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1493B1 -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 - Google Patents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1493B1
KR100741493B1 KR1020060118822A KR20060118822A KR100741493B1 KR 100741493 B1 KR100741493 B1 KR 100741493B1 KR 1020060118822 A KR1020060118822 A KR 1020060118822A KR 20060118822 A KR20060118822 A KR 20060118822A KR 100741493 B1 KR100741493 B1 KR 100741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s
connection
rod
main body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8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춘복
황광하
이영수
박광련
유응대
Original Assignee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8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1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1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1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20Safety means for switches, e.g. switch point protectors, auxiliary or guiding rail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5/00Rails; Guard rails; Distance-keeping means for them
    • E01B5/16Distance kee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4/00Characteristics of the track and its foundations
    • E01B2204/06Height or lateral adjustment means or positioning means for slabs, sleepers or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안정하게 벌어진 텅레일을 기본레일 측으로 충분히 밀어주어 텅레일의 기본레일에 완벽한 밀착상태가 되고, 반대쪽에는 기본레일과 텅레일의 이격을 확실하게 해 주도록 한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는 다수개의 침목 상에 교축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기본레일과; 상기 기본레일의 내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분리 및 밀착되는 한 쌍의 텅레일과; 상기 기본레일과 텅레일간에 교차 결합되는 연결간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간의 상부에 위치됨과 동시에 고정 결합되는 연결간 연결로드와; 상기 연결간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침목 상에 고정 설치되는 상판과; 상기 연결간 연결로드의 일측에 결합되면서 상판 상에 위치되는 크랭크와; 상기 크랭크의 타측에 결합되면서 상판 상에 위치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일측에 결합되는 조절로드와; 상기 조절로드에 고정 결합되는 연결로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분기기 탄성 밀착장치

Description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elastic adhesion equipment for rail turnout}
도 1은 종래의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의 연결간 연결로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A-A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의 연결간 연결로드를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의 상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의 상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의 상판을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의 크랭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의 크랭크를 도시한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의 연결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의 연결관을 도시한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의 연결관을 도시한 정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의 연결관을 도시한 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의 조절로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의 조절로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의 조절로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의 연결로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의 연결로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6은 도 25의 B-B선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의 연결로드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연결간 연결로드 110: 본체부
120: 관통공 130: 축
200: 상판 210: 본체부
220: 채널부 230: 소공
240: 대공 250: 나비볼트
260: 체결공 270: 분할핀
280: 덮개 300: 크랭크
310: 본체부 320: 포크부
330: 관통공 340: 장공
400: 연결관 410: 포크부
420: 삽입구 500: 스프링
600: 조절로드 610: 관체
620: 플랜지 630: 두부
640: 분할핀공 700: 연결로드
710: 슬리브 720: 키홀
730: 고정부 740: 장홀
A: 탄성 밀착장치 J: 연결간
R: 기본레일 S: 침목
T: 텅레일
본 발명은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철도 분기기의 텅레일이 좌우로 전환시 열차통과시 발생되는 충격, 진동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기본레일과 밀착이 잘되지 않는 경우에 스프링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텅레일이 기본레일에 밀착되게 한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기기에는 한 쌍의 레일이 두 쌍의 레일로 분기되는 위치에는 최초 한 쌍을 이루던 기본레일이 점차 벌어지는 형태로 고정되고, 그 사이에는 다시 두 개의 텅레일이 설치되어 상기 벌어지는 기본레일과 각각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차량이 어느 한 쌍의 레일을 선택적으로 주행하도록 가운데에 설치된 두 개의 텅레일을 동시에 움직여 두 개의 레일 중 어느 한쪽의 기본레일과는 접촉시키고, 다른 쪽 기본레일과는 떨어지도록 하는 전환장치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가운데 설치된 두 개의 텅레일은 고정되어 있는 양측의 기본레일과 밀착하여 차륜이 부드럽게 기본레일로 옮겨가도록 맨 끝이 뾰족하게 구성되고 그 뒤로 점차 레일의 두께가 두꺼워져서 일정길이 후에는 원래의 두께가 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텅레일의 두께가 점차 얇아지고 움직여야 하는 부분은 바닥에 윤활유를 도포한 미끄럼 상판을 설치하여 텅레일을 움직이는 전환장치에 의해 휘어지면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되고, 원래의 두께가 되는 위치의 후단부는 기본레일과 일정거리를 둔 상태에서 텅레일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 구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텅레일을 기본레일에 밀착시키는 전환장치로 텅레일을 움직일 때의 문제점으로는 일측의 텅레일이 고정된 기본레일에 완전히 접촉하지 않고, 반대쪽 텅레일은 기본레일과 완전히 이격되지 않는 상태가 되며, 이는 텅레일은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경사부 전체가 기본레일과 완전히 밀착되어야만 반대쪽의 기본레일과 정확한 평행을 이루어 차륜이 부드럽게 주행하지만, 통상 텅레일을 움직이는 전환장치는 텅레일의 선단부에 위치되어 선단부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텅레일을 움직이는 구성이므로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는 후단부로 갈수록 텅레일이 잘 움직일 수 없는 것은 당연할 것이고, 결국 선단부에서는 정확하게 밀착되더라도 후단부 쪽에는 완전한 밀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완전하게 밀착되지 않는 텅레일의 반대쪽 텅레일은 당연히 적절한 거리로 이격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량이 통과할 경우에는 차륜이 텅레일을 기본레일 쪽으로 밀어붙이며 통과하므로 차륜과 레일간에 마모가 많아질 수 밖에 없음은 당연한 것이며, 이에 따라 차륜과 레일이 심하게 마모되어 수명이 단축되고 마모시에 발생하는 철가루에 의해 환경이 오염되는 문제가 있으며, 아울러 진동과 소음이 많아짐에 따라 승차감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전환장치를 텅레일의 여러부분에 설치하는 방법이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경우 당연히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전환장치를 동시에 연동시켜야 하므로 구성이 매우 복잡해지고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매우 비효율적인 방법이다.
특히 근래에는 철도의 고속화가 이루어지므로 철도가 분기되는 부분의 곡선반경을 최대한 크게 하는 추세인데, 다시 말해 철도를 최대한 직선화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 현실이므로 분기기의 전체적인 길이가 길어지고 이에 따라 전환장치에 의한 텅레일의 움직이는 부분의 길이가 점차 길어지므로 상기와 같은 접촉불량의 문제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출원 제1999-0031881호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가 제안되었다.
종래의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목에 고정시킬 수 있는 설치판(2)을 구성한 후 그 위의 중앙부 일측에 중심핀(3)을 고정시키고 중심핀(3)에 탄발구(10)을 설치하는데 탄발구(10)는 두개의 스프링 지지구(11, 11') 사이에 스프링(12)을 설치하여 구성하며, 일측의 스프링 지지구(11, 11')를 중심핀(3)에 삽입시키고, 요형으로 된 작동간(20)을 구성하여 그 중심을 반대측 스프링 지지구(11')에 핀(15)으로 연결시키며, 작동간(20)의 좌우측 옆의 설치판(2)에도 각각 지지핀(16, 16')을 고정시킨 후 여기에 작동아암(21, 21')의 중간 일측을 지지시키고 작동아암(21, 21')의 일측 끝을 작동간(20)의 양단에 각각 핀(17)으로 연결시키며, 작동아암(21, 21')의 중간 일측을 지지시키고 작동아암(21, 21')의 일측 끝을 작동간(20)의 양단에 각각 핀(17)으로 연결시키며, 작동아암(21, 21')의 타단에는 나사축(32)이 결합된 길이 조절구(30)를 각각 핀(18)으로 연결한 후 길이 조절구(30)의 반대측 끝단에 브라켓(40)을 연결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종래의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는 텅레일에 설치된 연결로드를 해체한 후에 설치를 다시 해야 하므로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둘째, 종래의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는 로드의 연결구조가 복잡하며 부피가 커서 설치시 어려운 문제가 있다.
셋째, 종래의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는 텅레일 첨단 및 추병식 전철기 설치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넷째, 종래의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는 복잡한 링크로 구성되어 장력의 손실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추병식 전철기 경우에는 추가 붙어 있는 핸드레버가 일정한 각도이상이 되어도 텅레일 첨단이 기본레일에 밀착되지 않아 차량이 분기기 통과시 차량의 전위 차륜이 텅레일의 힐부를 누르면 반발에 의해 텅레일 첨단이 벌어져서 첨단을 지나는 후위 차륜이 이선진입을 하여 차량의 탈선사고의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불안정하게 벌어진 텅레일을 기본레일측으로 충분히 밀어주어 텅레일의 기본레일에 완벽한 밀착상태가 되고, 반대쪽에는 기본레일과 텅레일의 이격을 확실하게 해 주도록 한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는 다수개의 침목 상에 교축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기본레일과; 상기 기본레일의 내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분리 및 밀착되는 한 쌍의 텅레일과; 상기 기본레일과 텅레일간에 교차 결합되는 연결간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간의 상부에 위치됨과 동시에 고정 결합되는 연결간 연결로드와; 상기 연결간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침목 상에 고정 설치되는 상판과; 상기 연결간 연결로드의 일측에 결합되면서 상판 상에 위치되는 크랭크와; 상기 크랭크의 타측에 결합되면 서 상판 상에 위치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일측에 결합되는 조절로드와; 상기 조절로드에 고정 결합되는 연결로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는 다수개의 침목(S) 상에 교축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기본레일(R)과; 상기 기본레일(R)의 내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분리 및 밀착되는 한 쌍의 텅레일(T)과; 상기 기본레일(R)과 텅레일(T)간이 교차 결합되는 연결간(J)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간(J)의 상부에 위치됨과 동시에 고정 결합되는 연결간 연결로드(100)와; 상기 연결간(J)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침목(S) 상에 고정 설치되는 상판(200)과; 상기 연결간 연결로드(100)의 일측에 결합되면서 상판(200) 상에 위치되는 크랭크(300)와; 상기 크랭크(300)의 타측에 결합되면서 상판(200) 상에 위치되는 연결관(400)과; 상기 연결관(400)에 삽입되는 스프링(500)과; 상기 스프링(5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조절로드(600)와; 상기 조절로드(600)에 고정 결합되는 연결로드(70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는 연결간 연결로드(100), 상판(200), 크랭크(300), 연결관(400), 스프링(500), 조절로드(600) 및 연결로드(700)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장치로서, 텅레일(T) 전환시 탄성 밀착장치의 연결간(J)을 통하여 중앙부의 스프링(500)이 중립부위를 넘게 되고, 이때 텅레일(T)은 스프링(500)의 반발력에 의해 기본레일(R)에 자동으로 밀착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간 연결로드(100)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의 상하를 관통하여 다수 개가 천공 형성된 관통공(120)과; 상기 본체부(110)의 원호부분에 일정한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축(13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200)은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사각형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210)와; 상기 본체부(210)의 상면에 서로 대향되게 돌출 형성되는 채널부(220)와; 상기 본체부(210)의 내측에 상하가 관통되도록 다수 개가 천공 형성된 소공(230) 및 대공(240)과; 상기 채널부(220)의 상단에 각각 좌우 한쌍이 설치되는 체결공(260)과; 상기 체결공(260)을 관통하여 삽입 결합되는 분할핀(270)과; 상기 본체부(210)의 상면을 외부와 차폐시키도록 설치되는 덮개(28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소공(230)에 나비볼트(250)가 고정 설치되어, 침목(S)의 높이단차 발생시 상판(20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크랭크(300)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사각형 로드로 이루어진 본체부(310)와; 상기 본체부(310)의 일측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포크부(320)와; 상기 본체부(310)의 양측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330)과; 상기 본체부(310)의 중앙에 타원형상으로 관통 형성되는 장공(34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400)은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300)의 길이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가지면서, 일측은 포크부(410)가 형성되고, 타측은 내부로 스프링(500)이 삽입되도록 삽입구(420)가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스프링(500)은 연결관(400)과 조절로드(600)과의 사이에 삽입되어, 조절로드(600)에 의해서 압축 및 인장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조절로드(600)는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직경 및 길이를 갖는 관체(610)와, 상기 관체(610)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외측으로 환상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620)와, 상기 플랜지(62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두부(630)와, 상기 두부(630)의 측면에 관통 형성되는 분할핀공(64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절로드(600)는 일측의 관체(610)이 연결관(400)의 삽입구(420)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관(400)의 외측에 삽입된 스프링(500)을 압축 및 인장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연결로드(700)는 도 24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직경 및 길이를 갖는 슬리브(710)와, 상기 슬리브(710)의 내측에 일정한 길이에 걸쳐 절개 형성된 키홀(720)과; 상기 슬리브(710)의 단부에서 일정한 길이로 외측으 로 돌출 형성되면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부(730)와, 상기 고정부(730)의 측면을 일정한 직경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장홀(7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로드(700)는 일측인 슬리브(710)가 조절로드(600)의 관체(610)의 내측에 삽입되고, 타측인 고정부(730)에 형성된 장홀(740)에 축(30)이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의 조립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 조립방법은 먼저 연결간(J)의 상부에 위치된 상판(200)의 덮개(280)를 해체하고, 상기 연결간(J)과 연결간 연결로드(100)를 볼트 결합하고, 텅레일(T)의 중립상태를 확인하고, 연결간 연결로드(100)을 수평으로 맞추며, 상기 연결간 연결로드(100)와 크랭크(300)의 장공(340)을 첨단으로 밀착하고, 침목(S)상에 포인트 상판(200)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크랭크(300)에 연결관(400), 스프링(500), 조절로드(600) 및 연결로드(700)를 연결한 후, 상기 조절로드(600)를 회전시켜 스프링(500)을 압축하며, 상기 스프링(500)의 최종 압축상태 후 조절로드(600)의 분할핀공(640)에 분할핀(270)을 삽입하고, 텅레일(T)의 밀착 중립상태를 확인하고, 전철기를 작동하면, 텅레일(T)에 탄성 밀착장치(A)가 밀착된 상태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A)의 설치 전에 텅레일(T)의 밀착상태를 확인하고, 연결간 연결로드(100)의 수평맞춤시 스프링(500)을 완전히 해제시킨 상태로 설정하며, 텅레일(T)을 한쪽으로 밀어 밀착상태 를 확인 후 조절로드(600)을 조절하여 스프링(500) 장력을 조정하며, 침목(S)의 높이 단차가 발생시 상판(200) 위의 나비볼트(250)로 높이 조절 후 평와셔를 삽입시켜 높이 조절 후 설치함을 원칙으로 한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는 텅레일(T)의 길이가 긴 #12, #15의 경우 첫 번째 연결간(J) 및 조절간의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하면 타 위치에도 보조장치로써 추가로 설치할 수 있으며, 텅레일(T)의 밀착이 불량한 모든 번수의 분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부설되어 있는 분기기에는 연결간(J) 전체를 해체할 필요가 없으며, 연결간(J) 상부 덮개만을 철거하고, 동 위치에 별도의 천공이나 위치 변경 없이 탄성 밀착장치(A)를 설치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그리고 기본레일(R)과 텅레일(T)의 접착상태에 따라 조정이 필요할 경우 조절로드(600)를 이용하여 조정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철도 분기기의 포인트부에 레일의 밀착을 위한 별도의 잠금장치가 필요치 않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기존의 조절간 및 연결간에 부착하여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 없으면 탈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모든 분기기의 포인트부에 적용할 수 있으며, 설치 및 유지보수가 유리한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장력 손실 없이 밀착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열차 주행시 텅레일 밀착불량으로 인한 마찰, 소음 및 진동이 감소됨으로써 열차의 주행속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텅레일의 수명을 연장하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전철기에 관계없이 완벽한 밀착상태가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다수개의 침목(S) 상에 교축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기본레일(R)과; 상기 기본레일(R)의 내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분리 및 밀착되는 한 쌍의 텅레일(T)과; 상기 기본레일(R)과 텅레일(T)간이 교차 결합되는 연결간(J)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간(J)의 상부에 위치됨과 동시에 고정 결합되는 연결간 연결로드(100)와;
    상기 연결간(J)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침목(S) 상에 고정 설치되는 상판(200)과;
    상기 연결간 연결로드(100)의 일측에 결합되면서 상판(200) 상에 위치되는 크랭크(300)와;
    상기 크랭크(300)의 타측에 결합되면서 상판(200) 상에 위치되는 연결관(400)과;
    상기 연결관(400)에 삽입되는 스프링(500)과;
    상기 스프링(5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조절로드(600)와;
    상기 조절로드(600)에 고정 결합되는 연결로드(7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간 연결로드(100)는 전체적으로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의 상하를 관통하여 다수 개가 천공 형성된 관통공(120)과; 상기 본체부(110)의 원호부분에 일정한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축(13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200)은 사각형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210)와; 상기 본체부(210)의 상면에 서로 대향되게 돌출 형성되는 채널부(220)와; 상기 본체부(210)의 내측에 상하가 관통되도록 다수 개가 천공 형성된 소공 및 대공(230, 240)과; 상기 채널부(220)의 상단에 각각 좌우 한쌍이 설치되는 체결공(260)과; 상기 체결공(260)을 관통하여 삽입 결합되는 분할핀(270)과; 상기 본체부(210)의 상면을 외부와 차폐시키도록 설치되는 덮개(28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공(230)에 나비볼트(250)가 고정 설치되어, 침목(S)의 높이단차 발생시 상판(20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300)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사각형 로드로 이루어진 본체부(310)와; 상기 본체부(310)의 일측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포크부(320)와; 상기 본체부(310)의 양측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330)과; 상기 본체부(310)의 중앙에 타원형상으로 관통 형성되는 장공(34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400)은 크랭크(300)의 길이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가지면서, 일측은 포크부(410)가 형성되고, 타측은 내부로 스프링(500)이 삽입되도록 삽입구(42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로드(600)는 일정한 직경 및 길이를 갖는 관체(610)과, 상기 관체(610)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외측으로 환상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620)와, 상기 플랜지(62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두부(630)와, 상기 두부(630)의 측면에 관통 형성되는 분할핀공(64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700)는 일정한 직경 및 길이를 갖는 슬리브(710)와, 상기 슬 리브(710)의 내측에 일정한 길이에 걸쳐 절개 형성된 키홀(720)과; 상기 슬리브(710)의 단부에서 일정한 길이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부(730)와, 상기 고정부(730)의 측면을 일정한 직경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장홀(7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
KR1020060118822A 2006-11-29 2006-11-29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 KR100741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822A KR100741493B1 (ko) 2006-11-29 2006-11-29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822A KR100741493B1 (ko) 2006-11-29 2006-11-29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1493B1 true KR100741493B1 (ko) 2007-07-20

Family

ID=38499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8822A KR100741493B1 (ko) 2006-11-29 2006-11-29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14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5984A (zh) * 2018-12-11 2019-02-19 中铁五局集团第六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地铁预制道岔板转板平移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369959B1 (ko) * 2021-08-10 2022-03-03 주식회사 한국이앤텍 레일 자동 분기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3501U (ko) 1986-04-04 1987-10-17
EP0810138A1 (de) 1996-05-31 1997-12-03 Siemens Schweiz AG (Siemens Suisse SA) (Siemens Svizzera SA) Siemens Switzerland Ltd) Verschlussvorrichtung für Eisenbahnweichen
JPH11278271A (ja) 1998-03-27 1999-10-12 Railway Technical Res Inst 微少変位定圧機構及び転てつ減摩器
JP2004276872A (ja) 2003-03-19 2004-10-07 Railway Technical Res Inst 鉄道分岐器用エスケープクラン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3501U (ko) 1986-04-04 1987-10-17
EP0810138A1 (de) 1996-05-31 1997-12-03 Siemens Schweiz AG (Siemens Suisse SA) (Siemens Svizzera SA) Siemens Switzerland Ltd) Verschlussvorrichtung für Eisenbahnweichen
JPH11278271A (ja) 1998-03-27 1999-10-12 Railway Technical Res Inst 微少変位定圧機構及び転てつ減摩器
JP2004276872A (ja) 2003-03-19 2004-10-07 Railway Technical Res Inst 鉄道分岐器用エスケープクランク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5984A (zh) * 2018-12-11 2019-02-19 中铁五局集团第六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地铁预制道岔板转板平移装置及其使用方法
CN109355984B (zh) * 2018-12-11 2023-10-20 中铁五局集团第六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地铁预制道岔板转板平移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369959B1 (ko) * 2021-08-10 2022-03-03 주식회사 한국이앤텍 레일 자동 분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67185A (zh) 用于盘管注入器的改进夹具
KR100741493B1 (ko)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
KR20100108180A (ko) 레일 좌굴 방지용 보안장치
KR200362089Y1 (ko) 급경사 철도 구간 톱니레일 설치구조
KR100866808B1 (ko)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 및 연동방법
KR102369959B1 (ko) 레일 자동 분기시스템
EP2890849A1 (de) Gleitstuhl für eine schienenweiche
KR100331039B1 (ko)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
AU2003231165B2 (en) Drop down lug for railroad switch application
KR101057006B1 (ko) 철도분기기용 철관연동장치 및 연동방법
KR100738591B1 (ko) 분기기용 잠금장치
KR200192939Y1 (ko)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
RU2254254C1 (ru) Тормозной триангель
KR100706322B1 (ko) 레일 분기기의 조절간 설치구조
KR200166512Y1 (ko)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
PL1960244T3 (pl) Układ do bezsmarowego zespołu zwrotnicy
AU784271B2 (en) Assist rod and basket assembly
KR100426522B1 (ko) 철도 선로 분기 장치
KR20130093315A (ko)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
CN102582661B (zh) 电动液压转辙机用套筒式表示杆
KR100682763B1 (ko) 선로분기 시스템
KR200357138Y1 (ko)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
KR200358382Y1 (ko)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킷의 곡선당김지지금구
KR100354859B1 (ko) 철도 분기기용 역주행 자동 개폐장치
KR200157204Y1 (ko) 철로 분기장치용 통나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