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7601B1 - Water filter apparatus - Google Patents
Water filter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87601B1 KR100787601B1 KR1020060045498A KR20060045498A KR100787601B1 KR 100787601 B1 KR100787601 B1 KR 100787601B1 KR 1020060045498 A KR1020060045498 A KR 1020060045498A KR 20060045498 A KR20060045498 A KR 20060045498A KR 100787601 B1 KR100787601 B1 KR 1007876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main body
- closing part
- closing
- rotation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40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3638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907 Glands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Other filtering devices;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2—Devices for taking out of action one or more units of multi- unit filters, e.g. for regen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Other filtering devices;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Abstract
본 발명은 용수여과기에 관한 것으로, 유입관이 형성된 유입실, 배출관이 형성된 배출실, 상기 유입실과 상기 배출실을 상하로 구획하고 상기 유입실과 상기 배출실을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된 격막, 상기 격막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유입실과 상기 배출실을 연통하는 다수의 여과부, 및 상기 여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불순물배출부가 마련되고 상향 개구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를 회동 개폐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에 설치되는 감속기모터와; 상기 여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통되도록 상기 불순물배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회전축과; 상기 개폐부가 상기 본체의 개구를 개방할 때 상기 제1 회전축과의 연결이 해제되고, 상기 개폐부가 상기 본체의 개구를 폐쇄할 때 상기 감속기모터의 회전이 상기 제1 회전축에 전달되도록 상기 제1 회전축과 연결되는 제2 회전축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개폐부가 회동 이동하여 개폐됨으로써 개폐가 용이한 용수여과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filter comprising an inlet chamber in which an inlet pipe is formed, a discharge chamber in which a discharge tube is formed, a diaphragm in which at least one through hole communicating the inlet chamber and the discharge chamber is formed, A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provided in the diaphragm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flow chamber and the discharge chamber through the through holes, and a main body having an upwardly open main body provided with an impurity discharge portion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of the filtration portions; An opening / closing part for pivotally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A speed reducer motor provided o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 first rotating shaft for rotating the impurity discharge unit to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of the filtration units; Wherein when the opening / closing part opens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the connection with the first rotation shaft is released, and when the opening / closing part closes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the rotation of the speed reducer motor is transmitt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And a second rotating shaft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ng shaft. As a result, the opening / closing part is turned and opened and closed to provide a water filter easily opened and closed.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기의 부분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기의 개폐부의 개폐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2 and 3 are views showing a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an opening and closing part of a water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part A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 : 용수여과기 10 : 본체1: Water filter 10: Body
20 : 개폐부 30 : 감속기모터20: opening and closing part 30: reducer motor
31 : 냉각펜 40 : 제1 회전축31: cooling pen 40: first rotating shaft
41 : 삽입홈 50 : 제2 회전축41: insertion groove 50: second rotation axis
51 : 삽입부 60 : 개폐부재51: insertion portion 60: opening / closing member
61 : 제1 브래킷 62 : 제2 브래킷61: first bracket 62: second bracket
63 : 핀63: pin
본 발명은 용수여과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개폐부가 회동 이동하여 개폐됨으로써 개폐가 용이한 용수여과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filte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filter which is opened and clos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통상 공장 등에서는 주로 냉각수 등의 물을 여과하는 용수여과기가 배치되어 많은 양의 용수를 여과하고 있다. 이에, 용수여과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를 일정기간마다 청소해주는 경우, 용수여과기의 내부로 용수여과기의 동작을 방해하는 기타 이물질이 삽입된 경우, 또는 용수여과기의 내부를 수리, 교체해야 하는 경우등의 이유로 용수여과기의 개폐부를 상향 들어올려서 개폐하여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In a factory or the like, a water filter for mainly water such as cooling water is arranged to filter a large amount of water. Therefore, when the filter installed inside the water filter is clean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when other foreign substances that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water filter are inserted into the water filter, or when the inside of the water filter is to be repaired or replace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s of the water filter have to be lifted upward to open and close.
여기서, 통상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용수여과기는 그 크기가 거대하여 개폐부도 거대하였다. 따라서, 인력으로 개폐부를 상향 들어올려서 개폐하는 것을 무리가 있으므로, 기중기를 이용하여 개폐부를 상향 들어올림으로써 개폐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ere, the conventional water filter used in a factory or the like has a large siz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s are also larg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 closing part by raising the opening / closing part by the human force.
또한, 종래에 용수여과기는 그 내부의 여과부 또는 불순물배출관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이 개폐부를 관통하고,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감속기모터가 개폐부에설치되어 있었다. 이에, 회전축과 개폐부 사이에는 그랜드패킹등을 설치하여 용수의 누수를 방지하였다. 따라서, 개폐부를 상향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감속기모터와 회전축을 제거 한 후 들어올려야 했으므로, 그랜드패킹이 재활용할 수 없을 정도로 손상되어 그랜드패킹을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Conventionally, in the water filter, a rotary shaft for rotating a filtration part or an impurity discharge tube therein passes through an opening and closing part, and a speed reducer motor for rotating the rotary shaft is install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Thus, a gland packing or the like was provided between the rotating shaft and the opening / closing part to prevent the water from leaking. Therefore, in order to raise the opening / closing part upwardly, it is inevitably necessary to lift the motor after removing the reducer motor and the rotating shaft. Therefore, the gland packing is damaged to such an extent that it can not be recycled, and the gland packing must be replaced.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보다 상세하게는 개폐부가 회동 이동하여 개폐됨으로써 개폐가 용이한 용수여과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filter that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유입관이 형성된 유입실, 배출관이 형성된 배출실, 상기 유입실과 상기 배출실을 상하로 구획하고 상기 유입실과 상기 배출실을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된 격막, 상기 격막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유입실과 상기 배출실을 연통하는 다수의 여과부, 및 상기 여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불순물배출부가 마련되고 상향 개구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를 회동 개폐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에 설치되는 감속기모터와; 상기 개폐부에 설치되는 감속기모터와; 상기 여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통되도록 상기 불순물배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회전축과; 상기 개폐부가 상기 본체의 개구를 개방할 때 상기 제1 회전축과의 연결이 해제되고, 상기 개폐부가 상기 본체의 개구를 폐쇄할 때 상기 감속기모터의 회전이 상기 제1 회전축에 전달되도록 상기 제1 회전축과 연결되는 제2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여과기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flow chamber comprising: an inflow chamber in which an inflow pipe is formed, a discharge chamber in which a discharge tube is formed, a diaphragm in which the inflow chamber and the discharge chamber are vertically partitioned and at least one through- A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installed in the diaphragm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flow chamber and the discharge chamber through the through holes, and a main body having an upwardly opened main body provided with an impurity discharge portion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of the filtration portions; An opening / closing part for pivotally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A speed reducer motor provided o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 speed reducer motor provided o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 first rotating shaft for rotating the impurity discharge unit to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of the filtration units; Wherein when the opening / closing part opens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the connection with the first rotation shaft is released, and when the opening / closing part closes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the rotation of the speed reducer motor is transmitt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And a second rotary shaft connected to the second rotary shaft.
여기서,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 중 어느 하나의 다른 하나 측 가장자리 영역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개방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개폐부가 상기 본체의 개구를 폐쇄할 때 상기 삽입홈에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Here, an insertion groove opened radially outward is formed in the other one side edge region of the first rotation axis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And the other of the first rotation axis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may be provided with an insertion portion inserted from the outside into the insertion groove when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closes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여기서, 상기 제1 회전축 또는 상기 제2 회전축의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가장자리 영역의 단면은 'ㄷ' 형상을 가질 수 있다.Here, the cross section of the edge region where the insertion groove of the first rotation axis or the second rotation axis is formed may have a 'C' shape.
또한, 상기 개폐부의 일측에 마련된 제1 브래킷과;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부가 상기 본체를 회동 개폐하도록 상기 제1 브래킷을 회동 지지하는 제2 브래킷이 마련된 개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first bracke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pening / closing part; And an opening / closing memb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provided with a second bracket for pivotally supporting the first bracket so that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pivotally opens / closes the main body.
또한, 상기 감속기모터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 회전축을 수용하도록 내부가 중공되고, 일측에 제1 지시부가 마련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제1 지시부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하여 상기 제2 회전축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삽입부를 정렬하기 위한 제2 지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개폐부가 상기 본체의 개구를 폐쇄할 때, 상기 삽입공에 정렬된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공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정렬하기 위한 지시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may include a housing which is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peed reducer motor and is hollow inside to receive the second rotation shaft and is provided with a first indicating portion on one side thereof. The second rotating shaft is visually confirmed through the first indicating portion, And a second indicator for aligning the insertion portion by adjusting a second rotation axis, wherein the body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closes the opening of the body, the insertion portion aligned with the insertion hol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may include an indication for sorting.
여기서, 상기 감속기모터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회전축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감속기모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팬을 더 포함하여, 상기 냉각팬을 조절하여 상기 제2 회전축을 조절하여 상기 제1 지시부가 상기 제2 지시부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oling fan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peed reducer motor to cool the speed reducer motor by rotating along the rotation of the second rotation shaft to control the cooling fan to adjust the second rotation axis, And the instruction unit can be visually confirmed through the second instruction uni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water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수여과기(1)는 본체(10), 개폐부(20), 감속기모터(30), 제1 회전축(40) 및 제2 회전축(50)을 포함한다.1, a water filt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체(10)는 상향 개구되며, 내부에는 유입관(11a)이 형성된 유입실(11), 배출관(12a)이 형성된 배출실(12), 유입실(11)과 배출실(12)을 상하로 구획하고 유입실(11)과 배출실(12)을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된 격막 (13), 격막(13)에 설치되며 관통홀을 통해 유입실(11)과 배출실(12)을 연통하는 다수의 여과부(14) 및 여과부(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불순물배출부(15)를 포함한다.The
이에 따라, 유입관(11a)을 통해 유입실(11)로 유입된 용수는 격막(13)의 관통홀을 통해 여과부(14)로 유입된다. 여과부(14)로 유입된 용수는 여과부(14)를 통해 배출실(12)로 유입되면서 여과되고, 여과되어 배출실(12)로 유입된 용수는 배출관(12a)을 통해 용수여과기(1)의 외부로 배출된다. Accordingly, the water flowing into the
본 실시예에서의 불순물배출부(15)는 여과부(14)에 의해 여과되어 배출실(12)로 유입되지 못한 불순물(미도시)들을 용수여과기(1)의 외부로 배출한다. 그리고, 불순물배출부(15)는 여과된 불순물을 용수여과기(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불순물배출구(15a)와 여과부(14) 중 어느 하나의 하부에 위치하여 여과된 불순물을 불순물배출구(15a)로 인도하는 불순물배출관(15b)을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다.The
또한, 본체(10)는 용수여과기(1)의 여과부(14)등을 수리, 청소, 교체등을 한 후, 다시 본체(10)에 설치하기 위해 상향 개구된다.The
개폐부(20)는 본체(10)의 개구를 회동 개폐하기 위해 마련되고, 이에 감속기모터(30)가 하향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개폐부(20)는 대략 반원형상으로 본체(10)의 상부에 위치하여, 본체(10)의 개구를 개폐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다. 또한, 감속기모터(30)는 개폐부(20)의 정점에 하향 설치되여 후술할 제2 회전축(50)을 회전시키는 것을 일 예로 하였다. 여기서, 개폐부(20)는 사각형상등으로 마련되고, 이에 감속기모터(30)는 측향으로 설치되어 바벨기어 등을 통해 제2 회전축(50)을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므로, 개폐부(20)의 형상 및 감속기모터(30)의 설치형상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opening and closing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20)의 일측에 마련된 제1 브래킷(61)과 본체(10)의 일측에 마련되어 제1 브래킷(61)을 회동 지지하는 제2 브래킷(62)이 마련된 개폐부재(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다. 여기서, 개폐부재(60)는 제1 브래킷(61)과 제2 브래킷(62)을 핀(63)로 관통 연결하는 힌지 구조로 마련됨으로써, 제1 브래킷(61)이 제2 브래킷(62)을 기반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폐부재(60)에 의해 개폐부(20)가 본체(10)의 개구를 회동 개폐할 수 있다. 1 to 3, a
제1 회전축(40)은 불순물배출부(15)가 여과부(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통되도록 불순물배출부(15)를 회전시킴으로써, 불순물배출관(15b)을 원주이동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여기서, 제1 회전축(40)은 격막(13)의 중앙을 관통하여 불순물배출부(15)에 설치되고, 이에 불순물배출부(15)을 회전시킴으로써 불순물배출관(15b)이 각 여과부(14)과 연결되는 부분이 원주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원주이동은 불순물배출관(15b)이 각 여과부(14)과 연결되는 부분이 제1 회전축(40)을 중심으로 원을 그리며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제1 회전축(40)을 회전시킴으로써, 청소 등의 이유로 여과부(14)의 내부의 불순물을 배출할 시에는 그 대상이 되는 여과부(14)가 불순물배출관(15b)에 대응하여 위치하도록 불순물배출부(15)을 회전시킬 수 있다.The first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순물배출부(15)는 본체의 하측에 위치하는 불순물배출구(15a)를 중심으로 불순물배출관(15b)이 제1 회전축(40)에 의해 원주 이동하도록 '┗┓'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1, the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감속기모터(30)가 불순물배출관(15b)이 여과부(14)와 연통 될 시 불순물배출관(15b)과 여과부(14)가 일정시간 동안 상호 연통 되는 것을 유지한 후 다시 원주이동 하도록 감속기모터(30)의 회전을 제어하는 컨트롤유닛(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제2 회전축(50)은 개폐부(20)가 본체(10)의 개구를 개방할 때 제1 회전축(40)과의 연결이 해제되고, 개폐부(20)가 상기 본체의 개구를 폐쇄할 때 감속기모터(30)의 회전이 제1 회전축(40)에 전달되도록 제1 회전축(40)과 연결된다.The secon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제1 회전축(40)은 제2 회전축(50)과 연결되는 측의 가장자리 영역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개방된 삽입홈(41)이 형성되고, 제2 회전축(50)은 개폐부(20)가 본체(10)의 개구를 폐쇄할 때 삽입홈(41)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삽입부(51)가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다. 이에 따라, 개폐부(20)가 회동 이동하더라도 제1 회전축(40) 및 제2 회전축(50)간의 연결 또는 연결이 해제되는 것이 용이하다.4, the first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제1 회전축(40)의 삽입홈(41)이 형성된 가장자리 영역의 단면은 'ㄷ' 형상을 가지고, 제2 회전축(50)의 삽입부(51)가 형성된 가장자리 영역의 단면은 삽압홈에 삽입되도록 'ㅜ' 형상을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하였다. 이에 따라, 본체(10)의 개구가 폐쇄될 시, 회동하는 개폐부(20)에 의해 제2 회전축 (50)의 삽입부(51)가 호 형상을 그리며 삽입홈(41)에 삽입 또는 이탈되더라도, 걸림 없이 용이하게 삽입 또는 이탈될 수 있다.The cross section of the edge region where the insertion groove 41 of the
여기서, 삽입홈(41)에 삽입부(51)가 삽입되는 도중, 미세한 어긋남에 의해 삽입홈(41) 및 삽입부(51)의 모서리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삽입홈(41) 및 삽입부(51)의 각 모서리가 모따기 가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n order to prevent the corner portions of the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구성에 따른 본 실시예의 용수여과기(1)의 개폐부(20)가 본체(10)의 개구를 개폐하는 과정을 설명하겠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of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기(1)의 본체(10)가 개폐부(20)에 의해 폐쇄된 경우, 본체(10)의 내부에 흐르는 용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본체(10)과 개폐부(20)를 다수의 볼트(70)로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 볼트(70)를 모두 해제한 후, 개폐부(20)를 개폐부(20)의 상향과 개폐부재(60)가 위치한 방향의 대략 중간 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20)가 회동하면서 본체(10)의 개구가 개방되게 된다. 이때, 제2 회전축(50)의 삽입부(51)도 회동하는 개폐부(20)를 따라 호 형상을 그리며 제1 회전축(40)의 삽입홈(41)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반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기(1)의 본체(10)가 개방된 경우, 상술한 과정의 역과정을 수행함에 따라, 개폐부(20)를 회동하여 본체(10)의 개구를 폐쇄할 수 있다.When the
이에 따라, 종래에 개폐부(20)를 상향 들어올려야 함으로써 그 무게 때문에 기중기를 동원하여 개폐부(20)를 상향 들어올려야 하는 문제점을 인력으로 개폐부(20)를 회동할 수 있는 본 발명에 의해 해소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problem of lifting the opening / closing
또한, 개폐부(20)를 회동하여 개폐함으로써, 제2 회전축(50)과 개폐부(20) 사이에 설치되어 용수의 누수를 방지하는 그랜드패킹(미도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by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기(1)는 개구가 개방된 본체(10)에 개폐부(20)가 회동하여 패쇄할 시, 제1 회전축(40)과 제2 회전축(50)이 연결되도록 삽입부(51)와 삽입공(41)을 정렬할 필요가 있다.The water filt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따라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기(1)의 개폐부(20), 제2 회전축(50) 및 본체(10)는 제1 지시부(22)가 마련된 하우징(21), 제2 지시부(52) 및 지시표시(미도시)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1 to 3, the opening and closing
개폐부(20)는 개폐부(20)의 정점에 설치된 감속기모터(3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2 회전축(50)을 수용하도록 내부가 중공되고, 일측에 후술할 제2 지시부(52)에 대응하는 제1 지시부(22)가 마련된 하우징(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그리고, 제2 회전축(50)은 제2 지시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시공(22)을 통해 육안으로 제2 지시부(52)를 확인하여 제2 회전축(50)의 삽입부(51)가 제1 회전축(40)의 삽입공(41)에 삽입되도록 제2 회전축(50)을 조절하면서 삽입부(51)를 정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본 실시예에서의 제1 지시부(22)는 하나의 관통공으로 형성되고 제2 지시부(52)는 돌기로 형성되어, 제1 지시부(22)를 통해 제2 지시부(52)를 육안으로 확인토록 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다. 반면, 하우징(21)을 유리 등의 투명한 세라믹 등으로 마련할 경우, 제1 지시부(22)와 제2 지시부(52)를 점 또는 선으로 마련되어 제1 지시부(22)와 제2 지시부(52)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상호 일치시키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제1 지시부(22) 및 제2 지시부(52)의 형상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그리고, 본체(10)는 제1 지시부(52) 및 제2 지시부(22)을 통해 조절하여 정렬된 삽입부(51)가 삽입공(41)에 삽입되도록 삽입공(41)을 정렬하기 위한 지시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지시표시는 육안으로 확인이 용이한 색으로 본체(10)에 표시하여, 이에 따라 삽입공(41)을 정렬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여기서, 지시표시는 본체(10)에 돌기 등으로 형성되어, 이에 따라 삽입공(41)을 정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따라서, 제1 지시부(52), 제2 지시부(22) 및 지시표시를 통해 제1 회전축(40) 및 제2 회전축(50)간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삽입부(51)와 삽입공(41)을 정렬한 후, 개폐부(20)에 의해 회동하여 본체(10)의 개구를 폐쇄할 수 있다.Therefore, th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기(1)는 감속기모터(30)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2 회전축(50)을 따라 회전하여 감속기모터(30)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팬(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지시부(22)을 통해 제1 지시부(52)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냉각팬(31)을 회전하여 제2 회전축(50)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감속기모터(30)에는 감속기모터(30)의 고속의 회전력을 저속으로 조절 가능한 감속기(미도시)가 설치됨으로써, 감속기는 감속기모터(30)의 고속의 회전력을 용수여과기(1) 내에 설치된 불순물배출관(15b)이 저속으로 회전하도록 감소시킨다. The water filt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cooling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삽입부(51)는 제2 회전축(50)에 형성되고, 삽입공(41) 은 제1 회전축(40)에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삽입부(51)가 제1 회전축(40)에 형성되고 삽입공(41)이 제2 회전축(50)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안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수여과기는 개폐부가 회동 이동하여 개폐됨으로써 개폐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ater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facilitating opening and closing by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또한, 개폐부를 회동하여 개폐함으로써, 회전축과 개폐부 사이에 설치되어 용수의 누수를 방지하는 그랜드패킹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of the grand packing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rotating shaf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to prevent leakage of water.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45498A KR100787601B1 (en) | 2006-05-22 | 2006-05-22 | Water filter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45498A KR100787601B1 (en) | 2006-05-22 | 2006-05-22 | Water filter apparatus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13613U Division KR200422870Y1 (en) | 2006-05-22 | 2006-05-22 | Water filter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12513A KR20070112513A (en) | 2007-11-27 |
KR100787601B1 true KR100787601B1 (en) | 2007-12-26 |
Family
ID=39090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45498A KR100787601B1 (en) | 2006-05-22 | 2006-05-22 | Water filter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8760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08185A (en) | 2020-02-25 | 2021-09-02 | 이민구 | Water filtering apparatu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648715B (en) * | 2021-10-20 | 2022-02-11 | 品孚罗特过滤设备(北京)有限公司 | Continuous filtering multi-cavity alternate offline composite filtering devic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52711A (en) * | 1980-04-25 | 1981-11-26 | Nippon Dyeing Mach Mfg Co Ltd | Automatic backwashing type strainer |
JPS5735917A (en) * | 1980-08-15 | 1982-02-26 | Kurita Water Ind Ltd | Water cleaning device |
KR970004360U (en) * | 1996-11-28 | 1997-02-19 | 유한회사한진산업 | Industrial fluid automatic filter |
KR19980033944A (en) * | 1996-11-04 | 1998-08-05 | 이원형 | Waste fluid filtration device |
KR200411185Y1 (en) * | 2005-12-19 | 2006-03-10 | (주) 코리아 인바이텍 | A process water filter |
-
2006
- 2006-05-22 KR KR1020060045498A patent/KR100787601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52711A (en) * | 1980-04-25 | 1981-11-26 | Nippon Dyeing Mach Mfg Co Ltd | Automatic backwashing type strainer |
JPS5735917A (en) * | 1980-08-15 | 1982-02-26 | Kurita Water Ind Ltd | Water cleaning device |
KR19980033944A (en) * | 1996-11-04 | 1998-08-05 | 이원형 | Waste fluid filtration device |
KR100195578B1 (en) * | 1996-11-04 | 1999-06-15 | 이광열 | Apparatus for filtering of waste oil |
KR970004360U (en) * | 1996-11-28 | 1997-02-19 | 유한회사한진산업 | Industrial fluid automatic filter |
KR0137912Y1 (en) * | 1996-11-28 | 1999-03-20 | 윤영술 | Device for washing filter cakes in filter |
KR200411185Y1 (en) * | 2005-12-19 | 2006-03-10 | (주) 코리아 인바이텍 | A process water filt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08185A (en) | 2020-02-25 | 2021-09-02 | 이민구 | Water filter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12513A (en) | 2007-1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217072C (en) | Modular vacuum toilet | |
CN207244262U (en) | The drainage arrangement of wall-mounted washing machine and there is its wall-mounted washing machine | |
KR100787601B1 (en) | Water filter apparatus | |
US9550557B2 (en) | Multicage-type device for filtering ballast water so as to prevent back pressure on backwash line | |
CN104815513B (en) | A kind of Household air purifier | |
CN215656717U (en) | Quartz crucible self-cleaning line | |
KR101694103B1 (en) | Decanter | |
KR101019998B1 (en) | Apparatus for filter backwashing | |
KR200422870Y1 (en) | Water filter apparatus | |
CN103673749B (en) | Ball collector and the rubber ball cleaning system with it | |
KR102046694B1 (en) | Self Cleaning Screen Device | |
CN105771365A (en) | Intelligent cleaning filtering device | |
KR200457585Y1 (en) | Strainer assembly cleanable without dismantling and reassembling | |
KR200364124Y1 (en) | Filter apparatus having a transparent cover | |
CN203394827U (en) | Filter block cleaning device for liquid vertical pump | |
CN103866741B (en) | The multistage weir plate of base plate axis adjustable multifunctional | |
CN202909527U (en) | Oil-water dual-purpose turbine driven scraper type self-cleaning filter screen | |
KR20030024518A (en) | Strainer for industry | |
KR101450286B1 (en) | Water filter apparatus having advanced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structure when opening and closing | |
CN107715545A (en) | A kind of dual cleaning well strainer | |
KR101544419B1 (en) | Auto strainer having separated screen | |
CN214993493U (en) | Flashboard quality detection device for hydraulic engineering | |
CN218280880U (en) | Water feeding and filtering device of pump truck | |
CN210583962U (en) | Micro-filter | |
CN217923956U (en) | Condensate pump pit anti-overflow water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