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1120B1 - Power connector for lighting - Google Patents
Power connector for light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41120B1 KR100841120B1 KR1020060100951A KR20060100951A KR100841120B1 KR 100841120 B1 KR100841120 B1 KR 100841120B1 KR 1020060100951 A KR1020060100951 A KR 1020060100951A KR 20060100951 A KR20060100951 A KR 20060100951A KR 100841120 B1 KR100841120 B1 KR 1008411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cket
- light source
- housing
- side terminal
- ligh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2489 doughnut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6 hal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367 haloge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F21V21/044—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with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e.g. spring tongu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49—Patterns or structured surfaces for diffusing light, e.g. frosted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장이나 벽체에 매입된 전원선과 손쉽고 안정적으로 연결/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전원선과의 접속부 또는 광원의 보수나 교체가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조명등용 전원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easily and reliably connected to / disconnected from the power line embedded in the ceiling or wall of the building, and relates to a power connection device for a lighting lamp such that the connection to the power line or repair or replacement of the light source can be performed conveniently will be.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천장이나 벽체 내측으로 매입되고 빛이 조사될 공간으로 개방된 소켓과; 상기 소켓의 개방된 지점에 결합되며, 내부에 빛을 발광하는 광원소자가 설치된 광원하우징과; 상기 천장이나 벽체에 이미 매입된 전원선과 연결되며 소켓의 매입된 측부에 장착된 소켓측 단자와, 상기 소켓측 단자와 접속되기 위해 광원하우징의 소켓측 단자 측으로 돌출되어 소켓에 삽입결합되며 광원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광원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우징측 단자로 이루어진 접속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용 전원 연결장치를 제공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cket which is embedded into a ceiling or a wall and opened into a space to be irradiated with light; A light source housing coupled to an open point of the socket and having a light source element emitting light therein; It is connected to the power line already embedded in the ceiling or wall, and socket-side terminal mounted on the embedded side of the socket, protrudes into the socket-side terminal side of the light source housing to be connected to the socket-side terminal, and is inserted into the socket and inserted into the socket. It provides a power supply connection device for a lighting lamp comprising a connection coupling portion consisting of a housing sid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light source element installed therein.
조명등, 소켓 Lighting, socke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결장치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결장치의 소켓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ocket of th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연결장치의 소켓 저면도.Figure 3 is a bottom view of the socket of th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연결장치의 광원하우징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ght source housing of th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과 광원하우징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socket and the light sourc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원하우징의 접속의 확대단면도.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on of a light sourc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1 단면도.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2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소켓 11: 본체10: socket 11: body
12: 탄성부재 20: 광원하우징12: elastic member 20: light source housing
21: 하우징본체 22: 투과커버21: housing body 22: through cover
30: 접속결합부 31: 소켓측 단자30: connection coupling part 31: socket side terminal
32, 60, 70: 하우징측 단자 40: 접속부32, 60, 70: housing side terminal 40: connection part
50: 마감커버50: finish cover
본 발명은 조명등용 전원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천장이나 벽체에 매입된 전원선과 손쉽고 안정적으로 연결/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전원선과의 접속부 또는 광원의 보수나 교체가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조명등용 전원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connection device for a lamp. Specifically, it is configured to be easily and reliably connected to and disconnected from the power line embedded in the ceiling or wall of the building, and relates to a power connection device for a lighting lamp for easy connection or repair of the light source or the replacement of the light source. will be.
조명등은 건축물의 내, 외부에 설치되어 목적하는 공간 또는 지점에 빛을 조사하게 된다. 특히, 최근 건축물에 적용되는 조명등은 주로 천장 또는 벽체에 후방이 매입되어 실내공간이 보다 미려하도록 하여 우수한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얻도록 하고 있다.The lighting is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to irradiate light to a desired space or point. In particular, the lighting lamps applied to buildings in recent years are mainly embedded in the rear of the ceiling or wall to make the interior space more beautiful to obtain an excellent interior interior effect.
이와 같은 조명등의 종래 구성은, 천장이나 벽체에 매입되고 빛이 조사될 공간측으로 개방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어 빛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 및 광원과 천장 또는 벽체에 매입된 전원선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전선으로 구성된다.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of such a lamp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ase which is embedded in a ceiling or a wall and is open to the space to which light is to be irradiated, a light source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case and a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and a power line embedded in the ceiling or a wall. It consists of connecting wires for connection.
이 때, 상기 광원은 일반 형광램프, 할로겐 램프 등이 적용되기도 하지만, 전기 소모가 적고 다양한 색채의 빛으로 발광되는 LED(light-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가 적용된다. 특히, 상기 LED에 의한 광원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다수의 LED가 실장되고, 외부의 전원을 LED의 구동전원으로 변환하는 여러 전기, 전자소자가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되어 구성된다.In this case, a general fluorescent lamp, a halogen lamp, etc. may be used as the light source, but a light-emitting diode (LED) that emits light with a variety of colors with low electricity consumption is applied. In particular, in order to implement a light source by the LED, a plurality of LEDs are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and various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for converting external power into driving power of the LED ar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또한, 상기 광원과 전원선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전선은 일단이 LED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천장 또는 벽체에 매입된 상태의 전원선과 연결된다. 이 때, 상기 연결전선과 인쇄회로기판 및 전원선과의 연결은 주로 납땜 또는 별도의 컨넥터를 연결전선과 인쇄회로기판 및 전원선에 각각 설치하고, 이들 컨넥터를 결합함에 의해 만족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wire for connecting the light source and the power line is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one end is mounted with the LE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power line in the state of being embedded in the ceiling or wall through the case. At this time,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wire,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power supply line is mainly satisfied by soldering or installing a separate connector to the connecting wire,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power supply line, respectively, and combining these connectors.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조명등은 연결전선을 인쇄회로기판과 전원선에 각각 납땜하거나 각각에 컨넥터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그 조립과정이 대단히 번거롭다. 특히, 상기와 같은 연결과정에서 작업자가 천장 또는 벽체에 매입된 전원선까지 작업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벽체 등의 일부를 파손시켜야 한다. 또한, 연결전선과 전원선의 연결이 좁은 공간에서 최대한 쉽게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연결전선을 상당히 길게 인출하여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과도한 길이의 연결전선은 사소한 외력에 쉽게 파손 또는 끊어질 위험성이 높으며, LED 구동전원(LED 구동신호)의 전달률을 낮추는 요인이 된다.In the conventional lighting lamp as described above, the assembling process is very cumbersome because the connecting wires must be solder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power line, or a connector must be installed on each of the connecting wires. In particular, in order to form a work space up to the power line embedded in the ceiling or wall in the connection process as described above, a part of the wall, etc. must be broken. In addition, in order to make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line and the power line as easy as possible in the narrow space, the connection cable is drawn out for a long time, so that the excessive length of the connecting wire is easily risked of being broken or broken by a small external force. This reduces the transmission rate of the driving power (LED driving signal).
또한, 상기 조명등의 연결전선과 인쇄회로기판 또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된 LED 등에 고장이 발생되어, 이를 보수하거나 교체하기 위해서는 조명등의 케이 스를 천장이나 벽체에서 이탈시킨 후, 조명등을 분해하고 보수 또는 교체를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대단히 불편하고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In addition, a failure occurs in the connection wire of the lamp and the LED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or printed circuit board, in order to repair or replace it, after removing the casing of the lamp from the ceiling or wall, disassemble and repair the lamp. Or because of the need to replace the work is very inconvenient and work time is delayed.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광원이 전원선과 손쉽고 안정적으로 연결/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전원선과의 접속부 또는 광원의 보수나 교체가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케이스를 소켓의 형태로 구현하고 광원이 소켓과 별도의 연결전선 없이 접속되며 결합되도록 한 조명등용 전원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light source can be easily and reliably connected / disconnected from the power line, and in order to facilitate the repair or replacement of the connection portion or the light source with the power lin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supply connecting device for a lamp that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ocket and the light source is connected and coupled without a separate connection wire with the socke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구성을 갖는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은 천장이나 벽체 내측으로 매입되고 빛이 조사될 공간으로 개방된 소켓과; 상기 소켓의 개방된 지점에 결합되며, 내부에 빛을 발광하는 광원소자가 설치된 광원하우징과; 상기 천장이나 벽체에 이미 매입된 전원선과 연결되며 소켓의 매입된 측부에 장착된 소켓측 단자와, 상기 소켓측 단자와 접속되기 위해 광원하우징의 소켓측 단자 측으로 돌출되어 소켓에 삽입결합되며 광원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광원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우징측 단자로 이루어진 접속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cket embedded into a ceiling or wall and opened to a space to be irradiated with light; A light source housing coupled to an open point of the socket and having a light source element emitting light therein; It is connected to the power line already embedded in the ceiling or wall, and socket-side terminal mounted on the embedded side of the socket, protrudes into the socket-side terminal side of the light source housing to be connected to the socket-side terminal, and is inserted into the socket and inserted into the socket. It comprises a connection coupling portion consisting of a housing sid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light source element installed therein.
이하, 상기 구성이 적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 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the above configuration is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결장치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연결장치는 소켓(10), 광원하우징(20), 접속결합부(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소켓(10)은 천장 또는 벽체에 매입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천장의 판넬(P)에 매입되어 결합되는 구성을 예시한다. 또한, 상기 광원하우징(20)의 내측에 설치되는 광원소자(1)는 다수의 LED소자(2)가 인쇄회로기판(3) 상에 실장된 상태를 예시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광원소자"의 기재는 인쇄회로기판(3) 상에 LED소자(2)가 다수개 실장된 구성을 대표적으로 지칭함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연결장치는 소켓(10)이 도면의 평면 상 다각의 형태로 형성할 수 있지만 원형을 가장 기본 구성으로 하여 설명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결장치의 소켓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연결장치의 소켓 저면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ocket of th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ottom view of the socket of th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소켓(10)은 천장이나 벽체 내측으로 매입되고 빛이 조사될 공간으로 개방형성된다. 상기 소켓(10)은 본체(11)와, 탄성부재(12)로 구성된다.1 to 3, the
상기 본체(11)는 개방된 단부가 외측으로 확장형성된 플렌지부(13)를 가지며, 내측에 광원하우징(20) 및 접속결합부(30)가 설치될 공간을 제공한다.The
상기 탄성부재(12)는 상기 개방된 단부의 타측 본체(11) 지점에 방사상 다수개 장착된다. 특히, 상기 탄성부재(12)는 본체(11)에 일측이 지지되고 타측이 플렌지부(13) 측으로 경사형성된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12)의 구성은 플렌지부(13)와 탄성부재(12)의 사이에 천장 또는 벽체를 구성하는 판넬(P)이 끼워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 구성에 의해 소켓(10)이 탄력적으로 천장 또는 벽체에 고정지지되어 불의의 외력을 흡수하고 분해/결합이 용이하다.The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연결장치의 광원하우징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ght source housing of th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광원하우징(20)은 소켓(10)의 개방된 지점에 결합되며, 내부에 빛을 발광하는 광원소자(1)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광원하우징(20)은 하우징본체(21)와, 투과커버(22)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4, the
상기 본체(21)는 내부에 광원소자(1)가 장착되며, 빛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개방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하우징본체(21)의 내주면에는 광원소자(1)를 고정하기 위해 후크(hook)(23)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23)는 광원소자(1)가 수용되는 선상에서 광원소자(1)의 빛이 조사되는 방향(도면의 하면)의 인쇄회로기판(3) 외주면에 걸려지도록 구성된다.The
동시에, 상기 하우징본체(21)는 광원소자(1)를 고정하고 정위치에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후크(23)와 이격된 내주면에 장착편(24)이 형성된다. 이 장착편(24)은 광원소자(1)의 빛이 조사되는 방향의 반대측 인쇄회로기판(3)의 면(도면의 상면)에 접촉되며 방사상 다수개 형성된다.At the same time, the
상기 투과커버(22)는 하우징본체(21)의 개방지점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투과커버(22)는 무색 또는 목적하는 색상의 투명체로 형성되어 광원소자(1)의 빛이 투과되어 조사되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투과커버(22)는 하우징본체(21)와 접착 결합되는 구성을 기본으로 하며, 하우징본체의 외주면에 홈을 형성하고 투과커버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후크를 형성시켜 결합시킬 수도 있으며, 이 외에 별도의 결합작업 없이 후술될 마감커버(50)에 의해 결합력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과 광원하우징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socket and the light sourc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참조하면, 상기 접속결합부(30)는 소켓측 단자(31)와, 하우징측 단자(32)로 이루어진다.For reference, the
상기 소켓측 단자(31)는 천장이나 벽체에 이미 매입된 전원선과 연결되며 소켓(10)의 매입된 측부에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측 단자(32)는 소켓측 단자(31)와 접속되기 위해 광원하우징(20)의 소켓측 단자(31) 측으로 돌출되어 소켓(10)에 삽입결합되며 광원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된 광원소자(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socket-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하우징측 단자(32)의 끝단부에는 단자(32)의 외주 직경보다 외주 직경이 더 큰 확장부(33)가 형성된다. 이 확장부(33)는 하우징측 단자(32)가 소켓(10)에 삽입후 회전되어 소켓측 단자(31)와 접속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와 관련하여 확장부(33)가 삽입되는 소켓(10)의 지점에 삽입홈(14)이 형성되며, 삽입홈(14)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우징측 단자(32)의 외주 직경과 대응되는 폭의 슬릿(15)이 형성되어 구성된다.In this configuration, an extension portion 33 having a larger outer circumferential diameter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ameter of the terminal 3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housing-
특히, 상기 하우징측 단자(32)에는 광원하우징(20)의 내측에 위치된 끝단에 광원소자(1)와 결선된 전선(4)이 삽입고정되기 위한 접속부(40)가 설치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40)는 하우징측 단자(32)의 내측에 중공(41)을 형성하고, 그 양측에 중공(41)과 연통되는 접속통공(42)을 형성한다. 이러한 접속통공(42)에는 광원소자(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전선(4)이 투입되기 때문에,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접속부(40)는 접속통공(42)으로 삽입된 전선(4)을 가압지지하기 위한 가압부재(43)가 중공(41)에 끼워져 장착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43)와 중공(41)의 내측면에는 탄성부재(44)가 장착되어 가압부재(43)가 전선(4)을 탄력적으로 가압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particular, the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소켓(10)의 개방된 전면에는 마감커버(50)가 결합된다.In this configuration, the connection device is coupled to the
상기 마감커버(50)는 외주단과 내주단을 갖는 고리(도넛:doughnut)형태로 형성되어 외주단은 소켓(10)의 외주단(전술된 플렌지부)에 결합되고, 내주단은 소켓(10)의 개방부에 결합된 광원하우징(2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The
특히, 상기 마감커버(50)는 소켓(10)의 외주단부에 끼워지는 걸림턱(51)이 외주단에 형성되어 마감커버(50)를 소켓(10)측으로 가압하는 단순한 행위에 의해 손쉽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마감커버(50)는 주로 탄력이 우수한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걸림턱(51)이 소켓(10)의 플렌지부(13)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In particular,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결장치는 광원소자(1)와 전원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 기 위한 연결전선의 구성대신 소켓(10)의 소켓측 단자(31)와 광원하우징(20)의 하우징측 단자(32) 간의 결합에 의해 그 결합이 보다 손쉽게 수행된다.The connection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socket-
또한, 상기 광원하우징(20), 광원소자(1), 투과커버(22)는 단일의 유닛형태로 제작된 후, 전원선과 연결을 수행하기 위해 소켓(10)에 단순히 끼워 돌리는 행위를 수행하게 되어 결합/분리가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다른 실시예1><Other Example 1>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1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도면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1의 연결장치는 원실시예의 하우징측 단자(32)에 비해 단순화된 단자구성을 제시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nnecting device of another
다른 실시예1의 하우징측 단자(60)는 광원소자(1)의 전선(4)을 단순납땜에 의해 연결하여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특히 이와 같은 구성은 광원소자(1)의 교체를 통체로 수행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여 광원하우징(20)을 비롯한 광원소자(1)의 판매전략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다른 실시예2><Other Example 2>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2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도면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2의 연결장치는 원실시예의 연결구성에 비해 상당히 단순화된 구성을 제시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nnecting device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s a considerably simplified configuration compared to the connecting configuration of the original embodiment.
다른 실시예2의 연결장치는 하우징측 단자(70)에 확장부나 소켓의 삽입홈, 슬릿 등의 구성을 배재하고 하우징측 단자(70)가 소켓(10)에 삽입되는 간단한 행위에 의해 전원선과 광원소자(1) 간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connection device of the second embodiment excludes the configuration of the extension part or the insertion groove of the socket, the slit, etc. in th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다른 실시예2의 연결장치는 제작시간의 단축 및 제작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By such a configuration, the connecting device of the second embodiment can shorten the manufacturing time and significantly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장이나 벽체에 매입된 전원선과의 연결이 소켓구성에 의해 손쉽고 안정적으로 연결/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연결전선 연결에 따른 불편함 및 연결전선의 파손/절단의 위험성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with the power line embedded in the ceiling or wall of the building can be easily and reliably connected / disconnected by the socket configuration, the inconvenience of connecting the separate connection wires and damage to the connection wires The risk of cutting is eliminated.
또한, 본 발명은 광원하우징과 접속단자의 구성에 의해 광원이 소켓에 편리하게 결합/이탈되어 전원선과의 접속부 또는 광원의 보수나 교체가 편리하게 수행되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얻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source is conveniently coupled / detached to the socket by the configuration of the light source housing and the connection terminal, so that the connection part with the power line or the repair or replacement of the light source is conveniently performed, thereby reducing the working time.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00951A KR100841120B1 (en) | 2006-10-17 | 2006-10-17 | Power connector for light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00951A KR100841120B1 (en) | 2006-10-17 | 2006-10-17 | Power connector for light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34688A KR20080034688A (en) | 2008-04-22 |
KR100841120B1 true KR100841120B1 (en) | 2008-06-24 |
Family
ID=39574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00951A Expired - Fee Related KR100841120B1 (en) | 2006-10-17 | 2006-10-17 | Power connector for light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41120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5278Y1 (en) | 2011-11-30 | 2013-02-08 | 대림산업 주식회사 | Outlet-mounted ceiling fixture |
CN109340613A (en) * | 2018-09-27 | 2019-02-15 | 彭峰 | A kind of ceiling lamp changing fluorescent tube convenient for heat dissipa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6697B1 (en) * | 2008-06-05 | 2010-05-10 | 주식회사 에이팩 | LED purchase lighting |
KR101047989B1 (en) * | 2008-08-20 | 2011-07-13 | 김윤배 | LED fluorescent lamp and its driving system |
KR101160807B1 (en) * | 2010-12-23 | 2012-06-29 | (주)디에스일렉트론 | Led lighting apparatus |
KR102120827B1 (en) * | 2019-05-13 | 2020-06-09 | 주식회사 프라임엘 | Down light for refill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10005A (en) * | 2002-09-04 | 2004-01-31 | 주식회사 정우조명 | structure device of ballast stabilizer for recessed light fittings |
-
2006
- 2006-10-17 KR KR1020060100951A patent/KR10084112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10005A (en) * | 2002-09-04 | 2004-01-31 | 주식회사 정우조명 | structure device of ballast stabilizer for recessed light fitting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5278Y1 (en) | 2011-11-30 | 2013-02-08 | 대림산업 주식회사 | Outlet-mounted ceiling fixture |
CN109340613A (en) * | 2018-09-27 | 2019-02-15 | 彭峰 | A kind of ceiling lamp changing fluorescent tube convenient for heat dissip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34688A (en) | 2008-04-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383551B (en) | Anschlusselement zur elektrischen anbindung einer led | |
KR200482439Y1 (en) | LED Lamp | |
JP6180052B2 (en) | LED lamp | |
US8083393B2 (en) | Substantially inseparable LED lamp assembly | |
US7270555B2 (en) | Car interior LED lamp adapter electrical connector structure | |
KR100841120B1 (en) | Power connector for lighting | |
KR20180110911A (en) | Led lighting apparatus | |
WO2017024940A1 (en) |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 |
KR101869248B1 (en) | Ring type LED Lamp | |
RU2616965C2 (en) | Control interface module | |
KR20090102026A (en) | Safety led lighting fitting from short circuit | |
KR100904306B1 (en) | Socket type LED | |
KR200455190Y1 (en) | LED landfill | |
KR20090082998A (en) | LED lamp | |
CN110927954B (en) | Endoscope illuminating mechanism and portable endoscope | |
KR101486227B1 (en) | Illumination device and assembly therewith | |
KR101218333B1 (en) | Different kind plug assembling type led lighting lamp | |
KR20120017859A (en) | LED Fluorescent Tube | |
CA2592671A1 (en) | Light-bulb conductive device | |
CN214094093U (en) | Spliced strip lamp | |
KR101835983B1 (en) | Mounting device for light emitting diode lamp | |
KR101175360B1 (en) | Led lamp | |
KR20100083479A (en) | The led lamp which has an establishment state transformation composition | |
KR100944262B1 (en) | Lighting fixtures | |
KR200224392Y1 (en) | Ligting Fixtur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1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6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