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3856B1 - 바닥콘크리트층에 의해 가압 고정되는 집수정 구조체 설치공정 - Google Patents

바닥콘크리트층에 의해 가압 고정되는 집수정 구조체 설치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3856B1
KR100763856B1 KR1020070079469A KR20070079469A KR100763856B1 KR 100763856 B1 KR100763856 B1 KR 100763856B1 KR 1020070079469 A KR1020070079469 A KR 1020070079469A KR 20070079469 A KR20070079469 A KR 20070079469A KR 100763856 B1 KR100763856 B1 KR 100763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lecting
concrete layer
bottom concrete
mold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9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옥교
Original Assignee
박옥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옥교 filed Critical 박옥교
Priority to KR1020070079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38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underground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Abstract

본 발명은 집수정 구조체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수를 수용하기 위한 집수부의 상방에서 바닥콘크리트층이 집수정 구조체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누르도록 구성하여, 바닥콘크리트층에 의해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집수정과 같이 부력 및 지내력에 대한 지지력을 확보하며,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설치 공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바닥콘크리트층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집수정 구조체를 설치하기 위하여, 바닥을 포함하고, 상방으로 형틀이 결합되는 집수 지지부를 배치하는 집수부 안착공정; 상기 집수부 안착공정의 전 또는 후에 상기 집수 지지부의 상방으로 개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형틀을 배치하는 형틀고정공정; 및 상기 집수 지지부의 상측으로 바닥콘크리트층이 형성되도록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바닥콘크리트 타설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집수정의 저항력, 지내력이 바닥콘크리트의 누름 압력에 의해 발생되므로, 종래의 전단 압력에 의해 형성되는 저항력, 지내력에 의한 것보다 더욱 확고하게 집수정을 지지,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집수정 구조체가 바닥콘크리트 타설 후 경화되면 바닥콘크리트층에 의해 자연스럽게 지지되어 저항력, 지내력을 확보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집수정, 바닥콘크리트, 지내력, 상향수압, 보강부재

Description

바닥콘크리트층에 의해 가압 고정되는 집수정 구조체 설치 공정 {SUMP SYSTEM SETTING METHOD}
본 발명은 집수정 구조체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수를 수용하기 위한 집수부의 상방에서 바닥콘크리트층이 집수정 구조체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누르도록 구성하여, 바닥콘크리트층에 의해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집수정과 같이 부력 및 지내력에 대한 지지력을 확보하며,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설치 공정에 대한 것이다.
집수정은 건물지하층 하부의 지하수 또는 빗물을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최근 건축되는 거의 모든 건물에는 집수정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집수정은 공사가 진행 중일 경우에는 공사현장의 빗물과 지하수를 모아 양수를 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공사가 끝난 후에는 모여진 물을 펌프로 배출하기 전까지 수용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집수정은 건물의 최하층 슬래브보다 낮아야 하므로, 집수정을 설치하기 위해 서는 별도의 터파기 및 집수정 구조 형성을 위한 철근콘크리트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별도의 공기가 소요된다. 아울러 물로부터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일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소요되는 것보다 더 큰 노력과 비용이 소요된다.
종래의 집수정은 바닥면의 일부로서 지내력을 만족시켜야 하는 구조적인 목적과 지하수 또는 빗물을 모아 외부로 배출시키는 집수정이라는 기능상의 목적을 만족해야 하므로, 설계시에 집수정을 바닥콘크리트층 두께와 동일한 두께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형상의 집수정은 기능상의 목적을 달성하는 일과 시공을 수행하는데 많은 어려운 점이 있는데, 집수정이 설치되는 부분은 가장 깊은 위치가 되어야 하는데, 이 부분에는 지하수가 많이 모이게 되므로 철근콘크리트 작업을 수행하기가 매우 난해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시공 품질이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집수정과 연결되기 위한 기타 복잡한 구성들이 두꺼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설치하기 어렵고, 그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 사후 보정이 어려운 문제 등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금속재의 일체형 집수정이 안출되었다. 도 1은 종래의 금속재 집수정의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금속재 집수정은 원통형의 구조로서, 굴토마감면(1)을 터파기하고, 그 안쪽에 묻히는 구조물의 형태를 갖고 있다.
종래의 금속재 집수정(110)은 일종의 탱크 형태로 지하 굴토마감면(1)에 묻히게 되며, 그 상부는 버림콘크리트층(2), 바닥콘크리트층(3) 및 누름콘크리트층 (미도시)에 의해 지지된다. 외측에는 돌출된 플랜지(미도시)를 통해 바닥콘크리트층(3) 내부에 묻히면서 고정, 지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일체형 금속재 집수정(110)은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다량의 콘크리트를 사용하거나, 정밀한 터파기 및 설계가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금속재 집수정(110)은 다양하게 변화하는 바닥콘크리트층(3)의 두께에 맞추기 위해 각각의 집수정마다 높이를 다르게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플랜지(미도시) 만으로 위치를 고정시켜야 하므로, 콘크리트층이 약간이라도 파손되거나, 이격이 발생되는 경우 급격한 지지력 약화로 인해 위치가 변경되거나 주위가 파손되고, 떠오르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바닥콘크리트층 자체를 이용하여, 집수정을 하방으로 가압하고 누르는 형태의 구조체 및 시공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바닥콘크리트층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지지되면서 지내력을 확보할 수 있는 집수정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콘크리트의 두께에 따라 각각 제조할 필요가 없으며, 일부 형틀 교체만으로 모든 바닥콘크리트의 두께와 조건에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집수정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판형 집수 지지부를 구비하여, 바닥콘크리트층이 두꺼운 경우에 단순한 판 형상의 집수부 만으로 집수정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집수정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바닥콘크리트층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집수정 구조체를 설치하기 위하여, 바닥을 포함하고, 상방으로 형틀이 결합되는 집수 지지부를 배치하는 집수부 안착공정; 상기 집수부 안착공정의 전 또는 후에 상기 집수 지지부의 상방으로 개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형틀을 배치하는 형틀고정공정; 및 상기 집수 지지부의 상측으로 바닥콘크리트층이 형성되도록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바닥콘크리트 타설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콘크리트층 내에 배치되는 철근의 단부가 상기 집수 지지부의 상측 위치까지 연장되어 배치되는 바닥철근 배치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닥콘크리트층 내에서 가압,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집수정 구조체를 설치하기 위하여, 바닥을 포함하고, 상방으로 형틀이 결합되는 집수 지지부를 배치하는 집수부 안착공정; 상기 집수부 안착공정의 전 또는 후에 상기 집수 지지부의 상방으로 개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형틀을 배치하는 형틀고정공정; 상기 바닥콘크리트층 내에 배치된 철근 중 하측부에 위치된 철근을 상기 집수 지지부와 연결하는 바닥철근 연결공정; 및 상기 집수 지지부의 상하측으로 바닥콘크리트층이 형성되도록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바닥콘크리트 타설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수 지지부의 외측으로 결합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바닥콘크리트층 내의 철근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수 지지부의 하측으로 보강부재가 다수 구비되고, 상기 보강부재의 사이사이에는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틀의 외측에는 결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바닥콘크리트층 내의 철근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집수정의 저항력, 지내력이 바닥콘크리트의 누름 압력에 의해 발생되므로, 종래의 전단 압력에 의해 형성되는 저항력, 지내력에 의한 것보다 더욱 확고하게 집수정을 지지,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집수정 구조체가 바닥콘크리트 타설 후 경화되면 바닥콘크리트층에 의해 자연스럽게 지지되어 저항력, 지내력을 확보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집수정 제작이 간편하고 운반이 용이하며 집수정 제작시 자재가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형틀의 변화만으로 다양한 환경, 두께의 바닥콘크리트층 높이에서도 집수정을 교체하지 않으면서도 사용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되고, 시공기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판형 집수 지지부를 사용하므로, 사전 제작이 용이하고 운반이 간편하며, 제작 비용이 감소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 구성의 일 실시례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집수부 설치 공정에 따른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집수부(10)는 외측에 보강부재(12)가 형성되고, 보강부재(12)는 바닥콘크리트층(3)의 하부에 놓이므로, 바닥콘크리트층(3)이 보강부재(12)를 누르며, 강하게 하방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집수부(10)는 철재, 금속재 또는 기타 견고한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 며, 그 형태도 바닥과 측벽을 포함하여, 원통형, 사각기둥형 등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집수부(10)는 지하수, 우수, 오수의 유입량에 따라 형상이나 크기를 사전에 결정, 제작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그 상단에 별도의 형틀(미도시)이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거가 필요없는 매립형 형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형틀(미도시)은 현장 제작도 가능하므로 다양한 두께의 바닥콘크리트층 형성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보강부재(12)는 집수부(10) 측벽의 외측으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는 판형의 부재이다. 보강부재(12)가 집수부(10) 측벽을 따라 외곽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경우, 측벽 자체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는 외곽 전체가 아닌 일부분에만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강부재(12)는 집수부(10)와 일체로 결합되면서, 바닥콘크리트층(3)의 하부에 놓인다. 바닥콘크리트층(3)은 보강부재(12)가 하측 또는 하부에 놓이도록 하여, 바닥콘크리트층(3) 전체의 무게로 보강부재(12)를 눌러 집수부(10)가 떠오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바닥콘크리트층(3) 내에는 철근(40)이 여러 층으로 배치된다. 이는 바닥콘크리트층(3)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철근(40)이 보강부재(12)가 배치된 위치의 바로 상방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면서, 철근(40)이 위치된 바닥콘크리트층(3)이 보강부재(12)를 누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각 구성의 설치를 위해서는 먼저 굴토마감면(1) 내에 집수부(10)가 안착되기 위한 공간을 터파기하고, 버림콘크리트(2)를 일정 두께로 타설한다. 집수부(10)를 터파기한 공간에 안착시킬 때, 보강부재(12)가 버림콘크리트층(2)의 바로 위, 그리고 바닥콘크리트층(3)이 형성될 위치 하측 또는 하부에 놓이도록 한다. 철근(40)을 배치한 후에는, 바닥콘크리트(3)를 타설하고, 그 상측에 덮개(5)를 덮으며 누름콘크리트(4)를 타설하게 된다.
이러한 바닥콘크리트층(3)과 보강부재(12)와의 상호 위치에 따라, 바닥콘크리트층(3)은 보강부재(12)와 이에 연결된 집수부(10)를 강한 하중으로 하방 가압하게 되어, 강한 지지력, 지내력을 갖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집수부에 결합부재가 구비된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집수부(10)의 외측면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별도의 결합부재(14)가 더 구비되며, 이 결합부재(14)는 바닥콘크리트층(3) 내의 철근(40)과 연결, 결합된다.
보강부재(12)가 바닥콘크리트층(3)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는 부분이라면, 결합부재(14)는 바닥콘크리트층(3) 내에서 일체로 굳어지면서 철근(40)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결합부재(14)는 측벽의 외부 전체 또는 일부 영역에 형성되며, 결합부재(14)에는 철근(40)이 관통되거나, 별도로 연결되도록 한다.
결합부재(14)는 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바닥콘크리트층(3)이 더욱 강하게 집수부(10)를 고정, 지지하게 되고, 철근(40) 까지도 같이 밀접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강한 강도를 갖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집수부 상측에 형틀이 결합된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과 마찬가지로 보강부재(12)의 상방으로 결합부재(14)가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에 형틀(20)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형틀(20)은 집수부(10) 상단에 배치되며, 바닥콘크리트층(3)의 두께는 부력 및 건축물의 자중에 따라 30cm ~ 3.5m 까지도 변함에 따라, 마찬가지로 형틀(20)의 높이가 변화하게 된다. 형틀(20)은 나무 판재, 철판, 메탈매시 등 바닥콘크리트층의 외곽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추후 분리 가능한 것이던, 매립되어 일체화되는 것이던 상관없이 자유롭게 적용이 가능하다. 형틀(20)과 집수부(10)의 사이 공간, 기타 개방 공간이나 누설이 가능한 공간, 집수부(10)의 외주면 일부 등, 물이나 콘크리트 몰탈이 누설될 수 있는 공간에 외부로부터의 지하수 유입방지, 방수 및 밀폐를 위해 통상의 지수재를 일정 두께로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 때 바닥콘크리트층의 두께 및 지하수, 우수, 오수의 유입량에 따라 형틀(20)의 높이와 크기를 변화시키고, 설치되는 펌프(미도시)의 용량을 변화시키는 작업을 통해, 집수부(10)의 크기 및 형태는 항상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집수부(10)의 규격화, 호환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형틀(20)은 집수부(10)의 측벽 상방으로 나란히 수직 형성될 수도 있으며, 안쪽으로 약간 내입되도록 형성되어, 바닥콘크리트층(3)이 집수부(10) 상방을 약간 덮도록 할 수도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집수부에 다른 형태의 결합부재가 구비된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집수부(10)는 비교적 낮은 높이로 형성되고, 형틀(도 5에서는 이미 제거됨)의 형상이 약간 내입되도록 위치되어, 바닥콘크리트층(3)이 집수부(10)의 보강부재(12)와 상측을 일부 덮도록 형성된다.
이는 바닥콘크리트층(3)이 매우 두꺼운 경우에, 집수부(10)의 높이를 낮게 하면서 높이가 큰 형틀을 사용하여 시공하는 방법에 따른 것이다. 집수부(10)의 보강부재(12) 상측에는 수직방향의 결합부재(16)가 형성된다. 결합부재(16)는 바닥콘크리트층(3) 내의 철근(40)에 결합, 고정된다. 바닥콘크리트층(3)은 집수부(10)와 보강부재(12)를 하방 가압하는 동시에, 결합부재(16)가 내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구조적인 강성이 보다 견고해 지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집수부에 차수부가 형성된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와 같은 구성에서, 내측에 돌출되는 별도의 차수부(18)를 구비한다. 차수부(18)는 집수부(10)의 외각을 감싸며 원형 또는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경계를 형성한다. 차수부(18)가 형성됨으로 인해, 버림콘크리트층(2)과 바닥콘크리트층(3) 사이를 흐르는 물이 틈을 따라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차수부(18) 자체가 바닥콘크리트층(3) 내에서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집수부의 측벽에 단차가 형성된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바닥콘크리트층(3)에 의해 하방 가압되기 위하여, 보강부재를 사용하기 이전에 집수부(10)의 자체 형태를 개선할 수도 있다. 즉, 집수부(10)의 측벽 중 내측 개방 단면적이 좁아지면서 내입되어 단차를 형성하고, A부분과 같이 집수부(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수평의 면부분을 포함하도록 하여, 바닥콘크리트층(3)이 이 부분을 가압하도록 한다.
집수부(10)의 A부분보다 하측 부분은 바닥콘크리트층(3)보다 하방에 묻히도록 하고, A부분을 포함하여 그 상측 부분은 바닥콘크리트층(3)이 형성되도록 한다. 바닥콘크리트층(3)은 A부분을 하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단차형 집수부(10)의 측벽 외측에 별도의 보강부재, 결합부재를 형성하여, 보다 강한 구조적 강성을 확보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집수부 보강부재 하측에 지지부가 형성된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바닥콘크리트층(3)의 두께가 두껍고, 집수부(10)의 용량이 크게 필요하지 않을 때, 집수부(10)를 굴토마감면(1) 상방에 놓고, 버림콘크리트(2), 바닥콘크리트(3)를 타설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강부재(12)는 마찬가지로 바닥콘크리트층(3)에 의해 하방 가압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보강부재(12)의 하방에는 보강부재(1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1)가 보강부재(12)와 수직으로 하방에 형성된다. 보강부재(12)의 바로 상방으로는 철근(40)의 단부가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집수 지지부와 형틀을 사용한 설치 공정에 따른 집수정 구 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굴토마감면(1) 상에 버림콘크리트(2)를 타설하면서 판형태의 집수 지지부(50)를 배치한다. 또는 버림콘크리트(2)를 나중에 타설하면서 집수 지지부(50)의 테두리를 일부 덮도록 할 수도 있다.
집수 지지부(50)는 지내력을 확보하고 상향 수압을 지탱하기 위해 견고한 재질로 구성되며, 녹이 슬거나 파손되지 않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로 금속 재질을 사용하며, 도금재료, 강성 플라스틱을 사용하거나, 그 외부를 코팅하거나, 거푸집 등에 의해 외부에 콘크리트를 일정 두께로 감싸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수 지지부(50)는 평평한 판형태의 구성으로서, 테두리에 높은 높이의 측벽이 없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는 바닥콘크리트층(3)이 매우 두꺼운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형틀(20)에 의해 형성되는 바닥콘크리트층(3)의 측벽 자체가 집수정 구조체의 일 구성으로서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콘크리트층과 집수 지지부(50) 사이의 공간으로 지하수가 유입되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게 위해, 그 사이 부분에 지수재를 일정 두께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형 집수 지지부(50)는 테두리 부분이 바닥콘크리트층(3) 하부에 묻히게 되면서, 하방으로 가압되는 힘에 의해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되고, 누출 공간을 세밀하게 밀폐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바닥면(1)이 고르지 않아 위 집수 지지부(50)와 바닥면(1) 사이의 미세한 틈이 발생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별도의 호스(미도시)나 관(미도시)을 미리 배치해 놓거나, 집수 지지부(50)에 투입구멍(미도시)을 잠시 형성하여, 콘크리트나 기타 충진제를 그라우팅하여 채워 넣어, 틈 사이에 물이 고이는 등의 이유로 집수 지지부(50)에 녹이 슬거나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집수 지지부에 결합부재가 구비된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집수 지지부에 차수부가 형성된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집수 지지부에 다른 형태의 결합부재가 구비된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집수 지지부(50)의 테두리부에는 상방으로 형성되는 결합부재(52)를 더 형성하고, 결합부재(52)를 통해 바닥콘크리트층(3) 내의 철근(40)과 결합되도록 한다. 이 경우 바닥콘크리트층(3)이 집수 지지부(50)의 테두리부를 강하게 누르는 동시에, 결합부재(52)가 철근(40)에 밀접하게 결합되어 일체로 견고히 고정되면서, 강한 구조적 성능을 갖게 된다. 또한 결합부재(52)가 주위를 밀폐하면서 사방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차수부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도 11과 같이 내측에 별도의 차수부(54)를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12를 참조하면, 결합부재(52)는 바닥콘크리트층(3) 내의 철근(40)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다양한 형태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집수부 보강부재를 연결철근으로 연결하며 가압하는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집수 지지부를 연결철근을 연결하여 가압하는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보강부재(12) 또는 집수 지지부(50)의 일정 부분으로, 철근(40)과 연결되는 연결철근(42)을 더 구비하여, 바닥콘크리트층(3)과 그 내부의 철근(40)이 가하는 하방 가압력을 연결철근(42)을 통해 보다 확고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연결철근(42)은 철근(40)과 집수부(10), 집수 지지부(50)를 연결하는 철근으로서, 형상이나 연결방식에 특별한 제한이나 한정 사항은 없다.
도 15는 본 발명의 집수부의 다른 설치 공정에 따른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집수부의 또 다른 설치 공정에 따른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보강부재(12)는 바닥콘크리트층(3)의 하부에 배치되는 동시에, 집수부(10) 측방으로 결합부재(14)가 형성되어, 결합부재(14)에 수평형의 바닥콘크리트 철근 특히, 하부층에 배치되는 하부철근(44)이 연결, 결합된다. 결합부재(14)의 하측에는 지지부(15)가 형성되고, 내부측에는 내부보강부재가 형성되어 집수부(10) 등의 지지강도, 구조강도를 향상시킨다.
도 16을 참조하면, 전체적인 구조는 도 15에 도시된 구조와 동일하되, 집수부(10)가 버림콘크리트(2)가 없는 B부분 즉, 굴토마감면(1) 바로 상측에 안착되어 바닥콘크리트층(3)에 의해 가압, 고정되도록 하는 점에 차이가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집수부에 하측 보강부재가 구비된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집수부(10)의 하방으로 보강부재(17) 가 형성되도록 한 후, 그 사이사이로 콘크리트(19)를 채워 넣은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집수부(10)의 하부 보강부재(17)의 사이사이로 콘크리트(19)가 채워지도록 하는 경우, 콘크리트(19)로 인해 강성이 보강되면서 집수부(10)의 하부 바닥면의 두께가 얇더라도, 하중을 지지하는데 지장이 없게 된다. 따라서 집수부(10) 제작에 소요되는 재료를 절감할 수 있으며, 대신 콘크리트(19)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집수 지지부(50)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는 집수 지지부(50)의 하방으로 바닥콘크리트가 흘러 들어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별도의 구멍을 형성하거나, 호스(미도시) 또는 관(미도시)을 배치해 놓은 후, 바닥콘크리트 타설 전 또는 후에 별도의 콘크리트나 충진제를 그라우팅하여, 빈 공간을 없애고, 지하수가 직접 금속재의 집수 지지부(50)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집수 지지부(50) 자체에 홀(미도시)을 형성한 후, 이 홀에 호스 등을 삽입하여 하부, 내부를 충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8은 본 발명의 집수부의 보강부재가 바닥콘크리트층 내에서 철근과 연결된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집수부의 결합부재가 바닥콘크리트층 내에서 철근과 연결된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보강부재(12)가 바닥콘크리트층(3) 내에 존재하여 일체로 구성되고, 이 때 바닥콘크리트층(3) 내의 철근(40), 특히 하부철근과 연결되도록 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측에 별도의 결합부재(14)를 형성하여, 다른 위치에서 철근(40)과 연결되도록 하여, 일체로 견고히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20은 본 발명의 집수부 상측에 형틀이 결합된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보강부재(12)의 상측으로 형틀(20)이 세워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형틀(20)은 시공 후에 제거될 수도 있고, 일체로 남겨질 수도 있게 된다.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형틀에 결합부재가 형성된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형틀(20)의 바깥쪽으로 결합부재(22)가 형성되도록 하여, 형틀(20)도 바닥콘크리트층(3) 내의 철근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판형 집수 지지부(50)의 상방으로 배치되는 형틀(20)의 바깥쪽에도 결합부재(22)가 형성되며, 바닥콘크리트층(3) 철근(40)의 하부나 상부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집수부의 설치 공정에 따른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보강부재(12)가 바닥콘크리트층(3) 내의 하부철근(44)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집수부(10)를 버림콘크리트층(2)이 없는 B위치에 바로 올려놓을 수도 있다.
상기한 방법을 통해 통해 집수부 또는 집수 지지부는 바닥콘크리트에 의해 하방으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형상과 결합 형태는 청구범위의 기재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집수정 구조체 설치 공정에 따른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집수부 설치 공정에 따른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집수부에 결합부재가 구비된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집수부 상측에 형틀이 결합된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집수부에 다른 형태의 결합부재가 구비된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집수부에 차수부가 형성된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집수부의 측벽에 단차가 형성된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집수부 보강부재 하측에 지지부가 형성된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집수 지지부와 형틀을 사용한 설치 공정에 따른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집수 지지부에 결합부재가 구비된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 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집수 지지부에 차수부가 형성된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집수 지지부에 다른 형태의 결합부재가 구비된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집수부 보강부재를 연결철근으로 연결하며 가압하는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집수 지지부를 연결철근을 연결하여 가압하는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집수부의 다른 설치 공정에 따른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집수부의 또 다른 설치 공정에 따른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집수부에 하측 보강부재가 구비된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집수부의 보강부재가 바닥콘크리트층 내에서 철근과 연결된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집수부의 결합부재가 바닥콘크리트층 내에서 철근과 연결된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집수부 상측에 형틀이 결합된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형틀에 결합부재가 형성된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집수부의 설치 공정에 따른 집수정 구조체 설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굴토마감면 2 : 버림콘크리트
3 : 바닥콘크리트 4 : 누름콘크리트
5 : 덮개 10 : 집수부
11 : 지지부 12 : 보강부재
14 : 결합부재 15 : 지지부
16 : 결합부재 17 : 보강부재
18 : 차수부 19 : 콘크리트
20 : 형틀 22 : 결합부재
40 : 철근 42 : 연결철근
50 : 집수 지지부 52 : 결합부재
54 : 차수부

Claims (6)

  1. 바닥콘크리트층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집수정 구조체를 설치하기 위하여,
    바닥을 포함하고, 상방으로 형틀이 결합되는 집수 지지부를 배치하는 집수부 안착공정;
    상기 집수부 안착공정의 전 또는 후에 상기 집수 지지부의 상방으로 개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형틀을 배치하는 형틀고정공정; 및
    상기 집수 지지부의 상측으로 바닥콘크리트층이 형성되도록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바닥콘크리트 타설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구조체 설치 공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콘크리트층 내에 배치되는 철근의 단부가 상기 집수 지지부의 상측 위치까지 연장되어 배치되는 바닥철근 배치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구조체 설치 공정.
  3. 바닥콘크리트층 내에서 가압,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집수정 구조체를 설치하 기 위하여,
    바닥을 포함하고, 상방으로 형틀이 결합되는 집수 지지부를 배치하는 집수부 안착공정;
    상기 집수부 안착공정의 전 또는 후에 상기 집수 지지부의 상방으로 개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형틀을 배치하는 형틀고정공정;
    상기 바닥콘크리트층 내에 배치된 철근 중 하측부에 위치된 철근을 상기 집수 지지부와 연결하는 바닥철근 연결공정; 및
    상기 집수 지지부의 상하측으로 바닥콘크리트층이 형성되도록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바닥콘크리트 타설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구조체 설치 공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 지지부의 외측으로 결합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바닥콘크리트층 내의 철근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구조체 설치 공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 지지부의 하측으로 보강부재가 다수 구비되고,
    상기 보강부재의 사이사이에는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구조체 설치 공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형틀의 외측에는 결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바닥콘크리트층 내의 철근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구조체 설치 공정.
KR1020070079469A 2007-08-08 2007-08-08 바닥콘크리트층에 의해 가압 고정되는 집수정 구조체 설치공정 KR100763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469A KR100763856B1 (ko) 2007-08-08 2007-08-08 바닥콘크리트층에 의해 가압 고정되는 집수정 구조체 설치공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469A KR100763856B1 (ko) 2007-08-08 2007-08-08 바닥콘크리트층에 의해 가압 고정되는 집수정 구조체 설치공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388A Division KR100766850B1 (ko) 2006-09-29 2006-09-29 바닥콘크리트층에 의해 가압 고정되는 집수정 구조체 설치공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3856B1 true KR100763856B1 (ko) 2007-10-05

Family

ID=39419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469A KR100763856B1 (ko) 2007-08-08 2007-08-08 바닥콘크리트층에 의해 가압 고정되는 집수정 구조체 설치공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38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1430A (ja) * 1988-05-31 1990-02-21 Toshiba Monofrax Co Ltd 蓄熱室用耐火物の空積み構造
JPH0291960A (ja) * 1988-09-29 1990-03-30 Rohm Co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1430A (ja) * 1988-05-31 1990-02-21 Toshiba Monofrax Co Ltd 蓄熱室用耐火物の空積み構造
JPH0291960A (ja) * 1988-09-29 1990-03-30 Rohm Co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실용 제0251430호
등록실용 제0291960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4693B1 (ko) 콘크리트 스틸 하우스 및 이를 이용한 말뚝기초 푸팅시공방법
KR100905432B1 (ko) 집수정 결합구조
CN206298900U (zh) 一种地下连续墙预埋式钢围檩堵头体系
KR101318957B1 (ko) 강도 보강형 집수정 및 집수정 설치 방법
KR200433220Y1 (ko) 집수정 구조체
KR100734047B1 (ko) 집수정 구조체 및 그 설치 공정
KR20120015503A (ko)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피트 시공방법
KR101761779B1 (ko) 기초 매입형 강재 집수정을 시공하는 방법
KR101327278B1 (ko) 사각 피라미드 기초 공법
KR100766850B1 (ko) 바닥콘크리트층에 의해 가압 고정되는 집수정 구조체 설치공정
KR200432040Y1 (ko) 집수정 구조체
KR100679480B1 (ko)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
KR100979138B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KR100763856B1 (ko) 바닥콘크리트층에 의해 가압 고정되는 집수정 구조체 설치공정
KR101808833B1 (ko) 전단보강재를 사용한 층고절감형 지하층의 기초바닥구조 및 시공방법
KR100641960B1 (ko) 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을 이용한 수중 기초구조물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기초구조물 시공방법
KR100821742B1 (ko) 측벽 보강형 집수정 구조체
KR20090043745A (ko)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JP5271720B2 (ja) 土間廻り部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CN212452765U (zh) 一种二墙合一式地下管廊结构
KR100823033B1 (ko) 강도 보강형 집수정 구조체
KR101162152B1 (ko) 집수정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80074057A (ko)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KR20080045597A (ko)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KR20110070384A (ko) 하부 철근 보강형 집수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