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3497B1 - Calcium chloride crusher for easy control of discharge gap - Google Patents
Calcium chloride crusher for easy control of discharge ga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73497B1 KR100773497B1 KR1020070047724A KR20070047724A KR100773497B1 KR 100773497 B1 KR100773497 B1 KR 100773497B1 KR 1020070047724 A KR1020070047724 A KR 1020070047724A KR 20070047724 A KR20070047724 A KR 20070047724A KR 100773497 B1 KR100773497 B1 KR 1007734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en
- gap
- calcium chloride
- bar
- hopp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UXVMQQNJUSDDNG-UHFFFAOYSA-L Calc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Ca+2] UXVMQQNJUSDDNG-UHFFFAOYSA-L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29910001628 calcium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9000001110 calcium chlorid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67 b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HPALAKNZSZLMCH-UHFFFAOYSA-M sodium;chloride;hydrate Chemical compound O.[Na+].[Cl-] HPALAKNZSZLMC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9203 Road traffic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71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3 soli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B02C13/04—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with beaters hinged to the rotor; Hammer mi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2—Shape or inner surface of mill-hous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2—Shape or inner surface of mill-housings
- B02C13/284—Built-in 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0—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separator arranged in discharge path of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형화된 염화칼슘을 미립자로 파쇄하는 것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셔블이나 투하셔블로 구성된 염화칼슘 정량 공급장치가 고형화된 염화칼슘을 파쇄기의 챔버 내부로 정량 것 일률적으로 공급하여 파쇄작업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상기 챔퍼 내부에서 햄머의 타격력으로 파쇄되는 염화칼슘을 선별하는 선별스크린을 간편하게 외부로 인출할 수 있어 청소 및 정비작업이 수월함은 물론 선별스크린의 간극이 막힘을 방지하여 파쇄작업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선별스크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간극조절 스크린바의 위치를 가변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배출간극을 조절하여 염화칼슘의 파쇄크기를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간극의 조절이 용이한 염화칼슘 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rushing solidified calcium chloride into fine particles. More specifically, the calcium chloride quantitative supply device composed of a vibration shovel or a drop chuck quantifies the solidified calcium chloride into the chamber of the crusher to provide uniform efficiency of the crushing oper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the sorting screen for sorting the calcium chloride crushed by the hammering force inside the chamfer can be easily drawn out to facilitate the cleaning and maintenance work as well as to prevent the gap of the sorting screen from clogging. Calcium chloride is easy to adjust the discharge gap to smoothly control the discharge size by adjusting the discharge gap by a simple method of varying the position of the gap control screen bar detachably coupled to the sorting screen It relates to a shredding devic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파쇄장치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 shredding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 파쇄장치의 우측면도2 is a right side view of the shred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호퍼 및 염화칼슘 정량 투입장치의 설치상태 종단면도Figure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hopper and calcium chloride metering unit
도 4는 본 발명 진동셔블의 작동상태도 Figure 4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vibration exca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파쇄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Figure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hredd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 선별스크린의 분리상태 사시도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orting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간극조절 스크린바가 수직 및 수평으로 설치된 상태의 평단면도 및 정면도Figure 7 is a plan sectional view and front view of the gap control screen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도 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 간극조절 스크린바의 일부 평면도8 is a partial plan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earance adjustment screen bar
도 9는 본 발명 선별스크린의 설치상태 종단면도9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screening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 선별스크린의 인출상태 종단면도10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thdrawal state of the sorting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염화칼슘 정량 투입장치가 적용된 파쇄장치의 정면도11 is a front view of a shredding device to which a calcium chloride meter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2는 본 발명 호퍼 및 다른 실시예 염화칼슘 정량 투입장치의 설치상태 종단면도1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hopper and another embodiment calcium chloride metering unit
도 13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 염화칼슘 정량 투입장치의 평면도13 is a plan view of another embodiment calcium chloride metering device
도 1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 염화칼슘 정량 투입장치의 측면도14 is a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calcium chloride metering devic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호퍼 20, 60: 염화칼슘 정량 공급장치 10: hopper 20, 60: calcium chloride metering device
21: 진동셔블 22: 바이브레터21: Vibration excavator 22: Vibrator
25: 스프링 30: 파쇄기25: spring 30: shredder
31: 하부챔버 35: 파쇄축31: lower chamber 35: fracture shaft
35-1: 햄머고정판 35-2: 햄머35-1: Hammer Fixed Plate 35-2: Hammer
39: 파쇄대 40: 선별스크린39: crusher 40: screening screen
41, 41a: 스크린통공 44: 간극유지대41, 41a: screen aperture 44: clearance gap
45: 연결바 46: 간극조절 스크린바45: connecting bar 46: gap control screen bar
46-2: 가로변 46-3: 세로변46-2: Horizontal Side 46-3: Vertical Side
47: 스크린장착판 48: 배출간극47: screen mounting plate 48: discharge gap
50: 카트 61: 투하셔블50: cart 61: throwable
62: 크랭크축 63: 레버 62: crankshaft 63: lever
67: 가이드레일 68-1: 가이드롤러67: guide rail 68-1: guide roller
본 발명은 고형화된 염화칼슘을 미립자로 파쇄하는 것에 관련된 것으로, 더 욱 상세하게는 진동셔블이나 투하셔블로 구성된 염화칼슘 정량 공급장치가 고형화된 염화칼슘을 파쇄기의 챔버 내부로 정량 것 일률적으로 공급하여 파쇄작업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상기 챔퍼 내부에서 햄머의 타격력으로 파쇄되는 염화칼슘을 선별하는 선별스크린을 간편하게 외부로 인출할 수 있어 청소 및 정비작업이 수월함은 물론 선별스크린의 간극이 막힘을 방지하여 파쇄작업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선별스크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간극조절 스크린바의 위치를 가변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배출간극을 조절하여 염화칼슘의 파쇄크기를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간극의 조절이 용이한 염화칼슘 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rushing solidified calcium chloride into fine particles, and more particularly, the calcium chloride metering device composed of a vibrating excavator or a dropping quantitatively quantifies the solidified calcium chloride into the chamber of the crusher.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to easily draw out the sorting screen to sort out the calcium chloride crushed by the hammer force inside the chamfer, the cleaning and maintenance work is easy, as well as preventing the gap of the sorting screen from clogging. It is made more smoothly, and it is easy to adjust the discharge gap to freely control the crushing size of calcium chloride by adjusting the discharge gap in a simple way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gap control screen bar detachably coupled to the sorting screen. Calcium chloride crushing apparatus.
일반적으로 겨울철에는 도로의 적설이나 결빙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체상태인 염화칼슘을 도로에 그대로 살포하거나 또는 고체상태인 염화칼슘을 물에 용해시킨 액상의 염수를 생성한 후 이 염수를 살포하고 있다.In general, in order to remove snow or freezing of the road in winter, the solid calcium chloride is sprayed on the road as it is, or the brine is sprayed after producing a liquid brine in which the solid calcium chloride is dissolved in water.
그러나 상기 염화칼슘은 겨울철에 한해 한시적으로 사용하는 특성상 이를 보관하는 과정에서 빗물이나 습기가 침투함으로써 액상으로 녹는 현상이 발생하고, 상기 액상으로 변화된 염화칼슘은 상 변형을 일으키게 되며, 시간이 경과하면서 수분이 증발하게 되면 염화칼슘이 상호 흡착된 상태에서 돌덩이처럼 응고되는 현상이 발생한다.However, since the calcium chloride is temporarily used only in winter, during the storage of it, rainwater or moisture penetrates into the liquid phase, and the calcium chloride changed into the liquid phase causes phase transformation, and moisture evaporates over time. When the calcium chloride is mutually adsorbed, the solidification occurs like a stone.
따라서, 상기 고형화된 염화칼슘은 거의 돌덩이처럼 딱딱해짐은 물론 부피가 매우 커서 이를 제설작업에 그대로 사용할 경우 제설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됨은 물론 오히려 주행하는 차량에 장애물로 작용하여 교통사고를 유발함에 따라 이를 그대로 사용할 수 없으며, 반드시 작업자가 삽 등을 이용하여 덩어리진 염화칼슘을 파쇄하여 사용하여야만 하나 상기 염화칼슘의 파쇄작업이 인력에 의존한 수작업으로 진행됨에 따라 효율성이 저하됨은 물론 염화칼슘을 미립자로 파쇄할 수 없는 실정이다.Therefore, the solidified calcium chloride hardens like a lump of stone and has a very large volume, and if used as it is for snow removal, the efficiency of snow removal is not only lowered, but also acts as an obstacle to the driving vehicle, causing traffic accidents. It must not be used, and the operator must crush the agglomerated calcium chloride with a shovel or the like, but as the crushing operation of the calcium chloride proceeds by manual work depending on manpower, the efficiency decreases and the calcium chloride cannot be broken into fine particles. to be.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근자에 들어 염화칼슘을 자동으로 파쇄하기 위한 파쇄장치가 일부 제안되고 있으나 종래의 파쇄장치는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작성이 저하됨은 물론 제작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고, 장치가 비대하여 많은 점유면적을 확보하여야만 하며, 고형화된 제설제의 공급이 정량 것 일률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해 파쇄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개선점을 내포한다.In view of these problems, some crushing apparatuses for automatically crushing calcium chloride have been proposed in recent years, but the conventional crushing apparatus has a very complicated structure, which leads to deterioration in manufacturability and excessive manufacturing cost. It has to secure a large occupied area and implies improvements in the efficiency of crushing operations because the supply of solidified snow removal agents cannot be quantified uniformly.
또한, 파쇄된 염화칼슘은 선별스크린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스크린에 달라붙게 되고, 이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점진적으로 부피가 커지면서 선별스크린의 배출간극 자체를 막아 파쇄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In addition, the crushed calcium chloride adheres to the screen in the course of passing through the sorting screen, which gradually increases in volume and blocks the discharge gap of the sorting screen itself.
더욱이 상기 선별스크린은 외부로 노출한 상태로 설치됨에 따라 녹이 슬거나 부식이 발생하여 제품 수명이 저하되고 있다.Furthermore, as the sorting screen is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rust or corrosion occurs and product life is reduced.
또한, 상기 선별스크린의 배출간극은 일정하게 제한됨으로써 염화칼슘의 파쇄크기를 조절할 수 없고, 다만 염화칼슘을 일정한 크기로 파쇄할 수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염화칼슘을 살포함에 있어 교통량이 비교적 많은 대로에 살포할 경우에는 교통량이 적은 소로에 비해 염화칼슘이 빨리 녹게 됨으로써 입자가 큰 염화칼슘을 살포하는 것이 제설작업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gap of the sorting screen is not limited so that the crushing size of calcium chloride can not be adjusted, but calcium chloride can be crushed to a certain size. However, in the case of spreading the calcium chloride in a relatively high traffic volume, the calcium chloride dissolves faster than the furnace with a low traffic volume, so that the large particle calcium chloride can be appli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now removal.
따라서, 제설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염화칼슘의 입자 크기를 다양하게 확보하여야 할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now removal, there is a need to secure various particle sizes of the calcium chlorid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호퍼의 하측에 바이브레터의 작동에 따라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셔블을 설치하거나 또는 크랭크축의 작동에 따라 투하력을 발생하는 투하셔블을 설치하여 염화칼슘을 파쇄기의 챔버 내부로 정량 것 일률적으로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챔버의 내부로 유입된 염화칼슘은 다수의 햄머에 의해 미립자로 파쇄된 후 선별스크린을 통과하여 균일한 입자상태로 배출하도록 하며, 상기 선별스크린을 탈, 부착 가능하게 설치하여 선택적으로 선별스크린을 외부로 인출하여 배출간극에 달라붙은 염화칼슘을 제거하거나 선별스크린을 교체, 유지 및 사후관리를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과제를 이루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tively solve the above problems, by installing a vibration shovel to generate a vib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vibrator on the lower side of the hopper or by installing a delivery shovel generating a dropping forc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crankshaft The calcium chloride is quantitatively supplied into the chamber of the crusher, and the calcium chloride introduced into the chamber is crushed into fine particles by a plurality of hammers, and then discharged into a uniform particle state through the screening screen. By installing the screen detachably and attaching, the screening screen can be selectively taken out to remove the calcium chloride stuck to the discharge gap, or the screening screen can be replaced, maintained, and easily manag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선별스크린에 장착되는 간극조절 스크린바를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하여 상기 간극조절 스크린바의 위치를 수평이나 수직으로 가변하는 간단한 방법을 통해 배출간극을 조절하여 최종적으로 배출하는 염화칼슘의 입자 크기를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lectively discharge the gap control screen bar mounted on the sorting screen to be detachably separated by controlling the discharge gap through a simple method of varying the position of the gap control screen bar horizontally or vertically. Another technical challenge is to provide free control of the particle size of calcium chloride.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effectively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구조물(1)의 상단에 설치된 호퍼(10)와; 상기 호퍼(10)의 하측에 탄성 가능하게 설치된 진동셔블(21)이 바이브레터(22)의 작동에 따라 진동력을 발생하여 염화칼슘을 파쇄기(30)의 상, 하부챔버(31)(32)로 정량 것 일률적으로 공급하는 염화칼슘 정량 공급장치(20)와; 상기 호퍼(10)의 전방 하측 베이스구조물(1)에 설치되고 하부챔버(31)의 상측에 힌지축(33)을 매개로 개폐 가능하게 상부챔버(32)가 결합되며 상기 상, 하부챔버(31)(3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된 파쇄축(35)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햄머(35-2)가 설치된 햄머고정판(35-1)이 등간격으로 설치된 파쇄기(30)와; 상기 하부챔버(31)의 양측에 형성된 스크린통공(41)(4a)을 관통하여 삽입 설치되고, 일측의 스크린통공(41a)은 커버(42)로 밀폐되며 타측의 스크린통공(41)은 간극유지대(44)에 부착된 스크린장착판(47)으로 밀폐되고, 상기 스크린장착판(47)의 탈착시 한꺼번에 외부로 인출하는 선별스크린(40)으로 이루어지는 한편;Looking at the overall configur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3 and the
상기 선별스크린(40)은 등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간극유지대(44)가 연결바(45)로 일체화 연결되고, 상기 간극유지대(44)의 안착홈(44-1)에는 배출간극(48)을 형성하는 간극조절 스크린바(46)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간극유지대(44)에 일체로 부착된 스크린장착판(47)은 하부챔버(31)의 외면에 탈, 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The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the above schematic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베이스구조물(1)은 H빔을 이용하는 구조물로써 고형화된 염화칼슘이 공급되는 호퍼(10), 염화칼슘 정량 공급장치(20) 및 파쇄기(30) 등 을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First of all, the
이러한 베이스구조물(1)의 최상단부에는 호퍼(10)가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호퍼(10)의 하측으로 염화칼슘을 정량 것 공급하기 위한 염화칼슘 정량 공급장치(20)가 설치되며, 상기 호퍼(10)의 전방 하측으로 고형화된 염화칼슘을 미립자로 본격적으로 파쇄하는 파쇄기(30)가 안착된다.A
상기 호퍼(10) 내의 염화칼슘을 진동력을 이용하여 상, 하부챔버(31)(32)의 내부로 정량 것 균일하게 공급하는 염화칼슘 정량 공급장치(20)는 상기 호퍼(10)의 하측에 진동셔블(21)이 탄성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바이브레터(22)의 작동에 따라 진동셔블(21)이 진동력을 발생하게 된다.The calcium chloride
즉 상기 진동셔블(21)은 상부 및 일측이 개방된 일반적인 셔블(shovel)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호퍼(10)의 하측을 감싸도록 경사상태로 설치되고, 일측은 파쇄기(30)의 상부챔버(32)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호퍼(10) 내의 염화칼슘을 원활하게 공급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동력의 발생시 염화칼슘을 상부챔버(32)의 내부로 투하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상기 진동셔블(21)의 타측면에는 진동을 발생하는 바이브레터(22)가 설치되고, 상기 진동셔블(21)은 진동발생시 탄성력을 유지하도록 양 측면에 부착된 스프링브라켓(23) 및 베이스구조물(1)에 설치된 스프링지지대(24)에 각각 형성된 스프링돌기(23a)(24a) 사이에 스프링(25)이 연결됨으로써 바이브레터(22)의 작동시 진동셔블(21)이 비로소 원활하게 진동력을 발생하게 된다.The other side of the
상기 호퍼(10)의 전방 하측으로 베이스구조물(1)에 안착 설치되어 고형화된 덩어리상태의 염화칼슘을 미립자로 파쇄하는 파쇄기(30)는 상기 베이스구조물(1)에 안착되는 하부챔버(31)와, 상기 하부챔버(31)의 상측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챔버(32)로 양분된다.The
여기에서 하부챔버(31)는 상,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하측에는 파쇄된 염화칼슘을 하부로 선별하여 배출하는 선별스크린(40)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챔버(31)의 상측에는 힌지축(33)을 매개로 상부챔버(32)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힌지축(33)의 타측에는 시건장치(34)가 설치되어 상, 하부챔버(31)(32)의 개폐를 단속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그리고 상기 상, 하부챔버(31)(32)의 내부에는 파쇄축(35)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파쇄축(35)은 하부챔버(31)의 양측에 부착된 지지구브라켓(36a)에 설치되는 회전지지구(36)에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는 모터(37)와 밸트 및 체인 등의 동력전달부재(37a)로 연결됨으로써 회전동력을 발생하며, 타측은 회전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한 플라이휠(38)이 설치된다.In addition, the crushing
또한, 상기 파쇄축(35)에는 길이방향의 등간격으로 원판형의 햄머고정판(35-1)이 설치되고, 이 햄머고정판(35-1)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햄머(35-2)가 회동핀(35-3)을 매개로 회동 자유롭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파쇄축(35)의 회전시 햄머(35-2)가 회전하면서 타격력을 발휘하여 덩어리 상태로 고형화된 염화칼슘을 미세하게 파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rushing
이때 상기 상, 하부챔버(31)(32)의 내면에는 산형의 파쇄돌기(39-1)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파쇄대(39)가 배치되고, 상기 파쇄대(39)에 형성된 고정구(39-2)는 상, 하부챔버(31)(32)를 관통하여 너트(39-3)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햄머(35-2)에 의해 타격되는 염화칼슘은 상기 파쇄대(39)에 부딪치면서 반복적으로 파쇄됨으로써 염화칼슘의 파쇄력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hamber,
한편, 상기 하부챔버(31)의 양측에는 선별스크린(40)을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스크린통공(41)(41a)이 형성되고, 이 스크린통공(41)(41a)을 관통하여 선별스크린(40)이 삽입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both sides of the
이때 어느 한쪽의 스크린통공(41a)은 선별스크린(40)의 일측 간극유지대(44)가 끼워지는 공간을 제공하며, 외측에는 커버(42)가 체결구(43)로 부착됨으로써 파쇄작업시 염화칼슘이 상기 스크린통공(41a)을 통해 외부로 누출됨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다른 한쪽의 스크린통공(41)은 타측의 간극유지대(44)가 끼워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동시에 선별스크린(40)을 외부로 인출하거나 내부로 인입하기 위한 이동경로를 제공하며, 간극유지대(44)에 일체로 부착된 스크린장착판(47)에 의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either one of the screen through-
따라서 상기 선별스크린(40)은 상기 스크린장착판(47)의 탈착시 한꺼번에 상기 스크린통공(41)을 통해 외부로 인출하여 달라붙은 염화칼슘을 제거하거나 또는 선별스크린(40)을 교체, 유지, 보수할 수 있는 뛰어난 편의성을 제공한다.Therefore, when the
이를 위한 선별스크린(4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간극유지대(44), 연결바(45), 간극조절 스크린바(46) 및 스크린장착판(47)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간극유지대(44)는 염화칼슘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간극(48)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만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에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안착홈(44-1)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다수의 연결홈(44-2)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홈(44-2)에는 연결바(45)가 끼움 결합되면서 다수의 간극유지대(44)가 일체화를 이루게 된다.The
또한, 상기 일체화된 간극유지대(44)의 각각의 안착홈(44-1)에는 간극조절 스크린바(46)가 삽입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간극조절 스크린바(46)의 사이사이에는 자연적으로 배출간극(48)을 형성하며, 상기 일측의 간극유지대(44)에는 만곡진 형상의 스크린장착판(47)이 용접작업 등을 통해 일체로 부착됨으로써 상기 스크린장착판(47)을 하부챔버(31)의 외면에 체결구(43)를 이용하여 부착함으로써 선별스크린(40)을 상, 하부챔버(31)(32)의 내부에 배치한 채 견고한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gap
따라서, 상기 선별스크린(40)은 배출간극(48)을 통해 파쇄된 염화칼슘을 고른 입자상태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장기간 사용시 간극조절 스크린바(46)에 염화칼슘이 달라붙으면서 부피가 커져 배출간극(48)을 막거나 또는 선별스크린(40)의 파손시 도 9와 같이 체결구(43)를 해체한 후 스크린장착판(47)을 외부로 잡아당기면 상기 스크린장착판(47)과 일체화된 선별스크린(40)이 외부로 한꺼번에 인출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또한, 상기 선별스크린(40)에 의해 선별된 미립자의 염화칼슘은 도 1과 같이 별도의 포대(51)에 수거되어 운반되는 것으로, 상기 파쇄기(30)의 하부챔버(31) 하 측으로 이동 가능한 카트(50)가 추가로 배치되고, 이 카트(50)의 상부에는 낱개 포장의 포대(51)가 안착됨으로써 파쇄작업을 거친 미립자의 염화칼슘을 전량 수거하여 다른 장소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카트(50)는 이동 가능함으로써 별도의 점유면적을 차지하지 않아 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alcium chloride of the fine particles screened by the
이때 본 발명의 간극조절 스크린바(46)를 간극유지대(44)에 일체화 고정된 상태로 설치하지 않고 분리 가능하도록 끼움 상태로 결합하는 이유는, 상기 간극조절 스크린바(46)를 파손시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는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기본적으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간극조절 스크린바(46)의 위치를 수평이나 수직으로 가변시키는 간단한 방법을 통해 상기 배출간극(48)의 폭(L)을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this case, the reason why the gap
이를 위한 간극조절 스크린바(46)는 정사각체로 형성됨을 탈피하여 양단 및 중앙부위에는 안착홈(44-1)에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46-1)가 안착홈(44-1)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46-1)를 제외한 부위는 도 7과 같이 가로변(46-2) 및 세로변(46-3)의 길이가 상호 다르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간극조절 스크린바(46)의 위치를 수평이나 수직으로 결합할 때의 배출간극(48)은 가변될 수 있게 된다.The gap
즉 도 7과 같이 간극조절 스크린바(46)의 세로변(46-3)이 가로변(46-2)보다 길게 형성됨을 가정할 때 상기 간극조절 스크린바(46)를 수직으로 결합할 경우 수평으로 결합한 경우에 비해 상기 간극조절 스크린바(46)의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배출간극(48)의 폭(L)은 길게 형성됨으로써 최종적으로 배출하는 염화칼슘의 입자 크 기는 수평으로 결합한 경우에 비해 크게 된다.That is, assuming that the vertical side 46-3 of the gap
또한, 상기 간극조절 스크린바(46)는 도 8과 같은 다른 실시예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 경우 양단 및 중앙에는 안착홈(44-1)에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46-1)는 동일하게 형성되되 상기 결합부(46-1)를 제외한 부위는 세로변(46-3)의 길이가 동일한 반면, 가로변(46-2)의 길이는 각각의 간극조절 스크린바(46) 마다 개별적으로 다르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gap
따라서, 상기 간극조절 스크린바(46)의 위치를 가변하지 않고 다른 가로변(46-2)의 길이를 갖는 간극조절 스크린바(46)로 교체할 경우 배출간극(48)의 폭(L)은 각기 다르게 가변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보다 다양하게 배출간극(48)을 조절할 수 있으나 다양한 종류의 간극조절 스크린바(46)를 구비하여야만 한다. Therefore, the width L of the
한편, 본 발명의 파쇄장치는 상기한 기술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되 도 9 내지 도 12와 같이 상기 파쇄기(30)에 염화칼슘을 공급하기 위한 염화칼슘 정량 공급장치(60)가 다른 형태로 실시된 파쇄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hred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configuration as it is, the shredding device in which the calcium chloride
즉 다른 실시예의 염화칼슘 정량 공급장치(60)가 적용된 파쇄장치는 다른 기술구성은 동일하되 호퍼(10)의 하측에 수평상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투하셔블(61)이 크랭크축(62)의 작동에 따라 투하력을 발생함으로써 염화칼슘을 파쇄기(30)의 상, 하부챔버(31)(32)로 정량 것 일률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shredding device to which the calcium
이를 위한 염화칼슘 정량 공급장치(60)는 호퍼(10)의 하측을 감싸도록 일측이 개방된 투하셔블(61)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투하셔블(61)은 상부 및 일측이 개방된 일반적인 셔블(shovel)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호퍼(10)의 하측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일측은 파쇄기(30)의 상부챔버(32)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호퍼(10) 내의 염화칼슘을 원활하게 공급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크랭크축(62)의 작동에 따른 투하력의 발생시 염화칼슘을 상부챔버(32)의 내부로 투하할 수 있게 된다.The calcium chloride
그리고 투하셔블(61)의 타측은 크랭크축(62)과 레버(63)로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고, 상기 크랭크축(62)은 베이스구조물(1)의 양측에 설치된 회전지지구(6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65)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65)은 밸트나 체인 등의 동력전달부재(66a)를 매개로 모터(66)와 연결된다.The other side of the dropping
따라서 상기 모터(66)의 가동에 따른 크랭크축(62)의 회전동력은 레버(63)를 통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투하셔블(61)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투하셔블(61)에 안착된 염화칼슘을 전방으로 투하시키는 역할을 하여 염화칼슘이 상부챔버(32)의 내부로 정량 것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rotational power of the
여기에서 상기 투하셔블(61)은 수평상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저면 양측에 가이드레일(67)이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67)은 베이스구조물(1)의 양측에 이격 설치된 회전지지구(64)에 결합된 롤러축(68)의 가이드롤러(68-1)에 안착됨으로써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dropping
상기 가이드롤러(68-1)는 롤러축(68)의 양측에 설치되고, 투하셔블(61)이 이동하는 이동경로에 전체적으로 배치되도록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The guide rollers 68-1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외부에서 호퍼(10)의 내부로 유입된 염화칼슘을 상기 진동셔블(21)의 진동력이나 또는 투하셔블(61)의 투하력을 이용하여 파쇄기(30)의 내부로 정량 것 항상 일정하게 공급함으로써 파쇄작업이 효율적으로 실시됨은 물론 상기 파쇄기(30)의 내부에서는 햄머(35-2)의 강력한 파쇄력과 함께 파쇄대(39)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인해 염화칼슘의 파쇄력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calcium chloride introduced into the
또한, 선별스크린(40)을 내부에 수납하면서도 이를 간단한 방법으로 인출하여 점검, 보수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한다.In addition, while storing the
본 발명은 호퍼의 하측에 바이브레터의 작동에 따라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셔블이 경사상태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진동셔블이 균일한 진동력으로 호퍼 내의 염화칼슘을 파쇄기의 챔버 내부로 정량 것 일률적으로 공급하여 파쇄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inclined state of the vibration shovel to generate vib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vibrator in the lower side of the hopper, the vibration shovel uniformly supply the calcium chloride in the hopper into the chamber of the shredder with uniform vibration force It provide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work.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호퍼의 하측에 진동셔블을 대신하여 크랭크축의 작동에 따라 투하력을 발생하는 투하셔블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투하셔블이 균일한 투하력으로 호퍼 내의 염화칼슘을 챔버 내부로 정량 것 일률적으로 공급할 수도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lower side of the hopper instead of the vibration shovel is a dropping shove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rankshaft, the dropping shovel is to uniformly quantify the calcium chloride in the hopper into the chamber with a uniform dropping force You can also supply.
또한, 상기 파쇄기의 챔버 내부로 공급된 염화칼슘은 햄머의 강력한 타격력에 의해 미립자로 파쇄된 후 하측에 설치된 선별스크린을 통과하여 외부로 전량 배출됨으로써 파쇄작업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alcium chloride supplied into the chamber of the shredder is crushed into fine particles by the powerful impact force of the hammer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orting screen installed on the lower side to provide an effect of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shredding operation.
더욱이 상기 선별스크린은 챔버 내부에 장착됨으로써 녹이 슬거나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뛰어남은 물론 스크린장착판을 분리하는 간단한 방법을 통해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배출간극에 달라붙은 염화칼슘을 제거하여 파쇄작업의 원활성을 제고하고, 상기 선별스크린을 교체할 수 있어 유지 및 사후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Furthermore, the sorting screen is installed inside the chamber, so it does not have rust or corrosion, so it is excellent in durability, and it is removed to the outside by a simple method of separating the screen mounting plate to remove calcium chloride adhered to the discharge gap, thereby eliminating the source of crushing work.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activity and to replace the sorting screen to provide convenience of maintenance and aftercar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선별스크린에 간극조절 스크린바가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간극조절바의 위치를 수평이나 수직으로 가변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배출간극을 조절하여 최종 배출하는 염화칼슘의 입자 크기를 자유자제로 제어하여 제설작업의 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ree to freely adjust the particle size of the final discharge by adjusting the discharge gap by a simple method of varying the position of the gap control bar horizontally or vertically by the separation of the gap control screen bar to the separation screen selectively. Self-control is provid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now removal.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7724A KR100773497B1 (en) | 2007-05-16 | 2007-05-16 | Calcium chloride crusher for easy control of discharge ga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7724A KR100773497B1 (en) | 2007-05-16 | 2007-05-16 | Calcium chloride crusher for easy control of discharge gap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73497B1 true KR100773497B1 (en) | 2007-11-05 |
Family
ID=39060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47724A Active KR100773497B1 (en) | 2007-05-16 | 2007-05-16 | Calcium chloride crusher for easy control of discharge gap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73497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4857B1 (en) * | 2011-04-07 | 2011-10-19 | 서울특별시 | Snow Recycling Equipment |
CN106180146A (en) * | 2016-08-17 | 2016-12-07 | 芜湖凯尔电气科技有限公司 | Waste and old smart mobile phone waste product scraps device |
WO2019132161A1 (en) * | 2017-12-29 | 2019-07-04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System for removing underwater harmful substances by using activated carbon |
KR102116810B1 (en) | 2020-02-13 | 2020-05-29 | 주식회사 새한산업 | Spreader of deicing chemicals with means for crushing hardened deicing chemicals |
KR102427200B1 (en) * | 2021-08-30 | 2022-07-28 | 권기창 | Apparatus for small packaging of snow removing agent |
KR102436764B1 (en) | 2021-07-14 | 2022-08-25 | 문병래 | Apparatus for crushing calcium-chloride |
CN118788433A (en) * | 2024-09-09 | 2024-10-18 | 河南省安利安全技术服务有限公司 | An efficient and safe crusher for mining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56425A (en) * | 1992-03-11 | 1993-10-05 | Hitachi Zosen Corp | Biaxial crusher and crushing dust equipment |
JP2527685B2 (en) | 1993-07-12 | 1996-08-28 | 株式会社御池鐵工所 | Crushing machine |
JPH11300223A (en) | 1998-04-27 | 1999-11-02 | Kurimoto Ltd | Horizontal type crusher |
KR100502561B1 (en) | 2003-08-14 | 2005-07-21 | (주)한국아스텐엔지니어링 | Exclusive crusher for recycling of ascon waste among construction wastes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
KR100597168B1 (en) | 2005-01-07 | 2006-07-04 | 성보경 | Sintered Recycling Crusher |
-
2007
- 2007-05-16 KR KR1020070047724A patent/KR10077349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56425A (en) * | 1992-03-11 | 1993-10-05 | Hitachi Zosen Corp | Biaxial crusher and crushing dust equipment |
JP2527685B2 (en) | 1993-07-12 | 1996-08-28 | 株式会社御池鐵工所 | Crushing machine |
JPH11300223A (en) | 1998-04-27 | 1999-11-02 | Kurimoto Ltd | Horizontal type crusher |
KR100502561B1 (en) | 2003-08-14 | 2005-07-21 | (주)한국아스텐엔지니어링 | Exclusive crusher for recycling of ascon waste among construction wastes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
KR100597168B1 (en) | 2005-01-07 | 2006-07-04 | 성보경 | Sintered Recycling Crusher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4857B1 (en) * | 2011-04-07 | 2011-10-19 | 서울특별시 | Snow Recycling Equipment |
CN106180146A (en) * | 2016-08-17 | 2016-12-07 | 芜湖凯尔电气科技有限公司 | Waste and old smart mobile phone waste product scraps device |
WO2019132161A1 (en) * | 2017-12-29 | 2019-07-04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System for removing underwater harmful substances by using activated carbon |
KR102116810B1 (en) | 2020-02-13 | 2020-05-29 | 주식회사 새한산업 | Spreader of deicing chemicals with means for crushing hardened deicing chemicals |
KR102436764B1 (en) | 2021-07-14 | 2022-08-25 | 문병래 | Apparatus for crushing calcium-chloride |
KR102427200B1 (en) * | 2021-08-30 | 2022-07-28 | 권기창 | Apparatus for small packaging of snow removing agent |
CN118788433A (en) * | 2024-09-09 | 2024-10-18 | 河南省安利安全技术服务有限公司 | An efficient and safe crusher for min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73497B1 (en) | Calcium chloride crusher for easy control of discharge gap | |
KR100773511B1 (en) | Calcium Chloride Shredder | |
KR101428795B1 (en) | Double Crusher using Pressing and Hit for High Quality Aggregate Production at the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 |
KR101782330B1 (en) | Screen for screening soil with composite vibration function | |
JP2012206015A (en) | Crusher | |
JP3396725B2 (en) | Screen crusher | |
CN110918162A (en) | Crushing pair with screen frame | |
KR100870650B1 (en) | Aggregate Manufacturing Equipment | |
CN212758896U (en) | Crushing device | |
KR20110010086U (en) | Anti-clogging striking device for vibrating screen for aggregate screening | |
RU129020U1 (en) | MOBILE SHOCK-REFLECTIVE CRUSHING UNIT | |
KR101074857B1 (en) | Snow Recycling Equipment | |
CN105327731B (en) | A powder coating pulverizer crushing device | |
CN220027763U (en) | Sand and stone screening vibration device for building construction | |
KR100627912B1 (en) | Construction waste sorting and recycling device | |
JP4879417B2 (en) | Mobile crusher | |
JP2001336174A (en) | Soil mixing and improving machine | |
JP2917242B2 (en) | Crusher for obtaining pebbles or boulders from concrete waste | |
JP2008169088A (en) | Molten slag screening apparatus | |
EP0038853A1 (en) | Sand lump crushing device | |
CN220665865U (en) | Dust collector is strengthened to synchronous seal rubble distributing truck | |
CN222872690U (en) | A screening vibrating screen for separating gangue and raw coal | |
KR101578548B1 (en) | Dry differential sepration equipment | |
CN106553913A (en) | A kind of oscillating feeder with liner plate protection | |
JP3887270B2 (en) | Crushing conveyor device and soil quality improvement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705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8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0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10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0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0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1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0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19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