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7505B1 -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87505B1 KR100787505B1 KR1020070029461A KR20070029461A KR100787505B1 KR 100787505 B1 KR100787505 B1 KR 100787505B1 KR 1020070029461 A KR1020070029461 A KR 1020070029461A KR 20070029461 A KR20070029461 A KR 20070029461A KR 100787505 B1 KR100787505 B1 KR 1007875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ar case
- case
- air conditioner
- front case
- stabiliz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다수의 부품을 상호 공유할 수 있고 냉방용량을 소용량 또는 대용량으로 쉽게 변경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개시한다. 이 공기조화기는 전방케이스와; 전방케이스의 후방에 결합되는 후방케이스와; 전방케이스 내측에 설치된 열교환기와; 열교환기 하부에 설치된 응축수받이와; 열교환기와 후방케이스 사이에 설치된 송풍팬과; 송풍팬과 근접하도록 응축수받이에 설치된 스태빌라이저를 포함하고, 후방케이스는 상호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며 전방케이스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제1후방케이스와 제2후방케이스를 포함하고, 송풍팬은 선택적인 장착을 위해 상호 크기가 다르게 형성된 제1송풍팬과 제2송풍팬을 포함하며, 스태빌라이저는 제1 및 제2송풍팬의 선택적인 장착에 따라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응축수받이에 위치조정 가능하게 결합된 것이다.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sharing a large number of parts and easily changing a cooling capacity to a small capacity or a large capacity is disclosed.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front case; A rear case coupled to the rear of the front case; A heat exchanger installed inside the front case; A condensate receiver installed under the heat exchanger; A blowing fan installed between the heat exchanger and the rear case; It includes a stabilizer installed in the condensate receiver so as to be close to the blower fan, and the rear case includes a first rear case and a second rear case which are formed in different sizes and are selectively mounted on the front case. And a first blower fan and a second blower fan having different sizes to each other, and the stabilizer is configurably coupled to the condensate receiver to adjust its position according to the selective mounting of the first and second blower fans. .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 상태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도로, 전방케이스에 제1송풍팬과 제1후방케이스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blowing fan and the first rear case is coupled to the front case.
도 3은 도 2의 Ⅲ부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part III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도로, 전방케이스에 제2송풍팬과 제2후방케이스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blowing fan and the second rear case is coupled to the front case.
도 5는 도 4의 Ⅳ부 단면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part IV of FIG. 4.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전방케이스, 11a,11b: 흡입구,10: front case, 11a, 11b: inlet,
12: 토출구, 13: 열교환기,12: outlet, 13: heat exchanger,
21: 제1후방케이스, 22: 제2후방케이스,21: first rear case, 22: second rear case,
31: 제1송풍팬, 32: 제2송풍팬,31: the first blowing fan, 32: the second blowing fan,
40: 응축수받이, 42: 제1위치조정돌기,40: condensate receiver, 42: first positioning protrusion,
43: 제2위치조정돌기, 44: 제3위치조정돌기,43: second position adjusting projection, 44: third position adjusting projection,
50: 스태빌라이저, 53: 제1위치조정홈,50: stabilizer, 53: first positioning groove,
54: 제2위치조정홈, 55: 제3위치조정홈,54: second position adjusting groove, 55: third position adjusting groove,
56: 제4위치조정홈.56: 4th positioning groove.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부품을 공유하면서도 냉방용량을 소용량 또는 대용량으로 쉽게 변경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that can easily change a cooling capacity to a small capacity or a large capacity while sharing a plurality of parts.
공기조화기를 제조할 때는 냉방능력이 대용량 공기조화기와 냉방능력이 작은 소용량 공기조화기를 구분하여 제조한다. 사용자가 냉방능력을 고려하여 필요한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When manufacturing an air conditioner, a large air conditioner having a cooling capacity and a small capacity air conditioner having a small cooling capacity are manufactured. It allows the user to choose what they need by considering the cooling capacity.
통상적으로 대용량 공기조화기는 큰 공간의 냉방을 위해 쓰이므로 열교환유닛과 송풍팬이 크고, 소용량 공기조화기는 비교적 작은 공간의 냉방을 위해 쓰이므로 열교환유닛 또는 송풍팬이 작다. 물론 대용량 공기조화기와 소용량 공기조화기는 각기 내장하는 부품들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본체의 외형 및 크기도 다르다. 따라서 이러한 공기조화기들을 제조할 때는 대용량과 소용량을 각각 별도로 설계하였고 제조공정도 달리하였다.In general, a large capacity air conditioner is used for cooling a large space, so the heat exchange unit and the blower fan are large, and a small capacity air conditioner is used for cooling a relatively small space, and thus the heat exchange unit or blower fan is small. Of course, the large-capacity air conditioner and the small-capacity air conditioner have different sizes and sizes of the main body, because the sizes of the internal parts are different. Therefore, when manufacturing these air conditioners, a large capacity and a small capacity were designed separately,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was also different.
그러나 이처럼 소용량 공기조화기와 대용량 공기조화기를 별도로 제조할 경우에는 각 부품들의 크기가 달라 부품들을 상호 공유하기 어렵기 때문에 각 부품들을 별도로 제조해야 했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의 제조비용이 높아지고 생산성도 낮은 문제가 있었다.However, when the small-capacity air conditioner and the large-capacity air conditioner were manufactured separately, each part had to be manufactured separately because the size of each part was different and it was difficult to share the parts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air conditioner is high and the productivity is low.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부품을 상호 공유할 수 있고 냉방용량을 소용량 또는 대용량으로 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that can share a large number of parts and can easily change the cooling capacity to a small capacity or a large capacity.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방케이스와; 상기 전방케이스의 후방에 결합되는 후방케이스와; 상기 전방케이스 내측에 설치된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 하부에 설치된 응축수받이와;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후방케이스 사이에 설치된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과 근접하도록 상기 응축수받이에 설치된 스태빌라이저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케이스는 상호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며 상기 전방케이스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제1후방케이스와 제2후방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은 선택적인 장착을 위해 상호 크기가 다르게 형성된 제1송풍팬과 제2송풍팬을 포함하며, 상기 스태빌라이저는 상기 제1 및 제2송풍팬의 선택적인 장착에 따라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수받이에 위치조정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and the front case; A rear case coupled to the rear of the front case; A heat exchanger installed inside the front case; A condensate receiver installed under the heat exchanger; A blowing fan installed between the heat exchanger and the rear case; And a stabilizer installed in the condensate receiver so as to be close to the blower fan, and the rear case includes a first rear case and a second rear case which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sizes and are selectively mounted on the front case. And a first blower fan and a second blower fan which are formed in different sizes for selective mounting, and the stabilizer receives the condensate receiver to adjust its position according to the selective mounting of the first and second blower fan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position adjustable.
또한 상기 제1후방케이스와 상기 제2후방케이스는 상기 전방케이스와의 결합위치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rear case and the second rear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coupling position with the front case.
또한 상기 스태빌라이저는 위치 가변을 위해 상호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위치조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응축수받이는 상기 복수의 위치조정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위치조정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abiliz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ositioning grooves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 the variable position, the condensate receivin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positioning projections selective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positioning grooves. .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 도 2,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케이스(10)와, 전방케이스(10)의 후방에 결합되는 후방케이스(20)를 구비한다. 전방케이스(10)의 상면과 전면에는 실내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들(11a,11b)이 형성되고, 전방케이스(10)의 하측에는 조화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구(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전방케이스(10)와 후방케이스(20)의 내부에는 열교환기(13)와 송풍팬(30)이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FIG. 2, and FIG. 4,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열교환기(13)는 전방케이스(10) 내측에 설치된다. 열교환기(13)는 흡입되는 공기가 모두 통과할 수 있도록 상측 및 하측 흡입구(11a,11b)와 근접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열교환기(13)는 공기가 그 표면과 접촉하여 열교환되도록 함으로써 공기를 냉각시키거나 가열한다. 열교환기(13) 전면에는 이물질을 걸러 주는 필터(14)가 설치된다.The
송풍팬(30)은 열교환기(13)와 후방케이스(2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다. 송풍팬(30)은 통상의 횡류팬이다. 이러한 송풍팬(30)은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전방 및 후방케이스(10,20) 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동작에 의해 회전한다.The blowing
열교환기(13) 하부에는 응축수받이(40)가 설치된다. 응축수받이(40)는 열교환기(13)로부터 흘러 내리는 응축수를 모아 배출시키는 기능과 송풍팬(30)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토출구(12)로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응축수받이(40)는 전방케이스(10) 내면으로부터 송풍팬(30) 쪽으로 연장되며 그 상부에 응축수를 수용하는 수 용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응축수받이(40)는 사출성형을 통하여 전방케이스(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송풍팬(30)과 인접하는 응축수받이(40) 후단에는 스태빌라이저(50)가 설치된다. 스태빌라이저(50)는 송풍팬(3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유동 분기점을 형성하여 송풍되는 공기를 토출구(12)로 유도한다. 스태빌라이저(50)를 설치할 때는 송풍팬(30)과의 간격을 적절히 조정해야 한다. 간격이 작으면 송풍효과가 향상되지만 소음이 생기기 쉽고, 간격이 너무 넓으면 송풍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태빌라이저(50)와 송풍팬(30)의 간격은 송풍팬의 크기 및 동작속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정한다.The
후방케이스(2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케이스(10)에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제1후방케이스(21)와 제2후방케이스(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송풍팬(30)도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제1송풍팬(31)과 제2송풍팬(32)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제1송풍팬(31)은 제2송풍팬(32)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다. 따라서 제1송풍팬(31)은 제2송풍팬(32)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 보다 많은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제1후방케이스(21)도 제2후방케이스(22)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1후방케이스(2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케이스(10)와의 사이에 제1송풍팬(31)을 설치할 수 있는 설치공간을 형성한다. 또 그 내면(23)은 제1송풍팬(31)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토출구(12)로 안내하는 송풍유로를 형성한다. 이는 제1송풍팬(31)과 제1후방케이스(21)가 짝을 이루어서 전방케이스(10)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first blowing
제2후방케이스(2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케이스(10)와의 사이에 제2송풍팬(32)을 설치할 수 있는 설치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그 내면(24)은 제2송풍팬(32)의 동작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토출구(12)로 안내하는 송풍유로를 형성한다. 이는 역시 제2송풍팬(32)과 제2후방케이스(22)가 짝을 이루어 전방케이스(10)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2후방케이스(22) 내면에 의해 형성되는 송풍유로는 제1후방케이스(21)에 의해 형성되는 송풍유로와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제1송풍팬(31)과 제2송풍팬(32)의 송풍특성이 다르기 때문이다.As shown in FIG. 4, the second
이러한 구성들은 냉방능력이 큰 대용량 공기조화기를 구성하고자 할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케이스(10)에 제1송풍팬(31)과 제1후방케이스(21)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상대적으로 냉방능력이 작은 소용량 공기조화기를 구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케이스(10)에 제2송풍팬(32)과 제2후방케이스(22)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전방케이스(10) 쪽의 많은 부품들을 상호 공유하면서 대용량 공기조화기와 소용량 공기조화기를 선택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se configurations are designed to be equipped with a
이러한 구성을 위해 전방케이스(10)와 제1후방케이스(21)가 결합되는 위치(25,26, 도 2참조)는 전방케이스(10)와 제2후방케이스(22)가 결합되는 위치(27,28, 도 4참조)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제1 및 제2후방케이스(21,22)는 상부와 하부의 결합부분이 동일하게 마련된다. 또한 제1송풍팬(31)과 제2송풍팬(32)은 각각의 회전축이 결합되는 위치가 동일하다. 다만 회전축이 결합되는 위치는 전방케이스(10)이거나 후방케이스(21,22)일 수 있다.For this configuration, the
스태빌라이저(50)는 응축수받이(40) 후단에 전후 방향으로 위치변경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는 제1송풍팬(31)이 장착되는 경우와 제2송풍팬(32)이 장착되는 경우 각각 장착위치를 달리함으로써 각 송풍팬(31,32)과 스태빌라이저(50)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이러한 구성을 위해 스태빌라이저(50)는 도 3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응축수받이(40)와 결합을 위한 상측결합부(51)와 하측결합부(52)를 구비한다. 또 상측결합부(51)에는 스태빌라이저(50)의 이동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제1위치조정홈(53)과 제2위치조정홈(54)이 형성되고, 하측결합부(52)에는 역시 스태빌라이저(50)의 이동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제3위치조정홈(55)과 제4위치조정홈(56)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스태빌라이저(50)와 결합되는 응축수받이(40) 후단에는 상측결합부(51)의 제1 및 제2위치조정홈(53,54)과 선택적인 결합을 위해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제1위치조정돌기(42)와, 하측결합부(52)의 제3 및 제4위치조정홈(55,56)과 선택적인 결합을 위해 스태빌라이저(50)의 이동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제2위치조정돌기(43)와 제3위치조정돌기(44)가 마련된다.For this configuration, the
따라서 전방케이스(10)에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1송풍팬(31)을 장착하여 대용량 공기조화기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50)를 화살표 A방향으로 밀어서 스태빌라이저(50)와 제1송풍팬(31)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스태빌라이저(50)는 제1위치조정홈(53)이 제1위치조정돌기(42)에, 제3위치조정홈(55)이 제2위치조정돌기(43)에, 제4위치조정홈(56)이 제3위치조정돌기(44)에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위치조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스태빌라이 저(50)는 응축수받이(40) 단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Therefore, when manufacturing a large-capacity air conditioner by mounting the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케이스(10)에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2송풍팬(32)을 장착하여 소용량 공기조화기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50)를 화살표 B방향으로 당겨서 스태빌라이저(50)와 제2송풍팬(32)의 간격을 조정한다. 이때 스태빌라이저(50)는 제2위치조정홈(54)이 제1위치조정돌기(42)에 결합되고, 제4위치조정홈(56)이 제2위치조정돌기(43)에 결합된다. 그리고 이처럼 위치조정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스태빌라이저(50)가 역시 응축수받이(40) 단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 when the small capacity air conditioner is manufactured by mounting the second blowing
이러한 방식으로 공기조화기를 제조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대용량 공기조화기를 제조하거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소용량 공기조화기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다. 도 4의 소용량 공기조화기는 도 2의 대용량 공기조화기에 비하여 전후방향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송풍량을 줄여 냉방능력도 줄일 수 있다.When the air conditioner is manufactured in this manner, a large capacity air conditioner as shown in FIG. 2 or a small capacity air conditioner as shown in FIG. 4 can be easily manufactured. Compared to the large capacity air conditioner of FIG. 2, the small capacity air conditioner of FIG. 4 may have a thinner thicknes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e cooling capacity may be reduced by reducing the air volume.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방케이스에 제1송풍팬과 제1후방케이스를 장착하고 스태빌라이저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냉방능력이 큰 대용량 공기조화기를 구성할 수 있고, 전방케이스에 제2송풍팬과 제2후방케이스를 장착하고 역시 스태빌라이저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냉방능력이 작은 소용량 공기조화기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방케이스의 열교환기, 필터, 응축수받이, 스태빌라이저 등 다수의 부품을 공유할 수 있으면서도 필요에 따라 대용량 또는 소용량 공기조화기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figure a large air conditioner having a large cooling capacity by mounting the first blowing fan and the first rear case in the front case and adjusting the interval of the stabilizer, the front case A small capacity air conditioner with a small cooling capacity can be constructed by attaching a second blower fan and a second rear case to the stabiliz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hare a large number of parts, such as heat exchanger, filter, condensate receiver, stabilizer of the front case, but it is easy to manufacture a large or small capacity air conditioner as needed.
또 본 발명은 냉방능력에 따라 대용량 또는 소용량으로 제조하면서도 다수의 부품을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조화기의 제조공정을 종래보다 단순화할 수 있고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air conditioner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ecause it can share a large number of parts while manufacturing a large capacity or small capacity according to the cooling capacity.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9461A KR100787505B1 (en) | 2007-03-26 | 2007-03-26 | Air conditioner |
CN2007101360894A CN101275762B (en) | 2007-03-26 | 2007-07-17 |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9461A KR100787505B1 (en) | 2007-03-26 | 2007-03-26 |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87505B1 true KR100787505B1 (en) | 2007-12-21 |
Family
ID=39147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29461A Expired - Fee Related KR100787505B1 (en) | 2007-03-26 | 2007-03-26 |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787505B1 (en) |
CN (1) | CN101275762B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58124A (en) * | 2003-12-11 | 2005-06-16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Air conditioner having variable stabilize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765357B2 (en) * | 1997-06-20 | 2006-04-12 |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 Air conditioner |
CN1626935B (en) * | 2003-12-12 | 2010-05-05 |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 Integral type air conditioner |
-
2007
- 2007-03-26 KR KR1020070029461A patent/KR10078750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07-17 CN CN2007101360894A patent/CN101275762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58124A (en) * | 2003-12-11 | 2005-06-16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Air conditioner having variable stabilizer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공개특허 제2005-0058124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275762B (en) | 2010-06-16 |
CN101275762A (en) | 2008-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79031B1 (en) |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0809784B1 (en) | Air conditioner including cross flow fan | |
CN103629747B (en) | Air-conditioning | |
US10465697B2 (en) | Centrifugal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 |
KR101517346B1 (en)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
US9587841B2 (en) | Turbo fan and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 |
AU2014238673B2 (en) | Centrifugal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 |
KR20140028191A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US9335059B2 (en)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
JP2013216189A (en) | Air-passage opening/closing device | |
EP2203690B1 (en) | Air conditioner | |
KR20090061379A (en) | Air conditioner | |
KR200466110Y1 (en)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JP2019196866A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0787505B1 (en) | Air conditioner | |
JPWO2019229879A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JP2013249994A (en) | Ceiling-embedded duct type indoor unit | |
JP4715857B2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
JP2013124575A (en) | Turbofan and air conditioner | |
JP4788217B2 (en) | Air conditioner | |
KR200461853Y1 (en)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150030818A (en) | Intake system of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 |
KR20170007603A (en) | Dehumidifier for lowering temperature of output air | |
KR100874227B1 (en) | Air Conditioning Euro Guide Device | |
KR20160074715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1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