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4387B1 - Device for fixing position of anchor bolts in the base of a pier - Google Patents
Device for fixing position of anchor bolts in the base of a p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04387B1 KR100904387B1 KR1020080080275A KR20080080275A KR100904387B1 KR 100904387 B1 KR100904387 B1 KR 100904387B1 KR 1020080080275 A KR1020080080275 A KR 1020080080275A KR 20080080275 A KR20080080275 A KR 20080080275A KR 100904387 B1 KR100904387 B1 KR 1009043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chor bolt
- support frame
- frame
- square
- pi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2—Submerged foundations, i.e. submerged in open water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앵커볼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각의 기초 형성 시에 콘크리트의 양생에 의해 앵커볼트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뒤틀려 어긋나게 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는 교각 기초용 앵커볼트 위치고정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ition fixing tool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anchor bolt, and more specifically for the piling foundation to prevent the position of the anchor bolt is changed or twisted by the curing of the concrete when forming the foundation of the piers Anchor bolt positioning fixture.
일반적으로 교각은 크게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된 콘크리트교각과, 강재로 구성된 강재교각 및 강재교각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합성교각이 있다.In general, bridge piers are composed of concrete piers composed of concrete structures, steel piers composed of steel, and composite piers in which concrete is placed inside steel piers.
도 6은 종래의 교각과 기초의 연결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a conventional pier and the founda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에는 앵커프레임(100)이 위치하고, 앵커프레임(100)의 상부에는 베이스플레이트(200)가 위치한다. 상기 앵커프레임(100)과 베이스플레이트(200)의 둘레를 따라 1열로 관통한 앵커볼트(300)가 체결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여기서, 상기 앵커프레임(100)은 하부프레임(101)과 상부프레임(102)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0)는 상부플레이트(201)와 하부플레이트(202)를 포함하며, 상기 앵커볼트(300)는 상부플레이트(201)와 하부플레이트(202)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플레이트(201)의 상면에서 너트(400)로 체결 고정된다.Here, the
교각의 기초를 만들기 위해, 우선 하부프레임(101)에 앵커볼트(300)의 하단을 체결한 상태로 하부프레임(101)의 상단으로 1차 콘크리트선(FC)까지 콘크리트를 1차로 타설하여 양생을 하게 된다.In order to make the foundation of the pier, first, the concrete is first casted to the primary concrete line (FC) to the top of the
이와 같이 1차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앵커볼트(300)에 상부프레임(102)을 끼워서 고정시킨 후에 상부프레임(102)의 둘레로 2차 콘크리트선(SC)까지 콘크리트를 2차로 타설하여 양생하게 된다.When the curing of the concrete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2차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앵커볼트(300)의 상단에 상부플레이트(201)와 하부플레이트(202)를 끼워 고정한 다음에 상부플레이트(201)와 동일한 높이로 3차 콘크리트선(TC)까지 콘크리트를 3차로 타설하여 양생하게 되고, 이와 같은 3차에 걸친 콘크리트의 타설과 양생에 의해 교각의 기초가 완성된다.When the curing of the secondary concrete is completed, the
도 7은 종래의 교각을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ier.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의 기초가 완성된 후에 상기 상부플레이트(201)에 교각기둥(500)의 하단을 고정하고, 상기 앵커볼트(300)가 구비되는 상부플레이트(201)와 하부플레이트(202)의 둘레와 교각기둥(500)의 외부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화시킨다.As shown in the figure, after the foundation of the pier is completed, the lower end of the
이와 같이 상기 교각기둥(500)과 상부플레이트(201)가 일체화된 상태에서 상기 교각기둥(50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시키면 상기 교각기둥(500)이 완성되고, 상기 교각기둥(500)의 양생이 완료된 후에 상기 교각기둥(500)의 상단에 교좌(600)를 시공하면 교각의 시공이 완료된다.As such, when concrete is filled in the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 conventional technology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와 같이 1차, 2차에 걸친 콘크리트의 타설과 양생과정을 거치면서 앵커볼트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어긋나게 되고, 그에 따라 3차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를 앵커볼트에 끼워서 고정할 때 상기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의 구멍과 앵커볼트의 위치가 맞지 않아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의 설치가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nchor bolt is changed or shifted during the first and second concrete pouring and curing processes, and accordingly,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fixed to the anchor bolt before the third concrete is poured. When the holes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d the anchor bolt do not match the position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s impossible to install.
이와 같이 상기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가 앵커볼트에 끼워지지 않을 경우에는 양생이 완료된 콘크리트를 깨뜨려 1차 및 2차 콘크리트 타설과 양생을 재차 수행해야 함으로, 막대한 인력과 시간 및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As such, wh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not fitted to the anchor bolts, the curing of the finished concrete is broken and the primary and the secondary concrete are placed and cured again, thereby causing a huge waste of manpower, time, and resources. .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목적은 교각의 기초 형성 시에 콘크리트의 양생에 의해 앵커볼트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뒤틀려 어긋나게 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는 교각 기초용 앵커볼트 위치고정구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nchor bolt position fixing tool for a pier foundation to prevent the position of the anchor bolt is changed or distorted by curing of concrete at the time of forming the foundation of the pi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설치 및 해체가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교각 기초용 앵커볼트 위치고정구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chor bolt position fixing tool for piling foundation to facilitate the disassembly and assembly is easy to install and dismantl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지프레임이 앵커볼트에 설치된 후에 그 변형이 방지되도록 하는 교각 기초용 앵커볼트 위치고정구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chor bolt position anchor for the piers foundation to prevent the deformation after the support frame is installed on the anchor bol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사각프레임부가 앵커볼트에 손쉽게 고정되도록 하는 교각 기초용 앵커볼트 위치고정구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anchor bolt position anchor for the piers foundation to be easily fixed to the anchor bolt with a square frame portion with a simple structur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각 기초용 앵커볼트 위치고정구는 교각 기초의 사각 둘레에 1열로 배치되는 앵커볼트의 상단이 동시에 끼워지도록 사각 둘레를 따라 앵커볼트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위치고정공을 갖는 사각프레임부와; 상기 사각프레임부와 앵커볼트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사각프레임부의 위치고정공에 앵커볼트가 끼워진 상태로 상기 사각프레임부를 상기 앵커볼트에 고정시키는 프레임고정부를;포함하는 교각 기초용 앵커볼트 위치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사각프레임부는, 사각형의 교각 기초의 각 변에 대응하여 4개로 구비되고 각각에 상기 위치고정공이 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단부를 상호 직교된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핀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는 변형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anchor bolt anchoring position for the pier found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the square circumference so that the top of the anchor bolt is arranged at the same time in one row around the square of the pier foundation A square frame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position fixing hole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anchor bolts; A frame fixing part provided between the square frame part and the anchor bolt to fix the square frame part to the anchor bolt while the anchor bolt is fitted in the position fixing hole of the square frame part; In claim 4, wherein the rectangular frame portion is provided with four corresponding to each side of the square piers base and each of the support frame is formed in the position fixing hole, and both ends of the support frame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 perpendicular orthogonal state It further comprises a coupling pin, and the deformation preventing por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frame and the support frame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support fram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변형방지부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이 조립되어 형성되는 내각 부위에 경사지게 각각 구비되는 다수의 경사리브와, 상기 경사리브의 양단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상호 분리 가능한 상태로 결합시키는 제1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eformation prevention unit, a plurality of inclined ribs are provided to be inclined in each of the inner portion formed by the support frame and the support frame, the first to couple both ends of the inclined rib and the support frame in a state that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pin.
또한, 상기 변형방지부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이에 평행한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직교되게 구비되는 수직리브와, 상기 수직리브의 양단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상호 분리 가능한 상태로 결합시키는 제2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formation prevent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vertical rib provided perpendicularly between the support frame and a support frame parallel thereto, and a second fixing pin configured to couple both ends of the vertical rib and the support frame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further comprises.
또한, 상기 변형방지부는, 상기 수직리브에 교차되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과 이에 평행한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직교되게 구비되는 교차리브와, 상기 교차리브의 양단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상호 분리 가능한 상태로 결합시키는 제3고정 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formation preventing part may include a cross rib provided to intersect the vertical rib and orthogonally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frame and a support frame parallel thereto, and in a state in which both ends of the cross rib and the support frame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further comprises a third fixing pin for engaging.
또한, 상기 프레임고정부는, 상기 앵커볼트에 스크루 결합되어 상기 사각프레임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ame fix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fixing nuts that are screwed to the anchor bolt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frame portion.
또한, 상기 프레임고정부는, 상기 위치고정공의 상부로 상기 사각프레임부에 부착되어 상기 위치고정공을 통과한 앵커볼트의 상단이 삽입되는 고정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ame fix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cap which is attached to the rectangular frame portion to the top of the position fixing hole is inserted into the top of the anchor bolt passed through the position fixing hole.
본 발명은 교각의 기초 형성 시에 콘크리트의 양생에 의해 앵커볼트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뒤틀려 어긋나게 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고, 그에 따라 앵커볼트와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의 불일치에 의한 인력 및 시간과 자원의 낭비가 원활히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anchor bolt from being changed or distorted due to the curing of concrete at the time of forming the foundation of the piers. Waste is smoothly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은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위치고정구의 앵커볼트에 대한 설치 및 해체가 손쉽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has the effect that th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the anchor bolt of the position fixing tool easily.
또한,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이 앵커볼트에 설치된 후에 그 변형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deformation is prevented after the support frame is installed on the anchor bolt.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사각프레임부가 앵커볼트에 손쉽게 고정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rectangular frame portion is easily fixed to the anchor bolt with a simple struct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이다.1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 기초용 앵커볼트 위치고정구는 교각 기초의 사각 둘레에 배치되는 1열의 앵커볼트에 끼워지는 사각프레임부(10)와, 상기 사각프레임부(10)를 앵커볼트에 고정시키는 프레임고정부(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anchor bolt position fixing tool for the pier foundation includes a
상기 사각프레임부(10)는 교각 기초의 사각 둘레를 따라 1열로 배치되는 앵커볼트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위치고정공(11)을 갖는 것으로, 상기 위치고정공(11)이 앵커볼트의 상단이 동시에 끼워지면서 상기 사각프레임부(10)가 다수의 앵커볼트의 위치를 동시에 고정함으로써, 교각의 기초 형성 시에 콘크리트의 양생에 의해 앵커볼트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뒤틀려 어긋나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사각프레임부(10)는 사각형의 교각 기초의 각 변에 대응하여 4개로 구비되고 각각에 상기 위치고정공(11)이 형성되는 지지프레임(12)과,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양단부를 상호 직교된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핀(13)을 포함한다.The
상기 지지프레임(12)은 앵커볼트에 대응하여 위치고정공(11)이 형성되고 4개의 변에 대응하여 4개로 구비되면서 결합핀(13)에 의해 상호 조립됨으로써, 상기 지지프레임(12)이 앵커볼트에 용이하게 설치된다.The
상기 사각프레임부(10)는 지지프레임(12)과 지지프레임(12)의 사이에 설치되는 변형방지부(14)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변형방지부(14)는 지지프레임(12)이 앵커볼트의 뒤틀림에 의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2)을 상호 보강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변형방지부(14)는 지지프레임(12)과 지지프레임(12)이 조립되어 형성되는 내각 부위에 경사지게 각각 구비되는 다수의 경사리브(141)와, 상기 경사리브(141)의 양단과 상기 지지프레임(12)을 상호 분리 가능한 상태로 결합시키는 제1고정핀(142)을 포함한다.The
상기 경사리브(141)는 사각으로 조립되는 지지프레임(12)의 내각 부위에 대응하여 4개가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경사리브(141)의 일단이 일측의 지지프레임(12)에 제1고정핀(142)에 의해 조립되고 타단은 타측의 지지프레임(12)에 제1고정핀(142)에 의해 조립됨으로써, 각각의 지지프레임(12)을 상호 결합시켜 그 변형을 방지시키면서 보강시키는 역할을 한다.Four
상기 변형방지부(14)는 지지프레임(12)과 이에 평행한 지지프레임(12)의 사이에 직교되게 구비되는 수직리브(143)와, 상기 수직리브(143)의 양단과 상기 지지프레임(12)을 상호 분리 가능한 상태로 결합시키는 제2고정핀(144)과, 상기 수직리브(143)에 교차되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2)과 이에 평행한 지지프레임(12)의 사이에 직교되게 구비되는 교차리브(145)와, 상기 교차리브(145)의 양단과 상기 지지프레임(12)을 상호 분리 가능한 상태로 결합시키는 제3고정핀(146)을 더 포함한다.The
상기 수직리브(143)는 사각으로 조립되는 지지프레임(12)의 상하 중앙부위에 직교되게 구비된 상태로 제2고정핀(144)에 의해 양단이 이에 대응되는 지지프레임(12)에 조립됨으로써, 상호 평형한 2개의 지지프레임(12)을 상호 결합시켜 그 변형을 방지시키면서 보강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교차리브(145)는 수직리브(143)에 교차되게 사각으로 조립되는 지지프레임(12)의 좌우의 중앙부위에 직교되게 구비된 상태로 제3고정핀(146)에 의해 양단이 이에 대응되는 지지프레임(12)에 조립됨으로써, 상호 평형한 2개의 지지프레임(12)을 상호 결합시켜 그 변형을 방지시키면서 보강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프레임고정부(20)는 상기 사각프레임부(10)와 앵커볼트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사각프레임부(10)의 위치고정공(11)에 앵커볼트가 끼워진 상태로 상기 사각프레임부(10)를 상기 앵커볼트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프레임고정부(20)는 앵커볼트에 스크루 결합되어 사각프레임부(10)의 하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고정너트(21)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너트(21)는 앵커볼트에 스크루 결합되어 상기 사각프레임부(10)의 지지프레임(12) 하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각각의 상기 지지프레임(12)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A부분의 확대도이다.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according to FIG.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의 기초를 만들기 하부프레임(101)을 설치하고, 이 하부프레임(101)의 둘레를 따라 1열로 다수의 앵커볼트(300)를 끼워 넣은 후에 상기 앵커볼트(300)의 하단을 상기 하부프레임(101)의 하부에 체결한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프레임(101)과 앵커볼트(3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하부프레임(101)의 상단의 1차 콘크리트선(FC)까지 콘크리트를 1차로 타설하게 된다.As shown in this, after installing the
이때, 콘크리트의 1차 타설이 완료되면 상기 앵커볼트(300)의 상단에 고정너 트(21)를 체결하고 상기 앵커볼트(300)의 상단에 위치고정공(11)을 끼워 넣고 지지프레임(12)을 상기 고정너트(21)의 상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지지프레임(12)을 상호 조립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primary casting of concrete is completed, the fixing
이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2)에 의해 앵커볼트(300)가 지지된 상태로 1차로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이 콘크리트의 양생과정에서 발생하는 상기 앵커볼트(300)의 변형이나 뒤틀림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As such, when concrete is primarily cast while the
상기와 같이 1차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앵커볼트(300)에 조립되어 있던 지지프레임(12)과 고정너트(21)를 분해한 후에, 상기 앵커볼트(300)에 상부프레임(102)을 끼워서 고정시키고, 상부프레임(102)의 상부측 둘레로 2차 콘크리트선까지 콘크리트(SC)를 2차로 타설하게 된다.When the curing of the concrete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after disassembling the
이때, 콘크리트의 2차 타설이 완료되면 상기 앵커볼트(300)의 상단에 고정너트(21)를 체결하고 상기 앵커볼트(300)의 상단에 위치고정공(11)을 끼워 넣고 지지프레임(12)을 상기 고정너트(21)의 상면에 다시 위치시키고, 상기 지지프레임(12)을 상호 조립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secondary casting of the concrete is completed, the fixing
이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2)에 의해 앵커볼트(300)가 지지된 상태로 2차로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이 콘크리트의 양생과정에서 발생하는 상기 앵커볼트(300)의 변형이나 뒤틀림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As such, when the secondary cast concrete is cured while the
이와 같이 1차 및 2차 콘크리트의 양생에 따른 상기 앵커볼트(300)의 변형이 원활히 방지됨으로써, 2차 콘크리트의 양생 후에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가 상기 앵커볼트(300)에 정확하게 끼워지게 된다.As such, the deformation of th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5 is an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main part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고정부(20)는 위치고정공(11)의 상부로 사각프레임부의 지지프레임(12)에 부착되어 상기 위치고정공(11)을 통과한 앵커볼트(300)의 상단이 삽입되는 고정캡(22)을 포함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상기 고정캡(22)은 사각프레임부의 지지프레임(12)에 형성되는 위치고정공(11)의 상단 둘레로 구비되는 것으로, 앵커볼트(300)의 상단이 끼워지면서 상기 지지프레임(12)이 상기 앵커볼트(300)에 분해 가능하게 원활히 고정된다.The fixing
도 1은 본 발명의 부분 분해 사시도,1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2 is a plan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종단면도,Figure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따른 A부분의 확대도,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according to FIG. 3;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부 확대 종단면도,5 is an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main par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종래의 교각과 기초의 연결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a conventional piers and foundation,
도 7은 종래의 교각을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Figure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ier.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사각프레임부10: square frame part
11 : 위치고정공 12 : 지지프레임 11: Position fixing hole 12: Support frame
13 : 결합핀 13: binding pin
14 : 변형방지부 14: deformation prevention part
141 : 경사리브 142 : 제1고정핀 141: inclined rib 142: first fixing pin
143 : 수직리브 144 : 제2고정핀 143: vertical rib 144: second fixing pin
145 : 교차리브 146 : 제3고정핀 145: cross rib 146: third fixing pin
20 : 프레임고정부20: frame fixing
21 : 고정너트 22 : 고정캡 21: fixing nut 22: fixing cap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0275A KR100904387B1 (en) | 2008-08-18 | 2008-08-18 | Device for fixing position of anchor bolts in the base of a pi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0275A KR100904387B1 (en) | 2008-08-18 | 2008-08-18 | Device for fixing position of anchor bolts in the base of a pi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04387B1 true KR100904387B1 (en) | 2009-06-26 |
Family
ID=40983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80275A KR100904387B1 (en) | 2008-08-18 | 2008-08-18 | Device for fixing position of anchor bolts in the base of a pi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04387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53748A (en) * | 2020-10-22 | 2022-05-02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Bridge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formwork integrated PC panels |
KR20220053750A (en) * | 2020-10-22 | 2022-05-02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Foundation structures using strut-tie reinforcemen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CN114607154A (en) * | 2022-04-18 | 2022-06-10 |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 Foundation bolt precision adjusting device and metho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92683A (en) * | 1994-04-25 | 1995-11-07 | Maeda Corp | Anchor frame and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frame |
US5505033A (en) | 1988-12-06 | 1996-04-09 | 501 Hitachi Metals Ltd. | Column base structure and connection arrangement |
JP2007092475A (en) * | 2005-09-30 | 2007-04-12 | Tadahiko Okawa | Anchor bolt support device for column base |
KR100763555B1 (en) | 2006-09-12 | 2007-10-12 | 미아전기 주식회사 | Prop establishment anchor chapter |
-
2008
- 2008-08-18 KR KR1020080080275A patent/KR100904387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05033A (en) | 1988-12-06 | 1996-04-09 | 501 Hitachi Metals Ltd. | Column base structure and connection arrangement |
JPH07292683A (en) * | 1994-04-25 | 1995-11-07 | Maeda Corp | Anchor frame and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frame |
JP2007092475A (en) * | 2005-09-30 | 2007-04-12 | Tadahiko Okawa | Anchor bolt support device for column base |
KR100763555B1 (en) | 2006-09-12 | 2007-10-12 | 미아전기 주식회사 | Prop establishment anchor chapter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53748A (en) * | 2020-10-22 | 2022-05-02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Bridge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formwork integrated PC panels |
KR20220053750A (en) * | 2020-10-22 | 2022-05-02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Foundation structures using strut-tie reinforcemen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102482690B1 (en) * | 2020-10-22 | 2023-01-03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Bridge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formwork integrated PC panels |
KR102482691B1 (en) * | 2020-10-22 | 2023-01-03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Foundation structures using strut-tie reinforcemen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CN114607154A (en) * | 2022-04-18 | 2022-06-10 |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 Foundation bolt precision adjusting device and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232106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seismic isolation structure | |
JPH08170340A (en) | Pedestal structure and method of pedestal construction | |
KR100873266B1 (en) | Prefabricated pillar structure | |
KR101758493B1 (en) | Precast permanent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 |
JP4499006B2 (en) | Seismic isolation device mount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base plate for seismic isolation device mounting | |
KR20180072968A (en) | Permanent form for pier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JP2003055984A (en) | Column base connecting structure | |
KR100904387B1 (en) | Device for fixing position of anchor bolts in the base of a pier | |
KR101707170B1 (en) | Structure for connecting support | |
KR100814442B1 (en) | Concrete mold for flat plate slab/flat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JP2013181367A (en) | Steel tower foundation repair method, repair structure and jig used therefor | |
JP5869717B1 (en) | Existing concrete structure reinforcement structure | |
KR100655654B1 (en) | Device for standing in line pc steel wire and pre-stressing method of psc box girder bridge using the same | |
KR100849133B1 (en) | Temporary apparatus for construction of seismic isola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of seismic isolation system | |
JP6026794B2 (en) | Column base structure of steel column | |
KR20190001483A (en) | Sandwich precast concrete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108283B1 (en) | Supporting apparatus for beam mold and supporting system using the same | |
KR100626326B1 (en) | concrete structure | |
JP7194531B2 (en) | Seismic isolation upper foundation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ooting structure, and seismic isolation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 |
KR101908356B1 (en) | Aseismatic Reinforcement Double Steel Frame and Aseismatic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reof | |
JP5386214B2 (en) | Foundation structure | |
KR100823348B1 (en) | Installation method of a retaining wall | |
JPH07292683A (en) | Anchor frame and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frame | |
JP2001311247A (en) | Construction method for concrete structure | |
KR101726068B1 (en) | Precast pane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