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5019B1 - 비데용 건조덕트 - Google Patents

비데용 건조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5019B1
KR100835019B1 KR1020070045199A KR20070045199A KR100835019B1 KR 100835019 B1 KR100835019 B1 KR 100835019B1 KR 1020070045199 A KR1020070045199 A KR 1020070045199A KR 20070045199 A KR20070045199 A KR 20070045199A KR 100835019 B1 KR100835019 B1 KR 100835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ort
area
hot air
bidet
drying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두
정지혜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5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50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5Seats with hea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데용 건조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조덕트 말단의 토출구 면적을 변화시켜 건조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의 온도가 토출구의 면적에 따라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비데용 건조덕트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토출구의 타측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의 시간당 공급량이 토출구의 일측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의 시간당 공급량보다 많아지도록 하여, 토출구의 타측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의 온도가 토출구의 일측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의 온도보다 낮아질 수 있도록, 토출구의 타측의 면적이 일측의 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건조덕트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세척 후 사용자의 둔부에 남아있는 수분을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로 하여금 불필요하게 높은 온도로 인한 불쾌감이나 피부 손상을 피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비데, 건조, 덕트, 열풍, 토출구

Description

비데용 건조덕트{A Drying Duct for a Bidet}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비데용 건조덕트가 장착된 비데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비데용 건조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의 경로와 그에 따른 온도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용 건조덕트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비데용 건조덕트의 토출구의 면적변화를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도 3의 비데용 건조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의 경로와 풍량에 따른 온도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도 3a의 비데용 건조덕트에 덮개가 추가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비데용 건조덕트 110 : 토출구
111 : 토출단 112 : 상측 토출단
115 : 하측 토출단 120 : 가이드 리브
130 : 덮개
본 발명은 비데용 건조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조덕트 말단의 토출구 면적을 변화시켜 건조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의 온도가 토출구의 면적에 따라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비데용 건조덕트에 관한 것이다.
비데(bidet)란 좌변기 등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용변 후 분사되는 물을 통해 항문 등을 세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 기존의 휴지 등을 통한 세척과 달리 청결하며 다양한 기능이 부가될 수 있는 비데의 이점에 의해 비데의 수요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비데에는 세척을 위한 물을 분사하는 노즐과, 세척 후 건조를 위한 열풍을 공급하는 건조기 및, 비데 장치를 제어하는 각종 기계 또는 전자장치 등이 포함된다.
건조기는 물을 통해 세척하는 비데의 특성상 필수적으로 구비되는 장치인데, 일반적으로 건조기에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팬 및, 열풍이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건조덕트 등이 포함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의한 비데용 건조덕트(1)는, 사용자가 안착하는 좌대(4)의 중앙 하부에 위치하여 물이 분사되는 노즐(3)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건조덕트(1)의 위치는 비데의 특성상 노즐(3)이 중앙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정해진다.
건조덕트(1)의 말단에는 건조덕트(1)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이 배출될 수 있도록 토출구(2)가 형성되며, 토출구(2)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은 비데를 통해 항문 등을 세척한 사용자의 항문과 항문 주위의 둔부에 남아있는 수분을 건조시킨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건조덕트(1) 말단의 토출구(2) 형상은 직사각형으로서, 토출구(2)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의 시간당 공급량은 토출구(2)의 일측과 타측에 관계없이 동일하다.
여기서 열풍의 '시간당 공급량'이란 단위 시간에 토출구(1)의 일정한 면적을 통과하는 열풍의 부피를 의미한다. 또한 토출구(1)의 일측과 타측이란 토출구(1)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으나 상대적인 개념으로 이해하면 족하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건조덕트(1)의 문제점은 변화가 없이 균일한 단면적을 가지는 토출구(2)로 인해 비롯되는데, 이에 관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비데의 특성상 물이 분사되는 노즐(3)은 좌대(4)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사용자의 항문 등을 세척하기에 유리하므로, 상대적으로 건조덕트(1)의 토출구(2)는 노즐(3)의 좌측이나 우측에 위치한다.
도 2에서처럼 토출구(2)는 노즐(3)의 우측에 위치한 경우에도 공급되는 열풍은 사용자의 항문을 중심으로 하는 영역에 공급되어야 하므로, 일반적으로 토출구(2)에는 가이드 리브(미도시)가 형성되어 열풍의 공급방향을 화살표와 같이 좌측 으로 편향시킨다.
이때 토출구(2)의 일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은 도 2의 점선 영역 '1'로 향하며 토출구(2)의 타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은 도 2의 점선 영역'2'로 향하게 된다. 점선 영역 '1', '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좌대(4)에 안착한 사용자의 좌우측 둔부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점선 영역 '2'로 공급되는 열풍은 점선 영역 '1'로 공급되는 열풍에 비해 근거리에서 사용자에게 공급되므로, 점선 영역 '1'로 공급되는 열풍이 진행 경로에 따라 열을 잃게 되어 온도가 하강되는 것과 달리 비교적 고온으로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점선영역 '1'과 '2'에서 온도 차이를 느끼게 된다.
실질적으로 사용자는 토출구(2)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의 열량에 따라 상당히 뜨겁게 느낄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의 연령이나 신체 특징, 예를 들면 온도에 민감한 비교적 연약한 피부를 가진 사람, 어린이 등에게는 보다 큰 불편이 초래될 것이다.
또한 토출구(2)와 근거리에 위치한 사용자의 신체부분 만을 먼저 건조시키게 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시간에 따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건조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건조덕트 말단의 토출구 면적을 변화시켜 건조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의 온도가 토출구의 면적에 따라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비데용 건조덕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용 건조덕트는, 노즐이 중앙에 위치한 비데장치에서 상기 노즐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여 토출구를 통해 열풍을 공급하는 비데용 건조덕트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의 타측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의 시간당 공급량이 상기 토출구의 일측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의 시간당 공급량보다 많아지도록 하여, 상기 토출구의 타측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의 온도가 상기 토출구의 일측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의 온도보다 낮아질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의 타측의 면적이 일측의 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출구의 면적을 규정하며, 상기 토출구의 상단을 규정하는 상측 토출단과 하단을 규정하는 하측 토출단을 포함하며, 상기 상측 토출단과 하측 토출단의 수직 간격은, 상기 토출구의 일측에서 보다 타측에서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의 타측의 면적이 일측의 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측 토출단은 직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측 토출단은 상기 상측 토출단에 대해서 일정한 각도로 기울기를 가지는 직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의 면적이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진행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출구에는 상기 열풍의 공급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가이드 리브가 형 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출구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를 차단할 수 있는 덮개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용 건조덕트(10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용 건조덕트(100)는, 히터(미도시)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팬(미도시)에 의해 건조덕트(100)의 내부 관을 따라 이동하여 배출되는 토출구(110)가 말단에 형성된다. 여기서 건조덕트(100)의 내부 관이란 팬(미도시)에 의해 공급되는 열풍이 이동하는 경로로서 말단의 토출구(110)와 이어지는 관으로서의 덕트를 의미한다.
토출구(110)는 가열된 공기가 열풍으로 배출되는 배출구인데, 건조덕트(100) 말단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러한 토출구(110)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의 시간당 공급량은 토출구(110)의 일측과 타측에 따라 달라진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여기서 열풍의 '시간당 공급량'이란 단위 시간에 토출구(110)를 통과하는 열풍의 부피를 의미한다. 따라서 열풍의 '시간당 공급량'은 토출구의 면적에 대하여 비례적으로 증가함은 물론이다. 또한 토출구(110)의 일측과 타측이란 토출구(110)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으나 상대적인 개념으로 이해하면 족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용 건조덕트(100)의 토출구(110)는 타측의 면적이 일측의 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토출구(110)의 타측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의 '시간당 공급량'이 토출구(110)의 일측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의 '시간당 공급량'보다 더 크게 하는 것이다.
건조덕트(100)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의 총 시간당 공급량은 열풍을 배출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팬(미도시)의 용량에 의존하고, 공급되는 열풍의 열량은 히터(미도시)의 용량에 의존하는 것이므로, 특정한 용량의 히터와 팬을 이용하는 한 공급되는 열풍의 총 열량과 총 시간당 공급량은 일정하다.
이러한 조건에서 열풍이 건조덕트(100)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다가 토출구(110)에서 배출될 때, 면적이 넓은 토출구(110)의 타측을 통해 배출되는 열풍은, 열풍을 구성하는 공기분자의 수는 일정한 반면 부피가 갑자기 증가하게 되면서 밀도가 낮아져 결과적으로 열풍의 온도가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면적이 좁은 토출구(110)의 일측을 통해 배출되는 열풍에 비해, 토출구(110)의 타측을 통해 배출되는 열풍은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바람직하게 토출구(110)의 일측의 면적은 건조덕트(100)의 내부 관의 면적과 동일하여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토출구(110)의 면적이 건조덕트(100)의 내부 관의 면적보다 너무 좁게 형성되면 배출되는 열풍이 단열팽창되는 효과가 생겨 온도가 급격히 하강할 수 있기 때문이다.
토출구(110)는 토출구(110)의 외곽선을 포함하며 토출구(110)의 면적을 형성하는 토출단(111)에 의해 면적이 결정된다. 토출단(111)은 상측 토출단(112)과 하측 토출단(115)을 포함한다.
토출단(111)은 건조덕트(100)의 말단으로서 최종적으로 열풍이 배출되는 토 출구(110)를 둘러싸면서 토출구(110)의 면적을 규정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따라서 토출단(111)은 폐쇄된 외곽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사각형, 직사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앞서 설명한 것처럼 토출구(110)의 타측의 면적이 일측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면 족하다.
바람직하게 토출단(111)에 포함되는 상측 토출단(112)과 하측 토출단(115)의 수직 간격은 토출구(110)의 타측이 일측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토출구(110)의 타측의 면적이 일측의 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되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측 토출단(112)과 하측 토출단(115)은 직선으로 형성되며, 하측 토출단(115)은 상측 토출단에 대해서 일정한 각도로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토출구(110)의 면적이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진행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한다(도 3b 참조).
도 3b를 참조하면, 직선으로 형성되는 상측 토출단(112)에 대하여 하측 토출단(115)은 'α'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측 토출단(112)과 하측 토출단(115)의 수직간격은 토출구(1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진행함에 따라 d1에서 d2로 증가한다.
결과적으로 토출구의 형상은 옆으로 눕혀진 사다리꼴 형상이 될 것이다. 따라서 토출구(110)의 일측의 면적은 좁게, 타측의 면적은 넓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토출구(110)에는 열풍의 공급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가이드 리브(1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출구(110)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노즐(3) 의 좌측이나 우측에 위치하므로 사용자의 항문 등이 위치하는 중앙으로 열풍을 편향시키기 위해 이와 같은 가이드 리브(120)가 형성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용 건조덕트(100)의 작동 원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도 2에서 사용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노즐(3)의 우측에 위치한 토출구(110)에서 배출되는 열풍은 가이드 리브(120, 도 3 참조)에 의해 좌측으로 편향되면서, 점선영역 '1'과 '2'로 공급된다. 점선영역 '1'과 '2'는 사용자의 좌우측 둔부 위치를 나타내는 것임은 이미 언급하였다.
토출구(110)의 일측을 통해 배출되는 열풍은 비교적 긴 경로를 따라 점선영역 '1'로 공급되며, 긴 경로를 따라 진행하면서 열량이 손실되어 적절한 온도로 공급된다.
한편 토출구(110)의 타측을 통해 배출되는 열풍은 비교적 짧은 경로를 따라 점선영역 '2'로 공급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 의한 토출구(2, 도 2 참조)에 의한 경우 점선영역 '1'로 공급되는 열풍보다 온도가 높은 상태로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문제점이 있음은 이미 설명하였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110)의 타측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은, 앞서 설명한 것처럼, 넓은 면적을 통과하게 되어 시간당 공급량이 커지면서, 밀도가 낮아져 온도가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짧은 경로를 통해 공급됨에도 불구하고 점선영역 '1'로 공급되는 열풍과 비슷한 온도로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점선영역 '1' 과 '2'에서 비슷한 온도를 가진 열풍에 의해, 세척 후 둔부에 남아있는 수분을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으며, 불필요하게 높은 온도로 인한 불쾌감이나 피부 손상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용 건조덕트(100)의 토출구(110)는 덮개(130)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덮개(130)는 건조덕트(100)의 말단, 특히 상측 토출단(112)과 힌지로 결합되어, 열풍이 배출될 때는 자동으로 덮개(130)가 개방되고, 열풍이 배출되지 않을 때는 덮개(130)가 폐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용 건조덕트에 의하면, 건조덕트 말단의 토출구 면적을 변화시켜 건조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의 온도가 토출구의 면적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므로, 세척후 사용자의 둔부에 남아있는 수분을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로 하여금 불필요하게 높은 온도로 인한 불쾌감이나 피부 손상을 피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노즐이 중앙에 위치한 비데장치에서 상기 노즐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여 토출구를 통해 열풍을 공급하는 비데용 건조덕트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의 타측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의 시간당 공급량이 상기 토출구의 일측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의 시간당 공급량보다 많아지도록 하여, 상기 토출구의 타측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의 온도가 상기 토출구의 일측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의 온도보다 낮아질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의 타측의 면적이 일측의 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건조덕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의 면적을 규정하며, 상기 토출구의 상단을 규정하는 상측 토출단과 하단을 규정하는 하측 토출단을 포함하며,
    상기 상측 토출단과 하측 토출단의 수직 간격은, 상기 토출구의 일측에서 보다 타측에서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의 타측의 면적이 일측의 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건조덕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토출단은 직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측 토출단은 상기 상측 토출단에 대해서 일정한 각도로 기울기를 가지는 직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의 면적이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진행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건조덕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에는 상기 열풍의 공급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건조덕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를 차단할 수 있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건조덕트.
KR1020070045199A 2007-05-09 2007-05-09 비데용 건조덕트 KR100835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199A KR100835019B1 (ko) 2007-05-09 2007-05-09 비데용 건조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199A KR100835019B1 (ko) 2007-05-09 2007-05-09 비데용 건조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5019B1 true KR100835019B1 (ko) 2008-06-03

Family

ID=39769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199A KR100835019B1 (ko) 2007-05-09 2007-05-09 비데용 건조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50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780B1 (ko) 2009-02-06 2011-07-06 이봉수 휴지를 이용한 자동 세정 및 처리장치
KR20190124944A (ko) * 2018-04-27 2019-11-06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건조 기능을 가지는 노즐 어셈블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0977A (ja) * 1991-11-15 1993-06-08 Toto Ltd 衛生洗浄装置における温風乾燥装置
KR0130590Y1 (ko) * 1995-03-07 1998-12-15 김광호 위생세척기의 풍향조절장치
KR200310462Y1 (ko) 2002-12-04 2003-04-18 웅진코웨이개발 주식회사 다중송풍구를 이용하는 위생세정기의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0977A (ja) * 1991-11-15 1993-06-08 Toto Ltd 衛生洗浄装置における温風乾燥装置
KR0130590Y1 (ko) * 1995-03-07 1998-12-15 김광호 위생세척기의 풍향조절장치
KR200310462Y1 (ko) 2002-12-04 2003-04-18 웅진코웨이개발 주식회사 다중송풍구를 이용하는 위생세정기의 건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780B1 (ko) 2009-02-06 2011-07-06 이봉수 휴지를 이용한 자동 세정 및 처리장치
KR20190124944A (ko) * 2018-04-27 2019-11-06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건조 기능을 가지는 노즐 어셈블리
KR102516706B1 (ko) * 2018-04-27 2023-04-03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건조 기능을 가지는 노즐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2005B1 (en) Dryer system for shower
US8776278B1 (en) Auto cleaning toilet seat and drying system
KR100948030B1 (ko) 신체 건조장치
CN106460379A (zh) 净身盆设备
JP4891489B2 (ja) ミスト装置
CN104997454A (zh) 一种干脚机及干鞋和干脚联合装置
CN107949677A (zh) 便器装置
KR100835019B1 (ko) 비데용 건조덕트
JP2001346715A (ja) 手乾燥装置
KR101576826B1 (ko) 비데 장치
JP4145071B2 (ja) 浴用ミスト装置
CN215977558U (zh) 用于马桶的洁身器
KR102570438B1 (ko) 좌욕기능을 갖는 비데 및 좌욕기능을 갖는 비데의 제어방법
JP6712177B2 (ja) 衛生装置
JP7482395B2 (ja) 衛生洗浄装置
KR102017634B1 (ko) 바디 드라이어
KR200310462Y1 (ko) 다중송풍구를 이용하는 위생세정기의 건조장치
JPS6317467B2 (ko)
KR20200130950A (ko) 와류를 형성하는 초음파 가습기
CN109674381A (zh) 一种电子浴巾
KR102180145B1 (ko) 건조 기능을 구비한 전자식 비데
EP3159458B1 (en) Bidet having internal drying function and method for drying inside of bidet
KR20230136378A (ko) 욕실용 열풍 건조기
WO2022149002A1 (en) Bidet for a toilet
KR100881064B1 (ko) 비데가 구비된 좌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