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1751B1 - 생물막을 이용한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생물막을 이용한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1751B1
KR100841751B1 KR1020070048304A KR20070048304A KR100841751B1 KR 100841751 B1 KR100841751 B1 KR 100841751B1 KR 1020070048304 A KR1020070048304 A KR 1020070048304A KR 20070048304 A KR20070048304 A KR 20070048304A KR 100841751 B1 KR100841751 B1 KR 100841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minated water
fixed biofilm
low concentration
biofilm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8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혁순
Original Assignee
최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혁순 filed Critical 최혁순
Priority to KR1020070048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17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Multistep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C02F2101/3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C02F2101/38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은, 생물학적 분해가 가능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미생물이 부착된 고정 생물막을 구비하여 오염수 공급원으로부터 저농도 오염물질을 함유한 오염수를 유입시켜 오염물질을 처리하고 외부로 배출하는 고정 생물막 반응조를 포함하며, 고정 생물막을 통과한 오염수의 적어도 일부분을 뽑아 내어 반송시켜서 오염수 공급원으로부터 새로 공급되는 오염수와 함께 고정 생물막 반응조로 다시 유입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물학적 분해가 가능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미생물이 부착된 고정 생물막을 이용하여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오염수 공급원으로부터 고정 생물막이 설치된 고정 생물막 반응조로 저농도 오염물질을 포함한 오염수를 유입시키고, 고정 생물막을 통과하여 처리된 오염수를 고정 생물막 반응조로부터 배출시키되, 고정 생물막을 통과한 오염수의 적어도 일부분을 내부 반송 통로를 통하여 반송시켜서 상기 오염수 공급원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염수와 함께 다시 고정 생물막 반응조로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오염수, 저농도, 생물막, 퍼클로레이트

Description

생물막을 이용한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LOW CONCENTRATION CONTAMINANT USING BIOFIL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생물막 반응조만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고정 생물막 반응조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3에 도시된 고정 생물막 반응조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생물막 반응조의 상단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미생물을 부착시켜 생물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반응조 내에 설치되는 미디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미디어를 지지하도록 반응조 내에 설치되는 스크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퍼클로레이트와 질산성질소가 공존하는 오염수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로 처리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표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
2: 고정 생물막 반응조
4: 유입구
6: 오염수 유입 통로
8: 유입 펌프
10: 배출구
12: 배출 통로
14: 배출 펌프
16: 내부 반송구
18: 내부 반송 통로
20: 내부 반송 펌프
22: 미디어
24: 스크린
26: 상부판
28: 돌출부
32: 오염수 저장소
34: 질소 탱크
본 발명은 생물학적 분해가 가능한 퍼클로레이트와 같은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미생물이 부착된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생물막이 고정 설치된 반응조 내에서 오염수를 유동시켜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퍼클로레이트(perchlorate, 과염소산염)은 미국 등에서 1990년대 중반부터 분석기술의 발달로 인해, 음용수 수원이 될 수 있는 지하수(ground water)나 지표수(surface water)에서 낮은 농도로 검출되고 있으며, 퍼클로레이트가 주목받게 된 주된 원인은 인체의 갑상선호르몬 기능의 방해 때문이다. 하지만 저농도 퍼클로레이트의 인체유해성의 판단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어서 2007년 현재 미국에서 퍼클로레이트에 대한 연방규제는 정해지지 않았으나 1998년 이래로 미국 연방 오염물 후보리스트(Contaminant Candidate List, CCL)에 올라 있으며 공공음용수에서의 모니터링이 실시되고 있다. 특히 미국 캘리포니아 주 보건당국은 2004년을 기준으로 0.006 mg/L (6ppb) 의 임시기준치를 세워두고 규제하고 있다. 대부분의 지표수 및 지하수원에서의 퍼클로레이트 오염은 고체 로켓연료 물질의 처리중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2006년 국내에서도 낙동강수계에서 퍼클로레이트가 검출되었다고 발표되었고 정부도 낙동강 수계에서 퍼클로레이트 검출에 대한 조사와 모니터링을 진행한 바 있다. 이에 국내에서도 퍼클로레이트 오염에 대한 경제적인 처리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퍼클로레이트는 용해성이 높고 반응성은 낮아서 지하수를 타고 그 오염의 범위가 쉽게 확산되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기존의 일반 정수처리시설(응집, air stripping)에서는 퍼클로레이트를 쉽게 제거할 수 없다. 이온교환공법 또는 막분리 등 고도 분리 공정(advanced separation processes)이 퍼클로레이트의 제거를 위해 연구되어 오고 있으나 이들 공정들은 처리시 높은 농도의 퍼클로레이트와 다른 염(salt)을 포함하는 농축부산물이 발생하며 이를 위한 후처리공정이 추가로 필요하게 된다.
이에 반해 생물학적 처리 공법은 퍼클로레이트를 완전하게 분해할 수 있는 공정으로서 무산소조건(anoxic condition)에서 퍼클로레이트 제거 미생물에 의해 무기호흡과정 동안 퍼클로레이트는 전자수용체(electron acceptor)로 작용하며 중간반응 생성물없이 최종생성물인 인체에 무해한 염소이온(Cl-)으로 환원된다. 다음 은 미생물에 의한 퍼클로레이트의 분해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ClO4 - → ClO3 - → ClO2 - → Cl- + O2(gas)
대부분의 퍼클로레이트 제거 미생물(perchlorate respiring bacteria)은 임의성 종속영양미생물(facultative heterotrophic bacteria)이며 많은 종(strains)들이 하수처리장의 활성 슬러지, 소화조 슬러지 그리고 토양 등 다양한 환경에서 추출, 배양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퍼클로레이트 제거 미생물은 질산성질소의 제거를 위한 탈질반응과 유사하게 다양한 종류의 전자공여체(electron donor)로서 유기물을 이용한다. 또한 많은 종류의 종속영양미생물들은 무산소조건(anoxic state)에서 퍼클로레이트 뿐만 아니라 질산성질소 또한 제거할 수 있다고 보고 되어 있다. 탈질미생물에 의하여 질산성질소는 다음과 같은 탈질분해과 정(denitrification)을 거치며 최종물질은 인체에 무해한 질소가스로 전환된다.
NO3 - → NO2 - → NO → N2O → N2(gas)
하지만 폐수처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존의 하수처리장과 같은 부유활성슬러지공법으로는 매우 낮은 유입농도 조건하에서 필요한 반응조내 미생물량을 유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생물막 공정들이 더욱 더 적합한 공정으로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생물막공법(고정생물막 또는 유동상공법)은 주로 오염농도가 높은 폐수처리를 목적으로 하였다. 그래서 지하수나 지표수에 존재하는 저농도 오염의 처리에 있어서는 물리·화학적처리에 편중되어 있으며 생물학적인 처리에 관한 기술개발 및 적용은 국내의 경우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저농도 퍼클로레이트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는 데에 있어서 주로 3가지 요소에 의해 제한을 받는다. 첫째, 퍼클로레이트 신진대사(perchlorate metabolism)는 주로 1 mg/L (1000 ppb) 이하의 매우 낮은 농도에서 일어난다. 둘째, 이화작용에 의한 퍼클로레이트 환원(dissimilatory perchlorate reduction)은 전자공여체로서 유기물 탄소(organic carbon)를 요구하는데, 일반적으로 자연하천이나 지하수에는 그 농도가 매우 낮다. 셋째, 주로 퍼클로레이트는 질산성질소와 같은 다른 전자수용체와 공존하여 존재하며 분해를 위해 전자공여체, 즉 유기물을 이용하기 위해 경쟁한다. 특히 농약, 간이하수처리장, 또는 도시하수처리장의 유출수등의 지하수원 유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산성질소 (NO3-N)는 지하수의 주된 오염원을 차지하고 있으며 퍼클로레이트가 오염된 물에 흔히 공존한다. 그러므로 생물학적으로 퍼클로레 이트를 제거할 경우에는 물속에 공존하는 질산성질소의 영향을 고려하여야만 한다.
저농도의 퍼클로레이트 유입수 조건과, 퍼클로레이트를 처리한 유출수의 퍼클로레이트 함유 수준이 분석기기에 의한 검출수준(0.004 ∼ 0.006 mg/L) 이하 정도일 것까지 요구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에, 기존의 단일방향 흐름을 가진 고정 생물막 공법으로는 퍼클로레이트 처리 능력에 한계가 있다. 즉, 기존의 고정 생물막 공법은 반응조 내의 단일방향 흐름으로 인하여, 생물막 내부로의 확산(diffusion limitation), 즉 오염물질 및 탄소원 등의 기질 등이 생물막과 접촉되고 생물막 내부로 확산되는 것이 제한되는 것이다.
유동상 반응조의 경우는 미디어의 회전을 위해 이용되는 높은 유속의 반송수로 인해 반응조 내부는 완전혼합 상태를 이루지만 과다한 회전으로 인한 미디어간의 충돌로 부착 미생물의 이탈을 초래한다.
그 예로 비교적 높은 농도, 예를 들어 1 mg/L 이상의 퍼클로레이트 유입수 조건에서의 생물학적 처리연구가 실험실에서 수행되어 왔다. 하지만 이들 실험실규모의 퍼클로레이트제거 생물막을 이용한 단일 흐름(plug-flow) 고정 생물막 반응조(fixed bed biofilm reactor) 실험에서는 유입구 부분에 심각한 막힘(clogging) 현상이 생겨서 주기적인 역세척(back-washing)을 필요로 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수원내의 저농도 오염물질을 생물학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 기존 생물막 공법의 단점을 개선하여 오염물질의 농도가 낮은 유입수 조건에서 충분한 미생물량을 확보하면서 안정된 처리수질을 가질 수 있으며 높은 수리 학적 부하에서도 운전이 가능한 경제적인 저농도 오염물질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퍼클로레이트로 오염된 실제의 지하수의 농도 조건(예를 들어, 퍼클로레이트 농도가 1 mg/L 이하)에서 반응조 내에서 충분한 미생물량을 확보하면서 안정적인 제거효율을 이루고자 고안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물학적 분해가 가능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미생물이 부착된 고정 생물막을 구비하여 오염수 공급원으로부터 저농도 오염물질을 함유한 오염수를 유입시켜 오염물질을 처리하고 외부로 배출하는 고정 생물막 반응조를 포함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로서, 고정 생물막을 통과한 오염수의 적어도 일부분을 뽑아 내어 반송시켜서 오염수 공급원으로부터 새로 공급되는 오염수와 함께 고정 생물막 반응조로 다시 유입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형태로서, 생물학적 분해가 가능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미생물이 부착된 고정 생물막을 구비하고, 저농도 오염물질을 함유한 오염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처리된 오염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 생물막 반응조와;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어 오염수 공급원으로부터 오염수를 생물막 반응조에 공급하는 오염수 유입 통로를 포함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로서, 상기 고정 생물막 반응조에는 고 정 생물막을 통과한 처리수를 뽑아 내어 고정 생물막 반응조의 유입구 방향으로 반송시키기 위한 내부 반송구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반송구는 내부 반송 펌프가 설치된 내부 반송 통로를 통하여 상기 오염수 유입 통로 또는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거나 상기 유입구 주위의 고정 생물막 반응조에 직접 연결되어, 처리된 오염수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오염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오염수와 함께 고정 생물막 반응조로 다시 유입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형태로서, 생물학적 분해가 가능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미생물이 부착된 고정 생물막을 구비하고, 저농도 오염물질을 함유한 오염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처리된 오염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 생물막 반응조와,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어 오염수 공급원으로부터 오염수를 생물막 반응조에 공급하는 오염수 유입 통로와,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어 고정 생물막을 통과한 오염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오염수 배출 통로를 포함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로서, 상기 오염수 배출 통로에는 고정 생물막을 통과한 오염수를 뽑아 내어 고정 생물막 반응조의 유입구 방향으로 반송시키기 위한 내부 반송구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반송구는 내부 반송 펌프가 설치된 내부 반송 통로를 통하여 상기 오염수 유입 통로 또는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거나 상기 유입구 주위의 고정 생물막 반응조에 직접 연결되어, 처리된 오염수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오염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오염수와 함께 고정 생물막 반응조로 다시 유입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고정 생물막의 제거 대상이 되는 저농도 오염물질은 퍼클로레이트(ClO4 -)일 수 있고, 퍼클로레이트 이외에 질산성질소(NO3-N)와 같은 다른 음이온성 물질이나, 유기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예를 들어 퍼클로레이트 농도가 10mg/L 이하인 오염수의 정화에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퍼클로레이트 농도가 5mg/L 이하인 오염수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퍼클로레이트 농도가 1mg/L 이하인 오염수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생물막 반응조는 내부에 유입된 오염수가 유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 상향 유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생물막은 높은 공극률과 부양성을 가진 복수의 비활성 미디어들에 미생물을 부착시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비활성 미디어들은 예를 들어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가 되지 않는 재료인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공극률이 0.9 이상이고, 비중을 1g/cm3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활성 미디어들을 지지하기 위한,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스크린이 또한 고정 생물막 반응조 내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 생물막 반응조의 내부 반송구로부터 유입 통로로 반송되는 내부 반송 유량과 오염수 공급원으로부터 유입 통로로 새로 공급되는 유입 유량의 비는, 고정 생물막 반응조 내의 유동에 의하여 고정 생물막 반응조 내부가 미생물의 밀도를 균 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혼합 상태가 되도록, 펌프 용량 등을 조정함으로써 정하여진다.
상기 내부 반송 유량과 유입 유량의 비는, 오염수 공급원으로부터 새로 공급되는 유입 오염수의 수리학적 부하를 2.0 내지 5.0 m3/m2/d 범위로 하여 장치를 운전할 때에, 3:1 내지 20:1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고, 특히 20:1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오염수가 고정 생물막을 통과하기 전에, 미생물이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데에 필요한 외부 탄소원이 오염수에 첨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외부 탄소원은 예를 들어 아세테이트이다.
한편, 본 발명은 또한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생물학적 분해가 가능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미생물이 부착된 고정 생물막을 이용하여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오염수 공급원으로부터 고정 생물막이 설치된 반응조로 저농도 오염물질을 포함한 오염수를 유입시키고, 고정 생물막을 통과하여 처리된 오염수를 반응조로부터 배출시키되, 고정 생물막을 통과한 오염수의 적어도 일부분은 내부 반송 통로를 통하여 반송시켜서 상기 오염수 공급원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염수와 함께 다시 반응조로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2는 고정 생물막 반응조(2)의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본 발명 장치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생물막 반응조(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고정 생물막 반응조(2)의 하부 원주면에는 오염수의 유입구(4)가 형성되고, 고정 생물막 반응조(2)의 상부면에는 처리된 오염수의 배출구(10)가 형성되며, 배출구(10) 근방의 상부 원주면에는 오염수의 내부 반송을 위한 내부 반송구(16)가 형성된다. 또한, 고정 생물막 반응조(2)의 내부에는 미생물 부착을 위한 복수의 미디어(22)들이 설치될 수 있다. 미디어(22)들은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미디어 링의 형태로 제공된다. 미디어(22)는 비활성재질로서 독성이 없으며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가 되지 않는 플라스틱 재질(폴리프로필렌 등)로 만들어진다. 높은 공극률(high porosity)과 낮은 밀도, 즉 물의 비중(1g/cm3) 보다 낮은 비중을 가진 플라스틱 미디어가 반응조내의 미생물 부착을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플라스틱 미디어들은 미생물의 부착에 이용되는 넓은 표면적을 제공하고 혹시 발생할 수 있는 막힘 현상의 발생 가능성을 줄여서 반응조 내 흐름의 단회로(short-circuiting) 현상을 최소화하는 데에 효과가 있다.
미디어(22)의 하부에는 플라스틱 미디어(22)들을 지지하는 스크린(24)이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크린(24)은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지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라스틱 망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유입구(4)에는 오염수 유입 통로(6)가 연결되고, 오염수 유입 통로(6)에는 유입 펌프(8)가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배출구(10)에는 배출 통로(12)가 연결되고, 배출 통로(12)에는 배출 펌프(14)가 설치된다. 내부 반송구(16)에는 내부 반송 통로(18)가 연결되고, 내부 반송 통로(18)에도 내부 반송 펌프(20)가 설치된다.
고정 생물막 반응조(2)는 오염수 유입 통로(8)를 통하여 오염수 저장소(32)로부터 오염수를 공급받는다. 바람직하게는, 유입되는 오염수에서 용존산소를 줄이기 위해 질소 탱크(34)를 오염수 저장소(32)에 연결하여 질소 가스를 오염수 저장소(32)에 계속적으로 주입하여 용존 산소를 없앨 수 있다.
유입수 펌프(8)에 의하여 고정 생물막 반응조(2)에 유입된 오염수는 상향 유동하여 미디어(22)에 부착된 고정 생물막을 통과한 후에, 내부 반송 펌프(20)에 의하여 내부 반송구(16)로 빠져 나가서 내부 반송 통로(18)를 통하여 유입 통로(6)의 유입수와 합류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반송 통로(18)가 유입 통로(6)로 연결되지만, 대안적으로는 내부 반송 통로를 유입구(4)로 연결하거나 고정 생물막 반응조(2)의 스크린(24) 하부에 직접 연결되게 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는, 내부 반송 통로를 통과한 반송수는 유입수보다 빠른 유속으로 유입수와 혼합된다.
도 3은 고정 생물막 반응조(2)의 유입구(4) 바로 윗 부분의 횡단면을 도시하는데, 생물막을 부착하기 위한 링 형태의 플라스틱 미디어(22)를 설치하기 위한 4개의 돌출부(28)가 원주 내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고정 생물막 반응조(2)의 상단부분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며, 유출구(10)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판(26)이 나사 결합에 의하여 반응조 원통의 상부 플 랜지에 결합된다. 상부판(26)과 반응조 원통의 상부 플랜지 사이에는 외부로부터의 산소 유입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고무 개스킷(11)이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물막반응조와 운전조건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를 운전하여 오염수 내의 퍼클로레이트와 질산성질소를 정화한 실험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험에 사용된 반응조는 직경이 15 cm, 높이가 69 cm의 원기둥 형태이며 아크릴 재질로 제조되었고 플라스틱 미디어 링(22)들을 충진하지 않은 상태의 부피, 즉 empty bed volume이 12.5 리터이다. 또한, 반응조 내에 설치된 원기둥형 플라스틱 미디어 링(22)들은 직경이 1.6 cm, 비표면적은 354 m2/m3, 비중은 0.9 이다. 그리고 충진되어진 미디어의 공극률은 0.92이다. 유입구 윗부분의 반응조내 하단부(A-A, 도 2 참조)에는 견고한 플라스틱 스크린(24)을 설치해서 충진된 미디어(22)를 지지하면서 스크린 아래로는 유입수 또는 내부반송수와의 혼합지역을 형성하였다.
퍼클로레이제거 미생물은 기존 하수처리장에서 추출한 활성슬러지를 이용하였으며 높은 퍼클로레이트 농도 조건하의 연속회분식 반응조에서 6개월 정도 순응시킨 후 생물막반응조에 접종하였다. 접종되어진 부유 퍼클로레이트 제거 미생물은 반응조 내의 순환을 통해 플라스틱 미디어에 부착되었다.
본 실험에 사용된 고정 생물막 반응조는 상향식 흐름으로 운전되었으며 생물막 반응조 내의 흐름을 균일한 혼합상태(well mixed condition)를 만들기 위해 내부 반송 유량 : 유입 유량을 20:1로 하여 운전하였다. 그리고 수리학적 체류시 간(HRT: Hydraulic Residence Time)은 8시간의 조건에서 실험 운전하였다. 하지만 실험운전에서 사용되어진 8시간의 체류시간(HRT)이 퍼클로레이트 제거를 위한 최적의 운전조건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내부반송비, 즉 내부 반송 유량 : 유입 유량의 20:1 비가 최적의 운전 조건을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
유입수의 수리학적 부하조건은 제거하고자 하는 반응조에 부착되어진 미생물의 적응도에 따라 더욱 단축될 수 있다. 높은 유입수의 수리학적 부하 조건에서의 내부반송비는 20:1 이 아니라 이보다 낮게 조정될 수 있다. 유입 부하량과 그에 따른 완전혼합을 위한 내부반송비의 최적화가 본 공법의 운전경비를 줄이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실제 지하수나 상수원에서 퍼클로레이트 제거 미생물의 탄소원으로 이용될 수 있는 생물학적 분해가능한 유기물(biodegradable organics)의 농도는 매우 낮으므로 외부 탄소원(아세테이트 등)의 첨가는 본 공정과 같은 상수원을 대상으로 처리하는 공정에서는 필요한 요소이며 경제적 관점에서 최적의 탄소 요구량을 찾는 것이 두번째로 중요한 운전요소이다. 탄소원으로 사용되어진 아세테이트는 저농도의 퍼클로레이트가 탄소소모의 경쟁관계에 있는 질산성질소와 같은 다른 전자수용체들이 오염수에 공존할 경우 이들에 의한 퍼클로레이트 제거 미생물의 활동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탄소주입량은 상향 조정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실험 운전에서 본 공법의 적용대상과 그 효율을 실험하기 위해 크게 다음 2가지의 조건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1. 퍼클로레이트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
2. 퍼클로레이트와 질산성질소가 같이 존재하는 경우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유입수는 지하수에 저농도로 존재하는 퍼클로레이트 오염수 조건과 흡사하게 구성하였으며 흔히 같이 존재하는 오염물질인 질산성질소와의 동시제거를 확인하기 위해 퍼클로레이트(1mg/L)와 질산성질소(NO3-N, 16mg/L), 탄소원(아세테이트) 그리고 무기영양소들이 탈이온수에 혼합되어 인공적으로 합성되었다. 인공 유입수의 퍼클로레이트는 NaClO4·H2O의 형태로 사용되었다. 질소와 인은 100:12:3의 C:N:P 질량비로서 이용되었다. 유입수는 NaHCO3를 이용하여 100mg/L CaCO3의 알칼리도로 조정하였으며 미량무기원소로 5 mg/L Mg2 +, and 10 mg/L Ca2+이 첨가되었다.
외부 탄소원인 아세테이트는 식용식초를 희석하여 사용했으며 퍼클로레이트 제거 미생물이 기질인 탄소원의 제한을 받지 않기 위해 화학식에 따른 요구량(stoichiometric amount) 보다 훨씬 높은 농도로 사용되었다. 아세테이트를 이용한 이유는 미생물들에 즉각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물속에서 쉽게 용해되고 인체에 무해하며 많은 종류의 다양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메탄올 또는 에탄올과는 달리 휘발성이 없기 때문에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탄소원인 아세테이트는 퍼클로레이트가 1mg/L 이하로 단독으로 존재하는 실험에서는 약 5 mg/L로 충분한 양으로 공급되었으며, 퍼클로레이트(1mg/L)와 질산성질소(16mg/L)가 공존할 경우의 실험에서는 C:N 질량비를 2:1로 적용하여 아세테이 트를 충분히 공급하였다. 1mg/L 이하의 농도로 퍼클로레이트만이 단독으로 존재하는 실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서 퍼클로레이트는 완전히 제거되었다. 실제 지하수나 하천수에 이 공법이 적용될 경우, 물 속에 존재하는 분해 가능한 유기물질의 농도에 따라 부가적인 외부 탄소원의 첨가량은 조절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과다한 탄소원의 첨가로 인한 경제적 낭비뿐만 아니라 미생물에 의해 원하지 않는 다른 부가적인 반응이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유입수에서 용존산소를 줄이기 위해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계속 질소가스를 유입수 탱크 속으로 주입하여 용존산소를 없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에 따라서 1mg/L 의 퍼클로레이트와 16 mg/L 의 질산성질소 (NO3-N)가 공존하는 오염수의 오염물질을 제거한 실험결과를 도 7에서 나타내었다. 배출되는 유출수의 퍼클로레이트와 질산성질소의 농도는 검출 가능한 최소의 수치 수준으로 크게 떨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정 생물막 반응조에서 비교적 빠른 내부반송을 통해 반응조 내에 존재하는 퍼클로레이트와 기질(substrate)의 생물막에 대한 확산 이동을 증가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반응조내 높이에 따라 균일한 부착 생물막의 번식으로 인해 생물막 반응조의 활성지역을 반응조 내 전체지역으로 확대,향상시킬 수 있어 저농도에서 안정적인 처리 수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퍼클로레이트가 질산성질소 등 다른 방해 음이온물질들과 공존할 경우 에도 충분한 탄소원의 공급만 이루어지면 내부 반송으로 인해 형성된 반응조 생물막의 활성지역이 넓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퍼클로레이트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퍼클로레이트 농도, 유입수의 성상의 변화, 부하량의 변화 등 충격부하가 발생했을 때에도 기존의 다른 생물막공법(고정 생물막 공법, 유동상 공법)에 비해 빠른 적응을 보이며 안정적인 처리수질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단일 흐름(plug-flow) 고정 생물막 공법의 단점인 유입구 부분의 미생물의 과다한 증식으로 인한 막힘 현상에 따른 처리수의 수질의 불규칙성을 감소시키고 그리고 이러한 막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주기적인 역세척이 필요 없게 하였으며 또한 잦은 역세척으로 인한 시스템의 중단을 막을 수 있어서 안정적인 운전을 가능케 한다. 또 유동상 생물막 공법과 비교해서 미디어의 순환을 위한 높은 반송율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반송을 위한 과다한 펌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하수나 지표수에 저농도로 존재하는 오염물질(퍼클로레이트)을 직접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진 공법이다. 생물학적인 공법에 의해 퍼클로레이트를 처리하면 부산물의 생성없이 인체에 무해한 염소이온으로 완전분해가 가능하므로 자연친화적인 공법이며, 또 물리 화학적처리와 달리 부산물의 처리비용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동시에 매우 경제적인 공법이다.
대다수의 탈질미생물이 질산성질소(NO3-N) 뿐만 아니라 퍼클로레이트 또한 제거할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본 공법의 실험운전(도 7)에서 충분한 탄소원이 공급되어진 유입조건에서 퍼클로레이트(ClO4 -)와 질산성질소(NO3-N)의 동시 제거를 증명했다. 이로 인해 본 공법은 상수원에 존재하는 질산성질소의 처리에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빠른 내부반송을 통해 고정생물막공법의 단점인 기질확산의 제한을 최소화 하였기 때문에 저농도의 음이온성오염물질(퍼클로레이트, 질산성질소) 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분해가능한 저농도오염 유기물질들의 제거에도 적용될 수 있다.

Claims (26)

  1. 생물학적 분해가 가능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미생물이 부착된 고정 생물막을 구비하여 오염수 공급원으로부터 저농도 오염물질을 함유한 오염수를 유입시켜 오염물질을 처리하고 외부로 배출하는 고정 생물막 반응조를 포함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에 있어서,
    고정 생물막을 통과한 오염수의 적어도 일부분을 뽑아 내어 반송시켜서 오염수 공급원으로부터 새로 공급되는 오염수와 함께 고정 생물막 반응조로 다시 유입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
  2. 생물학적 분해가 가능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미생물이 부착된 고정 생물막을 구비하고, 저농도 오염물질을 함유한 오염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처리된 오염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 생물막 반응조와,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어 오염수 공급원으로부터 오염수를 생물막 반응조에 공급하는 오염수 유입 통로를 포함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생물막 반응조에는 고정 생물막을 통과한 오염수를 뽑아 내어 고정 생물막 반응조의 유입구 방향으로 반송시키기 위한 내부 반송구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반송구는 내부 반송 펌프가 설치된 내부 반송 통로를 통하여 상기 오염수 유입 통로 또는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거나 상기 유입구 주위의 고정 생물막 반응조에 직접 연결되어, 처리된 오염수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오염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오염수와 함께 고정 생물막 반응조로 다시 유입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
  3. 생물학적 분해가 가능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미생물이 부착된 고정 생물막을 구비하고, 저농도 오염물질을 함유한 오염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처리된 오염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 생물막 반응조와,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어 오염수 공급원으로부터 오염수를 생물막 반응조에 공급하는 오염수 유입 통로와,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어 고정 생물막을 통과한 오염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통로를 포함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 통로에는 고정 생물막을 통과한 오염수를 뽑아 내어 고정 생물막 반응조의 유입구 방향으로 반송시키기 위한 내부 반송구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반송구는 내부 반송 펌프가 설치된 내부 반송 통로를 통하여 상기 오염수 유입 통로 또는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거나 상기 유입구 주위의 고정 생물막 반응조에 직접 연결되어, 처리된 오염수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오염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오염수와 함께 고정 생물막 반응조로 다시 유입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생물막의 제거 대상이 되는 저농도 오염물질에는 퍼클로레이트(ClO4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퍼클로레이트(ClO4 -)는 1 mg/L 이하의 농도로 오염수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생물막의 제거 대상이 되는 저농도 오염물질에는 저농도의 질산성질소와 저농도의 유기 물질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생물막 반응조에 유입된 오염수가 유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 상향 유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생물막은 공극이 형성된 복수의 비활성 미디어에 미생물을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 미디어들은 공극률이 0.9 이상이고, 비중이 1g/cm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 미디어들을 지지하기 위한 스크린이 상기 고정 생물막 반응조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생물막 반응조로부터 유입 통로로 반송되는 내부 반송 유량과 오염수 공급원으로부터 유입 통로로 새로 공급되는 유입 유량의 비는, 고정 생물막 반응조 내의 유동에 의하여 고정 생물막 반응조 내부가 미생물의 밀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혼합 상태가 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고정 생물막 반응조로부터 유입 통로로 반송되는 내부 반송 유량과 오염수 공급원으로부터 유입 통로로 새로 공급되는 유입 유량의 비는, 고정 생물막 반응조 내의 유동에 의하여 고정 생물막 반응조 내부가 미생물의 밀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혼합 상태가 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반송 유량과 유입 유량의 비는, 오염수 공급원으로부터 새로 공급되는 유입 오염수의 수리학적 부하를 2.0 내지 5.0 m3/m2/d 범위로 하여 장치를 운전할 때에, 3:1 내지 20:1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반송 유량과 유입 유량의 비는 2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염수가 고정 생물막을 통과하기 전에, 미생물이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데에 필요한 외부 탄소원이 오염수에 첨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탄소원은 아세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
  17. 생물학적 분해가 가능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미생물이 부착된 고정 생물막을 이용하여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오염수 공급원으로부터 고정 생물막이 설치된 고정 생물막 반응조로 저농도 오염물질을 포함한 오염수를 유입시키고,
    고정 생물막을 통과하여 처리된 오염수를 고정 생물막 반응조로부터 배출시키되,
    고정 생물막을 통과한 오염수의 적어도 일부분을 내부 반송 통로를 통하여 반송시켜서 상기 오염수 공급원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염수와 함께 다시 고정 생물막 반응조로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생물막의 제거 대상이 되는 저농도 오염물질에는 퍼클로레이트(ClO4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퍼클로레이트(ClO4 -)는 1 mg/L 이하의 농도로 오염수에 존 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생물막의 제거 대상이 되는 저농도 오염물질에는 저농도의 질산성질소와 저농도의 유기 물질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생물막 반응조 내에서는 유입된 오염수를 상향 유동시키면서 고정 생물막을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방법.
  22. 제17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반송 통로를 통하여 반송되는 내부 반송 유량과 오염수 공급원으로부터 유입 통로로 새로 공급되는 유입 유량의 비는, 고정 생물막 반응조 내의 유동에 의하여 고정 생물막 반응조 내부가 미생물의 밀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혼합 상태가 되도록, 정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오염수 공급원으로부터 새로 공급되는 유입 오염수의 수리 학적 부하는 2.0 내지 5.0 m3/m2/d 범위에 있고, 상기 내부 반송 유량과 유입 유량의 비는 3:1 내지 20:1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반송 유량과 유입 유량의 비는 2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방법.
  25. 제17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염수가 고정 생물막을 통과하기 전에, 미생물이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데에 필요한 외부 탄소원을 오염수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탄소원은 아세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생물막을 이용한 오염수 내의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방법.
KR1020070048304A 2007-05-17 2007-05-17 생물막을 이용한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0841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304A KR100841751B1 (ko) 2007-05-17 2007-05-17 생물막을 이용한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304A KR100841751B1 (ko) 2007-05-17 2007-05-17 생물막을 이용한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1751B1 true KR100841751B1 (ko) 2008-06-27

Family

ID=39772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304A KR100841751B1 (ko) 2007-05-17 2007-05-17 생물막을 이용한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17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512B1 (ko) 2010-03-15 2010-06-21 대한민국 퍼클로레이트의 생물학적 처리장치 및 그 처리공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1538A (ko) * 1999-01-22 2000-08-16 이규남 3상 생물막의 순환여과에 의한 하수 및 유기성 폐수 처리방법 및 장치
KR20060004524A (ko) * 2004-07-09 2006-01-12 안영호 고농도 유기성 및 질소함유 폐수의 처리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1538A (ko) * 1999-01-22 2000-08-16 이규남 3상 생물막의 순환여과에 의한 하수 및 유기성 폐수 처리방법 및 장치
KR20060004524A (ko) * 2004-07-09 2006-01-12 안영호 고농도 유기성 및 질소함유 폐수의 처리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512B1 (ko) 2010-03-15 2010-06-21 대한민국 퍼클로레이트의 생물학적 처리장치 및 그 처리공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7221A (en) Aerobic biological dehalogenation reactor
Zhang et al. Combination of ozonation and biological aerated filter (BAF) for bio-treated coking wastewater
US5037551A (en) High-flow rate capacity aerobic biological dehalogenation reactor
KR101371220B1 (ko) 멤브레인 반응조를 이용한 폐수의 질소와 유기물 동시 제거 방법
KR100784933B1 (ko)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유기물 및 질소 처리 장치
Stegmann et al. Leachate treatment
Siddiqi et al. A critical review of the recently developed laboratory-scale municipal solid waste landfill leachate treatment technologies
KR100821659B1 (ko) 멤브레인 침지 폐수처리장치
CN105565614A (zh) 一种甲苯硝化废水的处理方法及系统
Chen et al. Enhanced removal of organic matter and typical disinfection byproduct precursors in combined iron–carbon micro electrolysis-UBAF process for drinking water pre-treatment
EP2563727B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to achieve class b biosolids using chlorine dioxide
US7846328B2 (en) Treatment system for enhanced water and wastewater nutrient removal
KR20080101035A (ko) 오·폐수 고도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0661815B1 (ko) 하수, 오수, 폐수를 고도 처리하는 인공 습지식 접촉산화시스템
KR100602151B1 (ko) 바이오블럭 담체를 이용한 음식물 침출수 처리 시스템
Jassal et al. Sustainable Waste Water Treatment: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KR100432437B1 (ko) 입상형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질소 함유 하·폐수 처리방법 및 장치
KR100841751B1 (ko) 생물막을 이용한 저농도 오염물질 제거 장치 및 방법
Muhamad et al. Treatment of adsorbable organic halides from recycled paper industry wastewater using a GAC-SBBR pilot plant system
Klimiuk et al. Effectiveness of Organics and Nitrogen Removal from Municipal Landfill Leachate in Single-and Two-Stage SBR Systems.
KR100869304B1 (ko) 하·폐수 고도 처리장치
Dandautiya Comparative study of existing leachate treatment methods
Liu et al. Advanced nitrogen removal of landfill leachate treatment with anammox process: A critical review
KR101279137B1 (ko) 소규모 수역의 수질정화 시스템
KR100670211B1 (ko) 생물흡착(Biosorption)기작을 이용한 부상여재공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