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4002B1 - Garbage discharge system - Google Patents
Garbage discharge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64002B1 KR100764002B1 KR1020040083572A KR20040083572A KR100764002B1 KR 100764002 B1 KR100764002 B1 KR 100764002B1 KR 1020040083572 A KR1020040083572 A KR 1020040083572A KR 20040083572 A KR20040083572 A KR 20040083572A KR 100764002 B1 KR100764002 B1 KR 1007640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od waste
- food
- pipe
- septic tank
- manur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10000003608 Feces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9000010871 livestock man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55925 Dip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9 land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376 nuclear 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HGUFODBRKLSHSI-UHFFFAOYSA-N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Chemical compound O1C2=CC(Cl)=C(Cl)C=C2OC2=C1C=C(Cl)C(Cl)=C2 HGUFODBRKLSHS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7 Horm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159 Rat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61 compo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264 compo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94 eating hab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56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배출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싱크대에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를 필수적으로 구비하고, 그 싱크대로부터 시작되는 하수관을 변기로부터 시작되는 분뇨관과 같이 기존의 분뇨 처리용 정화조로 연결함으로 써, 음식물 쓰레기가 분뇨 처리용 정화조에서 분뇨와 동일하게 처리되어 배출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discharging system, and a main object of the invention is to include a food waste grinder in a sink, and to connect a sewage pipe starting from the sink to a conventional septic tank, such as a manure pipe starting from the toilet bowl. By doing so, the purpose is to ensure that food waste is treated and discharged in the same manner as manure in the septic tank for manure treatment.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배출 시스템은, 급수전(11)과 하수관(20)이 연결된 주방용 싱크대(10)와, 분뇨관(50)이 옥외의 정화조(40)로 연결된 욕실의 변기(30)를 포함하는 구조물(B)에 있어서, 상기 주방용 싱크대(10)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한 음식물 분쇄기(60)를 구비하고, 상기 음식물 분쇄기(60)에서 시작되는 상기 하수관(20)을 상기 분뇨관(50)과 같이 상기 정화조(40)에 연결하고, 상기 하수관(20)에는 음식물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공기가 같이 유입되는 에어벤트관(21)을 연결하여서 되며, 상기 하수관(20)은 그 중단에 음식물 쓰레기가 막혔을 때, 사후처리를 위한 개폐 구멍(22)을 구비하며, 상기 음식물 분쇄기(60)는 스위치(61)에 의해 작동을 지시하는 콘트롤 유닛트(62)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되, 상기 콘트롤 유닛트(62)의 지시에 따라 동시에 작동하여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급수전(11)을 개방하는 전자밸브(63)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것이다. The food waste discharg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itchen sink 10 having a water supply 11 and a sewage pipe 20 connected thereto, and a toilet 30 of a bathroom connected with a manure pipe 50 to an outdoor septic tank 40. In the structure (B), the kitchen sink (10) is provided with a food grinder (60) for grinding food waste, and the sewage pipe (20) starting from the food grinder (60) the manure pipe (50) It is connected to the septic tank 40 as described above, and the sewage pipe 20 is connected to the air vent pipe 21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n order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food is made, the sewage pipe 20 is the food at the stop When the garbage is clogged, it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hole 22 for post-treatment, the food grinder 60 is driven by a control unit 62 instructing operation by a switch 61, the control unit ( At the same time as instructed To supply the water to the sam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ayeoseo provided with an electronic valve 63 for opening the hydrant (11).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 1 is a system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싱크대를 보인 확대도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sin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업소용 구성을 보인 확대도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commerci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Code 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0 : 싱크대 11 : 급수전10: sink 11: hydrant
20 : 하수관 21 : 에어벤트관20: sewer pipe 21: air vent pipe
22 : 개폐구멍 23 : 연결관체22: opening and closing hole 23: connector
30 : 변기 40 : 정화조30: toilet 40: septic tank
50 : 분뇨관 60 : 음식물 분쇄기 50: manure tube 60: food grinder
61 : 스위치 62 : 콘트롤 유닛트61
63 : 전자밸브 63: solenoid valve
70 : 음식물 쓰레기용 정화조70: septic tank for food wast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배출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를 싱크대에서 분쇄하여 배출하되, 그 하수관을 분뇨 처리를 위한 정화조로 연결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분뇨와 같이 처리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discharg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it is discharged by crushing the food waste in the sink, the sewage pipe is connected to a septic tank for manure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food waste is treated like manure.
음식물쓰레기의 주요 발생원은 음식점과 집단 급식소 및 가정 등으로 전체발생량의 약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데, 특히 우리나라의 음식물쓰레기의 경우에는 국, 찌게 등 습식 음식을 주식으로 하는 오랜 식생활습관으로 인하여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서 투기된 음식물쓰레기에서 수분을 분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동 음식물쓰레기의 부패 방지와 발효시 수반되는 부대설비 등의 에너지 코스트의 문제가 처리방법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고 있다. The main sources of food waste are restaurants, group lunchrooms, and homes, accounting for more than 90% of the total generation.In particular, food wastes in Korea have a large amount due to long-term eating habits such as soup and steamed rice. As it contains water,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water from the dumped food waste. Therefore, the problems of energy cost such as preventing corruption of the food waste and the accompanying facilities during fermentation are causing factors to reduce the efficiency of the treatment method. .
일반적으로 음식물쓰레기의 처리방법에는 매립, 소각, 자원화(사료화, 퇴비화)의 방법이 채택되고 있으나, 앞서 말한 바와 같은 젖은 음식물 쓰레기의 특성 때문에 배출 처리시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In general, the method of disposal of food waste is a method of landfilling, incineration, recycling (feeding, composting), bu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t food waste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e discharge treatment.
즉, 매립으로 처리하는 경우(음식물 쓰레기의 약90%가 매립방식으로 처리되는 실정) 인근 주민들의 집단반발로 인하여 사회적인 문제로까지 대두되는 등 매립장 부지확보의 어려움과, 악취 및 유해가스가 발생되고 침출수가 흘러나와 지하수가 오염되는 등 2차 환경오염을 유발시 키고 있기 때문에 동 침출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고, 소각의 경우 소각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분진(재) 가운데 환경호르몬인 다이옥신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소 각온도 유지를 위해 사용되는 보조연료의 지속적인 공급을 필요로 하는 등의 비용 문제로 인하여 비효율적인 처리방법이 되고 있다. In other words, in case of landfill (about 90% of food waste is disposed of in landfill), it is difficult to secure landfill sites, odors and harmful gases are generated due to social problems due to group repulsion of nearby residents. Because it causes secondary environmental pollution such as leachate flows out and contaminates groundwater, there is a problem such as a high cost to treat the leachate.In case of incineration, the environment among dust (ash) generated by inciner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dioxin, a hormone, is generated, and it has become an inefficient treatment method due to a cost problem such as requiring a continuous supply of auxiliary fuel used to maintain the incineration temperature.
그 외에 음식찌꺼기를 분리수거하기 위한 인력 및 비용의 낭비, 가옥 내에서의 오염 및 비위생 문제, 주부 및 미화원들의 노고와 미화원 인력 부족 문제, 특히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건설해야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부대시설의 정부 및 지방자치의 예산 소비문제가 지적된다. In addition, waste of manpower and costs for the separate collection of food waste, pollution and unsanitary issues in houses, labor and housekeepers' labor and labor shortages, especially food waste disposal facilities that must be constructed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roblem of budget consumption by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is pointed out.
최근 들어 자연환경의 오염에 대한 우려와 쾌적한 생활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어감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음식물 쓰레기를 직접 매립하는 대신 이를 분쇄한 후 하수관을 통하여 배출 시키는 방법, 또는 분쇄한 후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켜 분해 처리하거나,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켜서 비료 또는 퇴비로 만드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및 방법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Recently, as the concern about the pollu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interest in the pleasant living environment increases,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stead of landfilling food waste directly, it is crushed and discharged through a sewage pipe, or crushed After the fermentation by using microorganisms to decompose, or to dry food waste to fertilizer or compost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are widely known.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도 하수관을 막히게 한다거나, 각각의 처리 시설, 비용이 들기 때문에 완전한 해결 방법은 못 되는 것이었다. However, these methods were not a complete solution because they would clog sewer pipes, or because of the cost of each treatment facilit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 보완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싱크대에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를 필수적으로 구비하고, 그 싱크대로부터 시작되는 하수관을 변기로부터 시작되는 분뇨관과 같이 기존의 분뇨 처리용 정화조로 연결함으로 써, 음식물 쓰레기가 분뇨 처리용 정화조에서 분뇨와 동일하게 처리되어 배출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and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view of the conventional problems, the main object of the invention is essentially provided with a food waste shredder in the sink, the sewage pipe starting from the sink and the manure pipe starting from the toilet By connecting to the existing manure treatment septic tank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is to ensure that food waste is treated and discharged in the same manner as the manure in the septic tank for manure treatment.
또 다른 한편으로는,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하수관을 별도로 마련된 음식물 쓰레기용 정화조로 배출하여 1차적인 정화처리를 한 후, 재차 분뇨 처리용 정화조로 보내어 분뇨와 동일하게 처리되면서 배출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ewage pipes from which food waste is discharged are discharged to a separate food waste septic tank, which is subjected to the first purification treatment, and then sent to the septic tank for manure treatment to be discharged while being tre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manure. will be.
상기 실시예에 필요한 수단으로 하수관 또는 분뇨관에 에어벤트관을 구비하여 원할한 배출을 유도하고자 하는데도 목적이 있으며, 아울러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하수관 또는 분뇨관에 관막힘 처리용 개폐구멍을 구비하여 후처리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It is also intended to induce a smooth discharge by having an air vent pipe in the sewage pipe or the manure pipe as a means necessary for the embodiment, and also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hole for clogging the sewage pipe or the manure pipe through which food waste is discharged. Another purpose is to facilitate the treatment.
상기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수단은 급수전과 하수관이 연결된 주방용 싱크대와, 분뇨관이 옥외의 정화조로 연결된 욕실의 변기를 포함하는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주방용 싱크대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한 음식물 분쇄기를 구비하고, 상기 음식물 분쇄기에서 시작되는 상기 하수관을 상기 분뇨관과 같이 상기 정화조로 연결하여서 처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Characteristic constituen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tructure comprising a kitchen sink connected to a water hydrant and a sewage pipe, and a toilet bowl connected to a septic tank of the manure pipe, the kitchen sink is crushed food waste It is provided with a food grinder for the treatment, and the sewage pipe starting from the food grinder to be treated by connecting to the septic tank like the manure pipe.
또 한편으로는 급수전과 하수관이 연결된 주방용 싱크대와, 분뇨관이 옥외의 정화조로 연결된 욕실의 변기를 포함하는 가옥에 있어서, 상기 주방용 싱크대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한 음식물 분쇄기를 구비한 후, 상기 음식물 분쇄기에서 시작되는 상기 하수관을 별도의 음식물 쓰레기용 정화조로 연결하여 1차 정화처리되도록하고, 이 음식물 쓰레기용 정화조에서 상기 정화조로 연결하여서 분뇨와 함께 정화처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a house comprising a kitchen sink connected to a water hydrant and a sewage pipe, and a toilet in the bathroom connected to the septic tank, the kitchen sink is provided with a food grinder for crushing food waste, the food and beverage The sewage pipe starting from the crusher is connected to a separate food waste septic tank to be purified first, and the food waste septic tank is connected to the septic tank to be purified together with the manure.
이때, 상기 하수관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될 때 원할한 배출을 위하여 공기가 같이 유입될 수 있도록 에어벤트관을 연결하는 한편, 그 하수관의 중단에 음식물 쓰레기가 막혔을 때, 사후처리를 위한 개폐 구멍을 구비한다. At this time, the sewage pipe is connected to the air vent pipe so that the air can be introduced together for a smooth discharge when the food waste is discharged, while the food waste is blocked in the interruption of the sewage pipe, it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hole for the post treatment do.
또, 상기 음식물 분쇄기는 스위치에 의해 작동을 지시하는 콘트롤 유닛트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되, 상기 콘트롤 유닛트의 지시에 따라 동시에 작동하여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급수전을 개방하는 전자밸브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ood grinder is to be driven by a control unit instructing operation by a switch, it is to be provided with a solenoid valve for opening the water supply so that the water supply can be operated at the same time in accordance with the instructions of the control unit.
이하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 및 작동을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verall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배출 시스템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the food waste dis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 건축물은 복층의 다세대 또는 아파트 건축물을 표현한 것으로, 한 단위의 가옥에서는 급수전(11)과 하수관(20)이 연결된 주방용 싱크대(10)와, 분뇨관(50)이 옥외의 정화조(40)로 연결된 욕실의 변기(30)를 구비하고 있다. The building of FIG. 1 represents a multi-storey multi-family or apartment building. In one unit, the
여기서 본 발명에서의 특징은 상기 주방용 싱크대(10)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한 음식물 분쇄기(60)를 필수적으로 구비하고, 이 음식물 분쇄기(60)에서 시작되는 하수관(20)을 상기 분뇨관(50)과 같이 정화조(40)로 연결하여서 분뇨와 함께 정화처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먼저,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배출 시스템에서는 하수관(20)에 에어벤트관(21)과 중단에 개폐 구멍(22)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First, in the food waste discharg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opening and closing
즉, 건물의 벽 속으로 연장되는 하수관(20) 또는 분뇨관(50)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될 때 원할한 배출을 위하여 공기가 같이 유입될 수 있도록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어벤트관(21)을 연결하는 것이다. That is, in the
또, 분쇄된 음식물이 물과 함께 배출되기 때문에 쉽게 막히지는 않지만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로 인하여 하수관(20) 또는 분뇨관(50)이 막혔을 경우, 관을 뚫는 클린 아웃(Clean Out)장비가 삽입될 수 있도록 뚜껑을 가진 개폐 구멍(22)을 싱크대 윗 부분에 마련하는 것이다. In addition, if the
또 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배출 시스템에서 적합한 음식물 분쇄기(6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위치(61)에 의해 작동을 지시하는 콘트롤 유닛트(62)에 의해 구동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일반 가정에서의 음식물 분쇄기는 사용자가 급수전(11)을 열어서 적정량의 물을 함께 공급해 주면 되지만 영업용 음식물 분쇄기의 경우 분쇄해야 할 양이 많고, 한꺼번에 분쇄하게 될 경우 물 공급이 중단되면 음식물 분쇄기가 고장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 급수를 자동화 할 필요가 있다. In general household food grinder, the user can open the water hydrant (11) to supply the appropriate amount of water together, but commercial food grinder has a large amount to be crushed, and if it is crushed at once, the food grinder may break down if the water supply is stopped. Since there is a need to automate the water supply as shown in FIG.
즉, 급수가 가능한 전용 급수파이프(64)를 싱크대(10)위로 연결한 후, 전자밸브(63)를 구비하여 상기 콘트롤 유닛트(62)의 지시에 따라 음식물 분쇄기(60)가 작동할 때, 이 전자밸브(63)가 동시에 개방 작동하여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after the dedicat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배출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른 작 동 상태를 설명한다. The operation st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food waste discharg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가정에서 모아진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고자 할 경우, 먼저 급수전(11)을 열어 적정량의 물이 공급되도록 한 상태에서 음식물 분쇄기(60)에 음식물 쓰레기를 넣고 스위치(61)를 ON 시킨다. If you want to discharge the food waste collected in the home, first put the food waste in the
영업소의 경우, 음식물 쓰레기를 음식물 분쇄기(60)에 넣고 바로 스위치(61)를 ON시키면 급수파이프(64)를 통해 자동으로 물이 공급되므로 편리하게 분쇄할 수 있게 된다. In the case of a business office, the food waste is put into the
따라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물과 함께 하수관(20)으로 빠져 나가게 되는 것이며, 하수관(20)과 연결된 분뇨관(50)을 통해 옥외의 정화조(40) 속으로 배출되고, 정화조에서는 기존의 분뇨 처리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된다. Therefore, the pulverized food waste is discharged into the
하수관(20) 또는 분뇨관(50)이 수평 상태로부터 수직으로 꺾이는 부분에서 연결관체(23)를 사용하되, 이 연결관체(23)에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은 에어벤트관(21)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가 급작스럽게 배출되어도 공기 공급이 원할하여 막힘 없이 신속하게 배출되어 진다. The
한편, 본 발명에서의 정화조(40)는 음식물 쓰레기의 정화 처리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용 정화조(70)를 미리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즉, 이 구성에서의 특징은 싱크대(10)의 음식물 분쇄기(60)로부터 시작되는 하수관(20)을 분뇨관(50)과 함께 연결 한 후, 음식물 쓰레기용 정화조(70)에 연결하여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이 음식물 쓰레기용 정화조(70)에서 1차적으로 정화 처리된 후, 다시 일반 정화조(40)로 보내어 정화처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feature in this configuration is that after connecting the sewage pipe (20) starting from the
참고로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음식물 쓰레기용 정화조(70)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뇨와 함께 이용하여 친환경적인 비료를 생산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food waste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싱크대에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를 필수적으로 구비하고, 그 싱크대로부터 시작되는 하수관을 변기로부터 시작되는 분뇨관과 같이 기존의 분뇨 처리용 정화조로 연결하였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가 분뇨 처리용 정화조에서 분뇨와 동일하게 처리, 배출되어 종래와 같은 별도의 수거/운반 및 재처리 과정 없이 자연스럽게 처리되므로 환경오염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분리 수거를 위한 인적자원, 재처리 시설이 생략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od waste grinder is essentially provided in the sink, and since the sewage pipe starting from the sink is connected to a conventional septic tank for treating manure, such as the manure pipe starting from the toilet, the food waste is used for manure treatment. Since it is treated and discharged in the same way as manure in a septic tank, it is naturally processed without a separate collection / transport and reprocessing process as in the prior art, so that environmental pollution does not occur, and human resources and reprocessing facilities for separate collection may be omitted.
따라서 각 가정 및 영업소별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대한 비용 발생이 따로 없고, 더 나가서 정부 및 지방자치관내에서 시설투자에 대한 비용 부담이 없을 뿐만 아니라 종래 매립지에서의 오염, 악취가 없고, 그 지역에서 발생되는 해충(파리, 모기) 쥐 등의 피해가 크게 예방되는 장점을 갖는다. Therefore, there is no cost for food waste disposal in each home and business office, and there is no cost burden for facility investment in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nd there is no pollution and odor in the conventional landfill, and Pests (flies, mosquitoes) rats have the advantage that the damage is greatly prevented.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음식물 쓰레기가 하수관으로 배출될 때의 압력저항을 감안하여 공기벤트관을 구비하고, 각 가정의 단위별로 막힘 처리용 개폐 구멍을 마련하였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를 정화조로 배출하는데 따르는 문제점을 사전에 예방된 것이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air vent pipe in consideration of the pressure resistance when the food waste is discharged into the sewage pip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for the clogging treatment is provided for each unit of the household, so the problem of discharging the food waste into the septic tank It is prevented in advance.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하수관을 별도로 마련된 음식물 쓰레기용 정화조로 배출하여 1차적인 정화처리를 한 후, 재차 분뇨 처리용 정화조로 보내어 분뇨와 동일하게 처리되도록 하면, 음식물 쓰레기용 정화조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자연 친화적인 비료 등을 재 생산할 수도 있는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 sewage pipe from which food waste is discharged is discharged to a separate food waste septic tank for primary purification, and then sent to the septic tank for manure treatment again to be treated in the same manner as manure, In the septic tank for trash, it has several advantages, such as being able to re-produce natural friendly fertilizer using food wast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83572A KR100764002B1 (en) | 2004-10-19 | 2004-10-19 | Garbage discharge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83572A KR100764002B1 (en) | 2004-10-19 | 2004-10-19 | Garbage discharge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34447A KR20060034447A (en) | 2006-04-24 |
KR100764002B1 true KR100764002B1 (en) | 2007-10-08 |
Family
ID=37143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83572A KR100764002B1 (en) | 2004-10-19 | 2004-10-19 | Garbage discharge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6400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350602B (en) * | 2015-11-30 | 2018-01-09 | 广州绿竹环保科技有限公司 | Sanitary wastewater regeneration treatment syste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45609Y1 (en) | 1997-04-08 | 1999-06-15 | 강용묵 | Sink installed in crusher and purifier |
KR20000006618A (en) * | 1999-06-30 | 2000-02-07 | 이경주 | Sewage and kichen waste disposalment system |
KR200338678Y1 (en) | 2003-10-30 | 2004-01-16 | 김양욱 | disposal structure of food garbage of sink |
KR20050047887A (en) * | 2003-11-18 | 2005-05-23 | 주식회사 우심시스템 | A disposer use soil pipe |
-
2004
- 2004-10-19 KR KR1020040083572A patent/KR10076400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45609Y1 (en) | 1997-04-08 | 1999-06-15 | 강용묵 | Sink installed in crusher and purifier |
KR20000006618A (en) * | 1999-06-30 | 2000-02-07 | 이경주 | Sewage and kichen waste disposalment system |
KR200338678Y1 (en) | 2003-10-30 | 2004-01-16 | 김양욱 | disposal structure of food garbage of sink |
KR20050047887A (en) * | 2003-11-18 | 2005-05-23 | 주식회사 우심시스템 | A disposer use soil pip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34447A (en) | 2006-04-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51100B2 (en) | Waste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 |
US8801930B2 (en) | Method and apparatus of solid wastes automatic collection ductwork evacuation and comprehensive utilization | |
CN101844144B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otally-closed garbage emission and transmission atomization and comprehensive utilization | |
CN107986583A (en) | A kind of business lives cell zero release of pollutant processing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 |
CN110130448A (en) | A kind of garbage treatment device and method | |
KR101290002B1 (en) | Food waste disposer | |
KR100764002B1 (en) | Garbage discharge system | |
CN2766957Y (en) | Kitchen refuse disintegrating, vacuum pumping apparatus | |
US8091811B2 (en) | Apparatus for collecting, processing, and recycling kitchen scraps | |
CN215440260U (en) | Community kitchen garbage disposal fermentation device | |
JP2001310170A (en) | United treatment method of organic kitchen refuse (garbage) and domestic wastewater by combining anaerobic septic tank and wastewater processing system | |
CN207918634U (en) | A kind of quotient lives cell zero release of pollutant processing system | |
KR20110002603U (en) | Food waste disposer | |
KR20050012084A (en) | Food garbage collection and processing plant of group residing style building | |
KR100776021B1 (en) | Processing system of food wastes | |
CN213542478U (en) | Garbage disposal device | |
CN211973700U (en) | Domestic miniature kitchen garbage processor | |
CN212387972U (en) | Kitchen waste centralized collection system | |
KR101345231B1 (en) | Food waste disposer in collection | |
KR200270122Y1 (en) | Food trash system of kitchen room in apartments | |
CZ20003830A3 (en) | System for collecting, transporting and recycling domestic sewage, biological waste, black water and other biologically degradable organic substances and method for such collecting, transport and recycling | |
KR20050047887A (en) | A disposer use soil pipe | |
CN215049736U (en) | Household kitchen garbage biochemical decomposition machine | |
JPH09202681A (en) | Rubbish-treating device | |
CN108755867B (en) | Kitchen garbage disposal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