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7590B1 - 스파인백 등받이 - Google Patents

스파인백 등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7590B1
KR100917590B1 KR1020070083273A KR20070083273A KR100917590B1 KR 100917590 B1 KR100917590 B1 KR 100917590B1 KR 1020070083273 A KR1020070083273 A KR 1020070083273A KR 20070083273 A KR20070083273 A KR 20070083273A KR 100917590 B1 KR100917590 B1 KR 100917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e
backrest
chair
user
upper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3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9100A (ko
Inventor
박진한
Original Assignee
박진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한 filed Critical 박진한
Priority to KR1020070083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7590B1/ko
Publication of KR20090019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59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5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bar or leaf spring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에 구비되어 사람의 등을 받치도록 구성된 등받이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편안하게 등받이에 기댄 상태에서 피로를 풀 수 있도록, 상체를 좌ㆍ우로 돌리고, 상체를 곡선으로 뒤로 젖히는 스트레칭이 가능한 스파인백에 관한 것으로, 탄성력을 가진 "∩"자 형태로 형성된 등받이기둥과, 그 등받이기둥의 수직부재에 하나 이상으로 끼워져 적층구비된 스파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그 대략적인 스파인백 등받이의 구성을 가진다.
상기 다수의 스파인이 적층구비됨을 특징으로 그 적층구비된 각각의 스파인이 좌ㆍ우 회전되고, 곡선형태로 각각 젖혀짐에 따라 사용자가 의자에 편안히 기댄 상태에서도 상체를 좌ㆍ우 회전하고 사용자의 상체를 곡선형태로 뒤로 젖히는 스트레칭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인백 등받이이다.
의자, 등받이, 스파인, 스트레칭, 스파인백

Description

스파인백 등받이 { spine back of a chair }
본 발명은 의자에 구비되어 사람의 등을 받치도록 구성된 등받이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편안하게 등받이에 기댄 상태에서 피로를 풀 수 있도록, 상체를 좌ㆍ우로 돌리고, 상체를 곡선으로 뒤로 젖힐 수 있는, 스트레칭이 가능한 스파인백에 관한 것이다.
하루 중 일과를 의자에 앉아서 보내는 직장인 혹은 학생들이 사용하는 의자는 일반적으로 지지부(1)와 그 지지부(1) 상부에 좌판(2)이 구비되고, 그 지지부(1)의 수직부재에 후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구비된 탄성뭉치(3)가 구비되고, 수평면으로 형성된 등받이(4)의 끝단이 상기 탄성뭉치(3)의 스프링과 연결되어 수직으로 구비된 구성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등받이(4)는 탄성 부재인 스프링에 의해 후방으로 젖혀졌다가 수직으로 복구되는 작동으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수직의 등받이(4)와 뒤로 젖혀진 등받이(4)를 제공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잠시 피로를 풀기 위해 등 전체를 등받이(4)에 기댈 경우, 등받이(3)에 기대는 힘과 상체의 하중에 의해 탄성뭉치(3)의 스프링이 압축됨과 동시에 등받이(4)가 뒤로 젖혀지게 되어 사용자가 의자에 편안히 누울 수 있게 된다.
다시 사용자가 업무 및 공부를 하기 위해 상체를 세울 경우, 업무 및 공부 중인 사용자의 상체를 ⅔가량 지탱하여 바른 자세가 되도록 상기 탄성뭉치(3)의 스프링이 등받이(4)의 끝단을 후방으로 밀어내어 등받이(4)를 수직의 형태로 복귀시킨다.
이러한 구성의 등받이(3)가 구성된 의자 외에도, 건강을 중요하게 여기는 웰빙시대에 맞춰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안마를 해주도록 그 내부에 진동장치가 구비된 안마의자 등이 시판되고 있으나, 회사의 업무용과 학생들이 사용하는 학생용으로는 부적합하여 사용되지 않는 실정으로, 장시간 의자에 않아 일과를 보내는 직장인 및 학생들을 상기 구성의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간단히 실시할 수 있는 한정된 스트레칭만으로 누적된 피로를 틈틈이 해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기술분야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편안하게 등받이에 기댄 상태에서 피로를 풀 수 있도록 상체를 좌ㆍ우로 돌리고, 등을 곡선으로 뒤로 젖히는 스트레칭이 가능한 스파인백 등받이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배경기술에서와 같이 구성된 종래 등받이(4)는 수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체를 좌ㆍ우로 돌리는 스트레칭을 하기 위에 의자에서 일어서거나, 좌판(2)앞쪽에 걸터앉아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수평면으로 형성되어 탄성뭉치(3)에 의해 뒤로 젖혀졌다가 다시 수직의 형태로 복귀되도록 구성된 등받이(3)의 구성으로 인해, 사용자가 의자에 편안하게 기댄 상태에서 상체를 좌우로 돌리거나 곡선으로 뒤로 젖히는 스트레칭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탄성력을 가진 "∩"자 형태로 형성된 등받이기둥과, 상기 등받이기둥의 수직부재에 하나 이상으로 끼워져 적층구비된 스파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인백 등받이.
본 발명은 다수의 스파인이 적층구비됨을 특징으로 그 적층구비된 각각의 스파인이 좌ㆍ우 회전되고, 곡선형태로 각각 젖혀짐에 따라 사용자가 의자에 편안히 기댄 상태에서도 상체를 좌ㆍ우 회전하고 사용자의 상체를 곡선형태로 뒤로 젖히는 스트레칭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뒤로 젖혀진 상태에서도 상체를 좌ㆍ우로 회전하는 스트레칭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책상에서 업무 및 공부를 하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의자에 기댄 상태에서도 간단한 상체 스트레칭을 통해 누적된 피로를 효과적으로 풀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가 편안하게 등받이에 기댄 상태에서 피로를 풀 수 있도록 상체를 좌ㆍ우로 돌리고, 등을 곡선으로 뒤로 젖히는 스트레칭이 가능한 등받이에 관한 스파인백 등받이에 관한 것으로, 탄성력을 가진 "∩"자 형태로 형성된 등받이기둥(100)과, 크게 적층구비되되 개별적으로 좌ㆍ우 회전되고 곡선형태로 젖혀질 수 있도록 구성된 스파인(200)로 구성된다.
상기 등받이기둥(100)과 스파인(200)로 구성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탄성력을 가진 "∩"자 형태로 형성된 등받이기둥(100)과, 그 등받이기둥(100)의 수직부재에 하나 이상으로 끼워져 적층구비된 스파인(2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그 대략적인 스파인백 등받이의 구성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배경기술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스파인을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스파인의 결합관계를 단면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젖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좌ㆍ우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지지구멍과 보조기둥을 더 구비한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상기 등받이기둥(100)은 도 4 및 도 6과 같이, 특정 힘을 가하면 휘어지고 그 힘이 없을 경우 다시 원상복구되도록 탄성력을 가진 파이프를 "∩"자 형태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스파인(200)은 도 3과 같이, 직사각 형태로 형성하되 상부 면에 후방을 향하여 하부로 기울어진 경사면(210)을 형성하고, 그 경사면(210) 상부에 구형상의 연결구(220)를 돌출 형성하고, 그 하부 면에 상기 연결구(220)와 대응하도록 연결홈(230)을 형성하고, 양쪽에 직사각형의 지지편(240)을 돌출 형성하되 수직의 지지구멍(241)을 각각 형성한 것이다.
또한, 위 스파인(200)에 있어서, 연결구(220) 후방에 상부로 향하는 직사각 형태의 걸림돌기(250)를 더 형성하고, 각 스파인(200)이 적층구비되어 젖혀질 때, 그 걸림돌기(250)가 삽입되도록 그 스파인(200) 하면에 그와 대응하는 홈을 형성하되 상기 걸림돌기(25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 걸림홈(260)을 더 형성한 것이다.
상기 스파인(200)의 지지편(240)에 있어서, 지지구멍(241)을 용이하게 구분하기 위해서 한정한 것으로 지지편(240)의 구성없이 스파인(200)의 양끝단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스파인(200)과 등받이기둥(100)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등받이기둥(100)의 수직부재에 10개의 스파인을 끼워 적층 구비하되, 상기 제1스파인(200a)의 지지구멍(221a)에 끼워 구비하고, 또 다른 제2스파인(200b)을 상기와 동일한 형태로 끼우되 제1스파인(200a)의 연결홈(230a)에 제2스파인(200b)의 연결구(230b)를 끼워서 제1스파인(200a)의 걸림홈(260a)과 제2스파인(200b)의 걸림돌기(250a)와 대응하도록 구비하는 방법으로 각 스파인(200)을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스파인백 등받이가 결합완성된다.
이렇게 결합완성된 본 발명의 스파인백 등받이의 작동관계는 도 6과 같이, 사용자가 등 전체를 기대어 후방으로 힘과 하중을 가할 경우, 등받이기둥(100)이 뒤로 젖혀지되, 적층구비된 제1스파인(200a)이 하부에 구비된 제2스파인(200b)의 경사면(210b)의 각도에 따라 곡선으로 젖혀지되, 제2스파인(200b)의 연결구(220a)가 제1스파인(200a)의 연결홈(230a)에 걸려 고정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등을 곡선형태로 젖히는 스트레칭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작동관계에서와 같이, 상기 경사면의 각도를 다양하게 형성한 것을 적층시켜 높이별로 다양한 각으로 젖혀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제1스파인(200a)과 제2스파인(200b)이 연결홈(230a)과 연결구(220b)로 연결된 구성을 통하여, 그 연결구(220b)를 중심으로 등받이기둥(100)이 휘어지고, 각각의 스파인(200a, 200b)이 좌ㆍ우로 회전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체를 좌ㆍ우로 돌리는 스트레칭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제1스파인(200a)이 제2스파인(200b)의 경사면을 따라 젖혀지면, 상기 제1스파인(200a)의 걸림홈(260a)에 제2스파인(200b)의 걸림돌기(250b)가 삽입되어, 상기 곡선형태로 젖혀진 상태에서 상체를 좌ㆍ우로 돌리는 스트레칭시 상기 제1스파인(200a)이 걸림홈(260a)의 폭만큼만 회전되어 사용자가 뒤로 젖혀진 상태에서 필요 이상으로 상체가 좌ㆍ우로 돌아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다시 사용자가 업무 및 공부를 하기 위해 상체를 일으켜 세울 경우, 등받이기둥(100)의 탄성력에 의해 수직의 형태로 복구되며, 스파인(200)을 수평의 형태로 복구된다.
즉, 본 발명의 스파인백 등받이는 상호 적층구비된 스파인(200)이 연결구(220)와 연결홈(230)을 통해 용이하게 스트레칭에 필요한 최대의 각으로 좌우회전하고, 등받이기둥(100)의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며, 경사면(210)에 의해 상부 면에 적층구비된 또 다른 스파인(200)이 젖혀지고, 등받이기둥(100)의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어 사용자가 상체 전부를 기댈 경우, 곡선형태로 젖혀짐과 동시에 상체를 좌ㆍ우 돌리는 스트레칭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어, 사용자가 편안하게 의자에 기댄 상태에서 상체를 좌ㆍ우로 돌리거나 뒤로 젖히는 스트레칭으로 누적된 피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동상태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종래의 기술적 효과에서와 동일하게 사용자의 상체를 절반가량 수직으로 지지하여 곧은 자세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도 8과 같이 상기 스파인(200)의 지지편(240)에 또 다른 지지구멍(241)을 하나 더 형성하여 하나의 지지구멍(241)에 등받이기둥(100)을 구비하고, 그 등받이기둥(100)보다 짧은 크기의 또 다른 보조기둥(300)을 더 형성하여 상기 스파인(200)이 적층구비된 본 발명의 스파인백 등받이의 하부에 또 다른 지지구멍(241)에 끼워 더 구비하는 것으로 극히 용이하게 변경실시 할 수 있다.
도 1은 배경기술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파인을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스파인의 결합관계를 단면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젖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좌ㆍ우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지지구멍과 보조기둥을 더 구비한 본 발명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보호의 설명]
100 : 등받이기둥 200 : 스파인
210 : 경사면 220 : 연결구
230 : 연결홈 240 : 지지편
241 : 지지구멍 250 : 걸림돌기
260 : 걸림홈

Claims (3)

  1. 삭제
  2. 탄성력을 가진 "∩"자 형태로 형성된 등받이기둥(100)과;
    상기 등받이기둥(100)의 수직부재에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되, 상부 면에 경사면(210)이 형성되고, 그 경사면(210) 상부에 연결구(220)가 형성되며, 하부 면에 그 연결구(220)와 대응하는 연결홈(230)이 형성되고, 양 끝단에 상기 등받이기둥(100)과 대응하는 지지구멍(241)이 형성된 스파인(200)이 하나 이상으로 끼워져 적층구비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인백 등받이.
  3. 제 2항에 있어서,
    스파인(200)의 경사면(210) 후방에 형성된 걸림돌기(250)와;
    상기 스파인(200) 하부에 그 걸림돌기(250)와 대응하는 걸림홈(260)을 더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인백 등받이.
KR1020070083273A 2007-08-20 2007-08-20 스파인백 등받이 Expired - Fee Related KR100917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273A KR100917590B1 (ko) 2007-08-20 2007-08-20 스파인백 등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273A KR100917590B1 (ko) 2007-08-20 2007-08-20 스파인백 등받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100A KR20090019100A (ko) 2009-02-25
KR100917590B1 true KR100917590B1 (ko) 2009-09-17

Family

ID=40686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3273A Expired - Fee Related KR100917590B1 (ko) 2007-08-20 2007-08-20 스파인백 등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75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969B1 (ko) * 2009-12-28 2012-04-18 김수렬 의자용 등받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986A (ko) * 1996-10-10 1998-07-15 김형석 의자 등판
KR200302692Y1 (ko) * 2002-07-04 2003-01-30 박래웅 의자의 등받이
KR200367050Y1 (ko) 2004-08-19 2004-11-09 제해중 다단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KR200395763Y1 (ko) 2005-06-24 2005-09-13 이길남 등받이 분할형 의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986A (ko) * 1996-10-10 1998-07-15 김형석 의자 등판
KR200302692Y1 (ko) * 2002-07-04 2003-01-30 박래웅 의자의 등받이
KR200367050Y1 (ko) 2004-08-19 2004-11-09 제해중 다단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KR200395763Y1 (ko) 2005-06-24 2005-09-13 이길남 등받이 분할형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100A (ko) 200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95177B2 (ja) 姿勢保持具
JP6572266B2 (ja) 椅子
KR102163201B1 (ko) 기능성 의자
TWM355061U (en) Structure of backrest cushion
AU2016262706B2 (en) A sitting device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US20200121547A1 (en) Functional chair with massage ball
KR101135969B1 (ko) 의자용 등받이
KR100917590B1 (ko) 스파인백 등받이
KR100862508B1 (ko) 등과 요추가 밀착되는 의자
KR20090007511A (ko) 턱받침용 어셈블리를 구비한 의자
KR200371544Y1 (ko) 머리받침대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자
CN201400109Y (zh) 一种座椅头枕
KR20100079718A (ko) 높이조절 가능한 탈착식 발판이 구비된 의자
JP5041321B2 (ja) 自働腰臀揉み器
KR200483324Y1 (ko) 허리 보호용 의자
KR200302692Y1 (ko) 의자의 등받이
KR200471916Y1 (ko) 의자의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
KR200407079Y1 (ko) 매트리스가 구비된 안마용 의자
CN216147649U (zh) 带有可侧靠头枕装置的沙发
CN210300244U (zh) 一种心理健康用音乐放松设备
CN213247875U (zh) 办公椅
KR101421071B1 (ko) W자형 책상
KR200416726Y1 (ko) 의자겸용 간이침대
KR101331981B1 (ko) 가슴안착부가 형성된 의자용 가슴받이 구조
JP7043341B2 (ja) 腰痛対策座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9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9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