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2673B1 -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 - Google Patents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2673B1
KR100872673B1 KR1020077010706A KR20077010706A KR100872673B1 KR 100872673 B1 KR100872673 B1 KR 100872673B1 KR 1020077010706 A KR1020077010706 A KR 1020077010706A KR 20077010706 A KR20077010706 A KR 20077010706A KR 100872673 B1 KR100872673 B1 KR 100872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ker
flexible tube
suction
coronary artery
artery byp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0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8450A (ko
Inventor
히로쿠니 아라이
아키라 가와마타
히데아키 아사이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베이클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베이클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베이클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68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8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2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2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2017/0237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heart surgery
    • A61B2017/024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heart surgery for immobilizing local areas of the heart, e.g. while it be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0Surgical pincettes without pivotal connections
    • A61B2017/306Surgical pincettes without pivotal connections holding by means of suction
    • A61B2017/308Surgical pincettes without pivotal connections holding by means of suction with suction cups

Abstract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가 가요성 튜브(102)와, 가요성 튜브(102)의 선단측에 설치된 흡반부(101), 가요성 튜브(102)에 설치된 삼방 콕(103), 가요성 튜브(102)를 유지하는 유지부재(104)를 구비하는 흡착부재를 갖는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복수의 흡착부재를 구비하는 동시에, 하나 이상의 흡착부재가 가요성 튜브(102)에 설치된 덕빌 밸브(111)를 추가로 포함한다.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 가요성 튜브, 흡반부, 유지부재, 흡착부재

Description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device}
본 발명은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심근경색 등의 허혈성 심질환을 가진 환자에 대한 카테터 인터벤션(catheter intervention)이 가속도적으로 보급되어 왔다. 대표적인 카테터 인터벤션에는 관동맥 혈관 확장술이나 혈관 내 스텐트 유치가 있는데, 이들의 치료는 환자에 대해 저침습이고, 입원기간이 짧다고 하는 특징을 갖는다.
한편, 카테터 치료의 대상이 되지 않는 환자에게는 관동맥 바이패스술(이하 CABG라고 약칭한다)의 유효성이 넓게 인지되어 있다. 이 방법은 허혈의 원인인 협착이 일어나고 있는 관동맥의 말초측에 박리된 내흉동맥(internal thoracic artery), 위대망동맥(gastroepiploic artery) 등의 바이패스용 혈관의 일단(一端)을 문합(吻合)하여 허혈의 해소를 도모하는 방법이다.
CABG의 대상 환자는 복수의 관동맥이 폐색, 협착되어 있거나, 상행 대동맥이 석회화되어 있거나, 뇌, 신장, 호흡기 등의 만성 질환을 가지고 있거나, 고령자인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에, 이들 환자의 CABG에 대한 리스크는 결코 낮은 것은 아니다. 특히 환자가 받을 수 밖에 없는 최대의 리스크는 심장을 정지하고, 인공 심폐 장치를 사용하여 체외순환을 행하는 것일 것이다. 동맥경화가 진행된 환자에게 인공심폐를 사용하는 것은 녹슨 수도관에 고압으로 송수하는 것과 같고, 그 결과, 혈관 내의 부착물이 밀려 흘러 다른 혈관을 폐색하여, 뇌경색 등의 합병증을 유인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환자에 대해서, 최근, 인공심폐를 사용하지 않고 심박동하에서 바이패스용 그래프트를 문합하는 방법이 시도되어 양호한 성적이 얻어지게 되었다. 이 방법은 오프 펌프 관동맥 문합술(이하, OPCAB라고 약칭한다)이라고 불리워지고 있다.
OPCAB의 문제점은, 심장이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완벽한 문합을 단시간에 실시하기 위해서는 숙련성을 요하는 점이다. 문합이 불량하면 문합부로부터 관동맥이나 바이패스용 혈관 내에 혈괴가 발생하여 폐색되어 버리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는 스태빌라이저를 사용함으로써, 문합부의 움직임이 규제되어 안정된 상태로 바이패스용 혈관을 문합하는 것이 가능해졌기 때문에, 문합의 정밀도가 향상되고, OPCAB의 성적은 비약적으로 향상된 것이다(특허문헌 1).
또한, 통상 상태에서는 정면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문합이 곤란한 환부에 대한 문합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심장을 흡착 유지하여 심장의 위치를 조정하는 처치구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2).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처치구는 심장벽면에 흡착 가능한 1개의 흡반부(suction cup), 흡반부를 위치 조정하기 위한 1개의 암(arm), 흡반부에 연통되고 또한 흡인원과 접속 가능한 흡인 튜브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처치구로는 한 방향만으로부터의 힘으로 심장의 위치를 조정하기 때문에, 심장의 위치 조정을 한 상태로의 문합 중에 심장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거나, 심장을 탈락시켜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특허문헌 1 : 미국특허 제5836311호 명세서
특허문헌 2 : 국제공개 제02/054937호 공보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 오프 펌프 관동맥 문합술에 있어서, 문합이 곤란한 환부에 대해서 심장의 위치 어긋남 또는 탈락이 적은 심장의 위치 조정을 행하여, 안전하게 문합을 실시할 수 있는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요성 튜브와, 상기 가요성 튜브의 선단측에 설치된 흡반부, 상기 가요성 튜브에 설치된 개폐부재, 상기 가요성 튜브를 유지하는 유지부재를 구비하는 흡착부재를 가지고, 복수의 상기 흡착부재를 구비하는 동시에 1개 이상의 상기 흡착부재가 상기 가요성 튜브에 설치된 역지밸브(check valve)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는 피흡착물, 구체적으로는 심장을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는 기구이다. 본 발명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는 복수의 흡착부재를 구비하는 동시에, 1개 이상의 흡착부재가 역지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흡착부재는 각각 흡반부를 갖는다. 즉, 본 발명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는 복수의 흡반부를 갖는다. 이 때문에, 복수의 위치에서 피흡착물, 즉 심장을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심장을 소정의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1개 이상의 흡착부재가 역지밸브를 갖기 때문에, 다른 흡착부재에 포함되는 흡반부가 심장으로부터 분리되어 버린 경우에도, 심장에 흡착된 다른 흡반부의 진공 파괴를 방지하여, 즉 흡반 내의 음압을 유지하고 흡반부를 심장에 흡착시켜 둘 수 있다. 이 때문에,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에 있어서의 문합처치를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요성 튜브와, 상기 가요성 튜브의 선단측에 설치된 흡반부, 상기 가요성 튜브에 설치된 개폐부재, 상기 가요성 튜브를 유지하는 유지부재, 상기 가요성 튜브에 설치된 역지밸브를 구비하는 흡착부재를 복수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는 심장을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는 기구이다. 본 발명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는 흡반부를 복수 이상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방향으로부터 심장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처치구로 할 수 있다. 또한, 흡반부를 복수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심장을 소정의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해 둘 수 있다. 또한, 역지밸브를 포함하는 흡착부재를 복수 가지고 있기 때문에, 1개의 흡반부가 가령 심장으로부터 분리된 경우에도 심장에 흡착된 다른 흡반부의 진공 파괴를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다른 흡반부에 의해 심장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에 있어서 안전하게 문합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역지밸브는 외부로부터의 조작이 가해지지 않고, 역지밸브의 기단측(base end side)(흡인원측)으로부터 선단측(흡반부측)을 향하는 유체의 역류가 발생했을 때에 닫힘상태가 되도록 구성된 밸브이다. 이와 같은 역지밸브를 설치함으로써, 처치 중에 1개의 흡반부가 피흡착물로부터 분리되었을 때에, 흡착되어 있는 흡반부 내의 내압에 대해 분리된 흡반부 내의 내압이 상대적으로 양압이 되고, 이 차압에 의해 역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수술자가 역지밸브의 개폐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고, 흡착되어 있는 흡착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역지밸브가 닫힘상태가 되어, 흡착되어 있는 흡반부 내의 내압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진공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관상동맥 바이패스술 중의 조작을 더욱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역지밸브가 선단부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고, 닫힘상태가 되도록 설치된 한쌍의 밸브체를 갖는 동시에, 상기 역지밸브의 기단측이 상기 흡반부측에 대해서 음압일 때 열림상태가 되고, 상기 역지밸브의 기단측이 상기 흡반부측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양압일 때 닫힘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역지밸브가 덕빌 밸브(duckbill valve)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소정의 흡인압하에서 피흡착물에 흡착된 흡반부가 상기 흡인압이 부여된 상태 그대로 분리되었을 때, 상기 흡반부가 설치된 상기 가요성 튜브와 동일한 가요성 튜브에 설치된 상기 역지밸브가 진동하여 리크음(leak sound)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렇게 하면, 흡반부의 분리 발생을 수술자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기 때문에,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에 의한 처치를 보다 한층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진공 파괴 방지용 역지밸브와 리크음 발생용 역지밸브를 각각 설치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진공 파괴 방지용 역지밸브를 경도가 낮은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역지밸브의 변형능을 향상시키고, 한쌍의 밸브를 밀착하기 쉽게 하며, 진공 파괴 방지 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리크음 발생용 역지밸브를 경도가 높은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역지밸브를 진동하기 쉽게 하여, 보다 높은 주파수의 리크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있어서, 1개 이상의 상기 흡착부재가 피흡착물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흡반부를 배치하는 데에 사용되는 보조부재를 추가로 포함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보조부재를 사용하여 흡반부를 피흡착물의 소정의 위치에 더욱 확실하게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재를 3개 이상 가지고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심장벽면의 상이한 3개소 이상에 흡반부를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2개소에만 흡반부를 배치하는 경우에 대해서 심장의 비틀림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심장을 소정의 위치에 더욱 확실하게 유지해 둘 수 있다. 따라서,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에 있어서 보다 한층 안전하게 문합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있어서, 상기 흡반부와 상기 가요성 튜브 사이에 양자를 접속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흡반부와 상기 가요성 튜브 중 한쪽을 다른 쪽에 대해서 가동하게 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흡반부 및 상기 가요성 튜브에 연통되는 동시에, 상기 흡반부와 상기 가요성 튜브 중 한쪽 방향이 다른 쪽에 대해서 가변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흡반부와 가요성 튜브 중 한쪽에 대한 다른 쪽의 자세를 더욱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위치 조정시의 흡착부재 움직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심장의 위치 조정을 더욱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흡반부 및 상기 가요성 튜브에 연통되어 있는 자바라 형상의 관(bellow tube)을 포함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흡반부와 가요성 튜브 중 한쪽을 다른 쪽에 대해서 확실하게 가동으로 하여, 상대적인 방향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있어서, 상기 흡반부의 흡착면과 평행한 수평면 내에 있어서의, 상기 흡반부에 대한 상기 가요성 튜브의 각도 가동범위가 30도 이상 180도 이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있어서, 상기 흡반부의 흡착면과 수직인 수직면 내에 있어서의, 상기 흡반부에 대한 상기 가요성 튜브의 각도 가동범위가 30도 이상 180도 이하여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심장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면서 소정의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각도 가동범위는 흡반부에 대해 가요성 튜브가 움직일 수 있는 각도의 범위를 가리킨다.
본 발명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있어서, 상기 흡반부에 상기 가요성 튜브에 연통되는 연통구와, 상기 흡반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연통구를 향해서 뻗는 복수의 슬릿형상의 오목부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보다 한층 심장의 위치 어긋남 또는 탈락의 위험성이 적은 처치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오목부는 흡반부의 흡착면에 대략 수직방향(흡인방향)으로 뻗어 있는 동시에 서로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있어서, 상기 흡반부의 단부는 상기 흡반부의 내부 보다도 유연화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있어서, 상기 흡반부의 단부가 상기 흡반부의 내부 보다도 유연한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흡반부에 심장을 확실하게 흡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튜브는 주관(main tube)과, 상기 주관에 연통되는 분기부(branch portion), 상기 분기부에 연통되는 복수의 부관(auxiliary tube)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흡반부가 서로 다른 상기 부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처치구 전체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흡착부재의 제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있어서, 3개 이상의 상기 부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흡반부가 상기 가요성 튜브를 매개로 하여 하나의 흡인수단에 연통되어 있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처치구 전체를 확실하게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흡인수단을 사용하여 복수의 흡착부재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처치에 있어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요성 튜브에는 역지밸브가 부설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흡착부재가 심장으로부터 분리된 경우에도 심장에 흡착된 다른 흡착부재가 진공 파괴를 일으키지 않아, 다른 흡착부재로 심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있어서, 3개 이상의 상기 흡반부가 상기 가요성 튜브를 매개로 하여 하나의 흡인수단에 연통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있어서, 1개 이상의 상기 흡착부재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 및 상기 역지밸브가, 상기 가요성 튜브의 선단측에 설치된 상기 흡반부로부터 기단측을 향해서 이 순서로 상기 가요성 튜브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배치하면, 역지밸브의 효과를 확보하면서 소정의 흡반부를 피흡착물로부터 탈착시키는 조작을 더욱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있어서, 1개 이상의 상기 흡착부재에 있어서 상기 흡반부가 복수의 흡반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요성 튜브의 선단측에 흡반부가 설치된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로서, 상기 흡반부는 복수의 흡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는 하나의 가요성 튜브의 선단측에 복수의 흡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심장벽면의 대략 평면상인 부분 뿐 아니라, 곡면부에 대한 흡착시의 추종성(followability)이 우수하여, 심장을 소정의 위치에 더욱 확실하게 유지해 둘 수 있다. 따라서,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에 있어서 더욱 안전하게 문합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있어서, 상기 흡반의 형상은 대략 원형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를 사용하여 심장을 외과적으로 치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흡반부를 심장에 흡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심장의 복수의 위치에 흡반부를 흡착시켜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흡반부가 피흡착물로부터 분리되었을 때에, 흡착되어 있는 흡반부 내의 내압에 대해 분리된 흡반부 내의 내압이 상대적으로 양압이 되고, 이 차압에 의해 역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흡착되어 있는 흡착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역지밸브가 닫힘상태가 되어, 흡착되어 있는 흡반부 내의 내압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진공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심장에 대한 처치를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심장이 제1의 위치에 있을 때, 하나의 상기 흡반부를 심장벽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는 스텝과, 상기 하나의 흡반부에 흡인압을 부여하여 상기 하나의 흡반부를 상기 소정의 위치에 흡착시키는 스텝, 다른 상기 흡반부를 상기 심장벽면의 다른 위치에 배치하는 스텝, 상기 하나의 흡반부에 흡인압을 부여한 흡인원과 동일한 흡인원으로, 상기 다른 흡반부에 흡인압을 부여하여 상기 다른 위치에 흡착시키는 스텝, 상기 하나의 흡반부가 설치된 가요성 튜브를 유지하는 하나의 상기 유지부재와, 상기 다른 흡반부가 설치된 가요성 튜브를 유지하는 다른 상기 유지부재를 견인하여 유지함으로써, 심장을 제2의 위치에 유지하는 스텝, 상기 제2의 위치에서 상기 심장을 외과적으로 치료하는 스텝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심장이 제1의 위치에 있을 때, 하나의 상기 흡반부를 심장벽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는 스텝과 상기 하나의 흡반부에 흡인압을 부여하여 상기 하나의 흡반부를 상기 소정의 위치에 흡착시키는 스텝, 다른 상기 흡반부를 상기 심장벽면의 다른 위치에 배치하는 스텝, 상기 하나의 흡반부에 흡인압을 부여한 흡인원과 동일한 흡인원으로, 상기 다른 흡반부에 흡인압을 부여하여 상기 다른 위치에 흡착시키는 스텝, 또 다른 상기 흡반부를 상기 심장벽면의 또 다른 위치에 배치하는 스텝, 하나의 상기 흡반부에 흡인압을 부여한 흡인원과 동일한 흡인원으로, 상기 또 다른 흡반부에 흡인압을 부여하여 상기 또 다른 위치에 흡착시키는 스텝, 상기 하나의 흡반부가 설치된 가요성 튜브를 유지하는 하나의 상기 유지부재와, 상기 다른 흡반부가 설치된 가요성 튜브를 유지하는 다른 상기 유지부재, 상기 또 다른 흡반부가 설치된 가요성 튜브를 유지하는 또 다른 상기 유지부재를 견인하여 유지함으로써, 심장을 제2의 위치에 유지하는 스텝, 상기 제2의 위치에서 상기 심장을 외과적으로 치료하는 스텝을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1개 이상의 상기 흡착부재가 피흡착물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흡반부를 배치하는 데에 사용되는 보조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하나의 흡반부를 심장벽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는 상기 스텝이, 상기 보조부재에 의해 상기 하나의 흡반부를 상기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는 스텝을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프 펌프 관동맥 문합술에 있어서, 문합이 곤란한 환부에 대해서 심장의 위치 어긋남, 또는 심장의 탈락이 적은 심장의 위치 조정을 행하여 안전하게 문합을 실시할 수 있는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전술한 목적 및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에 기술하는 적합한 실시형태 및 그것에 부수하는 이하의 도면에 의해서 더욱 명확해진다.
도 1은 실시형태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형태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형태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형태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의 흡반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의 흡반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형태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형태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의 흡반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형태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의 흡반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형태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의 삽입 보조부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의 사용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공통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세한 설명을 적절하게 생략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는 심장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는 기구이다. 이 기구는 심장에 대해서 소정의 처치, 예를 들면 관상동맥 바이패스술 등을 실시할 때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는, 복수의,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의 흡착부재를 갖는다. 도 1에서는 3개의 흡착부재를 갖는 구성이 예시되어 있다.
흡착부재는 가요성 튜브(102)와, 가요성 튜브(102)의 선단측에 설치된 흡반부(101), 가요성 튜브(102)에 설치된 개폐부재인 삼방 콕(three-way cock)(103), 가요성 튜브(102)를 유지하는 유지부재(104), 가요성 튜브(102)에 설치된 역지밸브인 덕빌 밸브(111)을 구비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3개의 흡착부재 전체가 덕빌 밸브(111)을 구비하는 구성이 예시되어 있지만, 복수의 흡착부재 중 1개 이상이 덕빌 밸브(111)을 포함하고 있으면 된다.
도 1에 나타낸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있어서, 가요성 튜브(102)는 주관과, 주관에 연통되는 분기부인 트리플 조인트(105), 트리플 조인트(105)에 연통되는 3개의 부관을 포함하고, 3개의 흡착부재는 서로 다른 부관을 갖는다. 또한, 트리플 조인트(105)는 주관측에 1개 및 부관측에 3개의 합계 4개의 관이 분기부에 있어서 서로 연통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흡착부재를 구성하는 부관끼리가 트리플 조인트(105) 등으로 서로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가요성 튜브(102)의 타단 즉 주관의 단부는 흡인원(106)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3개의 흡반부(101)이 가요성 튜브(102)를 매개로 하여 하나의 흡인원(106)에 접속되어 있다. 흡인원(106)은 예를 들면 감압 펌프 등으로 할 수 있다.
가요성 튜브(102)의 재료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수지, 연질(軟質) 염화비닐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의 재료로 할 수 있다. 또한, 가요성 튜브(102)는 예를 들면 압출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가요성 튜브(102)의 크기는, 전장을 예를 들면 50 ㎜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으로 할 수 있고, 내경을 예를 들면 2 ㎜ 이상, 바람직하게는 4 ㎜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코일, 필름 또는 섬유 등의 보강부재에 의해 가요성 튜브(102)를 보강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킹크(kink)에 의한 흡인의 차단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가요성 튜브(102)의 내킹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있어서, 흡반부(101)은 가요성 튜브(102)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3개의 흡반부(101)은 1개의 주관으로부터 분기되는 3개의 부관 각각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흡반부(101)은 가요성 튜브(102)를 매개로 하여 흡인원(106)에 의해 흡인된다. 흡인에 의해 피흡착물의 표면에 흡착된다.
여기서, 피흡착물은 심장이다. 이 때문에 흡반부(101)은 심장벽면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한 재료로 할 수 있다. 흡반부(101)의 재료는 예를 들면 탄성체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심장벽면에 충분히 피트시켜 밀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흡반부(101)의 재료를 실리콘 수지,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수지, 우레탄 엘라스토머 등의 엘라스토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반부(101)은 패드상으로 할 수 있다. 평면에서 봤을 때 흡반부(101)의 형상은 예를 들면 원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원형뿐 아니라,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타원형으로 해도 된다. 흡반부(101)의 평면 형상을 타원형상으로 함으로써, 심장벽면의 혈관을 흡인하지 않고 최대의 접촉면적으로 심장벽면에 흡착시킬 수 있다.
또한, 흡반부(101)의 크기는 평면형상이 원형인 경우, 직경을 예를 들면 5 ㎜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흡반부(101)을 심장벽면에 더욱 안정적으로 흡착시킬 수 있다. 또한, 흡반부(101)의 직경은 예를 들면 60 ㎜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흡반부(101)을 소형화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흡반부(101)을 심장벽면에 배치한 경우에도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흡반부(101)의 평면형상이 대략 타원형상인 경우, 길이방향의 길이는 흡반부(101)을 심장벽면에 더욱 안정적으로 흡착시키는 관점에서는, 예를 들면 20 ㎜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길이방향의 길이는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예를 들면 60 ㎜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흡반부(101)의 짧은 쪽 방향의 길이는 흡반부(101)을 심장벽면에 더욱 안정적으로 흡착시키는 관점에서는, 예를 들면 5 ㎜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짧은 쪽 방향의 길이는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예를 들면 30 ㎜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흡반부(101)의 높이는 예를 들면 5 ㎜ 이상 30 ㎜ 이하로 할 수 있다.
흡반부(101)의 길이를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흡반부(101)을 심장의 표면에 확실하게 흡착시켜서 심장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흡반부(101)을 심장의 표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 처치의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의 흡반부(101)의 형상은, 또한 흡반부(101)의 말단부에 걸쳐서 직경을 확대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심장벽과의 흡인 접촉시에 흡반부(101)이 흡인압에 의해 내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흡반부(101)의 크기 또는 형상은 각각 동일하게 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심장의 심첨부(cardiac apex)에 피트시키는 흡반부(101)을 가장 크게 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심장을 확실하게 소정의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흡반부(101)은 흡착면에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개구부는 가요성 튜브(102)에 연통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흡반부(101)의 개구부를 덮는 복수의 작은 구멍이 있는 메시 등을 부설해도 된다. 이 때, 심장의 벽면은 메시를 매개로 하여 흡반부(101)에 접하는 구성이 된다.
또한, 예를 들면 흡인 개구부의 주의에 볼록부를 설치하고, 흡인 개구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설치하도록 메시 등을 부설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흡인 면적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흡반부(101)에 있어서의 흡인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메시 등의 재질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나,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섬유, 수흡수성 효과를 갖는 부직포나 코튼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흡반부(101)에 설치된 개구부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오목형상의 슬릿(슬릿(10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도 4(e)는 슬릿을 가지는 흡반부(101)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흡반부(101)의 정면도이다. 4(b)는 흡반부(101)의 상면도이다. 도 4(c)는 흡반부(101)의 하면도이다. 도 4(d)는 도 4(b)의 A-A' 단면도이다. 또한, 도 4(e)는 도 4(b)의 B-B' 단면도이다.
도 4(a)~도 4(e)에서는 평면에서 봤을 때 흡반부(101)이 직사각형의 모서리부에 R이 설치된 형상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흡반부(101)에 가요성 튜브(102)에 연통되는 연통구(도시하지 않음)와 흡반부(101)의 단부로부터 연통구를 향해서 뻗는 복수의 슬릿형상의 오목부(슬릿(108))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다. 슬릿(108)은 흡반부(101)의 내면에 형성된 홈부이다. 슬릿(108)을 설치함으로써, 슬릿(108)로부터 연통구를 경유하여 흡반부(101) 내의 액체를 가요성 튜브(102)에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흡반부(101) 내에 액체가 쌓여서 배출 경로가 막히는 경우가 없도록 할 수 있어 조직표면의 체액 등의 물기를 빼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흡반부(101)의 조직에 대한 옆으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c)~도 4(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슬릿형상의 오목부(슬릿(108))가 흡착면에 대략 수직방향(흡인방향)으로 뻗어 있는 동시에 서로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슬릿(108)은 흡반부(101)의 중심으로부터 주변을 향해서 뻗어 있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흡반부(101) 중의 액체를 개구부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서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슬릿(108)이 흡반부(101)의 내측면의 둘레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슬릿(108)은 흡반부(101)의 단부 부근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전술의 물기를 빼는 효과에 추가로, 흡반부(101)의 단부까지 확실하게 흡인압을 걸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 때문에 흡인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슬릿(108)의 폭은 예를 들면 0.2 ㎜ 이상 1 ㎜ 이하, 깊이는 0.5 ㎜ 이상 5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조직이 슬릿(108) 내에 완전히 칩입하여 슬릿의 물기를 빼는 효과를 손상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흡반부(101)의 물기를 빼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있어서, 흡반부(101)의 단부는 유연성을 갖는 부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이러한 구성의 흡반부(101)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흡반부(101)의 단부에는 유연재(109)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흡반부(101)의 단부가 유연성을 갖는 부위로 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반부(101)의 선단부, 구체적으로는 개구부의 바깥둘레에 유연재(109)를 설치함으로써 흡반부(101)의 단부를 흡반부(101)의 내부 보다도 유연한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흡반부(101)의 단부는 흡반부(101)의 내부 보다도 유연화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유연한 조직에 대한 흡반부(101)의 추종성을 향상시켜 흡인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흡반부(101)의 단부를 유연화하는 방법으로서, 흡반부(101)의 단부를 단부 이외의 부위 보다 두께를 얇게 하게 하는 것이나, 다른 유연재를 부설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다른 유연화 방법으로서는 흡반부(101)의 경도 보다 예를 들면 20% 이상 단부의 경도를 작게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재료로서, 예를 들면 전술한 흡반부(101)의 재질과 동재질로 경도만을 작게 한 것이나, 독립 기포 스펀지나 겔상 재질 등을 들 수 있다.
도 1로 돌아가서,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는 가요성 튜브를 유지하는 유지부재(104)가 설치되어 있다. 유지부재(104)는 흡반부(101)의 위치를 조정하고 소정의 위치에 유지한다. 유지부재(104)는 예를 들면 압출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유지부재(104)는 예를 들면 봉상 또는 튜브상의 부재로 한다. 이렇게 하면, 유지부재(104)의 단부를 파지하여 원격 조작함으로써, 흡반부(101)을 소정의 위치에 확실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유지부재(104)의 크기는 전장을 예를 들면 200 ㎜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 ㎜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흡반부(101)을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유지부재(104)의 전장의 상한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처치시의 시야를 더욱 충분히 확보하는 관점에서는, 예를 들면 10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800 ㎜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유지부재(104)의 외경을 예를 들면 2 ㎜ 이상, 바람직하게는 3 ㎜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유지부재(104)의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지부재(104)의 외경의 상한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처치구 전체를 소형화하는 관점에서는, 예를 들면 10 ㎜ 이하, 바람직하게는 8 ㎜ 이하로 할 수 있다.
유지부재(104)의 재료로서는 파단되기 어려운 재질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흡반부(101)의 위치를 확실하게 조정하고, 또한 흡반부(101)을 소정의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유지부재(104)의 재료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경질 염화비닐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의 수지재료로 할 수 있다. 실리콘 수지 등의 엘라스토머로 한 경우, 유지부재의 적절한 신장에 의해 심박동을 흡수할 수 있어, 보다 심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있어서, 심장벽면에 흡착시킨 복수의 흡반부(101)에 연통되어 있는 가요성 튜브(102)와 각각의 유지부재(104)를 견인겸자(traction forceps) 등으로 개흉기 등에 고정해도 된다. 가요성 튜브(102) 및 유지부재(104)를 견인겸자 등으로 개흉기 등에 고정하여 심장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한쪽 방향으로부터만이 아니라 복수의 방향으로부터 심장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문합 중의 심장의 위치 어긋남, 또는 심장의 탈락의 위험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유지부재(104)를 가요성 튜브(102) 상에서 임의의 위치에 슬라이드 할 수 있는 구조로 하고, 유지부재(104)를 잡아당길 때에 유지부재(104)를 가요성 튜브(102)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잡아당기는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있어서, 주관에 설치된 삼방 콕(103)을 조절하여 미리 흡인원(106)이 부관에 연통되지 않도록 차단한 상태로 하고, 흡반부(101)을 심장벽면에 피트시킨 후에 삼방 콕(103)을 조정하여 흡반부(101)을 가요성 튜브(102)에 연통시킴으로써 흡반부(101)에서 심장벽을 흡인할 수 있다. 또한, 흡반부(101)의 심장벽으로부터의 제거는 삼방 콕(103)을 조정하여 흡인원(106)으로의 연통을 차단하는 동시에 대기 해방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에 나타낸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있어서, 연결부재(107)은 흡반부(101)과 가요성 튜브(102) 사이에 설치되고, 흡반부(101) 및 가요성 튜브(102)에 연통되는 동시에, 양자를 접속하는 부재이다. 또한, 연결부재(107)은 흡반부(101)과 가요성 튜브(102) 중 한쪽을 다른 쪽에 대해서 가동으로 한다. 예를 들면, 흡반부(101)에 대해서 가요성 튜브(102)가 임의로 가동할 수 있도록 양자가 연결부재(107)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도 1에 있어서는, 흡반부(101)과 가요성 튜브(102) 중 한쪽의 자세가 다른 쪽에 대해서 가변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흡반부(101)과 가요성 튜브(102) 중 한쪽의 방향이 다른 쪽에 대해서 가변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흡반부(101)에 대해서 가요성 튜브(102)가 가동이기 때문에, 가요성 튜브(102)를 최초의 접속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잡아당겼을 때의 비틀림 응력(torsion stress)이나 심박동에 의해 흡반부(101)에 가해지는 응력을 흡수하고, 심장벽면으로부터의 흡반부(101)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흡반부(101)에 대해 가요성 튜브(102)가 임의로 가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연결부재(107)로서, 예를 들면 흡반부(101) 및 가요성 튜브(102)에 연통되는 자바라 형상의 관을 들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07)은 흡반부(101)의 흡착면과 평행한 수평면 내에 있어서의, 상기 흡반부에 대한 상기 가요성 튜브의 각도 가동범위가 30도 이상 180도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흡반부(101)의 흡착면과 수직인 수직면 내에 있어서의, 상기 흡반부에 대한 상기 가요성 튜브의 각도 가동범위가 30도 이상 180도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각도 가동범위를 30도 이상으로 함으로써 흡반부(101)에 대한 가요성 튜브(102)의 움직임의 자유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각도 가동범위를 180도 이하로 함으로써 흡반부(101)에 흡착된 심장벽면에 비틀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07)은 평면에서 봤을 때 흡반부(101)의 중앙부근에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가요성 튜브(102)를 잡아당겼을 때에 흡반부(101)에 균일한 응력이 걸리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흡인시의 심장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07)은 흡반부(101)의 흡착면이 가요성 튜브(102)가 뻗어 있는 방향에 수평이 되도록 양자를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흡반부(101)의 부피가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한정된 스페이스에서 확실하게 심장의 고정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1에 나타낸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있어서, 가요성 튜브(102)에 개폐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개폐부재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방 콕(103)으로 할 수 있다. 삼방 콕(103)은 각각의 부관에 하나 이상씩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각각의 삼방 콕(103)을 독립적으로 조절하여, 흡반부(101)마다 흡인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개폐부재를 삼방 콕(103)으로 하는 경우, 예를 들면 한쪽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스토퍼를 설치함으로써 두쪽 방향만으로 한정하여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콕의 회전 조정에 의해
i)흡반부(101)에 의해 심장벽을 흡인할 때의 확실한 흡인조작, 및
ii)흡반부(101)을 심장벽으로부터 제거할 때, 확실하게 흡인원(106)으로부터 차단하면서 대기 개방하는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를 두쪽 방향만으로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삼방 콕(103)과 같은 콕을 회전시키는 구조 외에, 예를 들면 콕에 해당하는 부재가 가요성 튜브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전술한 i) 및 ii)를 실시할 수 있는 구조로 해도 된다.
도 1에 나타낸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서는 흡착부재를 3개 이상 가지고 있다. 흡착부재가 1개인 경우, 한개소에서만 심장을 유지하기 때문에 흡착된 심장의 가동범위가 크다. 또한, 한쪽 방향으로부터만 심장을 유지하기 때문에, 흡착부재에 대한 심장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려고 하는 힘이 커져서 심장의 위치 어긋남 또는 탈락이 발생하기 쉽다. 흡착부재를 복수 설치함으로써 복수의 방향으로부터 심장을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심장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려고 하는 힘을 분산시켜서 심장을 소정의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서는 흡착부재를 3개 이상으로 한다. 흡착부재가 2개인 경우도 흡착된 심장의 가동범위의 자유도가 잔존한다. 흡착부재를 3개 이상으로 함으로써, 3 이상의 방향으로부터 심장을 협지(狹持)할 수 있다. 또한, 흡착부재를 3개 이상으로 함으로써, 심장벽면과의 접촉면적을 충분히 확보하고, 심장을 충분히 흡착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심장을 소정의 위치에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에 나타낸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있어서, 가요성 튜브(102)에는 흡반부(101)로부터 흡인원측으로의 방향을 순방향으로 한 역지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역지밸브는 외부로부터의 조작을 가하지 않고, 역지밸브를 경유하는 역류를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역지밸브는 유체를 한쪽 방향으로만 유통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역지밸브의 기단측(흡인원(106)측)이 흡반부(101)측에 대해서 음압일 때에 열림상태가 되어, 흡인압에 의해 흡반부(101)을 심장벽면에 부착시킨다. 한편, 역지밸브의 기단측(흡인원(106)측)이 흡반부(101)측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양압일 때에 닫힘상태가 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역지밸브는 예를 들면, 흡반부(101)측의 선단에서 서로 접촉하고, 닫힘상태가 되도록 설치된 한쌍의 밸브체를 갖는다. 닫힘상태에 있어서, 밸브체는 가요성 튜브의 벽면측으로부터 내부를 향해서 연속적으로 경사지고, 기단, 즉 흡인원(106)측의 단부에서 서로 접촉하여,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유체의 유로가 차단된다. 또한, 열림상태에 있어서는 밸브체의 선단이 떨어지기 때문에 밸브체 사이에 유체의 통로가 형성된다.
역지밸브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덕빌 밸브(111)로 할 수 있다. 덕빌 밸브(111)은 각각의 부관에 하나씩 설치할 수 있다. 덕빌 밸브(111)의 외측에는 부관 또는 분기부(트리플 조인트(105))와 접속할 수 있도록 덕빌 밸브(111)을 내포하는 하우징을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가령 하나의 흡반부(101)이 심장으로부터 분리된 경우, 다른 흡반부(101)과 연통하고 있는 가요성 튜브(102)에 부설된 덕빌 밸브(111) 보다 흡인원(106)측의 가요성 튜브(102) 내부에 걸리는 흡인압이 덕빌 밸브(111)로부터 흡반부(101) 내의 흡인압 보다 높아진다. 즉, 상대적으로 양압이 된다. 이 차압 때문에 공기의 역류가 발생하고, 이 역류에 의해 역지밸브가 닫힘상태가 되어 흡반부(101) 내의 흡인압이 유지되기 때문에 심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흡반부(101)이 분리되었을 때에 수술자 등이 덕빌 밸브(111)에 대해서 특별히 조작을 가할 필요없이, 역류를 자동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문합조작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역지밸브의 재료는 예를 들면 실리콘 수지, 아크릴로니트릴 고무, 이소프렌고무, 우레탄 엘라스토머 등의 엘라스토머로 할 수 있다. 또한, 역지밸브는 덕빌 밸브에 한정되지 않고, 우산형 형상 등의 다른 역지밸브로 해도 된다. 이들의 역지밸브는 압축성형 등에 의해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역지밸브를 내포하는 하우징의 재료는 예를 들면, 경질 염화 비닐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할 수 있다. 이들의 하우징은 사출성형 등에 의해 성형할 수 있다. 하우징은 역지밸브를 내포할 수 있도록 2부품으로 구성할 수 있고, 2부품의 하우징은 역지밸브를 내포한 상태로 예를 들면 초음파 용착에 의해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역지밸브는 소정의 흡인압하에서 심장벽면에 흡착된 흡반부(101)이, 해당 흡인압이 부여된 상태 그대로 심장으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분리되어 버린 흡반부(101)이 설치된 가요성 튜브(102)(부관)와 동일한 가요성 튜브(102)(부관)에 설치된 역지밸브가 진동하여 리크음을 발생시키고, 수술자에게 경보로서 알리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역지밸브로서는 -200 ㎜Hg부터 -400 ㎜Hg의 흡인압하에서 심장벽면에 흡착되어 있던 흡반부(101)이 심장으로부터 분리된 경우를 경보로서 수술자에게 알리기 위해, 역지밸브의 진동에 의해 100 ㎐부터 10 k㎐ 주파수의 리크음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에 의한 처치를 보다 한층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진공 파괴 방지용 역지밸브와, 리크음 발생용 역지밸브를 각각 설치해도 된다. 예를 들면, 진공 파괴 방지용 역지밸브를 경도가 낮은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역지밸브의 변형능을 향상시키고, 한쌍의 밸브를 밀착하기 쉽게 하여 진공 파괴 방지 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리크음 발생용 역지밸브를 경도가 높은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역지밸브를 진동하기 쉽게 하여 보다 높은 주파수의 리크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에 의한 처치를 더욱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와 같이 흡착부재에 있어서, 가요성 튜브(102)의 선단측에 설치된 흡반부(101) 보다 후방측(즉 흡인원(106)측)에 개폐부재(삼방 콕(103)), 역지밸브(덕빌 밸브(111))가 이 순서로 직렬로 가요성 튜브(102)에 설치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하나의 흡반부(101)이 심장으로부터 분리된 경우에 다른 흡반부(101)에 의해서 심장을 유지할 수 있다고 하는 역지밸브의 효과를 손상시키기 않고, 개폐부재의 조작에 의해 흡반부(101)을 심장벽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흡반 내부의 대기 개방을 실시할 수 있다. 반대로 말하면, 개폐부재를 역지밸브 보다 후방측(기단측, 즉 흡인원(106)측)에 직렬로 가요성 튜브에 설치한 경우, 개폐부재의 조작에 의한 흡반부를 심장벽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흡반 내부의 대기 개방을 실시하는 것이 역지밸브에 의해 방해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낸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서는 흡착부재를 3개 이상 가짐으로써, 흡착부재를 2개 이하밖에 갖지 않았던 지금까지의 처치구에 비교하여 심장의 위치 어긋남 또는 심장의 탈락이 적은 심장의 위치 조정을 행하여, 안전하게 문합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3개 이상의 흡착부재 중, 1개 이상이 덕빌 밸브(111)을 갖는다. 이 때문에, 덕빌 밸브(111)을 갖는 흡착부재 중에 설치된 흡반부(101) 또는 다른 흡착부재 중의 흡반부(101)이 심장벽면으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해당 덕빌 밸브가 이들을 경유하는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3개의 흡착부재 전부에 덕빌 밸브(111)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가요성 튜브에 대해서 덕빌 밸브를 경유하는 역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흡반부(101)에 복수의 오목형상의 슬릿(108)(도 4)을 설치함으로써, 흡반부(101)의 조직에 대한 옆으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흡반부(101)의 단부까지 확실하게 흡인압을 걸 수 있기 때문에, 흡인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흡반부(101)의 단부에 유연재(109)를 설치하여 유연성을 갖는 부위로 함으로써, 유연한 조직에 대한 추종성을 향상시키고 흡인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의 다른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의 도면에 나타내는 구성에 대해서도 도 1에 나타낸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내는 구성을 도 1에 나타낸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에 나타낸 트리플 조인트(105)를 대신하여 X형 조인트(110)을 사용해도 된다.
도 2에 나타낸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있어서는 개폐부재가 흡반부(101) 부근에 부설된다. 또한, 흡반부(101)과 가요성 튜브(102) 사이에 연결부재(107)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흡반부(101)의 흡착면이 가요성 튜브(102)이 뻗어 있는 방향에 대해서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다.
흡반부(101)과 가요성 튜브(102)에 접속되고, 흡반부(101)이 가요성 튜브(102)에 연통되는 구성으로 하는 개폐부재로서는 이방 콕 또는 도시한 삼방 콕(103)으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의 조작의 간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를 사용할 때에는 먼저, 흡인원(106)으로부터의 흡반부(101)과 가요성 튜브(102) 사이가 차단된 상태가 되도록 이방 콕 또는 삼방 콕(103)을 조절하여 흡반부(101)을 심장벽면에 피트시킨다. 그 후, 이방 콕 또는 삼방 콕(103)을 조정하여 흡반부(101)이 가요성 튜브(102)에 연통되어 있는 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흡반부(101)에서 심장벽을 흡인할 수 있다. 또한, 흡반부(101)의 심장벽으로부터의 제거는, 삼방 콕(103)을 조정하고 흡반부(101)이 흡인원(106)에 연통되지 않는 상태로 차단하는 동시에 대기 해방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유지부재(104)는 흡반부(101)의 부근에 접속된다. 유지부재(104)는 흡반부(101)의 위치를 조정한다. 유지부재(104)의 재료로서는 파단되기 어려운 재질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 또는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경질 염화비닐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의 수지를 재질로 할 수 있다. 심장벽면에 흡착시킨 복수의 흡반부(101)의 부근에 부설된 삼방 콕(103)과 연통되어 있는 가요성 튜브(102), 또는 가요성 튜브(102)에 부설된 각각의 유지부재(104)를 잡아당김으로써 흡반부(101)에 흡착된 심장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서는 흡반부(101)의 부근에 삼방 콕(103) 및 유지부재(104)를 부설함으로써, 수술자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는 도 2에 나타낸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있어서, 흡반부(101)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개폐부재인 삼방 콕(103) 및 유지부재(104)가 설치되어 있다. 삼방 콕(103) 및 유지부재(104)를 흡반부(101)로부터 떨어뜨려 부설함으로써, 흡반부(101) 주위의 부피가 커지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심장과 심장 주위인 심막과의 간극이 작은 경우에도 심장을 흡인하는 부위가 제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있어서, 심장벽면에 흡착시킨 복수의 흡반부(101)에 연통되어 있는 가요성 튜브(102)와, 개폐부재인 삼방 콕(103)에 부설된 각각의 유지부재(104)를 잡아당겨, 겸자 등으로 개흉기 등에 고정해도 된다.
(제2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있어서, 흡반부(101)은 2개 이상의 대략 원형상의 흡반으로 구성할 수 있다. 흡반부(101)이 2개 이상의 대략 원형상의 흡반을 갖기 때문에, 심장벽면의 대략 평면부뿐 아니라 곡면부에 대한 흡착시의 추종성이 우수하여, 심장을 소정의 위치에 더욱 확실하게 유지해 둘 수 있다. 또한, 심장벽면의 혈관을 흡인하지 않고 최대의 접촉면적으로 심장벽면에 흡착시킬 수 있다. 이하, 도 6,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는 복수의, 도 6에서는 3개의 흡착부재를 갖는다. 각 흡착부재는 가요성 튜브(102)와, 가요성 튜브(102)의 선단측에 설치된 2개의 흡반(150)을 갖는 흡반부(101), 가요성 튜브(102)에 설치된 개폐부재인 삼방 콕(103), 가요성 튜브(102)를 유지하는 유지부재(104), 가요성 튜브(102)에 설치된 역지밸브인 덕빌 밸브(111)을 구비한다.
흡반(150)은 흡반부(101) 중에 포함되는 흡반으로서, 도 6에 있어서 그 평면형상이 대략 원형(대략 원형상부)이다. 도 6에 있어서는 하나의 흡반부(101) 중에 2개의 흡반(150)이 포함된다.
도 6에 나타낸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있어서 2개의 흡반(150)을 갖는 흡반부(101)은 가요성 튜브(102)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3개의 흡반부(101)은 하나의 주관으로부터 분기하는 3개의 부관 각각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흡반부(101)은 가요성 튜브(102)를 매개로 하여 흡인원(106)에 의해 흡인된다. 흡인에 의해 피흡착물의 표면에 흡착된다.
여기서, 피흡착물은 심장이다. 이 때문에, 2개의 흡반(150)을 갖는 흡반부(101)은 심장벽면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한 재료로 할 수 있다. 흡반부(101)의 재료는 예를 들면 탄성체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심장벽면에 충분히 피트시켜서 밀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흡반부(101)의 재료를 실리콘 수지,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수지, 우레탄 엘라스토머 등의 엘라스토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반부(101)은 2개 이상의 흡반(150)을 가질 수 있다. 2개 이상의 흡반(150)을 갖기 때문에, 심장벽면의 대략 평면부만이 아니라 곡면부에 대한 흡착시의 추종성이 우수하여, 심장을 소정의 위치에 더욱 확실하게 유지해 둘 수 있다. 또한, 심장벽면의 혈관을 흡인하지 않고 최대의 접촉면적으로 심장벽면에 흡착시킬 수 있다.
또한, 흡반부(101)의 흡반(150)의 크기는 흡반(150)의 평면형상이 대략 원형인 경우, 그 직경을 예를 들면 5 ㎜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심장벽면에 더욱 안정적으로 흡착시킬 수 있다. 또한, 흡반부(101)의 흡반(150)의 직경은 예를 들면 50 ㎜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 이하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복수의 흡반(150)을 설치한 경우에도 흡반부(101)을 더욱 소형화할 수 있기 때문에, 흡반(150)이 조작의 방해가 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흡반부(101)의 높이는 심장벽면에 더욱 안정적으로 흡착시키는 관점에서는 예를 들면 5 ㎜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흡반부(101)을 소형화하는 관점에서는 흡반부(101)의 높이를 예를 들면 30 ㎜ 이하로 할 수 있다.
흡반부(101)의 크기를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흡반부(101)을 심장의 표면에 확실하게 흡착시켜서, 심장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흡반부(101)을 심장의 표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 처치의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관상동맥 바이패스술 처치구의 흡반부(101)의 형상은 또한, 흡반(150)의 말단부에 걸쳐서 직경을 확대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심장벽과의 흡인 접촉시에 흡반부(101)의 흡반(150)이 흡인압에 의해 내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흡반부(101)의 크기 또는 형상은 각각 동일하게 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심장의 심첨부에 피트시키는 흡반부(101)을 가장 크게 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심장을 확실하게 소정의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흡반(150)을 갖는 흡반부(101)은 흡착면에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개구부는 가요성 튜브(102)에 연통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흡반부(101)의 개구부를 덮는 복수의 작은 구멍이 있는 메시 등을 부설해도 된다. 이 때, 심장의 벽면은 메시를 매개로 하여 흡반부(101)에 접하는 구성이 된다.
또한, 흡반(150)을 갖는 흡반부(101)에 설치된 개구부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오목형상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도 7(e)는 슬릿을 갖는 흡반부(101)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는 흡반부(101)의 정면도이다. 도 7(b)는 흡반부(101)의 상면도이다. 도 7(c)는 흡반부(101)의 하면도이다. 도 7(d)는 도 7(b)의 A-A' 단면도이다. 또한, 도 7(e)는 도 7(b)의 B-B' 단면도이다.
도 7(a)~도 7(e)에서는 흡반부(101)의 흡반(150)의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게, 흡반(150)에 가요성 튜브(102)에 연통하는 연통구(도시하지 않음)와 흡반(150)의 단부로부터 연통구를 향해서 뻗는 복수의 슬릿형상의 오목부(슬릿(108))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다. 슬릿(108)은 흡반부(101)의 내면에 형성된 홈부이다. 슬릿(108)을 설치함으로써, 슬릿(108)로부터 연통구를 경유하여 흡반부(101) 내의 액체를 가요성 튜브(102)에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흡반부(101) 내에 액체가 쌓여서 배출경로가 막히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조직 표면의 체액 등의 물기를 빼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흡반부(101)의 조직에 대한 옆으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c)~도 7(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슬릿형상의 오목부가 흡착면에 대략 수직방향(흡인방향)으로 뻗어 있는 동시에 서로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있어서, 흡반부(101)을 구성하는 각 흡반(150)의 단부는 유연성을 갖는 부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이러한 구성의 흡반부(101)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에 있어서 흡반부(101)의 흡반(150)의 단부에는 유연재(109)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흡반부(101)의 단부가 유연성을 갖는 부위로 되어 있다. 또한, 흡반부(101)의 단부는 흡반부(101)의 내부 보다도 유연화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유연한 조직에 대한 흡반부(101)의 추종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흡인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연재(109)로서는 예를 들면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술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있어서, 연결부재(107)은 흡반부(101)과 가요성 튜브(102) 사이 또는 흡반부(101)의 흡반(150) 사이에 설치되어, 양자를 접속하는 부재이다. 또한, 연결부재(107)은 흡반(150)과 가요성 튜브(102) 중 한쪽 방향을 다른 쪽에 대해서 가변으로 한다. 또한, 흡반부(101)과 가요성 튜브(102) 중 한쪽을 다른 쪽에 대해서 가동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연결부재(107)은 흡착부(101)의 2개의 흡반(150) 중 한쪽 방향을 다른 쪽에 대해서 가변으로 한다. 또한, 흡착부(101)의 흡반(150) 중 한쪽을 다른 쪽에 대해서 가동으로 해도 된다. 흡반부(101) 중 흡반(150)에 대해서 가요성 튜브(102)의 자세가 가동이기 때문에, 가요성 튜브(102)를 최초의 접속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잡아당겼을 때의 비틀림 응력이나 심박동에 의한 응력을 흡수하고, 심장벽면으로부터의 흡반부(101)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흡착부(101)의 흡반(150) 중 한쪽 자세가 다른 쪽에 대해서 가동이기 때문에, 심장벽면의 대략 평면부 만이 아니라 곡면부에 대한 흡착시의 추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흡반부(101)에 대해서 가요성 튜브(102)를 임의로 가동할 수 있기 위한 연결부재(107), 또는 흡반부(101)의 흡반(105) 중 한쪽을 다른 쪽에 대해 가동할 수 있게 하는 연결부재(107)로서, 예를 들면 흡반(150)과 가요성 튜브(102)에 연통되는 자바라 형상의 관을 들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07)은 흡반부(101)의 흡착면과 평행한 수평면 내에 있어서의 흡반부(101)에 대한 가요성 튜브(102)의 각도 가동범위, 또는 흡반부(101)의 흡반(150) 중 한쪽에 대한 다른 쪽의 각도 가동범위가 30도 이상 180도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흡반부(101)의 흡착면과 수직인 수직면 내에 있어서의 흡반부(101)에 대한 가요성 튜브(102)의 각도 가동범위, 또는 흡반부(101)의 흡반(150) 중 한쪽에 대한 다른 쪽의 각도 가동범위가 30도 이상 180도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각도 가동범위를 30도 이상으로 함으로써 흡반부(101)에 대한 가요성 튜브(102)의 움직임, 또는 흡반부(101)의 흡반(150) 중 한쪽에 대한 다른 쪽 움직임의 자유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각도 가동범위를 180도 이하로 함으로써, 흡반부(101)에 흡착된 심장벽면에 비틀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이상의 실시형태에 기재된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있어서, 흡착부재가 피흡착물의 소정의 위치에 흡반부를 배치하는 데에 사용되는 보조부재를 추가로 포함해도 된다. 이하, 제1 실시형태에 기재된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의 경우를 예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의 삽입 보조부재(112)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낸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는 도 1에 나타낸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추가로 삽입 보조부재(112)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삽입 보조부재(112)는 심장벽면의 소정의 위치에 흡반부(101)을 배치하는 데에 사용된다. 삽입 보조부재(112)는 흡반부(101)과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봉상의 파지부(grasping unit)와 파지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흡반부에 탈착 가능하게 계합하는 계합부(engagement unit)를 포함한다. 수술자는 수술자에 의해 직접 또는 파지부재를 사용하여 파지부를 파지하고, 심장벽면의 소정의 위치에 흡반부(101)을 배치하여 벽면에 흡착시킨다.
삽입 보조부재(112)의 선단측의 형상, 즉 계합부의 평면형상은 예를 들면 U자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삽입 보조부재(112)의 선단측의 U자 형상부에 흡반부를 끼워 넣고, 삽입 보조부재(112)를 밀어넣는 등의 조작에 의해 흡반부(101)을 용이하게 심장벽면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삽입 보조부재(112)는 임의의 형상으로 구부릴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심장배면의 심장벽부에도 흡반부(101)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봉상부는 조작시에 임의로 형상 변경 가능한 정도의 경도를 갖는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삽입 보조부재(112)의 재질로서는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 등으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삽입 보조부재(112)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수술자가 용이하게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한 정도의 경도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삽입 보조부재(112)를 사용한 흡반부(101)을 밀어넣는 조작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삽입 보조부재(112)의 크기는 전장을 예를 들면 50 ㎜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U자 형상의 선단부로 할 경우, U자 부분의 외경을 예를 들면 2 ㎜ 이상 4 ㎜ 이하로 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술한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의 흡반부(101)과 탈착 가능한 임의로 형상 변경이 가능한 삽입 보조부재(112)가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흉골 정중 절개에 의한 심장 전체가 노출된 상태에 비해, 흡반부를 심장벽면에 배치시키는 것이 곤란한, 소절개에 의한 부분적으로 심장이 노출된 상태에서의 흡반부의 심장벽면으로의 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삽입 보조부재(112)를 흡반부(101)에 걸고, 삽입 보조부재(112)를 파지하여 움직이게 함으로써, 흡반부(101)을 소정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흡반부(101)에 흡인압을 부여하고 흡반부(101)을 심장벽면에 흡착시킨 후, 삽입 보조부재(112)를 수술자 앞쪽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삽입 보조부재(112)를 흡반부(101)로부터 탈착시켜서 분리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삽입 보조부재(112)를 설치한 경우에도 삽입 보조부재(112)에 의한 수술 시야의 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이상의 실시형태에 기재된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를 사용하여 심장을 외과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도 1에 나타낸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의 경우를 예로 설명하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어져 있는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있어서는 흡반부(101)로서 제1 흡반부(101a), 제2 흡반부(101b) 및 제3 흡반부(101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흡착부재의 가요성 튜브(102)에 평행하게 튜브상의 유지부재(104)가 배치되어 있다. 유지부재(104)는 연결부재(107) 보다도 흡인원(106)(도시하지 않음)측, 즉 기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순서로 처치를 진행할 수 있다.
스텝 101 : 심장이 제1의 위치에 있을 때, 하나의 흡반부(제1 흡반부(101a))를 심장벽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한다,
스텝 102 : 제1 흡반부(101a)에 흡인압을 부여하고 제1 흡반부(101a)를 소정의 위치에 흡착시킨다,
스텝 103 : 다른 흡반부(제2 흡반부(101b))를 심장벽면의 다른 위치에 배치한다,
스텝 104 : 제1 흡반부(101a)에 흡인압을 부여한 흡인원(도시하지 않음)과 동일한 흡인원에 의해, 제2 흡반부(101b)에 흡인압을 부여하고 다른 위치에 흡착시킨다,
스텝 105 : 또 다른 흡반부(제3 흡반부(101c))를 심장벽면의 또 다른 위치에 배치한다,
스텝 106 : 제1 흡반부(101a)에 흡인압을 부여한 흡인원(도시하지 않음)과 동일한 흡인원에 의해, 제3 흡반부(101c)에 흡인압을 부여하고 또 다른 위치에 흡착시킨다,
스텝 107 : 제1 흡반부(101a)가 설치된 가요성 튜브(102)를 유지하는 하나의 유지부재(104)와, 제2 흡반부(101b)가 설치된 가요성 튜브(102)를 유지하는 다른 유지부재(104), 제3 흡반부(101c)가 설치된 가요성 튜브(102)를 유지하는 또 다른 유지부재(104)를 견인하고, 유지함으로써 심장을 제2의 위치에 유지한다,
스텝 108 : 제2의 위치에서 심장을 외과적으로 치료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흉골 정중 절개에 의해 심장 전체를 노출한 제1의 위치에 있는 심장에 있어서, 제1 흡반부(101a) 및 제2 흡반부(101b)를 심장벽면의 주변부에 배치하고, -300 ㎜Hg의 흡인압으로 흡착시키며, 또한 제3 흡반부(101c)를 심장벽면의 하벽에 배치하여 -300 ㎜Hg의 흡인압으로 흡착시킨다. 그리고, 각각의 유지부재(104)를 견인하고, 유지부재(104)를 겸자(114)에 의해 수술 시야 드레이프(113)에 고정하여 심장을 제2의 위치에 유지하고 있다. 제2의 위치에 있는 심장(116)에 있어서, 바이패스 문합의 대상으로 하는 관상동맥(117)이 노출되어 있고, 또한 세방향으로부터 심장을 변형시키지 않도록 견인하고 있기 때문에, 박동하의 심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바이패스 문합을 안전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1 흡반부(101a), 제2 흡반부(101b) 및 제3 흡반부(101c)는 동일한 하나의 흡인원과 연통되어 있다.
또한, 이상에 있어서는 3개의 흡반부(101)(흡반부(101a)~흡반부(101c))을 갖는 경우를 예로 설명했지만, 2개의 흡반부(101)을 사용할 때에는 전술한 스텝 101~스텝 104 후, 스텝 107에 있어서 제1 흡반부(101a)가 설치된 가요성 튜브(102)를 유지하는 하나의 유지부재(104)와, 제2 흡반부(101b)가 설치된 가요성 튜브(102)를 유지하는 다른 유지부재(104)를 견인하여 유지함으로써 심장을 제2의 위치에 유지하고 스텝 108의 처치를 행하면 된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형태를 토대로 설명하였다. 이들의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각종 변형예가 가능하고, 또한 그러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반드시 심장을 대상으로 한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장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이상에 나타낸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는 하나의 흡인원(106)에 접속하여 3개의 흡반부(101)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흡반부(101)의 수는 3개 이상이면 되고, 예를 들면 4개 이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상에 나타낸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와 흡인원(106) 사이에 트랩을 설치하고, 혈액, 체액, 또는 세정액 등이 트랩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이상에 나타낸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는 인간의 심장에 대한 처치구로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포유류 등의 다른 동물의 심장에 대한 처치구로서도 적용 가능하다.

Claims (22)

  1. 가요성 튜브와,
    상기 가요성 튜브의 선단측에 설치된 흡반부,
    상기 가요성 튜브에 설치된 개폐부재,
    상기 가요성 튜브를 유지하는 유지부재
    를 구비하는 흡착부재를 가지고,
    복수의 상기 흡착부재를 구비하는 동시에, 1개 이상의 상기 흡착부재가 상기 가요성 튜브에 설치된 역지밸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
  2. 가요성 튜브와,
    상기 가요성 튜브의 선단측에 설치된 흡반부,
    상기 가요성 튜브에 설치된 개폐부재,
    상기 가요성 튜브를 유지하는 유지부재,
    상기 가요성 튜브에 설치된 역지밸브
    를 구비하는 흡착부재를 복수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1개 이상의 상기 흡착부재가 피흡착물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흡반부를 배치하는 데에 사용되는 보조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
  4. 제1항에 있어서, 3개 이상의 상기 흡착부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지밸브가
    선단부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고, 닫힘상태가 되도록 설치된 한쌍의 밸브체를 갖는 동시에,
    상기 역지밸브의 기단측이 상기 흡반부측에 대해 음압일 때 열림상태가 되고, 상기 역지밸브의 기단측이 상기 흡반부측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양압일 때 닫힘상태가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지밸브가 덕빌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
  7.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흡인압하에서 피흡착물에 흡착된 흡반부가 상기 흡인압을 부여된 상태 그대로 분리되었을 때, 상기 흡반부가 설치된 상기 가요성 튜브와 동일한 가요성 튜브에 설치된 상기 역지밸브가 진동하여 리크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반부와 상기 가요성 튜브 사이에 양자를 접속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흡반부 및 상기 가요성 튜브에 연통되는 동시에, 상기 흡반부와 상기 가요성 튜브 중 한쪽 방향이 다른 쪽에 대해서 가변이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흡반부 및 상기 가요성 튜브에 연통되어 있는 자바라 형상의 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반부의 흡착면과 평행한 수평면 내에 있어서의 상기 흡반부에 대한 상기 가요성 튜브의 각도 가동범위가 30도 이상 18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반부의 흡착면과 수직인 수직면 내에 있어서의 상기 흡반부에 대한 상기 가요성 튜브의 각도 가동범위가 30도 이상 18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반부에,
    상기 가요성 튜브에 연통되는 연통구와,
    상기 흡반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연통구를 향해서 뻗는 복수의 슬릿형상의 오목부
    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반부의 단부가 상기 흡반부의 내부 보다도 유연한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튜브는 주관과, 상기 주관에 연통되는 분기부, 상기 분기부에 연통되는 복수의 부관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흡반부가 서로 다른 상기 부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
  15.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흡반부가 상기 가요성 튜브를 매개로 하여 하나의 흡인수단에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
  16. 제1항에 있어서, 1개 이상의 상기 흡착부재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 및 상기 역지밸브가 상기 가요성 튜브의 선단측에 설치된 상기 흡반부로부터 기단측을 향해서 이 순서로 상기 가요성 튜브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
  17. 제1항에 있어서, 1개 이상의 상기 흡착부재에 있어서, 상기 흡반부가 복수의 흡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흡반의 형상은 대략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
  19. 제1항의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를 사용하여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심장을 외과적으로 치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심장이 제1의 위치에 있을 때, 하나의 상기 흡반부를 심장벽면에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는 스텝과,
    상기 하나의 흡반부에 흡인압을 부여하여 상기 하나의 흡반부를 상기 소정의 위치에 흡착시키는 스텝,
    다른 상기 흡반부를 상기 심장벽면의 다른 위치에 배치하는 스텝,
    상기 하나의 흡반부에 흡인압을 부여한 흡인원과 동일한 흡인원으로, 상기 다른 흡반부에 흡인압을 부여하여 상기 다른 위치에 흡착시키는 스텝,
    상기 하나의 흡반부가 설치된 가요성 튜브를 유지하는 하나의 상기 유지부재와, 상기 다른 흡반부가 설치된 가요성 튜브를 유지하는 다른 상기 유지부재를 견인하여 유지함으로써, 심장을 제2의 위치에 유지하는 스텝,
    상기 제2의 위치에서 상기 심장을 외과적으로 치료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심장이 제1의 위치에 있을 때, 하나의 상기 흡반부를 심장벽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는 스텝과,
    상기 하나의 흡반부에 흡인압을 부여하여 상기 하나의 흡반부를 상기 소정의 위치에 흡착시키는 스텝,
    다른 상기 흡반부를 상기 심장벽면의 다른 위치에 배치하는 스텝,
    상기 하나의 흡반부에 흡인압을 부여한 흡인원과 동일한 흡인원으로, 상기 다른 흡반부에 흡인압을 부여하여 상기 다른 위치에 흡착시키는 스텝,
    또 다른 상기 흡반부를 상기 심장벽면의 또 다른 위치에 배치하는 스텝,
    하나의 상기 흡반부에 흡인압을 부여한 흡인원과 동일한 흡인원으로, 상기 또 다른 흡반부에 흡인압을 부여하여 상기 또 다른 위치에 흡착시키는 스텝,
    상기 하나의 흡반부가 설치된 가요성 튜브를 유지하는 하나의 상기 유지부재와, 상기 다른 흡반부가 설치된 가요성 튜브를 유지하는 다른 상기 유지부재, 상기 또 다른 흡반부가 설치된 가요성 튜브를 유지하는 또 다른 상기 유지부재를 견인하여 유지함으로써, 심장을 제2의 위치에 유지하는 스텝,
    상기 제2의 위치에서 상기 심장을 외과적으로 치료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1개 이상의 상기 흡착부재가 피흡착물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흡반부를 배치하는 데에 사용되는 보조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하나의 흡반부를 심장벽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는 상기 스텝이, 상기 보조부재에 의해 상기 하나의 흡반부를 상기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77010706A 2004-10-14 2005-10-06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 KR1008726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00127 2004-10-14
JPJP-P-2004-00300127 2004-10-14
JPJP-P-2005-00126119 2005-04-25
JP2005126119 2005-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450A KR20070068450A (ko) 2007-06-29
KR100872673B1 true KR100872673B1 (ko) 2008-12-10

Family

ID=36148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0706A KR100872673B1 (ko) 2004-10-14 2005-10-06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114009B2 (ko)
EP (1) EP1800606B1 (ko)
JP (1) JP4556949B2 (ko)
KR (1) KR100872673B1 (ko)
ES (1) ES2547723T3 (ko)
MY (1) MY144693A (ko)
TW (1) TWI305491B (ko)
WO (1) WO20060410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05261A2 (en) * 2006-07-05 2008-01-10 Wilson-Cook Medical Inc. Suction clip
JP4716333B2 (ja) * 2006-12-22 2011-07-06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冠状動脈バイパス術用処置具
JP5004216B2 (ja) * 2007-01-23 2012-08-22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心臓手術用心筋温測定用具
US9314298B2 (en) * 2007-04-17 2016-04-19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s, Inc. Vacuum-stabilized ablation system
KR100934864B1 (ko) * 2007-11-07 2009-12-31 이영삼 심장 위치 조정기 헤드
JP5152285B2 (ja) * 2009-12-08 2013-02-27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手術用保持具
CN103189080B (zh) * 2010-11-17 2016-01-06 凯希特许有限公司 用于在多个伤口部位管理减压的系统以及方法
US9427503B2 (en) * 2013-03-15 2016-08-30 Corvivo Inc. Cardiotomy suction tube system with multiple tips
US9603590B2 (en) * 2013-03-15 2017-03-28 Robert E. Michler Single-arm stabilizer having suction capability
WO2018039403A1 (en) * 2016-08-24 2018-03-01 Terumo Cardiovascular Systems Corporation Heart rotator
WO2018216560A1 (ja) 2017-05-23 2018-11-29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冠状動脈バイパス術用処置具、処置具用部品、医療用コネクタ、及び医療機器
JP6941322B2 (ja) * 2019-05-16 2021-09-29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臓器吸引把持具
JP7326974B2 (ja) 2019-07-31 2023-08-16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吸着式スタビライザー
TW202128086A (zh) * 2019-10-15 2021-08-01 台灣生醫材料股份有限公司 血栓清除裝置及其使用方法
WO2021122618A1 (en) * 2019-12-16 2021-06-24 Solike Trading Gmbh Tissue holding device
CN113197602B (zh) * 2021-04-09 2022-08-12 南昌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腹腔镜甲状腺用皮肤牵拉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4375A (en) * 1996-11-12 2000-06-13 Stiles; Frank B. Heart muscle irrigation device, applicator and method
JP2007009715A (ja) * 2005-06-28 2007-01-18 Oken Ltd ダイヤフラムポンプ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4805A (en) * 1983-07-08 1985-06-25 Hoffman Allan C Normally closed duckbill valv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301707A (en) * 1993-04-12 1994-04-12 Vernay Laboratories, Inc. Anti-whistling duckbill valve
US7445594B1 (en) * 1995-09-20 2008-11-04 Medtroni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emporarily immobilizing a local area of tissue
US5836311A (en) * 1995-09-20 1998-11-17 Medtroni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emporarily immobilizing a local area of tissue
JPH09150386A (ja) * 1995-11-27 1997-06-10 Daifuku Co Ltd ワーク吸着式搬送装置
CA2197614C (en) * 1996-02-20 2002-07-02 Charles S. Taylor Surgical instruments and procedures for stabilizing the beating heart durin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US5727569A (en) * 1996-02-20 1998-03-17 Cardiothoracic Systems, Inc. Surgical devices for imposing a negative pressure to fix the position of cardiac tissue during surgery
US5894843A (en) * 1996-02-20 1999-04-20 Cardiothoracic Systems, Inc. Surgical method for stabilizing the beating heart durin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US6338712B2 (en) * 1997-09-17 2002-01-15 Origin Medsystems, Inc. Device to permit offpump beating heart coronary bypass surgery
US6740098B2 (en) * 1998-05-11 2004-05-25 Surgical Connections, Inc. Surgical stabilizer devices and methods
US6506149B2 (en) * 1999-09-07 2003-01-14 Origin Medsystems, Inc. Organ manipulator having suction member supported with freedom to move relative to its support
US6447443B1 (en) * 2001-01-13 2002-09-10 Medtronic, Inc. Method for organ positioning and stabilization
US6558314B1 (en) * 2000-02-11 2003-05-06 Iotek, Inc. Devices and method for manipulation of organ tissue
EP1261294B1 (en) * 2000-03-10 2006-11-29 Paracor Medical, Inc. Expandable cardiac harness for treating congestive heart failure
US6558382B2 (en) 2000-04-27 2003-05-06 Medtronic, Inc. Suction stabilized epicardial ablation devices
US7146225B2 (en) * 2002-10-30 2006-12-05 Medtronic,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nd stabilizing an area of the heart
US6676597B2 (en) 2001-01-13 2004-01-13 Medtronic, Inc. Method and device for organ positioning
US7338441B2 (en) * 2001-09-06 2008-03-04 Houser Russell A Superelastic/shape memory tissue stabilizers and surgical instruments
US20030078471A1 (en) * 2001-10-18 2003-04-24 Foley Frederick J. Manipulation of an organ
US20030139645A1 (en) * 2002-01-23 2003-07-24 Adelman Thomas G. Rotational freedom for a body organ
JP2004121766A (ja) * 2002-10-01 2004-04-22 Sky Net:Kk 冠動脈バイパス手術用サクションホルダー
US20040143153A1 (en) * 2003-01-17 2004-07-22 Sharrow James S. Devices and methods for manipulation of organ tissue
US7479104B2 (en) * 2003-07-08 2009-01-20 Maquet Cardiovascular, Llc Organ manipulator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4375A (en) * 1996-11-12 2000-06-13 Stiles; Frank B. Heart muscle irrigation device, applicator and method
JP2007009715A (ja) * 2005-06-28 2007-01-18 Oken Ltd ダイヤフラムポ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6041014A1 (ja) 2008-05-15
JP4556949B2 (ja) 2010-10-06
ES2547723T3 (es) 2015-10-08
TWI305491B (en) 2009-01-21
EP1800606A4 (en) 2013-05-22
KR20070068450A (ko) 2007-06-29
EP1800606A1 (en) 2007-06-27
EP1800606B1 (en) 2015-08-05
US20090030270A1 (en) 2009-01-29
US8114009B2 (en) 2012-02-14
WO2006041014A1 (ja) 2006-04-20
TW200621198A (en) 2006-07-01
MY144693A (en) 2011-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2673B1 (ko) 관상동맥 바이패스술용 처치구
US11850349B2 (en) Vacuum transfer tool for extendable catheter
US5972020A (en) Surgical instrument for cardiac valve repair on the beating heart
US6033362A (en) Surgical retractor and method of use
US11065036B2 (en) Instrument port for minimally invasive cardiac surgery
CN102006905B (zh) 用于去除循环系统内的不期望物体的系统
EP2010065B1 (en) Mechanical barrier in wound healing
JP6628288B2 (ja) 医療用チューブの清掃
US6183462B1 (en) Method of using a vessel cannula having properties varying along the axial length
JP2002522149A (ja) 無縫合動脈切開シールを有する灌流カテーテルシステム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7416527B2 (en) Instrument fo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JP3849140B2 (ja) 血管把持具
CN100556372C (zh) 用于冠状动脉旁路手术的治疗器械
JP2003529390A (ja) 治療部位の安定化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10391285B2 (en) Motion-assisted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minimizing obstruction of medical devices
JP4716333B2 (ja) 冠状動脈バイパス術用処置具
US7468030B1 (en) Surgical retractor
JP2003000606A (ja) 血流遮断具
JP2011161130A (ja) 冠状動脈バイパス術用処置具
JP2004305273A (ja) 血管オクルー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