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2940B1 - 단상 더블 컨버젼 방식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스위칭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상 더블 컨버젼 방식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스위칭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2940B1
KR100902940B1 KR1020090000200A KR20090000200A KR100902940B1 KR 100902940 B1 KR100902940 B1 KR 100902940B1 KR 1020090000200 A KR1020090000200 A KR 1020090000200A KR 20090000200 A KR20090000200 A KR 20090000200A KR 100902940 B1 KR100902940 B1 KR 100902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ontrol
variable
region
wav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하
이정표
임승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온
이정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온, 이정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온
Priority to KR1020090000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2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Abstract

본 발명에서, 인버터의 스위칭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스위칭 제어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UPS의 PFC에서 출력된 직류전압을 가변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Buck-Boost 컨버터; 상기 Buck-Boost 컨버터에서 출력된 가변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소정 주파수의 삼각파 신호(Vtri) 및 기준파 신호(Vcontrol)에 대한 각각의 정보를 보유하고, 부하(LOAD)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 영역별 가변직류 전압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메모리; 및 제어 영역별로 대응하도록, 삼각파 신호(Vtri) 및 기준파 신호(Vcontrol)를 기반으로 설정되는 PAWM 구간에서 소정 레벨의 직류 전압(Vd)를 제공하고, PAM 구간에서 가변 직류전압을 제공하도록 Buck-Boost 컨버터로 스위칭 제어를 수행하며, PAWM 구간에서 Buck-Boost 컨버터의 출력 신호에 대한 SPWM(Sinusoidal PWM)을 수행하고, PAM 구간에서 과변조(Over Modulation)를 수행하도록 상기 인버터를 스위칭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인버터의 스위칭 횟수를 감소시켜 전력밀도를 향상시키고, EMI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90000200
UPS, 무정전 전원장치, Buck-Boost 컨버터, 단상, 더블 컨버젼, 필터

Description

단상 더블 컨버젼 방식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스위칭 제어 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SWITCH OF SINGLE-PHASE DOUBLE CONVERSION UPS}
본 발명은 무정전 전원장치의 스위칭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버터의 스위칭 횟수 및 스위칭 손실을 줄여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단상 더블 컨버젼 방식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스위칭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정전전원장치(Unintrruptible Power Supply System)란 말 그대로 정전이 존재하지 않는 전원공급장치이다. 무정전전원장치는 산업이 발전하면서 데이타의 손실이나 정보의 손실등의 피해를 줄이고자 만들어진 장치이며 컴퓨터를 많이 사용하면서부터 UPS의 시장성이나 변천 발전상은 날로 변화하여 전력전자회로 분야에서 여러 가지 많은 발전을 가져오는 계기를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UPS는 사이리스터라는 소자에 의해 인버터로 시작되어 고속 사이리스터, 역도통 사이리스터 등 디바이스의 고성능, 고기능화에 의하여 인버터의 특성, 방식, 소형화, 경량화가 되었다. 근래에 들어서는 바이폴라 파워 트랜지스터의 대용량화, GTO(턴오프 사이리스터), FET, IGBT 등이 적용되며 스위칭 주파수의 고주파수 화(20KHz)가 이루어져서 소음부분도 크게 개선이 되고 있는 추세이다.
여기서, 전술된 UPS는 전반적으로 이중변환방식(DOUBLE CONVERSION)을 말하는데 이 부분을 구성하는 소자로는 다이오드, SCR, FET, IGBT등이 있다. 다이오드는 주로 소용량에 사용되며 SCR은 전반적인 UPS에 적용되는 소자이며 FET 또는 IGBT는 고 역률을 가질 수 있게 하는 소자이다. 이 부분에 사용되는 소자들에 의해 축전지의 충전전압에 미치는 리플 값이 좌우된다.
그러면, 상기한 종래 더블 컨버젼 방식 즉, 이중변환방식의 무정전전원장치를 살펴 보면 도 1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AC 전원(109)을 포함하여, 정류기(101), PFC(103), 인버터(105), L-C 필터(107) 및 부하(Load:108)로 구성된다. 여기서, 입력 교류 전원과 연결된 PFC(103)는 일반적으로 Boost 컨버터로 구성되어 일정한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면서 역률을 제어한다.
상기 인버터(105)는 풀-브릿지 인버터로 구성되어 PFC의 출력 전압 Vdc를 교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PFC(103)와 인버터(105)는 고속으로 스위칭 동작을 함에 따라 EMI가 발생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입출력단에 EMI 필터를 설치한다. 상기 인버터(105)는 정현파 PWM 방식이 적용되는 단상 SPWM 인버터가 사용된다.
상기 단상 SPWM의 동작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전압인 Vcontrol과 Vtri를 비교하여 Vcontrol이 Vtri보다 크면 +Vdc를 인가하고, 작으면 -Vdc를 인가하여 교류 전원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인버터(105)가 수kHz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EMI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가변속 제어에서 극저속 운전할 경우, 발생하는 펄스의 폭이 아주 좁게 되어 기본파에 대한 오차율이 크게 되며, 초고속에서는 출력주파수에 대한 삼각파의 주파수 비율이 낮아져서 기본파에 대한 출력 오차율이 커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버터의 스위칭 횟수 및 스위칭 손실을 줄여 EMI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단상 더블 컨버젼 방식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스위칭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EMI 발생 억제에 따른 필터의 크기를 현격하게 줄일 수 있는 단상 더블 컨버젼 방식을 갖는 단상 더블 컨버젼 방식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스위칭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Buck-Boost 컨버터에서 가변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인버터의 입력 전압 조정을 통해 출력전압 및 주파수의 정밀도를 향상시킴으로써, 극저속 및 초고속 제어에 유리한 단상 더블 컨버젼 방식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스위칭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단상 더블 컨버젼 방식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스위칭 제어 시스템은, 입력되는 교류 전원(AC)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기 및 L-C 필터를 포함하는 단상 더블 컨버젼 방식의 UPS를 제어하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류기로부터 정류된 직류 전압을 일정 전압으로 승압시키면서 역률을 보정하는 PFC; 상기 PFC에서 출력된 직류전압을 가변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Buck-Boost 컨버터; 상기 Buck-Boost 컨버터에서 출력된 가변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소정 주파수의 삼각파 신호(Vtri) 및 기준파 신호(Vcontrol)에 대한 각각의 정보를 보유하고, 부하(LOAD)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 영역별 가변직류 전압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메모리; 및 제어 영역별로 대응하도록, 삼각파 신호(Vtri) 및 기준파 신호(Vcontrol)를 기반으로 설정되는 PAWM 구간에서 소정 레벨의 직류 전압(Vd)를 제공하고, PAM 구간에서 가변 직류전압을 제공하도록 Buck-Boost 컨버터로 스위칭 제어를 수행하며, PAWM 구간에서 Buck-Boost 컨버터의 출력 신호에 대한 SPWM(Sinusoidal PWM)을 수행하고, PAM 구간에서 과변조(Over Modulation)를 수행하도록 상기 인버터를 스위칭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상 더블 컨버젼 방식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스위칭 제어 시스템은, 인버터의 스위칭 횟수를 줄여 스위칭 손실을 감소시켜 전력밀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EMI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방열판의 크기 및 EMI 필터의 크기를 줄여 시스템의 제조 단가를 격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버터의 입력 전압의 주파수 및 전압을 가변시켜서 변환하므로, 가변속 제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상 더블 컨버젼 방식의 무정전 전원장치의 제어 시스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기본 회로도이다. 교류 전원(AC), 상기 교류 전원(AC)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기(301), 상기 정류기(301)로부터 정류된 직류 전압을 일정 전압으로 승압시키면서 역률을 보정하는 PFC(303); 상기 PFC(303)에서 출력된 직류전압을 가변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Buck-Boost 컨버터(304); 상기 Buck-Boost 컨버터(304)에서 출력된 가변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인버터(305); 소정 주파수의 삼각파 신호(Vtri) 및 기준파 신호(Vcontrol)에 대한 각각의 정보를 보유하고, 부하(LOAD)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 영역별 가변직류 전압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메모리(311); 및 제어 영역별로 대응하도록, 삼각파 신호(Vtri) 및 기준파 신호(Vcontrol)를 기반으로 설정되는 PAWM 구간에서 소정 레벨의 직류 전압(Vd)를 제공하고, PAM 구간에서 가변 직류전압을 제공하도록 Buck-Boost 컨버터로 스위칭 제어를 수행하며, PAWM 구간에서 Buck-Boost 컨버터의 출력 신호에 대한 SPWM(Sinusoidal PWM)을 수행하고, PAM 구간에서 과변조(Over Modulation)를 수행하도록 상기 인버터(305)를 스위칭 제어하는 제어부(309)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 영역은 주파수 및 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주파수 패턴 제어 영역으로, 일 예로 유도전동기의 전력 제어를 위한 영역이다.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도가 증가할수록 전압이 상승하는 Constant-Toque영역인 제1 영역과, 정격 속도에 다다르면 더 이상 전압은 상승하지 않고 속도만 증가하는 Constant-Power영역인 제2 영역과, 토크가 감소되고 속도가 증가되는 약계자 영역인 제3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 영역은, 기존 운용방식에 따라 설정되며, 상기 제어부(309)는 각 제어 영역별 패턴 제어 방식에 따라 해당 부하(LOAD)로 가변된 교류 신호를 제공한다. 여기서, 가변된 교류 신호로 함은, 상기 인버터(305)의 출력 신호로서, PAWM 구간에서의 SPWM을 수행하고, PAM 구간에서 과변조를 수행한 결과 신호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209)는 전술된 가변 가능한 기준파 신호(Vcontrol)의 레벨 을 제어하여 상기 PAWM 구간과 PAM 구간을 가변시키고, 상기 직류전압 신호 및 가변직류 전압 신호의 크기를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인버터(305)의 출력 신호를 변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09)는 직류전압 신호 및 가변직류 전압 신호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제어 영역별로 가변 교류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변 교류신호는 인버터(305)의 스위칭 횟수를 격감시켜 EMI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Buck-Boost 컨버터의 출력 전압은 5가지 모드로 제공하고 있으나, 부하(LOAD)에 따라 다수의 출력모드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는 전술된 기준파 신호(Vcontrol) 및 삼각파 신호(Vtri)를 나타내며, 도 4b는 상기 Buck-Boost 컨버터(304)의 출력 신호로서 가변직류전압 제어신호이다. 이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모드로 변형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도 4c는 인버터(305)의 출력 신호로서, 도 4a 및 도 4b의 출력 신호에 근거하여 생성된다.
상기 제어부(309)는 메모리(311)로부터 소정 주파수의 삼각파 신호(Vtri) 및 기준파 신호(Vcontrol)에 대한 각각의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삼각파 신호(Vtri)는 기 설정된 주파수를 갖고 있으며, 상기 기준파 신호(Vcontrol)는 전술된 제어 영역별 각 모드에 대응하는 신호 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어부(309)는 기준파 신호에 대한 가변 제어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제어부(309)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파 신호(Vcotrol) 및 삼각파 신호(Vtri)에 대한 정보를 보유하며, 상기 두 신호 정보를 토대로 ⓐ, ⓑ 점을 검출하여 PAWM 구역과 PAM 구역을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파 신호(Vcotrol)의 신호 레벨에 따라 ⓐ, ⓑ 점의 위치가 달리 되며, 이는 추후 설명될 가변직류 전압 신호의 범위(또는 직류전압 신호의 범위)를 가변시킬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309)는 Buck-Boost 컨버터(304)를 구성하는 스위칭 소자(Sbb)를 스위칭 제어함으로써, 도 4b와 같이 상기 PAWM 구간에서 소정 레벨의 직 류신호(Vdc)를 출력한다. 상기 직류신호(Vdc)는 PFC(303)의 캐패시터(Cb)의 양단에 걸리는 직류전압(Vc _b)보다 낮은 전압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309)는 ⓐ, ⓑ 구간 즉, PAM 구간에서 가변직류 전압신호가 제공되도록 스위칭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Buck-Boost 컨버터(304)는 직류전압 신호 및 가변직류 전압신호를 구간별 즉, PAWM 구간과 PAM 구간에 따라 출력하고, 이를 상기 인버터(305)로 공급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309)는 인버터의 각 스위치(S1, S2, S3, S4)를 스위칭 제어하여 가변교류 신호를 출력한다.
가변교류 신호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PAWM 구간에서 SPWM 방식에 따라 변조하고, PAM 구간에서 과변조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SPWM 방식의 변조는 정현파 PWM 변조로서 상기 삼각파 신호(Vtri)와 기준파 신호(Vcontrol) 간의 교합된 위치에서 펄스 변조를 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펄스 신호의 전압은 상기 Buck-Boost 컨버터(304)에서 제공되는 가변 직류전압 신호이다. 상기 가변 직류전압 신호는 캐패시터(Cb)의 양단 전압보다 낮게 되어 스위칭 손실을 감소시킨다. 그리고, 상기 가변교류 신호는 PAM 구간에서 과변조를 수행하는 신호의 결과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09)는 기준파 신호(Vcontrol)의 신호 레벨을 가변시켜 PAM 구간의 폭을 가변시킬 수 있으며, 도 5a와 같이 가변직류 전압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가변직류 전압신호의 크기는 상기 캐패시터(Cb)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Vc _b)보다 같거나 작게 되며, 상기 기준파 신호(Vcontrol)의 주기를 길게 설정할 경우, 도 5b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반면, 상기 기준파 신호(Vcontrol)의 주기를 작게 설정할 경우 도 5c와 같이 되고, 상기 기준파 신호(Vcontrol)의 전압을 크게 할 경우 도 5d와 같이 되며, 기준파 신호(Vcontrol)의 전압을 작게 할 경우 도 5e와 같이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309)는 기준파 신호(Vcontrol)의 주기 및 전압을 가변시킴으로써, 다수 종류의 가변 직류신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를 근거로 상기 인버터(305)는 PAWM 구간에서 SPWM 방식의 변조를 수행하고, PAM 구간에서 과변조를 수행한다. 이로인해, PAWM 구간에서는 대부분 인버터의 입력 전압인 Vbb가 기존 방식에 비해 낮은 직류 전압이므로 스위칭 손실이 감소하고, PAM 구간에서는 스위칭을 하지 않기 때문에 스위칭 손실이 없어 전체적인 스위칭 손실이 감소하게 된다.
더불어, 방열판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가격이 감소하고 전력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스위칭 횟수가 줄어들게 되므로 EMI가 기존 방식에 비해서 적게 발생함으로써, 입출력단의 EMI필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가격을 줄이고 전력밀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인버터(305)는 도 4c와 같은 가변교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L-C 필터(307)를 거쳐 부하(LOAD)로 인가된다. 만약, 상기 부하(LOAD)가 유도 전동기일 경우, 제어부(309)는 상기 메모리(311)로 탑재된 가변직류 전압제어 정보에 따라 제어 영역별 가변직류 신호를 상기 Buck-Boost 컨버터(304)로 제공한다.
전술된 도 5d는 PAM 방식을 사용하여 가변 직류 전압으로 제어하는 방법으로 다양하게 전압을 제어할 수 있고, 도 5e의 방법은 PAWM 방식을 사용하여 일정한 직류 전압으로 제어하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도 상기 Buck-Boost컨버터는 직류 전압을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a의 파형은 도 5d, 5e의 파형을 혼용하는 제어 방법으로 PWM과 PAM방식이 모두 존재하는 PAWM방법으로서, 상기 정류기(301)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제어할 수 있다. 도 5b는 정류기(301)의 출력 주파수보다 낮은 영역에서 제어하는 방법으로 이 방법 역시 PWM과 PAM 방식이 모두 존재한다. 도 5c는 정류기(301)의 출력 주파수보다 높은 영역에서 제어하는 방법으로 이 방법 역시 PWM과 PAM방식이 모두 존재한다.
따라서, 유도전동기를 각 영역별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전술된 5가지 모드를 사용해서 제어할 수 있으며,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Constant-Toque영역인 제1 영역에서는 속도가 느리고 전압이 낮으므로 도 5b, 5d, 5e의 패턴에 따른 제어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Constant-Power 영역인 제 2영역은 이론상 도 5c, 5d, 5e의 제어 패턴을 사용할 수 있지만 소자의 한계성으로 인하여, 도 5c, 5e의 방법을 사용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끝으로 약계자 영역인 제3 영역에서는 도 5c, 5d, 5e를 사용하여 제어할 수 있지만 역시 마찬가지의 이유로 도 5e의 방법만을 적용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전술된 방법에 따른 유도전동기의 제어 패턴은 거의 모든 영역에서 기준파에 대한 출력 오차율을 줄일 수 있고 EMI의 발생도 줄이게 된다. 그리고 초고속 제어에서는 전압은 같고 주파수가 빨라지므로 본 발명의 제어방식을 사용하여 주파수를 빠르게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무정전 전원장치는 임의의 출력 파형 제어가 가능함에 따라, 유도전동기 이외에 다수 종류의 부하로 적용할 수 있어 다기능(Multifunctional) 교류 전원장치(AC Power Supply)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출력 파형이 한 주기 단위를 제공되며, 필요에 따라 사인파 이외의 파형이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출력 신호에 대한 파형은, 제품 개발업체의 제품 테스트 신호로서 제품의 내구성 측정에 활용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상 더블 컨버젼 방식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스위칭 제어 시스템은, PAWM 구간에서 대부분 인버터의 입력 전압인 Vdc가 기존 방식에 비해 낮은 직류 전압이므로 스위칭 손실이 감소하고, PAM 구간에서는 스위칭을 안 하므로 스위칭 손실이 없어 전체적인 스위칭 손실이 감소하게 되어 결국, 방열판의 크기를 줄이고 스위칭 횟수가 줄여 EMI가 기존 방식에 비해서 작게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UPS 시스템의 단가를 격감시키고, 시스템의 안정성을 도모하여 UPS 산업에 이바지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원 발명은 이외에 가변속 제어와 가변 주파수 및 가변 전압 제어가 가능하여 무정전 전원장치 이외의 교류 전원장치로 활용될 수 있어 전력 공급장치 산업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 무정전 전원장치의 스위칭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의 주요 기능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주요 동작에 따른 파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각 모드 별 제어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영역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다수 종류의 파형을 한 주기별로 가변 제어할 수 있음을 도시한 출력 파형도 이다.
<주요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1 : 정류기 303 : PFC
304 : Buck-Boost 컨버터 305 : 인버터
307 : LC 필터 309 : 제어부
311 : 메모리

Claims (6)

  1. 입력되는 교류 전원(AC)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기 및 L-C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정류기로부터 정류된 직류 전압을 일정 전압으로 승압시키면서 역률을 보정하는 PFC를 갖는 단상 더블 컨버젼 방식의 UPS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PFC에서 출력된 직류전압을 가변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Buck-Boost 컨버터;
    상기 Buck-Boost 컨버터에서 출력된 가변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소정 주파수의 삼각파 신호(Vtri) 및 기준파 신호(Vcontrol)에 대한 각각의 정보를 보유하고, 부하(LOAD)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 영역별 가변직류 전압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메모리; 및
    제어 영역별로 대응하도록, 삼각파 신호(Vtri) 및 기준파 신호(Vcontrol)를 기반으로 설정되는 PAWM 구간에서 소정 레벨의 직류 전압(Vd)를 제공하고, PAM 구간에서 가변 직류전압을 제공하도록 Buck-Boost 컨버터로 스위칭 제어를 수행하며, PAWM 구간에서 Buck-Boost 컨버터의 출력 신호에 대한 SPWM(Sinusoidal PWM)을 수행하고, PAM 구간에서 과변조(Over Modulation)를 수행하도록 상기 인버터를 스위칭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 더블 컨버젼 방식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스위칭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영역은 주파수 및 전압에 대응하는 가변속 제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 더블 컨버젼 방식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스위칭 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영역은 주파수 및 전압에 대응하는 가변 주파수 또는 가변 전압 또는 전압-주파수 제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 더블 컨버젼 방식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스위칭 제어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LOAD)는 유도전동기이며, 상기 제어 영역은 주파수 및 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주파수 패턴 제어 영역으로, 상기 전압-주파수 패턴 제어 영역은 속도가 증가할수록 전압이 상승하는 Constant-Toque영역인 제1 영역과, 정격 속도에 다다르면 더 이상 전압은 상승하지 않고 속도만 증가하는 Constant-Power영역인 제2 영역과, 토크가 감소되고 속도가 증가되는 약계자 영역인 제3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 더블 컨버젼 방식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스위칭 제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삼각파 신호(Vtri) 및 기준파 신호(Vcontrol)의 주기 및 전압 레벨을 가변시켜 상기 PAWM 구간 및 PAM 구간을 가변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 더블 컨버젼 방식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스위칭 제어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PAWM 구간 및 PAM 구간에 대한 가변 제어를 기반으로 적어도 둘 이 상의 가변직류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 더블 컨버젼 방식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스위칭 제어 시스템.
KR1020090000200A 2009-01-05 2009-01-05 단상 더블 컨버젼 방식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스위칭 제어 시스템 KR100902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200A KR100902940B1 (ko) 2009-01-05 2009-01-05 단상 더블 컨버젼 방식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스위칭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200A KR100902940B1 (ko) 2009-01-05 2009-01-05 단상 더블 컨버젼 방식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스위칭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2940B1 true KR100902940B1 (ko) 2009-06-15

Family

ID=40982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200A KR100902940B1 (ko) 2009-01-05 2009-01-05 단상 더블 컨버젼 방식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스위칭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29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80409A (zh) * 2012-07-20 2012-11-14 上海交通大学 单位功率因数升降压电路
CN103607122A (zh) * 2013-11-27 2014-02-26 西安合电电气有限公司 一种谐波稳压治理系统
CN113640559A (zh) * 2021-09-01 2021-11-12 南京普源电气有限公司 开关型正弦波形输出的局部放电测量试验用变频调压电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2134A (ja) 2001-08-07 2003-02-21 Mitsubishi Electric Corp 無停電電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用いた無停電電源装置
KR20040001644A (ko) * 2002-06-28 2004-01-07 최재호 절연형 디씨/디씨 전력변환기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전원공급 장치
KR20040057673A (ko) * 2002-12-26 2004-07-02 주식회사 엔시스 독립적 제어구조를 갖는 엔 플러스 1 모듈형 무정전전원장치
US6917124B2 (en) 2000-10-27 2005-07-12 Liebert Corporatio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17124B2 (en) 2000-10-27 2005-07-12 Liebert Corporatio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JP2003052134A (ja) 2001-08-07 2003-02-21 Mitsubishi Electric Corp 無停電電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用いた無停電電源装置
KR20040001644A (ko) * 2002-06-28 2004-01-07 최재호 절연형 디씨/디씨 전력변환기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전원공급 장치
KR20040057673A (ko) * 2002-12-26 2004-07-02 주식회사 엔시스 독립적 제어구조를 갖는 엔 플러스 1 모듈형 무정전전원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80409A (zh) * 2012-07-20 2012-11-14 上海交通大学 单位功率因数升降压电路
CN102780409B (zh) * 2012-07-20 2014-10-15 上海交通大学 单位功率因数升降压电路
CN103607122A (zh) * 2013-11-27 2014-02-26 西安合电电气有限公司 一种谐波稳压治理系统
CN113640559A (zh) * 2021-09-01 2021-11-12 南京普源电气有限公司 开关型正弦波形输出的局部放电测量试验用变频调压电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de et al. Implementation of three level hysteresis current control for a single phase voltage source inverter
US8519655B2 (en) DC bus boost method and system for regenerative brake
US7310254B2 (en) AC-to-AC (frequency) converter with three switches per leg
EP2528221A2 (en) Multi-phase active rectifier
US20090058350A1 (en) Junction temperature reduction for three phase inverters modules
KR102009512B1 (ko) 3상 인버터의 옵셋 전압 생성 장치 및 방법
US721807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AC motor torque output at low frequency
US9160173B2 (en) Photovoltaic inverter with swinging line filter inductors
Klumpner et al. A new cost-effective multi-drive solution based on a two-stage direct power electronic conversion topology
JP2022534301A (ja) 運転制御方法、回路、家電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Lee et al. An improved phase-shifted PWM method for a three-phase cascaded H-bridge multi-level inverter
Ahmed Modeling and simulation of ac–dc buck-boost converter fed dc motor with uniform PWM technique
Lin et al. A novel PWM scheme for single-phase three-level power-factor-correction circuit
JP4929863B2 (ja) 電力変換装置
KR101250454B1 (ko) 삼각파 비교 pwm방식을 적용한 비엔나 정류기의 전압제어를 위한 스위칭 함수 발생기 및 스위칭 함수 발생방법
Kadwane et al. Symmetrical shoot-through based decoupled control of Z-source inverter
KR100902940B1 (ko) 단상 더블 컨버젼 방식을 갖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스위칭 제어 시스템
JPH07227085A (ja) 電力変換装置
JP3826363B2 (ja) 電気車の制御装置
Kucka et al. Common-Mode Voltage Injection Techniques for Quasi Two-Level PWM-Operated Modular Multilevel Converters
JP3700019B2 (ja) 電気車の制御装置
WO2022137389A1 (ja) 電力変換装置
JP3747259B2 (ja) 電気車の制御装置
Singh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AC-DC power converter using PWM techniques
JP3760248B2 (ja) 電気車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