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5340B1 - 편경사를 갖는 박스거더 - Google Patents

편경사를 갖는 박스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5340B1
KR100835340B1 KR1020070019680A KR20070019680A KR100835340B1 KR 100835340 B1 KR100835340 B1 KR 100835340B1 KR 1020070019680 A KR1020070019680 A KR 1020070019680A KR 20070019680 A KR20070019680 A KR 20070019680A KR 100835340 B1 KR100835340 B1 KR 100835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girder
superelevation
slope
superelevation slope
b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9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종국
Original Assignee
(주)내경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내경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내경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019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53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34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체인지의 램프와 같은 곡선구간에 적합하도록 박스거더의 슬래브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슬래브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차량의 주행성능을 향상시키며, 슬래브 연장부분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편경사를 갖는 박스거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편경사를 갖는 박스거더는 도로의 인터체인지나 교량의 램프와 같은 곡선구간의 교량을 가설하는데 이용되는 박스거더에 있어서, 상기 박스거더는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길이가 다른 하나의 길이에 비해 길도록 하여, 상기 박스거더의 하부플랜지는 수평을 이루지만, 상부플랜지는 일정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하며, 상기 박스거더의 양측면에서 박스거더의 상부플랜지와 동일경사를 갖는 가로보를 형성하며, 상기 박스거더의 상부플랜지와 가로보의 상면을 따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판을 형성하며, 상기 바닥판의 양단에 철근콘크리트 세로보를 형성하고, 상기 철근콘크리트 세로보에 방호벽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편경사, 박스거더

Description

편경사를 갖는 박스거더{box girder with fragment slope}
도 1a 및 1b는 종래의 박스거더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박스거더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경사를 갖는 스틸 박스거더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경사를 갖는 박스거더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경사를 갖는 스틸 박스거더의 웨브와 하부플랜지 시공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곡선교에서 편경사를 갖는 박스거더의 받침 편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1,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곡선교에서 편경사를 갖는 박스거더의 받침 편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2,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곡선교에서 편경사를 갖는 박스거더의 받침과 교대의 접합부를 도시한 단면도 1,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곡선교에서 편경사를 갖는 박스거더의 받침과 교대의 접합부를 도시한 단면도 2.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박스거더 2: 슬래브
3: 콘크리트바닥판 4: 철근
10: 하부플랜지 12: 상부플랜지
14: 가로보 16: 바닥판
18: 철근콘크리트 세로보 20: 방호벽
22: 에지 24: 웨브
26: 보강재 28: 받침
30: 기초콘크리트 32: 교대
34: 철근 36: 솔플레이트
38: 받침콘크리트 40: 베이스플레이트
본 발명은 편경사를 갖는 박스거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의 인터체인지와 같은 곡교에 적합하도록 거더의 단면이 편경사를 갖도록 하여, 콘크리트 바닥판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철근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편경사를 갖는 박스거더에 관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박스거더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박스거더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박스거더(1)는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박스거더(1)는 슬래브(2)의 양측높이가 동일하여 상부면과 하부면이 항상 수평을 이루도록 한 구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박스거더(1)를 곡선구간에 시공할 때는 박스거더(1)를 교좌장치 상에 설치한 후, 상기 박스거더(1)의 슬래브(2) 위에 콘크리트바닥판(3)을 시공하되,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3)의 시공은 직선구간에 설치할 때와는 상이하게 슬래브 표면에 철근(4) 배근과 콘크리트 두께를 달리하여 설치한다.
즉, 곡선구간에 설치되는 박스거더(1)의 콘크리트바닥판(3)을 시공함에 있어 차량의 곡선구간 주행을 감안하여 박스거더(1)의 슬래브(2)가 수평이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시에 내측과 외측간의 콘크리트 두께를 다르게 하여 도로의 외측이 내측보다 높도록 시공하였다.
이와 같이 도로의 내측과 외측의 슬래브(2) 두께를 다르게 시공하기 때문에 철근(4) 배근이 복잡하고, 철근(4) 및 콘크리트량이 증가함으로써,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인터체인지의 램프와 같은 곡선구간에 적합하도록 박스거더의 슬래브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슬래브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차량의 주행성능을 향상시키며, 슬래브 연장부분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편경사를 갖는 박스거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편경사를 갖는 박스거더는 도로의 인터체인지나 교량의 램프와 같은 곡선구간의 교량을 가설하는데 이용되는 박스거더에 있어서, 상기 박스거더는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길이가 다른 하나의 길이에 비해 길도록 하여, 상기 박스거더의 하부플랜지는 수평을 이루지만, 상부플랜지는 일정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하며, 상기 박스거더의 양측면에서 박스거더의 상부플랜지와 동일경사를 갖는 가로보를 형성하며, 상기 박스거더의 상부플랜지와 가로보의 상면을 따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판을 형성하며, 상기 바닥판의 양단에 철근콘크리트 세로보를 형성하고, 상기 철근콘크리트 세로보에 방호벽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경사를 갖는 스틸 박스거더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경사를 갖는 박스거더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경사를 갖는 스틸 박스거더의 웨브와 하부플랜지 시공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곡선교에서 편경사를 갖는 박스거더의 받침 편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1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곡선교에서 편경사를 갖는 박스거더의 받침 편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2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곡선교에서 편경사를 갖는 박스거더의 받침과 교대의 접합부를 도 시한 단면도 1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곡선교에서 편경사를 갖는 박스거더의 받침과 교대의 접합부를 도시한 단면도 2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경사를 갖는 박스거더는 도로의 인터체인지나 교량의 램프와 같은 곡선구간의 교량을 가설하는데 이용되는 박스거더에 있어서, 상기 박스거더(1)는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길이가 다른 하나의 길이에 비해 길도록 하여, 상기 박스거더(1)의 하부플랜지(10)는 수평을 이루지만, 상부플랜지(12)는 일정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하며, 상기 박스거더(1)의 양측면에서 박스거더(1)의 상부플랜지(12)와 동일경사를 갖는 가로보(14)를 형성하며, 상기 박스거더(1)의 상부플랜지(12)와 가로보(14)의 상면을 따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판(16)을 형성하며, 상기 바닥판(16)의 양단에 철근콘크리트 세로보(18)를 형성하고, 상기 철근콘크리트 세로보(18)에 방호벽(20)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박스거더(1)의 하부플랜지(10)의 일측에 일정한 경사 또는 곡률을 갖는 에지(22)를 형성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박스거더(1)의 하부플랜지(30)를 스틸 박스거더(1) 내부 쪽으로 마감하고, 웨브(24)를 아래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박스거더(1)의 단면을 곡선 외측으로 확장하여 보강재(26)를 설치하고, 상기 보강재(26)의 하부에 받침(28)을 편기하여 배치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박스거더(1)는 교측면의 직각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박스거더(1)의 하부에 기초콘크리트(30)를 편경사에 맞춰 경사지게 배치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기초콘크리트(30)의 하부에 교대(32)를 받침(28)과 접하는 면을 편경사에 맞춰 경사지게 배치하고, 상기 교대(32)의 내부에 철근(34)을 경사지게 배치한 구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편경사를 갖는 박스거더는 도로의 인터체인지나 교량의 램프와 같은 곡선구간의 교량을 가설하는데 이용되는 박스거더에 있어서, 상기 박스거더(1)는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길이가 다른 하나의 길이에 비해 길도록 하고, 상기 박스거더(1)의 하부플랜지(10)는 수평면을 이루지만, 상부플랜지(12)는 일정한 경사를 갖는 경사면을 형성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박스거더(1)의 양측면에서 박스거더(1)의 상부플랜지(12)와 동일한 경사를 갖는 가로보(14)를 형성하며, 미관을 고려하여 상기 박스거더(1)의 상부플랜지(12)와 가로보(14)의 상면을 따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판(16)을 형성하며, 상기 바닥판(16)의 양단에 철근콘크리트 세로보(18)를 형성하고, 상기 철근콘크리트 세로보(18)에 방호벽(2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가로보(14)의 하부형상을 곡률 처리하여 미관이나 구조적인 안정성을 도모한다.
그리고 상기 박스거더(1)의 하부플랜지(10)의 일측에 일정한 경사 또는 곡률을 갖는 에지(22)를 형성함으로써, 오물 퇴적을 방지하며, 변색이나 부식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곡선교의 편경사를 갖는 교량은 편경사가 높은 쪽으로 우수가 하부플랜지(10)에 체수됨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플랜지(10)와 웨브(24)의 접합부는 웨브(24)가 하부로 연장되는 단면 접합형상으로 한다.
이는 스틸 박스거더(1)의 하부플랜지(10)와 웨브(24)의 접합부 단면형상을 웨브(24)로 마감 처리하여 우수에 의해 편경사가 높은 쪽에 하부플랜지(10)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곡선교에서의 부반력 행사를 위해 편경사가 높은 쪽에 설치되는 부분의 받침(28)은 지점부의 스틸 박스거더(1) 단면을 확장하여 받침(28)을 편기 설치한 구조이다.
이는 지점부의 스틸 박스거더(1) 단면은 편경사가 높은 쪽으로 확장하여 받침(28)을 편기하여 부반력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받침(28)을 교대(32) 상에 수평으로 배치하고, 상기 받침(28)의 상면과 하면에 솔플레이트(36) 및 받침콘크리트(38)를 테이퍼지게 형성한다.
이는 상기 받침(28)을 교대(32) 상에 수평으로 배치하여 수평력 발생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또한, 교대(32)와 스틸 박스거더(1)의 접합부는 단면형상을 편경사와 같은 경사로 배치하여, 곡선교에서 발생하는 부반력 및 교축직각방향 수평력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즉, 스틸 박스거더(1)를 중력중심 방향이 아닌 교축면 중심방향으로 배치하고, 받침(28)을 교축면의 직각방향으로 배치하며, 교대(32)의 받침(28)은 수평이 아닌 편경사 비율만큼 경사지게 배치하여, 곡선교에서 가장 문제시되는 부반력 및 수평력의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하고, 교대(32)도 단차를 없앰에 따라 단차보강 철근의 보강을 생략할 수 있으며, 교대(32)의 철근(34)도 절곡이 없이 배치가 가능하 여 철근시공이 용이한 작용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경사를 갖는 박스거더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바닥판이 일정한 경사를 갖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바닥판과 박스거더간에 가로보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바닥판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주행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바닥판의 연장부분에 과도한 하중이 걸리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하부플랜지에 체수로 인한 부식을 방지하여 교량의 내구성을 증진시키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스틸 박스거더와 받침은 중력방향이 아닌 교축면의 직각방향으로 설치됨으로써, 곡선교에 따른 부반력 및 교축직각방향 수평력을 최소화하고, 교대 하부의 단차를 없앰으로써, 배근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Claims (7)

  1. 도로의 인터체인지나 교량의 램프와 같은 곡선구간의 교량을 가설하는데 이용되는 박스거더에 있어서,
    상기 박스거더(1)는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길이가 다른 하나의 길이에 비해 길도록 하며, 상기 박스거더(1)의 하부플랜지(10)는 수평을 이루지만, 상부플랜지(12)는 일정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하며, 상기 박스거더(1)의 양측면에서 박스거더(1)의 상부플랜지(12)와 동일경사를 갖는 가로보(14)를 형성하며, 상기 박스거더(1)의 상부플랜지(12)와 가로보(14)의 상면을 따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판(16)을 형성하며, 상기 바닥판(16)의 양단에 철근콘크리트 세로보(18)를 형성하고, 상기 철근콘크리트 세로보(18)에 방호벽(20)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편경사를 갖는 박스거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거더(1)의 하부플랜지(10)의 일측에 일정한 경사 또는 곡률을 갖는 에지(22)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편경사를 갖는 박스거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거더(1)의 하부플랜지(10)를 스틸 박스거더(1) 내부 쪽으로 마감하고, 웨브(24)를 아래 방향으로 연장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편경사를 갖는 박스거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거더(1)의 단면을 곡선 외측으로 확장하여 보강재(26)를 설치하고, 상기 보강재(26)의 하부에 받침(28)을 편기하여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편경사를 갖는 박스거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거더(1)는 교측면의 직각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박스거더(1)의 하부에 기초콘크리트(30)를 편경사에 맞춰 경사지게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편경사를 갖는 박스거더.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콘크리트(30)의 하부에 교대(32)를 받침(28)과 접하는 면을 편경사에 맞춰 경사지게 배치하고, 상기 교대(32)의 내부에 철근(34)을 경사지게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편경사를 갖는 박스거더.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28)을 교대(32) 상에 수평으로 배치하고, 상기 받침(28)의 상면과 하면에 솔플레이트(36) 및 받침콘크리트(38)를 테이퍼지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편경사를 갖는 박스거더.
KR1020070019680A 2007-02-27 2007-02-27 편경사를 갖는 박스거더 Active KR100835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680A KR100835340B1 (ko) 2007-02-27 2007-02-27 편경사를 갖는 박스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680A KR100835340B1 (ko) 2007-02-27 2007-02-27 편경사를 갖는 박스거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5340B1 true KR100835340B1 (ko) 2008-06-04

Family

ID=39770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9680A Active KR100835340B1 (ko) 2007-02-27 2007-02-27 편경사를 갖는 박스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53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898B1 (ko) * 2015-06-11 2015-10-15 (주)연우지앤비 경사슬래브에서의 개량형 상부개방형 거더교 구조
KR20190076737A (ko) *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포스코 교량용 강박스 거더
CN113047187A (zh) * 2021-03-24 2021-06-29 中交城乡建设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钢格构叠合层的桥梁改扩建改造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742360B1 (ko) * 2023-12-04 2024-12-16 (주)한맥기술 교량용 조립식 노듈러 거더 및 이의 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7506A (ja) * 1995-04-07 1996-10-22 Kaimon:Kk ゴム支承を用いた全方向固定の支承装置
JPH10184077A (ja) 1996-12-24 1998-07-14 Tokai Rubber Ind Ltd 構造物の免震支持構造
KR200264364Y1 (ko) 2001-11-02 2002-02-19 (주)내경엔지니어링 편경사를 갖는 박스형 거더
KR200268181Y1 (ko) 2001-12-19 2002-03-15 주식회사 만영엔지니어링 도로교량용 강재 박스 거더의 거셋 플레이트부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7506A (ja) * 1995-04-07 1996-10-22 Kaimon:Kk ゴム支承を用いた全方向固定の支承装置
JPH10184077A (ja) 1996-12-24 1998-07-14 Tokai Rubber Ind Ltd 構造物の免震支持構造
KR200264364Y1 (ko) 2001-11-02 2002-02-19 (주)내경엔지니어링 편경사를 갖는 박스형 거더
KR200268181Y1 (ko) 2001-12-19 2002-03-15 주식회사 만영엔지니어링 도로교량용 강재 박스 거더의 거셋 플레이트부 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898B1 (ko) * 2015-06-11 2015-10-15 (주)연우지앤비 경사슬래브에서의 개량형 상부개방형 거더교 구조
KR20190076737A (ko) *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포스코 교량용 강박스 거더
KR102044988B1 (ko) * 2017-12-22 2019-11-14 주식회사 포스코 교량용 강박스 거더
CN113047187A (zh) * 2021-03-24 2021-06-29 中交城乡建设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钢格构叠合层的桥梁改扩建改造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742360B1 (ko) * 2023-12-04 2024-12-16 (주)한맥기술 교량용 조립식 노듈러 거더 및 이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0505B2 (en) Precast concrete beam
KR101178876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라멘교 시공방법
KR101840763B1 (ko) T형 고정브라켓을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
KR101107826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횡방향 연결 박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0999019B1 (ko) 아치형상의 교량용 합성거더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0835340B1 (ko) 편경사를 갖는 박스거더
KR100876388B1 (ko) 반단면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갖는 교량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84249B1 (ko) 합성거푸집 패널과 상부플랜지 내부철근과 일체화된 전단연결부재를 이용한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교 시공방법
KR20110052101A (ko) 케이블지지 교량의 초고성능 콘크리트 바닥판 구조물
KR102274358B1 (ko) 교량 구조물의 캔틸레버용 프리캐스트 바닥판
KR102421682B1 (ko) 전단면 프리캐스트 바닥판,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바닥판 및 이를 포함하는 교량 상부구조의 제작방법
KR100631807B1 (ko) 강관으로 보강한 중공 콘크리트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거더교
KR100693872B1 (ko) 모서리부에 단차부가 형성된 합성바닥판 및 교량용 거더의시공방법 및 그 연결구조
CA2932655A1 (en) Precast concrete beam
KR100788275B1 (ko) 반단면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갖는 교량 구조
KR100984247B1 (ko) 상부플랜지 내부철근과 일체화된 전단연결부재를 이용한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교 시공방법
JP2024040450A (ja) スラブ付き梁のせん断強度評価方法及び構築物
KR102006981B1 (ko) 파형강판 합성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JP2006283414A (ja) 連続合成i桁橋梁の構造
KR100549046B1 (ko) 솔 플레이트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중간지점부 연속화 방법
KR100656947B1 (ko) 형고 최소화를 위한 변단면 에지거더를 이용한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라멘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84998Y1 (ko) 매입형 합성 에이치 형강 거더교
KR100984248B1 (ko) 상단돌출블록의 거푸집 역할을 하는 전단연결부재를 이용한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교 시공방법
KR20080004752U (ko) 초간편시공이 가능한 강합성 교량
KR20120120601A (ko) 강재 빔의 중간 보강구조의 더블 티 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5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5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