 교란시켜 응집제를 혼합하기 위한 다수 개의 혼합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연속회분식 응집침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각각의 반응침전조의 측벽에는 다수 개의 상등수 배출공이 상하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상등수 배출공에는 상등수 배출관이 연결되며, 상기 상등수 배출관에는 상등수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한 개폐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연속회분식 응집침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반응침전조의 내부에는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상자 형태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일정한 각도로 설치되고 하부에서 유입되는 물이 상부로 배출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 개의 경사판과, 상기 본체의 가운데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경사판의 상부로 배출된 물이 월류하도록 하는 두 개의 월류판과, 상기 두 개의 월류판 사이에 설치되고 가운데에 배수공이 형성된 바닥판과, 상기 본체의 양측에 설치된 안내부와 결합하여 상기 본체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반응침전조의 내벽에 설치된 안내레일과, 상기 본체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반응침전조의 상면에 설치된 구동부를 포함하는 상등수배출장치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연속회분식 응집침전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8233A KR100941387B1 (ko) | 2009-09-17 | 2009-09-17 | 하·폐수 총인(t-p) 및 유기물을 제거할 수 있는 일체형 연속회분식 응집침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8233A KR100941387B1 (ko) | 2009-09-17 | 2009-09-17 | 하·폐수 총인(t-p) 및 유기물을 제거할 수 있는 일체형 연속회분식 응집침전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41387B1 true KR100941387B1 (ko) | 2010-02-10 |
Family
ID=42083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88233A KR100941387B1 (ko) | 2009-09-17 | 2009-09-17 | 하·폐수 총인(t-p) 및 유기물을 제거할 수 있는 일체형 연속회분식 응집침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41387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0187B1 (ko) | 2012-06-12 | 2012-10-12 | 조태섭 | 응집제 혼합장치 |
CN113526642A (zh) * | 2021-08-25 | 2021-10-22 | 鑫龙冶建设工程有限公司 | 一种药物剂量自适应的矿井废水无害化处理装置 |
CN117800460A (zh) * | 2023-12-14 | 2024-04-02 | 江苏格罗瑞化学有限公司 | 一种便于处理废水的荧光剂缩合反应系统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6818Y1 (ko) | 1999-11-30 | 2000-06-15 | 손을택 | 수처리용 자연탈수 침전탱크 |
KR20020092871A (ko) * | 2002-10-31 | 2002-12-12 | 양기해 | 자연 포기에 의한 병렬배치식 오폐수처리장치 |
KR200377629Y1 (ko) * | 2004-12-22 | 2005-03-16 | 진성언 | 집약적 폐수처리장치 |
KR100836280B1 (ko) * | 2006-12-13 | 2008-06-09 | 한국수자원공사 | 응집침전지의 분배수로 설치구조 |
-
2009
- 2009-09-17 KR KR1020090088233A patent/KR10094138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6818Y1 (ko) | 1999-11-30 | 2000-06-15 | 손을택 | 수처리용 자연탈수 침전탱크 |
KR20020092871A (ko) * | 2002-10-31 | 2002-12-12 | 양기해 | 자연 포기에 의한 병렬배치식 오폐수처리장치 |
KR200377629Y1 (ko) * | 2004-12-22 | 2005-03-16 | 진성언 | 집약적 폐수처리장치 |
KR100836280B1 (ko) * | 2006-12-13 | 2008-06-09 | 한국수자원공사 | 응집침전지의 분배수로 설치구조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0187B1 (ko) | 2012-06-12 | 2012-10-12 | 조태섭 | 응집제 혼합장치 |
CN113526642A (zh) * | 2021-08-25 | 2021-10-22 | 鑫龙冶建设工程有限公司 | 一种药物剂量自适应的矿井废水无害化处理装置 |
CN113526642B (zh) * | 2021-08-25 | 2023-10-24 | 鑫龙冶建设工程有限公司 | 一种药物剂量自适应的矿井废水无害化处理装置 |
CN117800460A (zh) * | 2023-12-14 | 2024-04-02 | 江苏格罗瑞化学有限公司 | 一种便于处理废水的荧光剂缩合反应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2019952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well flow-back and produced water or other wastewater | |
US3779910A (en) | Liquid treatment plant and process, particularly for waste water | |
KR20190102376A (ko) | 고효율 혼화·응집침전설비를 갖춘 굴착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 |
KR101632985B1 (ko) | 슬러지와 침전물 및 처리수를 동시 분리 처리하는 하폐수 처리장치 | |
KR100941387B1 (ko) | 하·폐수 총인(t-p) 및 유기물을 제거할 수 있는 일체형 연속회분식 응집침전장치 | |
KR100946402B1 (ko) | 고속 응집침전시스템 | |
KR100529598B1 (ko) | 응집식 오폐수 정화장치 | |
KR100637920B1 (ko) |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용 2차 침전지 | |
CA2253426C (en)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water | |
KR100745119B1 (ko) | 수처리 장치 | |
CN102933506A (zh) | 废水生物净化的方法和装置 | |
KR101917080B1 (ko) | 하폐수처리장치 | |
KR102403742B1 (ko) | 슬러지 침강 촉진용 슬러지 수집장치 | |
KR20120053272A (ko) | 개량형 수리적 응집수로를 겸비한 침전장치 | |
KR101991810B1 (ko) | 부유물 및 스컴제거 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 |
KR101991812B1 (ko) | 처리수 배출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다공격판을 갖는 하폐수처리장치 | |
KR102097559B1 (ko) | 고속 난류형 고도산화 부상분리 공정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 |
KR101256055B1 (ko) | 이동식 수처리장치 | |
KR101993672B1 (ko) | 음식물 폐수처리를 위한 처리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 |
KR100959583B1 (ko) | 회전세척이 가능한 침전판 및 침전관으로 구성된 침전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 |
CN100343181C (zh) | 一种中置式沉淀池 | |
CN216662686U (zh) | 搅拌装置及水处理设备 | |
KR101991808B1 (ko) | 처리효율이 향상된 다공격판을 이용한 하폐수처리장치 | |
CN219567676U (zh) | 一种市政污水处理加药设备 | |
KR101991816B1 (ko) | 개선된 처리수 배출효율을 갖는 다공격판을 이용한 하폐수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910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2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0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