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849B1 - Sewage Backflow Prevention Device with Removable Switch - Google Patents
Sewage Backflow Prevention Device with Removable Switc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36849B1 KR100836849B1 KR1020070039073A KR20070039073A KR100836849B1 KR 100836849 B1 KR100836849 B1 KR 100836849B1 KR 1020070039073 A KR1020070039073 A KR 1020070039073A KR 20070039073 A KR20070039073 A KR 20070039073A KR 100836849 B1 KR100836849 B1 KR 1008368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wage
- inlet
- body portion
- prevention device
- backflow preven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하수역류방지장치가 배수관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sewage backflow prevention device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the drain pipe.
도 2은 종래의 하수역류방지장치가 배수관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다른 모습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state in which the conventional sewage backflow prevention device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the drain pipe.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역류방지장치의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wage backflow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역류방지장치에 장착되는 착탈식 역지변 개폐기의 정면도.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removable reverse valve switch mounted on the sewage backflow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역류방지장치에 장착되는 착탈식 역지변 개폐기의 측면도.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removable reverse valve switch mounted on the sewage backflow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6는 도 3에서 도시된 하수역류방지창치의 A-B 단면도.6 is an A-B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wage backflow prevention device shown in FIG.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하수역류방지장치를 집수정의 배출구측에 설치한 모습을 도시하는 개략도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wage backflow prevention device is installed on a discharge port side of a sump we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code about main part of drawing ※
100 : 하수역류방지장치 200 : 몸체부100: sewage backflow prevention device 200: body
300 : 연지변 개폐기 31 : 유입부300: soft switch 31: inlet
32 : 개구부 33 : 안내 레일32: opening 33: guide rail
41 : 역지판 42 : 경첩부41: check plate 42: hinge portion
43 : 수밀부재 44 : 돌출턱43: watertight member 44: protruding jaw
45 : 착탈용 봉45: removable rod
본 발명은 하수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역류방지장치에 착탈식 역지변 개폐기를 장착함으로써, 하수역류방치장치내에 쌓인 슬러지와 같은 오물을 용이하게 준설할 수 있는 하수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age backflow preven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wage backflow prevention device capable of easily dredging soil such as sludge accumulated in the sewage backflow discharge device by installing a removable reverse displacement switch in the sewage backflow prevention devic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여름철에 장마철이나 집중호우시 또는 과밀주거지역에서는 순간적으로 많은 양의 유량이 배수관에 유입되면서 수위가 높아져 배수관으로 배출되어야 할 하수가 배수되지 못하고 건물내로 역류되어 침수피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In general, during the rainy season, heavy rains, or overcrowded areas in summer, the floodwater flows into the drainage pipe at a moment's time and the water level rises. .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68154호에는 "배수관의 하수역류방지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168154 discloses a technique related to a "sewage backflow prevention device of a drain pipe."
도 1 및 2는 상술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68154호에 개시된 도 4 및 5 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하수역류방지장치가 배수관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1 and 2 corresponds to FIGS. 4 and 5 disclosed in the above-described Utility Model Utility Model No. 0168154, which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ewage backflow prevention device installed and operated in a drain pipe.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가 배수구 (7)을 통하여 배수관 (4)에 유입 이 되고, 그 후 배수관 (4)과 배수관 (4')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하수역류방치장치 (1)로 유입이 되게 되는데, 이때 유입된 하수의 수압에 의하여 하수역류방지장치 (1)의 역지변 개폐기 (8)는 상측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그 결과 유입된 하수는 배수관 (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As shown in FIG. 1, sewage is introduced into the
한편, 배수구 (7)로부터 유입된 하수의 압력이 일정 이하로 저하되면 상측방향으로 회동되었던 역지변 개폐기 (8)는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회동되어 출구 (6)을 막아주게 된다. 이에 따라, 배수관 (4')를 통해 흐르던 하수가 역류를 하게 되어도 역지변 개폐기 (8)에 의해 하수의 유입이 차단되므로, 역류된 하수 또는 하수의 악취가 배수관 (4) 및 배수구 (7)를 통해 건물 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ssure of the sewage flowed in from the
한편, 하수역류방지장치의 내부에 슬러지와 같은 오물이 상당량 퇴적되는 경우에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관 (4)를 통해 하수가 유입되더라도 오물이 역지변 개폐기 (8)가 상측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막기 때문에 오히려 배수관 (4)를 통해 유입된 하수가 배수관 (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배수구 (7) 방향으로 역류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문제점에 따라, 하수역류방지장치의 내부의 오물을 필요한 경우 준설할 필요가 있으나, 종래의 하수역류방지장치에 장착된 역지변 개폐기는 모두 경첩으로 구성된 상측부가 하수역류방치장치 내에 고정되어 분리가 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 하수역류방지장치내의 오물을 출구 (6)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고자 하여도 역지변 개폐기 (8) 때문에 오물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when a large amount of dirt, such as sludge is deposited inside the sewage backflow prevention device, even if sewage flows in through the
아울러,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60319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28176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33348호 등에도 개량된 하수역류방지장치가 개시되어있으나, 이들 고안들 또한, 상술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68154호와 같이, 역지변 개폐기가 하수역류방지장치내에 고정되어 분리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어 상술한 문제점들을 여전히 포함하고 있다. In addition, improved utility sewerage prevention device is also disclosed in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0260319,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0328176,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0333348, and the like. As with 0168154, the reverse displacement switch is fixed in the sewage backflow prevention device so that it cannot be separated and still contains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역류방지장치에 설치된 역지변 개폐기를 착탈식으로 구성함으로써, 내부에 퇴적된 오물의 준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하수역류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wage backflow prevention device that can facilitate the dredging of the dirt deposited therein by detachable configuration of the reverse displacement switch installed in the sewage backflow prevention device.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수정 내부에 유입된 하수에 의해 하수역류방지장치가 보이지 않더라도 손쉽게 역지변 개폐기를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는 하수역류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wage backflow prevention device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separated from the reverse switching switch even if the sewage backflow prevention device is not seen by the sewage introduced into the sump.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수역류방지장치는 유입부 및 유출부를 구비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내부에 장착되어 하수의 유입압력에 따라 상기 유입부를 개방시키고 자중 또는 역류되는 하수의 압력에 의해 상기 유입부를 폐쇄시키도록 상기 유입부측에 장착되는 역지변 개폐기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측면에 상기 역지변 개폐기를 상기 몸체부 내부로 삽입시킬 수 있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역지변 개폐기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몸체부에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ewage backflow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And a reverse shift switch mounted inside the body to be mounted on the inlet side to open the inlet according to the inlet pressure of the sewage and to close the inlet by the pressure of the sewage flowing back or the body. The upper side is provided with an opening for inserting the reverse switching unit into the body portion, the reverse switch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e to the body portion through the opening.
바람직하게, 상기 역지변 개폐기는 상기 유입부 보다 더 큰 형상을 갖는 역지판; 상기 역지판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역지판의 상하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경첩부; 상기 경첩부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는 수밀부재; 상기 수밀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역지변 개폐기를 상기 몸체부의 상측면에 지지시키는 돌출턱; 및 상기 돌출턱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 외부에서 상기 역지변 개폐기의 삽입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착탈용 봉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check valve comprises a check plate having a larger shape than the inlet; A hinge portion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check plate to enable vertical movement of the check plate; A watertight member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hinge portion and increasing in thickness in an upward direction; A protruding jaw coupled to the watertight member to support the reverse switching unit on an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a detachable rod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protruding jaw to enable insertion and detachment of the reverse shift switch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수밀부재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이다.Preferably, the cross section of the watertight member is trapezoidal in shape.
바람직하게, 상기 역지판은 상기 유입부에 대향하는 측면에 소정의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수밀부재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check plate further comprises a watertight member made of a predetermined rubber material on the side facing the inlet.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부는 상기 개구부의 일측을 따라 상기 몸체부 내부에 돌출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는 상기 역지변 개폐기의 수밀부재는 상기 돌출턱과 상기 유입부가 형성된 상기 몸체부의 측면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된다.Preferably, the body portion further includes a protruding jaw inside the body portion along one side of the opening, wherein the watertight member of the reverse switching switch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has a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n which the protruding jaw and the inflow portion are formed. It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and fixed.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부는 상기 개구부의 양측에 상기 역지변 개폐기를 상기 개구부로 안내하는 안내 레일을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body portion further includes a guide rail for guiding the reverse switching unit to the opening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부는 상측면에 배수펌프 유출라인이 연결되는 배수펌프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수펌프 연결부의 상부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덮개가 장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body portion further comprises a drain pump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drain pump outlet line on the upper side, the cover may be mounted detachabl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rain pump connec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역류방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역류방지장치에 장착되는 착탈식 역지변 개폐기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wage backflow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and 5 are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the removable reverse displacement switch mounted on the sewage backflow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수역류방지장치 (100)는 일측면에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31), 유입부 (31)에 대향하는 타측면에 유출구 (미도시 및 상측면에 역지변 개폐기가 출입할 수 있는 개구부 (32)를 구비하는 몸체부 (200), 및 안내 레일 (32) 의 안내에 따라 몸체부 (200)의 상측면에 구비된 개구부 (32)를 통해 몸체부 (200)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또는 몸체부 (200)의 외부로 분리될 수 있는 착탈식 역지변 개폐기 (300)을 구비한다. 또한, 몸체부 (200) 의 상측면에는 배수펌프 (미도시)의 유출라인이 연결될 수 있는 배수펌프 연결부 (33)가 형성될 수 있다. 배수펌프 연결부 (34)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캡 (35)이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되는 하수가 증가하여 배수 펌프를 별도로 작동시키는 경우, 배수 펌프로부터 유출되는 하수를 하수역류방지장치를 통해 하수관으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배수를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하수의 역류 또한 방지할 수 있다.3 to 5, the sewage
다음으로, 역지변 개폐기 (300)의 형상은 유입부 (31)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상측부에는 경첩을 구비함으로써 상하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유입부 (31)로 하수가 유입되는 경우 하수의 수압에 의해 역지변 개폐기 (300) 은 상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하수의 유량이 줄어들어 수압이 일정 이하로 저하되는 경우에는, 역지변 개폐기 (300) 자체의 무게에 의해 역지변 개폐기는 (300)은 하방향으로 회동하여 유입부 (31)를 완전히 기밀하게 된다. 또한, 하수관에서 역류가 발생하여 하수역류방지장치 (100) 의 유출부로부터 하수가 역류하는 경우에는 유입구 형상보다 큰 역지변 개폐기 (300)은 유입부 외주면에 의해 회동이 차단되므로 하수가 유입부 (31)을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Next, the shape of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역지변 개폐기 (300)는 몸체부 (200)에 고정되어 분리될 수 없는 것이 아니라 안내 레일 (33)을 통해 안내되어 몸체부 (200) 내부로 또는 외부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안내 레일 (33)은 그 길이 방향으로 오목 형상의 홈을 구비하고 있고, 역지변 개폐기 (300) 은 양 측면에 안내레일의 오목 형상의 홈에 대응되는 볼록부를 구비하고 있어, 역지변 개폐기 (300)은 안내 레일 (33)을 통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반대로, 안내 레일 (3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볼록부를 형성하고, 이 볼록부에 대응되는 오목 형상의 홈을 역지변 개폐기 양측에 형성해도 된다.In additio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수역류방지장치 (100)는 역지변 개폐기 (300) 가 착탈식으로 구성됨으로써, 몸체부 (200)의 내부에 슬러지와 같은 오물이 상당량 퇴적되어, 역지변 개폐기 (300)가 상방향으로 회동할 수 없게 되는 경우에도 역지변 개폐기 (300)을 안내 레일 (33) 을 통해 분리할 수 있어, 유입부 (31)로부터 오물을 손쉽게 준설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wage
다음으로, 도 4 및 5를 참조하여 역지변 개폐기 (300)의 구조를 상세히 살펴보면, 역지변 개폐기 (300)는 하수역류장치의 유입부 (31)보다 커서 역류시 하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하수의 압력에 의해 유입부 (31)을 막아 역류를 방지하는 역지 판 (41), 합성수지 재질로서 구성되는 동시에 역지판 (41)의 상측에 결합되어 역지판 (41)의 상하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경첩부 (42), 경첩부 (42)의 상측에 결합되어 유입되는 하수의 수밀을 향상시키는 수밀부재 (43), 역지변 개폐기 (300)이 몸체부 (200) 의 상측에 고정되어 더이상 몸체부 내부로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하는 돌출턱 (44), 및 역지변 개폐기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착탈용 봉 (45)를 포함한다. Next, referring to Figures 4 and 5 in detail the structure of the
바람직하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밀부재 (43)는 그 단면의 두께가 위로 갈수록 더 두꺼워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 개구부 (32)와 역지변 개폐기 (100) 사이의 수밀을 더욱 향상시킨다.Preferably, as shown in Figure 5, the
또한, 바람직하게, 역지변 개폐기 (300)는 유입부 (31) 방향의 측면에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수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입부 (31) 을 통한 하수의 수밀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하수역류방지창치의 A-B 단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A-B of the sewage backflow prevention device shown in FIG. 3. FIG.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 (200)은 역지변 개폐기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는 동시에 오염물질이 퇴적되는 경우 청소가 용이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유입부 (31)은 역지판 보다 작게 개구되어 있고, 가정 하수관이 장착되는 유출구 (62) 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하여 가정하수의 유입시 가정 하수관을 통해 배수가 용이하도록 하며 퇴적물이 쌓여도 배수가 원할하게 한다. 또한, 유출구 (62)의 일측단에는 요철부 (63)가 형성되어 있어, 가정하수관을 유출구에 삽입 설치하는 경우, 가정 하수관이 더 이상 몸체부 (200)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한다. As shown in FIG. 6, the
한편, 개구부 (32)의 하측부에는 역지변 개폐기 (100)의 수밀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역지변 개폐기 고정부 (64)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 (64)는 몸체부 (200)의 상판의 내측면의 일측에 돌출벽을 구비하고 있어, 유입부 (31) 가 형성된 몸체부의 측면과 돌출벽 사이의 공간에 역지변 개폐기 (100)의 수밀부재가 삽입되며, 이에 따라, 역지변 개폐기는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몸체부에 고정된다. 돌출벽의 높이는 수밀부재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유입부 (31)을 통해 유입되는 하수의 수압에 견딜수 있도록 견고하게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수역류방지장치 (100)는 역지변 개폐기 (300)가 몸체부 (200)로 삽입하거나 또는 몸체부 (2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어 필요한 경우 몸체부 (200) 내부로부터 오염물질을 용이하게 준설할 수 있다. As such, the sewage
또한, 바람직하게, 역지변 개폐기 (300)는 유입부 (31) 방향의 측면에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수밀부재 (65)를 더 포함하여, 유입부 (31)과 역지판 (41) 사이의 수밀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하수역류방지장치를 집수정의 배출구측에 설치한 모습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Next, FIG.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wage backflow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outlet side of the sump.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정 (70)은 가정으로부터 배수된 하수가 배수관 (72)를 통해 유입되어 저장되거나, 스틸그레이팅 (80: 빗물받이)을 통해 외부로부터 하수 또는 비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장소이며, 이와 같이 집수정에 일시 저장된 하수는 배수관 (74)를 통해 하수관로 (76)으로 배수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하수역류방지장치 (100)는 집수정 (70)의 내부에서 배수관 (74)의 일단에 설치된다. As shown in FIG. 7, the
집수정 (70)에 어느 정도 하수가 차 오르면 하수역류방지장치 (100)의 유입부 (31)을 통해 하수가 유입되게 되고, 하수의 수압에 의해 역지변 개폐기 (100)의 역지판 (41)은 힌지 (42)에 의해 상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이후 하수의 유입이 중단되면 역지판 (41)은 역지판 (41)의 자체 무게에 의해 하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또한, 집중 호우 등에 의해 배수관 (74)를 통해 하수가 역류하는 경우에는 역류된 하수의 수압에 의해 역지판이 유입구를 기밀하게 되어, 역류된 하수가 집수정 (7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When the sewage rises to the sump well 70, the sewage flows in through the
또한, 집수정 (70) 내의 하수의 배수를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추가로 집수정 (70) 내에 배수펌프 (7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배수펌프를 통해 유출된 하수는 하수역류방치장치 (100)의 상측면 일측에 설치된 배수펌프 연결부 (34)에 연결된 유출라인 (78)을 통해 하수역류방지장치 내부로 배출되게 되며, 배출된 하수는 하수역류방지장치에 의해 다시 집수정 (70)내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집수정 (70) 내에 배수펌프 (78)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배수 펌프 유입부 (34)를 캡 (35)으로 밀봉하여 둔다. In addition, in order to further facilitate the drainage of sewage in the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지변 개폐기 (300)는 집수정 (70)의 상부까지 길게 뻗어 있는 착탈용 봉 (35)을 구비하고 있어, 집수정 (70)의 외부에서도 역지변 개폐기를 몸체부 (200) 내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수가 집수정 (70) 내에 넘쳐 집수정 (70)의 외부에서 하수역류방지장치 (100)이 식 별되지 않더라도, 착탈용 봉 (35)을 이용하여 역지변 개폐기 (300)가 안내 레일 (33) 에 의해 안내되도록 하여 역지변 개폐기 (300)을 몸체부 (200) 내에 삽입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 the reverse
이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여러 실시형태에 대한 상술한 설명은 당업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 실시형태들의 여러 변형은 당업자에게 명백히 이해될 것이며, 여기서 정의된 일반적 원리는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실시형태에 적용될 수 있는 사항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서 개시된 실시형태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는 여기서 개시된 원리 및 신규한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는 최광의 범위가 부여된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various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disclosed invention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use of the invention. Many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are applicable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given the broadest scope including the principles and novel technical features disclosed herein.
본 발명의 하수역류방지장치에 따르면, 하수역류방지장치에 설치된 역지변 개폐기를 착탈식으로 구성함으로써, 내부에 퇴적된 오물의 준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wage backflow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structing the reverse displacement switch installed in the sewage backflow prevention device detachably,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dredging of the dirt deposited therein.
또한, 본 발명의 하수역류방지장치에 따르면, 집수정 내부에 유입된 하수에 의해 하수역류방지장치가 보이지 않더라도 손쉽게 역지변 개폐기를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wage backflow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sewage backflow prevention device is not seen by the sewage introduced into the sump,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and detach the reverse displacement switch.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9073A KR100836849B1 (en) | 2007-04-21 | 2007-04-21 | Sewage Backflow Prevention Device with Removable Switc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9073A KR100836849B1 (en) | 2007-04-21 | 2007-04-21 | Sewage Backflow Prevention Device with Removable Switch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36849B1 true KR100836849B1 (en) | 2008-06-11 |
Family
ID=39770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39073A KR100836849B1 (en) | 2007-04-21 | 2007-04-21 | Sewage Backflow Prevention Device with Removable Switch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36849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444198A (en) * | 2010-10-09 | 2012-05-09 | 苏州科逸住宅设备股份有限公司 | Floor drain for integral bathroom |
KR101181459B1 (en) | 2010-12-16 | 2012-09-10 | (주)동우금속 | The street inlet for preventing odo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4944A (en) * | 1994-06-16 | 1996-01-12 | Kubota Corp | Double floor type valve device |
KR200168422Y1 (en) * | 1999-07-31 | 2000-02-15 | 명고봉 | Water path for drain gutter |
KR200427611Y1 (en) | 2006-07-11 | 2006-09-29 |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 Water and sewage sluice device with automatic ratio |
-
2007
- 2007-04-21 KR KR1020070039073A patent/KR100836849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4944A (en) * | 1994-06-16 | 1996-01-12 | Kubota Corp | Double floor type valve device |
KR200168422Y1 (en) * | 1999-07-31 | 2000-02-15 | 명고봉 | Water path for drain gutter |
KR200427611Y1 (en) | 2006-07-11 | 2006-09-29 |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 Water and sewage sluice device with automatic rati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444198A (en) * | 2010-10-09 | 2012-05-09 | 苏州科逸住宅设备股份有限公司 | Floor drain for integral bathroom |
KR101181459B1 (en) | 2010-12-16 | 2012-09-10 | (주)동우금속 | The street inlet for preventing od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46420B1 (en) | Backflow prevention device for manhole of sewer pipe | |
JP3337678B2 (en) | Sewage ditch backflow prevention device | |
KR100983466B1 (en) | Backflow prevention device for manhole of sewer pipe | |
KR100918431B1 (en) | Odor prevention rain gutter and construction method | |
KR20110054572A (en) | Grating with cover and sump with it | |
KR100836849B1 (en) | Sewage Backflow Prevention Device with Removable Switch | |
KR100928449B1 (en) | Roadside sump | |
KR100775441B1 (en) | Sewage collection structure for preventing backflow | |
KR20140005618A (en) | Buoyancy drain traps to prevent odors | |
KR20010086955A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reverse flow in drainage | |
JP2019148140A (en) | Piping installation for temporary toilet | |
KR200327344Y1 (en) | A draining trap capable of installation and division | |
KR200383882Y1 (en) | A sewage tool | |
KR100473604B1 (en) | A soil and foul water prirate use plastics a manhol | |
KR100528615B1 (en) | Structure of drainpipe protection flowing backward | |
KR200333411Y1 (en) | Offensive odor backflow prevention device | |
KR200333410Y1 (en) | The barrel that can gather both rainwater and sewage | |
KR200407641Y1 (en) | Sewage | |
KR100564921B1 (en) | Sewer pipe manhole | |
KR100942607B1 (en) | Manhole cover with smell intercepting device | |
KR100739365B1 (en) | Drain trap | |
KR200429801Y1 (en) | Odor blocking device of sewer manhole | |
KR100367229B1 (en) | Subsidiary wastewater supply tank of a chamber pot | |
KR100856088B1 (en) | Drain trap to prevent backflow of foam | |
KR20080015284A (en) | Sewage Draina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6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6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6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