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9904B1 -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입력방법 - Google Patents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입력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19904B1 KR100919904B1 KR1020030010863A KR20030010863A KR100919904B1 KR 100919904 B1 KR100919904 B1 KR 100919904B1 KR 1020030010863 A KR1020030010863 A KR 1020030010863A KR 20030010863 A KR20030010863 A KR 20030010863A KR 100919904 B1 KR100919904 B1 KR 1009199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 button
- consonant
- buttons
- addition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7)
- 전화기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입력방법에 있어서,12개의 버튼이 구비되어 있는 단말기 키패드에 한글 초성자음으로 이용되는 19개의 자음과 21개의 중성 모음을 조합할 수 있는 모음 3개('ㅣ', ' ·', 'ㅡ')를 기본 자모군 11개와 부가 자음군 11개로 나누어서, 12개의 버튼중의 11개의 버튼 각각에 기본 자모군에 속하는 자모 1개와 부가 자음군에 속하는 자음 1개를 각각 병기하여 할당하고, 상기의 자모가 할당되지 않은 1개의 버튼을 부가 자음군 입력 예비키로 설정하여 기본 자모군은 해당하는 버튼을 눌렀을 때 입력되게 하고 부가 자음군은 부가 자음군 입력 예비키를 누른 후 해당하는 버튼을 눌렀을 때 입력되게 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숫자 버튼('1','2', '3' 버튼)에 기본 자모군으로 각각 'ㅣ', ' ·', 'ㅡ' 가 배치되고 부가 자음군으로 각각 'ㄲ', 'ㄸ', 'ㅃ' 이 병기되며, 숫자 버튼('4', '5', '6', '7', '8', '9', '0' 버튼)에 기본 자모군으로 각각 'ㄱ', 'ㄴ', 'ㄷ', 'ㅂ', 'ㅅ', 'ㅈ', 'ㅇ' 이 배치되고 부가 자음군으로 각각 'ㅋ', 'ㄹ', 'ㅌ', 'ㅍ', 'ㅎ', 'ㅊ', 'ㅁ' 이 병기되며, # 버튼에 기본 자모군으로 'ㅆ'이 배치되고 부가 자음군으로 'ㅉ'이 병기되며 * 버튼을 부가 자음군입력 예비키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숫자 버튼('1', '2', '3' 버튼)에 기본 자모군으로 각각 'ㅣ', ' ·', 'ㅡ' 가 배치되고 부가 자음군으로 각각 'ㅊ', 'ㅋ', 'ㅌ'이 병기되며, 숫자 버튼('4', '5', '6', '7', '8', '9', '0' 버튼)에 기본 자모군으로 각각 'ㄱ', 'ㄴ', 'ㄷ', 'ㅂ', 'ㅅ', 'ㅈ', 'ㅇ' 이 배치되고 부가 자음군으로 각각 'ㄲ', 'ㄹ', 'ㄸ', 'ㅃ', 'ㅆ', 'ㅉ', 'ㅁ' 이 병기되며, # 버튼에 기본 자모군으로 'ㅎ'이 배치되고 부가 자음군으로 'ㅍ'이 병기되며 * 버튼을 부가 자음군입력 예비키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12개의 버튼이 구비되어 있는 단말기 키패드에 한글 초성자음으로 이용되는 19개의 자음과 21개의 중성 모음을 조합할 수 있는 모음 3개('ㅣ', ' ·', 'ㅡ')를 기본 자모군 11개와 부가 자음군 11개로 나누어서, 12개의 버튼중의 11개의 버튼 각각에 기본 자모군에 속하는 자모 1개와 부가 자음군에 속하는 자음 1개를 각각 병기하여 할당하고, 상기의 자모가 할당되지 않은 1개의 버튼을 부가 자음군 입력 예비키로 할당하여, 11개의 전화기 버튼에 배치된 기본 자모군을 선택하여 초성자음을 입력하는 과정, 또는 부가 자음군 입력 예비키를 선택한 후 11개의 전화기 버튼에 배치된 부가 자음군을 선택하여 초성자음을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초성 자음 입력 단계와;한글 창제원리에 따라 21개의 중성모음을 조합할 수 있는 3개의 모음글자가 배치되어 있는 버튼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중성 모음 입력 단계와;상기의 초성 자음 입력원칙에 입각하여 27개의 종성 자음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 제 4항에 있어서, 문자입력을 위한 모드가 시작되었을 때의 초성 자음 입력 단계에서, 처음 입력되는 버튼값이 3개의 모음('ㅣ', ' ·', 'ㅡ')이 기본 자모군으로 할당된 버튼 값일 경우 해당하는 버튼의 부가 자음으로 입력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 제 4항에 있어서, 중성 모음 입력 단계에 있어, 기 입력된 버튼 입력값에 의해 임의의 글자가 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3개의 모음('ㅣ', ' ·', 'ㅡ')값에 해당하는 버튼의 입력이 추가적으로 있을 경우,기존에 조합된 글자에서 부가하여 ('ㅣ', ' ·', 'ㅡ')을 조합하여 새로운 복모음을 조합할 수 없을 때에는 3개의 모음('ㅣ', ' ·', 'ㅡ')이 표기된 버튼에 병기되어 있는 부가 자음의 입력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전화기 측면 상에 위치하는 음량조절 상하 제어버튼 등의 기능에 있어, 전화기가 문자입력 모드가 아닐 때에는 고유의 음량조절 기능 등을 수행하고, 전화기가 문자입력 모드에 있을 때에는 음량조절 상하 제어버튼에 * 버튼 또는 # 버튼의 기능을 부여하여 음량조절 상하 버튼을 눌렀을 때 * 버튼과 # 버튼이 입력된 것과 같은 기능을 부여하여 문자 입력을 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10863A KR100919904B1 (ko) | 2003-02-20 | 2003-02-20 |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입력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10863A KR100919904B1 (ko) | 2003-02-20 | 2003-02-20 |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입력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75400A KR20040075400A (ko) | 2004-08-30 |
KR100919904B1 true KR100919904B1 (ko) | 2009-10-06 |
Family
ID=37361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10863A KR100919904B1 (ko) | 2003-02-20 | 2003-02-20 |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입력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1990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0445U (ko) * | 2018-08-16 | 2020-02-26 | 도종명 | 먼저 아래아“· ”를 입력하고 다음에 일반소리를 입력하면 한글 거센소리가 입력되게 방식의 자판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3705B1 (ko) * | 2005-03-17 | 2007-01-02 | 타임스페이스시스템(주) | 한글 자음 입력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04773A (ko) * | 2000-07-04 | 2002-01-16 | 황재엽 | 휴대폰 문자입력코드발생 장치 및 방법 |
KR20020017384A (ko) * | 2000-08-30 | 2002-03-07 | 윤종용 | 휴대폰에서 한글 입력 방법 |
KR20040039949A (ko) * | 2002-11-05 | 2004-05-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
-
2003
- 2003-02-20 KR KR1020030010863A patent/KR10091990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04773A (ko) * | 2000-07-04 | 2002-01-16 | 황재엽 | 휴대폰 문자입력코드발생 장치 및 방법 |
KR20020017384A (ko) * | 2000-08-30 | 2002-03-07 | 윤종용 | 휴대폰에서 한글 입력 방법 |
KR20040039949A (ko) * | 2002-11-05 | 2004-05-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0445U (ko) * | 2018-08-16 | 2020-02-26 | 도종명 | 먼저 아래아“· ”를 입력하고 다음에 일반소리를 입력하면 한글 거센소리가 입력되게 방식의 자판 |
KR200491971Y1 (ko) | 2018-08-16 | 2020-07-09 | 도종명 | 먼저 아래아“· ”를 입력하고 다음에 일반소리를 입력하면 한글 거센소리가 입력되게 방식의 자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75400A (ko) | 2004-08-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17566B2 (en) | Sequential two-key system to input keyboard characters and many alphabets on small keypads | |
KR100646572B1 (ko) | 기본문형의 조합을 통한 한글, 영문, 숫자 입력장치 | |
KR100919904B1 (ko) | 전화기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입력방법 | |
KR100894382B1 (ko) | 한글 입력방법 및 한글 키보드 | |
KR100604293B1 (ko) | 기본문형을 적용한 한글문자입력장치 | |
KR100336493B1 (ko) | 전화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 | |
KR20010054288A (ko) | 기본문형을 조합하여 한글, 영어를 입력하는 문자입력장치 | |
KR20070000648U (ko) | 한글 입력방법 및 한글 키보드 | |
KR100486866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글자판 | |
KR100432267B1 (ko) | 간편한 한글자판 | |
KR100451206B1 (ko) |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 |
KR200276555Y1 (ko) | 3접점 키버튼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 | |
KR100659379B1 (ko) | 휴대 단말기의 자판 및 그 배열 방법 | |
KR20040083873A (ko) | 한글 입력 방법 | |
KR20020012823A (ko) |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
JP3130693B2 (ja) | パソコン用日本語混合文入力装置 | |
KR101001085B1 (ko) | 휴대폰 자판 영어 알파벳 자모 배열 | |
KR100669227B1 (ko) | 3×4 키패드를 갖는 제품을 위한 한글문자 입력장치 | |
KR20030079869A (ko) | 다수의 문자조합 버튼을 동시에 사용한 문자입력 방법 및 두가지 방법을 병행사용한 문자 입력방법 | |
KR20050092587A (ko) | 휴대폰의 한글입력방법 및 영어입력방법 | |
KR20030054449A (ko) | 3접점 키버튼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 및 배열 방법 | |
KR20010064214A (ko) | 휴대폰에서의 문자입력장치 | |
JP3108799U (ja) | 携帯電話機等の文字入力機能付小型端末装置においてローマ字仮名入力、及び英字、数字、記号の入力を可能とするキー入力装置 | |
US20090040076A1 (en) | Character Arrangement Method and Character Input Device | |
KR20000012384A (ko) | 기본문형을 조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입력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2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2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2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9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9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9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date: 20230820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