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5807B1 - 배터리 내부에 배치하기 위한 분리기 그리고 배터리 - Google Patents

배터리 내부에 배치하기 위한 분리기 그리고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5807B1
KR100875807B1 KR1020070043462A KR20070043462A KR100875807B1 KR 100875807 B1 KR100875807 B1 KR 100875807B1 KR 1020070043462 A KR1020070043462 A KR 1020070043462A KR 20070043462 A KR20070043462 A KR 20070043462A KR 100875807 B1 KR100875807 B1 KR 100875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eparator
battery
fibers
lay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3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8074A (ko
Inventor
페터 크리처
Original Assignee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filed Critical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Publication of KR20070108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8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8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using different kinds of webs, e.g. by layering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38Multi-ply at least one of the sheets having a fibrous composition differing from that of other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Fibrous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7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1Poro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4Tensile strength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3/00Pulp or paper, comprising synthetic cellulose or non-cellulose fibres or web-forming material
    • D21H13/10Organic non-cellulose fibres
    • D21H13/12Organic non-cellulose fibres from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3/14Polyalkenes, e.g. polystyrene polyethylen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3/00Pulp or paper, comprising synthetic cellulose or non-cellulose fibres or web-forming material
    • D21H13/10Organic non-cellulose fibres
    • D21H13/12Organic non-cellulose fibres from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3/18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polyacrylonitril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3/00Pulp or paper, comprising synthetic cellulose or non-cellulose fibres or web-forming material
    • D21H13/10Organic non-cellulose fibres
    • D21H13/20Organic non-cellulose fibres from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3/24Polyes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ell Separators (AREA)
  • Prim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층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층을 포함하며, 상기 층들이 부직포 재료로서 형성된, 배터리 내부에 배치하기 위한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아무런 문제 없이 제조된 후에도 긴 수명과 더불어 높은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배터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상기 분리기는, 상기 제 1 층이 상기 제 2 층 섬유의 평균 직경보다 더 큰 평균 직경을 갖는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내부에 배치하기 위한 분리기 그리고 배터리 {SEPARATOR FOR DISPOSING IN BATTERIES AND BATTERY}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층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층을 포함하는, 배터리 내부에 배치하기 위한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층들은 부직포 재료로 형성되었다. 본 발명은 또한 분리기를 포함하는 배터리와도 관련이 있다.
수성 전해질을 사용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 시스템의 경우에는, 배터리 충전 및 방전시에 전해질이 화학 반응에 참여한다. 공지된 배터리 시스템에서는, 통상적으로 부직포 재료 분리기에 의해서 제공되는 충분한 크기의 전해질 용기가 존재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는 충분한 크기의 부피를 갖는 부직포 재료 분리기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분리기 두께의 감소는 단지 제한적으로만 실현될 수 있다.
리튬-배터리의 경우에는 자체의 높은 전기 화학적 전위 때문에 수성 전해질이 사용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전해질이 전기 분해에 의하여 분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타입의 배터리에서는, 충전 및 방전시에 화학 반응에 참여하지 않는 프로필렌 탄산염과 같은 산화에 안정적인 유기 유체들이 사용된다. 상기 유 기 유체들이 단지 이온 수송 기능만을 담당함으로써, 상기 타입의 배터리 시스템에서는 분리기의 두께가 매우 얇을 수 있다. 분리기의 두께는 단지 기계적인 강도, 특히 관통 강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고전류에 강한 배터리, 소위 "하이 파워 배터리(High Power Batteries)"는 바람직하게 전기 공구에 사용된다. 이와 같은 타입의 배터리들은 기공도(porosity)가 개선된 분리기를 필요로 한다. 분리기 기공도의 개선은 배터리의 성능을 높여주고, 그와 더불어 배터리가 사용되는 공구의 성능도 높여준다.
선행 기술에 공지된 분리기들은 자체 기공도와 관련해서 또는 자체 기계적 강도와 관련해서 다수의 단점들을 갖는다.
본 발명의 과제는, 아무런 문제 없이 제조된 후에도 긴 수명과 더불어 높은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배터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서 해결한다. 상기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분리기는 제 1 층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섬유의 평균 직경이 제 2 층 섬유의 평균 직경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단계에서는, 선행 기술에 공지된 분리기들이 충분한 안정성을 갖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 2 단계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층이 캐리어 층으로서 기능 함으로써 분리기의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캐리어 층은 본 발명에 따라 제 2 층보다 큰 직경을 갖는 섬유를 포 함한다. 제 2 층은 본 발명에 따라 기공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도 매우 높은 기공도를 보장해줄 수 있는 섬유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안정적인 분리기를 포함하는 배터리가 구현될 수 있음으로써, 배터리는 아무 문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분리기의 안정성에 의해서는 아무 문제 없는 배터리 제조뿐만 아니라 배터리의 긴 수명도 실현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분리기에 의해서는 높은 기공도가 얻어질 수 있음으로써, 성능이 우수한 배터리가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서문에 언급된 과제가 해결된다.
제 1 층은 2 ㎛보다 큰 평균 직경을 갖는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층은 800 nm보다 작은 평균 직경을 갖는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체적인 형성예는 한편으로는 제 2 층을 안정화시키는 충분히 안정적인 캐리어 층의 형성을 가능케 한다. 따라서 제 2 층은 기계적인 요구 조건에 상응할 필요가 거의 없고, 자체 기공도 및 섬유 구조와 관련하여서도 제 1 층과 무관하게 설정될 수 있다. 기공 크기가 지나치게 크면 배터리의 고장이 야기될 수 있다는 사실은 공지되어 있다. 기공의 크기가 지나치게 크면 전도성 상호 침투(interpenetration) 현상, 소위 수지상(樹枝狀) 결정(dendrite)이 형성되어 단락이 야기될 수 있다. 나노 섬유의 사용이 매우 작은 기공 직경을 형성하는 동시에 매우 높은 기공도를 갖는 부직포 재료의 형성을 가능케 함으로써, 상호 침투 현상이 효과적으로 회피될 수 있다.
분리기는 두 개의 제 1 층들 사이에 하나의 제 2 층이 포함되어 있는, 세 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체적인 형성예는 분리기의 특히 안정적인 구조를 가능케 하는데, 그 이유는 나노 섬유를 포함하는 층이 두 개의 안정된 캐리어 층들 사이에 샌드위치 형태로 고정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구체적인 형성예는 분리기의 매우 높은 관통 강도를 구현한다.
분리기는 두 개의 제 2 층들 사이에 하나의 제 1 층이 포함되어 있는, 세 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체적인 형상의 분리기는 매우 높은 기공도와 더불어 충분한 안정성을 갖는다. 상기 제 2 층들은, 이 두 개의 제 2 층들 사이에서 안정적인 캐리어 층으로 기능하는 제 1 층을 샌드위치 형태로 둘러싼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층들이 서로 접착되어 있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접착은 비용적으로 유리한 결합 방법이다.
라미네이팅 방법을 이용하여 층들을 서로 연결하는 것도 또한 생각할 수 있다. 라미네이팅 방법은 연속적인 제조 공정을 가능케 한다.
교차 결합과 같은 화학적인 반응에 의해서 층들을 서로 연결하는 것도 또한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는, 매우 안정적이고 분리가 거의 불가능한 층 결합이 실현된다.
예를 들어 전자 광선, 레이저 또는 초음파와 같은 용접에 의하여 층들을 용접하는 것도 또한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 형태는 선택적으로, 즉 전체 표면에 걸쳐서 실행되거나 또는 점 형태로 실행될 수 있다. 층들의 상호 결합이 전체 표면에 걸쳐서 이루어지는지 아니면 점 형태로 이루어지는지에 따라서, 층 복합체의 탄성 및 휨 강도가 조절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워터 젯 경화 방법과 같은 기계적인 방법에 의하여 층들을 서로 결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워터 젯 경화는 추가의 결합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필라먼트(filament) 또는 스테이플 섬유의 꼬임을 가능케 한다. 그럼으로써, 아무 문제 없이 소각될 수 있는 분리기의 순수한 제조가 실현될 수 있다. 배터리를 손상시킬 수 있는 접착제 또는 다른 결합 재료들은 필요치 않다.
적어도 하나의 층은 막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는, 각각의 제 1 층 또는 각각의 제 2 층 자체가 층 복합체로서 형성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각각의 층이 상이한 화학적 조성을 갖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제 1 층뿐만 아니라 제 2 층이 순차적인 구성을 갖는 것도 또한 생각할 수 있다. 순차적인 구성이란, 섬유 직경의 증감이 임의의 한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는, 더 미세한 기공도를 갖는 층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더 거친 기공도를 갖는 층에 의해서 오염물 입자가 흡수될 수 있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더 굵은 층들을 부가하면, 기공도가 더 거친 층들은 점차적으로 크기가 더 작은 기공들을 갖게 되고, 그럼으로써 미세한 입자의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층은 적어도 160 ℃의 용융점을 갖는 폴리머로 이루어진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선행 기술에는, 120 ℃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되기 시작하는 분리기들이 공지되어 있다. 더 높은 온도에서는 분리기가 완전히 용융될 수 있음으로써, 소위 "멜트-다운-효과(Melt-Down-Effect)"가 나타난다. 이와 같은 효과는 배터리의 임계 상태를 야기하는데, 그 이유는 분리기 재료들이 심지어 용융점 아래 의 온도에서 이미 열에 의해서 상당히 수축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상이하게 충전된 배터리 전극들의 노출을 야기할 수 있다. 전극들이 노출되는 즉시 배터리의 안전한 동작은 더 이상 실현될 수 없다.
제 1 층은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는 상승된 온도 안정성을 특징으로 한다. 폴리에스테르로부터 제조된 부직포 재료는 200 ℃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가열한 후에 2 % 미만의 열적 수축을 보인다.
제 2 층은 폴리올레핀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의 사용은 온도 증가시에 기공의 규정된 폐쇄를 허용한다.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층이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층과 조합되면, 분리기의 온도 안정성 및 그와 더불어 기계적인 강성이 나타나며, 이와 동시에 기공의 규정된 폐쇄가 실현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소위 중단 효과가 규정된 바대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중단 효과가 배터리의 안정성을 높여줌으로써, 특수한 폴리올레핀 재료의 용융에 의한 과충전 또는 단락에 대항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을 배경으로 하여 제 2 층은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매우 견고한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기는 5 - 35 g/m2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단위 면적당 중량을 선택하면, 분리기는 기계적으로 처리될 수 있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게 된다. 특히 5 내지 20 g/m2의 범위가 안정성과 관련하여 사용 적합하다고 증명되었다.
분리기는 10 - 35 ㎛의 두께를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분리기 두께를 선택하면, 분리기는 전해질을 흡수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부피를 가질 수 있게 되고, 또한 기계적인 부하에도 상응하게 된다. 10 내지 25 ㎛의 범위가 가급적 적은 두께에서의 흡수 능력과 관련하여 특히 바람직하다고 증명되었다.
분리기는 35 - 80 %의 기공도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체적인 형성예에 의해서는, 분리기가 고전류에 강한 배터리에 사용될 수 있다. 45 내지 80 %의 범위가 베터리의 성능과 관련하여 특히 바람직하다고 증명되었다. 선행 기술에는 압출 후에 곧장 연신 처리되는 박막이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박막들은 통상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청구된 범위보다 확연하게 아래에 있는 기공도를 갖는다.
분리기는 4 ㎛의 최대 기공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기공 크기를 선택하면, 분리기의 상호 침투가 전혀 이루어질 수 없다. 상기 상호 침투 현상이란, 자체적으로 형성되어 단락을 야기하는 수지상 결정 구조이다. 상기 범위로부터 최대 기공 크기를 선택하면, 수지상 결정의 형성이 효과적으로 저지된다. 기공 크기(기공 직경)가 최대 2 ㎛이면, 수지상 결정의 특히 낮은 형성율에 도달하게 된다.
분리기는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8 N/(5 cm)의 최고 인장력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체적인 형성예는 아무 문제 없는 가공 가능성을 보장해준다. 상기 최고 인장력은 또한 분리기 재료가 기계적으로 감길 수 있게끔 한다. 전술한 최고 인장력을 갖는 분리기 재료는 또한 상호 침투에 대해서도 높은 강도를 갖는다.
분리기는 140 ℃로 30분 가열한 후에 가로 방향으로 5 % 미만의 열적 수축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유형의 분리기는 보다 높은 온도 또는 보다 긴 배터리 사용 기간에서도 배터리의 사용을 가능케 한다. 전술한 분리기를 사용하면, 전극들은 거의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배터리 작동의 안정성은 더 긴 사용 기간 및 더 높은 온도에서도 보장된다.
서문에 언급된 과제는 또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유형의 분리기를 포함하는 배터리에 의해서 해결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분리기 자체의 실시예들이 진보성과 관련하여 참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론을 바람직한 방식으로 실현하고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들이 존재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한편으로는 종속 청구항들 다음의 특허 청구항들이 참조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표를 참조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이 참조될 수 있다. 표를 참조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과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이론의 일반적으로 선호되는 실시예들 및 개선예들도 아래에서 설명된다.
표 1은 두 개 층으로 이루어진 분리기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보여준다.
실시예
표 1에는 재료 C1 내지 C19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재료들은 두 개의 층(A및 B)으로부터 조성된다.
층 A, 즉 제 1 층으로서는 아래와 같은 부직포 재료들이 사용되었다:
A1: 열적으로 결합된 습식 폴리에스테르-부직포 재료. 이 부직포 재료는 3 내지 4 ㎛의 평균 섬유 직경, 8 g/m2의 단위 면적당 중량 그리고 13 ㎛의 두께를 가졌다.
A2: 열적으로 결합된 습식 폴리올레핀-부직포 재료. 이 부직포 재료는 3 내지 4 ㎛의 평균 섬유 직경, 13 g/m2의 단위 면적당 중량 그리고 24 ㎛의 두께를 가졌다.
A3: 아크릴레이트-결합제에 의해 화학적으로 결합된, 12 g/m2의 단위 면적당 중량 및 24 ㎛의 두께를 갖는 습식 폴리아크릴니트릴-섬유.
A4: 열적으로 경화된 폴리에스테르-스펀 본디드 부직포 재료. 이 부직포 재료는 약 9 ㎛의 평균 섬유 직경을 가졌다. 상기 재료는 14 g/m2의 단위 면적당 중량 그리고 26 ㎛의 두께를 가졌다.
A5: 13 g/m2의 단위 면적당 중량 그리고 26 ㎛의 두께를 가진 폴리프로필렌-멜트블로운-부직포 재료.
A6: 열적으로 경화된 폴리에스테르-건식 부직포 재료. 이 부직포 재료는 약 12 ㎛의 평균 섬유 직경을 가졌다. 상기 재료는 17 g/m2의 단위 면적당 중량 그리고 26 ㎛의 두께를 가졌다.
제 2 층으로서 기능하는 층 B를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재료들이 사용되었다:
B1: 상기 제 1 층상에 메틸렌클로라이드로부터 정전기적으로 방사된 폴리카보네이트-섬유가 적층되었다. 상기 섬유는 800 ㎛ 미만의 평균 직경을 가졌다. 상기 제 2 층은 2 내지 10 g/m2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가졌다.
B2: N-메틸-피롤리돈으로부터 제 1 층상에 폴리술폰-섬유 그리고 폴리에테르술폰-섬유가 정전기적으로 방사되었다. 상기 섬유는 800 ㎛ 미만의 평균 직경을 가졌다. 상기 제 2 층은 5 g/m2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가졌다.
B3: 상기 제 1 층상에 클로르에틸렌으로부터 정전기적으로 방사된 폴리에틸렌-섬유가 적층되었다. 상기 섬유는 800 ㎛ 미만의 평균 직경을 가졌다. 상기 제 2 층은 3 내지 5 g/m2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가졌다.
B4: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로부터 제 1 층상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섬유가 정전기적으로 방사되었다. 상기 섬유는 800 ㎛ 미만의 평균 직경을 가졌다. 상기 제 2 층은 3 g/m2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가졌다.
B5: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로부터 제 1 층상에 폴리비닐에덴플루오라이드-섬유가 정전기적으로 깔렸다. 상기 섬유는 800 ㎛ 미만의 평균 직경을 가졌다. 상기 제 2 층은 3 내지 5 g/m2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가졌다.
B6: 페르클로르에틸렌으로부터 폴리프로필렌-섬유가 정전기적으로 방사되어 제 1 층상에 깔렸다. 상기 섬유는 800 ㎛ 미만의 평균 직경을 가졌다. 상기 제 2 층은 3 내지 5 g/m2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가졌다.
B7: 페르클로르에틸렌으로부터 폴리스티롤-섬유가 정전기적으로 방사되어 제 1 층상에 깔렸다. 상기 섬유는 800 ㎛ 미만의 평균 직경을 가졌다. 상기 제 2 층은 3 내지 5 g/m2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가졌다.
B8: 폴리아크릴니트릴-섬유가 디메틸포름아미드로부터 정전기적으로 방사되었다. 상기 섬유는 800 ㎛ 미만의 평균 직경을 가졌다. 상기 제 2 층은 3 내지 5 g/m2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가졌다.
B9: 디메틸포름아미드로부터 폴리에테르이미드-섬유가 정전기적으로 방사되었다. 상기 섬유는 800 ㎛ 미만의 평균 직경을 가졌다. 상기 제 2 층은 3 내지 5 g/m2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가졌다.
B10: 용융물로부터 "아일랜드 인 더 시(island in the sea)" 타입의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테르-섬유가 방사되었다. 상기 섬유는 800 ㎛ 미만의 평균 직경을 가졌다. 상기 제 2 층은 3 g/m2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가졌다.
B11: 멜트-블로운-공정으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섬유가 방사되었다. 상기 섬유는 600 ㎛ 미만의 평균 직경을 가졌다. 상기 제 2 층은 5 g/m2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가졌다.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사실은, 재료 C1 내지 C19가 두 개 층의 복합체로서 형성되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재료 C5는 층 A1의 층 복합체 및 층 B2로 이루어지며, 이 경우 층 A1은 제 1 층으로서 그리고 층 B2는 제 2 층으로서 기능한다. 상기 층 A1은 캐리어 층으로서 기능하고, 상기 층 복합체를 안정시킨다.
표 1의 3열은 층 복합체의 전체 중량을 g/m2로 보여준다. 3열에서는 상기 제 1 층 또는 제 2 층이 전체 중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가로 안에 기재되어 있다. 표의 4열은 층 복합체의 두께를 지시한다. 5열은 층 복합체의 기공도를 그리고 6열은 최대 기공 크기를 나타낸다. 7열에는 길이 방향으로의 최고 인장력이 단위 N/(5cm)로 지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8열은 가로 방향으로의 열적 수축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며, 이 경우 상기 열적 수축은 %로 나타나 있다. 상기 열적 수축은 샘플이 30분 동안 180 ℃로 가열됨으로써 결정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론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개선예들과 관련하여서는, 한편으로는 상세한 설명의 일반적인 부분이 참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가 참조된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순전히 임의로 선택된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이론을 설명하기 위해서만 이용되지만, 상기 실시예들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해서는, 아무런 문제 없이 제조된 후에도 긴 수명과 더불어 높은 성능을 보장하는 배터리가 제공될 수 있다.
표 1
재료 전체 중량(g/m2) 두께 (㎛) 기공도 (%) 최대 기공 크기 (㎛) 길이 방향으로의 최고 인장력 (N/5 cm) 열적 수축 가로*(5)
C1 A1 + B1 10(8 + 2) 17 60 3.2 14 180 ℃에서 2 미만
C2 A1 + B1 12(8 + 4) 21 57 1.8 14 180 ℃에서 2 미만
C3 A1 + B1 14(8 + 6) 25 57 1.2 14 180 ℃에서 2 미만
C4 A1 + B1 18(8 + 10) 33 58 1.0 15 180 ℃에서 2 미만
C5 A1 + B2 13(8 + 5) 21 53 1.5 14 180 ℃에서 2 미만
C6 A1 + B3 13(8 + 5) 22 50 1.7 14 180 ℃에서 2 미만
C7 A1 + B4 13(8 + 5) 21 56 1.6 14 180 ℃에서 2 미만
C8 A1 + B5 13(8 + 5) 22 64 1.5 14 180 ℃에서 2 미만
C9 A1 + B6 13(8 + 5) 23 53 1.8 14 180 ℃에서 2 미만
C10 A1 + B7 13(8 + 5) 22 53 1.5 14 180 ℃에서 2 미만
C11 A1 + B8 13(8 + 5) 22 58 1.5 14 180 ℃에서 2 미만
C12 A1 + B9 13(8 + 5) 21 54 1.4 14 180 ℃에서 2 미만
C13 A1 + B10 13(8 + 5) 21 53 1.4 14 180 ℃에서 2 미만
C14 A2 + B2 18(13 + 5) 27 50 1.6 14 180 ℃에서 2 미만
C15 A3 + B2 17(12 + 5) 32 56 1.6 14 180 ℃에서 2 미만
C16 A4 + B2 19(14 + 5) 33 57 1.7 14 180 ℃에서 2 미만
C17 A5 + B2 21(16 + 5) 32 42 1.8 14 180 ℃에서 10**
C18 A6 + B2 22(17 + 5) 32 49 2.9 14 180 ℃에서 2 미만
C19 A1 + B11 13(8 + 5) 28 69 3.6 14 180 ℃에서 2 미만

Claims (13)

  1. 적어도 하나의 제 1 층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층을 포함하며, 상기 층들이 부직포 재료로서 형성된, 배터리 내부에 배치하기 위한 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은 상기 제 2 층 섬유의 평균 직경보다 더 큰 평균 직경을 갖는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기는 그 단위 면적당 중량이 5 내지 35 g/m2이며 그 두께가 10 내지 3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은 2 ㎛보다 큰 평균 직경을 갖는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층은 800 nm보다 작은 평균 직경을 갖는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제 1 층들 사이에 하나의 제 2 층을 포함하는 3개 층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제 2 층들 사이에 하나의 제 1 층을 포함하는 3개 층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층이 막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층이 폴리머로 이루어진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섬유의 용융점은 적어도 16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는 그 단위 면적당 중량이 5 내지 20 g/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는 그 두께가 10 내지 25㎛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는 그 기공도가 35 내지 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의 최대 기공 크기가 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상기 분리기의 최고 인장력이 적어도 8 N/(5 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는 30분 동안 140 ℃로 가열한 상태에서는 가로 방향 열적 수축이 5 %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분리기를 포함하는, 배터리.
KR1020070043462A 2006-05-05 2007-05-04 배터리 내부에 배치하기 위한 분리기 그리고 배터리 KR100875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21273.8 2006-05-05
DE102006021273A DE102006021273A1 (de) 2006-05-05 2006-05-05 Separator zur Anordnung in Batterien und Batteri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8074A KR20070108074A (ko) 2007-11-08
KR100875807B1 true KR100875807B1 (ko) 2008-12-24

Family

ID=38371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3462A KR100875807B1 (ko) 2006-05-05 2007-05-04 배터리 내부에 배치하기 위한 분리기 그리고 배터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182167A1 (ko)
EP (1) EP1852926B1 (ko)
KR (1) KR100875807B1 (ko)
CN (1) CN101068043A (ko)
AT (1) ATE403943T1 (ko)
DE (2) DE1020060212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18804A1 (de) 2009-04-24 2010-10-28 Li-Tec Battery Gmbh Elektrochemische Zelle mit Lithiumtitanat
DE102009021230A1 (de) 2009-05-14 2010-12-16 Li-Tec Battery Gmbh Elektrochemische Zelle mit Separator
CN102498592B (zh) * 2009-09-16 2014-10-22 株式会社可乐丽 非水类电池用隔板及使用其的非水类电池以及非水类电池用隔板的制造方法
DE102009049326A1 (de) 2009-10-14 2011-04-21 Li-Tec Battery Gmbh Kathodische Elektrode und elektrochemische Zelle hierzu
DE102009046402A1 (de) * 2009-11-04 2011-05-05 SB LiMotive Company Ltd., Suwon Batteriesystem mit erhöhter Gehäuse-Durchstossfestigkeit
DE102010011413A1 (de) 2010-03-15 2011-09-15 Li-Tec Battery Gmbh Kathodische Elektrode und elektrochemische Zelle für dynamische Einsätze
DE102010011414A1 (de) 2010-03-15 2011-09-15 Li-Tec Battery Gmbh Lithiumionenzelle mit intrinsischem Schutz gegen thermisches Durchgehen
DE102010018731A1 (de) 2010-04-29 2011-11-03 Li-Tec Battery Gmbh Lithium-Schwefel-Batterie
DE102010054610A1 (de) 2010-12-15 2012-06-21 Li-Tec Battery Gmbh Elektrochemische Zelle
EP2696392B1 (en) 2011-04-08 2015-08-26 Teijin Limite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separator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DE102011017105A1 (de) 2011-04-14 2012-10-18 Li-Tec Battery Gmbh Lithium-Ionen-Batterie mit hoher Spannung
DE102011100607A1 (de) 2011-05-05 2012-11-08 Li-Tec Battery Gmbh Elektrochemische Zelle
DE102011100724A1 (de) 2011-05-06 2012-11-08 Li-Tec Battery Gmbh Elektrode für Lithiumionen-Batterien
US9666848B2 (en) 2011-05-20 2017-05-30 Dreamweaver International, Inc. Single-layer lithium ion battery separator
DE102011102628A1 (de) 2011-05-27 2012-11-29 Li-Tec Battery Gmbh Elektrochemische Zelle
DE102011109134A1 (de) 2011-08-01 2013-02-07 Li-Tec Battery Gmbh Elektrochemische Zelle
WO2013017217A1 (de) 2011-08-01 2013-02-07 Li-Tec Battery Gmbh Lithiumionen-batterie
DE102011109137A1 (de) 2011-08-01 2013-02-07 Li-Tec Battery Gmbh Lithiumionen-Batterie
CN103718339A (zh) * 2011-08-08 2014-04-09 巴斯夫欧洲公司 电化学电池
DE102011109813A1 (de) 2011-08-09 2013-02-14 Li-Tec Battery Gmbh Lithiumionen-Batteri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Lithiumionen-Batterie
DE102011117262A1 (de) 2011-10-27 2013-05-02 Li-Tec Battery Gmbh Verwendung von Kammpolymeren in Lithiumionen-Batterien
DE102012005348A1 (de) 2012-03-16 2013-09-19 Li-Tec Battery Gmbh Graphen-haltiger Separator für Lithiumionen- Batterien
DE102012005426A1 (de) 2012-03-16 2013-09-19 Li-Tec Battery Gmbh Graphen in Lithiumionen-Batterien
DE102012006200A1 (de) 2012-03-27 2013-10-02 Li-Tec Battery Gmbh Elektrochemische Zelle
WO2013179526A1 (ja) * 2012-05-30 2013-12-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ITMI20121345A1 (it) * 2012-07-31 2014-02-01 Io F I A M M Spa In Forma Abbreviata Fiamm Spa Batteria al piombo acido ad elevata efficienza al ciclaggio stop&start
US8936878B2 (en) * 2012-11-20 2015-01-20 Dreamweaver International, Inc. Methods of making single-layer lithium ion battery separators having nanofiber and microfiber components
DE102012022969A1 (de) 2012-11-23 2014-05-28 Li-Tec Battery Gmbh Elektrochemische Zelle
DE102012023294A1 (de) 2012-11-28 2014-05-28 Li-Tec Battery Gmbh Separator für eine Lithium-lonen-Batterie sowie Lithium-lonen-Batterie enthaltend den Separator
TWI497801B (zh) 2012-12-12 2015-08-21 Ind Tech Res Inst 應用於電池隔離膜之微米或奈米纖維結構或其纖維複合結構
KR101292657B1 (ko) * 2013-02-06 2013-08-23 톱텍에이치앤에스 주식회사 역구조를 갖는 하이브리드 난워븐 세퍼레이터
DE102013011273A1 (de) 2013-07-05 2015-01-08 Li-Tec Battery Gmbh Separator für eine Lithium-lonen-Batterie, sowie Lithium-lonen-Batterie enthaltend den Separator
KR101692412B1 (ko) * 2013-07-26 2017-0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물성이 향상된 폴리올레핀계 필름 및 이를 분리막 기재로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DE102013018235A1 (de) 2013-10-29 2015-04-30 Li-Tec Battery Gmbh Elektrochemische Zelle
DE102014001025A1 (de) 2014-01-27 2015-07-30 Li-Tec Battery Gmbh Elektrochemische Zelle
CN104868155A (zh) * 2014-02-21 2015-08-26 深圳华粤宝电池有限公司 一种薄层锂离子电池及制作该薄层锂离子电池的方法
DE102014211998A1 (de) 2014-06-23 2015-12-24 Evonik Litarion Gmbh Hydrophober Separator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Separators
CN104766937B (zh) * 2015-02-10 2018-04-27 龙岩学院 一种环保型锂离子电池隔膜及其制备方法
CN104766938B (zh) * 2015-02-10 2018-04-27 龙岩紫荆创新研究院 一种复合型锂离子电池隔膜及其制备方法
CN110892551B (zh) 2017-07-18 2022-11-25 日本宝翎株式会社 电化学元件用隔膜
JP7077575B2 (ja) * 2017-10-25 2022-05-31 Jnc株式会社 混繊不織布、積層体、フィルター用濾材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CN107833941B (zh) * 2017-10-31 2020-05-05 巨力新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消除双玻组件引线出口处气泡的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5352A (en) * 1976-10-18 1979-08-21 James River Corp. Method of producing self-bonded, melt-blown battery separators, and resulting product
JPS63148539A (ja) * 1986-12-10 1988-06-21 Kanai Hiroyuki アルカリ電池用セパレ−タ−
US5492781A (en) * 1994-01-18 1996-02-20 Pall Corporation Battery separators
JPH08244152A (ja) * 1995-03-15 1996-09-24 Nitto Denko Corp 多孔質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法
JP3939778B2 (ja) * 1996-02-09 2007-07-04 日東電工株式会社 電池用セパレータ
EP0947011B1 (en) * 1996-09-20 2001-12-12 Johns Manville International, Inc. Resilient mat; a method of making the resilient mat and a battery including the resilient mat
US6319629B1 (en) * 1997-10-15 2001-11-20 Amer-Sil S.A. Glass-fibre reinforced absorbent separator
US20030129379A1 (en) * 1999-04-23 2003-07-10 Shigeru Yao Porous insulating film and its laminates
DE10336380B4 (de) * 2003-08-06 2005-08-25 Carl Freudenberg Kg Ultradünner, poröser und mechanisch stabiler Vliesstoff und dessen Verwend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82167A1 (en) 2008-07-31
EP1852926A1 (de) 2007-11-07
EP1852926B1 (de) 2008-08-06
DE502007000064D1 (de) 2008-09-18
DE102006021273A1 (de) 2007-11-08
ATE403943T1 (de) 2008-08-15
KR20070108074A (ko) 2007-11-08
CN101068043A (zh) 200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5807B1 (ko) 배터리 내부에 배치하기 위한 분리기 그리고 배터리
JP7163353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の改善された多層微多孔性セパレータおよび関連方法
JP6373387B2 (ja) 電気化学素子用分離膜
KR101714811B1 (ko) 비수계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그것을 사용한 비수계 전지, 그리고 비수계 전지용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KR100918751B1 (ko) 분리막과의 계면 접착이 향상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전기 화학 소자
KR100727247B1 (ko) 모폴로지 그래디언트를 갖는 유기/무기 복합 분리막, 그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EP2360014B1 (en) Laminated porous film, separator for lithium cell, and cell
US20020045091A1 (en) Heat-resistant separator
JP6458015B2 (ja) 電気化学素子用分離膜
JPH09213296A (ja) 電池用セパレーター及び電池
CN114171851A (zh) 改进的电池隔板和相关方法
JP2011035373A (ja) 蓄電デバイス用セパレータ
KR101292656B1 (ko) 이차전지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분리막
KR20140082261A (ko) 삼층 분리막,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및 상기 분리막의 제조방법
JP2010115919A (ja) 複合構造体およびそれからなる電子部品用セパレータ
KR101726382B1 (ko) 안전성 및 전지 성능이 향상된 스택/폴딩형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화학 셀
JP5885104B2 (ja) 積層多孔フィルム、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6137523B2 (ja) 積層多孔フィルムの製造方法、積層多孔フィルム、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
KR102524662B1 (ko) 바인더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KR20170071204A (ko) 코어-쉘 구조의 입자들을 포함하는 활성층이 구비된 전기화학 소자용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6013623A (ja) 積層多孔フィルム、積層多孔フィルムの製造方法、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4968983B2 (ja) 密閉型鉛蓄電池用セパレータ
US10777797B2 (en) Composite separator for lithium ion batteries
Mohammadi et al. Polymeric Membranes as Battery Separators
KR20150049974A (ko) 낮은 저항을 갖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