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0079B1 - Touch pen used as support of portable device - Google Patents

Touch pen used as support of portab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0079B1
KR100830079B1 KR1020060067039A KR20060067039A KR100830079B1 KR 100830079 B1 KR100830079 B1 KR 100830079B1 KR 1020060067039 A KR1020060067039 A KR 1020060067039A KR 20060067039 A KR20060067039 A KR 20060067039A KR 100830079 B1 KR100830079 B1 KR 100830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ght portion
portable device
main body
touch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0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07859A (en
Inventor
황도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원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원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원시스템
Priority to KR1020060067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0079B1/en
Publication of KR20080007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78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0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기기의 거치대 겸용 터치 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기기에 있어서, 삼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둘레를 따라 제1,2,3 직선부가 순차적으로 마련된 본체; 터치 스크린에 접촉하는 것으로, 제1 직선부와 제2 직선부 사이가 만나는 부위로부터 본체의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터치 팁; 및 휴대 기기에 마련된 결합 홈에 끼움 결합할 수 있게 제3 직선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결합 홈과 결합하는 방향에 따라 제1 직선부와 제2 직선부 중 어느 하나를 하측으로 향하게 하여 휴대 기기의 거치를 가능하게 하는 결합 돌기;를 구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ouch pen for both a cradle and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triangular plate shape and having first, second and third straight portions sequentially provided along a circumference; A touch tip which contacts the touch screen and protrude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from a portion where the first straight portion and the second straight portion meet; And protruding from the third straight portion so as to fit into the coupling groove provided in the portable device. The portable device may face any one of the first straight portion and the second straight portion downward in accordance with the coupling groove. It has a; engaging projection to enable the mounting of.

Description

휴대 기기의 거치대 겸용 터치 펜{Touch pen used as support of portable device}Touch pen used as support of portabl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의 거치대 겸용 터치 펜에 대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dle-type touch pen of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거치대 겸용 터치 펜이 터치 입력 기능으로 사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dual-purpose touch pen of FIG. 1 is used as a touch input function. FIG.

도 3은 도 1의 거치대 겸용 터치 펜이 거치 기능으로 사용되기 위해 휴대 기기에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coupling to the portable device to be used as a mounting function of the mounting pen of Figure 1;

도 4는 도 3에 있어서, 거치대 겸용 터치 펜이 휴대 기기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FIG. 4 is a side view of the holder of the touch pen combined with the portable device of FIG. 3.

도 5는 도 4에 있어서, 휴대 기기의 거치 각도가 달라지게 거치대 겸용 터치 펜이 휴대 기기에 결합한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FIG. 5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holder-type touch pen is coupled to the mobile device such that the mounting angle of the mobile device is different in FIG. 4.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major symbols in the drawings>

10..휴대 기기 11..터치 스크린10. Mobile device 11. Touch screen

12..스트랩 13..결합 홈12. Strap 13. Engagement groove

100..거치대 겸용 터치 펜 110..본체100..Hunting stand pen 110..Body

120..터치 팁 130..결합 돌기120. Touch tip 130. Combination projection

본 발명은 휴대 기기의 터치 스크린에 소정 명령을 터치 입력하는 기능뿐 아니라, 휴대 기기를 거치하는 기능을 겸하여 수행할 수 있는 휴대 기기의 거치대 겸용 터치 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type touch pen for a mobile device that can perform a function of touch inputting a predetermined command to a touch screen of the mobile device, as well as a function of mounting a mobile device.

휴대 기기란 사용자가 들고다니면서 각종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만들어진 소형 기기로서, 예를 들면 셀룰러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기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기기 등을 들 수 있다. A portable device is a small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carry and carry out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a mobile device includes a cellular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device, or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device. Can be.

이러한 휴대 기기는 소정 명령을 키 입력하는 방식 이외에, 터치 입력하는 방식이 가능하도록 터치 스크린을 더 구비하기도 한다.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가 화면상의 한 점을 접촉하면 그 접촉점의 좌표값을 감지하여 휴대 기기의 제어부로 전달하는 위치 감지기가 내장된 화면이다. The portabl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creen to enable a touch input method in addition to a key input method. When the user touches a point on the screen, the touch screen is a screen with a built-in position sensor that detects the coordinate value of the contact point and delivers it to the controller of the mobile device.

이러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의 화면 크기가 작을 때 정확한 입력이 힘들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이 긁혀서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기기에는 터치 입력을 위해 터치 펜이 통상 마련되고 있다. The touch input to the touch screen may be made by a user's finger. In this case, accurate input may be difficult when the screen size of the touch screen is small, and the touch screen may be scratched and damaged. Accordingly, a touch pen is usually provided in a portable device for touch input.

그런데, 종래에 따른 터치 펜은 기다랗게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사용되지 않는 동안 휴대 기기에 수납하여 보관해야하는 경우에는, 터치 펜을 위한 별도의 수납 공간이 필요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구조의 터치 펜은 분실의 우려가 있을 수도 있다. However, since the touch pen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generally has a long bar shape, when it is to be stored and stored in a portable device while not in use, a separate storage space for the touch pen may be required. . In addition, the touch pen of such a structure may be lost.

한편, 사용자는 휴대 기기를 손에 든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사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거치대에 의해 테이블 등에 거치한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휴대 기기에 거치대를 구비하거나, 휴대 기기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휴대 기기용 케이스에 거치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On the other hand, the user may use the portable device in a hand state, but may also be used in a state such as mounted on a table by a cradle in order to increase usability. To this end, it is common to provide a holder in a portable device, or to provide a holder in a case for a portable device that accommodates and protects the portable device.

그런데, 휴대 기기에 거치대를 구비한 경우에는 휴대 기기의 경량화나 콤팩트화에 불리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용 케이스에 거치대를 구비한 경우에는 휴대 기기를 휴대 기기용 케이스에 수용한 상태로 항시 사용해야하는바, 사용에 불편이 따를 수 있다. However, when the portable device is provided with a holder, there may be a disadvantage in that the portable device is light in weight and compact in size. In addition, when the case for the portable device is provided with a cradle, the portable device must be used at all times in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device is accommodated in the case for the portable device.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휴대 기기의 터치 스크린에 대해 소정 명령을 터치 입력하는 기능뿐 아니라 휴대 기기를 거치하는 기능을 겸하게 하여, 휴대 기기의 경량화 및 콤팩트화를 구현할 수 있는 휴대 기기의 거치대 겸용 터치 펜을 제공함에 있다.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a function of touch inputting a predetermined command to the touch screen of the mobile device, but also a function of mounting the mobile device, so that the portable pen can be both lightweight and compact. In provid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기기의 거치 각도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게 하여,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휴대 기기의 거치대 겸용 터치 펜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adle-type touch pen for a portable device that can be selected arbitrarily the mounting angle of the portable device, thereby increasing the ease of us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기기의 거치대 겸용 터치 펜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기기에 있어서, 삼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둘레를 따라 제1,2,3 직선부가 순차적으로 마련된 본체;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접촉하는 것으로, 상기 제1 직선부와 제2 직선부 사이가 만나는 부위로부터 상기 본체의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터치 팁; 및 상기 휴대 기기에 마련된 결합 홈에 끼움 결합할 수 있게 상기 제3 직선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 홈과 결합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직선부와 제2 직선부 중 어느 하나를 하측으로 향하게 하여 상기 휴대 기기의 거치를 가능하게 하는 결합 돌기;를 구비한다. 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pen having a cradle-type touch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The main body has a triangular plate shape and is sequentially provided with first, second, and third straight portions along a circumference. ; A touch tip that contacts the touch screen and protrudes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surface of the main body from a portion where the first linear portion and the second linear portion meet; And protruding from the third straight portion so as to fit into a coupling groove provided in the portable device, and which one of the first straight portion and the second straight portion is lowered according to a direction in which the coupling groove is engaged. And a engaging protrusion to face the portable device.

여기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직선부와 제3 직선부 사이가 이루는 각도와 상기 제2 직선부와 제3 직선부 사이가 이루는 각도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main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first linear portion and the third straight portion and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second straight portion and the third straight portion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의 거치대 겸용 터치 펜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거치대 겸용 터치 펜이 터치 입력 기능으로 사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dle-type touch pen of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that the cradle-type touch pen of Figure 1 is used as a touch input function.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의 거치대 겸용 터치 펜(100)은, 터치 스크린(11)을 구비한 휴대 기기(10)에 있어서, 터치 입력 기능뿐 아니라, 휴대 기기(10)의 거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본체(110) 와, 터치 팁(120), 및 결합 돌기(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rst, referring to FIG. 1, the touch pen 100 of th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a touch input function in the portable device 10 having the touch screen 11. The mounting function of the portable device 10 may be performed, and the main body 110, the touch tip 12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30 may be configured.

본체(110)는 전체 외관이 삼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체(110)에는 둘레를 따라 제1 직선부(111), 제2 직선부(112), 및 제3 직선부(113)가 순차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본체(110)에는 제1,2,3 직선부(111)(112)(113)가 삼각 형상으로 배열되어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The main body 110 has a triangular plate shape in its entire appearance. Accordingly, the main body 110 may be sequentially provided with a first straight portion 111, a second straight portion 112, and a third straight portion 113. That is, the main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first, second, and third straight portions 111, 112, and 113 arranged in a triangular shape.

여기서, 상기 본체(110)는 전체적으로 각진 부분 없이 라운딩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느낌을 갖게 하는 한편, 외부 물체와의 접촉시 발생할 수 있는 긁힘 현상 등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Here, the main body 110 is preferably rounded without an angled portion as a whole. This is to provide a soft feeling as a whole, and to prevent scratches that may occur when contacting an external object.

상기 본체(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 겸용 터치 펜(100)이 터치 펜으로 기능을 하는 경우, 사용자가 양쪽 면을 손가락으로 잡아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본체(110)는 사용자의 잡은 상태에서 불편하지 않을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2, the main body 110 allows the user to grasp both sides with a finger to use the holder when the dual-purpose touch pen 100 functions as a touch pen. Here, the main body 110 preferably has a thickness that is not inconvenient in the user's grip state.

아울러, 상기 본체(110)는 중앙 부위(110a), 즉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는 부위가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본체(110)를 잡은 상태에서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신축성 소재로는 고무 소재 등이 이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110 is preferably a central portion (110a), that is, the portion of the user to hold the finger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is is to prevent the sliding phenomenon in the state in which the user grabs the main body 110, and to improve the user's grip. As the stretchable material, a rubber material or the like may be used.

그리고, 본체(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 부위(110a)를 제외한 가장자리 부위(110b)가 엔지니어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엔지니어 플라스틱이란 범용 플라스틱보다 강도, 탄성뿐만 아니라, 내충격성, 내마모성, 내열성, 내한성, 내약품성, 전기절연성 등이 우수하여, 각종 공업 소재로 사용되고 있 는 것을 일컫는다. 본 실시예에서, 엔지니어 플라스틱 소재로는 POM(Poly Oxy Methylen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110 may include the edge portion 110b except for the center portion 110a formed of an engineer plastic material. Engineer plastics are used in various industrial materials because they have superior strength, elasticity, impact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heat resistance, cold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nd electrical insulation than general-purpose plastics. In this embodiment, polyoxymethylene (POM)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engineer plastic material.

이처럼 본체(110)의 가장자리 부위(110b)가 엔지니어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면, 본체(110)의 중앙 부위(110a)가 전술한 바와 같이, 엔지니어 플라스틱 소재와 다른 소재, 예컨대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더라도 본체(110)의 성형이 손쉬워질 수 있다. As such, when the edge portion 110b of the main body 110 is formed of an engineer plastic material, the main portion 110a of the main body 11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engineer plastic material, for example, a rubber material, as described above. Molding of 110 can be facilitated.

아울러, 본체(110)의 가장자리 부위에서 제1,2 직선부(111)(112) 또한 엔지니어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됨에 따라, 후술하겠지만 휴대 기기(10)의 거치시, 제1 직선부(111) 또는 제2 직선부(112)는 휴대 기기(10)가 거치되는 거치면(1), 예컨대 테이블 등의 윗면과 맞닿은 상태에서 휴대 기기(10)가 더욱 안정되게 지탱될 수 있다. 한편, 본체(110)의 가장자리 부위는 엔지니어 플라스틱 소재 이외에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체(110)는 전체 외관이 엔지니어 플라스틱 소재로서 형성됨과 아울러, 중앙 부위(110a)의 양쪽 면에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진 부재가 각각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straight portions 111 and 112 are also formed of an engineer plastic material at the edge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portable device 10 is mounted, the first straight portions 111 or The second straight part 112 may support the mobile device 10 more stably in contact with the mounting surface 1 on which the mobile device 10 is mounted, 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On the other hand, the edge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may be formed of a metallic material in addition to the engineer plastic material. In addition, the main body 110 may be formed of an engineer plastic material as a whole, and members of the elastic material may be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110a, respectively.

상기 본체(110)의 제1 직선부(111)와 제2 직선부(11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기기(110)의 거치시, 거치면(1)에 선택적으로 맞닿아서, 휴대 기기(10)의 거치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first straight portion 111 and the second straight portion 112 of the main body 110 selectively fit the mounting surface 1 when the portable device 110 is mounted. It makes it possible to keep the mounting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10 stable.

여기서, 본체(110)는 제1 직선부(111)와 제3 직선부(113) 사이가 이루는 각도(θ1)와, 제2 직선부(112)와 제3 직선부(113) 사이가 이루는 각도(θ2)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직선부(111)가 거치면(1)에 맞닿은 상태에서 휴대 기기(10)가 거치된 각도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직선부(112)가 거치면(1)에 맞닿은 상태에서 휴대 기기(10)가 거치된 각도를 달리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휴대 기기(10)의 거치 각도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Here, the main body 110 has an angle θ1 formed between the first straight portion 111 and the third straight portion 113 and an angle formed between the second straight portion 112 and the third straight portion 113. It is preferable that (θ2) be formed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 4, the angle at which the mobile device 10 is mount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traight portion 111 is in contact with the mounting surface 1, and when the second straight portion 112 is mounted as shown in FIG. 5 ( This is to allow the user to arbitrarily select the mounting angle of the portable device 10 by varying the angle at which the portable device 10 is mounted in contact with 1).

예컨대, 제1 직선부(111)와 제3 직선부(113) 사이의 각도(θ1)가 60°, 제2 직선부(112)와 제3 직선부(113) 사이의 각도(θ2)가 45°로 설정되게 본체(110)가 형성된다면, 제1 직선부(111)를 거치면(1)에 맞닿게 하면 휴대 기기(10)의 거치 각도를 60°로 할 수 있게 되며, 제2 직선부(112)를 거치면(1)에 맞닿게 하면 휴대 기기(10)의 거치 각도를 45°로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For example, the angle θ1 between the first straight portion 111 and the third straight portion 113 is 60 °, and the angle θ2 between the second straight portion 112 and the third straight portion 113 is 45 degrees. If the main body 110 is formed to be set to °, when the first straight portion 111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1), the mounting angle of the mobile device 10 can be set to 60 °, the second straight portion ( When the contact surface 112 is placed on the mounting surface 1, the mounting angle of the portable device 10 can be set to 45 °.

이를 위한 본체(110)는 세 변의 길이가 모두 다른 부등변 삼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세 변 중 어느 하나에 결합 돌기(130)가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체(110)는 두 변의 길이가 같은 이등변 삼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이등변 중 어느 하나에 결합 돌기(130)가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The main body 110 for this purpose is made of an equilateral triangular plate shape having all three side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130 is disposed on any one of the three sides. 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110 is made of an isosceles triangular plate shape of the same length of the two sides,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engaging projection 130 is disposed on any one of the isosceles.

상기 본체(110)에는 휴대 기기(10)에 연결된 스트랩(strap, 12)과의 결합을 위한 스트랩용 홀(114)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겸용 터치 펜(100)을 액세서리처럼 스트랩(12)에 매달아서 사용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거치대 겸용 터치 펜(100)의 분실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트랩용 홀(114)의 주위는 신축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스트랩(12)의 사용에 따른 손상이 방지되게 엔지니어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 다. Preferably, the body 110 further includes a strap hole 114 for coupling with a strap 12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10. This is to allow the dual-purpose touch pe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o be used by hanging the strap 12 as an accessory, and to prevent loss of the dual-purpose touch pen 100. The periphery of the strap hole 114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However, the strap hole 114 may be formed of an engineer plastic material to prevent damage caused by the use of the strap 12.

터치 팁(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1)이 마련된 휴대 기기(10)에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1)에 접촉시켜 소정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터치 팁(120)은 사용 편의성을 위해 본체(110)에서 결합 돌기(130)가 배치된 반대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illustrated in FIG. 2, the touch tip 120 allows a user to touch a touch screen 11 and input a predetermined command in the mobile device 10 provided with the touch screen 11. The touch tip 120 is preferably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ngaging projection 130 in the body 110 for ease of use.

이를 위해, 터치 팁(120)은 본체(110)의 제1 직선부(111)와 제2 직선부(112) 사이가 만나는 부위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터치 팁(120)은 본체(110)의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팁(120)은 본체(110)의 제1 직선부(111) 또는 제2 직선부(112)가 거치면(1)에 맞닿은 상태에서, 끝 부분이 거치면(1)에 맞닿지 않을 정도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휴대 기기(10)의 거치시 제1 직선부(111) 또는 제2 직선부(112)가 거치면(1)으로부터 들뜨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된 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o this end, the touch tip 120 may protrude from a portion where the first straight portion 111 and the second straight portion 112 of the main body 110 meet each other. In addition, the touch tip 120 may protrud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Here, the touch tip 120 is in a state where the first straight portion 111 or the second straight portion 112 of the main body 110 abuts on the mounting surface 1 such that the tip does not touch the mounting surface 1. It is preferable to protrude. This is to prevent the phenomenon in which the first straight portion 111 or the second straight portion 112 is lifted from the mounting surface 1 when the portable device 10 is mounted, so that the stable mounting can be performed.

이러한 터치 팁(120)은 엔지니어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팁(120)은 강성과 더불어 탄성을 가질 수 있게 되며, 본체(110)와 일체를 이루어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터치 팁(120)은 터치 스크린(11)에 정확한 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을 정도의 지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터치 팁(120)은 터치 스크린(11)과의 접촉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끝 부위가 라운딩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touch tip 120 may be formed of an engineer plastic material. Accordingly, the touch tip 120 may be elastic with rigidity, and may be integrated with the main body 110 to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the touch tip 120 preferably has a diameter enough to input an accurate command to the touch screen 11. In addition, the touch tip 120 may be rounded at an end portion thereof to prevent damage due to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11.

결합 돌기(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기기(10)의 후방에 마련된 결합 홈(13)에 결합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겸용 터치 펜(100)이 거치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즉, 결합 돌기(130)는 본체(110)의 제1 직선부(111)와 제2 직선부(112) 중 어느 하나가 하측, 즉 거치면(1)을 향할 수 있게 결합 홈(13)에 결합함으로써, 휴대 기기(10)의 거치를 가능하게 한다. As shown in FIG. 3, the coupling protrusion 130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3 provided at the rear of the portable device 10 so that the holder-type touch pe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used as a mounting function. To be. That is, the coupling protrusion 130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3 such that any one of the first straight portion 111 and the second straight portion 112 of the main body 110 may face the lower side, that is, the mounting surface 1. As a result, the portable device 10 can be mounted.

상기 결합 돌기(130)는 본체(110)의 제1 직선부(111) 또는 제2 직선부(112)가 거치면(1)에 맞닿을 수 있게 본체(110)의 제3 직선부(113)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 돌기(130)는 본체(110)의 면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굽어져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보다 안정적인 휴대 기기(10)의 거치를 위해 본체(110)의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결합 돌기(130)는 결합 홈(13)에 결합한 상태에서 결합 홈(13)의 주변과 맞닿는 면적이 커질 수 있도록, 본체(110)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한편, 본체(110)의 제3 직선부(113)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upling protrusion 130 may extend from the third straight portion 113 of the main body 110 such that the first straight portion 111 or the second straight portion 112 of the main body 110 may contact the mounting surface 1. Is formed to protrude. Here, the coupling protrusion 130 may be formed to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but protrude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in order to mount the mobile device 10 more stably. It is preferably formed. 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130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thinner than that of the main body 110 so that the area of the coupling protrusion 130 may be in contact with the periphery of the coupling groove 13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protrusion 130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3.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three straight portions 113.

그리고, 결합 돌기(130)는 휴대 기기(10)가 박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결합 홈(13)과의 결합 면적을 넓히기 위해 휴대 기기(10)를 관통할 수 있을 정도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 홈(13)은 휴대 기기(10)의 키 조작부 근처에 위치하는 한편, 전후방이 뚫린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the portable device 10 is thin, the coupling protrusion 130 may be formed to protrude enough to penetrate the portable device 10 to increase the coupling area with the coupling groove 13. . In this case, the coupling groove 13 may be positioned near the key operation unit of the portable device 10 and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front and rear sides are drilled.

또한, 결합 돌기(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에 같이 제1 직선부(111)가 거치면(1)에 맞닿을 수 있게 결합 홈(13)과 결합하는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직선부(112)가 거치면(1)에 맞닿을 수 있게 결합 홈(13)과 결합할 수 있게 형성된다. 즉, 결합 돌기(130)는 결합 방향을 바꿔가면서 결합 홈(13)에 끼워질 수 있게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 돌기(130) 및 결합 홈(13)은 결합 돌기(130)의 결합 방향이 바뀐 상태에서도 상호 밀착 고정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결합 돌기(130)는 결합 홈(13)에 손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모서리가 라운딩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coupling protrusion 130 engages with the coupling groove 13 such that the first straight portion 111 is in contact with the mounting surface 1, and as shown in FIG. 5. 2, the straight portion 112 is formed to be able to engage with the coupling groove 13 to be in contact with the mounting surface (1). That is, the coupling protrusion 130 is formed to be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3 while changing the coupling direction. Here, the coupling protrusion 130 and the coupling groove 13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130 is changed. 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130 is preferably rounded corners to be easily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3).

이러한 결합 돌기(130)는 결합 홈(13)에 끼워지고 분리되는 과정이 자주 반복되더라도 헐거워지지 않고 결합 홈(13)에 고정된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엔지니어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 돌기(130)가 엔지니어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게 되면, 본체(110)와 일체를 이룰 수 있게 되므로, 본체(110)와의 연결 부위가 견고해질 뿐 아니라, 제조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는 이점도 있을 수 있다. The coupling protrusion 130 is preferably made of an engineer plastic material so that the state fixed to the coupling groove 13 can be maintained without being loose even if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3 and detaching is repeated frequently.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130 is made of an engineer plastic material, since the coupling protrusion 13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110, not only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main body 110 may be secured but also the manufacturing process may be simplified. .

상기와 같이 구성된 거치대 겸용 터치 펜(100)의 사용 예를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n example of using the holder-type touch pen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본체(110)를 쥐고서 터치 팁(120)을 휴대 기기(10)의 터치 스크린(11)을 접촉시키게 되면 터치 스크린(11)에 소정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거치대 겸용 터치 펜(100)은 터치 펜으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First, as shown in FIG. 2, when a user grips the main body 110 and makes the touch tip 120 contact the touch screen 11 of the mobile device 10, a predetermined command may be input to the touch screen 11. Can be. Therefore, the dual-purpose touch pen 100 can perform a function as a touch pen.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결합 돌기(130)를 휴대 기기(10)의 후방에서 결합 홈(13)에 끼움 결합하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제1 직선부(111)가 테이블 등의 거치면(1)에 맞닿게 결합하게 되면, 휴대 기기(10)가 소정의 거치 각도, 즉 제1 직선부(111)와 제3 직선부(113) 사이의 각도(θ1)로 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거치대 겸용 터치 펜(100)은 거치대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And, as shown in FIG. 3, the user fits the coupling protrusion 130 into the coupling groove 13 at the rear of the portable device 10, but as shown in FIG. 4, the first of the main body 110. When the straight portion 111 is coupled to the mounting surface 1 such as a table, the portable device 10 is a predetermined mounting angle, that is,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traight portion 111 and the third straight portion 113 It can be mounted to (θ1). Thus, the holder combined touch pen 100 can perform a function as a holder.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결합 돌기(130)를 도 4에 도시된 것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결합하여 본체(110)의 제2 직선부(112)가 테이블 등의 거치면(1)에 맞닿게 결합하게 되면, 휴대 기기(10)가 소정의 거치 각도, 즉 제2 직선부(112)와 제3 직선부(113) 사이의 각도(θ2)로 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직선부(112)와 제3 직선부(113) 사이의 각도(θ2)는 제1 직선부(111)와 제3 직선부(113) 사이의 각도(θ1)와 상이하므로, 사용자는 두 가지의 거치 각도 중 어느 하나의 거치 각도로 임의 선택하여, 휴대 기기를 거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5, the user combines the coupling protrusion 13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shown in FIG. 4, so that the second straight portion 112 of the main body 110 is placed on the mounting surface 1 of the table or the like. When coupled to, the portable device 10 may be mounted at a predetermined mounting angle, that is, an angle θ2 between the second straight portion 112 and the third straight portion 113. In this case, the angle θ2 between the second straight portion 112 and the third straight portion 113 is different from the angle θ1 between the first straight portion 111 and the third straight portion 113. At any one of two mounting angles is selected at any one of the mounting angle, it is possible to mount the mobile devic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기기의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 기능뿐 아니라 휴대 기기의 거치 기능을 겸할 수 있게 되므로, 별도의 거치대를 마련할 필요가 없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not only to provide the touch input function for the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device but also the mounting function of the portable device, and thus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hold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거치대 겸용 터치 펜을 휴대 기기와 연결된 스트랩에 매달아서 액세서리처럼 사용할 수 있는바, 종래와 같이 터치 펜을 휴대 기기에 수납하기 위한 별도의 수납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며, 분실의 우려가 없게 된다. 그 결과, 휴대 기기의 경량화 및 콤팩트화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can be used as an accessory by hanging the dual touch pen attached to the mobile device, so that a separate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touch pen in the mobile device as in the prior art is not required. There is no fear of loss. As a result, it may be possible to realize the weight reduction and compactness of the portable device.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기기에 대한 거치대 겸용 터치 펜이 결합하는 방향을 바꿈에 따라 휴대 기기의 거치 각도가 달라지므로, 사용자는 휴대 기기 의 거치 각도를 임의로 선택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 편의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unting angle of the portable device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ging direction of the combination pen for the portable device, the user may arbitrarily select the mounting angle of the portable device. Accordingly,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ease of use can be obtained.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Could b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7)

삭제delete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기기에 있어서, In a mobile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삼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둘레를 따라 제1,2,3 직선부가 순차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 직선부와 제3 직선부 사이가 이루는 각도와 상기 제2 직선부와 제3 직선부 사이가 이루는 각도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본체; A triangular plate shape is provided with first, second, and third straight portions sequentially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and an angle formed between the first straight portion and the third straight portion and an angle formed between the second straight portion and the third straight portion. The main body is form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접촉하는 것으로, 상기 제1 직선부와 제2 직선부 사이가 만나는 부위로부터 상기 본체의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터치 팁; 및 A touch tip that contacts the touch screen and protrudes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surface of the main body from a portion where the first linear portion and the second linear portion meet; And 상기 휴대 기기에 마련된 결합 홈에 끼움 결합할 수 있게 상기 제3 직선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 홈과 결합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직선부와 제2 직선부 중 어느 하나를 하측으로 향하게 하여 상기 휴대 기기의 거치를 가능하게 하는 결합 돌기; It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third straight portion so as to fit in the coupling groove provided in the portable device, so that any one of the first straight portion and the second straight portion toward the lower side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engagement with the coupling groove. Coupling protrusion to enable the mounting of the portable device; 를 구비하는 휴대 기기의 거치대 겸용 터치 펜. Combined touch pen for the mobile device having a cradle.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본체는 부등변 삼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의 거치대 겸용 터치 펜. The main body is a cradle-type touch pen of a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pezoid plate shape.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결합 돌기 및 터치 팁은 엔지니어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의 거치대 겸용 터치 펜. The engaging projection and the touch tip is a cradle combined touch pen of a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engineer plastic material.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본체는, 가장자리 부위가 엔지니어 플라스틱 소재와 금속 소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중앙 부위가 신축성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의 거치대 겸용 터치 펜. The main body, the edge portion is formed of any one of an engineer plastic material and a metal material, the center portion of the port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ouch pen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본체에는, 상기 휴대 기기에 연결된 스트랩(strap)과의 결합을 위한 스트랩용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의 거치대 겸용 터치 펜. The main body, the cradle combined touch pen of the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hole for the strap for coupling with a strap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본체의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의 거치대 겸용 터치 펜. Wherein the engaging projection is a cradle combined touch pen of the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tru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KR1020060067039A 2006-07-18 2006-07-18 Touch pen used as support of portable device KR1008300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039A KR100830079B1 (en) 2006-07-18 2006-07-18 Touch pen used as support of port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039A KR100830079B1 (en) 2006-07-18 2006-07-18 Touch pen used as support of portab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7859A KR20080007859A (en) 2008-01-23
KR100830079B1 true KR100830079B1 (en) 2008-05-16

Family

ID=39220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039A KR100830079B1 (en) 2006-07-18 2006-07-18 Touch pen used as support of portab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007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563B1 (en) 2010-08-23 2011-03-30 (주)알테크 Touch pen having supporting means
KR101471071B1 (en) * 2013-09-13 2014-12-10 서울인터내셔널 주식회사 holder apparatus of smart phone for easily attachment and separ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888B1 (en) * 2012-08-01 2014-10-28 이대형 Holder for portable display apparatus
CN105843427A (en) * 2016-03-24 2016-08-10 苏州天擎电子通讯有限公司 Rubber mouse pad with storage fun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161Y1 (en) 2004-06-07 2004-09-21 주식회사 뉴빛 Portable terminal string
KR200378928Y1 (en) 2004-12-22 2005-03-16 이화산업 주식회사 Cradle structure of a portable termin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161Y1 (en) 2004-06-07 2004-09-21 주식회사 뉴빛 Portable terminal string
KR200378928Y1 (en) 2004-12-22 2005-03-16 이화산업 주식회사 Cradle structure of a portable termi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563B1 (en) 2010-08-23 2011-03-30 (주)알테크 Touch pen having supporting means
KR101471071B1 (en) * 2013-09-13 2014-12-10 서울인터내셔널 주식회사 holder apparatus of smart phone for easily attachment and sepa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7859A (en) 200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3314Y1 (en) Mobile device and computer device stand
US8297440B2 (en) Case with support mechanism f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screen
US8844098B2 (en) Apparatus for gripping handheld devices
EP2407861B1 (en) Bendable touch device
US10406671B2 (en) Apparatus for gripping handheld devices
US8493369B2 (en) Foldable stylus and pen with protective housing
US20110050606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502805B2 (en) Touch stylus for electronic device having retracted and extended positions
JP2014225047A (en) Portable electronic terminal holder
KR100830079B1 (en) Touch pen used as support of portable device
WO2007014041A1 (en) An apparatus for stabilizing an electronic device during data input and device control
US20220212334A1 (en) Compacting grip for handheld devices
US8736586B2 (en) Multifunction stylus
US20120039662A1 (en) Stylus
US20040046734A1 (en) Thumb-retained stylus
JP2016111681A (en) Portable electronic terminal holder
US8373681B2 (en) Stylus having a retracted and extended position
US8334856B2 (en) Stylus
US8284174B2 (en) Stylus
US20110155480A1 (en) Stylus
US20110157793A1 (en) Slide-type electronic device
US8339383B2 (en) Stylus
US20080218477A1 (en) Computer mouse
US8717310B2 (en) Stylus
KR101396554B1 (en) stylus pen combination for mobi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