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136B1 - 정보분배시스템, 단말장치, 정보센터, 기록매체 및정보분배방법 - Google Patents

정보분배시스템, 단말장치, 정보센터, 기록매체 및정보분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8136B1
KR100828136B1 KR1020010033298A KR20010033298A KR100828136B1 KR 100828136 B1 KR100828136 B1 KR 100828136B1 KR 1020010033298 A KR1020010033298 A KR 1020010033298A KR 20010033298 A KR20010033298 A KR 20010033298A KR 100828136 B1 KR100828136 B1 KR 100828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terminal device
prepaid
conte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3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6575A (ko
Inventor
요시다타다오
키츠카와치사토
히토츠이요시히코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06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6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5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involving programming of a portable memory device, e.g. IC cards, "electronic pur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06Q30/0629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for generating comparis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통신라인을 통하여 정보센터로부터 자신의 식별자와 선불정보가 기록된 기록매체가 탑재된 단말장치에 콘텐츠데이터가 전송되면, 정보센터가 단말장치에 탑재된 기록매체 내의 사용가능한 잔액을 관리하고, 콘텐츠데이터가 분배될 때마다 이 사용가능한 잔액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가능한 잔액이 정보센터로부터 분배된 콘텐츠데이터의 가격보다 적을 경우에, 정보센터가 분배되는 콘텐츠를 커버하기에 충분한 사용가능한 잔액을 가지고 있는 다른 기록매체를 탑재하라고 단말장치에 지시한다. 또한, 단말장치에 탑재된 기록매체의 남은 기록가능한 용량이 그곳으로부터 정보센터에 전송된다. 정보센터는 잔여 기록가능한 용량과 전송되는 데이터콘텐츠의 크기를 비교한다. 잔여 기록가능한 용량이 콘텐츠데이터의 크기보다 적으면, 정보센터는 전송되는 콘텐츠데이터를 위해 충분한 기록가능한 용량을 갖는 새로운 기록매체를 탑재하라고 단말장치에 지시한다.

Description

정보분배시스템, 단말장치, 정보센터, 기록매체 및 정보분배방법{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terminal apparatus, information center,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구현된 단말장치 및 서버를 갖는 분배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기록매체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네트워크접속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의 네트워크분배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실시예의 콘텐츠데이터베이스제어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의 실시예의 고객정보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1의 실시예의 고객데이터베이스에 의해 관리되는 테이블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선불정보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9a는 본 발명이 적용된 광자기디스크 상에서 기록하는 단위를 구성하는 클러스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9b는 도 9a에 나타낸 각 클러스터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이 적용된 광자기디스크의 영역구조(area structure)를 나 타낸 것이다.
도 10b는 도 10a의 광자기디스크의 제어영역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도 10a의 광자기디스크의 리드인영역에 의해 제어되는 P-TOC섹터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도 10의 광자기디스크의 제어영역에 의해 제어되는 U-TOC섹터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불연속적으로 기록되는 부분들 사이의 연결(linking)을 나타낸 링크도이다.
도 14는 도 10a의 광자기디스크의 제어영역에 의해 제어되는 U-TOC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위해 수행되는 단말기측 및 서버측에서의 처리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6은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위해 수행되는 단말기측 및 서버측에서의 처리를 나타낸 또 다른 플로차트이다.
도 17은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위해 수행되는 단말기측 및 서버측에서의 처리를 나타낸 또 다른 플로차트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로서 구현된 고객데이터베이스(70)에 의해 제어되는 테이블을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기록매체의 탑재시에 사용가능한 잔액과, 기록가능한 나머지 용량에 따라 수행되는 처리를 나타낸 시스템도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음악과 같은 콘텐츠를 사용자의 기록매체에 분배 및 기록하기 위한 정보분배시스템, 단말장치, 정보센터, 기록매체 및 정보분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음악, 비디오 및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유료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인터넷과 같은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음악분배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인터넷상에서 퍼스널컴퓨터 등의 단말장치를 유료의 음악다운로드사이트에 접속한다. 그 사이트에 표시되어 있는 분배음악구입메뉴를 보면서, 사용자는 원하는 음악콘텐츠를 선택하여 그 다운로드를 그 사이트에 요청하게 된다. 선택된 콘텐츠는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등의 사용자 단말장치의 기록매체에 다운로드된다.
다운로드된 콘텐츠에 대한 비용지불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신용카드번호 등을 입력함으로써 비용지불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예를 들어 음반가게 또는 편의점에 설치되어 있는 전용단말장치로부터 음악콘텐츠를 구입하는 시스템도 이용되고 있다. 이 경우, 각 사용자는 음악콘텐츠가 기록될 수 있는 MD(Mini Disc: 상표; 광자기디스크) 등의 기록매체를 가지고 음반가게나 편의점에 가서, 그것을 전용단말장치에 탑재하게 된다.
음악콘텐츠서버에 접속되어 있는 이 전용단말장치에 의해 사용자는 음악콘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전용단말장치에서 원하는 음악타이틀을 선택하면, 선택된 음악타이틀이 사용자가 탑재시킨 예를 들어 MD에 기록되게 된다.
다운로드된 음악콘텐츠에 대한 비용지불에 대해서는 상술한 것처럼 사용자의 신용카드번호를 입력하던지 아니면 예를 들어 자동판매기에서와 같이 돈을 투입함으로써 요금지불이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다운로드된 콘텐츠에 대한 종래의 요금지불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신용카드에 의한 요금지불에 있어서는, 신용카드번호가 없는 사용자는 콘텐츠의 다운로드서비스를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서비스는 신용카드를 소지하고 있는 사람들에게만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요금지불 방식에는 신용카드의 보안문제도 있다.
전용 선불카드에 의한 요금지불도 알려져 있다. 하지만, 신용카드를 발급받는 것은 사용자에게 불편할 수 있고, 또한 그것을 사용하기에는 약간의 지식도 필요하다. 또한, 선불카드를 자동판매기에 적용하는데 있어서는, 사용자가 기록매체와 선불카드를 항상 지니고 다녀야 한다는 점에서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각 자동판매기도 선불카드삽입구와 기록매체투입구 모두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신용카드 또는 선불카드에 의한 요금지불에 있어서는, 카드투입과정 및 요금지불시스템에 대한 약간의 지식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컴퓨터조작을 잘 못하는 사용자에게는 친숙하지 않게 되어 그 콘텐츠를 구입하지 않으려고 하게 된다.
상술한 전용단말장치는 현금으로 요금지불이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콘텐츠를 다운로드할 때마다 기록매체를 투입하고 또한 돈을 투입해야 한다는 점에서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쉽고, 편리하며 보안성이 있게 분배되는 콘텐츠를 사용자가 구입할 수 있는 정보분배시스템, 단말장치, 정보센터, 기록매체 및 정보분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형태에 따라,
그 기록매체에 고유한 식별자와 선불정보를 미리 기록하고 있는 기록매체가 탑재될 수 있는 단말장치와, 상기 단말장치에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소정의 통신라인을 통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콘텐츠데이터를 송신하는 정보센터를 가지고 있는 정보분배시스템으로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전송된 상기 콘텐츠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수신수단과;
상기 단말장치에 탑재된 상기 기록매체에 상기 제 1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콘텐츠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매체에 고유한 상기 식별자와 상기 선불정보를 재생하는 기록 및 재생수단과;
재생된 상기 기록매체에 고유한 식별자 및 상기 선불정보를 상기 정보센터에 전송하는 제 1전송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센터는
복수의 콘텐츠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저장수단과;
상기 제 1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단말장치로 소정의 콘텐츠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전송수단과;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기록매체에 고유한 식별자와 상기 선불정보를 수신하는 제 2수신수단과;
상기 제 2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기록매체에 고유한 식별자와 상기 선불정보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잔액을 저장하는 제 2저장수단과;
상기 제 1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소정의 콘텐츠데이터가 전송될 때, 상기 제 1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된 상기 소정의 콘텐츠데이터에 대한 요금부과를 위하여 상기 제 2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사용가능한 잔액을 갱신하는 요금부과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형태에 따라,
그 기록매체에 고유한 식별자와 선불정보를 미리 기록하고 있는 기록매체를 탑재할 수 있는 탑재수단과;
상기 탑재수단에 탑재된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선불정보 및 상기 기록매체에 고유한 상기 식별자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소정의 통신라인을 통해 상기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상기 선불정보 및 상 기 재생매체에 고유한 상기 식별자를 정보센터에 전송하는 전송수단과;
상기 전송된 기록매체에 고유한 식별자 및 상기 전송된 선불정보 및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전송된 콘텐츠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센터에서 수행되는 잔액조회(balance inquiry)의 결과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콘텐츠데이터를 상기 탑재된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잔액조회가 상기 수신된 콘텐츠데이터를 위해 액수가 부족함을 나타낼 때, 현재 탑재된 기록매체를 꺼내고 다른 기록매체를 탑재하라고 재촉하는 재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3형태에 따라,
콘텐츠데이터를 분배하기 위하여 소정의 통신라인을 통하여 단말장치에 접속된 정보센터로서,
복수의 콘텐츠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저장수단과;
상기 제 1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단말장치로 소정의 콘텐츠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수단과;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된 것으로,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선불정보 및 그 기록매체에 고유한 식별자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기록매체에 고유한 식별자 및 상기 선불정보에 따라서 사용가능한 잔액을 저장하는 제 2저장수단과;
상기 소정의 콘텐츠데이터가 상기 제 1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될 때, 상기 제 1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된 상기 소정의 콘텐츠데이터의 요금부과를 위하여 상기 제 2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사용가능한 잔액을 갱신하는 요금부과처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정보센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4형태에 따라,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 고유한 식별자와 선불정보가 미리 기록되는 재기록 불가능영역과;
콘텐츠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영역과;
상기 기록영역의 기록가능용량이 관리되는 관리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5형태에 따라,
정보센터 및 단말장치가 소정의 통신라인을 통하여 상호접속되며,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상기 기록매체를 탑재할 수 있는 단말장치로 콘텐츠데이터를 분배하여 분배된 콘텐츠데이터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정보분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기록매체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상기 기록매체에 고유한 식별자와 선불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기록매체에 고유한 식별자 및 선불정보에 따라서 사용가능한 잔액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사용가능한 잔액과,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상기 단말장치로 분배되는 콘텐츠데이터의 요금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사용가능한 잔액이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분배되는 상기 콘텐츠데이터의 상기 요금보다 클 경우,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콘텐츠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콘텐츠데이터가 전송되면 제 2메모리 내에 저장된 상기 사용가능한 잔액을 상기 콘텐츠데이터의 상기 요금에 의해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정보분배방법이 제공된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순서로 본 발명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1. 분배시스템
1-1 시스템구성
1-2 기록부
1-3 네트워크접속부
1-4 네트워크분배부
1-5 콘텐츠분배제어기
1-6 고객정보부
2. 선불정보
2-1 선불정보구조
2-2 기록매체가 MD일 경우에 사용되는 선불정보기록형식
3. 콘텐츠분배처리
3-1 분배처리과정
3-2 요금부과 처리
1. 분배시스템
1-1 시스템구성
도 1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구현된 콘텐츠분배시스템의 구성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콘텐츠분배시스템은 서버(3)로부터 단말기(1)로 예를 들어 유료음악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 분배시스템은 비디오데이터 및 텍스트데이터와 같은 콘텐츠도 제공할 수 있다.
단말기(1)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집에 설치되어 있는 퍼스널컴퓨터 등의 정보장치 또는 음반가게에 설치되어 있는 전용 임대라인(leased line)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단말기(1)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이동전화, 또는 차량탑재통신장치와 같은 무선장치일 수도 있다. 즉, 단말기(1)는 네트워크(2)를 통하여 서버(3)와 통신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단말기(1)는 통신기능이 있는 가정용 오디오/비디오장치일수도 있다.
서버(3)는 콘텐츠제공서비스를 수행하는 단체 또는 개인에 의해 조작되는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를 축적하는 콘텐츠보유기능과, 단말기(1)와의 통신으로 콘텐츠보유기능에 의해 보유되어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능과, 단말기(1)의 사용에 의해 콘텐츠제공을 받아들인 사용자에 대한 요금부과의 관리를 수행하는 요 금부과기능을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다.
이들 기능은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조직 또는 회사에 의해 전적으로 조작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다른 조직들, 회사들 및 개인들에 의해 협동하는 방식으로 조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들 각 기능들은 서로 링크되어 있는 인터넷상의 다른 웹페이지로서 협동하는 방식으로 관리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2)는 임대라인과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라인과 같은 공중전화선일 수도 있다. 또는, 무선전화선 또는 위성통신선과 같은 무선망일 수도 있다.
단말기(1)는 적어도 도 1에 나타낸 네트워크부(20)와 기록부(10)를 가지고 있다. 기록부(10)는 기록매체(4)에 대해서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한다. 기록매체(4)는 후술하는 선불정보가 재기록불가방식으로 기록되는 휴대용 기록매체이다. 예를 들어 기록매체(4)는 광자기디스크가 카트리지에 수용되어 있는 MD이거나, 일반적으로 CD-R, CD-RW, DVD-RAM, DVD-RW 또는 DVD+RW라고 불리는 디스크이거나, 플레시메모리 기반의 메모리카드일 수 있다. 물론, 기록매체(4)는 상술한 것 이외의 것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접속부(20)는 네트워크(2)를 통하여 서버(3)와 통신을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정보분배시스템에서의 콘텐츠분배조작으로서 단말기(1)의 조작을 수행한다.
단말기(1)는 분배전용단말기로 구성될 경우 기록매체(10)와 네트워크접속부(20)가 통합된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퍼스널컴퓨터와 PDA장치는 대부분 기록매체(4)에 대해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드라이브를 가지 고 있다. 단말기(1)는 드라이브 및 통신기능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단말기(1)는 MD기록 및 재생장치와 같은 기록부(10)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장치를 네트워크접속장치(20)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예를 들어 퍼스널컴퓨터에 접속함으로써 구성될 수도 있다.
서버(3)는 네트워크분배부(30)와, 콘텐츠데이터베이스제어기(40)와, 고객정보부(50)와, 콘텐츠데이터베이스(60)와, 고객데이터베이스(70)로 구성된다. 네트워크분배부(30)는 서버(3)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단말기(1)에 분배한다. 콘텐츠데이터베이스제어기(40)와 콘텐츠데이터베이스(60)는 콘텐츠보유기능을 수행한다. 고객정보부(50)와 고객데이터베이스(70)는 단말기(1)의 사용자에 대한 요금부과 관리를 하는 요금부과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나 광디스크와 같은 기록매체로 구성되는 콘텐츠데이터베이스(60)는 사용자에게 제공해야할 많은 수의 음악콘텐츠를 뮤직라이브러리의 형태로 저장한다. 콘텐츠데이터베이스제어기(40)는 콘텐츠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되어 있는 예를 들어 음악콘텐츠에 대한 엑세스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콘텐츠데이터베이스제어기(40)는 콘텐츠데이터베이스(60)로부터 네트워크분배부(30)에 의해 요청된 콘텐츠를 읽어내어 이 콘텐츠를 네트워크분배부(30)에 전송한다.
하드디스크나 광디스크와 같은 기록매체로 구성되는 고객데이터베이스(70)는 각 기록매체(4)에 기록되어 있는 선불정보에 대응하여 요금부과정보를 저장한다. 고객정보부(50)는 고객데이터베이스(70)에 대한 고객정보의 등록 및 읽기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분배부(30)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고객정보부(50) 는 고객데이터베이스(70)로 요금부과정보를 새로이 등록하며, 특정 수의 요금부과정보를 읽어내어 네트워크분배부(30)에 제공한다.
서버(3)의 이들 구성요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하나의 조직, 회사 또는 다른 조직들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콘텐츠데이터베이스(60)와 고객데이터베이스(70)는 다른 영역들 또는 다른 나라들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분배부(30)는 분배서비스회사에 의해, 콘텐츠데이터베이스제어기(40) 및 콘텐츠데이터베이스(60)는 예를 들어 기록회사 또는 기록레이블회사에 의해, 고객정보부(50) 및 고객데이터베이스(70)는 요금부과서비스회사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복수의 콘텐츠데이터베이스제어기(40) 및 콘텐츠데이터베이스(60)가 있을 수 있으며, 이 때 네트워크분배부(30)는 이들 콘텐츠데이터베이스(60) 각각으로부터 콘텐츠를 분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정보분배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는 기록매체(4)를 단말기(1)에 탑재시킨다. 이어서, 단말기(1)는 서버(3)와 통신을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콘텐츠 리스트(혹은 메뉴)를 수신한다. 사용자는 수신된 리스트로부터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한다. 이어서, 선택된 콘텐츠는 서버(3)로부터 단말기(1)에 제공된다. 단말기(1)는 제공된 콘텐츠를 기록매체(4)에 기록한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는 예를 들면 음악과 같은 원하는 콘텐츠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기록매체(4)에 저장되어 있는 선불정보에 기초하여 제공된 콘텐츠에 대해 사용자에게 요금이 부과된다. 이것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 다. 각 기록매체(4)는 서로 다른 매체 ID와 선불정보로서 선불금액을 지니고 있다.
단말기(1)가 이 선불정보를 서버(3)에 전송하면, 네트워크분배부(30)는 제공된 선불정보에 기초하여 고객데이터베이스(70)에 대한 요금부과처리를 수행한다. 넓은 개념으로, 각 기록매체(4)의 선불정보에 대응하는 요금부과정보는 고객데이터베이스(70)에 등록되며, 이때 제공된 콘텐츠의 비용과 동등한 금액이 요금부과정보내의 선불금액으로부터 삭감된다. 즉, 고객데이터베이스(70) 상의 요금부과정보를 갱신함으로써 요금부과처리가 수행된다. 반대로, 기록매체(4)에 기록되어 있는 선불정보는 모두 재기록 되지는 않는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1-2. 기록부
도 2에는 기록부(10)의 블록도를 나타내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부(20)는 드라이브(11)와, 드라이브제어기(12)와, 인터페이스제어기(13)와, 인터페이스(14)와, 프로그램저장부(15)로 구성된다.
드라이브(11)는 기록매체(4)에 대한 정보의 기록 및 재생을 수행한다. 기록매체(4)가 MD일 경우에는, 드라이브(11)는 기록/재생헤드, 엔코더/디코더, 데이터버퍼, 서보(servo)로 구성되며, 이 디스크에 대한 정보의 기록 또는 읽기를 수행한다.
드라이브(11)는 기록매체(4)가 탑재되는 하나 이상의 슬롯을 가질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슬롯을 배치하는 것은 후술하는 요금부과처리를 위하여 한번에 두 개 이상의 기록매체(4)를 탑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드라이브(11)는 MD를 위한 드라이브구성과, 메모리카드를 위한 드라이브구성 모두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복수의 다른 형태의 기록매체에 호환성을 부여하게 된다.
드라이브제어기(12)는 인터페이스제어기(13)와의 통신과, 드라이브(11)의 기록 및 재생동작에 있어서 기록부(10) 전체를 제어한다. 즉, 네트워크접속부(20)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드라이브제어기(12)는 기록매체(4)에 대한 정보의 기입 또는 읽기와, 선불정보의 읽기 또는 전송과, 기록매체(4)의 기록가능용량정보의 읽기 및 전송에 있어서 기록부(10)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드라이브제어기(12)의 이들 제어구성들은 고체메모리(solid-state memory) 또는 하드디스크에 의해 구성된 프로그램저장부(15)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한 지령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다. 프로그램저장부(15)는 기록부(10)의 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제어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기록매체(4)로부터 선불정보 및 기록가능한 용량정보를 읽어내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드라이브제어기(12)는 선불정보처리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지령을 받아 드라이브(11)를 제어함으로써, 기록매체(4)로부터 선불정보 및 기록가능한 용량정보를 읽어낼 수 있고, 이들 정보 아이템들을 네트워크접속부(20)에 전달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정보분배시스템에 의한 요금부과 처리조작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기록매체(4) 내의 선불정보의 기록형태에 따라, 기록부(4)는 선불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하드웨어로서 선불정보인식장치를 가질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14)는 네트워크접속부(20)와 기록부(10)의 인터페이스를 행하며, 이것을 통하여 인터페이스(13)가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1-3 네트워크접속부
도 3은 네트워크접속부(2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네트워크접속부(20)는 인터페이스(21)와, 인터페이스제어기(22)와, CPU(23)와, 네트워크인터페이스제어기(24)와, 네트워크인터페이스(25)와, 데이터저장부(26)와, 프로그램저장부(27)와, 표시부(28a)와, 오디오출력부(28b)와, 입력부(29)로 구성된다.
인터페이스(21)는 네트워크접속부(20)와 기록부(10)의 인터페이스를 행하며, 이것을 통하여 다양한 종류의 정보가 인터페이스제어기(22)의 제어하에 전송되게 된다.
CPU(23)는 네트워크접속부(20)를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CPU(23)는 예를 들어 정보분배를 위한 서버(3)와의 다양한 데이터의 송수신과, 사용자인터페이스처리와, 기록부(10)와의 다양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CPU(23)에 의한 제어동작은 프로그램저장부(27)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한 지령에 의해 수행된다. 프로그램저장부(27)는 예를 들어 고체메모리 또는 하드디스크로 구성된다. 프로그램저장부(27)는 네트워크접속부(20)의 제어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제어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기록매체(10)로부터 제공된 선불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도 저장한다. CPU(23)는 본 시스템에서의 요금 부과처리를 위해 필요한 선불정보를 선불정보처리 응용프로그램에 의한 지령에 의해 서버(3)에 전송하는 것을 제어한다. 서버에 전송될 선불정보의 암호화(encryption) 및 부호화(encoding) 또한 선불정보처리 응용프로그램에 기초하여 CPU(23)에 의해 제어된다.
데이터저장부(26)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체메모리 또는 하드디스크로 구성된다. 또한 CPU(23)는 서버(3)로부터 다운로드된 콘텐츠 또는 기록부(10)로부터 수신된 선불정보를 버퍼링하기 위하여, 혹은 CPU(23)에 의한 컴퓨터연산을 위한 확장 작업메모리로서 데이터저장부(26)를 이용한다.
네트워크인터페이스(25)는 네트워크(2)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네트워크인터페이스제어기(24)에 의해 제어된다. 네트워크인터페이스(25)는 예를 들어 모뎀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무선통신부일 수도 있다.
표시부(28a), 오디오출력부(28b) 및 입력부(29)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표시부(28a)는 분배된 콘텐츠의 메뉴스크린, 다양한 조작스크린 및 안내스크린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오디오출력부(28b)는 예를 들어 오디오디코더, A/D변환기, 오디오프로세서, 증폭기 및 스피커로 구성되어, 오디오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분배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는 예를 들어 구입 전에 음악콘텐츠에 대한 시험청취를 할 수 있다. 시험청취를 위해서, CPU(23)는 사용자가 시험청취를 할 수 있도록 서버(3)로부터 다운로드된 시험청취콘텐츠를 오디오출력부(28b)에 제공한다.
입력부(29)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입력부(29)는 조작키, 조작다이얼, 또는 키보드 혹은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장치일 수 있다. 물론, 입력부(29)는 표시부(28a)와 일체화된 터치패널일 수도 있다.
1-4 네트워크분배부
도 4는 네트워크분배부(3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네트워크분배부(30)는 네트워크전송부(31), 전송제어기(32), 분배서비스관리시스템부(33), 고객정보링크부(34), 콘텐츠다운로드정보 수신/저장부(35) 및 고객정보 수신/저장부(36)로 구성된다.
네트워크전송부(31)는 네트워크(2)에 접속되어 정보를 전송한다. 전송제어기(32)는 네트워크전송부(31)에 의해 수행될 송수신동작을 제어한다.
분배서비스관리시스템부(33)는 서버(3)로서 분배조작을 제어하며 서버본체로서 제어기에 의해 구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분배서비스관리시스템부(33)는 네트워크전송부(31)를 거처서 단말기(1)로부터 제공된 선불정보 및 구입정보에 대한 처리, 선불정보 및 구입정보에 응답하여 콘텐츠를 획득하고 전송하는 처리, 단말기(1)와의 통신 및 접속을 위한 처리를 포함한 모든 분배서비스처리를 제어한다.
고객정보링크부(34)는 단말기(1)로부터 제공된 선불정보 및 구입정보를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고객데이터베이스(70)로부터 읽어낸 요금부과정보 및 콘텐츠데이터베이스(60)로부터 읽어낸 콘텐츠를 링크시킨다.
콘텐츠다운로드정보 수신/저장부(35)는 콘텐츠데이터베이스제어기(40)에 의해 콘텐츠데이터베이스(60)로부터 읽어낸 정보를 수신하며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고객정보 수신/저장부(36)는 고객정보부(50)에 의해 고객데이터베이스(70)로부터 읽어낸 정보를 수신하며 일시저장한다.
즉, 고객정보링크부(34)는 단말기(1)로부터 제공된 선불정보 및 구입정보를 콘텐츠분배를 위해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서 고객정보수신/저장부(36)와 고객다운로드정보수신/저장부(35)에 저장된 정보를 링크시킨다.
1-5 콘텐츠데이터베이스제어기
도 5는 콘텐츠데이터베이스제어기(40)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콘텐츠데이터베이스제어기(40)는 전송부(41), 전송제어기(42), CPU(43), 콘텐츠데이터베이스제어부(44), 데이터저장부(45), 프로그램저장부(46), 표시부(47) 및 입력부(48)로 구성되어 있다.
전송부(41)는 네트워크분배부(30)의 콘텐츠다운로드정보 수신/저장부(35)에 연결되어 정보를 전송한다. 전송제어기(42)는 전송부(41)에 의해 수행되는 정보 송수신동작을 제어한다.
CPU(43)는 콘텐츠데이터베이스제어기(40) 전체를 제어한다. 즉, CPU(43)는 네트워크분배부(30)와 함께 커맨드 및 콘텐츠 송수신조작을 제어하며 콘텐츠데이터베이스(60)에 대한 읽기/쓰기동작을 제어한다.
이들 CPU(43)에 의한 제어동작은 프로그램저장부(46)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지령을 받은 대로 수행한다. 프로그램저장부(46)는 예를 들어 고체메모리 또는 하드디스크에 의해 구성된다. 프로그램저장부(46)는 콘텐츠데이터베이스(60)에 엑세스하여 관리하고, 네트워크분배부(30)와의 통신을 제어하고, 전송해야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데이터저장부(45)는 또한 예를 들면 고체메모리 또는 하드디스크에 의해 구성된다. CPU(43)는 콘텐츠데이터베이스(60)로부터 읽어낸 콘텐츠, 또는 거기에 저장해야할 콘텐츠를 버퍼링하거나 CPU(43)에 의한 컴퓨터연산을 위한 확장 작업메모리로서 데이터저장부(45)를 이용할 수 있다.
콘텐츠데이터베이스제어부(44)는 CPU(43)에 의한 지시에 따라 콘텐츠데이터베이스(60)를 제어하여, 콘텐츠에 대한 쓰기, 읽기, 검색을 위한 엑세스조작을 수행한다.
표시부(47) 및 입력부(48)는 콘텐츠데이터베이스메니저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표시부(47)는 CPU(43)의 제어하에 콘텐츠데이터베이스(60)를 관리하기에 필요한 화상을 표시한다. 입력부(48)는 콘텐츠데이터베이스(60)를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입력조작을 수행하는데 이용된다.
1-6 고객정보부
도 6은 고객정보부(50)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고객정보부(50)는 전송부(51), 전송제어기(52), CPU(53), 고객데이터베이스제어기(54), 데이터저장부(55), 프로그램저장부(56), 표시부(57) 및 입력부(58)로 구성된다.
전송부(51)는 네트워크분배부(30)의 고객정보수신/저장부(36)에 연결되어 정보를 전송한다. 전송제어기(52)는 전송부(51)의 전송동작을 제어한다.
CPU(53)는 고객정보부(50)를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즉, CPU(53)는 정보분배동작에 있어서, 네트워크분배부(30)와의 요금부과정보 및 커맨드의 송수신 및 고 객데이터베이스(70)에 대한 읽기/쓰기동작을 제어한다.
CPU(53)에 의한 이들 제어동작은 프로그램저장부(56)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한 지시에 따라 수행된다. 프로그램저장부(56)는 예를 들어 고체메모리 또는 하드디스크에 의해 구성된다. 프로그램저장부(56)는 고객데이터베이스(70)의 엑세스 및 관리, 네트워크분배부(30)와의 통신 및 전송해야할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데이터저장부(55)는 예를 들어 고체메모리 또는 하드디스크로 구성될 수도 있다. CPU(53)는 고객데이터베이스(70)로부터 읽어낸 요금부과정보와 선불정보에 기초하여 새롭게 등록해야할 요금부과정보를 버퍼링하거나, CPU(53)에 의한 컴퓨터연산을 위한 확장 작업메모리로서 데이터저장부(55)를 이용할 수 있다.
고객데이터베이스제어기(54)는 CPU(53)에 의한 지시에 따라 고객데이터베이스(70)를 제어하여, 요금부과정보 쓰기, 읽기 및 검색을 위한 엑세스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표시부(57) 및 입력부(58)는 고객데이터베이스메니저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표시부(57)는 CPU(53)의 제어하에 고객데이터베이스(70)를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화상을 표시한다. 입력부(58)는 고객데이터베이스(70)를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입력조작을 수행하는데 이용된다.
도 7에 나타낸 요금부과정보는 고객데이터베이스(70)에 의해 등록된다. 여기서 말하는 "요금부과정보"란 하나의 선불정보에 대해 등록된 데이터그룹을 나타내며, 예를 들면, 하나의 요금부과정보는 매체ID, 잔액 및 구입로그로 이루어져 있다. 도 7은 매체 ID(ID1~ID5)와 대응하는 요금부과정보(K1~K5)를 나타내고 있다.
요금부과정보내의 매체ID는 후술하는 선불정보에 포함되는 것이다. 잔액이란 구입이 발생할 때마다 선불원금으로부터 구입한 콘텐츠에 대한 비용을 뺌으로써 얻은 현재의 선불잔액을 말한다. 구입로그는 구입날짜, 콘텐츠명, 콘텐츠비용 및 사용자단말기와 같은 정보, 즉, 모든 콘텐츠구입거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물론, 요금부과정보는 선불원금, 매체형태, 매체제조회사, 구입된 콘텐츠의 저작권소유자 등의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요금부과정보는 구입로그를 배제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분배동작을 위한 것으로서, 최소한 매체ID 및 잔액을 포함한 정보만 요금부과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정보들은 분배시스템 또는 제공되는 서비스의 콘텐츠의 편의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2. 선불정보
2-1 선불정보구조
본 발명에 따른 정보분배시스템에 의해 분배된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우선 선불정보가 기록된 기록매체(4)를 시스템에 탑재해야 한다. 선불정보는 재기록불가방식으로 기록매체(4)에 기록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선불정보는 선불금액, 선불서비스ID 및 매체ID로 구성되어 있다.
선불금액은 사용자가 미리 지불한 금액을 말한다. 기록매체(4)는 예를 들 어 콘텐츠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공 MD(virgin MD) 또는 공 메모리카드로 판매되며, 그 판매가격은 선불금액을 포함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미사용 기록매체의 정상 판매가가 5000엔이고 이 기록매체에 5000엔의 선불금액이 기록되어 있다면,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이 기록매체를 5,500엔에 구입할 수 있다. 물론, 기록매체는 어떠한 가격으로도 판매될 수 있고, 예를 들면 기록매체 자체를 무료로 할 경우 500엔 혹은 4,800엔의 할인금액으로 판매할 수 있다. 선불금액 5000엔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를 사는 사용자에게는, 그가 본 발명에 따른 정보분배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콘텐츠분배서비스를 위해 5000엔을 지불한 것이 된다.
선불서비스ID는 콘텐츠분배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3)의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선불서비스ID는 네트워크(2) 내에서 네트워크분배부(30)에 통신 및 접속하기 위한 어드레스가 된다. 그것은 인터넷 상에서 IP어드레스일 수도 있다. 기록매체(4)가 탑재되면, 단말기(1)는 접속을 요청하기 위하여 선불정보 내의 선불서비스ID에 기초하여 서버(3)에 엑세스한다.
서버(3)의 구성에 따라, 선불서비스ID는 네트워크분배부(30)의 어드레스가 아니고, 예를 들면 고객정보부(50) 혹은 콘텐츠데이터베이스제어기(40)의 어드레스일 수 있다.
네트워크분배부(30), 고객데이터베이스제어기(40) 및 고객정보부(50)가 각각 인터넷 상에서 상호접속된 웹페이지로서 형성된 것이라 가정하면, 단말기(1)는 콘텐츠데이터베이스제어기(40)에 엑세스하는데 적용되며, 이때, 선불서비스ID는 콘텐츠데이터베이스제어기(40)의 어드레스가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고객정보부(50)가 분배처리가 진행됨에 따라 링크될 수 있으며, 이때 이 처리는 네트워크분배부(30)에 의해 집합적으로 처리되게 된다.
역으로, 단말기(1)는 선불서비스ID가 고객정보부(50)의 어드레스인 상태에서 고객정보부(50)에 엑세스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콘텐츠데이터베이스제어기(40)는 분배처리가 진행됨에 따라 링크될 수도 있으며, 이때 이 처리는 네트워크분배부(30)에 의해 집합적으로 처리되게 된다.
매체ID는 각 기록매체(4)에 붙여진 고유한 식별번호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2개의 선불기록매체(4)를 구입하면, 이들 기록매체(4)에는 서로 다른 매체ID가 기록된다.
상술한 선불정보에는, 예를 들어 8비트가 선불금액에 할당되고, 약 22~32비트가 선불서비스ID에 할당되고, 32~40비트가 매체ID에 할당될 수 있다.
할당되는 비트수는 예를 들면 관련된 선불시스템의 설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선불서비스ID에 대해서 예를 들어 서버어드레스를 위해 필요한 비트수나, 그 매체ID에 대해서 팔아야 할 선불매체의 총 개수 혹은 잠재적인 총 개수는 다른 ID번호들이 서로 충분히 구별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최소값은 선불금액에 대해서 1바이트(8비트), 또는 선불서비스 ID에 대해서 3 또는 4바이트, 매체ID를 위해서 3 또는 4바이트, 총 8바이트일 수 있다.
이하, 도 7에 나타낸 요금부과정보와 기록매체(4)에 기록되어 있는 선불정보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매체ID=ID1이고 선불금액=5000엔으로 기록되어 있는 기 록매체(4)를 이용한다고 가정하자. 서버(3) 상에서, 이 기록매체(4)가 처음 사용된 때에 도 7에 나타낸 요금부과정보(K1)가 고객데이터베이스(70)에 등록된다. 처음에, 이 요금부과정보(K1) 내의 매체ID 및 잔액에 대해서, 선불정보 내의 데이터가 변하지 않고 등록되며, 즉, 요금부과정보(K1)의 매체ID = ID1이고, 잔액=5000엔이다.
그리고, 콘텐츠가 기록매체(4)에 다운로드 혹은 기록됨에 따라, 그 콘텐츠에 대한 요금이 요금부과정보(K1) 내의 잔액으로부터 삭감된다. 즉, 콘텐츠의 다운로드가 발생될 때마다, 기록매체(4) 상의 선불정보 내의 기록매체ID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요금부과정보를 찾기 위하여 고객데이터베이스(70)가 탐색되어지고, 검색된 요금부과정보 내의 잔액으로부터 삭감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요금부과정보(K1)에서, 잔액이 3,700엔이면, 이것은 매체ID가 ID1인 기록매체를 사용하여 1,300엔으로 콘텐츠를 구입한 결과인 것이다.
상술한 요금부과처리로부터 알 수 있듯이,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기록매체(4) 내의 선불정보는 전혀 갱신되지 않는다. 즉, 선불정보는 재기록방지 방식으로만 기록매체(4) 상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련기술로서의 선불카드에서는, 선불카드 내에서 잔액이 감소하면서 갱신되며, 반면에 본 발명의 기록매체(4)에 기록되어 있는 선불정보는 갱신을 위한 재기록이 행해지지 않는다.
여기에서, 기록매체(4)는 재기록방식으로 선불정보를 기록하는데 적용할 수 있으나, 선불금액이나 매체ID가 위조되거나 선불서비스가 선불서비스ID를 변경하여 악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록매체(4)를 재기록할 수 있게 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 못하다.
2-2 기록매체가 MD일 경우에 사용되는 선불정보기록형태
이하, 기록매체(4)가 예를 들어 MD이고, 선불정보가 재기록불가방식으로 기록매체(4)상에 기록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MD 상의 데이터형태 및 관리정보형태에 대해서 설명하고, 그 다음에 선불정보기록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MD시스템에서, 하나의 클러스터 단위로 된 데이터스트림이 기록데이터로서 형성된다. 도 9a,9b는 이 기록동작의 하나의 단위로 제공되는 클러스터 각각의 포맷을 나타낸다.
MD에서, 클러스터(CL)는 도 9a에 나타낸 것처럼 기록트랙으로서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이때 하나의 클러스터가 최소기록단위이다. 하나의 클러스터는 2,3라운드의 트랙과 동등하다. 그것의 음악데이터로서의 실제 재생시간은 2.043초 동안의 데이터양과 동등하다.
도 9b에 나타낸 것처럼 하나의 클러스터(CL)는 3섹터(SCFC~SCFE)로 이루어진 링크섹터, 하나의 섹터(SCFF)로 이루어진 서브데이터섹터 및 32섹터(SC00~SC1F)로 이루어진 메인섹터로 구성되어 있다. 즉, 하나의 클러스터는 36섹터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섹터는 2,352바이트로 이루어진 데이터단위가 된다.
링크섹터(SCFC~SCFE)는 기록동작 사이의 버퍼로 제공되거나, 혹은 다양한 동작을 처리하기 위해 이용된다. 서브데이터섹터(SCFF)는 서브데이터로 설정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이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언급된 것으로 관리정보로 제공되는 TOC(Table Of Contents) 데이터와 콘텐츠로 제공되는 오디오데이터는 32섹터로 구성된 메인섹터(SC00~SC1F)에 기록된다.
도 10a,10b는 MD디스크영역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a는 MD의 최내주측으로부터 최외주측까지의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광자기디스크로서의 MD에 있어서는, 최내주측은 피트를 새겨 재생전용데이터가 형성되어 있고 관리정보로 제공되는 P-TOC가 기록되어 있는 피트영역으로 제공된다.
피트영역의 외주측은 기록트랙의 안내그루브로 형성되는 기록 및 재생가능영역으로 제공되는 광자기영역이 된다.
이 광자기영역에서는, 최내측 클러스터(1~49)의 섹션이 제어영역으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음악콘텐츠가 50~2251의 클러스터들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영역에 하나의 트랙으로서 기록된다. 프로그램영역의 외주측은 리드아웃영역으로 제공된다.
도 10b는 제어영역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10b에서, 섹터들(링크섹터 제외)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반면에, 클러스터는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어영역에서, 클러스터(0,1)는 버퍼에 피트영역을 제공하기 위한 버퍼영역으로 제공된다. 클러스터(2)는 레이저빔 출력파워를 조정하는데 이용되는 파워측정영역(power calibration area)(PCA)으로 제공된다.
클러스터(3,4,5)는 U-TOC를 기록한다. U-TOC내에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데이터포맷이 하나의 클러스터 내의 32메인섹터(SC00~SC1F)의 복수의 소정의 섹터 각각에 대해서 특정되며, 여기에서 소정의 제어정보는 이들 소정 섹터들 각각에 기록된다. 즉, U-TOC섹터는 프로그램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트랙들의 어드레스와, 트랙명, 이들 트랙의 기록날짜 등의 정보와, 빈영역(free area)의 어드레스를 기록하는데 적용된다.
U-TOC데이터를 구성하는 섹터를 가지고 있는 클러스터는 클러스터(3,4,5)에 반복적으로 기록된다. 클러스터(47,48,49)는 버퍼영역에 프로그램영역을 제공한다.
클러스터(50)(16진법으로 32h) 다음의 프로그램영역에서는, 예를 들어 음악과 같은 오디오데이터가 하나의 클러스터 내의 32 메인섹터(SC00~SC1F) 각각에 있어서 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 또는 ATRAC2 또는 ATRAC3 알고리즘에 의해 압축된다. 기록된 프로그램과 기록가능한 영역들은 U-TOC에 의해 관리된다.
본 예에서, 예를 들어 U-TOC영역이 그루브영역에 형성된 영역은 제어영역으로 제공된다. 이 제어영역은 이 제어영역과, 콘텐츠가 기록되는 프로그램과 대조적으로 P-TOC가 기록되는 내주측 리드인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영역에 기록되는 제어정보를 위하여, P-TOC섹터에 대해서 우선 설명한다.
P-TOC정보는 MD 상의 기록가능한 영역(또는 프로그램영역)의 사양(specification) 및 U-TOC영역의 관리(management)를 포함하고 있다.
P-TOC영역에서, 제어정보포맷은 각 섹터를 위해서 특정되며, 필요한 제어정보는 각 섹터에 기록된다. 이렇게 형성된 P-TOC섹터는 리드인영역에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가장 기본적인 제어정보로 제공되는 P-TOC 섹터 0에 대해서 설명한다. 섹터 1 다음의 P-TOC섹터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P-TOC 섹터 0의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P-TOC 섹터 0 내의 데이터영역(4바이트×588=2352바이트)은 그 시작위치에 12개의 1바이트데이터("00000000", "11111111")로 구성된 12바이트동기패턴으로 기록된다.
이들 동기패턴은 MD상의 모든 섹터마다 기록된다.
다음으로, 클러스터 어드레스(Cluster H) 및 (Cluster L)와 섹터어드레스(Sector)는 3바이트에 걸쳐서 기록되며, 그 다음에는 1바이트의 모드정보(MODE)가 이어지며, 이것에 의해 헤더(header)를 형성하게 된다. 3바이트 어드레스는 이들 섹터 자신의 어드레스이다.
헤더 다음에는 소정의 위치에 문자("MINI")를 나타내는 ASCII코드의 식별자(identification)가 위치한다.
이들 식별자 다음에는 디스크형태(Disk type), 기록파워(Rec power), 최초기록된 음악번호(First TNO), 최종 기록된 음악번호(Last TNO), 리드아웃 시작어드레스(LOA), 파워측정영역시작어드레스(PCA), U-TOC시작어드레스(USTA) 및 기록가능 사용자영역시작어드레스(RSTA)가 위치한다.
리드아웃시작어드레스(LOA)는 도 10a에 나타낸 리드아웃영역의 시작어드레스 를 나타낸다. 파워측정영역시작어드레스(PCA)는 도 10a에 나타낸 파워측정영역(PCA)의 시작어드레스를 나타낸다.
U-TOC시작어드레스(USTA)는 U-TOC영역의 시작어드레스를 나타낸다. 기록가능 사용자영역 시작어드레스(RSTA)는 프로그램 영역의 시작어드레스를 나타낸다.
다음에는 포인터(P-TNO1~P-TN0255)를 포함하는 포인터섹션(pointer section)과, 파트테이블(01F~FFh)을 포함하는 테이블섹션이 오게 된다. 이들 섹션들은 엠보스 피트(emboss pit)에 의해 재생전용의 미리 기록되어 있는 디스크에 모두 기록될 경우, 기록된 음악들을 관리하는데 이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분배시스템에 의하면, 이들 섹션들은 사용되지 않으며 제어방식은 기본적으로 후술하는 U-TOC섹터 0의 것과 같기 때문에 그것에 대해 기술할 필요는 없다.
다음에는 U-TOC섹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MD에 대한 콘텐츠의 기록 또는 재생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드라이브부는 미리 MD로부터 MD의 제어정보인 P-TOC 및 U-TOC를 읽고, 필요할 경우 이들 테이블을 참조해야 한다.
U-TOC는 U-TOC영역으로서, 클러스터 내에 섹터(SC00~SC1F)를 사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제어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섹터 0(SC00)은 기본콘텐츠관리섹터로 특정되며, 섹터 1(SC01) 및 섹터 4(SC04)는 텍스트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으로서 특정되고, 섹터 3(SC03)은 ISRC(International Standard Recording Code)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으로서 특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MD기록 및 재생동작에 항상 필요한 U-TOC 섹터 0에 대해서 설명한다.
U-TOC 섹터 0은 새롭게 기록되는 음악과 같은 콘텐츠와, 콘텐츠가 새롭게 기록될 수 있는 빈영역에 대한 제어정보를 기록하는 데이터영역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음악을 MD상에 기록하려고 할 때, 드라이브부는 빈 영역을 찾기 위해 U-TOC섹터 0를 검색하여 그 음악데이터를 검색된 빈영역에 기록한다. 하나의 음악을 재생하고자 할 때, 드라이브부는 원하는 음악이 기록된 영역을 찾기 위해 U-TOC섹터 0를 검색하여 재생을 위하여 검색된 영역에 엑세스한다.
도 12는 U-TOC섹터 0의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P-TOC 섹터 0와 같이, 16바이트의 헤더는 12바이트 동기패턴, 클러스터어드레스(Cluster H, Cluster L), 섹터어드레스(Sector) 및 모드정보(MODE)를 기록하고 있다.
다음으로 제조회사코드, 모델코드, 최초트랙번호(First TNO), 최종트랙번호(Last TNO), 섹터사용상태(Used sector), 디스크시리얼번호, 디스크 ID가 오게 된다.
1바이트섹터가 사용된 상태(Used sectors)에서, 이 1바이트의 8비트는 각각 U-TOC 섹터 0 ~ 7에 해당한다. 비트가 "1"이면, 이것은 대응하는 섹터가 사용중임을 나타낸다.
다음에는, 다양한 포인터(P-DFA, P-EMPTY, PFRA, P-TN01)가 트랙(콘텐츠)이 기록되어 있는 영역과 빈영역에, 그들을 후술하는 테이블섹션과 관련지어서 기록되어 있는 포인터섹션이 오게 된다.
포인터섹션 다음에는 255 파트테이블(01h~FFh)이 포인터(P-DFA~P-TN0255)와 관련지어져서 트랙영역 및 빈영역에 제공되는 테이블섹션이 오게 된다. 모든 파 트테이블은 대응부분의 시작 및 종료어드레스와 그 부분의 모드정보(트랙모드)를 기록한다. 또한, 모든 파트테이블에 의해 지정된 파트는 또 다른 파트와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파트테이블은 목적대상 파트의 시작 및 종료어드레스를 기록하는 파트테이블을 지정하는 링크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파트(part)"란 연속적인 데이터가 물리적으로 연속되는 방식에 의해 일시적으로 기록되는 하나의 트랙의 일부분을 가리킨다.
시작 및 종료어드레스는 하나의 음악(또는 하나의 트랙)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파트의 어드레스를 지정한다.
MD에 의해, 하나의 콘텐츠데이터(또는 하나의 트랙)를 물리적으로 불연속으로 재생하는데 있어서, 즉, 여러 파트에 걸쳐서 기록된 하나의 콘텐츠를 재생하는 데 있어 문제가 없기 때문에, 기록가능한 영역의 사용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기록하려고 하는 음악을 여러 파트에 기록할 수 있다.
그러한 방식의 재생을 수행하기 위해서, 링크정보가 제공되며, 예를 들어, 서로 링크해야할 파트테이블들을 이들 파트테이블에 할당된 번호를 이용하여 특정함으로써, 여러 파트들에 걸쳐서 기록된 상술한 콘텐츠의 재생을 위하여 이들 파트테이블들을 링크시킬 수 있다.
즉, U-TOC섹터 0내의 테이블섹션에서, 하나의 파트테이블은 하나의 파트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면 3개의 링크된 파트들로 구성된 음악이 링크정보에 의해 서로 링크된 3파트테이블에 의한 파트위치에서 관리된다.
U-TOC섹터 0의 테이블섹션 내의 파트테이블(01h~FFh)을 위해서, 파트들의 콘 텐츠는 아래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인터들(P-DFA, P-EMPTY, P-FRA, P-TN01)에 의해 지정된다.
포인터(P-DFA)는 MD상의 결함영역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긁혀서 생긴 결함트랙부(즉, 결합파트)가 지정된 복수의 파트테이블들 중 하나의 파트테이블 혹은 첫 번째 것을 특정하게 된다. 즉, 결함파트가 존재하게 되면, 01h~FFh 중 하나가 포인터(P-DFA)에 기록되고, 이들 포인터에 의해 지정된 파트테이블은 그 시작 및 종료어드레스에 의해 결함파트를 나타내게 된다. 다른 결함파트가 있을 경우, 다른 결함파트테이블은 그 결함파트를 지시하는 파트테이블의 링크정보로서 특정되며, 특정된 테이블도 이 결함파트를 지시하게 된다. 다른 결함파트가 없을 경우, 링크정보는 예를 들어 "00h"를 나타내어, 더 이상의 링크가 없다는 것을 나타내게 된다.
포인터(P-EMPTY)는 하나의 미사용 파트테이블 또는 두 개 이상의 미사용파트테이블의 첫 번째 파트테이블을 가리킨다. 미사용파트테이블이 있을 경우, 01h~FFh 중 하나가 포인터(P-EMPTY)로서 기록된다.
두 개 이상의 미사용파트테이블이 있을 경우, 포인터(P-EMPTY)에 의해 지정된 파트테이블에서부터 링크정보에 의해 파트테이블들이 순차적으로 특정되어, 테이블섹션 내의 모든 미사용 파트테이블들을 링크시키게 된다.
포인터(P-FRA)는 MD에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는 빈영역을 나타내는 것으로, 빈 영역으로 제공되는 트랙부(즉, 파트)를 가리키면서, 하나의 파트테이블 또는 두 개 이상의 파트테이블 중 첫 번째 파트테이블을 특정하게 된다. 즉, 빈 영역이 있을 경우, 01h~FFh 중 하나가 포인터(P-FRA)에 기록되고, 대응하는 파트테이블은 그 시작어드레스 및 종료어드레스에 의해 빈 영역인 파트를 가리키게 된다. 두 개 이상의 그러한 파트가 있으면, 즉, 두 개 이상의 파트테이블이 있다면, 이들은 "00h"에 도달할 때까지 링크정보에 의해 순차적으로 특정되게 된다.
도 13은 빈 영역으로 제공되는 파트들이 파트테이블에 의해 관리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은 파트(03h,18h,1Fh, 2Bh, E3h)가 빈 영역일 때, 이들 파트들이 포인터(P-FRA)의 뒤를 이어 서로 링크됨으로써 나타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상술한 결함영역 및 미사용파트테이블에도 같은 제어형식이 적용된다.
포인터(P-TN01~P-TN0255)는 MD에 기록되는 예를 들어 음악 트랙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포인터(P-TN01)는 제 1트랙의 데이터가 기록된 복수의 파트들 중 일시적인 첫 번째 것 혹은 하나를 나타내는 파트테이블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제 1트랙(첫번째 트랙)에 기록되어 있는 음악이 제 1트랙에서 스킵하지 않고 디스크에 기록된 경우, 즉 하나의 파트에만 기록되어 있는 경우는, 제 1트랙의 기록영역은 포인터(P-TN01)에 의해 지정된 파트테이블 내의 시작 및 종료어드레스에 기록된다.
예를 들어 제 2트랙에 기록된 음악이 이 디스크 상에 복수의 파트에 걸쳐서 불연속적으로 기록된 경우, 제 2트랙의 기록위치를 지시하기 위하여 시간 순서로 이들 파트들이 특정된다. 즉, 다른 파트테이블들은 포인터(P-TN02)에 의해 지정된 파트테이블을 시작으로 링크정보가 "00h"이 되는 파트테이블까지 시간이 흐르는 순서로 링크정보에 의해 서로 링크되게 된다(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은 형태).
예를 들어 두 번째 음악을 구성하는 데이터가 기록된 모든 파트들이 상술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기록된 경우에는, 두 번째 음악의 재생 또는 두 번째 음악 영역에 덮어쓰는데 있어서 U-TOC섹터 0을 사용하여, 읽기/쓰기헤드가 불연속적으로 배열된 파트들에 엑세스하여 연속적인 음악정보를 얻어내거나 기록영역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정보를 기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데이터재기록 MD(9)에 있어서, 디스크 상의 영역제어는 P-TOC에 의해 수행되며, 기록가능한 사용자 영역에 기록된 예를 들면 음악과, 빈 영역은 U-TOC에 의해 제어된다.
상술한 제어정보구조를 갖는 MD가 본 발명에 따른 정보분배시스테에서 이용될 수 있는 기록매체(4)로서 이용될 경우, 선불정보가 재기록불가방식으로 기록된다.
여기에서는, 선불정보의 폭이 8바이트라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은 방식 중 하나로 기록될 수 있다.
(1) 선불정보가 P-TOC 내에 기록된다.
(2) 선불정보가 재기록불가방식으로 U-TOC내에 기록된다.
(3) 선불정보가 재기록불가방식으로 U-TOC 이외의 제어영역 내에 기록된다.
선불정보가 P-TOC에 기록되면, 예를 들어 도 11에 나타낸 P-TOC섹터 0에 빗금으로 나타낸 미사용 8바이트 영역(PD)이 그 기록을 위해 사용된다.
물론, 선불정보는 P-TOC 내의 다른 미사용영역에, 혹은 P-TOC섹터(1) 내의 소정의 영역 또는 그 다음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선불정보가 P-TOC에 기록될 경우, 선불정보는 엠보스피트에 의해 기록되며, 즉, 이렇게 기록된 선불정보가 재기록불가능 정보가 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정보분배시스템에 적합하게 된다. 드라이브부(10)가 호환성 있는 MD일 경우, 디스크의 탑재 시에 P-TOC가 우선 읽히게 되고, 동시에 선불정보가 읽히게 되며,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분배시스템을 위해 적합한 것이다.
하지만, 선불정보 내의 매체ID는 대량 생산된 기록매체(4) 중에서 특정한 기록매체(4)를 식별하기 위하여 디스크마다 다르게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엠보스피트에 의해 형성된 P-TOC는 MD제조과정에 있어서 스탬핑(stamping) 처리에서 형성된다. 따라서, 디스크마다 다른 선불정보를 기록하는 것은 많은 수고가 따르게 된다. 결과적으로 P-TOC에 선불정보를 기록하는 상술한 방식은 선불매체의 대량생산에 있어서 그러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선불정보가 U-TOC 또는 제어영역에 기록되는 방법은 디스크마다 다른 매체ID를 갖는 선불정보를 기록하는데 있어 제조상 어려움이 없다는 점에서 상술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지 않다. 하지만, 이 경우, 선불정보를 재기록이 불가능하게 만드는 수단이 필요하다.
선불정보를 U-TOC에 기록하는데 있어서, 이미 포맷이 된 섹터 0, 1, 2, 3 또는 4 내의 미사용 영역이 사용될 수 있다. 선불정보가 재기록될 가능성을 적절히 없애기 위해서, 아직 특정되지 않은 섹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U-TOC섹터 5가 도 14에서처럼 특정된다. 즉, 헤더를 제외하 고, 소정의 8바이트가 선불정보기록영역(PD)으로 설정된다.
또한, 상술한 U-TOC섹터 0에 있어서, 섹터사용상태 내의 섹터 5의 대응 비트는 이 섹터가 미사용인 것을 나타내는 "0"으로 설정된다.
이 경우, 일반적인 MD레코더는 U-TOC섹터 5를 미사용인 섹터로서 인식하여, U-TOC섹터 5 상에서 갱신처리가 수행되지 않게 된다. 즉, 선불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재기록이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분배시스템에 사용되는 기록부(10)에 있어서, 선불정보를 읽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에 기초하여 U-TOC섹터 5를 읽음으로써 선불정보를 읽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설명에서, 섹터(5)가 사용된다. 물론, 섹터 6, 7 혹은 다른 섹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선불정보가 U-TOC 이외의 도 10에 나타낸 제어영역 내에 기록되는 방법에 있어서, 선불정보는 도 10b에 빗금으로 나타낸 것처럼 미사용 클러스터 내의 섹터를 사용하여 기록될 수 있다.
제어영역내에서, 파워측정영역(PCA) 및 U_TOC영역이 형성되고, 그들의 위치가 상술한 바와 같이 P-TOC에 의해 지시된다. P-TOC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일반 MD레코더가 파워측정영역(PCA) 및 U-TOC영역에 엑세스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P-TOC에 의해 그 위치가 지시되지 않은 빗금부분(PD)은 일반 MD레코더에 의해 엑세스될 수 없다(엑세스하기에 부적합한 영역). 따라서, 빗금부분(PD) 내에 기록된 선불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재기록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분배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록부(10)에 있어서, 선불정보는 선불정보를 읽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빗금위치(PD)의 읽기를 수행함으로써 읽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불정보는 빗금위치(PD)의 시작위치를 P-TOC에 의해 지시된 U-TOC시작어드레스(USTA)에 소정의 오프셋을 부여하여 얻은 위치로 설정함으로써 기록부(10)에 의해 읽어낼 수 있다. 예를 들면, U-TOC는 3클러스터에 걸쳐서 기록되기 때문에, U-TOC시작어드레스(USTA) 더하기 5클러스터인 위치가 선불정보기록영역의 시작위치로서 특정될 수 있다.
따라서, 3개의 선불정보기록방식 중 하나를 이용하여, MD가 선불매체(4)로서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선불정보의 폭으로서 8바이트가 이용되었다. 물론 다른 크기의 데이터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P-TOC, U-TOC 및 제어영역이 이들데이터크기를 수용할 정도로 충분한 공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상술한 설명에서, MD를 예로서 이용하였다. 물론, 8바이트 혹은 그이상의 크기의 선불정보를 기록하는 위치가 그 기록매체의 제어포맷에 기초하여 설정되기만 하다면 예를 들어 메모리카드, CD-R, CD-RW, DVD-R, DVD-RAM, DVD-RW 혹은 DVD+RW를 사용할 수도 있다.
3. 콘텐츠분배처리
3-1 분배처리과정
다음으로 도 15,16,17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보분배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콘텐츠분배를 위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이들 도면들은 단말기(1)의 처리와, 서버(3)의 처리를 나란히 나타내고 있다. 단말기(1)의 처리는 네트워크접속부(20)의 CPU(23)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주로 수행된다. 서버(3)의 처리는 네트워크분배부(30) 내의 고객정보링크부(34)와 분배서비스관리시스템(33)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주로 수행된다.
사용자가 콘텐츠분배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미리 구입한 것으로 선불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4)를 기록부(10)에 탑재시킨다.
기록매체(4)를 기록부(10)에 탑재하는 것을 검출하면, 처리가 도 15에 나타낸 단계(F101)에서 단계(F102)로 진행하여, 탑재된 기록매체(4)로부터 선불정보를 읽어내는 처리를 수행한다. 즉, CPU(23)는 기록부(10)에 선불정보를 읽어내어 전송할 것을 지시한다. 그리고, CPU(23)는 기록부(10)로부터 전송된 선불정보를 CPU(23)의 내장 레지스터 또는 예를 들어 데이터저장부(26)에 저장한다.
단계(F103)에서, 단말기(1)는 선불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선불서비스ID에 기초하여 네트워크(2)에 통신접속을 요청하고, 서버(3)를 콜(call)하여, 서버(3)와 통신접속을 확립한다.
서버(3)(즉 네트워크분배부(30))는 선불서비스ID에 기초한 통신접속을 위한 요청을 받으면 단계(F201)에서 단계(F202)로 진행하여 요청하는 단말기(1)를 위한 통신접속처리를 수행한다.
통신접속이 확립되면, 단계(F104)에서, 단말기(1)는 선불정보에 포함되어 있 는 선불금액데이터와 매체ID를 서버(3)에 전송한다.
서버(3)는 매체ID와 선불금액데이터를 수신하면 그것들을 단계(F203)에서 예를 들어 고객정보링크부에 저장한다.
단계(F204)에서, 서버(3)는 수신된 매체ID에 기초하여 고객데이터베이스(70)를 검색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고객정보링크부(34)는 고객정보 수신/저장부(36)를 거처서 접속된 고객정보부(50)에게 매체ID와 일치하는 요금부과정보(K(n))를 찾기 위해 고객데이터베이스(70)를 검색하도록 지시한다.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기록매체(4)가 분배서비스를 위해 처음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이 매체(4)의 선불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매체ID에 대응하는 요금부과정보가 고객데이터베이스(70)에 등록되지 않은 상태인 것이다.
따라서, 고객정보부(50)에 의해 매체ID와 일치하는 요금부과정보가 발견되지 않으면, 처리는 단계(F205)로부터 단계(F206)로 진행하여, 요금부과정보를 새롭게 등록하게 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1)로부터 수신되어 고객정보링크부에 저장된 선불정보 및 매체ID를 사용하여, 서버(3)는 매체ID 및 선불금액으로부터 요금부과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서버(3)는 생성된 요금부과정보를 고객정보부(50)에 전송하고, 이 고객정보부(50)는 수신된 요금부과정보를 고객데이터베이스(70)에 새롭게 등록한다.
한편, 매체ID가 과거에 적어도 한번 사용된 적이 있었던 기록매체(4)인 것으로 발견되면, 이 매체ID에 기초하여 요금부과정보가 고객데이터베이스(70)에 이미 등록된 것이 된다. 이 경우, 단계(F205)에서 단계(F207)로 처리가 이동하고, 여 기에서 고객정보링크부(34)는 고객정보부(50)에게 대응하는 요금부과정보를 고객데이터베이스(70)로부터 읽고, 그 요금부과정보를 고객정보 수신/저장부(36)에 전송하여 거기에 요금부과정보를 저장하라는 지시를 한다.
이때 단계(F206)에서 요금부과정보가 새롭게 등록되면, 새롭게 등록된 요금부과정보가 단계(F207)에서 고객정보 수신/저장부(36)에 저장된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사용자가 탑재한 기록매체(4)의 매체ID에 대응하는 요금부과정보의 읽기가 완료되면, 단계(F208)에서, 서버(3)의 서비스관리시스템부(33)가 콘텐츠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에게 다운로드할 수 있는 콘텐츠에 대한 구입메뉴페이지데이터를 단말기(1)에 전송한다. 예를 들면, 콘텐츠데이터베이스제어기(40)가 콘텐츠구입메뉴페이지데이터를 준비하면, 이것들이 단말기(1)에 전송된다.
선불 잔액이 검색된 요금부과정보로부터 알 수 있고 고객정보 수신/저장부(36)에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분배서비스관리시스템부(33)는 선불잔액의 얻어진 정보도 단말기(1)에 전송한다.
콘텐츠구입페이지데이터와 선불잔액을 수신하면, 단말기(1)는 표시부(28a)에 의해 단계(F105)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여, 구입메뉴와 선불잔액을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이러한 제시에 응답하여, 사용자는 입력부(29)를 통하여 입력조작을 수행한다. 입력조작은 취소, 구입 또는 시험청취를 위한 것이다. 단말기(1)의 CPU(23)는 도 16의 단계(F106, F108, 또는 F110)에서 수행되는 조작을 감시(모니터)한다.
사용자는 구입메뉴와 선불잔액을 체크하면서, 이 콘텐츠를 구입하고 싶지 않은 경우에는 입력부(29)를 통하여 취소조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단말기(1)의 수순은 도 16의 단계(F106)에서 단계(F107)로 진행하여 서버(3)에게 취소정보를 전송한다.
취소정보가 서버(3)에 의해 수신되면, 도 16에 나타낸 단계(F209)에서 단계(F218)로 처리가 이동하여, 서버(3)의 분배관리시스템부(33)가 단말기(1)와의 통신접속을 종료함으로써, 상술한 처리과정을 종료한다.
취소정보의 전송 후에 처리는 도 17의 단계(F118)로 이동하고, 거기에서, 단말기(1)의 CPU(23)는 서버(3)와의 통신접속을 종료하고, 기록부(10)로부터 기록매체(4)를 꺼내는 처리를 수행하며, 상술한 처리과정이 종료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콘텐츠를 구입하기 전에 콘텐츠구입메뉴를 체크하여 콘텐츠에 대한 시험청취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구입메뉴에 리스트로 만든 특정 음악타이틀의 콘텐츠를 알고싶을 경우, 사용자는 시험청취를 위해 그 음악타이틀을 선택할 수 있다.
시험청취요청이 입력부(29)를 통해 입력되면, CPU(23)의 처리는 도 16에 나타낸 단계(F110)에서 단계(F111)로 진행하며, CPU(23)는 그 콘텐츠에 대한 시험청취를 위한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식별정보를 서버(3)에 전송한다.
서버(3)의 서비스관리시스템부(33)는 시험청취요청을 수신하면, 도 16에 나 타낸 단계(F211)에서 단계(F212)로 진행하여, 콘텐츠데이터베이스제어기(40)로 하여금 콘텐츠데이터베이스(60)로부터 시험청취를 요청한 콘텐츠를 읽어내도록 지시한다.
다음으로, 단계(F213)에서, 분배서비스관리시스템부(33)는 콘텐츠데이터의 일부분 혹은 모두를 단말기(1)에 전송한다.
단말기(1)의 CPU(23)는 단계(F112)에서 서버(3)로부터 시험청취를 위한 콘텐츠데이터를 수신하면 그 콘텐츠데이터를 데이터저장부(26)에 저장한다. 단계(F113)에서, CPU(23)는 오디오출력부(28b)로 하여금 그 콘텐츠의 일부분 혹은 모두를 재생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요청한 콘텐츠에 대한 시험청취를 얻을 수 있다.
물론, 콘텐츠가 화상데이터 혹은 텍스트데이터일 경우 표시부(28a)에 표시될수 있다.
시험청취를 위한 콘텐츠가 일부분 혹은 모두가 재생되는 이유는 시험청취를 위해, 콘텐츠를 일부분만 재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콘텐츠가 음악일 경우, 그 소개부분, 처음 멜로디부분, 브리지(bridge) 혹은 하나의 코러스부분이 재생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이들 콘텐츠의 부분들을 수집한 것이 시험청취를 위하여 콘텐츠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되면, 이들 부분들이 단말기(1)에 제공될 수 있다. 또는, 그 부분들을 콘텐츠데이터베이스(60) 내에 저장된 콘텐츠데이터로부터 추출되어, 추출된 부분들이 단말기(1)에 전송될 수도 있다.
또는, 단말기(1)측에서, CPU(23)는 데이터저장부(26)에 저장된 콘텐츠데이터의 부분들만 추출하고 그 추출된 부분들을 재생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특정한 콘텐츠를 구입할 때 표시된 구입메뉴로부터 그것을 선택할 수도 있다.
구입조작이 입력부(29)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면, CPU(23)의 처리는 도 16의 단계(F18)에서 단계(F109)로 진행하여, CPU(23)가 그 콘텐츠의 구입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식별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이 때, CPU(23)는 기록매체(4)의 잔여저장용량을 서버(3)에 전송한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그 이유는, 후술하는 도 19에서의 요금부과처리가 수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기록매체(4)의 잔여 저장용량, 즉 예를 들어 얼마나 긴 음악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는 지에 대한 정보가 기록매체(4)의 제어정보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MD의 경우에는, U-TOC섹터 0의 빈 영역에 기록된 정보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구입정보가 수신되면, 서버(3)의 분배서비스관리시스템부(33)의 처리는 도 16에 나타낸 단계(F210)로부터 도 17에 나타낸 단계(F214)로 진행하여, 구입요청된 콘텐츠의 요금부과를 위해 요금부과처리를 수행한다.
이 요금부과처리에서는, 고객정보 수신/저장부(36) 내에 저장된 요금부과정보, 즉 기록매체(4)의 선불정보에 대응하는 요금부과정보는 잔액이 갱신이 되고, 갱신된 요금부과정보는 고객데이터베이스(70)에서 갱신된다. 예를 들어 선택된 콘텐츠의 비용이 200엔이면, 200엔이 데이터베이스(70)에 등록된 요금부과정보 내 의 잔액으로부터 삭감된다.
구입로그정보가 도 7에 나타낸 요금부과정보에 포함되면, 콘텐츠명(예를 들어 음악타이틀), 구입날짜 및 구입된 콘텐츠에 대해 지불된 금액을 추가함으로써 이번의 콘텐츠구입에 대해서 갱신된다.
요금부과처리에서, 선불잔액과 콘텐츠가격 사이의 관계와, 기록매체(4)의 잔여기록용량과 콘텐츠의 데이터크기 사이의 관계에 따라 간단한 요금 삭감처리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하며, 이것에 대해서는 도 18 및 1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으로, 분배서비스관리시스템부(33)는 단계(F215)에서 콘텐츠데이터베이스제어기(40)로 하여금 콘텐츠데이터베이스(60)로부터 구입요청된 콘텐츠를 읽어낼 것을 지시한다.
단계(F216)에서, 분배서비스관리시스템부(23)는 검색된 콘텐츠데이터의 모두또는 일부분을 단말기(1)에 전송한다.
단말기(1)의 CPU(23)는 단계(F114)에서 서버(3)로부터 다운로드된 콘텐츠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다운로드된 콘텐츠데이터를 데이터저장부(26)에 저장한다. 단계(F115)에서, CPU(23)는 콘텐츠데이터를 기록부(10)에 전송하여 그 콘텐츠데이터를 기록매체(4)에 기록한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는 요청한 콘텐츠를 구입하게 된다.
사용자가 콘텐츠의 다른 아이템을 구입하기 위한 조작을 계속하기 위해서, 처리는 도 16의 단계(F106)로 복귀하고, 서버(3)에서의 처리도 도 16의 단계(F209) 로 복귀한다.
사용자가 콘텐츠구입을 종료하기 위한 조작을 수행하면, CPU(23)의 처리는 단계(F117)로 진행하여 종료통지를 서버(3)에 전송한다.
단계(F118)에서, CPU(23)는 통신접속종료처리를 수행하고, 단계(F119)에서 기록매체(4)를 꺼내어 콘텐츠구입처리를 종료한다.
종료통지를 수신하면, 서버(3)의 처리는 단계(F217)에서 단계(F218)로 진행하며, 단말기(1)와의 통신접속이 종료하여 콘텐츠구입처리를 종료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요금지불을 위하여 신용카드번호를 입력하거나 전용 선불카드의 카드번호를 입력하지 않고도 선불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4)를 사용하여 원하는 콘텐츠를 구입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콘텐츠구입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특히, 이렇게 하면 컴퓨터 등의 기기에 친숙하지 않거나, 신용카드를 소지하고 있지 않은 사용자도 콘텐츠분배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서버(3) 측의 선불정보에 따라 등록된 요금부과정보를 갱신하는 형태로 선불정보에 기초한 요금지불처리가 수행되기 때문에, 기록매체(4)의 선불정보가 갱신될 필요가 없다.
또한, 기록매체(4)의 선불정보가 재기록불가방식으로 저장되기 때문에, 기록매체(4)를 악용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3-2 요금부과처리
상술한 바와 같이, 단계(F214)의 요금부과처리에서, 선불잔액 및 콘텐츠가격 사이의 관계 및 기록매체(4)의 잔여저장용량 및 콘텐츠데이터크기 사이의 관계에 따라서 단순한 콘텐츠 금전계산(accounting) 처리를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본 실시예의 요금부과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말기(1)의 사용자는 도 18에 나타낸 2개의 기록매체(4)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다. 하나의 기록매체(4)는 매체ID=ID1을 가지고 있고, 선불잔액은 고객데이터베이스(70)에 등록된 요금부과정보내에 X1(엔)로 되어 있다. 이 기록매체(4)의 잔여저장용량은 A1(분)이다. 즉, 재생시간이 A1(분) 보다 작은 어떠한 음악콘텐츠도 이 기록매체(4)에 기록될 수 있다.
다른 기록매체(4)는 매체ID=ID2를 가지고 있고, 그 선불잔액이 고객데이터베이스(70)에 등록된 요금부과정보 내에 X2로 되어 있다. 이 기록매체(2)의 잔여저장용량은 A2(분)이다.
설명의 편의상 제 1기록매체를 ID1기록매체로서 기술하며, 제 2기록매체를 ID2기록매체로서 기술하는 것으로 한다.
2개의 기록매체, 즉 ID1기록매체와 ID2기록매체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가 도 15에 나타낸 단계(F101)에서 ID1기록매체를 탑재함으로써 콘텐츠구입동작을 시작한 것으로 다시 가정한다.
사용자는 상술한 처리과정에 따라 특정 콘텐츠를 선택하고 구입동작을 수행한다. 구입요청이 된 콘텐츠의 데이터크기는 B(분)이고, 그 가격은 Y(엔)이다.
이 가정 하에서는, 도 17에 나타낸 단계(F214)에서의 요금부과처리가 도 19에 나타낸 처리에서 수행된다.
ID1기록매체가 탑재되기 때문에, 서버(3)는 등록된 요금부과정보로부터 사용 자의 선불잔액이 X1인 것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서버(3)는 요금부과처리에서 구입요청이 된 콘텐츠의 요금(Y)이 선불잔액(X1)에 의해 커버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술한 것처럼, ID1기록매체의 기록가능용량(A1)(분)이 단말기(1)로부터 통지되기 때문에, 서버(3)는 기록가능한 용량(A1)(분)과 구입요청된 콘텐츠의 데이터크기(B)(분)를 비교하여 콘텐츠가 ID1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금액과 데이터크기 사이의 비교 후에 처리는 다음의 4개의 처리 중 하나로 분기된다.
(1) X1≥Y, A≥B: ID1기록매체가 이번에 구입하는 콘텐츠에 대해서 충분한 기록가능용량과 잔액을 가지고 있다.
(2) X1≥Y, A<B: ID1기록매체가 이번에 구입하는 콘텐츠에 대해서 충분한 잔액을 가지고 있지만 충분한 기록가능용량은 가지고 있지 않다.
(3) X1<Y, A≥B: ID1기록매체가 이번에 구입하는 콘텐츠에 대해서 충분한 기록가능용량을 가지고 있지만 충분한 잔액을 가지고 있지 않다.
(4) X1<Y, A<B: ID1기록매체는 이번에 구입하는 콘텐츠에 대해서 충분한 잔액과 기록가능용량을 가지고 있지 않다.
(1)의 경우에는, 도 19에 나타낸 처리(F1)로서 요금부과처리가 수행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ID1기록매체가 선불잔액으로부터 이번에 구입하는 콘텐츠의 비용을 지불하고 그 구입된 콘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기 때문에, 정상적인 요금부과처리가 수행된다. 즉, 고객데이터베이스(70)에 등록된 요금부과정보매체(ID=ID1) 에서는, 잔액(X1)으로부터 가격(Y)을 삭감한 결과값으로 RM 잔액값(X1(엔))이 갱신된다(X1=X1-Y).
물론, 단말기(1)에 제공된 콘텐츠는 ID1기록매체에 기록된다.
(2)의 경우에는, ID1기록매체의 잔여기록가능용량이 이번에 구입하는 콘텐츠를 위해서 충분하지 않다. 즉, 구입하는 콘텐츠가 ID1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없다. 따라서, 요금부과처리에서, 처리(F2)가 다른 기록매체(4)를 탑재할 것을 단말기(1)에 요구한다. 이에 응답하여, 단말기(1)는 탑재된 기록매체(4)가 기록가능용량이 충분하지 않음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표시부(28a) 또는 오디오출력부(28b)를 통하여 다른 기록매체(4)를 탑재할 것을 재촉한다.
이에 응답하여, 사용자는 다른 기록매체, 즉 ID2기록매체를 탑재한다.
그리고, 단말기(1)는 ID2기록매체로부터 선불정보를 읽고, 기록가능한 잔여용량을 체크하며, 선불정보와 기록가능용량을 서버(3)에 전송한다.
서버(3)는 고객데이터베이스(70)로부터 매체ID=ID2에 대응하는 고객정보를 꺼낸다. ID2기록매체가 처음으로 탑재되었으면, 대응하는 요금부과정보가 고객데이터베이스(70)에 등록된다.
그리고, 처리(F3)에서, ID2기록매체를 위해 등록된 선불잔액(X2)(엔)이 상술한 ID1기록매체(X1+X2)의 선불잔액(X1)과 결합된다. 또한, ID2기록매체의 기록가능용량(A2)(분)이 B(분)의 콘텐츠를 위해 충분한지 여부가 체크된다.
이 예에서, X1≥Y이므로, 물론 (X1+X2)≥Y이다. ID2기록매체의 기록가능용량(A2)이 콘텐츠의 데이터크기(B)를 위해 충분한 것으로 판정되었기 때문에, 요 금부과처리가 처리(F4)로서 수행된다. 기록가능용량(A2)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서버(3)는 다른 기록매체(4)를 탑재할 것을 단말기(1)(및 사용자)에게 요구한다.
처리(F4)에서, 서버(3)는 단말기(1)에게 이번에 다운로드한 콘텐츠를 ID2기록매체에 기록할 것을 지시한다. 그리고, 서버(3)는 콘텐츠요금이 처리(F3)의 결합처리를 반영함으로써 삭감되도록 ID2기록매체를 위해 등록된 요금부과정보를 갱신한다. 즉, 서버(3)는 우선 ID2기록매체를 위한 요금부과정보 내의 선불잔액(X2)에 ID1기록매체의 선불잔액(X1)을 더하고, 더한 결과로부터 콘텐츠가격(Y)을 뺀다(X2=X2+X1-Y).
한편, 잔액의 결합결과로서, ID1기록매체를 위한 요금부과정보가 등록으로부터 제거된다. 즉, 등록삭제처리가 수행된다.
본 예에서 사용되는 등록삭제처리는 그 자신의 요금부과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의미하며, ID1기록매체가 그 후에 사용되지 않게 됨을 의미한다. 실제로, 요금부과정보에서의 잔액이 0으로 설정되고, 등록데이터가 삭제된 채로 유지된다. 예를 들면, ID1기록매체가 도 7에 나타낸 요금부과정보(K5)의 상태에 있게 된다.
기록매체(4)의 선불정보는 재기록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악의 또는 실수로 콘텐츠분배를 받기 위해 다시 단말기(1)에 선불정보가 삭제된 기록매체(4)를 탑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일이 발생하면, 전술한 매체ID에 기초하여 고객데이터베이스(70)에 대한 검색이 이루어진다. 대응하는 요금부과정보가 발견되지 않으면, 그렇게 탑 재된 기록매체(4)는 새롭게 등록된다. 이것은 요금부과정보(매체ID포함) 자신이 등록삭제처리로서 삭제될 경우, 그 잔액이 0으로 설정된 기록매체(4)가 다시 새롭게 등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는 선불금액이 사용된 기록매체를 다시 사용할 수 있고 가득 찬 금액으로 시작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 기록매체의 요금부과정보는 잔액이 0으로 설정된 채로 삭제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해야만 한다. 즉, 등록으로부터 삭제된 어느 기록매체가 단말기에 탑재되면, 서버(3)는 이 기록매체의 선불잔액이 모두 소비되었는지를 결정해야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요금부과정보 내의 잔액 등록취소처리에서 단지 0으로 설정될 수도 있음으로써, 선불금액이 선불기록매체로서 다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등록을 삭제하는 또 다른 처리를 위해, 등록이 삭제된 ID로서의 데이터그룹이 고객데이터베이스(70)에 배치되며, 선불금액이 모두 소비된 기록매체의 요금부과정보가 삭제되며, 단지 그 매체ID만이 이 데이터그룹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선불정보가 삭제된 탑재된 기록매체(4)가 새롭게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등록으로부터 삭제되어 유효하지 않게 된 것을 서버(3)가 발견할 있게 된다.
처리(F4)에서, 요금부과처리가 상술한 바와 같이 ID2기록매체에 대해 수행되며, 콘텐츠가 ID2기록매체에 기록되며, ID1기록매체가 등록으로부터 삭제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ID2기록매체에 의해 콘텐츠를 얻을 수 있다.
또한, ID1기록매체는 예를 들어 음악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지만, 선불매체로서는 사용될 수는 없다.
(3)의 경우에는, ID1기록매체가 이번에 구입하는 콘텐츠를 위해 충분한 기록가능한 잔여용량을 가지고 있지만, 충분한 잔액을 가지고 있지 않다. 즉, ID1기록매체는 이번에 콘텐츠를 구입하기 위해 선불매체로서 단독으로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요금부과처리의 처리(F5)를 위하여, 서버(3)는 다른 기록매체(4)를 사용자가 탑재할 것을 요구한다. 이에 응답하여, 단말기(1)는 표시부(28a) 또는 오디오출력부(28b)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다른 기록매체를 탑재할 것을 요구한다.
이에 응답하여, 사용자는 다른 기록매체(4), 즉 ID2기록매체를 탑재한다.
ID2기록매체가 탑재되면, 단말기(1)는 ID2기록매체로부터 선불정보를 읽고, 잔여 기록가능용량을 결정하며, 이 정보를 서버(3)에 전송한다.
서버(3)는 고객데이터베이스(70)로부터 매체ID=ID2에 대응하는 요금부과정보를 제거한다(또는 ID2기록매체를 새로이 등록한다).
처리(6)에서, ID2기록매체를 위해 등록된 선불잔액(X2)(엔)이 ID1기록매체의 선불잔액(X1)과 결합된다(X1+X2). 또한, ID2기록매체의 기록가능용량(A2(분))이 B(분)의 콘텐츠를 위해 충분한지를 결정한다.
이 경우, X1+X2≥Y는 콘텐츠구입을 위해 요금부과가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X1+X2<Y라면, 선불잔액이 여전히 불충분하여, 서버(3)가 단말기(1)에게 다른 기록매체(4)를 탑재할 것을 요구하게 된다.
(3)의 경우, ID1기록매체는 기록용량이 충분하다. 한편, ID2기록매체의 기록가능한 잔여용량(A2)을 위한 것으로, 2가지 경우, 즉, 콘텐츠의 데이터크기(B)를 위해 충분한 경우(A2≥B)와, 충분하지 않은 경우(A2<B)가 있다.
ID2기록매체의 기록가능잔여용량(A2)이 불충분하면(A2<B), ID1기록매체에 콘텐츠가 기록되어야 한다. 단말기(1)는 표시부(28a) 또는 오디오출력부(28b)를 통하여 기록매체를 변경할 것을 사용자에게 지시한다.
즉, 이 경우, 서버(3)는 처리(F9)에서 ID1기록매체에 이번에 콘텐츠를 다운로드할 것을 지시한다. 그리고, 서버(3)는 처리(F6)에서 수행된 결합처리에 기초하여 콘텐츠요금을 삭감함으로써 ID1기록매체를 위해 등록된 요금부과정보를 갱신한다. 즉, ID2기록매체의 잔액(X2)은 ID1기록매체를 위한 요금부과정보 내의 선불잔액(X1)에 ID2기록매체의 잔액(X2)이 추가되며, 콘텐츠요금(Y)이 추가결과로부터 삭감된다(X1=X1+X2-Y).
한편, 잔액결합처리의 결과에 따라, 서버(3)는 ID2기록매체를 위한 요금부과정보의 등록을 삭제한다. 이렇게 하여, 2개의 기록매체의 잔액이 ID1기록매체로 들어가게 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ID1기록매체를 사용함으로써 콘텐츠를 얻을 수 있다.
또한, ID2기록매체는 예를 들어 음악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지만, 선불매체로는 사용될 수 없다.
ID1개록매체와 ID2기록매체 모두가 충분한 잔여기록가능용량을 가지고 있다면, 단계(F7)에서 어떠한 기록매체가 사용되는지에 대한 질문이 사용자에게 주어진다. 좀더 구체적으로, 서버(3)는 매체선택을 요구하고, 단말기(1)는 콘텐츠를 기록할 기록매체를 선택할 것을 사용자에게 요구한다. 단말기(1)는 사용자의 선택결과를 서버(3)에 전송한다.
처리(F8)에서, 서버(3)는 이번에 다운로드되는 콘텐츠를 선택된 기록매체에 기록할 것을 단말기에 지시한다. 그리고, 서버(3)는 처리(F6)에서 수행된 결합처리를 반영함으로써 콘텐츠요금이 삭감되도록 선택된 매체를 위해 등록된 요금부과정보를 갱신한다. 선택되지 않은 기록매체를 위한 것으로, 그 요금부과정보가 등록으로부터 삭제된다.
즉, ID1기록매체가 선택된 경우, 잔액값(X1)이 ID1기록매체를 위한 요금부과정보에서 X1=X1+X2-Y의 값으로 갱신되고, ID2기록매체를 위한 요금부과정보의 등록을 삭제한다.
한편, ID2기록매체가 선택되면, 잔액값(X2)이 ID2기록매체를 위한 요금부과정보에서 X2=X1+X2-Y의 값으로 갱신되며, ID1기록매체를 위한 요금부과정보의 등록을 삭제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선택된 기록매체를 사용하여 콘텐츠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선택되지 않은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음악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으며, 선불매체로는 사용될 수 없다.
(4)의 경우에는, ID1기록매체는 이번의 콘텐츠구입을 위하여 잔여기록가능용량 및 잔액이 충분치 않다. 즉, ID1기록매체는 단독으로는 선불기록매체로서 사용될 수 없고, 사용자가 요청한 콘텐츠를 기록할 수 없다.
따라서, 요금부과처리에서, 서버(3)는 처리(F10)에서 다른 기록매체(4)를 탑재할 것을 요구한다. 단말기(1)는 표시부(28a) 또는 오디오출력부(28b)를 통하여 단말기(1)에 다른 기록매체를 탑재할 것을 사용자에게 지시한다.
이에 응답하여, 사용자는 다른 기록매체(4), 즉 ID2기록매체를 탑재한다.
단말기(1)는 ID2기록매체로부터 선불정보를 읽고 잔여기록가능용량을 체크하여 이들 정보를 서버(3)에 전송한다.
서버(3)는 고객데이터베이스(70)로부터 매체ID=ID2를 위한 요금부과정보를 꺼내거나 ID2기록매체를 새로이 등록한다.
처리(F11)에서, ID2기록매체를 위하여 등록된 선불잔액(X2(엔))은 ID1기록매체(X1+X2)의 선불잔액(X1)과 결합된다. 또한, 서버(3)는 ID2기록매체의 기록가능용량(A2(분))이 B(분)의 콘텐츠를 기록하기에 충분한지를 알기 위해 체크한다.
이 경우, X1+X2≥Y에 의해 구입된 콘텐츠를 위한 요금부과가 가능하게 된다. 만약 X1+X2<Y라면, 이것은 선불잔액이 여전히 충분치 않음을 의미하며, 따라서 서버(3)는 다른 기록매체(4)를 탑재할 것을 단말기(1)에 요구한다.
ID2기록매체의 기록용량(A2)이 콘텐츠의 데이터크기(B)를 위해 충분하지 않으면, 또한 서버(3)는 다른 기록매체(4)를 탑재할 것을 단말기(1)에 요구한다.
X1+X2≥Y이고, ID2기록매체의 기록가능한 용량이 충분하다면, 요금부과처리는 처리(F12)에서 수행된다.
즉, 서버(3)는 이번에 다운로드하는 콘텐츠를 ID2기록매체에 기록할 것을 단말기(1)에 지시한다. 그리고, 서버(3)는 처리(F11)에서 수행된 결합처리의 결과를 반영하여 콘텐츠요금이 삭감되도록 ID2기록매체를 위해 등록된 요금부과정보를 갱신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ID1기록매체의 잔액(X1)이 ID1기록매체의 요금부과정보에서 선불잔액(X2)에 추가되며, 거기에서 콘텐츠요금(Y)이 삭감된다(X2=X2+X1- Y).
한편, 잔액결합처리의 결과에 따라, ID1기록매체의 요금부과정보가 등록으로부터 삭제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ID2기록매체를 사용하여 원하는 콘텐츠를 얻을 수 있다. 또한, ID1기록매체는 예를 들어 음악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으며, 선불매체로는 사용될 수 없다.
요금부과처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되어, 만약 하나의 기록매체가 잔액이 충분치 않을 경우에, 불충분한 것은 콘텐츠 구입을 위한 다른 선불기록매체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구성에 의해 사용자에게 있어 편리함이 향상되며, 콘텐츠를 구입하기에 불충분한 일부분의 잔액만을 가지고 있는 선불기록매체를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만약 처리(F1)에서의 요금부과처리의 결과로 잔액이 0이 된다면, 이것은 요금부과정보가 상술한 등록으로부터 삭제되는 것과 같은 상태를 가리킨다. 만약 등록이 삭제된 ID의 데이터그룹을 등록하고자 한다면, 이 요금부과정보의 매체ID는 단지 이 데이터그룹에만 놓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단말기(1) 및 서버(3)는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5~19에 나타낸 서버(3) 및 단말기(1)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가 모두 단말기(1)와 서버(3) 사이에서 수행되어 상술한 목적을 성취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즉, 상술한 처리는 본 실시예에서의 처리와 그 멤버(member) 사이에서의 관계가 고정되지 않으면서, 단말기(1) 및 서버(3)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처럼, 선불정보는 분배된 콘텐츠가 기록될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다. 실제로 콘텐츠가 분배되었으면, 기록매체로부터 읽어낸 선불정보에 따라 서버에 등록된 요금부과정보를 서버측에서 갱신함으로써 분배된 콘텐츠에 대한 요금지불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새로운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신용카드번호나 따로 준비되어 있는 전용선불카드의 번호를 입력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가 매우 편리하게 된다. 이것은 신용카드 또는 선불카드를 소지하지 않은 사용자도 콘텐츠분배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새로운 구성은 카드번호입력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콘텐츠구입을 위해 수행되는 조작이 단순해지며, 따라서 퍼스널컴퓨터 또는 다른 전자기기와 친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콘텐츠를 쉽게 구입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신용카드번호입력조작에 있어서의 보안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가게에 설치된 전용단말기기로부터 콘텐츠를 구입할 때, 사용자가 현금으로 다운로드된 콘텐츠의 비용을 지불할 때, 본 발명에 따라 기록매체를 단순히 탑재함으로써 콘텐츠를 얻을 수 있고, 따라서, 콘텐츠구입조작이 쉬어지고 현금카 드가 없는 사용자도 구입할 수 있게 된다.
선불정보에 기초한 요금지불은 선불정보와 대응하여 서버측에 등록된 요금부과정보를 갱신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결과적으로 기록매체의 선불정보는 갱신될 필요가 없고, 따라서 단말기측에서 요금지불처리의 부담이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기록매체가 선불정보를 조작하여 악용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선불정보가 재기록불가방식으로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선불기록매체가 악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서버의 요금부과처리수단이 단말기에 탑재된 제 1기록매체에 기록된 제 1선불정보에 대응하여 요금부과정보등록에 등록된 제 1요금부과정보에 대한 요금부과처리를 수행할 경우, 금액이 콘텐츠를 구입하기에 불충분하다면, 요금부과처리수단은 제 2기록매체에 기록된 제 2선불정보를 요구하고, 요금부과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제 1요금부과정보와 제 2선불정보에 대응하여 요금부과정보등록수단에 등록된 제 2요금부과정보를 결합한다. 결과적으로, 콘텐츠를 구입하기 위해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하나의 기록매체에 선불잔액이 모자를 경우에는, 사용자는 다른 기록매체를 사용하여 양쪽의 선불기록매체의 선불잔액을 모두 더하여 구입한 콘텐츠의 요금을 지불할 수 있다. 즉, 만약 하나의 선불기록매체가 콘텐츠를 구입하기에 불충분한 일부 잔액만을 가지고 있다면, 그것을 다른 선불기록매체의 선불잔액에 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그 선불기록매체를 최대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선불정보에 대응하는 요금부과정보가 서버의 요금부과 정보등록수단에 아직 등록되지 않았다면, 이 선불정보에 대응하는 요금부과정보가 요금부과정보등록수단에 새롭게 등록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모든 기록매체에 대해서 사용자가 새로이 이용할 수 있도록 요금부과정보가 등록되며, 따라서 추가적인 요금부과정보의 충분한 관리가 조직적으로 가능하게 된다.
또한, 요금부과처리수단은 선불금액이 모두 소비된 요금부과정보의 등록을 삭제하여, 이 요금부과정보에 대응하는 선불정보가 기록된 기록매체의 선불기능이 무효가 되게 한다. 결과적으로, 선불금액이 모두 사용된 기록매체를 선불기록매체로서 더 이상 사용될 수 없으므로 올바른 금전계산이 실현된다. 물론 사용자는 선불기능이 없는 단순기록매체로서 그러한 무효로 된 기록매체를 여전히 사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선불카드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무효 선불기록매체를 폐물로서 버릴 필요가 없으며, 이러한 것은 자원절약 차원에서 이점이 있다.
선불정보는 본 발명에 따른 선불기록매체에 고유한 ID정보 및 선불잔액정보모두를 가지고 있으므로, 적절한 금액관리와, 각각의 선불기록매체에 의해 적절한 요금부과처리가 제공되게 된다.
또한, 선불정보는 서버를 식별하기 위한 목표대상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이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가 서버와 통신하여, 사용자가 콘텐츠가 다운로드되는 서버에 대한 탐색을 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콘텐츠구입조작이 쉽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특정한 용어에 의해 기술하였지만, 그러한 설 명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또는 권리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그에 대한 수정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Claims (40)

  1. 그 기록매체에 고유한 식별자와 선불정보를 미리 기록하고 있는 기록매체가 탑재될 수 있는 단말장치와, 상기 단말장치에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소정의 통신라인을 통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콘텐츠데이터를 송신하는 정보센터를 가지고 있는 정보분배시스템으로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전송된 상기 콘텐츠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수신수단과;
    상기 단말장치에 탑재된 상기 기록매체에 상기 제 1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콘텐츠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매체에 고유한 상기 식별자와 상기 선불정보를 재생하는 기록 및 재생수단과;
    재생된 상기 기록매체에 고유한 식별자 및 상기 선불정보를 상기 정보센터에 전송하는 제 1전송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센터는
    복수의 콘텐츠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저장수단과;
    상기 제 1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단말장치로 소정의 콘텐츠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전송수단과;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기록매체에 고유한 식별자와 상기 선불정보를 수신하는 제 2수신수단과;
    상기 제 2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기록매체에 고유한 식별자와 상기 선불정보에 따라 사용가능한 잔액을 저장하는 제 2저장수단과;
    상기 제 1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소정의 콘텐츠데이터가 전송될 때, 상기 제 1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된 상기 소정의 콘텐츠데이터에 대한 요금부과를 위하여 상기 제 2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사용가능한 잔액을 갱신하는 요금부과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그것의 잔여 기록가능용량에 대한 정보도 기록하며, 상기 정보는 상기 기록 및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되며, 상기 재생된 정보는 상기 제 1전송수단에 의해 상기 정보센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센터는
    상기 제 2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사용가능한 잔액을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할 콘텐츠데이터의 가격과 비교하는 제 1비교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의 잔여기록가능용량에 대한 정보와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할 상기 콘텐츠데이터의 크기를 비교하는 제 2비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비교수단에 의해 상기 사용가능한 잔액이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할 상기 콘텐츠데이터의 상기 가격보다 적은 경우에는, 자신에게 고유한 식별자와 선불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제 2기록매체를 상기 단말장치에 탑재할 것을 재촉하도록 상기 단말장치에 지시하는 제어신호가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센터는 상기 제 2기록매체를 탑재하라는 재촉에 응답하여 상기 제 2기록매체가 탑재되면, 이전에 탑재된 기록매체 내의 상기 사용가능한 잔액에 상기 제 2기록매체내의 사용가능한 잔액을 추가하는 추가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록매체를 탑재하라는 재촉에 응답하여 상기 제 2기록매체가 상기 단말장치에 탑재된 후, 상기 추가수단에 의해 추가한 결과가 전송할 상기 콘텐츠데이터의 상기 가격을 초과하는 것으로 발견되면, 상기 이전에 탑재된 기록매체의 상기 기록가능용량에 대한 상기 정보와, 상기 제 2기록매체의 상기 잔여 기록가능용량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정보와 상기 기록매체에 고유한 상기 식별자가 편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시스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비교수단에 의해 상기 잔여 기록가능용량이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할 콘텐츠데이터의 상기 크기보다 작은 것으로 발견되면, 상기 제 2기록매체에 고유한 식별자와 상기 선불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제 2기록매체를 상기 단말장치에 탑재하라는 재촉을 상기 단말장치에게 지시하는 제어신호가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센터는 상기 제 2기록매체를 탑재하라는 재촉에 응답하여 상기 제 2기록매체가 탑재되면, 이전에 탑재된 기록매체 내의 상기 사용가능한 잔액에 상기 제 2기록매체 내의 사용가능한 잔액을 추가하는 추가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록매체를 탑재하라는 재촉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장치 내에 상기 제 2기록매체가 탑재되면, 상기 제 2기록매체의 잔여 기록가능 용량이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할 상기 콘텐츠데이터의 크기와 비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시스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록매체를 탑재하라는 재촉에 응답하여 상기 제 2기록매체가 상기 단말장치에 탑재되고, 상기 콘텐츠데이터가 상기 제 2기록매체에 기록되면, 상기 제 2저장수단에 기록된 콘텐츠가 상기 제 2기록매체에 고유한 상기 식별자와, 상기 선불정보와 상기 제 2기록매체의 상기 사용가능한 잔액에 대해서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 고유한 상기 식별자와 상기 선불정보가 재기록이 불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를 상기 정보센터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대상식별정보도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시스템.
  13. 그 기록매체에 고유한 식별자와 선불정보를 미리 기록하고 있는 기록매체를 탑재할 수 있는 탑재수단과;
    상기 탑재수단에 탑재된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선불정보 및 상기 기록매체에 고유한 상기 식별자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소정의 통신라인을 통해 상기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상기 선불정보 및 상기 재생매체에 고유한 상기 식별자를 정보센터에 전송하는 전송수단과;
    상기 전송된 기록매체에 고유한 식별자 및 상기 전송된 선불정보 및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전송된 콘텐츠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센터에서 수행되는 잔액조회(balance inquiry)의 결과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콘텐츠데이터를 상기 탑재된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잔액조회가 상기 수신된 콘텐츠데이터를 위해 액수가 부족함을 나타낼 때, 현재 탑재된 기록매체를 꺼내고 다른 기록매체를 탑재하라고 재촉하는 재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 고유한 상기 식별자와 상기 선불정보가 재기록이 불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를 상기 정보센터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대상식별정보도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잔여 기록가능용량에 대한 정보가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며, 상기 정보는 상기 전송수단을 통하여 상기 정보센터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7. 콘텐츠데이터를 분배하기 위하여 소정의 통신라인을 통하여 단말장치에 접속된 정보센터로서,
    복수의 콘텐츠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저장수단과;
    상기 제 1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단말장치로 소정의 콘텐츠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수단과;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된 것으로,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선불정보 및 그 기록매체에 고유한 식별자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기록매체에 고유한 식별자 및 상기 선불정보에 따라서 사용가능한 잔액을 저장하는 제 2저장수단과;
    상기 소정의 콘텐츠데이터가 상기 제 1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될 때, 상기 제 1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된 상기 소정의 콘텐츠데이터의 요금부과를 위하여 상기 제 2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사용가능한 잔액을 갱신하는 요금부과처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정보센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사용가능한 잔액과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되는 콘텐츠데이터의 가격을 비교하는 제 1비교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의 잔여 기록가능용량에 대한 정보와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되는 상기 콘텐츠데이터의 크기를 비교하는 제 2비교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센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비교수단에 의해 상기 사용가능한 잔액이 전송되는 상기 콘텐츠데이터의 상기 가격보다 작은 것으로 발견되면, 자신의 고유한 식별자 및 선불정보를 미리 기록하고 있는 제 2기록매체의 탑재를 재촉하라고 상기 단말장치에 지시하는 제어신호가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센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록매체를 탑재하라는 재촉에 응답하여 상기 제 2기록매체가 탑재되면, 이전에 탑재된 기록매체 내의 상기 사용가능한 잔액에 상기 제 2기록매체 내의 사용가능한 잔액을 추가하는 추가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센터.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록매체의 탑재의 재촉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상기 제 2기록매체를 탑재한 후, 상기 추가수단에 의한 상기 추가의 결과가 전송되는 상기 콘텐츠데이터의 상기 가격을 초과하는 것으로 발견될 때, 상기 이전에 탑재된 기록매체의 잔여기록가능용량에 대한 상기 정보와 상기 제 2기록매체의 잔여기록가능용량 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저장수단 내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선불정보 및 상기 기록매체에 고유한 상기 식별자가 편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센터.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비교수단에 의해 상기 잔여기록가능용량이 전송되는 상기 콘텐츠데이터의 상기 크기보다 작은 것으로 발견되면, 자신에게 고유한 식별자와 선불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제 2기록매체를 상기 단말장치의 탑재를 재촉하라고 상기 단말장치에 지시하는 제어신호가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센터.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록매체를 탑재하라는 재촉에 응답하여 상기 제 2기록매체가 탑재된 때, 상기 이전에 탑재된 기록매체 내의 상기 사용가능한 잔액에 상기 제 2기록매체 내의 사용가능한 잔액을 추가하는 추가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센터.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록매체를 탑재하라는 재촉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상기 제 2기록매체가 탑재되면, 상기 제 2기록매체의 상기 잔여기록가능용량이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되는 상기 콘텐츠데이터의 크기와 비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센 터.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를 탑재하라는 재촉에 응답하여 상기 제 2기록매체가 상기 단말장치에 탑재되고, 상기 콘텐츠데이터가 상기 제 2기록매체에 기록되면, 상기 제 2기록매체에 고유한 상기 식별자와, 상기 선불정보와, 상기 제 2기록매체의 상기 사용가능한 잔액에 대해 상기 제 2저장수단에 저장된 콘텐츠가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센터.
  26.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 고유한 상기 식별자와 상기 선불정보가 재기록이 불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제 2기록매체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센터.
  27.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를 상기 정보센터에 접속시키기 위한 통신대상식별정보도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센터.
  28.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 고유한 식별자와 선불정보가 미리 기록되는 재기록 불가능영역과;
    콘텐츠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영역과;
    상기 기록영역의 기록가능용량이 관리되는 관리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9. 제 28항에 있어서,
    정보센터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대상식별정보도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0. 정보센터 및 단말장치가 소정의 통신라인을 통하여 상호접속되며,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상기 기록매체를 탑재할 수 있는 단말장치로 콘텐츠데이터를 분배하여 분배된 콘텐츠데이터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정보분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기록매체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상기 기록매체에 고유한 식별자와 선불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기록매체에 고유한 식별자 및 선불정보에 따라서 사용가능한 잔액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사용가능한 잔액과,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상기 단말장치로 분배되는 콘텐츠데이터의 요금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사용가능한 잔액이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분배되는 상기 콘텐츠데이터의 상기 요금보다 클 경우,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콘텐츠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가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콘텐츠데이터가 전송되면 제 2메모리 내에 저장된 상기 사용가능한 잔액을 상기 콘텐츠데이터의 상기 요금에 의해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정보분배방법.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사용가능한 잔액과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되는 상기 콘텐츠의 상기 요금을 비교하는 제 1비교단계와;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기록매체의 잔여 기록가능용량과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되는 상기 콘텐츠데이터의 크기를 비교하는 제 2비교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방법.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비교단계에서 상기 사용가능한 잔액이 상기 전송되는 콘텐츠의 가격보다 작은 것으로 발견되면, 자신에게 고유한 식별자와 선불정보를 미리 기록하고 있는 제 2기록매체의 탑재를 재촉하라고 상기 단말장치에 지시하는 제어신호가 상기 정보센터에서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방법.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록매체의 탑재 재촉에 응답하여 상기 제 2기록매체가 탑재되면, 이전에 탑재된 기록매체 내의 상기 사용가능한 잔액에 상기 제 2기록매체 내의 사용가능한 잔액을 추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방법.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록매체의 탑재재촉에 응답하여 상기 제 2기록매체를 상기 단말장치에 탑재한 후, 상기 추가단계에서의 추가결과가 상기 콘텐츠데이터의 가격을 초과하는 것으로 발견되면, 상기 이전에 탑재된 기록매체의 잔여 기록가능용량에 대한 정보와 상기 기록매체의 잔여기록가능용량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기록매체 내에 저장된 상기 선불정보와 상기 기록매체에 고유한 식별자를 편집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방법.
  35.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비교단계에서, 상기 잔여기록가능용량이 전송되는 상기 콘텐츠데이터의 크기보다 큰 것으로 발견되면, 상기 제 2기록매체에 고유한 상기 식별자 및 상기 선불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제 2기록매체를 상기 단말장치에 탑재할 것을 재촉하라고 상기 단말장치에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방법.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록매체의 탑재재촉에 응답하여, 상기 제 2기록매체가 탑재되면, 이전에 탑재된 기록매체 내의 상기 사용가능한 잔액에 상기 제 2기록매체 내의 사용가능한 잔액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방법.
  37.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록매체의 탑재재촉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상기 제 2기록매체가 탑재되면, 상기 제 2기록매체의 상기 기록가능한 잔여용량을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되는 상기 콘텐츠데이터의 크기와 비교하는 단계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방법.
  38.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록매체의 탑재재촉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장치내에 상기 제 2기록매체가 탑재되고, 상기 콘텐츠데이터가 상기 제 2기록매체에 기록되면, 상기 식별자, 상기 선불정보 및 상기 제 2기록매체의 상기 사용가능한 잔액에 대해서 상기 제 2메모리에 기록된 콘텐츠를 갱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방법.
  39.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 고유한 상기 식별자 및 상기 선불정보가 재기록이 불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방법.
  40.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센터에 상기 단말장치를 접속하기 위한 통신대상식별정보도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방법.
KR1020010033298A 2000-06-23 2001-06-13 정보분배시스템, 단말장치, 정보센터, 기록매체 및정보분배방법 KR1008281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94918 2000-06-23
JP2000194918A JP2002008115A (ja) 2000-06-23 2000-06-23 情報配信システム、端末装置、サーバ装置、記録媒体、情報配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575A KR20020006575A (ko) 2002-01-23
KR100828136B1 true KR100828136B1 (ko) 2008-05-08

Family

ID=18693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3298A KR100828136B1 (ko) 2000-06-23 2001-06-13 정보분배시스템, 단말장치, 정보센터, 기록매체 및정보분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295994B2 (ko)
EP (1) EP1174812A3 (ko)
JP (1) JP2002008115A (ko)
KR (1) KR100828136B1 (ko)
CN (1) CN1206832C (ko)
MY (1) MY127174A (ko)
SG (1) SG1032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9760B2 (en) * 2000-11-10 2008-05-27 Sony Corporation Data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and data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CN100494360C (zh) * 2001-03-22 2009-06-03 博奥生物有限公司 细胞分离方法及其应用
US7196259B2 (en) * 2002-01-11 2007-03-27 Yamaha Corporation Performance data transmission controlling apparatus an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capable of acquiring performance data
KR20040022655A (ko) * 2002-09-09 2004-03-16 백승현 무선 인터넷상의 컨텐츠 제공 방법
JP3945644B2 (ja) * 2002-11-05 2007-07-18 ソニー株式会社 コピー回数制御方法、サーバ装置、記録制御方法および記録制御装置
JP4016865B2 (ja) 2003-03-26 2007-12-05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期限管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期限管理方法、端末装置、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記録媒体
EP1469405A1 (en) * 2003-04-15 2004-10-20 Ferraz de Oliveira, Jorge Alberto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quested units of information over a mobile network
JP2005025729A (ja) * 2003-06-09 2005-01-27 Sony Corp ファイル転送システムおよびファイル転送方法
US20050009514A1 (en) * 2003-07-08 2005-01-13 Ajit Mathews Resource efficient content management and delivery without using a file system
JP4179093B2 (ja) * 2003-07-31 2008-11-12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
EP1653399A4 (en) * 2003-08-07 2006-11-22 Sharp Kk ACCOUNTING SYSTEM, CONTENT DEVICE, LICENSE SALES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839609A (zh) * 2003-08-20 2006-09-2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内容再现系统
JP3935459B2 (ja) * 2003-08-28 2007-06-20 株式会社東芝 コンテンツ管理装置、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管理プログラム
KR100636130B1 (ko) * 2003-12-03 200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선불 카드형 데이터 기록 매체, 그 기록 장치, 컨텐츠제공 장치 및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의 인증 방법
JP2005244576A (ja) * 2004-02-26 2005-09-08 Sony Corp コンテンツ処理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552540B2 (ja) * 2004-07-09 2010-09-29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記録装置、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記録方法、コンテンツ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60080275A1 (en) * 2004-10-12 2006-04-13 Christal Dean V Digital file consumer information methods and devices
US20060080258A1 (en) * 2004-10-12 2006-04-13 Christal Dean V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on of digital downloads
US20060080261A1 (en) * 2004-10-12 2006-04-13 Christal Dean V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ed play of digital downloads
US7822866B2 (en) * 2005-01-27 2010-10-26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trieving content in network system
EP1715403A1 (en) * 2005-04-22 2006-10-25 Sony DADC Austria AG Method for downloading content from a server onto a recording medium as well as recording medium being suitable therefor and a backup method
JP4696810B2 (ja) * 2005-09-21 2011-06-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
US20070106521A1 (en) * 2005-11-04 2007-05-10 Tp Lab System and method to process media with preset credit
US20070150887A1 (en) 2005-12-22 2007-06-28 Shapiro Alan J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dispensing soft assets
CN101390050B (zh) 2005-12-22 2018-04-24 艾伦·J·薛比洛 通过相减性安装达成选择性分配软件资源的装置与方法
JP2007293380A (ja) * 2006-04-20 2007-11-08 Sony Corp 情報配信装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20070299780A1 (en) * 2006-04-26 2007-12-27 Nokia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 content superdistribution system
US20080215725A1 (en) * 2007-03-02 2008-09-04 Wireless Image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the playing of ring tones and other media files on mobile devices
US20100115026A1 (en) * 2007-03-29 2010-05-06 Pioneer Corporation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and server device, and client device
JP2010049448A (ja) * 2008-08-21 2010-03-0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EP2465259A4 (en) * 2009-08-14 2015-10-28 Dts Llc OBJECT-ORIENTED AUDIOSTREAMING SYSTEM
JP2011170513A (ja) * 2010-02-17 2011-09-01 Sharp Corp 情報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
EP2362393A3 (en) * 2010-02-17 2011-11-30 Sharp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storage medium,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control program, and communication system
EP2663068A1 (en) * 2011-01-07 2013-11-13 Yamaha Corporation Information-providing system, portable terminal device, server, and program
US9026450B2 (en) 2011-03-09 2015-05-05 Dts Llc System for dynamically creating and rendering audio objects
CN102833415A (zh) * 2012-08-28 2012-12-19 华为技术有限公司 通讯终端信息提示方法和便携终端配件、通讯终端及装置
US20150294539A1 (en) * 2012-10-31 2015-10-15 Promotie Voor Speciale Evenementen - Belgium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human perceivable output of a plurality of devices, system, transmitter, device, software product and human unperceivable acoustic signal for performing the method
WO2014069949A1 (ko) * 2012-11-02 2014-05-08 엘지전자(주) 컨텐트 재생 방법 및 장치
CN105264600B (zh) 2013-04-05 2019-06-07 Dts有限责任公司 分层音频编码和传输
JP6338909B2 (ja) * 2014-03-27 2018-06-06 株式会社電通国際情報サービス コンテンツ制御システム
CN105657004A (zh) * 2015-12-29 2016-06-08 大连楼兰科技股份有限公司 车联网网络电台正版音乐管理方法及装置
CN105913237B (zh) * 2016-04-12 2021-09-17 田中 一种计费终端及其工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9764A (ja) 1998-03-12 1999-09-24 Sony Corp 記録媒体および情報伝達システム
JPH11316729A (ja) 1997-12-08 1999-11-1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インターネット課金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インターネット課金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00023323A (ko) * 1998-09-22 2000-04-25 이데이 노부유끼 기록 매체, 기록 방법 및 기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6840A (en) * 1991-07-18 1996-11-19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FI945346A (fi) * 1994-11-14 1996-05-15 Finland Telecom Oy Menetelmä ja järjestelmä puhelukustannusten perimiseksi
JPH10187914A (ja) * 1996-12-24 1998-07-21 Sony Corp データ記録媒体、記録再生システムおよび残量表示方法
US6144745A (en) * 1997-04-07 2000-11-07 Fujitsu Limite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taining and verifying of data on recording medium
JPH1153184A (ja) * 1997-08-08 1999-02-26 Seta:Kk データ配信方法および装置
JPH1166824A (ja) * 1997-08-15 1999-03-09 Sony Corp オーディオサーバシステム
JP3906535B2 (ja) * 1997-11-07 2007-04-18 ソニー株式会社 ダウンロード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EP0921487A3 (en) * 1997-12-08 2000-07-26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billing on the internet
KR100653561B1 (ko) * 1998-07-15 2006-12-05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정보 수신 장치, 다운로드 방법, 다운로드 진행 상황 표시 방법, 및 기기 선택 방법
EP2034479B1 (en) * 1998-07-22 2016-01-1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Digital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otecting copyrights that facilitate reproduction of encrypted digital data recorded on recording media,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a program of the method
JP2000209553A (ja) * 1998-11-13 2000-07-28 Victor Co Of Japan Ltd 情報信号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US6434535B1 (en) * 1998-11-13 2002-08-13 Iomega Corporation System for prepayment of electronic content using removable media and for prevention of unauthorized copying of same
US6865552B1 (en) * 1998-12-02 2005-03-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copying system, data copying apparatus, data copy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3327389B2 (ja) * 1998-12-28 2002-09-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複製システム、複製方法、書き込み装置および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6729A (ja) 1997-12-08 1999-11-1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インターネット課金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インターネット課金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H11259764A (ja) 1998-03-12 1999-09-24 Sony Corp 記録媒体および情報伝達システム
KR20000023323A (ko) * 1998-09-22 2000-04-25 이데이 노부유끼 기록 매체, 기록 방법 및 기록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PO 조사보고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575A (ko) 2002-01-23
CN1206832C (zh) 2005-06-15
US20020042777A1 (en) 2002-04-11
EP1174812A3 (en) 2002-10-30
US7295994B2 (en) 2007-11-13
JP2002008115A (ja) 2002-01-11
MY127174A (en) 2006-11-30
US20050033661A1 (en) 2005-02-10
EP1174812A2 (en) 2002-01-23
SG103295A1 (en) 2004-04-29
CN1330470A (zh) 2002-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8136B1 (ko) 정보분배시스템, 단말장치, 정보센터, 기록매체 및정보분배방법
US6993567B1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data reproducing method, and data recording/reproducing method
KR100819620B1 (ko) 서버 장치, 신호분배 시스템, 신호분배 방법 및 단말 장치
RU2284591C2 (ru) Система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устройство записи данных,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данными и способ генерирования идентификатора
US579421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on demand data delivery system for the preview, selection, retrieval and reproduction at a remote location of previously recorded or programmed materials
US20070043641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1083106A (zh) 在记录媒体上记录数据的方法及其再现方法
EP1260925A2 (en) Data handling
KR20030001443A (ko) 콘텐츠 제공 취득 시스템
JP2000148861A (ja) 課金システム、端末装置
JP5106737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01175946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販売システム
JPH07319572A (ja) 再生データ管理システム
JP2005025365A (ja) 情報提供システム、端末装置、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
US20040193443A1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JP2003123268A (ja) 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情報再生装置および情報レンタルシステム
JP2001216380A (ja) コンテンツ情報配信用課金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01228884A (ja) カラオケシステムを用いた購買システム及びカラオケ端末
JP4826015B2 (ja) 情報紹介システム
JP2002341900A (ja) 高能率符号化方法、高能率符号化装置、符号化データ復号方法、符号化データ復号装置、データ伝送方法、データ伝送装置、付加情報付加方法、付加情報付加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2001060286A (ja) プリペイド記録媒体及びそのプリペイド記録媒体を使用するデータ記録システム
JP2002073047A (ja) キオスク型端末装置
JP2002330395A (ja) デジタル信号処理装置、デジタル信号処理方法、情報センターおよび配信システム
JP2002215923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JP2002341878A (ja) データ配信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配信セン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