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7132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27132B1 KR100727132B1 KR1020040053858A KR20040053858A KR100727132B1 KR 100727132 B1 KR100727132 B1 KR 100727132B1 KR 1020040053858 A KR1020040053858 A KR 1020040053858A KR 20040053858 A KR20040053858 A KR 20040053858A KR 100727132 B1 KR100727132 B1 KR 1007271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door unit
- air conditioner
- oxygen
- barrier
- bracket
- Prior art date
Links
- MYMOFIZGZYHOMD-UHFFFAOYSA-N oxygen Chemical compound O=O MYMOFIZGZYHOMD-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IJGRMHOSHXDMSA-UHFFFAOYSA-N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9233 Headach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69 headache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6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adding oxyge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산소발생기능을 갖춘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와 열교환기 및 송풍팬이 수용되는 실외기; 상기 실외기의 하면을 형성하는 실외기 베이스; 상기 실외기 베이스와 결합되는 베리어; 상기 압축기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베리어에 고정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형성되는 산소발생부; 및 상기 베리어에 고정되어 제어부품이 장착되는 컨트롤 박스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의하여, 산소발생부가 실내기 내부의 브래킷 상부에 형성됨으로써, 공간활용도가 증가하게 되어 제품설치성이 향상되고, 작동중 산소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퍼져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외기, 산소발생부, 베리어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실외기 101 : 베이스
102 : 베리어 103 : 브래킷
104 : 브래킷지지부 105 : 압축기
106 : 배관 107 : 송풍팬
108 : 컨트롤 박스 110 : 산소발생부
111 : 모터 112 : 펌프
113 : 필터 114 : 베드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산소발생기능을 갖춘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사이클이 적용되어 공기를 조화하는 것으로, 분리형의 경우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와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로 구분된다.
실외기는 압축기와 응축기 및 팬이 포함되어 있어, 냉방이 온되면 응축기를 통해 실외공기를 응축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실내기는 증발기와 팬이 포함되어 있어, 냉방운전 시에 실내공기가 실외기에서 응축되어 증발기를 통과하는 실외공기와 열교환된 후 다시 실내로 토출되어 실내가 조화되게 하는 작용을 한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간에 대한 냉방 및 난방기능이 작동될 때 실내공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창문 등을 닫은 상태에서 운전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운전이 장시간동안 계속되는 경우, 실내의 산소부족으로 사용자가 두통을 느끼는 등 건강상 해를 끼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부가기능으로 공기정화기능을 갖추기도 하는데, 상기와 같이 공기정화기능을 갖춘 것으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020029790 등에 제시된 공기조화기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공기조화기(1)는 실내에 안치되는 실내기(2)와, 실외에 안치되며, 상기 실내기(2)와 연결되는 실외기(3)와, 상기 실외기(3)의 상부에 형성되어, 산소를 발생시키는 산소발생장치(4)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공기조화기(1)가 온(on)되면, 상기 실외기(3)에서 응축된 냉매가 상기 실내기(2)로 순환되어, 상기 실내기(2)에 흡수되는 실내공기를 냉, 난방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산소발생장치(4)에서 생성된 산소도 함께 실내로 공급된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산소발생장치가 실외기 상부에 별도로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어 공간활용도 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하여, 제품설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산소발생장치가 실외기 외부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기의 작동시 상기 산소발생장치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퍼져나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산소발생장치가 형성되는 위치를 변경하여 공간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산소발생장치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와 열교환기 및 송풍팬이 수용되는 실외기; 상기 실외기의 하면을 형성하는 실외기 베이스; 상기 실외기 베이스와 결합되며, 일측에 압축기가 위치되고 타측에 송풍팬이 위치되도록 상기 실외기 내부를 구획하는 베리어; 상기 압축기의 상측에서 상기 베리어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형성되는 산소 발생부; 상기 송풍팬 측에서 상기 베리어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질소와 산소를 분리시키는 베드; 및 상기 산소 발생부의 상측에서 상기 베리어에 고정되며, 제어 부품이 장착되는 컨트롤 박스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의하여, 산소발생부가 실내기 내부의 브래킷 상부에 형성됨으로써, 공간활용도가 증가하게 되어 제품설치성이 향상되고, 작동중 산소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퍼져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 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실외기(100)는 베이스(101)와, 상기 베이스(101)에 장착되어 상기 실외기(100)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베리어(barrier)(102)와, 상기 베리어(102)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브래킷(bracket)(103)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103)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베리어(102)와 함께 상기 브래킷(103)을 지지하는 브래킷 지지부(104)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실외기(100)는 상기 브래킷(103) 하부의 상기 베이스(101)상에 장착되며, 냉매를 압축시키기 위한 압축기(105)와, 상기 압축기(105)에서 연장되는 배관(106)과, 열교환기(미도시)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102)의 일측에 장착되며, 열교환을 위해 실외공기를 상기 실외기(100)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팬(107)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실외기(100)는 상기 브래킷(103) 상부에 장착되는 산소발생부(110)와, 상기 산소발생부(1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컨트롤박스(108)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산소발생부(110)는 상기 브래킷(103) 상부에 장착되는 모터(111)와, 상기 모터(111)의 양측에 장착되며, 실내기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11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111) 일측의 상기 브래킷(103) 상부에 장착되며, 흡입되는 실외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필터(113)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102)의 일측에 장착되며, 흡입되는 실외공기에서 산소를 분리하기 위한 베드(114)가 포함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베드(114)는 내부에 공기중의 질소와 산소를 분리하기 위한 제올라이트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산소발생부(110)는 상기 실외기(100) 내부의 상기 브래킷(103)의 상부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실외기(100) 외부에 상기 산소발생부(110)가 장착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형성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외기(100)의 크기가 감소되어, 공간활용도가 우수해질 수 있으며, 제품설치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소발생부(110)는 작동시 소음이 발생되는데, 상기 산소발생부(110)가 상기 실외기(100) 내부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산소발생부(110)에서 발생되어 외부로 퍼지는 소음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소발생부(110)가 상기 실외기(100) 내부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산소발생부(110)를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인쇄 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쇄 회로기판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화재에 의한 위험 등이 제거되어,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올라이트는 공기중의 질소와 산소에 대해 선택적인 흡착정도를 가지고 있는데, 상기와 같은 성질을 이용하여 질소가 상기 제올라이트에 흡착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흡착정도가 낮은 산소가 분리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분리된 상기 질소는 다시 외부로 방출되고, 상기 산소는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에 존재하는 산소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한편, 흡입되는 실외공기의 온도가 높아질 경우 실외공기 중에 존재하는 산소가 희박해지므로, 상기 제올라이트를 통과하며 분리되는 산소량도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올라이트가 포함된 상기 베드(114) 쪽으로 유입되는 실외공기가 열원으로부터 격리되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격리효과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베드(114)가 상기 송풍팬(107) 측의 상기 베리어(102) 상에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제올라이트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송풍팬(107)에 의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산소발생부의 작동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공기조화기의 산소발생기능이 작동되면, 실외공기가 상기 필터(113)를 거쳐 정화된 다음, 상기 베드(114)를 통과하며 제올라이트에 의해 산소가 질소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분리된 상기 질소는 다시 외부로 방출되고, 상기 산소는 상기 모터(111)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펌프(112)를 통해 실내기로 공급되어, 실내로 퍼져나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의하여, 산소발생부가 실내기 내부에 형성됨으로써, 공간활용도가 증가하게 되어 제품설치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산소발생부가 실내기 내부에 장착되므로, 작동중 산소발생부에서 발생 되는 소음이 외부로 퍼져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산소발생부가 실내기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산소발생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인쇄 회로기판이 설치될 필요가 없으므로, 화재의 위험 등이 감소되어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 압축기와 열교환기 및 송풍팬이 수용되는 실외기;상기 실외기의 하면을 형성하는 실외기 베이스;상기 실외기 베이스와 결합되며, 일측에 압축기가 위치되고 타측에 송풍팬이 위치되도록 상기 실외기 내부를 구획하는 베리어;상기 압축기의 상측에서 상기 베리어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브라켓;상기 브라켓에 형성되는 산소 발생부;상기 송풍팬 측에서 상기 베리어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질소와 산소를 분리시키는 베드; 및상기 산소 발생부의 상측에서 상기 베리어에 고정되며, 제어 부품이 장착되는 컨트롤 박스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브라켓의 상측에는, 흡입되는 실외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필터와, 실내기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를 구동시키는 모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53858A KR100727132B1 (ko) | 2004-07-12 | 2004-07-12 | 공기조화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53858A KR100727132B1 (ko) | 2004-07-12 | 2004-07-12 | 공기조화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05035A KR20060005035A (ko) | 2006-01-17 |
KR100727132B1 true KR100727132B1 (ko) | 2007-06-13 |
Family
ID=37117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53858A KR100727132B1 (ko) | 2004-07-12 | 2004-07-12 | 공기조화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27132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6272B1 (ko) | 2002-07-16 | 2004-06-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산소발생기능을 갖춘 공기조화기 |
KR20040074534A (ko) * | 2003-02-19 | 2004-08-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산소발생장치 설치구조 |
KR100469783B1 (ko) | 2002-04-29 | 2005-02-02 |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 에어컨의 산소 공급 장치 |
-
2004
- 2004-07-12 KR KR1020040053858A patent/KR10072713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69783B1 (ko) | 2002-04-29 | 2005-02-02 |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 에어컨의 산소 공급 장치 |
KR100436272B1 (ko) | 2002-07-16 | 2004-06-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산소발생기능을 갖춘 공기조화기 |
KR20040074534A (ko) * | 2003-02-19 | 2004-08-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산소발생장치 설치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05035A (ko) | 2006-0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488093B2 (ja) | 空気調和機 | |
KR101575904B1 (ko) | 팬모터 장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
JP4360434B2 (ja) | 空気調和装置 | |
AU2008263367B2 (en) | Humidity controller | |
JP2009106889A (ja) | 調湿装置 | |
JPH07146054A (ja) | 冷蔵庫 | |
JP3505786B2 (ja) | 空気調和機 | |
KR100727132B1 (ko) | 공기조화기 | |
KR20060005036A (ko) | 공기조화기 | |
JP3815485B2 (ja) | 調湿装置 | |
JPH0523527A (ja) | 電子式空気除湿浄化器 | |
KR200245713Y1 (ko) | 패키지에어콘의실내기 | |
JPH11270923A (ja) | 室外機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機 | |
KR100529917B1 (ko) |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환기 유닛 | |
JP2007024375A (ja) | 空気調和装置 | |
JP2013257115A (ja) | 冷凍冷蔵庫 | |
JPH11281097A (ja) | 室外機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機 | |
KR100469783B1 (ko) | 에어컨의 산소 공급 장치 | |
KR20060115245A (ko) | 탈취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공기 조화기 | |
KR100734483B1 (ko) | 확장형 필터가 결합된 에어컨 흡입부 구조 | |
JP3528827B2 (ja) | 屋内空気熱源形ヒートポンプ式空調機 | |
KR20200111057A (ko) | 공기조화기 | |
KR20200111055A (ko) | 공기조화기 | |
KR100391821B1 (ko) | 열교환기의 블로어장치 | |
KR200178068Y1 (ko) | 패키지 에어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B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622 Effective date: 20070227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0 |