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372B1 - 기존 콘크리트 기초구조물로의 새로운 마이크로파일 두부의정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초 및 기둥 구조물의 보강공법 및 그 보강 구조 - Google Patents
기존 콘크리트 기초구조물로의 새로운 마이크로파일 두부의정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초 및 기둥 구조물의 보강공법 및 그 보강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99372B1 KR100899372B1 KR1020070070347A KR20070070347A KR100899372B1 KR 100899372 B1 KR100899372 B1 KR 100899372B1 KR 1020070070347 A KR1020070070347 A KR 1020070070347A KR 20070070347 A KR20070070347 A KR 20070070347A KR 100899372 B1 KR100899372 B1 KR 1008993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plate
- concrete
- micropile
- plate
- reinforce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7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11440 grou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9933 burial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0687 lubricating oi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3527 bean curd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9954 brai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008 shea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34 remode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265 extended releas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44 non-shrink grou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410 Micro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66 anti-cip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8 micro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16 structural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1—Ground anchors driven by screw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Description
231: 제1강관 케이싱 239: 제1강관 파이프
257: 제2강관 파이프
Claims (12)
- 하중 증가에 따른 기존 콘크리트 기초구조물의 부족한 지반 지내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이형강봉인 마이크로파일을 이용하여 기둥과 상기 기둥보다 단면이 큰 콘크리트 기초판을 구비한 콘크리트 기초구조물의 보강 방법으로서,상기 기초판에 관통공을 천공하고,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기초판 하부의 지반에 대하여 단단한 암반층까지 구멍을 천공하는 단계와:상기 암반층과 상기 기초판 사이의 연약지반 내의 상기 구멍에 토사가 매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강관 케이싱을 매설하는 단계와;강봉으로 형성된 마이크로파일이 상기 기초판 상부까지 연장되도록 상기 마이크로파일을 상기 관통공과 상기 강관 케이싱 내에 삽입 설치하는 단계와;지반과 마이크로파일을 일체화시키는 충진재를 충진하는 단계와;상기 기초판의 관통공에 관통 삽입된 상기 마이크로파일에 제1지압판을 상기 관통공의 하단부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상기 제1지압판 상단면에 놓이는 제1강관 파이프를 기초판 상단부까지 연장 설치하는 단계와;상기 기초판 상부로 연장된 상기 마이크로파일에 제2지압판을 설치하는 단계와;상기 콘크리트 기초판에 거칠게 형성된 관통공의 내주면과 제1지압판 상단에 설치된 제1강관 파이프 사이에 충진재를 타설 양생하는 단계와;상기 제2지압판에 대하여 상기 마이크로파일을 잡아당겨 상기 마이크로파일을 인장시키는 제1프리스트레스(P1)를 도입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2지압판이 상기 콘크리트 기초판을 가압하여 상기 콘크리트 기초판에 제1압축 프리스트레스(P1)를 미리 도입하는 단계를;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구조물의 보강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2지압판은 그 하면이 상기 기초판에 접촉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파일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구조물의 보강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도록 상기 기초판 상에 보강콘크리트를 적층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상기 마이크로파일은 상기 보강콘크리트의 상단부에 이르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2지압판은 그 하면이 상기 보강콘크리트에 접촉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파일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구조물의 보강 방법.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보강콘크리트를 적층하는 단계 이전에, 기존 콘크리트 기초구조물 상면과 기둥면을 치핑(chipping)하고 상기 기둥면에 구멍을 천공하여 제3강봉과 장부철근을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상기 기둥면에 고정된 제3강봉과 제3인장재인 강연선이나 강봉을 연결구로 연결하고 제3인장재를 보강콘크리트의 수평 방향으로 설치하는 단계와;상기 보강콘크리트의 바깥면에 제4지압판을 설치하는 단계와;상기 제4지압판에 대하여 상기 제3인장재를 잡아당겨 상기 제3인장재를 인장시키는 제3프리스트레스(P3)를 도입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4지압판이 상기 보강콘크리트를 가압하여 상기 보강콘크리트에 제3압축 프리스트레스(P3)를 미리 도입하는 단계를;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구조물의 보강 방법.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기둥면에 고정된 제3강봉과 재질과 강도가 서로 다른 제3강연선을 연결구로 연결하는 단계를;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구조물의 보강 방법.
- 기둥 하단에 상기 기둥의 단면보다 큰 콘크리트 기초판을 구비한 구조물의 내구력 보강 구조로서,상기 기초판에 형성된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기초판 하부의 지반에 대하여 단단한 암반층까지 형성된 구멍 내에 삽입 설치되며 이형 강봉으로 형성된 마이크로파일과;상기 암반층과 상기 기초판 사이의 연약지반 내의 상기 마이크로파일에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파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연약 지반 내에 설치된 강관 케이싱과;지반과 상기 마이크로파일을 일체화시키도록 상기 강관 케이싱과 상기 마이크로파일 사이에 충진된 충진재와;상기 기초판의 관통공 하단부에 상기 마이크로파일에 고정 설치된 제1지압판과;하면이 상기 기초판과 접촉하도록 상기 기초판 상부로 연장된 상기 마이크로파일에 설치되는 제2지압판과;상기 콘크리트 기초판에 거칠게 형성된 관통공의 내주면과 제1지압판 상단에 설치된 제1강관 파이프 사이에 충진되어 상기 콘크리트 기초판과 상기 제1강관 파이프를 일체화시키는 충진재를;포함하여, 상기 제2지압판에 대하여 상기 제1강봉인 마이크로파일을 잡아당겨 상기 마이크로파일을 인장시키는 제1프리스트레스(P1)를 도입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2지압판이 상기 콘크리트 기초판을 가압하여 상기 콘크리트 기초판에 제1압축 프리스트레스(P1)를 미리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구조물의 보강 구조.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콘크리트 기초판의 상측에 드러난 제1강봉인 마이크로파일과 연결구로 연결되는 제2강봉과;상기 제2강봉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초판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2강관 파이프와;상기 기초판의 상측에 상기 제2강관 파이프의 외주면과 일체로 타설 양생되는 기둥 보강콘크리트와;그 하면이 상기 기둥 보강콘크리트와 접촉하도록 상기 기둥 보강콘크리트의 상부로 연장된 상기 제2강봉에 설치되는 제3지압판을;포함하여, 상기 제2강봉에 대하여 제3지압판을 잡아당겨 제2강봉을 인장시키는 제2프리스트레스(P2)를 도입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3지압판이 상기 기둥 보강콘크리트를 가압하여 상기 기둥 보강콘크리트에 제2압축 프리스트레스(P2)를 미리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구조물의 보강 구조.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제1강봉과 상기 제2강봉은 서로 강도와 규격이 서로 다르며 상기 제2강봉의 단면이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구조물의 보강 구조
-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거칠게 치핑된 상기 기둥의 일면에 구멍을 천공하여 고정 설치된 제3강봉 및 장부철근과;상기 기초판의 상측에 타설 양생된 기둥 보강콘크리트와;상기 기둥 보강콘크리트의 바깥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3강봉에 설치된 제4지압판을;추가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4지압판에 대하여 상기 제3강봉을 잡아당겨 상기 제3강봉을 인장시키는 제3프리스트레스(P3)를 도입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제4지압판이 상기 기둥 보강콘크리트를 가압하여 상기 기둥 보강콘크리트에 제3압축 프리스트레스(P3)를 미리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구조물의 보강 구조.
- 기둥과 상기 기둥보다 단면이 큰 콘크리트 기초판을 구비한 콘크리트 기초구조물에 이형강봉인 마이크로파일의 파일두부를 정착하는 방법으로서,상기 기초판의 관통공에 관통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파일을 설치하는 단계와;상기 기초판의 하부에 위치한 마이크로파일을 지반과 일체화시키는 단계와;상기 기초판의 관통공에 관통 삽입된 상기 마이크로파일에 제1지압판을 상기 관통공의 하단부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상기 제1지압판 상단면에 놓이는 제1강관 파이프를 기초판 상단부까지 연장 설치하는 단계와;하면이 상기 기초판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기초판 상부로 연장된 상기 마이크로파일에 제2지압판을 설치하는 단계와;상기 제2지압판에 대하여 상기 마이크로파일을 잡아당겨 상기 마이크로파일을 인장시키는 제1프리스트레스(P1)를 도입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2지압판이 상기 콘크리트 기초판을 가압하여 상기 콘크리트 기초판에 제1압축 프리스트레스(P1)를 미리 도입하는 단계를;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구조물로의 마이크로파일의 파일두부 정착 방법.
- 기둥과 상기 기둥보다 단면이 큰 콘크리트 기초판을 구비한 콘크리트 기초구조물에 이형강봉인 마이크로파일의 파일두부를 정착하는 방법으로서,상기 기초판의 관통공에 관통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파일을 설치하는 단계와;상기 기초판의 하부에 위치한 마이크로파일을 지반과 일체화시키는 단계와;상기 기초판의 관통공에 관통 삽입된 상기 마이크로파일에 제1지압판을 상기 관통공의 하단부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상기 제1지압판 상단면에 놓이는 제1강관 파이프를 연장 설치하는 단계와;상기 콘크리트 기초판에 거칠게 형성된 관통공의 내주면과 제1지압판 상단에 설치된 제1강관 파이프 사이에 고강도 무수축 그라우트밀크를 타설 양생하는 단계와;상기 기초판의 상측에 상기 강관 파이프의 상단부에 이르도록 보강콘크리트를 적층 형성하는 단계와;하면이 상기 보강콘크리트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기초판 상부로 연장된 상기 마이크로파일에 제2지압판을 설치하는 단계와;상기 제2지압판에 대하여 상기 마이크로파일을 잡아당겨 상기 마이크로파일을 인장시키는 제1프리스트레스(P1)를 도입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2지압판이 상기 콘크리트 기초판을 가압하여 상기 콘크리트 기초판에 제1압축 프리스트레스(P1)를 미리 도입하는 단계를;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구조물로의 마이크로파일의 파일두부 정착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0347A KR100899372B1 (ko) | 2007-07-13 | 2007-07-13 | 기존 콘크리트 기초구조물로의 새로운 마이크로파일 두부의정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초 및 기둥 구조물의 보강공법 및 그 보강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0347A KR100899372B1 (ko) | 2007-07-13 | 2007-07-13 | 기존 콘크리트 기초구조물로의 새로운 마이크로파일 두부의정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초 및 기둥 구조물의 보강공법 및 그 보강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6910A KR20090006910A (ko) | 2009-01-16 |
KR100899372B1 true KR100899372B1 (ko) | 2009-05-26 |
Family
ID=40487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70347A Active KR100899372B1 (ko) | 2007-07-13 | 2007-07-13 | 기존 콘크리트 기초구조물로의 새로운 마이크로파일 두부의정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초 및 기둥 구조물의 보강공법 및 그 보강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99372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538860B (zh) * | 2009-04-28 | 2011-01-05 | 李旺雷 | 基岩接触段锚固式水泥固结灌浆方法 |
KR101100438B1 (ko) | 2009-06-03 | 2011-12-30 | 장수호 |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물 시공 방법 |
KR101351058B1 (ko) | 2013-09-12 | 2014-01-13 | 주식회사 케이씨씨건설 | 폴리건 구조의 블록기초와 마이크로파일을 이용한 도로 시설물용 지주기초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KR101677448B1 (ko) | 2013-12-04 | 2016-11-29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추가파일 시공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701462B (zh) * | 2009-09-30 | 2011-07-13 | 唐业清 | 建筑物厚板基础结构竖直桩托换加固封桩孔方法 |
KR101341260B1 (ko) * | 2012-02-06 | 2013-12-13 | 김정인 | 기존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의 보강 공법 |
CN104929149A (zh) * | 2015-07-08 | 2015-09-23 | 黄冀卓 | 一种减少钢柱埋置深度的加劲型埋入式柱脚及其施工工艺 |
KR101943185B1 (ko) * | 2017-02-01 | 2019-01-30 | 주식회사 동양구조이앤알 | 파형 마이크로파일 및 분산 플레이트를 활용한 기초 풋 구조의 하부증타 시공방법 |
KR101844710B1 (ko) * | 2017-02-01 | 2018-04-02 | 주식회사 동양구조이앤알 | 관통 H-Beam을 활용한 추가 하중분리 마이크로파일 지지 구조를 갖는 벽체형 기초 보강방법 |
KR102128402B1 (ko) * | 2020-04-22 | 2020-07-01 | 반석기초이앤씨(주) | 동시 확공이 가능한 일체화된 굴착용 건설장비를 이용한 굴착 시공방법 |
CN111501818B (zh) * | 2020-05-08 | 2021-10-29 | 江苏海洋大学 | 一种软土区水泥杆基础及其施工方法 |
CN114961325B (zh) * | 2022-06-28 | 2024-02-02 | 中维建研(江苏)设计有限公司 | 一种预应力加固混凝土垃圾仓结构的方法 |
CN115162326A (zh) * | 2022-06-28 | 2022-10-11 |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提高水泥净浆灌注单桩水平承载力的联合支护结构 |
CN115288119B (zh) * | 2022-09-01 | 2024-08-13 | 绍兴大明电力设计院有限公司 | 预制承台式微型桩-锚杆复合基础及其施工方法 |
CN119021259B (zh) * | 2024-10-29 | 2024-12-24 | 山东鲁中公路市政检测有限公司 | 桥梁预制管桩与预制承台的连接结构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122916A (en) | 1979-03-16 | 1980-09-22 | Kurosawa Kensetsu Kk | Method for building prestressed concrete-made pier foundation |
JPS59195933A (ja) | 1983-04-18 | 1984-11-07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プレストレスコンクリ−ト杭 |
JPH0517940A (ja) * | 1991-07-15 | 1993-01-26 | Japan Found Eng Co Ltd | アンカー造成に於ける硬化材の加圧養生方法とその装置 |
JPH0932005A (ja) * | 1995-07-25 | 1997-02-04 | Fujita Corp | 地盤の液状化防止方法 |
-
2007
- 2007-07-13 KR KR1020070070347A patent/KR10089937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122916A (en) | 1979-03-16 | 1980-09-22 | Kurosawa Kensetsu Kk | Method for building prestressed concrete-made pier foundation |
JPS59195933A (ja) | 1983-04-18 | 1984-11-07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プレストレスコンクリ−ト杭 |
JPH0517940A (ja) * | 1991-07-15 | 1993-01-26 | Japan Found Eng Co Ltd | アンカー造成に於ける硬化材の加圧養生方法とその装置 |
JPH0932005A (ja) * | 1995-07-25 | 1997-02-04 | Fujita Corp | 地盤の液状化防止方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538860B (zh) * | 2009-04-28 | 2011-01-05 | 李旺雷 | 基岩接触段锚固式水泥固结灌浆方法 |
KR101100438B1 (ko) | 2009-06-03 | 2011-12-30 | 장수호 |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물 시공 방법 |
KR101351058B1 (ko) | 2013-09-12 | 2014-01-13 | 주식회사 케이씨씨건설 | 폴리건 구조의 블록기초와 마이크로파일을 이용한 도로 시설물용 지주기초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KR101677448B1 (ko) | 2013-12-04 | 2016-11-29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추가파일 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6910A (ko) | 2009-0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99372B1 (ko) | 기존 콘크리트 기초구조물로의 새로운 마이크로파일 두부의정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초 및 기둥 구조물의 보강공법 및 그 보강 구조 | |
KR101100438B1 (ko) |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물 시공 방법 | |
KR101152265B1 (ko) |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 시공방법 및 그 구조 | |
US11274412B2 (en) | Reinforcement structures for tensionless concrete pier foundations and methods of constructing the same | |
WO2010097642A1 (en) | Hydraulic tie rod for construction projects | |
Singhal et al. | Anchorage behaviour of headed bars as connection system for precast reinforced concrete structural components | |
KR101328045B1 (ko) | 프리캐스트 고성능 섬유시멘트 복합체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복합기둥공법 | |
WO2005066419A1 (en) | Method of applying prestress and connecting means used therein and prestressed concrete beam therefrom | |
KR101341260B1 (ko) | 기존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의 보강 공법 | |
KR100991341B1 (ko) | 프리캐스트 기초 및 말뚝과 프리캐스트 기초의 연결구조 | |
KR101086643B1 (ko) | 다수개의 강선을 인장부의 전단면에 배치한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거더 | |
KR101086646B1 (ko) | 양단부에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를 설치한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거더와 이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슬래브교 시공방법 | |
JP4697875B2 (ja) | 軽量盛土用ブロックおよび軽量盛土構造物 | |
US20080008539A1 (en) | Void form for constructing post-tensioned foundation piles | |
KR102268630B1 (ko) | 와이어 앵커가 구비된 복합 앵커를 이용한 단면 복구 공법 | |
KR100933220B1 (ko) | 보강토 옹벽의 배부름 현상에 대한 보수 및 보강방법과이에 사용되는 소일네일 구조체 | |
CN212452617U (zh) | 一种锚杆的后张预应力施加装置 | |
JP7028728B2 (ja) | 基礎杭と基礎スラブの接合構造 | |
CN112095586A (zh) | 一种预应力后插复合锚索抗拔桩及其制备方法 | |
KR100444555B1 (ko)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말뚝의 두부보강 공법 | |
Mullins et al. | Post-tensioned splice system for precast, prestressed concrete piles: Part 1, conceptual design | |
JP2001303592A (ja) | ブロックの設置固定工法 | |
KR20020066608A (ko) | 강재말뚝과 콘크리트기초와의 보강결합을 위한 결합구 및이를 이용한 결합구조 | |
KR20080000243A (ko) | 보강토 교각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KR100868557B1 (ko) | Pc블럭 적층시공용 가설구조 및 pc블럭을 이용한수직구조물 축조 공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9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2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5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5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5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5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1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0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