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7744B1 - 칡 호떡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칡 호떡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7744B1
KR100757744B1 KR1020060134243A KR20060134243A KR100757744B1 KR 100757744 B1 KR100757744 B1 KR 100757744B1 KR 1020060134243 A KR1020060134243 A KR 1020060134243A KR 20060134243 A KR20060134243 A KR 20060134243A KR 100757744 B1 KR100757744 B1 KR 100757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hotteok
flour
doug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4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탁형훈
Original Assignee
탁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탁형훈 filed Critical 탁형훈
Priority to KR1020060134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77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7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774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4Fermentation of farinaceous cereal or cereal material; Addition of enzymes or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OF FLOUR OR DOUGH FOR BAKING,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칡 호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칡가루 20∼30 중량부, 소맥분(밀가루) 60∼70 중량부, 중탄산나트륨 0.5∼1.0 중량부, 백설탕 5∼10 중량부, 탄산나트륨 2∼3 중량부, 이스트 0.1∼0.2 중량부 및 물 10∼20 중량부를 혼합 및 반죽하고 이를 숙성 및 발효하여 칡 호떡용 반죽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황설탕 10∼15 중량부, 흑설탕 10∼15 중량부, 호박씨 10∼15 중량부, 계피가루 10∼15 중량부, 땅콩 10∼15 중량부, 건포도 10∼15 중량부 및 밀가루 10∼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칡 호떡용 앙금을 구비하는 단계; 및 상기 반죽물 100 중량부에 구비된 앙금 15∼20 중량부를 넣고, 이를 소정의 모양으로 형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칡 호떡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호떡, 칡

Description

칡 호떡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of chinese stuffed pancake using arrowroot starch}
본 발명은 칡 호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스트, 중탄산나트륨, 설탕, 탄산나트륨 및 칡가루를 소맥분(밀가루)과 최적의 비율로 배합하고, 최적의 시간으로 숙성 및 발효를 통하여, 고소하면서 소화는 잘 되고, 밀가루 냄새가 전혀 나지 않으며, 칡이 가지고 있는 영양분을 가진 고유한 향미를 갖는 칡 호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떡은 밀가루에 여러 가지 원료를 첨가시켜 반죽하고 발효시켜서 속에 설탕과 땅콩 등을 넣어 철판위에서 구워 제조하는 간식 대용 음식으로서, 속에 부가되는 원료와 제조방법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호떡에 사용되는 반죽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주원료로 소맥분, 이스트, 물, 식염 등이 사용되고, 준 주원료로서는 설탕, 유지 계란, 분유 등이 사용되며 반죽 개량제로서 산화제, 효소제 유화제 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리고 호떡의 제조는 상기와 같이 반죽한 재료에 설탕이나 게피, 땅콩, 등으로 혼 합한 속 재료를 넣어 철판에 기름을 둘른 다음, 압착기로 납작하게 눌러 앞뒤로 뒤집어 가면서 조리하는 것으로서 예로부터 많이 시식하는 싸고 간편한 서민들이 즐겨 시식하던 호떡의 종류인 것이다.
그러나 최근 핫도그, 피자헛, 햄버거 및 양과류가 등장하면서 호떡을 찾는 어린이는 감소되고 오히려 중년 이상분들이나 연인들이 즐겨며, 최근에는 IMF위기에 따라 많은 직장인이 직장을 잃으면서, 거리에 나와 포장마차나, 호떡장사를 하기 시작하면서 새로운 호떡거리 문화를 창조하기 시작하였고, 젊고 유능한 퇴출자들에 의해 다시 호떡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오늘날 식사대용이나 간식거리를 서양 패스트푸드가 대신하면서 우리나라의 간식거리가 그 설자리를 점점 잃고 있다.
또한, 생활소득이 높아지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소비자의 기호는 예전의 공복감을 해소하기 위한 간식의 역할에 그치지 않고, 점차 건강적인 측면과 오감을 만족시킬 수 있는 먹거리를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중, 호떡은 남녀노소할 것 없이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는 간식거리로 널리 애용되고 있는 음식으로, 지금까지는 맛은 우수하나 영양학적인 면에서는 건강에 도움이 되지 않는 인식을 갖고 있다. 더구나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종래의 호떡은 현대인의 기호에 충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습기가 많은 더운 날씨에서 종래 호떡은 밀가루냄새가 심하게 나기 때문에 여름철에는 잘 팔리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는 종래 호떡은 밀가루와 찹쌀, 설탕만을 이용하여 제조됨으로써, 호떡 외피의 자체 밀가루 냄새를 제거하지 못해, 온도와 습도가 높아지면 호떡 자체의 밀가루 냄새가 쉽게 휘발되어 냄새가 심하게 나고, 강한 단맛으로 인하여 40대 이상의 성인에게서는 호응을 받지 못하며, 건강이나 생리활성에 대한 효과도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칡가루를 반죽에 배합하여 호떡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칡이 가지고 있는 주요성분은 탄수화물, 무기질 그리고 비타민 중 C를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각종 영양소가 골고루 들어 있다.
일예로 칡은 땅속에서 물 및 영양분을 빨아들여 굵은 몸통 속에 저장하고 있으며, 그래서 칡을 섭취하면 사람의 몸속에서도 수분 및 영양분을 조절하여 설사, 변비에도 좋으며, 땀으로 물기를 내보내고 열을 내려 열병으로 인한 병을 낫게 하는 것이다. 칡은 이것 한가지만으로도 숙취해소, 갈증해소, 피로회복(간기능회복), 고혈압, 당뇨, 해열, 감기, 구토, 부종, 황달, 편두통, 협심증, 동맥경화, 설사, 변비, 비염, 축농증, 뇌졸중(치매), 불면증, 목/어깨통증, 요통, 가래, 급성중이염 등에 좋은 효험을 보이고 있으며, 최근에는 식물성 에스트로겐이 석류의 628배나 많다는 것이 입증되어 골다공증, 갱년기, 폐경기 등에 매우 효과가 있는 식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또한, 칡은 콩과로서 독성이 없고 성질이 평하여 체질에 상관없이 먹을 수 있으며, 청국장과 같이 식이섬유질이 풍부하며, 사포닌 성분 또한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당뇨, 고혈압 등 각종 성인병 및 암예방에도 좋으며, 성장호르몬도 많아서 성장하는 아이들에게도 매우 좋은 식품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응용한 제품으로서는 칡가루, 칡즙 등이 있으며, 그 맛이 써 어린이가 섭취하기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어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으로 호떡에 칡가루를 배합하여 어린이뿐만 아니라 여성 등이 섭취하는데 문제가 없도록 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는 영양학적으로 우수하면서 소화는 잘 되고, 칡이 가지고 있는 영양소가 포함된 식감이 우수한 호떡을 제공하여 10대는 물론 40대 이상의 성인에게도 기호를 충족할 수 있고, 균일하고 고유한 특성을 지닌 호떡의 레시피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칡 호떡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칡가루, 소맥분(밀가루), 중탄산나트륨, 백설탕, 탄산나트륨, 이스트 및 물을 적정비율로 혼합·반죽하고, 이를 숙성 및 발효하여 칡 호떡용 반죽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황설탕, 흑설탕, 계피가루, 호박씨, 땅콩, 건포도 및 소맥분(밀가루)를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칡호떡용 앙금을 구비하는 단계; 및 상기 반죽물에 소정량의 구비된 앙금를 넣고, 이를 소정의 모양으로 형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칡 호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칡 호떡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칡가루 20∼30 중량부, 소맥분(밀가루) 60∼70 중량부, 중탄산나트륨 0.5∼1.0 중량부, 백설탕 5∼10 중량부, 탄산나트륨 2∼3 중량부, 이스트 0.1∼0.2 중량부 및 물 10∼20 중량부를 혼합 및 반죽하고 이를 숙성 및 발효하여 칡 호떡용 반죽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황설탕 10∼15 중량부, 흑설탕 10∼15 중량부, 호박씨 10∼15 중량부, 계피가루 10∼15 중량부, 땅콩 10∼15 중량부, 건포도 10∼15 중량부 및 밀가루 10∼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칡 호떡용 앙금을 구비하는 단계; 및 상기 반죽물 100 중량부에 구비된 앙금 15∼20 중량부를 넣고, 이를 소정의 모양으로 형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칡 호떡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사용되는 용어나 과학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진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칡 호떡은 칡가루, 소맥분(밀가루), 중탄산나트륨, 백설탕, 탄산나트륨, 이스트를 소맥분(밀가루)와 최적의 비율로 배합하고, 최적의 시간으로 숙성 및 발효를 통하여, 칡가루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향미를 갖는 특성을 가진다.
그리고, 칡가루는 20∼30 중량부를 사용하는 데, 이는 20 중량부 미만을 사용하게 되면, 칡가루에서 나는 고유한 향미가 떨어지며, 밀가루 냄새가 나기 쉽기 때문이다.
그리고, 반죽물에서 백설탕 5∼10 중량부를 사용하게 되며, 이는 이스트의 생장을 위한 탄소원이나 반죽물에 단맛을 주면서 조직과 촉감을 개량하고 수분을 흡수하여 호떡이 오랜시간동안 촉촉함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게 되며, 상기 백성탕의 함량을 10중량부 이상 사용하게 되면, 반죽물에 삼투압이 증가하면서 이스트의 활성이 저하되어 반죽시 충분한 숙성이나 발효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각 제조공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로 한다.
1. 칡 호떡 외피의 반죽물 제조 공정
칡가루 20g, 소맥분(밀가루) 60g, 중탄산나트륨 0.83g, 백설탕 6.5g, 탄산나트륨 2.5g, 이스트 0.17g 및 물 10g을 배합하여 반죽기에 혼합하고 반죽하여 반죽물을 제조한다.
상기 반죽물에 사용되는 물은 30∼40℃의 물을 사용하여 반죽을 한다.
그런 다음, 상기 반죽물을 20∼25℃의 온도에서 1∼2 시간동안 숙성 및 발효를 하여 반죽물이 두배 정도 부풀어 오르게 하고, 이를 사용하기 전까지 밀봉하여 5℃ 전후의 냉장실에 보관한다.
2. 호떡의 앙금 제조 공정
황설탕 15g, 흑설탕 15g, 호박씨 15g, 계피가루 15g, 땅콩 15g, 건포도 15g 및 밀가루 10g을 배합 및 혼합하여 앙금을 제조한다.
3. 호떡의 성형 및 소성 공정
상기 제조된 반죽물 25g에 일정량을 떼어내고 넓적하게 편 후, 상기 준비된 앙금 5g을 중앙에 넣고 둘레의 반죽으로 덮어서 앙금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면서, 원 형상으로 빚는다.
그리고 식물성 기름을 두루고 가열한 팬에 넣고 둥근 모양의 편편한 누름판으로 서서히 압착하여 납작한 둥근 모양으로 성형하면서 익혀 칡 호떡을 완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호떡은 밀가루와 칡가루를 혼합한 반죽으로 제조된 것이기 때문에, 칡 특유의 맛으로 인해 호떡내에 가미하여 어린이 및 여성분들까지 호떡을 즐길 수 있는 것으로 칡에 포함된 영양분을 섭취하여 건강 증진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

  1. 칡 호떡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칡가루 20∼30 중량부, 소맥분(밀가루) 60∼70 중량부, 중탄산나트륨 0.5∼1.0 중량부, 백설탕 5∼10 중량부, 탄산나트륨 2∼3 중량부, 이스트 0.1∼0.2 중량부 및 물 10∼20 중량부를 혼합 및 반죽하고 이를 숙성 및 발효하여 칡 호떡용 반죽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황설탕 10∼15 중량부, 흑설탕 10∼15 중량부, 호박씨 10∼15 중량부, 계피가루 10∼15 중량부, 땅콩 10∼15 중량부, 건포도 10∼15 중량부 및 밀가루 10∼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칡 호떡용 앙금을 구비하는 단계; 및 상기 반죽물 100 중량부에 구비된 앙금 15∼20 중량부를 넣고, 이를 소정의 모양으로 형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칡 호떡의 제조방법
KR1020060134243A 2006-12-27 2006-12-27 칡 호떡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57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243A KR100757744B1 (ko) 2006-12-27 2006-12-27 칡 호떡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243A KR100757744B1 (ko) 2006-12-27 2006-12-27 칡 호떡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7744B1 true KR100757744B1 (ko) 2007-09-11

Family

ID=38737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4243A Expired - Fee Related KR100757744B1 (ko) 2006-12-27 2006-12-27 칡 호떡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77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728B1 (ko) 2009-01-12 2011-09-21 탁형훈 야채 카레 호떡
KR101135303B1 (ko) * 2011-07-22 2012-04-12 전봉순 된장 및 청국장을 이용한 파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970A (ko) * 1998-09-07 2000-04-06 김옥배 피자호떡 제조방법
KR100323222B1 (ko) 1999-08-19 2002-02-19 이창일 찹쌀 호떡 프리믹스
KR20020088480A (ko) * 2001-05-17 2002-11-29 임봉학 한방 호떡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25661A (ko) * 2001-09-22 2003-03-29 김상국 도토리와 자연식물체를 이용한 천연자연색소,향,맛을골고루 내는 무지개빵,과자,아이스크림류
KR100545557B1 (ko) 2004-07-21 2006-01-24 장창근 옥수수 찹쌀 호떡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970A (ko) * 1998-09-07 2000-04-06 김옥배 피자호떡 제조방법
KR100323222B1 (ko) 1999-08-19 2002-02-19 이창일 찹쌀 호떡 프리믹스
KR20020088480A (ko) * 2001-05-17 2002-11-29 임봉학 한방 호떡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25661A (ko) * 2001-09-22 2003-03-29 김상국 도토리와 자연식물체를 이용한 천연자연색소,향,맛을골고루 내는 무지개빵,과자,아이스크림류
KR100545557B1 (ko) 2004-07-21 2006-01-24 장창근 옥수수 찹쌀 호떡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728B1 (ko) 2009-01-12 2011-09-21 탁형훈 야채 카레 호떡
KR101135303B1 (ko) * 2011-07-22 2012-04-12 전봉순 된장 및 청국장을 이용한 파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55871A (zh) 食用菌面包制作方法
CN104171908A (zh) 一种菌菇杂粮面及其制备方法
CN107568299A (zh) 一种蘑菇饼干及其制备方法
CN103535405A (zh) 一种全麦面包及其生产方法
CN103503958A (zh) 一种桑叶无糖桃酥的制作方法
CN109588451B (zh) 一种高葛粉含量营养饼干的制备方法
CN105029194A (zh) 一种椰香燕麦降压馒头及其制备方法
KR102328001B1 (ko) 양배추를 이용한 빵 반죽의 제조방법 및 그 반죽을 이용한 빵
CN106106616A (zh) 一种玉米五谷食用菌面包专用粉及其生产方法
KR100757744B1 (ko) 칡 호떡의 제조방법
CN104206986A (zh) 一种全小米粉窝头及其生产方法
KR100451057B1 (ko) 찰보리빵 및 그 제조방법
CN103461814B (zh) 玉米强力粉及其生产方法
CN109588445A (zh) 一种膳食纤维酥饼及其制作方法
KR100719224B1 (ko) 기능성 고추장 제조방법
KR101963498B1 (ko) 파스타치오와 고구마 및 치즈 찐빵의 제조방법
CN109924238A (zh) 一种含膳食纤维小面包的制作方法
CN105638823A (zh) 一种花式果干面包圈的制作方法
KR102115214B1 (ko) 통밀 발아 숙성물을 이용한 빵 또는 과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빵 또는 과자
CN107668129A (zh) 一种绞股蓝全粉营养保健饼干及其制作工艺
CN106901273A (zh) 使用秋葵粉加工制作面制品的方法
KR20230070959A (ko) 찰보리빵의 제조방법
KR101155579B1 (ko) 수수 분말, 커피 분말 및 고구마 전분을 원료로 하는 기능성 고구마 식빵 제조방법
CN113439819A (zh) 一种燕麦馒头及其制备方法
KR101066728B1 (ko) 야채 카레 호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9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9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2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