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7782B1 - 가전제품 도어 공용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가전제품 도어 공용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7782B1
KR100817782B1 KR1020060127036A KR20060127036A KR100817782B1 KR 100817782 B1 KR100817782 B1 KR 100817782B1 KR 1020060127036 A KR1020060127036 A KR 1020060127036A KR 20060127036 A KR20060127036 A KR 20060127036A KR 100817782 B1 KR100817782 B1 KR 100817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closing device
fixe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7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운
Original Assignee
박희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운 filed Critical 박희운
Priority to KR1020060127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77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5Testing of complete machines, e.g. washing-machines or mobile ph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제품 공용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김치 냉장고와 같은 가전제품의 회동식 및 서랍식 도어를 자동 방식에 따라 공용으로 개폐하는 가전제품 공용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가전제품 공용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을 가전제품의 본체에 힌지 연결된 회동식 도어를 개폐하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와 근접한 상기 본체의 측벽에 고정되어 기초가 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인가 전원에 의해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에 상기 도어를 연결시켜 동력에 의해 이 도어를 연동되게 하는 링크 유닛; 및 상기 구동수단이 작동되기 전 상기 도어 개방시 인가 전원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최소한의 힘을 이 도어에 제공하는 푸셔(Pusher);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한다.
가전제품, 도어, 개폐장치, 베이스, 구동수단, 링크 유닛, 푸셔

Description

가전제품 도어 공용 개폐장치{HOUSEHOLD APPLIANCES DOOR PUBLIC USE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제품 도어 공용 개폐장치가 가전제품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가전제품 도어 공용 개폐장치의 가전제품 도어 공용 개폐장치가 가전제품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가전제품 도어 공용 개폐장치의 푸셔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가전제품 도어 공용 개폐장치에 의해 도어가 개폐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전제품 도어 공용 개폐장치가 가전제품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가전제품 도어 공용 개폐장치의 가전제품 도어 공용 개폐장치가 가전제품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 도어 110: 베이스
120: 구동수단 130: 링크 유닛(Link unit)
132: 회전부재 136: 고정부재
142: 선형부재 150: 푸셔
202: 도어 210: 베이스
220: 구동수단 222: 구동모터
222a: 구동기어 224a: 종동기어
226: 이동부재 226a: 기어
228: 벨트 230: 링크 유닛
본 발명은 가전제품 공용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김치 냉장고와 같은 가전제품의 회동식 및 서랍식 도어를 자동 방식에 따라 공용으로 개폐하는 가전제품 공용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제품은 집안에서 쓰는 전기 기구나 기계를 총칭하며, 수용물을 집어넣거나 꺼낼 때 그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가 전면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가전제품 중 냉장고는 회동식 상하 도어가 각각 하나씩 구비된 상태로 출시되었지만 근래에 와서는 양문식 도어가 구비되어 출시되고 있으며, 김치 냉장고는 가전제품의 본체 상면에 회동식 도어가 구비되는 제품과 상기 본체 전면에서 출몰하는 서랍식 도어가 구비되는 제품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종래에 냉장고 및 김치 냉장고와 같은 가전제품의 도어는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개방하여야 하는 문제점과 함께 다수 배열된 상태에서 도어의 내구성 등과 같은 가전제품을 검사하는 품질 관리 차원에서 시간에 따라 검사자가 일일이 개폐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전제품에서 회동식 또는 서랍식 도어에 한정하지 않고 자동 방식에 의해 공용으로 개폐할 수 있는 개폐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이 용이한 가전제품 도어 공용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전제품의 본체에 힌지 연결된 회동식 도어를 개폐하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와 근접한 상기 본체의 측벽에 고정되어 기초가 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인가 전원에 의해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에 상기 도어를 연결시켜 동력에 의해 이 도어를 연동되게 하는 링크 유닛; 및 상기 구동수단이 작동되기 전 상기 도어 개방시 인가 전원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최소한의 힘을 이 도어에 제공하는 푸셔(Pusher);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베이스가 힌지 결합된 도어에서 상기 힌지와 근접한 가전제품의 본체 일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에 구동수단이 결합되며 최초 도어의 개방시 높은 토크(Torque)의 발생으로 기동 토크가 요구됨에 따라 이를 감소시키는 상기 푸셔에 의해 도어의 개방이 용이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링크 유닛은,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일단이 고정되는 선형부재; 및 상기 선형부재의 타단이 고정되며 상기 도어의 외벽 또는 도어 손잡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되면 상기 선형부재를 통해 고정부재가 연동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푸셔는, 캠 구동방식에 의해 이동부재를 직선왕복운동시킴에 따라 이동부재가 전후 동작하여 도어의 최초 개방시 기동 토크를 발생시키므로 상기 도어의 개방이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의 가전제품 도어 공용 개폐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제품 도어 공용 개폐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와, 구동수단(120)과, 링크 유닛(130)과, 푸셔(150) 및 컨트롤러(도면에 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10)는 가전제품 중 양쪽 문 회동식 냉장고의 본체(100)의 양 측벽에 고정되어 후술할 구동수단(120)을 고정하기 위한 기초가 된다. 그리고 회동식 도어(102)의 힌지 결합된 근접 부위인 상기 본체(100)에 마련되며, 선단에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 판 형상으로 판 후단에는 그 선단이 이 본체(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가압하여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조임볼트(112)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수단(120)은 구동모터로 상기 베이스(110)의 외측면에 형성된 키 홈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인가 전원에 의해 작동하여 구동된다.
상기 링크 유닛(130)은 상기 구동수단(120)에서 상기 도어(102)를 연결하여 이 구동수단(120)의 구동력을 이 도어(102)에 전달하여 연동되게 하는 기능을 하며, 회전부재(132)와, 선형부재(142) 및 고정부재(136)로 세분화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부재(132)는 상기 구동수단(120)의 구동축에 일단이 결합되고 후단에 후술할 선형부재(142)를 고정할 수 있는 연결부재(134)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링크 유닛(130)이 상기 도어(102)의 외벽에 고정될 수도 있으나 외벽에 고정시 손상될 수 있으므로 도어 손잡이(104)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134)는 상기 선형부재(142)의 외경과 상응한 내경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하 분리되며 이 선형부재(142)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고정볼트가 중심부에 구비된다.
상기 선형부재(142)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형상으로 그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134)에 고정되고 타단은 후술할 고정부재(136)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재(120)는 상기 선형부재(142)를 상기 도어(102)의 외벽 또는 도어 손잡이(104)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20)는 상기 선형부재(142)의 외경과 상응한 내경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부재(138)가 선 단에 위치되고, 그 후단에는 상기 도어 손잡이(104)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140)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하 분리되며 이 선형부재(142)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고정볼트가 중심부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 손잡이(104)는 분리가 용이하지 못하므로 분리되는 상기 고정부재(136)의 후단에 형성된 고정홈(140)을 통해 고정된다.
상기 푸셔(Pusher: 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02)의 최초 개방시 상기 본체(100)에 결합된 이 도어(102)에 설정된 토크 이상의 기동 토크가 필요하여 구동수단(120)에 과부하가 걸릴 수 있으므로 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본체(100)와 자석에 의해 접합된 이 도어(102)를 본체(100)에서 자석의 자력보다 큰 힘으로 도어(102) 개방 방향을 향해 기계식으로 밀어 소정 간격만큼 분리시키는 기능을 하며, 캠 구동방식에 의해 직선 이동부재(154)를 직선왕복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푸셔(150)는 몸체(152)와, 직선 이동부재(154)와, 접촉부재(156)와, 캠(158)과, 모터(M) 및 스프링(S)으로 세분화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52)는 내부가 중공 형성되되 전면에 후술할 직선 이동부재(154)가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직선 이동부재(154)는 상기 몸체(152)의 전면에서 내부까지 삽입된 상태로 구비되되 후단에 단차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재(156)는 상기 직선 이동부재(154)의 선단에 편심되어 상기 본체(100)에 고정시 이 본체(100)와 상기 도어(102)의 틈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플레이트 형상이다.
상기 캠(Cam: 158)은 후술할 모터(M)의 구동축에 편심된 상태로 고정되는 타원 형상으로 중심에서 거리가 먼 외주면이 상기 직선 이동부재(154)의 후면에 접촉하면 상기 직선 이동부재(154)를 밀어 최종적으로 도어(102)를 개방 방향으로 밀고, 중심에서 거리가 가까운 외주면이 이 직선 이동부재(154)의 후면에 접촉하면 이 직선 이동부재(154)가 후진하여 상기 도어(102)를 밀지 않는다.
한편, 상기 푸셔(150)는 그 고정 위치가 상기 회동식 도어(102)가 상기 본체(100) 상하에 한 개씩이면 상기 구동수단(120)과 대향된 본체(100)의 측벽 또는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102)가 대칭된 한 쌍이면 본체(100)의 상면에 구비된다.
상기 모터(M)는 인가 전원에 의해 상기 캠(158)에 회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스프링(S)은 상기 직선 이동부재(154)가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 구멍이 형성된 몸체(152)의 내벽과 상기 직선 이동부재(154)의 단차와 대향되는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캠(158)이 회전하여 중심에서 가까운 표면이 그 직선 이동부재(154)의 후면에 닿으면 그 직선 이동부재(154)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식 도어(102)가 대칭된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며 이때에는 상기 푸셔(150)가 상기 본체(100)의 상면 안쪽 부위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도어(102) 또는 상기 본체(100)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수단(120)과 연결되어 이 구동수단(120)의 회전속도 및 회전각의 제어가 조작에 의해 가능하여 상기 도어(102)의 개방 각도 및 개폐 속도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가전제품 도어 공용 개폐장치를 품질 관리(Q.C)에서 적용할 경우 여러 대의 가전제품을 나열한 다음 상기 도어(102)의 개방 속도 및 개방 각도를 제어하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특정 도어(102) 또는 전체 도어(102)의 개폐 유무, 과부하, 진공 상태 등과 같은 제어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가전제품 도어 공용 개폐장치에서 회동식 도어의 개방에 따른 작동 과정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사용자가 가전제품에 구비된 상기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상기 도어(102)의 개폐 속도 및 개방 각도를 선택한다.
다음으로, 상기 푸셔(150)가 작동되면서 인가 전원에 의해 상기 모터(M)가 회전하여 이 모터(M)의 구동축에 구비되는 상기 캠(158)을 회전시키면 중심에서 편심된 부위의 길이가 최대인 외주면이 상기 직선 이동부재(154)의 후면에 접하면서 이 직선 이동부재(154)는 점진적으로 전진하게 되므로 결국 상기 본체(100)와 도어(102) 사이에 위치된 상기 접촉부재(156)가 전진하여 상기 도어(102)를 개방 방향으로 가압하여 밀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와 도어(102)의 사이에는 대부분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연질의 자석이 개재되는데 이 자석의 자력보다 큰 힘(기동 토크)으로 상기 도어(102)를 개방 방향으로 밀면 자석으로부터 이 도어(102)가 이탈되며 후 작동되는 상기 구동수단(120)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푸셔(150)의 캠(158)이 더 회전하여 중심에서 편심된 부위의 길이가 최소인 외주면이 상기 직선 이동부재(154)의 후면에 접하면 이 직선 이동부재 (154)는 점진적으로 후진하여 최초의 위치에 복귀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수단(120)이 인가 전원에 의해 작동을 시작하면 상기 회전부재(132)가 회전하고 상기 회전부재(132)의 연결부재(134)와, 상기 도어(102)에 구비된 도어 손잡이(104)에 고정된 고정부재(136)의 연결부재(138)를 선형부재(142)의 양단이 연결되어 결국, 상기 연결부재(138)를 매개로 하여 상기 도어 손잡이(104)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이 도어 손잡이(104)에 의해 도어(102)가 개방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102)의 개방시 컨트롤러에 의해 도어(102)의 개방 속도 및 개방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전제품 도어 공용 개폐장치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10)와, 몸체(212)와, 구동수단(220)과, 링크 유닛(230) 및 컨트롤러(도면에 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210)는 가전제품 중 서랍식 냉장고 또는 서랍식 김치 냉장고 본체(200)의 양단 즉, 상기 본체(200)가 놓이는 지면에서 서랍식 도어(202)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도록 위치되어 후술할 몸체(212)를 고정하기 위한 기초가 된다.
상기 몸체(212)는 상기 베이스(210)의 상부에 안착된 후 고정되고 대향되는 선단이 연결되며 상기 도어(202)의 최대 개방 간격보다 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직립된 형상으로 내부가 중공 형성되고 상단은 개구되어 그 내부에 후술할 구동수단(220) 및 링크 유닛(23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212)의 상부에는 내부에 구비된 구성 요소의 유지보수를 위해 커버(214)가 고정되며, 내측벽에는 각각 후술할 이동부재(226)가 외부까지 노출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부(216)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구동수단(220)은 상기 몸체(212)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도어(202)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인가 전원에 의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하며, 구동모터(222)와, 종동기어(224a)와, 타이밍 벨트(228) 및 이동부재(226)로 세분화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222)는 상기 몸체(212)의 내부 일단에 형성된 고정편(212a)의 저면에 고정되어 구동축에 구동기어(222a)가 구비되며 인가 전원에 의해 구동력을 후술할 종동기어(224a)에 제공한다.
상기 종동기어(224a)는 상기 구동기어(222a)와 이격되되 개방된 상기 도어(202)의 이동 거리와 상응하도록 이 구동기어(222a)와 수평선상으로 이격되며, 동력을 제공하지 않는 연동구(224)의 연동축에 구비되고 상기 연동구(224)가 상기 몸체(212)의 내부 타단에 형성된 고정편(212a)의 저면에 고정된다.
상기 타이밍 벨트(228)는 상기 구동기어(222a)와 종동기어(224a)를 연결하여 동력을 이 구동기어(222a)에서 종동기어(224a)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이동부재(226)는 상기 타이밍 벨트(228)의 내부에서 치합(齒合)되도록 위치되어 이 타이밍 벨트(228)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구동기어(222a)와 종동기어(224a)의 사이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기어(226a)가 구비되고 상기 기어(226a)의 상단에 후술할 링크 유닛(230)이 내측면에 연결 고정되는 이동부재(226)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226)의 이동시 수평 방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212b)가 이 이동부재(226)의 상하부인 몸체(212)의 내측벽에 대향되도록 돌출 형성된다.
상기 링크 유닛(230)은 상기 몸체(212)의 개구부(216)를 통해 노출되는 이동수단(226)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수단(220)에 의해 연동되며 상기 도어(202)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이 도어(202)를 잡아당기고 원위치로 밀 수 있도록 도어 손잡이(204)에 위치된다.
상기 링크 유닛(230)은 결합부재(232)와 연결부재(234)로 세분화하여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재(232)는 상기 이동부재(226)에 일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234)는 상기 결합부재(232)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 손잡이(204)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단면 형상이 "U"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블록이다.
여기서, 상기 링크 유닛(230)이 상기 도어(202)의 외벽에 고정될 수도 있으나 외벽에 고정시 손상될 수 있으므로 상기 도어 손잡이(204)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도어(202) 또는 상기 본체(200)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수단(220)과 연결되어 이 구동수단(220)의 회전속도 및 회전각의 제어가 조작에 의해 가능하여 상기 도어(202)의 개방 간격 및 개폐 속도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가전제품 도어 공용 개폐장치를 품질 관리(Q.C)에서 적용할 경우 여러 대의 가전제품을 나열한 다음 상기 도어(202)의 개방 속도 및 개방 각도를 제 어하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특정 도어(202) 또는 전체 도어(202)의 개폐 유무, 과부하, 진공 상태 등과 같은 제어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가전제품 도어 공용 개폐장치에서 서랍식 도어의 개방에 따른 작동 과정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사용자가 가전제품에 구비된 상기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상기 도어(202)의 개폐 속도 및 개방 각도를 선택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모터(222)의 구동기어(222a)가 구동하고 상기 구동기어(222a)와, 그와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종동기어(224a)를 타이밍 벨트(228)에 의해 연동시킨다.
이때, 상기 타이밍 벨트(228)에 치합된 기어(226a)에 이동부재(226)가 구비되어 이 타이밍 벨트(228)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226)가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부재(226)에 링크 유닛(230)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도어 손잡이(204)에 위치된 연결부재(234)에 의해 서랍식 도어(204)를 상기 본체(200)에서 잡아당기고 미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204)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도어(204)는 좌우에 각각 구비되며, 일률적으로 도어(204)의 개폐가 가능함은 물론 개별적으로도 개폐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도어(202)의 개방시 컨트롤러에 의해 도어(202)의 개방 속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가전제품 도어 공용 개폐장치는 회동식 도어 또는 서랍식 도어만 구비되는 냉장고 및 김치 냉장고에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회동식 도어와 서랍식 도어가 함께 구비되는 냉장고 및 김치 냉장고에 공용으로 접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가전제품 도어 공용 개폐장치는 냉장고 및 김치 냉장고 등과 같은 가전제품에서 회동식 또는 서랍식 도어에 한정하지 않고 자동 방식에 의해 공용으로 개폐할 수 있는 개폐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전제품 도어 공용 개폐장치는 품질 관리에 적용하여 다수대의 가전제품에서 도어 개폐에 따른 과부하, 도어 개폐 유무 및 내부 진공 상태 등의 검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가전제품의 본체에 힌지 연결된 회동식 도어를 개폐하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와 근접한 상기 본체의 측벽에 고정되어 기초가 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인가 전원에 의해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에 상기 도어를 연결시켜 동력에 의해 이 도어를 연동되게 하는 링크 유닛; 및
    상기 구동수단이 작동되기 전 상기 도어 개방시 인가 전원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최소한의 힘을 이 도어에 제공하는 푸셔(Pusher);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도어 공용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도어 공용 개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유닛은,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일단이 고정되는 선형부재; 및
    상기 선형부재의 타단이 고정되며 상기 도어의 외벽 또는 도어 손잡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도어 공용 개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캠 구동방식에 의해 직선 이동부재를 직선왕복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도어 공용 개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의 고정 위치는 상기 회동식 도어가 상하에 한 개씩이면 상기 구동수단과 대향된 본체의 측벽 또는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가 상하에 대칭된 한 쌍이면 본체의 상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도어 공용 개폐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에는 구동모터의 회전속도, 회전각을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공용 개폐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60127036A 2006-12-13 2006-12-13 가전제품 도어 공용 개폐장치 KR100817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036A KR100817782B1 (ko) 2006-12-13 2006-12-13 가전제품 도어 공용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036A KR100817782B1 (ko) 2006-12-13 2006-12-13 가전제품 도어 공용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7782B1 true KR100817782B1 (ko) 2008-03-31

Family

ID=39412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7036A KR100817782B1 (ko) 2006-12-13 2006-12-13 가전제품 도어 공용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77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8105A (ko) * 2013-03-28 2014-10-08 주식회사 원익아이피에스 기판처리장치
JP2015068572A (ja) * 2013-09-30 2015-04-13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冷蔵庫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205U (ko) * 1997-04-14 1998-11-16 김재근 냉장고 도어의 자동 개방장치
KR100488074B1 (ko) * 2003-03-22 2005-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구조
KR20070111856A (ko) * 2006-05-19 2007-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개방장치 및 이를 갖춘 냉장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205U (ko) * 1997-04-14 1998-11-16 김재근 냉장고 도어의 자동 개방장치
KR100488074B1 (ko) * 2003-03-22 2005-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구조
KR20070111856A (ko) * 2006-05-19 2007-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개방장치 및 이를 갖춘 냉장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8105A (ko) * 2013-03-28 2014-10-08 주식회사 원익아이피에스 기판처리장치
KR102046083B1 (ko) * 2013-03-28 2019-12-02 주식회사 원익아이피에스 기판처리장치
JP2015068572A (ja) * 2013-09-30 2015-04-13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冷蔵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87320B (zh) 冰箱
KR100820818B1 (ko) 디스펜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KR101972785B1 (ko) 냉장고
KR101949738B1 (ko) 냉장고용 레일 조립체 및 냉장고
EP3660429A1 (en) Refrigerator
KR20180110373A (ko) 냉장고
KR102490433B1 (ko) 냉장고
KR20070114982A (ko) 슬라이드형 트레이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
KR20080062988A (ko) 냉장고
KR100817782B1 (ko) 가전제품 도어 공용 개폐장치
CN109891170A (zh) 冰箱
KR20090125317A (ko) 냉장고 및 냉장고 선반장치
JP2001317864A (ja) 冷蔵庫の扉開放装置
RU2337284C2 (ru) Холод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6869626A (zh) 烹饪电器及其开关门方法
KR20090080346A (ko) 냉장고 도어 자동 개방 장치
CN111425099A (zh) 开关门系统以及开门家电
KR20180049704A (ko) 냉장고
JP3922940B2 (ja) 冷蔵庫等の扉開閉装置
CN207905577U (zh) 一种烤箱开门结构
CN109832955A (zh) 一种家用电器控制面板
CN109797518B (zh) 一种壁挂式加热洗衣机
CN207905575U (zh) 一种烤箱开门结构
CN212337013U (zh) 开关门系统以及开门家电
CN206625683U (zh) 烹饪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