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9517B1 - 건축물 난간대 - Google Patents
건축물 난간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69517B1 KR100769517B1 KR1020070089217A KR20070089217A KR100769517B1 KR 100769517 B1 KR100769517 B1 KR 100769517B1 KR 1020070089217 A KR1020070089217 A KR 1020070089217A KR 20070089217 A KR20070089217 A KR 20070089217A KR 100769517 B1 KR100769517 B1 KR 1007695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st
- tempered glass
- handrail
- posts
- build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5341 toughened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41000239290 Aranea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789 fast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51—Filling panels, e.g. concrete, sheet metal panels
- E04F11/1853—Glass pan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31—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panels, and balustrade posts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을 위하여 건축물의 베란다나 계단 등에 설치되는 난간대에 관한 것으로서, 하단부가 바닥에 매설되어 난간의 수직기둥을 이루는 긴 판재형상인 다수의 포스트(10)와, 상기 포스트(10)들의 상단부에 수평으로 용접되어 상부에 커버(21)가 설치되는 핸드레일(20)과, 상기 포스트(10)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포스트커버(30)와, 상기 포스트(10)의 일측 모서리의 상하에 각각 한 쌍씩 결합되는 다수의 스파이더 브래킷(40)과, 상기 포스트(10)들 사이의 각 공간에 설치되는 강화유리(50)와, 상기 스파이더 브래킷(40)과 함께 강화유리(50)를 고정지지하는 힌지볼트 및 너트(60,61)를 포함하므로, 난간의 포스트와 핸드레일을 금속재와 목재로 형성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하며, 포스트들 사이에는 스파이더 브래킷에 의해 강화유리를 설치하여 수평면뿐만 아니라 계단 등의 경사진 장소에서도 설치가 용이하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건축물, 아파트, 베란다, 발코니, 계단, 난간, 핸드레일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전을 위하여 건축물의 베란다나 계단 등에 설치되는 난간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난간의 포스트와 핸드레일을 금속재와 목재로 형성하여 외관이 미려하고 포스트들 사이에는 스파이더 브래킷을 이용하여 강화유리를 설치함으로써 수평뿐만 아니라 계단 등의 경사진 장소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건축물 난간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공서나 대형건물 등의 베란다 또는 계단의 가장자리에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보행자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일정한 높이의 난간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난간은 베란다나 계단의 바닥에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다수개의 포스트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상기 포스트들의 상단부에 핸드레일을 수평 또는 경사지도록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포스트와 핸드레일은 스테인레스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 파이프로 형성하고, 상기 포스트와 핸드레일은 용접으로 결합시키거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난간은 전체적으로 금속파이프로만 제작되어 외형 상 단조로운 느낌을 줄 뿐만 아니라, 핸드레일 하부의 포스트를 촘촘하게 설치하여야 하므로 시공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금속재와 목재를 함께 이용하여 외관이 미려하면서 수평면뿐만 아니라 계단 등의 경사진 장소에도 설치하기 쉽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건축물 난간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 모서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한 쌍씩 돌출형성된 돌기부와, 중앙에 볼트공이 형성되고 그 양쪽으로 상기 돌기부가 각각 삽입되어 용접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원반형의 고정쇠를 구비하여, 하단부가 바닥에 매설되어 난간의 수직기둥을 이루는 긴 판재형상의 다수의 포스트;
상기 포스트들의 상단부에 수평으로 결합되고, 상부에 커버가 설치되는 핸드레일;
다수의 커버볼트로 상기 포스트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포스트커버;
중앙홀이 형성된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의 양측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아암과, 상기 아암의 각 단부에 형성되며 중앙에 통공이 천공된 아암단부와, 상기 중앙홀과 볼트공을 통하여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를 구비하여, 상기 포스트의 일측 모서리에 한 쌍씩 결합되는 다수의 스파이더 브래킷; 및
중앙에 숫부싱과 암부싱을 개재하고 그 사이에 강화유리를 개재하며, 상기 강화유리의 측면을 관통한 채 나사결합되어, 상기 포스트들 사이에서 강화유리를 고정지지하는 힌지볼트 및 너트; 를 포함하는 건축물 난간대를 제공한다.
상기 핸드레일의 커버와 포스트커버는 목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화유리의 내측면에는 안전을 위하여 비산방지필름을 부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건축물 난간대에 의하면, 난간의 포스트와 핸드레일을 금속재와 목재로 형성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하며, 포스트들 사이에는 스파이더 브래킷에 의해 강화유리를 설치하여 수평면뿐만 아니라 계단 등의 경사진 장소에서도 설치가 용이하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난간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난간대의 내측 및 외측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난간대는, 하단부가 바닥에 매설되어 난간의 수직기둥을 이루는 긴 판재형상인 다수의 포스트(10)와, 상기 포스트(10)들의 상단부에 수평으로 용접되어 상부에 커버(21)가 설치되는 핸드레일(20)과, 상기 포스트(10)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포스트커버(30)와, 상기 포스트(10)의 일측 모서리의 상하에 각각 한 쌍씩 결합되는 다수의 스파 이더 브래킷(40)과, 상기 포스트(10)들 사이의 각 공간에 설치되는 강화유리(50)와, 상기 스파이더 브래킷(40)과 함께 강화유리(50)를 고정지지하는 힌지볼트 및 너트(60,61)를 포함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난간대에서 하나의 포스트 및 스파이더 브래킷 조립체만을 도시한 내측 및 외측 일부사시도이고,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난간대에서 하나의 포스트 및 스파이더 브래킷 조립체만에 대한 내측 및 외측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포스트(10)는 하단부가 바닥에 매설되어 난간의 수직기둥을 이루는 긴 판재형상의 부재로서,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으로 형성된다. 상기 포스트(10)의 일측 모서리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한 쌍씩 돌기부(11)들이 상하로 돌출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돌기부(11)들은 고정쇠(12)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포스트(10)를 스테인레스로 제조할 경우 스테인레스 10T를 레이저 가공하여 면 가공 및 광내기 가공을 하여 제조한다.
상기 고정쇠(12)는 원반형의 금속부재로서, 중앙에 볼트공(13)이 형성되어 있고 그 양쪽에는 각각 삽입공(14)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삽입공(14)에는 돌기부(11)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용접되므로 포스트(10)와 일체로 결합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핸드레일(20)은 상기 포스트(10)들의 상단부에 수평으로 용접되는 금속부재로서, 상부에는 난간의 가이드 역할을 하는 목재 등으로 형성된 커 버(21)가 장착된다. 상기 핸드레일(20)은 계단과 같이 경사진 경우에는 경사각도에 맞추어 포스트(10)와 용접하며, 상기 커버(21)는 다수의 나사를 이용하여 핸드레일(20)에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포스트커버(30)는 목재 등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상기 포스트(10)의 양측면에 다수의 커버볼트(31)에 의해 각각 결합되어 난간의 외관이 고급스러운 미감을 발휘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난간을 외부에 설치할 경우 상기 핸드레일(20)의 커버(21)와 포스트커버(30)는 비를 맞아도 부패하지 않는 목재를 사용하고 오일스텐으로 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스파이더 브래킷(40)은 상기 포스트(10)의 일측 모서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한 쌍씩 결합되는 다수의 금속부재로서, 중심부(41)와 그로부터 양쪽으로 연장된 아암(43) 및 상기 아암(43)의 단부에 형성된 아암단부(4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중심부(41)에는 고정볼트(46)가 나사결합될 수 있는 중앙홀(4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아암단부(44)의 중앙에는 힌지볼트(60)가 관통될 수 있는 통공(45)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고정볼트(46)는 중앙홀(42)을 통하여 고정쇠(12) 중앙의 볼트공(13)에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스파이더 브래킷(40)은 고정볼트(46)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되어 양측에 설치되는 강화유리(50)의 높이가 다른 경우에도 일정각도 회전시켜 고정함으로써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포스트(10)들 사이의 각 공간에는 상기 강화유리(50)가 설치되는데, 상기 강화유리(50)는 스파이더 브래킷(40)과 힌지볼트 및 너트(60,61)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상기 힌지볼트 및 너트(60,61)는 스파이더 브래킷(40)과 함께 상기 포스트(10)들 사이에서 강화유리(50)를 고정지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그 사이에는 상호 결속되어 강화유리(50)와 밀착될 때 완충역할을 하는 숫부싱(62)과 암부싱(63)이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숫부싱(62)이 강화유리(50)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진 상태에서 암부싱(63)과 결속되고, 그 상태에서 힌지볼트(60)가 암부싱(63), 강화유리(50), 숫부싱(62) 및 아암단부(44)를 관통하여 반대쪽에서 힌지너트(61)와 나사결합됨으로써 강화유리(50)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강화유리(50)를 스파이더 브래킷(40)과 힌지볼트 및 너트(60,61)를 이용하여 포스트(10)들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스파이더 브래킷(40)의 힌지작용에 따라 계단과 같이 경사진 장소에서도 높이가 다른 포스트(10)들 사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강화유리(50)의 내측면에는 비산방지필름을 부착함으로써 강화유리(50)가 파손될 경우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난간대의 내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난간대의 외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난간대에서 하나의 포스트 및 스파이더 브래킷 조립체만을 도시한 내측 일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난간대에서 하나의 포스트 및 스파이더 브래킷 조립체만을 도시한 외측 일부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난간대에서 하나의 포스트 및 스파이더 브래킷 조립체만에 대한 내측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난간대에서 하나의 포스트 및 스파이더 브래킷 조립체만에 대한 외측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포스트 11:돌기부
12:고정쇠 13:볼트공
14:삽입공 20:핸드레일
21:커버 30:포스트커버
31:커버볼트 40:스파이더 브래킷
41:중심부 42:중앙홀
43:아암 44:아암단부
45:통공 46:고정볼트
50:강화유리 60:힌지볼트
61:힌지너트 62:숫부싱
63:암부싱
Claims (3)
- 일측 모서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한 쌍씩 돌출형성된 돌기부(11)와, 중앙에 볼트공(13)이 형성되고 그 양쪽으로 상기 돌기부(11)가 각각 삽입되어 용접되는 삽입공(14)이 형성된 원반형의 고정쇠(12)를 구비하여, 하단부가 바닥에 매설되어 난간의 수직기둥을 이루는 긴 판재형상의 다수의 포스트(10);상기 포스트(10)들의 상단부에 수평으로 결합되고, 상부에 커버(21)가 설치되는 핸드레일(20);다수의 커버볼트(31)로 상기 포스트(10)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포스트커버(30);중앙홀(42)이 형성된 중심부(41)와, 상기 중심부(41)의 양측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아암(43)과, 상기 아암(43)의 각 단부에 형성되며 중앙에 통공(45)이 천공된 아암단부(44)와, 상기 중앙홀(42)과 볼트공(13)을 통하여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46)를 구비하여, 상기 포스트(10)의 일측 모서리에 한 쌍씩 결합되는 다수의 스파이더 브래킷(40); 및중앙에 숫부싱(62)과 암부싱(63)을 개재하고 그 사이에 강화유리(50)를 개재하며, 상기 강화유리(50)의 측면을 관통한 채 나사결합되어, 상기 포스트(10)들 사이에서 강화유리(50)를 고정지지하는 힌지볼트 및 너트(60,61); 를 포함하는 건축물 난간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20)의 커버(21) 및 포스트커버(30)는 목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난간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유리(50)의 내측면에는 비산방지필름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난간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89217A KR100769517B1 (ko) | 2007-09-03 | 2007-09-03 | 건축물 난간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89217A KR100769517B1 (ko) | 2007-09-03 | 2007-09-03 | 건축물 난간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69517B1 true KR100769517B1 (ko) | 2007-10-24 |
Family
ID=38815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89217A KR100769517B1 (ko) | 2007-09-03 | 2007-09-03 | 건축물 난간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69517B1 (ko)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1337B1 (ko) | 2007-11-16 | 2008-04-11 | (주)엄앤드이종합건축사사무소 | 건축물의 난간대 |
KR100833913B1 (ko) | 2008-02-05 | 2008-06-03 |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 강화유리 핸드 레일 고정구조 |
KR101020501B1 (ko) * | 2008-09-30 | 2011-03-09 | 박윤서 | 난간지주의 안전유리 설치각도 조절장치 |
KR101036713B1 (ko) | 2008-12-08 | 2011-05-24 | 김현구 | 난간포스트 어셈블리 |
KR101036707B1 (ko) | 2008-12-08 | 2011-05-25 | 김현구 | 난간포스트 어셈블리 |
CN105863191A (zh) * | 2016-05-10 | 2016-08-17 | 北京承达创建装饰工程有限公司 | 无立柱式室内玻璃栏板固定结构及其固定方法 |
KR101798585B1 (ko) * | 2015-07-15 | 2017-11-16 | 김현구 | 핸드레일 난간지주 |
KR102375709B1 (ko) | 2021-12-24 | 2022-03-18 | (주)단에이앤씨 종합건축사사무소 | 안전성이 향상된 건축물용 난간대 |
KR102375706B1 (ko) | 2021-07-27 | 2022-03-18 | (주)단에이앤씨 종합건축사사무소 | 위험알림이 가능한 건축물 난간구조물 |
KR102407547B1 (ko) | 2021-07-27 | 2022-06-13 | (주)단에이앤씨 종합건축사사무소 | 건축물용 안전펜스 구조물 |
KR102407548B1 (ko) | 2021-12-24 | 2022-06-13 | (주)단에이앤씨 종합건축사사무소 |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건축물 소음방지 바닥체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4138Y1 (ko) | 2001-03-02 | 2001-09-28 | 중재기업(주) | 난간의 난간대 조립구조 |
KR200333964Y1 (ko) | 2003-08-28 | 2003-11-19 | 중재기업(주) | 난간의 난간대 조립구조 |
KR200334800Y1 (ko) | 2003-09-15 | 2003-11-28 | (주)탑스코 | 난간의 일체형 합성수지 연결구 |
KR200397791Y1 (ko) | 2005-07-13 | 2005-10-07 | (주) 미도랜드 | 조립식 펜스 |
JP2007009418A (ja) * | 2005-06-28 | 2007-01-18 | Tostem Corp | 手摺 |
-
2007
- 2007-09-03 KR KR1020070089217A patent/KR10076951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4138Y1 (ko) | 2001-03-02 | 2001-09-28 | 중재기업(주) | 난간의 난간대 조립구조 |
KR200333964Y1 (ko) | 2003-08-28 | 2003-11-19 | 중재기업(주) | 난간의 난간대 조립구조 |
KR200334800Y1 (ko) | 2003-09-15 | 2003-11-28 | (주)탑스코 | 난간의 일체형 합성수지 연결구 |
JP2007009418A (ja) * | 2005-06-28 | 2007-01-18 | Tostem Corp | 手摺 |
KR200397791Y1 (ko) | 2005-07-13 | 2005-10-07 | (주) 미도랜드 | 조립식 펜스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1337B1 (ko) | 2007-11-16 | 2008-04-11 | (주)엄앤드이종합건축사사무소 | 건축물의 난간대 |
KR100833913B1 (ko) | 2008-02-05 | 2008-06-03 |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 강화유리 핸드 레일 고정구조 |
KR101020501B1 (ko) * | 2008-09-30 | 2011-03-09 | 박윤서 | 난간지주의 안전유리 설치각도 조절장치 |
KR101036713B1 (ko) | 2008-12-08 | 2011-05-24 | 김현구 | 난간포스트 어셈블리 |
KR101036707B1 (ko) | 2008-12-08 | 2011-05-25 | 김현구 | 난간포스트 어셈블리 |
KR101798585B1 (ko) * | 2015-07-15 | 2017-11-16 | 김현구 | 핸드레일 난간지주 |
CN105863191A (zh) * | 2016-05-10 | 2016-08-17 | 北京承达创建装饰工程有限公司 | 无立柱式室内玻璃栏板固定结构及其固定方法 |
KR102375706B1 (ko) | 2021-07-27 | 2022-03-18 | (주)단에이앤씨 종합건축사사무소 | 위험알림이 가능한 건축물 난간구조물 |
KR102407547B1 (ko) | 2021-07-27 | 2022-06-13 | (주)단에이앤씨 종합건축사사무소 | 건축물용 안전펜스 구조물 |
KR102375709B1 (ko) | 2021-12-24 | 2022-03-18 | (주)단에이앤씨 종합건축사사무소 | 안전성이 향상된 건축물용 난간대 |
KR102407548B1 (ko) | 2021-12-24 | 2022-06-13 | (주)단에이앤씨 종합건축사사무소 |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건축물 소음방지 바닥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69517B1 (ko) | 건축물 난간대 | |
AU2018100661A4 (en) | Frameless Glass Fencing Component | |
CA2571188A1 (en) | Fencing system and method | |
US20110198552A1 (en) | Hidden rail fastener connection system | |
KR200350282Y1 (ko) | 조립식 지주가 구비된 펜스 | |
KR200408340Y1 (ko) | 의자겸용난간 | |
US20200032565A1 (en) | Hinge assembly for elevational rails | |
JP2012132198A (ja) | 手摺 | |
AU2017206266B2 (en) | Fence assembly | |
KR102031079B1 (ko) | 데크로드 난간 하부조립체 | |
KR101471489B1 (ko) | 조립식 발코니 난간대 | |
KR101692853B1 (ko)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형 난간구조 | |
KR20090053038A (ko) | 유리판재가 장착된 난간대의 구조 | |
KR101181673B1 (ko) | 평철간살 밴딩형 조립식 발코니난간 | |
KR101099637B1 (ko) | 핸드레일 서포트어셈블리 | |
KR101474720B1 (ko) | 데크용 가드레일포스트 | |
JP3349262B2 (ja) | 手摺り | |
JP5354716B2 (ja) | 建物付設物 | |
KR200421499Y1 (ko) | 장식난간 조립장치 | |
KR102362861B1 (ko) | 난간 결합체 | |
KR102254952B1 (ko) | 난간용 가로대 결합구조체 | |
KR200453622Y1 (ko) | 스파이더 브라켓에 설치되는 유리패널 결속구 | |
JP2560634Y2 (ja) | 笠木取付構造 | |
KR200468611Y1 (ko) | 난간동자 | |
JP2559095Y2 (ja) | 手すりの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