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716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716B1
KR100836716B1 KR1020060111711A KR20060111711A KR100836716B1 KR 100836716 B1 KR100836716 B1 KR 100836716B1 KR 1020060111711 A KR1020060111711 A KR 1020060111711A KR 20060111711 A KR20060111711 A KR 20060111711A KR 100836716 B1 KR100836716 B1 KR 100836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blade
hole
transfer
feed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1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3098A (ko
Inventor
이재준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1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716B1/ko
Publication of KR20080043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3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crew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이송 장치는 바닥면이 중심부에서 그 외곽부로 하향경사지도록 구배(勾配)가 형성되며,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음식물 투입홀; 및 상기 바닥면과 대응되는 구배로 형성된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가 연결되는 구동축으로 구성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스크류에서 전달홀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가 상승로로 이송되고, 상기 상승로에서 연통홀을 통해 배출로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이송 장치에 의하면, 이송 장치의 이송 성능이 개선될 수 있고, 이송 장치 내부에 대한 세척 성능이 개선될 수 있고, 블레이드와, 케이스 일부가 마찰되어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송 스크류의 블레이드, 케이스의 바닥면, 구배, 경사면, 고무 재질, NBR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이송 장치{Transferring apparatus of garbage disposal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이송 장치를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케이스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의 블레이드 및 투입홀 베이스를 보이는 수직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의 블레이드 및 투입홀 베이스를 보이는 수직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투입홀 베이스 100 : 케이스
110 : 투입홀 형성부 111 : 투입홀
112 : 전달홀 160 : 가이드 돌기
210, 220, 230 : 1차 이송 스크류
211, 212, 221, 222, 231 : 1차 이송 스크류의 블레이드
213, 223, 233 : 1차 이송 스크류의 스크류 축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으로 발효처리방식과, 소각처리방식, 사료 및 비료(퇴비)로 재활용하는 방식, 그리고, 땅속에 매립하는 매립방식이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들은 대규모의 시설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수집과 운반 또는 저장에 따른 악취나 불편함 등의 다양한 부작용과 환경오염이라는 심각한 사회문제를 유발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에 의한 환경오염을 줄이고 재활용하여 사용하는 문제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현재의 국내 총 가구수는 1천만 가구를 돌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환경오염과 관련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대한 대책 및 결과는 아직까지 예상이 많이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그 원인으로는 가정주부들의 자원낭비 및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인하여 분리수거를 철저히 못한 점도 있지만, 주된 이유는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음식물쓰레기 재활용을 위한 현재의 음식물 쓰레기 분리수거 방법은 손으로 직접 물기가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운반하여야 하므로 주부를 번거롭게 할 수 있고 악취를 발생시켜 가정주부에게 협오감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억제 및 재활용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 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의 싱크대에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는 탈수, 절단 및 건조등의 일련의 과정을 거쳐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함과 아울러 부피를 줄여 그 배출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하여 탈수하면서 절단하여 잘게 잘라주는 탈수/절단부, 탈수 및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장치 및 모터에 의해서 일방향 회전되는 교반 스크류에 의해서 탈수 및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를 골고루 뒤집고 분산시키면서 고열에 의해서 수분을 제거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는 건조 장치 및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어 저장되는 배출함을 갖추어 구성된다.
상기 이송 장치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을 위한 이송 스크류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 스크류는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이송 장치에 의하면, 이송 스크류의 블레이드 저항 등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 스크류 부근에 끼게 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정체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이송 장치가 작동될 때, 이송 스크류의 블레이드와 이송 장치의 바닥면 사이에서 마찰에 의한 소음이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송 장치 내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송 장치 내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이 이루어질 때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이송 장치는 바닥면이 중심부에서 그 외곽부로 하향경사지도록 구배(勾配)가 형성되며,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음식물 투입홀; 및 상기 바닥면과 대응되는 구배로 형성된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가 연결되는 구동축으로 구성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스크류에서 전달홀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가 상승로로 이송되고, 상기 상승로에서 연통홀을 통해 배출로로 전달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이송 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고 배출로로 이송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의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도록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이송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의 경사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이송 장치에 의하면, 케이스 바닥면 인 투입홀 베이스 및 이송 스크류의 블레이드가 경사져 있으므로, 투입홀에서 이동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자중에 의해 투입홀 베이스 및 블레이드의 외곽부로 집중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외곽부에 형성된 전달홀에 음식물 쓰레기가 원활하게 집중될 수 있으므로, 이송 장치의 이송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이송 장치에 의하면, 투입홀 베이스 및 블레이드가 경사져 있으므로, 투입홀로 유입되는 설거지물 등의 물에 의해 투입홀 베이스 및 이송 스크류에 묻은 음식물 쓰레기의 찌꺼기 등의 이물질이 원활하게 세척될 수 있다. 따라서, 투입홀 내부, 예를 들어 투입홀 베이스 및 블레이드 사이의 부분 등에 잔존되는 이물질의 부패로 인한 악취, 위생 상의 문제점 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이송 장치에 의하면, 투입홀 베이스와 대면되는 블레이드의 부분에 고무 재질 물질부가 형성됨에 따라, 블레이드와, 투입홀 베이스의 상단면이 마찰되어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이송 장치에 의하면, 이송 스크류에 단수 개의 블레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일정한 양의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된 후, 블레이드의 회전 방향 쪽에 잔존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이 저감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 장치의 이송 성능이 개선될 수 있고, 그러한 잔존 음식물 쓰레기를 세척하기 위한 별도의 세척 행정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실시예들을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이송 장치를 보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케이스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10)는 케이스(100)와, 캡(20)과, 1차 이송 스크류(210)와, 2차 이송 스크류(50)와, 베이스 플레이트(4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투입홀 형성부(110)와, 상승로 형성부(120)와, 배출로 형성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투입홀 형성부(110)에는 소정 직경의 투입홀(111)이 형성된다. 상기 투입홀 형성부(110)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상승로 형성부(120)에는 상기 투입홀(111)과 전달홀(112)에 의해 연통되고, 상기 투입홀(111)보다 작은 직경의 상승로(121)가 형성된다. 상기 상승로 형성부(120)의 일측에는 상기 상승로(121)와 연통홀(131)에 의해 연통되는 배출로(141)가 형성된다.
도시된 도면번호 114는 캡(20), 베이스 플레이트(40) 등과의 결합을 위해 볼트 등의 결합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이다.
상기 투입홀(111)의 저면에는 상기 케이스(100)의 바닥면인 투입홀 베이스(30)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홀 베이스(30) 상면에 1차 이송 스크류(210)가 배치된다. 상기 1차 이송 스크류(210)는 스크류 축(213)과, 복수의 블레이드(211)(212)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투입홀 베이스(30)가 소정의 구배로 경사진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1차 이송 스크류(210)의 블레이드(211)(212)도 상기 투입홀 베이스(30)의 구배에 대응되는 구배로 형성되어, 상기 투입홀 베이스(30)에 대응되 는 형상을 이룬다. 이에 대하여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상기 1차 이송 스크류(210)는 구동 장치(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투입홀(111)로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투입홀(111) 내부에서 교반시키면서, 상기 전달홀(112)을 통해 상기 상승로(121)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투입홀(111) 내부에서의 교반 및 이송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는 탈수될 수 있다. 상기 탈수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에서 분리된 물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0)에 형성되는 홀 등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입홀(111)로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투입홀(111)의 전측에 설치되는 탈수/절단부(미도시)에서 압축, 탈수 및 절단되어 잘게 잘린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상승로(121)의 내부에는 2차 이송 스크류(50)가 배치된다. 상기 2차 이송 스크류(50)는 스크류 축(51)과, 연속된 형상의 블레이드(52)로 구성된다. 상기 2차 이송 스크류(50)는 구동 장치(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투입홀(111)에서 상기 전달홀(112)을 통해 전달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상승로(121) 내부에서 수직으로 상승시킨다.
여기서, 상기 2차 이송 스크류(50)와, 상기 1차 이송 스크류(210)는 단수 개의 구동 수단에 의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2차 이송 스크류(50)와, 상기 1차 이송 스크류(210)는 각각 구동 수단과 체인, 벨트, 기어 조합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승로(121)의 상측 말단에는 연통홀(131)이 형성된다. 상기 연통 홀(131)은 상기 상승로(121)와, 그 일측에 형성되는 배출로(141)를 연결시킨다. 상기 배출로(141)는 상기 연통홀(131)을 통해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낙하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배출로(141)의 하측 말단에는 건조 장치(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이송 장치(10)를 경유한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배출로(141)를 통해 상기 건조 장치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건조 장치로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는 장치 내에서 건조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0)는 상기 케이스(100)의 저면을 덮는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0)는 상기 투입홀 형성부(110)와, 상기 상승로 형성부(120)의 저면을 덮는다.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40)가 상기 케이스(100)에 고정되도록, 결합홀(42)에 볼트 등의 결합 부재가 결합된다. 상기 결합홀(42)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는 상기 결합부(112)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0)와, 상기 케이스(1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도시된 도면번호 41은 축 관통홀이다. 상기 축 관통홀(41)은 상기 1차 이송 스크류(210)의 스크류 축(213)의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관통되는 부분이다.
상기 캡(20)은 상기 케이스(100)의 상면, 상세히는 상기 상승로 형성부(120)와, 상기 배출로 형성부(140)를 덮는다. 상기 캡(20)에는 스토퍼(stopper)(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21)는 상기 2차 이송 스크류(50)에 의해 상승된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연통홀(131)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상기 투입홀 형성부(110)의 내벽에는 상기 투입홀(111)의 내부를 향해 소정 높이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1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160)는 상기 1차 이송 스크류(210)에 의해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전달홀(112)을 통해 상기 상승로(121)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투입홀 형성부(110) 내부에 투입홀(111)이 형성된다. 상기 투입홀(111)은 상기 투입홀 형성부(110)의 일측에 형성된 전달홀(112)과 연통된다. 상기 1차 이송 스크류(210)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전달홀(112)의 후부(後部)에 가이드 돌기(160)가 형성된다.
상기 투입홀(111)의 저면에는 케이스(100)의 바닥면인 투입홀 베이스(30)가 형성된다. 상기 투입홀 베이스(30)의 대략 중앙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 이송 스크류(210)의 스크류 축(213)이 관통된다.
상기 스크류 축(213)에는 그 축(213)을 기준으로 대략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제 1 블레이드(211) 및 제 2 블레이드(212)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블레이드(211) 및 상기 제 2 블레이드(212)는 예시적인 것이고, 더 많은 개수의 블레이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투입홀 베이스(30)의 상단면은 소정의 구배로 경사진 형상을 이룬다. 상세히, 상기 투입홀 베이스(30)는 그 중앙부, 즉 상기 스크류 축(213)의 관통홀이 형성된 부분이 그 외곽부, 즉 상기 투입홀 형성부(110) 부근의 부분보다 소정 높이만큼 더 높도록, 소정의 구배로 경사진 형상을 이룬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211)(212)는 상기 투입홀 베이스(30)의 구배에 대응되는 구배로 형성된다. 즉,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211)(212)는 상기 스크류 축(213)을 정점으로 그 외곽부로 갈수록 하향되는 형상을 이룬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투입홀 베이스(30) 및 상기 블레이드(211)(212)가 경사져 있으므로, 상기 투입홀(111)에서 이동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자중에 의해 상기 투입홀 베이스(30) 및 상기 블레이드(211)(212)의 외곽부로 집중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외곽부에 형성된 상기 전달홀(112)에 음식물 쓰레기가 원활하게 집중될 수 있으므로, 상기 이송 장치(100)의 이송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입홀 베이스(30) 및 상기 블레이드(211)(212)가 경사져 있으므로, 상기 투입홀(111)로 유입되는 설거지물 등의 물에 의해 상기 투입홀 베이스(30) 및 상기 1차 이송 스크류(210)에 묻은 음식물 쓰레기의 찌꺼기 등의 이물질이 원활하게 세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입홀(111) 내부, 예를 들어 상기 투입홀 베이스(30) 및 상기 블레이드(211)(212) 사이의 부분 등에 잔존되는 이물질의 부패로 인한 악취, 위생 상의 문제점 등이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입홀 베이스(30) 및 상기 블레이드(211)(212)의 중앙부가 그 외곽부보다 높도록 경사진 형상을 이루는 것은 예시적인 것이다. 즉, 투입홀 베이스 및 블레이드의 중앙부가 그 외곽부보다 낮도록 경사진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중앙부로 음식물 쓰레기가 집중될 수 있으므로, 상기 중앙부 부근에 전달홀 등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에 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소정의 구배로 경사진 다양한 형상의 투입홀 베이스 및 블레이드에 대한 실시예가 제시될 수 있고, 이러한 실시예도 본원 발명의 범위에 포함됨을 밝혀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이송 장치(10)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탈수/절단부 등을 거친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투입홀(111)로 투입된다. 상기 투입홀(111)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1차 이송 스크류(2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투입홀(111) 내부에서 교반되면서 이송된다. 이러한 교반 및 이송 과정에서 상기 투입홀(111)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는 탈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1차 이송 스크류(210)에 의해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투입홀 베이스(30)의 경사진 면을 따라 자중에 의해 그 외곽부로 이동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블레이드(211)(212)의 말단부 부근으로 집중될 수 있어서, 상기 전달홀(112)로 음식물 쓰레기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상기 1차 이송 스크류(210)에 의해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전달홀(112)을 통해 상기 상승로(121)로 유입된다. 상기 상승로(121)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2차 이송 스크류(50)의 회전에 따라, 그 연속된 형상의 블레이드(52)에 의해 상기 상승로(121)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상승된다.
상기와 같이 상승된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상승로(121)의 상단부에 도달되면, 상기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캡(20)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동이 정지된다. 이 때, 상기 2차 이송 스크류(50)의 회전은 계속되고 있으므로, 상기 음식물 쓰레기는 지속적으로 이동 압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그러한 이동 압력에 의해, 상기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스토퍼(21)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되어, 상기 연통홀(131)로 유입된다.
상기 연통홀(131)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배출로(141)로 유입된다. 상기 배출로(141)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자중에 의해 상기 배출로(141)를 따라 낙하된다. 낙하된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배출로(141)와 연결된 건조 장치로 유입되어, 건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의 블레이드 및 투입홀 베이스를 보이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투입홀 형성부(110) 내부에 투입홀(111)이 형성되고, 상기 투입홀(111)의 저면에는 케이스(100)의 바닥면인 투입홀 베이스(30)가 형성된다. 상기 투입홀 베이스(30)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에는 1차 이송 스크류(220)의 스크류 축(223)이 관통된다.
상기 1차 이송 스크류(220)는 상기 스크류 축(223)과, 상기 스크류 축(223)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221)(222)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221)(222) 및 그와 대면되는 상기 투입홀 베이스(30)의 면은 상호 대응되는 구배로 경사진 형상을 이룬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홀 베이스(30) 및 상기 블레이드(221)(222)는 그 중앙부가 그 외곽부보다 높도록 경사진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투입홀 베이스(30)와 대면되는 상기 블레이드(221)(222)의 부분, 여기서는 상기 블레이드(221)(222)의 하부에 고무 재질 물질부(224)(225)가 형성된다. 상기 고무 재질 물질부(224)(225)는 고무 재질의 물질로 이루어져서, 탄성을 가지는 부분이다. 상기 고무 재질의 물질로는, 엔비아르(nitrile butadiene rubber, NBR)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투입홀 베이스(30)와 대면되는 상기 블레이드(221)(222)의 부분에 상기 고무 재질 물질부(224)(225)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221)(222)와, 상기 투입홀 베이스(30)의 상단면이 마찰되어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무 재질 물질부(224)(225)는 상기 블레이드(221)(222)의 하부의 일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그 하부의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고무 재질 물질부(224)(225)가 상기 블레이드(221)(222)의 하부의 전체에 형성되면, 상기와 같은 소음 저감의 효과가 증진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의 블레이드 및 투입홀 베이스를 보이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투입홀 형성부(110) 내부에 전달홀(112)과 연통된 투입홀(111)이 형성된다. 상기 투입홀(111)의 저면에는 케이스(100)의 바닥면인 투입홀 베이스(30)가 형성된다. 상기 투입홀 베이스(30)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는 1차 이송 스크류(230)의 스크류 축(233)이 관통된다.
상기 1차 이송 스크류(230)는 상기 스크류 축(233)과, 상기 스크류 축(233)의 일측으로 연장된 형상을 이루는 단수 개의 블레이드(231)가 형성된다. 도시된 도면번호 232는 상기 스크류 축(233)을 감싸는 부분으로, 상기 블레이드(231)가 상기 스크류 축(233)에 신뢰성있게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블레이드(231) 및 그와 대면되는 상기 투입홀 베이스(30)의 상단면은 상호 대응되는 구배로 경사진 형상을 이룬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홀 베이스(30) 및 상기 블레이드(231)는 그 중앙부가 그 외곽부보다 높도록 경사진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1차 이송 스크류(230)에 단수 개의 블레이드(231)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1차 이송 스크류(230)가 회전될 때, 일정한 양의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된 후, 상기 블레이드(231)의 회전 방향 쪽에 잔존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이 저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 장치(100)의 이송 성능이 개선될 수 있고, 그러한 잔존 음식물 쓰레기를 세척하기 위한 별도의 세척 행정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이송 장치에 의하면, 케이스 바닥면인 투입홀 베이스 및 이송 스크류의 블레이드가 경사져 있으므로, 투입홀에서 이동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자중에 의해 투입홀 베이스 및 블레이드의 외곽부로 집중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외곽부에 형성된 전달홀에 음식물 쓰 레기가 원활하게 집중될 수 있으므로, 이송 장치의 이송 성능이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이송 장치에 의하면, 투입홀 베이스 및 블레이드가 경사져 있으므로, 투입홀로 유입되는 설거지물 등의 물에 의해 투입홀 베이스 및 이송 스크류에 묻은 음식물 쓰레기의 찌꺼기 등의 이물질이 원활하게 세척될 수 있다. 따라서, 투입홀 내부, 예를 들어 투입홀 베이스 및 블레이드 사이의 부분 등에 잔존되는 이물질의 부패로 인한 악취, 위생 상의 문제점 등이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이송 장치에 의하면, 투입홀 베이스와 대면되는 블레이드의 부분에 고무 재질 물질부가 형성됨에 따라, 블레이드와, 투입홀 베이스의 상단면이 마찰되어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이송 장치에 의하면, 이송 스크류에 단수 개의 블레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일정한 양의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된 후, 블레이드의 회전 방향 쪽에 잔존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이 저감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 장치의 이송 성능이 개선될 수 있고, 그러한 잔존 음식물 쓰레기를 세척하기 위한 별도의 세척 행정이 최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9)

  1. 바닥면이 중심부에서 그 외곽부로 하향경사지도록 구배(勾配)가 형성되며,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음식물 투입홀; 및
    상기 바닥면과 대응되는 구배로 형성된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가 연결되는 구동축으로 구성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스크류에서 전달홀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가 상승로로 이송되고, 상기 상승로에서 연통홀을 통해 배출로로 전달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이송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구동축의 일측에 단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하부에는 고무 재질 물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재질 물질부는 상기 음식물 투입홀에 대면되는 상기 블레이드의 부분 전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
  8. 삭제
  9.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고 배출로로 이송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의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도록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이송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의 경사와 접하도록 형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이송 장치.
KR1020060111711A 2006-11-13 2006-11-13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이송 장치 KR100836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711A KR100836716B1 (ko) 2006-11-13 2006-11-13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711A KR100836716B1 (ko) 2006-11-13 2006-11-13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이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3098A KR20080043098A (ko) 2008-05-16
KR100836716B1 true KR100836716B1 (ko) 2008-06-10

Family

ID=39661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1711A KR100836716B1 (ko) 2006-11-13 2006-11-13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7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016B1 (ko) * 2020-03-07 2021-06-21 장정훈 음식물 처리장치
KR102268054B1 (ko) * 2020-03-20 2021-06-24 주식회사 보강에스티 음식물 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156B1 (ko) * 2009-09-12 2012-05-10 배영득 싱크대용 디스포저
KR101129413B1 (ko) * 2009-09-15 2012-03-26 배영득 싱크대용 디스포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523B1 (ko) * 2005-04-14 2005-12-06 브니엘수질환경(주) 스컴 제거용 버퍼를 구비한 침전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523B1 (ko) * 2005-04-14 2005-12-06 브니엘수질환경(주) 스컴 제거용 버퍼를 구비한 침전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016B1 (ko) * 2020-03-07 2021-06-21 장정훈 음식물 처리장치
KR102268054B1 (ko) * 2020-03-20 2021-06-24 주식회사 보강에스티 음식물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3098A (ko) 200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81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0583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83671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이송 장치
KR100676729B1 (ko) 음식물 및 야채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10123958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40100823A (ko) 스크류 압축형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KR20170098669A (ko) 음식물쓰레기 집단처리시설
KR102031273B1 (ko) 협잡물 이단 탈수 이송장치
JPH09239342A (ja) ゴミの減量方法および減量装置
CN110681673A (zh) 水循环垃圾处理设备及其垃圾处理工艺
KR20090123375A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080429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이송 장치
KR19990078750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12537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90073390A (ko) 도어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10068452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음식물 처리장치용 탈수조
KR10079412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이송 장치
KR20150074686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감량기
KR10068452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52736B1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22511204U (zh) 一种厨余垃圾的筛分机构
JP2000254800A (ja) 生ゴミ処理装置
KR100301743B1 (ko) 음식물쓰레기의 폐비닐분리장치
KR10032148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286856B1 (ko) 음식물처리기의 이송부재 및 이를 이용한 멸균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6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5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