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3842B1 - 양파마늘 쌈장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양파마늘 쌈장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3842B1
KR100763842B1 KR1020060105564A KR20060105564A KR100763842B1 KR 100763842 B1 KR100763842 B1 KR 100763842B1 KR 1020060105564 A KR1020060105564 A KR 1020060105564A KR 20060105564 A KR20060105564 A KR 20060105564A KR 100763842 B1 KR100763842 B1 KR 100763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onion
weight
ssamjang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식
Original Assignee
김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식 filed Critical 김용식
Priority to KR1020060105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38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84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70Germinated pulse products, e.g. from soy bean sprou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4Fermentation of farinaceous cereal or cereal material; Addition of enzymes or microorg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파마늘 쌈장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원료인 양파와 마늘을 정선하여 선별, 탈피 및 수세한 후, 잘게 세절한 양파와, 탈피된 통마늘, 물을 혼합하여 80~100℃에서 2~3시간 찜하는 찜단계와, 찜단계를 거친 원료(양파:마늘:물)를 분쇄기에 넣고 3~4회 분쇄하는 분쇄 단계와, 상기 분쇄단계를 거친 분쇄된 원료(양파:마늘:물)에, 된장 , 소맥분, 물엿, 고추분, 소금, 메주가루를 서로 잘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혼합단계 거친 원료를 숙성용기(재래옹기)에 넣어 1개월간 상온에서 숙성시키는 숙성단계의 과정을 거쳐 쌈장이 제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마늘쌈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쌈장, 양파, 마늘

Description

양파마늘 쌈장 및 그의 제조방법{ Onion,garlic Samjang and it's mak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인 양파마늘 쌈장을 제조하는 제조과정의 흐름도
본 발명은 양파마늘 쌈장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원료인 양파와 마늘을 정선하여 선별, 탈피 및 수세한 후, 잘게 세절한 양파와, 탈피된 통마늘, 물을 혼합하여 80~100℃에서 2~3시간 찜하는 찜단계와, 찜단계를 거친 원료(양파:마늘:물)를 분쇄기에 넣고 3~4회 분쇄하는 분쇄 단계와, 상기 분쇄단계를 거친 분쇄된 원료(양파:마늘:물)에, 된장 , 소맥분, 물엿, 고추분, 소금, 메주가루를 서로 잘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혼합단계 거친 원료를 숙성용기(재래옹기)에 넣어 1개월간 상온에서 숙성시키는 숙성단계의 과정을 거쳐 쌈장이 제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마늘쌈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쌈장은 된장 및/또는 고추장에 마늘, 파, 깨소금, 참기름, 화학조미료 등의 양념을 넣어 만든 것으로, 주로 잎채소 또는 야채와 함께 쌈을 싸서 먹을시 사용하는 것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밥 또는 고기를 싸서 먹는 쌈에 간과 맛을 내기 위해 곁들여 먹는 음식으로 한국인의 입맛에 잘 맞아 식단에 자주 오르는 메뉴로 영양 및 정미성이 매우 좋으며, 생리적인 효과가 우수하다고 밝혀져 있으나, 이용 및 가공에서는 현재까지 단순 1차 가공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대부분 쌈장을 직접 집에서 만들어 먹었으나 최근에는 대량생산으로 포장된 제품을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게 되었으나. 쌈장의 제조방법은 만드는 사람이나 음식점 또는 제조회사에 따라 다양하며, 대부분 상술한 재료의 범주내에서 함량을 달리 하는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종래의 쌈장은 소금의 비율이 높아 매우 짜고 특히 어린이들의 입맛에 맞지 않아 쌈장을 꺼려하며 쌈장 자체의 영양분이 부족한 점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추장의 성분으로 인해 색깔도 매우 진하며 그 맛도 매워서 매운 것을 싫어하는 사람에게는 유용하지 못하였다.
백합과에 속하는 양파는 채소로 약용성분이 많고 향신료로서 독특한 향과 매운맛으로 예부터 조리시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또한 독특한 매운 맛을 내는 함황화합물과 함께 항균성, 항산화성, 혈압강하, 혈전용해능, 항통풍성 및 중금속 제거능 등 다양한 생리기능적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그러나 주기적으로 공급 부족 또는 과잉생산이 반복되어 수급의 문제를 자주 나타내며, 특히 과잉생산 때는 가격이 폭락하여 재배농가의 안정적인 소득원이 되지 못 할뿐 아니라 단순 가공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이에 적절한 활용을 위한 다각적인 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마늘은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최근에는 혈액순환 개선, 정력증 진, 피로회복 등에 효능을 내는 의약품 또는 건강보조식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마늘에 들어있는 성분은 대개 황화합물로 이 때문에 특유의 냄새가 나고 항산화작용으로 세포노화와 암발생을 예방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근거는 확실하지 않으나 마늘을 갈았을 때 나오는 휘발성 황화합물은 암예방 효과가 있다. 또 가열했을 때 2차적으로 생성되는 아호엔이라는 물질은 동맥경화에 유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마늘은 성질이 뜨거워 신체 구석구석을 따뜻하게 해주고 말초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내려준다. 따라서 손발이 찬 사람이 먹으면 좋다. 마늘즙은 특히 혈중 콜레스테롤치를 내려 동맥경화를 예방한다. 또 마늘의 지용성 성분이 혈당과 지질을 낮춰 당뇨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도 있다. 마늘에는 당질이 19.3%, 지질 0.1%, 무기질 0.5%, 들어 있는데 당질의 대부분이 과당이다. 비타민 B1, B2, C도 풍부하고, 무기질로는 칼슘, 철분, 유황 등이 많다.
그리고, 마늘이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의 혈전 형성을 억제하거나 혈전을 감소시키는 한편, 심장마비를 일으키는 커다란 위험요인인 혈중 호모시스테인 수치를 내리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발명자는 영양이 풍부하면서도 새로운 맛을 내는, 특히 양파와 마늘을 곁들이기에 적합한 쌈장을 개발하고자 노력하던 중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더욱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원료인 양파와 마늘을 정선하여 선별, 탈피 및 수세한 후, 잘게 세절한 양파와, 탈피된 통마늘, 물과 혼합하여 찜단계를 거친 원료 (양파:마늘:물)를 분쇄기에 넣고 분쇄한 후, 상기의 원료(양파:마늘:물)에, 된장, 소맥분, 물엿, 고추분, 소금, 메주가루를 서로 잘 혼합하여 숙성시키는 숙성단계의 과정을 거쳐 쌈장이 제조되어지는 것으로, 특히, 양파와는 마늘은 영양이 풍부하면서도 독특한 새로운 맛을 내면서 간편하게 먹을 수 있게 하는 양파와 마늘을 이용한 쌈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파마늘 쌈장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원료인 양파와 마늘을 정선하여 선별, 탈피 및 수세한 후, 잘게 세절한 양파와, 탈피된 통마늘, 물을 혼합하여 80~100℃에서 2~3시간 찜하는 찜단계와, 찜단계를 거친 원료(양파:마늘:물)를 분쇄기에 넣고 3~4회 분쇄하는 분쇄 단계와, 상기 분쇄단계를 거친 분쇄된 원료(양파:마늘:물)에, 된장 , 소맥분, 물엿, 고추분, 소금, 메주가루를 서로 잘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혼합단계 거친 원료를 숙성용기(재래옹기)에 넣어 1개월간 상온에서 숙성시키는 숙성단계의 과정을 거쳐 쌈장이 제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마늘쌈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인 양파마늘 쌈장을 제조하는 제조과정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 원료를 찜하는 찜단계(1)와, 찜단계를 거친 원료(양파:마늘:물)를 분쇄하는 분쇄 단계(2)와, 여러 가지 원료들을 잘 혼합하는 혼합단계(3)와, 원료를 숙성시키는 숙성단계(4)의 과정을 거쳐 양파마늘쌈장이 제조되어 지며, 이를 단계별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양파마늘 쌈장의 제조방법
제 1 공정(찜단계)에서는, 먼저, 양질의 양파와 마늘을 선별하여 껍질을 벗긴 후, 흙이나 불가식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이를 세척하여, 양파는 잘게 세절하여 사용하였으며, 마늘은 껍질이 탈피된 통마늘을 통재로 사용하여, 물과 함께 이들을 솥에 넣어 80~100℃에서 2~3시간 찜하는 찜단계(1)로, 이들의 비율은 잘게 세절한 양파 25~35 중량%, 탈피된 통마늘 10~20 중량%, 물 45~55 중량%로 하여 전체 비율을 100 중량%로 혼합하여 실시하는 공정이다.
제 2 공정(분쇄단계)에서는, 찜단계(1)를 거친 양파, 마늘, 물로 혼합되어 찜된 원료(양파:마늘:물)를 분쇄기에 넣고 이들을 미세화 시키기 위해 3~4회 분쇄하는 분쇄 단계를 실시하는 공정이다.
제 3 공정(혼합단계)에서는, 상기의 분쇄단계(2)를 거친 분쇄된 원료(양파:마늘:물)를 20~30 중량%, 된장 30~40중량%, 소맥분 10~20 중량%, 물엿 10~20 중량%, 고추분 5~10 중량%, 소금 3~5 중량%, 메주가루 2~5 중량%로 하여 전체 비율을 100 중량%로 서로 잘 혼합하는 혼합단계를 실시하는 공정이다.
제 4 공정(숙성단계)에서는, 상기의 혼합단계(3) 거친 원료를 숙성용기(재래옹기)에 넣어 1개월간 상온에서 숙성시키는 숙성단계의 공정을 거쳐 양파마늘쌈장이 제조되어지는 것이다.
최종적인 숙성이 완료된 쌈장은 규격용기에 정량을 담아 포장 제품화한다.
따라서, 본 발명인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양파마늘쌈장은 소비자가 요구하는 품질의 고급화 및 다양성을 갖춘 장류 제품으로 유용할 것이라 사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양파마늘쌈장은 영양분이 풍부한 양파와 마늘을 이용한 것으로, 양파와 마늘 특유의 보존성 및 향미를 부여하여 기호성이 증가되고, 소비자가 요구하는 간편성 및 품질을 고루 갖추고 동시에 주재료, 부재료 및 기타 조미료에 의한 영양성 증대효과와 함께 향미가 잘 조화되게 함으로서 고부가가치의 창출, 장류제품의 다양화 및 품질 고급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양파마늘쌈장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료인 양파와 마늘을 정선하여 선별, 탈피 및 수세한 후, 잘게 세절한 양파 25~35 중량%, 탈피된 통마늘 10~20 중량%, 물 45~55 중량%로 하여 전체 비율을 100 중량%로 혼합하여 80~100℃에서 2~3시간 찜하는 찜단계(1)와:,
    찜단계(1)를 거친 원료(양파:마늘:물)를 분쇄기에 넣고 3~4회 분쇄하는 분쇄 단계(2)와:,
    상기 분쇄단계(2)를 거친 분쇄된 원료(양파:마늘:물) 20~30 중량%, 된장 30~40중량%, 소맥분 10~20 중량%, 물엿 10~20 중량%, 고추분 5~10 중량%, 소금 3~5 중량%, 메주가루 2~5 중량%로 하여 전체 비율을 100 중량%로 서로 잘 혼합하는 혼합단계(3)와;,
    혼합단계(3) 거친 원료를 숙성용기(재래옹기)에 넣어 1개월간 상온에서 숙성시키는 숙성단계(4)의 과정을 거쳐 쌈장이 제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마늘쌈장의 제조방법.
  2. 제 1항의 양파마늘쌈장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마늘쌈장.
KR1020060105564A 2006-10-30 2006-10-30 양파마늘 쌈장 및 그의 제조방법 Active KR100763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564A KR100763842B1 (ko) 2006-10-30 2006-10-30 양파마늘 쌈장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564A KR100763842B1 (ko) 2006-10-30 2006-10-30 양파마늘 쌈장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3842B1 true KR100763842B1 (ko) 2007-10-05

Family

ID=39419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564A Active KR100763842B1 (ko) 2006-10-30 2006-10-30 양파마늘 쌈장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384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740B1 (ko) 2013-06-27 2015-04-23 소담영농조합법인 식이섬유가 함유된 마늘 쌈장 제조방법
KR20180091618A (ko) 2017-02-07 2018-08-16 한순옥 양파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의 제조 방법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간장 및 된장
KR20220127434A (ko) 2021-03-11 2022-09-20 조영진 곰보배추 비빔 쌈장 제조방법 및 그 쌈장
KR102712799B1 (ko) 2023-10-05 2024-10-04 주식회사 엠버케이 비건 파래 쌈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비건 파래 쌈장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4428A (ko) * 1996-03-22 1997-10-13 민원식 쌈밥용 쌈장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4428A (ko) * 1996-03-22 1997-10-13 민원식 쌈밥용 쌈장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740B1 (ko) 2013-06-27 2015-04-23 소담영농조합법인 식이섬유가 함유된 마늘 쌈장 제조방법
KR20180091618A (ko) 2017-02-07 2018-08-16 한순옥 양파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의 제조 방법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간장 및 된장
KR20220127434A (ko) 2021-03-11 2022-09-20 조영진 곰보배추 비빔 쌈장 제조방법 및 그 쌈장
KR102712799B1 (ko) 2023-10-05 2024-10-04 주식회사 엠버케이 비건 파래 쌈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비건 파래 쌈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35658A (zh) 一种果蔬红薯片及其制备方法
CN103637141A (zh) 一种火锅调味料及其制备方法
CN101218972A (zh) 风味辣酱制作方法
CN103948008A (zh) 一种香辣牛肉酱及其制备方法
KR100763842B1 (ko) 양파마늘 쌈장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015497A (ko) 라면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54570B1 (ko) 감미 증진 부석태 한식 간장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263200B1 (ko) 흑마늘 밥 제조방법 및 흑마늘 밥
KR102319788B1 (ko) 다기능 닭 가슴살 페이퍼 및 그 제조방법
CN104939039A (zh) 一种香辣台蘑酱及其制备方法
KR102504978B1 (ko) 약초 페스토 소스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약초 페스토 소스
KR100520938B1 (ko) 볶음 고추장 제조방법
CN105558785A (zh) 油茶及其制作方法
CN104431957A (zh) 一种鳝鱼香辣黑豆酱及其制备方法
KR100530362B1 (ko) 혼합곡과 재첩추출액을 이용한 김밥
KR102588201B1 (ko) 천연 원료를 포함하는 샐러드 드레싱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76576B1 (ko) 김밥 및 그 제조방법
KR100666850B1 (ko) 양파마늘고추장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14740B1 (ko) 식이섬유가 함유된 마늘 쌈장 제조방법
KR101163858B1 (ko) 고추장의 속성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추장
CN102132862B (zh) 一种麦酱
KR101991788B1 (ko) 분말 형태의 비타민 된장 제조방법
CN106172860A (zh) 一种西柚健身果豆干及其制备方法
CN106135451A (zh) 一种荞麦健身果豆干及其制备方法
CN104770706A (zh) 一种麻辣风味黄豆酱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9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9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4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