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9823B1 - Manhol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reof,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method for connecting manhole - Google Patents
Manhol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reof,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method for connecting manho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49823B1 KR100749823B1 KR1020060036198A KR20060036198A KR100749823B1 KR 100749823 B1 KR100749823 B1 KR 100749823B1 KR 1020060036198 A KR1020060036198 A KR 1020060036198A KR 20060036198 A KR20060036198 A KR 20060036198A KR 100749823 B1 KR100749823 B1 KR 1007498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nhole
- mold
- connection
- forming
-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2445 nipple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71 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703 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83 cement mort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3 mortar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3 soli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85 targe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2005/028—Sealing joints between manhole 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성과 수밀성이 향상되고 시공비용이 절감되는 맨홀, 이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내부공간을 가지는 맨홀 본체; 상기 맨홀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소정의 접속관이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접속구; 그리고 상기 맨홀 본체에 형성된 접속구의 내주면 상에 상기 맨홀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접속관이 상기 접속구에 끼워진 상태에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씰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맨홀, 이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nhole, a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method of the manhole is improved construction and watertightness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reduced.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nhole body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t least one connection port formed at one side of the manhole body and fitted with a predetermined connection pipe; And a manhole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nhole body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formed in the manhole body, the sealing hole including a seal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leakage of fluid in a state where the connection pipe is fitted to the connection hole. It provides a manufacturing method and a connection method of the connection pipe of the manhole.
상기의 구성에 의하여, 맨홀에 용이하게 접속관을 연결하여 시공성과 수밀성을 향상시키고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onnect the connection pipe to the manhole to improve the workability and watertightness, and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맨홀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neral manhole;
도 2는 도 1의 맨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nhole of FIG. 1 is coupled;
도 3은 종래 맨홀의 일실시예에서 접속관을 연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necting a connection pipe in one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manhole;
도 4는 도 3의 맨홀에 접속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manhole of FIG. 3;
도 5는 종래 맨홀의 다른 실시예에서 접속관 연결부위의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pipe connec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ventional manhole;
도 6은 도 5의 결합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of FIG.
도 7은 도 6의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6;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접속관 연결부위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portion of the manho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8의 씰링부를 나타내는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ealing part of FIG. 8;
도 10은 도 8의 맨홀을 제조하기 위한 맨홀의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manhole for manufacturing the manhole of FIG. 8; FIG.
도 11은 도 10의 Ⅰ-Ⅰ선 단면도;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10; FIG.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접속관 연결부위를 나타내는 일 부 단면도;1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portion of the manho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도 12의 맨홀을 제조하기 위한 맨홀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FIG. 1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nhol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manhole of FIG. 12; FIG.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접속관 연결부위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1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portion of the manho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도 14의 맨홀을 제조하기 위한 맨홀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1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nhol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manhole of FIG.
도 16은 도 15의 유로관과 연결관을 나타내는 사시도.FIG. 1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low pipe and the connection pipe of FIG. 15.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0: 상판 맨홀 11: 맨홀뚜껑 수용부10: top plate manhole 11: manhole cover receiving portion
20: 연직구체 맨홀 23: 스피곳20: vertical sphere manhole 23: spigot
25: 소켓 30: 하부구체 맨홀25: socket 30: lower sphere manhole
31: 접속구 33: 스피곳31: connection 33: spigot
32: 인버트 34: 바닥면32: Invert 34: Bottom
36: 관로(管路) 41, 42: 씰링부재36:
51, 52: 체결용 너트 53, 54: 이송용 볼트51, 52:
310: 외부 몰드 311, 312: 몰드 프레임310:
315: 연결수단 316: 체결홀315: connecting means 316: fastening hole
319: 메움부재 320: 내부 몰드319: filling member 320: inner mold
330: 팔레트 336: 체결부재330: pallet 336: fastening member
340: 접속구 형성 금형 341: 연결관340: connector forming mold 341: connector
343: 분리관 345: 접속구 형성관343: separation pipe 345: connection pipe forming tube
347: 지지부재 347a: 체결부재347: support
360: 인버트형성 몰드 361: 바닥면형성 금형360: invert forming mold 361: bottom forming mold
363: 관로형성 금형 370: 씰링부363: pipe forming mold 370: sealing part
371: 연장부 375: 결합돌기371: extension 375: engaging projection
410: 스페이서 420: 바닥판410: spacer 420: bottom plate
425: 체결부재 480: 지지대425: fastening member 480: support
본 발명은 맨홀, 이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를 개선하여 시공성과 수밀성이 향상되고 시공비용이 절감되는 맨홀, 이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hole, a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connection method for connecting the manhole, and more particularly, a manhole,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a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which improves construction and watertightness, and reduces construction cos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necting a connection pipe of a manhole.
각종 토목, 건축공사 및 도로공사를 함에 있어서, 우수, 오수, 폐수 등을 처리하기 위한 하수관거 공사가 필요하다. 맨홀은 관거 내의 검사, 청소, 통풍, 환기, 접합, 분기 등의 목적으로 상기 하수관거의 중간에 설치된다.In various civil works, building works, and road works, sewage pipes for treating rainwater, sewage, and wastewater are required. The manhole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sewer pipe for the purpose of inspection, cleaning, ventilation, ventilation, bonding, branching, etc. in the conduit.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맨홀의 제조방법은, 크게 현장타설 방법과 기성(旣成) 맨홀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구별된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anhole generally used is largely divided into the method of cast-in-place and the method of using a ready-made manhole.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현장타설 방법은, 실제 맨홀이 설치되는 장소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을 조립한 후, 소정의 재료를 혼합하여 생성된 콘크리트를 상기 거푸집 내에 타설하고 소정의 양생기간을 거친 후 거푸집을 제거하여 맨홀을 제작하는 방법이다.The current site casting method is to install the formwork at the place where the actual manhole is installed and to assemble the reinforcing bar, and then, the concrete produced by mixing the predetermined materials is poured into the formwork, and after the predetermined curing period, This is how to make a manhole by removing it.
하지만, 상기와 같은 현장타설 방법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우선, 제조된 맨홀은 유입관 및 유출관과 연결되는 연결부가 정밀하게 시공되지 못하여 완전한 누수 차단이 어렵고, 현장에서 거푸집을 설치하기 때문에 맨홀의 높이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기간이 필요함으로 인해 공사기간이 장기화되고, 이로 인하여 교통체증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민원이 증가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공사비도 상대적으로 높은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However, the field cast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has many problems. First, the manufactured manhol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block leakage due to the inability to connect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which is not precisely constructed, and to install the formwork at the site, thereby making it difficult to adjust the height of the manhol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is prolonged due to the need for curing period of the poured concrete, resulting in traffic jams, thereby increasing civil complaints. In addition, construction costs are also relatively high.
상술한 바와 같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현장타설 방법의 대안으로서 기성 맨홀을 이용결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며, 이에 대한 국가규격(KS F 4012: 하수도용 콘크리트 맨홀)이 1970년에 제정되어 개정을 거듭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As an alternative to the on-site maneuvering method which has many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 method of using a ready-made manhole has been proposed, and the national standard (KS F 4012: sewage concrete manhole) was enacted in 1970, and was revised. It is reaching the presen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일반적인 기성 맨홀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ready-made manhole is as follow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성 맨홀은 하부가 막혀있는 하부구체 맨홀(30), 상기 하부구체 맨홀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연직구체 맨홀(20), 상기 연직구체 맨홀(20)의 상부에 구비되며, 맨홀뚜껑이 삽입되는 맨홀뚜 껑 삽입부(11)을 가지는 상판 맨홀(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맨홀이 조립되는 부위에는 누수를 차단하기 위한 씰링부재(41, 42)가 끼워진다.As shown in FIG. 1, the old manhole is a
상기 기성 맨홀에는 맨홀의 상호 결합시 끼우는 부분인 스피곳(spigot: 23, 33)이나 맨홀의 상호 결합시 스피곳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부분인 소켓(socket: 15, 25)이 형성되어 있다. 우선 상기 하부구체 맨홀의 상부에는 스피곳(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 맨홀(10)의 하부에는 소켓(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직구체 맨홀(20)에는 상부에 스피곳(23), 하부에 소켓(2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The ready-made manhole is formed with
이러한 스피곳(23, 33)과 소켓(15, 25)에 의해 각각의 맨홀은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횡방향으로의 외력에 견딜 수 있게 된다.By the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연직구체 맨홀(20)과 상판 맨홀(10)의 사이에는 상부의 관지름을 좁히고 노면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경사구체 맨홀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an inclined sphere manhole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그리고 성형된 맨홀을 이송할 수 있는 이송용 볼트(53, 54)가 맨홀의 외측면에 구비된 체결용 너트에 체결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연직구체 맨홀(20)과 하부구체 맨홀(30) 각각에 이송용 볼트(53, 54)가 체결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Then, the
그리고 상기 하부구체 맨홀(30)의 내측 하부에는 필요에 따라 인버트(invert: 3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인버트(32)는 맨홀의 내부에서 하수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 오물의 침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버트(32)는 주로 오수의 처리를 위한 맨홀에 구비된다.And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한편, 상기 하부구체 맨홀(30)에는 유입관 또는 유출관이 접속하기 위한 접속구(31)가 다수 개 구비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여기서, 상기 접속구에 접속관을 연결하는 종래 방법 중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 a method generally used among the conventional methods of connecting the connection pipe to the connection po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종래 접속관 연결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3 and 4, an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connection tube connec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먼저, 접속관의 관경보다 충분히 크게 형성된 접속구에 접속관(110)을 삽입하고 몰탈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백업재(120)를 설치한다.First, the
다음으로, 접속관(110)이 맨홀(30)의 내부공간까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몰탈의 누실을 막기 위하여 클램프(140)에 의하여 거리 조정이 가능한 접속구 패쇄용 내부거푸집(130)을 맨홀(30)의 내측에 설치한다. 그리고 접속관(110)과 맨홀(30)의 외면을 밀폐하기 위한 방수시트(150)를 맨홀의 외면에 설치한다.Next, in order to prevent the
그리고 이러한 방수시트(150)는 결합밴드(160)에 의해 맨홀(30)의 외면에 고정된다.And the
그런 다음, 무수축 몰탈(170)을 상부에 형성된 몰탈 주입구(180)를 통하여 주입하고, 주입이 완료되면 무수축 몰탈(170)이 굳을 때까지 진동 및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주의하여 양생을 행한다.Then, the
여기서, 양생은 성형이 완료된 맨홀을 소정의 계획된 방법에 의해 경화시키는 과정을 말하며, 상기 양생과정에 의해 콘크리트를 일정기간 시멘트의 수화작용에 적합한 조건으로 보호해서 콘크리트가 경화되도록 한다.Here, curing refers to a process of curing the completed manhole by a predetermined method, and by curing the concrete to protect the concrete in a condition suitable for the hydration of the cemen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o harden the concrete.
양생이 종료되면, 방수시트(150)와 내부거푸집(130)을 제거하여 접속관 연결 을 완료한다.When curing is finished, remove the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종래 접속관 연결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5 to 7,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ventional connection tube connec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는, 맨홀 외면의 접속구 주위에 니플관(233)에 부착된 플랜지(235)의 볼트관통홀과 동일 위치에 샛트앵커 설치홀을 뚫고 셋트앵커(251)를 설치한다.In this embodiment, the anchor anchor installation hole is provid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bolt through hole of the
그리고 수팽창 고무링(239)을 플랜지(235)가 용접 부착된 니플관(233)의 선단에 설치한다.The water-
맨홀에 설치된 셋트앵커(251)에 수팽창 고무링(239), 원형 씰링판(237), 플랜지가 부착된 니플관(233), 보강 플랜지(231)를 차례대로 관통시킨 후 너트(253)로 조여 접속을 완료한다.Af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맨홀에서 접속관을 연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connection pipe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manhol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우선, 무수축 몰탈로 주입하여 접속관을 연결하는 방법은, 무수축 몰탈의 경화시간만큼 시공시간이 필요하고, 경화되기까지 후속 작업을 진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시공시간이 연장되는 문제점이 있었다.First,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connection tube by injecting into the non-shrink mortar requires a construction time as much as the curing time of the non-shrink morta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time is prolonged because the subsequent work does not proceed until the non-shrink mortar.
또한, 시멘트 몰탈의 특성상 굳기 전에 진동 등에 의하여 접속부위에 충격이 가해지면 접속관과 몰탈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수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몰탈의 혼합, 타설, 내부거푸집의 설치 등 접속관 연결을 위해 여러 가지 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시공과정이 복잡하고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impact is applied to the connection portion by vibration or the like before the solidification of the cement mortar has a problem that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connection tube and the mortar and the water tightness is inferior.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process is complicated and cumbersome because it has to go through various steps for connecting the connection tube such as mortar mixing, pouring, and installation of internal formwork.
한편, 셋트앵커와 플랜지를 이용하여 접속관을 연결하는 방법은, 셋트앵커의 설치를 위하여 맨홀에 구멍을 뚫는 작업이 필요하며, 구멍을 뚫는 과정에서 맨홀에 충격을 주어 맨홀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connection pipe by using the set anchor and the flange, the work required to drill a hole in the manhol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set ancho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manhole is damaged due to the impact on the manhole during the drilling process .
또한, 니플관, 수팽창 고무링, 원형 씰링판, 니플관 플랜지, 보강 플랜지 등 많은 부속 자재들이 필요하므로 시공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셋트앵커의 설치 불량시에는 맨홀의 재사용이 어려운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struction cost increases because a large number of accessory materials such as nipple pipe, water-expandable rubber ring, circular sealing plate, nipple pipe flange, reinforcing flange is required. And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set anchor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use the manho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속관을 용이하게 연결하여 시공성이 향상된 맨홀, 이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nhole, a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a manufacturing method and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method of the manhole to improve the workability by easily connecting the connection pip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맨홀과 접속관의 연결부위의 수밀성을 향상시킨 맨홀, 이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nhole, a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method of the manhole, which improve the watertightness of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manhole and the connection pip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공비용을 절감시킨 맨홀, 이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nhole, a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method of the manhole, which reduce construction cost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내부공간을 가지는 맨홀 본체; 상기 맨홀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소정의 접속관이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접속구; 그리고 상기 맨홀 본체에 형성된 접속구의 내주면 상에 상기 맨홀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접속관이 상기 접속구에 끼워진 상태에서 유체의 누설 을 방지하기 위한 씰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맨홀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 manhole body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t least one connection port formed at one side of the manhole body and fitted with a predetermined connection pipe; And a manhole body integrally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formed in the manhole body, and including a sealing part for preventing leakage of fluid in a state where the connection pipe is fitted to the connection hole.
그리고 상기 씰링부는,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씰링부의 외주면 상에는 상기 맨홀 본체와의 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맨홀 본체에 매립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aling portion is preferably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In addi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attachment force with the manhole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embedded in the manhole body protrudes.
한편, 상기 씰링부에는, 상기 맨홀 본체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접속관의 외주면을 감싸기 위한 연장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맨홀에는,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 상에 결합되어, 상기 접속관이 접속구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와 접속관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보강결합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ling portion is formed to extend outwardly of the manhole body, and have an extension portion for wrapp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In addition, the manhole is more preferably provided with a reinforcing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to reinforce the coupling force of the extension part and the connection pipe while the connection pipe is fitted into the connection port.
상기 씰링부의 내주면 상에는 상기 접속관과 맞닿는 연결관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맨홀의 내부공간 하부에는,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관을 가지는 인버트(invert)가 구비된 것도 가능하다.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a connecting pipe contacting the connecting pipe is provided. In addition, an invert having a flow path tube through which a fluid can flow may be provided below the inner space of the manhole.
여기서, 상기 유로관은 상기 연결관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low path pipe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nection pipe.
상기 맨홀에는, 상기 접속구의 내주면과 상기 씰링부 사이에서 상기 맨홀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끝단이 상기 맨홀 본체의 외면과 대응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마감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nhole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nhole body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or and the sealing portion, and a finish member having an en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nhole body may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제조장치는 콘크리트가 투입되어 맨홀을 성형하는 맨홀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맨홀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부 몰드; 상기 맨홀의 내면을 형성하는 내부 몰드; 상기 외부몰드와 내부몰드 중 최소한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맨홀의 접속구를 형성하기 위한 접속구 형성 금형; 그리고 상기 접속구 형성 금형의 외측에 구비되며, 성형하는 맨홀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접속관이 접속구에 끼워진 상태에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씰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man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nhole manufacturing apparatus in which concrete is injected to form a manhole, the outer mold forming an outer surface of the manhole; An inner mold forming an inner surface of the manhole; A splice forming die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outer mold and the inner mold to form a splice for the manhole; And it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connection port forming mold, and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nhole to be formed, and comprises a seal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leakage of fluid in the state that the connection pipe is fitted to the connection port.
그리고 상기 접속구 형성 금형은, 상기 씰링부의 내주면 상에 구비되는 접속구 형성관; 그리고 상기 접속구 형성관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connection hole forming mold, the connection hole forming tube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An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connector forming tube.
여기서, 상기 접속구 형성관은, 상기 씰링부 내주면의 내측에 구비되는 연결관; 그리고 상기 씰링부 내주면의 외측에서 상기 연결관과 맞닿은 상태로 구비되며, 제조가 완료된 맨홀에서 분리 가능한 분리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은, 인버트의 유로관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Here, the connection port forming pipe, the connecting pip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And it is preferably provided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connecting tube on the out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eparation pipe detachable from the completed manhole. The connecting pipe is more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flow pipe of the invert.
한편, 상기 지지부재는, 복수 개의 끝단면이 상기 접속구 형성관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속구 형성관을 압착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끝단면 사이의 폭이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member, a plurality of end surfaces ar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 forming tub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between the end surface is variable so as to support the connection forming tube formed by compression.
그리고 상기 맨홀 제조장치는, 상기 외부 몰드와 내부 몰드가 형성하는 성형공간의 상부에서 맨홀의 바닥면이 성형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And the manhole manufacturing apparatus is more preferably made of a structure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manhole is mol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olding space formed by the outer mold and the inner mold.
본 발명에 따른 맨홀의 제조방법은 소정의 재료를 혼합하여 생성된 콘크리트를 내부 몰드와 외부 몰드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투입시키는 콘크리트 투입단계; 상기 맨홀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부 몰드와, 상기 맨홀의 내면을 형성하는 내부 몰드와, 상기 외부몰드와 내부몰드 중 최소한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맨홀의 접속구를 형성하기 위한 접속구 형성 금형과, 상기 접속구 형성 금형의 외측에 구비 되어 성형하는 맨홀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접속구에 접속관이 연결된 상태에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씰링부를 포함하는 맨홀 제조장치에 의해 맨홀을 성형하는 맨홀 성형단계; 성형이 완료된 맨홀을 소정의 계획된 온도에 의해 양생을 행하는 양생단계; 그리고 양생이 완료된 맨홀을 상기 제조몰드와 분리시키는 탈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anhol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a concrete input step of injecting the concrete produced by mixing a predetermined material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inner mold and the outer mold; An outer mold for forming an outer surface of the manhole, an inner mold for forming an inner surface of the manhole, a connector forming mold for forming a connection hole of the manhole,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outer mold and the inner mold, A manhole forming step of forming a manhole by a manhole manufacturing apparatus,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a manhole formed on an outer side of a connection hole forming mold and includes a sealing part for preventing leakage of fluid in a state in which a connec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le; A curing step of curing the molded manhole by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a demolding step of separating the curing manhole from the manufacturing mol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은 씰링부가 구비된 접속구의 내주면 외측에서 분리관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접속구에 접속관을 끼우는 단계; 그리고 상기 씰링부 중 상기 맨홀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의 외주면 상에 보강결합부재를 결합하여 상기 연장부와 접속관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the connection pipe connection method of the man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separating the separation pipe outside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 provided with a sealing; Fitting a connection pipe to the connection port; And reinforcing a coupling force of the extension part and the connection pipe by coupling a reinforcing coupling member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formed outwardly of the manhole among the sealing parts.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is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설명의 편의상 주로 조립식 맨홀 중 하부구체 맨홀을 대상으로 한 접속관 연결구조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맨홀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연직구체 맨홀 등의 조립식 맨홀뿐만 아니라 일체형으로 형성된 맨홀, 우수받이 등 다양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총칭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onnection pipe connection structure mainly targeting the lower spherical manhole among the prefabricated manholes will be described. General form of concrete structure.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맨홀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8 and 9, the first embodiment of the man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 따른 맨홀은, 맨홀 본체(300), 접속구(31: 도 1 참조), 씰링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an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nhole
상기 맨홀 본체(300)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막혀있는 형태나, 상하부가 모두 개방된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맨홀 본체(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막혀있는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The
그리고 맨홀 본체(300)의 내부의 횡단면은 일반적으로 속이 비어있는 원형으로 이루어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사각형, 4개의 모서리에 모가 따진 사각형, 4개의 모서리에 사각 홈이 형성된 사각형 등 여러 가지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And the cross section inside the
상기 접속구(31)는 맨홀 본체(30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로서, 상기 접속구(31)에는 소정의 접속관(310)이 끼워진다. 그리고 이러한 접속관(310)은 유체의 유출입을 위한 유입관이나 유출관인 것이 일반적이다.The
상기 씰링부(370)는 상기 맨홀 본체(300)에 형성된 접속구(31)의 내주면 상에 상기 맨홀 본체(3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접속관(310)이 상기 접속구(31)에 끼워진 상태에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ealing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씰링부(370)는 외주면상에 결합돌기(375)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결합돌기(375)는 상기 맨홀의 성형시 맨홀 본체(300)에 매립됨으로써, 상기 맨홀 본체(300)와의 부착력을 높이는 기능을 한다.Referring to FIG. 9, the sealing
상기 결합돌기의 개수와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7개의 결합돌기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결합돌기 중 중간에 위치하는 결합돌기가 외측으로 더 돌출된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The number and shape of the coupling protrusions is not limited, and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9, a total of seven coupling protrusion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coupling protrusions are further outwardly. The protruding shape is illustrated.
한편, 상기 씰링부(370)는 맨홀 본체(30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37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371)는 접속관(310)이 연결될 때, 상기 접속관(31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접속관(310)이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aling
그리고 본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구(31) 내로 접속관(310)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371)의 외주면 상에 보강결합부재(380)가 결합됨으로써, 연장부(371)와 접속관(310)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8, the reinforcing
상기 보강결합부재(380)은 여러 가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연장부(371)를 감싸는 밴드 형태인 것을 예시하고 있다.The reinforcing
한편, 상기 연장부(371)의 끝단부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이탈방지돌기(377)가 구비되어, 상기 보강결합부재(380)이 연장부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end of the
상기 씰링부(370)의 내주면 상에는 상기 접속관(310)과 맞닿는 연결관(341)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341)은 접속관(310)과 맞닿아 접속관(310)과 유로가 연결되므로, 상기 연결관(341)은 상기 접속구(31)에 끼워지는 접속관(310)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는 것이 원활한 유체의 유동을 위해 바람직하다.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그리고 상기 연결관(341)의 외경은 상기 씰링부(370)와 밀착되어 수밀성이 유지될 수 있는 정도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관(341)의 길이에는 제한이 없으며, 도 8에서는 상기 접속구(31)의 폭의 절반 정도의 길이인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The outer diameter of the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한 맨홀을 제작하기 위한 제조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10 and 11, th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above-described manhole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제조장치는 기본적으로 외부 몰드(310), 내부 몰드(320), 팔레트(330), 접속구 형성 금형(340) 및 인버트형성 몰드(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man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asically includes an
상기 외부 몰드(310)는 상기 맨홀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외부 몰드(310)의 형상에 따라 맨홀의 외형이 정해지게 된다.The
따라서, 맨홀의 외형을 형성하는 상기 외부 몰드(310)의 형상도 맨홀의 원하는 형상에 따라 원형, 사각형, 4개의 모서리에 모가 따진 사각형, 4개의 모서리에 사각 홈이 형성된 사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the shape of the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구체 맨홀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태인, 단면이 4개의 모서리에 사각홈이 형성된 사각형 형태인 맨홀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몰드(310)의 단면도 4개의 모서리에 사각홈이 형성된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한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n order to manufacture a manhole having a square shape having a square groove formed at four corners, which is generally used for a lower spherical manhole, a square groove is formed at four corner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부 몰드(310)가 다양한 높이의 맨홀을 성형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몰드 프레임(311, 312)이 소정의 연결수단에 의해 조립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수단(315)은, 예를 들어, 상기 몰드 프레임에 구비된 체결홀 에 볼트를 삽입하여 너트로 조임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mold frames 311 and 312 are assembled by a predetermined connection means so that the
이러한 구성을 통해, 규격에 맞춘 복수 개의 외부 몰드(310)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복수 개의 몰드 프레임(311, 312)을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맨홀을 생산할 수 있다.Through such a configuration, even if the plurality of
또한 외부 몰드의 몰드 프레임(311, 312)은 각각 상호 수직으로 분할된 복수 개의 서브 몰드 프레임(311a, 311b, 312a, 312b)으로 이루어져 결합과 해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에 위치하는 몰드 프레임(312)는 두 개의 서브 몰드 프레임(312a, 312b)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위치하는 몰드 프레임(311)도 두 개의 서브 몰드 프레임(311a, 311b)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mold frames 311 and 312 of the outer mold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이렇게 수직으로 분할된 복수 개의 서브 몰드 프레임(311a, 311b, 312a, 312b)의 결합에 의해 외부 몰드(310)를 구성함으로써, 성형이 완료된 맨홀과 외부 몰드(310)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하여 탈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By forming the
상기 내부 몰드(320)는 상기 외부 몰드(3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맨홀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The
여기서, 성형하는 맨홀의 내부 단면은 원형이나 각형이 될 수 있으므로, 상기 내부 몰드(320)는 이에 대응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공간의 단면이 원형인 맨홀을 성형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 몰드(320)의 단면도 이에 대응된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한 것이다.Here, since the inner cross-section of the manhole to be formed may be circular or rectangular, the
그리고 상기 내부 몰드(320)는 탈형단계에서 탈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수직방향에 대하여 1 ~ 3°의 경사져서 하부가 넓고 상부가 좁게 구성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외부 몰드(310)와 내부 몰드(320)는 상하가 뒤집어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외부 몰드(310)와 내부 몰드(320)가 형성하는 성형공간의 상부에서 맨홀의 바닥면을 성형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따라서, 외부 몰드(310) 내에서 내부 몰드(320)를 소정 높이만큼 상승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없게 된다. 또한, 외부 몰드(310)와 내부 몰드(320)를 탈형 한 후 고정장치를 제거하면서 남은 공간에 재차 콘크리트를 채우는 번거로움이 없어지고, 일체로 맨홀을 성형하기 때문에 제품 조직이 치밀해진다.Therefor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상기 팔레트(330)는 성형하는 맨홀의 상호 결합시 끼우는 부분인 스피곳(33)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에 대응하여 소정의 단이 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성형된 하부구체 맨홀의 스피곳(33)은, 하부구체와 결합되는 연직구체 맨홀(20)의 소켓(25) 형상에 대응되게 이루진다.In order to form the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부 몰드(320)가 상기 팔레트(330)를 관통하여 상기 팔레트(330)보다 하부로 더 연장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본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몰드(320)가 상기 팔레트(330)를 관통하여 상기 팔레트(330)보다 하부로 더 연장 형성되어 있어, 상기 팔레트(330)에 대한 내부 몰드(320)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내부 몰드(320)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외부 몰드(310) 내에 서의 내부 몰드(3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성형하는 맨홀 내부공간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1, the
맨홀 내부공간의 높이는 인버트(32)의 높이를 포함하여 결정되므로, 맨홀 내부공간의 높이가 같다고 하더라도 설치되는 인버트(32)의 규격에 따라 내부 몰드(320)의 높이가 변하게 된다.Since the height of the manhole inner space is determined to include the height of the
예를 들어, 맨홀 내부공간의 높이가 1000 mm라고 가정할 때, 인버트(32)의 규격에 따라 인버트(32)의 수직방향 길이가 300 mm라고 가정할 때, 내부 몰드(320)의 높이는 700 mm가 되어야 한다. 하지만, 인버트(32)의 규격이 500 mm, 700 mm인 경우, 내부 몰드(320)의 높이는 각각 500 mm, 300 mm로 변경되어야 한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height of the inner space of the manhole is 1000 mm, assuming that the vertical length of the
상술한 예와 같이, 설치되는 인버트(32)의 규격에 따라 내부 몰드(320)의 높이는 변경되어야 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 몰드(320)의 길이를 맨홀의 내부공간의 높이보다 충분히 길게 제작하여, 팔레트(330)에 대한 내부 몰드(320)의 상대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외부 몰드(310) 내에서의 내부 몰드(320) 높이를 변화시켜 결과적으로 성형하는 맨홀 내부공간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팔레트(330)에 대한 내부 몰드(320)의 상대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어, 상기 내부 몰드(320)가 복수 개의 몰드프레임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성형하는 맨홀 내부공간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한편, 콘크리트를 외부 몰드(310)의 높이보다 낮게 투입함으로써 상기 하부 구체 맨홀의 인버트(32)와 상기 하부구체 맨홀의 하단면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콘크리트의 투입량을 외부 몰드(310)의 높이 내에서 조절하여, 맨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by inserting the concret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그리고 상기 맨홀 제조장치에는 상기 팔레트(330)와 상기 내부 몰드(320)의 하단 사이에 스페이서(spacer: 410)를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nhole manufactur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상기 스페이서(410)는 상기 팔레트(330)에 대한 상기 내부 몰드(320)의 상대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다양한 높이의 스페이서(410)를 구비함으로써 외부 몰드(310) 내에서의 내부 몰드(320) 높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The
그리고 상기 팔레트(330)와 상기 스페이서(410) 사이에는 밀착부재(43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착부재(430)는 예를 들어 오링(O-ring)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밀착부재(430)에 의해 상기 팔레트(330)와 내부 몰드(320) 사이에서 콘크리트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밀착부재(430)의 재질에는 제한이 없으나, 콘크리트의 외부 유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신축성이 뛰어난 고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 material of the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410)의 내주면은 상기 팔레트(330)를 관통하여 하부로 더욱 연장된 내부 몰드(320)의 부분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스페이서(410)에 의해 내부 몰드(320)가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내부 몰드(320)의 하단에는 바닥판(420)이 체결부재(425)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내부 몰드(320)와 스페이서(41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420)의 하부에는 상기 바닥판(420)을 지지하는 지지대(480)가 구비되어, 상기 바닥판(420)이 직접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지지대(480)에 의해, 성형이 완료된 맨홀 제조장치를 이동시킬 때 지게차 등으로 용이하게 운반이 가능하다.By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맨홀 제조장치에 체결용 너트(52: 도 2 참조)가 더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astening nut 52 (see Fig. 2) is further provided in the manhole manufacturing apparatus.
상기 체결용 너트(52)는 성형된 맨홀의 이송을 위해 결합되는 이송용 볼트(54)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체결용 너트(52)를 상기 외부 몰드(310)의 원하는 위치에 구비하여 성형하는 맨홀에 매립되어 상기 맨홀과 일체로 형성된다.The
상기 이송용 볼트(54)는 구체적으로 이적, 상차, 하차, 시공시 등에 사용되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이 볼트(eye-bolt)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그리고 상기 외부 몰드(310)에는 상기 체결용 너트(52)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외부 몰드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최소한 한 개 이상의 체결홀이 배치된다. 따라서, 이송용 볼트(54)가 체결되는 위치에 맞는 체결홀에 체결용 너트(52)를 체결함으로써 성형하는 맨홀의 다양한 위치에 이송용 볼트(54)를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해 진다.In addition, at least one fastening hole is disposed in the
상기 체결용 너트(52)는 성형하는 맨홀에서의 이송용 볼트(54)의 배열에 맞추어야하며, 바람직하게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 및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 람직하다.The
한편, 체결용 너트(52)는 이송용 볼트(54)와 결합되는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상기 외부 몰드(310)에 체결용 너트(52)를 결합하는 체결부재는 이송용 볼트(54)와 동일한 치수의 나사산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이송용 볼트(54) 자체를 체결부재로 사용하여, 체결용 너트를 외부 몰드(110)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그리고 체결홀 중 체결용 너트(52)와 체결되지 않는 체결홀에는 메움부재(319)가 결합된다.The filling
상기 인버트형성 몰드(360)은 맨홀의 인버트(32)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으로서 맨홀의 인버트(32)에 대응된 형성으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면형성 금형(361)에 의하여 맨홀블록의 바닥면(34)을 형성하고, 상기 유로관(363)에 의하여 맨홀블록 바닥면(34)에 유로를 형성한다.The inverting
상기 접속구 형성 금형(340)은, 상기 외부 몰드(310)와 내부 몰드(320) 중 최소한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맨홀의 접속구(31)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체결부재(347a)에 의해 상기 외부 몰드(3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한편, 상기 접속구 형성 금형(340)의 외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맨홀과 일체로 형성되어 접속관(310)이 접속구(31)에 끼워진 상태에서 유체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씰링부(370)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side of the connection
상기 접속구 형성 금형(340)은, 상기 씰링부(370)의 내주면 상에 구비되는 접속구 형성관(345)과,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nection
그리고 상기 접속구 형성관(345)은 서로 별개 부재로 이루어진 연결관(341)과 분리관(34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connection
상기 연결관(341)과 분리관(343)은 모두 씰링부(370)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구체적으로 내주면의 내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관(310)과 맞닿는 연결관(341)이 구비되며, 내주면의 외측에는 맨홀에서 분리 가능한 분리관(343)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341)과 분리관(343)은 서로 맞닿은 상태로 구비된다.The connecting
그리고 분리관(343)의 외경은 끼워질 접속관(310)의 외경보다 크게 이루어져, 상기 접속관(310)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한편, 상기 분리관(343)의 길이는 맨홀블록의 두께에서 연결관(341)의 길이를 뺀 길이에서 상기 연장부(371)가 접혀 넣어지며 생기는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한다.On the other hand, the length of the
상기 지지부재(347)는 일종의 지그로서, 본 실시예는 이에 대한 일예로 중간의 샤프트는 턴바클과 같이 회전시 암(arm)이 펴지거나 접혀지면서 폭이 조절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한편, 상기 지지부재(347)의 중앙측 단부에는 체결부재(347a)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용 너트가 형성된다.Meanwhile, a fastening nut is formed at the central end of the
접속구 형성관(345)을 보다 효율적으로 압착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347)의 끝단면은 접속구 형성관(345)의 내주면과 대응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끝단면은 예를 들어 원형 관 형상의 접속구 형성관(345)의 내주면에 대응되게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rder to crimp and support the
그리고 이러한 끝단면은, 예를 들어 3~4 등분된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끝단면이 폭이 가변되면서 상기 씰링부(370)와 연결관(341) 및 분리관(343)을 압착 지지하게 된다.And the end surface, for example, may be made of a pipe shape divided into 3 to 4, and the end surface is variable width so that the sealing
한편, 상기 접속구 형성 금형(340)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316)과 상기 체결용 너트(52)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은 서로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상기 외부 몰드(310)에는 상기 접속구 형성 금형(340)이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외부 몰드(310)에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홀(316)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 9에서는 외부 몰드(310)의 4면에 체결홀(316)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형상을 예시하고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접속구 형성 금형(340)이 체결되지 않는 체결홀(316)에는 메움부재(319)가 결합되며, 예를 들어 상기 메움부재(319)는 렌치볼트(wrench bolt)가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lling
상기 씰링부(370) 중 연장부(371)는 상기 상기 접속구 형성관(345)의 내측으로 접혀서 넣어진 상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씰링부(370)는 상기와 같이 접힐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그리고 상기 씰링부(370) 중 상기 연장부(371)는 접속관(310) 연결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다른 부분보다 내경을 크게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맨홀과 이의 제조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2 and 13, a manho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도 1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구성을 설명한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man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본 실시예에 따른 맨홀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는 끝단이 맨홀 본체(300)의 외면과 대응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마감부재(391)가 더 구비된다.The man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same basic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end is further provided with a closing
상기 마감부재(391)는, 외부 몰드(310)의 내면과 씰링부(370) 사이에 발생하는 틈을 없애기 위하여 사용하는 부재로서, 특히 상기 맨홀의 외면이 평면이 아닌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nishing
물론, 외부 몰드의 내면이 비평면인 경우에도, 씰링부(370)재의 끝단을 외부 몰드의 내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맞추어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even whe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mold is non-planar, it is also possible to make the end of the sealing
하지만, 씰링부(370)가 신축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재질의 특성상 단부을 곡률지게 하면 씰링부(370)의 단부가 비정상적으로 일그러진 형태로 확대되어 내경을 정확하게 확보할 수 없으며, 내경이 확보되더라도 외관품질을 떨어뜨릴 수도 있다.However, when the sealing
따라서, 외부 몰드의 내면이 비평면인 경우는 마감부재(391)를 사용함으로써 씰링부(370)에 의해 형성된 관경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제품의 외관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mold is non-planar, by using the finishing
이러한 마감부재(391)는, 예를 들어 상기 외부 몰드가 원형인 경우 외부 몰드의 곡률에 대응하는 형상의 전개된 판 형태를 롤링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마감부재(391)를 사용함에 따라 상기 분리관(343)의 길이는 더 짧아질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outer mold has a circular shape, the finishing
한편, 상기 마감부재(391)의 외주면에는 결합밴드(393)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상술한 맨홀의 제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a configuration of the manhole manufactur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3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도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제조장치와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다. 즉, 제조장치는 외부 몰드(310), 내부 몰드(320), 접속구 형성 금형(340), 씰링부(370), 스페이서(4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is embodiment also has the same basic configuration as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manho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at is, th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es an
하지만, 본 실시예는 상술한 마감부재(391)가 맨홀 본체(3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씰링부(370)의 외주면에 마감부재(391)를 결합밴드(393)를 이용하여 고정한다.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nishing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맨홀과 이의 제조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4 to 16, a manhole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1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구성을 설명한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man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4.
본 실시예에 따른 맨홀도 상술한 제1실시예와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는 인버트의 유로관(349)과 연결관(34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man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so has the same basic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however, the
상기 유로관(349)은 맨홀에 연결되는 접속관(310)의 규격에 대응하여, 접속관(310)의 하부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본 실시예는, 이러한 유로관(349)이 상술한 연결관(341)과 일체로 이루어진다.In this embodiment, this
상기 유로관(349)과 연결관(341)은 소정의 접착방법에 의해 결합시켜 일체를 이루게 할 수 있으나, 서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성형 단계에서부터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The
본 실시예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버트의 유로관(349)과 연결관(341)이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는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As shown in FIG. 16, this embodiment illustrates a configuration in which an
다음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상술한 맨홀의 제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a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manhole manufactur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5.
본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제조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다. 다만, 상기 접속구 형성관 중 연결관(341) 부분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로관(349)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manhol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owever, as shown in FIG. 15, the connecting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인버트의 바닥면(34)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 몰드(320)의 상부에 경사면을 가진 추가 금형을 결합하거나, 내부 몰드(320)의 상부를 경사지게 구성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order to form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씰링부(370), 접속구 형성 금형(340)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ssembling method of the sealing
우선, 접속구 형성관(345) 중 연결관(341)을 먼저 씰링부(370)의 내주면 내측에 삽입한다. 이때, 씰링부(370)와 연결관(341) 사이의 수밀과 밀착을 위하여, 고무링이나 활제 및 인위적으로 일시적으로 씰링부(370)를 확장시키는 도구 등을 사용할 수 있다.First, the connecting
상술한 제3실시예와 같이 유로관(349)과 일체로 형성된 연결관(341)의 경우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씰링부(370)에 삽입한다.As in the third embodiment, the
다음으로, 접속구 형성관(345) 중 분리관(343)을 씰링부(370)의 내주면 외측에 삽입하고, 상기 연결관(341)에 밀착시켜 조립한다. 여기서, 연결관(341)과 분리 관(343)의 외경에 차이가 나는 경우에는 적절한 간격재를 활용하여 연결관(341)과 분리관(343)이 정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Next, the separating
상기 씰링부(370) 내주면에 연결관(341)과 분리관(343)을 삽입한 다음에는, 씰링부(370)의 연장부(371)를 접어서 접속구 형성관(345)의 내측으로 집어넣는다.After inserting the connecting
그리고 지지부재(347)를 연장부(371)가 접혀 넣어진 접속구 형성관(345) 내부로 삽입하고, 지지부재(347)의 끝단 폭을 조절하여 상기 씰링부(370)와 접속구 형성관(345)을 압착 지지하여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n, the supporting
여기서, 외부 몰드의 외면이 평면이 아닌 경우에는 후술하는 마감부재(391)를 상기 씰링부(370)의 외주면 상에 결합밴드로 고정시킨다.Here, whe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mold is not flat, the finishing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조립셋트는 접속관(310)의 소요 수량만큼 준비한다.And the assembly set as described above is prepared by the required amount of the connection pipe (310).
한편, 상기 셋트를 외부 몰드(310) 상에 고정하기 위하여, 지지부재(347)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용 너트를 외부 몰드(310)의 체결홀(316)에 일치시키고, 체결볼트(347a)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히 체결하여 고정한다.Meanwhile, in order to fix the set on the
상기 맨홀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맨홀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anhole using the manhole manufacturing apparatus as follows.
상기 맨홀 제조방법은 콘크리트 투입단계, 맨홀 성형단계, 양생단계, 그리고 탈형단계를 거치게 된다.The manhole manufacturing method is subjected to the concrete input step, manhole forming step, curing step, and demolding step.
상기 콘크리트 투입단계는 소정의 재료를 혼합하여 생성된 콘크리트를 제조몰드에 투입시키는 단계이다. 즉, 상기 외부 몰드(310)와 내부 몰드(320) 사이에 형성된 성형공간에 콘크리트를 투입시킨다.The concrete input step is a step of injecting the concrete produced by mixing a predetermined material into the manufacturing mold. That is, concrete is introduced into the molding space formed between the
이때, 콘크리트를 치밀하게 투입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진동기를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다져가며 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pour concrete while compacting concrete using a predetermined vibrator in order to inject the concrete densely.
상기 맨홀 성형단계는 상술한 맨홀 제조장치에 의해 맨홀을 성형하는 단계이다.The manhole forming step is a step of forming a manhole by the above-described manhole manufacturing apparatus.
그리고 상기 양생단계는 성형이 완료된 맨홀을 소정의 계획된 온도에 의해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양생이란 콘크리트를 일정기간 시멘트의 수화작용에 적합한 조건으로 보호해서 콘크리트가 경화되도록 하는 작업이다. 양생에 적합한 조건이란 적합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고, 외적인 충격과 침하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며, 양생기간 동안 계속 같은 조건을 유지해야 한다.And the curing step is a step of curing the molded manhole by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temperature. In general, the concrete curing is the work to protect the concrete to a condition suitable for the hydration of the cemen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o harden the concrete. Conditions suitable for curing are to maintain the proper temperature and humidity, to protect against external shock and sinking, and to maintain the same conditions throughout the curing period.
상기 탈형단계는 양생이 종료된 몰드와 제품을 분리시키는 단계로서, 다음과 같은 순서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demolding step is to separate the mold and the product from which curing has been completed, and is performed in the following order.
먼저, 성형된 맨홀과 맨홀 제조장치를 뒤집는다. 즉, 상기 팔레트(330)가 상부로 위치하도록 상하를 뒤집는다. 이때, 회전을 위해서는 지게차나 크레인 등을 사용할 수 있다.First, the molded manhole and the manhole manufacturing apparatus are reversed. That is, the
다음으로, 외부 몰드(310)를 해체하고, 팔레트와 내부 몰드(320)를 맨홀에서 해체시킨다. 다음으로, 인버트형성 몰드(360)과 접속구 형성 금형(340)을 차례로 성형된 맨홀과 분리시킴으로써 탈형이 완료된다.Next, the
하지만, 상술한 탈형순서와 달리 미리 제품의 탈형을 위한 고리형상의 철근을 콘크리트에 삽입하여, 몰드의 상하 회전 없이 외부 몰드(110)를 해체하고 팔레 트(330)에 체결된 볼트를 해체한 후 고리형상의 철근을 들어올림으로써 탈형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unlike the above-described demoulding sequence, by inserting the annular rebar for demoulding the product into concrete, the
상술한 바와 같은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맨홀에 접속관(310)을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method of connecting the
먼저, 씰링부(370)가 구비된 접속구(31)의 내주면 외측에서 분리관(343)을 분리한다.First, the
다음으로, 상기 맨홀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371) 내측으로 접속관(310)을 삽입하여, 상기 접속구(31) 내로 끼운다. 여기서, 상기 접속관(310)은 연결관(341)과 맞닿을 때까지 삽입하게 된다.Next, the
그리고 상기 씰링부(370) 중 상기 맨홀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371)의 외주면 상에 보강결합부재(380)를 결합하여 상기 연장부(371)와 접속관(310)의 결합력을 보강함으로써, 상기 접속관(310)의 연결을 완료한다.And by reinforcing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thereof has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obvious to them.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이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s of the man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method of the manhole are as follows.
첫째, 접속구 내주면 상에 씰링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부가적인 부재를 결합하거나 몰탈의 주입하는 등의 부가적인 공정없이 접속관을 접속구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First, by integrally forming the sealing portion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 the connection pipe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without additional processes such as joining additional members or injecting mortar,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또한, 접속관 연결을 위한 부가적인 부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시공비용을 절감하는 이점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for an additional member for connecting the connection pipe also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둘째, 맨홀에 일체로 형성된 씰링부는 유체의 외부 유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접속구에 접속관이 끼워진 상태에서 맨홀의 수밀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Secondly, the sealing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nhole effectively prevents the outflow of the fluid, thereby improving the watertightness of the manhole in a state where the connection pipe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ort.
특히, 씰링부의 일측에 연장부를 구비하고 연장부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보강결합부재를 구비하여 보다 완벽한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by providing an extension on one side of the sealing portion and having a reinforcing coupling member for reinforcing the coupling force of the extension can ensure a more perfect water tightness.
이와 함께, 씰링부의 내주면상에 연결관을 구비하여 접속관과 맞닿게 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고 효과적으로 접속관을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connection pip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to contact the connection pip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nection pipe can be connected more firmly and effectively.
Claims (1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6198A KR100749823B1 (en) | 2006-04-21 | 2006-04-21 | Manhol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reof,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method for connecting manho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6198A KR100749823B1 (en) | 2006-04-21 | 2006-04-21 | Manhol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reof,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method for connecting manho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49823B1 true KR100749823B1 (en) | 2007-08-17 |
Family
ID=38614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36198A Active KR100749823B1 (en) | 2006-04-21 | 2006-04-21 | Manhol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reof,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method for connecting manho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49823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7411B1 (en) * | 2007-12-29 | 2008-11-06 | (주)화인텍콤포지트 | manhole |
KR100901707B1 (en) * | 2008-04-10 | 2009-06-08 | 주식회사 한국화이바 | Glass Fiber Reinforced Manhole |
KR101053677B1 (en) * | 2010-12-28 | 2011-08-03 | 대현산업 (주) | Manho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for forming an integral type after assembling the tube |
KR101287038B1 (en) | 2011-08-08 | 2013-07-17 | (주)서원산업 | Manhole connector and it's connecting shape |
KR101616117B1 (en) | 2015-09-09 | 2016-04-28 |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 A manhole |
KR20220158974A (en) | 2021-05-25 | 2022-12-02 | 이상섭 | Manufacturing method for concrete manhole and concrete manhole manufactured by this method and construction of this manhol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91463A (en) * | 1989-09-02 | 1991-04-17 | Eguchi Kinichirou | Processed food |
-
2006
- 2006-04-21 KR KR1020060036198A patent/KR10074982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91463A (en) * | 1989-09-02 | 1991-04-17 | Eguchi Kinichirou | Processed food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등록실용신안 제0391463호(2005.08.02)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7411B1 (en) * | 2007-12-29 | 2008-11-06 | (주)화인텍콤포지트 | manhole |
KR100901707B1 (en) * | 2008-04-10 | 2009-06-08 | 주식회사 한국화이바 | Glass Fiber Reinforced Manhole |
KR101053677B1 (en) * | 2010-12-28 | 2011-08-03 | 대현산업 (주) | Manho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for forming an integral type after assembling the tube |
KR101287038B1 (en) | 2011-08-08 | 2013-07-17 | (주)서원산업 | Manhole connector and it's connecting shape |
KR101616117B1 (en) | 2015-09-09 | 2016-04-28 |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 A manhole |
KR20220158974A (en) | 2021-05-25 | 2022-12-02 | 이상섭 | Manufacturing method for concrete manhole and concrete manhole manufactured by this method and construction of this manhole |
KR102497786B1 (en) * | 2021-05-25 | 2023-02-07 | 이상섭 | Manufacturing method for concrete manhole and concrete manhole manufactured by this method and construction of this manho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49823B1 (en) | Manhol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reof,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method for connecting manhole | |
KR101566229B1 (en) | Manufacturing equipment for Manhole using various connecting pipe,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and connecting method for the manhole with a connecting pipe | |
KR20090078316A (en) | Manhol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reof,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method for connecting manhole | |
KR20080058295A (en) | Manhol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reof,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method for connecting manhole | |
KR100415965B1 (en) | Built-up Mold for Preventing Pollution, and Manhole and Retaining Wall by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struction the Manhole and Retaining Wall | |
KR200423070Y1 (en) | Integrated prefabricated manhole structure | |
KR100920198B1 (en) | Steel Box for Concrete Filled Manhole Construction | |
KR20150029421A (en) | Manhole Using Various Connecting Pipe | |
KR100693307B1 (en) | Manufacturing apparatus of manhole block, assembly method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anhole block | |
JPH08120754A (en) | Split type box culvert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 |
JP4327026B2 (en) | Repair method and equipment for concrete | |
KR20090015775A (en) | Manhol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reof,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method for connecting manhole | |
KR101208606B1 (en) | Structure for combine pipe with manhole and methode combine there of | |
KR102363892B1 (en) | Rainwater receiver for connecting with drain pipe, manufacturing method for upper block of the same and form system for constriction of the same | |
KR100743594B1 (en) | Manhole block,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assembly method of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manufacturing apparatus | |
KR101942246B1 (en) | Resin manhole for body mold | |
KR101053677B1 (en) | Manho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for forming an integral type after assembling the tube | |
KR20140107812A (en) | Manhole Having Connector, Its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 |
KR100743595B1 (en) | Manhole block manufacturing apparatus, assembly method thereof, manhole block manufacturing method and manhole block manufactured by the same | |
KR200192083Y1 (en) | Sectional manhole | |
KR100939380B1 (en) | Precast concrete box culvert,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 |
KR101156095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substructure of the manhole | |
KR100749580B1 (en) | Chemical resin liner and mounting structure,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method of chemical resin lining manhole and lining concrete manhole | |
KR200277261Y1 (en) | Built-up Mold for Construct Sewage Pipe Built-in Type Manhole or Retaining Wall, and Sewage Pipe Built-in Type Manhole and Retaining Wall by Using the Same | |
KR100777036B1 (en)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C culvert with a liner, a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C culvert with a liner, and a PC culvert manufactured therei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706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8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8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7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7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7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0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8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0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0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1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0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04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07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