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1501B1 - Freezer for garbage - Google Patents
Freezer for garba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61501B1 KR100861501B1 KR1020070041599A KR20070041599A KR100861501B1 KR 100861501 B1 KR100861501 B1 KR 100861501B1 KR 1020070041599 A KR1020070041599 A KR 1020070041599A KR 20070041599 A KR20070041599 A KR 20070041599A KR 100861501 B1 KR100861501 B1 KR 1008615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food waste
- storage device
- door
- waste stor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2—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vices facilitating empty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16—Cool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20—Temperature sen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도어 부분을 확대 도시한 종단면도.Fig. 2 is an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door por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용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본체 120 : 도어110: body 120: door
121 : 해제 버튼 130 : 용기121: release button 130: container
140 : 덮개 150 : 냉동기140: cover 150: freezer
151, 152, 153 : 냉각라인 160 : 히터151, 152, 153: cooling line 160: heater
163a, 163b, 163c : 온도센서 281, 282, 283 : 가열라인163a, 163b, 163c: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storage device.
환경 오염을 감소시키고 자원을 재활용하기 위해 가정이나 산업현장 등에서 발생되는 쓰레기를 분류하여, 환경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는 쓰레기는 별도로 처리 하고, 재활용이 가능한 쓰레기는 재활용 가능한 상태로 가공 처리하여 자원으로 재활용하며, 음식물 쓰레기는 사료 또는 비료화하여 사용하고 있다.In order to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recycle resources, wastes generated at home or industrial sites are sorted out, and the wastes that may contaminate the environment are treated separately, and the wastes that can be recycled are processed and recycled as resources. Food waste is used as feed or fertilizer.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습식 식생활로 인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평균 75%에 이르는 수분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기온이 낮은 장소나 겨울철 이외에는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가 단시간에 변질되어 악취가 발생하고 세균이 번식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의 수거는 지역에 따라 수 일의 간격을 두고 행해지므로 가정이나 업소 등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일정 기간 보관하는 과정에서 변질되어 재활용하지 못하고 폐기하게 되는 경우도 많았다.However, in Korea, food waste contains an average of up to 75% water due to wet eating. Therefore, except in places where the temperature is low or during winter, the food waste discharged is changed in a short time, and odors are generated and bacteria are often reproduced. In addition, the collection of food waste is carried out at intervals of several days depending on the region, so that food waste generated at home or business is often deteriorated and not recycled during a certain period of time.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냉동시켜 보관하였다가 배출하는 방법이 시도된 바가 있으나, 음식물 쓰레기가 냉동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담는 용기 내면에 얼어붙거나, 음식물 쓰레기가 담긴 봉지나 종량제 봉투가 용기 내면에 얼어붙어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situation, a method of freezing and storing and disposing of food waste has been attempted. In some cases it was difficult to freeze food wast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냉동시켜 보관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변질되지 않은 상태로 장기간 보관할 수 있게 하되, 음식물 쓰레기 또는 음식물 쓰레기가 담긴 봉지나 종량제 봉투가 이를 수용하고 있는 용기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보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food waste can be stored by freezing the food waste to be stored for a long time without deterioration, the food waste or food waste bags or pay-as-you-go bags It is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containing it, to provide a food waste storage device that can easily discharge the food wast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측이 개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용 기와, 용기가 삽입되는 용기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와, 용기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냉각하는 냉각수단과, 용기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용기의 개방된 부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보관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is opened to accommodate food waste, the main body formed with a container receiv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container, the cooling means for cooling the food waste contained in the container, and heating the food waste contained in the container Provided is a food waste storage device including a heating means and a door installed at a portion of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an open portion of the container.
용기의 바닥면 및 용기의 개방된 일측에는 손잡이가 더 설치될 수 있고, 용기의 외면에는 용기가 용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A handle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one open side of the container, and one or more grooves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container receiving portion.
본체 내부에는 냉각수단 및 가열수단을 본체의 외부와 열적으로 절연시키는 단열재가 설치될 수 있고, 용기 수용부에는 용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온도센서가 더 설치될 수 있다.Inside the body may be provid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for thermally insulating the cooling means and the heating means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may be further installed in the container receiving portion.
냉각수단은 냉매가 통과하며 기화되는 관로(管路)이거나, 용기의 열을 흡수하는 흡열부 및 흡열부에서 흡수된 열을 본체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열전소자일 수 있다.The cooling means may be a pipe lin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passes and vaporize, or a thermoelectric element including a heat absorbing part for absorbing heat from the container and a heat radiating part for dissipating heat absorbed from the heat absorbing part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가열수단은 전기 저항에 의한 발열현상을 이용한 발열체이거나,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인 냉매가 통과하는 관로이거나, 본체 외부의 열을 흡수하는 흡열부 및 흡열부에서 흡수된 열을 용기로 방출하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열전소자일 수 있다.The heating means may be a heating element using a heat generating phenomenon due to electrical resistance, a pipe passage through which a refrigerant having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gas passes, or a heat absorbing part for absorbing heat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a heat radiating part for dissipating heat absorbed from the heat absorbing part to the container. It may be a thermoelectric element comprising.
본체의 저면에는 방진고무로 제작된 복수의 다리가 더 설치될 수 있고, 본체의 일부분에는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계폐감지센서가 더 설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legs made of anti-vibration rubber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a parting sensor may be further installed on a portion of the main body to detect an open / closed state of the door.
용기의 개방된 부분을 커버하는 덮개와, 도어의 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도어에 설치된 복수의 걸림편을 더 포함하고, 덮개의 상면에는 복수의 걸림편과 체결되 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덮개와 도어가 탈착 가능하게 할 수 있고, 도어에는 복수의 걸림편의 위치를 변경시켜 복수의 걸림편과 걸림턱의 체결상태를 해제하는 분리버튼과, 복수의 걸림편을 탄지하는 탄성편 및 분리버튼을 탄지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가 더 포함되어 걸림편 및 분리버튼이 각각 변경되기 전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A cover for covering the open portion of the container, and a plurality of locking pieces provided on the door so as to protrude downwardly of the door,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is formed with a locking jaw engaging a plurality of locking pieces, The door can be detachable, and the door has a release button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locking pieces to release the engagement state of the plurality of locking pieces and the locking jaw, and an elastic piece and a separating button for holding the plurality of locking pieces. One or more elastic members may be further included to return to the position before the locking piece and the release button are respectively changed.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를 냉동시켜 보관할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할 경우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표면을 해동시켜 음식물 쓰레기가 용기로부터 분리되어 배출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refore, the food waste can be frozen and stored. When the food waste is discharged, the surface of the food waste can be thawed so that the food waste can be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to facilitate the discharg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보관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단,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 및 이미 공지된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food wast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nd overlapping known techniques will be omitted.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1 show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에는 본체(110), 기계실(111), 다리(113), 단열재(115), 요부(凹部, 118), 도어(120), 분리버튼(121), 용기(130), 덮개(140), 냉각장치(150), 냉각수단(151, 152, 153), 가열수단(160), 온도센서(163a, 163b, 163c, 163d), 힌지(171) 및 개폐감지센서(173)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1, the food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용기(130)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 직육면체 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용기(130)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단, 음식물 쓰레기 보관장치(100)에 직접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를 보관하는 경우에는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를 배출할 경우 음식물 쓰레기 보관장치(100)를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소까지 직접 이동시키거나 별도의 수거도구가 필요하게 되고,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를 배출한 후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를 세척하는 경우에는 후술할 바와 같이 기계실(111) 내부에 수분이 침투하여 기계실(111) 내부에 설치된 냉각장치(150) 등의 각종 전기장치(도시되지 않음)의 고장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는 용기(130)를 별도로 제작하고 음식물 쓰레기 보관장치(100)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The
본체(110)의 일측에는 용기(130)가 삽입되는 용기 수용부(117)가 형성되는데, 용기 수용부(117)는 용기(130)의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즉, 용기(130)가 원통형 또는 직육면체 형이면 용기 수용부(117)도 원통형 또는 직육면체 형이면서 용기(130)의 외면이 용기 수용부(117)의 표면에 균일하게 접촉될 수 있는 규모로 제작된다.One side of the
용기 수용부(117)에는 용기(130)를 냉각하는 냉각수단(152) 및 용기(130)를 가열하는 가열수단(160)이 설치되는데, 냉각수단(152) 및 가열수단(160)은 용기(130)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효율을 높이기 위해 용기(130)에 인접하게 설치된다.The container accommodating
냉각수단(152) 및 가열수단(160)은 용기(130)의 개방된 부분을 제외한 용기(130)의 외면을 균일하게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도록 용기(130)의 외면 전체에 대하여 고르게 분포되도록 설치된다. 냉각수단(152) 및 가열수단(160)이 선형(線 形)인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30) 외면에 권취 된 형상으로 용기(130)에 인접하게 설치하거나 도시되지 않은 지그재그 형상이나 코일 형상으로 설치하고, 냉각수단(도시되지 않음) 및 가열수단(도시되지 않음)이 판상(板狀) 또는 면상(面狀)인 경우에는 용기(130) 외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용기(130)에 인접하게 설치한다.The cooling means 152 and the heating means 160 are installed to be even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냉각수단(152) 및 가열수단(160)은 용기(130)와의 열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용기 수용부(117) 방향을 제외한 부분이 단열재(115)로 감싸질 수 있다. 단열재(115)는 내열성 및 내냉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어야 하며, 본체(110) 및 용기 수용부(117) 사이의 공간에 개재될 수 있다.Cooling means 152 and the heating means 160 may be wrapped with a
본체(110) 내부의 하측에는 냉각장치(150), 제어장치(도시되지 않음) 및 컨트롤 패널(도시되지 않음) 등이 설치되는 공간인 기계실(111)이 형성된다. 기계실(111)은 냉각장치(150) 및 제어장치(도시되지 않음) 등에서 발생되는 열이 본체(110)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환기구(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야 하나, 음식물 쓰레기 보관장치(100)는 거의 주방에 설치되므로 본체(110) 내부로 수분 등이 침투하지 않도록 본체(110)의 하방향을 향하는 슬릿(도시되지 않음) 등을 환기구(도시되지 않음)에 설치할 수 있다.In the lower side of the
간략하게 도시된 냉각장치(150)는 냉장고, 냉방장치 등에 사용되고 있는 통상적인 냉각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냉매가 압축되어 고온고압의 기체가 되는 압축기(도시되지 않음), 압축기(도시되지 않음)를 거친 냉매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어 저온고압의 기체가 되는 응축기(도시되지 않음), 응축기(도시되지 않음)를 통과한 냉매가 팽창하여 저온저압의 액체로 상변화 되는 모세관(도시되지 않음) 및 모세관(도시되지 않음)을 통과한 냉매가 기체로 상변화 되면서 냉각할 대상물의 열이 흡수되는 증발기(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된다.The briefly shown
도시된 냉각수단(152)은 상술한 증발기(도시되지 않음)에 해당되어 용기(130)로부터 열을 흡수한다. 냉각수단(151, 153)은 냉각수단(152) 및 냉각장치(150)로 냉매가 순환하는 관로이다. 따라서, 냉각장치(150)가 제어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되면, 냉각수단(151, 152, 153)을 통하여 냉매가 순환되어 용기(130)가 냉각되므로, 용기(130)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의 온도가 낮아져 냉동된다.The illustrated cooling means 152 corresponds to the evaporator (not shown) described above to absorb heat from the
도시된 가열수단(160)은 전기저항에 의한 발열현상을 이용한 발열체이다. 따라서, 가열수단(160)이 제어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되면, 가열수단(160)에서 열이 발생되고, 이 열은 용기(130)로 전달되어 용기(130)에 수용되어 냉각수단(152)에 의해 냉동된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의 표면을 해동시켜서 용기(130)의 내면에 얼어붙었던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가 분리된다.The heating means 160 shown is a heating element using the heating phenomenon by the electrical resistance. Therefore, when the heating means 160 is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a control device (not shown), heat is generated in the heating means 160, and the heat is transferred to the
이때, 가열수단(160)이 장시간 작동되면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의 표면뿐만 아니라 그 외의 부분도 해동되므로, 제어장치(도시되지 않음)에 타이머(도시되지 않음)를 부가하여 가열수단(160)의 작동시간을 제한하거나, 용기(130) 외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63a, 163b, 163c, 163d)를 용기(130) 외면에 인접하게 설치하여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가 표면이 적절하게 해동되는 온도가 감지되면 가열수단(160)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heating means 160 is operated for a long time, not only the surface of the food waste (not shown) but also other parts are thawed, and thus, a
또한, 온도센서(163a, 163b, 163c, 163d)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를 이용하여 냉각장치(150)가 제어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작동 및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의 적절한 냉동상태를 유지하고 과냉각 되지 않게 함으로써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할 수 있다.Further, by using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본체(110)의 일측에는 도어(120)가 설치되는데, 용기 수용부(117)의 개방된 부분을 개폐할 수 있도록 힌지(17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어(120) 내부에는 용기(130)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의 온도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단열재(도2의 125)가 충전될 수 있다.The
본체(110)의 일부분에는 계폐감지센서(173)가 설치되어, 도어(120)가 닫혀 도어(120)의 일부 및 본체(110)의 일부가 접촉 또는 근접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 보관장치(100)로부터 용기(130)를 꺼내어 용기(130) 내부에 보관되었던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를 배출하기 위해 도어(120)를 개방하거나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을 용기(130)에 집어넣기 위해 도어(120)를 개방하였을 때 냉각장치(150)를 정지시켜 에너지를 절약하게 할 수 있고, 사용자가 도어(120)를 개방한 상태로 방치해 두면 음식물 쓰레기 보관장치(100)의 냉각성능이 떨어지고 에너지가 낭비되므로, 도어(120)가 일정시간 이상 개방되어 있으면 컨트롤 패널(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된 음향장치(도시되지 않음) 또는 발광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하게 할 수 있다.A portion of the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0)의 일면, 즉 도어(120)의 하부에는 덮개(140)가 탈착 될 수 있다. 덮개(140)는 용기(130)의 개방된 부분을 커버할 수 있는 형상으 로 제작되는데, 용기(130)를 음식물 쓰레기 보관장치(100)로부터 분리하여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를 보관할 때 사용하거나, 음식물 쓰레기 보관장치(10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가 도어(120)의 일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거나, 음식물 쓰레기 보관장치(100)로부터 용기(130)를 꺼내어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가 용기(130)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어(120) 및 덮개(130)의 탈착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As shown, 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 및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보관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The food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 보관장치(100)의 용기 수용부(117)에 삽입되어 있는 용기(130)에 음식물을 수용시킨 다음 음식물 쓰레기 보관장치(100)의 일측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 보관장치(100)를 작동시키면, 제어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온도센서(163a, 163b, 163c, 163d)에 의해 감지되는 용기(130)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냉각장치(150)를 작동시켜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가 냉동되도록 한다.The user accommodates food in the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는 용기(130)의 내용적만큼 수용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가 발생되면 이를 배출하기 전까지 계속 추가로 용기(130)에 수용시켜 냉동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는 용기(130)에 직접 수용되거나 방수성 봉지 또는 종량제 봉투에 담겨 용기(130)에 수용되므로, 용기(130) 내면과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 방수성 봉지 및 종량제 봉투의 표면이 얼어붙어 분리되지 않게 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음식물은 수분이 많은 특성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된다.Since food waste (not shown) can be accommodated as much as the contents of the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를 배출하기 위하여 용기(130)로부터 꺼낼 때에는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냉각장치(150)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가열수단(160)을 작동시켜 용기(130)를 가열함으로써 용기(130) 내면에 얼어붙은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의 표면을 적정량 해동시켜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when taking out from the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가열수단(160)의 작동시간을 제어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된 타이머(도시되지 않음) 또는 온도센서(163a, 163b, 163c, 163d)에 의해 감지되는 용기(130)의 온도를 이용하여 조절하고, 용기(130)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제어장치(도시되지 않음)는 가열수단(160)의 작동을 중단하고 컨트롤 패널(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된 음향장치(도시되지 않음) 또는 발광장치(도시되지 않음)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가 용기(130)로부터 분리되었음을 알린다.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도시되지 않음)의 표시를 보고 도어(120)를 개방하여 용기(130)를 용기 수용부(117)로부터 꺼내는데, 도어(120)로부터 덮개(140)를 분리하여 용기(130)의 개방된 부분을 커버한 상태로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를 수거장소까지 운반하게 된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의 수분함량은 부분적으로 편차가 있을 수 있는데, 수분함량이 높은 부분일수록 비열이 높으므로 냉각수단(152) 및 가열수 단(160)에 의해 용기(130)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열교환이 되더라도 부분적으로 냉동 또는 해동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130)는 열전도가 우수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좋으며, 온도센서(163a, 163b, 163c, 163d)는 가급적 용기(130)의 여러 지점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복수로 설치하는 것이 좋다.Moisture content of food waste (not shown) may vary in part, but the higher the moisture content, the higher the specific heat, so that the
용기 수용부(117)에는 용기(130)가 삽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삽입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고 용기(130)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냉각장치(150) 및 가열수단(160)가 작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삽입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로는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 접촉센서, 리미트 스위치 및 근접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container
한편, 냉각장치(150)를 정지시키고 가열수단(160)을 작동시켜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의 일부분을 해동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른 용무를 위하여 용기(130)를 꺼내지 않고 장시간 방치하는 경우에는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의 냉동 보관상태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냉각장치(150)가 다시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를 음식물 쓰레기 보관장치(100)에 삽입되어 있는 용기(130)에 넣고자 할 경우, 통상 사용자의 손은 음식물 쓰레기를 들고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음식물 쓰레기 보관장치(100)의 일부분에 근접센서(도시되지 않음), 음성인식장치(도시되지 않음) 및 사용자가 손 또는 발로 누를 수 있는 스위치(도시되지 않음) 등을 설치하고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는 구동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거나, 사용자가 발로 누르는 힘을 이용하여 도 어(120)를 개방시킬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직접 도어(120)를 손으로 개폐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어(120)를 개폐하는 경우에 도어(120)와 본체(110)가 부딪혀서 손상되거나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댐퍼(damper)를 설치하여 도어의 개폐 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When the user wants to put the food waste (not shown) in the
어류 및 패류 등의 음식물 쓰레기는 용기(130)에 수용되어 냉동되기 전까지 악취를 발생할 수 있으므로, 용기(130)와 덮개(140)가 접촉되는 부분 및 본체(110)와 도어(120)가 접촉되는 부분에는 고무자석이나 패킹 등의 밀폐수단(도시되지 않음)을 설치하여 도어(120)를 닫으면 용기(130)와 덮개(140) 및 본체(110)와 도어(120)가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악취가 음식물 쓰레기 보관장치(10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과 아울러 냉각장치(150)의 효율도 높일 수 있다.Since food waste such as fish and shellfish may be odor generated until it is received in the
냉동장치(150)로 상술한 바와 같은 전동장치를 이용하는 압축기(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압축기(도시되지 않음)의 작동에 의해 진동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본체(110)의 저면에는 방진고무로 제작된 복수의 다리(113)를 설치하여 음식물 쓰레기 보관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 장소의 바닥으로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 보관장치(100)가 설치되는 장소는 주방일 가능성이 높고, 따라서 바닥이 경사져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다리(113)는 나사장치(도시되지 않음) 등을 이용하여 높이를 조절하여 음식물 쓰레기 보관장치(100)를 수평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In the case of using a compressor (not shown) using the above-described transmission apparatus as the refrigerating
냉동장치(150)와 냉동수단(151, 152, 153) 및 가열수단(160) 대신 열전현상 을 이용한 열전소자(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할 수 있다. 열전소자(도시되지 않음)는 흡열부(도시되지 않음)와 방열부(도시되지 않음)로 나뉘는데, 열전소자(도시되지 않음)의 흡열부(도시되지 않음)를 용기(130)에 인접하게 설치하고 방열부(도시되지 않음)는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하면 용기(130)의 열을 본체(110) 외부로 방출할 수 있으므로 냉각수단(152)을 대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열전소자(도시되지 않음)의 방열부(도시되지 않음)를 용기(130)에 인접하게 설치하고 흡열부(도시되지 않음)를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하면 본체(110) 외부의 열을 흡수하여 용기(130)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가열수단(160)을 대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Instead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열전소자(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면 음식물 쓰레기 보관장치(100)가 작동할 때 진동 및 소음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정숙성이 요구되는 장소에서 음식물 쓰레기 보관장치(100)를 사용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When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not show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ood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도어 및 덮개가 도시되어 있다.2 shows a door and a lid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도어(120)에는 분리버튼(121), 탄성부재(122), 걸림편(123), 돌기(124), 단열재(125) 및 회동핀(127)이 포함되고 덮개 수용부(129)가 형성된다. 덮개(140)에는 돌출부(141), 홈(143) 및 걸림턱(144)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2, the
도어(120)의 내부에는 단열재(125)가 충전되고, 하면에는 덮개 수용부(129)가 형성된다. 덮개 수용부(129)는 덮개(140)의 일부분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덮개(14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The
도어(120)의 내부에는 분리버튼(121)이 설치되고, 분리버튼(121)은 하나 이 상의 탄성부재(122)에 의해 탄지되어, 분리버튼(121)에 하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탄성부재(122)가 압축되면서 하방향으로 이동되었다가, 가해지던 힘이 해제되면 도시된 위치로 복귀된다.The
도어(120) 내부의 분리버튼(121)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복수의 걸림편(123)가 회동핀(127)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걸림편(123)의 일측 단부는 분리버튼(121)의 가장자리 부분에 접한다. 걸림편(123)의 타측 단부에는 돌기(124)가 형성되는데, 돌기(124)는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편(123)의 타측 단부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걸림편(123)의 타측 단부 부분은 도어(120)의 하방향, 즉 덮개 수용부(129) 내로 돌출된다. 걸림편(123)는 회동핀(127)에 설치된 탄성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탄지되어, 분리버튼(121)에 하방향의 힘이 가해져 분리버튼(121)이 하방향으로 이동되면 분리버튼(121)의 가장자리 부분에 의해 걸림편(123)의 일측단부가 눌리게 되고, 따라서 회동핀(127)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점선으로 표시된 형상으로 이동되었다가, 분리버튼(121)에 가해진 힘이 해제되어 분리버튼(121)이 복귀되면 걸림편(123)도 복귀된다.A plurality of locking
덮개(140)에는 외주연을 따라 돌출부(141)가 형성되고, 덮개(140)의 상면에는 복수의 걸림편(123)이 모두 수용되는 홈(143)이 형성되며, 홈(143)의 내부 일측에는 돌기(124)에 상응하는 형상의 걸림턱(144)이 형성된다.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도어(120) 및 덮개(140)는 아래와 같이 작동된다.The
사용자가 덮개(140)를 도어(120)에 부착한 상태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덮 개(140)를 도어(120)의 덮개 수용부(129)로 삽입시키면, 걸림편(123)가 홈(143)으로 삽입된다. 돌기(124)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덮개(140)가 덮개 수용부(129)로 삽입됨에 따라 걸림편(123)는 점차 도어(120)의 양측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덮개(140)가 덮개 수용부(129)에 완전히 삽입되면 돌기(124)는 걸림턱(144)을 넘어가게 되고, 벌어졌던 걸림편(123)는 탄성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어 돌기(124)가 걸림턱(144)에 걸려 걸림편(123)이 홈(143)에 체결되므로 도어(120)와 덮개(140)의 결합상태가 유지된다.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사용자가 덮개(140)를 도어(120)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 분리버튼(121)을 누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걸림편(123)가 회동핀(127)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돌기(124)가 걸림턱(144)으로부터 이탈되므로 걸림편(123) 및 홈(143)의 체결이 해제되어 덮개(140)가 도어(120)와 분리된다.When the user wants to remove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141)의 하면에는 밀폐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어 용기(도 1의 130)와 덮개(140)가 결합되었을 때 용기(130)의 내부가 외부와 밀폐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sealing means (not shown)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3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00)에는 본체(210), 기계실(211), 다리(213), 단열재(215), 요부(凹部, 218), 도어(220), 분리버튼(221), 용기(130), 덮개(140), 냉각장치(250), 냉각수단(251, 252, 253), 가열수단(281, 282, 283), 온도센서(263a, 263b, 263c, 263d), 힌지(271) 및 개폐감지센서(273)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3, the food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00)의 본체(210), 기계실(211), 다리(213), 단열재(215), 요부(218), 도어(220), 분리버튼(221), 용기(130), 덮개(140), 온도센서(263a, 263b, 263c, 263d), 힌지(271) 및 개폐감지센서(273)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냉각장치(250)에는 냉각수단(251, 252, 253) 및 가열수단(281, 282, 283)이 연결된다. 냉각장치(250)는 전술한 바와 같은 통상적인 냉각장치로, 냉매가 압축기(도시되지 않음), 응축기(도시되지 않음), 모세관(도시되지 않음) 및 증발기(도시되지 않음)를 순환하며 외부와 열교환을 행하는 장치이고, 냉각수단(251, 252, 253) 및 가열수단(281, 282, 283)은 냉매가 순환하는 관로이다.Cooling means 250 is connected to the cooling means (251, 252, 253) and the heating means (281, 282, 283). The
냉각수단(25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냉각수단(152)과 같이 내부를 통과하는 액체상태의 냉매가 기화되면서 용기(130)의 열을 흡수하고, 냉각수단(251, 253)은 냉매가 이동되는 관로이다.The cooling means 252 absorbs the heat of the
한편, 가열수단(281, 283)은 냉각장치(250)의 압축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고온고압의 가스상태가 된 냉매를 가열수단(282)을 통과한 후 증발기(도시되지 않음)의 입구로 순환시키도록 연결된 관로이다. 단, 압축기(도시되지 않음)와 증발기(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밸브(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여 제어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압축기(도시되지 않음)를 통과한 냉매가 증발기(도시되지 않음)로 순환되거나 가열수단(281, 282, 283)으로 순환되는 것이 선택될 수 있다. 이는 상업용 냉장고 등에 사용되고 있는 핫 가스 제상방법을 이용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heating means (281, 283) is the inlet of the evaporator (not shown) after passing through the heating means 282 the refrigerant which has become a gas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by the compressor (not shown) of the cooling device 250 A conduit connected to circulate with However, between the compressor (not shown) and the evaporator (not shown), an electrically controllable valve (not shown) is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compressor (not shown) by a control device (not shown). It may be chosen that the refrigerant is circulated to an evaporator (not shown) or to the heating means 281, 282, 283. This uses a hot gas defrosting method used in commercial refrigerators and the like.
따라서,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컨트롤 패널(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용기(130)에 수용되어 냉동된 상태인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를 해동시키도록 하면, 제어장치(도시되지 않음)는 밸브를 조절하여 압축기(도시되지 않음)를 거친 고온고압 기체 상태인 냉매가 증발기(도시되지 않음)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가열수단(281, 282, 283)으로 순환되도록 하여 냉각수단(251, 252, 253)이 용기(130)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것이 중단되고, 가열수단(281, 282, 283)의 온도가 상승하여 용기(130)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가 해동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is allowed to thaw food waste (not shown) that is stored in the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적용된 용기 및 덮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4 shows a container and a lid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3.
용기(130)에는 손잡이(133, 133a), 핀(134, 134a, 135, 135a), 손잡이(139)가 포함되고, 핀홀(135, 135a, 136, 136a)이 형성된다.The
용기(130)는 일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제작되는데, 용기(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외에 횡단면이 타원형, 사각형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용기(130)의 형상에 따라 덮개(140)의 형상 또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용기(130)의 내부에는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가 수용되므로, 음식물 쓰레기와 직접 접촉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용기(131)를 내식성, 내산성 및 내점착성을 갖는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좋으며, 용기 내면(131)을 내식성, 내산성 및 내점착성을 갖는 물질, 예를 들어 PTFE(Polytetrafluoroethylene)와 같은 물질로 코팅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는 동물이 섭취하는 사료나 비료로 재활용되므로, 용기(130) 및 용기 내면(131)에 코팅되는 물질은 무독성이어야 하며, 용기(130) 내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의 냉동, 해동 및 온도변화의 용이한 측정을 위해 높은 열전도성을 갖는 물질로 제작되는 것이 좋다.Since food waste (not shown) is accommodated inside the
사용자가 용기(130)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을 수거장소로 이동시켜 배출시킬 경우 통상 용기(130)를 기울여 용기(130)의 개방된 부분이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한다. 따라서, 용기(130)를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하여 용기(130)의 상부에 손잡이(133, 133a)를 설치하고, 용기(130)의 개방된 부분을 용이하게 하방향으로 향하게 하기 위하여 용기(130)의 하부, 특히 용기(130)의 외부 바닥면에도 손잡이(139)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When the user moves the food waste (not shown) accommodated in the
용기(130) 상부에 설치되는 손잡이(133, 133a)는 용기(130) 및 손잡이(133, 133a)에 핀홀(136, 136a, 137, 137a)을 형성하고 핀(134, 134a, 135, 135a)을 삽입시켜 손잡이(133, 133a)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음식물 쓰레기 보관장치(100, 200)에 용기(130)가 삽입되었을 때 손잡이(133, 133a)가 도어(120, 220) 및 덮개(140)와 부딪히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The
용기(130)의 외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손잡이(139)는 양단을 용기(130)의 외부 바닥면과 힌지 연결하여 절첩 되게 할 수도 있고, 용기(130)의 외부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런데, 용기(130)가 지면에 놓여 사용될 수도 있으므로, 손잡이(139)는 용기(130)의 외부 바닥면 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손잡이(139)가 돌출되는 경우에는 용기 수용부(117, 217)에 요부(118, 218)를 형성하여 손잡이(139)가 수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용기(130)는 용기 수용부(117, 217)에 삽입되었다가,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을 배출할 경우에는 취출 되는데, 용기 수용부(117, 217)의 내면은 용기(130)의 외면과 밀착되므로, 용기(130)의 삽입 및 취출에 많은 힘이 들 수 있다. 따라서, 용기(130)는 상부가 하부 보다 큰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여 용기 수용부(130)에 삽입 및 취출이 용이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130)가 용기 수용부(117, 217)에 삽입 및 취출 되는 방향으로 용기(130) 외면에 홈을 형성하여, 용기(130)를 용기 수용부(117, 217)에 삽입 및 취출 할 때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용기(130)를 삽입 및 취출 하게 할 수 있다.The
용기(130)에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을 수용시키기 위하여 개방하는 부분은 상부뿐만 아니라 측면에도 형성할 수 있으나, 수분이 음식물 쓰레기(도시되지 않음)를 수용시키기 위해서는 용기(130)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Portion opening to accommodate food waste (not shown) in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And can be chang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를 냉동시켜 장기간 변질되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고, 냉동된 음식물 쓰레기의 표면을 해동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freeze the food waste can be stored so as not to deteriorate for a long time, it is possible to thaw the surface of the frozen food waste can facilitate the discharge of food waste.
Claims (1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1599A KR100861501B1 (en) | 2007-04-27 | 2007-04-27 | Freezer for garb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1599A KR100861501B1 (en) | 2007-04-27 | 2007-04-27 | Freezer for garba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61501B1 true KR100861501B1 (en) | 2008-10-02 |
Family
ID=40152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41599A KR100861501B1 (en) | 2007-04-27 | 2007-04-27 | Freezer for garba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61501B1 (en)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1230B1 (en) * | 2013-09-12 | 2014-03-10 | (주)솔루션아이티 | Pick-up device to charge the taxes at a food garb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101470156B1 (en) * | 2013-05-15 | 2014-12-05 | 석낙완 | Box for Separating Garbage Collection |
CN106241127A (en) * | 2016-09-20 | 2016-12-21 |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 Garbage can |
KR20170070567A (en) | 2015-12-14 | 2017-06-22 | 이정미 | Functional food bins |
CN107010345A (en) * | 2017-06-08 | 2017-08-04 | 李文 | A kind of dustbin of low temperature |
CN107539683A (en) * | 2017-10-10 | 2018-01-05 | 谢佳怡 | One kind fire prevention dustbin |
CN108996078A (en) * | 2018-06-05 | 2018-12-14 | 长沙鼎成新材料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smart home with packing anti-peculiar smell dustbin automatically |
CN109398989A (en) * | 2018-10-29 | 2019-03-01 | 天津富斯特压力容器有限公司 | Sponge iron deoxygenation apparatus filler holding vessel |
CN109552778A (en) * | 2018-12-29 | 2019-04-02 | 中冶置业集团有限公司 | A kind of intelligent garbage bin |
KR200489686Y1 (en) * | 2019-01-14 | 2019-07-23 | 이재윤 | Food waste bin |
WO2019237529A1 (en) * | 2018-06-16 | 2019-12-19 | 上海拓牛智能科技有限公司 | Hot-melt device, intelligent trash can and hot-melt temperature control method |
CN112623580A (en) * | 2020-12-14 | 2021-04-09 | 陈元强 | Garbage can and cleaning and drying method thereof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42584U (en) | 1973-08-14 | 1975-04-30 | ||
KR20050023671A (en) * | 2003-09-02 | 2005-03-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Freezer for garbage of food installed heater |
KR200427774Y1 (en) | 2006-07-10 | 2006-09-29 | 주식회사 고산 | Garbage box for prevent decomposition |
KR200434936Y1 (en) | 2006-09-26 | 2006-12-28 | 박혜영 | Garbage can |
-
2007
- 2007-04-27 KR KR1020070041599A patent/KR100861501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42584U (en) | 1973-08-14 | 1975-04-30 | ||
KR20050023671A (en) * | 2003-09-02 | 2005-03-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Freezer for garbage of food installed heater |
KR200427774Y1 (en) | 2006-07-10 | 2006-09-29 | 주식회사 고산 | Garbage box for prevent decomposition |
KR200434936Y1 (en) | 2006-09-26 | 2006-12-28 | 박혜영 | Garbage can |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0156B1 (en) * | 2013-05-15 | 2014-12-05 | 석낙완 | Box for Separating Garbage Collection |
KR101371230B1 (en) * | 2013-09-12 | 2014-03-10 | (주)솔루션아이티 | Pick-up device to charge the taxes at a food garb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20170070567A (en) | 2015-12-14 | 2017-06-22 | 이정미 | Functional food bins |
CN106241127A (en) * | 2016-09-20 | 2016-12-21 |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 Garbage can |
CN107010345A (en) * | 2017-06-08 | 2017-08-04 | 李文 | A kind of dustbin of low temperature |
CN107539683A (en) * | 2017-10-10 | 2018-01-05 | 谢佳怡 | One kind fire prevention dustbin |
CN108996078A (en) * | 2018-06-05 | 2018-12-14 | 长沙鼎成新材料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smart home with packing anti-peculiar smell dustbin automatically |
WO2019237529A1 (en) * | 2018-06-16 | 2019-12-19 | 上海拓牛智能科技有限公司 | Hot-melt device, intelligent trash can and hot-melt temperature control method |
GB2580566A (en) * | 2018-06-16 | 2020-07-22 | Shanghai Townew Intelligent Tech Co Ltd | Hot-melt device, intelligent trash can and hot-melt temperature control method |
GB2580566B (en) * | 2018-06-16 | 2023-02-01 | Shanghai Townew Intelligent Tech Co Ltd | Heat fusing devices, smart trash receptacle and methods for controlling heat fusing temperature |
CN109398989A (en) * | 2018-10-29 | 2019-03-01 | 天津富斯特压力容器有限公司 | Sponge iron deoxygenation apparatus filler holding vessel |
CN109552778A (en) * | 2018-12-29 | 2019-04-02 | 中冶置业集团有限公司 | A kind of intelligent garbage bin |
KR200489686Y1 (en) * | 2019-01-14 | 2019-07-23 | 이재윤 | Food waste bin |
CN112623580A (en) * | 2020-12-14 | 2021-04-09 | 陈元强 | Garbage can and cleaning and drying method thereof |
CN112623580B (en) * | 2020-12-14 | 2021-12-03 | 章鸿扬 | Garbage can and cleaning and drying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61501B1 (en) | Freezer for garbage | |
US20140375198A1 (en) | Refrigerator | |
KR20190033625A (en) | Active cooling garbage storage | |
CN101970960B (en) | Refrigerator | |
KR20130068731A (en) | Refrigerator for grain | |
KR100818697B1 (en) | Refrigerator | |
JP3566515B2 (en) | Air conditioner | |
WO1998034075A1 (en) | Cold storage apparatus | |
JP2020176790A (en) | Cold insulation box and motor cycle for food delivery | |
KR100852090B1 (en) | A food garbage freezing apparatus | |
KR200300319Y1 (en) | Food wastes refrigerator | |
KR100930878B1 (en) | Combined water purifier and grain freezer | |
KR100494389B1 (en) | Refrigerator and defroster | |
KR100972817B1 (en) | The refrigeration keeping and drying machine of food and drink wastes | |
JP2009216378A (en) | Household electric refrigerator | |
KR20050023671A (en) | Freezer for garbage of food installed heater | |
KR100449412B1 (en) | Rice cooker | |
US20200318901A1 (en) | Food storage appliance | |
KR100818693B1 (en) | Refrigerator | |
KR100697469B1 (en) | Kimchi refrigerator | |
KR20100062359A (en) | Food treatment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 |
JP3611021B2 (en) | refrigerator | |
KR20080114437A (en) | Refrigerator | |
JPS6322466Y2 (en) | ||
KR101158012B1 (en) | Refrigerator for thaw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92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