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285B1 - 온실 환경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온실 환경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4285B1
KR100794285B1 KR1020050069868A KR20050069868A KR100794285B1 KR 100794285 B1 KR100794285 B1 KR 100794285B1 KR 1020050069868 A KR1020050069868 A KR 1020050069868A KR 20050069868 A KR20050069868 A KR 20050069868A KR 100794285 B1 KR100794285 B1 KR 100794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house
unit
environment
control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9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4883A (ko
Inventor
김동억
장유섭
김현환
김종구
김성기
이동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50069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4285B1/ko
Publication of KR20070014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4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온실의 환경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온실 환경 제어 장치는 센서수단에 의해 온실 내외 기상환경의 측정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서부; 상기 기상환경의 설정데이터 또는 온실 내의 환경을 조작하는 인터럽트 명령인 동작명령을 입력받는 설정부; 상기 측정데이터, 설정데이터, 인터럽트 명령을 전송받아 제어신호를 산출하는 산업용 마이크로 컴퓨터(PLC)를 포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온실 내 기상환경을 조절하는 물리적 조작을 수행하는 현장제어부; 및 상기 측정데이터를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온실 내의 감시를 위해 온실 내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실 내의 기상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프로그램을 그래픽인터페이스방식으로 구현하여 설정치를 변경하는 등의 프로그램의 사용이 용이하며, 카메라 영상에 의한 온실 감시로 작업자가 온실 외의 원격지에서 온실 내 상태를 감시하고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온실, 온실 환경제어, 원예, 온실 내 기상환경, 센서

Description

온실 환경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environment of greenhouse}
도 1은 본 발명의 온실 환경 제어 장치의 일 실시예를 간략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온실 환경 제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온실 환경 제어 장치의 일 실시예가 구동되는 일 예를 각각 부분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온실 환경 제어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센서부 101 : 센서수단
102 : 마이크로 제어유닛(MCU) 110 : 카메라부
111 : 카메라 112 : 모터장치
113 : 제어신호 전송수단 114 : 영상신호 전송수단
120 : 설정부 130 : 표시부
140 : 제어부
141 : 산업용 마이크로 컴퓨터 유닛(PLC)
142 : 메모리수단 150 : 현장제어부
201 : 외부온도 센서 202 : 외부습도 센서
203 : 외부일사 센서 204 : 외부조도 센서
205 : 풍향 및 풍속 센서 206 : 내부온도 센서
207 : 내부습도 센서 208 : 내부조도 센서
209 : 이산화탄소량 센서 210 : 전도도(EC) 센서
211 : 피에이치지수(pH) 센서 251 : 천창 개폐 조작부
252 : 측창 개폐 조작부 253 : 수평커튼 개방 조작부
254 : 수직커튼 개방 조작부 255 : 스크린 조작부
256 : 환기팬 조작부 257 : 대류팬 조작부
258 : 난방기 조작부 259 : 냉방기 조작부
260 : 가습기 조작부 261 : 이산화탄소발생기 조작부
262 : 광 공급 램프 조작부 263 : 양액공급장치 조작부
본 발명은 온실 감시 및 환경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온실 내의 상태를 감시하고 작물의 생육에 적합한 환경으로 조성해주는 온실 감시 및 환경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온실 환경제어장치는 씨씨디 카메라를 이용하여 재배작물의 생장상태를 원격지 컴퓨터로 전송함으로써 과학적이고 효율적으로 작물재배 제어를 꾀하였는데, 이 경우는 카메라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카메라로부터 얻는 화상데이터가 작물의 외관적인 면에서의 생장 데이터에만 국한되어 있어 활용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온실제어장치에 산업용 마이크로 컴퓨터(PLC)를 이용한 경우에, 온실의 창을 개폐할 때 온실 내 온도가 올라가거나 내려감에 따라 천창, 이중천창, 측창 등이 한꺼번에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창의 개폐를 천창, 이중천창, 측창의 순서 등과 같이 차례로 개폐되도록 고안된 바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온실 내의 상태를 감시하고 작물의 생육에 적합한 환경으로 조성해주는 온실 감시 및 환경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컴퓨터와 산업용 마이크로 컴퓨터 간에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통신이 이루어져 사용자가 기준환경조건을 설정, 변경하기 용이하고, 창과 스크린의 열리고 닫히는 동작시간이 온도편차에 따라 달라지고, 카메라에 의해 온실 내 감시가 가능한 온실 환경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온실 환경 제어 장치는 온실 내외의 기상환경을 계측하는 센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수단에서의 계측에 의해 측정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서부; 온실 내외 기상환경에 대한 기준값인 설정데이터 및 온실 내 환경을 조절하는 동작명령을 입력받는 설정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데이터가 전송되고 상기 설정부로부터 설정데이터 또는 동작명령이 전송되며 제어신호가 산출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실 내의 기상환경을 조절하는 물리적 조작을 수행하는 현장제어부; 및 상기 측정데이터를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부는 온실 내의 기상환경을 아날로그 신호로 계측하는 센서수단, 및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 제어 유닛(MCU)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온실 환경 제어 장치는 온실 내를 모니터링하는 카메라를 구비하고 온실 내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부는 상기 카메라부에 포함된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조절하는 명령을 더 입력받으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온실 내의 영상정보를 더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카메라부는 온실 내를 모니터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가 부착되고 상기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팬(pan)/틸트(tilt) 방향으로 조절하는 모터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카메라부에서 획득된 영상정보는 화상전송용 케이블 또는 RF 무선모듈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전송수단에 의해 표시부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데이터, 상기 설정데이터, 및 상기 동작명령이 수신되고 제어신호를 생성해내는 산업용 마이크로컴퓨터(PLC)유닛 및 상기 설정부로부터 수신된 측정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현장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는 조작에는 상기 온실의 창을 개폐하는 조작, 상기 온실의 냉난방장치를 가동하는 조작, 상기 온실 내의 공기의 이산화탄소의 양을 조절하는 조작, 상기 온실의 채광량을 조절하는 조작, 또는 상기 온실의 공기순환을 위한 팬을 회전시키는 조작 중에서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현장제어부는 상기 온실의 창을 개폐하는 조작을 수행하고, 상기 창을 개폐하는 조작은 창을 개폐하는 동작이 수행되는 동작상태 및 창을 개폐하는 동작이 정지되는 정지상태를 포함하는 개폐단위동작을 적어도 일 회 이상 수행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적어도 일 회 이상 수행되는 개폐단위동작은 측정데이터에 의한 온실 내의 온도와 설정데이터에 설정된 온도의 차이에 따라 상기 동작상태 및 상기 정지상태가 지속하는 시간의 비가 다르게 조정되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동작상태 및 상기 정지상태가 지속하는 시간의 비는 측정데이터에 의한 온실 내의 온도가 설정데이터에 설정된 온도보다 섭씨 3도 이상 높은 경우에는 3:1 로, 측정데이터에 의한 온실 내의 온도가 설정데이터에 설정된 온도보다 섭씨 1도 내지 3도 높은 경우에는 2:1로, 그 외의 경우에는 1:1로 조정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온실 환경 제어 장치의 일 실시예를 간략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온실 환경 제어 장치는 센서부(100), 카메라부(110), 설정부(120), 표시부(130), 제어부(140), 및 현장제어부(150)의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센서부(100)는 온실 내외의 기상환경을 계측하는 센서수단(101), 및 상기 센서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미세한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고 전류값으로 계측된 경우 이를 전압으로 변환하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 제어 유닛(MCU, 102)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에 의해서 온실 내의 현재 환경을 나타내는 측정데이터가 획득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카메라부(110)는 온실 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11), 상기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조정하는 모터장치(112), 상기 모터장치를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수단(113),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표시부로 전송하는 영상신호 전송수단(114)을 포함한다.
상기 모터장치(112)는 상기 카메라(111)를 상하좌우로 팬(pan)/틸트(tilt) 구동하여 온실의 다양한 방향의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전송수단(113) 및 영상신호 전송수단(114)은 각각 케이블이나 화상전송용 케이블 또는 RF 무선 모듈 중에서 선택되는 한 가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설정부(120)는 온실 환경 제어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온실 내의 기상환경에 대한 기준값 등을 입력받는 입력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설정부는 온실 내 기상환경의 기준값인 설정데이터를 입력받고, 온실 환경 제어 장치 내의 다양한 장비들에 대한 동작을 명령하는 동작명령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카메라부의 모터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조절하는 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설정부에 입력된 신호 중 온실 내 기상환경의 기준값인 설정데이터 및 동작명령은 제어부로 전송되고,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조절하는 신호는 카메라부의 모터장치로 전송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제어신호를 산출하는 산업용 마이크로컴퓨터(PLC, 141) 유닛 및 상기 설정부로부터 전송된 설정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수 단(142)을 포함하며, 상기 PLC는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측정데이터를, 상기 설정부(120)로부터 설정데이터를 각각 수신하며, 현장제어부(150)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PLC(141)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송된 측정데이터와 상기 설정부로부터 전송된 설정데이터를 비교하여 제어신호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설정부로부터의 동작명령에 의해서 제어신호를 산출한다. 상기 제어신호는 온실 내의 기상환경 등의 환경을 바꾸는 다양한 조작이 수행되는 현장제어부로 전송되며 해당하는 조작이 수행된다.
상기 설정부로부터 전송된 설정데이터는 온실 환경의 기준값으로, 제어부 내의 메모리수단 등 저장장치에 미리 전송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정데이터가 미리 제어부에 저장되어 있음으로써, 온실 환경을 제어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설정정보, 온실 환경의 기준값 정보를 일일이 전송받을 필요 없이, 센서부로부터 현재의 온실환경을 계측한 정보를 전송받아 PLC에서 온실 환경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실 환경의 기준값 정보를 변경하기 위해 PLC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설정부로부터 기준 데이터 등을 변경하는 등 설정부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PLC의 제어신호 산출 조건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설정부로부터 전송되는 동작명령은 인터럽트 명령으로, 특히 온실 내의 환경을 변화시키는 장치를 직접 조작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입력된다. 상기 동작명령은 주로 직접적인 조작을 명령하는 것으로, PLC는 상기 동작명령을 온실 내의 현 재의 환경에 대한 측정데이터와 비교할 필요없이 직접 제어신호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표시부(130)는 상기 카메라부(110)로부터 전송된 온실 내의 영상정보, 온실 내의 현재 환경을 나타내는 측정데이터 및 필요에 따라서 상기 설정데이터 등을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설정부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온실 환경 제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온실의 환경 변수를 확인하고 그 확인된 바에 따라서 설정부에 설정데이터 또는 동작명령을 입력하거나, 표시부에 나타나는 카메라의 영상을 확인하면서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조절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현장제어부(150)는 상기 제어부(14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온실 내의 환경을 변화시키는 각종 조작을 행한다. 상기 현장제어부에 의해 상기 온실의 창을 개폐하는 조작, 상기 온실의 냉난방장치를 가동하는 조작, 상기 온실 내의 공기의 이산화탄소의 양을 조절하는 조작, 상기 온실의 채광량을 조절하는 조작, 또는 상기 온실의 공기순환을 위한 팬을 회전시키는 조작 중에서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이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온실 환경 제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특히 센서부와 현장제어부를 온실에 대해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온실 환경 제어 장치는 센서수단을 통해서 측정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데이터를 전송받고 설정부로부터 설정데이터를 전송받는 제어부(140), 하나의 개인용 컴퓨터 내에 함께 구비된 설정부와 표시부(120, 130),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는 현장제어부(150), 온실 내에 위치하면서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표시부로 전송하는 카메라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는 센서수단으로 온실 외부에서 외부온도(201), 외부습도(202), 외부일사(203), 외부조도(204), 풍향 및 풍속(205), 온실 내부에서 내부온도(206), 내부습도(207), 내부조도(208), 이산화탄소(CO2)량(209), 전도도(EC, 210), 피에이치지수(pH, 211)를 계측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은 현장제어부에 의해 천창(251)의 개폐, 측창(252)의 개폐, 수평커튼(253)의 개방, 수직커튼(254)의 개방, 스크린(255), 환기팬(256), 대류팬(257), 난방기(258), 냉방기(259), 가습기(260), 이산화탄소발생기(261), 광 공급 램프(262), 양액공급장치(263) 등이 조절된다.
상기 현장제어부는 단순 ON/OFF동작만 수행하는 릴레이와 스위치가 조합된 제어반 또는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 동작을 수행하는 릴레이와 스위치가 조합된 제어반으로 분류하여 제어반의 크기를 줄이고 제어반을 분리함으로써 조작과 유지보수 점검이 편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온실 환경 제어 장치의 일 실시예가 구동되는 일 예를 각각 부분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a에서, 온실 환경 제어 장치의 초기화가 이루어진 후(301), 측정데이터가 획득되어 PLC에 수신되며(302), 상기 측정데이터가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며(303), 상기 장치의 사용자가 설정부를 통하여 설정데이터의 값을 변경 또는 동작명령을 입력하여 설정부로부터 인터럽트가 발생하면(304), PLC로 상기 설정데이터 또는 동작명령의 설정값이 송신되고(305), 상기 PLC는 상기 설정값과 현재의 환경데이터인 측정데이터를 비교하여 현장제어부에 의해 조작되는 특정 기기의 작동조건에 해당되는 경우에는(306) 해당 기기를 구동하고(307) 그렇지 않으면 해당 기기의 구동을 정지(308)하도록 제어신호를 산출한다.
도 3b에서, PLC에서는 시리얼 신호를 수신하는 이벤트가 있으면(310),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제어가 이루어지는데, 상기 수신된 신호가 설정부로부터의 설정데이터이면(311) PLC 내의 연산을 위한 레지스터에 저장된 설정데이터 값의 변경이 이루어지며(315), 센서부로부터의 측정데이터이면(312) PLC 내의 연산을 위한 레지스터로 상기 측정데이터 값의 전송이 이루어지고(316), 온실 내의 장치의 조작을 지시하는 설정부로부터의 동작명령이면(313) 현장제어부로의 릴레이 신호 전송이 이루어지며(317), 기타 제어부의 각 부분의 상태,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이면(314) 표시부로 동작상태의 전송이 이루어진다(318).
도 3c에서, 제어부는 온실 내의 온도에 따라 현장제어부에서 온실의 천창 및 측창을 개폐하는 조작을 수행하도록 제어신호를 산출하는데, 상기 천창 및 측창의 개폐는 온실 내 기상의 급격한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단계로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창의 개폐의 각 단계는 개폐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작상태와 상기 개폐의 동작이 정지되는 정지상태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측정데이터를 수신하면(322) 측정데이터의 값인 현재의 환경값과 설정데이터를 비교하여 창을 개폐하는 제어신호를 산출한다.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창을 개폐하는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작상태가 지속하는 열림동작시간과 상기 창을 개폐하는 동작이 정지되는 정지상태가 지속하는 정지시간의 비가 상기 측정데이터에 의한 온도와 상기 설정데이터에 의한 온도의 차에 따라 달라지도록 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열림동작시간과 정지시간의 비가 현재온도값이 설정온도값보다 섭씨 3도 이상 높은 경우는 3:1로(326), 현재온도값이 설정온도값보다 섭씨 1도 내지 3도 높은 경우는 2:1로(327), 그 외의 경우에는 1:1로(328) 조정되어 창을 개폐하는 조작이 수행되도록 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온실 환경 제어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예는, 온실 환경 제어 장치의 주프로그램의 제어화면의 구성(400)으로, 작동상태표시창(401)에는 온실 모형과 천창, 측창, 커튼, 스크린 등 부대장치와 기계장치가 형상화되고 천창, 측창, 커튼, 스크린 등의 현재 상태가 표시되며 기계장치의 아이콘이 점멸된다. 측정데이터 표시창(402)에는 측정된 기상데이터가 표시된 다. 카메라 작동버튼(403)의 화살표를 마우스로 클릭함으로써 카메라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온실감시창(404)을 통해 온실 내 영상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추이선 그래프창(405)에는 온실 내 온도, 습도, 일사 등의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변동상황이 표시되며 현재의 기상상태가 막대그래프창(406)에 표시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온실 외부의 원격지에서 온실 내의 상황을 감시하고 온실 내부의 환경을 조작할 수 있으며, 보다 다양한 환경조건을 고려하고 조작하여 온실 내부의 환경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2)

  1. 온실 내외의 기상환경을 계측하는 센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수단에서의 계측에 의해 측정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서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온실 내외 기상환경에 대한 기준값인 설정데이터 및 온실 내 환경을 조절하는 동작명령을 입력받는 설정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온실 내외의 기상환경에 대한 측정데이터가 전송되고, 상기 설정부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데이터 또는 동작명령이 전송되어 제어신호가 산출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받아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실제 온실내의 환경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온실내의 창을 개폐하는 조작을 수행하되, 창을 개폐하는 동작이 수행되는 동작상태 및 창을 개폐하는 동작이 정지되는 정지상태로 이루어지는 개폐단위동작을 적어도 일 회 이상 수행하는 현장제어부; 및
    상기 측정데이터를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온실 환경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온실 내의 기상환경을 아날로그 신호로 계측하는 센서수단, 및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 제어 유닛(MCU)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환경 제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실 환경 제어 장치는 온실 내를 모니터링하는 카메라를 구비하고 온실 내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부는 상기 카메라부에 포함된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조절하는 명령을 더 입력받으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온실 내의 영상정보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환경 제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온실 내를 모니터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가 부착되고 상기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팬(pan) 또는 틸트(tilt) 방향으로 조절하는 모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환경 제어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에서 획득된 영상정보는 화상전송용 케이블 또는 알에프(RF) 무선모듈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전송수단에 의해 표시부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환경 제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데이터, 상기 설정데이터, 및 상기 동작명령이 수신되고 제어신호를 생성해내는 산업용 마이크로컴퓨터(PLC)유닛 및 상기 설정부로부터 수신된 측정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환경 제어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측정데이터에 의한 온실 내의 온도와 설정데이터에 설정된 온도의 차이에 따라 상기 현장제어부가 상기 동작상태 및 상기 정지상태의 지속시간을 달리하여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환경 제어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상태 및 상기 정지상태가 지속되는 시간의 비는 측정데이터에 의한 온실 내의 온도가 설정데이터에 설정된 온도보다 섭씨 3도 이상 높은 경우에는 3:1로, 측정데이터에 의한 온실 내의 온도가 설정데이터에 설정된 온도보다 섭씨 1도 내지 3도 높은 경우에는 2:1로, 그 외의 경우에는 1:1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환경 제어 장치.
KR1020050069868A 2005-07-29 2005-07-29 온실 환경 제어 장치 KR100794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868A KR100794285B1 (ko) 2005-07-29 2005-07-29 온실 환경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868A KR100794285B1 (ko) 2005-07-29 2005-07-29 온실 환경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4883A KR20070014883A (ko) 2007-02-01
KR100794285B1 true KR100794285B1 (ko) 2008-01-15

Family

ID=38080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9868A KR100794285B1 (ko) 2005-07-29 2005-07-29 온실 환경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428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559B1 (ko) 2009-05-29 2010-02-25 (주)인트모아 개별 하우스 제어시스템
KR101409146B1 (ko) 2012-02-01 2014-06-17 (주)유엠솔루션 온실 복합환경 제어장치
KR101424065B1 (ko) 2012-08-31 2014-07-31 대한민국 비닐하우스 환경 제어 방법
KR20200007400A (ko) * 2018-07-13 2020-01-2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온실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613B1 (ko) * 2009-08-18 2012-02-14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온실환경 자동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318046B1 (ko) * 2011-11-18 2013-10-14 (주)유샘인스트루먼트 토마토 재배장치
KR101346056B1 (ko) * 2013-04-29 2014-01-23 주식회사 아이온이엔지 온실 환경 제어 시스템 및 온실 환경 제어 방법
CN106323380A (zh) * 2016-09-19 2017-01-11 安徽爱她有果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大棚种植农产品综合环境监测系统
KR101950203B1 (ko) * 2018-08-20 2019-02-20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설정로그 및 생육모델을 이용하는 시설재배 시스템의 제어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1018A (en) 1986-10-06 1988-04-21 Yokogawa Electric Corp Program control of greenhouse
KR950016497A (ko) * 1993-12-08 1995-07-20 이판석 시설원예 환경 종합자동제어시스템
KR20000009193A (ko) * 1998-07-22 2000-02-15 이해완 온실 및 축사의 자동온도조절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KR200196969Y1 (ko) 1995-06-15 2000-10-02 권태웅 씨씨디 카메라를 이용한 온실제어장치
KR20040046679A (ko) * 2002-11-28 2004-06-05 주식회사게이트팜 축사용 온도/습도/암모니아가스 측정장치
JP2008003004A (ja) * 2006-06-23 2008-01-10 Ricoh Co Ltd 反応性物質の反応方法、その反応装置、及び基板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1018A (en) 1986-10-06 1988-04-21 Yokogawa Electric Corp Program control of greenhouse
KR950016497A (ko) * 1993-12-08 1995-07-20 이판석 시설원예 환경 종합자동제어시스템
KR200196969Y1 (ko) 1995-06-15 2000-10-02 권태웅 씨씨디 카메라를 이용한 온실제어장치
KR20000009193A (ko) * 1998-07-22 2000-02-15 이해완 온실 및 축사의 자동온도조절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KR20040046679A (ko) * 2002-11-28 2004-06-05 주식회사게이트팜 축사용 온도/습도/암모니아가스 측정장치
JP2008003004A (ja) * 2006-06-23 2008-01-10 Ricoh Co Ltd 反応性物質の反応方法、その反応装置、及び基板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559B1 (ko) 2009-05-29 2010-02-25 (주)인트모아 개별 하우스 제어시스템
KR101409146B1 (ko) 2012-02-01 2014-06-17 (주)유엠솔루션 온실 복합환경 제어장치
KR101424065B1 (ko) 2012-08-31 2014-07-31 대한민국 비닐하우스 환경 제어 방법
KR20200007400A (ko) * 2018-07-13 2020-01-2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온실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94997B1 (ko) 2018-07-13 2020-03-3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온실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4883A (ko) 200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4285B1 (ko) 온실 환경 제어 장치
KR101409146B1 (ko) 온실 복합환경 제어장치
US10718150B2 (en) Gear-driven automated window or door system
KR101465082B1 (ko) 원예시설 감시 제어시스템 및 방법
US10711505B2 (en) Automated window mechanism with calibration function
US10808446B2 (en) Pulley-driven automated window or door system
US8276829B2 (en) Building control system with remote control unit and methods of operation
KR100828103B1 (ko) 토양 및 환경센서를 이용한 온실 자동제어 시스템 및 온실관리 방법
JP6241708B2 (ja) 空調管理装置、空調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90309562A1 (en) Automated Window System with Wireless Control
US11352828B2 (en) Hub-based system for controlling automated windows
KR101888623B1 (ko) 식물생장 모니터링 시스템
JP5749622B2 (ja) 睡眠環境調整システム
US20190309561A1 (en) Automated Window with Sensors
KR101346056B1 (ko) 온실 환경 제어 시스템 및 온실 환경 제어 방법
JP2008099646A (ja) 送風装置、それを用いた躯体内の温湿度平均化方法並びに農業用ハウス内の送風循環方法
KR20090011711A (ko) 계사 환경제어 장치
CN201097531Y (zh) 一种环境控制装置
KR102105185B1 (ko)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온실 통합환경제어시스템
JP2010133655A (ja) 空気調和機
KR20100032978A (ko) 원예시설 생육환경 조절장치
CN110864431A (zh) 一种具有红外数据采集功能的出风设备
KR20190124946A (ko) 온실의 환기 제어 시스템
JP4091801B2 (ja) 温室の制御装置
CN110864433A (zh) 一种带红外数据采集功能的多功能出风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