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382B1 - 철근 배근체와 이를 이용한 보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철근 배근체와 이를 이용한 보 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36382B1 KR100736382B1 KR1020060004331A KR20060004331A KR100736382B1 KR 100736382 B1 KR100736382 B1 KR 100736382B1 KR 1020060004331 A KR1020060004331 A KR 1020060004331A KR 20060004331 A KR20060004331 A KR 20060004331A KR 100736382 B1 KR100736382 B1 KR 1007363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nt
- muscle
- reinforcement
- opening
- side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3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10000003205 Muscles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10000000614 Ribs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42 transportation engine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배근체와 이를 이용한 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 시공에 소요되는 철근을 가공하는 공장 가공 단계; 거푸집 합판 위에 단부 및 중앙부 제 1 늑근을 배열한 상태에서 상기 단부 및 중앙부 제 1 늑근사이에 제 2 늑근을 배열한 상태에서 형태 유지근을 단부의 지지 철근 위에 연결하고 중앙부 늑근의 지지 철근 위에 하부 주근을 연결 설치하는 인양전 제 1 단계; 상기 중앙부 늑근의 지지 철근 하부에 하부 중앙부 주근을 연결 설치하여 인양전 철근 배근체를 완성하여 인양하는 제 2 단계; 인양된 철근 배근체를 한쪽에만 유로폼이 설치된 거푸집 조립체로 이동시키는 제 3 단계; 상기 거푸집 조립체에 나머지 한쪽 유로폼을 설치하여 조립을 완료하는 제 4 단계; 하부 이음근을 상기 단부 늑근에 연결하는 제 5 단계; 상부 이음근을 단부 늑근의 지지 철근 위에 연결설치하는 제 6 단계; 상기 늑근의 절곡부에 절곡부 상부 전개근을 연결 설치 하고 캡을 절곡부 상부 전개근에 결합하여 개구부를 닫아주는 제 7 단계; 상기 캡의 하부에 상부 전개근을 연결 설치하는 제 8 단계;로 이루어진 철근 배근체를 이용한 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근, 배근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보 트러스 거푸집을 보인 도면
도 2a,b,c,d는 본 발명에 있어 인양전 철근 배근체가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인양전 철근 배근체에 있어서 단부 늑근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인양전 철근 배근체에 있어서 중앙부 늑근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철근 배근체가 인양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철근 배근체가 인양후 보 거푸집 측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 보 거푸집 조립체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a,b,c,d는 본 발명에 있어 인양후 철근 배근체가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8d에 있어 단부 늑근을 보인 도면
도 10은 도 8d에 있어 중앙부 늑근을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각 단계별 작업 위치를 예시하기 위한 설명하기 위한 건물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있어서 받침 다리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부 제 1 늑근 11,21,31,41 : 개구부
12,22,32,42 : 절곡부 13,23 : 받침 다리부
14,24 : 지지 철근 20 : 중앙부 제 1 늑근
30 : 단부 제 2 늑근 40 : 중앙부 제 2 늑근
50 : 형태 유지근 51 : 하부 주근
51a : 하부 이음근 52 : 하부 중앙부 주근
53 : 상부근 54 : 절곡부 상부 전개근
55 : 상부 전개근 60 : 캡
본 발명은 철근 배근체와 이를 이용한 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운반 및 시공 편의성을 고려하여 설계되어 공장에서 대부분의 구조물이 제작되는 트러스 거푸집 위에 철근을 숙련도와 관계없이 최적의 상태로 배근할 수 있도록 한 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를 시공하는 방식은 거푸집을 설치한 후 철근을 배근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길어지게 되고, 철근의 배근 상태가 경험에 의존하기 때문에 현장 여건과 작업자에 따라 달라지게 될 뿐만 아니라 최적상태의 배근과 비교해 보면 철근이 과다하게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선조립 보 배근 방식은 철근만 조립된 상태로 인양함으로써 인양시 뒤틀림 등이 발생되고, 철근으 접합부위가 과다함으로써 작업량이 많고 공사기간 및 공사비의 증대를 초래 하였다.
본원출원인은 운반 및 시공 편의성을 감안한 설계에 따라 공장에서 제작되는 트러스 구조물과 현장에서 조립되는 부분을 나눔으로써 유니트화 한 입체 트러스 거푸집을 10-2005-0130274로 선출원 하였으며, 이와같이 유니트화 된 거푸집을 이용한다면 철근을 숙련도와 관계없이 최적의 상태로 배근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안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니트화 된 거푸집과 함께 사용되어 숙련도와 관계없이 철근을 최적의 상태로 배근할 수 있도록 한 철근 배근체와 이를 이용한 보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고임재 작업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거푸집 작업과 보의 철근 배근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부의 개구부 양측에는 내향으로 절곡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받침 다리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부에 지지 철근이 설치되어 단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입설되는 단부 제 1 늑근; 상부의 개구부 양측에는 내향으로 절곡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받침 다리부가 돌출 형성되며 하부에 지지 철근이 설치되어 중앙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입설되는 중앙부 제 1 늑근; 상부의 개구부 양측에는 내 향으로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단부 제 1 늑근 사이에 입설되는 단부 제 2 늑근; 상부의 개구부 양측에는 내향으로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중앙부 제 1 늑근 사이에 입설되는 중앙부 제 2 늑근; 상기 단부 늑근의 측면에 결속된 상태로 늑근들에 연결되는 형태 유지근; 상기 늑근들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하부 주근; 상기 중앙부 늑근의 지지 철근에 연결 되는 하부 중앙부 주근; 상기 단부 늑근의 지지 철근 위에 얹혀진 상태로 연결되어 양측으로 전개되는 상부근; 상기 늑근의 절곡부에 연결 설치되는 절곡부 상부 전개근; 한쪽은 내향 경사지게 절곡되고 다른 한쪽은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절곡부 상부 전개근을 통해 늑근에 결합되어 개구부를 닫아주는 캡; 상기 캡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상부 전개근;으로 이루어진 철근 배근체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보 시공에 소요되는 철근을 가공하는 공장 가공 단계; 거푸집 합판 위에 단부 및 중앙부 제 1 늑근을 배열한 상태에서 상기 단부 및 중앙부 제 1 늑근사이에 제 2 늑근을 배열한 상태에서 형태 유지근을 늑근의 측면에 연결하고 늑근 위에 하부 주근을 연결 설치하는 인양전 제 1 단계; 상기 중앙부 늑근의 지지 철근 하부에 하부 중앙부 주근을 연결 설치하여 인양전 철근 배근체를 완성하여 인양하는 제 2 단계; 인양된 철근 배근체를 한쪽에만 유로폼이 설치된 거푸집 조립체로 이동시키는 제 3 단계; 상기 거푸집 조립체에 나머지 한쪽 유로폼을 설치하여 조립을 완료하는 제 4 단계; 하부 이음근을 상기 단부 늑근에 연결하는 제 5 단계; 상부근을 단부 늑근의 지지 철근 위에 연결설치하는 제 6 단계; 상기 늑근의 절곡부에 절곡부 상부 전개근을 연결 설치 하고 캡을 절곡부 상부 전개근에 결합하여 개구부를 닫아주는 제 7 단계; 상기 캡의 하부에 상부 전개근을 연결 설치하는 제 8 단계;로 이루어진 철근 배근체를 이용한 보 시공 방법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도록 유니트화 한 선출원 10-2005-0130274의 보 트러스 거푸집을 보인 도면이다.
이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트러스(1)와 서브 트러스(2)로 이루어져 건물 설계에 맞춰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한 보 거푸집으로 본 발명은 부위별 철근 제작 작업이 공장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와같이 유니트화 된 거푸집과 함께 사용될 때 그 효용성이 배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보 철근 배근체는, 상부의 개구부(11) 양측에는 내향으로 절곡부(1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받침 다리부(13)가 돌출 형성되며 상부에 지지 철근(14)이 설치되어 단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입설되는 단부 제 1 늑근(10); 상부의 개구부(21) 양측에는 내향으로 절곡부(2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받침 다리부(23)가 돌출 형성되며 하부에 지지 철근(24)이 설치되어 중앙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입설되는 중앙부 제 1 늑근(20); 상부의 개구부(31) 양측에는 내향으로 절곡부(32)가 형성되어 상기 단부 제 1 늑근(10) 사이에 입설되는 단부 제 2 늑근(30); 상부의 개구부(41) 양측에는 내향으로 절곡부(42)가 형성되어 상기 중앙부 제 1 늑근(20) 사이에 입설 되는 중앙부 제 2 늑근(40); 상기 단부 늑근(10)(30)의 지지 철근(14)에 얹혀지는 상태로 늑근(10)(20)(30)(40)들에 연결되는 형태 유지근(50); 상기 늑근(10)(20)(30)(40)들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하부 주근(51); 상기 중앙부 늑근(20)(40)의 지지 철근(24)에 연결 되는 하부 중앙부 주근(52); 상기 단부 늑근(10)(30)의 지지 철근(14) 위에 얹혀진 상태로 연결되어 양측으로 전개되는 상부 근(53); 상기 늑근(10)(20)(30)(40)의 절곡부(12)(22)(32)(42)에 연결 설치되는 절곡부 상부 전개근(54); 한쪽은 내향 경사지게 절곡되고 다른 한쪽은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절곡부 상부 전개근(54)을 통해 늑근(10)(20)(30)(40)에 결합되어 개구부(11)(21)(31)(41)를 닫아주는 캡(60); 상기 캡(6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상부 전개근(55); 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늑근(30)(40)에도 제 1 늑근(10)(20)과 같이 받침 다리부가 형성되도록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같이 철근 배근체를 구성하는 늑근(10)(20)(30)(40), 형태 유지근(50),주근(50)(51)(52), 상부 근(53)(54)(55)와 캡(60)은 설계 소요량만큼 공장에서 각각 제작 및 가공되어(공장 가공 단계) 현장으로 운반되고 현장에서는 도 2a,b,c,d에 도시된 순서대로 연결 조립되어 인양전 철근 배근체를 제작한다.
도 2a,b,c,d는 현장에서 조립되는 본 발명의 인양전 철근 배근체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a,b,c,d는 인양하여 거푸집 위에 설치된 인양전 철근 배근체에 이음근과 전개근을 조립하여 보 철근 배근체를 완성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철근 배근체를 조립하기 위해 철근을 연결하는 방식은 철사를 이용하는 방법, 용접 및 압접하는 방법, 클램프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사용된다.
철근 배근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거푸집(3) 위의 합판(4)에 단부 제 1늑근(10)과 중앙부 제 1 늑근(20)을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하고, 상기 단부 및 중앙부 제 1 늑근(10)(20) 사이에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늑근(20)(40)을 배열한 상태에서 형태 유지근(50)을 늑근(10)(20)(30)(40)의 측면에 연결하고(도 2c 참조), 중앙부 늑근(20)(40)의 지지 철근 위에 하부 주근(51)을 연결 설치한다.(인양전 제 1 단계, 도 2d 참조)
도 3은 인양전 단부 제 1 늑근(10)을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인양전 중앙부 제 1 늑근(20)의 지지 철근(24)의 아래에 하부 중앙부 주근(52)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렇게 조립이 완료된 인양전 철근 배근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 거푸집(3) 위에 얹혀진 상태에서 보 시공층 및 기존 보 거푸집 해체층으로 인양된다.
보 시공층 및 기존 보 거푸집 해체층에는 한쪽에만 유로폼(3a) 설치되도록 거푸집 조립체(3b)가 설치되어 있으며, 인양된 상기 철근 배근체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체 형태의 공지의 이동 수단(70)을 이용하여 상기 거푸집 조립체(3b)로 이동시키게 된다.(제 3 단계)
이 상태에서 거푸집 조립체(3b)에 나머지 한쪽 유로폼(3c)를 설치하면 보 거푸집 조립체(3b)의 설치가 완성된다.(제 4 단계)
인양전 철근 배근체의 중량은 현장의 인양 설비에 맞춰 설계시 결정되며, 수 평이동은 합판(4) 하부의 거푸집(3)에 바퀴(3d)를 부가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a,b,c,d는 인양후 상기 철근 배근체의 조립을 완성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8a는 인양되어 설치된 철근 배근체의 상기 단부 늑근(10)(20)에 하부 이음근(51a)을 연결설치 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제 5 단계)
상기 단부 늑근(10)(20)의 지지 철근(14)(24) 위에 상부근(53)을 연결설치 하고(제 6 단계, 도 8b 참조), 상기 늑근(10)(20)(30)(40)의 절곡부(12)(22)(32)에 절곡부 상부 전개근(54)를 연결 설치 하고 캡(60)을 절곡부 상부 전개근(54)에 결합하여 도 8c(제 7 단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1)(21)(31)(41)를 닫아준다.
이 상태에서 캡(60)의 하부에 상부 전개근(55)을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설치하면(제 8 단계) 철근 배근체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 제 7,8 단계는 캡(60)중 일부만을 절곡부 상부 전개근(54)의 결합하고 상부 전개근(55)를 연결 설치한후 나머지 캡(60)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조립이 완료된 단부 늑근을 보인 도면이고, 도 10은 중앙부 늑근을 보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각 단계별 작업 위치를 예시하기 위한 설명하기 위한 건물 도면이다. A 구역과 B, B-1, B-2 구역은 보 거푸집(3) 및 인양전 철근 배근체를 C 구역은 인양후 상부 근(53)(54)(55)을 조립(제 5~7 단계) 하는 장소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받침 다리부(13,23)의 하부에 나사공(13a,23a)을 형성하여 보 시공후 각종 배관을 설치하기 위한 철물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은 철근 배근체를 이루는 모든 철근이 공장에서 제작되어 현장으로 운반되고 거푸집 위에 인양전 철근 배근체를 조립하는 작업이 하부층에서 이루어지며 거푸집과 함께 인양되어 설치된후 철근 배근체를 완성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철근 배근체를 조립하는 인양전 작업과 거푸집 해체 작업이 다른 공간에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음은 물론 철근을 배근하는데 따른 숙련도에 관계없이 설계시 고려된 최적의 상태를 갖도록 배근할 수 있어 보 시공에 소요되는 철근량을 절감하는 효과를 갖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실시예에 의해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속하는 범위내에서 당해분야에 대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5)
- 상부의 개구부 양측에는 내향으로 절곡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받침 다리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부에 지지 철근이 설치되어 단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입설되는 단부 제 1 늑근; 상부의 개구부 양측에는 내향으로 절곡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받침 다리부가 돌출 형성되며 하부에 지지 철근이 설치되어 중앙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입설되는 중앙부 제 1 늑근; 상부의 개구부 양측에는 내향으로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부 제 1 늑근 사이에 입설되는 단부 제 2 늑근; 상부의 개구부 양측에는 내향으로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중앙부 제 1 늑근 사이에 입설되는 중앙부 제 2 늑근; 상기 단부 늑근의 측면에 연결되는 형태 유지근; 상기 늑근들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하부 주근; 상기 중앙부 늑근의 지지 철근에 연결 되는 하부 중앙부 주근; 상기 단부 늑근의 지지 철근 위에 얹혀진 상태로 연결되어 양측으로 전개되는 상부근; 상기 늑근의 절곡부에 연결 설치되는 절곡부 상부 전개근; 한쪽은 내향 경사지게 절곡되고 다른 한쪽은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절곡부 상부 전개근을 통해 늑근에 결합되어 개구부를 닫아주는 캡; 상기 캡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상부 전개근;으로 이루어진 철근 배근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 다리부의 하부에 나사공을 형성하여 보 시공후 각종 배관을 설치하기 위한 강선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한 철근 배근체.
- 보 시공에 소요되는 철근을 가공하는 공장 가공 단계; 거푸집 합판 위에 단부 및 중앙부 제 1 늑근을 배열한 상태에서 상기 단부 및 중앙부 제 1 늑근사이에 제 2 늑근을 배열한 상태에서 형태 유지근을 늑근의 측면에 연결하고 늑근 위에 하부 주근을 연결 설치하는 인양전 제 1 단계; 상기 중앙부 늑근의 지지 철근 하부에 하부 중앙부 주근을 연결 설치하여 인양전 철근 배근체를 완성하여 인양하는 제 2 단계; 인양된 철근 배근체를 한쪽에만 유로폼이 설치된 거푸집 조립체로 이동시키는 제 3 단계; 상기 거푸집 조립체에 나머지 한쪽 유로폼을 설치하여 조립을 완료하는 제 4 단계; 하부 이음근을 상기 단부 늑근에 연결하는 제 5 단계; 상부근을 단부 늑근의 지지 철근 위에 연결설치하는 제 6 단계; 상기 늑근의 절곡부에 절곡부 상부 전개근을 연결 설치 하고 캡을 절곡부 상부 전개근에 결합하여 개구부를 닫아주는 제 7 단계; 상기 캡의 하부에 상부 전개근을 연결 설치하는 제 8 단계;로 이루어진 철근 배근체를 이용한 보 시공 방법.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부 및 중앙부 제 1 늑근이 상부의 개구부 양측에는 내향으로 절곡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받침 다리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부에 지지 철근이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배근체를 이용한 보 시공 방법.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부 및 중앙부 제 2 늑근이 상부의 개구부 양측에는 내향으로 절곡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받침 다리부가 돌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배근체를 이용한 보 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04331A KR100736382B1 (ko) | 2006-01-16 | 2006-01-16 | 철근 배근체와 이를 이용한 보 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04331A KR100736382B1 (ko) | 2006-01-16 | 2006-01-16 | 철근 배근체와 이를 이용한 보 시공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36382B1 true KR100736382B1 (ko) | 2007-07-06 |
Family
ID=38503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04331A KR100736382B1 (ko) | 2006-01-16 | 2006-01-16 | 철근 배근체와 이를 이용한 보 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36382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061503A (zh) * | 2013-01-15 | 2013-04-24 |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 一种环梁模板 |
KR20190127087A (ko) * | 2018-05-03 | 2019-11-13 | (주)티케이이엔지 | 슬래브와 기둥 접합부의 펀칭전단 보강 및 콘크리트 피복두께 유지를 위한 전단 보강체와 그 제작방법 |
KR20210035008A (ko) * | 2019-09-23 | 2021-03-31 | 황성섭 | 건축물의 보 뼈대 시공방법 |
KR20210148677A (ko) * | 2020-06-01 | 2021-12-08 | 염경수 | 무바닥판 커플채널 합성거더 및 그의 시공방법 |
KR102336184B1 (ko) | 2020-08-18 | 2021-12-08 | 선진정공 주식회사 | 철근 조립 시스템을 이용한 콘크리트보 시공 공법 |
KR20220022273A (ko) | 2020-08-18 | 2022-02-25 | 선진정공 주식회사 | 콘크리트보 시공용 철근 조립 시스템 |
-
2006
- 2006-01-16 KR KR1020060004331A patent/KR10073638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061503A (zh) * | 2013-01-15 | 2013-04-24 |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 一种环梁模板 |
KR20190127087A (ko) * | 2018-05-03 | 2019-11-13 | (주)티케이이엔지 | 슬래브와 기둥 접합부의 펀칭전단 보강 및 콘크리트 피복두께 유지를 위한 전단 보강체와 그 제작방법 |
KR102117753B1 (ko) | 2018-05-03 | 2020-06-09 | (주)티케이이엔지 | 슬래브와 기둥 접합부의 펀칭전단 보강 및 콘크리트 피복두께 유지를 위한 전단 보강체와 그 제작방법 |
KR20210035008A (ko) * | 2019-09-23 | 2021-03-31 | 황성섭 | 건축물의 보 뼈대 시공방법 |
KR102263779B1 (ko) * | 2019-09-23 | 2021-06-09 | 황성섭 | 건축물의 보 뼈대 시공방법 |
KR20210148677A (ko) * | 2020-06-01 | 2021-12-08 | 염경수 | 무바닥판 커플채널 합성거더 및 그의 시공방법 |
KR102395079B1 (ko) * | 2020-06-01 | 2022-05-04 | 염경수 | 무바닥판 커플채널 합성거더 및 그의 시공방법 |
KR102336184B1 (ko) | 2020-08-18 | 2021-12-08 | 선진정공 주식회사 | 철근 조립 시스템을 이용한 콘크리트보 시공 공법 |
KR20220022273A (ko) | 2020-08-18 | 2022-02-25 | 선진정공 주식회사 | 콘크리트보 시공용 철근 조립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36382B1 (ko) | 철근 배근체와 이를 이용한 보 시공 방법 | |
KR101295740B1 (ko) | 콘크리트충전강관기둥의 상하 분리식 접합부구조 | |
KR100971736B1 (ko) | 상하 각각 이중 앵커리지 기능을 갖는 전단보강재 | |
KR101086222B1 (ko) | 세트화된 배근구조를 갖는 건축 구조물용 피씨 슬래브 | |
KR100927344B1 (ko) | 흙막이벽과 바닥구조체의 연결 시공을 위한 연결구조체와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바닥구조체 시공방법 | |
KR100700402B1 (ko) | 강가로보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677668B1 (ko) | 래티스보강재 볼트조립 강재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보 | |
KR101713141B1 (ko) | 복합 교각 연결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547540B1 (ko) | 이형플랜지를 갖는 하이브리드 h형강 빔 | |
KR100814379B1 (ko) | 트러스 거더 일체형 슬래브 거푸집 구조 | |
KR100906156B1 (ko) | 트러스 거더 일체형 슬래브 거푸집 구조 | |
KR100759041B1 (ko) | 건축물의 기둥과 철골보의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 |
KR100807276B1 (ko) |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을 이용한 슬래브시공방법 | |
KR200469319Y1 (ko) | 철골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근콘크리트로 보강된 단부를 갖는 철골 보의 접합구조 | |
KR20050081796A (ko) | 충전재를 이용한 피.에스 거더교 구조 및 그 공법 | |
JP2005188102A (ja) | 建物の構造および施工方法 | |
CN211773832U (zh) | 一种中空不锈钢-混凝土-碳素钢管混凝土柱脚节点 | |
KR101610263B1 (ko) |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프레임 일체형 게비온 구조물 | |
KR100926356B1 (ko) | 강관주 설치용 베이스 어셈블리 | |
JP4757590B2 (ja) | 鉄筋コンクリート造既存建物の耐震補強工法 | |
KR100812248B1 (ko) | 선 조립철근 배근구조 | |
KR101521946B1 (ko) |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src)의 확장된 주두부 구조 | |
KR101109244B1 (ko) | 섬유보강 콘크리트로 소성힌지부를 보강한 구조벽체 | |
KR20110126566A (ko) | 부착응력 및 지압응력 증대용 격점부 연결구조를 가진 복합트러스 거더 | |
CN109386069A (zh) | 一种部分现浇剪力墙及其施工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